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506A -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see-through window - Google Patents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see-through wind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506A
KR20210095506A KR1020200009513A KR20200009513A KR20210095506A KR 20210095506 A KR20210095506 A KR 20210095506A KR 1020200009513 A KR1020200009513 A KR 1020200009513A KR 20200009513 A KR20200009513 A KR 20200009513A KR 20210095506 A KR20210095506 A KR 20210095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knock
sensor
detection signa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5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9278B1 (en
Inventor
김정길
이왕림
정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9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278B1/en
Publication of KR20210095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506A/en
Priority to KR1020230168600A priority patent/KR202301677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2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8Illumination for oven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4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01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easuring acceleration changes by making use of a triple differentiation of a displacement sig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Oven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appliance that allows an accommodating space provided therein to be view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sight window without opening a door.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ouble door in which each door is equipped with a sight window, detects a knock input by a user when the user knocks on each door, and allows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to be see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ight window by illuminating the inside of the relevant accommodating space. Therefore, the user can see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with a simple operation without opening each door.

Description

투시창이 설치된 가전기기{Home appliance equipped with see-through window}Home appliance equipped with see-through window}

본 발명은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내부공간을 볼 수 있는 투시창이 설치된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me appliance having a see-through window through which an interior space can be viewed from the outside.

조리기기, 냉장고, 의류처리장치 등과 같이 도어를 구비하고 내부공간에 대상물을 수용하는 가전기기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Home appliances having a door and accommodating an object in an internal space, such as a cooking appliance, a refrigerator, and a clothes treatment device, are widely used.

이러한 가전기기들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내부에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도어는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These home appliances may be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an object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ccommodating space inside the cabinet forming the exterior. Two or more doors may be provided as needed.

일반적으로 가전기기의 도어는 불투명하게 제작되어 외부에서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대상물을 볼 수 없기 때문에 대상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개방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In general, since the door of the home appliance is made to be opaque and the object accommodat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cannot be seen from the outside,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door is essential in order to check the object.

냉장고나 오븐과 같이 가전기기의 경우 내부를 보기 위해 도어를 개방시 내부의 냉기나 열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이 유발될 수 있다.In the case of home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and ovens, when the door is opened to see the inside, cold or heat inside may leak to the outside, which may cause unnecessary energy loss.

한편, 오븐, 세탁기, 건조기 등의 일부 가전기기들은 도어에 투시창이 장착되어 투시창을 통해 내부의 대상물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주위 환경이 어둡거나 야간에는 대상물을 제대로 확인할 수 없다.On the other hand, some home appliances, such as ovens, washing machines, dryers, etc. are equipped with a see-through window on the door so that an object inside can be viewed through the see-through window, but the object cannot be properly checked at night or in a dark environmen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50575호(선행문헌 1)와 제10-2019-0001876호(선행문헌 2)에는 도어의 개방 없이 사용자가 도어를 가볍게 두드리는 노크 동작만으로 수용공간의 내부를 조명하는 램프가 온되는 가전기기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10-2016-0150575 (Prior Document 1) and No. 10-2019-0001876 (Prior Document 2) accept only a knock operation in which the user lightly taps the door without opening the door. Disclosed is a home appliance in which a lamp for illuminating the interior of a space is turned on.

선행문헌 1에 개시된 가전기기는 센서를 통해 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가 감지되면 램프를 동작시키도록 한다. 또한, 선행문헌 2에 개시된 가전기기는 센서가 마이크부를 포함하고, 마이크부는 외부 글라스를 향하여 돌출되어 외부 글라스에 대면 배치되며, 외부 글라스를 통한 노크 입력을 음파로 수신하도록 한다.The home appliance disclosed in Prior Document 1 operates a lamp when a sound wave generated by a knock input applied to a door through a sensor is sensed. In addition, in the home appliance disclosed in Prior Document 2, the sensor includes a microphone unit, and the microphone unit protrudes toward the external glass and is disposed to face the external glass, and receives a knock input through the external glass as a sound wave.

하지만, 선행문헌 1 및 2에 개시된 가전기기에서는 노크에 의한 음파가 센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노크 위치와 센서 위치 사이에는 음파를 전달하기 위한 매질의 동일성과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단일 매질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센서의 설치위치가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오븐 등과 같은 가전기기의 경우 도어에 고온의 열이 전달되므로 도어에 센서를 부착하는 경우 고온의 열에 의해 센서가 오동작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home appliances disclosed in Prior Documents 1 and 2, in order for the sound wave due to the knock to reach the sensor, a single medium must be formed between the knock position and the sensor position so that the identity and continuity of the medium for transmitting the sound wave is maintained. Installation location is very limit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home appliances such as ovens, since high-temperature heat is transmitted to the door, when the sensor is attached to the do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ensor malfunctions due to the high-temperature heat.

특히, 상기 선행문헌들에는 냉장고에서 노크에 의한 진동 외에 냉장고 자체의 진동이나 다른 외력에 의한 진동 등 다양한 진동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다른 진동들과 노크에 의한 진동을 구별하지 못하여 노크를 오감지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크가 가해지는 위치와 음파센서의 설치위치 간에 매질의 동일성이 유지하도록 한다. In particular, in the preceding documents, since various vibrations such as vibrations of the refrigerator itself or vibrations caused by other external forces may occur in the refrigerator in addition to vibrations caused by knocks,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se other vibrations and vibrations caused by knocks, so that a knock is misdetected. Recognize the problem that may occur, and to solve the problem, the consistency of the medium is maintained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knock is applied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ound wave sensor.

즉, 매질의 동일성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이종 매질들을 따라 전달되는 음파의 감쇄폭은 상대적으로 매우 크기 때문에 전면패널이 아닌 냉장고의 다른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는 음파의 세기가 충분히 감쇄된다. That is, if the identity of the medium is not maintained, the attenuation width of the sound wave transmitted along the different medium is relatively large. do.

이러한 음파의 감쇄폭을 이용하여 전면패널에 가해지는 노크에 의한 음파를 구분함으로써 노크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전면패널이 아닌 다른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으로 인한 오작동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음파신호의 감쇄폭을 이용하여 노크 입력을 인식함으로써 전면패널에서 발생하지 않는 진동은 노크로 인식하지 않도록 합니다. When a knock input is sensed by classifying the sound wave caused by the knock applied to the front panel using the attenuation width of the sound wav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malfunction caused by the shock or vibration applied to the part other than the front panel, and the sound wave signal By recognizing knock input using the attenuation width of , vibration that does not occur on the front panel is not recognized as knock.

이와 같이, 상기 선행문헌들은 전면패널에 음파센서를 부착해야만 하므로 센서의 설치위치가 제한적이며, 전면패널에서 발생된 노크 신호를 다른 원인에 의한 진동과 구별하기 위해 음파센서를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음파센서의 사용은 하기와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As such, the prior documents have to attach a sound wave sensor to the front panel, s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ensor is limited, and a sound wave sensor is used to distinguish the knock signal generated from the front panel from vibration caused by other causes, but such a sound wave sensor The use of has the following problems.

또한, 센서가 음파를 감지하므로 노크에 의한 음파의 세기와 패턴만을 고려하여 노크 입력을 감지하기 때문에 노크가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한 음파에도 노크로 오인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nsor detects sound wav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sound waves caused by factors other than the knock are mistakenly recognized as knocks because the knock input is sens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sound wave caused by the knock.

즉, 음파의 감지는 음파가 발생한 위치에 대한 방향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어느 위치에서 음파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도어에서의 노크에 의한 음파와 도어가 아닌 위치에서의 다른 요인에 의한 음파를 구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노크와 유사한 패턴과 세기의 음파가 수신되어도 노크로 오감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since sound wave detection does not consider the direction of the location where the sound wave is generated,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where the sound wave is genera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distinguish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even when a sound wave having a pattern and intensity similar to a knock is received, a knock is erroneously detected.

또한, 오븐 등과 같이 내부가 고온인 가전기기의 경우 투시창에 전달된 열기에 의해 센서가 오동작할 수 있으므로 투시창에 설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고, 센서를 투시창이 아닌 다른 위치에 설치할 경우 노크 입력의 감지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home appliances with a high temperature inside, such as an oven, the sensor may malfunction due to the heat transferred to the viewing window, so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sensor on the viewing window. There is a problem of this deterioration.

나아가, 음파를 감지하는 센서를 도어에 압착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압착정도에 따라 센서의 감지율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강하게 압착하는 경우 감지율이 낮아지고 약하게 압착하는 경우 모터 등 주변의 음파에도 반응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more, a sensor for detecting sound waves is installed by pressing the door on the door,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tection rate of the sensor var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ression. For examp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tection rate is lowered in case of strong compression, and in case of weak compression, it responds to sound waves in the vicinity such as a motor.

이와 같이 종래에는 가전기기에서 노크 감지를 위해 진동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노크가 아닌 노이즈 진동의 필터링이 어렵기 때문에 음파센서를 설치하였고, 특히 오븐과 같이 고열로 인해 도어에 센서를 부착하기 어려운 경우 다른 위치에 센서를 설치해야 하지만, 음파 전달의 감쇄가 커져 정확한 감지가 어렵고 노이즈 신호에 대한 필터링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vibration sensor is used to detect knock in home appliances, a sound wave sensor is install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filter noise vibration other than knock. Although the sensor must be installed at a loc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ct and filter noise signals because the attenuation of sound wave transmission is large.

한편, 최근 가전기기의 경우 사용편의를 위한 첨단기능이 계속 추가되고 있고 다기능화를 위해 많은 부가기능들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장치들이 도어에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도어의 설계와 제조가 복잡해지고 있으므로 새롭게 추가되는 기능을 위한 장치나 소자는 도어 외 다른 부분에 설치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recent home appliances, advanced functions for convenience of use are continuously added, and operation devices capable of operating many additional functions are being added to the door for multifunctionality. Accordingly, since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the door is becoming more complicated, a device or element for a newly added function is being installed in a part other than the door.

특히, 도어에 장착된 투시창과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계속 커지는 추세이므로 도어에 첨단기능을 위한 센서, 소자, 모듈 등의 장치들을 추가로 배치하기 위한 여유공간을 마련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도어가 아닌 다른 위치에 해당 장치들을 부착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size of the see-through window and the display mounted on the door continues to incre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ovide an extra space for additionally arranging devices such as sensors, elements, and modules for advanced functions in the door. Due to these problems, there is a need to attach the devices to a location other than the door.

