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978A - 산업폐수 중 선택적 중금속 제거용 흡착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업폐수 중 선택적 중금속 제거용 흡착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97978A KR20210097978A KR1020200011630A KR20200011630A KR20210097978A KR 20210097978 A KR20210097978 A KR 20210097978A KR 1020200011630 A KR1020200011630 A KR 1020200011630A KR 20200011630 A KR20200011630 A KR 20200011630A KR 20210097978 A KR20210097978 A KR 202100979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vy metal
- metal adsorption
- hydrogel beads
- composite material
- adsorp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47—G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4—Naturally occurring macromolecular compounds, e.g. humic acids or their derivat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4—Sorbent size or size distribution, e.g. particle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16—Particle form
- B01J20/28019—Spherical, ellipsoidal or cylindric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26—Particles within, immobilised, dispersed, entrapped in or on a matrix, e.g. a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6—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91—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arrier, the coating or the obtained coated product
- B01J20/3297—Coatings in the shape of a shee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natural organic sorbents or derivative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02F1/62—Heavy metal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토산과 젤라틴을 포함하는 구형 하이드로겔 비드를 함유하는 중금속 흡착층을 가진 천연펄프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선택적 중금속 흡착 소재는 구형 하이드로겔 비드를 함유하는 중금속 흡착층을 포함함으로써, 중금속 흡착능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금속 흡착 천연 소재는 중금속 흡착용 조성물에 하이드로겔 비드를 분산시켜 제조한 중금속 흡착용 조성물과 제1지료액을 회전하는 장망초지기의 망체 상에 각각 투입됨으로써 용이하게 중금속 흡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금속 흡착 천연 소재는 중금속 흡착용 조성물에 하이드로겔 비드를 분산시켜 제조한 중금속 흡착용 조성물과 제1지료액을 회전하는 장망초지기의 망체 상에 각각 투입됨으로써 용이하게 중금속 흡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형의 하이드로 젤 비드가 포함되어진 천연소재로 산업폐수 중에서 중금속을 선택적으로 흡착 제거할 수 있는 흡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폐수의 배출량 증가로 인하여 각종 중금속을 포함한 유동성 물질이 배출되어 수질 오염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 및 생태계에 큰 피해를 주고 있으며, 이를 처리하기 위한 수처리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오일 또는 산업폐수 등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이용한 여과, 이온교환수지, 화학적 침전법 및 흡착법 등의 다양한 물리화학적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활성탄, 합성 제올라이트, 키토산 등 다양한 무기 물질이 폐수 중의 중금속 흡착제를 통해 중금속 제거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제거 효율이 높은 소재는 고가로 인해 경제성이 낮고, 대부분의 소재는 상평형 특성상 흡착후 배출을 통해 흡착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중금속에 의한 오염은 여러 종류의 중금속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제거하고자 하는 중금속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기가 힘든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간단한 공정을 통해 제조 가능하며, 선택적으로 중금속을 흡착 제거하는 성능이 우수한 천연소재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산업폐수 중 선택적 중금속 제거용 흡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목재 기반의 천연 펄프를 기반으로 하는 지지층을 가지고 있으며,
선택적 중금속 흡착 기능을 가지는 구형의 하이드로 젤 비드를 함유하고 있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천연 펄프 지지체는 스펀지 구조를 가지고 그 사이에 하이드로 젤 비드가 복합적으로 함유된 흡착소재를 제공한다.
