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932A - 청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청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932A
KR20210100932A KR1020200014911A KR20200014911A KR20210100932A KR 20210100932 A KR20210100932 A KR 20210100932A KR 1020200014911 A KR1020200014911 A KR 1020200014911A KR 20200014911 A KR20200014911 A KR 20200014911A KR 20210100932 A KR20210100932 A KR 20210100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interface
user interfa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현
정선태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퍼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퍼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퍼스원
Priority to KR1020200014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0932A/ko
Publication of KR20210100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음량 조절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절 정보를 컨텐츠 별로 일정 주기 단위로 수집하여 분석하는 사용자 활동정보 분석 단계; 상기 사용자 활동정보 분석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컨텐츠 별로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청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된 가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이다.

Description

청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A Operation method of a terminal providing a variable setting user interface to compensate for hearing constraints}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및 음향 출력과,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단말기 등의 전자 기기를 구동시키는 소프트웨어로서, 사용자 입력 수단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 및 개선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단말기 애플리케이션은 정보 기술 및 정보 기술의 거의 모든 분야, 특히 전기통신, 엔터테인먼트 전자공학 및 산업 생산 및 처리 플랜트 분야에서의 정보 처리 영역에 기초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현재 출시되는 이동 단말장치 및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받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은 탑재된 그래픽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공받는다. 그래픽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기능과 긴밀히 연결되어 개발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말기 기능의 사용이나 사용자의 기능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신체적 제약이 없는 일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는 적정한 범위 입력과 이에 대응하는 그래픽 입력 요소들을 디스플레이상에 배치 출력하고, 터치 또는 키보드 입력을 기본 입력 장치로, 음향 장치를 보조 입력 및 출력 장치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 사용자들의 다양하고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최대의 입력 효율을 얻어내기 위해, 현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 입력은 사용자의 터치 범위, 목소리 분석 등에 의한 매우 미세한 신체 변화를 측정 분석하여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 사용자가 아닌 몸이 불편하거나 특정 사용자 입력에 신체적 제약이 있는 장애인, 노인, 고령자와 같은 사용자들의 경우 이러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상적인 입력 및 원하는 반응 결과를 얻어내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폰트 크기나, 기본음 크기, 화면 모드 등 설정값 변경 기능도 제공하여, 개인의 선호도나 신체적 특징을 반영하는 것도 가능은 하나, 일일이 설정 메뉴에 진입하여 수정 설정을 하여야 하며, 이는 신체적 제약이 있는 사용자들에게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 된다.
나아가 컴퓨터 게임 인터페이스 등에서 이러한 신체적 제약 중 색약 등을 고려한 부분적인 그래픽 인터페이스상의 색상 변경 기능 등을 지원하는 국내특허 10-2010-0087938 등의 기술 등이 제안되고는 있으나,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기본 OS 소프트웨어상에 이러한 설정 기능이 있는지 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터치 등의 기본적 입력에 대해 신체적 제약이 없는 사용자들만이 색상, 폰트, 화면, 음성 변경 등의 세부 설정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입력 자체가 불편한 장애인, 노인, 고령자와 같은 사용자들은 설정 입력 자체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그 자체가 불편한 장애인, 노인, 고령자와 같은 사용자들이 입력한 인터렉션 패턴을 통해 그들의 신체적 제약을 이해할 수 있으며, 그에 맞게 반응하는 가변 인터페이스 제공을 통해, 별도의 최적화 설정 없이도 단말기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입력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분석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신체적 제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된 가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각 신체적 제약에 따른 사용자 활동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지수화하고, 일정 주기별 지수화 정보에 기초하여 트랜드 분석을 하며, 상기 트랜드 분석 결과를 통계 분석 처리하여 해당 신체적 제약에 대응하는 질환 예방을 위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활동정보 분석에 의한 트랜드파악 및 통계처리등은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도 있고 인공지능 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질환예방 가이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입력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분석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 정보를 획득하는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 상기 신체적 제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정보를 결정하는 가변 인터페이스 설정부; 및 상기 가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된 가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입력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분석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신체적 제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정보를 결정함에 따라 상기 가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된 가변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가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의 단말기 활동 정보 분석 또는 테스트 인터페이스 등의 다양한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을 보완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그 자체가 불편한 장애인, 노인, 고령자와 같은 사용자들의 개별적 제약 환경에도 불구하고 보다 편리하게 단말기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들이 자신의 신체적 제약 환경이나 질병, 노화에 따른 변화 등을 구체적으로 인지하지 못하거나, 인터페이스의 개별 세부 설정을 직접 수행하지 않더라도, 소정의 테스트 또는 활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보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경험할 