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445A - Kitchen container - Google Patents
Kitchen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04445A KR20210104445A KR1020200019206A KR20200019206A KR20210104445A KR 20210104445 A KR20210104445 A KR 20210104445A KR 1020200019206 A KR1020200019206 A KR 1020200019206A KR 20200019206 A KR20200019206 A KR 20200019206A KR 20210104445 A KR20210104445 A KR 202101044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container
- bar
- vertical groove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8—Heat-insulating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방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음식물을 담고 초기 열을 가할 때 발생하는 미세한 증기는 뚜껑에 마련된 증기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일측바의 일측하향봉은 일측손잡이의 일측센터-기준높이수직홈에 끼워져 뚜껑이 용기에 안전하게 세팅될 수 있도록 하며, 음식물에 열이 지속적으로 가해져 증기량이 많아질 경우 일측바의 일측하향봉을 일측손잡이의 일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에 끼워(안전하게 끼워) 용기로부터 뚜껑이 일단높이경사틈새를 두고 이격되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게 증기를 일단높이경사틈새를 통해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한 주방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chen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a fine steam generated when food is put in the container and initial heat is applied to be discharged through a steam hole provided in the lid, and in this case, one downward rod of one side bar is one side handle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center-standard height vertical groove allows the lid to be safely set in the container. It relates to a kitchen container in which steam can be ejected more safely through the one-end inclination gap by inserting it into the container (insert it safely) so that the lid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at one end of the height inclination gap.
일반적으로 주방용기는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냄비, 프라이팬, 찜기 또는 솥 등을 일컫고, 그 구성으로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이 용기를 덮기 위한 뚜껑으로 이루어지며, 음식물에 열을 가할 경우 증기의 분출로 인하여 국물이 넘치는 현상이 발생하곤 한다.In general, a kitchen container refers to a pot, frying pan, steamer, or pot capable of cooking food, and the configuration includes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food and a lid for covering the container, and when heat is applied to food, steam Occasionally, the overflow of broth occurs due to the eruption of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84420호)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1b 및 도 1c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를 나타내는 사용 단면도이다.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t for preventing overflow according to Prior Ar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9-0084420), and FIGS. 1B and 1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pot for preventing overflow according to Prior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1)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 및 본체(3)로 이루어지고, 뚜껑(2)의 테두리(4)에 다수 개의 수증기 배출 겸용 원형결합공(5)이 형성되며, 본체(3)의 둘레에 마련되는 프레임(6) 상단면에 받침 겸용 결합용 원형돌부(7)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냄비(1)의 본체(3) 내부에 조리할 음식물을 넣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을 닫으면 뚜껑(2)의 테두리(4)에 형성되는 원형결합공(5)이 본체(3)의 프레임(5)에 형성되는 원형돌부(7)에 결합되어 밀폐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본체(3)에 열을 가할 경우 음식물이 끓으면서 수증기를 발생하게 된다.When food to be cooked is put inside the
이때,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1)의 뚜껑(2)을 들어올려 일측으로 약간 회전시키면 본체(3)의 프레임(6)에 형성되는 원형돌부(7)에 뚜껑(2)의 테두리(4)가 올라타면서 공간이 형성되고 이와 동시에 뚜껑(2)의 테두리(4)에 형성되는 원형결합공(5)이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음식물이 끓으면서 발생하는 증기가 원형돌부(7)와의 공간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뚜껑(2)에 형성되는 원형결합공(5)으로 동시에 배출되어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현상이 방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1)는 국물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2)의 테두리(4)에 다수 개의 공기 배출 겸용 결합용 원형돌부(7)를 형성시키므로 인하여 뚜껑(2)의 형상이 복잡해져 상품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공기 배출 겸용 결합용 원형돌부(7) 속으로 음식물의 찌꺼기가 끼일 경우 사용 중 본체(3) 속으로 낙하되어 비위생적인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By the way, the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50556호)에 따른 냄비 뚜껑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냄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냄비 뚜껑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냄비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c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냄비 뚜껑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냄비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t for explaining the pot lid hol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350556), Figure 2b is a pot for explaining the pot lid holder according to the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냄비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손잡이(11b)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대(20)를 결합하되, 이 거치대(20)의 표면에 뚜껑(10a)을 수직방향으로 세웠을 때 뚜껑(10a)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걸쳐지는 장공(22b)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 뚜껑(10a)을 거치대(20) 위에 세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pot according to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냄비는 뚜껑(10a) 자체를 거치대(20)에 직접 세우는 구조로 이루어져 장공(22b)의 크기가 충분히 확보될 만큼 거치대(20)의 