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772A -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772A
KR20210101772A KR1020200016141A KR20200016141A KR20210101772A KR 20210101772 A KR20210101772 A KR 20210101772A KR 1020200016141 A KR1020200016141 A KR 1020200016141A KR 20200016141 A KR20200016141 A KR 20200016141A KR 20210101772 A KR20210101772 A KR 20210101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state
breaker
main
measuring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돈
신상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00016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1772A/ko
Publication of KR20210101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772A/ko
Priority to KR1020220031225A priority patent/KR20220036930A/ko
Priority to KR1020230125914A priority patent/KR20230136909A/ko
Priority to KR2020230001937U priority patent/KR202300020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5Fault detection or status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2Apparatus, systems or circuits therefor
    • G01R31/3274Details related to measuring, e.g. sensing, displaying or computing; Measuring of variables related to the contact pieces, e.g. wear, position or resist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Abstract

본 발명은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분전반의 모선과 지선에 설치되는 다수의 차단기와, 상기 차단기들의 상태를 검출하고, 차단기들의 이차측 모선 또는 지선의 전기량을 계측하여 활선 여부를 확인하여, 차단기의 상태와 활선 여부의 동일성을 확인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 차단기 이상으로 판단하는 다수의 계측기와, 상기 다수의 계측기 각각으로부터 차단기의 이상 여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메인 계측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circuit breaker status of distribution panel}
본 발명은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분전반의 다중 선로용 계측기들을 이용하여 차단기 상태를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모선으로부터 지선이 분기되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분전반에 사용되는 디지털 전력 계측기는 디지털 패널 미터(digital panel meter)로서 배전반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전력 계통의 전압, 전류를 계측하여 전력과 전력량을 포함한 다양한 전기량을 연산하고 표시한다.
최근에는 에너지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전력 감시의 범위가 배전반 내 총 부하 에너지 정보 관리에서 분전반 내 각 부하별 분석적 에너지 관리로 변화되었다.
이에 따라 분전반 내부의 모선의 전기량 계측뿐만 아니라 지선의 분기 부하에 대해서도 각 분기별 전기량 계측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로 분전반용 디지털 전력 계측기가 사용되고 있다.
분전반용 다중 선로용 계측기는 계측한 각종 전기량을 통신 매체를 통해 메인 계측기로 전송하며 메인 계측기는 복수개의 분전반 다중 선로용 계측기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상위 시스템을 통해 물리적으로 산재되어 있는 복수개의 분전반에 대한 전력 감시를 중앙 집중식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분전반용 다중 선로용 계측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분전반용 다중 선로용 계측기 시스템은, 모선(100)에 설치된 메인 차단기(110)와, 메인 차단기(110)의 후단에서 모선의 전기량을 계측하는 제1계측기(120)와, 상기 모선(100)에서 분기된 지선(200)에 설치되어 부하(30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 제어하는 복수의 지선 차단기(210)와, 상기 지선 차단기(210)와 부하(300) 사이에 위치하며, 지선(200)의 부하(300)의 전기량을 계측하는 복수의 제2계측기(220)와, 상기 제2계측기(220) 및 제1계측기(120)와 통신을 통해 측정된 전기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메인 계측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의 구조에서 메인 차단기(110)와 지선 차단기(210)가 닫힌 상태에서, 부하(300)는 모선(100)과 모선(100)으로부터 분기된 지선(200)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처럼 지선(200)을 통해 부하(300)에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각 지선(200)에 설치된 제2계측기(220)는 부하(300)에 공급되는 전기량을 계측하고, 계측 결과를 통신선로를 통해 메인 계측기(400)에 송신한다. 또한 모선(100)에 설치된 제1계측기(120) 역시 각 지선(200)에 연결된 부하(300)들에 공급되는 전기량을 계측하고, 그 결과를 메인 계측기(400)로 송신한다.
