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648A - 유체가 블래더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유체 충전식 블래더를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체가 블래더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유체 충전식 블래더를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648A
KR20210095648A KR1020217018621A KR20217018621A KR20210095648A KR 20210095648 A KR20210095648 A KR 20210095648A KR 1020217018621 A KR1020217018621 A KR 1020217018621A KR 20217018621 A KR20217018621 A KR 20217018621A KR 20210095648 A KR20210095648 A KR 20210095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fluid
major surface
bladd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8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빈 베일리
엘리자베스 랑방
리바이 제이 패튼
아담 볼머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10095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6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tubes or pipes or tubular shaped cushioning members
    • A43B3/0005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풋웨어 물품(100)용 밑창 구조체(104)와 같은 발 지지 시스템은, 제1 펌프에 의해 한정된 제1 내부 펌프 챔버(502C, 802C)와 유체 연통하는 제1 유입구(502I, 802I) 및 제1 유출구(502O, 802O)를 갖는 제1 펌프(500, 800)를 포함한다. 제1 내부 펌프 챔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벽(504A, 804A)과 제1 벽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2 벽(504B, 804B) 사이에 한정된 개방 공간을 포함한다. 제1 벽 또는 제2 벽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내부 펌프 챔버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유체가 제1 유출구를 통해 제1 내부 펌프 챔버를 빠져나가도록 강제하기 위해 접힐 수 있다. 제1 밑창 구성요소(300)는 제1 주 표면(302G) 및 제1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주 표면(302I)을 포함한다. 제2 주 표면은 제1 펌프 수용 영역(302P, 312P)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1 펌프 수용 영역은 제1 내부 펌프 챔버의 제1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1 펌프 계합 표면(302S, 312S)을 한정한다. 유사하게, 제2 밑창 구성요소(600)는 제3 주 표면(602I) 및 제3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4 주 표면(602G)을 포함한다. 제4 주 표면은 제2 펌프 수용 영역(602P, 612P)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2 펌프 수용 영역은 제1 내부 펌프 챔버의 제2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2 펌프 계합 표면(602S, 612S)을 한정한다. 이들 펌프 특징을 포함하여, 유체 이송 시스템(1000)도 설명된다. 발 지지 시스템, 밑창 구조체, 및 유체 이송 시스템은,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밑창 구조체 내에 배열되고 잠재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는(예를 들어, 하나의 펌프가 유체를 다음 펌프로 직렬로 펌핑하도록) 둘 이상의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가 블래더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유체 충전식 블래더를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관련 출원 데이터
본 출원은 2018년 11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772,786호에 기초한 우선권 이익을 주장한다.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772,786호는 전체적으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태 및 특징은 (a) 2017년 2월 2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59호; (b) 2017년 2월 2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92호; (c)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50,140호, (d) 2018년 5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678,662호, 및 (e) 2019년 5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425,356호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59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92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50,140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678,662호 및 (e) 미국 특허 출원 제16/425,356호 각각은 전체적으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풋웨어 또는 다른 발-수용 장치 분야의 발 지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양태는, 예를 들어 전체 시스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유체 충전식 블래더 내의 압력(예를 들어, 발 지지 압력)을 변화시키고/시키거나 제어하기 위해, 밑창 구조체/풋웨어 물품 내의 유체의 이동을 촉진하는 하나 이상의 펌프(예를 들어, 발 활성화식 펌프)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유체 이송 시스템, 발 지지 시스템, 풋웨어 물품, 및/또는 다른 발-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운동용 풋웨어 물품은 2개의 주요 요소, 즉 갑피(upper) 및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갑피는 밑창 구조체에 대해 발을 고정적으로 수용하여 위치결정하는, 발을 위한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갑피는 발을 보호하고 환기를 제공하고, 이에 의해 발을 냉각시키고 땀을 제거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밑창 구조체는 갑피의 하부면에 고정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발과 임의의 접촉면 사이에 위치결정된다. 지면 반력을 감쇠시키고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에 부가하여, 밑창 구조체는 트랙션(traction)을 제공하고, 과회내(over pronation)와 같은 잠재적으로 유해한 발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갑피는 발을 수용하기 위해 풋웨어의 내측에 공동(void)을 형성한다. 공동은 발의 일반적인 형상을 가지며, 공동에 대한 접근이 발목 개구(ankle opening)에서 제공된다. 따라서, 갑피는 발의 발등 및 발가락 구역 위로, 발의 내측부 및 외측부를 따라, 발의 뒤꿈치 구역 주위로 연장된다. 끈 시스템(lacing system)은 종종 갑피에 합체되어, 사용자가 발목 개구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변경하게 하고, 사용자가 갑피의 특정 치수, 특히 둘레치수(girth)를 변경하여 다양한 비율을 갖는 발을 수용하게 한다. 또한, 갑피는 풋웨어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예를 들어, 끈에 의해 발에 인가되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끈 시스템 아래로 연장되는 텅(tongue)을 포함할 수 있고, 갑피는 또한 뒤꿈치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힐 카운터(heel counter)를 포함할 수 있다.
"풋웨어"는, 그러한 용어가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발을 위한 임의의 유형의 의복(wearing apparel)을 의미하며, 이러한 용어는 모든 유형의 신발, 부츠, 스니커즈, 샌들, 쏭(thongs), 플립-플롭(flip-flops), 뮬(mules), 스커프(scuffs), 슬리퍼, 스포츠-특정 신발(예컨대, 러닝화, 골프화, 테니스화, 야구화(baseball cleats), 축구화(soccer cleats) 또는 풋볼화(football cleats), 스키 부츠, 농구화, 크로스 트레이닝화(cross training shoes) 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수용 장치"는, 그러한 용어가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발의 적어도 일부분을 배치하는 임의의 장치를 의미한다. 모든 유형의 "풋웨어"에 부가하여, 발-수용 장치는 스노우 스키, 크로스 컨트리 스키, 수상 스키, 스노우보드 등에 발을 고정시키기 위한 바인딩(binding) 및 다른 장치; 자전거, 운동 장비 등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페달에 발을 고정시키기 위한 바인딩, 클립(clip) 또는 다른 장치; 비디오 게임 또는 다른 게임의 플레이 동안에 발을 수용하기 위한 바인딩, 클립 또는 다른 장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수용 장치"는 다른 구성요소 또는 구조체에 대해 발을 위치결정하는 것을 돕는 하나 이상의 "발 커버 부재"(예를 들어, 풋웨어 갑피 구성요소와 유사), 및 사용자 발의 발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분(들)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발-지지 부재"(예를 들어, 풋웨어 밑창 구조체 구성요소와 유사)를 포함할 수 있다. "발-지지 부재"는 풋웨어 물품을 위한 중창 및/또는 겉창으로서 기능하는 구성요소 및/또는 이를 위한 구성요소(또는 비풋웨어 유형의 발-수용 장치에서 대응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명의 내용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본 기술과 관련된 일부의 일반적인 개념을 단순화된 형태로 소개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발명의 내용은 본 발명의 주요 특징 또는 본질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기술의 양태는, 예를 들어 하기에서 설명되고/되거나 청구된 유형, 및/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유형의 밑창 구조체, 유체 이송 시스템, 발 지지 시스템, 풋웨어 물품, 및/또는 다른 발-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밑창 구조체, 유체 이송 시스템, 발 지지 시스템, 풋웨어 물품 및/또는 다른 발-수용 장치는 하기에서 설명되고/되거나 청구된 예 및/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예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구조체, 부품, 특징, 특성, 및/또는 구조체, 부품, 특징 및/또는 특성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의 보다 구체적인 양태는, 예를 들어 전체 시스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유체 충전식 블래더 내의 압력(예를 들어, 발 지지 압력)을 변화시키고/시키거나 제어하기 위해, 밑창 구조체/풋웨어 물품/발-지지 부재/발-수용 장치 내의 유체의 이동을 촉진하는 하나 이상의 펌프(예를 들어, 발 활성화식 펌프)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유체 이송 시스템, 발 지지 시스템, 풋웨어 물품, 및/또는 다른 발-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양태는 발 지지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과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이러한 기술의 부가적인 양태는 그러한 발 지지 시스템 및/또는 풋웨어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또는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기 위해 그러한 발 지지 시스템 및/또는 풋웨어 물품을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명의 내용뿐만 아니라, 하기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고려될 때 보다 잘 이해될 것이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해당 참조 번호가 나타나는 모든 다양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a 내지 도 1h는 이러한 기술의 일부 예에 따른 풋웨어 물품 및/또는 그 다양한 구성요소의 다양한 도면을 제공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이러한 기술의 일부 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 및 풋웨어 물품의 특징을 도시하는 여러 도면을 제공한다.
도 3은 이러한 기술의 다른 예시적인 발 지지 시스템 내의 펌프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4는 이러한 기술의 양태의 부가적인 및/또는 대안적인 특징을 강조하기 위해 제공된 유체 이송 시스템 및 발 지지 시스템의 개략도를 포함한다.
도 5는 이러한 기술의 양태의 또 다른 부가적인 및/또는 대안적인 특징을 강조하기 위해 제공된 유체 이송 시스템 및 발 지지 시스템의 개략도를 포함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유체 이송 시스템 및 발 지지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정 구성의 개략도를 포함한다.
본 기술에 따른 풋웨어 구조체 및 구성요소의 다양한 예에 대한 하기의 설명에서, 본원의 일부를 형성하고, 본 기술의 양태가 실시될 수 있는 다양한 예시적인 구조체 및 환경을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이 참조된다. 다른 구조체 및 환경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기술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구체적으로 설명된 구조체, 기능 및 방법에 대한 구조적 및 기능적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I. 본 기술의 양태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기술의 양태는, 예를 들어 하기에서 설명되고/되거나 청구된 유형, 및/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유형의 유체 이송 시스템, 발 지지 시스템, 풋웨어 물품, 및/또는 다른 발-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유체 이송 시스템, 발 지지 시스템, 풋웨어 물품 및/또는 다른 발-수용 장치는 하기에서 설명되고/되거나 청구된 예 및/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예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구조체, 부품, 특징, 특성, 및/또는 구조체, 부품, 특징 및/또는 특성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부 더 구체적인 양태 또는 예는 풋웨어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에 관한 것이며, 밑창 구조체는 (a) 제1 펌프에 의해 한정된 제1 내부 펌프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제1 유입구 및 제1 유출구를 갖는 제1 펌프로서, 제1 내부 펌프 챔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벽과 제1 벽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2 벽 사이에 한정된 개방 공간을 포함하고, 제1 벽 또는 제2 벽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내부 펌프 챔버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유체가 제1 유출구를 통해 제1 내부 펌프 챔버를 빠져나가도록 강제하기 위해 접힐 수 있는, 제1 펌프; (b) 제1 주 표면 및 제1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주 표면을 갖는 제1 밑창 구성요소(예를 들어, 겉창 구성요소 또는 발 지지 플레이트)로서, 제2 주 표면은 제1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제1 펌프 수용 영역은 제1 내부 펌프 챔버의 제1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1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제1 밑창 구성요소; 및 (c) 제3 주 표면 및 제3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4 주 표면을 갖는 제2 밑창 구성요소(예를 들어, 중창 구성요소 또는 발 지지 플레이트)로서, 제4 주 표면은 제2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제2 펌프 수용 영역은 제1 내부 펌프 챔버의 제2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2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제2 밑창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1 펌프의 제1 유출구는 유체 충전식 블래더(예를 들어, 발 지지 블래더, 리저버(reservoir) 블래더 등), 유체 이송 라인, 다른 펌프 등 중 하나 이상과 유체 연통할 수 있다.
기술의 이들 양태/예의 일부 예에서, 밑창 구조체는 제2 펌프에 의해 한정된 제2 내부 펌프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를 갖는 제2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내부 펌프 챔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3 벽과 제3 벽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4 벽 사이에 한정된 개방 공간을 포함하고, 제3 벽 또는 제4 벽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유체가 제2 유출구를 통해 제2 내부 펌프 챔버를 빠져나가도록 강제하기 위해 접힐 수 있다. 제2 펌프의 이러한 제2 유입구는 (예를 들어,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해) 제1 펌프의 제1 유출구와 유체 연통하여, 유체가 제1 펌프로부터 제2 내부 펌프 챔버 내로 펌핑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펌프는 제2 펌프 내부 펌프 챔버 내로 유체를 펌핑할 수 있다. 제2 펌프의 제2 유출구는 유체 충전식 블래더(예를 들어, 리저버 블래더, 발 지지 블래더 등), 유체 이송 라인, 및/또는 심지어 다른 펌프 중 하나 이상과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유체 충전식 블래더를 포함하는 구조체에서, 이러한 유체 충전식 블래더는 리저버 블래더(예를 들어, 풋웨어 갑피 및/또는 밑창 구조체에 포함됨)일 수 있고, 그 리저버 유체 충전식 블래더는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 가능한 제어 밸브를 통해) 발 지지 블래더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제2 펌프는 제1 펌프에 대해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밑창 구조체 내로(예를 들어, 밑창 구성요소들의 주 표면들 사이에, 밑창 구성요소(들) 내의 펌프 수용 영역(들) 내에, 밑창 구성요소(들)의 펌프 계합 표면(들)과 계합되어, 기타 등등으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의 부가적인 예 및 양태는, 예를 들어 풋웨어 물품 내에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예를 들어, 발 지지 시스템을 위한) 유체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유체 이송 시스템은 (a) 제1 펌프 챔버, 제1 유입구, 및 제1 유출구를 포함하는 제1 펌프; (b) 제1 유입구에 연결되고 제1 펌프를 외부 유체 공급원과 연결하는 제1 유체 이송 라인으로서, 유체를 외부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제1 유입구를 통해 제1 펌프 챔버 내로 이동시키는 제1 유체 이송 라인; (c) 제2 펌프 챔버,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를 포함하는 제2 펌프; (d) 제2 유입구에 연결되고 유체가 제1 펌프의 제1 유출구로부터 제2 유입구를 통해 제2 펌프 챔버 내로 방출되게 하는 제2 유체 이송 라인; (e) 제2 유출구에 연결되고 제2 펌프 챔버로부터 방출된 유체를 수용하는 제3 유체 이송 라인; 및 (f) 제3 유체 이송 라인과 유체 연통하고 제2 펌프 챔버로부터 방출되는 유체를 제2 유출구를 통해 수용하는 유체-충전식 블래더(예를 들어, 리저버 블래더 및/또는 발 지지 블래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예/양태에서, 유체 이송 시스템은 (a) 유체가 외부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제1 유입구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유체가 제1 유입구로부터 제1 밸브를 통해 (예를 들어, 외부 유체 공급원으로 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해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제1 유체 이송 라인 내에 제공되는 제1 밸브, 및/또는 (b) 유체가 제2 유체 라인으로부터 제2 유입구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유체가 제2 유입구로부터 제2 밸브를 통해 (예를 들어, 제2 유체 라인 및/또는 제1 펌프 내로 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해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제2 유체 이송 라인 내에 제공되는 제2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의 또 다른 부가적인 예 및 양태는 발 지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발 지지 시스템은 (a)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내측 체적, 제1 길이방향 구역, 및 제1 길이방향 구역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길이방향 구역을 갖는 유체-충전식 블래더; (b) 제1 펌프 챔버, 제1 유입구, 및 제1 유출구를 포함하는 제1 펌프로서, 유체-충전식 블래더의 제1 길이방향 구역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펌프; (c) 제1 유입구에 연결되고 제1 펌프를 외부 유체 공급원(예를 들어, 주변 공기)과 연결하는 제1 유체 이송 라인으로서, 유체를 외부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제1 유입구를 통해 제1 펌프 챔버 내로 이동시키는 제1 유체 이송 라인; (d) 제2 펌프 챔버,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를 포함하는 제2 펌프로서, 유체-충전식 블래더의 제2 길이방향 구역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펌프; (e) 제2 유입구에 연결되고 제1 유출구로부터 방출된 유체가 제2 유입구를 통해 제2 펌프 챔버 내로 방출되게 하는 제2 유체 이송 라인; 및 (f) 제2 유출구에 연결되고 제2 펌프 챔버로부터 방출된 유체를 수용하는 제3 유체 이송 라인으로서, 유체-충전식 블래더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3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해 제2 펌프와 유체 연통하는, 제3 유체 이송 라인을 포함한다. 유체-충전식 블래더는 발 지지 블래더 및/또는 리저버 블래더일 수 있다. 다른 옵션 또는 대안으로서, 이들 예시적인 발 지지 시스템은 제2 유체-충전식 블래더, 및 (예를 들어, 이들 블래더 중 하나 이상에서 유체 압력을 변화시키고/시키거나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체-충전식 블래더를 제2 유체-충전식 블래더와 연결하는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의 부가적인 예 및 양태는, 전술한 다양한 예 및 양태 중 임의의 밑창 구조체, 유체 이송 시스템, 및/또는 발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및/또는 다른 발-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의 또 다른 부가적 예 및 양태는 그러한 밑창 구조체, 유체 이송 시스템, 발 지지 시스템, 풋웨어 물품, 및/또는 발-수용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및/또는 예를 들어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기 위해 그러한 밑창 구조체, 유체 이송 시스템, 발 지지 시스템, 풋웨어 물품, 및/또는 발-수용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 제공된 본 기술의 특정 예에 따른 특징, 예, 양태, 구조체, 프로세스 및 배열의 일반적인 설명을 고려하여, 본 기술에 따른 특정의 예시적인 발 지지 구조체, 풋웨어 물품 및 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이 후술된다.
