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808A - 구강 관찰용 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관찰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808A
KR20210098808A KR1020200012842A KR20200012842A KR20210098808A KR 20210098808 A KR20210098808 A KR 20210098808A KR 1020200012842 A KR1020200012842 A KR 1020200012842A KR 20200012842 A KR20200012842 A KR 20200012842A KR 20210098808 A KR20210098808 A KR 20210098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ting
mirror
mirror unit
oral ob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8026B1 (ko
Inventor
윤홍철
고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012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026B1/ko
Publication of KR20210098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61B1/25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with means for preventing fog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regulating 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찰용 장치는 소정 형상의 제1 미러부, 상기 제1 미러부의 일면에 타면이 배치되는 제2 미러부, 상기 제1 미러부의 외주부와 제2 미러부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벌어짐 방지부 및 상기 제1 미러부의 일단 및 제2 미러부의 일단에 배치되는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미러부의 일면 및 제2 미러부의 타면 사이에 배치되는 히팅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구강 관찰용 장치{APPARATUS FOR ORAL OBSERVATION}
본 발명은 구강 관찰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환자의 구강을 장시간 관찰하더라도 김 서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강 관찰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강은 앞쪽 입술부터 뒤쪽 구협에서 인두와 연결되는 입 안의 공간인바, 구강 관찰의 대상은 이와 더불어 치아, 더 나아가 잇몸까지 모두 포함된다.
이러한 구강 관찰은 환자의 구강에 손쉽게 입출 가능할 정도로 작은 원 형상의 거울의 단면에 손잡이를 연결한 구강 관찰용 장치를 이용하여 구강 내에서 원하는 부위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환자가 구강 관찰을 위해 입을 벌리고 있다 하여도 들숨과 날숨을 쉬기 때문에 온도 차에 의해 거울에 김이 서려 관찰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치료가 필요한 부위가 많아 환자의 구강을 장시간 관찰하는 경우 보다 심각해질 수 있는바, 작은 거울 전체에 김이 서리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서린 김을 제거하기 위해 구강 내에서 꺼내어 일일이 닦거나 김이 자연적으로 제거될 때까지 시간을 경과시킨 후 다시 넣어야 하며, 환자는 이로 인해 반복적으로 입을 열었다 닫았다 할 수밖에 없으므로 턱 관절에 통증을 느끼게 되고, 최악의 경우 치료에 대한 기피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구강 관찰을 위해 환자가 입을 벌려 들숨과 날숨을 쉬는 경우에 김 서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김이 서린다 할지라도 구강 내에서 꺼내지 않고 서린 김을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구강 관찰용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3877호(2010.03.3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강 관찰을 위해 환자가 입을 벌려 들숨과 날숨을 쉬는 경우에 김 서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강 관찰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김이 서린다 할지라도 구강 내에서 꺼내지 않고 서린 김을 제거할 수 있는 구강 관찰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찰용 장치는 소정 형상의 제1 미러부, 상기 제1 미러부의 일면에 타면이 배치되는 제2 미러부, 상기 제1 미러부의 외주부와 제2 미러부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벌어짐 방지부 및 상기 제1 미러부의 일단 및 제2 미러부의 일단에 배치되는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미러부의 일면 및 제2 미러부의 타면 사이에 배치되는 히팅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는, 상기 히팅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팅부의 구동인 ON/OFF, 히팅 온도, 히팅 강도, 히팅 지속 시간 및 히팅 주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의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는 터치 감응식 스위치이며, 터치 방향, 터치 횟수, 터치 강도 및 터치 지속 시간 중 어느 하나 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개별적인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히팅부는, 전도성 소재로 구현된 히팅 플레이트 및 상기 히팅 플레이트에 열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히팅 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히팅 플레이트의 어느 하나 이상의 외주부는, 상기 제1 미러부의 어느 하나 이상의 외주부 및 제2 미러부의 어느 하나 이상의 외주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히팅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열 전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열 전달부는, 상기 히팅 플레이트의 열 전도율 이상의 열 전도율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히팅부는, 소정 개수 이상의 변곡점을 포함하는 미앤더(Meander) 라인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변곡점은, 상기 제1 미러부의 어느 하나의 외주부 및 제2 미러부의 어느 하나의 외주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구강 관찰용 키트는 소정 형상의 미러부; 및 상기 미러부의 일단에 상기 미러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있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구강 