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942A -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942A
KR20210101942A KR1020200016540A KR20200016540A KR20210101942A KR 20210101942 A KR20210101942 A KR 20210101942A KR 1020200016540 A KR1020200016540 A KR 1020200016540A KR 20200016540 A KR20200016540 A KR 20200016540A KR 20210101942 A KR20210101942 A KR 20210101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urvey
relationship
users
homogene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스크밀리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스크밀리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스크밀리언스
Priority to KR1020200016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1942A/ko
Publication of KR20210101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Abstract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는, 임의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가 지정한 토픽에 대해 서베이를 제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작된 서베이를 등록 처리하고, 등록된 서베이를 접속된 다수의 사용자 단말로 공개하고, 공개된 서베이에 대해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가 참여한 결과 데이터를 매칭하여 저장하며, 제 1 사용자에 대해 제 2 사용자에 의한 관계 설정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관계 설정 요청을 알리고,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동일한 서베이에 각각 참여한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질성 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동질성 정도를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제 2 사용자에 대한 관계 설정 수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서 제공한다.

Description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RELATIONSHIP BASED ON SURVEY}
본 발명은 서베이에 기반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의 사용자 간의 관계 설정이 가능한 서비스에서 사용자 검증 및 추천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폭팔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SNS의 편리함 및 자유로운 표현과 같은 장점 외에 사회적인 문제점들이 드러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SNS의 경향은 사용자 본인의 지인들 뿐아니라 불특정 다수와 친구 맺기 등을 통해 개인 데이터를 공개 및 공유한다. 이처럼 사용자가 잘 알지 못하는 타인과 관계를 형성함에 있어서, 친구 관계를 요청하거나 수락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불편함이 있으며 더 나아가 개인 간에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SNS의 경우 사용자가 온/오프라인을 통해 이미 알고 있는 지인 외에 제 3 자와 관계를 형성하고자 할 경우, 상대방에 대해 알아 볼 수 있는 참고 자료로는 상대방이 직접 작성하여 공개한 프로필 등의 개인 정보 정도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제 3 자가 작성한 개인정보만으로는 해당 사용자의 성향을 모른 채 피상적인 프로파일 정보만 확인할 수 있어, 친구 맺기 등의 관계 형성 시 불편함이 있으며, 낯선 사람과의 관계 설정으로 인해 감정이 손상되거나 SNS 사용 집중도가 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모르는 상대방에 의해 개인 정보의 유출 위험도 증가되고, 심지어는 범죄에 연루될 위험도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혀 모르는 타인과의 SNS 관계 설정 시, 피상적이거나 부족한 상대방의 정보 외에 상대방의 평소 생각이나 성향 등을 파악한 후 관계 설정을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059662 호(소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관계 설정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개인 정보에 대한 불필요한 공개 없이 서베이에 참여한 사용자 간의 성향 매칭 정도에 기반하여 사용자 간의 관계 형성을 위한 자동 검증 및 추천을 제공하는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서베이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들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임의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토픽에 대해 서베이를 제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작된 서베이를 등록 처리하고, 등록된 서베이를 접속된 다수의 사용자 단말로 공개하고, 공개된 상기 서베이에 대해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가 참여한 결과 데이터를 매칭하여 저장하며, 제 1 사용자에 대해 제 2 사용자에 의한 관계 설정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관계 설정 요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동일한 서베이에 각각 참여한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질성 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동질성 정도를 상기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 2 사용자에 대한 관계 설정 수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의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방법은, 임의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토픽에 대해 서베이를 제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작된 서베이를 등록 처리하고, 등록된 서베이를 접속된 다수의 사용자 단말로 공개하는 단계; 공개된 상기 서베이에 대해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가 참여한 결과 데이터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제 1 사용자에 대해 제 2 사용자에 의한 관계 설정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동일한 서베이에 각각 참여한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질성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동질성 정도를 상기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 2 사용자에 대한 관계 설정 수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오픈 서베이를 직접 제작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 및 공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별도의 전문 설문 조사 기관 등에 의뢰하지 않고도 필요한 주제에 대해 공개 여론 조사를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술 논문의 리서치가 필요할 경우에도 제한된 응답자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진행할 수 있다. 즉, 대학원생 등의 사용자가 학술 논문을 검증하고자 할 때 일반 대중이 쉽게 접근하여 답변할 수 있는 서베이를 직접 제작하여 공개할 수 있다. 또한, 기업 또는 인플루언서 등의 생산자가 신제품 또는 새로운 서비스를 런칭하기에 앞서 또는 런칭한 직후 해당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서베이를 직접 제작하여 공개함으로써 무료 홍보 및 소비자 반응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거나 또는 참여한 서베이를 통해 자신과 생각, 취향, 성향, 의견 등에 대한 동질성이 높은 대상을 검증 또는 추천받을 수 있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의 사용자 간 관계 설정이 가능한 서비스 이용 시 타인과의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은 관계 설정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관계 설정 서비스 시 거짓 정보를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 설정한 페이크 팔로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자 간 관계 설정이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타인과의 관계 설정 시, 동질성을 확인하고 싶은 분야(즉, 토픽)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어 상대방에 대한 효율적인 검증 및 공감도가 높은 상대에 대한 선택적 관계 설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서베이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서베이를 통해 제공되는 기능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계 설정 요청에 따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시스템(10)은,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100),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및 사용자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100)(이하,설명의 편의상 “장치(100)”라고 지칭함)는 일종의 서버 장치 일 수 있다. 