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129A -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129A
KR20210103129A KR1020200017483A KR20200017483A KR20210103129A KR 20210103129 A KR20210103129 A KR 20210103129A KR 1020200017483 A KR1020200017483 A KR 1020200017483A KR 20200017483 A KR20200017483 A KR 20200017483A KR 20210103129 A KR20210103129 A KR 20210103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weight
unit
refrigerato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호
유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7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3129A/ko
Priority to PCT/KR2021/000552 priority patent/WO2021162253A1/ko
Publication of KR20210103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129A/ko
Priority to US17/874,904 priority patent/US2022036478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제1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와 제1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본체에 결합되고, 제1 저장실 이외의 제2 저장실이 마련되는 도어와 제1 저장실 또는 제2 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 가능하고, 제1 저장실 또는 제2 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에 보관된 아이템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와 무게 감지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무게 감지부와 통신부 간의 통신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통신 연결 상태를 구분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냉장고 내의 식품의 잔량을 파악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식품, 음료 등과 같이 저장물을 부패하지 않고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장치이며, 냉장고는 통상 저장물을 냉장 저장하는 냉장실과 저장물을 냉동 저장하는 냉동실이 마련된다.
사용자는 냉장고에 보관되는 식품, 음료 등의 잔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별도로 냉장고 내부를 확인해야 하며, 투명 용기에 보관된 음료는 육안으로 확인하여 잔량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음료의 잔량은 보관된 음료가 불투명한 용기에 보관되거나, 두꺼운 유리 소재로 된 유리병에 보관된 경우에는 정확한 판단이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내용물의 잔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무게 감지부와 연결된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제1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저장실 이외의 제2 저장실이 마련되는 도어; 상기 제1 저장실 또는 상기 제2 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 가능하고, 상기 제1 저장실 또는 상기 제2 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에 보관된 아이템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 상기 무게 감지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무게 감지부와 상기 통신부 간의 통신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연결 상태를 구분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게 감지부는 상기 출력 신호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감지부가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표시부가 제1 모드를 출력하고, 상기 무게 감지부가 상기 통신부와 연결 중인 경우 상기 표시부가 제2 모드로 출력하고, 상기 무게 감지부가 상기 통신부와 연결된 경우 상기 표시부가 제3 모드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도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마련되며, 무게 감지부와 통신부 간에 연결을 선택하는 화면 및 상기 출력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연결 명령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무게 감지부와 통신부 간에 연결을 선택하는 화면이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연결 명령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감지부와 상기 통신부가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상기 무게 감지부에 아이디를 부여하고, 상기 아이디 및 상기 아이디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제1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저장실 이외의 제2 저장실이 마련되는 도어; 상기 제1 저장실 또는 상기 제2 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아이템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 및 상기 무게 감지부를 통해 상기 아이템에 포함된 내용물의 잔량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 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된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의 무게를 획득하고, 상기 아이템의 최종 무게 및 상기 용기의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내용물의 잔량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내용물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용물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용량 이하이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아이템에 대한 구매 추천 메시지 또는 자동 구매 명령을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감지부가 상기 아이템이 수납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기입하도록 유도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알림 메시지, 푸쉬 메시지 또는 인앱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감지부가 상기 아이템이 수납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아이템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을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촬영한 상기 아이템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무게 감지부가 상기 아이템이 수납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무게 감지부의 아이디 및 상기 아이템의 내용물의 잔량을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여, 냉장고에 배치된 무게 감지부를 통해 아이템의 수납을 감지하고, 상기 아이템의 무게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의 무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아이템의 최종 무게 및 상기 용기의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내용물의 잔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도록 기록 매체에 저장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내용물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용량 이하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아이템에 대한 구매 추천 메시지 또는 자동 구매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무게 감지부가 상기 아이템이 수납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기입하도록 유도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알림 메시지, 푸쉬 메시지 또는 인앱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무게 감지부가 상기 아이템이 수납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아이템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촬영한 상기 아이템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무게 감지부가 상기 아이템이 수납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무게 감지부의 아이디 및 상기 아이템의 내용물의 잔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는 냉장고 내에 내용물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정확한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감지부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감지부의 연결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무게 감지부의 연결 상태를 구분하는 출력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디스플레이 또는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아이템의 정보를 도시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몇 용어들에 대하여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아이템이란, 사용자가 먹는 내용물과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우유는 우유를 보관하는 우유팩에 담긴 형태로 냉장고에 보관된다. 이 때, 내용물은 우유에 해당하고, 우유팩은 용기에 해당하게 되며, 우유와 용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을 아이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은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용기의 재질 정보, 부피 정보, 무게 정보 등을 획득함으로써, 무게 감지부가 측정한 전체 무게에 용기의 무게 정보를 반영하여 내용물 자체의 잔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감지부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아이템을 보관하는 냉장고(100), 무게 감지부(110)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200), 냉장고(100) 및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내용물의 잔량을 판단하는 클라우드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200) 또는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아이템에 관한 주문을 요청 받는 외부 서버(400)를 포함한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냉장고(100)와 사용자 단말(200)과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서버로써, 냉장고(100)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처리에 대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은 제어부(120)가 수행하는 동작은 클라우드 서버(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물론이며, 이 경우에는 클라우드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200)또는 디스플레이(130)에 실시간으로 처리 결과를 제공하는 방식에 의한다. 외부 서버(400)는 식품 판매 업체의 서버를 가리킨다.