이 때 하이드로 젤 비드는 젤라틴과 키토산을 공중합하여 합성된 구형의 구조를 가지며, 구형의 하이드로 젤 비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부직포 제조방법 또는 초지제조공정을 따라 천연펄프에 혼합되는 공정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금속 흡착 소재는 구형의 하이드로겔 비드를 함유하는 중금속 흡착층을 포함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중금속 흡착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업폐수의 선택적 중금속 제거용 흡착소재는 하이드로겔 비드를 분산시켜 제조한 중금속 흡착용 조성물과 일반적으로 알려진 건식 부직포 제조방법과 펄프지지체를 제조하는 환망초지기 및 장망초지기의 망체 상에 각각 투입됨으로써 용이하게 중금속 흡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형 하이드로 젤 비드를 혼합한 중금속 흡착제의 소재 복합화로 만들어진 모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중금속 흡착 복합소재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중금속 흡착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중금속 흡착 복합소재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중금속 흡착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스펀지 구조를 가지는 천연 펄프를 지지체로 하고 천연 펄프 내에 분산된 구형 하이드로 젤 비드를 포함하는 중금속 흡착층을 포함한 복합소재로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금속 흡착 복합소재의 단면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선택적 중금속 흡착 복합소재는 중금속 흡착층(110) 전체에 하이드로 젤 비드(111)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펀지 구조의 펄프 지지체는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흡착 복합소재는 구형 하이드로 젤 비드의 함량은 전체 천연펄프의 10중량% 내지 50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체 천연펄프 흡착층에 대하여 10중량% 내지 20중량%, 10중량% 내지 30중량% 또는 20중량% 내지 40중량%의 구형 하이드로 젤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하이드로겔 비드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중금속 흡착율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비드는, 평균 직경 5 내지 25 ㎛ 일 수 있다. 하이드로겔 비드가 상기 범위일 때, 천연 펄프 내의 보류율이 우수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일 때, 천연 펄프의 기공에서 물리적인 영향을 가장 잘 받는 크기일 수 있다.
아울러, 구형의 하이드로 젤 비드의 키토산과 젤라틴의 혼합 비율은 12:2 내지 6:5 중량비 범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토산과 젤라틴의 혼합 비율은 10:3일 수 있다. 참고로, 하이드로겔 비드는 키토산과 젤라틴을 혼합하여 미세유체 공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세유체공정은 액적 기반의 미세유체소자(Droplet microfluidic device)를 이용하는 것으로 유중수형 (Water in oil, W/O) 또는 수중유형(Oil in water, O/W)의 액적을 제조하는 유용한 기술이다. 이러한 액적은 다양한 종류의 미세입자, 캡슐 및 미소 마이크로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템플릿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젤라틴-키토산 구형 하이드로겔 입자를 합성하기 위하여 관형 미세유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형 하이드로겔 비드를 분산시켜 중금속 흡착용 조성물과 제1지료액을 회전하는 환망초지기 또는 장망초지기의 망체 상에 투입하여 중금속 흡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중금속 흡착 천연 소재는 한 쌍의 롤러를 통해 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택적 중금속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는 건식 부직포내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구형 하이드로 젤 비드를 혼합하여 선택적 중금속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하이드로겔 비드"는 키토산과 젤라틴을 혼합하여 미세유체 공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세유체공정은 액적 기반의 미세유체소자(Droplet microfluidic device)를 이용하는 것으로 유중수형(Water in oil, W/O) 또는 수중유형(Oil in Water, O/W)의 액적을 제조하는 유용한 기술이다. 이러한 액적은 다양한 종류의 미세입자, 캡슐 및 미소 마이크로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템플릿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중금속"은 비소, 안티모니, 납, 수은, 카드뮴, 크로뮴, 주석, 아연, 바륨, 비스무트, 니켈, 코발트, 망가니즈, 바나듐, 셀레늄 등 주기율표 상의 아래쪽에 주로 위치하고 있는 비중 4 이상의 무거운 금속원소를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금속 흡착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은, (a) 구형 하이드로겔 비드(111)를 분산시켜 중금속 흡착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환망초지기 또는 장망초지기에서 지료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중금속 흡착용 조성물과 상기 제1지료액을 회전하는 환망초지기 또는 장망초지기의 망체 상에 투입하여 확산시켜 중금속 흡착층(110)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중금속 흡착층(110)이 한쌍의 롤러를 통해 오일-중금속 흡착 복합소재(100)로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선택적 중금속 흡착 복합소재(100)는 천연 펄프 섬유가 충분한 가교결합을 통해 고벌크(bulk)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고벌크라 함은, 동일 평량대비 통상적인 소재보다 두께가 큰 것을 의미한다.
특히, 오일-중금속 흡착 복합소재(100)가 고Bulk인 경우, 산업폐수 제거환경에서 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리파이닝(Refining)공정을 통해 미세고해(Microfibril)하여 모세관 현상과 표면적을 넓히고 미세고해로 형성된 천연펄프의 고 Bulk 적층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천연 고분자를 활용하여 각 펄프 섬유가 충분한 가교결합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선택적 중금속 흡착 복합소재(100)은 고Bulk의 특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하이드로겔 비드 제조
젤라틴, 키토산 및 글루타알데히드 각각에 대해 10 : 3 : 1 중량%의 조성비로 설정되었으며, 젤라틴-키토산 하이드로겔 입자를 중금속 흡착제로 제조하기 위해, 키토산(3 중량%)을 0.1 M 아세트산의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키토산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물을 50℃에서 밤새 교반함과 동시에 젤라틴 10wt%를 40℃의 물에 용해시킨다.