관찰용 장치; 및 상기 구강 관찰용 장치로부터 탈거된 미러부가 적재되는 적재소; 및 상기 미러부를 가열시키기 위한 발열판;을 포함하는 수납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납함은, 적재된 미러부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맞닿아 가열시키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이 발열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 구강을 관찰하는 와중에 들숨 및 날숨에 따라 김이 서린다 하여도 입력부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가 히팅부로 하여금 열을 방출하게 하는바 서린 김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환자 구강의 관찰 이전에 히팅부가 열을 방출하도록 한 후, 구강을 관찰한다면 김 자체가 서리지 않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히팅 플레이트 또는 미앤더 라인을 제1 미러부의 어느 하나 이상의 외주부 및 제2 미러부의 어느 하나 이상의 외주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 또는 일치하게 배치함으로써 중심 영역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멀어지는 외주부 근방에 서린 김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력부를 터치 감응식 스위치로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환자 구강을 관찰하는 와중에 입력부를 터치하는 방향, 횟수, 강도 및 지속 시간만을 변경하면 서린 김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있어서 현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찰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찰용 장치의 세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미러부의 형상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히팅부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5는 히팅 플레이트의 외주부와 제1 미러부 및 제2 미러부의 외주부의 배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있어서, 열 전달부를 추가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히팅부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8은 바디부와 바디부의 표면에 배치된 입력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를 복수 개의 버튼으로 구현한 경우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표면에 배치된 입력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를 터치 감응식 스위치로 구현한 경우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 사용자가 아래 방향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쓸어 올리듯 터치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있어서, 사용자가 1회 터치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찰용 키트 중 수납함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찰용 장치에 있어서 제2 미러부를 포함하지 않되, 제1 미러부의 일면 및 타면 전부를 반사율을 갖는 소재로 구현한 경우에 세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찰용 장치에 있어서 벌어짐 방지부의 타단에 별도의 발광 소자를 배치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찰용 장치(10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세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찰용 장치(100)는 제1 미러부(10), 제2 미러부(20), 벌어짐 방지부(30), 바디부(40) 및 히팅부(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통상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미러부(10)는 소정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제1 미러부(10)의 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으나 환자의 구강 에 손쉽게 입출 가능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한바, 가로 방향의 길이가 긴 형상보다는 가로 방향의 길이가 짧되, 세로 방향의 길이가 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미러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의 길이보다 세로 방향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는바, 이 경우 직사각형의 모서리가 수직이라면 환자의 구강에 상처를 입힐 가능성이 있으므로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처리하여 의도하지 않은 상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바디부(40)가 배치되는 제1 미러부(1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제1 미러부(10)가 점차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는바, 이 경우 구강을 관찰할 수 있는 제1 미러부(10) 타단의 영역이 확장되기 때문에 최대한 넓은 부위의 관찰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는 제2 미러부(2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제1 미러부(10)는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는바, 여기서 일면에는 후술할 제2 미러부(20)의 타면이 배치되기에 제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반사율을 갖는 소재로 구현할 필요가 없으며, 구강 관찰을 위한 거울의 용도로 사용하는 타면만 반사율을 갖는 소재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제1 미러부(10)의 두께 역시 제한은 없으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는 경우 전체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환자 구강에 넣기가 어렵거나 환자가 메스꺼움을 느낄 가능성이 있으므로 쉽게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최소한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 경우 제1 미러부(10)의 두께는 예를 들어, 1mm 내지 3mm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 미러부(20)는 제1 미러부(10)의 일면에 타면이 배치된다.