폭이 넓어야 하고[거치대(20)의 폭이 커질 수밖에 없어 생산성 및 상품성이 떨어짐], 이에 반하여 거치대(20)의 폭을 작게 할 경우 장공(22b)의 크기 또한 작아져 뚜껑(10a)을 안전하게 세울 수 없는 단점을 안고 있다.However, the pot according to Prior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에 음식물을 담고 초기 열을 가할 때 발생하는 미세한 증기는 뚜껑에 마련된 증기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일측바의 일측하향봉은 일측손잡이의 일측센터-기준높이수직홈에 끼워져 뚜껑이 용기에 안전하게 세팅될 수 있도록 하며, 음식물에 열이 지속적으로 가해져 증기량이 많아질 경우 일측바의 일측하향봉을 일측손잡이의 일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에 끼워(안전하게 끼워) 용기로부터 뚜껑이 일단높이경사틈새를 두고 이격되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게 증기를 일단높이경사틈새를 통해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한 주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fine steam generated when food is placed in a container and initial heat to be discharged through a steam hole provided in the lid, and at this time, one side downward bar of one side bar is one side center of the one side handle - reference height vertical groove It is inserted so that the lid can be safely set in the container, and when the amount of steam increases due to the continuous application of heat to the food, the lower bar on one side of the one side of the handle is inserted into the left-end vertical groove of the handle (safely inserted) from the contain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tchen container in which the lid is spaced apart at one end with a height inclined gap so that steam can be ejected through the one end height inclined gap more safely.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에 고열을 지속적으로 가해 국물과 함께 증기가 올라오거나 누룽지와 같이 거품이 함께 올라오는 증기일 경우 일측바의 일측하향봉을 일측손잡이의 일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에 끼워(안전하게 끼워) 용기로부터 뚜껑이 이단높이경사틈새를 두고 이격되도록 하여 보다 더 안전하게 증기를 이단높이경사틈새를 통해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한 주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inuously apply high heat to food and, in the case of steam rising with broth or steam rising together with bubbles, such as nurungji, one side downward rod of one side bar is inserted into one side light-two-stage height vertical groove of one side handle ( It is to provide a kitchen container in which the lid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with a double-height inclination gap so that steam can be ejected more safely through the double-height inclined gap.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에 열이 지속적으로 가해져 증기량이 많아질 경우 일측하향봉을 일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에 끼움(안전하게 끼움)과 동시에 타측하향봉을 타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에 끼워(안전하게 끼워) 용기로부터 일단높이수평틈새를 두고 뚜껑을 상대적으로 더 이격시켜 증기를 보다 안전하게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ert one downward rod into the one-side left-end height vertical groove (safely fit) and at the same time insert the other downward rod into the other left-end height vertical groove when heat is continuously applied to food and the amount of steam increases ( It is to provide a kitchen container that allows the steam to be ejected more safely by keeping the lid relatively more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by leaving a height and horizontal gap from the container.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에 고열을 지속적으로 가해 국물과 함께 증기가 올라오거나 누룽지와 같이 거품이 함께 올라오는 증기일 경우 일측하향봉을 일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에 끼움(안전하게 끼움)과 동시에 타측하향봉을 타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에 끼워(안전하게 끼워) 용기로부터 이단높이수평틈새를 두고 뚜껑을 상대적으로 더욱 더 이격시켜 증기를 보다 더 안전하게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inuously apply high heat to food and, in the case of steam rising with broth or steam rising together with bubbles, such as nurungji, one side of the downward rod is inserted (safely inserted) into the one side light-two-level height vertical groove and the other side To provide a kitchen container that allows the steam to be ejected more safely by inserting the downward rod into the other side light-two-stage height vertical groove (inserting it safely), leaving a two-stage horizontal gap from the container, and keeping the lid relatively further apart.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바 또는 타측바를 세움수직홀에 끼워 뚜껑을 일측손잡이 또는 타측손잡이 위로 세울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을 익히거나 끓일 때 뜨거워진 뚜껑을 조리 완료 후 간단히 정돈케 하고, 나아가 음식물을 보다 신속하게 식힐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로부터 음식물을 떠내는 동작 역시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ut one bar or the other bar in a vertical hole so that the lid can be raised over one handle or the other handle, so that when cooking or boiling food, the lid heated up is simply arranged after cooking is completed, and furthermore, the food is better prepar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tchen container that allows for quick cooling and convenient operation of scooping food out of the container.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바 또는 타측바의 폭을 작게 하더라도 일측바 또는 타측바의 길이에 의해 세움수직홀에 충분히 끼워져 뚜껑을 안전하게 세울 수 있어 상품성 및 생선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주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itchen container that satisfies the marketability and productivity at the same time by being sufficiently fitted into the vertical hole by the length of one bar or the other bar even if the width of the one side bar or the other side bar is small and the lid can be safely erected. is in providing.
