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034A -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034A
KR20210100034A KR1020210016659A KR20210016659A KR20210100034A KR 20210100034 A KR20210100034 A KR 20210100034A KR 1020210016659 A KR1020210016659 A KR 1020210016659A KR 20210016659 A KR20210016659 A KR 20210016659A KR 20210100034 A KR20210100034 A KR 20210100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code
identification code
image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인
Original Assignee
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인 filed Critical 허인
Publication of KR2021010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6103Constructional details the marking being embedded in a human recognizable image, e.g. a company logo with an embedded two-dimensional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614Constructional details the marking being selective to wavelength, e.g. color barcode or barcodes only visible under UV or 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특정 주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광학적으로 인식되는 고유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로 구성되는 식별코드는, 상기 식별코드를 촬영하여 획득된 이미지 내에 포함된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도록, 미리 설정된 규격을 갖는 심볼코드; 상기 심볼코드의 배열 위치와 배열 방향에 따라 상대적인 크기 및 모양으로 결정되는 식별영역 내에 포함되는 이미지로서, 다른 주체를 나타내기 위한 다른 식별코드의 식별영역 내에 포함되는 이미지와는 구분되는 고유한 이미지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인식장치로 하여금 특정 주체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식별이미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식별코드를 이용하고자 하는 주체가 자신이 원하는 모양의 식별코드를 생성하거나, 생성된 식별코드를 구매 또는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바코드나 QR코드와 같이 이미지를 이용한 다양한 식별코드를 사용해왔다. 바코드나 QR코드는 모두 미리 규격화된 구조를 가지되, 각각의 코드가 구분되도록 하는 식별정보가 기입되는 영역의 데이터 패턴이 달리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미지를 이용한 식별코드는 광학적 방식으로 코드를 읽는 인식장치에 의해 독출된다. 일반적으로 바코드는 적외선 리더기에 의해 독출되고, QR코드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에서 독출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식별코드들은 인식장치가 식별코드에 담긴 식별정보를 판독하기 용이하게 만들어져 왔다. 즉 바코드나 QR코드 등은 인식장치에 의한 식별의 기능에 충실하게 구성되어, 실제 식별코드가 판독되기 전에는 코드에 담긴 내용이나 코드와 연관된 서비스 주체에 대해 알기 어려웠다. 그에 따라 인식장치가 식별코드를 판독하여 영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식별하기 전에는 일반 소비자가 육안으로 해당 식별코드가 어떤 주체의 식별코드인지 인식하기 어려웠다. 또한 서비스 주체의 입장에서 식별코드를 통해 자신의 영업을 차별화하여 개성을 표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식별코드를 이용하는 서비스 주체들은 인식장치에 의해 식별코드가 판독되기 전에 소비자의 육안만으로도 자신들의 식별코드가 다른 식별코드들과는 구별 가능하기를 원한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프레임QR코드 등과 같이 식별코드의 일부 영역을 인식 대상에서 제외하고, 해당 부분에 서비스 주체의 영업표지나 로고 등 자유 이미지를 삽입하도록 하는 기술이 사용되었다.
또한 소비자 입장에서도 특정 식별코드를 판독하기 전이라도 해당 식별코드가 담고 있는 내용이나 관련된 서비스 주체에 대해 인식하고자 한다. 그에 따라 소비자는 적어도 해당 식별코드를 판독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정보에 대한 힌트가 식별코드 내에 제공됨으로써, 식별코드의 판독 여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받고자 한다. 그러나 종래의 식별코드는 인식장치에 의한 판독 기능에 충실하여, 식별코드 자체에는 소비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다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260499호는 위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디자인 QR코드를 제작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위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디자인 QR코드 제작 방법에 의하면, 인식장치가 판독하는 대상이 되는 코드와, 사람이 육안으로 인식하여 식별하는 대상이 되는 전경 또는 배경 이미지가 결합된 디자인 QR 코드를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인식장치의 판독 대상이 되는 코드 부분과 사람이 인식하는 이미지 부분이 합성되어, 코드 이미지의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식장치의 판독 대상이 되는 부분의 형상은 해당 식별코드를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주체가 자의적으로 편집할 수 없기 때문에 전체적인 코드에서 느껴지는 미감이 저해되고, 코드의 식별력도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간결한 구성의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인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식별코드에서 인식장치의 판독 대상이 되는 부분과 사람이 육안으로 인식하여 식별하는 대상을 통일할 수 있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영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 주체가 원하는 모양을 스스로 편집하여 식별하거나 생성하거나 원하는 모양의 식별코드를 선택 또는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복수의 하위 식별코드를 포함할 수 있는 식별코드와, 이러한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판독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주체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여 추후에도 기록된 정보를 열람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주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광학적으로 인식되는 고유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로 구성되는 식별코드는, 상기 식별코드를 촬영하여 획득된 이미지 내에 포함된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도록, 미리 설정된 규격을 갖는 심볼코드; 상기 심볼코드의 배열 위치와 배열 방향에 따라 상대적인 크기 및 모양으로 결정되는 식별영역 내에 포함되는 이미지로서, 다른 주체를 나타내기 위한 다른 식별코드의 식별영역 내에 포함되는 이미지와는 구분되는 고유한 이미지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인식장치로 하여금 특정 주체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식별이미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새로운 식별코드의 생성을 요청한 특정 주체로, 상기 식별코드의 생성을 위한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주체로부터 상기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미리 설정된 심볼코드의 배열 위치와 배열 방향에 따라 상대적인 크기와 모양으로 결정되는 식별영역 내에 포함될 식별이미지를 선택받는 입출력부; 상기 식별이미지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성되는 식별코드를 상기 특정 주체에 연관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은, 특정 주체로부터 새로운 식별코드의 생성이 요청되면, 상기 특정 주체로 미리 설정된 심볼코드가 배열되고, 상기 심볼코드의 배열 위치와 방향에 따라 상대적인 크기와 모양으로 결정되는 식별영역이 포함되는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특정 주체로부터 상기 식별영역에 포함될 식별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식별이미지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은 특정 주체로부터 새로운 식별코드의 생성이 요청되면, 상기 특정 주체로 미리 설정된 심볼코드가 배열되고, 상기 심볼코드의 배열 위치와 방향에 따라 상대적인 크기와 모양으로 결정되는 식별영역이 포함되는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특정 주체로부터 상기 식별영역에 포함될 식별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식별이미지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특정 주체로부터 새로운 식별코드의 생성이 요청되면, 상기 특정 주체로 미리 설정된 심볼코드가 배열되고, 상기 심볼코드의 배열 위치와 방향에 따라 상대적인 크기와 모양으로 결정되는 식별영역이 포함되는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특정 주체로부터 상기 식별영역에 포함될 식별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식별이미지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간결한 구성의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인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식별코드에서 인식장치의 판독 대상이 되는 부분과 사람이 육안으로 인식하여 식별하는 대상을 통일할 수 있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영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 주체가 원하는 모양을 스스로 편집하여 식별하거나 생성하거나 원하는 모양의 식별코드를 선택 또는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하위 식별코드를 포함할 수 있는 식별코드와, 이러한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판독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주체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여 추후에도 기록된 정보를 열람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의 식별코드 생성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식별영역에 픽셀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의 식별코드 인식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S814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픽셀코드를 이용한 식별코드 생성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픽셀코드를 이용한 식별코드 인식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의 서브 픽셀코드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코드 인식 이력을 나타내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인식장치(10)와 하나 이상의 코드 생성장치(20),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를 포함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인식장치(10)는 후술할 식별코드(C)를 광학적으로 인식하여,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주체 또는 해당 주체에 의해 제공되는 객체를 식별하는 사용자 단말이다. 이때 인식장치(10)에는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개발된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다. 이때 응용프로그램은 후술할 서비스 제공 서버(3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인식장치(10)는 식별코드(C)를 인식하기 위하여 식별코드(C)를 촬영하는 촬영수단, 예를 들어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서비스 제공 서버(30)와 통신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터치디스플레이 등의 입출력 수단, 식별코드(C)의 연산이나 그 외 장치 전반의 제어를 위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통상의 정보처리장치일 수 있다.
