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906A -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장치, 칩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장치, 칩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906A
KR20210095906A KR1020217019540A KR20217019540A KR20210095906A KR 20210095906 A KR20210095906 A KR 20210095906A KR 1020217019540 A KR1020217019540 A KR 1020217019540A KR 20217019540 A KR20217019540 A KR 20217019540A KR 20210095906 A KR20210095906 A KR 20210095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dom access
access procedure
terminal device
measurement result
preset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9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지에 쒸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95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장치, 칩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하였고,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은, 시스템이 동시에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및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구성하였을 때, 단말 기기는 기설정 조건에 기반하여,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을 적용하면, 랜덤 액세스 절차의 효율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장치, 칩 및 컴퓨터 프로그램
본 출원은 네트워크 기술에 관련된 것이고, 특히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장치, 칩 및 컴퓨터 프로그램(RANDOM ACCESS PROCESS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CHIP, AND COMPUTER PROGRAM)에 관련된 것이다.
셀 검색 절차 후, 단말 기기는 이미 셀과 다운 링크 동기화를 이루었기에, 다운 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지만, 셀과 업 링크 동기화를 이루어야만, 업 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랜덤 액세스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를 통해 셀과 연결을 구축하고 업 링크 동기화를 이룰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절차의 주요 목적은, 1) 업 링크 동기화를 획득하고; 2) 단말 기기를 위해 유일한 식별자인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RNTI, 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할당하는 것이다.
랜덤 액세스 절차는 통상적으로 아래 6가지 유형 이벤트 중 하나에 의해 트리거 된다.
1) 초기 액세스 될 때 무선 연결을 구축하고, 단말 기기는 아이들(RRC_IDLE) 상태에서 연결(RRC_CONNECTED) 상태로 전환된다.
2) RRC 연결 재구축 절차(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procedure)는, 단말 기기가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 이후 무선 연결을 재건할 수 있도록 하고, RRC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를 의미한다.
3) 핸드오버(handover), 이때 단말 기기는 새로운 셀과 업 링크 동기화를 구축해야 한다.
4) RRC_CONNECTED 상태에서, 다운 링크 데이터 도착에 만약 ACK/NACK 회신이 필요할 때, 업 링크는 “동기 불일치”상태에 있다.
5) RRC_CONNECTED 상태에서, 업 링크 데이터 도착에 만약 측정 보고가 보고되거나 또는 사용자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이 필요할 때, 업 링크는 “동기 불일치” 상태에 있거나 또는 스케줄링 요청 전송을 위한 사용 가능한 물리적 업 링크 제어 채널 자원이 없으며, 이때 이미 업 링크 동기화 상태에 있는 단말 기기가 랜덤 액세스 채널을 사용하여 SR의 작용을 대체하도록 허락한다.
6) RRC_CONNECTED 상태에서, 단말 기기를 포지셔닝 하기 위해,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가 필요하다.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프로토콜에 있어서, 4단계에 기반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지원한다. 랜덤 액세스 절차의 지연을 줄이기 위해, 현재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로 압축할 수 있는 것을 더 제출한다. 그러면, 단말 기기가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선택할지의 문제가 언급되고, 이 문제에 대해, 현재 아직 효과적인 구현 방식은 없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장치, 칩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시스템이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및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동시에 구성할 때, 단말 기기는 기설정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상기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측이 단말 기기를 위해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및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동시에 구성하여, 단말 기기가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이 필요할 때, 기설정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상기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단말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2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2 측면 중의 어느 한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6 측면에 있어서, 칩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2 측면에서의 어느 한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칩은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칩이 설치되어 있는 기기가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2 측면 중의 어느 한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2 측면 중의 어느 한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제8 측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2 측면 중의 어느 한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게 한다.
제9 측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작동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2 측면 중의 어느 한 측면 혹은 이의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게 한다.