(선행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50575호(Prior Document 1)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50575 (선행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1876호(Prior Document 2)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01876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가전기기에서 노크 감지를 위해 진동센서를 사용할 수는 있으나, 노크가 아닌 다른 원인에 의한 진동을 구분하기 어렵고 다른 원인에 의한 진동의 필터링이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음파센서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오븐과 같이 고열로 인해 도어에 센서를 부착하기 어려운 경우 다른 위치에 센서를 설치해야 하지만, 음파 전달의 감쇄가 커져 정확한 감지가 어렵고 노이즈 신호에 대한 필터링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elated art, a vibration sensor can be used for knock detection in home appliances, but sinc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vibrations caused by causes other than knock and it is difficult to filter vibrations caused by other causes, it is difficult to solve this problem. A sound wave sensor was installed for In addition, when it is difficult to attach the sensor to the door due to high heat, such as in an oven, the sensor must be installed at a different location, but the attenuation of sound wave transmission increases, making accurate detection difficult and filtering noise signals difficul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that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이에, 본 발명은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의 설치위치 제한이 없고, 3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노크에 의한 진동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that has no limitation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a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and can accurately determine vibration due to knock using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a three-axis direc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투시창을 통해 내부공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that allows a user to check an internal space through a see-through window without opening a door.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노크 입력이 감지되면 램프를 동작시켜 내부공간을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capable of illuminating an internal space by operating a lamp when a knock input by a user is sensed.

본 발명은 더블 도어(double door)를 구비한 가전기기에서 각 도어에 가해진 노크를 구분하여 해당 도어에 대응하는 램프를 온/오프시키도록 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me appliance that distinguishes a knock applied to each door in a home appliance having a double door to turn on/off a lamp corresponding to the door.

본 발명은 더블 도어 사이에 진동을 흡수하여 감쇄시키는 흡진부재를 배치하여 다른 도어에 가해진 진동을 감쇄시켜 도어별 진동감지신호의 변별력을 높이고 도어별 진동여부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me appliance that can reduce vibration applied to other doors by arranging a vibration absorbing member between double doors to absorb and attenuate vibration, thereby increasing the discriminating power of vibration detection signals for each door and accurately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each door is vibrating.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은 노크 입력에 대응하는 진동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노크 입력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whether or not a knock input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ality of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knock input.

본 발명은 3축 방향의 진동을 각각 감지하고 상기 3축 방향의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서로 비교분석하여 노크에 의한 진동과 다른 요인에 의한 진동을 명확하게 구분함으로써 노크 입력에 대한 감지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each vibration in the three-axis direction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vibra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in the three-axis direction to clearly distinguish vibration caused by knock and vibration caused by other factors, thereby improving the detection performance for knock inpu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that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3축 방향 중 어느 한 축 방향과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을 일치시켜 노크에 의한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a vib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vibration caused by a knock by matching the direction of vibration by knocking with any one of the three axis directions.

본 발명은 3축 방향 중 어느 한 축 방향과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이 어긋나는 경우 이를 자동보정하는 기능을 갖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hav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orrecting when the direction of vibration due to knock is different from any one of the three axis directions.

본 발명은 노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가 온도의 영향을 받는 것을 배제하기 위해 온도에 따라 감지오차를 자동보정하는 기능을 갖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hav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orrecting a detection error according to temperature in order to exclude a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due to a knock from being affected by temperature.

본 발명은 노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어셈블리를 도어의 전면부에 배치된 핸들부에 설치하여 진동감지의 정확성을 높이도록 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in which a sensor assembly for detecting vibration caused by a knock is installed in a handle part disposed on a front part of a doo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vibration detection.

본 발명은 노크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가 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열에 의해 노크 입력의 감지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that can prevent a knock input sensing performance from being deteriorated by heat by installing a sensor for detecting a knock input at a position not affected by hea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노크에 따라 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capable of controlling on/off of a lamp according to a user's knock.

본 발명은 램프 버튼을 터치하여 램프가 이미 온되어 있는 상태이거나 노크온 기능이 오프된 상태와 같이 특정 예외상황에서는 사용자의 노크가 감지되더라도 램프가 온/오프되지 않도록 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that prevents the lamp from being turned on/off even if a user's knock is detected in a specific exceptional situation, such as a state in which the lamp is already on by touching a lamp button or a state in which the knock-on function is turned off there is.

본 발명은 또한 도어가 개방되어 있거나 셀프클린 기능이 수행중일 때는 사용자의 노크가 감지되더라도 램프가 온/오프되지 않도록 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that prevents a lamp from being turned on/off even when a user's knock is sensed when a door is opened or a self-clean function is being performe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의 내부에 대상물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과 수용공간의 전면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도어의 일부에는 투시창이 장착되어 사용자가 투시창을 통해 외부에서 내부의 수용공간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space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front part of the receiving space to accommodate an object in the interior of a cabinet forming an exterior, and a part of the door is equipped with a see-through window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see-through window It can be made so that the receiving space inside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수용공간이 설치된 위치와 가전기기의 주변 조명에 따라 투시창을 통해 보더라도 수용공간의 내부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the accommodation space is installed and the ambient lighting of the home appliance,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on space may not be visible even when viewed through a see-through window.

이에,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서는 수용공간 내부에 램프를 설치하여 수용공간 내부를 조명하거나 수용공간 외부에 램프를 설치하고 내부로 조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용공간 내부를 밝게 하여 수용공간 내부가 잘 보이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mp is install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to illuminate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or by installing a lamp outside the receiving space and illuminating the inside,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is brightened so that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can be seen clearly. can do.

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에서는 이러한 램프의 동작을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가능하도록 한다.In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lamp is possible only with a simple manipulation of the user.

즉, 사용자가 도어, 바람직하게는 투시창에 노크를 하면 내부에 구비된 센서어셈블리에서 상기 노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고 제어부가 센서어셈블리로부터 수신되는 노크온 신호를 기초로 하여 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user knocks on the door, preferably on the sight window, the sensor assembly provided inside detects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n/off of the lamp based on the knock-on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assembly. let it do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간단하게 도어 또는 투시창에 노크를 하면 그 노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여 램프가 수용공간을 조명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수용공간 내부를 잘 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simply knocks on the door or the viewing window, the lamp senses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to illuminate the receiving space. Accordingly, the user can see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well with a simple operation.

여기서, 센서어셈블리는 도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도어의 일부에 가해진 노크에 의해 발생되어 동일한 매질 또는 서로 다른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서는 센서어셈블리의 설치위치에 대한 선택으로 폭이 넓어질 수 있다.Here, the sensor assembly may be installed on the door or at a location away from the door, and may detect vibrations generated by a knock applied to a part of the door and transmitted through the same medium or different mediums. Therefore, in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can be widened by selec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nsor assembly.

제어부는 센서어셈블리에서 노크에 의한 진동이 감지되면 램프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turn on/off the lamp when vibration due to knock is detected in the sensor assembly.

이때, 제어부는 램프가 오프된 상태에서 센서어셈블리에 노크에 의한 진동이 감지되면 램프를 온시키고, 램프가 온된 상태에서 센서어셈블리에 노크에 의한 진동이 감지되면 램프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노크만으로 램프를 온/오프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turn on the lamp when vibration due to knock is sensed in the sensor assembly while the lamp is off, and turn off the lamp when vibration due to knock is detected in the sensor assembly while the lamp is on. Accordingly, the user can turn the lamp on/off only by knocking,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또한, 제어부는 램프가 온된 이후에 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램프를 오프시킬 수도 있다. 이로써, 램프가 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램프를 오프하는 것을 잊어버리더라도 일정시간 이후에 자동으로 오프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automatically turn off the lamp when a set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the lamp is turned on. Accordingly, even if the user forgets to turn off the lamp while the lamp is on, it is automatically turned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에서 도어는 캐비넷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센서어셈블리는 캐비넷의 후면부 또는 저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후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In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part of the cabinet, and the sensor assembly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part or the bottom part of the cabinet. For example, it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rear part.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어셈블리는 도어의 일측에 형성된 핸들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센서어셈블리가 핸들부에 설치되면 도어와 가까운 곳에 설치되므로 진동감지 성능이 우수하고 감지의 정확성도 높아진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nsor assembly may be installed in a handle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door. When the sensor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handle part, it is installed close to the door, so the vibration detection performance is excellent and the detection accuracy is increased.

그리고, 도어와 센서어셈블리가 설치된 부분은 서로 동일한 매일질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매질일 수도 있다. 다른 매질인 경우 도어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은 물리적으로 각각 연결된 복수의 서로 다른 매질을 통해 센서어셈블리로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s in which the door and the sensor assembly are installed may be of the same material or different medium. In the case of other media, vibrations due to knock applied to the door may be transmitted to the sensor assembly through a plurality of different media phys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서 센서어셈블리의 설치위치는 매우 중요하다. 가전기기가 예를 들어 오븐인 경우, 오븐은 고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므로 도어 및 투시창에 센서어셈블리를 설치하게 되면 뜨거운 열기에 의해 진동감지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어와 떨어진 곳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nsor assembly is very important. When the home appliance is, for example, an oven, since the oven cooks food by high heat, when the sensor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door and the viewing window, there is a fear that the vibration sensing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by the hot heat.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install it away from the door.

이때, 도어에 가해진 진동을 센서어셈블리에서 감지하기 위해서는 가전기기를 이루는 복수의 부품들을 고체로 이루어지고. 이들 고체부품들이 물리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매질 역할을 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sense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door by the sensor assembly, a plurality of parts constituting the home appliance are made of a solid. These solid parts are phys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an serve as a medium for transmitting vibration.

따라서, 도어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이 이들 복수의 매질을 통해 센서어셈블리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뜨거운 열로 인한 센서어셈블리의 성능 저하를 막을 수 있다.Accordingly, vibration due to the knock applied to the door may be transmitted to the sensor assembly through these plurality of media.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sensor assembly's performance due to hot heat.

이러한 센서어셈블리는,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를 감지하도록 하고, 이러한 진동감지신호를 기초로 노크의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진동감지신호가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으로 감지되는 경우 노크가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uch a sensor assembly may detect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vibration, and determine whether or not a knock is input based on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is case, when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threshold is continuously detec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knock has been applied.

일반적으로 노크는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똑똑"하는 형태를 갖는다. 이에 똑똑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와 일정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를 기초로 노크에 의한 진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노크에 의한 진동 여부 판단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general, knocks take the form of "tricks"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ly, based on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smart and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vibration is caused by knock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vibration is caused by the knock.

노크에 의한 진동은 3축 방향 중 제1축 방향으로만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x,y,z축 중 어느 한 축의 방향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서, 노크에 의한 진동 여부의 판단은 3축 중 제1축의 진동감지신호을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Vibration due to the knock may be generated only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among the three axial directions.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only in the direction of any one of the x, y, and z axes. Therefore,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vibration is caused by knock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axis among the three axes.