수 있어,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 단말기 이용을 보다 편리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가변 인터페이스 서비스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활동 정보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저장부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구체적으로 도시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기(100)는 태블릿 PC,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간 상호간 통신을 위해 단말기(100)는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넷 네트워크, LAN, WAN,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 케이블 TV 망, WIFI, 이동 통신망 및 기타 유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기(100)는, 장애 등의 신체적 제약을 갖는 사용자의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보호 대상인 시니어의 단말기일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서비스 제공 장치에 보호자의 단말기가 사전 인증 및 등록되거나, 상기 단말기(100)에 사전 인증 및 등록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시니어를 위해 서비스 제공 장치 또는 보호자 단말기에서 사전 설정되거나, 단말기 자체 입력에 따라 사전 설정된 설정 정보에 따라 구동되는 시니어 서비스에 의해, 다양한 시니어 컨텐츠 또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이에 대응하는 시니어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니어 서비스는 응용 소프트웨어 또는 별도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단말기(100)에 설치되거나, 시스템 소프트웨어 의 형태로 단말기(100)에 사전 탑재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 기능들을 활용한 다양한 시니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서비스는 보호자 단말기(300)와의 영상 통화 서비스, 메시지 대화 서비스, 사진 앨범 서비스, 치매 예방 프로그램 서비스, 건강 정보 관리 서비스, 복약 관리 서비스, 활동 리포트 서비스, 음악 서비스, 라디오 서비스, 영상 서비스, 인터넷 서비스, 게임 서비스, 노래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가 예시될 수 있으며, 시니어는 단말기(100)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에서는 시니어의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따른 활동 정보와, 단말기(100)의 센싱과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활동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활동 정보는 저장 및 업데이트되어 지속적으로 분석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변 제공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도 단말기(100)에 대한 사전 등록을 수행하고, 시니어의 활동 정보 관리 및 가변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설정 정보 입력 등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요양 기관 또는 의료 기관 등의 기관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단말기(100)와 보호자 단말기를 등록 및 관리하고, 설정 정보를 중계하는 시니어 서비스 제공 서버일 수도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서비스 제공을 수행하는 서버이거나, 제3의 서비스 기관 서버일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외부의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보호 대상인 시니어에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스들이 주로 단말기(100)의 자체적인 동작으로서 서술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반응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시각, 청각, 촉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래픽 및 음성 출력을 지원하는 터치 스크린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이 예시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입력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분석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신체적 제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정보를 결정함에 따라 상기 가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된 가변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체적 제약 정보는 시각 제약 정보, 청각 제약 정보 및 입력 자유도 제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상기 신체적 제약 정보로부터 결정되는 가변 설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반영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용에 대한 신체적 제약이 보완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가변 설정 정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시각 제약을 보완하는 폰트 사이즈 설정, 색상 설정, 밝기 설정, 색각 이상 설정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기 위해 결정된 가변 설정 정보에 따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폰트 사이즈 설정, 색상 설정, 밝기 설정, 색각 이상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가변 설정 정보는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청각 제약을 보완하는 음량 설정, 알림 설정, TTS(TEXT TO SPEECH) 설정, STT(SPEECH TO TEXT) 설정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기 위해 결정된 가변 설정 정보에 따라,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음량 설정, 알림 설정, TTS(TEXT TO SPEECH) 설정, STT(SPEECH TO TEXT)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가변 설정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한 입력 자유도 제약을 보완하는 입력 범위 설정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기 위해 결정된 가변 설정 정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을 위한 입력 영역, 소프트 버튼 크기, 인터랙션 수행 시간과 같은 입력 범위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이러한 신체적 제약 조건 및 가변 설정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과 반응성을 나타내는 단말기 활동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활동 정보의 수집은 일정 주기 또는 사용 전 수행되는 단말기(100) 테스트 측정과, 단말기(100)의 컨텐츠 이용시 사용자 입력과 같은 일반 활동 분석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들이 자신의 신체적 제약 환경이나 질병, 노화에 따른 변화 등을 구체적으로 인지하지 못하거나, 인터페이스의 개별 세부 설정을 직접 수행하지 않더라도, 소정의 테스트 또는 활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보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경험할 수 있어,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 단말기 이용을 보다 편리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서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전원 공급부(145) 및 가변 인터페이스 서비스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100)와 보호자 단말기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며,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는 결제 서버 또는 매장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에 카메라(121)가 연결될 수도 있다.
