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952A -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952A
KR20210103952A KR1020210015827A KR20210015827A KR20210103952A KR 20210103952 A KR20210103952 A KR 20210103952A KR 1020210015827 A KR1020210015827 A KR 1020210015827A KR 20210015827 A KR20210015827 A KR 20210015827A KR 20210103952 A KR20210103952 A KR 20210103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transmission mode
rxdev
data
txde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디아 브라미
호이닝엔-휘네 요하네스 폰
칼리드 셔키 핫산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03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9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5Adaptation of specific ARQ protocol parameters according to transmission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04L1/000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applied to payloa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7Scheduling of signalling, e.g. occurrenc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06Go-back-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8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cknowledgement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송신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해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102); 수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긍정 확인응답이 수신된 마지막 수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104) - 긍정 확인응답은 수신 무선 디바이스 측에서의 송신된 제1 데이터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냄 -; 및 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해, 제2 송신 모드에 따라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106) - 제2 송신 모드는 결정된 마지막 수신 시간 이후의 제1 송신 모드 기간의 만료 시에 활성화됨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RADIO DEVICE, METHOD TO OPERATE A RADIO DEVIC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의 무선 디바이스들, 및 무선 디바이스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최신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송신 에러들의 경우에(예를 들어, 채널 에러들 또는 패킷 손실의 경우에) 성공적인 메시지 수신을 보장하기 위해 순방향 에러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FEC) 및 자동 반복 요청(automated repeat request)(ARQ) 및/또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ed repeat request)(HARQ)이 사용된다. FEC를 사용하면, 데이터 페이로드에 중복성이 추가되고, 이는 특정 수의 비트 에러까지 수신기 측에서 메시지를 정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최근에, 5G 사양에서 생존 시간이라는 용어가 고려되도록 제안되었는데, 즉 시간이 중요한 산업용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안전이 중요한 차량용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의 특수한 요건들을 고려한다.
본 명세서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 특히 셀룰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송신 무선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여기서 상기 송신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와 상호작용하여, 송신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적어도: 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해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고; 수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긍정 확인응답이 수신된 마지막 수신 시간을 결정하게 하고 - 긍정 확인응답은 수신 무선 디바이스 측에서의 송신된 제1 데이터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냄 -; 그리고 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해 제2 송신 모드에 따라 제2 데이터를 송신하게 - 제2 송신 모드는 결정된 마지막 수신 시간 이후의 제1 송신 모드 기간의 만료 시에 활성화됨 - 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서비스 신뢰성 및 통신 서비스 가용성은 패킷 에러율을 보완한다. PER은 개별 패킷 손실들의 중요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많은 산업용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수 개의 연속 패킷 손실의 중요도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단일 패킷의 손실은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의 경험 품질을 약간만 감소시킬 수 있는 한편, 수 개의 연속적인 패킷의 손실은 잠재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비상 정지를 초래하는 통신 서비스 이용불능으로서 고려된다. 제1 송신 모드와 제2 송신 모드에서 시간을 나누는 것에 의해, 한편으로는 제1 송신 모드가 자원을 덜 요구함에 따라 무선 도메인이 이익을 얻는다. 다른 한편으로, 제2 송신 모드가 송신 성공 확률을 높이고 생존 시간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이 이익을 얻을 것이다.
애플리케이션은 주기적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며, 이는 시간-중요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특정 사이클 시간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애플리케이션의 요건은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생존 시간 내에 수신기(또는 모든 수신기)에게 성공적으로 전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산업용 통신 시스템 또는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군집운행(platooning))에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이 발생한다. 생존 시간이 곧 초과될 예정일 때(이는 회피되어야 함) 성공적인 단-대-단 송신의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추가 송신 자원들이 사용되며, 이는 제2 송신 모드가 생존 시간 만료에 가까워질수록 공격적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도로 신뢰가능한 데이터 송신이 달성된다. 생존 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제2 송신 모드에 따른 적절한 조치들이 개시된다. 이 접근방식을 사용하면, 시간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의 까다로운 요건들이 해결되고 송신 자원 사용이 최적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용불능으로 되기 전에 통신 서비스는 증가된 경험 품질을 가질 것이다.
본 명세서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 특히 셀룰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송신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방법은 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해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수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긍정 확인응답이 수신된 마지막 수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 긍정 확인응답은 수신 무선 디바이스 측에서의 송신된 제1 데이터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냄 -; 및 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해 제2 송신 모드에 따라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 제2 송신 모드는 결정된 마지막 수신 시간 이후의 제1 송신 모드 기간의 만료 시에 활성화됨 - 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 특히 셀룰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수신 무선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여기서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와 상호작용하여, 수신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적어도: 송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고; 제1 데이터가 송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성공적으로 수신된 마지막 수신 시간을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결정된 마지막 수신 시간 이후 제1 송신 모드 기간의 만료 시에, 송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해 제2 송신 모드 표시자를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고도로 신뢰가능한 데이터 송신이 달성된다. 생존 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제2 송신 모드에 따른 적절한 조치들이 개시된다. 이 접근방식을 사용하면, 시간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의 까다로운 요건들이 해결되고 송신 자원 사용이 최적화되고 있다.
유리한 예에 따르면, 수신 무선 디바이스는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제2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때, 송신 디바이스를 향해 제1 송신 모드 표시자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 수신 디바이스는 성공적인 데이터 수신 시에 제1 송신 모드에 들어가도록 송신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본 명세서의 제4 양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특히 셀룰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방법은 송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1 데이터가 송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성공적으로 수신된 마지막 수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마지막 수신 시간 이후 제1 송신 모드 기간의 만료 시에, 송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해 제2 송신 모드 표시자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 특히 셀룰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송신 무선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여기서 상기 송신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와 상호작용하여, 송신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적어도: 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해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고; 수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송신 모드 표시자를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해 제2 송신 모드에 따라 제2 데이터를 송신하게 - 제2 송신 모드는 제2 송신 모드 표시자의 수신 시에 활성화됨 - 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한 예에 따르면, 송신 무선 디바이스는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 디바이스에 의한 제2 데이터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내는 제1 송신 모드 표시자를 수신하고; 그리고 제1 송신 모드 표시자의 수신 시에 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해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의 제6 양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특히 셀룰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송신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 여기서 방법은 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해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수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송신 모드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해 제2 송신 모드에 따라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 제2 송신 모드는 제2 송신 모드 표시자의 수신 시에 활성화됨 - 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제7 양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특히 셀룰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와 상호작용하여,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적어도: 송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고; 수신 무선 디바이스에 제1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고; 수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긍정 확인응답이 수신된 마지막 수신 시간을 결정하게 하고 - 긍정 확인응답은 수신 무선 디바이스 측에서의 송신된 제1 데이터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냄 -; 그리고 결정된 마지막 수신 시간 이후 제1 송신 모드 기간의 만료 시에 송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해 제2 송신 모드 표시자를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고도로 신뢰가능한 데이터 송신이 달성된다. 생존 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제2 송신 모드에 따른 적절한 조치들이 개시된다. 이 접근방식을 사용하면, 시간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의 까다로운 요건들이 해결되고 송신 자원 사용이 최적화되고 있다.