본 발명의 센서어셈블리는 감지된 복수의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의 패턴과 기설정된 노크에 의한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의 패턴을 비교하여 노크에 의한 진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ens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whether vibration is caused by knock by comparing a pattern of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ensed vibrations with a pattern of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vibration caused by a predetermined knock.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의 패턴은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기본적인 패턴에 매핑되는지를 판단하여 노크의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The pattern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due to the knock may be preset,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knock occurs by determining whether it is mapped to the basic patter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어셈블리는 모든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어셈블리는 복수의 축을 갖는 진동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진동센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축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nse the vibration transmitted in all directions. To this end, the sensor assembly may include a vibration sensor having a plurality of axes. That is, the vibration transmitted in a plurality of axial directions can be sensed using such a vibration senso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서는 3축 방향으로 전달된 진동을 감지하고, 이들 3축 방향의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를 조합하여 노크에 대응하는 진동을 감지하도록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transmitted in the three-axis direction is sensed, and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in the three-axis direction is combined to sense the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knock.

물론, 진동센서의 개수를 추가하여 3축 이상의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함으로써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Of course, by adding the number of vibration sensors to detect vibration transmitted in three or more directions, the reliability of vibration detection by knock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3축 방향으로 전달된 진동을 감지하고, 3축 방향으로 전달된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를 각각 생성하는 3축센서모듈과, 상기 3축센서모듈에서 생성된 진동감지신호를 기초로 노크에 의한 진동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마이컴을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3-axis sensor module for detecting vibration transmitted in the 3-axis direction and generating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transmitted in the 3-axis direction, respectively, and generated by the 3-axis sensor module It may include a sensor microcomputer that determines whether vibration due to knock on the basis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어 이외의 다른 위치에 설치된 센서어셈블리에서 도어의 노크에 의한 진동인지 혹은 다른 부위에서의 노크 또는 움직임에 의한 진동의 발생인지 여부를 구별하기 위해 복수의 축을 가진 진동센서를 사용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3축을 사용한다. 더욱 정밀한 제어를 위해 3축 이상도 가능하나, 3축으로 모든 방향의 진동을 구별할 수 있다. 즉, 가전기기의 어느 부분에서 노크가 입력되더라도 3차원의 모든 방향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bration sensor having a plurality of axes is provided in order to distinguish whether the vibration is caused by a knock on the door or the vibration is caused by a knock or movement in another part in a sensor assembly installed at a location other than the door. use. Most preferably, three axes are used. For more precise control, more than 3 axes are possible, but vibrations in all directions can be distinguished with 3 axes. That is, even if a knock is inputted from any part of the home appliance, vibrations in all three-dimensional directions can be sensed.

이때, 3축 중 한 축을 노크에 의한 진동 발생 방향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두 축의 진동을 비교함으로써 도어에서 발생한 노크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3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함으로써 이들의 조합에 의해 3차원의 모든 방향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축센서모듈로 3차원 모든 방향 감지 할 수 있다. At this time, one of the three axes is set as the vibration generation direction by the knock, and by comparing the vibrations of the other two axe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knock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door. And, by sensing the vibration in the three-axis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ense the vibration in all three-dimensional directions by a combination thereof. Preferably, the three-axis sensor module can detect all three-dimensional direction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3축뿐만 아니라 2축 혹은 1축 센서를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하여 노크의 진동을 감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3축/2축/1축센서를 여러 위치에 다수 구비하여 각 센서에서 감지된 진동감지신호를 상호 비교하여 노크 방향 및 위치도 감지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3-axis, but also 2-axis or 1-axis senso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to detect knock vibration. In addition, by providing a plurality of 3-axis/2-axis/1-axis sensors at various locations,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s sensed by each sensor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detect the knock direction and position.

다른 예에서 상기 센서어셈블리는 상기 3축센서모듈에서 생성된 진동감지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진동감지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센서마이컴으로 출력하는 증폭부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sensor assembly includes a filter unit for removing noise included in the vibration sensing signal generated by the three-axis sensor module, and an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the vibration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filter unit and outputting it to the sensor microcomputer. may include more.

일 실시예에서 3축센서모듈은 3개의 가속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3개의 가속도센서는 상기 3축 방향 중 제1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제1가속도센서, 제2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제2가속도센서, 제3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제3가속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ree-axis sensor module includes three acceleration sensors, wherein the three acceleration sensors sense a first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in a first axis direction among the three axis directions, and a second axis direction vibration It may include a second acceleration sensor, a third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in the third axis direction.

이때, 상기 3개의 가속도센서 중 하나의 가속도센서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축 방향이 상기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노크에 의한 진동과 3축 중 어느 한 축의 방향과 얼라이먼트(alignment)를 맞춤으로써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At this time, one of the three acceleration sensors is installed so that an axial direction for sensing vibration coincides with a direction of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As described above, by aligning the vibration due to the knock with the direction of any one of the three axes, the accuracy of detecting the vibration due to the knock can be increased.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3축센서모듈은 3축 방향의 진동을 동시에 감지하는 하나의 3축 가속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3축 가속도센서는 3축 방향 중 어느 한 축의 방향이 상기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3-axis sensor module may include one 3-axis acceleration sensor that simultaneously senses vibration in 3-axis directions, wherein the 3-axis acceleration sensor has a direction in any one of the 3-axis directions caused by the knock. Install so that it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vibration. Through thi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detecting vibration by knocking.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서는 센서마이컴이 3축센서모듈에서 생성된 진동감지신호의 패턴과 노크에 의한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의 패턴을 비교하여 노크에 의한 진동 여부를 판단한다.In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microcomputer compares the pattern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three-axis sensor module with the pattern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and determines whether vibration is caused by the knock.

이들 3축센서모듈과 센서마이컴은 하나의 PCB에 실장되며, 이로써 센서어셈블리는 일체형 모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와 증폭부가 더 포함된 경우에도 이들 모두는 PCB에 실장되며, 센서어셈블리는 일체형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어셈블리가 PCB 모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가전기기에 설치 및 부착하기가 간편하고, 기존의 가전기기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설치가 간편해질 수 있다. 그리고, 센서어셈블리의 설치위치의 선택폭이 넓어질 수 있다.These three-axis sensor module and sensor microcomputer are mounted on one PCB, so that the sensor assembly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module. And even when the filter unit and the amplification unit are further included, all of them are mounted on the PCB, and the sensor assembly may be formed as an integrated modul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nsor assembly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 PCB module, it is easy to install and attach it to a home appliance, and installation can be simplified even when installed in an existing home appliance. In addition, the selection range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nsor assembly can be widened.

본 발명의 센서마이컴은 3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 중 설정된 제1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1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노크에 대한 진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노크에 의한 진동은 어느 제1방향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The sensor microcompu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tract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first direction set among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s in the three-axis direction, and determine whether to vibrate with respect to the knock by using the extracted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first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occurs in a certain first direction.

또한, 센서마이컴은 제1방향의 진동감지신호가 설정된 제1임계치 이상이고 설정시이 경과한 후 설정된 제2임계치 이상이면 노크에 의한 진동임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는 "똑독"으로 노크가 가해진 경우 "똑똑"에 해당하는 진동은 일정크기 이상으로 신호가 나타나고 나머지는 신호의 크기가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똑똑"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가 각각 제1,2임계치 이상이면 노크에 의한 진동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first direc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first threshold value an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second threshold value after lapse of the setting time, the sensor microcomputer may determine that the vibration is caused by knocking. This is because, when a knock is applied with “tok-dok”, the vibration corresponding to “tok-tok” shows a signal with a certain magnitude or more, and the rest of the signal has a small magnitude. Therefore, i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ick"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s, respectively,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vibration is caused by the knock.

특히, 센서마이컴은 제1방향의 진동감지신호에서 1st knock에 의한 진동감지신호의 크기가 설정된 제1임계치 이상이고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 2nd knock에 의한 진동감지신호의 크기가 설정된 제2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노크에 의한 진동임을 판단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sensor microcomputer,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by 1st knock in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first direc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first threshold, and after the set time has elapsed,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by the 2nd knock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hreshold. On the other han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vibration is caused by the knock.

또한, 센서마이컴은 상기 3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 중 상기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는 어느 한 축 방향(제1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진동감지신호와 다른 두 축 방향(제2,3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노크에 대한 진동여부를 판단한다.In addition, the sensor microcomputer extracts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any one axis direction (first axis direction) that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vibration by the knock among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s in the three axis directions, and extracts two other vibration detection signals from the extracted vibration detection signal. By comparing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s in the axial direction (second and third axis direction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is vibration in response to the knock.

여기서, 센서마이컴은 제2축 방향 또는 제3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의 최대값이 제1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의 최대값보다 큰 경우는 상기 노크에 의한 진동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Here, when the maximum valu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at least one of the second axis direction or the third axis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first axis direction, the sensor microcomputer is not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can be judged as

본 발명의 램프는 수용공간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조명하거나 또는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공간 내부로 조명할 수 있다. 이때, 수용공간 내부는 매우 고온이므로 고온의 열에 대한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구현되어야 한다.Th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accommodating space to illuminate the accommodating space, or installed inside the accommodating space to illuminate the accommodating space. At this time, since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is very high temperature, it should be implemented with a material with strong durability against high temperature heat.

본 발명에서는 특정조건에 해당되는 일부 예외상황을 체크하여 사용자의 노크가 감지되더라도 램프가 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안정상의 이유나 에너지 절감 차원, 사용자의 편의 등으로 노크가 입력되더라도 램프가 온되지 않아야 하는 일부 예외상황을 미리 설정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amp from being turned on even if a user's knock is detected by checking some exception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ndition. This is to set in advance some exceptions in which the lamp should not be turned on even if a knock is input for safety reasons, energy saving dimension, user convenience, etc.

이러한 예외상황으로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 셀프클린 동작 중인 상태, 셀프클린이 완료된 후 일정시간 동안 도어락이 설정된 상태, 램프 버튼이 터치되어 램프가 이미 온되어 있는 상태, 노크온 기능이 오프된 상태, 예열 후 램프가 점멸중인 상태 등이 있다. 이러한 예외상황에서는 사용자의 노크에도 불구하고 램프가 온/오프되지 않도록 한다. These exceptions include the door being opened, the self-clean operation in progress, the door lock se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self-cleaning is completed, the lamp is already on because the lamp button is touched, and the knock-on function is off. , the lamp is flickering after preheating, etc. In this exceptional situation, the lamp is not turned on/off despite the user's knock.

본 발명에서는 램프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므로 사용자의 조작입력에 의해 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amp on/off switch is provided, the on/off of the lamp can be controlled by a user's manipulation input.

본 발명에서는 노크에 의한 진동 또는 음파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은 종래의 센서가 아닌 3차원의 모든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3축센서모듈을 통해 노크에 의한 진동과 다른 원인에 의한 진동을 구분하여 노트에 의한 진동 감지에 대한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ibration due to knock and vibration caused by other causes are distinguished through a three-axis sensor module that detects vibration in all directions in three dimensions, not a conventional sensor that does not consider vibration due to knock or the directionality of sound waves. to ensur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vibration detection b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시창이 설치된 가전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home appliance installed with a see-throug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투시창을 통해 수용공간 내부를 볼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e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see-through window without opening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object.

