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180A - 하차 위치 알림 방법 및 그 알림을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차 위치 알림 방법 및 그 알림을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180A
KR20210098180A KR1020200012043A KR20200012043A KR20210098180A KR 20210098180 A KR20210098180 A KR 20210098180A KR 1020200012043 A KR1020200012043 A KR 1020200012043A KR 20200012043 A KR20200012043 A KR 20200012043A KR 20210098180 A KR20210098180 A KR 20210098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disembarkation
type
g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동
Original Assignee
온알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온알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온알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2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8180A/ko
Publication of KR20210098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2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to a central station ; Indicators in a central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된 데스티네이션로부터 차량이 설정 거리 내 위치한다고 판단하면,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익스터널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분류한 사용자 유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유형을 기준으로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를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를 판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를 출력하는 데이터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차 위치 알림 방법 및 그 알림을 위한 시스템 {Method for guiding the getting off point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사용자의 하차 위치 알림 방법 및 그 알림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자율 주행 차량은 인간의 운전 조작 없이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는 차량을 의미한다.
현재, 차량 승하차 안내 서비스는 GPS 좌표 기반, 또는 RFID나 지그비(Zigbee)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망 기반으로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도착 예정 시간을 알려주는데 목적이 있으며 정확한 하차 위치를 안내하는 것은 아니다.
자율 주행의 경우, 인간의 운전 조작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데스티네이션을 설정하고 상기 데스티네이션에 도착하면 하차하게 된다. 이때의 하차 위치으로서, 기존에는 사용자가 맵 데이터를 통해서 정확한 하차 위치를 지정하거나, 데스티네이션에서 가장 가까운 곳을 하차 위치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차량에서 하차 시 더 많은 주의를 요구하는 사용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사용자 정보 및 데스티네이션 부근의 외부 요인을 고려하지 않고 하차 위치를 설정하거나 판단하는 방식인 바, 2차 사고의 발생 확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뿐만 아니라 데스티네이션 주변의 외부 요인을 고려하여 하차 위치를 판단하는, 하차 위치 알림 방법 및 그 알림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차 위치 알림 방법은, 상기 익스터널 서버가,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하차 속도인 제1 속도, 하차 후 사용자 이동 속도인 제2 속도 및 돌발 상황에 대한 사용자 대응 속도인 제3 속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속도, 상기 제2 속도 및 상기 제3 속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유형을 제1 유형, 제2 유형 및 제3 유형 중 어느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차 위치 알림 방법은, 상기 익스터널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판단한 상기 제1 속도, 상기 제2 속도 및 상기 제3 속도 중 어느 하나가 기 설정 범위 내에 있거나,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판단한 상기 제1 속도, 상기 제2 속도 및 상기 제3 속도 중 어느 하나가 기 설정 범위 외에 있으면, 상기 사용자 유형을 상기 제2 유형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차 위치 알림 방법은, 상기 사용자 유형 정보 및 상기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를 기초로 적정 하차 위치인 제1 하차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타 사용자 하차 위치인 제2 하차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차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익스터널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타 사용자에 대한 하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차 위치 알림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최종 하차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최종 하차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최종 하차 위치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최종 하차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하차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의 하차 정보를 상기 익스터널 서버로 송신하는 데이터처리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사용자 정보와 함께 데스티네이션 주변의 정보를 고려하여 하차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더 안전한 하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하차 위치 알림 서비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사용자 하차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유형 분류 단계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차 위치 판단에 대한 플로의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차 위치 알림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처리장치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차 위치 알림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차 위치 알림 시스템이 구현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차량(10)은, 내부에 카메라(130)를 장착할 수 있다. 카메라(130)는, 차량(10)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DSM(Driver Status Monitoring)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DSM 시스템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 복수 개의 카메라(130)를 통해 운전자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DSM 시스템은, 내부 카메라(130)에서 획득된 사용자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나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10)은,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된 카메라(130)로 촬영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나이 정보 및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차량(10)은, 시스템(1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 통신 장치(220), 운전 조작 장치(230), 메인 ECU(240), 차량 구동 장치(250), 주행 시스템(260), 센싱부(270) 및 로케이션 데이터 생성 장치(28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하차 위치 알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차량(10) 내부의 통신 장치(220)를 이용하여, 익스터널 서버(20)와 사용자 정보, 사용자 유형 정보, 사용자 하차 정보 등을 송수신함으로써, 사용자 하차 위치 알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5G 통신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차량(10) 내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이용하여 하차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사용자 하차 위치 알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10)에 구비된 마이크, 스피커, 디스플레이가 이용될 수 있다. 