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171A - 세션 생성 방법 및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세션 생성 방법 및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171A
KR20210100171A KR1020217021573A KR20217021573A KR20210100171A KR 20210100171 A KR20210100171 A KR 20210100171A KR 1020217021573 A KR1020217021573 A KR 1020217021573A KR 20217021573 A KR20217021573 A KR 20217021573A KR 20210100171 A KR20210100171 A KR 20210100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ser
target
image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1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7949B1 (ko
Inventor
위빙 장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00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06F9/4482Procedural
    • G06F9/4484Executing sub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06F9/4488Object-oriented
    • G06F9/449Object-oriented method invocation or resol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18Conference organisation arrangements, e.g. handling schedules, setting up parameters needed by nodes to attend a conference, booking network resources, notifying involved pa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6Markers for unambiguous identification of a particular session, e.g. session cookie or URL-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5Methods of retrieving data using interactive graphical means or pictorial represen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user interface aspects of conference calls

Abstract

본 개시는 세션 생성 방법 및 단말 장치를 공개하며, 해당 방법은: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를 포함한 제1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201); 해당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202);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203); 해당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세션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해당 세션 화면에는 M개의 타겟 식별자가 포함되는 단계(204);를 포함하고,각 타겟 식별자는 하나의 사용자를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M개 타겟 식별자가 지시한 M개의 사용자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 중의 K개의 얼굴이미지가 지시한 사용자를 포함하며, 해당 M개의 타겟 식별자는 해당 제2 입력에 대응되는 타겟 통신 프로그램 중의 식별자이고, M과 K는 모두 양의 정수이며, K는 M보다 작거나 같다.

Description

세션 생성 방법 및 단말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12월 24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811584399.7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션 생성 방법 및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발송하는 방식이 많아졌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단말 장치에 있는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을 통하여 연락처에 있는 여러 연락처들에게 동일한 메시지를 발송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통신 프로그램 중의 연락처 리스트에서 해당 여러 연락처들을 찾은 후에 단말 장치를 트리거링하여 이 연락처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는 해당 단체 채팅방을 통해 단말 장치를 트리거링하여 이런 연락처들에게 메시지를 발송한다. 즉 이런 연락처들이 모두 사용자가 발송한 해당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연락처 이름을 알 수 없다면 상기 연락처를 찾는 방법으로는 신속하게 필요한 연락처를 찾을 수 없다. 하여 단체 채팅방 생성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일종의 세션 생성 방법 및 단말 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연락처의 이름을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단체 채팅방 생성 속도가 비교적 느린 문제점을 해결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하기 방법으로 상기 기술 문제를 해결한다.
제1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일종의 세션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를 포함한 제1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한다. 해당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한다. 해당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 중, 해당 세션 화면에는 M개의 타겟 식별자를 포함하고 매 타겟 식별자는 하나의 사용자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해당 M개 타겟 식별자가 지시하는 M개의 사용자에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 중의 K개의 얼굴이미지가 지시하는 사용자를 포함하고 해당 M개의 타겟 식별자는 해당 제2 입력에 대응되는 타겟 통신 프로그램 중의 식별자이다. M과 K는 모두 양의 정수이고 또한 K≤M이다.
제2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또 일종의 단말 장치를 제공하고 해당 단말 장치는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수신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 해당 수신 모듈은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를 포함한 제1 이미지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데 사용한다.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은 해당 수신 모듈이 수신한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한다. 해당 수신 모듈은 또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고, 또한 해당 수신 모듈이 수신한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한다. 그 중, 해당 세션 화면에는 M개의 타겟 식별자를 포함하고 매 타겟 식별자는 하나의 사용자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해당 M개 타겟 식별자가 지시하는 M개의 사용자에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 중의 K개의 얼굴이미지가 지시하는 사용자를 포함하고 해당 M개의 타겟 식별자는 해당 제2 입력에 대응되는 타겟 통신 프로그램 중의 식별자이다. M과 K는 모두 양의 정수이고 또한 K≤M이다.
제3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일종의 단말 장치를 제공하며 이에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첫째로'에서와 같이 상기 세션 생성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4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일종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때에 '첫째로'에서 서술한 세션 생성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우선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를 포함한 제1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한다. 다음에 제1 입력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다음으로, 단말 장치가 제2 입력을 수신한다. 마지막으로, 제2 입력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해당 세션 화면에는 M개의 타겟 식별자가 포함된다. 매 타겟 식별자가 하나의 사용자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M개의 타겟 식별자가 지시하는 M개의 사용자에는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 중의 K개의 얼굴이미지가 지시하는 사용자를 포함하고 M개의 타겟 식별자는 제2 입력에 대응되는 타겟 통신 프로그램 중의 식별자이며 M과 K는 모두 양의 정수이고 또한 K≤M이다. 제1 이미지에 얼굴이미지를 포함하기에 단말 장치는 제1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 중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통신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또한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들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후에 단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 중에 포함된 K개의 얼굴이미지가 지시하는 사용자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로써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세션 생성 방법에 따라, 얼굴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신속하게 필요한 연락처를 찾을 수 있고 나아가서 신속하게 세션을 만들거나 사용자를 기존 단체 채팅방에 가입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바람직한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의 구조 안내도이다.
도 2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세션 생성 방법의 프로세스 안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제1 안내도이다.
도 4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제2 안내도이다.
도 5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제3 안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제4 안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제5 안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제6 안내도이다.
도 9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제7 안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제8 안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제9 안내도이다.
도 12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제10 안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제11 안내도이다.
도 14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제12 안내도이다.
도 15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제13 안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제14 안내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단말 장치의 바람직한 구조 안내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각 실시예에서의 일종의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 안내도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적 구성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물론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지 전체 실시예가 아니다. 본 개시 중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여 본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갖춘 자들이 창조성적인 노력이 없이 취득할 수 있는 모든 기타 실시예를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설명이 필요한 점은, 본 명세서 중의 '/'는 '혹은'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부호이다. 예를 들어 A/B는 A 혹은 B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중의 '및/혹은'은 다만 일종의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세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A 및/혹은 B는 단독으로 존재하는 A, 동시에 존재하는 A와 B, 단독으로 존재하는 B 등의 세가지 상황을 디스플레이한다. '복수 개'는 2개 혹은 2개 이상을 말한다.
본 개시의 명세서와 청구 범위에서 용어 ‘제1’과 ‘제2’ 등은 서로 다른 대상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대상의 특정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추가 컨트롤 장치와 제2 추가 컨트롤 장치 등은 서로 다른 장치의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장치의 특정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것이 아니다.
설명이 필요한 점은, 본 개시 실시예에서의 ‘예시적’ 혹은 ‘예를 들어’ 등 용어는 사례, 예증 혹은 설명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 중에서 ‘예시적’ 또는 ‘예를 들어’로 서술하는 임의의 실시예 혹은 설계 솔루션은 다른 실시예 또는 설계 솔루션보다 더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한다. 명확하게 말하자면, ‘예시적’ 또는 ‘예를 들어’ 등 용어는 관련 컨셉을 구체적인 방식으로 나타내기 위함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는 운영 체제를 구비한 단말 장치일 수 있다. 해당 운영 체제은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 체제일 수 있고 ios 운영 체제일 수 있으며 또한 기타 가능한 운영 체제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하,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를 사례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세션 생성 방법에 적용하는 소프트웨어 환경을 소개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바람직한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의 구조 안내도이다. 도 1에서,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의 구조는 응용 계층, 응용 프레임워크 계층, 시스템 실행 시간 계층과 커널 계층(구체적으로 Linux 커널 계층일 수 있음) 등 4개의 계층으로 구성된다.
