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724A - 엣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엣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724A
KR20210098724A KR1020200012621A KR20200012621A KR20210098724A KR 20210098724 A KR20210098724 A KR 20210098724A KR 1020200012621 A KR1020200012621 A KR 1020200012621A KR 20200012621 A KR20200012621 A KR 20200012621A KR 20210098724 A KR20210098724 A KR 20210098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network
service
edge data
edg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배
김희정
조치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2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8724A/ko
Priority to US17/162,726 priority patent/US11445039B2/en
Priority to EP21751134.4A priority patent/EP4055805A4/en
Priority to PCT/KR2021/001208 priority patent/WO2021157963A1/en
Priority to CN202180012355.0A priority patent/CN115039391A/zh
Publication of KR20210098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2885Hierarchically arranged intermediate devices, e.g. for hierarchical c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04L41/5019Ensuring fulfilment of SLA
    • H04L41/5022Ensuring fulfilment of SLA by giving priorities, e.g. assigning classes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 H04L41/5051Service on demand, e.g. definition and deployment of services in real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58Service discovery by the service manager
    • H04L67/16
    • H04L67/3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1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taking into account QoS or priority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hierarchical managemen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edge data network configuration server)가,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edge data network)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제공중인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계층적 구조를 갖는 복수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재배치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서비스 재배치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재배치 요청을 반영하여,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을 결정하는 단계;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우선순위 또는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재배치 대상 서비스 및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단계; 및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와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계층(hierarchy)에 포함된다.

Description

엣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DGE COMPUTING SERVICE}
본 개시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예: MEC(multi-access edge computing)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엣지 서버(edge server)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 기술이 논의되고 있다. 엣지 컴퓨팅 기술은, 예를 들어, MEC(Multi-access Edge Computing) 또는 포그 컴퓨팅(fog computing, FOC)을 포함할 수 있다. 엣지 컴퓨팅 기술은 전자 장치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위치, 예를 들어, 기지국 내부 또는 기지국 근처에 설치된 별도의 서버(이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MEC 서버’, 또는 ‘모바일 엣지 호스트’라 한다)를 통해 전자 장치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중 낮은 지연 시간(latency)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DN)(예: 인터넷)에 위치한 서버를 통하지 않고, 지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엣지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최근에는 엣지 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서비스(이하, ‘MEC 기반 서비스’ 또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라 한다) 에 관하여 논의되고 있으며,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전자 장치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은 엣지 서버(또는 엣지 서버의 애플리케이션)와 애플리케이션 레이어(application layer) 상에서 엣지 컴퓨팅 기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edge data network)(예: MEC 서버)가 서비스의 지연 시간(latency)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면서 MEC 시스템 자원(resource)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계층적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단말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서로 다른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재배치 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단말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edge data network configuration server)가,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edge data network)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제공중인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계층적 구조를 갖는 복수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재배치하는 방법은,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재배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재배치 여부 판단에 기초하여,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을 결정하는 단계;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우선순위 또는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재배치 대상 서비스 및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단계; 및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와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계층(hierarchy)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재배치 대상 서비스 및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단계는, 우선순위 확인 결과,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서비스를 재배치 대상 서비스로 결정하는 단계;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하위 계층에 존재하는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에서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의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단말의 개수와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판단된 단말의 개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소정의 임계값은,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단말의 최대 개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재배치 대상 서비스 및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단계는, 우선순위 확인 결과,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서비스를 재배치 대상 서비스로 결정하는 단계;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가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의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단말의 개수와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판단된 단말의 개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보다 높은 계층에 존재하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소정의 임계값은,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단말의 최대 개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 중 재배치 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경우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보다 높은 계층에 포함되고,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 중 재배치 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경우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보다 낮은 계층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들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은, 식별된 서비스들 중 서비스 제공을 종료할 서비스를 제외하고, 식별된 서비스들 중 서비스 제공을 개시할 서비스를 추가한 서비스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순위는,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 각각의 자원(resource) 요구사항 및 시간 지연(latency)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또는 단말과 연결된 3GPP 네트워크 엔티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edge data network configuration server)가,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edge data network)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제공중인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계층적 구조를 갖는 복수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재배치하는 장치는, 통신부;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재배치 여부를 판단하고, 재배치 여부 판단에 기초하여,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을 결정하고,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우선순위 또는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재배치 대상 서비스 및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결정하고,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고,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와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계층(hierarchy)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우선순위 확인 결과,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서비스를 재배치 대상 서비스로 결정하고,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하위 계층에 존재하는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에서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의 개수를 판단하고, 판단된 단말의 개수와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판단된 단말의 개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결정하고, 소정의 임계값은,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단말의 최대 개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순위 확인 결과,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서비스를 재배치 대상 서비스로 결정하고,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가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의 개수를 판단하고, 판단된 단말의 개수와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판단된 단말의 개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보다 높은 계층에 존재하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결정하고, 상기 소정의 임계값은,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단말의 최대 개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 중 재배치 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경우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보다 높은 계층에 포함되고,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 중 재배치 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경우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보다 낮은 계층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제공중인 서비스들을 식별하고,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은, 식별된 서비스들 중 서비스 제공을 종료할 서비스를 제외하고, 상기 식별된 서비스들 중 서비스 제공을 개시할 서비스를 추가한 서비스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순위는,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 각각의 자원(resource) 요구사항 및 시간 지연(latency)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또는 단말과 연결된 3GPP 네트워크 엔티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MEC(multi-access edge computing) 기반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도 1a 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엣지 컴퓨팅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 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들이 계층적 구조를 갖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가 재배치되는 상황에서,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개시의 일 실시에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 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재배치하는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서비스를 재배치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a 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재배치하는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b 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서비스가 재배치된 경우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재배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및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재배치하는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0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및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재배치하는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은 단말(terminal)(100),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200),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 서비스 서버(service server)(400), 및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네트워크 환경(10)이 포함하는 구성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환경(1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 각각은 물리적인 객체(entity) 단위를 의미하거나, 개별적인 기능(function)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모듈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환경(1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는 엔티티(entitiy)로 불릴 수도 있고, 펑션(function)으로 불릴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UE, user equipment),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모든 타입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application client)들을 구동(또는,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제 1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application client)(111) 및 제 2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들은 단말(100)의 데이터 전송 속도, 지연 시간(또는 속도)(latency), 신뢰성(reliability), 네트워크에 접속(access)된 단말(100)의 수, 단말(100)의 네트워크 접속 주기, 또는 평균 데이터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를 요구(require)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는, 예를 들어,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또는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는 단말(100)에 미리 설치된 기본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 3자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특정 응용 서비스를 위하여 단말(100) 내에서 구동되는 클라이언트(client)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100) 내에는 여러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들이 구동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edge data network, 300)로부터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단말(100)에게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는 단말(100)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는, 하나 이상의 특정 엣지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제공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단말(100)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또는, 모듈)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1, 112)는 요구되는 네트워크 서비스 타입에 기반하여 서비스 서버(400)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거나, 또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와 엣지 컴퓨팅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1)가 낮은 지연 시간을 요구하지 않으면, 제 1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1)는 서비스 서버(400)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2)가 낮은 지연 시간을 요구하면, 제 2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2)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와 MEC 기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100)은 지연 시간 이외의 다양한 조건에 기초하여 서비스 서버(400) 또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application client)는, UE 애플리케이션(UE App),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client application, Client App), UE 애플리케이션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는, 편의를 위해,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는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로 지칭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은 엣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edge enabler client)(120), 및 3GPP 통신 레이어(3GPP communication layer,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120)는 단말(100)이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단말(100) 내 동작을 수행하는 레이어(layer)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120)는 MEL(MEC enabling layer)로도 지칭될 수 있다. 엣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120)는 어떤 UE App이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에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의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연결해주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엣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120)는 단말(100)이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데이터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동작을 3GPP 통신 레이어(130)와 수행할 수 있다. 3GPP 통신 레이어(130)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모뎀 동작을 수행하는 레이어를 의미할 수 있으며,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연결을 수립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에 단말(100)을 등록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을 수립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3GPP 네트워크(200)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표준 규격에 따르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단말(100)과 연결되어 단말(100)에게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3GPP 네트워크(200)는 3G(3rd generation) 네트워크, LTE 네트워크, LTE-A 네트워크, 차세대 네트워크(5G 또는 NR)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3GPP 네트워크(200)는 다른 통신 기술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3GPP 네트워크(200)는 RAN(radio access network)(210)과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220)를 포함할 수 있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3GPP 네트워크(200)의 RAN(210)은 단말(100)과 직접 연결되는 네트워크로서, 단말(100)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이다. RAN(210)은 복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기지국들은 상호 간 형성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 간 인터페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유선이거나 무선일 수 있다. 기지국은 gNode B, eNode B, Node B, BS (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네트워크 상의 노드,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3GPP 네트워크(200)의 코어 네트워크(220)는, RAN(210)을 통해 송수신되는 단말(100)에 대한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220)는 사용자 플랜(user plane) 및 제어 플랜(control plane)의 제어, 이동성(mobility)의 처리, 가입자 정보의 관리, 과금, 다른 종류의 시스템(예: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과의 연동 등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220)는 서로 다른 NF(network function)들을 가진 기능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객체(entity)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220)는, UPF(user plane function)(221),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미도시),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미도시), PCF(policy control function)(미도시), NEF(network exposure function)(225), UDM(user data management)(미도시), NWDAF(network data analysis function)(미도시), 및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미도시) 를 포함할 수 있다.