본 명세서의 제8 양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 여기서 방법은 송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 무선 디바이스에 제1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수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긍정 확인응답이 수신된 마지막 수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 긍정 확인응답은 수신 무선 디바이스 측에서의 송신된 제1 데이터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냄 -; 및 결정된 마지막 수신 시간 이후 제1 송신 모드 기간의 만료 시에 송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해 제2 송신 모드 표시자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한 예는 제1 송신 모드 기간이 애플리케이션 유닛의 생존 기간과 애플리케이션 유닛의 사이클 시간의 합, 특히 생존 기간과 사이클 시간의 합의 절반보다 작은 것을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애플리케이션 유닛은 증가된 데이터 전달 성공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제안된 방식은 애플리케이션 유닛이 생존 기간에 도달할 때 종료되거나 안전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리한 예는 제1 송신 모드 기간이 애플리케이션 유닛의 사이클 기간보다 큰 것을 제공하고, 여기서 사이클 기간은 애플리케이션 유닛에 의한 주기적 데이터 제공 및 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한 주기적 데이터 송신을 나타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택된 제1 송신 모드 기간은 한편으로는 통신 서비스 가용성을 증가시킬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제1 송신 모드는 동일한 메시지의 불필요한 복제로 무선 도메인을 불필요하게 "플러드(flood)"시키지 않거나, 무선 자원들을 즉시 점유할 것이다.
유리한 예는 제2 송신 모드가 제1 송신 모드와 비교하여, 수신 무선 디바이스에서 또는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제2 데이터에 대한 증가된 재송신 횟수; 제2 데이터에 대한 증가된 블라인드 재송신 횟수; 제2 데이터에 대한 상이한 변조 및 코딩 방식; 및 제2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무선 자원들의 증가된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유리하게, 이러한 조치들은 생존 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송신의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한다.
유리한 예는 제2 송신 모드 표시자가 제2 송신 모드에 대한 추가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스케줄링 유닛을 향해 송신되는 것을 제공한다.
따라서, 스케줄링 유닛은 제2 데이터의 송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2 모드에서 이용가능한 적절한 자원들을 스케줄링할 것이다.
유리한 예는 송신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유닛은 제어 유닛의 이그레스 큐(egress queue)의 한쪽 끝에 제1 및 제2 데이터를 추가하고, 송신 디바이스의 제어 유닛은 수신 디바이스를 향해 제1 및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큐의 다른쪽 끝으로부터 제1 및 제2 데이터를 제거하는 것을 제공한다.
유리하게, 큐가 비어 있고 송신 디바이스가 제2 송신 모드에 들어가면, 이전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이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송신될 새로운 주기적 도착 데이터에 대해 큐가 모니터링된다. 이것은 제1 및 제2 모드 동안 송신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도 1, 도 3, 도 4 및 도 6은 각각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 도 5 및 도 7은 각각 개략적인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무선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특히 셀룰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송신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102)에 따르면, 송신 무선 디바이스는 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해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데이터를 송신한다. 단계(104)에 따르면, 송신 디바이스는 수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긍정 확인응답이 마지막으로 수신된 마지막 수신 시간을 결정하고, 여기서 긍정 확인응답은 수신 무선 디바이스 측에서의 송신된 제1 데이터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낸다. 단계(106)에 따르면, 송신 무선 디바이스는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를 향해 제2 송신 모드에 따라 제2 데이터를 송신하고, 여기서 제2 송신 모드는 결정된 마지막 수신 시간 이후의 제1 송신 모드 기간의 만료 시에 활성화된다.
도 2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RCN)의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를 동작시키기 위한 개략적인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송신 디바이스(TxDev), 특히 물리 계층 블록(PHY1)은 단계(102)에 따라,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를 향해 제1 송신 모드(m1)에 따라 제1 데이터(p1, p2)를 송신한다.
단계(202)에 따라, 수신 디바이스(RxDev)로부터 긍정 확인응답(ACK(p1))이 수신된다. 단계(104)에 따라, TxDev는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로부터 긍정 확인응답(ACK(p1))이 수신된 마지막 수신 시간(t1)을 결정한다. 긍정 확인응답(ACK(p1))은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의 제어기 유닛(C2)에 의해, 송신된 제1 데이터(p1)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낸다.
제2 송신 모드(m2)는 시점(t2)에서 활성화된다. 시점(t2)는 시점(t1) 이후 제1 송신 모드 기간(m1t)이 경과했음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단계들(106a, 106b)에 따라,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는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를 향해 제2 송신 모드(m2)에 따라 제2 데이터(p3)를 송신하고, 여기서 제2 송신 모드(m2)는 결정된 마지막 수신 시간(t1) 이후의 제1 송신 모드 기간(m1t)의 만료 시에 활성화된다.
단계(204)에 따라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로부터 제2 송신 모드(m2)에서 송신된 데이터(p3)에 대한 긍정 확인응답(ACK(p3))을 수신하면,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는 단계(206)에 따라 제1 송신 모드(m1)에 들어간다.