이러한 장치(10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데이트 매칭 서비스 등의 다양한 사용자 네트워킹 서비스에 오픈 서베이(Open Survey) 서비스를 결합하여, 신뢰성이 높은 상대와 네트워킹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100)가 직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외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와 연동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그러나 서베이 기반 관게 설정 서비스 장치(1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네트워크 서비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참고로, 도 1에서는 장치(100)와 사용자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를 서로 분리된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장치(100) 내에 사용자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가 일부 구성 요소로서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장치(100)와 사용자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는 연동되는 것으로서, 사용자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가 자체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데이트 매칭 서비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 장치인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인 것을 예로서 설명하나, 이러한 서버(300)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200)은 장치(100)와 연동하여 장치(100)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구현되는 단말 장치로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 또는 설치되어 있는 단말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또는 모바일 웹 브라우저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어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20 통신 기반의 이동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이,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예: 모바일 앱 등)가 탑재되어 있거나 또는 자유롭게 응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여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인 것을 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에는 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 장치(100)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에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200-1 내지 200-N)이 접속할 수 있으며, 장치(100)는 접속된 사용자 단말들(200-1 내지 200-N)로 각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토픽에 대한 오픈 서베이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작 툴(tool)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장치(100)는 각 사용자 단말들(200-1 내지 200-N)로 해당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제작한 또는 다른 사용자가 제작한 하나 이상의 서베이를 공개하고, 해당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베이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장치(100)는 동일한 서베이에 참여한 사용자 간에 서베이 참여 결과 데이터에 기반한 동질성 정도를 산출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들로 상기 산출된 동질성 정도에 기반하여 사용자 간의 관계 설정(예: 친구 맺기 등)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instructions)이 포함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장치(100)의 하드웨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스토리지(130) 및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 구성은 통신 버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장치(100)는 별도의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등의 하드웨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100)는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운영 체제를 비롯한 각종 소프트웨어가 스토리지(130)와 같은 저장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들을 처리하는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서(예: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이 프로세서(1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해당 프로그램을 로드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스토리지(130)에 저장되어 있는 서베이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 일 수 있다.
스토리지(130)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는데 요구되는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스토리지(130)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처리된 결과 데이터 및 사전에 연동되거나 연결된 장치(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 등)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들을 각 사용자 별로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들 간의 통신 및 외부 연동된 장치(예: 사용자 단말(200) 및 서버(300))와의 통신을 처리하는 유/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100)가 프로세서(110)를 통해 처리하는 동작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베이”는 사용자가 직접 토픽, 키워드, 질문 내용, 답변 입력 방식 등을 설정 및 작성하여 제작 가능한 설문 조사 등의 컨텐츠를 의미한다. 이때, “서베이”에 포함되는 토픽, 키워드, 질문 내용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된 서베이 작성 툴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사용자의 의견을 얻고자 하는 특정 토픽, 키워드, 질문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직접 작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들을 수행하되,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다음의 동작들을 처리한다.
먼저, 임의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N)로 해당 사용자가 지정한 토픽에 대해 서베이를 제작할 수 있는 제작 툴(tool)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작된 서베이를 등록 처리한다. 그리고 등록된 서베이를 장치(100)에 접속된 다수의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N)로 공개하고, 공개된 서베이에 대해 해당 서베이를 제작한 사용자가 참여한 결과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가 참여한 결과 데이터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때, 각 사용자 별로 제작한 서베이 및 서베이별 참여 결과 데이터는 스토리지(130) 상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베이 작성자는 자신이 흥미로워하는 토픽에 대한 불특정 다수(예: 대중)들의 오피니언을 질문할 수 있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서베이 조회자 또한 자신이 흥미있는 토픽에 관련된 서베이를 선택하여 자신의 오피니언을 제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서베이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200)은 장치(100)에 접속하여, 장치(100)에서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토픽 유형(Topic Type) 중 어느 하나를 서베이의 주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오픈 서베이의 토픽 유형은, 제품 및 서비스(Products & Services), 학술 연구(Academic Research), 논쟁적 이슈(Controversial Issues) 등의 다양한 주제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토픽 타입 별로 하위에 복수의 토픽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해당 토픽들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하여 제시할 수 있다.