인식장치(10)는 식별코드(C)를 인식함으로써,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일반 소비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코드 생성장치(20)는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특정 주체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로서, 일반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정보나 서비스가 매칭되는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코드 생성장치(20)에는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된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응용프로그램도 서비스 제공 서버(30)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인식장치(10)와 코드 생성장치(20)는 사용자가 식별코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입출력 수단과,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연산을 수행하는 제어 수단,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수단 등을 구비하는 통상의 정보처리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인식장치(10)나 코드 생성장치(20)는 각각 사용자 단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전자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단말기는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 (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상술한 인식장치(10)와 협력하여 식별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상술한 코드 생성장치(20)와 협력하여 새로운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정보처리장치이다.
서비스 제공 서버(30)와 인식장치(10)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30)와 코드 생성장치(20) 사이에는 각각 서로 상호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인식장치(10)와 코드 생성장치(20)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서로 다른 구성은 아니고,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사용자 단말을 인식장치(10)로,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주체에 의해 이용되는 단말을 코드 생성장치(20)로 개념적으로 구분한 것뿐이다. 이때 인식장치(10)와 코드 생성장치(20)는 서비스 제공 서버(30)에 접근할 때 이용하는 사용자 계정이 서로 다른 분류로 분류됨으로써 달리 구분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일반 사용자 계정과,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영업 주체의 사용자 계정을 미리 구분하여 등록 받을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통상의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서버 장치로 기능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하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와 같은 서비스 제공 서버(30)와 인식장치(10), 코드 생성장치(20)가 이루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지시하며, 그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기능 중 일부는 서버에서 일부는 클라이언트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둘 사이의 협력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식별코드(C)는 특정 주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광학적으로 인식되는 고유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로 구성되는 이미지 코드이다. 예를 들어 바코드와 같이 각각 서로 다른 식별코드는 서로 다른 식별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식별코드는 특정 주체에 의해 생성되거나 선택되는 이미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특정 주체는 식별코드를 구성할 이미지를 직접 생성하거나, 이미 생성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하여 발급받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특정 주체는 식별코드를 발급받는 대가로서 수수료를 지불할 수 있다.
식별코드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C)는 식별코드를 촬영하여 특정 주체를 식별하는 인식장치(10)가 촬영된 이미지 내에 포함된 식별코드를 인식하도록, 미리 설정된 규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심볼코드(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심볼코드(S)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1) 내지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심볼코드(S)는 추후 식별코드를 인식할 때 식별코드의 배열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방향 인식이 가능한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심볼코드는 특정방향으로는 대칭성이 없는 모양이 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심볼코드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중 (2) 및 (4)와 같이 대칭성이 있는 모양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식별코드에는 식별영역(A)이 포함된다. 식별영역(A)에는 식별이미지가 배치될 수 있다. 식별이미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식별코드에는 식별코드의 식별영역을 둘러싸고 식별코드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아웃라인(O)이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아웃라인(O)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식별코드에는 식별영역을 이루며, 각각의 식별코드를 구분 가능하게 하는 식별이미지가 포함된다. 식별이미지는 각 주체를 나타내는 이미지로 선택될 수 있으며, 특히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주체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식별이미지는 실시예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픽셀들 각각이, 서로 구분 가능한 둘 이상의 색상 중 선택된 하나의 색상을 가짐으로써 형성되는 이미지로서, 다른 주체를 나타내기 위한 다른 식별코드와는 구분되는 고유한 이미지를 갖도록 구성되어 인식장치로 하여금 특정 주체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픽셀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픽셀코드는 예를 들어, 식별영역에 배열되는 각 픽셀들이 가질 색상을 특정 주체로부터 선택 받음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픽셀들이 각각 동일한 정사각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삼각형이나, 육각형, 원형 등과 같이 행과 열을 갖도록 반복적으로 배열 가능한 모양과 크기라면 어떤 형태라도 될 수 있다.
그러나 식별이미지는 단순히 특정 주체로부터 선택된 이미지 파일이나 이미지 데이터 그대로, 또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이미지 파일이나 이미지 데이터를 일부 가공하여 형성되는 이미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식별이미지는 특정 주체가 선택한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규격화한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식별이미지는 특정 주체가 코드 생성장치(20)에 제공되는 그리기 도구를 통해 새로 그려서 만든 이미지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식별이미지는 특정 주체에 의해 선택되되, 다른 주체에 의해 생성된 식별코드와는 구분되도록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이미지로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심볼코드(S)는 미리 지정된 모양을 갖도록 규격화된 코드 이미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심볼코드(S)는 식별코드 전체의 크기나 가로 또는 세로 비율이 변경되더라도 심볼코드(S)의 전체적인 모양이나 비율의 변화가 없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심볼코드(S)는 미리 지정되는 위치에 배열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라인(O)이 구성하는 사각형의 꼭지점 측에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심볼코드(S)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코드의 테두리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식별영역 내측에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식장치(10)와 협력하여 식별코드를 인식할 때, 심볼코드(S)를 우선적으로 인식함으로써 해당 이미지에 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음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심볼코드(S)를 우선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식별이미지가 포함된 식별영역에 대응하는 인식영역이 어디인지 구분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인식영역은 상술한 식별이미지가 구성되는 식별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으로서, 인식장치(10)가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에서, 식별이미지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대상으로 하는 부분이다.