도 1은 클라우드 서버(300)가 냉장고(100)와 사용자 단말(200)와 연결되어,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개시된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300)에 의하지 않고, 냉장고(100)와 사용자 단말(200)간에 데이터 송수신 및 데이터 처리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냉장고(100)는 전면(前面)이 개방된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형성되며 식품이 냉장 및/또는 냉동 보관되는 제1 제1 저장실(20)과,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냉장고(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제1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내상(11)과 외상(12) 사이에는 제1 저장실(2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단열재(미도시)가 충진될 수 있다.
제1 저장실(20)은 수평 격벽(21)과 수직 격벽(22)에 의해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장실(20)은 상부 저장실(20a)과 하부 제1 저장실(20b)과, 하부 제2 저장실(20c)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저장실(20)에는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23)과, 식품을 밀폐 보관하는 밀폐 용기(24)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저장실(20)은 도어(3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저장실(20a)은 상부 제1 도어(30aa)와 상부 제2 도어(30ab)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고, 하부 제1 저장실(20b)은 하부 제1 도어(30b)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으며, 하부 제2 저장실(20c)은 하부 제2 도어(30c)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도어(3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30)에는 핸들(31)이 마련될 수 있다. 핸들(31)은 상부 제1 도어(30aa)와 상부 제2 도어(30ab)의 사이와 하부 제1 도어(30b)와 하부 제2 도어(30c)의 사이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도어(30)가 폐쇄된 경우, 핸들(31)은 일체로 마련될 것과 같이 보여질 수 있다. 도어(30)는 냉장고에 보관되는 식품 중 액체류를 보관하는 수용 공간인 제2 저장실(25)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2 저장실(25)이 특정 위치를 가리키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저장실(25)은 상부 제1 도어(30aa), 상부 제2 도어(30ab), 하부 제1 도어(30b) 및 하부 제2 도어(30c)에 마련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에 따른 냉장고(100)는 제1 저장실(20) 또는 제2 저장실(25)에 무게 감지부(110)가 마련되어 아이템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냉장고(100)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150)를 통해 제1 저장실(20) 또는 제2 저장실(25)에 배치된 무게 감지부(1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local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1)를 포함함으로써,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무게 감지부(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 디스플레이(130), 저장부(140), 통신부(150), 디스펜서(160) 및 냉각기(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무게 감지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제1 저장실(20) 또는 제2 저장실(25)에 설치되어, 통신부(150)와의 연결을 통해 냉장고(100)의 일부 구성이 될 수 있으며, 냉장고(100)의 내부에서 탈착이 가능한 장치에 해당한다. 무게 감지부(110)는 물건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일 수 있다. 무게 감지부(110)는 아이템이 안착되면, 아이템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무게 감지부(110)는 일정 주기에 따라 아이템의 무게를 측정하여 내용물의 변화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무게 감지부(110)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되어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안착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 감지부(110)는 하나의 아이템이 안착될 수 있는 넓이를 가질 수 있고, 복수의 아이템이 동시에 안착될 수 있는 넓이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무게 감지부(110)는 영역을 구분하여 서로 다른 아이템의 무게를 독립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무게 감지부(110)는 통신부(150)와의 연결 상태를 구분하는 출력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11)는 다양한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및 7 세그먼트 표시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게 감지부(100)와 통신부(150)간의 연결 상태는 미 연결 상태, 연결 중 상태, 연결 완료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부(111)는 각각의 연결 상태를 구분하여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 감지부(100)는 표시부(111)가 LED 소자일 경우에 미 연결 상태이면 빨간 빛을 출력하고, 연결 중일 때, 노란 빛을 출력하고, 연결 완료일 때 초록 빛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를 설명한 것이며, 연결 상태를 구분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에 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무게 감지부(100)와 통신부(150)간의 연결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상의 자동 설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31)과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132)과 디스플레이 패널(131) 및 터치 패널(132)을 구동하거나 제어하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3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1)은 터치 스크린 컨트ㅏㄴ착롤러(133)을 통하여 제어부(120)가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볼 수 있는 광학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데이터는 무게 감지부(11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무게 감지부의 ID, 연결 상태에 관한 정보) 및 아이템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아이템의 명칭, 아이템의 보관 일자, 아이템의 유통 기한, 내용물의 잔량)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2)은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 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패널(131)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31)은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학적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채용할 수 있다.