센서부(140)는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기의 방위,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시니어의 활동 정보로서 저장시킨다. 상기 센서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40)는 예를 들어, 고도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등을 포함하여, 단말기(100)의 움직임에 따른 현재 위치의 이동을 감지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컨텐츠 제공 모드에서, 컨텐츠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단말기(100)의 알림 서비스 구동에 따른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저장부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저장부(예를 들어 SD 또는 XD 저장부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저장부,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저장부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가변 인터페이스 서비스,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7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가변 인터페이스 서비스부(190)의 구동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변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변 설정 정보가 적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가변 인터페이스 서비스부(190)의 동작에 따른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가변 인터페이스 서비스부(19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인터페이스 서비스부(190)는, 서비스 제공부(191), 설정 정보 관리부(193), 활동 정보 분석부(195),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 가변 인터페이스 설정부(199)를 포함한다.
먼저 서비스 제공부(191)는 단말기의 고유 기능들을 활용한 다양한 컨텐츠 서비스 및 가변 인터페이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서비스는 보호자 단말기와의 영상 통화 서비스, 메시지 대화 서비스, 사진 앨범 서비스, 치매 예방 프로그램 서비스, 건강 정보 관리 서비스, 복약 관리 서비스, 활동 리포트 서비스, 음악 서비스, 라디오 서비스, 영상 서비스, 인터넷 서비스, 게임 서비스, 노래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가 예시될 수 있으며, 시니어와 같은 신체적 제약을 갖는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191)는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메시지 서비스는 대화 메시지 서비스와 알림 메시지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대화 메시지 서비스는 보호자 단말기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와의 대화 메시지 또는 통화 메시지 등을 송수신하여 출력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서비스 제공부(191)는 설정 정보 관리부(193)에서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설정 정보가 적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출력부(150)로 출력시킬 수 있다.
설정 정보 관리부(193)는 설정 정보를 미리 입력받아 서비스 제공부(191)로 제공하거나, 가변 인터페이스 설정부(199)에서 결정된 가변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설정 정보로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정보는, 사용자 입력부(130), 보호자 단말기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시각 설정, 음향 설정 및 입력 자유도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정보의 구성을 위해, 활동 정보 분석부(195)는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의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를 위한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활동 정보는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서비스에 대하여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패턴정보, 센서부(140)에서 센싱되는 센서 정보, 신체 입력 정보, 위치 정보 등 단말기(100)에서 측정 가능한 다양한 활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활동 정보 분석부(195)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활동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서 저장 및 관리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정 기간 이내의 단기 활동 정보는 활동 정보 분석부(195)에서 저장 및 관리하고, 일정 기간 이상인 장기 활동 정보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전달되어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활동 정보 분석부(195)는 다양한 활동 정보를 수집하여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로 전달하거나, 별도의 통계 분석을 처리하여 질환 예방 등의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부(191)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부(191)는 활동 정보 분석부(195)의 컨텐츠 이용 기록에 따른 특정 컨텐츠를 권유하는 알림 메시지를 가공하거나, 신체 측정 등에 따른 건강 관리 알림 메시지를 가공하거나, 일정 기간동안 대화가 없었던 가족들과의 대화 등을 권유하는 알림 메시지를 가공하거나, 치매 방지를 위한 학습 서비스 이용을 권유하는 알림 메시지를 가공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신체적 제약에 따른 사용자 활동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지수화하고, 일정 주기별 지수화 정보에 기초하여 트랜드 분석을 하며, 상기 트랜드 분석 결과를 통계 분석 처리하여 해당 신체적 제약에 대응하는 질환 예방을 위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활동정보 분석에 의한 트랜드파악 및 통계처리등은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도 있고 인공지능 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질환예방 가이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청각 테스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각 컨텐츠별로 청각 테스트를 제공하고, 컨텐츠별로 사용자 입력에 의해 갑1us 설정정보를 결정하며, 컨텐츠별 가변설정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하여 출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는 상기 활동 정보 분석부(195)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활동 정보에 따른 신체적 제약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신체적 제약 정보는 가변 인터페이스 설정부(199)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는, 사전 설정된 하나 이상의 방식에 따라 가변 인터페이스 설정을 위한 신체적 제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 이상의 방식은 테스트 방식과 사용 로그 분석 방식이 예시될 수 있다.
