KR20210105235A - 신체장착용 공간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신체장착용 공간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235A
KR20210105235A KR1020200019939A KR20200019939A KR20210105235A KR 20210105235 A KR20210105235 A KR 20210105235A KR 1020200019939 A KR1020200019939 A KR 1020200019939A KR 20200019939 A KR20200019939 A KR 20200019939A KR 20210105235 A KR20210105235 A KR 20210105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pace
container
use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형종
Original Assignee
오형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형종 filed Critical 오형종
Priority to KR1020200019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5235A/ko
Publication of KR20210105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94Gaseous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을 위한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호흡기 주위공간을 살균할 수 있는 인체에 무해한 살균가스을 방출하는 살균가스 발생유닛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신체장착용 공간 살균장치{body wearable space sterilizer}
본 발명은 공간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기 주위 또는 손등과 같은 신체의 특정부와 이 주위의 공간을 살균할 수 있는 신체장착용 공간살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보다 쾌적하고 안락한 주거환경을 이루고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자되고 있고, 특히 악취발생을 방지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방향(芳香) 목적의 사용 및 개인적인 취향에 맞추어서 향(또는 방향제)을 사용하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에는 코로 흡입되는 향기로 신경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여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한편 불안증, 불면증,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도록 하는 향기요법이 이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향기 분사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공기 중 혹은 외부의 생활공간에는 인체의 건강에 해를 끼치는 세균,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균들이 무수히 많은데, 호흡을 통하여 이들을 흡입하거나 신체접촉하게 되면 여러 가지 질병이 유발될 수 있고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나 환자들은 이러한 병원균의 접촉으로 인하여 질병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게 된다. 더불어, 최근에는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및 신종플루(신종인플루엔자)와, 코로나 바이러스 등과 같이 예방약이나 치료약이 미처 개발되지 아니한 변종 된 질병들이 공기 중이나 외부에서의 접촉으로 인해 급속도로 전파되어 사회적으로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공간살균 및 방향을 위한 자동분사장치가 대한민국 등록 특허등록 제 1237458호에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818067호에는 실내공간살균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공간살균장치는 밀폐된 공간을 살균 및 방향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나 다양한 공간에서 사람들 사이의 대화를 통하여 전파되는 균, 바이러스 등을 살균하기 어렵다. 특히 대화 중 기침으로 인하여 공기중으로 분산되는 바이러스나 유해한 균 등이 호흡기를 통하여 흡입됨으로써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렵다.
1)대한민국 등록특허등록 제 1237458호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818067호 3)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4-0072506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목, 손목 등에 장착한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호흡기 주위의 공간 또는 손과 이 주위의 공간을 살균할 수 있는 신체장착용 공간살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호흡기 주위 의 공간을 살균함으로써 우한폐렴, 신종풀루와 같은 바이러스, 유해균을 살균할 수 있어 기침, 대화중에 공기중으로 전파되는 바이러스나 유해균에 의해 전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체장착용공간살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체장착용 공간살균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을 위한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양측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호흡기 주위공간 또는 신체 착용부 주위를 살균할 수 있는 살균가스를 방출하는 살균가스 발생유닛들을 구비한 것을 그 특징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균가스 발생유닛은 상기 밴드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공간부을 가지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공간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관통공들이 형성된 가스방출커버부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공간부에 설치되어 살균을 위한 가스를 방출하는 가스방출유닛를 구비한다.
상기 가스방출부는 다공성 기체들과, 상기 다공성 기체들에 과산화카르복실산을 함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에는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보조가스배출공들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체장착용 공간살균장치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 시 호흡기 주위에 과산화카르복실산를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어 공간을 살균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또는 기침 등으로 인하여 비산되는 유해균 또는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통하여 전파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장착용 공간살균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체장착용 공간 살균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장착용 공간 살균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사시도,
도 4 본 발명에 따른 신체장착용 공간살균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체장착용 공간살균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신체장착용 살균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신체장착형 공간간살균장치는 목, 손목등의 신체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호흡기 주위의 공간 또는 손과 이 주위의 공간을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 일 실시예들을 도 1 내지 3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체장착형 공간살균장치(10)는 사용자의 신체 착용을 위한 밴드부(20)와, 상기 밴드부(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호흡기 주위공간을 살균할 수 있도록 인체에 무해한 살균가스을 방출하는 살균가스 발생유닛(30)들을 구비한다.