상기 설명에 기반하여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안을 사용하고, 시스템이 동시에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및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구성하였을 때, 단말 기기는 기설정 조건에 기반하여,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상이한 랜덤 액세스 절차의 특점에 따라, 합리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선택하며, 나아가 랜덤 액세스 절차의 효율 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기기(3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4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기기(6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칩(7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8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아래에 본 발명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 실시예 중의 기술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 실시예가 아님은 분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분야 기술자는 창조성 노동 없이 얻어진 다른 실시예는 전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SM, 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 LTE 시 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와이맥스(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 시스템 및 5G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시도이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110)는 단말 기기(120)(또는 통신 단말, 단말로 지칭됨)와 통신하는 기기일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110)는 특정된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단말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11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tation)일 수 있고,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B, NodeB)일 수도 있으며,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NB 또는 eNodeB , Evolutional Node B)일 수도 있으며,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RAN, Cloud Radio Access Network)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 있고,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모바일 스위칭 센터,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허브, 스위치, 브리지, 라우터,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측 기기 또는 미래 진화된 공중 육상 이동망(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에서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의 커버리지 범위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1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된 “단말 기기”는 유선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디지털 케이블, 직접 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 회선을 통한 연결; 및/또는 다른 데이터 연결/네트워크; 및/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DVB-H 네트워크의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FM 방송 송신기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것; 및/또는 다른 단말 기기의 통신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설정된 장치; 및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설정된 단말 기기는 “무선 통신 단말”, “무선 단말” 또는 “모바일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의 예는, 위성 또는 셀룰러 폰; 셀룰러 무선 전화와 데이터 처리, 팩스 및 데이터 통신 능력을 조합할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PCS,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단말; 무선 전화, 호출기, 인터넷/인트라넷 액세스, Web 브라우저, 메모 패드, 달력 및/또는 위성 항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PDA; 및 기존 랩톱 및/또는 팜탑 수신기 또는 무선 전화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 기기는 액세스 단말, 사용자 기기(UE, User Equipment),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모바일 플랫폼,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폰, 무선 가입자망(WLL, 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개인 반송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통신 능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의 PLMN 중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120) 사이는 기기 간(D2D, Device to Device)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5G 시스템 또는 5G 네트워크는 또한 뉴 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NR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 방안은 비면허 스펙트럼에 적용될 수 있고, 인가 주파수 스펙트럼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 및 두 개의 단말 기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네트워크 기기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는 다른 개수의 단말 기기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컨트롤러, 이동 관리 엔티티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시스템에서 통신 기능을 갖는 기기는 통신 기기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100)을 예로 들면, 통신 기기는 통신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기기(110) 및 단말 기기(120)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110) 및 단말 기기(120)는 전술한 구체적인 기기일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으며; 통신 기기는 또 네트워크 컨트롤러, 모바일 관리 엔티티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같은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다른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문에서의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본문에서 흔히 서로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문에서 용어 “및 /또는”은 다만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세 가지의 관계가 존재함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적으로 존재, A 및 B가 동시에 존재, B가 단독적으로 존재하는 세 가지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문에서 문자 부호 “/”는, 일반적으로 선후 관련 대상이 “또는” 관계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이 동시에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및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구성하였을 때, 단말 기기는 기설정 조건에 기반하여,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제1 랜덤 액세스 절차는,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는,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의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하기 단계 1)~단계 4)를 포함하고, 각각 Msg1~Msg4로 지칭할 수 있다.
단계 1): 단말 기기가 프리앰블(preamble)을 송신한다.
단말 기기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을 기지국(eNodeB)에 송신하고, eNodeB에 하나의 랜덤 액세스 요청이 있음을 통지하며, 동시에 eNodeB로 하여금 자신과 단말 기기 사이의 전송 지연을 예측하고 업 링크 타이밍(timing)을 교정하도록 한다.
단계 2): eNodeB가 랜덤 액세스 응답(RAR, Random Access Response)을 송신한다.
단말 기기가 프리앰블(preamble)을 송신한 후, RAR 시간 창(RA Response window) 내에서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랜덤 액세스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RNTI, Radom Access-Radio Network Tempory Identity)에 대응되는 RAR을 수신하도록 하고, 만약 이 RAR 시간 창 내에서 eNodeB가 응답한 RAR이 수신되지 않으면, 이번 랜덤 액세스 절차는 실패라고 간주한다.