본 발명의 목적은 시밍테두리로 하여금 용기의 테두리에 직접 맞닿으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의 중심을 향하여 뚜껑을 보다 견고하게 기울어진 채로 세울 수 있는 주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tchen container in which the lid can be more firmly tilted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iner by allowing the seaming rim to be supported while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container.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로부터 일단높이경사틈새, 이단높이경사틈새, 일단높이수평틈새 및 이단높이수평틈새를 두고 뚜껑이 이격될 때 커버플레이트로서 증기를 커버링하여 사용자가 일측손잡이 및 타측손잡이를 파지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주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ver the steam as a cover plate when the lid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with one end height sloping gap, two tier height slanted gap, one end height horizontal gap and two stage height horizontal gap so that the user can hold one handle and the other handle. It is to provide a kitchen container that can be free from the risk of burns that may occur.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손잡이 또는 타측손잡이에 뚜껑이 세워질 때 뚜껑 내부를 타고 떨어지는 응결수를 모두 용기 속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여 조리시의 주변 청결을 더 더욱 보장케 할 수 있는 주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tchen container that can further ensure the cleanliness of the surroundings during cooking by guiding all the condensed water falling on the inside of the lid to fall into the container when the lid is set on one handle or the other handle. is i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씌워지는 뚜껑을 포함하는 주방용기에 있어서,In a kitchen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food and a lid covering the container,
상기 용기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뚜껑의 중심을 기준으로 할 때 일측센터-기준높이수직홈 및 일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을 지닌 일측손잡이와,When fixed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and based on the center of the lid, one side center-standard height vertical groove and one side left-side handle having one end height vertical groove,
상기 뚜껑으로부터 상기 일측손잡이를 향하여 외향 및 하향 돌출되어 상기 일측센터-기준높이수직홈에 끼워질 경우 상기 용기에 상기 뚜껑을 밀착시키는 반면 상기 일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에 끼워질 경우 상기 용기로부터 일단높이경사틈새를 두고 상기 뚜껑을 이격시키는 일측하향봉을 지닌 일측바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It protrudes outwardly and downwardly from the lid toward the one-side handle, and when fitted in the one-side center-standard height vertical groove, the lid is closely attached to the container while the one-side left-one end height vertical groove when fitted into the vertical groove. It is a basic feature in terms of its technical configuration to include a side bar having a side downward bar that separates the lid with a height inclination gap.
본 발명에 따라 용기에 음식물을 담고 초기 열을 가할 때 발생하는 미세한 증기는 뚜껑에 마련된 증기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일측바의 일측하향봉은 일측손잡이의 일측센터-기준높이수직홈에 끼워져 뚜껑이 용기에 안전하게 세팅될 수 있도록 하며, 음식물에 열이 지속적으로 가해져 증기량이 많아질 경우 일측바의 일측하향봉을 일측손잡이의 일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에 끼워(안전하게 끼워) 용기로부터 뚜껑이 일단높이경사틈새를 두고 이격되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게 증기를 일단높이경사틈새를 통해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ute vapor generated when food is put in a container and initial heat is applied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steam hole provided in the lid, and at this time, one side downward rod of one side bar is located on one side center-standard height vertical groove of the one side handle. It is inserted so that the lid can be safely set in the container, and when the amount of steam increases due to the continuous application of heat to the food, insert the lower bar on one side of the handle on the left side of the handle on one side - one end in the height vertical groove (insert it safely) and remove the lid from the container. This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steam to be ejected more safely through the one-end height inclination gap by leaving the gap at one end to be spaced apart.
본 발명은 음식물에 고열을 지속적으로 가해 국물과 함께 증기가 올라오거나 누룽지와 같이 거품이 함께 올라오는 증기일 경우 일측바의 일측하향봉을 일측손잡이의 일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에 끼워(안전하게 끼워) 용기로부터 뚜껑이 이단높이경사틈새를 두고 이격되도록 하여 보다 더 안전하게 증기를 이단높이경사틈새를 통해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eam rises with the broth by continuously applying high heat to the food or when the steam rises with the foam such as nurungji, one side of the downward bar of the one side bar is inserted into the one side light-two height vertical groove of the one side handle (safely inserted ) The lid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with a double-height sloping gap, so that steam can be ejected more safely through the double-height sloping gap.