상기 밴드부(20)은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곡율반경을 가지며 양단부가 사용자 목 전면측에 위치되도록 전면이 개방되는 본체부(21)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21)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목의 주위에 착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진다. 상기 밴드부(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밴드부(2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살균가스발생유닛(30)은 밴드부(20)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컨테이너(31)를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31)는 내부에 후술하는 가스방출유닛(50)이 설치되는 내부공간(32)이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31)의 상면부에는 상기 내부공간(32)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가스방출유닛(50)으로부터 방출된 가스가 원활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가스방출커버부(33)가 형성된다.
상기 컨테이너(31)의 하면측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가스방출유닛(50)을 장착 및 배출하기 위한 도어캡(34)이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하부측을 밀폐하게 된다. 상기 컨테이너(31)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스방출유닛(50)은 다공성기체(51)와, 상기 다공성기체(51)에 과산화카르복실산이 함침되어 이루어진다. 과산화카르복실산은 계면활성제, 킬레이트제, PH조절제, 순수 등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산화카르복실산은 농도가 5000 내지 8000ppm 인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과산화카르복실산은 과산화아세트산 또는 과산화포름산이며, 계면활성제, 킬레이트제, PH조절제, 순수 등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체는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또는 수화겔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함침방법은 다공성물질을 110 ℃에서 12시간 이상 건조하여 세공내부에 흡착된 불순물을 제거한 뒤 5000내지 8000ppm 농도의 과산화카르복실산 용액에 잠기게 한 후 6시간 이상 정치하여 용액이 포화흡수 될 때까지 세공내부로 확산되게 한다.
상기 가스방출유닛(50)의 다공성물질(51)은은 가스의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섬유질의 파우치에 의해 감싸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공성기체(51)에 함침되는 물질은 계과산화 카르복실산에 한정되지 않고, 살균력을 가지는 증기 발생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21)에는 컨테이너(3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중공부(25)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밴드부(21)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중공부(25)와 연통되는 보조가스배출공(26)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가스배출공(26)은 목의 주위를 살균할 수 있도록 상면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밴드부(20)에 지지된 살균가스 발생유닛(20)의 컨테이너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100)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이어폰(100)과 컨테이너(31)에는 컨테이너와 상호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신체장착용 공간살균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게시된 공간살균장치(60)는 상부와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공(60a)형성된 컨테이너(61)와, 이 컨테이너(61)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2밴드부(62)(63)를 구비한다. 상기 제 1,2밴드부(62)(63)의 단부에는 상호 결합할 수 있는 체결부(6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2밴드부(62)(63)에는 보조가스 배출공(66)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가스배출공(66)은 제1,2밴드부(62)(63)에 형성된 연결통로를 통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61)의 내부에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가스방출유닛(50)이 설치된다. 이 가스방출유닛(50)은 다공성기체(51)와, 상기 다공성기체(51)에 과산화카르복실산이 함침되어 이루어진다. 과산화카르복실산은 계면활성제, 킬레이트제, PH조절제, 순수 등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신체장착용 공간살균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장착용 공간살균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호흡기 주위 공간을 살균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여 살균가스 발생유닛(20)이 사용자 목의 전면측 양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가스방출커버부(33)가 상면을 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컨테이너(31)의 내부에 장착된 가스방출유닛(50)의 다공성기체(51)에 함침된 과산화카르복실산으로부터 과산화카르복실산가스가 사용자의 호흡기 주위로 지속적으로 방출되어 호흡기 주위의 공간으로 방출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방출된 가스는 신체의 체온으로 인하여 목 주위의 피부에 의해 가열된 기류에 편승하여 상승하게 됨으로서 호흡기 측으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호흡기 주위의 공간의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
또한 피부의 표면을 따라 과산화카르복실산가스가 흐르게 됨으로써 피부의 유해균, 바이러스 등도 살균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에 착용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61)의 내부에 장착된 가스방출유닛(50)으로부터 살균가스가 방출된다. 즉, 가스방출유닛의 다공성기체(51)에 함침 된 과산화카르복실산으로부터 과산화카르복실산가스가 사용자의 착용된 손의 주위로 방출되어 손의 피부를 살균함과 아울러 손주위를 살균할 수 있다. 특히, 착용하지 않은 손과 이의 손바닥 등을 살균하기 위해서는 착용하지 않은 손으로 일정 시간 컨테이어를 감싸도록 하여 컨테이너로부터 방출된 살균가스에 의해 살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체장착용 공간살균장치는 컨테이너 내의 가스발생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과산화카르복실산가스를 지속적인 살균이 가능하므로 환자와의 대화 또는 많은 사람이 군집된 장소에서도 사용자의 호흡기를 통하여 공기중의 유해균과 바이러스가 흡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을 위한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호흡기 주위공간 또는 착용부위의 신체와 이의 주위를 살균할 수 있는 살균가스을 방출하는 살균가스 발생유닛들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장착용 공간살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가스 발생유닛은 상기 밴드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공간부을 가지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공간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관통공들이 형성된 가스방출커버부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공간부에 설치되어 살균을 위한 가스를 방출하는 가스방출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장착용 공간살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방출유닛은 다공성물질과, 상기 다공성기체들에 과산화카르복실산이 함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장착용 공간살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에는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보조가스배출공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장착용 공간살균장치.