II. 본 기술에 따른 예시적인 풋웨어 물품, 발 지지 시스템 및 다른 구성요소/특징에 대한 상세한 설명
도면 및 하기의 논의를 참조하여, 본 기술의 양태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 유체 이송 시스템, 밑창 구조체 및 풋웨어 물품의 다양한 예가 설명된다. 본 기술의 양태는 발 지지 시스템, 풋웨어 물품(또는 다른 발-수용 장치) 및/또는 방법, 예를 들어, 하기에서 설명된 것들, 및/또는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59호 및/또는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92호에 설명된 것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이러한 기술의 적어도 일부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풋웨어 물품(100)의 측면도를 제공한다. 풋웨어 물품(100)은 갑피(102) 및 갑피(102)와 계합된 밑창 구조체(104)를 포함한다. 갑피(102)는, 풋웨어 분야에 알려져 있고 풋웨어 분야에서 이용되는 종래의 재료를 포함하는 임의의 희망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갑피(102)를 위한 적합한 재료의 예는 직물, 편직물, 가죽(천연 또는 합성), 범포, 폴리에스테르, 면, 기타 천 또는 텍스타일,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갑피(10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갑피(102) 및/또는 밑창 구조체(104)에 의해 한정된 발-수용 챔버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발 삽입 개구(106)를 한정한다. 폐쇄 시스템(108)(예를 들어, 끈 및 끈 시스템, 하나 이상의 스트랩, 지퍼 등)이 제공되어, (예를 들어, 종래의 방식으로) 풋웨어 물품(100)을 착용자의 발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한다.
갑피(102) 및 밑창 구조체(104) 각각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구성요소 부분으로 형성될 때, 이들 구성요소 부분은, 풋웨어 분야에 알려져 있고 풋웨어 분야에서 이용되는 종래의 방식을 포함하는 접착제 또는 시멘트; 바느질된 이음매; 기계적 커넥터; 융합 기법; 및/또는 다른 방식 중 하나 이상에 의한 것을 포함하여, 임의의 희망하는 방식으로 함께 계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갑피(102) 및 밑창 구조체(104)는, 풋웨어 분야에 알려져 있고 풋웨어 분야에서 이용되는 종래의 방식을 포함하는 접착제 또는 시멘트; 바느질된 이음매; 기계적 커넥터; 융합 기법; 및/또는 다른 방식 중 하나 이상에 의한 것을 포함하여, 임의의 희망하는 방식으로 함께 계합될 수 있다.
도 1a의 풋웨어 물품(100)은, 이러한 기술의 예 및 양태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밑창 구조체(104)와 함께 포함됨) 및 유체 이송 시스템(그 일부는 도 1a의 요소(200)에서 도시됨)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발 지지 시스템 및 유체 이송 시스템에 관한 더 상세한 설명을 도 1a 내지 도 6과 함께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b는 펌프 구조체(500, 800)를 통한 예시적인 풋웨어 물품(100)의 횡방향(내측부-대-외측부)의 수직 단면도를 제공한다. 도 1b는 이러한 기술의 일부 예에 따른 풋웨어 물품(100) 및 밑창 구조체(104)의 예시적인 구성요소 부분의 일반적인 예시적 배열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풋웨어 물품(100)은 저부 에지(102E)가 (예를 들어, 스티칭, 접착, 기계적 커넥터, 융합 기법 등에 의해) 스트로벨 부재(110)에 연결된 갑피(102)를 포함한다. 스트립일 부재(110)는 갑피(102)의 저부를 폐쇄한다(그리고 풋웨어(100)의 발-수용 챔버(100C)를 부분적으로 한정한다). 스트로벨 부재(110)의 저부는 밑창 구조체(104)와 계합된다(선택적으로, 스티칭, 접착제, 기계적 커넥터, 융합 기법 등에 의한 것을 포함하는 임의의 희망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삭 라이너(sock liner)(112) 또는 안창 요소는 내측 발-수용 챔버(100C)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04)는 (a) 제1 밑창 구성요소(300)(예를 들어, 겉창 또는 다른 발 지지 플레이트); (b) 제1 유체-충전식 블래더(400)(예를 들어, 리저버 블래더, 발 지지 블래더 등); (c) 제1 펌프(500, 800)(예를 들어, 뒤꿈치 구역, 전족부 구역, 중족부 구역 등에 위치함); (d) 제2 밑창 구성요소(600)(예를 들어, 중창 또는 발 지지 플레이트); 및 (e) 제2 유체-충전식 블래더(700)(예를 들어, 리저버 블래더, 발 지지 블래더 등)를 포함한다.
도 1c, 도 1d, 및 도 1e는 이러한 예시적인 풋웨어 물품(100) 및 밑창 구조체(104)의 겉창(300)의 저면도, 상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제공한다. 이러한 겉창(300)은, 풋웨어 분야에 알려져 있고 풋웨어 분야에서 이용되는 재료 및/또는 구조체를 포함하여, 고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다른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중합체, 및/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 및/또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임의의 희망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f는 중창(600)의 저면도를 제공한다. 중창(600)은,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폼(foam), 폴리우레탄 폼 등과 같은 중합체 폼 재료; 고무 재료;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재료; 및/또는 풋웨어 분야에 알려져 있고 풋웨어 분야에서 이용되는 재료 및/또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다른 적합한 충격력 감쇠 재료 및/또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임의의 희망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요소(600)는, 예를 들어 블래더(400) 및 발 지지 블래더(700)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교적 강성인 발 지지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거나 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g는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제1 펌프(500) 및 제2 펌프(800)와 일체로 형성되는 유체-충전식 블래더, 예를 들어 블래더(400)(예를 들어, 리저버 블래더)의 평면도를 제공한다. 도 1h는 전체적인 유체 이송 시스템, 및 이러한 특정의 예시적인 구조체의 발 지지 시스템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1b 및 도 1h에 도시된 바와 같이(그러나 또한 다른 도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풋웨어 물품(100)을 위한 이러한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04)는 제1 펌프(500)에 의해 한정된 제1 내부 펌프 챔버(502C)와 유체 연통하는 제1 유입구(502I) 및 제1 유출구(502O)를 갖는 제1 펌프(5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펌프(500) 및 제1 내부 펌프 챔버(502C)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벽(504A)과 제1 벽(504A)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2 벽(504B) 사이에 개방 공간을 한정한다. 제1 벽(504A) 및/또는 제2 벽(504B) 중 적어도 하나(그리고 선택적으로 둘 모두)는, 제1 내부 펌프 챔버(502C)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유체가 제1 유출구(502O)를 통해 제1 내부 펌프 챔버(502C)를 빠져나가도록 강제하기 위해 접힐 수 있다.
도 1b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펌프(500)의 저부(예를 들어, 제1 벽(504A))는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겉창 구성요소인 제1 밑창 구성요소(30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인다(그리고 선택적으로 완전히 덮인다). 제1 밑창 구성요소(300)는 제1 주 표면(302G)(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그에 부착된 트랙션 요소를 갖는 지면 접촉 또는 지면 대면 표면) 및 제1 주 표면(302G)에 대향하는 제2 주 표면(302I)을 갖는다. 제2 주 표면(302I)은 제1 펌프 수용 영역(302P)을 더 한정하고, 이러한 제1 펌프 수용 영역(302P)은 제1 내부 펌프 챔버(502C)의 제1 벽(504A)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그리고 선택적으로 그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1 펌프 계합 표면(302S)을 한정한다. 희망하는 경우에, 여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밑창 구성요소(300)(예를 들어, 겉창 구성요소)의 제1 주 표면(302G)이 밑창 구조체(104)의 지면 대면 표면인 경우에, 이러한 제1 주 표면(302G)은 제1 펌프 계합 표면(302S)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1 돌출부(3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돌출부(306)는 지면 대면 표면(302G)의 저부 기부 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밑창 구조체(104)(예를 들어, 제1 밑창 구성요소(300)의 제1 주 표면(302G))가 사용 시에 지면과 접촉할 때(예를 들어, 걷는 중에 착용자의 발이 지면과 접촉할 때) 제1 펌프(500)를 활성화하는 데(예를 들어, 압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도 1c 및 도 1e를 주목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1 펌프(500)의 상단부(예를 들어, 제2 벽(504B))는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중창 구성요소인 제2 밑창 구성요소(60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인다(그리고 선택적으로 완전히 덮인다). 이러한 제2 밑창 구성요소(600)는 제3 주 표면(602I) 및 제3 주 표면(602I)에 대향하는 제4 주 표면(602G)을 갖는다. 이러한 도시된 예의 제4 주 표면(602G)은 제2 펌프 수용 영역(602P)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2 펌프 수용 영역(602P)은, 제1 내부 펌프 챔버(502C)의 제2 벽(504B)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그리고 선택적으로 그와 접촉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2 펌프 계합 표면(602S)을 한정한다.
도 1b, 도 1d, 도 1f, 도 1g, 및 도 1h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부 펌프 챔버(502C)는 타원체 및/또는 회전타원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1 밑창 구성요소(300)의) 제1 펌프 계합 표면(302S) 및 (제2 밑창 구성요소(600)의) 제2 펌프 계합 표면(602S) 각각은 준-타원체 및/또는 준-회전타원체 형상(예를 들어, 대략적으로 반-타원체 및/또는 반-회전타원체인 형상)을 갖는다. 펌프 계합 표면(302S 및/또는 602S)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제1 펌프 챔버(502C)의 펌프 벽(504A 및/또는 504B)의 외측 측면과 직접적으로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희망하는 경우에, 펌프 계합 표면(302S 및/또는 602S)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시멘트에 의해) 제1 펌프 챔버(502C)의 펌프 벽(504A 및/또는 504B)의 외측 측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예를 들어, 펌프 챔버(502C)를 압축 및 확장하기 위해) 제1 밑창 구성요소(300) 및 제2 밑창 구성요소(600)가 서로에 대해 이동할 때(압축 및 확장될 때), 펌프 벽(504A 및/또는 504B)은 (안쪽 및 바깥쪽으로)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고정된" 특징은, 걸음 사이클 중에 사용자의 체중이 펌프(500)에 가해지지 않게 된 후에 제1 밑창 구성요소(300) 및 제2 밑창 구성요소(600)가 그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하거나 재-확장될 때, 대향하는 펌프 벽들(504A/504B)을 따로따로 분리하는 데 있어서(그리고 결과적으로 새로운 유체(예를 들어, 공기)를 유입구(502I)를 통해 펌프 챔버(502C) 내로 끌어당기는 데 있어서)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제1 밑창 구성요소(300)(예를 들어, 겉창), 제2 밑창 구성요소(600)(예를 들어, 중창), 및 제1 펌프(500) 사이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전술한 설명은, 이러한 예에서 밑창 구조체(104)의 뒤꿈치 기반 구역(heel based area)에 제공되는(그리고 착용자가 발의 뒤꿈치를 디딤으로써 의해 활성화되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04)의 전족부 구역 내에 제공되는(그리고 걸음 사이클 중에 착용자가 발의 발가락을 떼는 작용에 의해 활성화되는) 제2 펌프(800)는 제1 펌프(500)와 유사한 배열 및/또는 구조체를 가질 수 있고/있거나, 제1 밑창 구성요소(300) 및/또는 제2 밑창 구성요소(600)에 대한 유사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b 및 도 1h에 도시된 바와 같이(그러나 또한 다른 도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2 펌프(800)는 제2 펌프(800)에 의해 한정된 제2 내부 펌프 챔버(802C)와 유체 연통하는 제1 유입구(802I) 및 제1 유출구(802O)를 갖는다. 이러한 제2 펌프(800) 및 제2 내부 펌프 챔버(802C)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3 벽(804A)과 제3 벽(804A)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4 벽(804B) 사이에 개방 공간을 한정한다. 제3 벽(804A) 및/또는 제4 벽(804B) 중 적어도 하나(그리고 선택적으로 둘 모두)는, 제2 내부 펌프 챔버(802C)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유체가 제2 유출구(802O)를 통해 제2 내부 펌프 챔버(802C)를 빠져나가도록 강제하기 위해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서, 제2 펌프(800)의 제2 유입구(802I)는 제1 펌프(500)의 제1 유출구(502O)와 유체 연통하여, 유체가 제1 펌프(500)로부터 제2 내부 펌프 챔버(802C) 내로 펌핑되게 할 것이다. 제1 유출구(502O) 및 제2 유입구(802I)는, 제1 유출구(502O)와 계합된 제1 단부 및 제2 유입구(802I)와 계합된 제2 단부를 갖는 제1 유체 이송 라인(520)에 의해 합쳐질 수 있다.