차량(10)에 구비된 마이크, 스피커,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하위 구성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입력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부는, 음성 입력부, 제스쳐 입력부, 터치 입력부 및 기계식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및 햅틱 출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의 일 영역, 시트의 일 영역, 각 필러의 일 영역, 도어의 일 영역, 센타 콘솔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의 일 영역, 썬바이저의 일 영역에 배치되거나, 윈드 쉴드의 일영역, 윈도우의 일영역에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는, 데이터처리장치(17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출력부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는, 차량(10) 외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는, 카메라, 레이다, 라이다,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는, 센서에서 생성되는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차량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오브젝트는, 차량(10)의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물체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선, 타 차량, 보행자, 이륜차, 교통 신호, 빛, 도로, 구조물, 과속 방지턱, 지형물,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는, 이동 오브젝트와 고정 오브젝트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오브젝트는, 타 차량, 보행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고, 고정 오브젝트는, 교통 신호, 도로,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카메라(130)는,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10)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13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카메라(130)는, 차량(10)에 탑승하려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사용자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사용자가 임신 상태인지 여부, 신체 보조 기기의 사용 여부, 수화물 소지 여부, 단말기 사용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다는, 전파를 이용하여 차량(10)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레이다는, 전자파 송신부, 전자파 수신부 및 전자파 송신부 및 전자파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는,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차량(10)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라이다는, 광 송신부, 광 수신부 및 광 송신부 및 광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는, 구동식 또는 비구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차량(10) 주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는, 광 스티어링에 의해, 차량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10)은, 복수의 비구동식 라이다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는, 레이저 광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통신 장치(220)는, 차량(10) 외부에 위치하는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 장치(220)는, 인프라(예를 들면, 서버, 방송국) 및 타 차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 장치(22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220)는, 근거리 통신부, 위치 정보부, 원거리 무선 통신부, 광통신부, 방송 송수신부,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2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와 함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 매틱스(telematics) 장치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통신 장치(220)는, 5G(예를 들면, 뉴 라디오(new radio, NR))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10) 외부에 위치하는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220)는, 5G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230)는,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메뉴얼 모드인 경우, 차량(10)은 운전 조작 장치(230)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230)는, 조향 입력 장치(예를 들면, 스티어링 휠), 가속 입력 장치(예를 들면, 가속 페달)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예를 들면, 브레이크 페달)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ECU(240)는, 차량(10) 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 제어 장치(250)는, 차량(10)내 각종 차량 구동 장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구동 제어 장치(250)는, 파워 트레인 구동 제어 장치, 샤시 구동 제어 장치, 도어/윈도우 구동 제어 장치, 안전 장치 구동 제어 장치, 램프 구동 제어 장치 및 공조 구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 제어 장치는 동력원 구동 제어 장치 및 변속기 구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샤시 구동 제어 장치는, 조향 구동 제어 장치, 브레이크 구동 제어 장치 및 서스펜션 구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안전 장치 구동 제어 장치는, 안전 벨트 제어를 위한 안전 벨트 구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제어 장치(250)는, 제어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주행 시스템(26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에서 수신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10)의 움직임을 제어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260)은, 생성된 신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메인 ECU(240) 및 차량 구동 장치(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260)은, 자율 주행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자율 주행 ECU는, 차량(10) 내 다른 전자 장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자율 주행 ECU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 통신 장치(220), 센싱부(270) 및 로케이션 데이터 생성 장치(2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자율 주행 ECU는, 자율 주행 경로를 따라 차량(10)이 주행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자율 주행 ECU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는, 메인 ECU(240) 및 차량 구동 장치(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센싱부(270)는, 차량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270)는, IMU(inertial navigation unit) 센서,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및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IMU(inertial navigation unit)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자기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27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270)는,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차량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각종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센싱부는, 텐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텐션 센서는, 안전 벨트의 텐션 상태에 기초하여 센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로케이션 데이터 생성 장치(280)는, 차량(10)의 로케이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로케이션 데이터 생성 장치(28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로케이션 데이터 생성 장치(280)는 GPS 및 DGP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생성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의 로케이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로케이션 데이터 생성 장치(280)는, 센싱부(270)의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및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의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로케이션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로케이션 데이터 생성 장치(280)는, 위치 측위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로케이션 데이터 생성 장치(280)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로 명명될 수 있다.