UPF(221)는 단말(100)과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 사이의 데이터 통로(또는, 데이터 평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UPF(221)는 단말이 송수신하는 데이터(또는, 데이터 패킷)를 전달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100)과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는 UPF(221)를 통해 서로 데이터(또는 데이터 패킷)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와 UPF(221) 사이에는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DN)가 존재할 수 있다. UPF(221)는 단말(100)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 가까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단말(100)의 데이터 패킷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로 저지연으로 전달하거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의 데이터 패킷을 단말(100)에게 저지연으로 전달할 수 있다.
UPF(221)는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이용해 단말(100)과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 사이의 데이터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UPF(221)는 단말(100)이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 중 인터넷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데이터 패킷은, 서비스 서버(400)와 단말(100) 사이의 데이터 네트워크로 라우팅(routing)할 수 있다.
NEF(225)는 3GPP 네트워크(200)의 NF들의 기능(capability) 및 서비스(service)를 외부로 노출(exposure)하는 NF이다. NEF(225)는 외부 서버(예를 들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와 연결되어, 3GPP 네트워크(200) 내부의 NF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달하거나, 외부 서버가 요청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내부 NF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NEF(225)가 외부로 노출하는 기능 및 서비스는, 예를 들어, 단말(100)의 위치 관련 이벤트 보고(event reporting), 단말(100)의 세션(session) 관련 이벤트 보고, 단말(100)의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이벤트 보고 등이 있을 수 있다. 외부 서버는, NEF(225)가 노출하는 기능 및 서비스를 구독(subscription)하여, 해당 기능 및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는 단말(100)이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는, 단말(100)이 연결된 3GPP 네트워크(200)의 기지국의 내부 또는 기지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서비스 서버(400)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EC는 multi-access edge computing 또는 mobile-edge computing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는, MEC 서버(server), MEC 호스트(host), 엣지 컴퓨팅 서버(edge computing server), 모바일 엣지 호스트(mobile edge host), 엣지 컴퓨팅 플랫폼(edge computing platform)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는 복수의 엣지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고 실행(또는,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는 제 1 엣지 애플리케이션(edge application)(311) 및 제 2 엣지 애플리케이션(312)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애플리케이션은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 내 제 3자가 제공하는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엣지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와 데이터 세션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엣지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와 데이터 세션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세션은,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와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의 엣지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는 엣지 애플리케이션에게 가상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 자원은 예를 들어, 엣지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할 수 있는 컴퓨팅 자원(computing resource), 스토리지 자원(storage resource), 또는 네트워크 자원(예를 들어, 네트워크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의 엣지 애플리케이션은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으로 실행(또는, 구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의 애플리케이션은, 엣지 애플리케이션(edge application), MEC 애플리케이션(MEC App), 엣지 애플리케이션 서버(edge application server), ME(MEC) App 및 엣지 애플리케이션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는, 편의를 위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의 애플리케이션은 엣지 애플리케이션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는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edge enabler server, 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는 MEC 플랫폼(mobile edge computing platform), ME 플랫폼(mobile edge platform, MEP), 플랫폼(platform)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는 엣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요구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는 엣지 애플리케이션이 단말(100) 등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엣지 애플리케이션이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사용(consume)할 수 있도록 기능 또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는 트래픽 제어(traffic control)를 수행하거나, DNS(Domain Name System) 핸들링(DNS handl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컴퓨팅 서비스는 엣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 및 정보 관련 서비스를 통칭할 수 있다. 엣지 컴퓨팅 서비스는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 또는 엣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provide)되거나 사용(consume)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엣지 애플리케이션은 단말(100)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단말(100)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가 제공하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는 엣지 애플리케이션이 단말(100)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엣지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엣지 컴퓨팅 서비스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 내지는 엣지 애플리케이션이 단말(100)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또는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에 의해 제공되고 엣지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는 엣지 애플리케이션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는 제공하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에 따라, 엣지 애플리케이션에게 각종 정보(데이터, 컨텐츠 등으로, 예를 들어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 캐싱 데이터, 구독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엣지 애플리케이션은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가 제공하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사용하여 단말(100)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엣지 애플리케이션은,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가 엣지 컴퓨팅 서비스로서 제공한 정보들에 기초하여 단말(100)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100)에게 제공되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는 단말(100)이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서비스(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구동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제공)일 수 있다. 이하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가 단말(100)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의 엣지 애플리케이션이 단말(100)이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지칭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는 MEC 서비스(330) 및 서비스 레지스트리(service registry, 340)를 포함할 수 있다. MEC 서비스(330)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에 포함된 엣지 애플리케이션들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MEC 서비스(330)는 개별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 레지스트리(340)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에서 이용 가능한 엣지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는 엣지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가 생성(instantiation)되는 경우, 엣지 애플리케이션을 내부적으로 등록할 수 있다.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는 엣지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고, 엣지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가 저장하는 엣지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는, 엣지 애플리케이션이 단말(100) 등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정보, 엣지 컴퓨팅 서비스가 엣지 애플리케이션에게 필요한(required) 서비스인지 옵션적인(optional) 서비스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애플리케이션은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에 새로운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등록(service registration) 또는 이미 등록된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업데이트하거나,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에 등록된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다. 엣지 애플리케이션은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에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등록 또는 업데이트하면서, 등록 또는 업데이트하고자 하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서비스 레지스트리(340)에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 내의 엣지 애플리케이션에게 서비스 레지스트리(340)에 등록된 엣지 컴퓨팅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는 서비스 레지스트리(340)에 등록된 엣지 컴퓨팅 서비스들에 대한 목록을 엣지 애플리케이션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는 서비스 레지스트리(340)에 등록된 또는 새로이 등록되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들의 사용 가능 여부(availability)에 대한 정보를 엣지 애플리케이션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레지스트리(340)에 등록된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구독(subscription)할 수 있다. 엣지 애플리케이션은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구독 요청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구독할 수 있다. 엣지 애플리케이션이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구독하는 것은, 엣지 컴퓨팅 서비스 또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로부터 지속적으로 제공 받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400) 는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100)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1, 112)는 요구되는 네트워크 서비스 타입에 기반하여 서비스 서버(400)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1)가 낮은 지연 시간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1)는 서비스 서버(400)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100)은 지연 시간 이외의 다양한 조건에 기초하여 서비스 서버(400) 또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400)는 단말(100)이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를 구동(또는, 실행)하는데 필요한 서비스 또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엣지 애플리케이션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400)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에게 단말(100)이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를 구동(또는, 실행)하는데 필요한 서비스 또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400)는 단말(100)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사업자에 의하여 운용, 또는 관리될 수 있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단말(100)이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와 연결하기 위한 지원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단말(100)이 엣지 컴퓨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초기 접속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들의 배치(deployment)를 알고 있을 수 있으며, 단말(100)은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에 접속하여 엣지 컴퓨팅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구성 정보, 예를 들어 특정 위치에서 접속해야 하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엣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120)에 제공(provisioning)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정보는 단말(100)이 서비스 영역 정보(소정의 영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등)를 이용하여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에 접속(connect)하기 위한 정보 및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와 접속을 설정(establish)하기 위한 정보(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관리 서버(edge data network management server), 엣지 구성 서버(edge configuration server), 구성 서버(configuration server)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MEPM(mobile edge platform manager) 또는 MEO(multi-access edge orchestrato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MMP(MEC management proxy) 서버 또는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b 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다.
