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809A - Tumbler - Google Patents
Tumb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99809A KR20210099809A KR1020200013624A KR20200013624A KR20210099809A KR 20210099809 A KR20210099809 A KR 20210099809A KR 1020200013624 A KR1020200013624 A KR 1020200013624A KR 20200013624 A KR20200013624 A KR 20200013624A KR 20210099809 A KR20210099809 A KR 202100998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cuum
- tumbler
- inner container
- outer container
- contai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7666 vacuum fo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65D81/38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용기와 내부용기 사이의 이격공간을 진공층으로 형성함으로써 구조가 간결 단순하고, 필요시 간편하게 내부용기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mb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umbler that has a simple and simple structure by forming a space betwee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with a vacuum layer, and can be used by simply replacing the inner container when necessary.
일반적으로, 음료를 담는 용도로 사용되는 컵은 합성수지, 금속, 도기 등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비교적 무겁고 사용 후에 세척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휴대성이 떨어지므로 근래에 대체품으로 일회용 컵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cups used for holding beverages are made of synthetic resin, metal, ceramics, etc., and are relatively heavy and require washing after use as well as poor portability, so disposable cups are widely used as replacements in recent years.
일회용 컵은 사용, 휴대 및 취급이 편리하지만 테이크아웃 커피점 증가 등으로 무분별하게 사용됨에 따라 환경오염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Disposable cups are convenient to use, carry, and handle, but as they are used indiscriminately due to the increase in takeout coffee shops, it causes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이러한 문제를 경감하기 위해 테이크아웃 커피점,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텀블러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In order to alleviate these problems, the use of tumblers in takeaway coffee shops, homes and offices is increasing.
텀블러는 큰 잔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커피 등의 음료수를 담아 보관하면서 음용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대부분 뚜껑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컵이나 일회용 용기에 비하여 보온성이나 휴대성이 우수하여 뜨거운 음료나 차가운 음료를 담는 용기로 많이 사용된다.A tumbler means a large cup, and it is mainly used for storing beverages such as coffee and drinking. It is often used as a container for
하지만, 텀블러는 내부에 음용을 위한 음료수가 수용되기 때문에 그 세척이 매우 중요하지만, 일반적인 컵보다 구조가 복잡하고 별도의 마개커버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세척하기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umbler is very important to wash because beverages for drinking are accommodated therein. However, it has a more complicated structure than a general cup and is very inconvenient to wash because it has a separate stopper cover.
그리고, 텀블러는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용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용기, 및 상부를 밀폐하는 마개부재로 구성된 것으로, 내부용기는 장기간 사용시 수용되는 음료 성분에 따른 산화, 세척에 따른 마모나 손상 등으로 교체가 필요하지만 내부용기와 외부용기가 용접 등으로 일체화 되어 있어서 교체가 불가능하므로 전체를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And, the tumbler is composed of an outer container disposed outside, an inner container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outer container, and a stopper member that closes the upper part, and the inner container is oxidized according to the beverage components accommodated during long-term use, abrasion due to washing, or It needs to be replaced due to damage, etc., but since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are integrated by welding, etc., they cannot be replaced,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hole must be discarded.
또한, 외부용기와 내부용기는 보온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각각 진공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텀블러의 전체적인 두께가 지나치게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tumbler is excessively increased because a vacuum layer is respectively formed in order to maintain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아울러, 외부용기와 내부용기는 각각 진공층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교적 원자재 소요량의 증가에 따른 제조원가가 상승으로 소비자의 비용부담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each have to form a vacuum layer,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manufacturing is difficult,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st burden of consumers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due to the relatively increase in the amount of raw material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외부용기에 삽입된 내부용기의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부용기와 내부용기 사이에 진공층을 형성함으로써 구조가 간결 단순하고 부피와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텀블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above, and it is easy to separate the inner container inserted into the outer container, and by forming a vacuum layer betwee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volume and weight can be minimiz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umbler that is designed to be u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는 텀블러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부용기; 및 상기 외부용기 내면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마련되도록 삽입되는 내부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용기에 설치되고, 상기 이격공간을 진공층으로 변환하기 위한 부압 인가 시 개방되고 부압의 미인가 시 밀폐되도록 구성된 진공형성용 밸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umbler, comprising: an outer container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on; and an inner container inserted to provide a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installed in the outer container, opened when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convert the separation space into a vacuum layer, and closed when negative pressure is not appli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alve device for forming a vacuum configured to be so.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는 상기 내부용기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마개부재; 상기 외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상측 접속부위에 상기 진공층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기밀부재; 및 상기 내부용기의 결속 및 해제를 위해 상기 외부용기 및 상기 내부용기에 형성되는 결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the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pper member installed to seal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Airtight member installed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vacuum layer in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and binding means formed o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for binding and releasing the inner container.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제1 결속돌출부, 및 상기 내부용기의 하부에 돌출되고 상기 제1 결속돌출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제2 결속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inding means includes: a first bind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and having a male screw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may be composed of
상기 제1 결속돌출부는 중앙에 관통되는 로드삽입공 및 상기 로드삽입공의 둘레에 관통되는 복수의 진공형성공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binding protrusion may include a rod insertion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vacuum forming holes penetrating around the rod insertion hole.
