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961A -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 - Google Patents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961A
KR20210096961A KR1020200010676A KR20200010676A KR20210096961A KR 20210096961 A KR20210096961 A KR 20210096961A KR 1020200010676 A KR1020200010676 A KR 1020200010676A KR 20200010676 A KR20200010676 A KR 20200010676A KR 20210096961 A KR20210096961 A KR 20210096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support
recycled plastic
pedestal
curv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티
Priority to KR1020200010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6961A/ko
Publication of KR20210096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05Stacking of articles by using insertions or spacers between the stack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18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elongated, e.g. sticks, rods, bars
    • B65G57/186Cylindrical articles, e.g. tubes, rods, et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재생 플라스틱을 재료로 하는 철근 받침대를 적층하여 철근을 고정시키기 위한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Reinforcement support using recycled plastic}
본 발명은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재생 플라스틱을 재료로 하는 철근 받침대를 적층하여 철근을 고정시키기 위한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철근이란 콘크리트 속에 묻어서 콘크리트를 보강하기 위하여 쓰는 막대 모양의 철재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은 공사 현장에 많은 양이 한꺼번에 놓이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많은 양의 철근을 공사현장 바닥에 그대로 쌓아두거나, 나무 막대 또는 나무 판에 받쳐 쌓아두고, 철근을 받침대로 하여 다시 그 위에 교차하여 쌓아두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나무 막대 또는 나무 판이 썩거나 훼손되어 장기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둘째로, 철근 위에 철근이 쌓이는 경우 쌓여진 철근의 무게로 인해 받쳐져 있는 철근이 휘어질 염려가 있다.
셋째로, 철근 위에 철근이 쌓이는 경우 맨 상단의 철근만 이동 가능하고, 받침대로 사용되고 있는 철근은 그 상단에 존재하는 철근을 모두 제거하지 않으면 이동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는 특히 길이나 두께가 다른 여러 종류의 철근이 쌓여있는 경우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넷째로, 철근이 바닥에 놓이는 경우 비나 눈이 오게 되면 수분과 접촉한 채로 철근이 장시간 공기 중에 노출될 수 있어 부식의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재생 플라스틱을 재료로 하는 철근 받침대를 적층하여 철근을 고정시키기 위한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는 철근이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아치 형태의 상부 곡면 및 상기 상부 곡면과 인접하는 상부 곡면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 평면을 포함하는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철근 받침대는 하나 이상의 상기 상부 곡면 및 상부 평면을 포함하고 하부 면이 평면 형태인 제 1 받침대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상부 곡면 및 상부 평면을 포함하고 하부 면이 상부 면과 대칭을 이루는 제 2 받침대를 포함하는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철근 받침대는 제 1 받침대 또는 제 2 받침대 상측으로 하나 이상의 제 2 받침대가 나란히 배열되도록 적층되거나 교차되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근 받침대는 철근의 무게를 측정 가능한 무게 감지 센서 및 상기 무게 감지 센서로부터 측정된 무게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철근 받침대는 내측이 벌집구조인 육각기둥의 형태, I자 형태 및 H자 형태 중 하나 이상의 구조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철근 받침대는 상기 철근 받침대의 양 측면에 구비되며 끝이 뾰족하고 꼬부라진 고리 및 상기 고리가 삽입되는 홈을 더 포함하는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철근 받침대는 하나의 상부 곡면 및 상기 상부 곡면 양측으로 상부 평면을 포함하는 다수의 철근 받침 부재 및 상기 철근 받침 부재 및 인접하는 철근 받침 부재의 일측 모서리에 구비되는 경첩을 포함하여 상기 철근 받침대가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철근 받침대는 상기 무게 감지 센서로부터 측정된 무게 정보를 수신하여 무게 변화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경고음을 내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근 받침대는 전면 또는 후면의 양 끝단에 구비되고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는 철근 받침대에 철근이 일정 묶음 단위로 분리되어 보관될 수 있어 다른 철근을 이동시키지 않아도 필요한 철근만을 용이하게 빼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근의 무게를 별도로 측정하지 않아도 철근 받침대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철근 무게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볍고 안정적이면서 효율적인 