도 1b 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환경(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 각각은 물리적인 객체(entity) 단위를 의미하거나, 개별적인 기능(function)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모듈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환경(20)은 전자 장치(100), MEC 시스템, 인터넷(900) 및 리모트 서버(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 1b의 전자 장치(100)는 도 1a의 단말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1b의 MEC 시스템은 도 1a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및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b의 인터넷(900)은 도 1a의 3GPP 네트워크의 UPF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도 1b의 리모트 서버(400)는 도 1a의 서비스 서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클라이언트 App(111), 제2 클라이언트 App(112), 엣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또는, 디바이스 App이라 한다.)(12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 App(111) 및 제2 클라이언트 App(112)은 전자 장치(100)에 미리 설치된 기본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 3자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엣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120)는 MSA 및 MSE의 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엣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120)는 MEL(MEC enabling layer)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는 전자 장치(100)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통신 회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EC 시스템은, MMP(MEC management proxy)(600), OSS(operations support system)(700), 오케스트레이터(orchestrator)(500), MEP(MEC platform) 매니저(800), 제1 MEC 엣지 호스트(또는, MEC 서버라 한다.)(301) 또는 제2 MEC 엣지 호스트(30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에 개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전자 장치(100)는 MEC 엣지 호스트(예: 제1 MEC 엣지 호스트(301) 또는 제2 MEC 엣지 호스트(302)) 또는 MMP(300) 사이에 배치되는 엑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MP는 라이프 사이클 관리 프록시(life cycle management proxy)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MEC 엣지 호스트(301)는 제1 MEC App(311), 제2 MEC App(312), MEP(320) 및 데이터 평면(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MEC 엣지 호스트(302)는 제1 MEC 엣지 호스트(301)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20)에서, MEC 사용자 평면(user plane)은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0)의 애플리케이션들(예: 제1 클라이언트 App(111) 또는 제2 클라이언트 App(112)) 및 제1 MEC 엣지 호스트(301)에 설치된 MEC 애플리케이션들(예: 제1 MEC App(311) 또는 제2 MEC App(312)) 간 사용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경로(path)(예: 데이터 경로(200-2))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EC 제어 평면(control plane)은 사용자 평면 상에서 송수신되는 사용자 데이터 패킷을 위한 MEC 시스템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경로(예: 제어 경로(200-1))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 App(120)과 MMP(600) 간에 연동하는 제어 경로(예: MEC 제어 평면)에서, 인증(authentication), 권한(authorization) 부여, 및 디스커버리(discovery)에 관한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커버리 이후, 전자 장치(100)의 UE 애플리케이션들(예: 제1 클라이언트 App(111) 또는 제2 클라이언트 App(112))과, 제1 MEC 엣지 호스트(301)의 MEC 애플리케이션들(예: 제1 MEC App(311) 또는 제2 MEC App(312))간에 데이터 경로(예: MEC 사용자 평면)를 통해, 엣지 컴퓨팅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된 MEC 데이터 평면은 도 1b의 데이터 평면(330)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EC 시스템은, 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에 배치되고, MEC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에 이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MEC 시스템은 MMP(600), OSS(700), 오케스트레이터(500), MEP 매니저(500), 및 MEC 엣지 호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EC 엣지 호스트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MEC 엣지 호스트는 제1 MEC 엣지 호스트(301) 또는 제2 MEC 엣지 호스트(30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MP(600)는 일종의 서버로서,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예: 전자 장치(100))에 엣지 컴퓨팅 시스템(예: MEC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참조: ETSI MEC 016 표준 참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MMP(600)에게 MEC 시스템이 제공 가능한 애플리케이션(들)에 관한 정보(예: 가용 애플리케이션 목록)를 요청할 수 있고, MEC 시스템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예: context creation) 및 중지 요청(예: context termination)을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MMP(600)는 MEC 시스템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예: 제1 MEC App(311), 제2 MEC App(312), ...)의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MP(600)는 전자 장치(110)의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을 MEC 시스템(예: OSS(700) 및 오케스트레이터(500))에게 전달하여, MEC 시스템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예: 제1 MEC App(311), 제2 MEC App(312), ...)의 라이프 사이클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OSS(700)는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화(instantiation)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료(termination)를 승인(grant)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의 집합일 수 있으며, 인스턴스화는 MEC 엣지 호스트(예: 제1 MEC 엣지 호스트(301), 제2 MEC 엣지 호스트(302))의 프로세서가 인스턴스를 통해 MEC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케스트레이터(500)는 이용 가능한 자원(resource), 이용 가능한 엣지 컴퓨팅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규칙(rule) 및 요구사항(requirement), 운영자(operator)의 정책, 또는 토폴로지(topology)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MEC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의 전반적인 기능을 관리 및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케스트레이터(500)는 전자 장치(100)의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MEC 엣지 호스트(예: 도 1b의 제1 MEC 엣지 호스트(301) 또는 제2 MEC 엣지 호스트(302))를 선택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화의 트리거링(triggering) 또는 종료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케스트레이터(500)는 MEO(Mobile Edge Orchestrator)라고 불릴 수 있으며, MEAO(MEC Application Orchestrator,미도시) 및 NFVO(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Orchestrator,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EP 매니저(800)는 애플리케이션의 규칙, 요구사항, 서비스 승인, 또는 트래픽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MEC 엣지 호스트(301)는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들(예: 제1 클라이언트 App(111), 제2 클라이언트 App(112), ...)과 각각 데이터 세션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MEC 애플리케이션들(예: 제1 MEC 애플리케이션(301), 제2 MEC 애플리케이션(3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MEC 엣지 호스트(301)는 MEP(320)를 포함할 수 있다. MEP(320)는 MEP 매니저(800)로부터 트래픽 규칙을 수신하고, MEC 사용자 평면 상에서 트래픽 규칙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MEC 서비스 모듈(또는 MEC 서비스 레이어)과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MEL 서버는, 전자 장치(100) 또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예: 도 1b의 제1 MEC 엣지 호스트(301) 또는 제2 MEC 엣지 호스트(30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디바이스 App(120)이 MEL을 의미할 수 있고, MEL은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MEL 서버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도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MEL 서버 내부의 정보 및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App과 관련된 정보가, 하나 또는 분산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저장될 수 있다. 다만, 상술된 정보가 저장된 하나 또는 분산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과정이 추가됨으로써, 전자 장치(100)의 클라이언트 App 실행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EP(320)는 MEC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트래픽 제어(traffic control)를 수행하거나, DNS 핸들링(DNS handl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MEC 서비스는 MEC 애플리케이션들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 및 정보 관련 서비스를 통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MEC 엣지 호스트(301)와 데이터 경로(200-2)를 형성하고, 인터넷(900)과 연결됨으로써, 리모트 서버(4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리모트 서버(400)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 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들이 계층적 구조를 갖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계층적 구조를 갖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조(200)는 제 1 계층(Tier 1)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 제 2 계층(Tier 2)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 303), 제 3 계층(Tier 3)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4, 305, 306, 307), 및 단말(101, 102, 103, 10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네트워크 구조(200)가 포함하는 구성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직방향으로 계층이 확장되거나 수평방향으로 하위 계층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개수가 확장될 수 있다. 또한, 각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개수는 해당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가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정의 지역의 특징, 지역 내 사용자 특징 또는 사용자들의 서비스 요청 패턴 등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개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전체 네트워크 시스템의 CU(Cloud Unit) 또는 중앙 집중국에 위치할 수 있고, 제 2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DU(Distributed Unit) 또는 AU(Access Unit)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3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셀 사이트 또는 RU(Radio Unit)에 위치할 수 있다 .
