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157A - 인버터 회로 - Google Patents
인버터 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03157A KR20210103157A KR1020200017544A KR20200017544A KR20210103157A KR 20210103157 A KR20210103157 A KR 20210103157A KR 1020200017544 A KR1020200017544 A KR 1020200017544A KR 20200017544 A KR20200017544 A KR 20200017544A KR 20210103157 A KR20210103157 A KR 202101031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lay
- link capacitor
- gate
- voltage
- curr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회로는 초기 동작 시 정류부의 전류를 제한하고, 제한된 전류를 제1 및 제2 마디 사이의 DC 링크 커패시터로 공급하여 충전하며, 충전이 완료되면 릴레이를 닫아(on) 정류부의 전류를 DC 링크 커패시터로 공급하는 초기충전부를 포함하는 인버터 회로로서, DC 링크 커패시터의 충전 전압을 검출하도록 서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검출 저항; 및 일부 검출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 크기에 따라 온(on)/오프(off) 되어 릴레이를 닫기(on) 위한 전압(VR)의 공급을 결정하는 스위치 소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버터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DC(direct current)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을 검출하여 릴레이의 동작을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인버터 회로 관한 것이다.
인버터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일정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전동기에 제공하는 전력변환장치이다. 인버터에는 돌입전류에 의한 과전류에 의해 소자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초기충전회로(또는 “초기충전부”라 지칭)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초기충전회로는 초기 입력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하게 되는데, 초기 입력 전류를 제한 하는 이유는 제한 없이 전류가 입력될 경우에 입력 모듈에 구비된 전자 소자(다이오드, SCR 등)를 손상시킬 수 있고, DC 링크 커패시터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종래 인버터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인버터 회로는, 3상 교류전원을 인가 받아 정류하는 정류부(10)와, 정류부(10)에서 정류된 전류를 공급받아 평활 및 충전하는 DC 링크 커패시터(30)와, DC 링크 커패시터(30)의 충전전압을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전동기(미도시)에 공급하는 인버터부(40)와, 초기 동작 시 초기충전저항(21)을 통해 정류부(10)의 정류된 전류를 제한하여 공급하며 DC 링크 커패시터(30)의 충전이 완료되면 릴레이(22)를 닫아 릴레이(22)를 통해 전류를 공급하는 초기충전부(20)와, 릴레이(2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류를 생성하는 릴레이 구동부(50)와, 릴레이 구동부(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예를 들어, CPU 등)를 포함한다. 이때, 릴레이 구동부(50)는 릴레이의 접점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릴레이(22)를 구동한다.
초기 동작에서 3상 교류전원이 정류부(10)의 각 입력단에 각각 입력되면, 수동소자인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정류부(10)는 정류된 직류 전류를 공급한다. 이때, 릴레이 구동부(50)는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릴레이(22)를 개방(off) 상태로 유지하며, 정류부(10)에서 정류된 직류 전류는 릴레이(22)와 병렬 연결된 초기충전저항(21)을 통해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초기충전저항(21)의 크기에 의해 DC 링크 커패시터(30)에 공급되는 전류는 제한되어, 초기 돌입전류에 의한 DC 링크 커패시터(30)의 절연 파괴 등 소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DC 링크 커패시터(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복수개의 커패시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초기충전저항(21)을 통한 제한된 전류의 공급을 통해 DC 링크 커패시터(30)가 완전히 충전된 후, 릴레이 구동부(50)는 릴레이(22)를 닫아(on) 초기충전저항(21)을 통하지 않고 릴레이(22)를 통해 정류부(10)의 직류 전류가 DC 링크 커패시터(30)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릴레이 구동부(50)의 제어는 제어부(60)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제어부(60)는 DC 링크 커패시터(30)에 충전된 전압(VDC)을 검출하여 검출된 전압(VDC)이 기준전압에 도달하면 릴레이(22)를 닫는(on) 제어를 수행한다.