철근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의 안전모를 비롯하여 각종 장비를 거치할 수 있고, 철근 받침대를 이동할 때 거치할 수 있는 손잡이가 될 수 있으며, 방수 커버를 고정하는 로프 걸이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근이 철근 받침대에 보관되는 동안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근 받침대는 접힐 수 있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고, 유지 보수 면에서도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도난 방지 모드가 가동되는 상태에서 철근 받침대에 놓인 철근이 도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근 받침대를 용이하게 평형 상태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에 철근이 놓여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2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의 제 1 받침대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3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의 제 2 받침대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4의 (a),(b),(c),(d)는 철근 받침대의 교차 방법에 따라 다르게 적층되는 예시도
도 5는 적층된 철근 받침대에 철근이 놓여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제 1 받침대에 무게 감지 센서 및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7의 (a),(b),(c)는 철근 받침대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의 (a),(b)는 제 1 받침대의 양 측면에 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방수 커버 및 고정 로프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의 (a),(b),(c)는 철근 받침대가 접혀지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철근 받침대에 제어부 및 알림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구성으로부터 도난 방지 시스템이 작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13은 철근 받침대에 설치된 레이저 발광부가 작동되는 상태의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에 철근이 놓여있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의 (a),(b)는 제 1 받침대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3의 (a),(b)는 제 2 받침대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a),(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는 상부 곡면(10) 및 상부 평면(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곡면(10)은 철근 받침대(1)의 상부에 철근(300)이 안착될 수 있는 아치 형태의 곡면으로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철근(300)은 콘크리트 속에 묻어서 콘크리트를 보강하기 위하여 쓰는 막대 모양의 철재로서 상부 곡면(10)에 하나 이상 안착될 수 있고, 철근(300)의 길이에 따라 철근 받침대(1)는 두 개 이상으로 놓일 수 있다.
상부 평면(20)은 철근 받침대(1)의 상부에 상부 곡면(10)과 인접하는 상부 곡면(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는 평면이다.
상부 평면(20)은 상부 곡면(10)과 인접하는 상부 곡면(10)에 각각 안착될 수 있는 철근(300)을 구분할 수 있게 하고, 철근 받침대(1)가 하나 이상으로 적층되어 설치되는 경우 상측에 놓일 수 있는 철근 받침대(1)를 받쳐줄 수 있는 받침면에 해당할 수 있다.
철근 받침대(1)는 제 1 받침대(100) 및 제 2 받침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받침대(100)는 상부 면이 상부 곡면(10) 및 상부 평면(20)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하부 면이 제 1 하부 평면(1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하부 평면(110)은 제 1 받침대(100)의 하부 면으로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받침대(200)는 상부 면이 상부 곡면(10) 및 상부 평면(20)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하부 면이 상부 곡면(10) 및 상부 평면(20)과 대칭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제 2 하부 곡면(220) 및 제 2 하부 평면(2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의 (a),(b),(c),(d)는 철근 받침대의 교차 방법에 따라 다르게 적층되는 예시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철근 받침대(1)는 제 1 받침대(100) 상측으로 제 2 받침대(200)가 나란히 배열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제 1 받침대(100)의 상부 평면(20)과 제 2 받침대(200)의 제 2 하부 평면(210)이 나란히 맞닿을 수 있고, 그 위로 하나 이상으로 제 2 받침대(200)의 상부 평면(20)과 상측에 인접하는 제 2 받침대(200)의 제 2 하부 평면(210)이 나란히 맞닿을 수 있다.
제 1 받침대(100)의 상부 곡면(10) 및 제 2 받침대(200)의 제 2 하부 곡면(220)이 이루는 공간과 제 2 받침대(200)의 상부 곡면(10) 및 상측에 인접하는 제 2 받침대(200)의 제 2 하부 곡면(220) 간에 이루는 공간에 철근(300)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맨 위에 놓이는 제 2 받침대(200)의 상부 곡면(10)에도 철근(300)이 안착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철근 받침대(1)는 제 1 받침대(100) 상측으로 제 2 받침대(200)가 엇갈리게 적층될 수 있다.
제 1 받침대(100)의 상부 평면(20)과 제 2 받침대(200)의 제 2 하부 평면(210)이 하나의 상부 평면(20)과 상부 곡면(10)의 면적만큼 엇갈려 맞닿을 수 있고, 그 위로 제 2 받침대(200)의 상부 평면(20)이 엇갈리게 적층될 수 있다.