ARQ(자동 반복 요청)은 이하를 포함한다: 사이클 K의 최초의 성공적인 송신 후, 즉 사이클 K+1에서의 송신 실패의 경우에서, 상기 사이클 K+1에서 반복이 없을 수 있거나 제한된 수의 반복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사이클 K+1에서, 예를 들어, 생존 기간과 사이클 기간의 합이 제1 송신 모드 시간의 두 배로 정의되는 경우, 생존 시간을 초과할 위험은 없다. 그러나, 사이클 K+2에서의 송신도 실패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생존 시간이 초과되고 애플리케이션이 실패할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p3)의 성공적인 송신을 보장하기 위해, 이 사이클 K+2에서 제2 송신 모드(m2)에 따라 자동 반복들이 활성화된다.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에서, 제1 송신 모드(m1), 제2 송신 모드(m2) 및 생존 시간에 관련된 카운터 값, 예를 들어 타이머 유닛(TU)이 꾸준히 증분되고, 이는 마지막의 성공적인 송신 이후의 시간을 나타내고, PDU 메시지의 성공적인 수신에 대해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리셋된다. NACK가 수신되거나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가 메시지를 전혀 수신하지 않는 경우(이는 ACK 메시지의 손실도 포함), 카운터 값은 리셋되지 않고 계속 증분된다. 송신 디바이스(TxDev)는 타이머 유닛(TU)의 현재 값에 대응하여 자신의 동작을 변경한다. 제1 송신 모드 임계값(m1t)에 도달되면, 제2 송신 모드(m2)가 활성화되어 송신의 신뢰성을 높이고 생존 시간 내에 성공적인 패킷 송신을 보장한다.
일례에 따르면, m1t 및 st와 같은 타이머 유닛(TU)의 파라미터들은 전용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상위 계층들(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의해 구성된다. 타이머 유닛(TU)은 예를 들어, 다이버시티 증가, 패킷 복제 등과 같은 하위 계층 적응형의 신뢰가능한 메커니즘을 트리거하는 상위 계층들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타이머 유닛(TU)이 전달되고 나면, 이러한 고도의 신뢰가능한 메커니즘들의 각각의 프로세스가 상기 카운터로 트리거되어야 한다. 전자의 경우, 타이머 유닛(TU)의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기 위해 RRC 구성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TxDev는 그것의 버퍼 또는 이그레스 큐에서 패킷을 수신하고, 시간 오프셋(T_offset)에서 송신할 준비가 되어 있다. 그러므로, TxDev는 타이머를 T = T_offset으로 리셋한다. TxDev가 데이터를 보낸 후, 그것은 타이머 유닛(TU)의 카운터를 계속하여 증분하기 시작한다. TxDev가 처음 송신된 데이터에 연관된 ACK를 수신하는 경우, TxDev는 타이머(T)를 다시 T = T_offset으로 리셋한다. 제1 데이터가 RxDev에서 디코딩되지 못하는 경우, RxDev는 TxDev에 대해 부정 확인응답(NACK)을 다시 생성한다. TxDev가 (예를 들어, 사이클 2에서) 이전에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연관된 NACK를 수신하거나 주어진 지속시간(타이머) 내에 ACK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TxDev는 이하를 수행한다: TxDev는 제2 송신 모드(m2)(다음 패킷 복제, HARQ 재송신 등을 위한 증가에 관련됨)의 형태로 그것의 신뢰가능한 메커니즘을 트리거한다. TxDev는 TU 타이머가 추가로 증가하도록 내버려둔다.
TxDev는 위와 같이 제2 송신 모드에 따라 신뢰가능한 메트릭으로 제3 사이클에서 추가 데이터를 보낸다. 데이터(p3)가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고 NACK가 RxDev에 의해 생성되어 TxDev에 의해 수신되거나, p3가 올바르게 수신되었고 ACK가 송신되었지만 이 ACK가 피드백 채널 에러, HARQ 프리코딩 모호성 등으로 인해 TxDev에 의해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생존 기간(st)에 도달된다. 이 경우, 시스템 오류가 표시되거나, TxDev의 애플리케이션(APP1)에 의해 다른 복원 메커니즘이 개시된다.
도 3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RCN)의 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개략적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302)에 따르면, 수신 무선 디바이스는 송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304)에 따르면, 수신 무선 디바이스는 제1 데이터가 송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성공적으로 수신된 마지막 수신 시간을 결정한다. 단계(306)에 따르면, 수신 무선 디바이스는 결정된 마지막 수신 시간 이후 제1 송신 모드 기간의 만료 시에, 송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해 제2 송신 모드 표시자를 송신한다.
도 4는 도 3의 수신 무선 디바이스와 쌍을 이루는, 송신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개략적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402)에 따르면, 송신 무선 디바이스는 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해 제1 송신 모드에 따라 제1 데이터를 송신한다. 단계(404)에 따르면, 송신 디바이스는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로부터 제2 송신 모드 표시자를 수신한다. 단계(406)에 따르면, 송신 무선 디바이스는 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해 제2 송신 모드에 따라 제2 데이터를 송신하고, 여기서 제2 송신 모드는 제2 송신 모드 표시자의 수신 시에 활성화된다.
도 5는 개략적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단계(402)에 따라,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는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를 향해 제1 송신 모드(m1)에 따라 제1 데이터(p4, p5)를 송신한다.
도 3의 단계(304)에 따라,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는 제1 데이터(p4)가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로부터 성공적으로 수신된 마지막 수신 시간(t1)을 결정한다. 단계(306)에 따라,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는 결정된 최종 수신 시간(t1) 이후 제1 송신 모드 기간(m1t)의 만료 시에 제2 송신 모드 표시자(m2i)를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를 향해 송신한다.
단계(404)에 따라,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는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로부터 제2 송신 모드 표시자(m2i)를 수신하고 제2 송신 모드(m2)에 들어간다.
단계들(406a, 406b)에 따라,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는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를 향해 제2 송신 모드(m2)에 따라 제2 데이터(p6)를 송신하고, 여기서 제2 송신 모드(m2)는 제2 송신 모드 표시자(m2i)의 수신 시에 활성화된다. 단계(302)에 따라,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는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로부터 제1 데이터(p4)를 수신한다.
단계(502)에 따라,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는 송신 디바이스(TxDev)로부터 제2 데이터(p6)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송신 디바이스(TxDev)를 향해 제1 송신 모드 표시자(m1i)를 송신한다.
단계(502)에 따라,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는 수신 디바이스(RxDev)로부터 송신 디바이스(TxDev)에 의한 제2 데이터(p6)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내는 제1 송신 모드 표시자(m1i)를 수신한다. 제1 송신 모드 표시자(m1i)의 수신 시에,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는 제1 송신 모드에 들어간다.
