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801A - 온라인 신상정보 안정성 검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신상정보 안정성 검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801A
KR20210101801A KR1020200016208A KR20200016208A KR20210101801A KR 20210101801 A KR20210101801 A KR 20210101801A KR 1020200016208 A KR1020200016208 A KR 1020200016208A KR 20200016208 A KR20200016208 A KR 20200016208A KR 20210101801 A KR20210101801 A KR 20210101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otoo
online
provider system
j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우
김영석
김동구
Original Assignee
한국통합민원센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통합민원센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통합민원센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6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1801A/ko
Publication of KR2021010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toO(Online to Offline) 제공자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OtoO 이용자의 신상정보를 상기 OtoO 제공자 시스템에게 제공하는 온라인 신상정보 안정성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직자 정보 등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직자의 구직요청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구직자 정보 등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구직자의 신원을 인증하기 위한 개인 키(Key)값을 제공하는 OtoO 이용자 단말기와, 상기 구직요청데이터를 수신하여 구직요청데이터에 포함된 구직과 관련하여 제한되는 신상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 검증요청데이터를 제공하는 0to0 제공자 시스템, 및 상기 구직자 정보 등록 어플리케이션을 OtoO 이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고 상기 개인 키값과 검증요청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구직에 제한되는 신상정보를 상기 0to0 제공자 시스템에 제공하기 위해서 관공서 시스템에 접속한 후 문서는 파싱을 통해서 수집하고 화면은 스크래핑을 통해서 수집하는 신상 검증 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OtoO 제공자 시스템 관리자가 OtoO 이용자의 신상정보를 확인함으로써 각종 범죄 행위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신상정보 안정성 검증 시스템 {Online personal information reliability ve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온라인 신상정보 안정성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OtoO(Online to Offline) 제공자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OtoO(Online to Offline) 이용자의 신상정보를 상기 OtoO(Online to Offline) 제공자 시스템에게 제공하는 온라인 신상정보 안정성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긱워커(Gig worker)는 노동이 필요할 때 관련된 사람에게 단기로 일을 처리하는 자로써 요즘 카카오대리, 타다, 쿠팡플렉스 등이 있고 긱워커를 이용하기 위한 OtoO 제공자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긱워커와 같은 새로운 고용시장이 성장하고 있지만, 상기 긱워커 예를 들어서 대리운전자의 성폭행, 절도 배달기사의 강도, 성폭행 등 사회적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하여, 긱워커를 제공하기 위한 OtoO(Online to Offline) 제공자 시스템 관리자는 긱워커의 신상정보 즉, 교통사고, 범칙금, 성범죄, 절도 등의 정보들이 필요하지만 현실적으로 긱워커를 하고자 하는 OtoO(Online to Offline) 이용자의 신상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신상정보 확인은 온라인 경우에 공인인증기관을 통한 공인인증서로 신원을 확인하고 오프라인 경우에 사용자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신분증 정도에 불과하고 관련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0258호인 '신분확인 시스템과 방법'은 사람을 특정 정보와 연관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신분을 나타내는 신분증의 영상을 캡처링 장치에서 전자화문서로 디지털 캡처하는 단계와, 캡처링 장치에서 상기 사람과 연관시킬 데이터를 캡처하는 단계, 및 캡처된 데이터와 전자화문서를 컴퓨터망을 통해 캡처링 장치에서 원격 리시버에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 기술 역시 긱워커를 하고자 하는 OtoO 이용자의 교통사고, 범칙금, 성범죄, 절도 등과 같은 신상정보를 OtoO 제공자 시스템 관리자가 미리 확인하지 못하기 때문에 범죄를 미연에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0258호 '신분확인 시스템과 방법'(공개일 2017. 04. 