철근(300)은 상기에서 도 4의 (a)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철근 받침대(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안착될 수 있고, 맨 위에 놓이는 제 2 받침대(200)의 상부 곡면(10)에 안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도 4의 (a)와 다르게 제 2 받침대(200)가 엇갈려 적층되면서 형성되는 돌출된 상부 곡면(10)에도 철근(300)이 안착될 수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철근 받침대(1)는 제 2 받침대(200) 상측으로 제 2 받침대(200)가 나란히 배열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 맨 하단에 놓이는 철근 받침대(1)가 제 1 받침대(100) 대신 제 2 받침대(200)로 변경된 부분에만 차이가 있어, 철근(300)이 안착될 수 있는 위치는 도 4의 (a)에서 설명한 것과 같을 수 있다.
도 4의 (d)를 참조하면, 철근 받침대(1)는 제 2 받침대(200) 상측으로 제 2 받침대(200)가 엇갈리게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 맨 하단에 놓이는 철근 받침대(1)가 제 1 받침대(100) 대신 제 2 받침대(200)로 변경된 부분에만 차이가 있어, 철근(3000이 안착될 수 있는 위치는 도 4의 (b)에서 설명한 것과 같을 수 있다.
도 5는 적층된 철근 받침대에 철근이 놓여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의 (a)와 같이 제 1 받침대(100) 상측으로 제 2 받침대(200)의 상부 평면(20)이 나란히 배열되어 적층되는 형태로 철근(300)의 양 끝단에 철근 받침대(1)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받침대(100) 상측으로 적층되는 제 2 받침대(200)의 수는 철근(300)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길이가 상이한 철근(300)도 철근 받침대(1)를 추가하여 동시에 보관할 수 있다.
도면 및 상술한 설명은 맨 아래 놓이는 철근 받침대(1)가 제 1 받침대(100)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 2 받침대(200)가 놓일 수 있다.
이로써, 철근 받침대(1)에 철근(300)이 일정 묶음 단위로 분리되어 보관될 수 있어 다른 철근을 이동시키지 않아도 필요한 철근(300)만을 용이하게 빼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제 1 받침대에 무게 감지 센서 및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받침대(100)는 무게 감지 센서(120) 및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 감지 센서(120)는 철근 받침대(1)에 안착될 수 있는 철근(30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고, 제 1 받침대(100)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제 1 받침대(100)만으로 철근(30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철근(300)의 무게 중심이 제 1 받침대(100)의 상부 곡면(10) 위에 놓이도록 하여 측정할 수 있고, 두 개 이상의 제 1 받침대(100)로 철근(30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제 1 받침대(100)마다 측정된 무게의 합을 더하여 측정할 수 있다.
무게 감지 센서(120)는 제 1 받침대(1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므로 무게 감지 센서(120)의 상측에 존재하는 제 1 받침대(100)의 질량에 의한 중력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힘은 동일 위치에서는 항상 동일하므로 힘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영점 조절을 하여 제외할 수 있다.
또한, 철근(300)의 무게뿐만 아니라 제 2 받침대(200)의 무게도 포함될 수 있으므로 적층된 제 2 받침대(200)의 무게를 제외하여 철근(30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제 1 받침대(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고, 무게 감지 센서(120)와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무게 감지 센서(120)로부터 측정된 무게를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철근(300)의 무게를 별도로 측정하지 않아도 철근 받침대(1)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철근(300) 무게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의 (a),(b),(c)는 철근 받침대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의 (a),(b),(c)를 참조하면 철근 받침대(1)는 내측에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 1 받침대(100)로 표시하였지만 제 1 받침대(100)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 2 받침대(2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재생 플라스틱은 압축된 상태일 수 있어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가질 수 있고, 큰 하중에도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철근 받침대(1)는 내측에 빈 공간 없이 재생 플라스틱으로 채워진 상태일 수 있지만 보다 경량화하고 비용 절감을 위해 내측의 구조가 벌집 구조인 육각 기둥의 형태, 알파벳 I자 형태, 및 알파벳 H자 형태 중 하나 이상의 구조로 조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중 벌집 구조인 육각 기둥의 형태는 최소한의 재료로 최대한의 공간을 확보하는 가장 경제적인 구조인 동시에 가장 균형 있게 힘을 배분하여 견고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구조이기도 하다.