단계(402)에서와 같이,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는 제1 송신 모드 표시자(m1i)의 수신 시,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를 향해 제1 송신 모드(m1)에 따라 제1 데이터(p1, p2)를 송신한다.
타이머 유닛(TU)은 수신기 측에서 구현되고, 제2 송신 모드(m2)의 형태로 증가된 신뢰성을 트리거한다. RxDev는 생존 시간이 초과될 때 에러들 및 실패에 더 취약한 디바이스이다. 산업용 통신 컨텍스트에 정의된 대로, APP1 및 APP2 형태의 애플리케이션의 업/다운 상태는 RxDev에서 올바르게 수신된 메시지들에 기초한다. 통신 서비스는 패킷/데이터가 손실되거나 RxDev에서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은 경우, 다운 위상(down phase)을 시작할 것이다. RxDev가 생존 시간보다 더 오래 다운 위상에 머무르는 경우, 상위 계층은 적절하게 작동하도록 통지받을 수 있다.
PDU 메시지/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타이머 유닛(TU)의 타이머 또는 카운터 값은 (제로 또는 다른 미리 정의된 값으로) 리셋된다. m1t 형태의 최대 값(예를 들어, 구성된 또는 미리 구성된 임계값)에 도달되는 경우, RxDev는 TxDev에게 그것의 제2 송신 모드를 적용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생존 시간의 만료 전의 성공적인 패킷 수신을 보장할 것을 통지한다. 다음의 성공적인 수신 후, RxDev는 그것의 로컬 카운터/타이머를 리셋하고, 단계(502)에서 새로운 상태를 TxDev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RxDev는 그 후에 RxDev가 실패를 선언할 하위 계층 타이머 유닛(TU) 또는 연속된 패킷 손실 수(M)를 설정한다. 타이머 유닛(TU)은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위 계층들에 의해 전달된다. 상위 계층들은 (상위 계층 타이머(T)의 만료 또는 생존 시간의 부분 만료 시) RxDev에게 이하의 절차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표시를 전달한다: 더 강건한 ACK/NACK 송신을 수행하기 시작하는 것; 실행 중인 생존 타이머들/카운터들에 관해 TxDev에 알리고 더 강건한 송신을 요청하는 것, 즉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것.
일례에 따르면, RxDev는 더 상세한 ACK/NACK 보고 또는 더 상세한 CSI 보고(타이머/카운터 정보 등을 포함함)를 통해 통신 서비스들의 다운 타임(down time)에 관해 TxDev에게 알린다. RxDev는 타이머/카운터 정보 등을 포함하는 상세한 스케줄링 할당/제어 채널을 기지국에, 및/또는 자원 스케줄링에 관련된 TxDev와 RxDev 간의 직접 통신의 경우 TxDev에 나타낸다. 생존 타이머에 관한 정보는 TxDev에 송신될 수 있다. 가능한 강건한 송신/재송신, 예를 들어, 감소된 MCS, 복제는 TxDev에 송신될 수 있다. 임의의 디바이스 내 송신 우선순위의 재우선순위화는 TxDev에 송신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TxDev는 토글링 필드(toggling field)를 이용하여 ACK/NACK 동안 타이머 유닛(TU)의 상태에 관해 알게 된다. TxDev에서 ACK/NACK를 추적하고, RxDev에서의 생존 시간 정보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TxDev에서 임의의 ACK/NACK 손실이 고려될 것을 보장하기 위해, RxDev는 RxDev가 ACK 또는 NACK 중 어느 하나를 보낼 때마다 비트가 토글되도록 ACK/NACK에 1 비트 필드를 삽입할 것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RxDev가 ACK(필드=0을 가짐)를 보내면, 다음 시간에는 NACK(필드=1을 가짐)를 보내고, 그에 후속하여 ACK(필드=0을 가짐), 그리고 후속하여 ACK(필드=1을 가짐)를 보낸다. 그러므로, TxDev가 제3 피드백(ACK)을 상실하는 경우, 그것은 또한 필드 토글을 1회 상실할 것이다. 그러나, TxDev가 다음의 ACK(제4 피드백)를 수신하는 경우, 그것은 필드가 토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것이다. 따라서, TxDev는 이 이벤트를 ACK/NACK의 손실로 해석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ACK/NACK 피드백에 1 비트 초과의 필드가 삽입된다. 예를 들어, 2 비트 필드가 사용될 수 있고, 1 비트(예를 들어, LSB)는 토글링을 나타내고 다른 비트(MSB)는 생존 타이머 내의 시간을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0은 타이머가 처음 1/2, 처음 1/4 등에 있음을 나타내고, 1은 타이머가 생존 기간 및 사이클 시간의 마지막 1/2, 1/4에 있음을 나타낸다.
일례에 따르면, 타이머 값 또는 양자화된 값을 나타내는 2 비트 이상의 필드가 ACK/NACK 피드백에 삽입되고, 예를 들어 3 비트 필드는 타이머의 1/8T를 양자화할 수 있고, 예를 들어 000 = 처음 1/8T이다.
생존 타이머/카운터가 만료된 경우, RxDev 또는 TxDev는 다음을 수행해야 한다:
- 일례에 따르면, 이 이벤트에 관해 상위 계층에 통지한다. 상위 계층 자체가 안전 모드 또는 복원 모드에 들어가거나, 애플리케이션이 복구 시간까지 중지될 수 있으며, 여기서 통신 서비스는 TX를 계속하여 청취하고 새로운 커맨드 또는 구성들을 기다릴 수 있다.
- 일례에 따르면, 다른 통신 참가자들(예를 들어, 동일한 통신에 연루되는 무선 디바이스들)에 실패 또는 복구 위상에 관해 알린다.
도 6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개략적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602)에 따라,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는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604)에 따라,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는 수신 무선 디바이스에 제1 데이터를 송신한다. 단계(606)에 따라,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는 수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긍정 확인응답이 수신된 마지막 수신 시간을 결정하고, 긍정 확인응답은 수신 무선 디바이스 측에서의 송신된 제1 데이터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낸다. 단계(608)에 따라,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는 결정된 마지막 수신 시간 이후 제1 송신 모드 기간의 만료 시에 송신 무선 디바이스를 향해 제2 송신 모드 표시자를 송신한다.
