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074A - 공기조화용 덕트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용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074A
KR20210098074A KR1020200011807A KR20200011807A KR20210098074A KR 20210098074 A KR20210098074 A KR 20210098074A KR 1020200011807 A KR1020200011807 A KR 1020200011807A KR 20200011807 A KR20200011807 A KR 20200011807A KR 20210098074 A KR20210098074 A KR 20210098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uct
side plate
air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원겸
유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팩토리
Priority to KR1020200011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8074A/ko
Publication of KR20210098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63Insulation for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시스템에 사용되는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구조체의 슬래브에 밀착 또는 일정거리에 이격되어 고정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일측에 일단부가 상기 슬래부에 고정설치되는 천정판에 접하도록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일측판과, 상기 상판의 타측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건물구조체의 벽체에 고정되는 타측판과, 양단부가 상기 일측판의 일단부 및 상기 타측판의 일단부에 고정설치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디퓨져(diffuser)가 형성되는 하판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용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용 덕트는 건축물의 슬래브와 천정판사이의 잉여공간과 돌출형 인테리어 천장의 몰딩공간을 활용하여 풍도를 확보하여 원활하게 공기조화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공급 및 환기할 수 있고, 또한 용이하게 건축물의 슬래브 및 벽체에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용 덕트{DUCT FOR AIR CONDITIONING}
본 발명은 공기조화시스템에 사용되는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구조체의 슬래브에 밀착 또는 일정거리에 이격되어 고정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일측에 일단부가 상기 슬래부에 고정설치되는 천정판에 접하도록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일측판과, 상기 상판의 타측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건물구조체의 벽체에 고정되는 타측판과, 양단부가 상기 일측판의 일단부 및 상기 타측판의 일단부에 고정설치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디퓨져(diffuser)가 형성되는 하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용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시스템에 사용되는 덕트는 실내기에 연통결합되어 디퓨저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공간에 공기를 공급 및 환기하는 것으로서, 공기조화공간의 중앙부의 천정판에 디퓨저를 설치하고, 플랜지 덕트 등을 천정판과 슬래브의 공간성에 설치하여 상기 디퓨저와 상기 실내기를 연통시켜 공기조화시스템을 완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플랙시블 덕트 등은 단면적이 넓어 건축물의 슬래브와 천정판의 공간이 넓을 경우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설치가 가능하였다. 특히 일반 주택, 아파트의 경우에는 상기 건축물의 슬래브와 천정판의 공간이 적거나, 건축물의 슬래브에 직접 천정판을 고정설치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원통형 플랙시블 덕트 등을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이와 같이 건축물의 슬래브와 천정판의 공간이 적은 경우에도 원활하게 천정판에 설치할 수 있는 덕트가 등록실용신안, 제20-0266773호, 몰딩형 환기장치, (등록일 2002.02.21)에 제안되었다.
상기 몰딩형 환기장치는 도 1과 같이 건축물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하는 실내환기장치에 있어서, 측벽과 천정의 만나는 부위인 직각부위에 장착하고 천정에 구비되는 면과 측벽에 구비되는 면의 자유단에 요홈으로 나사홈이 형성된 "ㄱ"자 덕트와, 상기 나사홈에 끼워지도록 하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개구부의 내측으로 공기흐름 조절판이 장착되고 외측으로는 그릴이 장착되는 몰딩으로 구성된 몰딩형 덕트와; 상기 몰딩형 덕트의 일단에 설치되어 외부의 청정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흡기팬과; 상기 몰딩형 덕트의 타단에 설치되어 유입된 오염공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배기팬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덕트는 모두 천정판과 벽체의 교차부위에 형성되어 덕트기능뿐만 아니라 몰딩기능을 행하는 이점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풍도가 좁아 효과적으로 공기조화를 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관한법률이 개정되어 2005년 1월 1일 이후에 건축허가를 신청하는 11층 이상의 아파트 등의 건출물은 전층에 스프링 쿨러를 설치해야 하고, 이에 따라 기존의 건물의 층고로는 스프링 쿨러를 설치할 수 없어 부득이 건물의 층고를 높게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건축물의 슬래브와 천정판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66773호, 