RAR(앞에서 소개된 RA-RNTI를 사용하여 디코딩 함)이 단말 기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고, 상기 RAR에서의 프리앰블 인덱스(preamble index)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preamble index가 동일할 때, RAR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고 간주하며, 이때 단말 기기는 RAR 모니터링을 정지할 수 있다.
하나의 RAR 메시지에는 복수 개의 preamble을 송신하는 사용자에 대한 영향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각 사용자에 대한 영향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식별자(RAPID, Random Access Preamble Identity), Msg3의 자원 할당 정보, 타이밍 어드밴스(TA, Timing Advance) 조정 정보, 임시 C-RNTI(TC-RNTI, Temporal C-RNTI)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뉴 라디오(NR, New Radio) 표준에 있어서, RAR 정보는 다운 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mat 1-0을 사용하여 스케줄링 하고, 상응한 PDCCH는 RA-RNTI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을 수행한다.
단계 3):단말 기기가 Msg3를 송신한다.
랜덤 액세스의 트리거 이벤트와 서로 대응하여, Msg3에서 반송되는 정보는 아래와 같다.
만약 초기 액세스(initial access)이면, Msg3은 공통 제어 채널(CCCH, Common Control CHannel)에서 전송되는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이고, 적어도 비 액세스 계층(NAS, Non-Access Stratum) 단말 기기 식별자 정보를 반송해야 한다.
만약 RRC 연결 재구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이면, Msg3은 CCCH에서 전송되는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이고, 어떠한 NAS 정보도 반송하지 않는다.
만약 핸드오버이면, Msg3은 전용 제어 채널(DCCH, Dedicated Control CHannel)에서 전송되는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를 거친 RRC 핸드오버 확인(RRC Handover Confirm)이고, 단말 기기의 C-RNTI가 포함되어야 하며, 만약 가능하다면, 버퍼 상태 보고서(BSR, Buffer Status Report)도 반송해야 한다.
다른 트리거 이벤트인 경우, 적어도 C-RNTI를 반송해야 한다.
업 링크 전송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C-RNTI와 같은 단말 기기가 특정한 정보를 사용하고, 업 링크 공유 채널(UL-SCH, Uplink Shared Channel) 데이터에 대해 스크램블링을 수행하지만, 이때 충돌은 아직 해결되지 않았으며, 스크램블링은 C-RNTI에 기반할 수 없고, TC-RNT만 사용 가능하며, 다시 말해서, Msg3은 TC-RNTI만 사용하여 스크램블링을 수행한다.
단계 4):eNodeB가 충돌 해결(contention resolution)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3)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Msg3에서 예를 들어 C-RNTI와 같은 본인의 유일한 식별자를 반송하고 eNodeB는 충돌 해결 메커니즘에 있어서, Msg4에서 상기 유일한 식별자를 반송함으로써 우승한 단말 기기를 지정하며, 충돌 해결에서 우승하지 못한 다른 단말 기기는 다시 랜덤 액세스를 개시한다. Msg4의 PDCCH는 TC-RNTI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을 수행한다.