일 실시에에 따르면, 제 1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통신사 네트워크의 센터 클라우드에 위치할 수 있고, 제 2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교환국 또는 전국 망을 구성하는 주요 거점 지역의 국사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3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셀 사이트 또는 B2B, B2C 서비스 제공을 위한 온-사이트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 따르면, 제 4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미도시)는 건물 안의 중계기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엣지 컴퓨팅 서비스가 재배치되는 상황에서,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컴퓨팅 서비스의 재배치는 소정의 재배치 사유가 발생한 경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에서 단말(100)로 제공되던 서비스를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에서 제공되도록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100)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application context)(또는,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를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의 엣지 애플리케이션(311)(즉, 소스 엣지 애플리케이션)에서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의 엣지 에플리케이션(313)(즉, 타겟 엣지 애플리케이션)으로 재배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컴퓨팅 서비스의 재배치는 일종의 서비스 핸드오버에 해당할 수 있으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에서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로 서비스 재배치가 이루어지고 난 후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는 다른 단말을 위해 계속해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제 1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1) 및 제 2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2)를 실행(또는, 구동)할 수 있다. 단말(100)은, 제 1 RAN(230)과 제 1 UPF(241)를 통해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 내지는 제 1 엣지 애플리케이션(311)과 제 1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1)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코어 네트워크(240)는 제 1 RAN(230) 및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와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이다. 제 1 코어 네트워크(240)는 제 1 UPF(241) 및 제 1 NEF(24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UPF(241)는 단말(100)과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 사이의 데이터 통로(또는, 데이터 평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 1 UPF(241)는 단말(100)이 송수신하는 데이터(또는, 데이터 패킷)를 전달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NEF(245)는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와 연결되어, 3GPP 네트워크 내부의 NF(network function)로부터 발생한 이벤트나 정보를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로 전달하거나,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가 요청하는 이벤트나 정보를 내부 NF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는 단말(100)과 연결되어, 단말(100)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가 제공하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 는, 단말(100) 내지는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가 제공하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는, 드론(drone) 제어 서비스, AR(augmented reality) 컨텐츠 제공 서비스, VR(virtual reality) 컨텐츠 제공 서비스, 게임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송 컨텐츠 제공 서비스, 고용량 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 AI 연산(이미지 객체 인식 또는 언어 인식) 서비스 또는 자율 주행 정보 제공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는 복수의 엣지 애플리케이션(제 1 엣지 애플리케이션(311), 제 2 엣지 애플리케이션(312))을 실행할 수 있으며,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의 구성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엣지 애플리케이션(311)은 단말(100)의 제 1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1)와 데이터 세션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엣지 애플리케이션(311)은 제 1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1)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엣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가 단말(100)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또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의 엣지 애플리케이션(예: 제 1 엣지 애플리케이션(311))이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예: 제 1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1))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또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는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는 단말(100) 또는 단말(100)과 연결된 3GPP 네트워크 엔티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100)의 위치 정보는,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현재 위치에서 통신하고 있는 기지국에 대한 정보,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 위치 변화에 대한 정보,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는 단말(100)에게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단말(100)로부터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단말(100)의 위치 정보는 단말(100)이 GPS(Global Positioning Service)를 통해 획득한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단말(100)이 전송하는 단말(100)의 위치 정보는, 제 1 RAN(230)과 제 1 UPF(241)를 통해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는 단말(100)과 연결된 3GPP 네트워크의 엔티티(entity)로부터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는 단말(100)과 연결된 3GPP 네트워크의 제 1 NEF(245)가 노출하는 단말(100)의 위치와 관련된 이벤트(예를 들어, 단말의 현재 위치, 위치 변화, 특정한 상황에서의 단말의 위치 등) 보고(event reporting)에 대한 구독(subscribe)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 1 NEF(245)로부터 단말(100)의 위치와 관련된 이벤트에 대한 보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100)의 위치와 관련된 이벤트는, 3GPP 네트워크(200)의 AMF(222) 또는 GMLC(228)에 의해 검출되는 단말(100)의 위치와 관련된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의 위치와 관련된 이벤트에 대한 보고 메시지는, 단말(100)의 위치 정보로서 단말(100)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단말(100)이 위치한 지역에 대한 정보, 단말(100)이 연결된 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은,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의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가 제공하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예를 들어, 단말(100) 등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서비스)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가 획득하는 단말(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제 1 NEF(245)로부터 수신한 단말(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조합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에서 제공중인 엣지 컴퓨팅 서비스들의 우선순위와 각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공중인 엣지 컴퓨팅 서비스들 중 일부를 상위 계층의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미도시) 또는 하위 계층의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로 재배치(relocate)할 수 있다. 여기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정보(예: 소정의 영역에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등)를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단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의 재배치가 수행된 이후에, 단말(1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이다.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는 제 2 RAN(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말(1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가 단말(100)에게 서비스 제공을 시작한 이후라도,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은 다른 단말에게 계속해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재배치 여부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재배치할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선택하는 구체적인 방법,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 및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재배치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는 복수의 엣지 애플리케이션(제3 엣지 애플리케이션(313), 제4 엣지 애플리케이션(314))를 실행할 수 있으며,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의 구성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의 엣지 애플리케이션들은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들과 데이터 세션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코어 네트워크(260)는 제 2 RAN(250) 및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와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이다. 제 2 코어 네트워크(260)는 제 2 UPF(26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UPF(261)는 핸드오버가 수행된 이후, 단말(100)과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 사이의 데이터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 는, 본 개시의 일 실시에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단말로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말(100),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 및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은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 및 엣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120)등을 포함할 수 있고,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는 엣지 애플리케이션(310) 및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MMP 서버 또는 DNS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를 참조하여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단말로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단말로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엣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410),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420) 및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엣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410)는,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 단계(411), app 컨텍스트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412), 및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선택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413)를 포함할 수 있다.
411 단계에서, 단말(100)은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를 실행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는 단말(100)이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는 드론(drone) 제어 서비스, AR(augmented reality) 컨텐츠 제공 서비스, VR(virtual reality) 컨텐츠 제공 서비스, 게임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송 컨텐츠 제공 서비스, 고용량 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 AI 연산(이미지 객체 인식 또는 언어 인식) 서비스 또는 자율 주행 정보 제공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이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를 실행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는 엣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120)에게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가 실행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엣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120)가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의 실행을 감지할 수 있다(미도시).
412 단계에서, 단말(100) 및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 는 app 컨텍스트(app context 또는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App 컨텍스트의 생성은, 사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에 참여(join)하거나,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인스턴스화(instantiate)하도록 요청하는 절차이다. App 컨텍스트 생성은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화 과정의 일부로, 엣지 시스템은 관련된 app 컨텍스트를 생성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수명(lifetime)을 유지하고,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pp 컨텍스트는 엣지 시스템 내에서의 고유 식별자(id) 및 엣지 시스템 외부의 클라이언트가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제공한 주소(URI)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 고유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pp 컨텍스트 는 엣지 시스템에서 유효한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에 대한 정보로,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를 식별하고, 라이프 사이클 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과 연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에 대한 참조 데이터 세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pp 컨텍스트는 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MEC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의 식별자(identifier, ID) 정보, 단말(100)의 이동성과 관련된 정보,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사이클 정보, 단말(100)의 상태에 관한 정보, 센서에 의하여 획득된 정보, 또는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엣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120)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에게 app 컨텍스트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단말(100)로부터 전달된 app 컨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app 컨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500)는 단말(100)로부터 엣지 애플리케이션의 주소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애플리케이션의 주소 정보 요청 메시지는, 단말(100)이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와 관련된 app 컨텍스트 생성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또는, MMP(MEC management proxy))에게 전송한 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가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에게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와 대응하는 엣지 애플리케이션의 배포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된 app 컨텍스트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주소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 또는 엣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120)에서도 app 컨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엣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120)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로 생성된 app 컨텍스트를 전달할 수 있다.
413 단계에서, 엣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110)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120)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에게,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로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선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선택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단말(100)에 대한 정보 ,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의 선호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관련된 정보, 단말(100)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에 대한 정보는 단말(100)의 위치, 단말(100)의 서비스 요구사항(requirements)/환경설정(preference), 또는 단말(100)의 접속성(connectivity)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단말(100)로부터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선택 요청이 없더라도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새로운 서비스의 제공 개시, 제공중인 서비스의 종료, 단말의 이동 등)가 발생한 경우, 또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선택 이후 소정의 주기가 경과한 경우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42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선택 요청(413)에 응답하여, app 컨텍스트 및 네트워크 소정의 기준에 기초하여 최적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엣지 컴퓨팅 서비스는 중앙 집중식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발생하는 시간 지연, 자원 제한 및 보안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복수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단말과 가까이 위치 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시간 지연을 줄이고 자원 이용을 분산시키는 기술이다. 이 때, 복수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평면적으로 배치하는 것 보다 도 2 와 같이 계층적으로 배치할 경우, 보다 효율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의 운영이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과 물리적으로 가장 가까이에 배치된 제 3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4)가 단말(101)로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해당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간 지연은 가장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하위 계층의 서버일수록 컴퓨팅 자원(컴퓨팅 파워 또는 서버 자원이라고도 한다.)은 상대적으로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즉시성이 중요한 서비스, 예를 들어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이나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등의 서비스는 하위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것이 가장 최선의 선택일 수 있다.