도 7은 개략적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단계(602)에 따라,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TxRxDev)는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로부터 제1 데이터(p7, p8)를 수신한다. 단계(604)에 따라,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TxRxDev)는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에 제1 데이터(p7, p8)를 송신한다. 그러나, 제1 데이터(p8)는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의 PHY 유닛(PHY2)에서 올바르게 디코딩될 수 없다.
단계(606)에 따라,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TxRxDev)는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로부터 긍정 확인응답(ACK(p7))이 수신된 마지막 수신 시간(t1)을 결정하고, 긍정 확인응답(ACKp7)은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 측에서의 송신된 제1 데이터(p7)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낸다.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TxRxDev)는 결정된 최종 수신 시간(t1) 이후 제1 송신 모드 기간(m1t)의 만료 시에, 단계(608)에 따라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를 향해 제2 송신 모드 표시자(m2i)를 송신한다.
이하는 도 1 내지 도 7의 각각의 예에 적용된다.
송신, 수신 또는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TxDev, RxDev, TxRxDev)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통신 엔티티는 제1 송신 모드에서 제1 송신 모드 기간(m1t)까지 그리고 생존 시간이 초과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카운터 유닛 또는 타이머 유닛(TU) 또는 유사한 유닛을 포함한다.
이 설명은 이용가능한 송신 자원들로 효율적이면서, 애플리케이션 유닛들(APP1 및 APP2)을 포함하는 시간-중요 애플리케이션의 생존 시간 내에서, 시간-중요 데이터의 송신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여기에 설명된 데이터는 시간-중요 데이터(time-critical data)라고 지칭될 수 있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수준의 데이터 손실을 견딘다.
생존 시간은 TS22.104에서 "통신 서비스를 소비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예상 메시지 없이 계속될 수 있는 시간"으로서 정의된다. 그것은 주기적 결정론적 통신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수량으로서 식별되었다(TS 22.104의 표 5.2-1). 생존 시간은 메시지 전달 실패들로부터 복구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시간을 통신 서비스에 나타낸다. 생존 시간은 특히 주기적 트래픽에서, 애플리케이션 계층 장애를 일으키지 않고서 허용될 수 있는 연속적인 잘못 수신된 또는 손실된 메시지의 최대 수를 수용하는 기간으로서 표현된다.
일례에 따르면, 무선 자원들 및 무선 파라미터들은 중앙 조정 노드(즉,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로드사이드 유닛)에 의해 할당된다. 일례에 따르면, 제2 송신 모드 표시자(m2i)는 제2 송신 모드(m2)에 대한 추가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스케줄링 유닛을 향해 추가로 송신된다.
일례에 따르면, 무선 자원들은 분산 방식으로 결정되고, 각각의 참여 무선 디바이스는 구성된 또는 미리 구성된 자원들로부터, 사용되는 무선 자원들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중요 애플리케이션은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가 하나 이상의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에 시간-중요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2개의 연속 메시지 송신 사이의 지속시간은 사이클 시간으로 표시된다. 송신된 데이터는 순방향 에러 정정(특정 비트 에러 수까지) 및 정정불가능한 데이터의 에러 검출을 허용하는 중복성을 포함한다.
일례에 따르면, 송신 무선 디바이스가 재송신 허가 또는 자율 재송신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한 재송신들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통신 사이클에서 송신 방향 당 1회 초과의 송신 기회가 존재한다.
일례에 따르면, 송신된 시간-중요 데이터와 함께 대응하는 표시자를 송신함으로써 시간-중요 스트림/플로우의 메시지들이 식별된다.
일례에 따르면, 생존 기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메시지가 올바르게 수신되고 디코딩되면,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의 애플리케이션 유닛(APP2)은 올바르게 작동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생존 시간은 사이클 시간을 초과한다.
일례에 따르면, 제1 송신 모드 기간(m1t)은 애플리케이션 유닛(APP1; APP2)의 사이클 기간(k)보다 크고, 여기서 사이클 기간(k)은 애플리케이션 유닛(APP1; APP2)에 의한 데이터의 주기적 제공, 및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를 향한 데이터의 주기적 송신을 나타낸다.
일례에 따르면, 제1 송신 모드 기간(m1t)은 애플리케이션 유닛(APP1, APP2)의 생존 기간(st), 특히 생존 기간(st)과 사이클 기간의 합의 절반보다 작다.
일례에 따르면, 제2 송신 모드(m2)는 제1 송신 모드(m1)와 비교하여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 특히 ARQ 및 ARQ의 경우에,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에서 또는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TxRxDev)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제2 데이터에 대한 증가된 재송신 횟수;
- 제2 데이터에 대한 증가된 블라인드 재송신 횟수;
- 상이한 채널 대역폭, 상이한 대역폭 부분, 상이한 자원 풀;
- 제2 데이터에 대한 상이한 변조 및 코딩 방식; 및
- 제2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무선 자원들의 증가된 수
- 패킷 복제(다른 주파수 자원들, 상이한 기술(예를 들어, [다른 Sidelink 또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이한 인터페이스,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 상이한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mmWave) 또는 다중연결 상에서).
송신 디바이스(TxDev)의 애플리케이션 유닛(APP1)은 제어 유닛(C1)의 이그레스 큐의 한쪽 끝에 제1 및 제2 데이터를 추가하고, 여기서 송신 디바이스(TxDev)의 제어 유닛(C1)은 수신 디바이스(RxDev)를 향해 제1 및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큐의 다른쪽 끝으로부터 제1 및 제2 데이터를 제거한다.
설명된 방법들에 대한 셋업 절차는 이하를 포함한다:
1. 시간 중요 애플리케이션(APP1 또는 APP2)의 마스터는, 예를 들어 기지국 유닛에 대한 적절한 스케줄링 요청들을 통해 통신 시스템들의 관리로부터 시간-중요 고-신뢰성 통신 스트림의 셋업을 요청한다. 이러한 요청은 다음 중 하나를 포함한다: 연결의 소스 및 대상(destination); 각각의 통신 사이클 내에서 교환될 데이터의 양; 데이터 교환의 사이클 시간; RxDev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의 생존 시간;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의해 인식될 시간이 중요한 메시지들의 식별자; 중요도(criticality)의 척도. 구성은, 예를 들어 기지국을 통해, 예를 들어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디바이스로 지향될 수 있다. 또한, 구성 파라미터들(상술한 것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은 셋업 동안 구성될 수 있거나, 주기적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요청시 구성될 수 있다.