즉, 심볼코드(S)는 식별영역(A)의 범위를 규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심볼코드(S)가 하나만 구성되는 경우, 식별영역(A)은 심볼코드(S)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위치와 크기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하방에 미리 정해진 크기와 모양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심볼코드(S)가 셋 구성되는 경우, 식별영역(A)은 세 심볼코드(S)의 상대적인 배열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 (3) 및 (4)와 같이 심볼코드(S)가 대각선 방향으로 둘 구성되고, 아웃라인(O)이 함께 구성되는 경우 식별영역(A)은 두 심볼코드(S)의 상대적인 배열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되되 아웃라인(O)이 구성되는 영역은 제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아웃라인(O)은 실시예 (3) 및 (4) 예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의 식별영역을 감싸는 테두리를 구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아웃라인(O)도 대략 사각형의 모서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아웃라인(O)의 두께와 심볼코드(S)의 비율이나 아웃라인(O)에 대한 심볼코드(S)의 상대 위치 등은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아웃라인(O)은 미리 지정된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검정색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웃라인(O)은 식별이미지의 배경과 구분되는 색상으로 선택될 수 있고, 상술한 심볼코드(S)나 식별영역(A)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식별영역(A)과 구분되는 객체로서 식별코드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아웃라인(O)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영역을 둘러싼 외측에 선형으로 배열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식별영역의 일측이나 내측에 배열될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는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웃라인(O)은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심볼코드(S)를 감싸는 모양으로 구성되거나 심볼코드(S)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는 식별코드가 전체적으로 사각형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삼각형이나 원형 등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인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과 기능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저장부(101)와 입출력부(102), 제어부(103), 그리고 통신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01)는 복수의 서로 다른 주체에 의해 생성된 식별코드에 대한 정보를 축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01)에는 파일 또는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01)에 저장된 데이터는 후술될 제어부(103)에 의해 액세스되어 이용되거나, 또는 제어부(103)에 의해 새로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주체에 의해 생성된 식별코드에 대한 정보는, 식별이미지에 의해 식별되는 특정 주체의 식별정보와, 식별이미지의 데이터 또는 식별이미지를 포함하는 식별코드 전체의 데이터, 식별이미지의 특징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어 식별이미지의 해쉬값), 특정 주체의 식별정보에 매칭될 기본 정보, 기본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서비스의 유형 등에 대한 정보, 그리고 식별코드에 부여되는 식별자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픽셀코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서브 픽셀코드의 데이터와 각 서브 픽셀코드에 매칭되는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브 픽셀코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각 식별코드에는 문자열로 구성되는 식별자가 부여될 수 있고, 상술한 인식장치(10)나 서비스 제공 서버(30) 사이에서는 식별코드에 대한 식별자로서 특정 식별코드를 구분하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주체의 식별정보는, 각 식별이미지에 의해 식별되는 주체를 구분하기 위한 문자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코드에 의해 식별되는 특정 주체에 부여된 고유식별자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기본 정보는 예를 들어, 해당 주체의 명칭, 전화번호 등의 연락처, 해당 주체를 소개하는 소개 콘텐트, 또는 해당 주체의 웹페이지 URL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기본 정보가 제공되는 서비스 유형은 예를 들어, 기본 정보에 포함된 콘텐트나 웹페이지를 연결하는 유형, 기본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 등을 인식장치(10)에 저장하는 유형, 해당 주체에 대한 의견이나 후기 등을 공유하는 게시판을 제공하는 유형, 해당 주체와 또는 해당 주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다른 이용자들과 메시지를 교환하도록 하는 유형 등 다양한 유형 중 선택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유형이 선택되거나 지정되지 않고, 모든 식별코드에 대해 통일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유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식별코드에 대한 정보에는 서비스 유형에 대한 정보는 포함되지 않는다.
나아가 부가 정보는, 하나의 주체가 동일한 하나의 식별이미지, 예를 들어 메인 픽셀코드를 갖되 서로 다른 부가 픽셀코드를 갖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하는 경우, 각각의 부가 픽셀코드에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주체가 복수의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 해당 주체를 나타내는 통일된 식별이미지를 유지하면서 각각의 제품에 대하여 서로 다른 서브 픽셀코드를 사용하여, 동일 주체의 서로 다른 제품에 대한 구분되는 정보를 부가 정보로서 등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저장부(101)는 하나의 주체에 대해, 하나의 식별코드와 복수의 서브 픽셀코드, 그리고 기본 정보와 부가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저장부(101)에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식별코드를 인식하는데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나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고, 그 외에 각각의 인식장치(10) 사용자의 계정에 대해 인식 이력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식별코드 인식을 위한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특징점을 추출하여 이미지를 매칭하는 특징점 알고리즘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SURF(Speed-Up Robust Feature) 알고리즘이나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알고리즘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입출력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02)는 코드 생성장치(20)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 받는 특정 주체에게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하고, 코드 생성장치(20)로부터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식별영역 내에 구성될 식별이미지를 매트릭스 형태의 셀 배열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하나의 픽셀의 색상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구성하거나, 기존의 이미지 파일이나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구성하거나, 또는 새로 그리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식별이미지의 구성 방식에 따라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접 식별이미지를 그리도록 하기 위해서는 매트릭스 형태의 셀 배열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특정 주체로 하여금 하나 하나의 픽셀의 색상을 선택하도록 하거나, 이미지 편집 도구를 제공하여 특정 주체가 직접 이미지를 그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파일이나 데이터를 선택한 후, 해당 이미지 파일이나 데이터의 특정 부분을 선택하거나 확대 또는 축소하는 방식으로 식별이미지를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입출력부(102)는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심볼코드(S)를 기본으로 제공하고, 심볼코드(S)를 기준으로 식별이미지가 배열되는 식별영역이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3)는 식별코드가 심볼코드(S)와 식별이미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아웃라인(O)이나 서브 픽셀코드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입출력부(102)는 일반 사용자들로부터 코드 인식 요청을 수신받기 위하여, 코드 인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코드 인식 인터페이스는 인식장치(10)에 포함되는 카메라 모듈을 실행하여 실시간 입력되는 영상을 화면 일측에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실제 사용자 앞에 존재하는 식별코드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나아가 입출력부(102)는 사용자들에게 인식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며,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서비스 방식에 따라 인식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특정 주체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입출력부(102)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특정 주체,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사용자가 인터랙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어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부(102)를 통해 특정 주체로부터 선택받은 식별이미지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저장부(101)에 각 주체에 대한 서로 다른 식별이미지를 포함하는 식별코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3)는 인식장치(10)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식별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주체의 정보를 인식장치(1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03)는 인식장치(10)에 의해 인식된 식별코드의 인식 이력을 관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관심을 가진 주체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지속적으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04)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04)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04)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4)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통신부(104)는 상술한 인식장치(10) 및 코드 생성장치(20)와 각각 통신하여 식별코드를 생성하거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체적인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의 식별코드 생성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식별영역에 픽셀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의 식별코드 인식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S814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코드 생성장치(20)와 통신하여 새로운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코드 생성장치(20)에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한다(S411).