본 발명은 음식물에 열이 지속적으로 가해져 증기량이 많아질 경우 일측하향봉을 일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에 끼움(안전하게 끼움)과 동시에 타측하향봉을 타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에 끼워(안전하게 끼워) 용기로부터 일단높이수평틈새를 두고 뚜껑을 상대적으로 더 이격시켜 증기를 보다 안전하게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heat is continuously applied to food and the amount of steam increases, one side of the downward rod is inserted into the one-side left-end height vertical groove (safely inserted), and at the same time, the other downward rod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left-end height vertical groove (safely inserted). )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steam to be ejected more safely by keeping the lid relatively more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by leaving a height and horizontal gap.
본 발명은 음식물에 고열을 지속적으로 가해 국물과 함께 증기가 올라오거나 누룽지와 같이 거품이 함께 올라오는 증기일 경우 일측하향봉을 일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에 끼움(안전하게 끼움)과 동시에 타측하향봉을 타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에 끼워(안전하게 끼워) 용기로부터 이단높이수평틈새를 두고 뚜껑을 상대적으로 더욱 더 이격시켜 증기를 보다 더 안전하게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eam rises with the broth by continuously applying high heat to food or when the steam rises with bubbles such as nurungji, one side of the downward rod is inserted into the one side light-two height vertical groove (safely inserted) and the other downward rod at the same time Insert the other side light into the double-height vertical groove (insert it safely), leaving a double-height horizontal gap from the container, and spaced the lid relatively farther apart, so that the steam can be ejected more safely.
본 발명은 일측바 또는 타측바를 세움수직홀에 끼워 뚜껑을 일측손잡이 또는 타측손잡이 위로 세울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을 익히거나 끓일 때 뜨거워진 뚜껑을 조리 완료 후 간단히 정돈케 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음식물을 보다 신속하게 식힐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로부터 음식물을 떠내는 동작 역시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one side bar or the other side bar to be inserted into the vertical hole so that the lid can be raised over the one handle or the other handle, so that the lid heated when cooking or boiling food can be easily arranged after cooking is completed, and furthermore, the food is prepared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it to cool more quickly and at the same time allowing the operation of scooping out food from the container conveniently.
본 발명은 일측바 또는 타측바의 폭을 작게 하더라도 일측바 또는 타측바의 길이에 의해 세움수직홀에 충분히 끼워져 뚜껑을 안전하게 세울 수 있어 상품성 및 생선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width of one side bar or the other side bar is small, the lid can be safely installed by being sufficiently fitted into the vertical hole by the length of the one side bar or the other side bar.
본 발명은 시밍테두리로 하여금 용기의 테두리에 직접 맞닿으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의 중심을 향하여 뚜껑을 보다 견고하게 기울어진 채로 세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seaming rim to be supported while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rim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lid can be more firmly tilted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로부터 일단높이경사틈새, 이단높이경사틈새, 일단높이수평틈새 및 이단높이수평틈새를 두고 뚜껑이 이격될 때 커버플레이트로서 증기를 커버링하여 사용자가 일측손잡이 및 타측손잡이를 파지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steam as a cover plate when the lid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with one end height sloping gap, two tier height slanted gap, one end height horizontal gap and two stage height horizontal gap. It has the effect of freeing you from the risk of burns.
본 발명은 일측손잡이 또는 타측손잡이에 뚜껑이 세워질 때 뚜껑 내부를 타고 떨어지는 응결수를 모두 용기 속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여 조리시의 주변 청결을 더 더욱 보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urther ensuring the surrounding cleanliness during cooking by guiding all the condensed water falling on the inside of the lid to fall into the container when the lid is erected on one handle or the other handle.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b 및 도 1c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를 나타내는 사용 단면도.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냄비 뚜껑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냄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냄비 뚜껑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냄비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c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냄비 뚜껑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냄비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에 뚜껑이 밀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로부터 뚜껑이 일단높이경사틈새를 두고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로부터 뚜껑이 이단높이수평틈새를 두고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에 뚜껑이 밀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로부터 뚜껑이 일단높이수평틈새를 두고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로부터 뚜껑이 이단높이수평틈새를 두고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로부터 뚜껑을 세운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t for preventing overflow according to the