2.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기지국 유닛의 관리는 요구되는 요청들이 충족될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 네트워크 내에서의(네트워크 측에서의 또는 무선 단말에서의) PDU 연결을 위한 RxDev 및 TxDev의 위치와 현재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관리 유닛은 통신 스트림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계산하며, 파라미터들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고유 식별자 통신 스트림; PDU 연결의 소스 및 대상에 대한 식별자; 통신 스트림의 사이클 시간; 마지막 성공적인 송신 이후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유닛(TU)의 위치; 수신기로부터 송신기로의 송신 성공 또는 실패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NACK); 자원 할당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특히 신뢰성이 변경된 경우); 생존 시간이 곧 초과될 예정이지 않을 때 사용될 중간 신뢰성 및 고효율을 갖는 통신 파라미터 세트(송신 모드(m1)), 생존 시간이 곧 초과될 예정일 때 사용될 높은 신뢰성 및 감소된 효율을 갖는 통신 파라미터 세트(송신 모드(m2)); 생존 시간이 통신 주기 시간의 2배가 넘고 복수의 신뢰성(및 효율) 레벨이 있을 때의 추가 통신 파라미터 세트; 생존 시간이 곧 초과될 예정임을 나타내는 카운터 값의 임계값; 생존 시간이 초과됨을 나타내는 카운터 값의 임계값; 생존 시간이 초과된 경우의 절차에 관한 세부 정보.
3. 무선 통신 시스템의 관리는 이러한 통신 파라미터들을 고려된 통신 스트림의 모든 통합된 디바이스들에 배포한다.
4. 디바이스들은 구성 파라미터들을 적용하고, 진행할 준비가 되면 통신 관리에 응답한다.
5. 통신 관리가 모든 요구되는 디바이스들로부터 긍정 확인응답을 얻고 나면, 그것은 시간-중요 및 신뢰가능 스트림이 확립되었음을 애플리케이션 마스터에 응답한다.
6. 그러면, 애플리케이션 마스터는 TxDev를 의미하는 PDU 소스에게, 시간-중요 데이터를 RxDev를 향해 주기적으로 송신할 것을 통지한다. 이 단계로, 셋업 위상이 마무리되고 런타임 위상이 시작된다.
제공된 데이터 송신 방식의 런타임 동작 동안의 절차는 이하를 포함한다:
1. 애플리케이션 데이터(APP1)의 소스는 주기적으로 PDU 메시지의 형태로 시간-중요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것을 제어 유닛(C1)의 형태로 된 그것의 통신 계층에 전송한다.
2. TxDev의 제어 유닛(C1) 형태의 통신 계층은 PDU 메시지들을 현재의 통신 세팅들(모드 1 대 모드 2 등)에 따라 무선 채널을 통해 RxDev에 보낸다.
3. RxDev는 송신이 성공했는지 확인한다.
4. 성공적으로 수신되면, PDU 메시지는 상위 계층(C2 및 APP2)에 전송된다. 도 6 및 도 7의 시나리오의 경우, PDU 메시지는 제2 무선 섹션의 PHY 유닛(PHY3)에 전송된다.
5. 현재 통신 사이클에서 수신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 이것은 또한 상위 계층(APP1 및/또는 APP2)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6. 송신의 상태는 구성된 방법(ACK/NACK)에 따라 TxDev에 시그널링된다.
7. 타이머 유닛(TU)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는 일정한 속도로 카운터 값을 계속하여 증분시킨다.
8. 성공적인 송신의 이벤트는 타이머 유닛(TU)의 카운터 값의 리셋으로 이어진다. 카운터가 RxDev에 위치되는 경우, 디바이스-내부 신호로 충분하다. 카운터가 TxDev에 위치되는 경우, 제어 메시지가 RxDev를 향해 송신된다.
9. 각각의 통신 사이클에서 적어도 1회, 카운터 값이 구성된 임계값(들)과 비교된다. 임계값이 교차되는 경우, 송신 모드가 변경된다. 임계값(m1t)은 성공적인 수신의 부재로 인해 값이 증분되는 경우 위쪽으로 교차된다. 성공적인 수신의 경우에 임계값(m1t)을 초과하는 값으로부터 값이 리셋되면, 임계값(m1t)은 아래쪽으로 교차된다. 송신 모드가 변경되면, 이것은 TxDev에 시그널링되어야 한다. 카운터가 TxDev에 위치되는 경우, 디바이스-내부 신호로 충분하다. 카운터가 RxDev에 위치되는 경우, PDU 수신기로부터 PDU 송신기로의 제어 메시지가 요구된다.
10. 생존 기간(st)과 사이클 기간의 합 형태의 생존 시간 임계값이 교차되어 생존 시간의 초과를 나타내는 경우, 타이머 유닛(TU)이 위치된 무선 디바이스는 다음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관리 및 애플리케이션 마스터 둘 다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패 상태로부터 복구하는 절차를 트리거할 것을 통지하는 것; 통신이 다시 이용가능할 때까지 그것의 구성된 자원들에 따라 계속 수신하는 것.
주기적 데이터 교환의 끝을 향해, 다음이 수행되어야 한다:
1. 애플리케이션 마스터는 TxDev에게 주기적인 데이터 생성을 중지할 것을 통지한다.
2. 애플리케이션 마스터는 통신 관리를 시그널링하고, 시간-중요 통신 스트림들을 위한 무선 자원들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3. 통신 마스터가 통합된 디바이스들을 재구성하고; 카운터 값은 증분되지 않고; 카운터 관련 이벤트들은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전송되지 않으며; 통신 스트림에 관련된 임의의 파라미터들은 무선 디바이스들 상에서 비활성화된다.
도 8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RCN)를 도시한다. 무선 단말들(RT1 및 RT2)은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 및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데이터 송신은 화살표(800)에 의해 표시된다. 기지국 유닛(BS)은 그것의 제공된 셀(C)에서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무선 단말들(RT1 및 RT2)에 대한 무선 자원들을 스케줄링한다.
도 9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RCN)를 도시한다. 무선 단말(RT1) 및 기지국 유닛(BS)은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 및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데이터 송신은 업링크 방향으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화살표(900)로 표시된다. 기지국 유닛(BS)은 그것의 제공된 셀(C)에서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무선 단말들(RT1 및 RT2)에 대한 무선 자원들을 스케줄링한다.