랜덤 액세스 절차의 지연을 줄이기 위해, 현재 전통적인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로 압축할 수 있는 것을 더 제출하고, 기본적인 사로는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새로운 Msg1 및 네트워크 측에서 응답하는 새로운 Msg2를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방법은 새로운 Msg1에는 preamble 및 업 링크 데이터 부분이 포함되고, 여기서 업 링크 데이터 부분은 단말 기기의 식별자 정보 및 RRC 요청의 원인(즉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Msg3의 내용)을 반송하며, 새로운 Msg2에는 충돌 해결 정보 및 TA 정보, C-RNTI의 할당 정보 등이 포함되고, 즉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Msg2 및 Msg4 정보의 각 부분 정보의 세트가 포함된다.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 있어서,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Msg2에는 복수 개 사용자의 RAR 응답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새로운 Msg2에는 단일 사용자에 의해 송신된 충돌 해결 정보(새로운 Msg1에서 단말 기기에 의해 반송된 단말 기기 식별자 관련 정보), C-RNTI 할당 정보, TA 정보가 반송되고, RRC 구축 정보 등도 포함될 수 있다.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는 preamble 및 데이터(data) 부분을 함께 송신하는 것을 통해, 랜덤 액세스의 지연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어떤 상황에 있어서, 만약 채널 품질이 좋지 않거나, 다른 사용자도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고 있어서 상호 간섭을 일으키면, 이때 만약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면 오히려 더욱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이것은 단말 기기에 대해 말하자면, 매번 새로운 Msg1의 송신은 모두 preamble과 data 부분의 동시 송신을 의미하고, 소모된 전력은 전통적인 4단계 랜덤 액세스의 제1 단계에서 preamble만 발송하는 것에 비해 높기에, 따라서, 단말 기기가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선택하는 것에 대해 일정한 한정을 할 필요가 있다.
시스템이 동시에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 및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가 구성될 때, 단말 기기는 기설정 조건에 기반하여,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 조건은,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 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의 측정 결과, 참조 신호 수신 품질(RSRQ, Reference Signal Receiving Quality)의 측정 결과, 참조 신호-신호 대 간섭 잡음비(RS-SINR, Reference Signal-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의 측정 결과, 단말 기기의 업무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요구, 단말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단말 기기의 액세스 우선순위 중에서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기기의 업무 QoS 요구는 단말 기기의 업무 지연 요구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프라이머리 셀(Pcell, Primary cell),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Pscell, Primary Secondary Cell) 또는 타깃 핸드 오버 셀에 대한 측정에 기반하여 RSRP의 측정 결과 및/또는 RSRQ의 측정 결과 및/또는 RS-SINR의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기설정 조건이 RSRP의 측정 결과일 때, 만약 RSRP의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크면,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기설정 조건이 RSRQ의 측정 결과일 때, 만약 RSRQ의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크면,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기설정 조건이 RS-SINR의 측정 결과일 때, 만약 RS-SINR의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제3 임계값보다 크면,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및 제3 임계값은 단말 기기의 채널 품질 임계값이고, 비교적 좋은 채널 품질은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의 빠른 성공에 유리하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의 효율 우세를 발휘하고, 따라서, RSRP의 측정 결과가 제1 임계값보다 클 때, RSRQ의 측정 결과가 제2 임계값보다 클 때 또는 RS-SINR의 측정 결과가 제3 임계값보다 클 때,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기설정 조건이 단말 기기의 업무 지연 요구일 때, 만약 단말 기기의 업무 지연 요구가 기설정된 제4 임계값보다 작으면,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제4 임계값은 주로 단말 기기의 업무 지연 요구를 고려하고,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의 특점에 기반하여, 지연 요구가 높으면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기설정 조건이 단말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일 때, 만약 단말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허가 주파수 대역이면,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즉 단말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은 허가된 주파수 대역일 때,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단말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은 비허가 주파수 대역일 때, 2단계 랜덤 액세스는 랜덤 액세스 절차의 채널 센싱 수요를 줄일 수 있음으로써 비허가 주파수 대역에서의 액세스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기설정 조건이 단말 기기의 액세스 우선순위일 때, 만약 단말 기기의 액세스 우선순위가 기설정된 제5 임계값보다 크면,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제5 임계값은 주로 액세스 우선순위가 높은 단말 기기에 대해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우선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고, 액세스 우선순위가 높은 단말 기기의 사용자 체험을 우선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소개된 각 기설정 조건은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기설정 조건에 RSRP의 측정 결과 및 RS-SINR의 측정 결과가 동시에 포함되면, RSRP의 측정 결과가 제1 임계값보다 크고 RS-SINR의 측정 결과가 제3 임계값보다 클 때,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RSRP의 측정 결과 및 RS-SINR의 측정 결과에서의 어느 하나가 대응되는 임계값보다 클 때, 즉 2 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제3 임계값, 제4 임계값 및 제5 임계값은 네트워크 측이 시스템 메시지 또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기기에 미리 통지한 것일 수 있고,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측이 미리 협의하여 약정된 것일 수도 있다.