그리고, 핵산에 Span85 (5 중량%) 75g을 이중 재킷 장치에 넣고, 항온 순환조에 의해 온도를 45℃로 유지, 교반속도를 550 rpm으로 유지한다. 상기 용액에 3 중량%의 키토산 용액 25 g과 10 중량%의 젤라틴 용액 50 g을 넣고 4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다. 2시간 후, 1 중량% 글루타알데히드 용액 37.5g을 사용하여 키토산 및 젤라틴을 가교 결합시키고, 30분 동안 추가로 교반한다.
제조된 구형 하이드로겔 입자를 핵산으로 5회 이상 세척하여 Span 85을 제거한 후, 세척된 용액이 pH7에 도달할 때까지 물로 세척한다. 생성된 입자를 60℃의 오븐 및 동결 건조기에서 건조 시킨다.
제조예 2. 중금속 흡착용 조성물 제조
분산제를 물에 분산한 후 제조예에서 제조한 하이드로겔 비드를 혼합하였으며, 이때, 분산제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Polyethylene oxide)을 사용하였다.
먼저, 분산용매인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3 중량부를 물에 분산하고 30분 동안 2000 rpm으로 교반하였다. 그 후에 하이드로겔 비드를 30 중량% 가 되도록 상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가 분산된 물에 혼합하고, 2000 rpm으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리고, 상기 하이드로겔 비드가 혼합된 혼합물을 물에 희석하여 하이드로겔 비드의 농도가 최종 3 중량% 되도록 하였으며, 10 분간 교반하여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교반속도는 350 rpm을 유지하였다.
실시예 1. 복합소재 제조
환망초지기 또는 장망초지기를 사용하여 초지하였으며, 지료액은 환망초지기의 저수조 또는 장망초지기의 지료 저장조에 투입되었으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중금속 흡착용 조성물은 상기 환망초지기 또는 장망초지기의 지료 저장조에 투입되어 환망초지기 또는 장망초지기를 통해 초지되었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금속 흡착 복합소재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중금속 흡착량은 ASTM D4646, ASTM D191-11을 기준으로 측정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간(hr) | 0.5 | 1.0 | 6.0 | 24.0 | |
Pb | 측정치 (mg/L) |
39.0 | 37.0 | 33.0 | 30.0 |
흡착량 (mg/g) |
4.6 | 5.4 | 7.1 | 8.3 | |
Cr | 측정치 (mg/L) |
8.0 | 8.0 | 7.0 | 7.0 |
흡착량 (mg/g) |
13.1 | 13.1 | 13.4 | 13.4 | |
Hg | 측정치 (mg/L) |
28.0 | 28.0 | 24.0 | 24.0 |
흡착량 (mg/g) |
18.0 | 18.0 | 20.0 | 20.0 | |
Cd | 측정치 (mg/L) |
20.0 | 19.0 | 15.0 | 15.0 |
흡착량 (mg/g) |
9.7 | 10.0 | 11.3 | 11.3 |
표 1을 살펴보면,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선택적 중금속 흡착 복합소재는 납을 최대 10.0mg/g까지 흡착하였고, 크롬을 최대 15.0mg/g까지 흡착하였으며, 수은을 최대 22.0mg/g까지 흡착하였고, 카드뮴을 최대 13.0mg/g까지 흡착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중금속 흡착 복합소재는 우수한 중금속 흡착량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100: 오일-중금속 흡착 복합소재
110: 중금속 흡착층 111: 하이드로겔 비드
110: 중금속 흡착층 111: 하이드로겔 비드
Claims (5)
- 구형의 하이드로 젤 비드가 포함되어진 천연 소재로 산업폐수 중에서 중금속을 선택적으로 흡착 제거할 수 있는 흡착 복합소재.
- 제 1 항에 있어서,
구형 하이드로겔 비드의 함량은 전체 펄프를 포함하는 천연소재 흡착층에 대하여 10중량% 내지 50중량%인 오일-중금속 흡착 복합소재.
- 제 1 항에 있어서,
하이드로겔 비드는 다공성 구조이고,
평균 직경 5㎛ 내지 25㎛인 오일-중금속 흡착 복합소재.