반면, 단말과 물리적으로 가장 멀리 배치된 제 1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가 단말(101)로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해당 엣지 컴퓨팅 서비스의 시간 지연은 가장 클 수 있지만, 충분한 컴퓨팅 자원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충분한 컴퓨팅 자원이 필요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학습 모델 생성 등의 서비스, 또는 안전성이 중요한 자율주행 자동차나 드론 제어 등의 서비스는 가급적 상위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자율주행 자동차 또는 드론 제어 서비스의 경우 시간 지연이 치명적인 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즉시성 역시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안전성이 중요한 서비스들이라 하더라도 상위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해당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것이 항상 최선의 선택이 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7 내지 도 11에서 후술한다.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430)는, app 컨텍스트를 할당하는 단계(431),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요청하는 단계(432),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433 내지 435), 제어 세션을 형성하는 단계(436), 데이터 세션을 형성하는 단계(437),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438)를 포함할 수 있다.
431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app 컨텍스트를 할당(allocate)할 수 있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생성된 app 컨텍스트 또는 단말(100)로부터 전달된 app 컨텍스트를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에게 할당 할 수 있다.
즉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선택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로 app 컨텍스트를 할당함으로써 단말(100)로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생성된 app 컨텍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app 컨텍스트 할당 메시지를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에게 전송함으로써 선택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0)가 app 컨텍스트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100)로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432 단계에서,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는 엣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10)로 엣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10)는 엣지 호스팅 환경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클라우드에서 서버 기능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10)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 로부터 할당 된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에 대한 app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에 대응하는 엣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433 단계 내지 435 단계에서, 엣지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로 전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게 배포된 엣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10)의 주소 정보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엣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10)의 주소 정보는, IP(Internet Protocol),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 형식으로 지시될 수 있다.
433 단계에서,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는 엣지 애플리케이션 서버(310)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로 전달할 수 있다.
434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로부터 전달된 엣지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엣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120)로 전달 할 수 있다.
435 단계에서, 엣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120)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로부터 전달된 엣지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로 전달할 수 있다.
436 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는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어 세션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는 대응하는 엣지 애플리케이션(310)과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어 세션을 형성할 수 있다.
437 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는 데이터 세션을 위한 데이터 소켓을 요청하고, 데이터 소켓은 데이터 소켓은 주어진 네트워크 프로토콜 정책에 따라 데이터 세션을 형성할 수 있다.
438 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 및 엣지 애플리케이션(310)은 엣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는 형성된 데이터 세션을 통하여 엣지 애플리케이션(31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형성된 데이터 세션을 통하여,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110)는 엣지 애플리케이션(310)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 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재배치하는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도 5 에 대한 설명에서, 도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 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말(100),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 및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은 단수의 대상을 의미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소스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복수의 대상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소스 데이터 네트워크의 데이터 제공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의미할 수 있으며, 또는 소스 데이터 네트워크의 데이터 제공 영역에 존재하던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510 단계에서, 소스 데이터 네트워크(301)는 단말(100)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510 단계의 서비스 제공은 도 4 에 도시된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말(100)과 소스 데이터 네트워크(301)가 각 서비스에 대하여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410),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420)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430)를 거쳐, 성공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52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서비스 재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재배치는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에서 단말(100)로 제공되던 서비스를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에서 제공되도록 변경하는 것으로, 소정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 서비스 재배치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재배치 여부 판단은 단말(100)이 서비스 재배치를 요청하거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 302)가 서비스 재배치를 요청하거나, 단말(100)이 이동하여 핸드오버가 일어나거나, 단말(100)로부터 새로운 서비스의 제공요청 또는 제공 중이던 서비스의 종료 요청이 있거나, 별도의 요청이 없더라도 서비스 배치 이후 소정 주기의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등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새로운 서비스의 제공 요청은 소스 데이터 네트워크의 데이터 제공 영역에 존재하는 단말이 새로운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또는 다른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던 단말이 이동하여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서비스의 종료 요청은 소스 데이터 네트워크의 데이터 제공영역에 존재하는 단말이 제공받던 기존 서비스를 종료하는 경우 또는 소스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던 단말이 이동하여 다른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재배치 여부 판단은 이전의 서비스 배치 이후 소정 시간이 흐른 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서 주기적으로 서비스 재배치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520 단계에서 서비스를 재배치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53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은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가 모든 단말에게 제공하고 있던 서비스 중에서, 서비스 제공을 종료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를 제외하고, 서비스 제공을 개시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를 추가한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서비스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한다.
54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는 각 서비스들의 시간 지연(latency) 및 자원(resource)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은 도 8 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55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단말(100)로부터 직접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 외에도 단말(100)과 연결된 3GPP 네트워크 엔티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미도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의 위치 정보는,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현재 위치에서 통신하고 있는 기지국에 대한 정보,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위치 변화에 대한 정보,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단말(100)에게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단말(100)로부터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단말(100)의 위치 정보는 단말(100)이 GPS(Global Positioning Service)를 통해 획득한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단말(100)과 연결된 3GPP 네트워크의 엔티티(entity)로부터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단말(100)과 연결된 3GPP 네트워크의 NEF가 노출하는 단말(100)의 위치와 관련된 이벤트(예를 들어, 단말의 현재 위치, 위치 변화, 특정한 상황에서의 단말의 위치 등) 보고(event reporting)에 대한 구독(subscribe)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NEF로부터 단말(100)의 위치와 관련된 이벤트에 대한 보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100)의 위치와 관련된 이벤트는, 3GPP 네트워크의 AMF 또는 GMLC에 의해 검출되는 단말(100)의 위치와 관련된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은,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의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320)가 제공하는 엣지 컴퓨팅 서비스(예를 들어, 단말(100) 등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서비스)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가 획득하는 단말(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3GPP 네크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한 단말(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가 획득하는 단말(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3GPP 네크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한 단말(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가 획득하는 단말(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3GPP 네크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한 단말(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 와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조합한 정보일 수 있다.
56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의 우선순위 또는 단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재배치 대상 서비스 및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를 결정할 수 있다.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 및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7 내지 도 11에서 후술한다.
57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로 재배치 대상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580 단계에서,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는 단말(100)로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의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로 app 컨텍스트를 할당하고,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의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는 엣지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애플리케이션의 생성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가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의 엣지 인에이블러 서버로 app 컨텍스트를 전달할 수 있다.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하고,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단말(100)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100)과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는 전달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세션 및 데이터 세션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단말(100)과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 사이에 제어 세션 또는 데이터 세션이 이미 형성되어 있다면 이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로 단말(100)에 대한 서비스 제공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는 서비스 제공을 종료할 수 있다. 다만, 다른 단말이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로부터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면,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의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를 종료하지는 않는다.
이 때, 네트워크 설정에 따라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302)부터 단말(100)로 서비스 제공 개시 전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로부터 단말(100)로 서비스 제공 종료 (break-before-make)되거나,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로부터 단말(100)로 서비스 제공이 개시된 후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301)부터 단말(100)로 서비스 제공이 종료(make-before-break)될 수 있다.
이 때,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100)은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던 단말,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새로 제공 요청한 단말, 다른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받던 중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로 진입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서비스를 재배치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 6 에 대한 설명에서, 도 5 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61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서비스 재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재배치 여부 판단은 단말(100)이 서비스 재배치를 요청하거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 302)가 서비스 재배치를 요청하거나, 단말(100)이 이동하여 핸드오버가 일어나거나, 단말(100)로부터 새로운 서비스의 제공요청 또는 제공 중이던 서비스의 종료 요청이 있거나, 별도의 요청이 없더라도 서비스 배치 이후 소정 주기의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등에 수행될 수 있다.
