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779A - Operation Method of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for Large Buildings - Google Patents

Operation Method of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for Large Build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779A
KR20210103779A KR1020200018373A KR20200018373A KR20210103779A KR 20210103779 A KR20210103779 A KR 20210103779A KR 1020200018373 A KR1020200018373 A KR 1020200018373A KR 20200018373 A KR20200018373 A KR 20200018373A KR 20210103779 A KR20210103779 A KR 20210103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user
dust concentration
companion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3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4345B1 (en
Inventor
길용석
나경필
김문철
김명하
송재철
Original Assignee
에코스솔루션(주)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스솔루션(주),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에코스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200018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345B1/en
Publication of KR20210103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7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3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riving a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for a larg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is performed at fine dust measuring devices in zones of a large building such as floors and rooms and the concentration is transmitted to a main server. A user's smartphone is recognized from a beacon recognizer in the building. Fine dust concentration depending on the heights of the user and a companion is estimated from the fine dust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user. When the estimated fine dust concentrations exceed a user- or companion-specific reference valu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an alarm are output to the user's smartphone. The main server reads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data measured for preset average concentration detection time to obtain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for the average concentration detection time. The main server calculate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depending on the user's height by multiplying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by the height-specific fine dust settling function value depending on the user's h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ne dust concentration affecting a user and a companion, that is, a fine dust concentration matching the heights of a user and a companion is detected and a notification is sent to the smartphone of a person visiting a large building, and thus a more appropriate response is possible.

Description

대형건물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Operation Method of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for Large Buildings}Operation Method of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for Large Buildings

본 발명은 대형건물(예로 병원, 공항, 학교, 아파트, 쇼핑몰, 집합건물 등) 내에 각 층, 각 방 등의 구역별로 구비된 미세먼지 측정장치들에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메인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대형건물에 비치된 비콘인식기로부터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서 제일 근접한 미세먼지 측정장치의 미세먼지 농도로부터, 사용자 키 및 동반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하고, 추정된 미세먼지 농도들이 사용자별 기준치 또는 동반자별 기준치를 초과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미세먼지 농도와 알람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대형건물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from fine dust measuring devices provided for each floor, each room, etc. in a large building (eg, hospital, airport, school, apartment, shopping mall, collective building, etc.) and transmits it to the main server, , Recognizes the user's smartphone from the beacon recognizer installed in the large building, and estimate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and companion's key from the fine dust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closest to where the user is located, It relates to a driving method of a large building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configured to output a fine dust concentration and an alarm to the user's smartphone when the estimated fine dust concentrations exceed the standard value for each user or the standard value for each companion.

먼지란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 물질을 말한다. 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50μm 이하인 총먼지(TSP, Total Suspended Particles)와 입자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로 구분한다. 미세먼지는 다시 지름이 10μm보다 작은 미세먼지(PM10)와 지름이 2.5μm보다 작은 미세먼지(PM2.5)로 나뉘며, PM2.5가 국제적인 비교 기준으로 주로 활용된다. PM10 (PM-10)이 사람의 머리카락 지름(50~70μm)보다 약 1/5~1/7 정도로 작은 크기라면, PM2.5 (PM-2.5)는 머리카락의 약 1/20~1/30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작다. 미세먼지 성분은 주로 아황산가스ㆍ질소산화물ㆍ납 등을 포함한 대기오염물질이다. 2017년 기준 서울의 연평균 농도는 PM-10 44㎍/㎥, PM-2.5 25㎍/㎥이다. Dust refers to particulate matter that floats or is blown down in the atmosphere. Dust is classified into total suspended particles (TSP) with a particle size of less than 50 μm and particulate matter (PM) with a very small particle size. Fine dust is further divided into fine dust with a diameter of less than 10 μm (PM 10 ) and fine dust with a diameter of less than 2.5 μm (PM 2.5 ), and PM 2.5 is mainly used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comparison. If PM 10 (PM-10) is about 1/5 to 1/7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a human hair (50 to 70 μm), PM 2.5 (PM-2.5) is about 1/20 to 1/30 of the diameter of a human hair. so small that it is only Fine dust components are mainly air pollutants including sulfur dioxide, nitrogen oxides, and lead. As of 2017, the average annual concentration in Seoul was 44㎍/㎥ for PM-10 and 25㎍/㎥ for PM-2.5.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 머물러 있다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들어감으로써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먼지(PM10, PM2.5)에 대한 대기질 가이드라인을 1987년부터 제시해 왔고, 2013년에는 세계보건기구 산하의 국제암연구소(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서 미세먼지를 사람에게 발암이 확인된 1군 발암물질(Group 1)로 지정하였다. 미세먼지에 대한 국내 환경기준은 현재 ‘㎥당 25㎛ 이하’인데, 이는 WHO 권고기준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Since fine dust is so small that it is invisible to the naked eye, it stays in the air and can have a bad effect on health by penetrating into the lungs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or moving into the body through blood vessel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s provided air quality guidelines for fine dust (PM 10 , PM 2.5 ) since 1987, and in 2013,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unde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signated fine dust as a Group 1 carcinogen confirmed to be carcinogenic to humans. The domestic environmental standard for fine dust is currently '25㎛ per ㎥ or less', which is more than twice the WHO recommended standard.

미세먼지에 대한 WHO의 권고기준과 잠정목표는 다음 표와 같다.The WHO recommendation standards and tentative goals for fine dust are as follows.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한국은 WHO의 2단계 잠정목표(즉, 잠정목표 2)를 채택하고 있다.Korea has adopted the WHO's Phase 2 Interim Goal (ie, Interim Goal 2).

미세먼지에 취약한 사람, 예를들어, 유아, 어린이, 노인, 환자들은 저항력이 상대적으로 약하므로, 미세먼지 농도를 수시로 체크하고,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사용자에 따라, 즉, 사용자의 키, 나이, 건강상태 등에 따라, 미세먼지에 대한 저항력이 다르다.People who are vulnerable to fine dust, such as infants, children, the elderly, and patients, have relatively weak resistance, so it is necessary to frequently check and notify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 particular, the resistance to fine dust varies depending on the user, that is, the user's height, age, health condition, etc.

대형건물(예로 병원, 공항, 학교, 아파트, 쇼핑몰, 집합건물 등) 내에 각 층의 각 방의 각기 위치(예로 동측 또는 서측 또는 남측 또는 북측)에 따라서 미세먼지 농도가 다를 수 있으나, 상기 대형건물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미세먼지 농도를 일괄 방송하는 것은 소음공해이며, 또한 사람에 따라서, 그 사람의 위치에 따라서, 위험정도가 다르므로, 개별적으로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may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each room on each floor (eg, east or west, south or north) in a large building (eg, hospital, airport, school, apartment, shopping mall, collective building, etc.), but within the large building Broadcast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to those who have it is noise pollution, and the degree of danger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depending on the person's location, so it is necessary to notify them individually.

일반적으로, 건물 내의 미세먼지는 아래로 내려갈수록 미세먼지 농도가 높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미세먼지 농도가 낮다. 즉, 같은 방이라고 하더라도 천정 가까운 위치에서의 미세먼지 농도와, 바닥가까운 위치에서의 미세먼지 농도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어른과 아이가 같은 방안에 있다고 하더라도, 키작은 아이가, 키큰 어른보다 더 높은 미세먼지 농도에 노출되어 있다. In general,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 a building increases as it goes down,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decreases as it goes up. That is, even in the same room,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near the ceiling and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near the floor are different. Therefore, even if an adult and a child are in the same room, a short child is exposed to a higher concentration of fine dust than a tall adult.

따라서, 대형건물(예로 병원, 공항, 학교, 아파트, 쇼핑몰 등)의 내 또는 입구에 구비된 비콘인식기로부터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비콘ID 정보(블루투스 페어링 정보) 또는 전화번호 등의 스마트 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층 및 위치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가 소정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스마트폰으로 미세먼지 농도 및 알람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대형건물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이 요망된다.Therefore, a smart phone signal such as beacon ID information (Bluetooth pairing information) or a phone number of the user's smartphone is received from a beacon recognizer provided in or at the entrance of a large building (for example, a hospital, airport, school, apartment, shopping mall, etc.) And,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floor and location where the user is located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 large building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is desired, configured to outpu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an alarm to the smart phone.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는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어플, 앱)이 설치되며, 상기 소정의 응용프로그램 설치시, 사용자의 키, 나이, 병력, 건강상태, 평상시 아동 또는 유아와 동반하는 지, 등의 개인정보도 저장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별로 상기 기준치가 다를 수 있다.A predetermined application (application, app) is installed on the user's smartphone, and when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is installed, the user's height, age, medical history, health status, whether accompanied by a child or infant, etc. Information is also stored, and accordingly, the reference value may be different for each user.