이때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코드에 포함될 하나 이상의 심볼코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식별이미지가 배열될 식별영역을 표시하여 식별영역 내에 배열될 식별이미지를 구성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때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식별코드에 포함될 식별이미지의 생성 방식에 따라 달리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식별이미지가 기존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경우,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코드 생성장치(20)를 이용하여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특정 주체로 하여금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업로드 할 이미지 파일이나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이미지를 표시한 후, 특정 주체가 식별이미지에 포함될 이미지의 일부분을 선택하거나 식별영역에 배치될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어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편집 도구가 함께 제공됨으로써 특정 주체가 선택한 이미지를 편집하여 식별이미지를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특정 주체에게 그리기 도구를 제공하여 특정 주체로 하여금 스스로 이미지를 그려서 만들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크기와 모양의 각각의 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배열 내에 심볼코드가 배치된 상태로 표시하고, 특정 주체로 하여금 식별영역의 크기나 식별영역 내에 포함되는 셀의 수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식별영역 내의 각 셀에 특정 주체가 원하는 색상을 채울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미리 정해진 크기와 모양의 픽셀들을 포함하고, 각 픽셀에 채울 색상을 선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식별영역을 이루는 픽셀들 각각이 서로 구분 가능한 둘 이상의 색상 중 선택된 하나의 색상을 가짐으로써 형성되는 이미지를 식별이미지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픽셀들이 둘 이상의 색상 중 하나의 색상을 가짐으로써 형성되는 이미지를 ‘픽셀코드’라 칭하고, 특히 식별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코드를 메인 픽셀코드라고 지칭하겠다.
이어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식별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S412). 여기서 식별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이미지가 배치되는 영역으로서, 미리 설정된 크기와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그 크기와 모양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설정된 식별영역 내에 식별이미지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S413). 실시예에 따라 특정 주체가 선택한 기존의 이미지가 식별이미지를 구성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특정 주체가 그리기 도구를 이용하여 직접 그린 이미지가 식별이미지를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특정 주체가 픽셀들을 하나 하나 선택하여 구성한 이미지가 식별이미지를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도 6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형태의 셀배열을 갖는 복수의 픽셀들의 하위 레이어로서 특정 주체가 선택한 기존 이미지를 표시하여, 특정 주체로 하여금 각각의 픽셀을 선택하여 픽셀코드를 형성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 주체가 식별이미지의 구성을 완료하면, 구성된 식별이미지가 이미 등록된 다른 식별코드의 식별이미지와 중복되는 것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다(S414).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미 등록된 식별코드의 식별이미지와 S413단계에서 설정된 식별이미지가 동일하거나 유사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중복 등록을 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미 등록된 식별코드의 식별이미지에서 추출한 특징점이, S413단계에서 설정된 식별이미지의 특징점과 매칭되는지 비교하여 매칭되는 식별코드가 이미 등록된 것으로 판단되면, 코드 생성장치(20)로 식별이미지를 재설정할 것을 요구하여 새로운 식별이미지를 설정 받을 수 있다.
이때 이미 유사한 식별이미지를 포함하는 식별코드가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알고리즘은, 이후에 인식된 식별코드가 이미 등록된 식별코드 중 어떤 것인지 확인할 때 이용하는 알고리즘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한편 S414단계에서 유사한 식별이미지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코드 생성장치(20)로 식별코드에 매칭될 특정 주체의 기본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S415).
이어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S415단계에서 입력된 기본 정보를 식별이미지와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식별코드의 등록을 완료한다(S416).
여기서 기본 정보를 입력받는 S415단계는, 단순히 특정 주체의 명칭 등을 입력 받는 것에서 나아가, 등록되는 식별코드를 사용자가 인식하였을 때 제공될 서비스의 유형을 선택받고, 선택된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제공될 기본 정보를 입력 받는 과정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 주체로 하여금 새로 등록되는 식별코드의 인식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 유형을 선택받을 수 있다. ‘콘텐트 링크’ 유형을 선택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코드 생성장치(20)로부터 인식장치(10)가 식별코드를 인식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제공될 콘텐트를 기본 정보로서 수신하거나 또는 콘텐트나 웹페이지의 연결을 위한 URL정보를 기본 정보로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특정 주체가 ‘연락처 저장’ 유형을 선택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코드 생성장치(20)로부터 인식장치(10)에 저장될 연락처 정보를 기본 정보로 입력 받을 수 있다.
나아가 특정 주체가 ‘후기 공유’ 유형을 선택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후기를 작성할 대상이 되는 특정 주체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본 정보로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특정 주체가 식별코드에 대응할 서비스 유형으로서 ‘메시지 송수신’ 유형을 선택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인식장치(10)가 타 단말과 공유할 메시지에 포함될 특정 주체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기본 정보로서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서비스 유형이 이미 결정되어 있는 경우, 별도로 서비스 유형을 선택 받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네 가지 유형의 서비스를 모두 포함하는 한 가지의 서비스 유형만으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즉 하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였을 때, 네 가지 서비스가 모두 제공되는 경우에는 이처럼 서비스 유형을 선택 받고, 서비스 유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기억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식별코드을 새로 생성하여 등록함에 있어서, 식별코드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결정하여 카테고리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주체의 서비스 내용, 또는 해당 주체가 속하는 영업상의 분류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식별코드의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위해, S415단계에서 해당 주체로 하여금 카테고리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S415단계에서 입력된 기본 정보를 분석하여, 식별코드의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다.
나아가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실시예에 따라, 식별코드 내에 카테고리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카테고리식별코드를 삽입하여 식별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카테고리식별코드는, 식별코드 내의 심볼코드, 아웃라인 등에 위치하거나 또는 식별이미지나 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인식장치(10)와 통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식장치(10)에서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811).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우선 심볼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S812).
이어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하나의 심볼코드의 크기와 배열 방향에 따라, 또는 둘 이상의 심볼코드가 협력하여 구성하는 영역에 따라, 식별코드의 식별영역에 대응하는 인식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식영역에 포함된 이미지를 식별이미지에 대응하는 인식대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S813).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식영역 내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매칭되는 식별코드를 검색할 수 있다(S814).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우선 식별코드 내에서 카테고리식별코드를 추출하여, 해당 식별코드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구분할 수 있다(S911).