차량(10)은, 내부 통신 시스템(5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자 장치는, 내부 통신 시스템(50)을 매개로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신호에는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내부 통신 시스템(50)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면, CAN, LIN, FlexRay, MOST, 이더넷)을 이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40), 데이터처리장치(170), 인터페이싱부(180) 및 파워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데이터처리장치(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4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데이터처리장치(17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데이터처리장치(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전자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데이터처리장치(17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데이터처리장치(170)의 하위 구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인터페이싱부(180)는, 차량(10) 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인터페이싱부(18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 통신 장치(220), 운전 조작 장치(230), 메인 ECU(240), 차량 구동 장치(250), ADAS(260), 센싱부(270) 및 로케이션 데이터 생성 장치(2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인터페이싱부(180)는, 통신 모듈, 단자, 핀, 케이블, 포트, 회로, 소자 및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싱부(180)는, 로케이션 데이터 생성 장치(280)로부터, 차량(10) 로케이션 데이터를 수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싱부(180)는, 센싱부(270)로부터 주행 속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싱부(18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로부터, 차량 주변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싱부(180)는, 통신 장치(220)를 통해, 익스터널 서버(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파워 공급부(190)는, 전자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파워 공급부(190)는, 차량(10)에 포함된 파워 소스(예를 들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 장치(100)의 각 유닛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파워 공급부(190)는, 메인 ECU(24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파워 공급부(190)는,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파워 공급부(19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파워 공급부(19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고, 신호를 생성하고,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인터페이싱부(180)를 통해, 차량(10) 내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인터페이싱부(180)를 통해, 차량(10) 내 다른 전자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입력된 데스티네이션로부터 차량이 설정 거리 내 위치한다고 판단하면,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익스터널 서버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분류한 사용자 유형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유형을 기준으로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를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를 판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를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인터페이싱부(180)를 통해, 차량 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로부터 데스티네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인터페이싱부(180)를 통해, 로케이션 데이터 생성 장치(280)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차량이 데스티네이션 주변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차량이 데스티네이션로부터 설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차량이 데스티네이션로부터 설정 거리 내 위치한다고 판단하면,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획득한 사용자 정보를 위부 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정보 및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사용자가 임신 상태인지 여부, 사용자가 보행 보조 기기를 사용하는지 여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사용 중인지 여부, 사용자가 짐을 들고 있는지 여부 등 카메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사용자의 외부 이미지로부터 식별가능한 사용자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인공지능 학습 모델이이용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익스터널 서버(2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분류한 사용자 유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 유형을 기준으로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를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유형 정보는, 사용자 하차 속도인 제1 속도, 하차 후 사용자 이동 속도인 제2 속도 및 돌발 상황에 대한 사용자 대응 속도인 제3 속도를 기준으로 분류한 사용자 유형 및 제1 속도, 제2 속도, 제3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유형은, 제1 유형, 제2 유형 및 제3 유형 중 어느 하나의 유형일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 유형 정보 및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를 기초로 적정 하차 위치인 제1 하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는, 도로 상태 정보, 교통 상태 정보, 데스티네이션 주변 오브젝트 정보, 날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에 의해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통신 장치(220)에 의해 차량(10) 외부에 위치하는 디바이스와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타 사용자 하차 위치인 제2 하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익스터널 서버(20)로부터 타 사용자의 하차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받아, 제2 하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제1 하차 위치 및 제2 하차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데스티네이션 주변의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신규 하차 위치인 제3 하차 위치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에 의해 데스티네이션 주변의 교통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통신 장치(220)에 의해 차량(10) 외부에 위치하는 디바이스와 데스티네이션 주변의 교통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최종 하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의 최종 하차 위치 판단에 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최종 하차 위치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생성된 경로를 따라 차량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차량 주행을 제어하기 위해, 생성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조향 제어 장치, 제동 제어 장치, 가속 제어 장치 등의 차량 구동 제어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최종 하차 위치가 제3 하차 위치가면,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3 하차 위치 주변의 차량에게 사용자의 하차 예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하차 예정 정보는, 사용자 유형 정보, 하차 위치 정보, 하차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최종 하차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하차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사용자의 하차 정보를 익스터널 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하차 정보는, 사용자가 하차 완료한 하차 위치에 대한 위치 및 시간 정보, 사용자의 유형 정보 및 사용자의 안전 하차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음성 입력, 제스쳐 입력, 터치 입력 및 기계식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 인터페이싱부(180), 파워 공급부(190) 및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의 하차 위치 알림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데이터처리장치(170) 및 익스터널 서버(20)의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데스티네이션을 입력할 수 있다(S501). 