KR1020200019939A 2020-02-18 2020-02-18 신체장착용 공간 살균장치 KR20210105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939A KR20210105235A (ko) 2020-02-18 2020-02-18 신체장착용 공간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939A KR20210105235A (ko) 2020-02-18 2020-02-18 신체장착용 공간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235A true KR20210105235A (ko) 2021-08-26

Family

ID=7746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939A KR20210105235A (ko) 2020-02-18 2020-02-18 신체장착용 공간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52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524B1 (ko) * 2022-11-30 2023-07-06 조강인 넥 밴드형 공간 제균 블루투스 이어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458B1 (ko) 2011-02-08 2013-02-26 배성태 공간살균 및 방향을 위한 자동분사장치
KR20140072506A (ko) 2012-12-05 2014-06-1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팩
KR101818067B1 (ko) 2016-07-07 2018-01-12 (주)디자인엑스투 실내 공간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458B1 (ko) 2011-02-08 2013-02-26 배성태 공간살균 및 방향을 위한 자동분사장치
KR20140072506A (ko) 2012-12-05 2014-06-1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팩
KR101818067B1 (ko) 2016-07-07 2018-01-12 (주)디자인엑스투 실내 공간 살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524B1 (ko) * 2022-11-30 2023-07-06 조강인 넥 밴드형 공간 제균 블루투스 이어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94421U1 (ru) Индивидуальная фильтрующая маска с бактерицидной обработкой воздуха на излучающих полупроводниковых элементах
US11412792B2 (en) Anti-microbial, disinfection chamber respiratory face mask/shield
US5165395A (en) Ultra-violet germicidal mask system
CN111165940A (zh) 一种基于紫外及光触媒杀菌的口罩
CN111053979A (zh) 一种防病毒传播的大通气口罩
US20210069481A1 (en) Plug for insertion into the nose or ear of a subject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a fluid therapeutic agent using said plug
KR102203323B1 (ko) 공기순환 살균기
CN111466642A (zh) 杀菌消毒口罩装置
KR20210105235A (ko) 신체장착용 공간 살균장치
CN215024359U (zh) 呼吸装置
CN213220618U (zh) 一种杀菌口罩
CN201541762U (zh) 空气净化口罩
CN211835867U (zh) 一种防病毒传播的大通气口罩
JP2022099404A (ja) マスク内の息の通気路内でウイルスを殺菌する機能を有する殺菌マスク。
KR20140022997A (ko) 다용도 코걸이
JP3238373U (ja) 紫外線によって滅菌された空気を呼吸するチューブ
CN210750773U (zh) 一种呼吸面罩用的软管
CN214596618U (zh) 一种临床内科用呼吸消毒器
JP6765565B1 (ja) 呼気浄化器
RU2255778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органов дыхания
CN214258032U (zh) 一种结核科用电子自洁面罩
JP3242439U (ja) 殺菌マスク
CN210752061U (zh) 一种细菌病毒消杀装置
JPH0558758B2 (ko)
KR200282894Y1 (ko) 위생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