이처럼, 토픽 유형은 흥미롭고, 일반 대중의 의견이나 평가가 필요한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업의 신규 서비스, 스타트업의 시제품, 학술 논문의 리서치, 또는 뉴스의 논쟁적인 이슈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진 컨텐츠가 토픽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토픽 유형은 글(Text), 이미지(Image), 및 동영상(Video) 등의 형태로 작성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오픈 서베이는 토픽 내용에 대해 공개적인 여론 조사를 수행한 후 답변을 집계하여 통계 결과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픈 서베이의 방식은, 하나의 객관식 질문을 갖는 폴(Poll) 방식과, 여러 개의 질문을 갖는 서베이(Survey) 방식을 모두 포함하는 할 수 있다. 또한, 오픈 서베이는 사용자가 설정한 토픽과 연계하여 새로운 제품/서비스의 프리마케팅이나 시장 조사를 수행하거나, 논문의 리서치를 수행하거나, 개인의 관심사 및 논쟁적 이슈에 대한 찬반 투표 등의 내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픈 서베이는 그 자체로 개인별로 등록한 컨텐츠일 수 있으며, 서베이 작성자(즉, 컨텐츠 작성자)와 서베이 조회자(즉, 컨텐츠 조회자)가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참고로, 서베이 작성자는 대중의 오피니언을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로서, 신제품/서비스를 홍보하고 싶은 스타트업 및 일반기업, 기업의 신제품/서비스 홍보를 대행하는 인플루언서(influencer), 사업 아이디어만 있고 팔릴 수 있는 신제품/서비스를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은 스타트업, 석박사 논문을 위한 리서치를 실시해야 되는 대학원생, 흥미롭고 논쟁적인 이슈에 대한 찬반투표를 제시하는 다양한 컨텐츠 크리에이터(contents creators) 등 다양한 대상이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서베이 조회자는 오픈 서베이(즉, 컨텐츠)에 대하여 자신의 오피니언을 제시하고자 하는 사용자로서, 기업의 신제품/서비스 정보를 직접 확인한 후 오피니언을 제시하는 일반 대중, 기업의 신제품/서비스 정보와 연관된 마케팅 서베이에 무료 및 유료로 서베이에 참여하는 참여자들, 석박사 논문을 위한 리서치에 응답해주는 지인 및 유료 서베이 참여자, 흥미롭고 논쟁적인 이슈에 대해 개인적인 성향을 표시하고자 찬반투표에 참여하고 싶은 일반 대중 등 다양한 대상이 참여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서베이를 통해 제공되는 기능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접속된 임의의 사용자 단말(200)로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의해 제작 및 등록된 오픈 서베이들이 공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P100)를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P100)에는 각각의 서베이를 제작한 사용자가 업로드하거나 작성한 사진 및 텍스트 등의 서베이 정보가 표시되는 서베이 영역(P110)과, 접속된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자신의 컨텐츠(즉, 서베이를 포함한 개인 데이터)를 관리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 영역이 포함된다. 이때, 사용자의 컨텐츠는 직접 제작한 서베이 외에도, 일반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업로드하거나 작성한 이미지, 텍스트 및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개인 데이터일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공개될 수 있다.
이러한 메뉴 영역에는, 장치(100) 접속 시 최초 제공되는 서비스 페이지 등 기설정된 특정 서비스 페이지로 복귀하기 위한 홈 버튼(P120), 접속한 사용자의 개인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나의 채널” 버튼(P130), 및 접속한 사용자가 구독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컨텐츠(다른 사용자가 등록해둔 서베이를 포함함) 정보를 제공하는 “구독 채널” 버튼(P140)이 포함될 수 있다. 접속한 사용자 별로 개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장치(100)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200)들은 각각 사용자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10)는 기설정된 종류의 사용자 식별 데이터 입력을 통한 사용자 등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각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접속한 사용자에 의해 메뉴 영역의 나의 채널 버튼(P130)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00)로, 도 5의 (b)에서와 같이 해당 사용자가 제작한 서베이들에 대응하는 토픽 정보, 프로필 정보, 공개되지 않은 토픽 정보, 및 구독자 정보(P210)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P2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속한 사용자에 의해 메뉴 영역의 구독 채널 버튼(P140)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00)로, 도 6의 (a)에서와 같이 해당 사용자가 현재 구독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컨텐츠(즉, 서베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P3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P300)에는 다른 사용자 별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서베이 중 공개된 서베이에 대한 개수 및 토픽 등의 상세 정보(P310, P320, P33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접속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P300) 상의 어느 하나의 다른 사용자 채널(예를 들어, 사용자 #1(Austin)(P310))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00)로, 도 6의 (b)에서와 같이 선택된 사용자 채널에서 공개된 서베이 및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P4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P400)에는 해당 사용자 채널의 사용자가 공개한 서베이가 토픽 별로 구분된 서베이 영역(P410)이 포함될 수 있다.