데이터처리장치(170)는, 데스티네이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데스티네이션을 설정할 수 있다 (S502).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인터페이싱부(180)를 통해 데스티네이션 정보 및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차량이 데스티네이션 주변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503).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차량이 데스티네이션로부터 설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차량이 데스티네이션로부터 설정 거리 내 위치한다고 판단하면,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04). 데이터처리장치(170)는, 획득한 사용자 정보를 위부 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S505).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정보 및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익스터널 서버(20)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S506). 익스터널 서버(20)는, 사용자 하차 속도인 제1 속도, 하차 후 사용자 이동 속도인 제2 속도 및 돌발 상황에 대한 사용자 대응 속도인 제3 속도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용자 유형은, 제1 유형, 제2 유형 및 제3 유형 중 어느 하나의 유형일 수 있다.
익스터널 서버(20)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제1 속도, 제2 속도 및 제3 속도가 기 설정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익스터널 서버(20)는, 제1 속도, 제2 속도 및 제3 속도가 모두기 설정 범위 내 사용자 유형을 제1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익스터널 서버(20)는, 제1 속도, 제2 속도 및 제3 속도 중 어느 하나가 기 설정 범위 내에 있거나, 제1 속도, 제2 속도 및 제3 속도 중 어느 하나가 기 설정 범위 외에 있으면, 사용자 유형을 제2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익스터널 서버(20)는, 제1 속도, 제2 속도 및 제3 속도 모두가 기 설정 범위 외에 있으면, 사용자 유형을 제3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익스터널 서버(20)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분류한 사용자 유형 정보를 데이터처리장치(170)로 송신할 수 있다(S507).
익스터널 서버(20)는, 타 사용자의 하차 정보를 데이터처리장치(170)로 송신할 수 있다(S508). 타 사용자는, 익스터널 서버(20)가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분류한 사용자 유형 정보와 동일한 유형일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 유형을 기준으로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를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509).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는, 제1 하차 위치, 제2 하차 위치, 제3 하차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 유형 정보 및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를 기초로 적정 하차 위치인 제1 하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타 사용자 하차 위치인 제2 하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제1 하차 위치 및 제2 하차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데스티네이션 주변의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신규 하차 위치인 제3 하차 위치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S510).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 중 어느 하나의 하차 위치인 최종 하차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S511).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를 안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하차 위치, 제2 하차 위치 및 제3 하차 위치 각각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아이콘을 해당하는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제3 하차 위치가 최종 하차 위치가면,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3 하차 위치 주변의 차량에게 상기 사용자의 하차 예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사용자의 최종 하차 위치 선택에 관한 입력 신호를 데이터처리장치(170)로 송신하고 최종 하차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S512).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최종 하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최종 하차 위치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S513).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생성된 경로를 따라 차량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S514).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차량 주행을 제어하기 위해, 생성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조향 제어 장치, 제동 제어 장치, 가속 제어 장치 등의 차량 구동 제어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차량(10) 내부 또는 외부 카메라(130)를 통해, 최종 하차 위치에서 사용자의 하차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515).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최종 하차 위치에서 사용자가 하차하고, 기 설정 시간이 지나면 하차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의 하차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사용자 하차 정보를 익스터널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S516). 사용자의 하차 정보는, 사용자가 하차 완료한 하차 위치에 대한 위치 및 시간 정보, 사용자의 유형 정보 및 사용자의 안전 하차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익스터널 서버(20)는, 데이터처리장치(170)로부터 사용자 하차 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 하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517). 익스터널 서버(20)는, 저장한 사용자 하차 정보를, 타 사용자 하차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익스터널 서버(20)는, 사용자 정보를 통해 사용자 유형을 제1 유형, 제2 유형, 제3 유형 중 어느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익스터널 서버(20)는, 다른 유형 분류 기준을 통해 제4 유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익스터널 서버(20)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S506).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정보 및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사용자가 임신 상태인지 여부, 사용자가 보행 보조 기기를 사용하는지 여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사용 중인지 여부, 사용자가 짐을 들고 있는지 여부 등 카메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사용자의 외부 이미지로부터 식별가능한 사용자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익스터널 서버(20)는, 데이터처리장치(17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01).