도 1b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펌프(800)의 저부(예를 들어, 제3 벽(804A))는 제1 밑창 구성요소(300)(예를 들어, 겉창 구성요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인다(그리고 선택적으로 완전히 덮인다). 이러한 예의 제1 밑창 구성요소(300)의 제2 주 표면(302I)은 제3 펌프 수용 영역(312P)을 더 한정하고, 이러한 제3 펌프 수용 영역(312P)은 제2 내부 펌프 챔버(802C)의 제3 벽(804A)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그리고 선택적으로 그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3 펌프 계합 표면(312S)을 한정한다. 희망하는 경우에, 여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밑창 구성요소(300)(예를 들어, 겉창 구성요소)의 제1 주 표면(302G)이 밑창 구조체(104)의 지면 대면 표면인 경우에, 이러한 제1 주 표면(302G)은 제3 펌프 계합 표면(312S)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2 돌출부(3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돌출부(316)는 지면 대면 표면의 저부 기부 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밑창 구조체(104)(예를 들어, 제1 밑창 구성요소(300)의 제1 주 표면(302G))가 사용 시에 지면과 접촉할 때(예를 들어, 걷는 중에 착용자의 발이 지면을 밀어 그로부터 떨어질 때) 제2 펌프(800)를 활성화하는 데(예를 들어, 압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도 1c 및 도 1e를 주목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2 펌프(800)의 상단부(예를 들어, 제4 벽(804B))는 제2 밑창 구성요소(600)(예를 들어, 중창 구성요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인다(그리고 선택적으로 완전히 덮인다). 이러한 도시된 예의 제4 주 표면(602G)은 제2 펌프 수용 영역(612P)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2 펌프 수용 영역(612P)은, 제2 내부 펌프 챔버(802C)의 제4 벽(804B)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그리고 선택적으로 그와 접촉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2 펌프 계합 표면(612S)을 한정한다.
도 1b, 도 1d, 도 1f, 도 1g, 및 도 1h에 의해 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내부 펌프 챔버(802C)는 타원체 및/또는 회전타원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1 밑창 구성요소(300)의) 제3 펌프 계합 표면(312S) 및 (제2 밑창 구성요소(600)의) 제2 펌프 계합 표면(612S) 각각은 준-타원체 및/또는 준-회전타원체 형상(예를 들어, 대략적으로 반-타원체 및/또는 반-회전타원체인 형상)을 갖는다. 펌프 계합 표면(312S 및/또는 612S)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제2 펌프 챔버(802C)의 펌프 벽(804A 및/또는 804B)의 외측 측면과 직접적으로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희망하는 경우에, 펌프 계합 표면(312S 및/또는 612S)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접착제 또는 시멘트에 의해) 제2 펌프 챔버(802C)의 펌프 벽(804A 및/또는 804B)의 외측 측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예를 들어, 펌프 챔버(802C)를 압축 및 확장하기 위해) 제1 밑창 구성요소(300) 및 제2 밑창 구성요소(600)가 서로에 대해 이동할 때(압축 및 확장될 때), 펌프 벽(804A 및/또는 804B)은 (안쪽 및 바깥쪽으로)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고정된" 특징은, 걸음 사이클 중에 사용자의 체중이 펌프(800)에 가해지지 않게 된 후에 제1 밑창 구성요소(300) 및 제2 밑창 구성요소(600)가 그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하거나 재-확장될 때, 대향하는 펌프 벽들(804A/804B)을 따로따로 분리하는 데 있어서(그리고 결과적으로 새로운 유체(예를 들어, 공기)를 유입구(802I)를 통해 펌프 챔버(802C) 내로 끌어당기는 데 있어서)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예시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펌프(500 및 800)가 밑창 구조체(104) 내에 존재할 때, 펌프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구성 및/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크기(예를 들어, 체적, 치수 등)를 가질 수 있다. 일부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펌프(500, 80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착용자의 발과 접촉면(예를 들어, 지면) 사이의 접촉에 의해 활성화되도록 위치결정되는 압축 가능 벌브 타입 펌프(bulb type pump)일 수 있다. 그러한 구조체에서, 펌프(500)는, 착용자의 뒤꿈치가 지면과 접촉할 때(예를 들어, 걸음을 디딜 때) 압축되도록 밑창 구조체(104) 내에서 구조화되고 배열될 수 있고, 펌프(800)는, 착용자의 전족부가 지면과 접촉할 때(예를 들어, 엄지발가락 구역, 예를 들어 걷는 중에 발가락을 뗄 때) 압축되도록 밑창 구조체(104) 내에서 구조화되고 배열될 수 있다. 도 1g를 참조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타원체", "준-타원체", "회전타원체", 및 "준-회전타원체"는, 해당 물체의 표면이 임의의 정확한 수학식 및/또는 기능적 형상을 따를 것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대신 이들 용어는, 해당 형상에 전반적으로 정합하는 표면을 갖는 물체(예를 들어, 전반적으로 매끄럽게 곡선화된 계란형, 벌브형, 및/또는 공 형상인 물체, 또는 기타 전반적으로 타원체, 회전타원체, 준-타원체, 및/또는 준-회전타원체 형상인 물체)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용어 "준-타원체" 및/또는 "준-회전타원체"는 타원체 및/또는 회전타원체 형상 중 정확히 한 절반부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대신, 이들 용어는, 펌프의 외측 표면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둘러싸거나 그에 인접하여 놓이고/놓이거나 접촉하는, 예를 들어 펌프의 외측 표면의 적어도 25%, 그리고 일부 예에서 펌프의 외측 표면의 적어도 30%, 적어도 35%, 적어도 40%, 또는 심지어 적어도 45%를 둘러싸고/둘러싸거나 그에 인접하여 놓이고/놓이거나 접촉하는 표면을 포함한다.
펌프(500, 800) 중 적어도 하나(그리고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이는 펌프(800)임)는 유체 충전식 블래더(400)와 유체 연통하는 유출구(502O, 802O)를 갖는다. 더 구체적인 예로서, 유체 라인(522)은 펌프(800)의 제2 유출구(802O)를 유체 충전식 블래더(400)의 유입구(402I)와 연결한다. 도 1h를 참조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유체 충전식 블래더(400)의 적어도 일부(그리고 선택적으로 전부)는 제1 밑창 구성요소(300)의 제2 주 표면(302I)과 제2 밑창 구성요소(600)의 제4 주 표면(602G)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도 1b 및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충전식 블래더(400)는 내측부 부분(400M) 및 외측부 부분(400L)을 갖고, 이러한 측부 부분(400M, 400L)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펌프(500), 펌프(800), 및/또는 제1 유체 라인(520)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유체는 내측부 부분(400M)과 외측부 부분(400L) 사이에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거나(예를 들어, 두 측부 부분(400L 및 400M) 모두를 동일 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해), 유체 유동/유체 압력은 이들 부분(400L, 400M) 사이에서 제어될 수 있다(예를 들어, 측부 부분(400L 및 400M)이 상이한 압력을 갖게 하기 위해). 유체 충전식 블래더(400)는 발 지지 블래더 및/또는 리저버 블래더(예를 들어, 유체를 발 지지 블래더에 공급하고/하거나, 발 지지 블래더로부터 유체를 포획하고/하거나, 발 지지 블래더에 의한 사용을 위해 유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블래더)일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g의 도시된 예에서, 제1 밑창 구성요소(300)(예를 들어, 겉창 구성요소) 및 제2 밑창 구성요소(600)의 각각은, 착용자의 발의 전체 발바닥면을 지지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원-피스 구성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의 일부 양태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옵션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희망하는 경우에, 겉창 구성요소(300)는 다수의 구성요소 부분(예를 들어, 도 1c 및 도 1d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뒤꿈치 겉창 구성요소(310A) 및 전족부 겉창 구성요소(310B) 등)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배열에서, 돌출부(306 및 316), 펌프 수용 영역(302P 및 312P), 및 펌프 계합 표면(302S 및 312S)은 상이한 겉창 구성요소 부분 상에 제공된다. 더 구체적으로, 그러한 배열에서, (a) 돌출부(306), 펌프 수용 영역(302P), 및 펌프 계합 표면(302S)은 뒤꿈치 겉창 구성요소(310A) 상에 제공되고, (b) 돌출부(316), 펌프 수용 영역(312P), 및 펌프 계합 표면(312S)은 전족부 겉창 구성요소(310B) 상에 제공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희망하는 경우에, 중창 구성요소(600)는 다수의 구성요소 부분(예를 들어, 도 1f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뒤꿈치 중창 구성요소(610A) 및 전족부 중창 구성요소(610B) 등)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배열에서, 펌프 수용 영역(602P 및 612P) 및 펌프 계합 표면(602S 및 612S)은 상이한 중창 구성요소 부분 상에 제공된다. 더 구체적으로, 그러한 배열에서, (a) 펌프 수용 영역(602P) 및 펌프 계합 표면(602S)은 뒤꿈치 중창 구성요소(610A) 상에 제공되고, (b) 펌프 수용 영역(612P) 및 펌프 계합 표면(612S)은 전족부 중창 구성요소(610B) 상에 제공된다. 별도의 족궁 기반 겉창 및/또는 중창 구성요소 부분은 밑창 구조체(104) 내에 제공될 수 있고/있거나, 간극은 중창(600) 및/또는 겉창(300)의 뒤꿈치 기반 구성요소 부분 및 전족부 기반 구성요소 부분 사이의 족궁 구역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뒤꿈치 기반 구성요소(310A, 610A) 및/또는 전족부 기반 구성요소(310B, 610B)는 족궁 구역 내로 또는 족궁 구역을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서로 만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에 의해 뒤꿈치 기반 구성요소(310A, 610A)와 전족부 기반 구성요소(310B, 610B) 사이의 개방 간극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부 양태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중창(600) 및/또는 겉창(300)을 위한 다른 다수-구성요소 부분 구조체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g는, 단일형 원-피스 구성물로서 형성된 제1 펌프(500), 제2 펌프(800), 유체 충전식 블래더(400)(측부 구성요소(400M 및 400L) 포함), 및 제1 유체 라인(520)을 도시한다. 그러한 블래더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용접 기법을 통해) 선택적으로 함께 고정되고/되거나 희망 크기 및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 구조체 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하나 이상의 시트로부터) 열성형 기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블래더(400)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고 당업계에서 이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희망하는 경우에, 이들 기술의 일부 양태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블래더(400) 내의 이러한 물품을 2개 이상의 분리된 부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부 더 구체적인 예로서, (a) 블래더 부분(들)(400/400M/400L)은 하나의 또는 양 펌프(500/800)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고; (b) 블래더 부분(400M 및 400L)은 (펌프(들)(500/800) 및/또는 유체 라인(520)을 갖거나 갖지 않고)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고; (c) 유체 라인(520)은 하나의 또는 양 펌프(500, 800)로부터, 및/또는 유체 충전식 블래더(400) 또는 블래더 부분(400M/400L)으로부터 분리된 부분일 수 있고; 기타 등등일 수 있다.
도 1b 및 도 1h는, 이러한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04)가 착용자의 발의 발바닥면의 적어도 일부(그리고 선택적으로 착용자의 발의 발바닥면의 전부)를 지지하기 위한 발 지지 블래더(700)를 포함하는 것을 더 도시한다. 발 지지 블래더(700)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용접 기법에 의해) 선택적으로 함께 고정되고/되거나 희망 크기 및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 구조체 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하나 이상의 시트로부터) 열성형 기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블래더(700)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고 당업계에서 이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 지지 블래더(700)는, 예를 들어,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예를 들어, 프로그래밍 가능한 제어 밸브)을 통해, 유체 충전식 블래더(400)(예를 들어, 리저버 블래더)와 유체 연통할 수 있고, 그 예를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기술의 일부 예에서, 예를 들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지지 블래더(70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밑창 구성요소(600)(예를 들어, 중창 구성요소 및/또는 발 지지 플레이트)의 제3 주 표면(602I)에 인접하여 위치한다(그리고 선택적으로 그와 접촉하고/하거나 그에 고정된다). 희망하는 경우에, 발 지지 블래더(700)는 생략될 수 있고, 다른 블래더(400)가 발 지지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부 예에 따른, 예를 들어, 풋웨어 물품 또는 다른 발-수용 장치를 위한 유체 이송 시스템(1000)의 양태를 도 1h 내지 도 2c와 함께 설명할 것이다. 도 1h는 유체 이송 시스템(1000) 및 예시적인 전체 구성요소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2a는, 유체 이송 시스템(1000)의 일부 특징이 강조된, 신발(100) 구성요소의 횡방향의 내측부-대-외측부 수직 단면도이다. 도 2b는 예시적인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 및 그 구성요소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2a 및 도 2c는 풋웨어 물품(100)과 계합된(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시멘트; 기계적 커넥터; 바느질된 이음매 등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예를 들어, 갑피(102) 및/또는 밑창 구조체(104)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와 계합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을 도시한다. 도 1a와 비교하면, 도 2c는, 예를 들어,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 및 유체 이송 시스템(1000)의 전자기기 및/또는 다른 구조체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덮기 위해, 커버 부재(906)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유체 이송 시스템(1000)은 제1 펌프 챔버(502C), 제1 유입구(502I), 및 제1 유출구(502O)를 갖는 제1 펌프(500)를 포함한다. 유체 이송 라인(510)은 제1 유입구(502I)에 연결되고 제1 펌프(500)를 외부 유체 공급원(1010)(예를 들어 주변 공기 공급원)과 연결한다. 이러한 유체 이송 라인(510)은 유체를 외부 유체 공급원(1010)으로부터 제1 유입구(502I)를 통해 제1 펌프 챔버(502C) 내로 이동시킨다. 밸브(1012)(예를 들어, 체크 밸브 또는 일방향 밸브)는 라인(510) 내에 제공되어, 예를 들어 유체가 제1 펌프 챔버(502C)의 외부로 그리고 다시 유체 이송 라인(510)을 통해 외부 유체 공급원(1010)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펌프(500)가 활성화될 때(예를 들어, 벌브 펌프(bulb pump)가 압축되거나 압착될 때), 유체는 제1 유출구(502O)를 통해 제1 펌프 챔버(502C)의 외부로 강제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유체 이송 시스템(1000)은 제2 펌프 챔버(802C), 제2 유입구(802I), 및 제2 유출구(802O)를 갖는 제2 펌프(800)를 포함한다. 다른 유체 이송 라인(520)은 제1 펌프(500)의 제1 유출구(502O)를 제2 펌프(800)의 제2 유입구(802I)와 연결한다. 이러한 유체 이송 라인(520)은 제1 유출구(502O)로부터 방출된 유체를 제2 유입구(802I)를 통해 제2 펌프 챔버(802C) 내로 이동시킨다. 밸브(1014)(예를 들어, 체크 밸브 또는 일방향 밸브)는 라인(520) 내에 제공되어, 예를 들어 유체가 제2 펌프 챔버(802C)의 외부로 그리고 다시 유체 이송 라인(520) 및/또는 제1 펌프 챔버(502C) 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펌프(800)가 활성화될 때(예를 들어, 벌브 펌프가 압축되거나 압착될 때), 유체는 제2 유출구(802O)를 통해 제2 펌프 챔버(802C)의 외부로 강제된다.