1b and 1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pot for preventing overflow according to the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t for explaining the pot lid holder according to the
Figure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t for explaining the pot lid holder according to the
Figure 2c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pot for explaining the pot lid holder according to the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kitche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li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iner in the kitche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lid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at one end of the height inclined gap in the kitche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c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lid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with a two-stage height and horizontal gap in the kitche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kitche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li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iner in the kitchen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at one end with a height and horizontal gap in the kitchen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c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with a two-stage height and horizontal gap in the kitchen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erected from the container in the kitche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kitche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a plurality of examples thereof may exist, so that the object,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etter understood through these embodiments do.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30)에 뚜껑(40)이 밀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30)로부터 뚜껑(40)이 일단높이경사틈새(G1)를 두고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30)로부터 뚜껑(40)이 이단높이수평틈새(S2)를 두고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kitche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는 도 3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30)와, 이 용기(30)에 씌워지는 뚜껑(40)을 포함한다.The kitche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용기(30)에 수용된 음식물은 열에 의해 끓는 과정 또는 익는 과정에서 증기를 발생하는데, 이러한 증기는 뚜껑(40)에 의해 밀폐된 용기(30)로부터 분출되지 않을 경우 국물을 넘치게 하는 문제를 일으킨다.The food accommodated in the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는 음식물이 읽거나 끓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용기(30)와 뚜껑(40) 상호간의 보다 안전한 이격 구조로서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0)의 일측에 고정되어 뚜껑(4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할 때 일측센터-기준높이수직홈(51a) 및 일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51b)을 지닌 일측손잡이(51)와, 뚜껑(40)으로부터 일측손잡이(51)를 향하여 외향 및 하향 돌출되어 일측센터-기준높이수직홈(51a)에 끼워질 경우 용기(30)에 뚜껑(40)을 밀착시키는 반면 일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51b)에 끼워질 경우 용기(30)로부터 일단높이경사틈새(G1)를 두고 뚜껑(40)을 이격시키는 일측하향봉(61a)을 지닌 일측바(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itche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steam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ading or boiling food can be ejected as a safer spaced apart structure between the
먼저, 용기(30)에 음식물을 담고 초기 열을 가할 때 발생하는 미세한 증기는 뚜껑(40)에 마련된 증기홀(40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일측바(61)의 일측하향봉(61a)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손잡이(51)의 일측센터-기준높이수직홈(51a)에 끼워져 뚜껑(40)이 용기(30)에 안전하게 세팅될 수 있도록 한다.First, the fine vapor generated when food is put in the
이어서, 음식물에 열이 지속적으로 가해져 증기량이 많아질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바(61)의 일측하향봉(61a)을 일측손잡이(51)의 일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51b)에 끼워(안전하게 끼워) 용기(30)로부터 뚜껑(40)이 일단높이경사틈새(G1)를 두고 이격되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게 증기를 일단높이경사틈새(G1)를 통해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n, when heat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food and the amount of steam increases, as shown in FIG. 4B , one side
나아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손잡이(51)는 뚜껑(4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할 때 일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51c)을 지니고, 일측바(61)의 일측하향봉(61a)이 일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51c)에 끼워질 경우 용기(30)로부터 이단높이경사틈새(G2)를 두고 뚜껑(40)을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한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4c, one side handle 51 has one side light-two-stage height