익스터널 서버(20)는, 사용자 하차 속도인 제1 속도, 하차 후 사용자 이동 속도인 제2 속도 및 돌발 상황에 대한 사용자 대응 속도인 제3 속도를 기준으로 사용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사용자 유형은, 제1 유형, 제2 유형 및 제3 유형 중 어느 하나의 유형일 수 있다.
익스터널 서버(20)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제1 속도, 제2 속도 및 제3 속도가 기 설정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602). 익스터널 서버(20)는, 제1 속도, 제2 속도 및 제3 속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유형을 제1 유형, 제2 유형 및 제3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S603).
익스터널 서버(20)는, 제1 속도, 제2 속도 및 제3 속도가 모두기 설정 범위 내 사용자 유형을 제1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익스터널 서버(20)는, 제1 속도, 제2 속도 및 제3 속도 중 어느 하나가 기 설정 범위 내에 있거나, 제1 속도, 제2 속도 및 제3 속도 중 어느 하나가 기 설정 범위 외에 있으면, 사용자 유형을 제2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익스터널 서버(20)는, 제1 속도, 제2 속도 및 제3 속도 모두가 기 설정 범위 외에 있으면, 사용자 유형을 제3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1 유형은, 안전 유형일 수 있다. 안전 유형은, 하차 상황을 인지할 수 있고, 돌발 상황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는 유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익스터널 서버(20)는, 20대 내지 50대 성인이고, 보행 보조 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하차 시 하차 행위 외 다른 행위를 하고 있는 않은 사용자는 안전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2 유형은, 주의 유형일 수 있다. 주의 유형은, 하차 상황을 인지하고, 돌발 상황에 대처하는데 일정 시간이 필요한 유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익스터널 서버(20)는, 노인, 임산부, 장애인, 보행 보조 기구 사용자, 하차 시 다른 행위(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사용 중) 중인 사용자, 하차 시 짐을 들고 있는 사용자 등을 주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3 유형은, 민감 유형일 수 있다. 민감 유형은, 하차 상황을 인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돌발 상황에 대응이 불가능한 상태의 유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익스터널 서버(20)는, 어린이, 높은 연령대의 노약자, 주의 유형에서 다른 요인으로 거동이 더 불편해진 사용자를 민감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용자 유형은, 사용자 나이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인이 하차하면서 전화 중인 경우, 제1 유형에서 제2 유형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인이 짐을 들고 내려야 하는 경우, 제2 유형에서 제3 유형으로 변경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 유형을 기준으로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를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509).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는, 제1 하차 위치, 제2 하차 위치, 제3 하차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차 위치는, 다른 기준에 의하여 제4 하차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 유형 정보 및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를 기초로 제1 하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701). 제1 하차 위치는 사용자 유형 정보 및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를 기초로 판단한 적정 하차 위치일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익스터널 서버(20)로부터 사용자 유형 정보를 수신하고, 인터페이싱부(180)를 통해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제1 하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유형 정보는, 안전 유형인 제1 유형, 주의 유형인 제2 유형, 민감 유형인 제3 유형 중 어느 하나의 유형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는, 도로 상태 정보, 교통 상태 정보, 데스티네이션 주변 오브젝트 정보, 날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형의 경우, 제1 하차 위치는 데스티네이션와 최단 거리의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가 일반 20대 성인이라고 판단하면, 데스티네이션와 가장 가까운 지점을 제1 하차 위치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스티네이션 주변의 도로 상태나 교통 상태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유형의 경우, 제1 하차 위치는 장애물 또는 교통량이 적고 하차 위치의 도로 상태가 좋은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가 임산부 또는 보행 보조 기기(예를 들어, 지팡이 또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람이라고 판단하면, 이동체가 적은 지점, 장애물이 적은 지점, 도로 손실도가 낮은 지점 중 어느 하나를 제1 하차 위치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동체가 적은 지점은, 골목길의 일 지점, 일방 차선 길의 일 지점, 보행자가 적은 구역의 일 지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애물이 적은 지점은, 현수막이 없는 구역의 일 지점 또는 도로에 펜스가 없는 구역의 일 지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로 손실도가 낮은 지점은, 도로가 평평한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유형의 경우, 제1 하차 위치는 이동체가 적은 지점, 보행 구역이 근접한 지점, 속도 제한 지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가 어린이라고 판단하면, 보행 구역이 근접한 도보 인접 구역의 일 지점을 제1 하차 위치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유형 정보 및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에 따른 제1 하차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유형에 따른 적정 하차 위치를 판단하고, 2차 사고로 인한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타 사용자 하차 위치인 제2 하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702).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익스터널 서버(20)로부터 사용자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타 사용자에 대한 하차 정보를 수신하여 제2 하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타 사용자에 대한 하차 정보는, 타 사용자가 하차 완료한 하차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및 하차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제1 하차 위치 및 제2 하차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703).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제1 하차 위치 및 제2 하치 지점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데스티네이션 주변의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신규 하차 위치인 제3 하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704).