그 중, 응용 계층에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 중의 각 응용프로그램(시스템 응용프로그램과 제3자 응용프로그램 포함)을 포함한다.
응용 프레임워크 계층은 응용프로그램의 프레임워크 계층이다. 개발자는 응용프로그램 프레임워크 개발 원칙을 준수하면서 응용 프레임워크 계층을 기반으로 일부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시스템 실행 시간 계층에는 라이브러리(시스템 라이브러리라고도 함)와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 실행 환경을 포함한다. 라이브러리는 주로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에서 제공하는 필요한 각종 자원이다.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 실행 환경은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에 소프트웨어 환경을 제공하는데 사용한다.
커널 계층은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의 운영 체제 계층으로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차원의 최저 계층에 속한다. 커널 계층은 Linux 커널을 기반으로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에 핵심 시스템 서비스와 하드웨어 관련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를 사례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개발자는 상기 도 1의 도시와 같은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의 시스템 구조를 활용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세션 생성 방법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해당 세션 생성 방법이 도 1의 도시와 같은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실행되도록 한다. 즉 프로세서 혹은 단말 장치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는 해당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세션 생성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2에 의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세션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세션 생성 방법 프로세스 안내도이다. 도 2의 도시와 같이, 해당 세션 생성 방법에는 단계 201 ~ 단계 204를 포함한다.
단계 201: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를 포함한 제1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한다.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제1 이미지가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사례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화면은 단말 장치가 이미지를 수집하는 화면(즉 촬영 미리 보기 화면) 일 수 있고 또한 단말 장치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예를 들어 사용자가 앨범 혹은 수신한 이미지의 응용에서 이미지 한장을 선택하여 조회하는 화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아니한다.
예시적으로,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안내도이다. 그 중, 제1 화면은 도 3 중의 (a)가 표시하는 화면 301a일 수 있고 또한 도 3 중의 (b)가 표시하는 화면 301b일 수 있다. 그 중, 화면 301a은 단말 장치의 카메라의 촬영 미리 보기 화면이고 화면 301b는 단말 장치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설명이 필요한 점은, 제1 화면에서 또 하나의 ‘안면 사람 찾기’ 혹은 ‘사람 찾기’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촬영 화면 중의 기타 컨트롤의 인접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거나(예를 들어 화면 301a 중의 ‘녹화’의 오른쪽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 사용자가 제1 이미지를 선택한 후 기타 컨트롤의 인접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입력이 해당 ‘프로필 사람 찾기’ 혹은 ‘사람 찾기’ 컨트롤의 입력에 대응될 수 있다. 물론 제1 화면 중에 ‘프로필 사람 찾기’ 혹은 ‘사람 찾기’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사용자 신속 입력(예를 들어 스크린을 길게 누름)의 수신을 통하여 프로필 사람 찾기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입력은 스크린 터치 입력, 지문 입력, 중력 입력, 버튼 입력 등일 수 있다. 그 중, 스크린 터치 입력은 사용자가 단말 장치 터치 스크린의 누름 입력, 길게 누름 입력, 슬라이딩 입력, 클릭 입력, 비접촉 입력(터치 스크린 부근에서의 사용자 입력) 등 입력일 수 있다. 지문 입력은 단말 장치 지문인식기에서의 지문 슬라이딩, 지문 길게 누름, 지문 싱글 클릭과 지문 더블 클릭 등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중력 입력은 사용자가 단말 장치 특정 방향으로의 흔듬, 특정 횟수의 흔듬 등 입력일 수 있다. 버튼 입력은 단말 장치의 전원 버튼, 볼륨 버튼, Home 버튼 등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싱글 클릭 입력, 더블 클릭 입력, 길게 누름 입력, 복합식 버튼 입력 등의 입력에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제1 입력의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으며, 임의 구현 가능한 방식일 수 있다.
설명이 필요한 점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입력은 하나의 연속된 입력일 수 있고 또한 여러 비연속 서브 입력으로 구성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아니한다.
단계 202: 제1 입력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의 아이콘 화면을 제2 화면이라고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화면을 제2 화면으로 업데이트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제2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포함한다.
이해할 수 있는 점은,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은 단말 장치 중에 설치된 이미 연락처를 구비한 통신 프로그램이다.
단계 203: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입력은 하나의 연속된 입력일 수 있고 또한 여러 비연속 서브 입력으로 구성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해할 수 있는 점은, 제2 입력은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이미지 중의 얼굴이미지일 수 있고 또한 통신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선택하여 입력한 이미지일 수 있다.
단계 204: 제2 입력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세션 화면에는 M개의 타겟 식별자가 포함된다.
그 중, 매 하나의 타겟 식별자는 하나의 사용자를 지시하는데 사용하고 해당 M개의 타겟 식별자가 지시하는 M개 사용자에는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 중의 K개의 얼굴이미지가 지시하는 사용자를 포함하며 해당 M개의 타겟 식별자는 제2 입력에 대응되는 타겟 통신 프로그램 중의 식별자이고 M과 K는 모두 양의 정수이며 또한 K≤M이다.
설명이 필요한 점은, 상이한 사용자가 가능하게 같은 이미지를 프로필 사진으로 사용할 수 있기에 K개의 얼굴이미지는 K개 이상의 사용자에 대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타겟 식별자는 사용자의 비고 명칭, 닉네임, 사용자명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세션 화면은 단체 채팅방 화면일 수 있고 또한 메시지 대량 발송 화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아니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화면을 세션 화면으로 업데이트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세션 화면에는 M개의 타겟 식별자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세션 화면이 단체 채팅방 화면이면, 사용자는 단체 채팅방 화면에서 이러한 멤버들에게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고 이러한 멤버들은 모두 사용자가 발송한 해당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멤버 중의 임의 멤버도 해당 단체 채팅방에서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고 기타 사용자들은 모두 이러한 멤버가 해당 단체 채팅방에서 발송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세션 화면이 대량 발송 화면이면, 사용자는 대량 발송 화면에서 이러한 연락처들에게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고 이러한 연락처들은 모두 사용자가 발송한 해당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세션 생성 방법은 우선,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를 포함한 제1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한다. 다음에 제1 입력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다음으로,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한다. 마지막으로, 제2 입력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해당 세션 화면에는 M개의 타겟 식별자가 포함된다. 매 타겟 식별자는 하나의 사용자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M개의 타겟 식별자가 지시하는 M개의 사용자에는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 중의 K개의 얼굴이미지가 지시하는 사용자를 포함하고 M개의 타겟 식별자는 제2 입력에 대응되는 타겟 통신 프로그램 중의 식별자이며 M과 K는 모두 양의 정수이고 또한 K≤M이다. 제1 이미지에 얼굴이미지를 포함하기에 단말 장치는 제1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 중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통신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또한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후에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 중에 포함된 K개의 얼굴이미지가 지시하는 사용자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로써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세션 생성 방법에서는 얼굴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신속하게 필요한 연락처를 찾을 수 있고 나아가서 신속하게 세션을 만들거나 사용자를 기존 단체 채팅방에 추가할 수 있다.
일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세션 생성 방법의 단계 202는 구체적으로 단계 202a1를 통하여 실행할 수 있다.