접속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P400) 상의 어느 하나의 서베이 영역(P410)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00)로, 도 7에서와 같이 선택된 서베이로 접속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P500)를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P500)에는 해당 서베이를 제작한 사용자가 설정한 토픽에 대응하는 질문(P510), 해당 질문에 답할 수 있는 답변 버튼(“Survey”로 표시함), 사용자가 업로드한 서베이 토픽 관련 이미지, 해당 서베이를 제작한 사용자 정보(P520), 해당 서베이를 제작한 날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P500)에는 해당 서베이를 아직 참여하지 않은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공유 기능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러한 공유 기능으로서, 해당 서베이로의 접속 정보를 다른 사용자의 이메일로 전송하는 이메일 공유 버튼(P530), 연동된 하나 이상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공유하는 SNS 공유 버튼(P540)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P500)에는 해당 서베이를 구독 또는 해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독 버튼(P550)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7에 도시된 서베이가, 사용자가 이미 구독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서베이를 방문할 경우 제공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7의 서베이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에게 공개된 오픈 서베이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구독 버튼(P550)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서베이 및 서베이 제작자의 채널에 대한 구독하기를 새롭게 시작할 수도 있다.
한편,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제작된 각각의 서베이들이 장치(100) 상에 등록된 상태에서, 특정 사용자(이하, 제 1 사용자라고 지칭함)에 대한 임의의 사용자(이하, 제 2 사용자라고 지칭함)에 의한 관계 설정 요청이 수신될 수 있다. 이때, 제 1 사용자는 직접 제작한 오픈 서베이를 장치(100)에 등록한 사용자 일 수 있으며, 자신이 제작하여 등록한 서베이들 중 적어도 일부를 공개한 사용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의 채널에 공개되어 있는 서베이 페이지에 방문하여 도 7에서와 같은 구독 버튼(P500)을 선택한 경우, 제 2 사용자의 채널 중 구독 채널에 제 1 사용자가 추가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제 1 사용자의 채널에 제 2 사용자를 구독자로서 추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예: 200-1)로 제 2 사용자에 의한 구독 추가 및 관계 설정 요청을 자동으로 알릴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110)는 각 사용자 단말(200)로 다른 사용자에게 관계 설정을 요청할 수 있는 별도의 기능(예: 친구 맺기 버튼)이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는 상기 구독 버튼(P500)의 선택 여부와 관계없이 다른 사용자에게 관계 설정을 직접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 2 사용자에 의한 제 1 사용자로의 관계 설정 요청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10)는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1)로 제 2 사용자에 의한 관계 설정 요청을 알리고,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동일한 서베이에 각각 참여한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질성 정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동질성 정도를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1)로 제공하되, 이때 제공되는 동질성 정도 정보는 제 2 사용자에 대한 관계 설정 수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서 제공된다.
한편, 다른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별 서베이에 기반한 동질성 정도와 더불어 사용자 간의 사주 정보를 반영하여 관계 설정 수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200) 별로 사용자의 식별 정보(예: 별명 및 이메일 주소 등) 및 생년월일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생년월일시 정보를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하며, 해당 사용자가 관계 설정을 요청하거나 또는 요청받은 경우 해당 생년월일시 정보를 추출하여 사주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분석된 사용자 별 사주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간의 궁합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동질성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사주정보는, 사람이 태어난 순간의 시간을 간지(干支)로 표기한 것으로, 천체운동을 기준으로 시간의 주기(하루, 한 달, 일 년 등)를 구분하였으므로 규칙적으로 반복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사주 정보의 특징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10)는 사주궁합, 연애궁합, 성격궁합, 결혼궁합 및 일주론에 따른 궁합 등의 궁합을 분석 및 수치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서(110)가 자체적으로 사용자 간의 궁합 정보를 분석 및 수치화한 결과에 따라 제 1 및 제 2 사용자 간의 궁합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프로세서(110)는 외부의 사주 관련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 간의 사주 및 궁합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외부 서버(즉, 사주 관련 컨텐츠 제공 서버)와 통신하되, 접속된 외부 서버로 해당 사용자 별 생년월일시 정보를 전달하고 그에 대응하는 사주 및 궁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아래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임의의 사용자에 대해 해당 사용자와 동일한 서베이에 참여한 사용자 중 서베이 참여 결과에 따른 동질성 정도에 기반하여 추천 사용자를 검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동질성 정도 및 궁합 정보를 모두 반영하여 관계 설정 시 추천 사용자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동질성 정도 또는 궁합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해 가중치를 더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동질성 정도 또는 궁합 정보 중 어느 하나를 검출 조건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하나의 검출 조건에 기반하여 둘 이상의 추천 사용자를 1차 검출하고, 1차 검출된 추천 사용자들 중 나머지 하나의 검출 조건에 기반하여 추천 사용자를 2차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가중치 