이러한 제2 미러부(20)의 형상은 제1 미러부(10)의 형상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한바, 제2 미러부(20)의 형상이 제1 미러부(10)의 형상과 상이하다면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파손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며, 제2 미러부(20)의 형상에 대해서는 앞서 제1 미러부(10)에 대한 형상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한편, 제1 미러부(10)와 마찬가지로 제2 미러부(20) 역시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는바, 제1 미러부(10)의 일면에 배치되는 타면은 제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반사율을 갖는 소재로 구현할 필요가 없으며, 구강 관찰을 위한 거울의 용도로 사용하는 일면만 반사율을 갖는 소재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제2 미러부(20)의 두께 역시 제한은 없으나 제1 미러부(10)의 두께와 상이한 경우 제1 미러부(10)와 제2 미러부(20)를 별도로 제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는 단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제1 미러부(10)와 동일한 미러로,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미러부(10)와 제2 미러부(20)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 경우, 제1 미러부(10)와 제2 미러부(20)는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두께를 갖되, 제1 미러부(10)는 타면이 반사율을 갖는 소재로 구현되며, 제2 미러부(20)는 일면이 반사율을 갖는 소재로 구현되나, 일면 및 타면은 두 개의 미러부가 배치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므로 제1 미러부(10)와 제2 미러부(20)를 전체적으로 보았을 경우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벌어짐 방지부(30)는 제1 미러부(10)의 외주부와 제2 미러부(20)의 외주부를 둘러싼다.
앞서 제1 미러부(10)의 일면에 제2 미러부(20)의 타면이 배치된다고 한바, 두 개의 미러부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이며, 배치된 상태에서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벌어짐 방지부(30)인바, 벌어짐 방지부(30)는 제1 미러부(10)의 외주부의 측면과 제2 미러부(20)의 외주부의 측면에서 이들 구성이 벌어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그에 따라 벌어짐 방지부(30)의 형상은 제1 미러부(10)의 외주부의 형상 및 제2 미러부(20)의 외주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벌어짐 방지부(30)의 안쪽면,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미러부(10)의 외주부와 제2 미러부(20)의 외주부와 접촉하는 방향 안쪽에 소정 두께의 홈(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는바, 홈(미도시)의 두께는 제1 미러부(10)의 두께와 제2 미러부(20)의 두께의 합 이하로 구현함으로써 홈(미도시)에 제1 미러부(10)와 제2 미러부(20)가 배치된 경우 벌어지지 않고 강하게 고정되게 이바지할 수 있다.
이러한 벌어짐 방지부(30)는 플라스틱, 고무, 실리콘, 메탈 소재 등 어떠한 소재를 사용하여 구현하여도 무방하나, 구강에 닿았을 경우 환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소재는 삼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벌어짐 방지부(30)는 경우에 따라 구성에서 배제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두 개의 미러부가 상호 접착 물질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이 가능한 경우에는 벌어짐 방지부(30)가 생략될 수 있다.
바디부(40)는 제1 미러부(10)의 일단 및 제2 미러부(20)의 일단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 미러부(10)의 일단 및 제2 미러부(20)의 일단이란 환자 구강에 넣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을 의미하는바, 바디부(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찰용 장치(100)에 있어서 일종의 손잡이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찰용 장치(100)를 이용하여 환자 구강을 관찰하는 경우, 의사 등과 같은 사용자는 바디부(40)를 잡고 제1 미러부(10) 및 제2 미러부(20)를 환자 구강에 넣어 원하는 부위를 관찰하는바, 바디부(40)는 구강에 넣은 제1 미러부(10) 및 제2 미러부(20)를 구강 밖에서 지지하는 역할에서 더 나아가 후술할 히팅부(50)에 대하여 일정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하여 김 서림 방지라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는 바디부(40)가 포함하는 제어부(45) 및 입력부(47)에 관한 것이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벌어짐 방지부(30)와 마찬가지로 바디부(40) 역시 어떠한 소재를 사용하여 구현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나, 바디부(40)는 손잡이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바디부(40)를 잡은 상태에서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 소재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바디부(40)를 고무 소재를 사용하여 구현하고 보편적인 사용자가 잡는 손가락 형상에 맞춰 그립(Grip)을 함께 구현한다면 환자 구강을 관찰하는 와중에 미끄러지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바디부(40)를 메탈 소재를 사용하여 구현하되 미끄럼 방지용 돌기를 복수 개 함께 구현한다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메탈 소재에 따른 세련된 외관을 갖출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바디부(40)의 형상은 제한이 없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디부(4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라 할 것이나, 바디부(40)를 잡은 상태에서 제1 미러부(10) 및 제2 미러부(20)를 환자 구강에 넣어 좌/우로 회전시키며 구강을 관찰하기 때문에 가로 방향의 길이가 긴 형상보다는 가로 방향의 길이가 짧되, 세로 방향의 길이가 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자의 경우 좌/우로 회전시키는 회전 반경의 측면에서 손해를 볼 수 있음에 반해, 후자의 경우 손목의 스냅만으로 넓은 회전 반경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히팅부(50)는 제1 미러부(10)의 일면 및 제2 미러부(20)의 타면 사이에 배치된다.