일반적으로, 미세먼지 측정 방법은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수동 측정법과 자동 측정법으로 구분되며, 자동 측정법으로는 크게 베타선 측정법(Beta gauge), 광산란법(Light Scattering Method), TEOM(Tapered element oscillating microbalance)으로 구분되며, 여기서 베타선 측정법과 광산란법은 모두 빛을 이용하는 광학법(Optical method)이다. 베타선 측정법은 베타선 흡수법(Beta attenuation monitor)이라고도 하며, 테이프 처럼 시간에 따라 감기는 포집 테이프에 베타선을 쪼여 포집 전후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자동 측정이 가능하여 쉽고 편하지만, 실시간 측정이 어려워 최소시간 단위로 측정되며 일반적으로 최소 1시간 단위로 측정되어, 짧은 시간에 수시로 변하는 환경의 모니터링을 위한 사용에는 부적절하므로 다단충돌기(Cascade impactor)와 같은 보조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광산란법은 대기중에 부유하고 있는 입자상물질에 빛을 조사하면 입자상 물질에 의하여 빛이 산란하게 되고 이때, 물리적 성질이 동일한 입자상물질에 빛을 조사하면 산란광의 양은 질량농도에 비례되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산란광의 양을 측정하고 그 값으로부터 입자상 물질의 농도를 구하는 방법이다. 광산란법은 실시간 측정이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하며, 한 개의 장치로 PM2.5, PM10, TSP 등과 같은 입자 크기 별 측정이 동시에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입자의 개수농도를 측정하며, 이를 질량 농도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다소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많은 종류의 미세먼지 측정기기들에서 이 방법을 적용한다.In general, fine dust measurement methods are largely divided into manual measurement methods and automatic measurement methods depending on the method of collecting fine dust. oscillating microbalance), where beta-ray measurement and light scattering are both optical methods using light. Beta-ray measurement is also called beta attenuation monitor. It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before and after collection by irradiating beta-rays on a collection tape that is wound over time like a tape. It is measured in units of minimum time and is generally measured in units of at least one hour, so it is not suitable for monitoring the environment that changes frequently in a short time, so an auxiliary device such as a cascade impactor is required. In the light scattering method, when light is irradiated to particulate matter suspended in the atmosphere, light is scattered by the particulate matter. This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amount of scattered light using this principle and obtain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from the value. The light scattering metho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easure in real time and easy to carry, and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measure each particle size such as PM 2.5 , PM 10 , TSP with one device, but it measures the number concentration of particles and converts it into mass concentration. Some errors may occur in the conversion process, but this method is generally applied to many types of fine dust measuring devices.

선행기술로, 국내 등록특허 제10-1915704호의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은, 다수 개의 측정장치, 사용자 단말기와 측정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미세먼지정보의 요청에 따라 미세먼지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측정서버를 포함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915704호의 경우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층 및 위치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가 사용자별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스마트폰으로 미세먼지 농도 및 알람을 출력도록 하는 기술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As a prior art, the fine dust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15704 includes a plurality of measurement devices, a user terminal and a measurement server, and collects fine dust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for fine du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It includes a measurement server for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In the case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15704, a technology that recognizes the user's smartphone and output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alarm to the smartphone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floor and location where the user is located exceeds the user-specific standard value is not available

다른 선행기술들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9433호의 미세 먼지 농도 결정 시스템 및 방법 및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0692호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폰과 결합된 미세먼지 센서 장치를 이용한 미세먼지 농도 측정 방법도, 역시, 본 발명과 같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층 및 위치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가 사용자별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스마트폰으로 미세먼지 농도 및 알람을 출력도록 하는 기술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As other prior ar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049433 and the smart phone application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70692 and a fine dust sensor device combined with a smartphon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used is also,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s smartphone is recognized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floor and location where the user is located exceeds the user-specific standard valu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alarm are sent to the smartphone It does not have the technology to output

또 다른 선행기술로, 국내 등록특허 제10-1937097호의 비콘을 이용한 미세먼지 알림 기능을 갖는 가로등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미세먼지 센서를 구비하는 가로등 장치에서, 비콘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알림정보를 일방적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사용자가 위치한 층, 방 및 위치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가 사용자별 기준치를 초과하면 사용자 스마트폰으로 미세먼지 알람을 출력도록 하는 기술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As another prior art, a street lamp system having a fine dust notification function using a beacon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37097 and a method therefor, in a street lamp device having a fine dust sensor, recognize a user terminal using a beacon, , unilaterally displays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user termina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technology for outputting a fine dust alarm to the user's smartphone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floor, room, and location where the user is located exceeds the reference value for each us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형건물(예로 병원, 공항, 학교, 아파트, 쇼핑몰, 집합건물 등) 내에 각 층, 각 방 등의 구역별로 구비된 미세먼지 측정장치들에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메인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대형건물에 비치된 비콘인식기로부터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서 제일 근접한 미세먼지 측정장치의 미세먼지 농도로부터, 사용자 키 및 동반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하고, 추정된 미세먼지 농도들이 사용자 기준치 또는 동반자 기준치를 초과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미세먼지 농도와 알람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대형건물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fine dust measuring devices provided for each floor, each room, etc. in a large building (for example, a hospital, an airport, a school, an apartment, a shopping mall, a collective building, etc.) It is transmitted to the main server, the user's smartphone is recognized from the beacon recognizer installed in the large building, and fine dust according to the user's key and companion's key from the fine dust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closest to where the user is located To provide a driving method of a large building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configured to estimate the concentration and outpu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an alarm to the user's smartphone when the estimated fine dust concentrations exceed the user standard value or companion standard valu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어플, 앱)이 설치시, 저장된 사용자의 키, 나이, 병력, 건강상태, 평상시 아동 또는 유아와 동반하는 지, 등의 개인정보에 따라, 사용자뿐만아니라 동반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하고, 사용자 기준치 및 동반자 기준치에 따라, 미세먼지에 대한 알람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사용자 기준치 및 동반자 기준치는 사용자 및 동반자의 건강상태, 나이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 대형건물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when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pplication, app) is installed on the user's smartphone, the stored user's height, age, medical history, health status, whether or not accompanied by a child or infant, etc. According to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as well as estima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and outputting an alarm for fine dust according to the user reference value and companion reference value, the user reference value and companion reference value are the user and companion It is to provide a driving method of a large building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which i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health condition, age, etc.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대형건물 내의 소정 높이에 위치된 미세먼지 센서로부터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에, 사용자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곱하여, 사용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하고, 추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사용자별 기준치와 비교하여, 사용자 스마트폰으로 미세먼지 농도와 알람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대형건물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ultiply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fine dust sensor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a large building by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To provide a driving method of a large building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configured to estimat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outpu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alarm to the user's smartphone by comparing the estimated fine dust concentration with a reference value for each use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 내의 각 층의 분할영역에 미세먼지 측정장치가 각각 구비되어,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미세먼지 측정장치가 장착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 ID정보와 함께, 메인서버로 전송하고, 메인서버는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를 미세먼지 측정장치별로 메인 DB(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이루어진 건물 내의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건물에 장착되어 있는 비콘 인식기는, 상기 건물을 방문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의 스마트폰 신호를 수신하여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폰 신호 전송단계; 스마트폰 신호 전송단계 후, 메인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GPS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키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GPS 위치정보와 거리가 가장 가까운 미세먼지 측정장치인, 사용자 위치 미세먼지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를 메인DB로부터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미세먼지 농도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미세먼지 농도신호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in each divided area of each floor in a building to measur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determine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at the location where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is mounted. Driving the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in a building, which transmits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ID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and the main server stores the received fine dust concentration in the main DB (database) for each fine dust measuring device A method, comprising: a beacon recognizer mounted in a building, receiving a smartphone signal of a user terminal of a user who has visited the building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smartphone signal to a main server; After the smartphone signal transmission step, the main server receives, from the user terminal,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key, and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losest distance to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the user's location fine dust and read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data received from the measuring device from the main DB, and transmitting the read fine dust concentra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and a fine dust concentration signal transmission step.

