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577A - 오디오 입력기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입력기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577A
KR20210101577A KR1020200015700A KR20200015700A KR20210101577A KR 20210101577 A KR20210101577 A KR 20210101577A KR 1020200015700 A KR1020200015700 A KR 1020200015700A KR 20200015700 A KR20200015700 A KR 20200015700A KR 20210101577 A KR20210101577 A KR 20210101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processor
digital signal
sound
camera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도원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5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1577A/ko
Publication of KR20210101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1/00Associated working of cameras or projectors with sound-recording or sound-reproduc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Abstract

카메라 장치는, 메인 프로세서, 메인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복수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 복수의 포트들을 통해 각각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에 연결되는 오디오 프로세서, 그리고 오디오 입력기를 포함한다. 오디오 프로세서는 오디오 입력기를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를 복수의 포트들을 통해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에 공통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중 선택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영상 데이터가 출력될 때 선택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대응하는 오디오 코덱이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생성한 사운드 데이터가 함께 출력된다.

Description

오디오 입력기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CAMERA DEVICE INCLUDING AUDIO INPUT UNIT}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오디오 입력기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능형 영상 감시 분야에서 다수의 카메라들을 활용한 카메라 장치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다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한대의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넓은 영역에 대한 커버가 가능하므로, 그에 대한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각 카메라는 줌 렌즈를 조절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으며, 카메라 장치는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원격지에 위치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각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다수의 영상들 각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내부 저장 매체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다수의 영상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는 그러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영상 및/또는 그과 연관된 표시(예를 들면, 선택된 영상을 하이라이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위 기재된 내용은 오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들에 대한 배경 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그것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선행 기술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이해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선택된 영상 데이터와 함께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카메라 장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제공하는 복수의 채널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채널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 선택된 채널의 영상 데이터와 함께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메인 프로세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상기 복수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 복수의 포트들을 통해 각각 상기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에 연결되는 오디오 프로세서; 및 오디오 입력기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입력기를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를 상기 복수의 포트들을 통해 상기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에 공통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중 선택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영상 데이터가 출력될 때, 상기 선택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대응하는 오디오 코덱이 상기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생성한 사운드 데이터가 함께 출력된다.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는 제 2 오디오 코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포트들 각각에 상기 사운드 신호를 바이패스 및 출력하도록 상기 제 2 오디오 코덱의 설정값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고,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장치는 통신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기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 2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포트들을 통해 상기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에 공통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에 공통 연결된 오디오 스위치; 및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대응하는 상기 오디오 코덱이 상기 제 2 사운드 데이터를 처리하여 생성한 제 2 사운드 신호를 상기 스피커에 전달하도록 상기 오디오 스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선택된 영상 데이터와 함께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오디오 프로세서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X, Y, 및 Z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그리고 "X, Y, 및 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는 X 하나, Y 하나, Z 하나, 또는 X, Y, 및 Z 중 둘 또는 그 이상의 어떤 조합 (예를 들면, XYZ, XYY, YZ, ZZ) 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및/또는"은 해당 구성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시스템(100)은 네트워크(105), 카메라 장치(110), 및 사용자 컴퓨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10) 및 사용자 컴퓨터(120)에 의해 제공되는 동작들 및 서비스들은 여기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위해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며, 더 많은 수 혹은 더 적은 수의 장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105)는 카메라 장치(110) 및 사용자 컴퓨터(120)를 연결한다. 네트워크(105)는 공용 네트워크(public network), 적어도 하나의 사설 네트워크(private network),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다른 적절한 타입의 네트워크, 및 그것들의 조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10) 및 사용자 컴퓨터(120) 각각은 유선 통신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네트워크(105)를 통해 상호 간 통신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10)는 복수의 영상 촬영기들을 포함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복수의 영상 촬영기들 각각은 렌즈를 통해 수신되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10)는 복수의 영상 촬영기들에 의해 생성된 영상 신호들 각각을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컴퓨터(120)에 전송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10)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여 사운드를 촬영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소리를 감지하여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며, 카메라 장치(110)는 생성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사운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컴퓨터(120)는 네트워크(105)를 통해 카메라 장치(11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컴퓨터(120)는 카메라 장치(110)로부터 전송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 컴퓨터(120)는 영상 데이터에 기반한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사운드 데이터에 기반한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컴퓨터(120)는 카메라 장치(110)의 복수의 영상 촬영기들(혹은 그것들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커맨드를 카메라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컴퓨터(120)의 사용자는 카메라 장치(110)의 복수의 영상 촬영기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컴퓨터(120)는 그러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카메라 장치(110)를 커맨드할 수 있다.