이어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식별코드 내의 식별이미지에서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S913).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예를 들어 SURF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식별이미지의 픽셀 밝기값을 누적하여 적분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적분영상을 생성한 후 헤시안(Hessian) 검출기를 이용하여 특징점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박스필터를 이용하여 헤시안 행렬식의 근사 행렬식을 산출한 후, 특정 픽셀에 대응하는 행렬식이 임계값보다 크면, 다시 인접한 8개의 픽셀의 행렬식과 비교하여 가장 크다고 판단되면 해당 픽셀을 특징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징점이 추출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징점의 디스크립터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URF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징점이 검출되면, 특징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 안의 픽셀들에 대해 수직, 수평 방향으로 Haar Wavelet Response를 획득한다. 그리고 이미지를 일정 간격의 각도에 따라 회전시키면서, 60도 화면 내의 벡터 크기를 더하여 가장 큰 크기를 갖는 방향을 각 특징점의 주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주 “‡향이 결정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디스크립터(descriptor)를 생성한다. 여기서 디스크립터는 특징점 주변의 일정 영역 내의 이웃 픽셀들의 밝기 변화를 나타낸다. 이어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 방향과 스케일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점을 중심으로 일정 크기의 화면을 설정하고, 이를 4x4의 총 16개 영역으로 구분한 후, 각 영역당 4개의 디스크립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S911단계에서 식별된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식별코드들과, 인식 대상이 되는 식별이미지 사이의 특징점을 매칭할 수 있다(S917).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S915단계에서 추출된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특징점을 매칭하고, 그에 따라 서로 특징점이 매칭되는 식별코드들을 검색 결과로서 추출할 수 있다(S919).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멀티스레딩(multithreading)을 이용하여 동시 다발적으로 복수의 등록된 식별코드들과 식별 이미지 간의 매칭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둘 이상의 실행 스레드를 이용하여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식별코드들과 식별이미지를 동시에 비교하여, 매칭되는 식별코드를 보다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이어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식된 특징점과 매칭되는 식별코드가 검색되면(S815), 인식장치(10)가 인식한 식별코드가 검색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저장부(101)에서 검색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기본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S816).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설정된 서비스 유형에 대한 정보도 함께 추출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기본 정보를 인식장치(1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817).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기 설정된 서비스 유형이 ‘콘텐트 링크’ 유형인 경우, 기본 정보로 등록된 콘텐트를 직접 인식장치(10)로 제공하거나, 또는 해당 콘텐트에 접근하기 위한 하이퍼링크 객체를 인식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서비스 유형이 ‘연락처 저장’인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식장치(10)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연락처 목록에 기본 정보로 등록된 특정 주체의 연락처 정보를 포함시키거나, 인식장치(1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연락처 목록에 특정 주체의 연락처 정보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기 설정된 서비스 유형이 ‘후기 공유’인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식장치(10)로 특정 주체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기본 정보로서 제공하면서, 사용자가 후기를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하는 후기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타 사용자들의 후기 콘텐트를 인식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서비스 유형이 ‘메시지 송수신’인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식장치(10)로 사용자가 타 사용자를 특정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주체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기본 정보로서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식별코드의 식별영역 내에 식별이미지로서 픽셀코드가 포함되고, 선택적으로 서브 픽셀코드가 식별코드에 포함되도록 하여 특정 주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픽셀코드를 이용한 식별코드 생성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픽셀코드를 이용한 식별코드 인식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의 서브 픽셀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픽셀코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크기와 모양의 각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도록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각 픽셀의 색상을 미리 정해진 복수의 서로 다른 색상 중 하나로 선택함으로써 픽셀들이 전체적으로 이루는 이미지를 지시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 12에서 심볼코드(S1, S2)와 아웃라인(O)에 의해 그 범위가 결정되는 식별영역(A) 내에 포함된 각 픽셀 중 일부 픽셀들의 색상이 검정색이나 빨간색으로 선택됨으로써, ‘iSquare’라는 문자열의 이미지가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식별영역(A) 내에서 식별이미지를 구성하는 부분을 메인 픽셀코드라 한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식별코드는 아웃라인(O)과, 아웃라인(O)상에 구성되는 서브 픽셀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라인(O)을 구성하는 복수의 미리 정해진 크기와 모양의 픽셀들 중 일부가 아웃라인(O)의 전체적인 색상과는 다른 색상으로 구성됨으로써 아웃라인(O) 상에 나타나는 픽셀들의 패턴을 이하에서 ‘서브 픽셀코드’라 한다. 이때 서브 픽셀코드는 메인 픽셀코드에 종속되는 코드로서, 예를 들어 동일한 주체가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수가 여럿일 때, 각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분하여 나타내는 식별코드가 통일된 하나의 식별이미지, 예를 들어 메인 픽셀코드를 가지면서, 개개의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로서 서브 픽셀코드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때 아웃라인(O)의 특정 위치에 포함되는 픽셀코드는 카테고리식별코드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 주체의 코드 생성장치(20)로부터 서브 픽셀코드의 생성 요청을 받아, 동일한 하나의 식별이미지를 갖는 식별코드에 대해 하나 이상의 서브 픽셀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각 서브 픽셀코드에 대응하여 저장할 부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각 서브 픽셀코드에 대하여 연관하여 부가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다만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할 실시예의 식별코드는 식별이미지로서 메인 픽셀코드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서브 픽셀코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서브 픽셀코드는 반드시 식별이미지가 픽셀코드로 구성되는 경우에만 식별코드에 종속적으로 포함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도 3의 실시예(4)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기존 이미지를 이용하여 식별이미지를 구성한 경우에도 서브 픽셀코드가 식별코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매트릭스 형태의 셀배열을 갖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코드 생성장치(20)로 제공할 수 있다(S1011).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러한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심볼코드(S)와 식별영역(A)을 나타내어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특정 주체로 하여금 식별이미지가 배치될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 주체가 식별영역(A)의 범위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S1013). 예를 들어 이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주체는 심볼코드(S)에 대한 식별영역(A)의 상대적 크기나, 식별영역(A) 내에 포함될 픽셀들의 수, 식별영역(A)의 가로 및 세로의 비율 등을 달리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특정 주체가 기설정된 식별영역의 범위를 조절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식별코드 내에 심볼코드(S)가 하나만 구성되는 경우에는 추후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하나의 심볼코드(S)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범위를 인식영역으로 하여 코드를 인식해야 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특정 주체가 아닌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미리 설정한 바에 따라 식별영역의 범위가 확정될 수 있다.
이어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설정된 식별영역의 범위 내에 포함된 픽셀들을 이용하여 메인 픽셀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1015). 즉 S1015단계에서 특정 주체는 코드 생성장치(20)에 주어진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식별영역 내의 각 픽셀 중 일부의 색상을 미리 정해진 색상 중 하나로 변경하는 입력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메인 픽셀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 주체가 메인 픽셀코드의 생성을 완료하면 동일하거나 유사한 메인 픽셀코드가 이미 등록된 다른 식별코드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1017).
만약 S1017단계에서 이미 동일하거나 유사한 메인 픽셀코드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코드 생성장치(20)로 이를 통지하고, 메인 픽셀코드를 수정하거나 다시 그리도록 할 수 있다(S1019).
S1017단계에서 이미 등록된 식별코드 중 동일하거나 유사한 메인 픽셀코드를 포함하는 것이 없다고 판단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코드 생성장치(20)로부터 기본 정보를 입력받아(S1021), S1015단계에서 생성된 메인 픽셀코드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S1023). 이로서 특정 주체의 식별코드가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등록된다.
물론 이때 기본 정보를 입력받고 메인 픽셀코드와 매칭함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코드 생성장치(20)로부터 서비스 유형을 선택받고, 그에 맞는 기본 정보를 입력받아 메인 픽셀코드에 매칭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코드 생성장치(20)로부터 서브 픽셀코드 생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292).