단계 202a1: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 중의 해당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와 해당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제2 화면 중에 또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화면을 제2 화면으로 업데이트하여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제2 화면에는 상기 제1 이미지 중의 해당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 3에 의거하여 도 4 중의 (a)의 도시와 같이 제2 화면은 화면 302a일 수 있다. 화면 302a 중에는 3개의 얼굴이미지와 5개의 통신 프로그램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얼굴이미지(31), 얼굴이미지(32), 얼굴이미지(33), 통신 프로그램(1)의 아이콘(1), 통신 프로그램(2)의 아이콘(2), 통신 프로그램(3)의 아이콘(3), 통신 프로그램(4)의 아이콘(4) 및 통신 프로그램(5)의 아이콘(5)이다.
나아가서, 제2 입력은 사용자가 제2 화면에서 통신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이때에 제2 입력은 디폴트로 사용자가 제2 화면 중의 모든 얼굴이미지 및 대응되는 통신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선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혹은, 제2 입력에 사용자의 얼굴이미지에 대한 서브 입력과 아이콘에 대한 서브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화면 중에 또 하나의 선택 컨트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해당 선택 컨트롤은 사용자가 어느 연락처가 필요한 연락처인지를 선택하는데 사용한다.
예시적으로, 도 4 중의 (b)의 도시와 같이, 제2 화면은 또한 화면 302b일 수 있다. 화면 302b 중에 또 하나의 선택 컨트롤(34)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제1 화면을 제2 화면으로 업데이트하여 디스플레이한 상황하에서, 화면 302b 중의 선택 컨트롤(34)이 전체 얼굴이미지를 하나의 실선으로 에워싼 영역 내에 가두어 이미 전체 얼굴이미지를 선택하였음을 표시한다. 물론 사용자는 제2 화면 중의 임의 하나의 얼굴이미지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실선으로 에워싼 영역 내의 임의 하나의 얼굴이미지를 이동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삭제와 제2 화면 중의 기타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 제2 입력을 사용자가 화면 302a에서 얼굴이미지(31),얼굴이미지(32)와 얼굴이미지(33)을 선택한 것이라고 가정하고 또한 아이콘(1)을 3개의 얼굴이미지가 있는 영역(예를 들어 실선 동그라미(34)내)의 입력으로 이동한다. 다시 3개의 얼굴이미지를 모두 실선 동그라미 내에 이동한 후에 단말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세션 화면은 도 5 중의 (a)가 도시하는 화면 303a일 수 있고 또한 도 5 중의 (b)가 도시하는 화면 303b일 수도 있다. 그 중, 화면 303a는 하나의 단체 채팅방 화면일 수 있다. 해당 단체 채팅방 화면에는 3개의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3명의 사용자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화면 303b는 하나의 대량 발송 화면일 수 있다. 해당 대량 발송 화면에는 3개의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3명의 사용자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솔루션을 기반으로,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제1 입력에 의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가 해당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얼굴이미지에 의거하여 어떤 얼굴이미지와 대응되는 사용자를 선택하여 세션을 만들 수 있다. 이로써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세션 생성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단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얼굴이미지에 의거하여 신속하게 선택하여 필요한 연락처를 찾을 수 있다.
일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세션 생성 방법에는 단계 203 후에 또 단계 205과 단계 206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5: 제2 입력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에 N개의 얼굴이미지와 N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한다.
그 중, 매 얼굴이미지는 각각 하나의 타겟 식별자에 대응된다. 해당 N개의 타겟 식별자가 지시하는 N개의 사용자에는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 중의 P개의 얼굴이미지가 지시하는 사용자를 포함한다. 해당 N개의 타겟 식별자는 타겟 통신 프로그램 중의 식별자이고 P≤N인 정수이다.
이해의 편리를 위하여, 단말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N개의 얼굴이미지와 N개의 타겟 식별자 화면을 제3 화면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화면을 제3 화면으로 업데이트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제3 화면에는 N개의 얼굴이미지와 N개의 타겟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제3 화면은 하나의 단체 채팅방 생성 화면일 수 있고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한 후, 도 6 중의 (a)가 표시하는 화면 304a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206: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한다.
설명이 필요한 점은, 제3 입력은 사용자가 세션을 확정하여 생성하는 입력이거나 사용자를 선택하여 단체 채팅방에 가입시키는 입력일 수 있다. 하나의 연속된 입력일 수 있고 또한 복수 개의 비연속 서브 입력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아니한다.
구체적으로, 제3 입력은 사용자의 제3 화면에서의 입력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3 입력은 사용자가 화면에서 컨트롤을 확정하여 생성하는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입력은 도 7이 도시하는 화면 304c에서 사용자가 '단체 채팅방'을 클릭하는 입력일 수 있다. 제3 입력은 하나의 신속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입력은 또한 화면 304c에서 도시하는 사용자가 스크린의 하단으로부터 위로 슬라이딩하는 입력일 수도 있다.
나아가서, 단계 204는 단계 204a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다.
단계 204a: 제3 입력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제3 입력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화면을 세션 화면으로 업데이트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해당 솔루션을 기반으로, 단말 장치가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타겟 식별자와 얼굴이미지에 의거하여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연락처가 사용자가 수요하는 연락처인지를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 입력은 사용자가 해당 N개의 얼굴이미지와 해당 N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 밖의 공백 영역으로부터 사전 설정 방향에 따른 슬라이딩 입력일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점은, 제3 입력은 사용자의 세션을 확정하여 만들거나 가입을 확정하여 세션을 만드는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입력은 사용자가 공백 영역으로부터 스크린 상단으로의 슬라이딩 입력일 수 있다.
해당 솔루션을 기반으로, 사용자는 공백 영역으로부터 사전 설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입력하여 단말 장치의 세션 화면 디스플레이를 컨트롤함으로서 해당 제3 입력의 동작이 더욱 신속해졌다.
일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세션 생성 방법에는 단계 203 후에 또 단계 207 ~ 단계 209를 포함한다.
단계 207: 단말 장치가 사전 설정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화면에는 또한 사전 설정 컨트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전 설정 컨트롤은 하나의 문자로 디스플레이하는 추가 기능을 구비한 컨트롤일 수 있고 또한 아이콘 디스플레이의 추가 기능을 구비한 컨트롤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사전 설정 컨트롤의 유형과 디스플레이하는 위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도 6 중의 (a)가 표시하는 화면 304a 중의 사전 설정 컨트롤이 '추가' 컨트롤(35)이면 문자 유형의 추가 컨트롤이다. 도 6 중의 (b)가 표시하는 화면 304b 중의 사전 설정 컨트롤이 카메라 아이콘(36)이면 아이콘 유형의 추가 컨트롤이다.
단계 208: 단말 장치가 사용자가 사전 설정 컨트롤에 대한 제4 입력을 수신한다.
이해할 수 있는 점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또한 사전 설정 컨트롤을 통하여 통신 프로그램의 연락처 리스트 중에 연락처를 추가할 수 있다. 즉, 본 개시 실시예의 세션 생성 방법으로 만든 세션에는 또한 사용자가 직접 연락처 리스트에서 수동으로 선택한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4 입력은 사용자가 선택한 카메라 아이콘(36)(즉 사전 설정 컨트롤)의 입력일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카메라 아이콘(36)을 선택한 후 위로 슬라이딩하는 입력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 중의 (a)가 표시하는 화면 304b1에 도시하는 입력일 수 있다.