한편, 상기 진공형성용 밸브장치는 상기 이격공간의 밀폐동작과 개방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결속돌출부에 설치되는 밸브체, 상기 밸브체에 설치되고 상기 밀폐동작이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alve device for forming a vacuum is a valve body installed in the first binding protrusion to perform a closing operation and an opening operation of the separation space, an elastic member installed in the valve body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aintain the closing operation may include.
상기 밸브체는 상기 로드삽입공에 삽입되는 로드부, 상기 진공형성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로드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개폐부 및 상기 로드부의 상측에 접속되는 탄성부재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valve body may include a rod part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on hole, an opening and closing part formed below the rod part to open and close the vacuum forming hole, and an elastic member engaging part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rod part.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로드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걸림부 하부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may consist of a compression coil spring inserted into the rod portion and elastically installed under the elastic member engaging portion.
상기 제2 결속돌출부는 상기 내부용기의 저부에 상기 밸브체의 상승을 위한 상승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제1 결속돌출부의 돌출높이보다 높은 치수로 돌출되고 상기 상승공간과 상기 이격공간 사이에 연통되게 연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inding protrusion protrudes to a dimension higher than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first binding protrusion so as to secure a rising space for lifting the valve body at the bottom of the inner container and communicates between the rising space and the separation space. A ball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제1 결속돌출부와 대응하는 상기 외부용기의 저면에는 상기 이격공간에 부압을 작용시키기 위한 부압작용부가 삽입되도록 접속홈부가 요입,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nection groove may be recessed and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binding protrusion so that a negative pressure acting portion for applying a negative pressure to the spaced space is inserted.
아울러, 상기 개폐부는 회전 시에 상기 진공형성공과 연통되면서 진공 해제동작이 가능하도록 진공해제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clos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 vacuum release unit to enable a vacuum release operation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vacuum forming hole during rotation.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에 의하면,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에 각각 진공층이 형성된 구조가 아니라 진공형성용 밸브장치를 이용하여 외부용기와 내부용기 사이의 이격공간을 진공층으로 형성함으로써 구조가 간결 단순하고 부피와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s simple and simple by forming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as a vacuum layer by using a valve device for vacuum formation, rather than a structure in which a vacuum layer is formed i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volume and weight, as well as to significant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에 의하면, 외부용기에 삽입된 내부용기의 분리가 용이하므로 내부용기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산화, 마모, 손상 등이 발생되더라도 텀블러 전체를 폐기하지 않고 내부용기만을 손쉽게 교체하여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비용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환경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nd, according to the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easy to separate the inner container inserted into the outer container, even if oxidation, abrasion, damage, etc. occur due to long-term use of the inner container, it is easy to replace only the inner container without discarding the entire tumbler. Since it can be reused repeatedly,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cost burden on consumers and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도3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main part of FIG. 3;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1 내지 도6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한편, 각각의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이 텀블러에 특징을 갖는 것이므로 이와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간략화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each draw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general technology, and the action and effect thereof will be simplified or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aracteristic of the tumbler, it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mainly related parts, and the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parts will be simplified or omitted.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도3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main part of FIG. 3 .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는 구조가 간결, 단순화 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내부용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외부용기(1), 내부용기(2), 마개부재(3) 및 진공형성용 밸브장치(4)가 구비되어 있다.1 to 4, the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cise and simplified structure,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inner container can be easily separated as needed. The outer container (1), the inner container (2) , a