음식물에 고열을 지속적으로 가해 국물과 함께 증기가 올라오거나 누룽지와 같이 거품이 함께 올라오는 증기일 경우 일측바(61)의 일측하향봉(61a)을 일측손잡이(51)의 일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51c)에 끼워(안전하게 끼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0)로부터 뚜껑(40)이 이단높이경사틈새(G2)를 두고 이격되도록 하여 보다 더 안전하게 증기를 이단높이경사틈새(G2)를 통해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If the steam rises with the broth by continuously applying high heat to the food or the steam rises together with the foam, such as nurungji, the one-sid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30)에 뚜껑(40)이 밀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30)로부터 뚜껑(40)이 일단높이수평틈새(S1)를 두고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30)로부터 뚜껑(40)이 이단높이수평틈새(S2)를 두고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kitche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는 도 5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0)의 타측에 고정되어 뚜껑(4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할 때 타측센터-기준높이수직홈(52a), 타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52b) 및 타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52c)을 지닌 타측손잡이(52)와, 뚜껑(40)으로부터 타측손잡이(52)를 향하여 외향 및 하향 돌출되어 타측센터-기준높이수직홈(52a), 타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52b) 및 타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52c)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타측하향봉(62a)을 지닌 타측바(62)를 더 포함한다.The kitche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용기(30)에 음식물을 담고 초기 열을 가할 때 발생하는 미세한 증기는 뚜껑(40)에 마련된 증기홀(40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일측하향봉(61a)이 일측센터-기준높이수직홈(51a)에 끼워짐(안전하게 끼워짐)과 동시에 타측하향봉(62a)이 타측센터-기준높이수직홈(52a)에 끼워져(안전하게 끼워져)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0)에 뚜껑(40)을 안전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fine vapor generated when food is put in the
이어서, 음식물에 열이 지속적으로 가해져 증기량이 많아질 경우 일측하향봉(61a)을 일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51b)에 끼움(안전하게 끼움)과 동시에 타측하향봉(62a)을 타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52b)에 끼워(안전하게 끼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0)로부터 일단높이수평틈새(S1)를 두고 뚜껑(40)을 상대적으로 더 이격시켜 증기를 보다 안전하게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n, when the amount of steam increases as heat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food, one side down
나아가, 음식물에 고열을 지속적으로 가해 국물과 함께 증기가 올라오거나 누룽지와 같이 거품이 함께 올라오는 증기일 경우 일측하향봉(61a)을 일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51c)에 끼움(안전하게 끼움)과 동시에 타측하향봉(62a)을 타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52c)에 끼워(안전하게 끼워)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0)로부터 이단높이수평틈새(S2)를 두고 뚜껑(40)을 상대적으로 더욱 더 이격시켜 증기를 보다 더 안전하게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Furthermore, if the steam rises with the broth by continuously applying high heat to the food or the steam rises together with the bubbles such as nurungji, the one-side downward rod (61a) is inserted into the one-side light-two-level height vertical groove (51c) (safely fitted) At the same time, the other side downward bar (62a) is inserted (safely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light-two-stage height vertical groove (52c), as shown in FIG. is relatively more spaced apart so that the steam can be ejected more safely.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에서 용기(30)로부터 뚜껑(40)을 세운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손잡이(51) 또는 타측손잡이(52)에 용기(30)의 테두리에 인접하는 세움수직홀(H)을 구비시키고, 일측바(61) 또는 타측바(62)는 세움수직홀(H)에 끼워지면서 뚜껑(40)을 일측손잡이(51) 또는 타측손잡이(52) 위로 세울 수 있도록 한다.The kitche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vertical hole (H) adjacent to the edge of the
일측바(61) 또는 타측바(62)를 세움수직홀(H)에 끼워 뚜껑(40)을 일측손잡이(51) 또는 타측손잡이(52) 위로 세울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을 익히거나 끓일 때 뜨거워진 뚜껑(40)을 조리 완료 후 간단히 정돈케 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음식물을 보다 신속하게 식힐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30)로부터 음식물을 떠내는 동작 역시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바람직하게 된다.One
일측바(61) 또는 타측바(62)의 폭을 작게 하더라도 일측바(61) 또는 타측바(62)의 길이에 의해 세움수직홀(H)에 충분히 끼워져 뚜껑(40)을 안전하게 세울 수 있어 상품성 및 생선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작용을 발휘하게 된다.Even if the width of one
나아가, 뚜껑(40)은 그 테두리를 따라 씌워져 일측바(61) 또는 타측바(62)가 세움수직홀(H)에 끼워질 때 용기(30)의 테두리에 직접 맞닿으면서 지지되어 뚜껑(40)으로 하여금 용기(30)의 중심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시밍테두리(41)를 더 포함한다.Further, the
시밍테두리(41)로 하여금 용기(30)의 테두리에 직접 맞닿으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30)의 중심을 향하여 뚜껑(40)을 보다 견고하게 기울어진 채로 세울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By allowing the seaming
이때, 시밍테두리(41)는 일측바(61) 및 타측바(62)가 외향 돌출된 뚜껑(40)으로부터 용기(30)의 테두리 안쪽으로 하향 연장되어 일측손잡이(51) 및 타측손잡이(52)를 향한 증기를 커버링하는 커버플레이트(42)를 더 구비하여, 용기(30)로부터 일단높이경사틈새(G1), 이단높이경사틈새(G2), 일단높이수평틈새(S1) 및 이단높이수평틈새(S2)를 두고 뚜껑(40)이 이격될 때 커버플레이트(42)로서 증기를 커버링하여 사용자가 일측손잡이(51) 및 타측손잡이(52)를 파지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롭게 할 수 있고, 나아가 일측손잡이(51) 또는 타측손잡이(52)에 뚜껑(40)이 세워질 때 뚜껑(40) 내부를 타고 떨어지는 응결수를 모두 커버플레이트(42)를 따라 용기(30) 속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여 조리시의 주변 청결을 더 더욱 보장케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eaming
이어서, 일측바(61) 및 타측바(62)는 뚜껑(40) 위로 가로지르면서 서로 일체화되어 뚜껑손잡이(60)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감 있게 뚜껑(40)의 사용을 가능케 한다.Then, one
본 발명은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냄비, 프라이팬, 찜기 또는 솥 등과 같은 산업분야에 이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industrial fields such as pots, frying pans, steamers or pots for cooking food.