설명이 필요한 점은, 제4 입력은 하나의 연속된 입력일 수 있고 복수 개의 서브 입력으로 구성된 입력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아니한다.
단계 209: 제4 입력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T개의 얼굴이미지와 T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제4 입력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제3 화면을 업데이트한다. 업데이트한 후의 제3 화면에는 T개의 얼굴이미지와 T개의 타겟 식별자가 포함된다.
그 중, 상기 T개의 얼굴이미지에는 상기 N개의 얼굴이미지를 포함한다. 상기 T개의 타겟 식별자에는 상기 N개의 타겟 식별자가 포함된다. 상기 T개의 얼굴이미지 중에서 상기 N개의 얼굴이미지를 제외한 후의 기타 얼굴이미지가 제2 이미지 중의 얼굴이미지이다. 제2 이미지는 제4 입력에 대응되는 이미지이다. 상기 T개의 타겟 식별자 중에서 상기 N개의 타겟 식별자를 제외한 후의 기타 타겟 식별자가 지시하는 사용자는 기타 얼굴이미지가 지시하는 사용자이고 T는 양의 정수이다.
해당 솔루션을 기반으로, 단말 장치가 제3 화면에 사전 설정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제1 이미지에 디스플레이되는 N개의 타겟 식별자와 N개의 얼굴이미지에 의거하여 기타 연락처를 계속 추가할지의 여부를 확정하는데 편리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4 입력에는 제1 서브 입력과 제2 서브 입력을 포함한다.
일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세션 생성 방법에는 단계 209외에 또 단계 209a와 단계 209b를 통하여 실행할 수 있다.
단계 209a: 제1 영역에 N개의 얼굴이미지와 N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한 상황하에서, 사전 설정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서브 입력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제2 영역에 촬영 미리 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209b: 사전 설정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서브 입력에 응답하여 촬영 동작을 실행하고 또한 제2 영역에 촬영한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제1 영역에 제2 이미지 중의 제1 얼굴이미지, 제1 타겟 식별자, 해당 N개의 얼굴이미지와 해당 N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해할 수 있는 점은, 제2 이미지 중에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4 입력이 복수 개의 서브 입력으로 구성된 입력인 경우, 도 8 중의 (a)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 304b1에서 먼저 카메라 아이콘(36)을 선택하여 위로 드래그한다. 다음에 단말 장치가 도 8 중의 (b)가 도시하는 화면 304b2을 디스플레이한다. 그 중, 화면 304b2에는 이미지 수집 영역 (예를 들어 촬영 미리 보기 화면)을 포함한다. 도 9 중의 (a)가 도시하는 화면 304b3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는 화면 304b2에서 다시 카메라 아이콘(36)을 선택하여 아래로 슬라이딩한다. 다음에 단말 장치가 도 9 중의 (b)가 도시하는 화면 304b4에 이미지 수집 영역에서 취득한 이미지 중의 얼굴이미지와 이러한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한다.
설명이 필요한 점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화면 304b2은 다만 이미지 수집 영역(카메라 미리 보기 화면 포함)을 사례로 하여 설명하였다는 것이다. 화면 304b2에 또한 통신 프로그램의 연락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도 연락처 리스트에서 추가하려는 연락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해할 수 있는 점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다만 이미지 수집 영역에서 수집한 하나의 얼굴이미지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사례로 설명하였다는 점이다. 실제 통신 프로그램에서 만약 이미지 수집 영역에서 수집한 이미지에 복수 개의 얼굴이미지가 있다면 도 9 중의 (b)가 표시하는 화면 304b4 중의 제1 영역에 해당 복수 개의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해당 솔루션을 기반으로, 단말 장치는 사전 설정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서브 입력에 의거하여 제2 영역에 하나의 촬영 미리 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에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사전 설정 컨트롤에 대해 실행하는 제2 서브 입력을 수신하여 촬영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제2 영역에 촬영한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제1 영역에 제2 이미지 중의 제1 얼굴이미지, 제1 타겟 식별자와 그 전에 디스플레이한 N개의 얼굴이미지와 N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얼굴이미지 이미지에 의거하여 사용자를 계속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일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세션 생성 방법에는 단계 205 후에 또 단계 210과 단계 211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10: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제5 입력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상기 제3 화면에서의 제5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5 입력은 하나의 연속된 입력일 수 있고 또한 복수 개의 비연속 입력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해할 수 있는 점은, 제5 입력은 사용자가 필요하지 않은 연락처를 이동하거나 삭제하는 입력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화면에 또한 삭제 컨트롤을 포함하고 제5 입력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2 얼굴이미지와 컨트롤을 삭제하는 입력일 수 있다.
단계 211: 제5 입력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J개의 얼굴이미지와 J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한다.
그 중, J개의 얼굴이미지는 N개의 얼굴이미지 중의 이미지이고 J개의 타겟 식별자는 N개의 타겟 식별자 중의 식별자이며 J<N인 양의 정수이다.
제5 입력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제3 화면을 업데이트한다. 업데이트 후의 제3 화면에는 J개의 얼굴이미지와 J개의 타겟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 10 중의 (a)가 도시하는 화면 304b5이 제3 화면이라고 가정한다면 사용자는 화면 304b5에서 '왕오'가 있는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아래로 슬라이딩한다. 단말 장치는 제3 화면을 도 10 중의 (b)가 표시하는 화면 304b6(즉 업데이트 후의 제3 화면)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화면 304b6에는 장삼과 리사 및 장삼과 리사에 대응되는 얼굴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솔루션을 기반으로, 사용자는 제3 화면에서 불필요한 연락처를 삭제할 수 있다.
일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세션 생성 방법에는 단계 205 후에 또한 단계 210a과 단계 211a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10a: 제2 얼굴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5 입력을 수신한다.
그 중, 제2 얼굴이미지는 해당 N개의 얼굴이미지 중의 얼굴이미지이다.
단계 211a: 제5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식별자를 삭제한다.
예시적으로, 사용자의 하나의 얼굴이미지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타겟 식별자에 대응한다고 가정하면, 단말 장치가 제2 얼굴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슬라이딩 입력 수신시에 해당 제2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타겟 식별자를 모두 삭제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제2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부분 식별자를 삭제할 수도 있다.
설명이 필요한 점은, 해당 N개의 얼굴이미지에는 동일한 얼굴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아니한다.
해당 솔루션을 기반으로,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N개의 얼굴이미지 중의 제2 얼굴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거하여,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얼굴이미지 및 해당 제2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식별자를 삭제함으로써 삭제 동작을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도록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입력에 제3 서브 입력과 제4서브 입력을 포함한다.
일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세션 생성 방법에서 단계 202는 구체적으로 단계 202a와 단계 202b를 통하여 실행할 수 있다.
단계 202a: 사용자의 제3 서브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제1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제3 서브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제1 화면에 제1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한다.
예시적으로, 제3 서브 입력은 사용자가 스크린을 클릭하는 입력일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스크린에서 슬라이딩하는 입력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서브 입력은 도 11이 도시하는 화면 305a에서 스크린을 클릭하는 입력일 수 있고 제1 컨트롤은 화면 305a 중의 컨트롤(37)일 수 있다. 그 중, 컨트롤(37)에 문자 '단체 채팅방 생성'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또한 '세션 생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물론,제3 서브 입력도 도 12에서 도시하는 화면 306a에 도시하는 두 반대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입력일 수 있다. 제1 컨트롤도 화면 306a 중의 컨트롤(38)일 수 있다. 컨트롤(38)은 하나의 원형 컨트롤일 수 있고 컨트롤(38)에 '단체 채팅방 가입'의 글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물론 컨트롤(38)도 기타 모양일 수 있고 컨트롤(38)에서 기타 글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아니한다.