외부용기(1)는 텀블러의 외관을 형성하는 통 형상의 구성요소로서 내부용기(2)가 수용될 수 있는 형태라면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광하협(上廣下狹) 구조를 갖는 원통 형상의 외부용기몸체(11)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The
내부용기(2)는 외부용기(1)에 삽입되고 내부 수용공간에 음료가 담겨지는 통 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외부용기(1)에 삽입된 상태에서 내면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container (2) is inserted into the outer container (1) and is a cylindrical component in which a beverage is contained in the inner receiving space, and is formed so as to provide a spaced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inner container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outer container (1). has been
그리고 내부용기(2)는 상광하협(上廣下狹) 구조를 갖는 원통 형상의 내부용기몸체(21) 상부에 개구부가 마련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And the inner container (2)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n opening i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마개부재(3)는 내부용기(2)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용기의 상부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용기(2)의 상부 개구부를 밀폐하는 원판 구조의 뚜껑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The
진공형성용 밸브장치(4)는 이격공간을 진공층(v)으로 변환하기 위한 부압을 인가하기 위해 외부용기(1)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이격공간 내부에 부압을 인가하는 과정에서 개방되고 부압의 미인가 시 밀폐되도록 개폐 가능한 밸브로 구성되어 있다.The valve device for vacuum formation (4) is a component installed in the outer container (1) to apply a negative pressure for converting the spaced space into a vacuum layer (v), and is open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a negative pressure inside the spaced space and It is composed of a valv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o be closed when negative pressure is not applied.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는 진공층(v)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기밀부재(5)가 구성되어 있다.And, the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with an airtight member (5) installed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vacuum layer (v).
기밀부재(5)는 외부용기(1)와 내부용기(2)의 상측 접속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부재라면 오-링(O-ring), 리테이너, 패킹, 가스켓 등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The airtight
아울러, 기밀부재(5)는 독립부재로 형성되어 개재되어 있지만, 내부용기(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irtight member (5) is formed as an independent member and is interposed, bu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ner container (2).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는 내부용기(2)의 결속 및 해제를 위해 결속수단(6)이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with a binding means (6) for binding and releasing the inner container (2).
상기 결속수단(6)은 외부용기(1)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제1 결속돌출부(61)와, 내부용기(2)의 하부에 돌출되고 제1 결속돌출부(61)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제2 결속돌출부(62)로 구성되어 있다.The binding means (6) is a first binding protrusion (61) protruding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1) and having an external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first binding protrusion (61) protru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inner container (2). It is composed of a second
여기서, 제1 결속돌출부(61)에 형성되는 수나사(612)와 제2 결속돌출부(62)에 형성되는 암나사(622)는 다양한 형상과 피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내부용기(2)를 대략 90˚ 정도 정방향 회전시킬 때 결속되고,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결속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그리고, 제1 결속돌출부(61)는 후술되는 밸브체(41)의 설치를 위해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로드삽입공(613)과, 이격공간에 부압을 작용시키는 통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로드삽입공(613)의 둘레에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의 진공형성공(614)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상기 제2 결속돌출부(62)는 이격공간에 부압을 작용시키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돌출턱 둘레를 따라 이격공간과 연통되게 복수의 연통공(624)이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그리고, 제2 결속돌출부(62)는 제1 결속돌출부(61)에 체결된 상태에서도 내부용기(2)의 저부에 밸브체(41)의 상승을 위한 상승공간(h1)이 확보되도록 제1 결속돌출부(61)의 돌출높이(h2)보다 높은 치수로 돌출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또한, 상기 외부용기(1)는 이격공간에 부압을 작용시키기 위한 부압작용부(9)가 삽입되도록 제1 결속돌출부(61)와 대응하는 저면에 접속홈부(15)가 요입,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한편, 상기 진공형성용 밸브장치(4)는 이격공간의 밀폐동작과 개방동작을 수행하는 밸브체(41)와, 밸브체(41)에 설치되어 밀폐동작이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2)가 구비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밸브체(41)는 제1 결속돌출부(61)의 로드삽입공(613)에 삽입되는 로드부(411), 진공형성공(614)을 개폐하도록 로드부(411)의 하측에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개폐부(412) 및 로드부(411)의 상측에 접속되는 탄성부재걸림부(413)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개폐부(412)는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이 밀착성과 기밀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여기서, 탄성부재걸림부(413)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부몸체(413a)와, 이 걸림부몸체(413a)의 중앙에 로드부(411)에 체결되는 로드체결부(413b)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Here, the elastic