터치 패널(132)은 터치 패널(132)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33)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132)은 전기적 저항값의 변화 또는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터치 패널(132)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터치 지점 좌표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33)로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33)는 터치 패널(132)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32)은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 패널(132)은 영상이 표시되는 면 위에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패널(131)에 표시되는 영상이 왜곡되지 않도록 터치 패널(132)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132)은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또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터치 패널(132)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 패널(132)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접근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지점의 좌표 또는 접근 지점의 좌표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터치 패널을 채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33)는 터치 패널(132)이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제어부(12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33)는 제어부(120)가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판단하도록 터치 패널(132)이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33)는 디스플레이 패널(131) 및 터치 패널(13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31) 및 터치 패널(13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33)의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별도의 칩(chip)으로 마련되거나, 단일의 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130)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도어(3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는 상부 제2 도어(30ab)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제2 도어(30ab)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20)가 설명되나, 디스플레이(120)의 설치 위치가 상부 제2 도어(30ab)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는 상부 제1 도어(30aa), 하부 제1 도어(30b), 하부 제2 도어(30c) 및 본체(10)의 외상(12) 등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든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16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물 또는 얼음을 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디스펜서(160)를 통하여 도어(30)를 개방하지 않고도 물 또는 얼음을 외부로 직접 취출할 수 있다.
디스펜서(160)는 사용자의 배출 명령을 수신하는 디스펜서 레버(미도시)와 물 또는 얼음을 배출하는 디스펜서 노즐과, 디스펜서(16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펜서 표시 패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160)는 도어(30) 또는 본체(1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펜서(160)는 상부 제1 도어(30aa)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제1 도어(30a)에 설치된 디스펜서(160)가 설명되나, 디스펜서(160)가 상부 제1 도어(30a)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펜서(160)는 상부 제2 도어(30ab), 하부 제1 도어(30b), 하부 제2 도어(30c) 및 본체(10)의 외상(12) 등 사용자가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든지 설치될 수 있다.
냉각기(170)는 제1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기(170)는 냉매의 증발을 이용하여 제1 저장실(20)의 온도를 일정한 범위 이내로 유지시킬 수 있다.
냉각기(170)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압축된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액체 상태로 상태 변환시키는 응축기(미도시)와 액체 상태의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기(미도시)와 감압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체 상태로 상태 변환시키는 증발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기(170)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기체 상태로 상태 변환하면서 주위 공기의 열 에너지를 흡수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제1 저장실(20)의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기(170)는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 펠티어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펠티어 효과란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이 접하는 접촉면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어느 하나의 금속에서는 발열 현상이 발생하고, 다른 하나의 금속에서는 흡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냉각기(170)는 펠티어 소자를 이용하여 제1 저장실(20)의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냉각기(170)는 자기 열효과(magneto-caloric effect)를 이용한 자기 냉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 열효과란 특정한 물질(자기 열량 물질)이 자화되면 열을 방출하고, 특정한 물질(자기 열량 물질)이 탈자화되면 열을 흡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냉각기(170)는 자기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제1 저장실(20)의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연결 명령을 수신하고, 무게 감지부(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아이템의 잔량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0) 또는 클라우드 서버(300)가 외부 서버(400)에 구매 요청을 하여 필요한 아이템을 구입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local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1)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51)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무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51)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이외에도 원거리에 있는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150)는 무게 감지부(110)가 감지한 내용물에 잔량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300) 또는 외부 서버(400)에 직접 송신할 수 도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51)은 자유 공간으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자유 공간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송신할 데이터를 변조하거나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하는 변/복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무게 감지부(110-1, 110-2, 110-3)과 연결된 통신부(150)는 복수의 무게 감지부(110-1, 110-2, 110-3)로부터 감지된 아이템의 무게를 수신하고, 아이템의 무게 정보를 제어부(120)로 송신한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50)로부터 수신한 아이템의 무게 정보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용기의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내용물의 잔량을 판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프로그램 또는 전원을 저장하고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대용량 플래시 메모리 또는 반도체 소자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14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냉장고(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냉장고(100)에 포함된 구성 및 자원(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OS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과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냉장고(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122)와, 메모리(122)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냉장고(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12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무게 감지부(110)와 연결된 통신부(150)가 아이템의 무게 정보를 제공하면, 아이템의 무게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내용물의 잔량을 판단할 수 있다.