및 검출 조건의 순차는 프로세서(110)가 자동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계 설정 요청에 따른 서베이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예: 200-2)로부터 제 1 사용자에 대한 관계 설정 요청(예: 친구 맺기 요청)을 수신하면, 프로세서(110)는 도 8에서와 같이 제 1 사용자 단말(200-1)로 관계 설정을 요청한 다른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P6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P600)에는 직접 관계 설정을 요청한 다른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친구 요청 버튼(P610), 및 프로세서(110)가 자동으로 관계 설정을 추천하는 다른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추천 친구 버튼(P650)이 포함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가 친구 요청 버튼(P610)을 선택한 경우, 도 8의 (a)에서와 같이 친구 맺기를 요청한 다른 사용자들의 정보가 포함된 친구 요청 리스트를 제공하되, 친구 요청 리스트에는 각 사용자에 대응하여 설정된 이미지(P620)와 사용자 별 정보(P63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별 정보(P630)는 해당 사용자의 채널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링크된 사용자 식별 정보(예: 해당 사용자가 지정한 별명), 친구 요청된 사용자와의 동질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동질성 확인 버튼(P640), 해당 친구 맺기 요청에 대한 수락을 처리하기 위한 수락 버튼, 및 해당 친구 맺기 요청에 대한 거부 또는 정보 삭제를 위한 삭제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친구 요청 리스트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 2 사용자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제 1 사용자에 의해 동질성 확인 버튼(P640)이 선택된 경우,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모두 참여한 하나 이상의 서베이 별로 제 1 및 제 2 사용자 각각의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질성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복수의 서베이에 모두 참여한 경우, 복수의 서베이들은 토픽, 키워드 및 질문 내용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동일한 서베이에 참여하여 각각 답변한 결과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산출함으로써 동질성 정도를 산출할 수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유사도 산출을 위해, 각 사용자의 서베이 참여 결과에 따른 데이터를 벡터나 좌표의 형태로 표현한 후, 관계 설정 여부를 결정할 제 1 사용자와 관계 설정을 요청하거나 관계 설정 대상으로서 추천될 제 2 사용자의 데이터 간의 거리의 유사성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별 서베이 참여 결과 데이터 간 사이에 유클리디안 거리를 이용할 수 있다. 참고로, 거리산출 이전에 각 속성(즉, 참여 결과 데이터에 대해 사전에 설정된 속성)별 단위가 기 설정된 값을 가지도록 표준화를 수행할 수 있고, 각 속성별로 사용자가 설정한 가중치를 반영하여 거리를 계산할 수 있으며, 사용자 별 서베이 참여 결과 데이터 간 거리 값이 전체 거리 분포에서 갖는 확률적 유사성에 기반하여 산출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10)가 사용자 간 서베이에 참여한 결과에 따른 동질성 정도를 산출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의 (b)에서는, 제 1 사용자(“Austin”인 것으로 표시함)와 제 2 사용자(“아이언맨”인 것으로 표시함)가 둘다 참여한 서베이가 5개 토픽 분야에 포함된 서베이들인 것을 예로서 나타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1)로 제 2 사용자와의 서베이에 기반한 동질성 정도를 산출한 결과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P7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P700)에는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둘다 참여한 하나 이상의 서베이 분야(즉, 토픽) 별 동질성 정도를 포함하는 영역(P710)과, 해당 정보들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그래프 형태로 제공하는 영역(P72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토픽 분야에는 하나 이상의 키워드 또는 질문 내용 별 서베이들이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처럼 토픽 분야 별로 복수의 서베이가 포함된 경우 하나의 토픽에 대한 동질성 정도는 평균 값으로 산출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10)는 제 1 및 제 2 사용자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1, 200-2)로 서베이에 익명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접속된 사용자 별로 각각 설정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실제 사용자 이름이 아닌 가상의 별명 등으로 등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픈 서베이에 익명으로 참여함으로써 사용자들은 사이버 공간에서 자신과 동일 또는 유사한 성향의 다른 사용자들과 선입견 등의 문제없이 자유롭게 오피니언을 공유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a)에서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추천 친구 버튼(P650)을 선택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제 1 사용자가 참여한 복수의 서베이 별로 제 1 사용자의 서베이 참여 결과 데이터와 동질성 정도가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추천 사용자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추천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친구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1)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관계 설정 결정 시 상대방과의 동질성 판단 기준으로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토픽, 키워드, 질문 및 답변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서베이가 복수의 종류의 토픽(예: 정치, 사회, 스포츠, 연예 및 음악)으로 분류된 경우,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복수의 토픽 중 하나 이상의 토픽을 관계 설정 기준(즉, 관심 토픽)으로서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관심 토픽으로서 복수개의 토픽을 선택할 경우, 선택된 토픽들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b)에서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5개의 토픽에 참여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제 1 사용자가 사전에 선택해둔 하나 이상의 관심 토픽에 대해 동질성 정도 산출 시 가중치를 높게 부여할 수 있다. 즉, 도 8의 (b)에서는,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가 동일하게 참여한 서베이 중 연예 및 음악 분야에 대해 동질성 정도가 동일한 값(90%)인 것을 예로서 나타냈다. 