즉, 종래 인버터의 경우, 제어부(60)가 DC 링크 커패시터(30)에 충전된 전압(VDC)에 따라 릴레이 구동부(50)의 동작을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60)는 저전압 신호를 입출력 처리하는 반면, DC 링크 커패시터(30)에는 고전압이 충전되므로, 제어부(60)와 DC 링크 커패시터(30)의 사이에 고전압의 DC 링크 커패시터(30)의 전압(VDC)의 값을 센싱하여 저전압 신호로 제어부(60)에 입력하는 추가 회로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종래 인버터는 회로가 복잡해질 뿐 아니라, 복잡한 회로에 따라 그 부피도 커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별도의 제어부가 없더라도 간단한 회로 구성을 통해 DC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릴레이의 동작을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인버터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회로는, 초기 동작 시 정류부의 전류를 제한하고, 제한된 전류를 제1 및 제2 마디 사이의 DC 링크 커패시터로 공급하여 충전하며, 충전이 완료되면 릴레이를 닫아(on) 정류부의 전류를 DC 링크 커패시터로 공급하는 초기충전부를 포함하는 인버터 회로로서, (1) DC 링크 커패시터의 충전 전압을 검출하도록 서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검출 저항, (2) 일부 검출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 크기에 따라 온(on)/오프(off) 되어 릴레이를 닫기(on) 위한 전압(VR)의 공급을 결정하는 스위치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검출 저항은 제1 및 제2 마디 사이에서 DC 링크 커패시터에 대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소자는 검출 저항들 사이의 어느 한 마디인 제3 마디에 게이트(G)가 연결되고, 상기 VR이 소스(S) 및 드레인(D)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며, 소스(S) 및 드레인(D) 중 다른 하나가 릴레이에 연결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3 마디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검출 저항(RT)이 연결되며, 상기 제2 및 제3 마디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검출 저항(Rgate)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Rgate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스위치 소자의 게이트(G)의 전압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소스(S) 및 드레인(D) 중 다른 하나와 릴레이의 사이에 추가 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DC 링크 커패시터는 복수의 커패시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별도의 제어부가 없더라도, 릴레이 구동부가 자체의 회로 구성을 통해 DC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을 검출하여 릴레이의 동작을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그 회로가 간단해질 뿐 아니라, 간단한 회로에 따라 그 부피도 줄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인버터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의 회로도에서 릴레이 구동부(500) 및 그 주변 회로에 대한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릴레이 구동부(500)에서 복수의 제1 검출 저항(RT)이 직렬 연결된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3에 대한 초기 동작 기간 동안 스위치 소자(S) 및 릴레이(220)의 오프(off) 동작과 전류(IDC)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3에 대한 DC 링크 커패시터(300)의 초기 충전 이후 동안 스위치 소자(S) 및 릴레이(220)의 온(on) 동작과 전류(IDC)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버의 회로도에서 시간에 따른 VDC 및 Vgate 값의 변화와, 스위치 소자(S) 및 릴레이(220)의 동작 변화에 대한 그래프를 각각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의 회로도에서 릴레이 구동부(500) 및 그 주변 회로에 대한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릴레이 구동부(500)에서 복수의 제1 검출 저항(RT)이 직렬 연결된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3에 대한 초기 동작 기간 동안 스위치 소자(S) 및 릴레이(220)의 오프(off) 동작과 전류(IDC)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3에 대한 DC 링크 커패시터(300)의 초기 충전 이후 동안 스위치 소자(S) 및 릴레이(220)의 온(on) 동작과 전류(IDC)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버의 회로도에서 시간에 따른 VDC 및 Vgate 값의 변화와, 스위치 소자(S) 및 릴레이(220)의 동작 변화에 대한 그래프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과 수단 및 그에 따른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경우에 따라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마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언급된 구성요소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용어는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또는 