메인서버는 사용자 위치 미세먼지 측정장치로부터 현재시간을 기준으로, 과거로, 기설정된 평균농도 검출시간동안에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측정 데이터를 읽어들여, 평균농도 검출시간동안의 평균 미세먼지 농도 값을 구하는, 평균 미세먼지 농도 연산단계; 메인서버는 사용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메인DB로부터 읽어들이는, 사용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 수신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main server read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data measured during the preset average concentration detection time to the past, based on the current time from the user location fine dust measurement device, and obtains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during the average concentration detection time. , calculating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The main server further includes a step of reading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from the main DB, and receiving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제1실시예에 있어서, 평균 미세먼지 농도 연산단계 및 사용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 수신단계의 사이에, 메인서버는 평균 미세먼지 농도 값에, 사용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곱하여, 사용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연산하는,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추정단계;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추정단계 및 사용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 수신단계의 사이에, 메인서버는,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이, 기설정된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에, 사용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와,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와의 비교단계; 메인서버는, 사용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이,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에서,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차감하고, 차감된 값이,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의 1/2를 초과할 경우에, 사용자의 마스크 착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마스크 착용여부 판단단계를 포함한다. In the first embodiment, betwee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step of receiving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the main server calculates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for the height of the fine dus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estima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calcula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by multiplying th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Between the step of estima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and the step of receiving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the main server determines tha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user's key is the preset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a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and the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to the user terminal when it exceed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The main server,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user key exceeds the user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subtracts the user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from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user key, and the subtracted value is the fine dust When the concentration exceeds 1/2 of the reference value, transmitting a message informing the user of wearing the mask to the user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wears the mask.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서, 개인정보는, 평상시 동반자가 있는지 여부, 동반자의 키를 더 포함하며, 만약, 개인정보에 평상시 동반자가 있다고 한다면, 메인서버는 동반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메인DB로부터 읽어들이고, 평균 미세먼지 농도 값에, 동반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곱하여, 동반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연산하는, 동반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추정단계; 메인서버는 동반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이, 기설정된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에, 사용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와,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와의 비교단계; 메인서버는 동반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이,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동반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에서,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차감하고, 차감된 값이,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의 1/2를 초과할 경우에, 동반자의 마스크 착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반자 마스크 착용여부 판단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ersonal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whether there is a companion on a regular basis and the height of the companion, and if there is a companion in the personal information, the main server is fine dust by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Reading the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rom the main DB, multiplying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by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and calcula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dust concentration estimation step;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companion's height exceeds the preset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the main server sends a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notify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and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a comparison step with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companion key exceeds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the main server subtracts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from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companion key, and the subtracted value i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When it exceeds 1/2 of the reference value,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mpanion is wearing a mask, transmitting a message informing the user that the companion is wearing the mask to the user terminal.

제2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는, 메인서버로부터, 평균 미세먼지 농도 및 사용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수신하는, 평균 미세먼지 농도 및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 수신단계; 사용자 단말기는, 평균 미세먼지 농도 값에, 사용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곱하여, 사용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연산하는,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추정단계;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이, 기설정된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에, 사용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와,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와의 비교단계;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이,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에서,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차감하고, 차감된 값이,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의 1/2를 초과할 경우에, 사용자의 마스크 착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사용자 마스크 착용여부 판단단계를 포함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receives, from the main server,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receiving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n estimating step of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calcula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by multiplying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by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user key exceeds the preset user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the user terminal output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 key and the user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are exceeded , a comparison step with the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user key exceeds the user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the user terminal subtracts the user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from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user key, and the subtracted value is the fine dust When the concentration exceeds 1/2 of the reference value, outputting a message informing the user of wearing the mask,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wears a mask.

또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 개인정보는, 평상시 동반자가 있는지 여부, 동반자의 키를 더 포함하며, 만약, 개인정보에 평상시 동반자가 있다고 한다면, 평균 미세먼지 농도 및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 수신단계에서, 메인서버는, 동반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메인DB로부터 읽어들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평균 미세먼지 농도 값에, 동반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곱하여, 동반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연산하는, 동반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추정단계; 사용자 단말기는, 동반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이, 기설정된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에, 사용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와,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와의 비교단계; 사용자 단말기는, 동반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이,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동반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에서,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차감하고, 차감된 값이,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의 1/2를 초과할 경우에, 동반자의 마스크 착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반자 마스크 착용여부 판단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personal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whether there is a companion on a regular basis and the height of the companion, and if there is a companion on a regular basis in the personal information,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In the receiving step, the main server reads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from the main DB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sends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to the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Multiplying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to calculat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estimat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companion's height exceeds the preset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the user terminal output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and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have been exceeded Comparison step with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companion key exceeds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the user terminal deducts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from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companion key, and the deducted value is the fine dust When the concentration exceeds 1/2 of the reference value,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companion is wearing a mask, outputting a message notifying that the companion is wearing a mask.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및 병력을 더 포함하며,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는 사용자의 나이 및 병력에 따라서 달리 설정되며, 또한, 개인정보는 동반자의 나이 및 병력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는 동반자의 나이 및 병력에 따라서 달리 설정된다.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personal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the user's age and medical history, the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reference value i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r's age and medical history,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the age and medical history of the companion. A medical history may be further included, and in this case,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i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mpanion's age and medical history.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미세먼지 측정장치들은 기설정된 동일한 측정높이로 설치되며, 미세먼지 침강 함수는, 미세먼지가, 미세먼지 측정장치의 측정높이로부터, 목표높이인, 사용자 키 또는 동반자 키까지의 거리차 만큼 침강(자유낙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로, 상기 거리차가 0일때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은 1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목표높이별로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은 메인 DB에 기 저장되어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s are installed at the same predetermined measurement height, and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is the user's key Alternatively, as a function indicating the degree of sedimentation (free fall) by the distance difference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is made to have 1 when the distance difference is 0, and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target height is pre-stored in the main DB has been

상기 미세먼지 침강 함수는, 사용초기에 또는 공장출하전에, 지면에 수직한 수직선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장착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미세먼지 농도들을, 제일 상부의 미세먼지 측정장치에서 검출된 미세먼지 농도로 정규화한 후, 이를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으로서, 메인DB에 저장한 것일 수 있다.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is, at the beginning of use or before shipment from the factory, along a vertical lin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by mounting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detec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set the detected fine dust concentrations at the top After normalizing to the fine dust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of

본 발명의 대형건물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대형건물(예로 병원, 공항, 학교, 아파트, 쇼핑몰, 집합건물 등) 내에 각 층, 각 방 등의 분할영역, 즉, 구역별로 구비된 미세먼지 측정장치들에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메인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대형건물에 비치된 비콘인식기로부터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서 제일 근접한 미세먼지 측정장치의 미세먼지 농도로부터, 사용자 키 및 동반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하고, 추정된 미세먼지 농도들이 사용자 기준치 또는 동반자 기준치를 초과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미세먼지 농도와 알람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대형건물 내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미세먼지에 대한 맞춤형으로 미세먼지 농도와 알람을 행할 수 있다.The driving method of the large building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rge building (for example, a hospital, an airport, a school, an apartment, a shopping mall, a collective building, etc.) The measurement devices measur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ransmit it to the main server, recognize the user's smartphone from the beacon recognizer installed in the large building, and from the fine dust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measurement device closest to where the user is located ,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 key and the companion key is estimated, and when the estimated fine dust concentrations exceed the user standard value or the companion standard valu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alarm are output to the user's smartphone. By doing thi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alarm can be given to a user located in a large building tailored to the fine dust.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어플, 앱)이 설치시, 입력된 사용자의 키, 나이, 병력, 건강상태, 평상시 아동 또는 유아와 동반하는 지, 등의 개인정보에 따라, 사용자뿐만아니라 동반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하고, 사용자 기준치 및 동반자 기준치에 따라, 미세먼지에 대한 알람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사용자 기준치 및 동반자 기준치는 사용자 및 동반자의 건강상태, 나이 등에 따라 달리 자동 설정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pplication, app) is installed on the user's smartphone, the entered user's height, age, medical history, health statu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whether or not usually accompanied by a child or infant Accordingly,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not only the user but also the companion is estimated, and an alarm for fine dust is output according to the user reference value and the companion reference value, wherein the user reference value and the companion reference value are the health status of the user and companion , and automatically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age, etc.

본 발명의 대형건물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항시 미세먼지 농도를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상태에 맞춘 사용자별 기준치, 즉, 사용자별 저항력을 고려한 사용자별 기준치를 초과할 때, 미세먼지에 대한 농도와 알람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driving method of the large building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lways outpu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but when it exceeds the user-specific standard value tailored to the user's condition, that is, the user-specific standard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pecific resistance, the fine dust It is made to output the concentration and alarm for

또한, 본 발명은, 대형건물 내의 소정 높이에 위치된 미세먼지 센서로부터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에, 사용자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곱하여, 사용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하고, 추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사용자별 기준치와 비교하여, 사용자 스마트폰으로 미세먼지 농도와 알람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대형건물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를 기준으로 한, 보다 정확한 미세먼지 농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stimate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by multiply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fine dust sensor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a large building by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It is to provide a large building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that compares the estimated fine dust concentration with a standard value for each user, and output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alarm to the user's smartphon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ct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based on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대형건물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대형건물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대형건물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미세먼지 측정장치에서 미세먼지 부유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목표위치까지의 거리차(h)에 따른 미세먼지 침강 함수 f(h)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대형건물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의 일예이다.
1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arge-scale building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large building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riv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large building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 representing the degree of fine dust floating in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5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f(h) according to the distance difference (h) to the target position.
6 is an example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large building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대형건물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The driving method of the large building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대형건물은, 본 발명에서, 설명의 편의상, 병원, 공항, 학교, 아파트, 쇼핑몰, 집합건물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 한다.The large building,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fers to a hospital, an airport, a school, an apartment, a shopping mall, a collective building,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대형건물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1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arge-scale building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대형건물은 각 층의 각 방의 각기 분할영역의 위치에서 기 설정된 소정 높이에 미세먼지 측정장치(310)가 부착되어 있으며, 미세먼지 측정장치(310)는 미세먼지 측정장치 ID정보(즉, 미세먼지 측정장치가 장착된 층, 방(호실), 분할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미세먼지 측정정보(미세먼지 농도정보, 초미세먼지 농도정보, 이산화 질소 농도정보, 오존 농도정보 등을 포함함)를 메인서버(200)로 전송한다.In a large building,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310 is attached to a predetermined height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location of each divided area of each room on each floor, and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310 is provided with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ID information (that is, fine dust). Information including the floor, room (room), and division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measuring device is installed), fine dust measurement information (including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nitrogen dioxide concentration information, ozone concentration information, etc.) is transmitted to the main server 200 .