앞서 제1 미러부(10)의 일면과 제2 미러부(20)의 타면은 반사율을 갖는 소재로 구현할 필요가 없다고 했던바, 이들 사이에 히팅부(50)가 배치되어 소정 온도의 열을 방출하고, 방출한 열이 반사율을 갖는 소재로 구현한 제1 미러부(10)의 타면과 제2 미러부(20)의 일면 방향으로 전도됨으로써 환자의 들숨 및 날숨에 따라 서린 김이 제거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간단히 언급하였지만 김은 환자의 들숨 및 날숨에 따른 온도(T1)와 제1 미러부(10)의 타면과 제2 미러부(20)의 일면의 온도(T2)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며, 시간이 경과하면 온도 차이가 0에 수렴하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제거된다.
그러나 환자의 구강을 관찰하고 있는 와중에 김이 자연적으로 제거될 때까지 기다리고 있을 수는 없는바, 히팅부(50)가 열을 방출하여 제1 미러부(10)의 타면과 제2 미러부(20)의 일면 방향으로 전도함으로써 환자의 들숨 및 날숨에 따른 온도(T1)와 제1 미러부(10)의 타면과 제2 미러부(20)의 일면의 온도(T2)가 동일하게 되어 김 자체가 서리지 않게 되거나 서린 김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히팅부(50)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히팅부(50)는 전도성 소재로 구현된 히팅 플레이트(52) 및 히팅 플레이트(52)에 열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이 히팅 선로(54)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제어부(45)에 의해 히팅 선로(54)는 소정 온도의 열을 발생시키며, 발생한 열은 히팅 플레이트(52)에 전달되고, 전도성 소재로 구현된 히팅 플레이트(52)가 전체적으로 소정 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히팅 선로(54)와 근접한 영역의 히팅 플레이트(52)의 온도가 높고, 이로부터 멀리 위치한 영역의 히팅 플레이트(52)의 온도는 낮기에 히팅 플레이트(52) 전체적으로 온도가 균일하지 않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바, 히팅 플레이트(52)를 열 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구현함으로써 이러한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1 미러부(10)의 타면과 제2 미러부(20)의 일면에 김이 전체적으로 서린 경우, 히팅 플레이트(52)의 중심 영역의 온도가 일반적으로 높기에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김만 제거되고 이로부터 멀어지는 외주부 근방의 김이 제거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팅 플레이트(52)의 어느 하나 이상의 외주부를 제1 미러부(10)의 어느 하나 이상의 외주부 및 제2 미러부(20)의 어느 하나 이상의 외주부로부터 소정 거리(D), 예를 들어 1mm 내지 10mm 이내에 또는 외주부가 서로 일치하게 배치한다면 중심 영역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멀어지는 외주부 근방의 김까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히팅 플레이트(52)가 전도성 소재이기에, 히팅 선로(54)로부터 열을 전달 받는 경우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고, 이러한 열을 그대로 제1 미러부(10)와 제2 미러부(20)에 전달하므로 깨짐 등과 같은 파손의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팅 플레이트(52)가 배치되는 별도의 열 전달부(5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히팅 선로(54)로부터 1차적으로 열을 전달 받은 히팅 플레이트(52)의 온도를 열 전달부(56)가 2차적으로 전달 받기에 완충 효과가 발생하여 깨짐 등과 같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열 전달부(56)가 제1 미러부(10)의 타면과 제2 미러부(20)의 일면에 서린 김을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기에 열 전달부(56)의 열 전도율은 히팅 플레이트(52)의 열 전도율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7은 히팅부(50)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4의 경우와 상이하게 히팅부(50)는 별도의 히팅 플레이트(52)와 히팅 선로(54)를 포함하지 않고, 소정 개수 이상의 변곡점을 포함하는 미앤더(Meander) 라인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미앤더 라인의 형상은 반드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격자형, 스파이럴형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미앤더 라인 자체가 히팅 선로(54)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바, 앞서 설명한 히팅부(50)의 제1 실시 예의 경우보다 제1 미러부(10)의 타면과 제2 미러부(20)의 일면 전체에 보다 효과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앤더 라인은 전기 에너지를 받아 열 에너지로 발산하는 전선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기능을 실현시킬 수 있는 한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미앤더 라인은 탄성 또는 유연성이 있는 물질로 형성된 것이어서 구부러짐이 있을 수도 있다.