제1계측기(120)와 제2계측기(220)는, 각각 모선(100)과 각 지선(200)의 메인 차단기(110)와 지선 차단기(210)의 부하측인 이차측에 직결되어 모선(100) 및 지선(200)에 걸리는 3상 전압을 계측한다.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모선(100) 및 지선(200)의 부스바 3개를 내장된 3개의 CT에 각각 관통시켜 3상 전류를 계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계측된 3상 전압 및 3상 전류를 이용하여 전력 및 전력량을 포함하여 각종 전기량을 연산한다.
제1계측기(120)와 제2계측기(220)는 MCU를 내장하며, 3상 전압 신호와 3상 전류 신호를 AD 변환한 후 각각에 대한 RMS 값을 연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계측기(120)와 제2계측기(220)가 계측하는 전기량은, 전압, 전류, 주파수, 유효전력, 무효전력,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및 고조파 함유율 등이다.
상기 메인 계측기(400)는 제1계측기(120)와 제2계측기(220)들의 계측결과를 수집하여 표시한다.
또한, 도면에는 생략하였으나 메인 계측기(400)는 외부 통신망을 통해 수집된 계측 결과를 상위 시스템으로 송신하여, 상위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분전반 상태를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중에 다양한 원인에 의해 지선 차단기(210)가 차단되는 경우 부하(300)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된다.
부하(300)에 공급되는 전력의 차단은 메인 차단기(110)의 차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메인 차단기(110)와 지선 차단기(210)에는 현재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조작 핸들을 포함하고 있다. 조작 핸들은 현재 메인 차단기(110) 또는 지선 차단기(210)의 이차측이 활선 상태인지 비활선 상태인지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조작 핸들이 ON 위치에 있으면 분기회로의 부하단이 활선 상태이며, 조작 핸들이 OFF 위치에 있으면 분기회로의 부하단이 비활선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작업자는 보통 부하(300) 측에서 유지 보수 등의 작업을 할 때, 지선 차단기(210)의 조작 핸들의 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한다.
즉, 지선 차단기(210)의 조작 핸들이 OFF 위치에 있는지 확인 한 후, 비활선 상태의 지선(200) 및 부하(300)에 대한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분전반의 함 내부가 매우 어두운 경우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조작 핸들들의 상태를 확인하기 어렵고, 경우에 따라서 ON 위치와 OFF 위치를 혼돈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차단기(110) 또는 지선 차단기(210) 자체의 고장으로 실제는 전력이 공급되는 활선 상태이지만, 조작 핸들의 위치가 OFF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전기 안전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단기의 조작 핸들과는 무관하게 활선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단기의 이차측에 위치하는 계측기의 계측 정보를 이용하여 차단기 본체나 보조접점 또는 경보접점 고장시 발생할 수 있는 차단기의 조작 핸들 상태와 다른 활선 상태를 감시 및 표시하여 전기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는, 분전반의 모선과 지선에 설치되는 다수의 차단기와, 상기 차단기들의 상태를 검출하고, 차단기들의 이차측 모선 또는 지선의 전기량을 계측하여 활선 여부를 확인하여, 차단기의 상태와 활선 여부의 동일성을 확인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 차단기 이상으로 판단하는 다수의 계측기와, 상기 다수의 계측기 각각으로부터 차단기의 이상 여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메인 계측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계측기는 상기 차단기의 보조접점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차단기의 차단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계측기는 상기 차단기의 경보접점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차단기의 차단에 대한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계측기로부터 차단기 이상 여부 및 전기량을 전송받아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에 요청하여 특정 분전반의 차단기 이상 여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방법은, a) 계측기에서 차단기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b) 계측기에서 모선 또는 지선의 활선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c) 계측기에서 상기 a) 단계의 검출결과와 b) 단계의 검출결과를 비교하여, 차단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의 판단결과 차단기에 이상이 있으면, 메인 계측기에 차단기 이상 정보를 전송하여, 메인 계측기에서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차단기의 보조접점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차단기의 차단여부를 검출하거나, 경보접점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차단기의 차단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a) 단계의 검출결과 차단기가 차단된 상태이고 상기 b) 단계의 검출결과 활선 상태일 때 차단기 