도 1의 경우에, 각 층에 분할영역에 미세먼지 측정장치(310)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를 각 층별 미세먼지 농도 검출부(300)라 한다. 미세먼지 측정장치(310)는 미세먼지 측정장치 ID정보를 구비하며, 미세먼지 측정장치(310)를 설치할 때 메인서버에는 미세먼지 측정장치 ID정보와 미세먼지 측정장치 설치 위치를 매칭시켜 저장되어 있다. 미세먼지 측정장치(310)의 설치시, 미세먼지 측정장치(310)의 설치 높이는 일정하게 정해진(즉, 기 설정된) 높이(예를들어 천정 등)에 설치되어진다.In the case of FIG. 1 ,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310 is mounted on each floor in a divided area, which is referred to as a fine dust concentration detecting unit 300 for each floor.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310 includes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ID information, and when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310 is installed, the main server matches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ID information with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installation location and is stored. . When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310 is installed,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310 is set at a predetermined (ie, preset) height (eg, a ceiling, etc.).

비콘 인식기(150)는 대형건물의 출입구, 또는 대형건물의 각 층, 또는 대형건물의 각 층의 분할영역별로 구비될 수 있다. The beacon recognizer 150 may be provided for each entrance of a large building, each floor of a large building, or a division area of each floor of a large building.

비콘 인식기(150)는 주변의 100m 이내의 사용자 단말기(즉,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비콘ID 정보(블루투스 페어링 정보) 또는 전화번호 등의 스마트폰 신호를 수신하여, 메인서버(200)로 전송한다. The beacon recognizer 150 receives a smartphone signal such as beacon ID information (Bluetooth pairing information) or a phone number of a user terminal (ie, the user's smartphone) within 100 m of the vicinity, and transmits it to the main server 200 . .

일반적으로 비콘인식기(150)는 비콘 장치에 구비된 수단으로, 비콘 장치는 고유 ID가 있으며, 고유 ID, 즉, 특정 ID신호인 비콘신호를 소정 주기로, 비콘 장치의 주변 100m 이내(바람직하게는 70m 이내)에 전송한다. 비콘신호의 신호 도달 거리 내(회원 가맹점의 주변 100m 이내)로 스마트폰 사용자가 들어오면,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장비가 상기 비콘신호를 받게 되고, 스마트폰은 수신된 비콘신호를 인식하여 스마트폰의 비콘ID 정보(블루투스 페어링 정보) 또는 전화번호 등의 스마트폰 신호를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비콘 장치에는 비콘의 고유 ID가 있으며, 비콘 장치를 설치할 때 메인서버에는 비콘 ID와 비콘장치 설치 위치를 매치시켜 저장되어 있다. 즉 메인 DB(250)에 설치 위치별 비콘 ID(블루투스 페어링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In general, the beacon recognizer 150 is a means provided in the beacon device, and the beacon device has a unique ID. sent within). When a smartphone user enters within the signal reach of the beacon signal (within 100m around the member affiliated store), the Bluetooth device of the smartphone receives the beacon signal, and the smartphone recognizes the received beacon signal and the beacon of the smartphone. It transmits a smartphone signal such as ID information (Bluetooth pairing information) or phone number. In general, a beacon device has a unique ID of the beacon, and when the beacon device is installed, the beacon ID and the beacon device installation location are matched and stored in the main server. That is, beacon IDs (Bluetooth pairing information) for each installation location are stored in the main DB 250 .

사용자 단말기(100)는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어플,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설치시, 사용자의 키(즉, 키의 크기), 나이, 병력, 건강상태, 평상시 동반자가 있는지(즉, 아동 또는 유아와 동반하는 지), 동반자의 키 및 나이, 병력 등등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며, 상기 개인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된다. The user terminal 100 is a smartphone in whic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pplication, app) is installed, and when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the user's height (ie, the size of the key), age, medical history, health status, and whether there is a companion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ie, accompanying children or infants), the height and age of the companion, medical history, etc. is inputted,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not shown) of the user terminal 100 .

메인서버(200)는 비콘인식기(15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의 스마트폰 신호를 수신하면, 스마트폰 신호의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로 개인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미세먼지 측정장치(310), 즉, 미세먼지 측정장치 ID정보를 찾고, 메인 DB로부터 상기 미세먼지 측정장치 ID정보를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장치(310)로부터 측정된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 즉,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를, 현재시간을 기준으로 과거로, 소정 시간동안(예로 5분간)의 데이터를 메인 DB(250)으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시간동안(예로 5분간)의 평균 미세먼지 농도를 구한다. When the main server 200 receives the smartphone signal of the user terminal 100 from the beacon recognizer 150, it receives personal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00 of the smartphone signal, and the user terminal 100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310 locat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ne dust measurement data, that i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data, is read from the main DB 25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5 minutes) based on the current time in the past, and for the time period (for example, 5 minutes). Obtain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메인서버(200)는, 상기의 평균 미세먼지 농도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의 개인정보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키에 따라, 실제 사용자에게 미치는 미세먼지 농도(즉, 사용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하여 연산한다. 여기서 미세먼지 농도의 추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main server 200 calculates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received through the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exerted on the actual user (that i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dust concentration) and calculated. Here, the estimation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메인서버(200)는, 개인정보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나이, 병력, 건강상태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달리 설정한다. The main server 200 differently set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age, medical history, and health condition of the user received through personal information.

예를들어, 심폐질환, 폐암, 알츠하이머, 호흡기 질환 등의 환자, 유아, 아동, 노인(예로 70세 이상 노인)은 WHO의 권고기준(즉, WHO의 권고기준의 PM-10, PM-2.5의 연평균, 일평균)을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로 설정하고, 그외의 일반 성인은 WHO의 2단계 잠정목표(즉, WHO의 2단계 잠정목표의 PM-10, PM-2.5의 연평균, 일평균)를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patients with cardiopulmonary disease, lung cancer, Alzheimer's disease, respiratory disease, etc., infants, children, and the elderly (eg, the elderly over 70 years old) are recommended by the WHO Average annual average, daily average) is set as the standard for fine dust concentration, and other adults can fine-tune the WHO's second-stage tentative goal (ie, the average of PM-10 and PM-2.5 of the WHO's second-stage provisional goal, average, and daily average). It can be set as th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또는 사용초기에 사용자 단말기로,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들이 다수개 제안되고(예로, WHO의 권고기준에 따른 기준치, WHO의 1단계 잠정목표에 따른 기준치, WHO의 2단계 잠정목표에 따른 기준치 등등), 그 중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Or, as a user terminal at the beginning of use, a number of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s are suggested (eg, the standard according to the WHO recommendation, the standard according to the WHO's first-stage provisional goal, the standard according to the WHO's second-stage provisional goal, etc.), Among them, the user can select and set it.

메인서버(200)는, 추정된 실제 사용자에게 미치는 미세먼지 농도와,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비교하여, 초과할 경우(즉, 추정된 실제 사용자에게 미치는 미세먼지 농도에서,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차감하고, 차감된 값이, 0보다 클 경우)는, 미세먼지 농도와,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하여금 이를 출력하게 한다.The main server 200 compares the estimated fine dust concentration to the actual user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and when it exceeds (that is, subtract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from the estimated fine dust concentration to the actual user) , when the subtracted value is greater than 0), transmits a message notifying tha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reference value have been exceeded to the user terminal 100 , so that the user terminal 100 outputs them.

또한, 메인서버(200)는, 추정된 실제 사용자에게 미치는 미세먼지 농도에서,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차감하고, 차감된 값이,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의 1/2를 초과할 경우는 마스크 착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하여금 이를 출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main server 200 subtract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from the estimated fine dust concentration on the actual user, and when the subtracted value exceeds 1/2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it notifies the wearing of a mask.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so that the user terminal 100 outputs it.