다른 유체 이송 라인(522)은 제2 펌프(800)의 제2 유출구(802O)에 연결되고 제2 펌프 챔버(802C)로부터 방출되는 유체를 수용한다. 밸브(1016)(예를 들어, 체크 밸브 또는 일방향 밸브)는 유체 이송 라인(522) 내에 제공되어, 예를 들어 일단 유체가 외부로 펌핑되면, 유체가 유체 이송 라인(522)을 통해 제2 펌프 챔버(802C) 내로 다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체 이송 라인(522)의 다른 단부는 유체-충전식 블래더(400)에 연결된다(또는 그렇지 않으면 유체 연통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유체-충전식 블래더(400)는 리저버 블래더(예를 들어, 발 지지 블래더 내로 이송하기 위한 유체를 저장하는 블래더)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희망하는 경우에, 유체-충전식 블래더(400) 자체는, 예를 들어, 풋웨어 물품 또는 다른 발-수용 장치를 위한 발 지지 블래더 또는 발 지지 블래더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블래더(400)의 적어도 일부 부분은 풋웨어 갑피(102)의 적어도 일부와 계합될 수 있고/있거나, 그의 적어도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에 따른 적어도 일부의 예시적인 유체 이송 시스템(1000)에서, 유체-충전식 블래더(400)는 발 지지 블래더(700)를 위한 유체 공급원 또는 리저버로서 기능할 수 있다.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은 유체-충전식 블래더(400)와 발 지지 블래더(700) 사이의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어, 예를 들어 발 지지 블래더(700) 내의 압력을 제어하고 변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유체 이송 라인(524)은 유체를 유체-충전식 블래더(400)로부터, 유출구(402O)를 통해, (유입구(902I)를 경유하여)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 내로 이동시킨다. 선택적으로, 필요하거나 희망하는 경우에, 밸브(1018)(예를 들어, 체크 밸브 또는 일방향 밸브)는 유체 이송 라인(524) 내에 제공되어, 예를 들어 일단 유체가 유출구(402O)를 통해 방출되면, 유체가 유체 이송 라인(524)을 통해 유체-충전식 블래더(400) 내로 다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은, 유체-충전식 블래더(400)로부터 발 지지 블래더(700)로의; 발 지지 블래더(700)로부터 블래더(400)로의; 및/또는 (선택적으로, 밸브(1020)의 제어 하에서) 블래더(400, 70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로부터 및/또는 제어 시스템(900)으로부터, 예를 들어 주변 환경으로 방출되거나 분출될 유체의 이동 및 이동 제어를 위해 사용되고 제어될 수 있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제어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제어식 및/또는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밸브(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 체크 밸브, 일방향 밸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이송 라인(526)은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의 하나의 유출구(902O)를 발 지지 블래더(700)의 유입구 포트(702I)에 연결한다.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의 다른 유출구(904O)는 유체를 시스템(1000)으로부터 방출하고, 예를 들어 유체를 주변 환경으로 분출하고/하거나 유체를 블래더(400)로 다시 복귀시킨다. 선택적으로, 희망하는 경우에, 발 지지 블래더(700)는 발 지지 블래더(700)의 과도 팽창을 피하기 위해 적절한 크랙 압력(crack pressure)으로 설정된 체크 밸브(706)(또는 다른 일방향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프로그래밍 가능한 및/또는 전자적으로 제어 가능한 밸브, 수동으로 제어 가능한 밸브,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희망하는 유형의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 구조체 및 구성요소가 이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의 개략도가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압력 센서(P1)는, 예를 들어 리저버 블래더(400)로부터의 유체 이송 라인(524) 내에(또는 유체 이송 라인(524)과 연통되는 라인 내에) 제공된다. 리저버 블래더(400)로부터의 유체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910)(또는 다른 제어 가능한 밸브) 내로 도입된다. 개방될 때, 라인(524)으로부터의 유체는 솔레노이드 밸브(910)를 통해 유체 이송 라인(914)을 경유하여 밸브(912)로 유동한다. 유체 이송 라인(914)은 유체를 밸브(912)를 통해, 발 지지 블래더(700)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916)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이송 라인(526) 내로 이송한다. 유체 이송 라인(526)을 통한 유동은 압력 센서(P2)(유체 이송 라인(526) 내, 또는 유체 이송 라인(526)과 연통하는 라인 내에 있음)로부터의 압력 판독값, 및 발 지지 블래더(700)에 대한 희망 압력 설정을 기초로 제어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같은 전자 인터페이스, 신발에 대한 제어기 등을 통해) 발 지지 블래더(700)를 위한 희망 완충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유체 이송 라인(526) 내의 압력(그리고 그에 따른 발 지지 블래더(700) 내의 압력)이 희망 완충 레벨 미만이라는 것을 압력 센서(P2)가 감지하는 경우에, 리저버 블래더(400)로부터의 유체가 유체 이송 라인(524)을 통해, 제1 솔레노이드 밸브(910)를 통해, 유체 이송 라인(914)을 통해, 밸브(912)를 통해, 유출구(902O)를 통해, 그리고 발 지지 블래더(700) 내로 유동하도록, 제2 솔레노이드 밸브(916)가 폐쇄될 수 있고/있거나 밸브(918)의 크랙 압력이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발 지지 블래더(700) 내에서 희망 압력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압력 센서(P2)에 의해 측정될 경우), 유체는 이러한 방식으로 유동할 수 있다(예를 들어, 펌프(500, 800)에 의해 펌핑될 수 있다). 라인(526) 내의 추가적인 압력 증가(예를 들어, 발 지지 블래더(700)에 대한 희망 압력 설정을 초과함)가 밸브(918)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916)를 통과하고, 그리고 예를 들어 유출구(904O)를 통해 주변 환경(ATM)으로 방출, 예를 들어 분출되고/되거나 블래더(400)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2 솔레노이드 밸브(916)가 더 제어될 수 있고/있거나 밸브(918)의 크랙 압력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는 전체 발 지지 시스템(1000)을 통해, 예를 들어 주변 환경(1010)으로부터, 펌프(500)를 통해, 펌프(800)를 통해, 유체-충전식 블래더(400)(예를 들어, 리저버 블래더)를 통해, 그리고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 내로 계속적으로 펌핑될 수 있고, 유체는 (유체 이송 라인(526)을 통해)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으로부터 발 지지 블래더(700) 내로 도입되고, (발 지지 블래더(700) 내의 압력 레벨 및/또는 발 지지 블래더(700)에 대한 희망 압력 설정에 따라, 밸브(918)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916)를 통해) 주변 환경 내로 다시 방출, 예를 들어 분출되고/되거나, 블래더(400)로 복귀한다.
도면(예를 들어, 도 1g)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술의 양태는 또한 발 지지 시스템(예를 들어, 밑창 구조체(104) 및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1000))에 관한 것이고, 하기를 포함한다:
(a)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내측 체적(400I), 제1 길이방향 구역(예를 들어, 뒤꿈치 구역(400H)), 및 제1 길이방향 구역(400H)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길이방향 구역(400F)(예를 들어, 전족부 구역)을 갖는 유체-충전식 블래더 또는 리저버 블래더(400);
(b) 제1 펌프 챔버(502C), 제1 유입구(502I), 및 제1 유출구(502O)를 포함하는 제1 펌프(500)로서, 유체-충전식 블래더(400)의 제1 길이방향 구역(400H)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펌프(500);
(c) 제1 유입구(520I)에 연결되고 제1 펌프(500)를 외부 유체 공급원(1010)과 연결하는 제1 유체 이송 라인(510)으로서, 유체를 외부 유체 공급원(1010)으로부터 제1 유입구(502I)를 통해 제1 펌프 챔버(502C) 내로 이동시키는 제1 유체 이송 라인(510);
(d) 제2 펌프 챔버(802C), 제2 유입구(802I), 및 제2 유출구(802O)를 포함하는 제2 펌프(800)로서, 유체-충전식 블래더(400)의 제2 길이방향 구역(400F)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펌프(800);
(e) 제2 유입구(802I)에 연결되고 제1 유출구(502O)로부터 제2 유입구(802I)를 통해 제2 펌프 챔버(802C) 내로 유체가 방출되게 하는 제2 유체 이송 라인(520); 및
(f) 제2 유출구(802O)에 연결되고 제2 펌프 챔버(802C)로부터 방출되는 유체를 수용하는 제3 유체 이송 라인(522)으로서, 유체-충전식 블래더(400)가 제3 유체 이송 라인(522)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펌프(802)와 유체 연통하는, 제3 유체 이송 라인(522).
유체 충전식 블래더(400)는 (a) 제1 펌프(500)의 외측부에 위치하는 외측부 부분(400L), (b) 제1 펌프(500)의 내측부에 위치하는 내측부 부분(400M) (c) 제2 펌프(800)의 외측부에 위치하는 외측부 부분(400L), (d) 제2 펌프(800)의 내측부에 위치하는 내측부 부분(400M), (e) 제2 유체 이송 라인(520)의 외측부에 위치하는 외측부 부분(400L), 및/또는 (f) 제2 유체 이송 라인(520)의 내측부에 위치하는 내측부 부분(400M)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발 지지 시스템은 제2 유체-충전식 블래더(700)를, 예를 들어 발 지지 블래더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전술한 다양한 유형의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은 유체-충전식 블래더(400)를 제2 유체-충전식 블래더(700)와 연결한다. 유체-충전식 블래더(400) 및/또는 제2 유체-충전식 블래더(70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밑창 구성요소(예를 들어, 중창 구성요소(600), 겉창 구성요소(300), 둘 모두 등) 및/또는 풋웨어 갑피(102)와 계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유체-충전식 블래더(400) 및/또는 제2 유체-충전식 블래더(70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착용자의 발의 발바닥면의 모든 부분 또는 일부 부분(예를 들어, 뒤꿈치 부분, 전족부 부분 등)을 위한 발바닥 지지 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조화되고, 배향되고, 구성될 수 있다.
사용 시에, 도면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1 펌프(500) 및 제2 펌프(800) 각각은 착용자의 발에 의해 표면에 인가되는 힘에 응답하여 압축되도록 (예를 들어, 벌브 펌프로서) 구조화되고, (예를 들어, 착용자의 발 아래에) 배향되고, 구성된다. 일부 더 구체적인 특징으로서, (a) 제1 펌프 챔버(502C)는 (예를 들어, 걸음을 디딜 때) 착용자의 뒤꿈치에 의해 인가되는 하향력에 응답하여 압축되도록 구조화되고, 배향되고, 구성되고/되거나 (b) 제2 펌프 챔버(802C)는 착용자의 전족부(예를 들어, 걷는 중에 "발가락을 떼는" 동안 지면을 떠날 때,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발가락)에 의해 인가되는 하향력에 응답하여 압축되도록 구조화되고, 배향되고, 구성된다. 2개의 펌프를 직렬로 포함하는 것(예를 들어, 유체를 펌프(800)에 직접적으로 공급하는 펌프(500))은 유체 충전식 블래더(400) 및/또는 발 지지 블래더(700)의 초기 펌핑이 보다 신속하게 달성되게 하는데, 이는 제1 펌프(500)로부터의 유체가 제2 펌프(800)에 신속하게 공급되기 때문이고, 이는 이어서 블래더(400/700)에 이송된다.