몰딩형 환기장치, (등록일 2002.02.21)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용 덕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슬래브와 천정판사이의 잉여공간과 돌출형 인테리어 천정의 몰딩공간을 활용하여 풍도를 확보하고, 용이하고 미려하게 건축물의 슬래브 및 벽체에 설치할 수 있 는 공기조화용 덕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건물구조체의 슬래브에 밀착 또는 일정거리에 이격되어 고정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일측에 일단부가 상기 슬래부에 고정설치되는 천정판에 접하도록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일측판과, 상기 상판의 타측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건물구조체의 벽체에 고정되는 타측판과, 양단부가 상기 일측판의 일단부 및 상기 타측판의 일단부에 고정설치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디퓨져(diffuser)가 형성되는 하판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용 덕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일측판 및 타측판의 높이가 일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용 덕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판, 일측판, 타측판 및 하판은 외층과 내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층은 단열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층은 알루미늄재질 또는 아연도금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용 덕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판은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용 덕트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용 덕트는 종래에 제안된 덕트에 비하여 슬래브와 천정판 사이의 잉여공간과 돌출형 인테리어의 천정 몰딩공간을 활용하여 보다 넓은 풍도를 제공함으로써 공기조화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 및 환기할 수 있고, 또한 용이하게 건축물의 슬래브 및 벽체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용 덕트의 일측판 및 타측판의 높이를 일측으로 갈수록 작게 형성함으로써, 덕트에 형성된 다수의 디푸져간에 일정한 공기압이 작용하도록 하여 다수의 각각의 디푸져에 비슷한 유량의 공기가 취출 및 취입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조화공간에 균등하게 공기조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용 덕트를 내층과 외층의 이중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내층을 마찰저항이 작고 가벼운 알루미늄, 아연도금 철판 등으로 형성하고, 상기 외층을 단열효과가 우수한 우레탄, 유리솜 등의 단열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판의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공기를 조화하지 않는 공간의 공기와 그 공간에 노출된 덕트내의 조화된 공기간에 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공기조화를 하고,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용 덕트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공기조화용 덕트의 분리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일측판 및 타측판의 높이가 일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용 덕트를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용 덕트를 사용한 공기조화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공기조화시스템의 자동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공기조화용 덕트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용 덕트(10)는 도 1과 같이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양측판(130, 150)과, 상기 양측판(130, 150)의 일단부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디푸져가 형성되는 하판(170)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판(110), 양측판(130, 150) 및 하판(170)의 결합에 의하여 풍도가 형성된다.
상기 상판(110)은 건물구조체의 슬래브에 고정되거나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판(130, 150) 중 일측판(130)은 상기 상판(110)의 일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일단부는 건물구조체의 슬래브에 고정되는 천정판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양측판(130, 150) 중 타측판(150)은 상기 상판(110)의 타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일단부는 상기 일측판(130)의 일단부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도 있으나,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타측판(150)이 상기 일측판(130)보다 길게 형성되는 경우 돌출형 인테리어의 몰딩으로서의 기능을 아울러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타측판(15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부재에 의하여 벽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공(152)이 형성된다.
상기 하판(170)은 상기 일측판(130) 및 타측판(150)의 일단부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도 1과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공기를 취출 및 취입할 수 있는 디퓨져(diffuser)(172)를 형성된다.