단계 202b: 사용자의 제1 컨트롤에 대한 제4서브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제1 이미지 화면의 업데이트 후 디스플레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 아이콘 화면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추가에 대한 사용자의 제4서브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제1 화면을 제2 화면으로 업데이트 디스플레이한다.
예시적으로, 제2 화면은 또한 도 12가 표시하는 화면 306a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3 중의 화면 306a1이 도시와 같이 사용자는 화면 306a에서 제1 컨트롤을 선택하여 하나의 아이콘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해당 아이콘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그램에서 세션을 생성할 수 있다.
설명이 필요한 점은, 제1 입력이 도 12에서 도시하는 입력인 경우, 단말 장치는 제1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한 상황하에서 또한 복수 개의 통신 프로그램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해당 솔루션을 기반으로,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로서 사용자가 제1 컨트롤에서 동작하여 취득하려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일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세션 생성 방법에서 단계 205는 구체적으로 단계 205a를 통하여 실행된다.
단계 205a: 제2 입력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해당 N개의 얼굴이미지, 해당 N개의 타겟 식별자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세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한다. 매 세션 식별자는 이미 생성한 하나의 세션을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화면에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세션 식별자를 포함한다.
나아가서, 단계 206는 단계 206a을 통하여 실행할 수 있다.
단계 206a: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제1 세션 식별자에 대한 제3 입력을 수신한다.
나아가서, 단계 204a는 단계 204a1을 통하여 실행할 수 있다.
단계 204a1: 제3 입력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세션 식별자 중의 모든 타겟 식별자와 해당 N개 타겟 식별자를 모두 포함하는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 중, 상기 제1 세션 식별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세션 식별자 중의 하나의 식별자이다.
바람직하게는, 제3 입력은 또한 사용자의 제1 세션 식별자와 제1 타겟 식별자에 대한 입력일 수 있다. 제1 세션 식별자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세션 식별자 중의 식별자이고 제1 타겟 식별자는 N개의 타겟 식별자 중의 식별자이다. M개의 타겟 식별자에는 제1 세션에 대응됨을 지시하는데 사용하는 사용자 식별자와 제1 타겟 식별자를 포함한다. 제1 세션은 제1 세션 식별자가 지시하는 세션이다.
예시적으로, 세션 식별자는 세션 이름, 예를 들어 하나의 단체 채팅방 이름일 수 있다. 도 14에서 도시하는 화면 304c의 도시와 같이, 제3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세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하나의 세션 아이콘과 연락처 이름(즉 제1 타겟 식별자)을 선택하여 해당 연락처를 해당 세션에 가입시킬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또한 세션 식별자를 클릭하여 제3 화면 중의 모든 사용자를 해당 세션에 추가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아니한다.
해당 솔루션을 기반으로 단말 장치가 제3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후보 세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미지에 근거하여 확정한 연락처를 그 중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기존의 세션 추가 방식을 더욱 간단하고 신속하게 하였다.
일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세션 생성 방법에서는 단계 203 후에 단계 212가 있다.
단계 212: 단말 장치가 상기 N개의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N개의 지시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한다.
그 중, 하나의 지시 식별자는 하나의 얼굴이미지와 제3 이미지 간의 유사성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제3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이미지 중에서 해당 하나의 얼굴이미지 간의 유사성이 유사성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이미지이다. 해당 적어도 하나의 타겟 이미지는 타겟 통신 프로그램 중에서 제2 타겟 식별자에 대응되는 이미지이고 제2 타겟 식별자는 해당 하나의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타겟 식별자이다.
바람직하게는, 제3 화면에는 또한 N개의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N개의 지시 식별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N개의 지시 식별자는 숫자 식별자일 수 있고 또한 문자 식별자일 수도 있으며 색상 식별자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아니한다.
예시적으로, 지시 식별자가 숫자 식별자인 경우를 사례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중의 화면 304a1에서 순서대로 위로부터 아래로 유사성이 큰 것으로부터 작은 것으로의 순서로 배열하였다. 그 중, 장삼의 사용자 정보 중의 얼굴이미지는 장삼이 소재하는 행의 제1 이미지 중에서 대응되는 얼굴이미지와 유사성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는 리사와 왕오이다.
구체적으로, 제1 타겟 유사성 제1 임계치인 상황하에서, 단말 장치는 제1 타겟 유사성에 대응되는 연락처를 제1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연락처으로 확정한다. 제1 타겟 유사성 < 제1 임계치이고 또한 제2 타겟 유사성 제1 임계치인 상황하에서, 단말 장치는 제2 타겟 유사성에 대응되는 연락처를 제1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연락처이라고 확정한다. 그 중, 제1 타겟 유사성은 제1 얼굴이미지와 제2 얼굴이미지의 유사성이고 제2 얼굴이미지는 연락처 리스트 중의 얼굴이미지 혹은 연락처 라벨 중의 얼굴이미지가며 제1 얼굴이미지는 제1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 중의 임의 하나의 얼굴이미지이다. 제2 타겟 유사성은 제1 얼굴이미지와 제3 얼굴이미지의 유사성이다. 제3 얼굴이미지가 연락처 리스트 중에 있지 않고 또한 사용자의 제2 세션 중의 얼굴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이미지가면 제2 세션은 타겟 통신 프로그램 중의 세션이다.