B”“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등에 따르는 설명은 인용된 특성, 변수, 또는 값과 같이 제시한 정보들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허용 오차, 측정 오차, 측정 정확도의 한계와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타 요인을 비롯한 변형과 같은 효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한정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된 경우,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요소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위 용어는 각 구성요소의 순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를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의 회로도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의 회로도에서 릴레이 구동부(500) 및 그 주변 회로에 대한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회로는, 3상 교류전원을 인가 받아 정류하는 정류부(100)와, 정류부(100)에서 정류된 전류를 공급받아 평활 및 충전하는 DC 링크 커패시터(300)와, DC 링크 커패시터(300)의 충전전압을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전동기(미도시)에 공급하는 인버터부(400)와, 초기 동작 시 초기충전저항(210)을 통해 정류부(100)의 정류된 전류를 제한하여 공급하며 DC 링크 커패시터(300)의 충전이 완료되면 릴레이(220)를 닫아 릴레이(220)를 통해 전류를 공급하는 초기충전부(200)와, 릴레이(220)를 제어하여 구동하는 릴레이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이때, 정류부(100), 초기충전부(200), DC 링크 커패시터(300) 및 인버터부(400)의 구성은 인버터 회로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구성이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DC 링크 커패시터(300)는 C 및 D 마디의 사이에 구비되는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복수개의 커패시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회로의 가장 큰 차별 구성인 릴레이 구동부(5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릴레이 구동부(500)는 DC 링크 커패시터(300)에 충전된 전압(VDC)을 검출하여 검출된 VDC 값에 따라 릴레이(220)의 접점 상태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릴레이 구동부(500)는 검출부(510) 및 구동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510)는 DC 링크 커패시터(300)에 충전된 VDC를 검출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검출부(510)는 DC 링크 커패시터(300)에 충전된 VDC를 검출하도록 서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검출 저항(RT, Rgate)을 포함한다. 즉, 복수의 검출 저항(RT, Rgate)은 C 및 D 마디 사이에서 DC 링크 커패시터(300)에 대해 병렬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DC 링크 커패시터(300)에 충전된 VDC가 동일하게, 제1 검출 저항(RT)과 제2 검출 저항(Rgate)의 전체 저항(Rtotal=RT+Rgate)에도 인가될 수 있다. 그 결과, Rtotal과 Rgate 간의 분배 비율(Rgate/Rtotal)에 비례한 크기의 전압(Vgate)이 Rgate에 인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Vgate는 하기 (식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Vgate = VDC × (Rgate/Rtotal) (식1)
이러한 RT 및 Rgate의 크기에 따라, 릴레이(220)의 구동 전압을 선정할 수 있으며, 후술할 스위치 소자(S)의 구동 전압에 맞게 그 레벨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 소자(S)의 구동 전압이 3V일 경우, VDC가 완전히 충전될 때의 Vgate가 3V 이상이 되도록 하는 값을 가지는 RT 및 Rgate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릴레이 구동부(500)에서 복수의 제1 검출 저항(RT)이 직렬 연결된 것을 나타낸다.
한편, RT 또는 Rgate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복수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특정의 분배 비율(Rgate/Rtotal)의 값을 만족시키기 위한 RT과 Rgate의 값을 각각 1개의 저항으로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RT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저항(RT1, ... RTn)(단, n은 2이상의 자연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구동부(520)는 일부 검출 저항(즉, Rgate)에 인가되는 전압(Vgate) 크기에 따라 릴레이(220)를 닫기(on) 위한 전압(VR)이 릴레이(220)에 공급되는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릴레이(2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VR은 릴레이(220)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만, VR은 후술할 VDC의 임계크기인 Vth1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VR이 릴레이(220)에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릴레이(220)가 개방(off) 되며, VR이 릴레이(220)에 공급되는 경우에 릴레이(220)가 닫히게(on) 된다. 