먼저, 테스트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면,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는 사용자의 단말기(100) 사용 이전에 별도의 사용자 입력 테스트를 수행하거나, 사전 결정된 주기 또는 활동 정보에 기초한 별도의 이벤트 발생 조건(예를 들어 특정 인터페이스나 버튼 오입력이 소정 빈도 이상 발생되는 경우 등) 에 따라, 사용자 입력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는 사용자 입력 테스트에 따라 활동 정보 분석부(195)에서 수집 분석된 활동 정보로부터 상기 신체적 제약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는 신체적 제약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테스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신체적 제약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신체적 제약은 예를 들어, 시각적 제약, 청각적 제약 및 입력 자유도 제약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 분류된 속성별 테스트가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테스트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폰트 크기 인지, 화면 밝기 인지, 색각 이상 중 적어도 하나를 테스트하는 시각 테스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스트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음성 출력을 테스트하는 청각 테스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스트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입력 자유도를 테스트하는 입력 자유도 테스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 기반으로 측정 가능한 상기 입력 자유도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물리 버튼 입력부에 대응하는 물리 버튼 입력 자유도이거나,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소프트 버튼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 자유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 로그 분석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면,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는, 별도의 테스트 없이 사용자의 단말기(100)의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따라 활동 정보 분석부(195)에서 누적 분석되는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체적 제약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손의 사용이 자유롭지 못하고 제약된 노인이나 장애인들의 활동 정보는 특정 인터페이스 상황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 입력이 일정 패턴으로 어긋나거나 오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는, 활동 정보 분석부(195)에서 분석된 상기 활동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인터랙션 정보 및 상기 터치 인터랙션 정보에 매핑된 인터페이스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신체적 제약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사용자의 터치 인터랙션 정보 및 상기 터치 인터랙션 정보에 매핑된 인터페이스 상태 정보의 분석은 사용자의 사용 기록을 나타내는 로그(LOG) 분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로그 분석 기법은 사용자의 입력 실패 또는 오입력 상황별 원래 의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보다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예를 들어, 활동 정보 분석부(195)에서 수집되는 사용 로그 정보는 터치 인터랙션 정보로서 탭 정보, 드래그 정보, 스와이프 정보 등이 예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 로그 정보는 인터페이스 상태 정보로서 화면 상황 정보, 인터페이스 종류 정보, 사용 시간대 정보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정된 가변 인터페이스 설정부(199)의 가변 설정 정보는 소프트 버튼 크기의 가변 설정, 버튼 인식 영역의 확장 또는 조절 가변, 버튼 실행을 결정하는 인터랙션 기준 시간의 가변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 인터페이스 설정부(199)는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에서 처리된 신체적 제약 정보를 보완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변 대상 오브젝트 식별 정보 및 가변 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가변 대상 오브젝트 식별 정보 및 가변 값은 서비스 제공부(191)로 전달되어 출력부(150)를 통해 가변 인터페이스 설정이 적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정보는, 전술한 테스트 수행에 따라 결정된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는 시각, 청각 또는 입력 자유도 가변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정보는, 상기 터치 인터랙션 정보 및 상기 인터페이스 상태 정보로부터 결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소프트 버튼 선택 입력 장애를 보완하기 위한 터치 영역 확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정보는, 상기 터치 인터랙션 정보 및 상기 인터페이스 상태 정보로부터 결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그래픽 핸들러 조절 입력 장애를 보완하기 위한 그래픽 핸들러 확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정보는, 상기 터치 인터랙션 정보 및 상기 인터페이스 상태 정보로부터 