설명이 필요한 점은, 단말 장치가 유사성을 계산할 때에,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 중의 사용자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에는 얼굴이미지와 라벨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얼굴이미지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 장치 중에 기타 사용자를 위하여 비고한 얼굴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서 도시하는 화면 307의 도시와 같이, 얼굴이미지는 사용자 자신이 사용자 '날으는 돼지'를 위하여 비고한 얼굴이미지일 수 있고 또한 기타 사용자가 자체로 설정한 이미지일 수도 있다. 라벨 중의 이미지도 사용자가 자신 단말 장치에 기타 사용자를 위하여 비고한 얼굴이미지일 수 있고 또한 기타 사용자가 자체로 설정한 이미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6 중의 라벨은 사용자 '날으는 돼지'가 자체로 설정한 도그 이미지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해할 수 있는 점은, 상기 임의 하나의 제3 화면, 예를 들어 화면 304b4, 화면 304c 등에서 모두 지시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지시 식별자에 근거하여 어떠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중의 얼굴이미지와 제1 이미지 중의 얼굴이미지의 유사성이 비교적 높은지를 확정할 수 있고 이를 참고하여 세션을 생성하여 메시지를 발송하려는 연락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해당 솔루션을 기반으로, 단말 장치는 제3 화면에 매 연락처와 대응되는 얼굴이미지의 유사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취득한 정보로 하여금 더욱 정확하도록 함으로써 이를 참고하여 세션을 생성하여 메시지를 발송하려는 연락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단말 장치의 바람직한 구조 안내도이다. 도 17의 도시와 같이, 단말 장치(400)는 수신 모듈(401)과 디스플레이 모듈(402)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401)은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를 포함한 제1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는데 사용한다. 디스플레이 모듈(402)은 수신 모듈(401)이 수신한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한다. 수신 모듈(401)은 또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는데 사용한다. 수신 모듈(401)이 수신한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세션 화면에는 M개의 타겟 식별자를 포함한다. 그 중, 매 하나의 타겟 식별자는 하나의 사용자를 지시하는데 사용하고 해당 M개의 타겟 식별자가 지시하는 M개의 사용자에는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 중의 K개의 얼굴이미지가 지시하는 사용자를 포함하며 해당 M개의 타겟 식별자는 제2 입력에 대응되는 타겟 통신 프로그램 중의 식별자이고 M과 K는 모두 양의 정수이며 또한 K≤M이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402)은 구체적으로 수신 모듈(401)이 수신한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402)은 또한 수신 모듈(401)이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한 후에 제2 입력에 응답하여 N개의 얼굴이미지와 N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한다. 그 중, 매 얼굴이미지는 각각 하나의 타겟 식별자에 대응된다. N개의 타겟 식별자가 지시하는 N개의 사용자에는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 중의 P개의 얼굴이미지가 지시하는 사용자를 포함한다. 해당 N개의 타겟 식별자는 타겟 통신 프로그램 중의 식별자이고 P는 ≤N인 정수이다. 수신 모듈(401)은 또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는데 사용한다. 디스플레이 모듈(402)은 구체적으로 수신 모듈(401)이 수신한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 입력은 해당 N개의 얼굴이미지와 해당 N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 밖의 공백 영역에서 사용자가 사전 설정 방향에 따 슬라이딩하는 입력이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402)은 또한 수신 모듈(401)이 제2 입력을 수신한 후에 사전 설정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한다. 수신 모듈(401)은 또한 사전 설정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4 입력을 수신하는데 사용한다. 디스플레이 모듈(402)은 수신 모듈(401)이 수신한 제4 입력에 응답하여 T개의 얼굴이미지와 T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한다. 그 중, T개의 얼굴이미지에는 해당 N개의 얼굴이미지가 포함되고 해당 T개의 타겟 식별자에는 해당 N개의 타겟 식별자가 포함되며 해당 T개의 얼굴이미지에서 해당 N개의 얼굴이미지를 제외한 기타 얼굴이미지는 제2 이미지 중의 얼굴이미지이다. 제2 이미지는 제4 입력에 대응되는 이미지이다. 해당 T개의 타겟 식별자 중에서 해당 N개의 타겟 식별자를 제외한 기타 타겟 식별자가 지시하는 사용자는 기타 얼굴이미지가 지시하는 사용자이고 T는 양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제4 입력에는 제1 서브 입력과 제2 서브 입력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402)은 구체적으로 제1 영역에 해당 N개의 얼굴이미지와 해당 N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한 상황하에서, 사전 설정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서브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영역에 촬영 미리 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한다. 사전 설정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서브 입력에 응답하여 촬영 동작을 실행하고 제2 영역에 촬영한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제1 영역에 제2 이미지 중의 제1 얼굴이미지, 제1 타겟 식별자, 해당 N개의 얼굴이미지와 해당 N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모듈(401)은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402)이 N개의 얼굴이미지와 N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한 후에 사용자의 제5 입력을 수신하는데 사용한다. 디스플레이 모듈(402)은 또한 수신 모듈(401)이 수신한 제5 입력에 응답하여 J개의 얼굴이미지와 J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한다. J개의 얼굴이미지는 N개의 얼굴이미지 중의 이미지이고 J개의 타겟 식별자는 N개의 타겟 식별자 중의 식별자이며 J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모듈(401)은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402)이 N개의 얼굴이미지와 N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한 후에 제2 얼굴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5 입력을 수신하는데 사용한다. 디스플레이 모듈(402)은 또한 수신 모듈(401)이 수신한 제5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얼굴이미지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식별자를 삭제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입력에는 제1 서브 입력과 제2 서브 입력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402)은 구체적으로 수신 모듈(401)이 수신한 사용자의 제1 서브 입력에 응답하여 추가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한다. 수신 모듈(401)이 수신한 추가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서브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402)은 구체적으로 제2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 N개의 얼굴이미지, 해당 N개의 타겟 식별자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세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하고 매 세션 식별자는 하나의 이미 생성된 세션을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수신 모듈(401)은 구체적으로 제1 세션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는데 사용한다. 디스플레이 모듈(402)은 구체적으로 수신 모듈(401)이 수신한 제3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 제1 세션 식별자 중의 모든 타겟 식별자와 해당 N개의 타겟 식별자의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한다. 그 중, 제1 세션 식별자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세션 식별자 중의 식별자이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402)은 또한 수신 모듈(401)에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한 후에 해당 N개의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N개의 지시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한다. 그 중, 하나의 지시 식별자는 하나의 얼굴이미지와 제3 이미지 간의 유사성을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제3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이미지 중에서 해당 하나의 얼굴이미지와의 유사성이 유사성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이미지이다. 해당 적어도 하나의 타겟 이미지는 타겟 통신 프로그램 중에서 제2 타겟 식별자에 대응되는 이미지이다. 제2 타겟 식별자는 하나의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타겟 식별자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400)는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여기에서는 중복 서술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를 보면, 우선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를 포함한 제1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한다. 다음에 제1 입력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다음으로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한다. 마지막으로, 제2 입력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세션 화면에는 M개의 타겟 식별자가 포함된다. 매 타겟 식별자는 하나의 사용자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M개의 타겟 식별자가 지시하는 M개의 사용자에는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 중의 K개의 얼굴이미지가 지시하는 사용자를 포함하고 M개의 타겟 식별자는 제2 입력에 대응되는 타겟 통신 프로그램 중의 식별자이며 M과 K는 모두 양의 정수이고 또한 K≤M이다. 제1 이미지에 얼굴이미지를 포함한다. 단말 장치는 제1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 중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통신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또한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들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후에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 중에 포함된 K개의 얼굴이미지가 지시하는 사용자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로써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세션 생성 방법에 따라 얼굴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신속하게 필요한 연락처를 찾을 수 있고 이어서 신속하게 세션을 생성하거나 사용자를 기존 단체 채팅방에 초대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각 실시예에서 일종의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를 구현하는 안내도이다. 해당 단말 장치(100)는 무선 주파수 유닛(101), 네트워크 모듈(102), 오디오 출력 유닛(103), 입력 유닛(104), 센서(105), 디스플레이 유닛(106), 사용자 입력 유닛(107), 인터페이스 유닛(108), 메모리(109), 프로세서(110) 및 전원(111) 등 부품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동업자들은 도 18에서 도시하는 단말 장치의 구조가 단말 장치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 장치는 도면 대비 더 많은 혹은 더 적은 부품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일부 부품을 통합하거나 상이한 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핸드폰, 태블릿 PC, PDA, 차량 적재형 단말 장치, 착용식 장치 및 보행계 등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 중,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를 포함한 제1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는데 사용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해당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또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는데 사용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또한 해당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세션 화면에는 M개의 타겟 식별자가 포함된다. 그 중, 매 하나의 타겟 식별자는 하나의 사용자를 지시하는데 사용하고 해당 M개 타겟 식별자가 지시하는 M개의 사용자에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 중의 K개의 얼굴이미지가 지시하는 사용자를 포함하며 해당 M개의 타겟 식별자는 해당 제2 입력에 대응되는 타겟 통신 프로그램 중의 식별자이다. M과 K는 모두 양의 정수이고 또한 K≤M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는 우선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를 포함한 제1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한다. 