62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는 서비스 재배치 여부를 반영하여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은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가 서비스 제공 영역 내의 모든 단말에게 제공하고 있던 서비스 중에서, 서비스 제공을 종료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를 제외하고, 서비스 제공을 개시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를 추가한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63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는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는 각 서비스들의 시간 지연(latency) 및 자원(resource)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은 도 8 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64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는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는 단말로부터 직접 또는 단말과 연결된 3GPP 네트워크 엔티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의 위치 정보는,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현재 위치에서 통신하고 있는 기지국에 대한 정보,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위치 변화에 대한 정보,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65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는 서비스 우선순위 또는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재배치 대상 서비스 및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결정할 수 있다.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 및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7 내지 도 11에서 후술한다.
66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는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재배치 대상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도 7a 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재배치하는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 1 단말(101), 제 2 단말(102), 제 1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 제 2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 tier N-1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3) 및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단말(101)은 제 1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의 서비스 영역(391) 내에 존재하고, 제 2 단말(102)은 제 2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의 서비스 영역(392) 내에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제 1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의 서비스 영역(391)에 존재하는 제 1 단말(101)이 제 1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A 를 제공받던 중(720), 제 2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의 서비스 영역(392)에 존재하는 제 2 단말(102)이 서비스 A 제공을 요청(730)한 경우를 가정한다.
제 2 단말(102)은 제 2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의 서비스 영역(392)에 존재하므로, 제 2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가 제 2 단말(102)로 서비스 A를 제공하는 경우 최저 시간 지연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제 2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의 엣지 애플리케이션이 모두 사용중이어서 새로운 서비스 A를 제공할 수 없거나, 제 2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로부터 서비스 A를 제공받는 단말의 수가 많아 더 이상의 단말에게 서비스 A를 제공할 유휴 자원이 부족하다면, 제 2 단말(102)은 제 2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로부터 서비스 A를 제공받을 수 없다. 이러한 경우,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제 2 단말(102)에게 서비스 A를 제공하기 위해 제 2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가 아닌 다른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A를 제공하도록 서비스를 재배치할 필요가 있다.
또는, 제 2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가 새로운 서비스 A를 제공할 수 있는 상황이라도, 서버 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A를 제공하도록 서비스를 배치할 수 있다.
제 2 단말(102)로부터 서비스 A 제공 요청을 수신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단말(101)과 제 2 단말(102)의 위치 확인 결과, 두 단말이 서로 다른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 모두로부터 가장 가까운 상위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인 tier N-1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3)를 서비스 A를 제공할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선택(750)할 수 있다.
Tier N-1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3)이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선택되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app 컨텍스트를 할당하고, 애플리케이션 생성 및 배포 메시지를 전달(미도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서비스 제공 과정은 도 4 에서 설명한 바와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3)에서 서비스 제공이 개시되면, 제 1 단말(101) 및 제 2 단말(102)은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3)로부터 서비스 A를 제공(760)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가 제 1 단말(101)에 서비스 A를 제공하고 제 2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가 제 2 단말(102)에 서비스 A를 제공하는 경우, 전체 유휴 자원은 제 2 엣지 애플리케이션(312), 제 4 엣지 애플리케이션(314), 제 5 엣지 애플리케이션(315) 및 제 6 엣지 애플리케이션이 된다.
반면, Tier N-1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3)가 제 5 엣지 애플리케이션(315)를 통해 제 1 단말(101) 및 제 2 단말(102)에 서비스 A를 제공하는 경우, 전체 유휴 자원은 제 1 엣지 애플리케이션(311), 제 2 엣지 애플리케이션(312), 제 3 엣지 애플리케이션(313), 제 4 엣지 애플리케이션(314), 및 제 6 엣지 애플리케이션이 된다.
이는, 유휴 애플리케이션의 개수가 늘어날 뿐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들이 선호하는 낮은 시간 지연을 보장할 수 있는 낮은 계층의 유휴 엣지 애플리케이션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이와 같은 유휴 자원을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활용하고, 운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A를 제공하더라도,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A 제공이 반드시 중단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만일 서비스 A가 낮은 시간 지연을 요구하는 서비스라면, 상위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서비스를 재배치함으로써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위 계층 또는 하위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서비스를 재배치할 때 서비스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A를 제공받는 다른 단말이 존재하거나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계속하여 서비스 A를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영역에 존재하는 단말이 낮은 latency를 요구하는 경우 등), 단말은 tier N 계층의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계속하여 서비스 A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b 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서비스가 재배치하는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b 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시스템은 도 7a와 마찬가지로 제 1 단말(101), 제 2 단말(102), 제 1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 제 2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 tier N-1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3) 및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말(101)은 제 1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의 서비스 영역(391) 내에 존재하고, 제 2 단말(102)은 제 2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의 서비스 영역(392) 내에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제 1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의 서비스 영역(391)에 존재하는 제 1 단말(101)은 서비스 A를 제공받기 위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500)로 서비스 A의 제공을 요청(710)한다.
이 때, 제 1 단말(101)은 제 1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의 서비스 영역(391)에 존재하므로, 제 1 단말(101)의 서비스 A 제공 요청은 제 1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를 통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500)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1)의 서비스 A 제공 요청은 제 1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를 통하지 않고 바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5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 1 단말(101)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을 획득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제 1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를 제 1 단말(101)에 서비스 A를 제공할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결정하고, 제 1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로 app 컨텍스트를 할당하고, 애플리케이션 생성 및 배포 메시지를 전달(미도시)하여 제 1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로부터 제 1 단말(101)로 서비스 A가 제공될 있도록 한다. 구체적인 서비스 제공 개시 프로세스는 도 4 에서 설명한 바와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단말(101)이 제 1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A 를 제공받던 중 제 2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의 서비스 영역(392)에 존재하는 제 2 단말(102)이 서비스 A 제공을 요청(730)하면, 서비스 A 제공 요청을 획득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제 1 단말(101) 및 제 2 단말(102)에 서비스 A를 제공하기 위한 최적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해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의 위치를 확인(740)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1)과 제 2 단말(102)의 위치 확인 결과, 두 단말이 서로 다른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 모두로부터 가장 가까운 상위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인 tier N-1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3)를 서비스 A를 제공할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선택(750)할 수 있다.
다만, 제 1 단말(101) 및 제 2 단말(102) 에게 서비스 A를 제공하기 위한 최적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가 선택(750)되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tier N-1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3)로 app 컨텍스트를 할당하고,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3)에서 서비스 제공이 개시되면, 애플리케이션 생성 및 배포 메시지를 전달(미도시)하여,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3)로부터 제 1 단말(101) 및 제 2 단말(102)로 서비스 A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재배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각각의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최소 시간 지연 요구사항 및 자원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서비스는 짧은 시간 지연을 요구할수록 또는 적은 자원을 요구할수록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위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일수록 상대적으로 자원이 풍부한 반면, 하위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일수록 상대적으로 자원이 부족하여 동시에 많은 개수의 서비스들을 제공하거나 높은 연산 성능을 요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들은 일반적으로 최소 자원 요구 사항이 만족된다는 전제하에 가급적 작은 시간 지연을 보장하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배치되거나, 최소 시간 지연 요구사항이 만족된다는 전제하에 가급적 많은 자원을 제공하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8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Tier N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제공중인 서비스 A, 서비스 B, 서비스 C 및 서비스 D의 최소 시간 지연 요구사항 및 자원 요구사항에 따른 우선순위 테이블을 나타낸다.
각 서비스의 최소 시간 지연 요구사항 및 자원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서비스 A, 서비스 B, 서비스 C 및 서비스 D의 순서로 우선순위(811)가 결정되고 서비스가 제공되던 중 새로운 서비스 E의 제공(배포)가 요청된 경우를 가정한다. 새로운 서비스 E는 최소 시간 지연 요구사항이 3ms, 자원 요구사항은 중간(mid)인 서비스이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는 기존에 제공중이던 서비스(811)에 새로 제공 요청된 서비스 E를 포함하여 서비스 A, 서비스 B, 서비스 C, 서비스 D 및 서비스 E를 재배치 후보 서비스(821)로 결정한다.
만일, 기존 서비스 C의 종료가 요청된 경우(미도시)라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는 기존에 제공중이던 서비스에서 종료 요청된 서비스 C를 제외하고 서비스 A, 서비스 B 및 서비스 D를 재배치 후보 서비스로 결정할 수 있다.