이상은 주로 단말 기기 측에서 본 발명의 상기 방안에 대해 설명을 수행한 것이고, 네트워크 측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측은 단말 기기를 위해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및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동시에 구성할 수 있고, 단말 기기가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이 필요할 때, 기설정 조건에 기반하여,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랜덤 액세스 절차는,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는,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 조건은, RSRP의 측정 결과, RSRQ의 측정 결과, RS-SINR의 측정 결과, 단말 기기의 업무 QoS 요구, 단말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단말 기기의 액세스 우선순위 중에서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 조건에 RSRP의 측정 결과, RSRQ의 측정 결과, RS-SINR의 측정 결과, 단말 기기의 업무 QoS 요구 및 단말 기기의 액세스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때, 네트워크 측은 시스템 메시지 또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기기에 기설정 조건에 대응되는 임계값을 송신할 수 있고, 단말 기기가 임계값에 따라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인 구현은 전술한 관련 설명을 참조하고,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아무튼,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방안을 사용하면, 상이한 랜덤 액세스 절차의 특점에 따라, 합리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랜덤 액세스 절차의 효율 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상은 방법 실시예에 대한 소개이고, 아래에 장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방안에 대해 추가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기기(3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유닛(301)을 포함한다.
선택 유닛(301)은, 시스템이 동시에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및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구성하였을 때, 기설정 조건에 기반하여,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랜덤 액세스 절차는,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는,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 조건은, RSRP의 측정 결과, RSRQ의 측정 결과, RS-SINR의 측정 결과, 단말 기기의 업무 QoS 요구, 단말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단말 기기의 액세스 우선순위 중에서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기기의 업무 QoS 요구는 단말 기기의 업무 지연 요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응하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에는 Pcell, Pscell 또는 타깃 핸드 오버 셀에 대한 측정에 기반하여 RSRP의 측정 결과 및/또는 RSRQ의 측정 결과 및/또는 RS-SINR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302)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기설정 조건이 RSRP의 측정 결과일 때, 만약 RSRP의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크면, 선택 유닛(301)은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기설정 조건이 RSRQ의 측정 결과일 때, 만약 RSRQ의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크면, 선택 유닛(301)은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기설정 조건이 RS-SINR의 측정 결과일 때, 만약 RS-SINR의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제3 임계값보다 크면, 선택 유닛(301)은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기설정 조건이 단말 기기의 업무 지연 요구일 때, 만약 단말 기기의 업무 지연 요구가 기설정된 제4 임계값보다 작으면, 선택 유닛(301)은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기설정 조건이 단말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일 때, 만약 단말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허가 주파수 대역이면, 선택 유닛(301)은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기설정 조건이 단말 기기의 액세스 우선순위일 때, 만약 단말 기기의 액세스 우선순위가 기설정된 제5 임계값보다 크면, 선택 유닛(301)은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소개된 각 기설정 조건은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기설정 조건에 RSRP의 측정 결과 및 RS-SINR의 측정 결과가 동시에 포함되면, RSRP의 측정 결과가 제1 임계값보다 크고 RS-SINR의 측정 결과가 제3 임계값보다 클 때,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RSRP의 측정 결과 및 RS-SINR의 측정 결과에서의 어느 하나가 대응되는 임계값보다 클 때, 즉 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제3 임계값, 제4 임계값 및 제5 임계값은 네트워크 측이 시스템 메시지 또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획득 유닛(302)에 통지하고, 나아가 획득 유닛(302)이 선택 유닛(301)에 제공된 것일 수 있고,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측이 미리 협의하여 약정된 것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4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 유닛(401)을 포함한다.