커맨드에 응답하여, 카메라 장치(110)는 선택된 영상 촬영기의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컴퓨터(1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110)는 마이크로폰의 사운드 신호에 따른 사운드 데이터를 사용자 컴퓨터(120)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카메라 장치(110)는 영상 데이터와 사운드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데이터로서 사용자 컴퓨터(12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컴퓨터(120)는 컴퓨터, UMPC(Ultra Mobile PC), 워크스테이션, 넷북(net-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e-북(e-book),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정보를 유선 및/또는 무선 환경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타입들의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장치(200)는 마이크로폰(210), 오디오 프로세서(220), 제 1 내지 제 n 오디오 코덱들(231~23n), 제 1 내지 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241~24n), 메인 프로세서(250), 메모리(260), 통신기(270), 오디오 스위치(280), 및 스피커(29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200)는 마이크로폰(210)과 같이 외부의 사운드를 감지하여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입력기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210)은 사운드를 감지하여 입력 사운드 신호(ISS)를 생성하고, 생성된 입력 사운드 신호(ISS)를 오디오 프로세서(220)에 제공하고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220)는 마이크로폰(210)에 연결된다. 오디오 프로세서(220)는 메인 프로세서(250)의 제어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220)는 입력 사운드 신호(ISS)를 복제하고, 복제된 입력 사운드 신호(ISS)를 제 1 내지 제 n 오디오 코덱들(231~23n) 각각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서, 오디오 프로세서(220)는 제 1 내지 제 n 포트들(P1~Pn)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250)는 입력 사운드 신호(ISS)를 제 1 내지 제 n 포트들(P1~Pn) 각각을 통해 출력하도록 오디오 프로세서(220)를 설정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n 오디오 코덱들(231~23n)은 오디오 프로세서(2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n 오디오 코덱들(231~23n)은 제 1 내지 제 n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241~24n)에 각각 대응한다. 각 오디오 코덱은 수신된 입력 사운드 신호(ISS)를 인코딩하여 사운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 사운드 신호(ISS)는 아날로그 신호이며, 사운드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도 2에서, 제 1 오디오 코덱(231)은 입력 사운드 신호(ISS)를 처리하여 제 1 사운드 데이터(SD1)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 n 오디오 코덱(23n)은 입력 사운드 신호(ISS)를 처리하여 제 n 사운드 데이터(SDn)를 생성할 수 있다.
각 오디오 코덱은 사운드 데이터를 해당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오디오 코덱의 디지털 출력단은 해당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n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241~24n)은 각각 제 1 내지 제 n 채널들(CH1~CHn)을 통해 메인 프로세서(250)에 연결되어 메인 프로세서(250)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n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241~24n)은 제 1 내지 제 n 오디오 코덱들(231~23n)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n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241~24n) 각각은 이미지 센서로부터 원(raw)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고, 원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서, 제 1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41)는 제 1 원 영상 데이터(RVD1)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여 제 1 영상 데이터(VD1)를 생성다. 제 n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4n)는 제 n 원 영상 데이터(RVDn)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여 제 n 영상 데이터(VDn)를 생성한다.
제 1 내지 제 n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241~24n) 각각은 해당 오디오 코덱으로부터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에서, 제 1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41)는 제 1 오디오 코덱(231)으로부터 제 1 사운드 데이터(SD1)를 수신하며, 제 n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4n)는 제 n 오디오 코덱(23n)으로부터 제 n 사운드 데이터(SDn)를 수신할 수 있다. 각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오디오 코덱으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함께 메인 프로세서(25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에서 제 1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41)는 제 1 사운드 데이터(SD1) 및 제 1 영상 데이터(VD1)를 제 1 채널(CH1)을 통해 메인 프로세서(250)에 제공하며, 제 2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4n)는 제 n 사운드 데이터(SDn) 및 제 n 영상 데이터(VDn)를 제 n 채널(CHn)을 통해 메인 프로세서(250)에 제공한다.
메인 프로세서(250)는 제 1 내지 제 n 채널들(CH1~CHn)을 통해 수신되는 제 1 내지 제 n 영상 데이터들(VD1~VDn)를 통신기(270)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120, 도 1 참조)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컴퓨터(120)는 제 1 내지 제 n 영상 데이터들(VD1~VDn)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커맨드를 카메라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커맨드에 의해 제 1 내지 제 n 채널들(CH1~CHn) 중 어느 하나(혹은, 241~24n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그러한 커맨드에 응답하여, 메인 프로세서(250)는 선택된 채널(혹은, 선택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영상 데이터를 통신기(270)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메인 프로세서(250)는 영상 데이터와 동일 채널로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와 사운드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메인 프로세서(250)는 영상 데이터 및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컴퓨터(12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컴퓨터(120)는 영상 데이터 및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 및 재생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200)가 복수의 렌즈들을 통해 영상들을 촬영하더라도 그 영상들에 각각 대응하는 사운드들을 촬영하는 것은 어렵다. 만약 카메라 장치가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한다 하더라도, 그러한 마이크로폰들을 통해 획득되는 사운드들은 하나의 장치 내에 설치될 수 밖에 없는 물리적 요인으로 인해 크게 다르지 않는 반면, 마이크로폰들과 같이 사운드들을 획득하기 위해 요구되는 모듈들에 상대적으로 많은 자원들이 소모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멀티 카메라 장치는 사운드 촬영 기능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200)는 복수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241~24n)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231~23n)을 포함하고, 입력 사운드 신호(ISS)를 복제하여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231~23n)에 제공하는 오디오 프로세서(220)를 포함한다. 