재배치 후보 서비스가 결정되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는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 사이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8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Tier N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재배치 후보 서비스인 서비스 A, 서비스 B, 서비스 C, 서비스 D 및 서비스 E의 최소 시간 지연 요구사항 및 자원 요구사항에 따른 우선순위 테이블을 나타낸다.
서비스 A, 서비스 B, 서비스 C, 서비스 D 및 서비스 E는 각 서비스의 최소 시간 지연 요구사항 및 자원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서비스 A, 서비스 B, 서비스 E, 서비스 C 및 서비스 D의 순서로 우선순위(821)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Tier N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가 모든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자원이 부족한 경우, Tier N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는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 중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서비스 D를 재배치 대상 서비스로 선택하고, 상위 계층인 Tier (N-1)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위 계층의 Tier (N+1)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1순위 서비스를 재배치해도 최소 자원 요구사항이 만족된다는 전제하에,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는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서비스 A를 재배치 대상 서비스로 결정하고, Tier (N+1)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결정할 수 있다(미도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는 각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서비스 재배치가 필요한 경우로 판단되면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서비스 재배치 여부의 판단이 필요한 경우 및 서비스 재배치가 필요한 경우는 도 5에서 전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및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재배치하는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9 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말(100), Tier N-1의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 Tier N의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 및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는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3)보다 하위 계층에 해당한다.
이하, 도 9 에 대한 설명에서, 도 5 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910 단계에서, 소스 데이터 네트워크(301)는 단말(100)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소스 데이터 네트워크(301)가 단말(100)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는 서비스 A를 포함할 수 있다.
92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서비스 재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920 단계에서 서비스를 재배치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93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을 결정할 수 있다.
94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95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단말(100)의 위치 정보는,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현재 위치에서 통신하고 있는 기지국에 대한 정보,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 위치 변화에 대한 정보,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96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서비스(서비스 A라 한다)를 재배치 대상 서비스로 결정할 수 있다.
97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인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의 서비스 영역에서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A 를 제공받고 있는 단말의 개수(N1)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N 계층의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는 N-1 계층의 소스 데이터 네트워크(301)보다 하위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의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중 하나를 의미한다.
98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에서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A 를 제공받고 있는 단말의 개수(N1)와 소정의 임계값 TH1_Tier N-1을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임계값 TH1_Tier N-1은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가 서비스 A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의 최대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비교 결과, N1이 TH1_Tier N-1보다 작지 않으면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에서 서비스 A를 제공할 자원의 여유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에서 단말(100)로 계속하여 서비스 A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N1이 TH1_Tier N-1보다 작으면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A를 제공할 자원의 여유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재배치 대상 서비스인 서비스 A를 제공할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로 결정할 수 있다.
99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로 서비스 A의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999 단계에서,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는 단말(100)로 서비스 A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및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재배치하는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말(100), Tier N의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 Tier N-1의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 및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는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3)보다 상위 계층에 해당한다.
이하, 도 10 에 대한 설명에서, 도 5 및 도 9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1010 단계에서, 소스 데이터 네트워크(301)는 단말(100)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소스 데이터 네트워크(301)가 단말(100)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는 서비스 B를 포함할 수 있다.
102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서비스 재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020 단계에서 서비스를 재배치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103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을 결정할 수 있다.
104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105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106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 중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서비스(서비스 B라 한다)를 재배치 대상 서비스로 결정할 수 있다.
107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가 서비스 B를 제공하고 있는 단말의 개수(N2)를 판단할 수 있다.
108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가 서비스 B를 제공하고 있는 단말의 개수(N2)와 소정의 임계값 TH2_Tier N을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임계값 TH2_Tier N은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가 서비스 B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의 최대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비교 결과, N2가 TH2_Tier N보다 크지 않으면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B를 제공할 자원의 여유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1)에서 단말(100)로 계속하여 서비스 B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N2가 TH2_Tier N보다 크면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B를 제공할 자원의 여유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상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재배치 대상 서비스인 서비스 B를 제공할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로 결정할 수 있다.
1090 단계에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로 서비스 B의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1099 단계에서,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302)는 단말(100)로 서비스 B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는 프로세서(1110), 통신부(1111), 메모리(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는 전술한 구성 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1110), 통신부(1111) 및 메모리(113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10)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가 동작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가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가 서비스 재배치에 따른 지연 또는 오류 없이 단말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1110)는 메모리(1130)에 저장된 복수의 인스트럭션들(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단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재배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10)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가 동작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는 복수의 인스트럭션들(또는,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복수의 인스트럭션(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500)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10)는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재배치 여부를 판단하고, 재배치 여부 판단에 기초하여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을 결정하고,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서비스들의 우선순위 또는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재배치 대상 서비스 및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결정하고, 타겟 엣지 네트워크에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와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계층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은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가 서비스 제공 영역 내의 모든 단말에게 제공하고 있던 서비스 중에서, 서비스 제공을 종료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를 제외하고, 서비스 제공을 개시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를 추가한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재배치 여부 판단은 단말이 서비스 재배치를 요청하거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가 서비스 재배치를 요청하거나, 단말이 이동하여 핸드오버가 일어나거나, 단말로부터 새로운 서비스의 제공요청 또는 제공 중이던 서비스의 종료 요청이 있거나, 별도의 요청이 없더라도 서비스 배치 이후 소정 주기의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등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10)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서비스를 재배치 대상 서비스로 결정하고,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하위 계층에 존재하는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에서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의 개수를 판단하고, 단말의 개수와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판단된 단말의 개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소정의 임계값은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단말의 최대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10)는 우선순위 확인 결과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서비스를 재배치 대상 서비스로 결정하고,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가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의 개수를 판단하고, 판단된 단말의 개수와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단말의 개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보다 높은 계층에 존재하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소정의 임계값은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단말의 최대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10)는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 중 재배치 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경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보다 높은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결정하고,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 중 재배치 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경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보다 낮은 계층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10)는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제공중인 서비스들을 식별할 수 있고, 이 때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은 서비스 제공을 종료할 서비스를 제외하고, 상기 식별된 서비스들 중 서비스 제공을 개시할 서비스를 추가한 서비스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순위는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 각각의 자원 요구사항 및 시간 지연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10)는 단말 또는 단말과 연결된 3GPP 네트워크 엔티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11)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단말(100)), 네트워크(예를 들어, 3GPP 네트워크), 서버(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400)), 또는 다른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11)가 송수신하는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1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통신부(1111)의 일 실시예일뿐이며, 통신부(1111)의 구성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1111)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1110)로 출력하고, 프로세서(11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111)는 프로세서(1110)의 제어에 따라, 단말(100), 3GPP 네트워크, 또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11)는 단말(100) 또는 3GPP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130)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의 동작에 필요한 복수의 인스트럭션들(또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30)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가 송수신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3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3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130)는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인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가 단말(100)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재배치하기 위한 복수의인스트럭션들(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130)는 단말 또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서비스 우선 순위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 상의 별도의 저장 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 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는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 및 신호 등의 매체를 전체적으로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본 개시에 따른 결정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메트릭에 기초하여, 누락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타이머의 길이를 설정하는 명령어로 구성된 소프트웨어 컴퓨터 시스템에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edge data network configuration server)가,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edge data network)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제공중인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계층적 구조를 갖는 복수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재배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재배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재배치 여부 판단에 기초하여,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 하는 단계;