구성 유닛(401)은, 단말 기기를 위해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및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동시에 구성하기 위한 것이고, 단말 기기가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이 필요할 때, 기설정 조건에 기반하여,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랜덤 액세스 절차는,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는,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 조건은, RSRP의 측정 결과, RSRQ의 측정 결과, RS-SINR의 측정 결과, 단말 기기의 업무 QoS 요구, 단말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단말 기기의 액세스 우선순위 중에서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기기의 업무 QoS 요구는 단말 기기의 업무 지연 요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에는, 기설정 조건에 RSRP의 측정 결과, RSRQ의 측정 결과, RS-SINR의 측정 결과, 단말 기기의 업무 QoS 요구 및 단말 기기의 액세스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때, 시스템 메시지 또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기기에 기설정 조건에 대응되는 임계값을 송신하고, 단말 기기가 임계값에 따라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기 위한 송신 유닛(402)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따른 장치 실시예의 구체적인 작업 흐름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관련 설명을 참조하고,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기기(6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통신 기기(600)는 프로세서(61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켜,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기기(600)는 메모리(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켜,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여기서,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독립적인 소재일 수 있고, 프로세서(6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기기(600)는 트랜시버(6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610)는 상기 트랜시버(630)가 다른 기기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다른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시버(63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630)는 안테나가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고, 안테나의 개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600)는 구체적으로 본 발명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고, 또한 상기 통신 기기(600)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600)는 구체적으로 본 발명 실시예의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일 수 있고, 상기 통신 기기(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절차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칩(7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칩(700)은 프로세서(71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710)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켜,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700)은 메모리(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켜,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여기서, 메모리(720)는 프로세서(7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독립적인 소재일 수 있고, 프로세서(7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700)은 입력 인터페이스(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730)가 다른 기기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 또는 칩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700)은 출력 인터페이스(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740)가 다른 기기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 또는 칩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절차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절차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언급된 칩은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8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시스템(800)은 단말 기기(810) 및 네트워크 기기(8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810)는 상기 방법에서 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820)는 상기 방법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 기능을 구비한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절차에 있어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통해 완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 분리형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는 구현 또는 실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 및 완료되거나, 디코딩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 및 완료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서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PROM, Programmable 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Erasable PROM),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Electrically 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역할을 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다.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을 통해, 많은 형태의 RAM이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Static 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Dynamic 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 Synchronous 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DR SDRAM, Double Data Rate 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SDRAM, Enhanced SDRAM), 동기 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LDRAM, Synchlink 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R RAM, Direct Rambus RAM)이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문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러한 메모리 및 다른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또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절차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또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절차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또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절차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또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절차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작동될 때, 컴퓨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절차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작동될 때, 컴퓨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절차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문에서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형태로 실행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형태로 실행될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응용 및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는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 및 간결함을 위해, 상기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절차가, 전술된 방법 실시예 중 대응되는 절차를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된 몇 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기기 실시예는 다만 예시적일 뿐이고, 예를 들어, 상기 유닛에 대한 분할은 다만 논리적 기능 분할이고, 실제로 구현될 