메모리(122)는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된 저장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메모리(122)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화면 및/또는 영상을 기억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20)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좌표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122)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2)는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와 메모리(122)는 별도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단일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 및/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냉장고(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냉장고(100)의 동작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냉장고(100)에 포함된 무게 감지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130), 저장부(140), 통신부(150), 디스펜서(160) 및 냉각기(170)를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새로운 구성이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무게 감지부의 연결 상태를 구분하는 출력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20)는 무게 감지부(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150)를 통해 냉장고(100) 내에 무게 감지부(110)를 검색한다(601). 이 때, 통신부(150)는 사용자가 냉장고(100) 내에 사용자가 무게 감지부(110)를 배치하면,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무게 감지부(110)를 감지한다.
제어부(120)는 냉장고(100) 내에 무게 감지부(110)가 존재하면(620), 디스플레이(130) 또는 사용자 단말(200)에 검색된 무게 감지부(110)의 연결을 선택하는 화면을 출력한다(603). 도 7은 디스플레이(130) 또는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 또는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무게 감지부(110-1, 110-2, 110-3, 110-4)에 대한 검색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무게 감지부(110-1, 110-2, 110-3, 110-4)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연결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연결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604). 이 때, 사용자의 연결 명령은 디스플레이(130) 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무게 감지부(120)가 통신부(150)와 연결되면(605), 무게 감지부(110)와 상기 통신부(150) 간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 상태를 구분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 신호는 무게 감지부(110)에 마련된 표시부(111)를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30) 또는 사용자 단말(2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연결 명령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무게 감지부(110)와 연결되지 않음을 표시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606).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30) 또는 사용자 단말(200)를 통해 사용자의 연결 명령을 수신하여, 무게 감지부(110)와 통신부(150)가 연결 중인 경우, 무게 감지부(110)와 연결 중임을 표시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607).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연결 명령에 의해 무게 감지부(110)와 통신부(150) 간의 연결이 완료되면, 무게 감지부와 연결 완료를 표시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608).
도 8은 제어부(120)가 생성한 출력 신호에 기초한 무게 감지부(110)의 표시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무게 감지부(110-1)는 사용자의 연결 명령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써 표시부(111-1)에 초록 빛이 출력되고, 제2 무게 감지부(110-2)는 연결 중인 상태로써 표시부(111-2)에 노란 빛이 출력되고, 제3 무게 감지부(110-3)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써 표시부(111-3)에 빨간 빛이 출력되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무게 감지부(110)에 표시된 출력 신호를 확인하고, 잔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아이템을 무게 감지부(110)에 안착시킬 수 있다. 단, 도 8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표시부(111)는 LED 소자 이외의 표시 수단을 통해 연결 상태를 구분할 수 있다.