30 : 용기 40 : 뚜껑
40a : 증기홀 41 : 시밍테두리
42 : 커버플레이트 51 : 일측손잡이
51a : 일측센터-기준높이수직홈 51b : 일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
51c : 일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 52 : 타측손잡이
52a : 타측센터-기준높이수직홈 52b : 타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
52c : 타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 60 : 뚜껑손잡이
61 : 일측바 61a : 일측하향봉
62 : 타측바 62a : 타측하향봉
G1 : 일단높이경사틈새 G2 : 이단높이경사틈새
S1 : 일단높이수평틈새 S2 : 이단높이수평틈새
H : 세움수직홀30: container 40: lid
40a: steam hole 41: seaming border
42: cover plate 51: one side handle
51a: one side center-standard height
51c: one side light-double height vertical groove 52: the other side handle
52a: the other side center-standard height
52c: other side light - two-stage height vertical groove 60: lid handle
61: one
62: the
G1: One-stage height sloping gap G2: Two-stage height sloping gap
S1: One-stage height horizontal gap S2: Two-stage height horizontal gap
H : Sewoom Vertical Hall
Claims (7)
상기 용기(3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뚜껑(4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할 때 일측센터-기준높이수직홈(51a) 및 일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51b)을 지닌 일측손잡이(51)와,
상기 뚜껑(40)으로부터 상기 일측손잡이(51)를 향하여 외향 및 하향 돌출되어 상기 일측센터-기준높이수직홈(51a)에 끼워질 경우 상기 용기(30)에 상기 뚜껑(40)을 밀착시키는 반면 상기 일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51b)에 끼워질 경우 상기 용기(30)로부터 일단높이경사틈새(G1)를 두고 상기 뚜껑(40)을 이격시키는 일측하향봉(61a)을 지닌 일측바(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In a kitchen container including a container 30 for accommodating food, and a lid 40 covered on the container 30,
When fixed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30 and based on the center of the lid 40, one side center-standard height vertical groove 51a and one side left-one side handle 51 having a one-end height vertical groove 51b. Wow,
When the lid 40 protrudes outwardly and downwardly from the lid 40 toward the one side handle 51 and is fitted into the one side center-standard height vertical groove 51a, the lid 4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tainer 30 while the When fitted in the one-side left-one-end height vertical groove 51b, one side bar 61 having a one-side downward bar 61a that separates the lid 40 from the container 30 with an inclined gap G1 in height. A kitchen container comprising a.
상기 일측손잡이(51)는 상기 뚜껑(4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할 때 일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51c)을 지니고,
상기 일측바(61)의 일측하향봉(61a)이 상기 일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51c)에 끼워질 경우 상기 용기(30)로부터 이단높이경사틈새(G2)를 두고 상기 뚜껑(40)을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According to claim 1,
The one-side handle 51 has a one-side light-two-stage height vertical groove 51c based on the center of the lid 40,
When the one-side downward bar 61a of the one-side bar 61 is fitted into the one-side light-two-stage height vertical groove 51c, the lid 40 is removed with a two-stage height inclined gap G2 from the container 30. Kitchen containers,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상기 용기(30)의 타측에 고정되어 상기 뚜껑(4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할 때 타측센터-기준높이수직홈(52a), 타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52b) 및 타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52c)을 지닌 타측손잡이(52)와, 상기 뚜껑(40)으로부터 상기 타측손잡이(52)를 향하여 외향 및 하향 돌출되어 상기 타측센터-기준높이수직홈(52a), 타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52b) 및 타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52c)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타측하향봉(62a)을 지닌 타측바(6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측하향봉(61a)이 상기 일측센터-기준높이수직홈(51a)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타측하향봉(62a)이 상기 타측센터-기준높이수직홈(52a)에 끼워질 경우 상기 용기(30)에 상기 뚜껑(40)을 밀착시키고,
상기 일측하향봉(61a)이 상기 일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51b)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타측하향봉(62a)이 상기 타측레프트-일단높이수직홈(52b)에 끼워질 경우 상기 용기(30)로부터 일단높이수평틈새(S1)를 두고 상기 뚜껑(40)을 이격시키고,
상기 일측하향봉(61a)이 상기 일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51c)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타측하향봉(62a)이 상기 타측라이트-이단높이수직홈(52c)에 끼워질 경우 상기 용기(30)로부터 이단높이수평틈새(S2)를 두고 상기 뚜껑(40)을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3. The method of claim 2,
When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30 and based on the center of the lid 40, the other side center-standard height vertical groove 52a, the other side left-one end height vertical groove 52b and the other side light-double height vertical groove The other side handle 52 having a groove 52c, and the other side center-standard height vertical groove 52a, the other left side protruding outwardly and downwardly from the lid 40 toward the other side handle 52, the other side left-one end height vertical It further includes the other side bar 62 having the other downward bar 62a fitted into any one of the groove 52b and the other side light-two-stage height vertical groove 52c,
The container ( 30) in close contact with the lid 40,
The container ( 30) from one end of the height horizontal gap (S1) and spaced apart the lid (40),
The container ( 30), a kitchen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id (40) is spaced apart from the two-stage horizontal gap (S2).