결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지속 장애를 보완하기 위한 터치 지속 시간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의 테스트 수행 또는 사용 로그 분석에 따라, 가변 인터페이스 설정부(199)의 가변 설정 정보가 결정되고, 가변 설정 정보는 설정 정보 관리부(193)로 전달되어 서비스 제공부(19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가변에 이용되는 바, 사용자들이 자신의 신체적 제약 환경이나 질병, 노화에 따른 변화 등을 구체적으로 인지하지 못하거나, 인터페이스의 개별 세부 설정을 직접 수행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보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정될 수 있게 되고, 신체적 제약이 보완 또는 보상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 단말기 이용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먼저 출력부(15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S100).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음성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출력부(150)를 통해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되고, 사용자 입력부(13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예시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입력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분석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 정보를 획득한다(S101).
여기서 사용자 입력 분석은 활동 정보 분석부(195)에서 처리될 수 있으며,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는 상기 사용자 입력 분석에 따라 획득된 활동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신체적 제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가변 인터페이스 설정부(199)를 통해, 상기 신체적 제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단말기(100)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정보를 결정한다(S103).
그리고, 단말기(100)는 출력부(150)를 통해 상기 가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된 가변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S105).
그리고, 단말기(100)는 신체적 제약 정보의 갱신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105).
여기서, 신체적 제약 정보의 갱신이 필요한지 여부는 다양한 조건 이벤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건 이벤트는 사용자의 변경, 테스트 유효 기간 경과, 활동 정보에 따른 특정 인지능력의 임계값 이상의 저하 발생, 시각, 청각 또는 입력 자유도의 임계값 이상의 변경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신체적 제약 정보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 S101 단계부터 다시 수행하며,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의 설정 정보를 유지하고, 설정 정보 관리부(193)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는, 단말기(100)의 최초 사용시 또는 일정 주기나 이벤트 발생 조건에 따라, 시각, 청각 또는 입력 자유도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인터페이스는 먼저 시각 테스트, 청각 테스트 또는 입력 자유도 테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테스트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 테스트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 테스트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가장 보기 편한 폰트 사이즈를 선택하기 위한 폰트 사이즈별 테스트 텍스트가 포함된 선택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장 잘 보이는 텍스트를 선택함으로써, 단말기(100)가 시각적 신체 제약을 보완하는 폰트 사이즈 가변 설정 정보를 설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 테스트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가장 보기 편한 화면 색상 테마를 선택하기 위한 색상 테마 선택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장 편한 색상 테마를 선택함으로써, 단말기(100)가 시각적 신체 제약을 보완하는 색상 테마 가변 설정 정보를 설정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색상 테마는 어두운 테마, 밝은 테마가 예시되어 있으나, 메뉴 세분화에 따라 적색 테마, 청색 테마 등 다양한 추가 색상 테마들이 선택 가능하도록 부가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 테스트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것으로,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 테스트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가장 듣기 편한 음성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소리 선택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듣기 가장 편한 음성 출력량을 선택함으로써, 단말기(100)가 청각적 신체 제약을 보완하는 오디오 가변 설정 정보를 설정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모든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다면 청각 장애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청각 도움 설정 메뉴로 진입하도록 하는 버튼 인터페이스가 하단에 더 표시될 수 있다.