도 6에 따른 제어 방법에 더하여, 제어부(120)는 무게 감지부(110)와 통신부(150)가 연결되면, 연결이 완료된 무게 감지부(110)에 아이디를 부여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무게 감지부(110)에 아이디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 또는 디스플레이(120)의 화면에서 다른 무게 감지부와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아이디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냉장고(100) 외부에서 무게 감지부(110)의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제어부(120)에 의해 복수의 무게 감지부 각각에 아이디가 부여되면 사용자 단말(200) 또는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순위를 정해 관리의 용이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냉장고(100)와 무게 감지부(110)간의 연결 과정 및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것에 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연결된 무게 감지부(110)를 이용하여 내용물의 잔량을 파악하고, 이후 아이템을 관리하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단,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20)는 냉장고(100)에 배치된 무게 감지부(110)를 통해 아이템의 수납을 감지한다(901). 사용자는 냉장고(100)의 제1 저장실(20) 또는 제2 저장실(25)에 배치된 무게 감지부(110)에 아이템을 안착시키고, 제어부(120)는 무게 감지부(902)에 아이템이 수납된 것을 감지하면(902), 아이템의 무게를 획득할 수 있다(903).
제어부(120)가 무게 감지부(902)에 아이템이 수납된 것을 감지하면(902),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사용자가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기입하도록 유도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904).
904 단계에서 생성되는 메시지는 다양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디스플레이(130)의 화면의 일 영역에 아이콘 등으로 표시되는 알림 메시지, 사용자 단말(200)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비활성화 또는 활성화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푸쉬 메시지 또는 인앱 메시지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메시지가 생성되면 생성된 메시지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실행하여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미리 설정된 목록에서 해당 아이템의 명칭을 선택할 수 있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선택된 아이템의 명칭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용기의 무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아이템의 용기의 무게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아이템의 명칭을 클라우드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서버(300)는 용기의 무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아이템의 명칭을 선택하는 것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200)에 내장된 카메라 기능을 실행하여 아이템의 이미지에 대한 영상 처리 방식으로 아이템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카메라 기능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실행하고, 아이템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푸쉬 메시지가 실행되면, 푸쉬 메시지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카메라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아이템의 정보는 이미지 자체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것 이외에도, 바코드 인식 기능 또는 QR 코드 인식 기능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술한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906),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용기의 무게 정보를 획득한다(907). 이 때, 용기의 무게 정보는 아이템 별로 저장된 데이터이거나, 용기의 재질 및 용기의 부피에 기초하여 산출된 데이터 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아이템의 최종 무게 정보 및 용기의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내용물의 잔량을 판단한다(908). 최종 무게 정보는 무게 감지부(110)가 실시간으로 획득한 아이템의 무게 정보 중 마지막 무게 정보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아이템 자체의 무게 정보에 용기의 무게 정보를 반영하여 내용물의 잔량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내용물의 잔량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 또는 디스플레이(13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 또는 디스플레이(130)는 제1 무게 감지부(110-1)에 안착된 아이템의 명칭과 함께 내용물의 잔량 정보를 비율 또는 부피(미도시)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내용물의 잔량 판단에 기초하여 아래와 같은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 따르면, 제어부(120)는 내용물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용량 이하이면, 사용자 단말(200)에 아이템에 대한 구매 추천 메시지 또는 자동 구매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용량은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는 우유의 재 구매 조건을 10% 이하 또는 100ml 이하인 경우에 사용자가 우유를 구매하도록 추천하거나 자동 구매가 실행되도록 하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내용물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변화가 없을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 또는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무게 감지부(110)에 안착된 아이템이 주기적으로 섭취를 요하는 식품인 경우(예를 들어, 액체형 내복약)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내용물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용량을 초과한 소비가 없을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 또는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단,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에 따른 실시예와는 달리, 본 실시예는 무게 감지부(110)에 아이템을 안착하기 전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 또는 디스플레이(130)에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입력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먼저,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200)이 촬영한 아이템의 이미지를 수신하고(1001), 아이템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1002). 이 때, 사용자 단말(200)은 아이템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화면상에 출력될 아이템의 명칭 및 용기의 무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무게 감지부(110)를 통해 아이템이 수납된 것을 감지하고(1003),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아이템이 수납된 무게 감지부(110)의 아이디 및 내용물의 잔량을 표시한다(1004).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의 잔량은 아이템의 명칭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기록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0)

  1. 제1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저장실 이외의 제2 저장실이 마련되는 도어;
    상기 제1 저장실 또는 상기 제2 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 가능하고, 상기 제1 저장실 또는 상기 제2 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에 보관된 아이템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
    상기 무게 감지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무게 감지부와 상기 통신부 간의 통신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연결 상태를 구분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감지부는,
    상기 출력 신호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감지부가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표시부가 제1 모드를 출력하고, 상기 무게 감지부가 상기 통신부와 연결 중인 경우 상기 표시부가 제2 모드로 출력하고, 상기 무게 감지부가 상기 통신부와 연결된 경우 상기 표시부가 제3 모드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마련되며, 무게 감지부와 통신부 간에 연결을 선택하는 화면 및 상기 출력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연결 명령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게 감지부와 통신부 간에 연결을 선택하는 화면이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연결 명령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감지부와 상기 통신부가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상기 무게 감지부에 아이디를 부여하고, 상기 아이디 및 상기 아이디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
