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045A -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045A
KR20210103045A KR1020200017204A KR20200017204A KR20210103045A KR 20210103045 A KR20210103045 A KR 20210103045A KR 1020200017204 A KR1020200017204 A KR 1020200017204A KR 20200017204 A KR20200017204 A KR 20200017204A KR 20210103045 A KR20210103045 A KR 20210103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shing
food waste
washing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1541B1 (ko
Inventor
노응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스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017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541B1/ko
Publication of KR20210103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세척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부를 간단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는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로 분해 처리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처리조; 내측면이 상기 처리조의 외측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처리조를 감싸고,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바닥과 내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가 유동하는 배관 상에 구비된 노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installed on sink}
본 발명은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부를 간단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는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이고, 젖은 음식물 쓰레기의 반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도 개발되었으나, 대부분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별도의 장치에 투입하여 처리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및 사용자가 투입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발되었다.
이처럼 싱크대의 하부에 직접 설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627427호(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나타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경우 세척조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후 발생한 결과물이 슬러지 형태로 쌓이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는 세척조를 세척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세척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부를 간단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는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로 분해 처리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처리조, 내측면이 상기 처리조의 외측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처리조를 감싸고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바닥과 내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가 유동하는 배관 상에 구비된 노즐부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조의 바닥부는 상기 배출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투입부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경사진 바닥부의 상측에 형성된 노즐부 안착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노즐구멍 중 적어도 일부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상기 경사진 바닥부를 향해 분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노즐구멍 중 적어도 한 쌍의 노즐구멍은 상기 경사진 바닥부를 향해 일정각도 벌어진 상태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구멍 중 적어도 한 쌍의 다른 노즐구멍은 상기 경사진 바닥부와 반대방향인 세척조의 내측면을 향해 일정각도 벌어진 상태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조의 바닥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세척조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관이 상기 세척조 삽입구멍을 통과하며, 상기 노즐부는 상기 세척조 삽입구멍이 형성된 노즐부 안착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부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유입관을 통과한 세척수가 유동하는 이송관, 상기 유입관의 상단부와 상기 이송관의 하단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과 이송관 사이의 이격된 틈을 통해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배출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구멍이 형성된 노즐본체, 상기 노즐본체의 상부를 덮어 상기 노즐구멍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경사진 하방향으로 분사되도록 가이드하는 노즐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구멍의 하부를 형성하는 몸체부에는 하방향으로 경사진 노즐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구멍의 상부를 상기 노즐캡이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의 외주면에는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본체의 내주면에는 나선부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과 노즐본체는 나선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세척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부를 간단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세척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노즐부가 세척조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노즐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노즐부를 구성하는 노즐본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노즐부를 구성하는 노즐본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도 8의 A-A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노즐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B-B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C-C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부(100), 상기 투입부(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부(100)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로 분해 처리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처리조(200), 내측면이 상기 처리조(200)의 외측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처리조(200)를 감싸는 세척조(300), 상기 처리조(200)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처리조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기(230)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조(200)의 바닥부(226)에는 상기 처리조(200)와 세척조(300) 사이의 공간으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입부(100)는 싱크대 바닥면의 개수구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링부재(110)와 제1지지부재(120)와 제2지지부재(130)와 거름부재(140)와 트랩부재(1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12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1지지부재 몸체(121), 상기 제1지지부재 몸체(121)의 하단에서 외측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플랜지(122), 상기 제1지지부재 몸체(121)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나선부(12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13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2지지부재 몸체(131), 상기 제2지지부재 몸체(131)의 상단에서 외측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플랜지(132), 상기 제2지지부재 몸체(131)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나선부(13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130)는 제1지지부재(120)의 내부에 삽입되는데, 상기 제2지지부재 몸체(131)는 제1지지부재 몸체(121)의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지지부재(120)의 나선부(123)와 상기 제2지지부재(130)의 나선부(133)가 나선 결합된다.
상기 링부재(110)는 상기 제1플랜지(122)의 상면을 덮도록 위치한다.