이때, 사전에 제 1 사용자가 연예 분야를 음악 분야에 비해 높은 가중치를 갖는 관심 토픽으로서 설정한 경우, 해당 결과는 연예 분야의 동질성 정도 값이 음악 분야에 비해 더 높은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0)는 임의의 사용자가 생성 및 등록해둔 서베이들 중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모두 참여한 하나 이상의 서베이에 기초하여 동질성 정도를 산출하는 방식 외에, 제 1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서베이(이하, “관계 설정 전용 서베이”라고 지칭함)를 기준으로 동질성 정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1)로 제 1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복수의 서베이 중 하나 이상을 관계 설정 전용 서베이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관계 설정 전용 서베이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되, 복수의 관계 설정 전용 서베이가 지정된 경우 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다른 관계 설정 전용 서베이에 비해 가중치를 높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 사용자로부터 제 1 사용자에 대한 관계 설정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 1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관계 설정 전용 서베이에 대한 제 2 사용자의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질성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참고로, 프로세서(110)는 제 1 사용자가 생성한 관계 설정 전용 서베이에 제 2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은 경우, 다른 서베이에 기준하여 동질성 정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제 1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관계 설정 전용 서베이에 제 2 사용자의 참여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 기등록된 복수의 사용자 별 서베이 중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모두 참여한 서베이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서베이에 대해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각각 참여한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질성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모두 참여한 서베이가 전혀 검출되지 않을 경우, 프로세서(110)는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기준 토픽, 기준 키워드 및 기준 질문 내용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기준 서베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 1 및 제 2 사용자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1, 200-2)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기준 서베이에 대해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각각 참여한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질성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관계 설정 요청을 받은 사용자를 기준으로 해당 사용자가 사전에 선택해둔 하나 이상의 서베이 분야에 각각 대응하는 기준 서베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1)로 동질성 정도가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다른 사용자에 대해 자동으로 관계 설정을 수락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사용자는 자신에게 친구 맺기를 요청하는 다양한 상대들을 일일이 확인하지 않더라도, 제 1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해둔 토픽, 키워드 및 질문 내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소정의 값 이상의 동질성 정도가 산출된 상대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관계 설정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제 1 사용자가 관계 설정 요청을 수락한 대상에 대한 SNS 컨텐츠 노출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제 1 사용자의 제 2 사용자에 대한 관계 설정이 수락된 경우, 제 2 사용자에 대한 관계 설정 수락 정보를 기연동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기연동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에는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모두 등록되어 있으며, 연동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에 기등록된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컨텐츠 중 관계 설정 수락 정보가 수신된 사용자에게만 노출 가능한 프라이버시 컨텐츠가 제 2 사용자에게 공개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자체적으로 저장된 사용자 별 컨텐츠(예: 서베이)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바에 따라 노출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제 1 사용자가 등록한 복수의 서베이 중 관계 설정이 되지 않은 전체 사용자를 대상으로는 비공개로 처리되되 서로 구독하기가 체결된 사용자 또는 제 1 사용자가 관계 설정 요청을 수락한 사용자에게만 공개되는 프라이버시 서베이를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이상에서와 같은 프로세서(110)가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110)를 통해 실행되며, 이에 따라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방법은 앞서 도 3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한 프로세서(110)가 처리하는 동작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임의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즉, 장치(10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로 해당 사용자가 직접 지정한 토픽에 대해 새로운 서베이를 제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910).
그리고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작된 서베이를 등록 처리하고, 등록된 서베이를 접속된 다수의 사용자 단말로 공개한다(S920).
이때, 등록된 서베이에는 해당 서베이를 제작한 사용자를 포함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다. 다만, 해당 서베이를 제작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베이를 비공개 처리하거나 또는 한정된 사용자에게만 부분적으로 공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공개된 서베이에 대해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가 참여한 결과 데이터를 매칭하여 저장한다(S930).