메인 프로세서(250)는 선택된 채널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때 해당 사운드 데이터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컴퓨터(120)는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때 사운드 데이터를 함께 재생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메인 프로세서(250)와 연결된다. 메모리(260)는 메인 프로세서(250)의 워킹 메모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260)는 카메라 장치(200)의 구성 요소들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메모리(260)는 제 1 내지 제 n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241~24n) 및 메인 프로세서(2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 1 내지 제 n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241~24n) 각각은 메모리(260)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입하고, 메인 프로세서(250)는 메모리(26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독출하는 방식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로부터 메인 프로세서(250)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메모리(260)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기(270)는 메인 프로세서(250)의 제어에 응답하여 카메라 장치(200)와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서, 통신기(270)는 라우터와 같은 네트워크(105, 도 1 참조)에 연결된 구성 요소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120)와 통신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통신기(270)는 와이파이(Wi-Fi)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해 라우터와 통신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200)는 실시간 통화 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다. 위 설명된 바와 같이, 메인 프로세서(250)는 제 1 내지 제 n 채널들(CH1~CHn)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컴퓨터(12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컴퓨터(120) 또한 촬영된 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카메라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250)는 통신기(270)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120)로부터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입력 사운드 데이터(ISD)로서 오디오 프로세서(220)에 전달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220)는 입력 사운드 데이터(ISD)를 복제하고, 복제된 입력 사운드 데이터(ISD)를 제 1 내지 제 n 오디오 코덱들(231~23n) 각각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메인 프로세서(250)는 입력 사운드 데이터(ISD)를 제 1 내지 제 n 포트들(P1~Pn) 각각을 통해 출력하도록 오디오 프로세서(220)를 설정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n 오디오 코덱들(231~23n)은 수신된 입력 사운드 데이터(ISD)를 디코딩하여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서, 제 1 오디오 코덱(231)은 입력 사운드 데이터(ISD)를 처리하여 제 1 사운드 신호(SS1)를 생성하며, 제 n 오디오 코덱(23n)은 입력 사운드 데이터(ISD)를 처리하여 제 n 사운드 신호(SSn)를 생성한다. 입력 사운드 데이터(ISD)는 디지털 신호이며, 사운드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다.
각 오디오 코덱은 사운드 신호를 오디오 스위치(28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오디오 코덱의 아날로그 출력단은 오디오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오디오 스위치(280)는 메인 프로세서(250)의 제어에 따라 제 1 내지 제 n 사운드 신호들(SS1~SSn)을 스위칭하여 스피커(290)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메인 프로세서(250)는 선택된 채널(혹은, 선택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대응하는 오디오 코덱)의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290)에 전달하도록 오디오 스위치(2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사운드 데이터(ISD)는 선택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대응하는 오디오 코덱에 의해 처리되어 사운드 신호로 변환될 수 있으며, 이는 오디오 스위치(280)를 통해 스피커(290)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카메라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120)의 사용자와 통화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오디오 프로세서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오디오 프로세서(220)는 오디오 코덱(320)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코덱(320)은 I2C(Inter-Integrated Circuit)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메인 프로세서(250)와 통신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250)는 오디오 코덱(320)이 입력 사운드 신호(ISS) 및/또는 입력 사운드 데이터(ISD)를 제 1 내지 제 n 포트들(P1~Pn)에 바이패스 및 출력하도록 I2C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디오 코덱(320)의 레지스트리값(RV)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사운드 신호(ISS) 및/또는 입력 사운드 데이터(ISD)는 제 1 내지 제 n 오디오 코덱들(231~23n)에 효율적 및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S110단계에서, 카메라 장치(110)는 복수의 채널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S120단계를 수행한다. 카메라 장치(110)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 및 그것들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채널들의 영상 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데이터들을 사용자 컴퓨터(120)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복수의 채널들의 영상 데이터들이 사용자 컴퓨터(120)에 전송되되 사용자 컴퓨터(120)에 의해 다수의 채널들 중 어느 하나가 아직 선택되지 않은 경우, 카메라 장치(120)는 사운드 데이터 없이 복수의 채널들의 영상 데이터들을 사용자 컴퓨터(120)에 전송할 수 있다.
S120단계에서, 카메라 장치(110)는 오디오 입력기를 통해 사운드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사운드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다.
S130단계에서, 카메라 장치(110)는 오디오 프로세서를 통해 복수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에 사운드 신호를 입력한다. 오디오 프로세서는 또 다른 오디오 코덱일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의 오디오 코덱은 사운드 신호를 인코딩하는 것없이, 사운드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에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의 오디오 코덱의 레지스트리값을 설정함으로써, 그것은 사운드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에 출력할 수 있다.
S140단계에서, 카메라 장치(110)는 선택된 채널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영상 데이터가 출력될 때, 해당 오디오 코덱이 사운드 신호를 처리(예를 들면, 인코딩)하여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함께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컴퓨터(120)에 의해 복수의 채널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 카메라 장치(110)는 해당 영상 데이터뿐만 아니라 사운드 데이터를 사용자 컴퓨터(12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의 동작들은 도 4의 S110단계에서 복수의 채널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 수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S210단계에서, 카메라 장치(110)는 오디오 프로세서를 통해 복수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에 입력 사운드 데이터를 제공한다. 오디오 프로세서는 입력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것없이, 입력 사운드 데이터를 바이패스하여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에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는 또 다른 오디오 코덱일 수 있으며, 해당 오디오 코덱의 레지스트리값을 설정함으로써, 오디오 코덱은 사운드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에 출력할 수 있다.
S220단계에서, 카메라 장치(110)는 선택된 채널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대응하는 오디오 코덱이 입력 사운드 데이터를 처리(예를 들면, 디코딩)하여 생성한 사운드 신호를 예를 들면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카메라 장치(110)는 외부의 장치(예를 들면, 120)로부터 수신된 입력 사운드 데이터를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카메라 장치(110)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120)의 사용자와 통화할 수 있다.
비록 특정 실시 예들 및 적용 례들이 여기에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카메라 시스템
105: 네트워크
110: 카메라 장치
120: 사용자 컴퓨터