상기 거름부재(140)는 상기 제2지지부재(130)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거름부재(140)의 상단이 상기 제2지지부재(130)의 내측면에 걸림되어 상하 위치가 설정된다. 상기 거름부재(140)의 바닥면은 투수가 불가능하게 막혀 있고, 측면에 세로방향의 슬릿홈들이 원주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그 슬릿홈들의 폭보다 큰 이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슬릿홈은 메쉬망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슬릿홈을 통과한 물은 상기 트랩부재(150)에 수용된다.
상기 트랩부재(15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단면 형상이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릿홈을 통해 배수된 물이 U자 형상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트랩부재(150)에 수용된 물의 일부는 상기 트랩부재(150)의 내측으로 오버플로우되어 처리조(200)의 내부로 유입되고, 일부는 상기 트랩부재(150)의 외측으로 오버플로우되어 처리조(200)의 외측면과 세척조(300)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상기 처리조(200) 내부에서 미생물에 의해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 중 미세한 입경의 처리잔류물 일부는 처리조(200) 외부로 배출되어 세척조(300)의 내부에 슬러지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트랩부재(150)에서 처리조(200)의 외측면과 세척조(300)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물에 의해 세척조(300) 내부의 처리잔류물을 세척하여 세척조(300) 내부에 슬러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처리조(200)는, 상기 투입부(100)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부를 통해 유입되고 하부가 개방된 제1처리조(210), 상기 제1처리조(210)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1처리조(2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공이 바닥에 형성된 제2처리조(2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처리조(21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211), 상기 몸체부(211)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되 중앙부에 개구부(213)가 형성된 상면부(2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처리조(220)는, 평단면이 원형인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막힌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조(210)의 하측 단부와 상기 제2처리조(220)의 상측 단부가 결합되거나, 밀착됨으로써 그 내부공간이 처리조(210)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공간이 된다.
상기 제1처리조(210)의 개구부(213)에 처리조덮개(2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처리조덮개(260)는 상기 투입부(100)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도록 개방된 처리조유입구(262), 상기 처리조유입구(262)를 통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하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유입가이드(261), 상기 유입가이드(261)를 따라 이동한 음식물 쓰레기를 제1처리조(2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유입가이드(261)의 하측 단부를 개폐하는 덮개 개폐판(26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덮개 개폐판(263)은 힌지 구조로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가이드(261)의 하부 개구부를 개폐한다.
상기 처리조(200)의 내부공간에는 교반기(230)와 축(240) 및 걸림부재(2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기(230)는 모터(500)에 의해 회전하는 아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터(500)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이 충분히 교반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교반기(230)는 일측 방향으로 설정시간 동안 회전하고, 반대방향으로 설정시간 동안 회전하여, 양방향으로 교대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240)은 처리조(200)의 수직 중심축 상에 구비된다.