이러한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아웃라인(O)상에 일부 픽셀을 아웃라인(O)을 이루는 픽셀들에 대해 기본 설정된 색상과는 다른 색상으로 변경함으로써 특정 패턴을 생성함으로써 서브 픽셀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1031). 그리고 이어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코드 생성장치(20)로부터 서브 픽셀코드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입력 받고(S1033), 부가 정보를 서브 픽셀코드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S1035).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서브 픽셀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S1031단계 내지 S1035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동일 주체에 대하여 동일한 메인 픽셀코드를 식별이미지로 갖되 서로 다른 서브 픽셀코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S1033단계에서 부가 정보를 입력할 때에도 부가 정보가 제공될 서비스의 유형을 선택받을 수 있고, 코드 생성장치(20)로부터 선택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특정 주체는, 메인 픽셀코드에 대응하는 기본 정보로서, 특정 주체의 성격이나 특징을 나타내는 콘텐트가 등록되도록 하고, 각각의 서브 픽셀코드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로서는 해당 주체가 판매하는 각각의 상품을 소개하는 콘텐트가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 브랜드가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특정 주체에 해당하는 경우, 기본 정보로서는 브랜드 이미지 광고를 등록하고, 부가 정보로서는 각 상품의 상품정보와 구매페이지 URL을 등록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된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식장치(10)가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1111).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심볼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S1113).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심볼코드의 인식에 의하여 이미지 데이터에서 인식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S1115). 여기서 인식영역은 실제 식별코드의 식별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식별코드를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에서 식별영역으로 추정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식영역 내의 이미지, 즉 식별이미지로 추정되는 부분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1115).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식영역 내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와 매칭되는 메인 픽셀코드가 검색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S1117).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식영역 내의 이미지에서 복수의 특징점을 추출한 후, 복수의 특징점의 상대적인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 등록된 메인 픽셀코드들 중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대적인 좌표 구조를 갖는 메인 픽셀코드가 존재하는지 검색할 수 있다.
S1117단계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메인 픽셀코드가 검색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메인 픽셀코드에 대해 서브 픽셀코드가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S1121).
해당 메인 픽셀코드에 대해 서브 픽셀코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된 메인 픽셀코드에 대응하여 저장된 기본 정보를 인식장치(10)로 제공한다(S1123).
한편 S1121단계에서, 검색된 메인 픽셀코드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코드가 검색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아웃라인에 대응하는 영역을 검출하고, 해당 영역을 분석하여 서브 픽셀코드를 독출할 수 있다(S1125).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독출된 서브 픽셀코드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된 부가 정보를 추출하여, 인식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S1127).
한편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심볼코드와 아웃라인, 그리고 식별이미지를 포함하는 코드영역 전체를 인식영역으로 하여 특징점을 추출한 후, 메인 픽셀코드와 서브 픽셀코드가 조합된 이미지 전체로서 등록된 식별코드의 이미지와 비교하여 인식장치(10)에 제공될 기본 정보나 부가 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실시예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메인 픽셀코드에 하나 이상의 서브 픽셀코드와 부가 정보를 종속적으로 저장한 후, 식별코드를 인식할 때에도 메인 픽셀코드를 우선적으로 인식한 후 서브 픽셀코드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기본 정보나 부가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다른 실시예로서, 메인 픽셀코드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서브 픽셀코드와 부가 정보가 등록되는 경우, 기본 정보에 매칭되는 메인 픽셀코드만을 포함하는 식별코드와, 메인 픽셀코드와 각각의 서브 픽셀코드가 조합된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를 각각 구분하여 독립된 식별코드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메인 픽셀코드와 각 서브 픽셀코드가 조합된 식별코드 각각에는 서브 픽셀코드에 대응하여 등록된 부가 정보가 매칭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식별코드 전체의 이미지에서 특징점을 추출한 결과를, 인식장치(10)가 촬영한 이미지에서 추출된 특징점의 좌표 구조와 비교하여 기본 정보나 부가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인식장치(10)로 코드 인식 이력을 제공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4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코드 인식 이력을 나타내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식장치(10)가 특정 사용자의 계정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근한 경우, 해당 사용자로부터 코드 인식 이력 조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311). 물론 여기서 코드 인식 이력 조회 요청은 단순히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계정에 접근하는 행위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코드 인식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식별코드가 인식될 때마다(S1319), 인식된 식별코드에 대한 기본 정보나 부가 정보를 미리 지정된 서비스 유형에 따라 인식장치(10)로 제공한 후(S1321), 인식된 식별코드의 기본 정보나 부가 정보를 인식 이력에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S1323).
이때 S1323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식별코드가 인식된 시간, 식별코드가 인식된 때의 인식장치(10)의 위치정보 등을 부가적으로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코드 인식 이력을 인식장치(10)에 제공함에 있어서, 인식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이미지나 텍스트 등의 콘텐트를 나열하여 제공할 수 있다(S1313).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식된 식별코드의 이미지들을 코드 인식 이력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식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목록을 이하에서는 ‘코드 리스트’로 표현한다. 코드 리스트에 포함되는 콘텐트는 인식장치(10)에 의해 인식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이미지나 텍스트, 동영상 등으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도 14에 예시된 것처럼 식별코드 자체의 이미지일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코드 리스트에 포함되는 콘텐트는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특정 주체의 출처를 나타내는 이미지나 사진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코드 리스트에 포함되는 각각의 콘텐트를 각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대표 콘텐트’라고 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복수의 식별코드의 대표 콘텐트를 배열할 수 있는데,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식별코드가 인식된 시간 순으로 식별코드의 대표 콘텐트를 배열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식별코드가 여러 번 인식된 경우, 해당 식별코드가 가장 최근에 인식된 시간을 기준으로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대표 콘텐트를 한번만 코드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도 있고, 인식된 횟수만큼 인식된 시간에 따라 코드 리스트에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인식 시간이 아닌 다른 기준에 의거하여 식별코드의 대표 콘텐트를 배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식별코드와 관련된 장소나 위치에 따라 코드 인식 이력에 포함될 각 식별코드의 대표 콘텐트를 배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식장치(10)를 이용하여 식별코드를 인식할 때, 인식장치(10)에 의해 연산된 인식장치(10)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코드 인식 이력에 포함될 각 식별코드의 위치정보를 기록한 이후에,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식장치(10)가 코드 인식 이력을 조회할 때의 인식장치(10)의 위치를 기준으로 각 식별코드에 대하여 기록된 위치정보가 가까운 순서로 식별코드의 대표 콘텐트를 배열할 수도 있다.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각 식별코드에 대해 등록된 기본 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인식장치(10)의 현재 위치와 비교하여 기본 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가 가까운 순으로 식별코드의 대표 콘텐트를 배열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코드 인식 이력에서 하나의 식별코드나 그에 대응하는 하나의 대표 콘텐트를 선택한 경우(S1315), 선택된 대표 콘텐트에 대응하는 식별코드에 대하여 지정된 서비스 유형에 따라 기본 정보를 인식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S1317). 