1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0to0 제공자 시스템 관리자가 0to0 이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직 요청시 0to0 이용자 단말기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수집하여 범죄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신상정보 안정성 검증 시스템은 구직자 정보 등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직자의 구직요청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구직자 정보 등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구직자의 신원을 인증하기 위한 개인 키(Key)값을 제공하는 OtoO(Online to Offline) 이용자 단말기와, 상기 구직요청데이터를 수신하고 구직요청데이터에 포함된 구직과 관련하여 제한되는 신상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 검증요청데이터를 제공하는 0to0(Online to Offline) 제공자 시스템, 및 상기 구직자 정보 등록 어플리케이션을 OtoO 이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고 상기 개인 키값과 검증요청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구직에 제한되는 신상정보를 상기 0to0 제공자 시스템에 제공하기 위해서 관공서 시스템에 접속한 후 문서는 파싱을 통해서 수집하고 화면은 스크래핑을 통해서 수집하는 신상 검증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상 검증 시스템은 상기 수집된 문서, 화면을 0to0 제공자 시스템에서 요청한 신상정보로 가공하여 온라인 게시판에 게시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상 검증 시스템은 상기 0to0 제공자 시스템에서 요청한 신상정보가 교통법규 위반과 관련된 경우에 경찰청 시스템에 접속하여 수집한 후 0to0 제공자 시스템에게 제공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상 검증 시스템은 상기 0to0 제공자 시스템에서 요청한 신상정보가 성범죄와 관련된 경우에 여성가족부 시스템에 접속하여 수집한 후 0to0 제공자 시스템에게 제공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상 검증 시스템은 상기 0to0 제공자 시스템에서 요청한 신상정보가 성적, 졸업증명서와 관련된 경우에 해당 발급 시스템에 접속하여 수집한 후 0to0 제공자 시스템에게 제공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OtoO(Online to Offline) 제공자 시스템 관리자가 OtoO(Online to Offline) 이용자의 신상정보를 확인함으로써 각종 범죄 행위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신상정보 안정성 검증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찰청 시스템 접속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신상정보 안정성 검증 시스템 구성도로써 상기 온라인 신상정보 안정성 검증 시스템은 OtoO(Online to Offline) 이용자 단말기(100)와 OtoO(Online to Offline) 제공자 시스템(200) 및 신상 검증 시스템(300)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OtoO 이용자 단말기(100)는 구직자 정보 등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직자의 구직요청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구직자 정보 등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구직자의 신원을 인증하기 위한 개인 키(Key)값을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OtoO 이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OtoO 제공자 시스템(200)으로부터 구직자 정보 등록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설치되면 상기 구직자 정보 등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배달기사로 구직하겠다는 구직요청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구직자 정보 등록 어플리케이션은 구직자의 신상정보를 각종 관공서 시스템으로부터 신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개인 키값을 상기 신상 검증 시스템(300)으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구직자 정보 등록 어플리케이션은 앱, 웹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개인 키 값은 신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최소한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0to0 제공자 시스템(200)은 상기 구직요청데이터를 수신하여 구직요청데이터에 포함된 구직과 관련하여 제한되는 신상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 검증요청데이터를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0to0 제공자 시스템(200)은 카카오대리, 타다, 쿠팡플렉스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써, 상기 OtoO(Online to Offline) 이용자 단말기(100)로부터 구직요청데이터를 수신하면 강도전과가 있는지, 성범죄전과가 있는지 등 범죄 가능성 있는 자가 구직과 관련하여 제한되는 신상정보를 제공받고자 하기 때문에 상기 신상 검증 시스템(300)에게 검증요청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신상 검증 시스템(300)은 상기 구직자 정보 등록 어플리케이션을 OtoO 이용자 단말기(100)에게 제공하고 상기 개인 키값과 검증요청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구직에 제한되는 신상정보를 상기 0to0 제공자 시스템(200)에 제공하기 위해서 관공서 시스템에 접속한 후 문서는 파싱을 통해서 수집하고 화면은 스크래핑을 통해서 수집한다.
예컨대, 상기 신상 검증 시스템(300)은 OtoO 이용자 단말기(100) 구체적인 예로써 배달기사로 구직하고자 하는 이용자가 구직자 정보 등록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설치하면 이를 통하여 배달기사의 신상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 배달기사의 신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공인인증서의 개인 키값을 서버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신상 검증 시스템(300)은 배달기사가 사고 내역이 있는지, 주정차 위반이력이 있는지 등 배달과 관련된 신상정보를 제공받고자 교통과 관련되는 관공서 즉, 경찰청 시스템에 접속 후 서버에 저장된 개인 키 값을 이용하여 로그인 한다.