상기 교반기(230)는, 상기 축(240)이 중심에 연결되도록 수평 방향의 길이를 갖는 축연결부(233), 상기 축연결부(233)의 일측 단부에서 처리조(200)의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된 제1경사교반부(232), 상기 제1경사교반부(232)의 외측 단부에서 처리조(200)의 외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갖는 제1수평교반부(231), 상기 축연결부(233)의 타측 단부에서 처리조(200)의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된 제2경사교반부(234), 상기 제2경사교반부(234)의 외측 단부에서 처리조(200)의 외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갖는 제2수평교반부(23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교반기(230)를 평면도 상에서 보면, 제1수평교반부(231), 제1경사교반부(232), 축연결부(233), 제2경사교반부(234), 제2수평교반부(235)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교반기(230)의 축연결부(233)의 중심에는 축(240)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축(240)의 하단부는 모터(50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재(250)는 상단은 상기 제1처리조(210)에 결합되어 매달린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교반기(230)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재(250)는 제1처리조(210)의 상단 저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252), 상기 한 쌍의 결합부(252)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 단부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된 제1경사부(251a)와 제2경사부(251b) 및 상기 제1경사부(251a)와 제2경사부(251b)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부(251c)로 이루어진 걸림부재 몸체(251)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걸림부재(250)는 하단부 일부가 수평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절단된 V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투입부(100)를 통해 처리조(200) 내부에 음식물을 투입하는 경우에는 거름부재(140)를 투입부(100)로부터 제거한다. 상기 거름부재(140)가 제거되고, 투입부(100)에 음식물을 투입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는 처리조덮개(260)의 처리조유입구(262)와 유입가이드(261)의 하측 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처리조(20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이 경우 처리조(200) 내부공간의 상부에는 걸림부재(250)가 구비되어 있어, 파나 야채 등 길이가 긴 음식물이 엉켜서 교반기(230)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즉, 교반기(230)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골고루 교반되어야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원활히 이루어지는데, 교반기(230)가 회전할 때 길이가 긴 음식물이 처리조(200) 내부로 유입되면 음식물이 교반기(230)에 의해 교반되지 않고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걸림부재(250)를 구비하여, 길이가 긴 음식물이 교반기(23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지 않고 원활히 교반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발효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250)의 수평부(251c)의 저면에서 하향 돌출된 돌출부(2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53)는 상기 걸림부재(25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부재(250)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53)는 그 하단부가 상기 교반기(230)의 축연결부(233)의 상측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기(23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돌출부(253)가 축연결부(233)에 쌓여 있던 음식물을 긁어 주어 음식물이 축연결부(233)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척조(30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세척조공간(303)이 형성된 세척조몸체(301), 상기 세척조몸체(301)의 하단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하향 연장된 세척조바닥부(302), 상기 세척조바닥부(302)의 일측에 형성되어 물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배출구(30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세척조(300)의 바닥부(302)는 상기 배출구(304)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투입부(100)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배출구(304) 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세척조(300)의 바닥부(302)에는 중앙부에 중앙돌출부(30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돌출부(305)의 상면에는 상기 제2처리조(220)의 저면이 안착되어 안정적인 설치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세척조(300)의 하부에는 하부커버(400)가 결합된다. 상기 세척조(300)와 하부커버(400) 사이의 공간에 상기 모터(500)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커버(400)의 상부 일측에는 절개된 형상의 절개부(401)가 형성되어, 상기 세척조(300)의 배출구(304)가 삽입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세척조(300) 및 노즐부(6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세척조(300)에는 상기 경사부(302a)의 상측에 노즐부 안착면(30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부 안착면(307)에 노즐부(600)가 설치된다.