이때 선택된 대표 콘텐트에 대응하는 식별코드에 서브 픽셀코드가 포함된 경우에는 부가 정보가 인식장치(10)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코드 인식 이력에 포함된 식별코드나 그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가 삭제하거나, 수정하거나, 또는 즐겨찾기 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인식장치(10)의 사용자의 코드 인식 이력을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식별코드를 인식함으로써 관심을 표현한 대상에 대한 정보를 단순히 일회적으로 열람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난 이후에도 다시 열람하거나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인식한 식별코드의 기본 정보나 부가 정보에 미래에 도래하는 시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시점이 임박하였을 때 인식장치(10)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코드 인식 이력에 기록된 식별코드가 개봉 예정인 영화에 대한 것이고, 식별코드의 기본 정보로서 영화의 개봉일이 포함된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개봉일이 임박하였을 때 인식장치(10)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확인한 영화의 개봉이 임박하였음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코드 인식 이력에 기록된 식별코드가 특정한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인식장치(10)의 현재 위치가 해당 사용자의 코드 인식 이력에 포함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근접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식장치(10)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식장치(10)를 이용하여 특정 커피숍의 식별코드를 인식한 경우,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기본 정보에는 해당 커피숍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인식장치(10)가 해당 커피숍에 인접하였을 때, 인식장치(10)로 사용자가 과거에 방문하였던 커피숍에 가까이 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일부 식별코드의 기본정보에는 복수의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코드 인식 이력에 기록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위치정보가 복수인 경우, 인식장치(10)의 현재 위치가 복수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장소 중 어느 하나에만 근접하더라도 인식장치(10)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프랜차이즈 커피숍의 서울역점에서 해당 커피숍 브랜드의 식별코드를 인식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코드 인식 이력에 해당 커피숍 브랜드가 기록된 이후에, 사용자의 인식장치(10)의 현재 위치가 해당 커피숍의 부산점 주변에 접근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인식장치(10)로 사용자가 해당 커피숍의 부산점에 근접해있음을 알리는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 식별코드에 복수의 서로 다른 위치정보가 매칭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위치 중 하나에만 사용자가 근접하더라도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순으로 코드 리스트를 정렬하여 제공할 때에도, 사용자의 코드 인식 이력에 포함된 식별코드에 매칭된 위치정보가 복수인 경우,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를 중심으로 각 식별코드의 대표 콘텐트를 배열할 수 있다.
한편 도 15를 참조하여, 인식장치(10)와 서비스 제공 서버(30), 그리고 코드 생성장치(20)가 포함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 내에서, 각 장치 사이에서 식별코드를 등록하고, 인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식별코드를 생성하고자 하는 주체는 코드 생성장치(20)를 통해 식별이미지를 선택하고, 식별코드에 매칭될 기본 정보를 입력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로 전달할 수 있다(S1511). 그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새로운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S1512).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선택된 식별이미지가 이미 등록된 식별코드와 유사한지 여부를 판별하고, 유사한 식별이미지를 배제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식별코드에 식별자를 부여하고, 해당 식별자에 연관하여 식별코드의 이미지와, 기본 정보, 식별코드를 생성한 주체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식별코드의 카테고리를 구분하고, 식별코드를 생성할 때 코드 일측에 카테고리식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카테고리식별정보는 상술한 픽셀코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생성된 식별코드에 대하여 등록 완료 메시지를 코드 생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고(S1513), 이에 따라 코드 생성장치(20)는 메시지를 해당 주체에게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S1514).
한편, 사용자는 인식장치(1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와 통신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인식장치(10)와 서비스 제공 서버(30)가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S1515).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해당 인식장치(10)가 마지막으로 식별코드를 로드한 시점 이후에 새로 등록된 식별코드들을 로딩되도록 할 수 있다(S1516).
그에 따라 인식장치(10)에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등록된 복수의 식별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S1517). 이때 인식장치(10)로 로드되는 복수의 식별코드들은 식별자와 연관된 상태로 로드될 수 있다.
이어서 인식장치(10)를 통해 사용자가 코드 인식 인터페이스가 실행되도록 하고, 임의의 식별코드를 촬영하여 촬영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코드 인식 요청이 발생하면(S1518), 인식장치(10)는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심볼코드를 확인하여 인식영역을 구분한 후, 인식영역 내의 이미지에 매칭되는 식별코드를 검색할 수 있다(S1519). 이때 S1519단계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인식영역 내의 이미지에 매칭되는 식별코드가 검색되면, 인식장치(10)는 검색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서비스 제공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S1520).
그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식별자에 대응하는 식별코드의 기본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주체의 명칭과, 전화번호를 기본정보로서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추출된 기본정보를 인식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S1522).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미리 설정된 서비스 유형에 대한 정보를 함께 인식장치(10)로 전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인식장치(10)는 수신된 기본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미리 설정된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주체의 명칭과 전화번호가 인식장치(10)에 저장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생성되는 식별코드는,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영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 주체로 하여금 자신을 나타내는 식별코드를 자유롭게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가시적으로 누구의 식별코드인지 인식하기 용이한 이미지를 식별코드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코드 인식 이력을 관리함으로써,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가 일회성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 도 8 내지 도 11, 도 13, 도 1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4, 도 8 내지 도 11, 도 13, 도 1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 도 8 내지 도 11, 도 13, 도 1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Claims (25)

  1. 특정 주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광학적으로 인식되는 고유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로 구성되는 식별코드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를 촬영하여 획득된 이미지 내에 포함된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도록, 미리 설정된 규격을 갖는 심볼코드;
    상기 심볼코드의 배열 위치와 배열 방향에 따라 상대적인 크기 및 모양으로 결정되는 식별영역 내에 포함되는 이미지로서, 다른 주체를 나타내기 위한 다른 식별코드의 식별영역 내에 포함되는 이미지와는 구분되는 고유한 이미지를 갖도록 구성되어 특정 주체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식별이미지를 포함하는 식별코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이미지는,
    상기 특정 주체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로 구성되는, 식별코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이미지는,
    상기 식별영역을 이루며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미리 정해진 크기와 모양의 픽셀들 각각이, 서로 구분 가능한 둘 이상의 색상 중 선택된 하나의 색상을 가짐으로써 형성되는 이미지인 메인 픽셀코드를 포함하여 식별코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픽셀코드는,
    상기 식별영역을 이루는 복수의 픽셀들 각각에 주어지는 색상을 상기 특정 주체로부터 선택받음으로써 생성되는, 식별코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식별영역의 주변에서 상기 식별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식별코드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아웃라인과,
    상기 아웃라인 상에 배열되고 미리 정해진 모양과 크기를 갖는 복수의 픽셀들 중 일부가, 상기 아웃라인이 갖는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을 가짐으로써 형성되는 이미지로서, 상기 메인 픽셀코드에 의해 식별되는 특정 주체에 종속되는 하나 이상의 하위의 객체를 구분하여 식별 가능하게 하는 서브 픽셀코드를 더 포함하는, 식별코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식별코드에 부여되는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카테고리식별코드를 더 포함하는, 식별코드.