여기서 변곡점의 개수는 제1 미러부(10)의 타면과 제2 미러부(20)의 일면의 면적 또는 미앤더 라인의 두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별도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앞서 제1 실시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변곡점을 제1 미러부(10)의 어느 하나의 외주부 및 제2 미러부(20)의 어느 하나의 외주부로부터 소정 거리, 예를 들어 1mm 내지 10mm 이내에 또는 서로 일치하게 배치한다면 중심 영역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멀어지는 외주부 근방의 김까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한편, 상기 미앤더 라인은 내열성이 높은 고분자 물질로 형성된 필름(film; 미도시)에 의해 싸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필름 두 장이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 사이에 미앤더 라인을 둠으로써 폴리이미드 필름 사이의 미앤더 라인을 보호함과 동시에 발생된 열을 면발산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위 설명에서는 미앤더 라인이 필름 사이에 배치된다고 언급하였으나, 구성들의 배치 형태는 위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리이미드 필름이 한 장만 존재하고, 그 일면에 상기 미앤더 필름이 배치된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히팅부는 구부러짐이 가능한 선형의 미앤더 라인에 열의 면발산이 가능하도록 내열성의 필름을 덧댐으로써 상기 히팅부에 맞닿아 있는 제1 미러부(10) 및 제2 미러부(20)로의 열전달이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소정 온도의 열을 방출하는 히팅부(50)의 구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으며, 이는 앞서 설명을 보류한 제어부(45) 및 입력부(47)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바디부(40)는 히팅부(5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45)가 제어하는 히팅부(50)의 구동은 히팅부(50) 자체의 ON/OFF, 히팅 온도, 히팅 강도, 히팅 지속 시간 및 히팅 주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이와 더불어 히팅부(50)와 연관된 구동에 해당한다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되는 광의의 개념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45)는 일종의 메인 CPU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바,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상의 보드(Board)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바디부(40)가 제어부(45)를 포함한다 하였지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디부(40) 내부에 제어부(45)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제어부(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찰용 장치(100)의 외관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바, 이는 보드 형상의 제어부(45)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미칠 수 있는 심미적인 관점의 악영향을 고려함과 더불어 메인 CPU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부(45) 자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파손 가능성까지 모두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어부(45) 자체가 히팅부(50)의 구동을 제어하지만, 일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제어부(45) 스스로 히팅부(50)에 전송할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는 어려운바, 이를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 입력부(47)이다.
도 8은 바디부(40)와 바디부(40)의 표면에 배치된 입력부(47)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부(47)를 복수 개의 버튼으로 구현한 경우에 대한 도면이다.
입력부(47)는 바디부(40)의 표면에 배치되며, 제어부(45)와 연결되어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여기서 입력부(47)가 제어부(45)에 전송하는 제어 명령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제어 명령인바, 앞서 제어부(45)가 히팅부(50)의 구동을 제어하는 히팅부(50) 자체의 ON/OFF, 히팅 온도, 히팅 강도, 히팅 지속 시간 및 히팅 주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하여 생성된 제어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47)가 사용자로부터 히팅부(50)에 대한 ON 입력을 수신한 경우, 입력부(47)는 히팅부(50)에 대한 ON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45)에 전송하며, 제어부(45)는 그에 따라 히팅부(50)의 구동을 ON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47)가 사용자로부터 히팅부(50)의 지속 시간을 5초로 설정한 입력을 수신한 경우, 입력부(47)는 히팅부(50)의 지속 시간을 5초로 설정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45)에 전송하며, 제어부(45)는 그에 따라 히팅부(50)의 구동을 5초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47)는 복수 개의 버튼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히팅부(50) 자체의 ON/OFF에 대한 버튼, 히팅 온도 설정에 대한 버튼, 히팅 강도 설정에 대한 버튼, 히팅 지속 시간 설정에 대한 버튼 및 히팅 주기 설정에 대한 버튼을 개별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복수 개의 버튼을 바디부(40)의 표면에 전부 배치함에 있어서 공간상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하나의 입력부(47)를 통해 모든 제어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바디부(40)와 바디부(40)의 표면에 배치된 입력부(47)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부(47)를 터치 감응식 스위치로 구현한 경우에 대한 도면이다.