상기 탄성부재(42)는 로드부(411)에 삽입되어 탄성부재걸림부(413)의 하부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접속홈부(15)에 접속되는 부압작용부(9)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부압작용부(9)는 외부용기(1) 및 내부용기(2) 사이의 이격공간을 진공층으로 형성하기 위해 접속홈부(15)에 접속되어 부압을 걸어주는 커넥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전동식 또는 수동식 진공펌프와 같은 진공형성장치와 호스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e negative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의 조립과정 및 진공층 형성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먼저 외부용기(1)의 하부에 진공형성용 밸브장치(4)를 조립하고, 외부용기(1)의 내부에 내부용기(2)를 삽입, 고정하되, 외부용기(1) 및 내부용기(2) 사이에 형성되는 진공층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기밀부재(5)를 삽입한 상태에서 조립한다. Referring briefly to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tumbler and forming the vacuum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first assembling the
이때, 진공형성용 밸브장치(4)의 조립과정은 접속홈부(15)를 통해 제1 결속돌출부(61)의 로드삽입공(613)으로 로드부(411)를 끼워넣어 외부용기(1)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 로드부(411)에 탄성부재(42)를 삽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탄성부재걸림부(413)의 로드체결부(413b)를 로드부(411)에 체결되도록 조작하게 되면 진공형성용 밸브장치(4)의 조립이 완료된다.At this time, 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그리고, 내부용기(2)의 조립과정은 외부용기(1)의 내부공간으로 삽입하여 제2 결속돌출부(62)의 암나사(622)를 제1 결속돌출부(61)의 수나사(612)에 정위치 시킨 상태에서 내부용기(2)를 대략 90˚ 정도 정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서로 간의 나사결합으로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nd, the assembly process of the inner container (2)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 the
전술한 바와 같은 조립과정이 완료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홈부(15)에 부압작용부(9)를 접속시키고 진공펌프(미도시)를 작동시키게 되면 점차 부압이 걸리게 되어 개폐부(412)에 흡입력에 작용되고 연이어 탄성부재(42)가 수축되면서 진공형성공(614)이 개방된다. When the assembl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5, when the negative
이와 같이 진공형성공(614)이 개방되면 상승공간(h1) 및 연통공(624)을 매개로 이어지는 부압작용 경로를 통해 이격공간에 부압이 작용되면서 진공층이 형성된다.As such, when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진공층 형성과정이 완료되어 진공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접속홈부(15)로부터 부압작용부(9)를 분리하게 되면, 탄성부재(42)의 복원력이 탄성부재걸림부(413)에 작용되어 로드부(411)가 상승되면서 개폐부(412)가 진공형성공(614)을 밀폐하게 되므로 진공층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보냉 및 보온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vacuum layer forming process is completed,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is stopped and the negative
한편 보냉 및 보온용으로 텀블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내부용기(2)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내부용기(2)를 조립시의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2 결속돌출부(62)의 암나사(622)가 제1 결속돌출부(61)의 수나사(612)로부터 분리되면서 결속상태가 해제된다. 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replace the inner container (2) in the process of using the tumbler for cold storage and heat preservation, if the inner container (2)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at the time of assembly, the
이러한 상태에서 내부용기(2)를 외부용기(1)로부터 빼내어 제거한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은 조립방법으로 신품 내부용기(2)로 간편하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inner container (2) can be removed from the outer container (1) and then simply exchanged for a new inner container (2) by the assembl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변형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일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detailed descriptions of components similar to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components having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단면 구조를 간략화 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mplified cross-sectional structure.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텀블러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부용기(1), 외부용기(1)에 삽입된 상태에서 내면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된 내부용기(2), 외부용기(1)에 설치되는 진공형성용 밸브장치(4)를 구비하되, 진공층(v)의 기밀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외부용기의 저부에 진공유지구조가 더 구성된 특징이 있다. Referring to Figure 6, the tumbler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uter container (1)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nd an inner container ( 2), provided with a vacuum forming valve device (4) installed in the outer container (1), the vacuum layer (v)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cuum holding structure is further configur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container so that the airtightness of the vacuum layer (v) is more stably maintained. .