  7.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새로운 식별코드의 생성을 요청한 특정 주체로, 상기 식별코드의 생성을 위한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주체로부터 상기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미리 설정된 심볼코드의 배열 위치와 배열 방향에 따라 상대적인 크기와 모양으로 결정되는 식별영역 내에 포함될 식별이미지를 선택받는 입출력부;
    상기 식별이미지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성되는 식별코드를 상기 특정 주체에 연관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 상기 심볼코드의 배열 위치와 배열 방향에 따라 상기 식별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식별영역 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미리 정해진 크기와 모양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특정 주체로 제공하며, 상기 특정 주체로부터 복수의 픽셀들 각각에 주어질 색상을 선택받아 형성되는 메인 픽셀코드를 상기 식별이미지로서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주체로부터 상기 식별이미지를 구성할 이미지 파일을 선택받고, 상기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이미지를 구성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주체로부터 상기 특정 주체의 기본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식별이미지가 상기 기본 정보와 매칭되도록 하며, 상기 특정 주체로부터 상기 식별코드의 상기 식별이미지에 의해 호출될 서비스 방식을 설정받는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주체로부터 상기 특정 주체의 식별코드에 대한 서브 픽셀코드의 생성을 요청 받으면, 상기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식별코드의 상기 식별영역의 주변에서 상기 식별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식별코드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아웃라인에 배열되는 픽셀들 중 일부를 상기 아웃라인이 갖는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변환하여 하나 이상의 서브 픽셀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특정 주체로부터 하나 이상의 서브 픽셀코드 각각에 매칭될 부가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식별코드에 대하여, 생성된 서브 픽셀코드 각각에 부가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코드를 생성할 때, 상기 저장부에 상기 식별코드의 메인 픽셀코드와 동일한 픽셀 배열을 갖는 다른 식별코드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특정 주체로 상기 식별영역의 픽셀 배열을 달리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코드를 촬영하여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한 코드 인식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서 상기 심볼코드의 위치와 배열을 확인하여 상기 식별영역에 대응하는 인식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인식영역 내의 이미지에 매칭되는 식별이미지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검색하며, 검색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특정 출처의 기본 정보를 미리 설정된 서비스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 제공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영역 내의 이미지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식별코드 중에서 특징점이 매칭되는 식별코드를 검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에서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식별코드 중에서 추출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만을 검색 대상으로 하여, 특징점이 매칭되는 식별코드를 검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대해 인식된 식별코드의 인식 이력을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고,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식별코드의 인식 이력에 기초한 코드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 이력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인식된 식별코드와, 해당 식별코드가 인식된 시간 및 위치를 포함시켜 기록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게로 상기 코드 리스트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인식 이력에 기초하여, 인식 시간이 최근인 식별코드 순으로 또는 현재 위치에 가까운 위치에서 인식된 식별코드 순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인식된 식별코드를 나열하여 상기 사용자에게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코드 리스트에 포함된 식별코드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저장된 특정 주체의 기본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로 제공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9.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고,
    특정 주체로부터 새로운 식별코드의 생성이 요청되면, 상기 특정 주체로 미리 설정된 심볼코드가 배열되고, 상기 심볼코드의 배열 위치와 방향에 따라 상대적인 크기와 모양으로 결정되는 식별영역이 포함되는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특정 주체로부터 상기 식별영역에 포함될 식별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식별이미지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주체로부터 상기 식별코드에 매칭될 상기 특정 주체의 기본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기본 정보를 상기 식별이미지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코드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기 식별영역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미리 정해진 크가와 모양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특정 주체로부터 복수의 픽셀들 각각에 주어질 색상을 선택 받아 형성되는 메인 픽셀코드를 상기 식별이미지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임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코드를 촬영하여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한 코드 인식 요청이 발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서 상기 심볼코드의 위치와 배열을 확인하여 상기 식별코드의 식별영역에 대응하는 인식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인식영역 내의 이미지에 매칭되는 식별이미지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식별코드에 매칭된 기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대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인식된 식별코드의 인식 이력을 기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식별코드의 인식 이력에 기초한 코드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에게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4. 제19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5.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19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16659A 2020-02-05 2021-02-05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1000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13969 2020-02-05
KR1020200013969 2020-0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034A true KR20210100034A (ko) 2021-08-13

Family

ID=7720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659A KR20210100034A (ko) 2020-02-05 2021-02-05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00034A (ko)
WO (1) WO202115806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5842A (ko) * 2010-12-13 2012-06-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별 코드가 포함된 이차원 코드와, 이를 생성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24125A (ko) * 2011-05-03 2012-11-13 이아람 이미지코드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JP6201706B2 (ja) * 2013-11-19 2017-09-27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情報コード利用システム
US9898657B2 (en) * 2014-10-30 2018-02-20 Ming Cui Four-dimensional code, image identification system and image identification method based on the four-dimensional code, and retrieval system and retrieval method
CN106656908B (zh) * 2015-10-28 2020-02-2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二维码处理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58063A1 (ko)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7018B2 (en) Systems and methods of building and using an image catalog
US10262356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including data migration among computing platforms, e.g. through use of steganographic screen encoding
CN103369049B (zh) 移动终端和服务器交互方法及其系统
JP6294018B2 (ja) イメージ分析によるイメージ自動編集装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1402549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information based on an image
KR102222087B1 (ko) 증강 현실에 기초한 이미지 인식 방법 및 장치
TWI627540B (zh) 雲端字形服務系統
US20140324823A1 (en) Image selection using automatically generated semantic metadata
KR101907029B1 (ko) 서식 자동화를 위한 테이블 생성 장치 및 방법
US201302546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to media content
US20190197133A1 (en) Shape-based graphics search
JP2013109773A (ja) 特徴マッチング方法及び商品認識システム
US20230185440A1 (en) Synthetic image data generation using auto-detected image parameters
EP3486796A1 (en) Search method and device
WO2015074405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obtaining card information
US201302546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to media content
KR102108459B1 (ko) 상품의 최저가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100034A (ko) 식별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52622B1 (ko) 로컬 색차 기반으로 이미지를 검색하는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TW201606539A (zh) 搜索方法與裝置
TWM565376U (zh) 數位內容的整合瀏覽服務系統
US202300444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products
WO2021098310A1 (zh) 视频生成方法、装置、终端以及存储介质
JP2021140831A (ja) 帳票画像処理システム、帳票画像処理方法、および帳票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20170081348A (ko) 영상 빅 데이터의 지능적 마이닝 방법과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