만약, 메인서버(200)는, 개인정보에서, 사용자가 평상시 동반자가 있고, 동반자의 키 및 나이에 대한 정보가 있을 경우, 메인서버(200)는, 평균 미세먼지 농도를, 동반자의 키에 따라, 실제 동반자에게 미치는 미세먼지 농도(즉, 동반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하여 연산한다. 메인서버(200)는, 사용자별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의 설정과 같이, 동반자의 나이, 병력, 건강상태에 따라, 동반자별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달리 설정한다. 메인서버(200)는, 추정된 동반자에게 실제 미치는 미세먼지 농도와,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비교하여, 초과할 경우는, 추정된 미세먼지 농도와, 동반자별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하여금 이를 출력하게 한다. 또한, 메인서버(200)는, 추정된 실제 동반자에게 미치는 미세먼지 농도에서, 동반자별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차감하고, 차감된 값이,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의 1/2를 초과할 경우는 마스크 착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하여금 이를 출력하게 한다.If, in the personal information, the user has a companion, and there is information on the height and age of the companion, the main server 200 sets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 it is calculated by estima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that i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on the actual companion. The main server 200 set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for each companio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ge, medical history, and health condition of the companion, such as set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for each user. The main server 200 compares the estimated fine dust concentration actually exerted on the companion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and when it exceed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estimated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for each companion have been exceede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so that the user terminal 100 outputs it. In addition, the main server 200 subtract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for each companion from the estimated fine dust concentration on the actual companion, and wears a mask when the subtracted value exceeds 1/2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transmits a message notifying the user terminal 100 to the user terminal 100 to output it.

경우에 따라서는 메인서버(200)가, 평균 미세먼지 농도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는 메모리부(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및 동반자의 키에 따라, 실제 사용자 및 동반자에게 미치는 미세먼지 농도(즉, 사용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하여 연산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메모리부(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나이, 병력, 건강상태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달리 설정한다. In some cases, the main server 200 transmits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user terminal 100 actually It is calculated by estima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that i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on the user and companion. The user terminal 100 differently set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age, medical history, and health condition of the user received from the memory unit (not shown).

사용자 단말기(100)는 추정된 사용자 및 동반자에게 실제 미치는 미세먼지 농도와, 사용자 및 동반자의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비교하여, 초과할 경우는, 추정된 미세먼지 농도와, 사용자 및 동반자의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게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추정된 실제 사용자 및 동반자에게 미치는 미세먼지 농도에서, 사용자 및 동반자별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차감하고, 차감된 값이,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의 1/2를 초과할 경우는 마스크 착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게 한다.The user terminal 100 compares the estimated fine dust concentration actually exerted on the user and companion,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of the user and companion, and when it exceeds, the estimated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of the user and companion Output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threshold has been exceeded.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subtract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for each user and companion from the estimated fine dust concentration on the actual user and companion, and the subtracted value exceeds 1/2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In this case, a message indicating wearing a mask is output.

다음은 메인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사용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a method of estima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 the main server 200 or the user terminal 100 .

미세먼지 측정장치(310)는 소정 높이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미세먼지 농도 측정 높이는 정하여져 있으며, 이미 알고 있는 값이다. 여기서는 측정 높이 위치의 하부에 위치하는 사용자 또는 동반자의 키높이 위치에서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추정한다. 바닥으로부터 사용자 또는 동반자의 얼굴(얼굴의 중심)의 위치여야 하지만, 이를 정확히 측정은 어려우므로, 여기서는 사용자 또는 동반자의 키높이 위치에서의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한다.Since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31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height is determined and is a known value. He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t the height of the user or companion located below the measurement height is estimated. It should be the position of the user's or companion's face (center of the face) from the floor, bu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it, so her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t the height of the user or companion is estimated.

사용자 또는 동반자의 키높이 위치에서의 미세먼지 농도는, 사용자 또는 동반자의 키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미세먼지 측정장치(310)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왜냐하면, 미세먼지가 낙하하기 때문이다.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t the height of the user or companion may be higher tha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310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user or companion. This is because fine dust falls.

여기서 미세먼지 농도 측정 높이에서, 사용자 또는 동반자의 키높이 위치까지의 거리차(즉, 수직 거리차)를 '목표위치까지의 거리차(h)'라 한다. Here, the distance difference (ie, the vertical distance difference) from the height of the measurement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to the height of the user or companion is referred to as the 'distance difference (h) to the target position'.

사용자 또는 동반자의 키보다 높은 위치에서의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미세먼지 부유정도를 나타내는 함수 f(xt) (즉, 측정 시간 xt에 미세먼지가 얼마나 들떠있는가를 나타내는 함수)와, 미세먼지 침강 함수 f(h) (즉, 미세먼지가 미세먼지 측정장치의 설치 위치로부터 목표위치인 사용자의 키까지의 거리차(h) 만큼 침강(자유낙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t a location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user or companion are the function f(xt) indicating the degree of fine dust floating (that is, the function indicating how excited the fine dust is at the measurement time xt), and the fine It is th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f(h) (that is, a function representing the degree of sedimentation (free fall) of fine dust by the distance (h) from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to the target position of the user's height.

사용자 또는 동반자의 키높이 위치에서의 미세먼지 농도(Cm)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fine dust concentration (Cm) at the height of the user or companion can be expressed as follows.

Cm = Cs × f(x) × f(h)Cm = Cs × f(x) × f(h)

단, Cs는 미세먼지 측정장치에서 검출된 미세먼지 농도의 값이다.However, Cs is the value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미세먼지 부유정도를 나타내는 함수 f(xt)는, 감지 시간 xt에 따른 미세먼지 부유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로, 도 4에서와 같이, f(xt)는 감지 시간 xt가 0에 가까울수록 값이 커지고, 감지 시간 xt가, 소정 짧은 시간인, 공기 순환에 필요한 시간(T)에 가까워질수록 1에 가까워진다. 즉, 감지 시간 xt가 길수록, 공기가 교반되는 빈도가 커지고, 미세먼지(입자상 물질)이 날아 오를 확률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감지 시간 xt가 길수록, 목표 위치와 측정 높이 위치의 미세먼지 농도는 비슷해지며, 즉, f(xt)는 1로 가까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감지 시간 xt가 T를 충분히 초과하는 시간에 있다고 가정하고, 미세먼지 부유정도를 나타내는 함수 f(xt)는 1로 한다.The function f(xt) representing the fine dust floating degree is a function representing the fine dust floating degree according to the detection time xt. As shown in FIG. 4, f(xt) increases as the detection time xt approaches 0, The sensing time xt approaches 1 as it approaches the time T required for air circulation, which is a predetermined short time. That is, the longer the detection time xt, the greater the frequency of air agitation and the higher the probability that fine dust (particulate matter) will fly. For this reason, as the detection time xt is longer,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t the target position and the measurement height position becomes similar, that is, f(xt) approaches 1.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detection time xt sufficiently exceeds T, and the function f(xt) representing the degree of floating fine dust is set to 1.

따라서 이 경우, 사용자 또는 동반자의 키높이 위치에서의 미세먼지 농도(Cm)는 Cm = Cs × f(h)가 된다.Therefore, in this cas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Cm) at the height of the user or companion becomes Cm = Cs × f(h).

일반적으로, 미세먼지 침강 함수 f(h)는, 도 5와 같이, 목표위치까지의 거리차(h)가 0인 경우, 즉, 측정 높이 위치와 목적 높이 위치가 동일한 경우, 미세먼지 침강 함수f(h)는 1이 된다. 또한, 목표위치까지의 거리차(h)가 커지는 만큼, 목적 높이 위치와 측정 높이 위치와의 농도가 서로 달라지며, f(h)는 커지게 된다.In general,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f(h) is, as shown in FIG. 5, when the distance difference (h) to the target position is 0, that is, when the measurement height position and the target height position are the same,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f (h) becomes 1. In addition, as the distance difference (h) to the target position increases, the concentration between the target height position and the measurement height positio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f(h) increases.

f(h)는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으로, 이는 메인DB에 저장되어 있다. f(h) is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by height, which is stored in the main DB.

f(h)는, 대형건물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사용초기에 또는 공장출하전에, 지면에 수직한 수직선을 따라, 소정 간격(소정 거리)마다 미세먼지 측정장치가 장착되어, 미세먼지 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미세먼지 농도들을, 제일 상부(상단)의 미세먼지 측정장치에서 검출된 미세먼지 농도로 정규화한 후, 이를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으로서, 메인DB(250)에 저장한다.f(h) is, at the beginning of use of the large building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or before shipment from the factory, along a vertical lin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is installed at every predetermined interval (predetermined distance) to detec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 after normalizing the detected fine dust concentrations to the fine dust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uppermost (upper) fine dust measuring device, it is stored in the main DB 250 as a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즉, 메인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술한 평균 미세먼지 농도에, 사용자 및 동반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곱하여, 사용자 및 동반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한다.That is, the main server 200 or the user terminal 100 multiplies the above-described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by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and the companion,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and the companion to estimate

도 2는 본 발명의 대형건물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2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large building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미세먼지 측정장치(310)는 정기적으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신호와 미세먼지 측정장치 ID정보를 메인서버(200)로 전송하며, 메인서버(200)는 미세먼지 농도신호를 각 미세먼지 측정장치(310)별로 메인DB(250)에 저장한다. Each fine dust measuring device 310 periodically measure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ransmits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signal and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ID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200, and the main server 200 ha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The signal is stored in the main DB 250 for each fine dust measuring device 310 .