둘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가전기기에 노크하면 사용자의 노크를 감지하여 수용공간의 내부에 설치된 램프가 수용공간 내부를 조명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투시창을 통해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knocks on the home appliance, the user's knock is sensed, and a lamp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illuminates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inside through the see-through window from the outside. It can provide convenience.

셋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더블 도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노어에 가해진 노크를 구분함으로써 노크가 가해진 도어에 대응하는 램프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Third,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urn on/off the lamp corresponding to the door to which the knock is applied by classifying the knock applied to one or more knocks among the double doors.

넷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더블 도어 사이에 흡진부재를 배치하여 다른 도어에 가해진 진동을 흡수하여 감쇄시킴으로써 도어별 진동감지신호의 변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Fourth,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rranging a vibration absorbing member between the double doors to absorb and attenuate vibration applied to another doo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for each door.

다섯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가전기기를 이루는 고체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므로 작은 노크에도 노크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Fifth,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ibr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solid medium constituting the home appliance is sensed, the knock can be accurately detected even with a small knock.

여섯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사용자의 노크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방향성을 고려하기 때문에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다른 요인에 의한 진동의 방향을 구별할 수 있으므로 노크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Sixth,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rectio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user's knock input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direction of vibration caused by knock and the direction of vibration caused by other factors can be distinguished, so tha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whether a knock there is.

일곱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노크 입력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위치가 도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센서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제약이 없고 설치위치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다.Seventh,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by knock input is not limited to the door and can be installed in various positions,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nsor and the choice of installation position this is wide

여덟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복수의 축방향의 진동을 각각 독립적으로 감지하고 복수의 축방향의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서로 비교분석하여 노크에 의한 진동과 다른 요인에 의한 진동을 명확하게 구분함으로써 노크 입력에 대한 감지성능이 우수하다.Eighth,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a plurality of axial vibrations are independently sensed, and vibra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xial vibrations a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each other to clearly distinguish vibration caused by knock and vibration caused by other factors. By distinguishing, the detection performance for knock input is excellent.

아홉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복수의 축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에서 복수의 축방향 중 어느 한 축 방향과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발생 방향을 일치시켜 노크에 의한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Ninth,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in a plurality of axial direction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xial directions and the generation direction of vibration due to knock are matched to generate a vib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vibration due to knock. can be detected accurately.

열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복수의 축방향 중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의 어느 한 축 방향과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이 어긋하는 경우 이를 자동보정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노크 감지의 정확성이 향상된다.Tenth,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ny one axial direction of the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among a plurality of axial directions and the direction of vibration due to knock are misaligned, it ha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orrecting this, so the accuracy of knock detection is improved. .

열한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3차원의 축방향으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고, 이들 3차원의 축방향 진동 중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다른 요인에 의한 진동의 방향을 구별할 수 있으므로 노크 감지의 정확성이 향상된다.Eleventh,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nse the vibration occurring in the three-dimensional axial direction, and to distinguish the direction of vibration due to knock and the direction of vibration caused by other factors among these three-dimensional axial vibrations. Therefore, the accuracy of knock detection is improved.

열두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노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의 온도에 따른 감지오차를 자동보정하기 때문에 온도에 따른 영향을 받는 것을 배제할 수 있어 노크 감지의 정확성이 향상된다.Twelfth,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tection erro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sensor that detects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is automatically corrected, it is possible to exclude the influence by the temperature, so that the accuracy of the knock detection is improved.

열셋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노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어셈블리를 도어의 전면부에 설치된 핸들부에 설치하여 진동감지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Thirteenth,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vibration detection by installing a sensor assembly for detecting vibration by knocking on the handle part installed on the front part of the door.

열넷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노크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가 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오븐 등과 같이 열에 의한 센서의 노크 입력 감지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urteenth,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knock input sensing performance of the sensor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heat, such as an oven, by installing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knock input at a position not affected by heat.

열다섯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일례로 3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노크에 의한 진동과 다른 요인에 의한 진동을 구분할 수 있으므로 노크 입력에 대한 감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Fifteenth,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vibration caused by knock from vibration caused by other factors by using, for example, a 3-axis acceleration sensor, the detection performance for knock input can be improved.

열여섯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노크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위치가 도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적용될 수 있다.Sixteenth,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knock input is not limited to the door, but can be applied to various positions.

열일곱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노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모듈 형태로 구현하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를 위한 구조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노크에 의한 진동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Seventeenth,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by knock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installation is simple, structural change for installation can be minimized, and vibration caused by knock can be precisely analyzed. .

열여덟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노크에 따라 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하고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Eighteenth,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n/off of the lamp according to the knock, so that it is convenient in use and power can be efficiently used.

열아홉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면에 배치된 램프의 온/오프 스위치를 누르지 않고도 간단히 노크만으로 가전기기의 내부 수용공간의 램프를 동작시킬 수 있다.Nineteenth,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operate the lamp of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me appliance by simply knocking without pressing the on/off switch of the lamp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스무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도어에 장착된 투시창이나 디스플레이 등의 크기가 커지고 있는 추세에서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 등의 장치를 도어가 아닌 다른 위치에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도어에 상기 장치의 배치를 위한 추가적인 공간을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Twentieth,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rend of increasing the size of the see-through window or display mounted on the door, a device such as a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can be installed at a location other than the door, so that the arrangement of the device on the door is reduced. You don't need to make extra space for it.

스물한째,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의하면 특정한 예외상황에서는 노크가 입력되더라도 노크의 입력을 무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므로 가전기기의 안전성,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램프 버튼을 터치하여 램프가 이미 온되어 있는 상태, 노크온 기능의 설정이 오프된 상태, 그리고 셀프클린 중인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노크 입력에도 램프가 온/오프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wenty-first, according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safety and convenience of use of the home appliance because it can be set to ignore the knock input even when a knock is input in a specific exceptional situation. In particular, in a state in which the lamp is already on by touching the lamp button, a state in which the knock-on function is turned off, and a state in which self-cleaning is in progress, the lamp may not be turned on/off even by a user's knock inpu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의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외관을 보인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도어가 제거된 일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버튼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에서 센서어셈블리가 설치되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2 센서어셈블리의 배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어셈블리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축센서모듈의 배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축센서모듈의 배치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축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진동감지신호의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축센서모듈의 한 축의 방향과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 간의 얼라이먼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동작을 보인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동작을 보인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2 센서어셈블리에서 진동 감지 여부를 설명하기 위한 진동감지신호의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에서 노크에 의한 진동을 설명하기 위한 진동감지신호의 일 예시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에서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의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동작을 보인 흐름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에서 노크 입력 감지를 설명하기 위한 진동감지신호의 실험결과 그래프.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에서 노크 입력 미감지를 설명하기 위한 진동감지신호의 실험결과 그래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the door of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3 is an exemplary view of a butto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a sensor assembly is installed in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arrangement view of first and second sensor assembl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a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arrangement perspective view of a three-axis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arrangement perspective view of a three-axis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exemplary views of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sensed by a three-axis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lignment between the direction of one axis of the three-axis sensor module and the direction of vibration by knoc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xemplary view of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for explaining whether vibration is detected in first and second sensor assembl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emplary view of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for explaining vibration caused by a knock in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and 19 are exemplary views of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due to a knock in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graph of experimental results of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for explaining knock input detection in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and 23 are graphs of experimental results of vibration detection signals for explaining non-detection of knock input in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는 예컨대 조리기기, 냉장고, 건조기, 세탁기 등과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투시창이 장착되어 수용공간의 내부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가전제품이 될 수 있다.Before describing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eiving space inside, such as a cooking appliance, a refrigerator, a dryer, a washing machine, etc., and a see-through window is mounted on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receiving space. It can be any home appliance that allows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on space to be seen from the outside.

따라서,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열림에 의해 수용공간의 내부에 접근이 가능하고 도어의 닫힘에 의해 수용공간이 폐쇄되어 수용공간의 내부에 접근이 불가능하며, 도어에 장착된 투시창을 통해 외부에서 수용공간의 내부를 볼 수 있는 어떠한 가전기기라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둔다.Therefore, access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is possible by opening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ccess to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on space is impossible because the accommodation space is closed by the closing of the door. It is clearly stated that any home appliance that can see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를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형태나 구조가 필요한 경우에는 설명의 편의상 조리기기를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는 이러한 조리기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following, when a specific form or structure is required in describing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oking applian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as mentioned above,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cooking appliance.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1)는 캐비넷(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캐비넷(1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The appearance of the home applian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the cabinet 10 . The cabinet 1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other shapes.

또한, 캐비넷(10)은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강도를 가져야 하므로 이에 부합되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abinet 10 has to have a predetermined strength required to protect a plurality of components installed therein, it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to match.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가 조리기기인 경우 캐비넷(10)의 상면부(11)에 개방형 조리기기로서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쿡탑부(60) 등의 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when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oking appliance, a device such as a cooktop unit 60 for cooking food as an open cooking appliance on the upper surface 11 of the cabinet 10 may be further provided.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캐비넷(10)의 내부에는 일정크기의 수용공간(23,32)이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수용공간(23,32)은 대상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Two or more accommodating spaces 23 and 32 of a predetermined size may be formed inside the cabinet 10 . Each of thes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may be a space in which an object is stored.

일례로, 가전기기(1)가 조리기기인 경우 수용공간(23,32)은 조리실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실은 음식재료가 담긴 용기가 투입되고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home appliance 1 is a cooking appliance, th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may be a cooking chamber. Such a cooking chamber may be used as a space in which a container containing food materials is put and food is cooked.

다른 예로, 가전기기(1)가 냉장고인 경우 수용공간(23,32)은 냉동실 또는 냉장실과 같은 저장실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냉동실 또는 냉장실은 음식물이 저장 및 보관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home appliance 1 is a refrigerator, th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may be storage compartments such as a freezer compartment or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or refrigerating compartment may be a space in which food is stored and stored.

물론, 또 다른 예들로서 식기세척기, 세탁기, 의류처리장치들도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용공간에는 식기, 의류 등이 수용될 수 있다.Of course, as still other examples, an accommodating space may be formed in the dishwasher, washing machine, and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dishes, clothes, etc.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이러한 수용공간(23,32)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편의상 일례로 상부의 제1 수용공간(23)과 하부의 제2 수용공간(32)이 형성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복수의 수용공간(23,32)은 좌우로 구획될 수도 있다.Thes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may be formed in two or more numbers. 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upper first accommodating space 23 and the lower second accommodating space 32 are form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course, the plurality of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may be partitioned left and right.

한편, 수용공간(23,32)에는 수용공간(23,32)의 개방된 일면, 바람직하게는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40)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open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preferably a door 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may be installed.