입력부(47)를 터치 감응식 스위치로 구현한 경우 하나의 입력부(47)를 통해 모든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바디부(40) 표면에 배치해야 하는 공간상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입력에 있어서도 현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감응식 스위치로 구현한 입력부(47)는 터치 방향, 터치 횟수, 터치 강도 및 터치 지속 시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제어부(45)에 개별적인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터치 감응식 스위치로 구현한 입력부(47)에 사용자가 아래 방향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쓸어 올리듯 터치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바, 이 경우 히팅부(50)가 방출하는 온도 상승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45)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위쪽 방향으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쓸어 내리듯 터치한다면 히팅부(50)가 방출하는 온도 하강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45)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터치 감응식 스위치로 구현한 입력부(47)에 사용자가 1회 터치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바, 이 경우 히팅부(50)에 대한 ON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45)에 전송할 수 있으며, 빠른 속도로 2회 터치하는 경우 히팅부(50)에 대한 OFF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45)에 전송할 수도 있다.
터치 강도의 경우 강도를 도면으로 도시하기 어렵기에 별도 도면으로 첨부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터치 감응식 스위치로 구현한 입력부(47)를 소정의 기준 강도 이상의 강도로 터치한 경우, 해당 강도에 대응되는 온도 상승 수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45)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소정의 기준 강도 이하의 강도로 터치한 경우 해당 강도에 대응되는 온도 하강 수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45)에 전송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터치 지속 시간을 도면으로 도시하기 어렵기에 별도 도면으로 첨부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터치 감응식 스위치로 구현한 입력부(47)를 소정 지속 시간 동안 터치한 경우, 해당 지속 시간 동안 히팅부(50)를 ON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45)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히팅 주기로 설정하여 해당 지속 시간 동안 히팅부(50)의 ON/OFF를 반복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45)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부(47)를 터치 감응식 스위치로 구현하는 경우 복수 개의 버튼으로 구현한 경우와 상이하게 사용자는 어떤 버튼이 어떠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지 일일이 확인하거나 인지하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환자 구강을 관찰하는 와중에 손가락으로 입력부(47)를 터치하는 방향, 횟수, 강도 및 지속 시간만을 변경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사용에 있어서 현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찰용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 구강을 관찰하는 와중에 들숨 및 날숨에 따라 김이 서린다 하여도 입력부(47)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45)가 히팅부(50)로 하여금 열을 방출하게 하는바 서린 김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환자 구강의 관찰 이전에 히팅부(50)가 열을 방출하도록 한 후, 구강을 관찰한다면 김 자체가 서리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히팅 플레이트(52) 또는 미앤더 라인을 제1 미러부(10)의 어느 하나 이상의 외주부 및 제2 미러부(20)의 어느 하나 이상의 외주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 또는 일치하게 배치함으로써 중심 영역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멀어지는 외주부 근방에 서린 김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입력부(47)를 터치 감응식 스위치로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환자 구강을 관찰하는 와중에 입력부(47)를 터치하는 방향, 횟수, 강도 및 지속 시간만을 변경하면 서린 김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있어서 현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강 관찰용 장치(100)의 제1미러부(10), 제2미러부(20) 및 벌어짐 방지부(30)를 포함한 미러 부분은 상기 바디부(40)로부터 탈착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세척이 필요할 시에는 상기 미러 부분만을 탈거시킨 후 별도로 세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용 장치의 미러부(M)를 도시한 것으로,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미러부(M)는 앞선 도면들에서 설명한 구강 관찰용 장치에서와 달리 그 자체로 발열의 기능을 갖추지 못한 순수한 미러(mirror)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실제 환자의 구강 내부를 들여다 보기에 앞서 위 미러부(M)를 발열 기능이 내장된 수납함(S)에 넣어둠으로써 미러부(M)가 충분히 열을 받도록 한 후, 이를 구강 관찰용 장치의 바디부에 끼워 삽입시킨 채로 곧바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기성품으로서 존재하는 치과용 미러부(M; 벌어짐 방지부, 제어부, 히팅부, 히팅 플레이트, 히팅 선로, 열 전달부 등의 구성들이 포함되지 않은 미러부)를 그대로 활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수납함(S)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수납함(S)에서의 발열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따뜻하게 덥혀진 미러부(M)를 그대로 종래 구강 관찰용 장치의 바디부(전자적 장치가 내재되어 있지 않은 바디부)에 삽입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2의 실시예에 따를 때, 위 미러부(M) 및 바디부로 이루어진 구강 관찰용 장치, 그리고 상기 바디부로부터 탈거된 미러부(M)가 적재 가능한 수납함(S)은 하나의 세트를 이룰 수 있으며,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위 구강 관찰용 장치 및 수납함 구성을 구강 관찰용 키트라 명명하기로 한다.