상기 노즐부 안착면(307)에는 노즐부(600)의 유입관(610)이 상하로 관통하도록 세척조 삽입구멍(30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부(600)는 상기 세척조(300)의 바닥부(302)와 내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가 유동하는 배관 상에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노즐부(600)를 배관 상에 설치하게 되면,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을 간단한 구조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600)는 상기 경사진 바닥부(302)의 상측에 형성된 노즐부 안착면(307) 상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노즐구멍 중 적어도 일부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상기 경사진 바닥부(302)를 향해 분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경사진 바닥부(302)의 하단부에 상기 배출구(304)가 형성되어 있어, 분사된 세척수가 배출구(304)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부(600)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관(610), 상기 유입관(610)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유입관(610)을 통과한 세척수가 유동하는 이송관(620), 상기 유입관(610)의 상단부와 상기 이송관(620)의 하단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610)과 이송관(620) 사이의 이격된 틈을 통해 상기 유입관(610)으로부터 배출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구멍(634)이 형성된 노즐본체(630), 상기 노즐본체(630)의 상부를 덮어 상기 노즐구멍(634)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경사진 하방향으로 분사되도록 가이드하는 노즐캡(6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입관(610)의 일측 단부는 하부커버(400)에 결합되어 하부커버(400)의 외부로부터 공급되어 온 세척수는 상기 유입관(6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관(610)의 타측 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나선부(6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본체(630)는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631), 상기 몸체부(631)의 상부를 덮되 중앙부에 상기 이송관(620)이 삽입되도록 이송관통과부(633)가 형성된 상면부(632), 상기 상면부(632)에서 몸체부(631)까지 좁고 긴 슬롯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노즐구멍(63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부(631)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유입관(6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611)와 나선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나선부(6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관(610)의 상단부와 이송관(620)의 하단부 사이는 이격되어 있어, 상기 유입관(610)을 통해 공급되어 온 세척수는 상기 유입관(610)과 이송관(620) 사이의 이격된 틈을 통해 노즐본체(630)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후, 상기 복수의 노즐구멍(634)을 통해 분사되어 세척조(300)의 바닥부(302) 및 내측면을 향해 분사되어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노즐캡(640)은 상기 노즐본체(630)의 상면과 상부 측면 일부를 덮도록 구비되고, 중앙부를 상기 이송관(620)이 상하로 관통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캡(640)의 하단부는 상기 노즐구멍(634)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덮도록 위치하되, 상기 노즐구멍(634)의 하단 일부가 노출되도록 위치하게 되어, 상기 노즐구멍(634)의 노출된 부분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된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노즐본체(630)에 형성된 노즐구멍(634) 및 세척수의 분사경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노즐구멍(634) 중 적어도 한 쌍의 노즐구멍(634a,634b)은 상기 경사진 바닥부(302)를 향해 일정각도 벌어진 상태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구멍(634) 중 적어도 한 쌍의 다른 노즐구멍(634c,634d)은 상기 경사진 바닥부(302)와 반대방향인 세척조(300)의 내측면을 향해 일정각도 벌어진 상태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세척조(300)의 바닥부(302) 뿐만 아니라 상기 경사진 바닥부(302)의 반대 방향인 세척조몸체(301)의 내측면까지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척 가능하므로, 세척조(300)에 슬러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구멍(634)은 4개가 구비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더 많은 개수의 노즐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본체(630)에서 상기 노즐구멍(634)의 하부를 형성하는 몸체부(631)에는 하방향으로 경사진 노즐경사면(636a,636b,636c,636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구멍(634)의 상부를 상기 노즐캡(640)이 덮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세척수는 상기 노즐구멍(634)에서 상기 노즐캡(640)에 의해 덮여진 부분을 제외하고 노출된 부분을 통해 분사되고, 이 경우 노즐경사면(636a,636b,636c,636d)에 의해 세척수가 경사진 바닥부(302)로 분사되도록 가이드된다.
이와 같이 세척수를 경사진 바닥부(302)로 분사함으로써 세척조(300)의 바닥부(302)를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투입부 110 : 링부재
120 : 제1지지부재 130 : 제2지지부재
140 : 거름부 150 : 트랩부재
200 : 처리조 210 : 제1처리조
211 : 제2처리조 몸체 212 : 상면부
213 : 개구부 220 : 제2처리조
230 : 교반기 231 : 제1수평교반부
232 : 제1경사교반부 233 : 축연결부
234 : 제2경사교반부 235 : 제2수평교반부
240 : 축 250 : 걸림부재
251 : 걸림부재 몸체 252 : 결합부
253 : 돌출부 260 : 처리조덮개
261 : 유입가이드 262 : 처리조유입구
263 : 덮개 개폐판 300 : 세척조
301 : 세척조 몸체 302 : 세척조바닥부
303 : 세척조 공간 304 : 배출구
305 : 중앙돌출부 306 : 세척조 삽입구멍
307 : 노즐부 안착면 400 : 하부커버
500 : 모터 600 : 노즐부
610 : 유입관 611 : 나선부
620 : 이송관 630 : 노즐본체
631 : 몸체부 632 : 상면부
633 : 이송관통과부 634 : 노즐구멍
635 : 나선부 636 : 노즐경사면
640 : 노즐캡

Claims (7)

  1. 음식물 쓰레기 또는 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로 분해 처리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처리조;
    내측면이 상기 처리조의 외측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처리조를 감싸고,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바닥과 내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가 유동하는 배관 상에 구비된 노즐부;