초기화 단계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어플, 앱)을 설치하되,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설치시, 사용자의 키, 나이, 병력, 건강상태, 평상시 동반자가 있는지(즉, 아동 또는 유아와 동반하는 지), 동반자의 키 및 나이 등등의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개인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된다(S110). As an initialization step, the user installs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pplication, app) in the user terminal 100, but when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the user's height, age, medical history, health status, whether there is a companion (that i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whether a child or infant is accompanied), the height and age of the companion, and the like are input,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not shown) of the user terminal 100 ( S110 ).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대형건물에서 배포한 회원용 응용프로그램(예로, 병원 환자용 어플, 쇼핑몰 고객회원 어플, 학교의 학생용 어플, 아파트의 주민용 어플)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In some cases,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included in a member application program distributed in a large building (eg, a hospital patient application, a shopping mall customer member application, a school student application, an apartment application for residents).

개인정보 전송단계로, 비콘인식기(150)가 사용자 단말기(100)으로부터 스마트폰 신호(즉, 스마트폰의 비콘ID 정보(블루투스 페어링 정보) 또는 전화번호 등)를 수신하면, 비콘인식기(150)는 비콘 ID와 함께 상기 스마트폰 신호를 메인서버(200)로 전송하고(S120), 메인서버(200)는 스마트폰 신호의 사용자 단말기(100)로 개인정보 및 위치정보의 요청신호를 전송하고(S130),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는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된 개인정보 및 위치정보(즉, GPS를 통한 위치정보)를 메인서버(200)로 전송한다(S140).In the pers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when the beacon recognizer 150 receives a smartphone signal (ie, beacon ID information (Bluetooth pairing information) or phone number of the smartphone)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beacon recognizer 150 is Transmits the smartphone signal together with the beacon ID to the main server 200 (S120), and the main server 200 transmits a request signal for personal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of the smartphone signal (S130) ), the user terminal 100 transmits personal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i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GPS) stored in the memory unit (not shown) to the main server 200 ( S140 ).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 수신단계로, 메인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미세먼지 측정장치(310), 즉, 미세먼지 측정장치 ID정보를 찾고, 메인 DB로부터 상기 미세먼지 측정장치 ID정보를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장치(310)로부터, 현재시간을 기준으로, 과거로, 기설정된 평균농도 검출시간동안(예로 5분간)에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측정 데이터를 읽어들인다(S150).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미세먼지 측정장치(310)를, '사용자 위치 미세먼지 측정장치'라 할 수 있다.In the fine dust measurement data receiving step, the main server 200 finds the fine dust measurement device 310 locat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at is, the fine dust measurement device ID information, and the main DB From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310 having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ID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time to the pas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data measured during the preset average concentration detection time (for example, 5 minutes) is read. Intake (S150). Here,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310 located clos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referred to as a 'user location fine dust measuring device'.

평균 미세먼지 농도 연산단계로, 메인서버(200)는,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 수신단계에서 읽어들인 현재시간을 기준으로 과거로, 기설정된 평균농도 검출시간(예로 5분간)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 데이터를 메인 DB(250)으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평균농도 검출시간동안(예로 5분간)의 평균 미세먼지 농도를 구한다(S160). In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calculation step, the main server 200 calculate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data of the preset average concentration detection time (for example, 5 minutes) in the past based on the current time read in the fine dust measurement data receiving step. It reads from the main DB 250 and calculates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during the average concentration detection time (eg, 5 minutes) (S160).

1개의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를 사용할 경우, 그 데이터가 오차, 에러 등의 데이터일 수 있으므로, 평균 미세먼지 농도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오차, 에러를 줄인다.When using one piece of fine dust concentration data, the data may be data such as errors and errors, so the error and error are reduced by using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추정단계로, 메인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의 수신된 사용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메인DB(250)로부터 읽어들이고, 평균 미세먼지 농도 연산단계에서 구한 평균 미세먼지 농도 값에, 사용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곱하여, 사용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 연산한다(S170).In the step of estima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the main server 200 reads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from the main DB 250 and , by multiplying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obtained in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calculation step by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is estimated and calculated (S170).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와의 비교단계로, 메인서버(200)는,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추정단계에서 구한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과,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비교하여(S180), 초과할 경우에, 사용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와,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하여금 이를 출력하게 한다(S190). 이때, 메인서버(200)는, 개인정보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나이, 병력, 건강상태에 따라,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달리 설정한다. In the comparison step with the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the main server 200 compare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user key obtained i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estimation step according to the user key with the user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S180) , when it exceed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and the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has been exceede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so that the user terminal 100 outputs it (S190) . At this time, the main server 200 differently sets the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age, medical history, and health condition of the user received through the personal information.

사용자 마스크 착용여부 판단단계로,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와의 비교단계에서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이,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메인서버(200)는,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에서,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차감하고, 차감된 값이,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의 1/2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고(S200), 만약, 차감된 값이,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의 1/2를 초과할 경우에, 사용자의 마스크 착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하여금 이를 출력하게 한다(S210).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wears a mask,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user key exceeds the user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in the comparison step with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the main server 200, the fine dust according to the user key From the concentration value, the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is subtract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ubtracted value exceeds 1/2 of the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S200), and if the subtracted value is the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When it exceeds 1/2, a message informing the user of wearing a mask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user terminal 100 outputs it (S210).

동반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추정단계로, 개인정보에서 평상시 동반자가 있는 경우에는, 메인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의 수신된 동반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메인DB(250)로부터 읽어들이고, 평균 미세먼지 농도 연산단계에서 구한 평균 미세먼지 농도 값에, 동반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곱하여, 동반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 연산한다(S220).In the step of estima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companion's height, if there is a companion in personal information, the main server 200,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by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is read from the main DB 250, and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obtained in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calculation step is multiplied by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is calculated. Estimate and calculate (S220).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와의 비교단계로, 메인서버(200)는, 동반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추정단계에서 구한 동반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과,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비교하여(S230), 초과할 경우에, 동반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와,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하여금 이를 출력하게 한다(S240). 이때, 메인서버(200)는, 개인정보를 통해 수신된 동반자의 나이, 병력, 건강상태에 따라,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달리 설정한다. As a comparison step with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the main server 200 compare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companion key obtained i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estimation step according to the companion key with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S230), When it exceed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companion key and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has been exceede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user terminal 100 outputs it (S240). In this case, the main server 200 differently sets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according to the companion's age, medical history, and health condition received through the personal information.

동반자 마스크 착용여부 판단단계로,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와의 비교단계에서 동반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이,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메인서버(200)는, 동반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에서,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차감하고, 차감된 값이,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의 1/2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고(S250), 만약, 차감된 값이,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의 1/2를 초과할 경우에, 동반자의 마스크 착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하여금 이를 출력하게 한다(S210).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wear a companion mask,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companion key exceed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in the comparison step with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the main server 200, the fine dust according to the companion key From the concentration value,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is subtract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ubtracted value exceeds 1/2 of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S250), and if the subtracted value is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When it exceeds 1/2, a message informing the companion of wearing a mask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user terminal 100 outputs it (S210).

도 3은 본 발명의 대형건물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3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riv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large building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초기화 단계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어플, 앱)을 설치하되,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설치시, 사용자의 키, 나이, 병력, 건강상태, 평상시 동반자가 있는지(즉, 아동 또는 유아와 동반하는 지), 동반자의 키 및 나이 등등의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개인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되며,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키, 나이, 병력, 건강상태, 평상시 동반자가 있는지(즉, 아동 또는 유아와 동반하는 지), 동반자의 키 및 나이 등등의 개인정보를 메인서버(200)으로 전송한다(S110). As an initialization step, the user installs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pplication, app) in the user terminal 100, but when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the user's height, age, medical history, health status, whether there is a companion (that is, Enter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whether you are accompanied by a child or infant), the height and age of the companion,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not shown) of the user terminal 100 , and the user terminal 100 i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height, age, medical history, health status, whether there is usually a companion (ie, accompanied by a child or infant), the height and age of the companion, etc. is transmitted to the main server 200 (S110).