데이터처리장치(170)는, 데스티네이션 주변의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교통량이 적은 구역의 일 지점을 제3 하차 위치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제3 하차 위치를 판단한 경우, 제3 하차 위치를 통과할 예정인 차량에게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하차 예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하차 위치 및 제2 하차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타 차량에게 제3 하차 위치를 미리 알림으로써, 타 차량의 주행 효율성을 확보하고, 자차의 리소스 낭비를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입력, 출력 신호를 통해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800)는, 차량(10)의 외부에 장착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부분(801)과 하차 위치에 대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2 부분(80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800)는, 다양한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부분(801)은, 데스티네이션 주변에 진입하여 카메라로 촬영한 차량 전방 영상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부분(802)은, 하차 가능 구역(810), 제1 하차 위치(820), 제2 하차 위치(830) 및 제3 하차 위치(830)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제1 부분(801)에 각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차량(10)은,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를 통해 하차 가능 구역을 판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10)은,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로 데스티네이션 주변 교통 상태 및 오브젝트 정보를 통해 하나 이상의 하차 안전 구역을 판단할 수 있다.
차량(10)은, 하나 이상의 하차 안전 구역을 디스플레이부(8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하차 안전 구역은, 제1 부분(801)에 표시되고, 증강 현실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차 안전 구역은 제1 구역(850), 제2 구역(860), 제3 구역(87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은, 하차 안전 구역에 제1 하차 위치, 제2 하차 위치 또는 제3 하차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차량(10)은, 하차 안전 구역에 제1 하차 위치, 제2 하차 위치 또는 제3 하차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면, 하차 안전 구역에 제1 하차 위치(820), 제2 하차 위치(830), 제3 하차 위치(840)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차 안전 구역으로서 제1 구역(850)은, 제1 하차 위치(820) 및 제2 하차 위치(8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역(860)은, 제1 하차 위치(8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구역(870)은, 제1 하차 위치(8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10)은, 제2 유형의 사용자의 경우, 교통량이 적고, 장애물이 없으며, 도로 상태가 좋은 구역의 일 지점을 제1 하차 위치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은, 제2 유형의 타 사용자 하차 위치인 제2 하차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하차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하차 위치 및 제2 하차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3 하차 위치는, 제3 하차 위치(840)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통해, 디스플레이부(80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처리장치의 순서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170)는, 데스티네이션 입력 신호에 따라 데스티네이션까지 주행을 하면서 주행 모니터링을 시작할 수 있다(S1101).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주행 모니터링을 통해 데스티네이션 주변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102)..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차량 내부 또는 외부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S1103), 익스터널 서버(20)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104).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익스터널 서버(20)로부터 사용자 유형 정보를 수신하고(S1105), 동일 유형의 타 사용자 하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06).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제1 하차 위치 또는 제2 하차 위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1107).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제1 하차 위치 및 제2 하차 위치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S1108), 하차 위치가 존재하면 사용자에게 UI를 통해 안내할 수 있다(S1109).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제1 하차 위치 및 제2 하차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데스티네이션 주변 교통량을 확인하고(S1114), 제3 하차 위치를 생성할 수 있다(S1115).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제3 하차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고(S1116), 데스티네이션 주변 차량에게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하차 예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117).