이를 위해, 구동부(520)는 Vgate 크기에 따라 온(on)/오프(off) 되는 스위치 소자(S)를 포함할 수 있다. 즉, Vgate가 일정(Vth2) 이상인 경우에 스위치 소자(S)는 온(on) 되어 VR을 릴레이(220)에 공급하며, Vgate가 일정 (Vth2) 미만인 경우에 스위치 소자(S)는 오프(off) 되어 VR을 릴레이(220)에 공급하지 않는다. 이러한 Vgate의 임계크기인 Vth2의 값은 Rtotal과 Rgate 간의 분배 비율(Rgate/Rtotal)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 소자(S)는 접합 FET(JFET), 금속산화막 반도체 FET(MOSFET) 등과 같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 소자(S)는 그 게이트(G)가 검출 저항들(RT, Rgate) 사이의 E 마디에 연결될 수 있고, 그 소스(S) 및 드레인(D) 중 어느 하나에 VR이 공급될 수 있으며, 그 소스(S) 및 드레인(D) 중 다른 하나가 릴레이(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1)에 따른 값을 가지는 Vgate에 따라 스위치 소자(S)의 게이트(G)의 전압이 조절되면서, 소스(S)와 드레이(D) 사이의 온(on)/오프(off)가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스위치 소자(S)가 온(on) 되어 VR이 릴레이(220)에 공급될 때, 과도한 VR의 값으로 인한 릴레이(22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치 소자(S)의 소스(S) 및 드레인(D) 중 다른 하나와 릴레이(220)의 사이에 추가 저항(RA)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회로의 작용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3에 대한 초기 동작 기간 동안 스위치 소자(S) 및 릴레이(220)의 오프(off) 동작과 전류(IDC)의 흐름을 나타내며, 도 6은 도 3에 대한 DC 링크 커패시터(300)의 초기 충전 이후 동안 스위치 소자(S) 및 릴레이(220)의 온(on) 동작과 전류(IDC)의 흐름을 나타낸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버의 회로도에서 시간에 따른 VDC 및 Vgate 값의 변화와, 스위치 소자(S) 및 릴레이(220)의 동작 변화에 대한 그래프를 각각 나타낸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초기 동작에서, 3상 교류전원이 정류부(100)의 각 입력단에 각각 입력되면, 수동소자인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정류부(100)는 정류된 직류 전류(IDC)를 공급한다. 이때, VDC가 Vth1 미만의 작은 크기이므로, Vgate도 Vth2 미만의 작은 크기이며, 이에 따라, 스위치 소자(S)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한다. 그 결과, 릴레이(220)가 개방(off) 상태로 유지되면서, 정류부(100)에서 정류된 IDC는 릴레이(220)와 병렬 연결된 초기충전저항(210)을 통해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초기충전저항(210)의 크기에 의해 DC 링크 커패시터(300)에 공급되는 IDC는 제한되어, 초기 돌입전류에 의한 DC 링크 커패시터(300)의 절연 파괴 등 소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초기충전저항(210)을 통한 제한된 IDC의 공급을 통해 DC 링크 커패시터(300)가 완전히 충전된 후, VDC가 그 임계크기 Vth1에 도달하면 Vgate도 그 임계 크기 Vth2에 도달하며, 이에 따라, 스위치 소자(S)는 온(on) 상태로 스위칭 한다. 그 결과, 릴레이(220)가 닫히면서(on) 초기충전저항(210)을 통하지 않고 릴레이(220)를 통해 정류부(100)의 IDC가 DC 링크 커패시터(3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릴레이 구동부(500)는 DC 링크 커패시터(300)에 충전된 VDC를 검출하여 검출된 VDC이 기준전압에 도달하면 릴레이(220)를 닫는(on)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별도의 제어부가 없더라도, 릴레이 구동부(500)가 자체의 회로 구성을 통해 DC 링크 커패시터(300)의 전압을 검출하여 릴레이(220)의 동작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스위치 소자(S)와 검출 저항(RT, Rgate)만 추가하더라도, 릴레이(220)를 제어하는 릴레이 구동부(500)를 구현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구성의 간편함에 따라 제어부와 연결되어야 하는 부분 등이 필요 없어 그 회로가 간단해질 뿐 아니라, 간단한 회로에 따라 그 부피도 줄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및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100: 정류부
20, 200: 초기충전부
21, 210: 초기충전저항 22, 220: 릴레이
30, 300: DC 링크 커패시터 40, 400: 인버터부
50, 500: 릴레이 구동부 60: 제어부
510: 검출부 520: 구동부
21, 210: 초기충전저항 22, 220: 릴레이
30, 300: DC 링크 커패시터 40, 400: 인버터부
50, 500: 릴레이 구동부 60: 제어부
510: 검출부 520: 구동부
Claims (7)
- 초기 동작 시 정류부의 전류를 제한하고, 제한된 전류를 제1 및 제2 마디 사이의 DC 링크 커패시터로 공급하여 충전하며, 충전이 완료되면 릴레이를 닫아(on) 정류부의 전류를 DC 링크 커패시터로 공급하는 초기충전부를 포함하는 인버터 회로로서,
DC 링크 커패시터의 충전 전압을 검출하도록 서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검출 저항; 및