상기 일측손잡이(51) 또는 타측손잡이(52)는 상기 용기(30)의 테두리에 인접하여 세움수직홀(H)을 구비하고,
상기 일측바(61) 또는 타측바(62)는 상기 세움수직홀(H)에 끼워지면서 상기 뚜껑(40)을 상기 일측손잡이(51) 또는 타측손잡이(52) 위로 세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4. The method of claim 3,
The one side handle 51 or the other side handle 52 is provided with an erection vertical hole (H) adjacent to the edge of the container (30),
The one side bar 61 or the other side bar 62 is fitted into the vertical hole (H) to allow the lid 40 to stand up on the one side handle 51 or the other side handle 52, characterized in that kitchen utensils.
상기 뚜껑(40)은 그 테두리를 따라 씌워져 상기 일측바(61) 또는 타측바(62)가 상기 세움수직홀(H)에 끼워질 때 상기 용기(30)의 테두리에 맞닿으면서 지지되어 상기 뚜껑(40)으로 하여금 상기 용기(30)의 중심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시밍테두리(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5. The method of claim 4,
The lid 40 is covered along its rim so that when the one side bar 61 or the other side bar 62 is fitted into the vertical hole H, it is suppor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rim of the container 30 and the lid Kitchen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seaming border (41) for allowing (40) to stand in an inclined state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iner (30).
상기 시밍테두리(41)는 상기 일측바(61) 및 타측바(62)가 외향 돌출된 상기 뚜껑(40)으로부터 상기 용기(30)의 테두리 안쪽으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일측손잡이(51) 및 타측손잡이(52)를 향한 증기를 커버링하는 커버플레이트(4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aming rim 41 extends downward from the lid 40 from which the one side bar 61 and the other side bar 62 protrude outwardly into the rim of the container 30 to the one side handle 51 and the other side handle. Kitchen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ver plate (42) for covering the steam directed toward (52).
상기 일측바(61) 및 타측바(62)는 상기 뚜껑(40) 위로 가로지르면서 서로 일체화되어 뚜껑손잡이(6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The one side bar (61) and the other side bar (62)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while crossing over the lid (40) to form a lid handle (6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9206A KR20210104445A (en) | 2020-02-17 | 2020-02-17 | Kitchen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9206A KR20210104445A (en) | 2020-02-17 | 2020-02-17 | Kitchen contai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4445A true KR20210104445A (en) | 2021-08-25 |
Family
ID=7749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9206A KR20210104445A (en) | 2020-02-17 | 2020-02-17 | Kitchen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04445A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4420A (en) | 1998-05-06 | 1999-12-06 | 송윤식 | Overflow Prevention Pot |
KR100350556B1 (en) | 2000-01-25 | 2002-08-2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Adapter device for separating synch signal from sync-on-green video signal and color display system employing the adapter device |
-
2020
- 2020-02-17 KR KR1020200019206A patent/KR20210104445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4420A (en) | 1998-05-06 | 1999-12-06 | 송윤식 | Overflow Prevention Pot |
KR100350556B1 (en) | 2000-01-25 | 2002-08-2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Adapter device for separating synch signal from sync-on-green video signal and color display system employing the adapter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305645A1 (en) | Device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nd preparing foods | |
US4291616A (en) | Roaster tray | |
US6603099B2 (en) | Multifunction electrical cooking appliance | |
US20200029736A1 (en) | Method of Cooking Utilizing a Splatter Shield | |
TWM488276U (en) | Multifunctional pot | |
KR20060089653A (en) | Cooking pot | |
JP3184147U (en) | Cooking pan with lid underlay means | |
US20050229917A1 (en) | Gas grill | |
US20180049590A1 (en) | Device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nd preparing foods | |
KR20180025905A (en) | Cooking appliance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 |
KR101241688B1 (en) | Has the prevention function overflowing lid logic courage | |
KR20210104445A (en) | Kitchen container | |
KR102240619B1 (en) | Kitchen container | |
KR20120073614A (en) | Tray for steam cooker and cooker provided with the tray | |
US20080217317A1 (en) | Cooking apparatus | |
KR20120057475A (en) | Has the prevention function overflowing lid logic courage | |
KR101533070B1 (en) | a stone lid | |
JP3046000U (en) | pot | |
JP2020199211A (en) | Rice cooking auxiliary container and rice cooking method | |
KR101214815B1 (en) | A frying pan | |
KR101403647B1 (en) | A cooking vessel | |
KR101166531B1 (en) | A cooking instrument | |
JPH0637799Y2 (en) | Deep fryer | |
KR20190002730U (en) | Electricity roaster | |
KR102488695B1 (en) | Cooking Container Lid Stan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