하차 위치 알림은, 디스플레이부(800)를 통한 시각적 안내와 함께, 음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하차 위치를 생성하는 경우, “데스티네이션 부근에 안전구역이 탐색되지 않습니다. 이에 대한 안전구역 생성이 필요합니다.”라는 음성 안내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10)은, 카메라를 통해, 현재 교통량 적은 구역을 탐색하고, 탐색된 구역 중 해당 지점을 지날 예정인 차량에게 하차 예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하차 예정 정보는 사용자 유형 정보, 하차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은, 하차 위치 생성이 완료되면, “탑승객을 위한 안전 구역을 생성하였습니다. 타 차량에게도 안전 구역 생성을 안내하였습니다. 안심하세요."라는 음성 안내를 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통해 최종 하차 위치를 선택하고(S1110), 최종 하차 위치까지의 경로를 설정하고(S1111), 설정된 경로를 따라 차량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S1112).
데이터처리장치(170)는, 사용자의 하차가 완료되면, 익스터널 서버(20)로 하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하차 정보는, 사용자의 유형 정보, 하차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안전 하차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차 위치 알림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하차 위치 알림 시스템은, 차량용 어플리케이션, 내비게이션, 익스터널 서버, GPS, 디스플레이, 스피커,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201)은, GPS를 통한 차량(10)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교통 정보와 지도 정보를 통해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용 어플리케이션은 내비게이션(1201)과 전자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 정보 수집/전송 모듈(1202),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 수집 모듈(1203), 사용자 유형 정보 수신 모듈(1204), 타 사용자 하차 정보 수신 모듈(1205), 하차 위치 판단 모듈(1206), 사용자 하차 정보 전송 모듈(1207), 하차 위치 알림 모듈(1208)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수집/전송 모듈(1202)은,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나이 정보 및 사용자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익스터널 서버(20)로 수집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 수집 모듈(1203)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 및 통신 장치를 통해 데스티네이션 주변의 교통 상태, 도로 상태, 오브젝트 정보, 날씨 정보 등을 수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유형 정보 수신 모듈(1204)은, 익스터널 서버(20)가 판단한 사용자 유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타 사용자 하차 정보 수신 모듈(1205)은, 익스터널 서버(20)가 판단한 사용자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타 사용자에 대한 하차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차 위치 판단 모듈(1206)은, 사용자 유형 정보 및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제1 하차 위치, 제2 하차 위치 및 제3 하차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하차 정보 전송 모듈(1207)은, 최종 하차 위치를 통해 사용자의 하차가 완료되면, 최종 하차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시간 정보, 사용자 유형 정보, 안전 하차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차 정보를 익스터널 서버(20)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차 위치 알림 모듈(1208)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를 표시하고, 안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차 위치 표시는, 제1 하차 위치, 제2 하차 위치, 제3 하차 위치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 증강 현실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차량용 어플리케이션은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차량용 어플리케이션은 통신 장치를 통해 익스터널 서버(20)와 통신할 수 있다. 익스터널 서버 또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경우 5G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익스터널 서버(20)는, 사용자 정보 수신 모듈(1209), 사용자 유형 판단 모듈(1210), 타 사용자 하차 정보 송신 모듈(1211), 사용자 하차 정보 수신 모듈(1212), 사용자 하차 정보 저장 모듈(121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수신 모듈(1209)은, 사용자 정보 전송 모듈(1202)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유형 판단 모듈(1210)은,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하차 속도인 제1 속도, 하차 후 사용자 이동 속도인 제2 속도 및 돌발 상황에 대한 사용자 대응 속도인 제3 속도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속도, 제2 속도 및 제3 속도를 기준으로 사용자 유형을 제1 유형, 제2 유형 및 제3 유형 중 어느 하나의 유형으로 판단하고, 분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타 사용자 하차 정보 송신 모듈(1211)은, 데스티네이션 주변에서 사용자의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타 사용자에 대한 하차 정보를 타 사용자 하차 정보 수신 모듈(1205)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하차 정보 수신 모듈(1212)은, 하차가 완료된 후 하차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하차 정보 저장 모듈(1213)은, 사용자 하차 정보 전송 모듈(1207)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하차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된 사용자 하차 정보는, 타 사용자 하차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신호보안부는 인증 신호의 정보를 바이너리 시퀀스로 정렬하고, 바이너리 시퀀스의 임의의 위치를 절단하여 절단된 바이너리 시퀀스를 소정의 규칙에 따라 재배열하여 연결하고, 절단 위치 정보와 재배열 규칙의 정보를 신호 수신부로 전송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는 절단 위치 정보와 재배열 규칙의 정보를 기초로, 전송된 재조합된 바이너리 시퀀스를 인증 신호의 바이너리 시퀀스를 복원할 수 있다.