이러한 기술의 전술한 예는 직렬로 배열된 2개의 펌프를 보여주지만, 당업자는, 이러한 개시의 이점을 고려할 때, 희망하는 경우에 단일 밑창 구조체 내에서, 3개 또는 심지어 그보다 많은 펌프(예를 들어, 압축 가능 벌브 펌프)를 직렬로 배열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기술의 이러한 양태의 적어도 일부 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들의 직렬 배열은 순차적으로 밑창 구조체 구성요소(2000)의 후방 뒤꿈치 구역으로부터, 중족부 구역을 통해, 그리고 밑창 구조체 구성요소(2000)의 전족부 구역까지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뒤꿈치 구역(전형적으로, 걸음을 디딜 경우)으로부터, 중족부 구역을 통해, 그리고 마지막으로 (걸음의 말미에 발가락을 떼기 위한) 내측 발가락 구역에서, 걸음 사이클 중에 착용자의 체중이 이동할 때, 펌프들은 연속적으로 활성화되도록(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직렬 시퀀스로 배열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펌프는, 전형적인 걸음이 진행됨에 따라, 펌프 1, 펌프 2, 펌프 3, 및 펌프 4의 순서로 활성화될 수 있다. 임의의 희망하는 수의 펌프가 이러한 직렬 시퀀스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펌프 각각은, 임의의 구조체 및/또는 밑창 구조체의 다른 구성요소를 위한 옵션(예를 들어, 겉창(300) 및/또는 중창(600)의 펌프 수용 영역 및/또는 펌프 계합 표면; 겉창(300) 상의 돌출부 등)을 포함하는, 도 1a 내지 도 2c와 함께 전술한 임의의 구조체 및/또는 구조체를 위한 옵션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이러한 기술의 일부 부가적인 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 및/또는 발 지지 시스템(4000)의 개략도를 포함한다. 도 4는 전술한 도 1h와 유사하고, 도 1h(또는 다른 도면)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도 4에서 사용될 때, 이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뜻한다. 따라서, 그 구성요소의 완전한 설명 및/또는 구체적인 설명은 도 4에 관한 논의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1h의 시스템(1000)과 마찬가지로, 도 4의 시스템(4000)은 유체를 리저버(400)에 제공하는 2-스테이지 펌프(펌프(800)와 직렬인 펌프(500))를 포함하고, 리저버(400)는 결과적으로 유체를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에 공급하고,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은 결과적으로 유체를 발 지지 블래더(700)에 공급한다. 대안적으로, 희망하는 경우에, 도 4의 시스템(4000)은, 적어도 이러한 기술의 일부 예에서, 이러한 2-스테이지 펌프 대신 단일 펌프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의 시스템(4000)과 도 1h에 도시된 시스템 사이의 하나의 차이는, 주변 대기일 수 있는 외부 유체 공급원(1010)으로부터의 유입 유체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1010A)를 포함한다. 필터(1010A)는 물, 파편, 진흙, 흙, 미립자 물질 등이 시스템(4000)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러한 필터(1010A)는, 희망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하고/하거나, 세정 가능하고/하거나, 교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1a 내지 도 3과 함께 전술한 이러한 기술의 임의의 예는 이러한 유형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발 지지 블래더(700) 및 리저버(400)가 희망 압력 레벨 및/또는 정상 상태에서 유체를 수용할 때 유체 유동을 핸들링하기 위해 그러한 시스템(4000)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부가적인 특징을 더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기술의 양태는, 리저버(400) 및 발 지지 블래더(700) 둘 모두를 팽창시키고 그들 내부의 유체 압력을 조정하기 위해 발-활성화식 펌프(500, 800)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사용 시에, 그들이 몇몇 방식으로 비-활성화되지 않는다면, 발-활성화식 펌프(500, 800)는 사용자가 걷고/걷거나 뛰고/뛰거나 다른 활동에 착수할 때 각각의 걸음 중에 유체를 시스템(4000) 내로 계속 이동시킬 것이다. 예를 들어, 블래더(700) 또는 리저버(400)의 과도-팽창(그리고 시스템(4000)에 포함된 배관 또는 블래더를 포함하는 부분들의 잠재적인 파열)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유체는 몇몇 방식으로 시스템(4000)을 통해 및/또는 그의 외부로 이동해야 한다. 도 1h의 시스템(1000)은, 사용자가 펌프(들)(500, 800)를 계속해서 밟을 때 해당 시스템으로부터 (예를 들어, 주변 환경으로) 유체를 방출할 수 있던 밸브(1020 및/또는 706)를 포함하였다. 따라서, 일단 시스템(1000)의 각각의 부분 내에서 희망 압력에 도달하면, 도 1h의 시스템(1000)은, 유체가 진입하는 것과 동일한 일반적 속도로, 유체가 (예를 들어, 밸브(들)(1020 및/또는 706)를 통해) 탈출하게 한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압력 방출 시스템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500, 80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유입 유체가 시스템(4000) 내로 펌핑될 때 그리고 리저버(400),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 및/또는 발 지지 블래더(700)로 진행하기 전에, 유입 유체를 방출하기 위한 밸브(예를 들어,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500)는 방출 밸브(500P)를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펌프(800)는 방출 밸브(800P)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 리저버(400) 및/또는 발 지지 블래더(700)가 희망하는 및/또는 설정된 압력 레벨에 도달하면, 필요한 경우에, 단계별로, 유입 유체를 외부 환경으로 방출하도록, 밸브(들)(500P 및/또는 800P)의 크랙 압력(들)이 설정될 수 있다(또는 그렇지 않으면 이들 밸브(500P, 800P)는 예를 들어 수동으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의 일부인 전자식 제어 등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희망하는 경우에, 방출 밸브(400P)(예를 들어, 체크 밸브, 수동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밸브 등)는 리저버(400)의 내측(400I)과 유체 연통하도록 포함될 수 있다. 밸브(400P)를 이용하여, 시스템(4000)은, 유입 유체가 시스템(4000) 내로 펌핑될 때, 유입 유체가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 및/또는 발 지지 블래더(700)로 진행하기 전에, 유입 유체를 방출할 수 있다. 일단 리저버(400) 및/또는 발 지지 블래더(700)가 희망하는 및/또는 설정된 압력 레벨에 도달하면, 필요한 경우에, 단계별로, 유입 유체를 외부 환경으로 방출하도록, 밸브(400P)의 크랙 압력(들)이 설정될 수 있다(또는 그렇지 않으면 이는 예를 들어 수동으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의 일부인 전자식 제어 등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이러한 기술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라 시스템(4000)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특징을 도시한다. 도 1h의 시스템(1000)에서, 유체는 리저버(400)로부터,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을 통해, 그리고 그로부터, 필요한 경우, 발 지지 블래더(700)로 유동한다. 다른 및/또는 부가적인 구조체가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망하는 경우에, 유체 라인(4002)은 펌프(800)로부터(및/또는 심지어 펌프(500)로부터) 발 지지 블래더(700)로 직접적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도 4의 예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체가 블래더(700)로부터 펌프(800)(또는 500) 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체가 발 지지 블래더(700) 내로 직접적으로 펌핑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유체 라인(4002)이 개방되는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기타 등등을 위해, 이러한 유체 라인(4002)은 하나 이상의 밸브, 예를 들어 체크 밸브, 및/또는 다른 구조체를 구비할 수 있다. 유체 라인(4002)은, 예를 들어, 발 지지 블래더(700)가 매우 낮은 압력에 있는 상황, 신속하게 팽창시킬 필요가 있는 상황, 큰 압력 증가를 필요로 하는 상황 등에서 이용될 수 있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 특징으로서, 도 4의 시스템(4000)은 리저버(400)로부터 발 지지 블래더(700)까지 직접적으로 뻗어 있는 유체 라인(4004)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가 블래더(700)로부터 리저버(400) 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및/또는 유체가 (어느 방향으로든) 블래더(700)와 리저버(400)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조건을 제어하기 위해, 이러한 유체 라인(4004)은 하나 이상의 밸브, 예를 들어 체크 밸브 또는 다른 구조체도 구비할 수 있다. 유체 라인(4004)은, 예를 들어, 발 지지 블래더(700)가 매우 낮은 압력에 있는 상황, 발 지지 블래더(700)를 신속하게 팽창시키고자 하는 상황, 크고/크거나 신속한 압력 변화(블래더(700) 내에서의 증가 또는 감소)를 필요로 하는 상황 등에서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의 적어도 일부의 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 및 발 지지 시스템(4000)은 이하의 경로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통해 및/또는 이하의 구성요소 중 임의의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유체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a) (예를 들어, 밸브(500P) 및/또는 밸브(800P)를 통해) 펌프(예를 들어, 펌프(500), 펌프(800))로부터 외부(예를 들어, 주변) 환경으로, (b) 펌프(예를 들어, 펌프(500), 펌프(800))로부터 리저버(400)로(예를 들어, 유체 라인(522)); (c) (예를 들어, 직접적으로 유체 라인(4004)을 통해, 또는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을 통해) 리저버(400)로부터 발 지지 블래더(700)로; (d) (예를 들어, 밸브(706)를 통해) 발 지지 블래더(700)로부터 외부(예를 들어, 주변) 환경으로; (e) 펌프(예를 들어, 펌프(500), 펌프(800))로부터 발 지지 블래더로(예를 들어, 유체 라인(4002)); 및/또는 (f) (예를 들어, 밸브(400P)를 통해) 리저버(400)로부터 외부(예를 들어, 주변) 환경으로. 이러한 동일한 6개의 동작 상태는 또한, 예를 들어 유체를 그 시작 위치(예를 들어, 펌프(500, 800), 리저버(400), 또는 블래더(700))로부터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그의 희망 목적지(예를 들어, 주변 환경, 리저버(400), 또는 블래더(700))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1h의 시스템(1000)에서 달성될 수 있다. 이들 방식에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은, 유입 유체를 수용하고 이를 희망 위치로 분배하기 위한 중앙 허브로서 동작한다.
도 5는 이러한 기술의 일부 예에 따른 다른 유체 이송 시스템 및/또는 발 지지 시스템(5000)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5는 전술한 도 1h 및 도 4와 유사하고, 도 1h 및/또는 도 4(또는 다른 도면)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도 5에서 사용될 때, 이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뜻한다. 따라서, 그 구성요소의 완전한 설명 및/또는 구체적인 설명은 도 5에 관한 논의에서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도 5의 시스템(5000)에서, 펌프(800)는 유체를 시스템(1000, 4000)에 대해 나타난 바와 같이 리저버(400)에 직접적으로 공급하는 대신, (유체 라인(5002)을 통해)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에 직접적으로 공급한다. 결과적으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은 유체를 필요에 따라 (유체 라인(5008)을 통해) 리저버(400)로 및/또는 (유체 라인(5010)을 통해) 발 지지 블래더(700)로 선택적으로 분배하고/하거나 그들로부터 유체를 수용한다. 이러한 예의 유체 라인(5002)은, 라인(5002)으로부터 다시 펌프(800) 및 밸브(5006) 내로 유체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제어하여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으로부터 다시 유체 라인(5002) 내로 유체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제어하기 위해, 체크 밸브(5004)를 더 포함한다. 유체 라인(들)(5008 및/또는 5010)은, 그러한 라인들을 통한 유체 유동의 선택적인 및/또는 자동화된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리저버(400) 및/또는 발 지지 블래더(700) 각각 내에서 희망 압력 레벨을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밸빙 및/또는 다른 구조체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5000)에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은, 유체를 수용하고 분배하기 위한 중앙 허브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기술의 일부 예에 따라 시스템(5000)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일부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잠재적 특징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발 지지 블래더(700)가 전술한 예에서 예시되었지만, 도 5의 시스템(5000)은 유체 라인(5012)을 통해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과 유체 연통하는 제2 발 지지 블래더(700A)를 도시한다. 발 지지 시스템(5000)(뿐만 아니라, 전술한 임의의 다른 발 지지 시스템(예를 들어, 1000, 4000))은 하나 이상, 1개 내지 12개, 1개 내지 8개, 1개 내지 6개, 1개 내지 4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희망하는 수의 발 지지 블래더를 포함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부가적인 발 지지 블래더(들)(700A)는, 이러한 기술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전술한 임의의 구조체 및/또는 블래더(700)의 특징, 임의의 유체 라인 연결부(예를 들어, 방출 밸브(706A)를 포함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블래더(700, 700A)가 존재할 때, 이들은 서로 유체 연통할 수 있고/있거나, 서로 격리될 수 있고/있거나,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밸브 및/또는 유체 라인을 개방 및 폐쇄함으로써) 서로 유체 연통하도록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의 시스템(5000)(뿐만 아니라, 도 4의 시스템(4000))은, 몇몇 조건 하에서 유체가 펌프 챔버(502C)로부터 유체 라인(520) 내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크 밸브(5024)를 유체 라인(520) 내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5024)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그의 발을 두드릴 때, 앉아 있는 동안 가벼운 압력을 펌프(500)에 인가할 때, 기타 등등일 때) 낮은 펌프(500) 펌핑 압력 조건 하에서 유체가 라인(520) 내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펌프 챔버(502)가 압축될 때 문턱값 발-활성화식 압력 조건에 도달하는 경우에만, 유체는 펌프 챔버(502C)로부터 라인(520) 내로 이동한다. 밸브(1014 및 5024)는 또한 펌프(500) 활성화들 간에(예를 들어, 사용자가 앉아 있을 때, 가만히 서 있을 때, 신발을 착용하지 않고 있을 때, 기타 등등일 때) 라인(520)을 가압 조건에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5의 시스템(5000)은, 예를 들어 도 5에서 파선 및 쇄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다른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희망하는 경우에, 유체 라인(4002)은 펌프(800)로부터(및/또는 심지어 펌프(500)로부터) 발 지지 블래더(700)까지 직접적으로(그리고, 존재하는 경우, 임의의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발 지지 블래더(700A)까지 직접적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도 5의 예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체가 블래더(700)로부터 펌프(800)(또는 500) 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체 라인(4002)이 개방되는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기타 등등을 위해, 유체 라인(들)(4002)은 하나 이상의 밸브, 예를 들어 체크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유체 라인(4002)은, 예를 들어, 발 지지 블래더(700)(및/또는 블래더(들)(700A))가 매우 낮은 압력에 있는 상황, 신속하게 팽창시킬 필요가 있는 상황, 큰 압력 증가를 필요로 하는 상황 등에서 이용될 수 있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 특징으로서, 도 5의 시스템(5000)은 펌프(800)(또는 펌프(500))로부터 리저버(400)까지 직접적으로 뻗어 있는 유체 라인(50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 라인(5014)은 또한, 유체가 리저버(400)로부터 펌프(800)(또는 500) 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밸브, 예를 들어 체크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유체 라인(5014)은, 예를 들어, 리저버(400)가 매우 낮은 압력에 있는 상황, 리저버(400)를 신속하게 팽창시키고자 하는 상황, 큰 압력 변화(리저버(400) 내에서의 증가 또는 감소)를 필요로 하는 상황 등에서 유용할 수 있다.
부가적인 대안적 및/또는 부가적 특징으로서, 유체 리저버(400)는 발 지지 블래더(700)(및/또는 존재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발 지지 블래더(700A))와 직접적으로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직접적인 연결 목적을 위한 유체 라인(5016 및 5016A)을 도시하고, 희망하는 경우에, 유체는 이들 라인(5016, 5016A) 내에서 어느 방향으로든(리저버(400)의 내외로 및/또는 블래더(들)(700, 700A)의 내외로) 유동할 수 있다. 유체가 블래더(700)(및/또는 블래더(700A))로부터 리저버(400) 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및/또는 유체가 블래더(700)(및/또는 블래더(700A))로부터 리저버(400) 내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조건을 제어하기 위해, 유체 라인(들)(5016)(존재하는 경우, 5016A)은 하나 이상의 밸브, 예를 들어 체크 밸브도 구비할 수 있다. 유체 라인(들)(5016(5016A))은, 예를 들어, 발 지지 블래더(들)(700(700A))가 매우 낮은 압력에 있는 상황, 발 지지 블래더(들)(700(700A))를 신속하게 팽창시키고자 하는 상황, 큰 압력 변화(블래더(들)(700(700A)) 내에서의 증가 또는 감소)를 필요로 하는 상황 등에서 유용할 수 있다. 희망하는 경우에, 도 5의 시스템(5000)에서, 부가적인 과압 방출 밸브(500P, 800P, 400P, 706, 706A) 중 하나 이상이 (예를 들어, 시스템(5000)의 과도-팽창에 대한 추가적인 보호로서) 여전히 제공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 있다.
시스템(4000)과 마찬가지로, 도 5에 도시된 기술의 이러한 양태의 적어도 일부의 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 및 발 지지 시스템(5000)은 이하의 경로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통해 및/또는 이하의 구성요소 중 임의의 하나 이상 사이에서 유체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a) (예를 들어, 밸브(500P) 및/또는 밸브(800P)를 통해) 펌프(예를 들어, 펌프(500), 펌프(800))로부터 외부(예를 들어, 주변) 환경으로, (b) 펌프(예를 들어, 펌프(500), 펌프(800))로부터 리저버(400)로(예를 들어, 유체 라인(5014)); (c) (예를 들어, 유체 라인(5016, 5016A)을 통해) 리저버(400)로부터 발 지지 블래더(700)로; (d) (예를 들어, 밸브(706, 706A)를 통해) 발 지지 블래더(700, 700A)로부터 외부(예를 들어, 주변) 환경으로; (e) 펌프(예를 들어, 펌프(500), 펌프(800))로부터 발 지지 블래더로(예를 들어, 유체 라인(4002)); 및/또는 (f) (예를 들어, 밸브(400P)를 통해) 리저버(400)로부터 외부(예를 들어, 주변) 환경으로.