정육각형 모양의 구조물은 평면에 서로 붙여 놓았을 때 변이 맞닿아 있어 빈틈이 없기 때문이다.
이로써, 가볍고 안정적이면서 효율적인 철근 받침대(1)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의 (a),(b)는 철근 받침대의 양 측면에 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의 (a),(b)를 참조하면, 철근 받침대(1)는 홈(40) 및 고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 1 받침대(100)의 형상으로 표시하였지만, 제 1 받침대(100)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 2 받침대(2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홈(40)은 철근 받침대(1)의 양 측면에서 내측으로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리(30)는 홈(40)에 삽입되어 철근 받침대(1)의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고 끝이 뾰족하고 꼬부라진 형태일 수 있다.
고리(30)는 홈(40)에서 쉽게 삽입되고 분리될 수 있다.
이로써, 고리(30)에 작업자의 안전모를 비롯하여 각종 장비를 거치할 수 있고, 철근 받침대(1)를 이동할 때 거치할 수 있는 손잡이가 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 살펴볼 바와 같이 방수 커버(400)를 고정하는 로프(500) 걸이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방수 커버 및 고정 로프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철근 받침대(1)는 방수 커버(400)와 로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수 커버(400)는 비나 눈이 오는 경우에 철근(300)이 산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철근 받침대(1)에 씌워질 수 있다.
로프(500)는 방수 커버(400)를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그대로 고정될 수 있도록 방수 커버(400)를 상측에서 압박하면서 고리(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철근(300)이 철근 받침대(1)에 보관되는 동안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의 (a),(b),(c)는 철근 받침대가 접혀지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철근 받침대(1)는 철근 받침 부재(50) 및 경첩(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 2 받침대(200)의 형상으로 나타나 있으나 제 2 받침대(200)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받침대(100)에도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철근 받침 부재(50)는 하나의 상부 곡면(10) 및 상기 상부 곡면(10) 양측으로 상부 평면(20)을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철근 받침 부재(50)가 연결되어 철근 받침대(1)의 외형을 이룰 수 있다.
경첩(60)은 철근 받침 부재(50) 및 인접하는 철근 받침 부재(50)의 일측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철근 받침대(1)가 도 10의 (b),(c)와 같은 형태로 접히기 위해서 각 철근 받침 부재(50) 사이에 구비되는 경첩(60)은 철근 받침 부재(50)의 측면 상측 모서리와 측면 하측 모서리에 교차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로써, 철근 받침대(1)는 접힐 수 있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고, 유지 보수 면에서도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1은 철근 받침대에 제어부 및 알림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구성으로부터 도난 방지 시스템이 작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철근 받침대(1)는 제어부(140) 및 알림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제 1 받침대(100)의 형상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받침대(200)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철근 받침대(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고, 무게 감지 센서(120)로부터 측정된 무게 정보를 수신하여 무게 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알림부(150)는 철근 받침대(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140)로부터 신호를 받아 경고음을 낼 수 있다.
제어부(140)는 도난 방지 모드가 가동되는 상태와 해제되는 상태에 있을 수 있어, 도난 방지 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제어부(140)는 무게 감지 센서(120)로부터 무게 변화가 감지되더라도 알림부(150)로 신호를 보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도난 방지 모드 가동 상태에서 제어부(140)는 무게 감지 센서(120)로부터 무게 변화가 감지되면 알림부(150)에 신호를 보내어 경고음을 내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도난 방지 모드가 가동되는 상태에서 철근 받침대(1)에 놓인 철근(300)이 도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철근 받침대에 설치된 레이저 발광부가 작동되는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철근 받침대(1)는 레이저 발광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발광부(70)는 철근 받침대(1)의 전면 또는 후면의 양 끝단에 구비되어 레이저를 방출할 수 있다.
철근 받침대(1)는 철근(300)의 길이에 따라 두 개 이상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놓일 수 있다.
이때, 철근 받침대(1)는 서로 전면 및 후면이 서로 평행하게 놓여야 하는데 줄자를 이용하여 평행하도록 놓을 수 있지만 여러 번 재야할 수 있고 시간도 재는 횟수만큼 소요되어 번거로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철근 받침대(1)에 레이저 발광부(70)를 구비하여 이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를 인접하는 철근 받침대(1)에 미리 표시된 지점에 맞추는 것만으로 수평을 맞출 수 있다.