- 제 1 항에 있어서,
키토산과 젤라틴의 혼합 비율은 12:2 내지 5:6 중량비 범위인 오일-중금속 흡착 복합소재.
- 구형 하이드로겔 비드를 분산시켜 중금속 흡착용 조성물과 제1지료액을 회전하는 환망초지기 또는 장망초지기의 망체 상에 투입하여 중금속 흡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하이드로 젤 비드가 포함된 중금속 흡착층을 한 쌍의 롤러를 통해 선택적 중금속 흡착 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1630A KR20210097978A (ko) | 2020-01-31 | 2020-01-31 | 산업폐수 중 선택적 중금속 제거용 흡착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1630A KR20210097978A (ko) | 2020-01-31 | 2020-01-31 | 산업폐수 중 선택적 중금속 제거용 흡착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7978A true KR20210097978A (ko) | 2021-08-10 |
Family
ID=7731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1630A KR20210097978A (ko) | 2020-01-31 | 2020-01-31 | 산업폐수 중 선택적 중금속 제거용 흡착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9797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1330A (ko) | 2021-11-30 | 2023-06-07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수처리 및 유가 금속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및 유가 금속 회수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0927B1 (ko) | 2001-12-31 | 2004-03-02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산업 폐수 중의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흡착제 및 그 제조방법 |
-
2020
- 2020-01-31 KR KR1020200011630A patent/KR20210097978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0927B1 (ko) | 2001-12-31 | 2004-03-02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산업 폐수 중의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흡착제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1330A (ko) | 2021-11-30 | 2023-06-07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수처리 및 유가 금속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및 유가 금속 회수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öse et al. | Applications and impact of nanocellulose based adsorbents | |
Goetz et al. | All cellulose electrospun water purification membranes nanotextured using cellulose nanocrystals | |
AU636703B2 (en) | Controlled pore composite polytetrafluoroethylene article and method therefor | |
JP6728133B2 (ja) | 粒状濾過媒体混合物および水浄化における使用 | |
Gopakumar et al. | Nanocellulose-based membranes for water purification | |
Wang et al. | High flux filtration medium based on nanofibrous substrate with hydrophilic nanocomposite coating | |
Ahankari et al. | Nanocellulose as a sustainable material for water purification | |
DE69609331T2 (de) | Verstärktes, mit teilchen beladenes, fibrilliertes ptfe-gewebe | |
US5223139A (en) | Filter material in the form of flexible leaves or sheets and a method of producing such material | |
US4414111A (en) | Shaped composite adsorbent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 |
Onur et al. | Engineering cellulose fibre inorganic composites for depth filtration and adsorption | |
JP2005515879A (ja) | プレコート濾材、その製造法および使用 | |
US20110006007A1 (en) | Composite polymeric filtration media | |
EP1603653A1 (en) | Filter media with enhanced microbiological interception capability | |
Yarandpour et al. | Mesoporous PAA/dextran-polyaniline core-shell nanofibers: Optimization of producing conditions, characterization and heavy metal adsorptions | |
Wong et al. | Bio-sorptive removal of methyl orange by micro-grooved chitosan (GCS) beads: optimization of process variables using Taguchi L9 orthogonal array | |
Li et al. | Alginate-based polysaccharide beads for cationic contaminant sorption from water | |
Said et al. | Facile modification of polysulfone hollow‐fiber membranes via the incorporation of well‐dispersed iron oxide nanoparticles for protein purification | |
Qian et al. | Preparation of a sustainable bioadsorbent by modifying filter paper with sodium alginate, with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and good adsorption of methylene blue from wastewaters | |
KR20210097978A (ko) | 산업폐수 중 선택적 중금속 제거용 흡착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Ashori et al. | Effect of cellulose nanocrystals on performance of polyethersulfone nanocomposite membranes using electrospinning technique | |
Zhang et al. | Construction of antibacterial, superwetting, catalytic, and porous lignocellulosic nanofibril composites for wastewater purification | |
yousri Eweida et al. | Fabrication and simulation studies of high-performance anionic sponge alginate beads for lysozyme separation | |
El‐Kady et al. | Equilibrium and Kinetic Behaviors of Cationic Dye Decolorization Using Poly (AN‐co‐Py)/ZrO2 Novel Nanopolymeric Composites | |
Ali et al. | Microfiltration and adsorptive membranes for simultaneous removal of methyl orange and methylene blue using hybrid composit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