이상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a) 단계의 검출결과가 차단기가 차단되지 않은 상태이고 상기 b) 단계의 검출결과 비활선 상태일 때 차단기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활선 상태의 검출은, 다상 중 한 상이라도 전기량이 검출되면 활선 상태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d)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메인 계측기에서 상기 계측기에서 수신된 차단기 이상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서버에 요청하여 특정 분전반의 차단기 이상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선 및 지선의 계측기들에 차단기의 보조접점과 경보접점을 연결하여, 차단기의 상태를 확인함과 아울러 설치 위치에서 계측된 전기량과 비교하여 차단기의 이상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단기의 이상 여부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단기의 이상 여부 검출 결과를 메인 계측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여 작업자가 쉽게 특정 계측기의 이상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 전기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메인 차단기의 외부 통신을 통해 상위 시스템으로 각 차단기의 상태 및 해당 차단기가 설치된 위치의 활선 여부를 전송하고, 작업자가 단말을 통해 상위 시스템에 접속하여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시 전기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분전반용 다중 선로용 계측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계측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는, 모선(10)에 설치된 메인 차단기(11)와, 메인 차단기(11)의 부하측인 이차측에서 모선의 전기량을 계측함과 아울러 메인 차단기(11)의 보조접점과 경보접점의 상태값을 확인하여 상태값과 계측값의 비교를 통해 메인 차단기(11)의 상태를 확인하는 제1계측기(12)와, 상기 모선(10)에서 분기된 지선(20)에 설치되어 부하(3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 제어하는 복수의 지선 차단기(21)와, 상기 지선 차단기(21)와 부하(30) 사이에서 전기량을 계측함과 아울러 지선 차단기(21)의 보조접점과 경보접점의 상태값을 확인하여, 상태값과 계측값의 비교를 통해 지선 차단기(21)의 상태를 확인하는 제2계측기(22)와, 상기 제2계측기(22) 및 제1계측기(12)와 통신을 통해 측정된 전기량을 수신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메인 차단기(11)와 지선 차단기(21)의 상태를 표시하는 메인 계측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메인 차단기(11)와 지선 차단기(21)의 구성은 용량에만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차단기(11)는 과전류로부터 부하(30)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전류검출부, 차단부를 포함한다.
통상 차단기는 보조접점과 경보접점을 포함한다.
보조접점(Auxiliary Switch, AX)은 차단기의 ON 또는 OFF의 상태를 출력하는 접점이고, 경보접점(Alarm Switch, AL)은 차단기가 과부하, 단락 사고 등으로 차단된 경우 이를 외부로 알리기 위한 접점이다.
즉, 메인 차단기(11)와 지선 차단기(21)는 접점 상태와 차단 상태를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메인 차단기(11)의 이차측인 모선(10)에 설치되어 전기량을 계측하는 제1계측기(12)는 상기 메인 차단기(11)의 보조접점(AX)과 경보접점(AL)에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메인 차단기(11)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보조접점(AX)을 통해 메인 차단기(11)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0 또는 1의 신호(또는 그 반대)로 검출할 수 있으며, 경보접점(AL)의 차단 상태 역시 0 또는 1의 신호로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제1계측기(12)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계측기(12)는 제어유닛(13), 계측부(14) 및 메인 계측기(4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5)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차단기(11)의 보조접점(AX)과 경보접점(AL)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접점수신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계측 결과 또는 제어유닛(13)의 연산 또는 동작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7)를 포함할 수 있다.
위의 제1계측기(12)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제2계측기(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제1계측기(12)와 제2계측기(22)의 동작에 꼭 필요한 요소들만 설명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성요소의 부가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제1계측기(12)와 제2계측기(22)를 구분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설치 위치가 모선(10) 또는 지선(20)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각각 다른 명칭과 부호로 설명하지만,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임을 알 수 있다.