이때, 상기 신상 검증 시스템(300)은 특정 인자값을 찾는 어플리케이션으로 문서인 경우는 파싱으로 화면의 경우는 스크래핑으로 신상정보를 제공받아서 0to0 제공자 시스템(200)에 제공하고 일정기간 후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신상 검증 시스템(300)은 상기 수집된 문서, 화면을 0to0 제공자 시스템(200)에서 요청한 신상정보로 가공하여 온라인 게시판에 게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신상 검증 시스템(300)은 0to0 제공자 시스템(200)에서 배달기사의 신상정보 중에서 과속, 주차위반 횟수만을 요청하면 수집된 문서, 화면 중에서 과속, 주차위반 횟수만 추출하여 제공한다.
한편, 상기 신상 검증 시스템(300)은 상기 0to0 제공자 시스템(200)에서 요청한 신상정보가 교통법규 위반, 범죄전과와 관련된 경우에 경찰청 시스템에 접속하여 수집한 후 0to0 제공자 시스템(200)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신상 검증 시스템(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직자가 대리운전으로 구직하고자 하면 0to0 제공자 시스템(200)에 대리운전을 하고자 하는 구직자가 범죄 가능성이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서 경찰청 시스템에 접속 후 서버에 저장된 공인인증서의 개인 키 값을 이용하여 로그인 하고 이를 통해서 강도전과 1회, 주차위반 7회, 교통범칙금 총 누적액 100만원과 같은 신상정보를 수집함으로써 범죄 예방 및 다른 종류의 구직 형태를 제공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신상 검증 시스템(300)은 경찰청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되는 교통법규 위반, 범죄전과와 관련된 신상정보는 앞서 설명한 파싱, 스크래핑을 이용하여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신상 검증 시스템(300)은 상기 0to0 제공자 시스템(200)에서 요청한 신상정보가 성범죄와 관련된 경우에 여성가족부 시스템에 접속하여 수집한 후 0to0 제공자 시스템(200)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신상 검증 시스템(300)은 여성가족부 시스템 접속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한 작용에 따른 것으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여성가족부 시스템은 여성가족부에서 제공되는 신상정보가 범죄 유발에 가능성이 있는 다른 정보가 있는 경우에 이와 관련된 정보를 신상정보에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신상 검증 시스템(300)은 상기 0to0 제공자 시스템(200)에서 요청한 신상정보가 성적, 졸업증명서와 관련된 경우에 해당 발급 시스템에 접속하여 수집하여 0to0 제공자 시스템(200)에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과외 관련 OtoO 제공자 시스템(200)은 과외를 하고자 하는 OtoO 이용자 단말기(100)를 통해서 이용자가 과외 요청시 성적 위조, 졸업증명서 위조를 방지하고자 신상 검증 시스템(300)에 성적 위조, 졸업증명서 위조 요청시 이를 제공함으로써 과외를 제공받는 학생에게 인지도를 높이고 특히, 성범죄 예방을 위해서 경찰철 시스템과 연동되어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 또는 새로운 조건에서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고 상기 시스템들은 클라이언트, 서버 등 다양한 하드웨어 장비를 조합 또는 추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OtoO 이용자 단말기
200 : OtoO 제공자 시스템
300 : 신상 검증 시스템

Claims (5)

  1. 구직자 정보 등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직자의 구직요청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구직자 정보 등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구직자의 신원을 인증하기 위한 개인 키(Key)값을 제공하는 OtoO(Online to Offline) 이용자 단말기와;
    상기 구직요청데이터를 수신하고 구직요청데이터에 포함된 구직과 관련하여 제한되는 신상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 검증요청데이터를 제공하는 0to0(Online to Offline) 제공자 시스템; 및
    상기 구직자 정보 등록 어플리케이션을 OtoO 이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고 상기 개인 키값과 검증요청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구직에 제한되는 신상정보를 상기 0to0 제공자 시스템에 제공하기 위해서 관공서 시스템에 접속한 후 문서는 파싱을 통해서 수집하고 화면은 스크래핑을 통해서 수집하는 신상 검증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신상정보 안정성 검증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상 검증 시스템은
    상기 수집된 문서, 화면을 0to0 제공자 시스템에서 요청한 신상정보로 가공하여 온라인 게시판에 게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신상정보 안정성 검증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상 검증 시스템은
    상기 0to0 제공자 시스템에서 요청한 신상정보가 교통법규 위반과 관련된 경우에 경찰청 시스템에 접속하여 수집한 후 0to0 제공자 시스템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신상정보 안정성 검증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상 검증 시스템은
    상기 0to0 제공자 시스템에서 요청한 신상정보가 성범죄와 관련된 경우에 여성가족부 시스템에 접속하여 수집한 후 0to0 제공자 시스템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신상정보 안정성 검증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상 검증 시스템은
    상기 0to0 제공자 시스템에서 요청한 신상정보가 성적, 졸업증명서와 관련된 경우에 해당 발급 시스템에 접속하여 수집한 후 0to0 제공자 시스템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신상정보 안정성 검증 시스템.