    를 포함하는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의 바닥부는 상기 배출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투입부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경사진 바닥부의 상측에 형성된 노즐부 안착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노즐구멍 중 적어도 일부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상기 경사진 바닥부를 향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구멍 중 적어도 한 쌍의 노즐구멍은 상기 경사진 바닥부를 향해 일정각도 벌어진 상태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구멍 중 적어도 한 쌍의 다른 노즐구멍은 상기 경사진 바닥부와 반대방향인 세척조의 내측면을 향해 일정각도 벌어진 상태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의 바닥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세척조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관이 상기 세척조 삽입구멍을 통과하며;
    상기 노즐부는 상기 세척조 삽입구멍이 형성된 노즐부 안착면상에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유입관을 통과한 세척수가 유동하는 이송관;
    상기 유입관의 상단부와 상기 이송관의 하단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과 이송관 사이의 이격된 틈을 통해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배출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구멍이 형성된 노즐본체;
    상기 노즐본체의 상부를 덮어 상기 노즐구멍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경사진 하방향으로 분사되도록 가이드하는 노즐캡;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구멍의 하부를 형성하는 몸체부에는 하방향으로 경사진 노즐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구멍의 상부를 상기 노즐캡이 덮도록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의 외주면에는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본체의 내주면에는 나선부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과 노즐본체는 나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200017204A 2020-02-12 2020-02-12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331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204A KR102331541B1 (ko) 2020-02-12 2020-02-12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204A KR102331541B1 (ko) 2020-02-12 2020-02-12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045A true KR20210103045A (ko) 2021-08-23
KR102331541B1 KR102331541B1 (ko) 2021-11-29

Family

ID=77499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204A KR102331541B1 (ko) 2020-02-12 2020-02-12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5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9847A (ko) * 2003-09-18 2006-07-06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부엌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배수관 세정 장치
JP4581538B2 (ja) * 2004-07-28 2010-11-17 マックス株式会社 生ゴミ処理装置
KR20130059090A (ko) * 2011-11-28 2013-06-05 박창수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101470323B1 (ko) * 2014-02-24 2014-12-12 주식회사 케이에스상사 음식물 처리기
KR101752816B1 (ko) * 2016-09-08 2017-06-30 주식회사 멈스 음이온 생성 연수모듈이 장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9847A (ko) * 2003-09-18 2006-07-06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부엌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배수관 세정 장치
JP4581538B2 (ja) * 2004-07-28 2010-11-17 マックス株式会社 生ゴミ処理装置
KR20130059090A (ko) * 2011-11-28 2013-06-05 박창수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101470323B1 (ko) * 2014-02-24 2014-12-12 주식회사 케이에스상사 음식물 처리기
KR101752816B1 (ko) * 2016-09-08 2017-06-30 주식회사 멈스 음이온 생성 연수모듈이 장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541B1 (ko) 202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427B1 (ko)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13883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100441019B1 (ko) 식기세척기
KR102331541B1 (ko)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83266Y1 (ko) 싱크대 배수구커버
KR102331542B1 (ko)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331539B1 (ko)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4837684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KR102399847B1 (ko)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399844B1 (ko)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399841B1 (ko)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75831B1 (ko)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17972B1 (ko)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17970B1 (ko)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99915B1 (ko) 음식물 처리기
EP2405050A1 (en) Washing machine
KR102451681B1 (ko)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85855Y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가 가능한 배수트랩
KR101718736B1 (ko) 배수구 개폐 장치
KR10137001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H03111097A (ja) 脱水兼用洗濯機
JP2009144491A (ja) 排水トラップ
KR20070103170A (ko) 배수통 세척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KR20220105578A (ko) 배수구 개폐 장치
CN114502805A (zh) 层间病原体传播阻断结构型排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