개인정보 전송단계로, 비콘인식기(150)가 사용자 단말기(100)으로부터 스마트폰 신호(즉, 스마트폰의 비콘ID 정보(블루투스 페어링 정보) 또는 전화번호 등)를 수신하면, 비콘인식기(150)는 비콘 ID와 함께 상기 스마트폰 신호를 메인서버(200)로 전송하고(S120), 메인서버(200)는 스마트폰 신호의 사용자 단말기(100)로 위치정보의 요청신호를 전송하고(S130),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는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된 위치정보(즉, GPS를 통한 위치정보)를 메인서버(200)로 전송한다(S145).In the pers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when the beacon recognizer 150 receives a smartphone signal (ie, beacon ID information (Bluetooth pairing information) or phone number of the smartphone)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beacon recognizer 150 is Transmits the smart phone signal together with the beacon ID to the main server 200 (S120), and the main server 200 transmits a request signal for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of the smart phone signal (S130), thereby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10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i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GPS) stored in the memory unit (not shown) to the main server 200 (S145).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 수신단계로, 메인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미세먼지 측정장치(310), 즉, 미세먼지 측정장치 ID정보를 찾고, 메인 DB로부터 상기 미세먼지 측정장치 ID정보를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장치(310)로부터, 현재시간을 기준으로, 과거로, 기설정된 평균농도 검출시간동안(예로 5분간)에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측정 데이터를 읽어들인다(S150).In the fine dust measurement data receiving step, the main server 200 finds the fine dust measurement device 310 locat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at is, the fine dust measurement device ID information, and the main DB From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310 having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ID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time to the pas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data measured during the preset average concentration detection time (for example, 5 minutes) is read. Intake (S150).

평균 미세먼지 농도 연산단계로, 메인서버(200)는,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 수신단계에서 읽어들인 현재시간을 기준으로 과거로, 기설정된 평균농도 검출시간(예로 5분간)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 데이터를 메인 DB(250)으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평균농도 검출시간동안(예로 5분간)의 평균 미세먼지 농도를 구하고(S160), 구하여진 평균 미세먼지 농도, 그리고 메인 DB(250)으로부터 읽어들인 사용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 및 동반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70). In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calculation step, the main server 200 calculate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data of the preset average concentration detection time (for example, 5 minutes) in the past based on the current time read in the fine dust measurement data receiving step. Read from the main DB 250 to obtain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during the average concentration detection time (for example, 5 minutes) (S160), the obtained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user's key read from the main DB 250 Accordingly,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nd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S270).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추정단계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는, 평균 미세먼지 농도 연산단계에서 구한 평균 미세먼지 농도 값에, 사용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곱하여, 사용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 연산한다(S280).In the step of estima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obtained in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calculation step, fine dust sedimentation by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By multiplying the function valu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is estimated and calculated (S280).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와의 비교단계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는,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추정단계에서 구한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과,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비교하여(S290), 초과할 경우에, 사용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와,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게 한다(S300). 이때, 사용자 단말기(1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는, 개인정보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나이, 병력, 건강상태에 따라,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달리 설정한다. In the step of comparing the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with the reference value,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of the user terminal 100 perform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user key obtained i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estimation step according to the user key, and the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The reference value is compared (S290), and when it is exceede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and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has been exceeded are output (S300). At this time,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of the user terminal 100 differently sets the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user's age, medical history, and health condition received through personal information.

사용자 마스크 착용여부 판단단계로,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와의 비교단계에서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이,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는,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에서,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차감하고, 차감된 값이,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의 1/2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고(S310), 만약, 차감된 값이,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의 1/2를 초과할 경우에, 사용자의 마스크 착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게 한다(S320).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wears a mask,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user key exceeds the user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in the comparison step with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of the user terminal 100 is , from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user key, subtract the user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and determine whether the subtracted value exceeds 1/2 of the user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S310), and if the subtracted value is , when it exceeds 1/2 of the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a message notifying the user of wearing a mask is output (S320).

동반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추정단계로, 개인정보에서 평상시 동반자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는, 평균 미세먼지 농도 연산단계에서 구한 평균 미세먼지 농도 값에, 동반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곱하여, 동반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 연산한다(S330).In the step of estima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companion key, when there is a companion in personal information,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of the user terminal 100 adds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obtained in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calculation step, By multiplying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is estimated and calculated (S330).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와의 비교단계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는, 동반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추정단계에서 구한 동반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과,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비교하여(S350), 초과할 경우에, 동반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와,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게 한다(S360). 이때, 사용자 단말기(1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는, 개인정보로서 저장된 동반자의 나이, 병력, 건강상태에 따라,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달리 설정한다. In the step of comparing with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companion key obtained i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estimation step according to the companion key,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is compared (S350), and when it exceed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companion key and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is exceeded is output (S360). At this time,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of the user terminal 100 differently sets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according to the companion's age, medical history, and health condition stored as personal information.

동반자 마스크 착용여부 판단단계로,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와의 비교단계에서 동반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이,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동반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에서,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차감하고, 차감된 값이,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의 1/2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고(S370), 만약, 차감된 값이,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의 1/2를 초과할 경우에, 동반자의 마스크 착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한다(S380).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wear a companion mask,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companion key exceed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in the comparison step with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fine dust according to the companion key From the concentration value,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is subtract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ubtracted value exceeds 1/2 of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S370), and if the subtracted value is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If it exceeds 1/2, a message notifying that the companion wears a mask is output (S380).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도 2의 실시예보다, 메인서버에서 계산하는 량이 줄어듬에 의해, 메인서버의 부하량이 적다.In the embodiment of Fig. 3, compared to the embodiment of Fig. 2, since the amount of calculation in the main server is reduced, the load of the main server is small.

도 6은 본 발명의 대형건물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의 일예이다.6 is an example of a scree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arge building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기 화면에 사용자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 즉, PM-10(미세먼지 농도), PM-2.5(초미세먼지 농도)을 출력하고, 사용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즉, PM-10(미세먼지 농도), PM-2.5(초미세먼지 농도)을 출력하며, 사용자별 기준치에 따라 마스크 착용여부를 판단하여, 마스크 착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있다.The fine dust concentration around the user, that is, PM-10 (fine dust concentration) and PM-2.5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is output on the user terminal screen,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that is, PM-10 (fine dust concentration) is output. Dust concentration) and PM-2.5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are output, and a message indicating wearing a mask is output by judging whether to wear a mask according to a standard value for each us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which are various modifications and Transform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사용자 단말기 150: 비콘 인식기
200: 메인서버 250: 메인 DB
300: 층별 미세먼지 농도 검출부 310: 미세먼지 측정장치
100: user terminal 150: beacon recognizer
200: main server 250: main DB
300: fine dust concentration detection unit for each layer 310: fine dust measuring device

Claims (13)