경우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시스템에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현시되거나 논의된 상호간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서 게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아닐 수도 있으며, 즉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거나,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 유닛이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도 있고,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한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단독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기존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상기 기술 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복수 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켓 또는 CD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가지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일 뿐이지만,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 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이 개시한 기술 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상기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35)

  1.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이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및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동시에 구성할 때, 단말 기기는 기설정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상기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랜덤 액세스 절차는,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는,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조건은,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의 측정 결과, 참조 신호 수신 품질(RSRQ)의 측정 결과, 참조 신호-신호 대 간섭 잡음비(RS-SINR)의 측정 결과, 상기 단말 기기의 업무 서비스 품질(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 우선순위 중에서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조건이 상기 RSRP의 측정 결과일 때, 상기 단말 기기는 기설정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상기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RSRP의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조건이 상기 RSRQ의 측정 결과일 때, 상기 단말 기기는 기설정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상기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RSRQ의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조건이 상기 RS-SINR의 측정 결과일 때, 상기 단말 기기는 기설정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상기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RS-SINR의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제3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업무 QoS 요구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무 지연 요구를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 조건이 상기 단말 기기의 업무 지연 요구일 때, 상기 단말 기기는 기설정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상기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무 지연 요구가 기설정된 제4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조건이 상기 단말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일 때, 상기 단말 기기는 기설정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상기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허가 주파수 대역이면, 상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조건이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 우선순위일 때, 상기 단말 기기는 기설정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상기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단계는,
    단말 기기의 액세스 우선순위가 기설정된 제5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는 프라이머리 셀(Pcell),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Pscell) 또는 타깃 핸드 오버 셀에 대한 측정에 기반하여 상기 RSRP의 측정 결과 및 상기 RSRQ의 측정 결과 및 상기 RS-SINR의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11. 제4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네트워크 측이 시스템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통지한 것;
    또는, 상기 임계값은 상기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측이 미리 협의하여 약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12.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이 단말 기기를 위해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및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동시에 구성하여, 단말 기기가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이 필요할 때, 기설정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상기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랜덤 액세스 절차는,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는,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조건은,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의 측정 결과; 참조 신호 수신 품질(RSRQ)의 측정 결과; 참조 신호-신호 대 간섭 잡음비(RS-SINR)의 측정 결과; 상기 단말 기기의 업무 서비스 품질(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 우선순위 중에서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은, 상기 기설정 조건에 상기 RSRP의 측정 결과, 상기 RSRQ의 측정 결과, 상기 RS-SINR의 측정 결과, 상기 단말 기기의 업무 QoS 요구 및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때, 상기 네트워크 측은 시스템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기설정 조건에 대응되는 임계값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임계값에 따라 상기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상기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16. 단말 기기로서, 선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 유닛은, 시스템이 동시에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및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구성하였을 때, 기설정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상기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랜덤 액세스 절차는,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는,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조건은,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의 측정 결과; 참조 신호 수신 품질(RSRQ)의 측정 결과; 참조 신호-신호 대 간섭 잡음비(RS-SINR)의 측정 결과; 상기 단말 기기의 업무 서비스 품질(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 우선순위 중에서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조건이 상기 RSRP의 측정 결과일 때, 상기 RSRP의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선택 유닛은 상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조건이 상기 RSRQ의 측정 결과일 때, 상기 RSRQ의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선택 유닛은 상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조건이 상기 RS-SINR의 측정 결과일 때, 상기 RS-SINR의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제3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선택 유닛은 상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업무 QoS 요구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무 지연 요구를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 조건이 상기 단말 기기의 업무 지연 요구일 때, 상기 단말 기기의 업무 지연 요구가 기설정된 제4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선택 유닛은 상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조건이 상기 단말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일 때, 상기 단말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허가 주파수 대역이면, 상기 선택 유닛은 상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조건이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 우선순위일 때,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 우선순위가 기설정된 제5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선택 유닛은 상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5. 제18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에는 획득 유닛이 추가로 포함되고;