도어(40)는 제1 수용공간(23)을 개폐하는 제1 도어(20)와, 제2 수용공간(32)를 개폐하는 제2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도어(20) 및 제2 도어(30)는 일례로 회전식 또는 서랍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The door 40 may include a first door 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3 and a second door 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32 . The first door 20 and the second door 30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rotary type or a drawer type.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도어(20) 및 제2 도어(30)는 회전식으로 구성되어 소정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수용공간(23) 및 제2 수용공간(32)의 내부공간을 개방 또는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door 20 and the second door 30 are rotatably configured to rotat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open or shield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3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32 . can be configured.

예컨대, 제1 도어(20)는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아래방향으로 회동하면 제1 수용공간(23)이 개방되며, 이와 반대로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윗방향으로 회동하면 제2 수용공간(23)이 차폐된다. 제2 도어(30)도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pper end of the first door 20 rotates in the downward direction around the lower end,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3 is opened,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upper end rotates upward around the lower end, the second receiving space 23 ) is shielded. The second door 30 may operate in the same manner.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1)는 고유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들을 구비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home applian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components for performing unique functions.

예컨대, 오븐의 경우 수용공간(23,32)으로서 조리실을 가열하는 다양한 가열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냉장고의 경우 수용공간(23,32)으로서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공급할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냉매사이클의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식기세척기, 건조기 등과 같은 가전기기의 경우에도 각각의 고유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oven, various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cooking chamber as th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may be provided. As another example, the refrigerator may have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nt cycle for generating cold air to be supplied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or the freezing chamber as th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 Of course, even in the case of home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and dryers, components for performing respective unique functions may be provided.

제1,2 도어(20,30)에는 제1,2 투시창(21,31)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투시창(21,31)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ee-through windows 21 and 31 may b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doors 20 and 30 . Each of these viewing windows 21 and 31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투시창(21,31)은 일례로 제1,2 도어(20,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제1,2 도어(20,30)의 중앙부에 별개로 각각 장착될 수도 있다. 일체형으로 형성할 경우 제1,2 도어(20,30)의 일부를 시스루(see-through) 도어로 형성할 수 있다. The see-through windows 21 and 3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and second doors 20 and 30, for example, or may be separately mounted on the central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oors 20 and 30 as another example. When integrally formed,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oors 20 and 30 may be formed as see-through doors.

제1,2 투시창(21,31)은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유리, 투명플라스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적용되는 가전기기에 따라서 고온,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고, 방수, 방열 등의 기능도 필요할 수도 있다. The first and second see-through windows 21 and 31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can see the inside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with glass, transparent plastic,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applied home appliance, it needs to be formed to withstand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d functions such as waterproofing and heat dissipation may also be required.

캐비넷(10)의 상부(11)의 일측에는 디스플레이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5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11 of the cabinet 10 .

디스플레이부(50)는 가전기기(1)의 상태정보와 동작들을 위한 기능의 진행상황 등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50 may display status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1 and the progress of functions for operations, and the like.

이러한 디스플레이부(50)는 가전기기(1)와 관련된 정보 등을 시각, 청각으로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평면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5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인가받는 터치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50 is for visually and auditory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1 , and may include a flat panel display and a speaker. 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50 may be formed of a touch panel to which a user's touch input is applied.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50)는 가전기기(1)의 구동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driving of the home appliance 1 .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50)는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5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3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3D display.

디스플레이부(5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을 형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50)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예컨대, 터치필름, 터치시트, 터치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50 and the touch sensor for sensing a touch operation form a touch screen by forming a mutual layer structure, the display unit 50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nd a touch pad.

또한, 이러한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5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such a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art of the display or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art of the display unit 50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터치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는 터치제어기(도시되지 않음)로 보내질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touched position and area,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he touch. 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sent to a touch controller (not shown).

이러한 디스플레이부(50)에는 도 3에 도시된 일례와 같이 복수의 버튼들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버튼은 사용자의 노크에 의해 수용공간(23,32) 내부에 설치된 램프(160,161)를 자동으로 온/오프시키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노크온 버튼(51)과, 상기 램프(160,161)를 수동으로 온/오프시키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램프 버튼(52)과, 가전기기(1)가 오븐인 경우 조리실인 수용공간(23,32)의 셀프클린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셀프클린 버튼(53) 등이 표시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utton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 as in an example shown in FIG. 3 . In this embodiment, the button includes a knock-on button 51 for sett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turning on/off the lamps 160 and 161 install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by a user's knock, and the lamps 160 and 161. A lamp button 52 for setting a function for manually turning on/off, and a self-clean button 53 for setting the self-clean func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which are cooking rooms, when the home appliance 1 is an oven ) may be displayed.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된 노크온 버튼(51)을 한번 터치하면 노크온(knock-on) 기능이 온되고, 한번 더 터치하면 노크온 기능이 오프된다. When the user touches the knock-on button 51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 once, the knock-on function is turned on, and when the user touches it once more, the knock-on function is turned off.

노크온 기능은 사용자의 노크에 의해 램프(160,161)를 온/오프시키는 기능이다. 즉, 노크온 기능이 온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노크가 입력되면 램프(160,161)를 자동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다. 반대로 노크온 기능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노크가 입력되어도 램프(160,161)가 온/오프되지 않는다. The knock-on function is a function of turning on/off the lamps 160 and 161 by a user's knock.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knock-on function is turned on, when a user's knock is input, the lamps 160 and 161 may be automatically turned on/off. Conversely, in a state in which the knock-on function is turned off, the lamps 160 and 161 are not turned on/off even when a user's knock is input.

따라서 사용자가 노크온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노크온 기능을 온시키고, 노크온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노크온 기능을 오프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knock-on function, the knock-on function is turned on, and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use the knock-on function, the knock-on function can be turned off.

또한, 램프 버튼(52)은 사용자의 노크에 의해서가 아니라 램프(160,161)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온/오프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된 램프 버튼(52)을 한번 터치하면 램프(160,161)가 온되고, 한번 더 터치하면 램프(160,161)가 오프된다. In addition, the lamp button 52 is for the user to manually turn on/off the lamps 160 and 161, not by the user's knock. That is, when the user touches the lamp button 52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 once, the lamps 160 and 161 are turned on,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lamp button 52 once more, the lamps 160 and 161 are turned off.

이때, 본 실시예에서 램프 버튼(52)을 터치하여 램프(160,161)가 온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노크가 입력되더라도 램프(160,161)가 오프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가 수동으로 램프 버튼(52)을 터치하여 램프(160,161)를 온시킨 상태에서는 노크온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amps 160 and 161 are turned on by touching the lamp button 52 , even if a user's knock is input, the lamps 160 and 161 are not turned off.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manually touches the lamp button 52 to turn on the lamps 160 and 161, the knock-on function does not operate.

이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램프(160,161)를 온시켜 내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노크가 입력되는 경우 램프(160,161)를 오프시키면 의도한 작업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램프 버튼(52)을 터치하여 램프(160,161)를 오프시킨 상태에서는 노크온 기능이 동작하여 사용자의 노크에 의해 램프(160,161)를 온시킬 수 있다. 물론, 그 이후에 다시 노크가 입력되면 램프(160,161)를 오프시킬 수 있다.This is because, when a user manually turns on the lamps 160 and 161 and a knock is input in the process of checking the inside, if the lamps 160 and 161 are turned off, the intended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However, in a state in which the lamps 160 and 161 are turned off by touching the lamp button 52 , the knock-on function may operate to turn on the lamps 160 and 161 by the user's knock. Of course, if a knock is input again after that, the lamps 160 and 161 may be turned off.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50)에는 셀프클린 버튼(53)이 표시될 수도 있다. 셀프클린은 수용공간(23,32)을 자체적으로 자동으로 소독, 청소 등과 같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셀프클린 과정에서는 노크온 기능이 작동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해 노크가 입력되어도 램프(160,161)가 온/오프되지 않는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lf-clean button 53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50 . Self-cleaning may include functions such as automatically disinfecting and cleaning th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by itself. During this self-cleaning process, the knock-on function can be set to not work. In this case, even when a knock is input by the user, the lamps 160 and 161 are not turned on/off.

도면에는 일례로 3개의 버튼이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추가 기능에 대한 버튼이 더 표시될 수 있고, 해당 버튼을 터치하면 그에 대응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기능에 대응하여 노크온 기능이 작동될 수도 있고, 작동되지 않을 수도 있다.Although the drawings illustrate that three buttons are displayed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tons for other additional functions may be further displayed, and when the corresponding button is touched, a function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knock-on function may or may not operate in response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또한, 복수의 버튼은 각각의 도어(20,30) 및 수용공간(23,32)별로 구분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하나의 램프 버튼(52)을 터치하여 두 수용공간(23,32)의 각 램프(160,161)를 동시에 온/오프시킬 수도 있고, 각 수용공간(23,32)에 대응하는 두 개의 램프 버튼(52)을 별개로 구비하여, 각 램프 버튼(52)을 터치하여 해당 수용공간(23 또는 32)에 대응하는 램프(160 또는 161)를 온/오프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uttons may be installed separately for each door 20 and 30 and th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 For example, one lamp button 52 may be touched to turn on/off each lamp 160 and 161 of the two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at the same time, and two lamp buttons corresponding to each accommodation space 23 and 32 ( 52) may be separately provided, and by touching each lamp button 52, the lamp 160 or 161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ccommodation space 23 or 32 may be turned on/off.

캐비넷(10)의 정면에는 레버조작부(62)가 설치될 수 있다. 레버조작부(62)는 가전기기(1)의 동작들을 위한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동작온도, 동작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레버조작부(61)는 상부에 배치된 쿡탑부(60)를 조작할 수 있다. A lever operation unit 62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10 . The lever operation unit 62 i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for the operations of the home appliance 1 . For example, an operating temperature, an operating time, etc. can be set. The lever operation unit 61 may operate the cooktop unit 60 disposed thereon.

가전기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50)가 설치되는 패널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A control unit 15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1 may be installed.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50 may be installed inside a panel on which the display unit 50 is installed.

물론 제어부(15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메인 인쇄회로기판(PCB)에 탑재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IC칩 형태로 메인 PCB에 실장될 수 있다.Of course, the position of the control unit 150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trol unit 150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mounted on a main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preferably may be mounted on the main PCB in the form of an IC chip.