이처럼, 하나 이상의 사용자 별로 직접 제작한 서베이들이 저장된 상태에서 아래에서 설명할 바와 같은 관계 설정 요청을 처리하되, 관계 설정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와 앞선 단계(S910 내지 S930)들은 병렬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즉, 앞선 단계(S910 내지 S930)들이 실시간으로 지속 처리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하에서 설명할 관계 설정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들 또한 실시간으로 지속 처리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의 채널에 방문하거나 또는 제 1 사용자의 서베이를 참여한 제 2 사용자에 의해 제 1 사용자에 대한 관계 설정 요청을 수신하면(S940),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동일한 서베이에 각각 참여한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질성 정도를 산출한다(S950).
이때, 동질성 정도를 산출할 대상인 서베이는 제 1 및 제 2 사용자를 포함하는 불특정 다수가 등록한 서베이이거나, 또는 제 1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해둔 관계 설정 전용 서베이 일 수 있다. 관계 설정 전용 서베이는 제 1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여 지정하거나 또는 제 1 사용자가 사전에 선택한 기준(토픽, 키워드 및 질문 내용 등)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서베이 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산출된 서베이 별 동질성 정도를 포함하는 결과 정보를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S960)하되, 동질성 정도는 제 2 사용자에 대한 관계 설정 수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 1 사용자의 단말로 제 1 사용자가 동질성 정도를 확인한 후 제 2 사용자에 대한 관계 설정 요청을 수락하거나 또는 거절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S970),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사용자가 선택한 수락 또는 거절 처리를 수행한다(S98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베이에 기반한 관계 설정 서비스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시스템
100: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스토리지
140: 통신 인터페이스
200: 사용자 단말
300: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Claims (22)

  1.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서베이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들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임의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토픽에 대해 서베이를 제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작된 서베이를 등록 처리하고, 등록된 서베이를 접속된 다수의 사용자 단말로 공개하고, 공개된 상기 서베이에 대해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가 참여한 결과 데이터를 매칭하여 저장하며,
    제 1 사용자에 대해 제 2 사용자에 의한 관계 설정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관계 설정 요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동일한 서베이에 각각 참여한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질성 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동질성 정도를 상기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 2 사용자에 대한 관계 설정 수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서 제공하는,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모두 참여한 복수의 서베이 별로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각각의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질성 정도를 산출하며,
    상기 복수의 서베이는 토픽, 키워드 및 질문 내용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것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질성 정도는,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동일한 서베이에 참여하여 각각 답변한 결과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산출한 것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서베이에 익명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는 각각의 사용자가 지정한 별명으로 구분되는 것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사용자가 참여한 복수의 서베이 별로 상기 제 1 사용자의 결과 데이터와 동질성 정도가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추천 사용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추천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관계 설정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복수의 서베이 중 하나 이상을 관계 설정 전용 서베이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사용자에 대한 관계 설정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관계 설정 전용 서베이에 대한 상기 제 2 사용자의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동질성 정도를 산출하는,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관계 설정 전용 서베이에 상기 제 2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은 경우,
    기등록된 복수의 사용자 별 서베이 중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모두 참여한 서베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서베이에 대해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각각 참여한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질성 정도를 산출하는 것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사용자가 참여한 서베이 중 상기 제 2 사용자가 참여한 서베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기준 토픽, 기준 키워드 및 기준 질문 내용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기준 서베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기준 서베이에 대해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각각 참여한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질성 정도를 산출하는 것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동질성 정도가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다른 사용자에 대해 자동으로 관계 설정을 수락할지 여부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제 2 사용자에 대한 관계 설정이 수락된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에 대한 관계 설정 수락 정보를 기연동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되,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모두 등록되어 있으며,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 기등록된 상기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컨텐츠 중 상기 관계 설정 수락 정보가 수신된 사용자에게만 노출 가능한 프라이버시 컨텐츠가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공개되는 것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생년월일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생년월일시를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칭하여 등록하며,
    상기 제 2 사용자에 의한 관계 설정 요청이 수신된 경우, 기등록된 사용자 별 생년월일시 중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별 상기 생년월일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생년월일시에 기반하여 분석된 제 1 및 제 2 사용자 별 사주 정보에 따른 궁합 정보를 상기 동질성 정도와 함께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12.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의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토픽에 대해 서베이를 제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작된 서베이를 등록 처리하고, 등록된 서베이를 접속된 다수의 사용자 단말로 공개하는 단계;
    공개된 상기 서베이에 대해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가 참여한 결과 데이터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제 1 사용자에 대해 제 2 사용자에 의한 관계 설정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동일한 서베이에 각각 참여한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질성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동질성 정도를 상기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 2 사용자에 대한 관계 설정 수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질성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모두 참여한 복수의 서베이 별로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각각의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질성 정도를 산출하며,