대안적으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은, 유체 라인(4002), 유체 라인(5014), 유체 라인(5016, 5016A), 밸브(500P), 밸브(800P), 밸브(400P), 밸브(706), 및/또는 밸브(706A) 중 하나 이상(또는 임의의 상기 밸브)이 없는 상태로, 시스템이 전술한 6개의 상이한 동작 상태가 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6은 그러한 시스템(6000)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시스템(6000)에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은, 유체를 수용하고 분배하기 위한 중앙 허브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시스템(6000)에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은 하우징, 매니폴드, 또는 (적어도) 4개의 물리적 연결부 또는 포트, 즉 (a) 펌프(800)(선택적으로 펌프(500, 800)를 포함하는 2-스테이지 펌프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으나, 이러한 시스템(6000)의 일부 예에서는 단일 펌프(800)도 이용될 수 있음)로부터 유체 라인(5002)을 통해 연결된 연결부 또는 포트; (b) 유체 라인(5008)을 통해 리저버(400)에 연결된 연결부 또는 포트; (c) 유체 라인(5010)을 통해 발 지지 블래더(700)에 연결된 연결부 또는 포트; 및 (d) 밸브(1020)를 통해 외부(주변) 환경에 연결된 연결부 또는 포트를 갖는 본체 부재를 포함한다. 도 6의 시스템(6000)은 다음과 같은 적어도 6개의 상이한 동작 상태를 제공한다:
(a) 유체를 펌프(800)로부터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 내로 그리고 밸브(1020)를 통해 외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유체를 펌프(예를 들어, 펌프(500), 펌프(800))로부터 외부(예를 들어, 주변) 환경으로 이동시키는 동작 상태(유체 라인(5008 및 5010)은 이러한 동작 상태 중에 폐쇄된다) - 이러한 동작 상태는, 예를 들어, 리저버(400) 및 블래더(700)가 희망 동작 압력에 있고 펌프(들)(500, 800)가 유체를 시스템(6000)에 계속 보낼 때, 단계별로 이용될 수 있음;
(b) 유체를 펌프(800)로부터,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 내로, 그리고 그로부터 리저버(400) 내로 이동시킴으로써 유체를 펌프(예를 들어, 펌프(500), 펌프(800))로부터 리저버(400)로 이동시키는 동작 상태(유체 라인(5010) 및 밸브(1020)는 이러한 동작 상태 중에 폐쇄된다) - 이러한 동작 상태는 리저버(400) 내의 압력을 증가시킴;
(c) 유체를 리저버(400)로부터 라인(5008)을 통해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라인(5010)을 통해 블래더(700) 내로 이동시킴으로써 유체를 리저버(400)로부터 발 지지 블래더(700)로 이동시키는 동작 상태(밸브(1020)는 이러한 동작 상태 중에 폐쇄된다) - 이러한 동작 상태는 블래더(700) 내의 압력을 조정함(증가시킴);
(d) 유체를 블래더(700)로부터 라인(5010)을 통해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밸브(1020)를 통해 이동시킴으로써 유체를 발 지지 블래더(700)로부터 외부(예를 들어, 주변) 환경으로 이동시키는 동작 상태(유체 라인(5008)은 이러한 동작 상태 중에 폐쇄된다) - 이러한 동작 상태는 블래더(700) 내의 압력을 감소시킴;
(e) 유체를 펌프(800)로부터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 내로 그리고 그로부터 라인(5010)을 통해 발 지지 블래더(700) 내로 이동시킴으로써 유체를 펌프(예를 들어, 펌프(500), 펌프(800))로부터 발 지지 블래더(700)로 이동시키는 동작 상태(유체 라인(5008) 및 밸브(1020)는 이러한 동작 상태 중에 폐쇄된다) - 이러한 동작 상태는 블래더(700) 내의 압력을 증가시킴; 및/또는
(f) 유체를 리저버(400)로부터 라인(5008)을 통해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밸브(1020)를 통해 주변 환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유체를 리저버(400)로부터 외부(예를 들어, 주변) 환경으로 이동시키는 동작 상태(유체 라인(5010)은 이러한 동작 상태 중에 폐쇄된다) - 이러한 동작 상태는 리저버(400) 내의 압력을 감소시킴.
희망하는 경우에, 도 6의 예시적인 시스템(6000)은 부가적인 발 지지 블래더(예를 들어, 전술한 700A 등)를 포함할 수 있고,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은 그에 대한 연결을 위한 부가적인 라인(예를 들어, 전술한 50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은, 예를 들어 펌프(들)(500, 800), 리저버(400), 다른 블래더(700) 등으로부터, 부가적인 블래더(들)(700A)를 팽창 및/또는 수축시키기 위해 부가적인 동작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희망하는 경우에, 도 6의 시스템(6000)은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동작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더 구체적인 예로서, (a) (예를 들어, 밸브(1020)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펌프(800)를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을 통해 라인(5008 및 5010)에 연결함으로써) 리저버(400) 및 발 지지 블래더(700)가 동시에 팽창되게 하는 동작 상태가 제공될 수 있고/있거나, (b) (예를 들어, 라인(5008 및 5010)을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을 통해 밸브(1020)에 연결함으로써) 리저버(400) 및 발 지지 블래더(700)가 동시에 수축되게 하는 동작 상태가 제공될 수 있다. 희망하는 경우에, 도 6의 시스템(6000)에서, 부가적인 과압 방출 밸브(500P, 800P, 400P, 및 706)(도 6에서 파선으로 도시됨) 중 하나 이상이 (예를 들어, 시스템(6000)의 과도-팽창에 대한 추가적인 보호로서) 여전히 제공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체에 부가하여, 또는 그 대안으로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은, 각각이 전체적으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59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92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50,140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678,662호, 및 미국 특허 출원 제16/425,356호 중 임의의 것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수동으로 및/또는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스위칭 시스템, 유체 경로, 및/또는 구성요소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 라인들을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을 통해 펌프(800), 리저버(400), 블래더(700)(하나 이상) 및 주변 환경으로부터 서로에 대해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전술한 동작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사이에서 유체 연통을 허용하기 위해, 제어 시스템(900)은 하나 이상의 솔레노이드 밸브, 하나 이상의 스템 밸브(예를 들어, 하우징 또는 매니폴드 내의 이동 가능 캠에 의해 활성화됨), 내측(예를 들어, 하우징 또는 매니폴드 내에 위치함)을 통해 다수의 경로를 한정하는 회전 가능 실린더 또는 다른 이동 가능한 베이스 구성요소 구조체, 스위칭 메커니즘, 및/또는 다른 적합한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추가적인 잠재적인 구조체로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은, 하우징 또는 매니폴드 내에 위치하는 모터 구동식 본체, 예를 들어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피구동체는 그를 관통하여 한정된 내부 통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통로는 피구동체의 바깥쪽 표면에서 개구를 포함한다. 하우징 또는 매니폴드는, 펌프(800), 리저버(400), 블래더(700), 및 밸브(1020)까지 연장되는 유체 라인과 유체 연통하는(예를 들어, 정렬되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또는 매니폴드 내의 피구동체의 일부 별개 위치들에서, 이들 개구는, (a) 피구동체의 개구 중 적어도 2개가 하우징 또는 매니폴드의 포트와 정렬되어, 포트로부터 연장되는 유체 경로들을 서로 유체 연통하게 배치하도록(즉, 유체가 피구동체를 통해 하나의 포트로부터 다른 포트로 유동하도록); 그리고 (b) 피구동체의 다른 개구가 밀봉되도록 위치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회전, 선형 병진운동, 또는 그렇지 않으면 피구동체를 하우징 또는 매니폴드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피구동체를 하우징 또는 매니폴드 내의 상이한 위치들로 구동시킴으로써, 상이한 포트들 사이의 유체 경로는 피구동체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고, 피구동체를 통한 다른 유체 경로가 밀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의 하우징 또는 매니폴드 내의 피구동체를 특정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다양한 동작 상태(예를 들어, 전술한 6개의 동작 상태) 중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의 그리고 전술한 유형의 적어도 일부의 예에서 이용될 수 있는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은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솔레노이드 기반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솔레노이드 기반 액추에이터 및 솔레노이드 기반 시스템(그들을 관통하여 한정된 유체 경로를 포함함)의 일부 예는, 예를 들어 각각의 명칭이 "Adjustable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Filled Bladder Chambers"인, 2017년 8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547,941호 및 2018년 8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105,170호에 설명되어 있다.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547,941호 및 미국 특허 출원 제16/105,170호 각각의 전체는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희망하는 경우에, 이러한 기술의 그리고 전술한 유형의 적어도 일부의 예에서 이용될 수 있는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은 래칭 특징부, 예를 들어 자기적 래칭을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에서, 이동 가능 밸브 구성요소가 이동하여 밸브 및/또는 유체 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밸브를 통한 유체 유동을 각각 허용하거나 중단시킬 수 있다. 이동 가능 밸브 구성요소가 경로를 차단할 때, 해당 경로를 통한 유체 유동은 중단되고, 이동 가능 밸브 구성요소가 경로로부터 멀리 이동할 때, 경로를 통한 유체 유동이 허용된다. 스프링과 같은 편향 부재는 이동 가능 밸브 구성요소를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 중 하나로 편향시킬 수 있다.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시스템에서, 이동 가능 밸브 구성요소를 그 편향 위치(편향력 때문에, 그를 제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위치)로부터 대향 위치(이동 가능 밸브 구성요소가 편향력에 대향하여 제 위치에서 유지되어야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전력(예를 들어, 배터리 전력)이 필요할 수 있다. 일부 계속되는 "유지력"은, 이동 가능 밸브 구성요소를 그것이 편향력에 대항하는 장소에서 유지하기 위해 그리고 이동 가능 밸브 구성요소를 그러한 "대향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동 가능 밸브 구성요소가 상당한 시간 동안 이러한 "대향 위치"에서 유지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이는 배터리로부터의 상당한 전력을 빨리 소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의 일부 양태에 따른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900)은 (a)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기 흡인 재료(또는 심지어 자석)로 제조된 전술한 유형의 이동 가능 밸브 구성요소 및 (b) 분리된 자석을 둘 이상의 별개 위치들(예를 들어, 활성 위치 및 비활성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가 "활성" 위치에 있을 때, 스위치와 연관된 자석은, 편향력에 대향하여 이동 가능 밸브 본체를 당기기에 그리고 그를 "대향 위치"에서 유지하기에 충분한 자기력(예를 들어, 자기 흡인)으로 이동 가능 밸브 본체와 상호작용하는 위치로 물리적으로 이동한다. "비활성" 위치에서, 자석은, 그의 자기 흡인력이 편향력에 대항하여 이동 가능 밸브 본체를 유지하기에 충분치 않은 위치로 물리적으로 이동한다(그리고 그에 따라 이동 가능 밸브 본체는 편향력 하에서 편향 위치로 이동한다). 자석을 이동시키는 대신, 스위치가 차폐 재료를 자석과 이동 가능 밸브 본체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들 시스템에서, 배터리 전력의 사용은, 스위치(및/또는 그와 연관된 자석 또는 차폐 재료)를 활성 위치와 비활성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전력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가능 밸브 본체는 최소 전력 소비로 긴 기간 동안 편향 위치와 대향 위치 둘 모두에서 유지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희망하는 경우에, 각각의 명칭이 "Fluid Flow Control Devices Usable in Adjustable Foot Support Systems"인, 2018년 5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678,635호 및 2019년 5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4/425,331호에 설명된 유형의 자석 기반 시스템이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에서 이용될 수 있다.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678,635호 및 미국 특허 출원 제14/425,331호 각각의 전체는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또 다른 부가적인 또는 다른 대안적인 특징으로서, 이동 가능 밸브 본체 및/또는 이동 가능 솔레노이드 부분은 서보 드라이브, 선형 모터, 스테퍼 모터, 볼 스크류, 리드 스크류, 선형 가이드 등에 의해 이동하여 다양한 유체 유동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도 1b 및 도 2a는, 발 지지 블래더(700)가 펌핑 시스템(500, 800) 및 리저버(400) 위에 수직으로 적층된 밑창 구조체(104)를 도시한다. 다른 구조적 옵션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직으로 적층된 리저버(400) 및 발 지지 블래더(들)(700)를 갖는 대신, 리저버(400)가 발 지지 블래더(700)로부터 길이방향으로(그러나 선택적으로 동일한 또는 중첩된 수직 레벨에서) 이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로서, 희망하는 경우에, 리저버(400)는 밑창 부재(104)의 뒤꿈치 구역 및/또는 중족부 구역 내에 위치될 수 있는 한편, 발 지지 블래더(들)(700)는 밑창 부재(104)의 전족부 구역 및/또는 중족부 구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희망하는 경우에, 리저버(400)의 적어도 일부 부분(그리고 선택적으로 전부)은 풋웨어 갑피(102)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거나 풋웨어 갑피(102)와 계합될 수 있다. 그러한 구조체에서, 발 지지 블래더(들)(700)는 착용자의 발의 발바닥면의 전부 또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부분(예를 들어, 뒤꿈치 구역, 중족부 구역, 전족부 구역, 외측부, 내측부 등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발 지지 시스템(1000, 4000, 5000, 6000)은 이러한 유형들의 물리적인 및/또는 상대적인 리저버(400) 및 블래더(700) 배열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부 예에서, 리저버(400)는 비교적 일정한 압력으로 및/또는 20 내지 35 psi 범위 내의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희망하는 경우에, 발 지지 블래더(들)(700) 내의 압력은, 예를 들어, 5 내지 22 psi의 범위에 걸쳐 변경될 수 있고, 이러한 압력은 수동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예를 들어,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의 제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900)을 통해 리저버(400) 및 블래더(700) 내에서 이러한 압력을 유지하고/하거나 설정하고/하거나 변화시키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 센서가 컴퓨터 제어 시스템에 대한 입력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III. 결론
의혹의 방지를 위해, 본 출원은 다음 넘버링된 항목에 설명된 주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항목 1. 제1 펌프에 의해 한정된 제1 내부 펌프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제1 유입구 및 제1 유출구를 포함하는 제1 펌프로서, 제1 내부 펌프 챔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벽과 제1 벽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2 벽 사이에 한정된 개방 공간을 포함하고, 제1 벽 또는 제2 벽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내부 펌프 챔버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유체가 제1 유출구를 통해 제1 내부 펌프 챔버를 빠져나가도록 강제하기 위해 접힐 수 있는, 제1 펌프;
제1 주 표면 및 제1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주 표면을 갖는 제1 밑창 구성요소로서, 제2 주 표면은 제1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제1 펌프 수용 영역은 제1 내부 펌프 챔버의 제1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1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제1 밑창 구성요소; 및
제3 주 표면 및 제3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4 주 표면을 갖는 제2 밑창 구성요소로서, 제4 주 표면은 제2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제2 펌프 수용 영역은 제1 내부 펌프 챔버의 제2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2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제2 밑창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제1 내부 펌프 챔버는 타원체 및/또는 회전타원체 형상을 갖고/갖거나, 제1 펌프 계합 표면은 준-타원체 및/또는 준-회전타원체 형상을 갖고/갖거나, 제2 펌프 계합 표면은 준-타원체 및/또는 준-회전타원체 형상을 갖는, 밑창 구조체.
항목 3. 항목 1 또는 항목 2에 있어서, 제1 밑창 구성요소의 제1 주 표면은 밑창 구조체의 지면 대면 표면이고, 제1 펌프 계합 표면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4. 항목 1 내지 항목 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펌프 수용 영역의 제1 펌프 계합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내부 펌프 챔버의 제1 벽의 외측 측면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체.
항목 5. 항목 1 내지 항목 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펌프 수용 영역의 제2 펌프 계합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내부 펌프 챔버의 제2 벽의 외측 측면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체.