도 10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RCN)를 도시한다. 기지국 유닛(BS) 및 무선 단말(RT1)은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 및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데이터 송신은 다운링크 방향으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화살표(1000)로 표시된다. 기지국 유닛(BS)은 그것의 제공된 셀(C)에서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무선 단말들(RT1 및 RT2)에 대한 무선 자원들을 스케줄링한다.
도 1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RCN)를 도시한다. 무선 단말들(RT1 및 RT2)은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 및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로서 구성된다. 기지국 유닛(BS)은 중간에 상주하며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TxRxDev)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데이터 송신은 업링크 방향으로의 데이터 송신에 대해 화살표(1102)로 표시되고, 다운링크 방향으로의 데이터 송신에 대해 화살표(1104)로 표시된다. 기지국 유닛(BS)은 그것의 제공된 셀(C)에서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무선 단말들(RT1 및 RT2)에 대한 무선 자원들을 스케줄링한다.
도 12는 무선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며, 여기서 무선 디바이스는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 및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TxRxDev)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CP)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M),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C),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A)를 포함하며,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CP)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C),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A)와 상호작용하여,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네트워크(radio communications network)(RCN), 특히 셀룰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송신 무선 디바이스(transmitting radio device)(TxDev)로서,
    상기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로 하여금 적어도:
    수신 무선 디바이스(receiving radio device)(RxDev)를 향해 제1 송신 모드(m1)에 따라 제1 데이터(p1; p2)를 송신하게 하고(102);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로부터 긍정 확인응답(ACK(p1))이 수신된 마지막 수신 시간(t1)을 결정하게 하고(104) - 상기 긍정 확인응답(ACK(p1))은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 측에서의 송신된 제1 데이터(p1)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냄 -; 그리고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를 향해 제2 송신 모드(m2)에 따라 제2 데이터(p3)를 송신하게(106; 106a; 106b) - 상기 제2 송신 모드(m2)는 결정된 마지막 수신 시간(t1) 이후의 제1 송신 모드 기간(m1t)의 만료 시에 활성화됨 -
    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
  2. 무선 통신 네트워크, 특히 셀룰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를 향해 제1 송신 모드(m1)에 따라 제1 데이터(p1; p2)를 송신하는 단계(102);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로부터 긍정 확인응답(ACK(p1))이 수신된 마지막 수신 시간(t1)을 결정하는 단계(104) - 상기 긍정 확인응답(ACK(p1))은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 측에서의 송신된 제1 데이터(p1)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냄 -; 및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를 향해 제2 송신 모드(m2)에 따라 제2 데이터(p3)를 송신하는 단계(106; 106a; 106b) - 상기 제2 송신 모드(m2)는 결정된 마지막 수신 시간(t1) 이후의 제1 송신 모드 기간(m1t)의 만료 시에 활성화됨 -
    를 포함하는 방법.
  3. 무선 통신 네트워크(RCN), 특히 셀룰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로서,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로 하여금 적어도: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로부터 제1 데이터(p4)를 수신하게 하고(302);
    상기 제1 데이터(p4)가 상기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로부터 성공적으로 수신된 마지막 수신 시간(t1)을 결정하게 하고(304); 그리고
    결정된 마지막 수신 시간(t1) 이후 제1 송신 모드 기간(m1t)의 만료 시에, 상기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를 향해 제2 송신 모드 표시자(m2i)를 송신하게(306)
    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디바이스(TxDev)로부터 제2 데이터(p6)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때, 상기 송신 디바이스(TxDev)를 향해 제1 송신 모드 표시자(m1i)를 송신하도록(502)
    추가로 구성되는,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
  5. 무선 통신 네트워크(RCN), 특히 셀룰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로부터 제1 데이터(p4)를 수신하는 단계(302);
    상기 제1 데이터(p4)가 상기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로부터 성공적으로 수신된 마지막 수신 시간(t1)을 결정하는 단계(304); 및
    결정된 마지막 수신 시간(t1) 이후 제1 송신 모드 기간(m1t)의 만료 시에, 상기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를 향해 제2 송신 모드 표시자(m2i)를 송신하는 단계(306)
    를 포함하는 방법.
  6. 무선 통신 네트워크(RCN), 특히 셀룰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로서,
    상기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로 하여금 적어도: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를 향해 제1 송신 모드(m1)에 따라 제1 데이터(p4; p5)를 송신하게 하고(402);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로부터 제2 송신 모드 표시자(m2i)를 수신하게 하고(404); 그리고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를 향해 제2 송신 모드(m2)에 따라 제2 데이터(p6)를 송신하게(406; 406a; 406b) - 상기 제2 송신 모드(m2)는 상기 제2 송신 모드 표시자(m2i)의 수신 시에 활성화됨 -
    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RxDev)로부터 상기 송신 디바이스(TxDev)에 의한 상기 제2 데이터(p6)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내는 제1 송신 모드 표시자(m1i)를 수신하고(502); 그리고
    상기 제1 송신 모드 표시자(m1i)의 수신 시에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를 향해 상기 제1 송신 모드(m1)에 따라 제1 데이터(p1; p2)를 송신하도록(402)
    추가로 구성되는,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
  8. 무선 통신 네트워크(RCN), 특히 셀룰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를 향해 제1 송신 모드(m1)에 따라 제1 데이터(p4; p5)를 송신하는 단계(402);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로부터 제2 송신 모드 표시자(m2i)를 수신하는 단계(404); 및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를 향해 제2 송신 모드(m2)에 따라 제2 데이터(p6)를 송신하는 단계(406; 406a; 406b) - 상기 제2 송신 모드(m2)는 상기 제2 송신 모드 표시자(m2i)의 수신 시에 활성화됨 -
    를 포함하는 방법.
  9. 무선 통신 네트워크(RCN), 특히 셀룰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TxRxDev)로서,
    상기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TxRxDev)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TxRxDev)로 하여금 적어도: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로부터 제1 데이터(p7; p8)를 수신하게 하고(602);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에 상기 제1 데이터(p7; p8)를 송신하게 하고(604);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로부터 긍정 확인응답(ACK(p7))이 수신된 마지막 수신 시간(t1)을 결정하게 하고(606) - 상기 긍정 확인응답(ACK(p7))은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 측에서의 송신된 제1 데이터(p7)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냄 -; 그리고
    결정된 마지막 수신 시간(t1) 이후 제1 송신 모드 기간(m1t)의 만료 시에 상기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를 향해 제2 송신 모드 표시자(m2i)를 송신하게(608)
    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TxRxDev).