    상기 복수의 서베이는 토픽, 키워드 및 질문 내용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것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질성 정도는,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동일한 서베이에 참여하여 각각 답변한 결과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산출한 것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서베이를 접속된 다수의 사용자 단말로 공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서베이에 익명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는 각각의 사용자가 지정한 별명으로 구분되는 것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가 참여한 복수의 서베이 별로 상기 제 1 사용자의 결과 데이터와 동질성 정도가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추천 사용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추천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관계 설정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복수의 서베이 중 하나 이상을 관계 설정 전용 서베이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사용자에 대한 관계 설정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관계 설정 전용 서베이에 대한 상기 제 2 사용자의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동질성 정도를 산출하는,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관계 설정 전용 서베이에 상기 제 2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은 경우,
    기등록된 복수의 사용자 별 서베이 중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모두 참여한 서베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서베이에 대해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각각 참여한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질성 정도를 산출하는 것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질성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 1 사용자가 참여한 서베이 중 상기 제 2 사용자가 참여한 서베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기준 토픽, 기준 키워드 및 기준 질문 내용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기준 서베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서베이에 대해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각각 참여한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질성 정도를 산출하는 것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동질성 정도가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다른 사용자에 대해 자동으로 관계 설정을 수락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방법.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상기 동질성 정도를 관계 설정 수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서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제 2 사용자에 대한 관계 설정이 수락된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에 대한 관계 설정 수락 정보를 기연동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가 모두 등록되어 있으며,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 기등록된 상기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컨텐츠 중 상기 관계 설정 수락 정보가 수신된 사용자에게만 노출 가능한 프라이버시 컨텐츠가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공개되는 것인,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방법.
  22. 제 12 항에 있어서,
    임의의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생년월일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생년월일시를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칭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사용자에 대해 상기 제 2 사용자에 의한 관계 설정 요청이 수신된 경우, 기등록된 사용자 별 생년월일시 중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별 상기 생년월일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생년월일시에 기반하여 분석된 제 1 및 제 2 사용자 별 사주 정보에 따른 궁합 정보를 상기 동질성 정도와 함께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방법.
KR1020200016540A 2020-02-11 2020-02-11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210101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540A KR20210101942A (ko) 2020-02-11 2020-02-11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540A KR20210101942A (ko) 2020-02-11 2020-02-11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942A true KR20210101942A (ko) 2021-08-19

Family

ID=7749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540A KR20210101942A (ko) 2020-02-11 2020-02-11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194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9662A (ko) 2013-11-22 201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관계 설정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9662A (ko) 2013-11-22 201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관계 설정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eja et al. Rethinking the generational gap in online news use: An infrastructural perspective
De Reuver et al. Domestication of smartphones and mobile applications: A quantitative mixed-method study
Korhan et al. Usability and functionality factors of the social network site application users from the perspective of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Hayes et al. It’s the audience: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cross social media
US20080270038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mpatibility between members of a social network
Molyneux A personalized self-image: Gender and branding practices among journalists
US20130226709A1 (en) Methods and systems to present network notifications in conjunction with display advertisements
Jin et al. Motivations, consumption emotions, and temporal orientations in social media use: A strategic approach to engaging stakeholders across platforms
US20140201292A1 (en) Digital business card system performing social networking commonality comparisions, professional profile curation and personal brand management
US10713283B2 (en) Data set identification from attribute clusters
US10726087B2 (en) Machin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o identify and connect like-minded users
KR20140059110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Tandoc Jr et al. To share is to receive: News as social currency for social media reciprocity
US20190012601A1 (en)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for user group decision making, and user terminal using said method, operation method of server providing information for user group decision making, and server apparatus using said method
US20140019545A1 (en) Social Graph Expanding Method, Program and System
Oeldorf-Hirsch et al. For the birds: Media sourcing, Twitter, and the minimal effect on audience perceptions
US10924568B1 (en) Machine learning system for networking
KR20190030789A (ko) 사용자 단말, 서비스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큐레이션 기반 고객-서비스 제공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
Tominaga et al. How self-disclosure in Twitter profiles relate to anonymity consciousness and usage objectives: a cross-cultural study
JP2021149913A (ja) 対話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装置
KR20210101942A (ko) 서베이 기반 관계 설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20210173823A1 (en) Network-based content submission and contest management
Pramiyati et al. Determining Trust Scope Attributes Using Goodness of Fit Test: A Survey
Meyer Death in the age of eternity: how Facebook users cope with personal loss
KR20220150140A (ko) 페이지톡 기반의 동시 접속 다중 사용자 이커머스 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