Claims (5)

  1. 메인 프로세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상기 복수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
    복수의 포트들을 통해 각각 상기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에 연결되는 오디오 프로세서; 및
    오디오 입력기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입력기를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를 상기 복수의 포트들을 통해 상기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에 공통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중 선택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영상 데이터가 출력될 때, 상기 선택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대응하는 오디오 코덱이 상기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생성한 사운드 데이터가 함께 출력되는 카메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는 제 2 오디오 코덱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포트들 각각에 상기 사운드 신호를 바이패스 및 출력하도록 상기 제 2 오디오 코덱의 설정값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고,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인 카메라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기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 2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포트들을 통해 상기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에 공통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디오 코덱들에 공통 연결된 오디오 스위치; 및
    스피커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대응하는 상기 오디오 코덱이 상기 제 2 사운드 데이터를 처리하여 생성한 제 2 사운드 신호를 상기 스피커에 전달하도록 상기 오디오 스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장치.
KR1020200015700A 2020-02-10 2020-02-10 오디오 입력기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10101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700A KR20210101577A (ko) 2020-02-10 2020-02-10 오디오 입력기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700A KR20210101577A (ko) 2020-02-10 2020-02-10 오디오 입력기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577A true KR20210101577A (ko) 2021-08-19

Family

ID=77492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700A KR20210101577A (ko) 2020-02-10 2020-02-10 오디오 입력기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15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0738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1356269B1 (ko) 듀얼 카메라를 지원하는 이동 단말 및 그 이동 단말의 이미지 처리 방법
US10349010B2 (en) Imaging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imaging system
KR20150098094A (ko) 복수의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JP2014511071A (ja) ズームされた画像の生成
MX2007010355A (es) Metodos, dispositivos electronicos, y productos de programas de computadora para procesar imagenes que utilizan memorias intermedias multiples de imagenes.
US20240121355A1 (en) Conference device with multi-videostream capability
US20170034480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397462B2 (en) Imaging control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for synchronous shooting
KR20210101577A (ko) 오디오 입력기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CN112788198B (zh) 摄影装置、传送系统及方法、记录介质和计算机装置
US9392036B2 (e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JP5307577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
CN114298889A (zh) 图像处理电路和图像处理方法
JP2004180086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装置
KR20060131478A (ko)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리소스 제어방법
KR102390403B1 (ko) 데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
EP4050890A1 (en) Conference device with multi-videostream control
US20220038638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160046561A (ko) 영상 관리 장치 및 방법
US10158824B2 (en) Imaging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imaging system
KR20090018507A (ko) 영상 통화 방법 및 장치
CN113377329A (zh) 一种虚拟音频设备、音频数据处理方法及装置
KR100972432B1 (ko) 자동 영상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JP2021002729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