이때, 레이저는 사람의 눈으로 식별 가능해야 하므로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철근 받침대(1)를 용이하게 평형 상태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철근 받침대
10 : 상부 곡면
20 : 상부 평면
30 : 고리
40 : 홈
50 : 철근 받침 부재
60 : 경첩
70 : 레이저 발광부
100 : 제 1 받침대
110 : 제 1 하부 평면
120 : 무게 감지 센서
130 : 디스플레이
140 : 제어부
150 : 알림부
200 : 제 2 받침대
210 : 제 2 하부 평면
220 : 제 2 하부 곡면
300 : 철근
400 : 방수 커버
500 : 로프

Claims (9)

  1.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에 있어서,
    철근이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아치 형태의 상부 곡면 및
    상기 상부 곡면과 인접하는 상부 곡면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 평면을 포함하는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받침대는,
    하나 이상의 상기 상부 곡면 및 상부 평면을 포함하고 하부 면이 평면 형태인 제 1 받침대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상부 곡면 및 상부 평면을 포함하고 하부 면이 상부 면과 대칭을 이루는 제 2 받침대를 포함하는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받침대는,
    상기 제 1 받침대 또는 제 2 받침대 상측으로 하나 이상의 제 2 받침대가 나란히 배열되도록 적층되거나 교차되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받침대는,
    철근의 무게를 측정 가능한 무게 감지 센서 및
    상기 무게 감지 센서로부터 측정된 무게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받침대는,
    내측이 벌집구조인 육각기둥의 형태, I자 형태 및 H자 형태 중 하나 이상의 구조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받침대는,
    상기 철근 받침대의 양 측면에서 내측으로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홈 및
    상기 홈에 삽입되어 철근 받침대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고리를 더 포함하는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받침대는,
    하나의 상부 곡면 및 상기 상부 곡면 양측으로 상부 평면을 포함하는 다수의 철근 받침 부재 및
    상기 철근 받침 부재 및 인접하는 철근 받침 부재의 일측 모서리에 구비되는 경첩을 포함하여 상기 철근 받침대가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받침대는,
    상기 무게 감지 센서로부터 측정된 무게 정보를 수신하여 무게 변화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경고음을 내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받침대는,
    전면 또는 후면의 양 끝단에 구비되고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
KR1020200010676A 2020-01-29 2020-01-29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 KR20210096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676A KR20210096961A (ko) 2020-01-29 2020-01-29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676A KR20210096961A (ko) 2020-01-29 2020-01-29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961A true KR20210096961A (ko) 2021-08-06

Family

ID=7731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676A KR20210096961A (ko) 2020-01-29 2020-01-29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69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5056B2 (en) Drywall backing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6564725B2 (en) Load supporting platform
US4124093A (en) Work-supporting device
SA07280541B1 (ar) منصة تحميل ذات ألواح تقوية وطرق مرتبطة
US20080053013A1 (en) Drywall backing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JP7015157B2 (ja) 組立式架台、組立式架台の製造方法、コンテナによる輸送方法、及び、コンテナによる海上輸送方法
US6435355B1 (en) Modular storage system for cylindrical objects
KR20210096961A (ko)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철근 받침대
US3828680A (en) Storage system
US6669551B2 (en) Mine ventilation structure and deck panels therefor
EP1973787B1 (en) Pallet (load carrier)
SU919601A3 (ru) Балка
AU2011238097B2 (en) Support frame for racks
EP1865111A1 (en) A pedestrian or traffic barrier
IT201900005162A1 (it) Campo polivalente recintato, nonché metodo e kit per la realizzazione dello stesso
KR20140002764U (ko) 선체 지지용 반목 구조물
EP0219985A2 (en) Concrete slab for a platform floor
US1509011A (en) Strut for floor joists
JP2935841B2 (ja) 基礎用独楽型ブロック集合体
CA1294303C (en) Supporting element
CN211196943U (zh) 一种立式球扁钢料架及存储装置
US7017219B2 (en) Dismountable bridge
GB2552708A (en) Temporary foundation for temporary structures
JP2010065494A (ja) 二重床及び間仕切り壁の施工方法
CN206655460U (zh) 楼层单体间临时通道及建筑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