  10. 무선 통신 네트워크(RCN), 특히 셀룰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TxRxDev)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로부터 제1 데이터(p7; p8)를 수신하는 단계(602);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에 상기 제1 데이터(p7; p8)를 송신하는 단계(604);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로부터 긍정 확인응답(ACK(p7))이 수신된 마지막 수신 시간(t1)을 결정하는 단계(606) - 상기 긍정 확인응답(ACK(p7))은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 측에서의 송신된 제1 데이터(p7)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냄 -; 및
    결정된 마지막 수신 시간(t1) 이후 제1 송신 모드 기간(m1t)의 만료 시에 상기 송신 무선 디바이스(TxDev)를 향해 제2 송신 모드 표시자(m2i)를 송신하는 단계(608)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TxDev; RxDev; TxRxDev), 또는 제2항, 제5항,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송신 모드 기간(m1t)은 애플리케이션 유닛(APP1; APP2)의 생존 기간(st)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유닛(APP1; APP2)의 사이클 기간(k)의 합, 특히 상기 생존 기간(st)과 상기 사이클 기간(k)의 합의 절반보다 작은, 무선 디바이스(TxDev; RxDev; TxRxDev) 또는 방법.
  12.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TxDev; RxDev; TxRxDev), 또는 제2항, 제5항,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송신 모드 기간(m1t)은 애플리케이션 유닛(APP1; APP2)의 사이클 기간(k)보다 크고, 상기 사이클 기간(k)은 애플리케이션 유닛(APP1; APP2)에 의한 데이터의 주기적 제공 및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를 향한 데이터의 주기적 송신을 나타내는, 무선 디바이스(TxDev; RxDev; TxRxDev) 또는 방법.
  13.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TxDev; RxDev; TxRxDev), 또는 제2항, 제5항,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서,
    상기 제2 송신 모드(m2)는 상기 제1 송신 모드(m1)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RxDev)에서 또는 상기 송수신 무선 디바이스(TxRxDev)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증가된 재송신 횟수;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증가된 블라인드 재송신 횟수;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상이한 변조 및 코딩 방식; 및
    상기 제2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할당된 무선 자원들의 증가된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TxDev; RxDev; TxRxDev) 또는 방법.
  14.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TxDev; RxDev; TxRxDev), 또는 제2항, 제5항,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서,
    제2 송신 모드 표시자(m2i)는 상기 제2 송신 모드(m2)에 대한 추가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스케줄링 유닛을 향해 송신되는, 무선 디바이스(TxDev; RxDev; TxRxDev) 또는 방법.
  15. 제1항, 제6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TxDev; TxRxDev), 또는 제2항,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 디바이스(TxDev)의 애플리케이션 유닛(APP1)은 제어 유닛(C1)의 이그레스 큐(egress queue)의 한쪽 끝에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추가하고, 상기 송신 디바이스(TxDev)의 제어 유닛(C1)은 상기 수신 디바이스(RxDev)를 향해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큐의 다른쪽 끝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제거하는, 무선 디바이스(TxDev; TxRxDev) 또는 방법.
KR1020210015827A 2020-02-14 2021-02-04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KR202101039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57400.1 2020-02-14
EP20157400.1A EP3866365A1 (en) 2020-02-14 2020-02-14 Radio device, method to operate a radio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952A true KR20210103952A (ko) 2021-08-24

Family

ID=6963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827A KR20210103952A (ko) 2020-02-14 2021-02-04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601231B2 (ko)
EP (2) EP4060920A1 (ko)
KR (1) KR20210103952A (ko)
CN (1) CN11327161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02807B (zh) * 2022-05-27 2023-11-28 深圳技术大学 物联网网关数据传输的方法、装置、服务器、客户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802B1 (ko) * 2001-09-03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효율을 높이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US8428558B2 (en) * 2005-04-22 2013-04-23 Axiometric, Llc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in a wireless mesh network
CN101296016A (zh) * 2007-04-27 2008-10-2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WiMax&WiBro中继系统中多播数据的传输方法
WO2013105787A1 (en) * 2012-01-09 201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to mobile station by multiple base stations in co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273743A1 (en) * 2012-03-01 2018-01-2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ulti-user parallel channel access in wlan systems
EP2835782A1 (de) * 2013-08-06 2015-02-11 Skidata Ag Verfahren und System zur Bereitstellung von standortbezogenen Dienstleistungen
AU2013408437B2 (en) * 2013-12-20 2016-11-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igh-reliability transmission scheme with low resource utilization
JP2016174211A (ja) * 2015-03-16 2016-09-29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WO2017034081A1 (ko) * 2015-08-21 2017-03-02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90089937A (ko) * 2016-12-01 2019-07-31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불연속 수신 방법 및 장치
US10873865B2 (en) * 2017-03-27 2020-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call continuity in a user equipment (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71615A (zh) 2021-08-17
EP3866365A1 (en) 2021-08-18
US20230208573A1 (en) 2023-06-29
US11601231B2 (en) 2023-03-07
US20210258110A1 (en) 2021-08-19
EP4060920A1 (en)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68656B (zh) 方法、装置和系统
EP15221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ransmission-link errors
RU2353062C2 (ru) Эффективные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запроса повторения
JP4130413B2 (ja) Arqを用いる通信システム
EP3526920B1 (en) Base stations, user equipments and a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corresponding methods
EP19655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control mess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relaying
TW591960B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0502762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data transmission parameters and controlling H-ARQ processes
US8493925B2 (en)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network, a secondary station and a system therefor
CN110999159A (zh) 可靠的超低延迟通信
KR102344200B1 (ko) 할당된 리소스 상의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없다는 표시에 해당하는 재전송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수신기, 송신기, 시스템 및 방법
WO20081366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00067667A1 (en) Transmission based on data blocks
US82958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ircuit mode resource alloc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151883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network, a secondary station and a system therefor
US20230208573A1 (en) Radio device, method to operate a radio device
JP4763343B2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資源を割り当て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10118616A1 (zh) 持久资源的处理方法、终端以及基站
TW202228459A (zh) 用以增強無線通訊系統服務品質之方法
CN103516472A (zh) 一种上行数据传输方法及通信设备、移动台
KR20090051467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