이러한 진공유지구조는 오작동이나 변형 등으로 제1 결속돌출부(61)의 로드삽입공(613)이나 진공형성공(614)의 기밀상태가 해제되어 리크(leak)가 발생되더라도 2차적인 기밀유지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지만,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한 체결구조를 통해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is vacuum holding structure is a secondary airtight maintenance action even if a leak occurs due to a malfunction or deformation, etc., when the airtight state of the
예컨대, 외부용기(1)는 이격공간에 부압을 작용시키기 위한 부압작용부(9)가 삽입되도록 저면에 요입되는 접속홈부(15)를 구비하되, 이 접속홈부(15)는 내주면에 암나사부(151)가 형성되어 있다.For example, the
접속홈부(15)의 암나사부(151)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진공유지마개(7)가 설치되어 있고, 진공유지마개(7)의 체결시에 접속홈부(15)와의 사이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개재되는 보조기밀부재(8)가 구성되어 있다.A
보조기밀부재(8)는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부재라면 오-링(O-ring), 리테이너, 패킹, 가스켓 등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If the auxiliary
전술한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텀블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진공펌프와 같은 부압발생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이격공간을 진공층(v)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진공유지마개(7)를 삽입하여 접속홈부(15)의 암나사부(151)에 체결하게 되면 2차적인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진공형성용 밸브장치(4)에 의한 1차적인 밀폐작용에 더하여 2차적으로 진공층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umbler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means (not shown) such as a vacuum pump to form a vacuum layer (v) in a spaced space and inserts a vacuum stopper (7). Thus, when it is fastened to the
이에 따라 진공형성용 밸브장치(4)에 오작동이 발생되거나 마모 및 변형으로 미세한 리크가 발생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음료의 보온 및 보냉 작용을 유지할 수 있는 상승작용을 발휘한다.Accordingly, even if a malfunction occurs in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는 내부용기(2)의 분리 용이성 등 사용상에 편의성을 고려하여 내부용기(2) 및 외부용기(1) 사이에 형성된 진공층(v)의 진공을 해제할 수 있는 진공해제구조가 더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cuum capable of releasing the vacuum of the vacuum layer (v) formed between the inner container (2) and the outer container (1) in consideration of ease of use, such as the ease of separation of the inner container (2). A release structure may be further configured.
예컨대, 진공해제구조는 별도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개폐부(412)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킬 경우 진공형성공(614)과 연통되면서 진공 해제동작(진공 빼기 동작)이 가능하도록 개폐(412)부에 천공되거나 절개되는 형태의 진공해제공으로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lthough the vacuum releasing structure is not shown in a separate drawing,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일부를 치환 및 변형하는 것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ve been described, this is an exampl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not deviate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substitu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에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외부용기
2:내부용기
3:마개부재
4:진공형성용 밸브장치
41:밸브체
42:탄성부재
5:기밀부재
6:결속수단
61:제1 결속돌출부
62:제2 결속돌출부
7:진공유지마개
8:보조기밀부재
9:부압작용부1: Outer container
2: Inner container
3: stopper member
4: Valve device for vacuum formation
41: valve body
42: elastic member
5: Confidentiality
6: means of bonding
61: first binding protrusion
62: second binding protrusion
7: vacuum stopper
8: auxiliary airtight member
9: Negative pressure action part
Claims (7)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부용기; 및
상기 외부용기 내면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마련되도록 삽입되는 내부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용기에 설치되고, 상기 이격공간을 진공층으로 변환하기 위한 부압 인가 시 개방되고 부압의 미인가 시 밀폐되도록 구성된 진공형성용 밸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In tumblr,
an outer container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on; and
Including a;
and a valve device for forming a vacuum installed in the external container and configured to be opened when a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convert the spaced space into a vacuum layer and closed when a negative pressure is not applied.
상기 내부용기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마개부재;
상기 외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상측 접속부위에 상기 진공층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기밀부재; 및
상기 내부용기의 결속 및 해제를 위해 상기 외부용기 및 상기 내부용기에 형성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According to claim 1,
a stopper member installed to seal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Airtight member installed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vacuum layer in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and
Tumbler comprising a; binding means formed o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for binding and releasing the inner container.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제1 결속돌출부, 및 상기 내부용기의 하부에 돌출되고 상기 제1 결속돌출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제2 결속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형성용 밸브장치는 상기 이격공간의 밀폐동작과 개방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결속돌출부에 설치되는 밸브체, 상기 밸브체에 설치되고 상기 밀폐동작이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inding means includes: a first bind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and having a male screw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cluding,
The valve device for forming a vacuum includes a valve body installed in the first binding protrusion to perform a closing operation and an opening operation of the separation space, and an elastic member installed in the valve body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aintain the closing operation. A tumble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1 결속돌출부는 중앙에 관통되는 로드삽입공 및 상기 로드삽입공의 둘레에 관통되는 복수의 진공형성공이 구비되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로드삽입공에 삽입되는 로드부, 상기 진공형성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로드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개폐부 및 상기 로드부의 상측에 접속되는 탄성부재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로드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걸림부 하부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binding protrusion is provided with a rod insertion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vacuum forming holes penetrating around the rod insertion hole,
The valve body includes a rod part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on hole, an opening/closing part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rod part to open and closing the vacuum forming hole, and an elastic member engaging part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rod part,
The elastic member is a tumbler,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compression coil spring inserted into the rod portion is elastically installed under the elastic member engaging portion.