항목 6. 항목 1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펌프의 제1 유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블래더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7. 항목 6에 있어서, 블래더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밑창 구성요소의 제2 주 표면과 제2 밑창 구성요소의 제4 주 표면 사이에 위치하는(그리고 선택적으로 그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8. 항목 6에 있어서, 블래더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밑창 구성요소의 제3 주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9. 항목 1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펌프에 의해 한정된 제2 내부 펌프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를 포함하는 제2 펌프를 더 포함하고, 제2 내부 펌프 챔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3 벽과 제3 벽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4 벽 사이에 한정된 개방 공간을 포함하고, 제3 벽 또는 제4 벽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유체가 제2 유출구를 통해 제2 내부 펌프 챔버를 빠져나가도록 강제하기 위해 접힐 수 있고, 제2 유입구는 제1 유출구와 유체 연통하여 유체가 제1 펌프로부터 제2 내부 펌프 챔버 내로 펌핑될 수 있게 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10. 항목 9에 있어서, 제1 유출구와 계합된 제1 단부 및 제2 유입구와 계합된 제2 단부를 갖는 제1 유체 이송 라인을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11. 항목 9 또는 항목 10에 있어서, 제1 밑창 구성요소의 제2 주 표면은 제3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제3 펌프 수용 영역은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제3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3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12. 항목 9 내지 항목 1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밑창 구성요소의 제4 주 표면은 제4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제4 펌프 수용 영역은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제4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4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13. 항목 9 또는 항목 10에 있어서,
제5 주 표면 및 제5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6 주 표면을 갖는 제3 밑창 구성요소로서, 제6 주 표면은 제3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제3 펌프 수용 영역은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제3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3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제3 밑창 구성요소; 및
제7 주 표면 및 제7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8 주 표면을 갖는 제4 밑창 구성요소로서, 제8 주 표면은 제4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제4 펌프 수용 영역은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제4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4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제4 밑창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14. 항목 9 또는 항목 10에 있어서,
제5 주 표면 및 제5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6 주 표면을 갖는 제3 밑창 구성요소로서, 제6 주 표면은 제3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제3 펌프 수용 영역은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제3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3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제3 밑창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고;
제2 밑창 구성요소의 제4 주 표면은 제4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제4 펌프 수용 영역은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제4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4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15. 항목 9 또는 항목 10에 있어서,
제5 주 표면 및 제5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6 주 표면을 갖는 제3 밑창 구성요소로서, 제6 주 표면은 제3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제3 펌프 수용 영역은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제3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3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제3 밑창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고;
제1 밑창 구성요소의 제2 주 표면은 제4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제4 펌프 수용 영역은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제4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4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16. 항목 11 내지 항목 1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3 펌프 수용 영역의 제3 펌프 계합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제3 벽의 외측 측면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체.
항목 17. 항목 12 내지 항목 1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4 펌프 수용 영역의 제4 펌프 계합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제4 벽의 외측 측면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체.
항목 18. 항목 9 내지 항목 1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내부 펌프 챔버는 타원체 및/또는 회전타원체 형상을 갖고/갖거나, 제3 펌프 계합 표면은 준-타원체 및/또는 준-회전타원체 형상을 갖고/갖거나, 제4 펌프 계합 표면은 준-타원체 및/또는 준-회전타원체 형상을 갖는, 밑창 구조체.
항목 19. 항목 9 내지 항목 1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밑창 구성요소의 제1 주 표면은 밑창 구조체의 지면 대면 표면이고, 제2 펌프를 활성화하도록 위치하고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20. 항목 9 내지 항목 1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펌프의 제2 유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블래더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21. 항목 20에 있어서, 블래더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밑창 구성요소의 제2 주 표면과 제2 밑창 구성요소의 제4 주 표면 사이에 위치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22. 항목 20 또는 항목 21에 있어서, 제2 펌프의 제2 유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블래더와 유체 연통하는 발 지지 블래더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23. 항목 22에 있어서, 발 지지 블래더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밑창 구성요소의 제3 주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24. 항목 20에 있어서, 블래더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밑창 구성요소의 제3 주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25. 항목 9 내지 항목 2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펌프는 압축 가능 벌브 펌프인, 밑창 구조체.
항목 26. 항목 9 내지 항목 2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펌프는 밑창 구조체의 뒤꿈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제2 펌프는 밑창 구조체의 전족부 영역 내에 위치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27. 항목 9 내지 항목 2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밑창 구성요소는 겉창 구성요소이고/이거나, 제2 밑창 구성요소는 폼 중창 구성요소인, 밑창 구조체.
항목 28. 항목 9 내지 항목 2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밑창 구성요소는 겉창 구성요소이고/이거나, 제2 밑창 구성요소는 발 지지 플레이트인, 밑창 구조체.
항목 29. 항목 1 내지 항목 8, 항목 27 또는 항목 2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펌프는 밑창 구조체의 뒤꿈치 영역 내에 위치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30. 항목 1 내지 항목 8, 항목 27 또는 항목 2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펌프는 밑창 구조체의 전족부 영역 내에 위치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31. 항목 1 내지 항목 3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펌프는 압축 가능 벌브 펌프인, 밑창 구조체.
항목 32. 갑피; 및
갑피와 계합된 항목 1 내지 항목 31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33. 제1 펌프 챔버, 제1 유입구, 및 제1 유출구를 포함하는 제1 펌프;
제1 유입구에 연결되고 제1 펌프를 외부 유체 공급원과 연결하는 제1 유체 이송 라인으로서, 유체를 외부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제1 유입구를 통해 제1 펌프 챔버 내로 이동시키는 제1 유체 이송 라인;
제2 펌프 챔버,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를 포함하는 제2 펌프;
제2 유입구에 연결되고 제1 유출구로부터 제2 유입구를 통해 제2 펌프 챔버 내로 유체가 방출되게 하는 제2 유체 이송 라인;
제2 유출구에 연결되고 제2 펌프 챔버로부터 방출된 유체를 수용하는 제3 유체 이송 라인; 및
제3 유체 이송 라인과 유체 연통하고 제2 펌프 챔버로부터 방출되는 유체를 제2 유출구를 통해 수용하는 블래더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을 위한 유체 이송 시스템.
항목 34. 항목 33에 있어서, 유체가 외부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제1 유입구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유체가 제1 유입구로부터 제1 밸브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저해하기 위해 연결되는, 제1 유체 이송 라인과 유체 연통하도록 제공된 제1 밸브를 더 포함하는, 유체 이송 시스템.
항목 35. 항목 33 또는 항목 34에 있어서, 외부 유체 공급원은 주변 공기 공급원인, 유체 이송 시스템.
항목 36. 항목 33 내지 항목 3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블래더는 풋웨어 물품을 위한 발 지지 블래더인, 유체 이송 시스템.
항목 37. 항목 33 내지 항목 3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블래더는 리저버 블래더인, 유체 이송 시스템.
항목 38. 항목 37에 있어서, 발 지지 블래더; 및 유체를 블래더로부터 발 지지 블래더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유체 이송 시스템.
항목 39. 항목 33 내지 항목 3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펌프 또는 제2 펌프 중 적어도 하나는 압축 가능 벌브 펌프인, 유체 이송 시스템.
항목 40. 갑피;
갑피와 계합된 밑창 구조체; 및
갑피 또는 밑창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와 계합된 항목 33 내지 항목 39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41. 항목 40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 및/또는 유체 이송 시스템은 항목 1 내지 항목 31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구조체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42.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내측 체적, 제1 길이방향 구역, 및 제1 길이방향 구역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길이방향 구역을 포함하는 제1 블래더;
제1 펌프 챔버, 제1 유입구, 및 제1 유출구를 포함하는 제1 펌프로서, 제1 블래더의 제1 길이방향 구역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펌프;
제1 유입구에 연결되고 제1 펌프를 외부 유체 공급원과 연결하는 제1 유체 이송 라인으로서, 유체를 외부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제1 유입구를 통해 제1 펌프 챔버 내로 이동시키는 제1 유체 이송 라인;
제2 펌프 챔버,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를 포함하는 제2 펌프로서, 제1 블래더의 제2 길이방향 구역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펌프;
제2 유입구에 연결되고 제1 유출구로부터 제2 유입구를 통해 제2 펌프 챔버 내로 유체가 방출되게 하는 제2 유체 이송 라인; 및
제2 유출구에 연결되고 제2 펌프 챔버로부터 방출되는 유체를 수용하는 제3 유체 이송 라인으로서, 제1 블래더가 제3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펌프와 유체 연통하는, 제3 유체 이송 라인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43. 항목 42에 있어서, 제2 길이방향 구역은 발 지지 시스템의 전족부 영역 내에 위치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44. 항목 42 또는 항목 43에 있어서, 제1 길이방향 구역은 발 지지 시스템의 뒤꿈치 영역 내에 위치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45. 항목 42에 있어서, 제2 길이방향 구역은 발 지지 시스템의 전족부 영역 내에 위치하고, 제2 펌프 챔버는 착용자의 전족부에 의해 인가되는 하향력에 응답하여 압축되도록 구성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46. 항목 42 또는 항목 45에 있어서, 제1 길이방향 구역은 발 지지 시스템의 뒤꿈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제1 펌프 챔버는 착용자의 뒤꿈치에 의해 인가되는 하향력에 응답하여 압축되도록 구성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47. 항목 42 내지 항목 4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블래더; 및 제1 블래더와 제2 블래더를 연결하는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48. 항목 42 내지 항목 4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밑창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고, 제1 블래더는 밑창 구성요소와 계합되고 착용자의 발을 위한 발바닥 지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49. 항목 42 내지 항목 4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펌프 또는 제2 펌프 중 적어도 하나는 압축 가능 벌브 펌프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50. 항목 42 내지 항목 4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블래더는 제1 펌프의 외측부에 위치하는 외측부 부분 및 제1 펌프의 내측부에 위치하는 내측부 부분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51. 항목 42 내지 항목 5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블래더는 제2 펌프의 외측부에 위치하는 외측부 부분 및 제2 펌프의 내측부에 위치하는 내측부 부분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52. 갑피;
갑피와 계합된 밑창 구조체로서, 항목 42 내지 항목 51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53. 항목 52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는 항목 1 내지 항목 31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구조체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54. 제1 포트, 제2 포트, 제3 포트, 및 제4 포트를 포함하는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으로서, 제4 포트는 외부 환경과 유체 연통하는,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
제1 포트에 연결된 제1 펌프;
제2 포트에 연결된 리저버; 및
제3 포트에 연결된 발 지지 블래더를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으로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은 발 지지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다음과 같은 6개의 동작 상태 중 임의의 하나가 되도록 하는, 발 지지 시스템:
(a) 유체가 제1 펌프로부터,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 내로, 그리고 제4 포트를 통해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는 제1 동작 상태;
(b) 유체가 제1 펌프로부터,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 내로, 그리고 제2 포트를 통해 리저버로 이동하는 제2 동작 상태;
(c) 유체가 리저버로부터,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을 통해, 그리고 제3 포트를 통해 발 지지 블래더로 이동하는 제3 동작 상태;
(d) 유체가 발 지지 블래더로부터,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을 통해, 그리고 제4 포트를 통해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는 제4 동작 상태;
(e) 유체가 펌프로부터,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을 통해, 그리고 제3 포트를 통해 발 지지 블래더로 이동하는 제5 동작 상태; 및
(f) 유체가 리저버로부터,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을 통해, 그리고 제4 포트를 통해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는 제6 동작 상태.
항목 55. 항목 54에 있어서, 제2 펌프를 더 포함하고, 제2 펌프는 유체를 제1 펌프에 공급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56. 항목 55에 있어서, 유입 유체가 제2 펌프에 진입하기 전에, 유입 유체를 필터링하도록 위치결정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57. 항목 54에 있어서, 제1 펌프에 연결된 유체 유입구 라인을 더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58. 항목 57에 있어서, 유입 유체가 유체 유입구 라인에 진입하기 전에, 유입 유체를 필터링하도록 위치결정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59. 항목 54 내지 항목 5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발 지지 블래더를 더 포함하고,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은 제2 발 지지 블래더와 유체 연통하는 제5 포트를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60. 제1 포트, 제2 포트, 및 제3 포트를 포함하는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으로서, 제3 포트는 외부 환경과 유체 연통하는,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
제1 포트에 연결된 리저버;
리저버와 유체 연통하는 제1 펌프; 및
제2 포트에 연결된 발 지지 블래더를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으로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은 발 지지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다음과 같은 5개의 동작 상태 중 임의의 하나가 되도록 하는, 발 지지 시스템:
(a) 유체가 제1 펌프로부터, 리저버를 통해,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 내로, 그리고 제3 포트를 통해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는 제1 동작 상태;
(b) 유체가 리저버로부터,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을 통해, 그리고 제2 포트를 통해 발 지지 블래더로 이동하는 제2 동작 상태;
(c) 유체가 발 지지 블래더로부터,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을 통해, 그리고 제3 포트를 통해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는 제3 동작 상태;
(d) 유체가 펌프로부터, 리저버를 통해,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을 통해, 그리고 제2 포트를 통해 발 지지 블래더로 이동하는 제4 동작 상태;
(e) 유체가 리저버로부터,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을 통해, 그리고 제3 포트를 통해 외부 환경으로 이동하는 제5 동작 상태.
항목 61. 항목 60에 있어서, 제2 펌프를 더 포함하고, 제2 펌프는 유체를 제1 펌프에 공급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62. 항목 61에 있어서, 유입 유체가 제2 펌프에 진입하기 전에, 유입 유체를 필터링하도록 위치결정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63. 항목 60에 있어서, 제1 펌프에 연결된 유체 유입구 라인을 더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64. 항목 63에 있어서, 유입 유체가 유체 유입구 라인에 진입하기 전에, 유입 유체를 필터링하도록 위치결정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65. 항목 60 내지 항목 6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발 지지 블래더를 더 포함하고,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은 제2 발 지지 블래더와 유체 연통하는 제4 포트를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66. 항목 54 내지 항목 6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은 포트 중 2개를 연결하는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을 통한 유체 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별개 위치로 이동 가능한 모터 구동식 본체를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67. 항목 54 내지 항목 6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은 포트 중 2개를 연결하는 모터 구동식 본체를 통한 유체 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별개 위치로 이동 가능한 모터 구동식 본체를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68. 항목 54 내지 항목 6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별개 위치로 이동 가능한 모터 구동식 본체를 포함하고, 복수의 별개 위치의 개별 위치는 포트 중 2개의 상이한 세트를 연결하는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을 통한 상이한 유체 경로들을 개방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69. 항목 54 내지 항목 6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별개 위치로 이동 가능한 모터 구동식 본체를 포함하고, 복수의 별개 위치의 개별 위치는 포트 중 2개의 상이한 세트를 연결하는 모터 구동식 본체를 통한 상이한 유체 경로들을 개방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70. 항목 66 내지 항목 6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모터 구동식 본체는 회전 가능 실린더인, 발 지지 시스템.