즉, 지선 차단기(21) 또한 보조접점(AX)과 경보접점(AL)을 가지고 있으며, 지선 차단기(21)의 이차측 지선(20)에 위치하는 제2계측기(22) 또한 접점수신부를 포함하여 지선 차단기(21)의 보조접점(AX)을 통해 지선 차단기(21)의 차단 상태와 경보접점(AL)을 통한 차단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이처럼 제1계측기(12)와 제2계측기(22)는 각각 메인 차단기(11)와 지선 차단기(21)의 상태를 검출함과 아울러 각각의 설치 위치에서의 전기량을 검출한다.
따라서, 상기 제1계측기(12)와 제2계측기(22)는 각각 메인 차단기(11)와 지선 차단기(21)의 상태와 전기량 검출결과의 일치성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계측기(22)의 제어유닛은 지선 차단기(21)의 보조접점(AX)을 통해 검출한 결과가 지선(20)의 차단 상태이고, 지선(20)에서 검출된 전기량이 없는 경우라면 해당 지선 차단기(21)의 상태가 정상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지선 차단기(21)의 보조접점(AX)을 통해 검출한 결과가 지선(20)의 차단 상태이나 계측부를 통해 계측된 전기량이 있는 경우라면, 지선 차단기(21)에 이상이 있는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계측기(12)와 제2계측기(22)는 메인 차단기(11)와 지선 차단기(21)의 상태와 모선(10) 또는 지선(20)의 활선 상태를 이용하여 메인 차단기(11)와 지선 차단기(21)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의 상태는 경보접점(AL)을 통해서도 동일하게 검출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는 보조접점(AX)과 경보접점(AL)의 신호를 모두 이용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보조접점(AX) 또는 경보접점(Al)의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계측기(12)와 제2계측기(22)는 차단기의 상태를 검출하고, 이를 통신부(15)를 통해 메인 계측기(40)로 전송한다.
메인 계측기(40)는 제1계측기(12)와 제2계측기(22)의 계측부(14)에서 검출된 전기량을 표시함과 아울러 제1계측기(12)와 제2계측기(22)에서 판단한 메인 차단기(11)와 지선 차단기(21)의 상태 정보도 함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메인 계측기(40)의 디스플레이를 확인하여, 특정 차단기에 이상이 있는지를 쉽고 안전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방법은, 차단기의 보조접점 또는 경보접점을 통해 차단기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S41)와, 설치 위치에서 전기량을 검출하는 단계(S42)와, 상기 차단기의 상태와 전기량 검출 결과가 동일하면 상기 S41단계를 재수행하는 단계(S43)와, 상기 S43단계의 판단결과 동일하지 않으면 해당 차단기의 정보를 메인 계측기로 송신하는 단계(S44)와, 메인 계측기에서 이상이 발생한 차단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4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다수의 지선과 하나의 모선에 설치된 차단기의 이상 여부를 실시간 확인하여 메인 계측기(4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방법의 예를 상기 지선 차단기(21)와 제2계측기(22)의 동작을 통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S41단계에서 제2계측기(22)는 지선 차단기(21)의 보조접점(AX) 또는 경보접점(AL)의 신호를 검출한다. 이때 보조접점(AX)을 통해 지선 차단기(21)가 ON상태 또는 OFF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경보접점(AL)을 통해 차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의 상태는 0 또는 1의 신호를 검출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 S42단계와 같이 상기 제2계측기(22)는 지선(20)의 부하(30)에 공급되는 전기량을 검출한다. 상기 전기량의 검출은 제2계측기(22)의 계측부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2계측기(22)의 계측부는 지선(20)의 3상 각각에 대한 전기량을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3상 중 하나에서라도 전기량이 검출되면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 다음, S43단계와 같이 상기 제2계측기(22)의 제어유닛은, 상기 S41단계의 검출결과와 S42단계의 검출결과를 비교하여, 상태의 동일성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S41단계에서 검출한 결과 지선 차단기(21)가 차단상태이고, S42단계에서 검출한 지선(20)의 상태가 비활선인 경우 상태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동일하게 S41단계에서 검출한 결과 지선 차단기(21)가 차단되지 않은 상태이고, S42단계에서 검출한 지선(20)의 상태가 활선인 경우 상태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다른 상태로서, S41단계에서 검출한 결과 지선 차단기(21)가 차단상태이나 S42단계에서 판단한 지선(20)의 상태가 활선 상태이면, 지선 차단기(21)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S41단계에서 검출한 결과 지선 차단기(21)가 차단 상태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S42단계에서 검출한 결과 지선(20)이 비활선 상태이면 역시 지선 차단기(21)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위의 판단에서 지선 차단기(2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라면, 상기 S41단계부터 재수행하여 차단기의 상태를 실시간 감시한다.