일부 검출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 크기에 따라 온(on)/오프(off) 되어 릴레이를 닫기(on) 위한 전압(VR)의 공급을 결정하는 스위치 소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출 저항은 상기 제1 및 제2 마디 사이에서 DC 링크 커패시터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소자는 검출 저항들 사이의 어느 한 마디인 제3 마디에 게이트(G)가 연결되고, 상기 VR이 소스(S) 및 드레인(D)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며, 소스(S) 및 드레인(D) 중 다른 하나가 릴레이에 연결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마디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검출 저항(RT)이 연결되며, 상기 제2 및 제3 마디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검출 저항(Rgate)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gate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스위치 소자의 게이트(G)의 전압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S) 및 드레인(D) 중 다른 하나와 릴레이의 사이에 추가 저항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 링크 커패시터는 복수의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7544A KR20210103157A (ko) | 2020-02-13 | 2020-02-13 | 인버터 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7544A KR20210103157A (ko) | 2020-02-13 | 2020-02-13 | 인버터 회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3157A true KR20210103157A (ko) | 2021-08-23 |
Family
ID=77499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7544A KR20210103157A (ko) | 2020-02-13 | 2020-02-13 | 인버터 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03157A (ko) |
-
2020
- 2020-02-13 KR KR1020200017544A patent/KR20210103157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85542B2 (en) | Controller IC with zero-crossing detector and capacitor discharge switching element | |
US7355368B2 (en) | Efficient in-rush current limiting circuit with dual gated bidirectional hemts | |
US4626954A (en) | Solid state power controller with overload protection | |
JP3288496B2 (ja) | 電力mosfetの安全動作領域電流制限装置 | |
US8183715B2 (en) | Reverse current preventing circuit and power source switching apparatus | |
US7924542B2 (en) | Power supply controller and semiconductor device | |
US627539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 semiconductor element with variable resistance circuitry | |
US9998015B2 (en) | Insulated synchronous rectification DC/DC converter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to judge occurrence of a switching-incapable state | |
US8179651B2 (en) | Overload protection for a circuit arrangement having a transistor | |
US9608509B2 (en) | Switching converter with controllable restart delay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 |
TWI536694B (zh) | Battery protection IC and battery device | |
US8541987B2 (en) | Low loss discharge circuits for EMI filter capacitors | |
WO2009114016A1 (en) | Method and circuit for bi-directional over-voltage protection | |
CN106100008B (zh) | 电池装置以及电池装置的制造方法 | |
CN108832806B (zh) | 开关电源控制单元和具有高压启动时间控制及线电压检测的电路 | |
US20150365084A1 (en) | Circuit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circuit | |
CN109217675A (zh) | 电源转换装置及其同步整流电路 | |
KR100680892B1 (ko) | 반도체장치 | |
JP2017017688A (ja) |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を備えたパワー半導体回路 | |
US10879652B2 (en) | Auxiliary power outlet with load inductance measurement system | |
KR20210103157A (ko) | 인버터 회로 | |
US11735933B2 (en) | Rectification by battery protection system | |
JP3477733B2 (ja) | 充電装置 | |
US8704502B2 (en) | Switching mode power supply comprising asynchronous limiter circuit | |
US9819257B2 (en) | DC-to-DC converter input node short prote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