항목 71. 항목 54 내지 항목 7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솔레노이드 기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72. 항목 54 내지 항목 7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은 유체 유동 경로를 개방 구성으로부터 폐쇄 구성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스위치에 의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솔레노이드 또는 다른 밸브를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73. 항목 72에 있어서, 스위치는 자석을 (a) 자석이 이동 가능 밸브 본체를 자기 흡인력 하에서 유체 경로 개방 위치 또는 유체 경로 폐쇄 위치 중 하나로 이동시키는 제1 별개 위치와 (b) 자석으로부터의 이동 가능 밸브 본체에 대한 자기 흡인력이 이동 가능 밸브 본체를 이동시키기에 충분치 않고 그에 의해 이동 가능 밸브 본체를 유체 경로 개방 위치 또는 유체 경로 폐쇄 위치 중 다른 위치에 위치결정하는 제2 별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74. 항목 54 내지 항목 7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은 구성요소(900)에 대해 전술한 구조체 및/또는 특성 중 임의의 것을 갖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75. 밑창 구성요소; 및
항목 54 내지 항목 74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고, 제1 펌프, 리저버, 또는 발 지지 블래더 중 적어도 하나는 밑창 구성요소와 계합되는, 밑창 구조체.
항목 76. 항목 75에 있어서, 밑창 구성요소는 중창 요소 또는 겉창 요소인, 밑창 구조체.
항목 77. 갑피;
갑피와 계합된 밑창 구조체; 및
항목 54 내지 항목 74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고, 발 지지 블래더는 밑창 구조체와 계합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78. 항목 77에 있어서, 제1 펌프는 밑창 구조체와 계합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79. 항목 77 또는 항목 78에 있어서, 리저버는 밑창 구조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계합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80. 항목 77 내지 항목 7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리저버는 갑피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계합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81. 항목 77 내지 항목 8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이송 제어 시스템은 갑피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계합되는, 풋웨어 물품.
본 발명은 다양한 예를 참조하여 상기 및 첨부 도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되는 목적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과 관련된 다양한 특징 및 개념에 대한 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전술한 예에 대한 수많은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29)

  1. 제1 펌프에 의해 한정된 제1 내부 펌프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제1 유입구 및 제1 유출구를 포함하는 제1 펌프로서, 상기 제1 내부 펌프 챔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벽과 상기 제1 벽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2 벽 사이에 한정된 개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벽 또는 상기 제2 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내부 펌프 챔버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유체가 상기 제1 유출구를 통해 상기 제1 내부 펌프 챔버를 빠져나가도록 강제하기 위해 접힐 수 있는, 제1 펌프;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1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주 표면을 갖는 제1 밑창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2 주 표면은 제1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펌프 수용 영역은 상기 제1 내부 펌프 챔버의 제1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1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제1 밑창 구성요소; 및
    제3 주 표면 및 상기 제3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4 주 표면을 갖는 제2 밑창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4 주 표면은 제2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펌프 수용 영역은 상기 제1 내부 펌프 챔버의 제2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2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제2 밑창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펌프 챔버는 타원체 및/또는 회전타원체 형상을 갖고/갖거나, 상기 제1 펌프 계합 표면은 준-타원체 및/또는 준-회전타원체 형상을 갖고/갖거나, 상기 제2 펌프 계합 표면은 준-타원체 및/또는 준-회전타원체 형상을 갖는, 밑창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밑창 구성요소의 제1 주 표면은 상기 밑창 구조체의 지면 대면 표면이고, 상기 제1 펌프 계합 표면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프 수용 영역의 제1 펌프 계합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내부 펌프 챔버의 제1 벽의 외측 측면에 고정되고/되거나;
    상기 제2 펌프 수용 영역의 제2 펌프 계합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내부 펌프 챔버의 제2 벽의 외측 측면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프의 제1 유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블래더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래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밑창 구성요소의 제2 주 표면과 상기 제2 밑창 구성요소의 제4 주 표면 사이에 위치하는, 밑창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래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밑창 구성요소의 제3 주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밑창 구조체.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펌프에 의해 한정된 제2 내부 펌프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를 포함하는 제2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내부 펌프 챔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3 벽과 상기 제3 벽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4 벽 사이에 한정된 개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벽 또는 상기 제4 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유체가 상기 제2 유출구를 통해 상기 제2 내부 펌프 챔버를 빠져나가도록 강제하기 위해 접힐 수 있고, 상기 제2 유입구는 상기 제1 유출구와 유체 연통하여 유체가 상기 제1 펌프로부터 상기 제2 내부 펌프 챔버 내로 펌핑될 수 있게 하는, 밑창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출구와 계합된 제1 단부 및 상기 제2 유입구와 계합된 제2 단부를 갖는 제1 유체 이송 라인을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밑창 구성요소의 제2 주 표면은 제3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펌프 수용 영역은 상기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제3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3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밑창 구조체.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밑창 구성요소의 제4 주 표면은 제4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4 펌프 수용 영역은 상기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제4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4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밑창 구조체.
  12. 제8항에 있어서,
    제5 주 표면 및 상기 제5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6 주 표면을 갖는 제3 밑창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6 주 표면은 제3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펌프 수용 영역은 상기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제3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3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제3 밑창 구성요소; 및
    제7 주 표면 및 상기 제7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8 주 표면을 갖는 제4 밑창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8 주 표면은 제4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4 펌프 수용 영역은 상기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제4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4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제4 밑창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13. 제8항에 있어서,
    제5 주 표면 및 상기 제5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6 주 표면을 갖는 제3 밑창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6 주 표면은 제3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펌프 수용 영역은 상기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제3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3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제3 밑창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밑창 구성요소의 제4 주 표면은 제4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4 펌프 수용 영역은 상기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제4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4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밑창 구조체.
  14. 제8항에 있어서,
    제5 주 표면 및 상기 제5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6 주 표면을 갖는 제3 밑창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6 주 표면은 제3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펌프 수용 영역은 상기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제3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3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제3 밑창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밑창 구성요소의 제2 주 표면은 제4 펌프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4 펌프 수용 영역은 상기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제4 벽의 외측 측면에 바로 인접하여 놓이도록 구성된 제4 펌프 계합 표면을 한정하는, 밑창 구조체.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펌프 수용 영역의 제3 펌프 계합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제3 벽의 외측 측면에 고정되고/되거나;
    상기 제4 펌프 수용 영역의 제4 펌프 계합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내부 펌프 챔버의 제4 벽의 외측 측면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체.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 펌프 챔버는 타원체 및/또는 회전타원체 형상을 갖고/갖거나, 상기 제3 펌프 계합 표면은 준-타원체 및/또는 준-회전타원체 형상을 갖고/갖거나, 상기 제4 펌프 계합 표면은 준-타원체 및/또는 준-회전타원체 형상을 갖는, 밑창 구조체.
  17. 제8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밑창 구성요소의 제1 주 표면은 상기 밑창 구조체의 지면 대면 표면이고, 상기 제1 펌프를 활성화하도록 위치하고 구성된 제1 돌출부 및/또는 상기 제2 펌프를 활성화하도록 위치하고 구성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18. 제8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펌프의 제2 유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블래더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블래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밑창 구성요소의 제2 주 표면과 상기 제2 밑창 구성요소의 제4 주 표면 사이에 위치하는, 밑창 구조체.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펌프의 제2 유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블래더와 유체 연통하는 발 지지 블래더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발 지지 블래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밑창 구성요소의 제3 주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밑창 구조체.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블래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밑창 구성요소의 제3 주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밑창 구조체.
  23. 제8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펌프는 압축 가능 벌브 펌프(bulb pump)인, 밑창 구조체.
  24. 제8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프는 상기 밑창 구조체의 뒤꿈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펌프는 상기 밑창 구조체의 전족부 영역 내에 위치하는, 밑창 구조체.
  25. 제8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밑창 구성요소는 겉창 구성요소이고/이거나, 상기 제2 밑창 구성요소는 폼(foam) 중창 구성요소 또는 발 지지 플레이트인, 밑창 구조체.
  26. 제8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프는 압축 가능 벌브 펌프인, 밑창 구조체.
  27. 제1항 내지 제7항, 제25항 또는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프는 상기 밑창 구조체의 뒤꿈치 영역 내에 위치하는, 밑창 구조체.
  28. 제1항 내지 제7항, 제25항 또는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프는 상기 밑창 구조체의 전족부 영역 내에 위치하는, 밑창 구조체.
  29. 갑피(upper); 및
    상기 갑피와 계합된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KR1020217018621A 2018-11-29 2019-11-27 유체가 블래더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유체 충전식 블래더를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KR202100956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72786P 2018-11-29 2018-11-29
US62/772,786 2018-11-29
PCT/US2019/063625 WO2020113014A1 (en) 2018-11-29 2019-11-27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 filled bladders with movement of fluid between bladd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648A true KR20210095648A (ko) 2021-08-02

Family

ID=69005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8621A KR20210095648A (ko) 2018-11-29 2019-11-27 유체가 블래더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유체 충전식 블래더를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510458B2 (ko)
EP (2) EP3886636B1 (ko)
KR (1) KR20210095648A (ko)
CN (2) CN113163899B (ko)
TW (3) TWI821873B (ko)
WO (1) WO20201130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363B1 (ko) * 2022-11-29 2023-06-15 예주산업(주) 영상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을 구현한 스마트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78978B (zh) * 2017-07-03 2019-12-11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動態控壓氣墊裝置
CN111200951A (zh) * 2017-08-21 2020-05-26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包括流体填充囊腔的可调节的足部支撑系统
US11523657B2 (en) * 2019-05-20 2022-12-13 Nike, Inc.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 movement controllers
USD911000S1 (en) * 2020-02-28 2021-02-23 Nike, Inc. Shoe
USD910993S1 (en) * 2020-02-28 2021-02-23 Nike, Inc. Shoe
USD910995S1 (en) * 2020-04-13 2021-02-23 Nike, Inc. Shoe
USD910994S1 (en) * 2020-04-13 2021-02-23 Nike, Inc. Shoe
USD938710S1 (en) 2020-04-20 2021-12-21 Nike, Inc. Shoe
USD936943S1 (en) 2020-04-20 2021-11-30 Nike, Inc. Shoe
CN115776853A (zh) 2020-05-28 2023-03-10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包括流体移动控制器和可调节足部支撑压力的足部支撑系统
USD923924S1 (en) * 2020-10-30 2021-07-06 Nike, Inc. Shoe
WO2022147035A1 (en) * 2020-12-29 2022-07-07 Nike, Inc. Variable stiffness midsole for article of footwear
USD943260S1 (en) * 2021-03-03 2022-02-15 Nike, Inc. Shoe
USD949534S1 (en) * 2021-06-17 2022-04-26 Nike, Inc. Shoe
USD987266S1 (en) * 2021-06-28 2023-05-30 Fly S.R.L. Sole for footwear
WO2023097139A1 (en) * 2021-11-24 2023-06-01 Nike Innovate C.V.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 movement controllers and adjustable foot support pressure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87477B (de) 1961-07-08 1969-01-16 Opel Georg Von Pneumatische Sohle fuer Schuhe
GB2114425B (en) 1982-02-05 1985-05-30 Clarks Ltd Sole units for footwear
AU631191B2 (en) 1989-02-08 1992-11-19 Reebok International Ltd. An article of footwear
JPH07112441B2 (ja) 1990-05-30 1995-12-06 リーボッ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膨張可能袋付き運動靴
US5319866A (en) * 1991-08-21 1994-06-14 Reebok International Ltd. Composite arch member
TW224938B (en) * 1993-06-04 1994-06-11 Nike International Ltd Shoe having adjustable cushioning system
US5771606A (en) 1994-10-14 1998-06-30 Reebok International Ltd. Support an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6453577B1 (en) 1996-02-09 2002-09-24 Reebok International Ltd. Support an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7204041B1 (en) * 1997-08-14 2007-04-17 Promdx Technology, Inc. Ergonomic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intelligent adaptive surfaces
US6354020B1 (en) * 1999-09-16 2002-03-12 Reebok International Ltd. Support an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6571490B2 (en) 2000-03-16 2003-06-03 Nike, Inc. Bladder with multi-stage regionalized cushioning
US6402879B1 (en) 2000-03-16 2002-06-11 Nike, Inc. Method of making bladder with inverted edge seam
US20020194747A1 (en) * 2001-06-21 2002-12-26 Passke Joel L. Footwear with bladder filter
US7448150B1 (en) * 2004-02-26 2008-11-11 Reebok International Ltd. Insert with variable cushioning and support and article of footwear containing same
WO2006073214A1 (en) * 2005-01-06 2006-07-13 Jong Soo Cho Footwear with ventilating and shock-absorbing device
US7409779B2 (en) * 2005-10-19 2008-08-12 Nike, Inc. Fluid system having multiple pump chambers
US7451554B2 (en) * 2005-10-19 2008-11-18 Nike, Inc. Fluid system having an expandable pump chamber
US8015730B2 (en) * 2007-01-08 2011-09-13 Nike, Inc. Footwear with vertically-arranged pump and pressure chambers
US8307569B2 (en) * 2009-04-01 2012-11-13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Training footwear
US8850718B2 (en) * 2009-09-23 2014-10-07 Shoes For Crews, Llc Shoe with support system
KR101008305B1 (ko) 2010-07-05 2011-01-14 김성순 에어백을 갖는 신발 안창
US20150305436A1 (en) * 2010-09-24 2015-10-29 Harold S. Doyle Pneumatically inflatable air bladder devices contained entirely within shoe sole or configured as shoe inserts
US8857076B2 (en) * 2011-04-06 2014-10-1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n adaptive fluid system
US9609913B2 (en) * 2011-12-29 2017-04-04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Sole an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pod assemby
US8914994B2 (en) * 2012-03-02 2014-12-23 Nike, Inc. Guitar-shaped bladder for footwear
US10849387B2 (en) * 2012-09-20 2020-12-01 Nike, Inc.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US10973276B2 (en) * 2017-01-23 2021-04-1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Energy harvesting footwear comprising three compressible volumes
WO2018157029A1 (en) * 2017-02-27 2018-08-30 Nike Innovate C.V. Adjustable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filled bladder chambers
US10524539B2 (en) * 2018-01-02 2020-01-07 Chih-Fang Lo Inflatable air pad of shoe
US11523657B2 (en) * 2019-05-20 2022-12-13 Nike, Inc.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 movement controll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363B1 (ko) * 2022-11-29 2023-06-15 예주산업(주) 영상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을 구현한 스마트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48198A1 (en) 2023-02-16
TWI821873B (zh) 2023-11-11
CN115844107A (zh) 2023-03-28
CN113163899B (zh) 2022-11-29
CN113163899A (zh) 2021-07-23
TW202023429A (zh) 2020-07-01
WO2020113014A1 (en) 2020-06-04
TW202215998A (zh) 2022-05-01
US11510458B2 (en) 2022-11-29
EP4316299A2 (en) 2024-02-07
EP3886636A1 (en) 2021-10-06
EP4316299A3 (en) 2024-04-10
US20200170343A1 (en) 2020-06-04
TW202404496A (zh) 2024-02-01
TWI752382B (zh) 2022-01-11
EP3886636B1 (en)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5648A (ko) 유체가 블래더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유체 충전식 블래더를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US11969053B2 (en) Adjustable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filled bladder chambers
KR102497958B1 (ko) 유체-충전식 블래더 챔버를 포함하는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시스템
US11930885B2 (en)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 movement control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