지선 차단기(21)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S44단계와 같이 해당 지선 차단기(21)의 정보와 이상 상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메인 계측기(40)로 전송한다.
그 다음, S45단계와 같이 메인 계측기(40)는 수신된 이상이 있는 지선 차단기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메인 계측기(40)를 통해 이상이 있는 차단기의 정보를 작업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좀 더 쉽게 특정 지선(20)의 상태 및 차단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현재 작업 대상인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차단기 감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감시 장치는, 상위 시스템인 서버(50)와, 사용자 단말(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50)는 분전반들에 설치된 메인 계측기(40)들과 통신 가능하며, 관리자가 원격에서 메인 계측기(40)들에 차단기의 상태 및 전기량 계측 결과를 제공하는 제1계측기(12)와 제2계측기(22)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60)의 요청에 따라 특정한 분전반에 대한 차단기 상태 및 활선 상태를 전송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서버(50)는 통상의 컴퓨터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처리장치, 저장장치, 메모리, 입력장치를 포함하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한 것으로 한다.
단말(60) 역시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 가능하며, 사용자에게 특정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처리장치,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단말(60)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PC, 노트북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다수의 배전반 각각에 설치된 메인 계측기(40)는 앞서 설명한 차단기의 상태 정보 및 계측기들에서 계측된 전기량 정보를 서버(50)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송신하며, 서버(50)는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고 단말(6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유지 및 보수할 분전반의 차단기 및 지선의 활선 상태를 단말(60)을 통해 쉽게 확인 가능하며, 따라서 차단기의 상태 이상 등의 원인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모선 11:메인 차단기
12:제1계측기 13:제어유닛
14:계측부 15:통신부
16:접점입력부 20:지선
21:지선 차단기 22:제2계측기
30:부하 40:메인 계측기
50:서버 60:단말

Claims (11)

  1. 분전반의 모선과 지선에 설치되는 다수의 차단기와,
    상기 차단기들의 상태를 검출하고, 차단기들의 이차측 모선 또는 지선의 전기량을 계측하여 활선 여부를 확인하여, 차단기의 상태와 활선 여부의 동일성을 확인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 차단기 이상으로 판단하는 다수의 계측기와,
    상기 다수의 계측기 각각으로부터 차단기의 이상 여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메인 계측기를 포함하는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는,
    상기 차단기의 보조접점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차단기의 차단여부를 검출하는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는,
    상기 차단기의 경보접점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차단기의 차단에 대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계측기로부터 차단기 이상 여부 및 전기량을 전송받아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특정 분전반의 차단기 이상여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말을 더 포함하는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6. a) 계측기에서 차단기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b) 계측기에서 모선 또는 지선의 활선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c) 계측기에서 상기 a) 단계의 검출결과와 b) 단계의 검출결과를 비교하여, 차단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판단결과 차단기에 이상이 있으면, 메인 계측기에 차단기 이상 정보를 전송하여, 메인 계측기에서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차단기 보조접점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차단기의 차단여부를 검출하거나, 경보접점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차단기의 차단에 대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a) 단계의 검출결과 차단기가 차단된 상태이고 상기 b) 단계의 검출결과 활선 상태일 때 차단기 이상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a) 단계의 검출결과가 차단기가 차단되지 않은 상태이고 상기 b) 단계의 검출결과 비활선 상태일 때 차단기 이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선 상태의 검출은,
    다상 중 한 상이라도 전기량이 검출되면 활선 상태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메인 계측기에서 상기 계측기에서 수신된 차단기 이상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서버에 요청하여 특정 분전반의 차단기 이상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방법.
