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076A -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076A
KR20210101076A KR1020200015242A KR20200015242A KR20210101076A KR 20210101076 A KR20210101076 A KR 20210101076A KR 1020200015242 A KR1020200015242 A KR 1020200015242A KR 20200015242 A KR20200015242 A KR 20200015242A KR 20210101076 A KR20210101076 A KR 20210101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string
conversation
displaying
vo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길
박서현
Original Assignee
오동길
박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동길, 박서현 filed Critical 오동길
Priority to KR1020200015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1076A/ko
Publication of KR20210101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15/14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statistical models, e.g. Hidden Markov Models [HM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15/1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natural language 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 텍스트 변환이 이루어진 대화 내용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화면 상에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에서 사용자와 상대방과의 대화 내용에 기반한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화 내용의 출력 음성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출력 음성을 STT(Speech to Text) 변환하여 문자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열과 함께 상기 문자열이 생성된 시간을 저장하여 상기 시간 순서에 따라 상기 문자열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수발신자를 구분하여 텍스트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METHOD FOR DISPLAYING DIALOGUE USING SPEECH TO TEXT,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 텍스트 변환이 이루어진 대화 내용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화면 상에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 등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대화자가 주고 받은 통화 내용이 단순히 서로에게 전달되기만 할 뿐, 별도로 이를 기록하는 방법이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화 통화의 내용 중 중요한 정보를 사용자가 수기로 기록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통화 내용을 저장하려는 기술들이 발전하기는 하였지만, 이러한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음성 녹음 장비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뿐이므로, 추후 통화 내용을 다시 파악하거나 통화 녹취록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직접 사용자가 저장된 음성 통화 내용을 스피커를 통해 들어봐야만 통화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음성 통화시에 음성 텍스트(STT-Speech to Text)기능을 이용하여 수, 발신자 간의 대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대화 표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바일에서 사용자와 상대방과의 대화 내용에 기반한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화 내용의 출력 음성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출력 음성을 STT(Speech to Text) 변환하여 문자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열과 함께 상기 문자열이 생성된 시간을 저장하여 상기 시간 순서에 따라 상기 문자열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출력 음성의 주파수가 동일한 문자열을 사용자 그룹 또는 상대방 그룹으로 분류하여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그룹 또는 상대방 그룹에 속한 문자열 간 상기 시간 순서를 고려하여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설정사항에 따라 상기 대화 내용을 저장 및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음성, 문자열, 출력 음성과 문자열 또는 그룹 별 문자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설정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대화 표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수발신자를 구분하여 텍스트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을 적용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대화 표시 방법이 적용된 화면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을 적용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대방과 통화 중에 음성 텍스트 변환(STT: Speech To Text)이 내장된 녹음 버튼을 눌러 본 대화 표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에서 사용자와 상대방과의 대화 내용에 기반한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화 내용의 출력 음성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출력 음성을 STT(Speech to Text) 변환하여 문자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열과 함께 상기 문자열이 생성된 시간을 저장하여 상기 시간 순서에 따라 상기 문자열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대화 표시 방법이 적용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출력 음성의 주파수가 동일한 문자열을 사용자 그룹 또는 상대방 그룹으로 분류하여 함께 표시하거나, 시간 순서를 고려하여 배열할 수 있다.
시간 배열을 통해 언제한 대화 내용인지 확인이 가능하며, 위치 배열을 통해 수, 발신자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설정사항에 따라 상기 대화 내용을 저장 및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사항은, 상기 출력 음성, 문자열, 출력 음성과 문자열 또는 그룹 별 문자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대방 대화만 보기, 나의 대화만 보기 등 대화 내용을 구별할 수 있으며, 수 발신자 구분 방법은 핸드폰 스피커 부분의 연결된 마이크 혹은 스피커 기능을 이용하여(음성입력 장치)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 처리된 음성의 경우에는 “상대방”, 아날로그 주파수의 음성 경우에는 “자신”으로 배열하며, 기본적으로 통화 녹음만 저장, 텍스트만 저장, 함께 저장을 이용하여 저장 공간,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자동으로 통화가 녹음되며 수발신자의 대화 내용이 시간의 순서에 따라 색깔 별로 구분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모바일에서 사용자와 상대방과의 대화 내용에 기반한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화 내용의 출력 음성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출력 음성을 STT(Speech to Text) 변환하여 문자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열과 함께 상기 문자열이 생성된 시간을 저장하여 상기 시간 순서에 따라 상기 문자열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음성의 주파수가 동일한 문자열을 사용자 그룹 또는 상대방 그룹으로 분류하여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그룹 또는 상대방 그룹에 속한 문자열 간 상기 시간 순서를 고려하여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설정사항에 따라 상기 대화 내용을 저장 및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사항은,
    상기 출력 음성, 문자열, 출력 음성과 문자열 또는 그룹 별 문자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200015242A 2020-02-07 2020-02-07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210101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242A KR20210101076A (ko) 2020-02-07 2020-02-07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242A KR20210101076A (ko) 2020-02-07 2020-02-07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076A true KR20210101076A (ko) 2021-08-18

Family

ID=7746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242A KR20210101076A (ko) 2020-02-07 2020-02-07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10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5990B1 (en) Signal processing based on audio context
US9666180B2 (en) Synthesized audio message over communication links
US7966189B2 (en) Wearable computer system and modes of operating the system
JP5763587B2 (ja) ハンズフリー機能のプライバシー保護装置
CN103248760B (zh) 信息处理方法、装置和终端
US100574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poken caller identification in a cellular telephone headset
KR102038827B1 (ko) 전화 호출의 수신자가 말하기가 부적당하다고 판단할 때 전화 호출에 응답하는 장치, 및 관련 방법
US8280025B2 (en) Automated unique call announcement
CN107295174B (zh) 通话内容的记录方法、装置和终端
CN105120048A (zh) 通话语音的记录方法和系统
US8223961B2 (en) Method and device for answering an incoming call
KR20100081022A (ko) 전화번호부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US8611883B2 (en) Pre-recorded voice response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20140314214A1 (en) Communication between users of a telephone system
KR20210101076A (ko) 음성 텍스트 변환을 이용한 대화 표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US20030210768A1 (en) Manual and automatic record feature in a telephone
CN109510890A (zh) 一种蓝牙通话内置录音的方法及设备
CN108702411B (zh) 一种控制通话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1707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call handling
KR20050104783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알람 방법
JP4232453B2 (ja) 通話音声のテキスト変換システム
KR20030018950A (ko) 이동전화 단말기를 녹음기로 사용하는 방법
US9807216B2 (en) Phone device
JP2024055251A (ja) 音声取得アダプタ装置および音声取得システム
JPH03274950A (ja) 留守番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