    상기 획득 유닛은, 프라이머리 셀(Pcell),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Pscell) 또는 타깃 핸드 오버 셀에 대한 측정에 기반하여 상기 RSRP의 측정 결과 및 상기 RSRQ의 측정 결과 및 상기 RS-SINR의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6. 제19항 내지 제22항 및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네트워크 측이 시스템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획득 유닛에 통지한 것;
    또는, 상기 임계값은 상기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측이 미리 협의하여 약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7. 네트워크 기기로서, 구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 유닛은, 단말 기기를 위해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및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동시에 구성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이 필요할 때, 기설정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상기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랜덤 액세스 절차는,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는,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조건은,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의 측정 결과; 참조 신호 수신 품질(RSRQ)의 측정 결과; 참조 신호-신호 대 간섭 잡음비(RS-SINR)의 측정 결과; 상기 단말 기기의 업무 서비스 품질(QoS) 요구; 상기 단말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 우선순위 중에서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는 송신 유닛이 추가로 포함되고;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기설정 조건에 상기 RSRP의 측정 결과, 상기 RSRQ의 측정 결과, 상기 RS-SINR의 측정 결과, 상기 단말 기기의 업무 QoS 요구 및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때, 시스템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기설정 조건에 대응되는 임계값을 송신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임계값에 따라 상기 제1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상기 제2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을 선택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31. 통신 기기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작동하여,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32. 칩으로서,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켜, 상기 칩이 장착되어 있는 기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33.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34.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5.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7019540A 2018-11-30 2018-11-30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장치, 칩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959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118628 WO2020107416A1 (zh) 2018-11-30 2018-11-30 随机接入过程选择方法、装置、芯片及计算机程序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906A true KR20210095906A (ko) 2021-08-03

Family

ID=7085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9540A KR20210095906A (ko) 2018-11-30 2018-11-30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장치, 칩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289560A1 (ko)
EP (1) EP3879883A4 (ko)
KR (1) KR20210095906A (ko)
CN (2) CN113347735A (ko)
BR (1) BR112021010314A2 (ko)
CA (1) CA3121400A1 (ko)
MX (1) MX2021006378A (ko)
SG (1) SG11202105619VA (ko)
WO (1) WO20201074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0789A (zh) * 2019-01-24 2021-08-31 苹果公司 用于在连接到5g核心网(5gcn)时操作增强型机器类型通信(emtc)和窄带物联网(nb-iot)用户设备(ue)的系统和方法
CN111278153B (zh) * 2019-01-25 2022-07-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及装置、通信设备
CN113348723A (zh) * 2019-02-01 2021-09-03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装置以及基站装置
JP7343591B2 (ja) * 2019-08-14 2023-09-12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及び通信方法
CN113891486B (zh) * 2020-07-02 2024-05-14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通信节点中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13013B1 (en) * 2007-10-31 2016-10-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lection of transmit mode dur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CN102143533B (zh) * 2010-02-02 2014-01-0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随机接入过程中生成信息的上报、确定参数的方法及设备
KR102298357B1 (ko) * 2014-03-21 2021-09-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기지국과 랜덤 엑세스 수행 방법 및 장치
US10142980B2 (en) * 2016-02-26 2018-11-27 Qualcomm Incorporated Discovery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window detection and discovery reference signal measurement configuration
KR102626219B1 (ko) * 2017-01-13 2024-01-18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캐리어 주파수에서 경합 기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8171194A1 (zh) * 2017-10-30 2018-09-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1010314A2 (pt) 2021-08-24
SG11202105619VA (en) 2021-06-29
CN112673676A (zh) 2021-04-16
EP3879883A4 (en) 2021-12-01
CN113347735A (zh) 2021-09-03
MX2021006378A (es) 2021-07-02
US20210289560A1 (en) 2021-09-16
CA3121400A1 (en) 2020-06-04
WO2020107416A1 (zh) 2020-06-04
EP3879883A1 (en)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8876B1 (ko) 비면허 스펙트럼에 이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과 장치
KR20210095906A (ko) 랜덤 액세스 절차 선택 방법, 장치, 칩 및 컴퓨터 프로그램
CA3096565C (en) Channel access method and apparatus for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transmission, and program
KR102612875B1 (ko) 무작위 접속의 방법과 장치
US11825519B2 (en) Random access method, terminal device, network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0056736A1 (zh) 一种随机接入控制方法及装置、网络设备、终端
CN111758294A (zh) 一种随机接入方法及装置、通信设备
CN113068271B (zh) 一种随机接入方法及装置、网络设备、终端
WO2020056733A1 (zh) 一种负荷控制方法及装置、网络设备、终端
KR20210036931A (ko) 랜덤 액세스 방법 및 관련 기기
WO2020056717A1 (zh) 一种资源关联方法及装置、终端、网络设备
WO2020206643A1 (zh) 一种随机接入方法、设备及存储介质
EP3787354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14641046A (zh) 一种切换处理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CN111801969A (zh) 波束失败恢复实现方法、装置、芯片及计算机程序
KR20210021053A (ko) 채널 액세스 유형 지시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CN115299165A (zh) 一种数据传输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