도 7(B)는 청각 도움 설정 메뉴의 예시로서, 청각 도움 설정 메뉴는 청각적인 신체적 제약이 큰 경우 설정 가능한 세부 설정 메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서비스 제공부(191)를 통해 상기 세부 설정 메뉴들을 추가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청각 도움 설정 메뉴는 예를 들어, 알림음 무음으로 전환 설정, 외부 소리 감지 알림 설정, 외부 음성 감지에 따른 TTS 변환 출력 설정, 텍스트 수신 감지에 따른 STT 변환 출력 설정 등이 예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자유도 테스트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자유도 테스트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물리적 버튼 입력을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버튼 입력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각 물리 버튼을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누른 후 완료 버튼을 선택할 수 있고, 단말기(100)는 물리 버튼의 입력 자유도를 판별할 수 있다.
다만, 특정 물리 버튼의 입력 자유도가 낮은 경우에는 물리 버튼의 입력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하고, 터치 입력이 가능한 소프트 버튼의 생성 설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8 하단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 버튼의 생성을 위한 터치 버튼 생성 메뉴가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입력 자유도 제약을 보완하는 터치 버튼 생성 설정 정보가 가변 인터페이스 설정부(199)를 통해 생성되어 설정 정보 관리부(193)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물리 버튼의 입력 자유도 판단 프로세스만을 개시하고 있으나, 터치 버튼과 같은 소프트 버튼의 입력 자유도 또한 테스트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테스트 소프트 버튼 및 테스트 소프트 버튼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의 분석에 따라, 터치 영역의 확장 방향 및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활동 정보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는, 활동 정보 분석부(195)의 활동 정보 분석에 따라 통상의 단말기(100) 사용 로그 분석만으로도 신체적 제약 조건을 예측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변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는, 활동 정보 분석부(195)의 사용자 로그 분석에 따른 터치 인터랙션을 결정할 수 있으며(S201), 터치 인터랙션에 매핑된 인터페이스 상태 정보를 분석한다(S203).
이와 같은 분석 처리를 통해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는 사용자 의도 분석에 따른 신체적 제약 조건을 예측하고, 가변 인터페이스 설정부(199)는 예측된 신체적 제약 조건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변 설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S205).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는 사용자의 버튼 실행 의도에 따른 신체적 제약 조건을 예측하고, 제약 조건에 대응하는 터치 영역의 가변 확장 범위 및 확장 방향 정보를 설정 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하여 도 10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 자유도에 따른 신체적 제약에 따라, 특정 소프트 버튼 상에 입력하는 터치 위치나 영역이 자신이 실제 인지하는 범위와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는, 기본 터치 영역을 4분면의 좌표 정보로 구분하고, 사용자의 활동 정보 분석에 따라 수집된 사용 로그의 터치 위치로부터 사용자 의도에 따른 입력 오차 정보를 통계적으로 산출하며, 산출된 오차 정보를 반영한 터치 확장 영역(점선 표시)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차 정보는 4분면 기반 좌표 정보로서 (+10픽셀, -10픽셀) 과 같이 예시될 수 있으며 개인별로 상이할 수 있고 일정 주기 등에 따라 업데이트 될 수 있다.
그리고, 가변 인터페이스 설정부(199)는, 결정된 확장 영역과 기본 영역을 결합한 영역을 터치 가능 활성화 영역으로 설정하는 가변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에 따라 단말기(100)는 별도의 사용자 설정 메뉴 없이도 사용자의 터치 버튼 입력 자유도 제약을 보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의도에 따라 원활한 단말기(100)의 터치 버튼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바, 단말기(100) 활용성 및 사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가 사용자의 그래픽 핸들러 실행 의도에 따른 신체적 제약 조건을 예측하고, 제약 조건에 대응하는 그래픽 핸들러의 가변 확장 여부 및 확장 범위를 설정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 자유도에 따른 신체적 제약에 따라, 특정 그래픽 핸들러 상에 입력하는 드래그 제스처 입력을 일정 빈도 이상 실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는 활동 정보 분석부(195)에서 사용자의 드래그 제스처는 여러 번 입력되었으나 이에 대응하는 실행 이력이 다수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러한 드래그 의도에 대한 입력 자유도에 제약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는, 특정 그래픽 핸들러 상의 사용자 드래그 제스처의 제약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약 정보는 가변 인터페이스 설정부(199)로 전달되며, 가변 인터페이스 설정부(199)는 특정 그래픽 핸들러 상의 사용자 드래그 제스처를 보조하기 위한 추가 핸들러(155)를 설정하는 설정 정보를 결정하여, 서비스 제공부(191) 및 설정 정보 관리부(193)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그래픽 핸들러에 대한 드래그 입력 자유도 제약을 보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의도에 따라 원활한 단말기(100)의 그래픽 핸들러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바, 단말기(100) 활용성 및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 의도에 따른 터치 인터랙션 시간의 신체적 제약 조건을 예측하고, 제약 조건에 대응하는 터치 인터랙션 기준 시간을 가변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 자유도에 따른 신체적 제약에 따라, 짧은 시간 동안만 터치를 유지하여야 하는 탭 입력이나, 긴 시간을 유지하여야 하는 롱 프레스 입력 등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원하는 컨텐츠 선택이나 메뉴 실행을 위하여는 조절된 기준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체적 제약 정보 처리부(197)는 활동 정보 분석부(195)로부터 분석되는 사용자의 터치 체류 시간 통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체류 시간 통계 정보로부터 터치 유지에 대응하는 신체적 