위 수납함(S)과 관련하여, 상기 수납함(S) 내부에는 상기 미러부(M)가 적재될 수 있는 적재소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재소는 상기 미러부(M)를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본따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미러부(M)가 수납함(S) 내부에 적재되어 사용자에 의해 휴대될 때에도 흔들림이 없이 적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함(S) 내부에는 상기 미러부(M)를 가열시키기 위한 발열판(70)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발열판(70)이 미러부(M)의 하면과 맞닿도록 구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발열판(70)은 위 미러부(M)의 하면뿐만 아니라 상면도 가열할 수 있도록 별도의 것이 수납함(S)의 뚜껑 쪽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열판은 열을 면발산 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할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히팅 플레이트와 동일한 것, 또는 내열성이 있는 폴리이미드 필름에 의해 싸여진 미앤더 등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수납함(S)은 당연히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때의 전원부는 외부 전력 소스와 전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형태, 또는 그 자체로 전력을 저장하고 있는 배터리일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수납함(S) 내부에는 앞서 설명한 구성들 외에 팬(FAN)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발열판(70)에 전기 에너지가 가해져 열이 발생하는 경우, 수납함(S)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당연히 내부 공기(유체)의 순환에 의해 그 내부가 따뜻해 질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 때 팬(FAN)을 더 구비시켜 유체의 순환을 더 빠르게 함으로써 수납함(S)의 내부 온도를 더 빠르게 올릴 수 있다.
한편, 도 13은 앞서 설명한 도 2 또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를 변형한 것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미러부(20)을 포함하지 않되, 제1 미러부(10)의 일면 및 타면 전부를 반사율을 갖는 소재로 구현하여 미러부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어짐 방지부(30)의 타단에 별도의 발광 소자(60)를 배치함으로써 환자 구강을 관찰함에 있어서 빛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광 소자(60)의 구동 역시 입력부(47)가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어부(45)가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중복 서술을 방지하기 위해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도 13 내지 도 14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 예 모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찰용 장치(100)에 대하여 기술한 모든 기술적 특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구강 관찰용 장치
10: 제1 미러부
20: 제2 미러부
30: 벌어짐 방지부
40: 바디부
45: 제어부
47: 입력부
50: 히팅부
52: 히팅 플레이트
54: 히팅 선로
56: 열 전달부
60: 발광 소자
70: 발열판
M: 미러부
S: 수납함

Claims (10)

  1. 소정 형상의 제1 미러부;
    상기 제1 미러부의 일면에 타면이 배치되는 제2 미러부;
    상기 제1 미러부의 외주부와 제2 미러부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벌어짐 방지부; 및
    상기 제1 미러부의 일단 및 제2 미러부의 일단에 배치되는 바디부;
    를 포함하는 구강 관찰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러부의 일면 및 제2 미러부의 타면 사이에 배치되는 히팅부;
    를 더 포함하는 구강 관찰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히팅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구강 관찰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팅부의 구동인 ON/OFF, 히팅 온도, 히팅 강도, 히팅 지속 시간 및 히팅 주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구강 관찰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구강 관찰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 감응식 스위치이며,
    터치 방향, 터치 횟수, 터치 강도 및 터치 지속 시간 중 어느 하나 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개별적인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구강 관찰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전도성 소재로 구현된 히팅 플레이트; 및
    상기 히팅 플레이트에 열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히팅 선로;
    을 포함하는 구강 관찰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플레이트의 어느 하나 이상의 외주부는,
    상기 제1 미러부의 어느 하나 이상의 외주부 및 제2 미러부의 어느 하나 이상의 외주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배치되는,
    구강 관찰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열 전달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열 전달부는,
    상기 히팅 플레이트의 열 전도율 이상의 열 전도율을 갖는,
    구강 관찰용 장치.