KR1020200016141A 2020-02-11 2020-02-11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210101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141A KR20210101772A (ko) 2020-02-11 2020-02-11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0220031225A KR20220036930A (ko) 2020-02-11 2022-03-14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0230125914A KR20230136909A (ko) 2020-02-11 2023-09-20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20230001937U KR20230002072U (ko) 2020-02-11 2023-09-21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141A KR20210101772A (ko) 2020-02-11 2020-02-11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225A Division KR20220036930A (ko) 2020-02-11 2022-03-14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772A true KR20210101772A (ko) 2021-08-19

Family

ID=7749265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141A KR20210101772A (ko) 2020-02-11 2020-02-11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0220031225A KR20220036930A (ko) 2020-02-11 2022-03-14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0230125914A KR20230136909A (ko) 2020-02-11 2023-09-20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20230001937U KR20230002072U (ko) 2020-02-11 2023-09-21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225A KR20220036930A (ko) 2020-02-11 2022-03-14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0230125914A KR20230136909A (ko) 2020-02-11 2023-09-20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20230001937U KR20230002072U (ko) 2020-02-11 2023-09-21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2101017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980B1 (ko) * 2022-12-19 2023-09-11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이 전력 모니터링 설비를 구비한 분전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980B1 (ko) * 2022-12-19 2023-09-11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이 전력 모니터링 설비를 구비한 분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930A (ko) 2022-03-23
KR20230136909A (ko) 2023-09-27
KR20230002072U (ko) 202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628B1 (ko) 지역별로 설비된 분전반과 수배전반의 상태를 관리하는 전기안전감시시스템
KR101039313B1 (ko) 모니터링이 가능한 조립식 전원분배장치
KR101003814B1 (ko) 전기적회로 이상감지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및 그 제어방법
KR102057494B1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US20050225909A1 (en) Leakage monitoring system
KR20070013675A (ko) 디지털 분전반
KR101449706B1 (ko) 실시간 구간별 선로이상 및 고조파, 접지저항값을 측정 감지하여 이상 발생에 따른 차단, 복구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2145266B1 (ko) 전력계통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EP2019323B1 (en) Device and method for indicating and signalling changes in a three-phase voltage system of power line, with the purpose to detect interrupted conductions
US11187750B2 (en) Method for detecting the state of an electrical protection appliance in an electrical installation and detection device implementing said method
KR20230002072U (ko)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KR101713076B1 (ko) 전력설비 보호계전기의 보호요소 계측값 및 동작상태 표시 시스템
KR101041398B1 (ko) 배전반 전류 감시 장치
US110568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feeder protection in electrical power network
KR101976989B1 (ko) 전원장치의 누설전류 모니터링 및 경보 시스템
CN110596529A (zh) 柔性直流电网对地绝缘故障检测装置及系统
KR101485050B1 (ko) 직류전력 감시가 가능한 분전반
CN105811368B (zh) 自适应性零线断线保护装置及系统
KR102053540B1 (ko) 보호배전반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017629B1 (ko) 변전 설비 보호를 위한 보호 계전 시스템
KR102026644B1 (ko) 상전류 편차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단선위치 검출 장치와 방법
KR101020038B1 (ko) 전기적 이상상태 감지기능을 구비한 모터 제어반
KR101017386B1 (ko)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입력전압 감시장치 및 방법
KR20110067997A (ko) 원격 검침망 기반의 전원선 누설 전류 감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89625B1 (ko) 인입라인 및 분기라인 전력측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