제약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가변 인터페이스 설정부(199)는 신체적 제약 정보에 대응하여 터치 유지 기준 시간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 설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시간은 탭 및 롱 프레스에 대응하여 각각 설정될 수 있으며, 그 시간은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 정보에 따라 상이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신체적 제약은 인지능력의 저하로 발생되므로 통상적인 터치 기준 시간은 기본 시간보다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터치 기준 시간 가변 설정에 따라, 단말기(100)는 탭 및 롱 프레스 입력 자유도 제약을 보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의도에 따라 원활한 단말기(100)의 탭 입력과 롱 프레스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바, 마찬가지로 단말기(100) 활용성 및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기 위한 설치 데이터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 또는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설치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4)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음량 조절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절 정보를 컨텐츠 별로 일정 주기 단위로 수집하여 분석하는 사용자 활동정보 분석 단계;
    상기 사용자 활동정보 분석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컨텐츠 별로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청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된 가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청각 테스트를 위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음성 출력을 테스트하는 청각 테스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청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청각 인터페이스 설정정보 결정을 위하여 미리 분류된 컨텐츠별로 청각 테스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컨텐츠별로 청각 테스트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거하여 컨텐츠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가변 설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가변 설정 정보가 컨텐츠별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된 가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설정정보에 대해서 일정 주기별로 변동 상태를 지수화하고, 지수화 정보에 기초하여 변동 트랜드 분석을 하는 단계;
    상기 트랜드 분석 결과를 통계 분석 처리하여 청각 질환 예방을 위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20200014911A 2020-02-07 2020-02-07 청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20210100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911A KR20210100932A (ko) 2020-02-07 2020-02-07 청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911A KR20210100932A (ko) 2020-02-07 2020-02-07 청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932A true KR20210100932A (ko) 2021-08-18

Family

ID=77464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911A KR20210100932A (ko) 2020-02-07 2020-02-07 청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09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3235B2 (en) Primary device that interfaces with a secondary device based on gesture commands
US9456074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voice-message call service
CN109739469B (zh) 用户装置的情景感知服务提供方法和设备
EP3232340A1 (en) Method for operating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pages of an application program
KR2012003351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5554266B (zh) 消息提醒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105516483A (zh) 设备控制方法、装置及终端
CN105141769A (zh) 通信消息处理方法、装置和终端
EP3627866B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reception of notification message therein
KR10235432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장치의 메시지 수신 설정 방법
KR20210100932A (ko) 청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20210100936A (ko) 사용자의 입력 자유도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20210100922A (ko) 시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20210100910A (ko)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100954A (ko)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변설정 프로그램
KR20210100944A (ko)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KR20210100942A (ko)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KR20210100938A (ko)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20210100960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변설정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10100949A (ko) 사용자의 신체적 제약을 보완하는 가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KR101600944B1 (ko) 시계형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N107172301A (zh) 通知消息的提醒方法、装置和移动终端
KR20210033740A (ko) 비대칭 대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KR20210033747A (ko) 비대칭 대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210033739A (ko) 비대칭 대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