다음에 제1 입력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다음으로,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한다. 마지막으로, 제2 입력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가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세션 화면에는 M개의 타겟 식별자가 포함된다. 그 중, 매 하나의 타겟 식별자는 하나의 사용자를 지시하는데 사용하고 M개의 타겟 식별자가 지시하는 M개의 사용자에는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 중의 K개의 얼굴이미지가 지시하는 사용자를 포함하며 M개의 타겟 식별자는 제2 입력에 대응되는 타겟 통신 프로그램 중의 식별자이고 M과 K는 모두 양의 정수이며 또한 K≤M이다. 제1 이미지에 얼굴이미지를 포함하기에 단말 장치는 제1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 중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통신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또한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후에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 중에 포함된 K개의 얼굴이미지가 지시하는 사용자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로써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세션 생성 방법에서는 얼굴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신속하게 필요한 연락처를 찾을 수 있고 이어서 신속하게 세션을 생성하거나 사용자를 기존 단체 채팅방에 초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110)에 의해 처리된다. 또한 상향 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101)에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연결기, 저소음 증폭기, 이중화기 등이 포함되며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이외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또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네트워크와 기타 통신 설비에 연결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모듈(102)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메일 송수신, 웹페이지 검색, 스트리밍 미디어 액세스 등을 도울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103)은 무선 주파수 유닛(1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02)이 수신하였거나 메모리(109)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유닛(103)은 단말 장치(100)가 실행하는 특수 기능 관련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예를 들어 호출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 오디오 출력 유닛(103)은 스피커, 부저,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1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입력 유닛(104)은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1041)과 마이크(10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0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를 통해 취득한 스테틱 이미지나 비디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처리 후의 이미지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유닛(106)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1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무선 주파수 유닛(1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02)에 의해 발송할 수 있다. 마이크(1042)는 음성을 수신하고 그러한 음성을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을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 장치(100)에는 또 예를 들어 광학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최소 일종의 센서(105)를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 센서에는 주변 조도 센서 및 근접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중, 주변 조도 센서는 주변 조도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61)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단말 장치(100)가 귀 가까이로 이동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1061)과/또는 백라이트를 OFF할 있다. 가속도계 센서는 모션 센서의 일종으로 각 방향(보통 3축)의 가속도 크기를 측정할 수 있고 정지 상태시에 중력 크기와 방향을 측정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의 자세 인식(예를 들어 세로와 가로 화면의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교정), 진동 인식 관련 기능(보행계 및 두드림)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센서(105)에는 또한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사용자 입력 정보 혹은 사용자에게 제공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유닛(106)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61)이 포함될 수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식으로 로 디스플레이 패널(1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입력하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 장치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 관련 버튼 신호 입력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07)에는 터치 패널(1071) 및 기타 입력 유닛(1072)을 포함한다. 터치 패널(1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한다. 사용자의 그 위 또는 주변에서의 터치 동작(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등 임의의 적절한 물체 또는 부속품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1071) 위 또는 터치 패널(1071) 주변에서의 동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1071)에는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 두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그중,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감지하고 터치 동작에 의한 신호를 감지하며 해당 신호를 터치 컨트롤러로 전송한다.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터치 정보를 터치 포인트 좌표로 변환한 후 다시 프로세서(110)에 전송하고 프로세서(110)가 전송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이외, 저항식, 콘덴서식, 적외선 또는 표면 음파 등 다양한 형태로 터치 패널(1071)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터치 패널(1071) 외에도 또 기타 입력 유닛(10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유닛(1072)에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버튼(예를 들어 볼륨 조절 버튼, 전원 ON/OFF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조이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하지 아니한다. 여기에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진일보로, 터치 패널(1071)은 디스플레이 패널(1061) 위에 장착되어 터치 패널(1071)이 그 위 또는 주변의 터치 작동을 감지한 후 프로세서(110)로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 유형을 확정한다. 다음에 프로세서(110)가 터치 이벤트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61)에 해당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비록 도 18에서 터치 패널(1071)과 디스플레이 패널(1061)은 두 개의 독립적인 부품으로 단말 장치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1071)과 디스플레이 패널(1061)을 통합시켜 단말 장치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아니한다.
인터페이스 유닛(108)은 주변 장치와 단말 장치(10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주변 장치에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폰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포트, 식별 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포트, 오디오 입/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108)은 주변 장치로부터 오는 입력(예를 들어 데이터 정보, 파워 등)을 수신하고 수신한 입력을 단말 장치(100) 내부에 있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소자로 전송하는 데 사용하거나 단말 장치(100)와 주변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09)에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어 오디오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외, 메모리(1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부품 등의 적어도 하나의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스테익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단말 장치의 제어 센터이며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회로를 이용하여 전체 단말 장치의 각 부분을 연결하고 메모리(1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혹은 모듈을 실행/집행하거나 메모리(1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단말 장치의 각종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단말 장치에 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집행한다. 프로세서(110)에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응용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프로세서(110)에 통합할 수 있다. 그 중, 응용 프로세서는 주로 처리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응용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단말 장치(100)에는 또한 각 부품들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111)(예를 들어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원(111)은 전원 관리 시스템과 프로세서(110)의 논리적인 연결을 통하여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충전, 방전 및 파워 소모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에는 일부 명시하지 않은 기능 모듈이 포함될 수 있고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또 일종의 단말 장치을 제공한다. 도 18의 도시와 같이 프로세서(110), 메모리(109), 메모리(109)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실행실에 상기 세션 생성 방법 실시예에서의 과정들을 구현하고 또한 동등한 기술 효과를 달성한다. 여기에서는 중복 서술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또 일종의 컴퓨터판독가능기억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판독가능기억매체에 컴퓨터프로그램이 저장되고 해당 컴퓨터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 상기 세션 생성 방법에서의 실시예의 각 과정들을 구현할 수 있고 또 동등한 기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중복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 중, 상기 컴퓨터판독가능기억매체는 읽기 전용 기억 장치(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크 혹은 CD 등일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본문에서 용어 '포함'과 그 임의의 변형은 불배타적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예를 들어 일련의 요소의 과정, 방법, 물품, 혹은 장치를 포함한다는 것은 명확하게 제시된 그러한 요소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것도 포함하거나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혹은 장치가 구비하는 요소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한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문구 '하나의 ?? 을 포함'으로 표현하는 요소는 해당 요소에 포함되는 과정, 방법, 물품 혹은 장치에 존재하는 기타 대등한 요소를 배제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본 개시의 실시 방식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본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갖춘 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것이다.