상기 제2 결속돌출부는 상기 내부용기의 저부에 상기 밸브체의 상승을 위한 상승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제1 결속돌출부의 돌출높이보다 높은 치수로 돌출되고 상기 상승공간과 상기 이격공간 사이에 연통되게 연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속돌출부와 대응하는 상기 외부용기의 저면에는 상기 이격공간에 부압을 작용시키기 위한 부압작용부가 삽입되도록 접속홈부가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binding protrusion protrudes to a dimension higher than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first binding protrusion so as to secure a rising space for lifting the valve body at the bottom of the inner container, and communicates between the rising space and the separation space. The ball is formed
A tumbler,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ion groove is recessed and formed so that a negative pressure acting portion for applying a negative pressure to the separation space is inse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binding protrusion.
상기 접속홈부는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홈부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진공유지마개, 상기 진공유지마개와 상기 접속홈부 사이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보조기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ion groove portion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port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 tumbler comprising: a vacuum holding stopper having a male screw portion fasten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of the connection groove portion; and an auxiliary airtight member installed to maintain airtightness between the vacuum maintenance stopper and the connection groove portion.
상기 개폐부는 회전 시에 상기 진공형성공과 연통되면서 진공 해제동작이 가능하도록 진공해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5. The method of claim 4,
The tumb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vacuum release unit is formed to enable the vacuum release operation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vacuum forming hole during rot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3624A KR20210099809A (en) | 2020-02-05 | 2020-02-05 | Tumb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3624A KR20210099809A (en) | 2020-02-05 | 2020-02-05 | Tumbl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9809A true KR20210099809A (en) | 2021-08-13 |
Family
ID=77313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3624A Abandoned KR20210099809A (en) | 2020-02-05 | 2020-02-05 | Tumb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99809A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2991A (en) | 2017-06-30 | 2019-01-09 |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 detachable vacuum tumbler |
KR20190063282A (en) | 2017-11-29 | 2019-06-07 | 김동우 | tumbler |
KR102050965B1 (en) | 2018-08-14 | 2019-12-03 | 노성화 | Tumbler |
-
2020
- 2020-02-05 KR KR1020200013624A patent/KR20210099809A/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2991A (en) | 2017-06-30 | 2019-01-09 |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 detachable vacuum tumbler |
KR20190063282A (en) | 2017-11-29 | 2019-06-07 | 김동우 | tumbler |
KR102050965B1 (en) | 2018-08-14 | 2019-12-03 | 노성화 | Tumbl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6050B1 (en) | Compact type cosmetics container with a air tight function | |
US10246239B2 (en) | Vacuum bottle sealing apparatus | |
WO2019127835A1 (en) | Container cover and vacuum preservation container | |
CN106458382A (en) | Water bottle with self-closing valve | |
JP6147206B2 (en) | Double container | |
KR20210099809A (en) | Tumbler | |
KR20190001483U (en) | Multistage container capable of storaging and drinking for contents | |
KR101616879B1 (en) | Vacuum pump for closure of vessle | |
JP2021187450A (en) | Cap unit and container with cap unit | |
JP4974063B2 (en) | Storage container | |
KR200417207Y1 (en) | Combination of container and lid with airtight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 |
KR20170076176A (en) | Air-tight food container | |
KR20130023306A (en) | A cover for food container | |
KR101511711B1 (en) | Food case | |
TW202019784A (en) | Beverage container and cover assembly | |
TWI839250B (en) | Composite structure container lid and the container assembly thereof | |
JP5182812B2 (en) | Liquid ejector | |
KR102123681B1 (en) | check valve assembly for a vacuum package | |
KR102652196B1 (en) | Airtight container | |
CN110053870A (en) | A kind of sealing element for split type bottle cap | |
CN220212560U (en) | Flip type coffee cup cover | |
CN109106043A (en) | A kind of combined type lip oil cap | |
KR200395480Y1 (en) | A cover of a vessel | |
JP2543258Y2 (en) | Automatic pressure equalizing valve for closed containers | |
KR101962935B1 (en) | Portable vacuum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1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