KR1020200016208A 2020-02-11 2020-02-11 온라인 신상정보 안정성 검증 시스템 KR20210101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208A KR20210101801A (ko) 2020-02-11 2020-02-11 온라인 신상정보 안정성 검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208A KR20210101801A (ko) 2020-02-11 2020-02-11 온라인 신상정보 안정성 검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801A true KR20210101801A (ko) 2021-08-19

Family

ID=77492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208A KR20210101801A (ko) 2020-02-11 2020-02-11 온라인 신상정보 안정성 검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18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748A (ko) 2021-01-27 2022-08-03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비금융 정보를 이용하여 금융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금융 정보 생성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258A (ko) 2014-07-29 2017-04-12 베이토스캔 (피티와이) 엘티디 신분확인 시스템과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258A (ko) 2014-07-29 2017-04-12 베이토스캔 (피티와이) 엘티디 신분확인 시스템과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748A (ko) 2021-01-27 2022-08-03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비금융 정보를 이용하여 금융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금융 정보 생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46858C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cessing two-dimensional barcodes
US1022524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online verification and security
US11057426B2 (en) Methods and systems providing cyber defense for electronic identification, vehicles, ancillary vehicle platforms and telematics platforms
US20180253539A1 (en) Robust system and method of authenticating a client in non-face-to-face online interactions based on a combination of live biometrics, biographical data, blockchain transactions and signed digital certificates.
US10657233B1 (en) Extending electronic ID information
US20160380774A1 (en) Virtual credentials and licenses
US20160125680A1 (en) Identification scan in compliance with jurisdictional or other rules
CN111915789A (zh) 访客预约管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20220011999A1 (en) Visual verification of virtual credentials and licenses
KR20210101801A (ko) 온라인 신상정보 안정성 검증 시스템
EP4097611B1 (de) Verfahren zu einer zuordnung eines urhebers einer digitalen mediendatei und/oder zu einer distribution der digitalen mediendatei, aufnahmegerät und anzeigegerät
US2008020921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independent verification of information in a public forum
CN109075978A (zh) 用于生成经认证的数据的计算机系统
WO201620041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online verification and security
KR20150133357A (ko) 생체정보 본인증명을 활용한 개인관련 코드 통합관리 시스템 및 생체정보 본인증명을 활용한 개인관련 코드 생성 방법
WO2018115972A1 (en) Mobile credential with online/offline delivery
Danish et al. Insights overview of Afghanistan electronic national identification documents: eGovernment, eID card, and ePassport schemes
KR20200095686A (ko) 지원금의 정당한 지급을 위한 신원 검증시스템
WO2005001624A2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political campaign material
US20230254688A1 (en) Method of digitization and acquisition of sensitive data on mobile devices that ensures the safety and integrity of the data
US6694332B2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search warrants
WO2023085416A1 (ja) 電子チケットシステム、入場認証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3142064A1 (en) Virtual credentials and licenses
JP4718131B2 (ja)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
US202300364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Identifying Information from Biometric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