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서 구현할 수도 있지만 많은 경우에 전자가 더 바람직한 실시 방식일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개시의 기술 방법에서는 본질적 부분 혹은 종래 기술에 기여한 부분을 소프트웨어 제품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하나의 기억 매체(예를 들어 ROM/RAM, 디스크, CD)에 저장하고 다양한 명령을 포함시켜 한대의 단말(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혹은 네트워크장치 등일 수 있음)로 본 개시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위에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는 오로지 설명을 위한 해석용으로 본 개시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물론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이라면 본 개시의 계시하에서 본 개시의 사상과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형식을 도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식은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세션 생성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를 포함한 제1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세션 화면에는 M개의 타겟 식별자를 포함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타겟 식별자는 하나의 사용자를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M개의 타겟 식별자가 지시한 M개의 사용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 중의 K개의 얼굴이미지가 지시한 사용자를 포함하고, 상기 M개의 타겟 식별자는 상기 제2 입력에 대응되는 타겟 통신 프로그램 중의 식별자이며, M과 K는 모두 양의 정수이고, 또한 K는 M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있어서,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N개의 얼굴이미지와 N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각 얼굴이미지는 각각 하나의 타겟 식별자에 대응되고, 상기 N개의 타겟 식별자가 지시한 N개의 사용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 중의 P개의 얼굴이미지가 지시한 사용자를 포함하며, 상기 N개의 타겟 식별자는 상기 타겟 통신 프로그램 중의 식별자이고, P는 N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임 -;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입력은 상기 N개의 얼굴이미지와 상기 N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 이외의 공백 영역에서, 사용자가 사전 설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사전 설정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의 상기 사전 설정 컨트롤에 대한 제4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입력에 응답하여 T개의 얼굴이미지와 T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T개의 얼굴이미지는 상기 N개의 얼굴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T개의 타겟 식별자는 상기 N개의 타겟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T개의 얼굴이미지 중에서 상기 N개의 얼굴이미지를 제외한 기타 얼굴이미지는 제2 이미지 중의 얼굴이미지이고,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제4 입력에 대응되는 이미지이며, 상기 T개의 타겟 식별자 중에서 상기 N개의 타겟 식별자를 제외한 기타 타겟 식별자가 지시한 사용자는 상기 기타 얼굴이미지가 지시한 사용자이고, T는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입력은 제1 서브 입력과 제2 서브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입력에 응답하여 T개의 얼굴이미지와 T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제1 영역에 상기 N개의 얼굴이미지와 상기 N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한 상황하에서, 상기 사전 설정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상기 제1 서브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영역에 촬영 미리 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전 설정 컨트롤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서브 입력에 응답하여 촬영 동작을 실행하고, 또한 상기 제2 영역에 촬영한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2 이미지 중의 제1 얼굴이미지, 제1 타겟 식별자, 상기 N개의 얼굴이미지와 상기 N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얼굴이미지와 N개의 타겟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제2 얼굴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5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5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식별자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N개의 얼굴이미지, 상기 N개의 타겟 식별자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세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세션 식별자는 이미 생성한 하나의 세션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제1 세션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세션 식별자 중의 모든 타겟 식별자와 상기 N개의 타겟 식별자를 포함한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션 식별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세션 식별자 중의 하나의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N개의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N개의 지시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하나의 지시 식별자는 하나의 얼굴이미지와 제3 이미지 간의 유사성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3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이미지 중에서 상기 하나의 얼굴이미지 간의 유사성이 유사성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이미지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이미지는 상기 타겟 통신 프로그램 중에서 제2 타겟 식별자에 대응되는 이미지이고, 상기 제2 타겟 식별자는 상기 하나의 얼굴이미지에 대응되는 타겟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수신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를 포함한 제1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세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세션 화면에는 M개의 타겟 식별자가 포함되며,
    각 타겟 식별자는 하나의 사용자를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M개의 타겟 식별자가 지시한 M개의 사용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굴이미지 중의 K개의 얼굴이미지가 지시한 사용자를 포함하며, 상기 M개의 타겟 식별자는 상기 제2 입력에 대응되는 타겟 통신 프로그램 중의 식별자이고, M과 K는 모두 양의 정수이며, 또한 K는 M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세션 생성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2.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세션 생성 방법의 단계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217021573A 2018-12-24 2019-12-20 세션 생성 방법 및 단말 장치 KR1026579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584399.7 2018-12-24
CN201811584399.7A CN109766156B (zh) 2018-12-24 2018-12-24 一种会话创建方法及终端设备
PCT/CN2019/127140 WO2020135269A1 (zh) 2018-12-24 2019-12-20 会话创建方法及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171A true KR20210100171A (ko) 2021-08-13
KR102657949B1 KR102657949B1 (ko) 2024-04-15

Family

ID=66451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573A KR102657949B1 (ko) 2018-12-24 2019-12-20 세션 생성 방법 및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20995A1 (ko)
EP (1) EP3905037B1 (ko)
JP (1) JP7194286B2 (ko)
KR (1) KR102657949B1 (ko)
CN (1) CN109766156B (ko)
WO (1) WO20201352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6156B (zh) * 2018-12-24 2020-09-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会话创建方法及终端设备
CN111835531B (zh) * 2020-07-30 2023-08-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会话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5378897A (zh) * 2022-08-26 2022-11-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临时会话建立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11487A1 (en) * 2012-06-07 2014-01-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32435B1 (ko) * 2015-10-20 2016-06-21 이요훈 유무선ip기반 gui를 활용한 sns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화 방법
KR20170023751A (ko) * 2015-07-29 2017-03-06 시아오미 아이엔씨. 이미지 기반 통신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06791182A (zh) * 2017-01-20 2017-05-3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的聊天方法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3143B (zh) * 2014-06-24 2021-01-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即时通讯的网络信息推送方法、装置和系统
CN104363166B (zh) * 2014-11-27 2018-09-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即时通信方法、装置和智能终端
CN106559558A (zh) * 2015-09-30 2017-04-05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识别的获取和激活通讯方式的方法及装置
CN106302137A (zh) * 2016-10-31 2017-01-0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群聊消息处理装置及方法
CN109766156B (zh) * 2018-12-24 2020-09-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会话创建方法及终端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11487A1 (en) * 2012-06-07 2014-01-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70023751A (ko) * 2015-07-29 2017-03-06 시아오미 아이엔씨. 이미지 기반 통신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632435B1 (ko) * 2015-10-20 2016-06-21 이요훈 유무선ip기반 gui를 활용한 sns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화 방법
CN106791182A (zh) * 2017-01-20 2017-05-3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的聊天方法及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94286B2 (ja) 2022-12-21
WO2020135269A1 (zh) 2020-07-02
CN109766156B (zh) 2020-09-29
JP2022515443A (ja) 2022-02-18
KR102657949B1 (ko) 2024-04-15
EP3905037A4 (en) 2022-02-23
US20210320995A1 (en) 2021-10-14
EP3905037A1 (en) 2021-11-03
CN109766156A (zh) 2019-05-17
EP3905037B1 (en) 202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91356B (zh) 文件传输显示控制方法、装置及相应的终端
CN111061574B (zh) 一种对象分享方法及电子设备
WO2020215949A1 (zh) 对象处理方法及终端设备
CN111142747B (zh) 群组管理方法及电子设备
US11658932B2 (en) Message send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WO2019149028A1 (zh) 应用程序的下载方法及终端
CN111274777B (zh) 思维导图显示方法及电子设备
WO2020192299A1 (zh) 信息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10456953A (zh) 文件夹界面切换方法及终端设备
WO2021129536A1 (zh) 图标移动方法及电子设备
WO2020182035A1 (zh) 图像处理方法及终端设备
KR102657949B1 (ko) 세션 생성 방법 및 단말 장치
WO2020199988A1 (zh) 内容复制方法及终端
CN111064848B (zh) 图片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0868633A (zh) 一种视频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2023506289A (ja) カメラ起動方法及び電子機器
CN110244884A (zh) 一种桌面图标管理方法及终端设备
CN109408072A (zh) 一种应用程序删除方法及终端设备
US20210318787A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09117037B (zh) 一种图像处理的方法及终端设备
WO2021104268A1 (zh) 内容分享方法及电子设备
KR20220154825A (ko) 노트 생성 방법 및 전자기기
WO2021036504A1 (zh) 图片删除方法及终端设备
CN109547696B (zh) 一种拍摄方法及终端设备
CN108833679B (zh) 一种对象显示方法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