제어부(150)는 레버조작부(62)에 의해 설정되는 설정값을 수신하고 그 설정값에 대응하는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설정된 온도에 따라 내부에 설치된 가열수단(미도시)을 제어하여 수용공간(23,32)의 내부온도를 상기 설정된 온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기 설정된 온도 및 현재 내부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receive a setting value set by the lever operation unit 62 and control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setting valu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eating means (not shown) installed therein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so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is the set temperature. Also, the controller 150 may display the set temperature and the current internal temperature.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10)의 어느 일측에 복수의 센서어셈블리(110a,110b)가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센서어셈블리(110a,110b)의 설치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어(20,30)와 인접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고 캐비넷(10)의 하단 전방부, 상단 전/후방부, 조작패널어셈블리(50)에도 설치가 가능하다.Meanwhile, a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may be installed on either side of the cabinet 10 . However,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may be install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doors 20 and 30 , and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front part, the upper front/rear part, and the operation panel assembly 50 of the cabinet 10 .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각각 제1 및 제2 도어(20,30)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제1 센서어셈블리(110a)는 제1 도어(20)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제2 센서어셈블리(110b)는 제2 도어(30)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are install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doors 20 and 30,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first door 20 , and the second sensor assembly 110b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second door 30 .

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센서어셈블리(110a)는 제2 도어(30)보다 제1 도어(20)에 더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고, 제2 센서어셈블리(110b)는 제1 도어(20)보다 제2 도어(30)에 더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In this embodiment, preferably,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is installed closer to the first door 20 than the second door 30 , and the second sensor assembly 110b is installed to the first door 20 . It is install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second door 30 than that.

일례로, 가전기기(1)의 전방에서 제1,2 도어(20,30)를 바라볼 때 제1 센서어셈블리(110a)는 제1 도어(20)의 후방에 설치되고, 제2 센서어셈블리(110b)는 제2 도어(30)의 후방에 설치된다.For example, when looking at the first and second doors 20 and 30 from the front of the home appliance 1 ,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irst door 20 , and the second sensor assembly ( 110b)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econd door 30 .

이는 도면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도어(20,30) 사이에 형성된 가상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1 센서어셈블리(110a)는 수평면 상부에, 제2 센서어셈블리(110b)는수평면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다.As shown in the figure, based on a virtual horizontal plan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oors 20 and 30,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second sensor assembly 110b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plane. will be.

만약,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도어(20,30)가 좌우로 배치된 경우 제1 및 제2 도어(20,30) 사이에 형성된 가상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제1 및 제2 센서어셈블리(110a,110b)가 배치된다.If,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first and second doors 20 and 30 are disposed left and right, the first and second doors 20 and 30 are respectively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ased on the virtual vertical surfac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oors 20 and 30 , respectively. Two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are disposed.

이때, 일부 가전기기의 경우 특정 온도 및 압력이 센서어셈블리(110a,110b)의 진동감지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온도 및 압력에 의한 진동감지성능에 영향이 없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some home appliances, a specific temperature and pressure may affect the vibration sensing performance of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desirable.

예컨대, 가전기기(1)가 오븐인 경우 조리실 내부로부터 고온의 열에 의해 도어(20,30)는 상당한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에, 센서어셈블리(110a,110b)를 도어(20,30)에 직접 설치하는 것보다는 열과 압력의 영향이 적은 다른 위치에 설치함이 좋다.For example, when the home appliance 1 is an oven, the doors 20 and 30 may receive considerable heat by high-temperature heat from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Accordingly, it is better to install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at a different location where the influence of heat and pressure is less than directly installing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on the doors 20 and 30 .

하지만, 센서어셈블리(110a,110b)를 기존 가전기기(1)에 설치하는 경우 기존 가전기기(1)의 구조변경을 최소화하고 센서어셈블리(110a,110b)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캐비넷(10)의 뒷면부 또는 양쪽 측면부 내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are installed in the existing home appliance 1, in order to minimize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existing home appliance 1 and to easily install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the cabinet 10 It is preferable to install it inside the back or both side parts of the.

이는 캐비넷(10)의 뒷면부 또는 양쪽 측면부에 형성된 커버(24)를 일시적으로 떼어내고 각 센서어셈블리(110a,110b)를 장착한 후 다시 해당 커버(24)를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설치가 매우 간단하고 착탈 역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ver 24 formed on the back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cabinet 10 is temporarily removed, the respectiv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are mounted, and then the corresponding cover 24 can be mounted again. Thereby, installation is very simple, and removal can also be performed easily.

도 4 및 도 6에는 센서어셈블리(110a,110b)가 가전기기(1)의 각 도어(20,30)의 후방부에 설치된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실질적으로 가전기기(1)의 어느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다.4 and 6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are installed in the rear portion of each door 20 and 30 of the home appliance 1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may be installed in virtually any position of the home appliance 1 .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서어셈블리(110a)는 제2 도어(30)보다 제1 도어(20)에 더 가깝게 설치되고(d11<<d12), 제2 센서어셈블리(110b)는 제1 도어(20)보다 제2 도어(30)에 더 가깝게 설치된다(d22<<d21). As shown,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is installed closer to the first door 20 than the second door 30 (d11<<d12), and the second sensor assembly 110b is installed to the first door 20 ) is installed closer to the second door 30 than (d22<<d21).

그 이유는 제1 센서어셈블리(110a)는 제1 도어(2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을 더 정확하게 감지하고, 제2 센서어셈블리(110b)는 제2 도어(2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을 더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is that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more accurately detects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applied to the first door 20 , and the second sensor assembly 110b detects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applied to the second door 20 . for more accurate detection.

구체적으로, 각 도어(20,3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면 그 진동은 가전기기(1)를 구성하는 고체부품들을 통해 제1,2 센서어셈블리(110a,110b)로 전달된다. 이때, 제1 및 제2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제1 도어(20) 또는 제2 도어(20) 중 어느 하나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vibration is generated by the knock applied to each door 20 and 30 ,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through solid parts constituting the home appliance 1 .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may detect both vibrations due to a knock applied to either the first door 20 or the second door 20 .

즉, 제1 센서어셈블리(110a)는 제1 도어(2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뿐만 아니라, 제2 도어(3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도 감지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센서어셈블리(110b)도 역시 제2 도어(3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뿐만 아니라, 제1 도어(2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도 감지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may sense vibration due to the knock applied to the second door 30 as well as vibration due to the knock applied to the first door 20 . Conversely, the second sensor assembly 110b may also detect vibration due to the knock applied to the first door 20 as well as vibration due to the knock applied to the second door 30 .

이러한 진동은 전파되는 동안 감쇄가 이루어지므로, 진동의 세기는 전파거리에 반비례하게 된다. 이에, 제1,2 센서어셈블리(110a,110b)와 제1,2 도어(20,30) 간의 각 거리차에 의해 제1,2 센서어셈블리(110a,110b)에서 감지하는 진동의 세기는 제1,2 도어(20,30)마다 달라진다.Since these vibrations are attenuated while propagating, the intensity of vibration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propagation distance. Accordingly,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det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by the respectiv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and the first and second doors 20 and 30 is the first , 2 varies for each door 20 and 30 .

즉, 제1 도어(20)에 노크가 가해지면 제1 도어(20)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제1 센서어셈블리(110a)에는 상대적으로 큰 진동이 감지되고 제1 도어(20)와 먼 곳에 위치한 제2 센서어셈블리(110b)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진동이 감지되는 것이다.That is, when a knock is applied to the first door 20 , a relatively large vibration is sensed in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located close to the first door 20 , and the second sensor assembly 110a located close to the first door 20 is detected. A relatively small vibration is sensed in the sensor assembly 110b.

따라서, 제1,2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감지된 진동의 세기가 확인하여 제1,2 도어(20,30) 중 어느 도어에서 노크가 가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can determine which door of the first and second doors 20 and 30 has knocked by checking the intensity of the sensed vibration.

구체적으로, 제1 센서어셈블리(110a)는 감지된 진동의 크기가 설정된 기준치보다 크면 제1 도어(2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인 것으로 판단하고, 기준치 이하이면 제1 도어(2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진동의 특성에 따라 제2 도어(30)의 노크에 의한 진동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determines that the vibration is caused by the knock applied to the first door 20 when the magnitude of the sensed vibration is greater than the set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magnitude of the sensed vibration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knock applied to the first door 20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judged that the vibration is not caused by In this cas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vibration is caused by the knock of the second door 30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bration.

반대로, 제2 센서어셈블리(110b)는 감지된 진동의 크기가 설정된 기준치보다 크면 제2 도어(3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인 것으로 판단하고, 기준치 이하이면 제2 도어(3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진동의 특성에 따라 제1 도어(20)의 노크에 의한 진동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Conversely, if the magnitude of the sensed vibration is greater than the set reference value, the second sensor assembly 110b determines that the vibration is due to the knock applied to the second door 30, and if it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knock applied to the second door 30 It is judged that the vibration is not caused by In this cas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vibration is caused by the knock of the first door 20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bration.

이때, 가전기기(1)를 전면에서 볼 때 제1,제2 도어(20,30)의 경계면 기준으로 제1,2 센서어셈블리(110a,110b)의 위치에 대한 절대적 거리가 멀수록 유리하며 진동감지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특히, 상기 경계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때 노크 여부 판단에 유리하다. At this time, when the home appliance 1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greater the absolute distance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based on the boundary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doors 20 and 30, the more advantageous and vibration The detection accuracy is improved. In particular, it is advantageous in determining whether to knock when they are arranged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boundary surface.

중요한 것은 제1 도어(20)에 노크가 되었을 때는 제2 센서어셈블리(110b)보다 제1 센서어셈블리(110a)에서 더 큰 진동이 감지되고, 제2 도어(30)에 노크가 되었을 때는 제1 센서어셈블리(110a)보다 제2 센서어셈블리(110b)에서 더 큰 진동이 감지되도록 두 센서어셈블리(110a,110b)의 위치가 결정되어야 한다. Importantly, when the first door 20 is knocked, a greater vibration is sensed in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than in the second sensor assembly 110b, and when the second door 30 is knocked, the first sensor The positions of the two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must be determined so that a larger vibration is sensed in the second sensor assembly 110b than in the assembly 110a.

더 바람직하게 제1 도어(20)에 노크가 되었을 때는 제1 센서어셈블리(110a)에서의 진동감지신호는 기준치(Zth0)보다 크고, 제2 센서어셈블리(110b)에서의 진동감지신호는 기준치(Zth0)보다 작으며, 동시에 제2 도어(30)에 노크가 되었을 때는 제2 센서어셈블리(110b)에서의 진동감지신호는 기준치(Zth0)보다 크고, 제1 센서어셈블리(110a)에서의 진동감지신호는 기준치(Zth0)보다 작도록 두 센서어셈블리의 위치가 결정되어야 한다.More preferably, when the first door 20 is knocked,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Zth0, and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second sensor assembly 110b is the reference value Zth0. ), and when the second door 30 is knocked at the same time,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second sensor assembly 110b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Zth0, and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is The positions of the two sensor assemblies should be determined to be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Zth0).