  9. 소정 형상의 미러부; 및 상기 미러부의 일단에 상기 미러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있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구강 관찰용 장치; 및
    상기 구강 관찰용 장치로부터 탈거된 미러부가 적재되는 적재소; 및 상기 미러부를 가열시키기 위한 발열판;을 포함하는 수납함;
    을 포함하는,
    구강 관찰용 키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은,
    적재된 미러부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맞닿아 가열시키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이 발열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찰용 키트.
KR1020200012842A 2020-02-03 2020-02-03 구강 관찰용 장치 KR102348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842A KR102348026B1 (ko) 2020-02-03 2020-02-03 구강 관찰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842A KR102348026B1 (ko) 2020-02-03 2020-02-03 구강 관찰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808A true KR20210098808A (ko) 2021-08-11
KR102348026B1 KR102348026B1 (ko) 2022-01-10

Family

ID=77314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842A KR102348026B1 (ko) 2020-02-03 2020-02-03 구강 관찰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0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24271A1 (en) 2021-07-27 2023-02-01 LG Electronics Inc. Blender
WO2023106702A1 (ko) * 2021-12-07 2023-06-15 주식회사 디디에스 구강 스캐너 및 구강 스캐너의 김서림 방지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877A (ko) 2008-09-22 2010-03-31 임두만 반사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강거울
CN204218863U (zh) * 2014-09-18 2015-03-25 青岛市口腔医院 一种牙齿诊视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877A (ko) 2008-09-22 2010-03-31 임두만 반사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강거울
CN204218863U (zh) * 2014-09-18 2015-03-25 青岛市口腔医院 一种牙齿诊视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24271A1 (en) 2021-07-27 2023-02-01 LG Electronics Inc. Blender
WO2023106702A1 (ko) * 2021-12-07 2023-06-15 주식회사 디디에스 구강 스캐너 및 구강 스캐너의 김서림 방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026B1 (ko)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6643B2 (en) Nail care device
CN115003246B (zh) 无线牙齿美白系统
KR102348026B1 (ko) 구강 관찰용 장치
KR101049189B1 (ko) 광선 비염 치료기
BR112017023907B1 (pt) dispositivo para tratamento bucal pessoal
KR20180021088A (ko) 광 요법 밴드 시스템
JP2017533074A (ja) 眼の疾患を手当て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7106864A (zh) 用于向对象提供光疗的床垫
KR101650845B1 (ko) 다목적 의료용 광조사 장치
KR101851179B1 (ko) 눈 냉온 마사지기
KR102527802B1 (ko) 신생아를 위한 광확산 구조가 구비된 의료용 플렉서블 패드 구조
BR112019017848B1 (pt) Equipamento para a produção e a colocação de luvas, e método para a produção e a colocação de luvas
JP2020523145A (ja) 口腔内スキャナのための窓システム
EP3378533B1 (en) Portable lighting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e
US20150065929A1 (en) Gum massaging mouthpiece
US20210128940A1 (en) Light-based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WO2019036444A1 (en) MINIATURE PORTABLE LASER PROCESSING DEVICE
KR102146759B1 (ko) 다용도 휴대용 광치료기
JP3138513U (ja) 鼻腔用器具
KR101520177B1 (ko) 귀 체온계용 다기능 스탠드
JP7221316B2 (ja) 光線療法スポット付与装置
KR100654763B1 (ko) 컴퓨터용 마우스 패드
EP2491889A2 (en) A dental instrument
JP2013153936A (ja) 光照射装置
CN218413119U (zh) 接触镜保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