상기 디퓨져(172)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과 같은 형상 및 구조를 갖는 디퓨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형상 및 구조를 갖는 모든 디퓨져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덕트를 사용한 공기조화장치를 도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자동제어하기 위하여 개폐 및 개방정도를 자동제어할 수 있는 디퓨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디퓨져는 본 발명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판(170)은 직접 볼트, 직결피스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일측판 및 타측판의 일단부에 고정결합될 수도 있으나, 더욱 상기 하판(170)을 상기 일측판(130) 및 타측판(150)에 견고하게 고정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일측판(130) 및 타측판(150)에 클립을 끼우고, 그 상태에서 직결피스 등을 이용하여 상기 하판(170)을 고정결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공기조화용 덕트의 풍도를 보다 넓게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하판을 부채꼴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공기조화용 덕트의 분리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공기조화용 덕트의 양측판(130)(150)에 하판(17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상기 양측판(130)(150)의 일단부에 클립(310)(330)을 끼우고 그 상태에서 하판(170)을 고정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립(170)에는 걸림홈(314)(33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클립 중 덕트의 일측판(130)의 일단부에 끼워지는 클립(310)의 경우 걸림홈(314)이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원활하게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저부면에 형성되는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클립 중 덕트의 타측판(150)의 일단부에 끼워지는 클립(330)의 경우 걸림홈(334)이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일측판(130)에 끼워지는 클립(310)의 경우 간편하게 공기조화용 덕트(10)를 건축물의 슬래브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단을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고정부(312)가 구비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고정부(312)에는 건축물의 슬래브(도 4의 710)의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앵커볼트(도 4의 530)가 관통되는 체결공(3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판(170)에는 상기 양측판(130(150)의 일단부에 끼워지는 클립의 걸림홈(314)(334)에 대응되는 걸림턱(174)이 양단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하판(170)을 상기 양측판(130(150)에 고정결합시키는 방법은 먼저 양측판(130(150)에 클립(310)(330)을 끼워 고정한 후 상기 클립에 형성된 걸림홈(314)(334)에 하판(170)의 걸림턱(174)을 끼움결합함으로써, 상기 하판(170)을 상기 양측판(130)(150)에 간편하게 끼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측판(130)(150)과 상기 하판(170)이 기밀하게 결합되어 덕트내로 소통되는 조화된 공기가 상기 양측판(130)(150)과 상기 하판(170)사이로 누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양측판(130)(150)과 상기 하판(170)사이에 실링부재(176)를 게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판, 일측판, 타측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진 덕트(10)를 이중구조(미도시)로 형성할 수 도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외층을 우레탄, 유리솜 등의 기타 단열재질로 형성하고, 내층을 마찰저항이 작은 알루미늄, 아연도금철판으로 형성하여 열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하판(170)에 도 2와 같이 공기층(178)을 형성할 수 도 있으며, 이는 공기를 조화하지 않는 공간의 공기와 그 공간에 노출된 덕트내의 조화된 공기간에 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공기조화를 할 수 있고, 또한 결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하판(170)의 외층을 보다 미려하게 인테리어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공이 용이한 합성수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은 일측판(130) 및 타측판(150)의 높이가 일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과 같이 일측판(130) 및 타측판(150)의 높이를 일측으로 갈수록 일정한 각도(α)로 작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덕트(10)의 일측의 풍도로 냉온 공기가 유입될 경우 덕트의 일측에 형성된 디퓨져와 일측으로부터 점차 이격되어 설치되는 디퓨져간에 일정한 공기압이 작용하여 각각의 디퓨져로부터 비슷한 유량의 공기가 취출 및 취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3과 같이 일측판(130) 및 타측판(150)의 상부의 높이를 일측으로 갈수록 작게 형성하여, 본 발명의 덕트(10)를 건축물의 슬래브 및 벽체에 설치시 일측판(130)의 일단부가 천정판의 위치와 접하도하는 것이 좋으며, 이는 상기 덕트(10)를 건축물의 슬래브 및 벽체에 설치시 상기 덕트의 일측판의 일단부가 천정판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설치 후 외관상의 변화를 느끼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공기조화용 덕트를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건축물의 슬래브(710)에 덕트(10)의 일측판의 일단부에 끼워진 클립(310)의 체결공에 관통되는 앵커볼트(530)를 고정하고, 상기 앵커볼트(530)에 상기 일측판에 끼워진 클립(310)의 체결공이 관통되도록 한 후 너트(550) 등을 이용하여 상기 덕트(10)를 건축물의 슬래브(710)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일측판(130)의 일단부가 천정판(750)에 접하도록 덕트(10)를 건축물의 슬래브(710)에 고정한다.