한편, 도 5에 도시된 일예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도어(20)와 제2 도어(30) 사이에는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감쇄시키는 흡진부재(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어셈블리(110a)와 제2 센서어셈블리(110b)는 흡진부재(70)를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의 영역에 배치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5 , in another embodiment, a vibration absorbing member 70 for absorbing and attenuating transmitted vibrations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door 20 and the second door 30 . At this time,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and the second sensor assembly 110b are disposed in regions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e dust absorbing member 70 interposed therebetween.

예컨대, 제1,2 도어(20,30)가 상하로 배치되어 구획되고 흡진부재(70)가 제1,2 도어(20,30) 사이에 배치된 경우 제1 센서어셈블리(110a)는 흡진부재(70)의 상부의 일측에, 제2 센서어셈블리(110b)는 흡진부재(70)의 하부의 일측에 배치된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and second doors 20 and 30 are arranged vertically to be partitioned and the dust absorption member 7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oors 20 and 30,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is a dust absorbent member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70 , the second sensor assembly 110b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ust absorbing member 70 .

이 경우, 제1 도어(20)에서 발생된 진동은 제1 센서어셈블리(110a)로는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큰 진동감지신호가 생성되지만, 중간에 배치된 흡진부재(70)에 의해 진동이 감쇄되므로 제2 센서어셈블리(110b)로는 진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진동감지신호가 작아진다.In this case, since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first door 20 is smoothly transmitted to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a larg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but the vibration is attenuated by the vibration absorption member 70 disposed in the middle. Therefore, the vibration is not smoothly performed with the second sensor assembly 110b, and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s reduced.

같은 이유로, 제2 도어(30)에서 발생된 진동의 경우 제2 센서어셈블리(110b)는 큰 진동감지신호를 생성하지만, 제1 센서어셈블리(110a)는 작은 진동감지신호를 생성한다. For the same reason, in the case of vibration generated in the second door 30 , the second sensor assembly 110b generates a large vibration detection signal, but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generates a small vibration detection signal.

큰 진동감지신호는 설정된 기준치(Zth0)보다 크고 작은 진동감지신호는 기준치(Zth0)보다 작으므로, 이를 통해 제1,2 도어(20,30) 중 어느 도어에서 진동이 발생했는지, 그리고 어느 도어에서 노크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larg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s larger than the set reference value (Zth0) and the small vibration detection signal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Zth0), which door among the first and second doors 20 and 30 generated the vibration, and which door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a knock is input.

센서어셈블리(110a,110b)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일체형의 모듈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어셈블리(110a,110b)가 일체형 모듈 형태로 제작되면 가전기기(1)에 설치가 간편해지고 설치위치에 대한 선택의 폭도 넓어질 수 있다.In order to enable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to be installed in various position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modu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ar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module, the installation in the home appliance 1 is simplified and the selection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can be widened.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가전기기(1)에 가해진 노크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매질에 의해 전파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노크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매질을 통해 전달되면 이를 감지하도록 한다.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may detect a knock input applied to the home appliance 1 . Specifically,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are sensors that detect vibrations propagated by the medium, and detect when vibrations generated by knock are transmitted through the medium.

이러한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노크에 의한 진동뿐만 아니라 다른 요인에 의한 진동도 감지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노크에 의한 진동을 특별히 구별하여 감지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Thes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may sense not only vibration caused by knock but also vibration caused by other factors. However,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anufactured to detect vibrations caused by a knock input by a user by special distinction.

즉,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크에 의한 진동과 그 외 다른 요인에 의한 진동을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이는 감지되는 진동이 특정 패턴임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노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That is,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can accurately distinguish vibration caused by a knock input by a user from vibration caused by other factors. This can sense the vibration caused by the user's knock by detecting that the sensed vibration is a specific pattern.

본 실시예에서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일례로 3축센서모듈(111), 센서마이컴(114) 및 메모리(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 센서어셈블리(110)는 필터부(112)와 증폭부(11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ar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 three-axis sensor module 111 , a sensor microcomputer 114 , and a memory 115 . In another example, the sensor assembly 11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unit 112 and an amplifier unit 113 .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축센서모듈(111)은 서로 직교하는 3축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동시에 감지하는 하나의 3축 가속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 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ingl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that simultaneously senses vibrations transmitted in three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3축 가속도센서는 1개의 센서로 가속도의 3축(설명의 편의상 x,y,z축으로 표시할 수 있음) 성분을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3축 가속도센서는 서로 직교하는 3축 방향에 대하여 진동에 의한 매질의 미세한 움직임 변화(가속도)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The three-axis accelerometer can detect three-axis components of acceleration (which can be expressed as x, y, and z axe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ith one senso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may detect a minute change in movement (acceleration) of a medium due to vibration in three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축센서모듈(111)은 3개의 독립된 가속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이러한 3개의 가속도센서는 서로 직교하는 3축 중 제1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제1가속도센서(111a), 제2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제2가속도센서(111b), 제3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제3가속도센서(111c)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 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ree independent acceleration sensors. In detail, these three acceleration sensors include a first acceleration sensor 111a for detecting vibration in a first axis direction among three axes orthogonal to each other, a second acceleration sensor 111b for detecting vibration in a second axis direction, and a third It may include a third acceleration sensor (111c) for detecting the vibration in the axial direction.

가전기기(1)는 크고 작은 복수 개의 서로 다른 고체부품들이 물리적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노크에 의한 진동은 이들 고체부품들을 매질로 하여 가전기기(1)의 다른 부위로 전달될 수 있다. Since a plurality of different solid parts, large and small, are physically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home appliance 1, vibration by knocking can be transmitted to other parts of the home appliance 1 by using these solid parts as a medium.

즉, 본 실시예에서 가전기기(1)에서의 진동은 서로 다른 매질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상세히,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제1,2 도어(20,30)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이들 도어(20,30)로부터 떨어진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brations in the home appliance 1 may be transmitted through different media. In detail,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doors 20 and 30, but may also be installed in other positions away from the doors 20 and 30.

이때, 이들 도어(20,3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경우에도 도어(20,30)에서 발생된 진동은 서로 연결된 복수의 고체매질을 통해 센서어셈블리(110a,110b)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서로 다른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에 대응하는 특정신호(이하, 진동감지신호라 한다)로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even when installed at a location away from the doors 20 and 30 , vibrations generated in the doors 20 and 30 may be transmitted to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through a plurality of solid media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may generate a specific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ibration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vibration transmitted through different media.

한편,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3축 가속도센서와 3개의 가속도센서가 도시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속도센서의 개수를 조정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가 많을수록 진동 감지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Meanwhile, FIGS. 9 and 10 show one 3-axis acceleration sensor and three acceleration sens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acceleration sensors may be adjusted. As the number of acceleration sensors increases, the accuracy of vibration detection can be improved.

하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3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3축 가속도센서 또는 3개의 가속도센서의 조합을 이용하여 모든 3차원 방향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However, in a preferred embodiment, vibrations in all three-dimensional directions can be detected using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or a combination of three acceleration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vibration in three-axis direction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1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1축 가속도센서, 2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2축 가속도센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도어에 인가된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가속도센서의 축방향을 일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niaxial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in a uniaxial direction and a two-axis accelerometer for sensing vibration in a two-axis direction are also applicable. In this case, it is important to match the direction of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applied to the door and the axial direction of the acceleration sensor.

센서어셈블리(110)는 필요에 따라 필터부(112)와 증폭부(113)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assembly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filter unit 112 and the amplifier unit 113 as necessary.

센서어셈블리(110)에서 진동감지신호에는 노크 입력으로 인한 진동감지신호 이외에도 불필요한 노이즈가 포함될 수 있는데, 필터부(112)는 이러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필터부(112)에 의해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는 증폭부(113)를 거쳐 증폭될 수 있다. 그리고 증폭된 신호는 센서마이컴(114)로 입력될 수 있다.In the sensor assembly 110 ,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may include unnecessary noise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due to the knock input, and the filter unit 112 may remove such noise. The signal from which the noise is removed by the filter unit 112 may be amplified through the amplifier 113 . And the amplified signal may be input to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

메모리(115)는 해당 센서어셈블리의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식별정보는 센서어셈블리(110a,110b)를 구별하는 고유정보이다. 센서마이컴(114)은 필요시 메모리(115)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읽어들여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The memory 115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ensor assemb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unique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If necessary,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may rea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15 and transmit it to the outside.

센서마이컴(114)은 제어부(150)와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증폭부(11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된 노크에 의한 진동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해당 진동이 사용자가 입력한 노크에 의한 진동인 것으로 판단되면, 노크온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한다.The sensor microcomputer 114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50 and may determine whether the vibration is caused by a knock input by the user based on a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ying unit 113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vibration is vibration caused by a knock input by the user, a knock-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0 .

이때, 센서마이컴(114)은 노크온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때, 메모리(115)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센서어셈블리의 고유 식별정보를 함께 전달한다. 바람직하게는 노크온 신호에 식별정보를 포함시켜서 전달하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transmits the knock-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0 , it also transmit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ensor assembly stored in the memory 115 . Preferably,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knock-on signal and transmitted.

이로써, 제어부(150)는 노크온 신호가 수신되면 도어에 사용자에 의해 노크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며, 노크온 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어느 센서어셈블리에서 노크를 감지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어느 도어에 노크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도록 한다.Accordingly, when the knock-on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that a knock has been inputted to the door by the user, check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knock-on signal, checks which sensor assembly detects the knock, and finally Check which door the knock was entered on.

제어부(150)는 노크가 입력된 도어가 확인되면 해당 도어의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된 램프(160,161)를 온/오프시키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50 turns on/off the lamps 160 and 161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rresponding door when the door to which the knock is input is confirmed.

3축센서모듈(111), 센서마이컴(114) 및 메모리(115)는 하나의 PCB 기판에 실장될 수 있으며 PCB 기판과 함께 일체형 모듈 형태의 센서어셈블리(110a,110b)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어셈블리(110a,110b)가 필터부(112)와 증폭부(113)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3축센서모듈(111), 필터부(112), 증폭부(113), 센서마이컴(114) 및 메모리(115)는 하나의 PCT 기판에 실장되어 PCB 기판과 함께 일체형 모듈 형태의 센서어셈블리(110)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 and the memory 115 may be mounted on a single PCB board, and may be composed of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module together with the PCB board.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additionally include the filter unit 112 and the amplification unit 113 , 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 the filter unit 112 , and the amplification unit 113 . ),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and the memory 115 may be mounted on a single PCT board and configured as a sensor assembly 110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module together with the PCB board.

이와 같이 센서어셈블리(110a,110b)가 일체형 모듈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1)의 어느 부분에라도 간편하게 설치, 부착 및 탈거가 가능하다. 센서어셈블리(110a,110b)의 설치 및 부착 위치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module,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ttach, and remove the sensor assembly from any part of the home applian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stallation and attachment positions of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may be variously determined.