  7. 제1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저장실 이외의 제2 저장실이 마련되는 도어;
    상기 제1 저장실 또는 상기 제2 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아이템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 및
    상기 무게 감지부를 통해 상기 아이템에 포함된 내용물의 잔량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 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된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의 무게를 획득하고, 상기 아이템의 최종 무게 및 상기 용기의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내용물의 잔량을 판단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내용물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용물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용량 이하이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아이템에 대한 구매 추천 메시지 또는 자동 구매 명령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감지부가 상기 아이템이 수납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기입하도록 유도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알림 메시지, 푸쉬 메시지 또는 인앱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감지부가 상기 아이템이 수납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아이템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촬영한 상기 아이템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무게 감지부가 상기 아이템이 수납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무게 감지부의 아이디 및 상기 아이템의 내용물의 잔량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
  15.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여,
    냉장고에 배치된 무게 감지부를 통해 아이템의 수납을 감지하고, 상기 아이템의 무게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의 무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아이템의 최종 무게 및 상기 용기의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내용물의 잔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도록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용량 이하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아이템에 대한 구매 추천 메시지 또는 자동 구매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감지부가 상기 아이템이 수납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기입하도록 유도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알림 메시지, 푸쉬 메시지 또는 인앱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감지부가 상기 아이템이 수납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아이템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촬영한 상기 아이템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무게 감지부가 상기 아이템이 수납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무게 감지부의 아이디 및 상기 아이템의 내용물의 잔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17483A 2020-02-13 2020-02-13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03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483A KR20210103129A (ko) 2020-02-13 2020-02-13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1/000552 WO2021162253A1 (ko) 2020-02-13 2021-01-14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17/874,904 US20220364786A1 (en) 2020-02-13 2022-07-27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483A KR20210103129A (ko) 2020-02-13 2020-02-13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129A true KR20210103129A (ko) 2021-08-23

Family

ID=77293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483A KR20210103129A (ko) 2020-02-13 2020-02-13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64786A1 (ko)
KR (1) KR20210103129A (ko)
WO (1) WO20211622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822A1 (ko) * 2022-08-11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2481A (ko) * 2022-01-20 2023-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021B1 (ko) * 2003-01-13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식품 잔여량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KR20120123978A (ko) * 2011-05-02 2012-11-12 유노시스템 주식회사 냉장고 보관 식품의 이력 관리 시스템
US9373164B2 (en) * 2012-01-13 2016-06-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refrigerator by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refrigerator employing same
KR102024595B1 (ko) * 2013-04-25 2019-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6242537B2 (ja) * 2015-03-25 2017-12-06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KR101815760B1 (ko) * 2016-03-31 2018-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저장 용기용 센싱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822A1 (ko) * 2022-08-11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2253A1 (ko) 2021-08-19
US20220364786A1 (en)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2890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20364786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64823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US11521391B2 (en) Refrigerator,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CN107024072B (zh) 与冰箱通信的传感器和包括该传感器的冰箱的控制系统
EP3531354A1 (en) Delivery cooler management system
EP3161398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40304126A1 (en) Refrigerator and mobile terminal for food management
EP2986949B1 (en) Sensing device and method to monitor perishable goods
US11134222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27590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20180187954A1 (en) Home appliance,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190353421A1 (en) Inventory system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JP2007010208A (ja) 冷蔵庫
US20140358287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9697802B (zh) 告知系统及信息处理装置
KR20170078536A (ko) 상품 구매 시스템, 상품 구매 방법 및 냉장고
CN104110935A (zh) 低温储存装置及其操作方法
JP2018146177A (ja) 物品貯蔵庫の在庫管理装置
KR20180080068A (ko) 가전 기기, 모바일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20210137592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물품 관리 방법
KR20150124155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WO2009107527A1 (ja) 自動販売機用リーダライタ及びそれを備えた自動販売機
KR20220100408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74892A (ko) 배달함에서 판매자의 광고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