Claims (5)

  1. 입력된 데스티네이션로부터 차량이 설정 거리 내 위치한다고 판단하면,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익스터널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분류한 사용자 유형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유형 정보와 대응되는 유사 사용자 정보의 행동 패턴을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 유형을 기준으로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를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를 판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를 출력하는 데이터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유형 정보는,
    상기 익스터널 서버가,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다른 미러 서버에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하차 속도인 제1 속도, 하차 후 사용자 이동 속도인 제2 속도 및 돌발 상황에 대한 사용자 대응 속도인 제3 속도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속도, 상기 제2 속도 및 상기 제3 속도를 기준으로 분류한 제1 유형, 제2 유형 및 제3 유형 중 어느 하나의 유형에 관한 정보인,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사용자 유형 정보 및 상기 데스티네이션 관련 정보를 기초로 적정 하차 위치인 제1 하차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타 사용자 하차 위치인 제2 하차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하차 위치 및 상기 제2 하차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상기 데스티네이션 주변의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신규 하차 위치인 제3 하차 위치를 생성하는,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하차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최종 하차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최종 하차 위치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최종 하차 위치가 제3 하차 위치라면,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3 하차 위치 주변의 차량에게 상기 사용자의 하차 예정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최종 하차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하차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의 하차 정보를 상기 익스터널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하차 정보는 암화화되어 전송되며,
    상기 사용자의 하차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하차 완료한 하차 위치에 대한 위치 및 시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유형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안전 하차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200012043A 2020-01-31 2020-01-31 하차 위치 알림 방법 및 그 알림을 위한 시스템 KR20210098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043A KR20210098180A (ko) 2020-01-31 2020-01-31 하차 위치 알림 방법 및 그 알림을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043A KR20210098180A (ko) 2020-01-31 2020-01-31 하차 위치 알림 방법 및 그 알림을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180A true KR20210098180A (ko) 2021-08-10

Family

ID=77315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043A KR20210098180A (ko) 2020-01-31 2020-01-31 하차 위치 알림 방법 및 그 알림을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81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3046B2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並びに移動体
US11472291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 of autonomous vehicle behaviors
US10534363B2 (en) Autonomous driving device and autonomous driving method
KR102569789B1 (ko) 자율 주행 차량 거동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101449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body
US11501461B2 (en) Controller,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5299308B2 (ja) 擬似走行音発生装置および擬似走行音発生システム
US10045173B1 (en) Vehicle outside notification device
JPWO2020031689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移動体装置
WO2020183892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移動体装置
US20210055116A1 (en) Get-off point guidance method and vehicular electronic device for the guidance
US2020035728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220087429A (ko)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영상 제공 방법
KR20210098180A (ko) 하차 위치 알림 방법 및 그 알림을 위한 시스템
US20210396532A1 (en) Mobile-object control device, mobile-object control method, mobile objec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23171401A1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WO202219080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US20220309848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maging device
KR20230033749A (ko) 자율주행 차량을 이용한 여행 안내 시스템
KR20230033151A (ko) 자율주행 차량 안전 지원 및 확장 시스템
KR20230114775A (ko) 자율주행 차량의 콘텐츠 공유 시스템
KR20230033150A (ko) 자율주행 차량을 이용한 안전 지원 시스템
KR20230114769A (ko) 안전성를 확보하는 가상 환경 출력 시스템
KR20230114781A (ko) 군집 배열을 변경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군집 주행 시스템
KR20230124824A (ko) 인터랙티브 자율 주행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