    상기 우선순위 또는 상기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재배치 대상 서비스 및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상기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 하고,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와 상기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계층(hierarchy)에 포함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치 대상 서비스 및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 확인 결과,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서비스를 재배치 대상 서비스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하위 계층에 존재하는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의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의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단말의 개수와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판단된 단말의 개수가 상기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임계값은, 상기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단말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치 대상 서비스 및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 확인 결과,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서비스를 재배치 대상 서비스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가 상기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의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단말의 개수와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판단된 단말의 개수가 상기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보다 높은 계층에 존재하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임계값은,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상기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단말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 중 상기 재배치 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경우 상기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보다 높은 계층에 포함되고,
    상기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 중 상기 재배치 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경우 상기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보다 낮은 계층에 포함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들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은,
    상기 식별된 서비스들 중 서비스 제공을 종료할 서비스를 제외하고, 상기 식별된 서비스들 중 서비스 제공을 개시할 서비스를 추가한 서비스들인,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 각각의 자원(resource) 요구사항 및 시간 지연(latency)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또는 상기 단말과 연결된 3GPP 네트워크 엔티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8.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edge data network configuration server)가,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edge data network)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제공중인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계층적 구조를 갖는 복수의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재배치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재배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재배치 여부 판단에 기초하여,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을 결정하고,
    상기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우선순위 또는 상기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재배치 대상 서비스 및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상기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와 상기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계층(hierarchy)에 포함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우선순위 확인 결과,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서비스를 재배치 대상 서비스로 결정하고,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하위 계층에 존재하는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의 개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단말의 개수와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판단된 단말의 개수가 상기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결정하고,
    상기 소정의 임계값은, 상기 하위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단말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우선순위 확인 결과,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서비스를 재배치 대상 서비스로 결정하고,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가 상기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의 개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단말의 개수와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판단된 단말의 개수가 상기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보다 높은 계층에 존재하는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결정하고,
    상기 소정의 임계값은,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상기 재배치 대상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단말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 중 상기 재배치 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경우 상기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보다 높은 계층에 포함되고,
    상기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 중 상기 재배치 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경우 상기 타겟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는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보다 낮은 계층에 포함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엣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제공중인 서비스들을 식별하고,
    상기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은,
    상기 식별된 서비스들 중 서비스 제공을 종료할 서비스를 제외하고, 상기 식별된 서비스들 중 서비스 제공을 개시할 서비스를 추가한 서비스들인,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재배치 후보 서비스들 각각의 자원(resource) 요구사항 및 시간 지연(latency)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또는 상기 단말과 연결된 3GPP 네트워크 엔티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15. 제 1 항 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00012621A 2020-02-03 2020-02-03 엣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098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621A KR20210098724A (ko) 2020-02-03 2020-02-03 엣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7/162,726 US11445039B2 (en) 2020-02-03 2021-01-29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dge computing services
EP21751134.4A EP4055805A4 (en) 2020-02-03 2021-01-29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BOARD COMPUTER SERVICES
PCT/KR2021/001208 WO2021157963A1 (en) 2020-02-03 2021-01-29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dge computing services
CN202180012355.0A CN115039391A (zh) 2020-02-03 2021-01-29 用于提供边缘计算服务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621A KR20210098724A (ko) 2020-02-03 2020-02-03 엣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724A true KR20210098724A (ko) 2021-08-11

Family

ID=77061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621A KR20210098724A (ko) 2020-02-03 2020-02-03 엣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45039B2 (ko)
EP (1) EP4055805A4 (ko)
KR (1) KR20210098724A (ko)
CN (1) CN115039391A (ko)
WO (1) WO202115796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103A (ko) * 2021-11-22 2023-05-31 (유)동아하이테크 5g mec을 활용한 vru 자율 주행 지원 시스템
KR20230099983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케이티 서비스 배포 플랫폼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배포 방법
KR20230100901A (ko) 2021-12-29 2023-07-06 스트라토 주식회사 엣지 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7799B2 (en) * 2019-01-10 2021-01-05 Cisco Technology, Inc. SRv6 user-plane-based trigger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session or flow migration in mobile networks
CN110198363B (zh) * 2019-05-10 2021-05-18 深圳市腾讯计算机系统有限公司 一种移动边缘计算节点的选择方法、装置及系统
GB2588777B (en) * 2019-11-05 2022-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ulti-access edge computing
US20210266234A1 (en) * 2020-02-20 2021-08-26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Over The Top Access Framework and Distributed NFVI Architecture
US11723056B2 (en) * 2020-03-24 2023-08-08 Apple Inc. Efficient discovery of edge computing servers
CN117177266A (zh) * 2020-04-28 2023-12-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地址获取方法及装置
US11902337B2 (en) * 2020-05-07 2024-02-13 Tencent America LLC Methods for discovery of media capabilities of 5G edge
US11917478B2 (en) * 2020-07-31 2024-02-27 T-Mobile Usa, Inc. Dynamic cellular network selection for Edge-computing of an application
US11675576B2 (en) * 2021-04-26 2023-06-1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pplication deployment and optimization
CN113840293B (zh) * 2021-08-18 2023-04-18 华为技术有限公司 获取边缘服务的方法和装置
WO2023034392A1 (en) * 2021-08-31 2023-03-09 Intel Corporation Preferred app registration in mec dual deployment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072A (en) * 1996-03-26 1998-11-17 Ericsson Inc. Routing an incoming call to a ported mobile station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204262B1 (ko) * 1996-08-19 1999-06-15 이서봉 중합체 이온 전도막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55828B1 (ko) 2001-08-08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065978B2 (en) * 2005-12-19 2015-06-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for acquiring services on a multiplicity of devices
EP2237616A1 (en) * 2009-03-30 2010-10-06 Alcatel Lucent Method of performing an intra-segment handover
US20120124193A1 (en) * 2010-11-12 2012-05-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dentification of Critical Web Services and their Dynamic Optimal Relocation
US9380623B2 (en) * 2011-12-20 2016-06-28 Lg Electronics Inc. Network-initiate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ximity service
US9131072B1 (en) * 2014-02-28 2015-09-0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ynamic auctioning of unused network capacity
US9998330B1 (en) 2014-06-19 2018-06-12 Amazon Technologies, Inc. Service-oriented system optimization using edge relocation
US11070442B2 (en) 2015-11-24 2021-07-20 NEC Laboratories Europe GmbH Method and network for managing and orchestrating virtual network functions and network applications
WO2017194619A1 (en) 2016-05-10 2017-11-16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erver for controlling relocation of a mec application
US10945108B2 (en) * 2016-10-14 2021-03-09 Sony Corporation Relocation of mobile edge applications
WO2018153357A1 (en) 2017-02-24 2018-08-30 Zte Corporation Application instance relocation
US10887198B2 (en) 2017-09-29 2021-01-05 Ne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support network slicing in an MEC system providing automatic conflict resolution arising from multiple tenancy in the MEC environment
KR102039242B1 (ko) 2018-02-08 2019-10-31 한국과학기술원 Mec 환경에서 전력 절감을 위한 동적 가상 객체 배치 방법 및 시스템
WO2019191784A1 (en) 2018-03-30 2019-10-03 Pisner Derek Automated feature engineering of hierarchical ensemble connectomes
US11212124B2 (en) 2018-09-30 2021-12-28 Intel Corporation Multi-access edge computing (MEC) billing and charging tracking enhancements
US11412052B2 (en) 2018-12-28 2022-08-09 Intel Corporation Quality of service (QoS) management in edge computing environments
US10776172B1 (en) * 2019-12-31 2020-09-15 Oath Inc. Cost optimized services for dynamic service level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103A (ko) * 2021-11-22 2023-05-31 (유)동아하이테크 5g mec을 활용한 vru 자율 주행 지원 시스템
KR20230099983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케이티 서비스 배포 플랫폼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배포 방법
KR20230100901A (ko) 2021-12-29 2023-07-06 스트라토 주식회사 엣지 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43264A1 (en) 2021-08-05
US11445039B2 (en) 2022-09-13
EP4055805A4 (en) 2022-12-21
WO2021157963A1 (en) 2021-08-12
EP4055805A1 (en) 2022-09-14
CN115039391A (zh) 2022-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50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dge computing services
US11412556B2 (en) Shared PDU session establishment and binding
US20210235542A1 (en) Message and system for application function influence on traffic routing
KR102387239B1 (ko) 모바일 네트워크 상호 작용 프록시
US11991145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application serv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20015639A1 (zh) 无线接入网信息处理方法及装置、网元及存储介质
US20220052961A1 (en) Resource discovery in a multi-edge computing network
KR102580499B1 (ko)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WO20161504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core data services
JP7412593B2 (ja) マルチキャストブロードキャストサービスの通信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8564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ge computing service
CN113938910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115097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ge computing service
KR2021008830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수집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47034A (ko) Me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201916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nd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in edge computing system
CN116074199A (zh) 6g空天地场景细粒度按需服务方法
CN113597021B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系统
WO2024027803A1 (zh) 通信方法、装置及系统
WO2022179484A1 (zh) 网络设备管理系统、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EP421024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c service
US2023025426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olicy management in media applications using network slicing
US20240040005A1 (en) Context transfer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WO2022022345A1 (zh) 一种事件通知方法、装置和系统
WO2023141827A1 (en) Area of interest-specific information for mulit-access edge compu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