그리고 보다 덕트(10)를 건축물의 슬래브(710) 및 벽체(73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덕트(10)의 타측판(150)의 일측에 체결공을 형성하고, 덕트(10) 설치시 상기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미리 앵커볼트(570) 등을 고정하여 너트(590)를 이용하여 상기 벽체(730)에 덕트(10)를 고정할 수 있고, 또한 덕트 설치시 상기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천공을 한 후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덕트를 상기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용 덕트는 슬래브와 천정판 사이의 잉여공간과 돌출형 인테리어 천장의 몰딩공간을 활용하여 보다 넓은 풍도를 제공함으로써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공기를 조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용 덕트를 사용한 공기조화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공기조화시스템의 자동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용 덕트(10)를 사용한 공조시스템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810)와; 상기 실내기에 의하여 공기조화된 공기를 거실, 침실 등의 공기조화공간(S1 ~ S7)에 공급하는 공급덕트(10a)와; 공기
조화공간의 실내공기를 실내기로 유입시키는 리턴덕트(10b)와; 리턴덕트(10b)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덕트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부재(820)와; 리턴덕트(10b)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덕트내로 외부공기를 급기하는 급기부재(890)와, 각각의 공기조화공간의 실내공기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834)와; 환기, 냉방, 난방의 설정, 실내온도의 설정, 타이머 설정 등을 하기위한 제어패널(832)과, 상기 제어패널(832) 및 온도측정센서(834)에 의하여 상기 공기조화기(872)를 제어하는 제어부(85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850)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부하를 검출하는 부하검출부재(836)를 구비하여 공기조화기(872)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급덕트(10a) 및 리턴덕트(10b)의 일측에는 각각의 덕트의 개폐 및 공기의 취출량/취입량을 조절하는 댐퍼(88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패널(832)에 의하여 상기 댐퍼(880)의 개폐 및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급덕트(10a) 및 리턴덕트(10b)에 일정한 간격으로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디푸져(diffuser)(172)를 설치하고, 이를 제어패널(832)에 의하여 상기 디푸져(172)의 풍향 및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덕트 110: 상판
130: 일측판 150: 타측판
170: 하판 310, 330: 클립
710: 슬래브 730: 벽체
750: 천정판

Claims (3)

  1. 건물구조체의 슬래브에 밀착 또는 일정거리에 이격되어 고정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일측에 일단부가 상기 슬래브에 고정설치되는 천정판에 접하도록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일측판;
    상기 상판의 타측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건물구조체의 벽체에 고정되는 타측판;
    양단부가 상기 일측판의 일단부; 및 상기 타측판의 일단부에 고정설치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디퓨져(diffuser)가 형성되는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일측판 및 타측판의 높이는 일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공기조화장치용 덕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일측판, 타측판 및 하판은 외층과 내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층은 단열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층은 알루미늄재질 또는 아연도금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조화장치용 덕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공기조화장치용 덕트.
KR1020200011807A 2020-01-31 2020-01-31 공기조화용 덕트 KR20210098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807A KR20210098074A (ko) 2020-01-31 2020-01-31 공기조화용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807A KR20210098074A (ko) 2020-01-31 2020-01-31 공기조화용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074A true KR20210098074A (ko) 2021-08-10

Family

ID=77316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807A KR20210098074A (ko) 2020-01-31 2020-01-31 공기조화용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807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773Y1 (ko) 1999-05-03 2002-03-06 이학구 몰딩형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773Y1 (ko) 1999-05-03 2002-03-06 이학구 몰딩형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1477B2 (en) Insulated housing apparatus for use with an attic fan
WO2005069745A3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2230648A (zh) 一种由循环空气载能的天花板辐射换热空调方法
US20210262679A1 (en) Convection-enhanced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US5564975A (en) Air flow controller for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vents
KR20210098074A (ko) 공기조화용 덕트
KR101698630B1 (ko) 공조용 이중벽 구조
JP7478586B2 (ja) 給気制御装置及び空調システム
JP3082061B2 (ja) 暖房または暖冷房の空調方法
KR101305577B1 (ko) 온돌마루공조장치
KR20060115446A (ko) 공기조화용 덕트
Lstiburek Humidity control in the humid south
JP2021179262A5 (ko)
KR101839603B1 (ko) 경사연결장치를 구비하는 디퓨저
CN202141135U (zh) 一种由循环空气载能的天花板辐射换热空调末端
KR200367863Y1 (ko) 빌트업 공기조화기를 위한 조립식 보온패널 구조체
KR200429007Y1 (ko) 공기조화장치
KR200314434Y1 (ko) 아파트의 환기용 덕트 구조
JP7370661B1 (ja) 屋根裏の暖気管理システム
CN212673477U (zh) 暖通空调系统送风结构
CN101324356B (zh) 复合保温隔热混凝土楼板型全空气户式中央空调系统及安装方法
JP2001193206A (ja) 住宅の床構造及び床の施工方法
KR200378512Y1 (ko) 우레탄 단열패널
JP2007271251A (ja) 輻射空調ユニット
KR200279774Y1 (ko) 냉난방용 공기배출 확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