건물 내의 각 층의 분할영역에 미세먼지 측정장치가 각각 구비되어,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미세먼지 측정장치가 장착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 ID정보와 함께, 메인서버로 전송하고, 메인서버는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를 미세먼지 측정장치별로 메인 DB(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이루어진 건물 내의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건물에 장착되어 있는 비콘 인식기는, 상기 건물을 방문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의 스마트폰 신호를 수신하여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폰 신호 전송단계;
스마트폰 신호 전송단계 후, 메인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GPS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키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GPS 위치정보와 거리가 가장 가까운 미세먼지 측정장치인, 사용자 위치 미세먼지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를 메인DB로부터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미세먼지 농도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미세먼지 농도신호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의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is provided in each divided area of each floor in the building to measur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ID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is mounted, and In the driving method of a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in a building, which is transmitted together to the main server, and the main server stores the received fine dust concentration in the main DB (database) for each fine dust measuring device,
A beacon recognizer mounted in a building, receiving a smartphone signal of a user terminal of a user who has visited the building and transmitting it to a main server, a smartphone signal transmission step;
After the smartphone signal transmission step, the main server receives, from the user terminal,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key, and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losest distance to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the user's location fine dust A fine dust concentration signal transmission step of read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data received from the measuring device from the main DB and transmitting the read fine dust concentra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A method of driving a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in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메인서버는 사용자 위치 미세먼지 측정장치로부터 현재시간을 기준으로, 과거로, 기설정된 평균농도 검출시간동안에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측정 데이터를 읽어들여, 평균농도 검출시간동안의 평균 미세먼지 농도 값을 구하는, 평균 미세먼지 농도 연산단계;
메인서버는 사용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메인DB로부터 읽어들이는, 사용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 수신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의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server read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data measured during the preset average concentration detection time to the past, based on the current time from the user location fine dust measurement device, and obtains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during the average concentration detection time. , calculating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The main server reads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from the main DB, and receives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A method of driving a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in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제2항에 있어서,
평균 미세먼지 농도 연산단계 및 사용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 수신단계의 사이에, 메인서버는 평균 미세먼지 농도 값에, 사용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곱하여, 사용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연산하는,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추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의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Betwee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step of receiving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by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the main server multiplies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by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by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The method of driving a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in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alcula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and estima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추정단계 및 사용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 수신단계의 사이에, 메인서버는,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이, 기설정된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에, 사용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와,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와의 비교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의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Between the step of estima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and the step of receiving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the main server determines tha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user's key is the preset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In case of exceeding,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mpar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and the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by transmitting a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notifying that the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has been exceeded, How to operate a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in a building.
제4항에 있어서,
메인서버는, 사용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이,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에서,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차감하고, 차감된 값이,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의 1/2를 초과할 경우에, 사용자의 마스크 착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마스크 착용여부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의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ain server,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user key exceeds the user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subtracts the user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from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user key, and the subtracted value is the fine dust When the concentration exceeds 1/2 of the reference value, transmitting a message informing the user of wearing the mask to the user terminal, driving method of the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in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wears a mask .
제5항에 있어서,
개인정보는, 평상시 동반자가 있는지 여부, 동반자의 키를 더 포함하며, 만약, 개인정보에 평상시 동반자가 있다고 한다면,
메인서버는 동반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메인DB로부터 읽어들이고, 평균 미세먼지 농도 값에, 동반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곱하여, 동반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연산하는, 동반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추정단계;
메인서버는 동반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이, 기설정된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에, 사용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와,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와의 비교단계;
메인서버는 동반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이,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동반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에서,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차감하고, 차감된 값이,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의 1/2를 초과할 경우에, 동반자의 마스크 착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반자 마스크 착용여부 판단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의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Personal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whether there is a companion on a regular basis, and the height of the companion, and if there is a companion in the personal information,
The main server reads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by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from the main DB, and multiplies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by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by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estima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companion key, calcula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companion's height exceeds the preset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the main server sends a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notifying tha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and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are exceeded a comparison step with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companion key exceeds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the main server subtracts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from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companion key, and the subtracted value i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When it exceeds 1/2 of the standard value, a message indicating whether the companion is wearing the mask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companion is wearing a mask
A method of driving a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in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는, 메인서버로부터, 평균 미세먼지 농도 및 사용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수신하는, 평균 미세먼지 농도 및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 수신단계;
사용자 단말기는, 평균 미세먼지 농도 값에, 사용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곱하여, 사용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연산하는,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추정단계;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이, 기설정된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에, 사용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와,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와의 비교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의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from the main server, receiving an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a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receiving an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n estimating step of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calcula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by multiplying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by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user key exceeds the preset user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the user terminal output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 key and the user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are exceeded , Comparison step with the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A method of driving a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in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이,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사용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에서,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차감하고, 차감된 값이,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의 1/2를 초과할 경우에, 사용자의 마스크 착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사용자 마스크 착용여부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의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user key exceeds the user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the user terminal subtracts the user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from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user key, and the subtracted value is the fine dust When the concentration exceeds 1/2 of the reference value, outputting a message informing the user of wearing the mask, the driving method of the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in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wears a mask.
제4항에 있어서,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및 병력을 더 포함하며,
사용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는 사용자의 나이 및 병력에 따라서 달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의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Personal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the user's age and medical history,
A method of driving a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in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erence value of the user's fine dust concentration i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ge and medical history of the user.
제8항에 있어서,
개인정보는, 평상시 동반자가 있는지 여부, 동반자의 키를 더 포함하며, 만약, 개인정보에 평상시 동반자가 있다고 한다면, 평균 미세먼지 농도 및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 수신단계에서, 메인서버는, 동반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메인DB로부터 읽어들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평균 미세먼지 농도 값에, 동반자의 키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을 곱하여, 동반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연산하는, 동반자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추정단계;
사용자 단말기는, 동반자의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이, 기설정된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에, 사용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와,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와의 비교단계;
사용자 단말기는, 동반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이,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동반자 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값에서,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를 차감하고, 차감된 값이,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의 1/2를 초과할 경우에, 동반자의 마스크 착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반자 마스크 착용여부 판단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의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Personal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whether or not there is a companion on a regular basis, and the height of the companion. If there is a companion in personal information, the main server,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by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s read from the main DB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multiplies the averag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by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and calculate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anion, estima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companion's height;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companion's height exceeds the preset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the user terminal output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and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have been exceeded Comparison step with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companion key exceeds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the user terminal deducts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from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companion key, and the deducted value is the fine dust When the concentration exceeds 1/2 of the standard value, a message indicating whether the companion is wearing the mask is output, a determination step of whether the companion is wearing the mask
A method of driving a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in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제2항에 있어서,
미세먼지 측정장치들은 기설정된 동일한 측정높이로 설치되며,
미세먼지 침강 함수는, 미세먼지가, 미세먼지 측정장치의 측정높이로부터, 목표높이인, 사용자 키 또는 동반자 키까지의 거리차 만큼 침강(자유낙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로, 상기 거리차가 0일때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은 1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목표높이별로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은 메인 DB에 기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의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Fine dust measuring devices are installed at the same preset measurement height,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is a function indicating the degree of sedimentation (free fall) of fine dust by the distance difference from the measurement height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to the target height, the user's or companion's height, and when the distance difference is 0, the fine dust A method of driving a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in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is made to have 1, and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for each target height is pre-stored in the main DB.
제11항에 있어서,
미세먼지 침강 함수는, 사용초기에 또는 공장출하전에, 지면에 수직한 수직선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장착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미세먼지 농도들을, 제일 상부의 미세먼지 측정장치에서 검출된 미세먼지 농도로 정규화한 후, 이를 높이별 미세먼지 침강 함수값으로서, 메인DB에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의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detect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by installing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vertical lin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t the beginning of use or before shipment from the factory, and sets the detected fine dust concentrations to the uppermost A method of driving a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in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after normalizing to the fine dust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it is stored in the main DB as a fine dust sedimentation function value by height.
제6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인정보는 동반자의 나이 및 병력을 더 포함하며,
동반자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는 동반자의 나이 및 병력에 따라서 달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의 미세먼지 알림 시스템의 구동방법.
11.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 or 10,
Personal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the age and medical history of the companion,
A driving method of a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in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anion fine dust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i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mpanion's age and medical history.
KR1020200018373A 2020-02-14 2020-02-14 Operation Method of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for Large Buildings KR1026143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373A KR102614345B1 (en) 2020-02-14 2020-02-14 Operation Method of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for Large Build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373A KR102614345B1 (en) 2020-02-14 2020-02-14 Operation Method of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for Large Buildin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779A true KR20210103779A (en) 2021-08-24
KR102614345B1 KR102614345B1 (en) 2023-12-18

Family

ID=77506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373A KR102614345B1 (en) 2020-02-14 2020-02-14 Operation Method of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for Large Build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345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1169A1 (en) * 2005-03-23 2006-09-28 Ihc Corp. Authentication system
KR20070079885A (en) * 2006-02-04 2007-08-08 윤도경 System and method for alarming an outing individually related by weather condition
KR20180076084A (en) * 2016-12-27 2018-07-05 조흔우 Apparatus and method for dealing with fine dust
KR101892345B1 (en) * 2016-07-01 2018-08-27 우연정 System for measuring fine dust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180119515A (en) * 2017-04-25 2018-11-02 김현민 Personalized service operation system and method of smart device and robot using smart mobile device
JP2019174266A (en) * 2018-03-28 2019-10-10 東京瓦斯株式会社 Device and method for estimating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substance
KR20200012209A (en) * 2018-07-26 2020-02-05 고정원 Mask distribution apparatus based on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1169A1 (en) * 2005-03-23 2006-09-28 Ihc Corp. Authentication system
KR20070079885A (en) * 2006-02-04 2007-08-08 윤도경 System and method for alarming an outing individually related by weather condition
KR101892345B1 (en) * 2016-07-01 2018-08-27 우연정 System for measuring fine dust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180076084A (en) * 2016-12-27 2018-07-05 조흔우 Apparatus and method for dealing with fine dust
KR20180119515A (en) * 2017-04-25 2018-11-02 김현민 Personalized service operation system and method of smart device and robot using smart mobile device
JP2019174266A (en) * 2018-03-28 2019-10-10 東京瓦斯株式会社 Device and method for estimating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substance
KR20200012209A (en) * 2018-07-26 2020-02-05 고정원 Mask distribution apparatus based on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345B1 (en) 202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31596B (en) Tracking exposure to air pollutants
US9728060B2 (en) Monitoring system
EP3304073B1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subject
US20180137735A1 (en)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9456771B2 (en) Method for estimating velocities and/or displacements from accelerometer measurement samples
JP70416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risk level of respiratory attacks
US10295399B2 (en) Global overweight and obesity preventing and tracking system and method
KR102167296B1 (en) Life-based care system for the elderly
EP3358520A1 (en) Air quality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through survey, and air quality prediction server
US2015015306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level of confinement of internal air, and related environment device and station
KR102107722B1 (en) Method and system for non-contact monitoring biological information by using a microwave radar signal
JP2017117492A (en) Watching system
JP2017161522A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KR102614345B1 (en) Operation Method of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for Large Buildings
JP2020071621A (en) Monitor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or
KR102526643B1 (en) Large building fine dust notification system linked with smartphone
KR101890190B1 (en) Care system for fine dust
KR102055621B1 (en) Fine Dust Monitoring System
JP7403761B2 (en) Care recipient monitoring support system
CN106920366B (en) Human body falling dete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11313962B2 (en) Presence/absence detection metho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ensor processing system, and sensor system
US11457875B2 (en) Event prediction system, sensor signal processing system, event predic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JP6666152B2 (en) Security service support system and security device
KR102135425B1 (en) Server-integrated infant health monitoring device
CN117561552A (en) Action monitoring system and action monito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