센서어셈블리(110a,110b)가 도어(20,30)의 전면부 일측에 각각 형성된 핸들부(25,26)에 설치되는 경우 도어(20,30)에 노크가 가해지면 노크에 의한 진동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열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센서어셈블리(110a,110b)의 주변에 단열재(도시되지 않음)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are installed on the handle portions 25 and 26 respectively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doors 20 and 30, when a knock is applied to the doors 20 and 30,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is more accurately can detec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a heat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around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 of heat.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도어(20,30)와 센서어셈블리(110a,110b)가 설치되는 부분은 서로 다른 매질이 될 수 있다. 이에, 도어(20,3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은 물리적으로 각각 연결된 복수의 매질을 통해 센서어셈블리(110a,110b)로 전달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rtions where the doors 20 and 30 and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are installed may be of different media. Accordingly,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applied to the doors 20 and 30 may be transmitted to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through a plurality of media phys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여기서, 가전기기(1)를 구성하면서 물리적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고체부품들이 상기 매질이 될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solid parts phys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constituting the home appliance 1 may be the medium.

제어부(150)는 센서어셈블리(110a,110b), 구체적으로 센서마이컴(114)으로부터 노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였음을 알리는 신호(이하 노크온(knock-on) 신호라 한다)가 수신되면 램프(160,161)를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50 receives a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knock-on signal) indicating that vibration due to a knock has been sensed from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specifically,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when the lamps 160 and 161 are received. ) can be turned on/off.

램프(160,161)를 온시키다는 것은 램프(160,161)로 전원을 공급하여 램프(160,161)가 각 수용공간(23,32) 내부를 밝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고 램프(160,161)를 오프시킨다는 것은 램프(160,161)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Turning on the lamps 160 and 161 means supplying power to the lamps 160 and 161 so that the lamps 160 and 161 can brightly illuminate the inside of each accommodation space 23 and 32, and turning off the lamps 160 and 161 means that This means that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lamps 160 and 161 so as not to operate.

램프(160,161)는 각 수용공간(23,32)의 내부를 밝게 조명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LED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램프(160,161)는 각각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될 수 있다. The lamps 160 and 161 may be lighting devices capable of brightly illuminating the interior of each of th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 For example, it may include an LED module. These lamps 160 and 161 may be turned on/off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50 ,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 램프(160,161)는 각 수용공간(23,32)의 외측에 설치되어 각 수용공간(23,32)의 내부를 향해 조명을 제공하거나 또는 수용공간(23,32)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amps 160 and 161 ar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each accommodating space 23 and 32 to provide illumination toward the inside of each accommodating space 23 , 32 or installed inside the accommodating space 23 , 32 . can have a structure that is

또한, 이러한 램프(160,161)는 다양한 발광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관용적으로 알려진 발광장치라면 제한 없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mps 160 and 161 may use various light emitting devices, and any conventionally known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configured and used in various forms without limita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1)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1)의 도어(20,30)에 사용자가 노크를 하게 되면, 그 노크된 부분이 진동 발생지가 되어 해당 부분에 노크에 의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When a user knocks on the doors 20 and 30 of the home applian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cked part becomes a vibration generating site, and vibration due to the knock may occur in the corresponding part.

이와 같이 발생된 진동은 가전기기(1)를 이루는 고체부품들로 이루어진 복수의 매질을 통해 가전기기(1)의 전체 영역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진동은 가전기기(1)의 일 부분에 설치된 센서어셈블리(110a,110b)에도 전달될 수 있다.The vibration generated in this way may be transmitted to the entire area of the home appliance 1 through a plurality of media made of solid parts constituting the home appliance 1 . Accordingly, such vibrations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installed in a portion of the home appliance 1 .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전달된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진동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전달된 진동이 사용자의 노크 입력에 의한 진동인지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한 진동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상기 전달된 진동이 어느 도어(20,3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generate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vibration, and determine whether the transmitted vibration is vibration due to a user's knock input or vibration caused by other causes based on the generated vibration detection signal. can be discerned. In addition,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may determine whether the transmitted vibration is vibration due to a knock applied to which door 20 or 30 .

센서어셈블리(110a,110b)에서 상기 전달된 진동이 사용자의 노크 입력에 의한 진동인지, 그리고 노크 입력에 의한 진동이라면 어느 도어(20,30)의 노크에 의한 진동인지를 판별하면,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노크온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부(150)는 노크온 신호가 수신되면 노크온 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램프(160)가 온/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is vibration due to a user's knock input, and if it is vibration due to a knock inpu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ibration is caused by the knock of any door 20 or 30,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knock-on signal including ,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50 . Accordingly, when the knock-on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corresponding lamp 160 to be turned on/off by check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knock-on signal.

만약, 센서어셈블리(110a,110b)에서 상기 전달된 진동이 사용자의 노크 입력에 의한 진동이 아닌 것으로 판별하면 노크온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하지 않는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노크온 신호의 수신이 없으므로 램프(160,161)를 온/오프시키지 않는다.If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determine that the transmitted vibration is not vibration by the user's knock input, the knock-on sig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0 . Then, the controller 150 does not turn on/off the lamps 160 and 161 because the knock-on signal is not receiv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전기기(1)에서는 램프(160,161)가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노크가 감지되면 램프(160,161)를 온시키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램프(160,161)가 온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노크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50)는 램프(160,161)가 오프되도록 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home applian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s knock is sensed while the lamps 160 and 161 are off, the lamps 160 and 161 may be turned on. Conversely, when a user's knock input is sensed while the lamps 160 and 161 are on, the controller 150 may turn the lamps 160 and 161 off.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노크에 의한 진동이 감지되면 램프(160,161)가 온되어 수용공간(23,32)의 내부를 조명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20,30)에 장착된 투시창(21,31)를 통해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bration by the user's knock is sensed, the lamps 160 and 161 are turned on to illuminate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so that the user can see through the windows 21, mounted on the doors 20 and 30, 31) so that the inside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또한, 램프(160,161)가 온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다시 노크를 하면 해당 노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여 램프(160,161)를 자동으로 오프시킴으로써 사용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knocks again while the lamps 160 and 161 are on, the user can provide convenience by sensing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and automatically turning off the lamps 160 and 161 .

이로써 사용자는 노크만으로도 수용공간(23,32)의 램프(160,161)를 온/오프시킬 수 있고, 도어(20,30)의 개방 없이도 가전기기(1)의 각 수용공간(23,32) 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turn on/off the lamps 160 and 161 of the accommodating spaces 23 and 32 only by knocking, and inside each accommodating space 23 and 32 of the home appliance 1 without opening the doors 20 and 30. can be verified.

이하, 3축센서모듈(111)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축센서모듈(111)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plate shape having a certain thicknes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hexahedron.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3축센서모듈(111)은 3축 방향의 진동을 동시에 감지하는 하나의 3축 가속도센서(111')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3축 가속도센서(111')에서 3축 방향으로 전달되어 오는 진동을 동시에 감지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9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111 ′ that simultaneously senses vibration in the three-axis direction. That is,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on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111' in the three-axis direction is simultaneously sensed.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3축센서모듈(111)은 서로 독립된 3개의 가속도센서를 포함하고, 이들 3개의 가속도센서는 상기 3축 방향 중 제1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제1가속도센서(111a), 제2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제2가속도센서(111b), 제3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제3가속도센서(111c)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예컨대 제1,2,3축을 x,y,z축으로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10,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includes three acceleration sensors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these three acceleration sensors are the first to detect vibration in the first axis direction among the three axis directions. It may include a first acceleration sensor 111a, a second acceleration sensor 111b for detecting vibration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and a third acceleration sensor 111c for detecting vibration in the third 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for example, first, second, and third axes are indicated as x, y, and z axes.

이들 가속도센서(111',111a,111b,111c)는 정전용량형 가속도센서, 압전형 가속도센서, 압저항형 가속도센서 등이 대표적이며,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These acceleration sensors 111', 111a, 111b, and 111c are representative of a capacitive acceleration sensor, a piezoelectric acceleration sensor, a piezoresistiv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lik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ny one method.

3축센서모듈(111)는 3축, 즉 서로 직교하는 x,y,z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x,y,z축 방향의 진동감지는 상호 독립적으로, 그리고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may sense vibration in three axes, that is, in x, y, and z-axis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Vibration detection in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and simultaneously.

또한, 이들 가속도센서(111',111a,111b,111c)들은 PCB기판(170)에 실장될 수 있으며, 상기 PCB 기판(170)에는 다른 구성요소들, 즉 필터부(112), 증폭부(113), 센서마이컴(114), 메모리(115)도 같이 실장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성요소들이 실된 PCB 기판(170)은 일체형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se acceleration sensors 111 ′, 111a , 111b and 111c may be mounted on a PCB substrate 170 , and other components, that is, a filter unit 112 and an amplifier unit 113 , may be mounted on the PCB substrate 170 . ),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and the memory 115 may be mounted together. Accordingly, the PCB substrate 170 on which the components are mounted may be implemented in an integrated module form.

가전기기(1)에 가해질 수 있는 진동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내부에 장착된 모터, 가열수단, 냉동싸이클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있을 수 있다. 또는 가전기기(1)의 주변에서 사람들이 무심코 부딪히거나 임의로 두드려서 진동이 발생될 수도 있다. 심지어는 가전기기(1)를 지나쳐갈 때 발구름에 의해서도 진동이 발생할 수도 있다.The type of vibr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home appliance 1 may be varied. For example, there may be vibrations generated from a motor mounted therein, a heating means, a refrigeration cycle, and the like. Alternatively, people in the vicinity of the home appliance 1 may inadvertently collide with or arbitrarily tap to generate vibration. Even when passing the home appliance 1, vibration may occur even by footsteps.

이와 같이 진동에 대한 다양한 경우의 수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투시창(21)를 통해 내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크에 의한 진동을 다른 요인에 의한 진동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various cases of vibra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vibration caused by a knock input by a user for the purpose of checking the inside through the see-through window 21 should be able to be distinguished from vibration caused by other factors.

이를 위해서는 노크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과 다른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대한 변별력을 높여야 한다. 즉, 노크에 의한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와 다른 요인에 의한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 간의 변별력을 높여야 한다.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iscrimination power between vibrations generated by knock and vibrations generated by other factors. That i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iscrimination power between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and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caused by other factors.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3축센서모듈(111)이 3개의 독립된 제1,2,3가속도센서(111a~c)로 구성된 경우, 이들 3개의 가속도센서 중 하나의 가속도센서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축 방향이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is composed of three independent first, second, and third acceleration sensors 111a to c, as described above, one of the three acceleration sensors is an acceleration sensor. It is important to install so that the axial direction for sensing vibration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vibration by knock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3축센서모듈(111)이 하나의 3축 가속도센서(111')로 구성된 경우, 3축 가속도센서(111')의 3축 방향 중 어느 한 축의 방향이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is configured with on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111', any one of the three-axis directions of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111' is knocked. It is important to install so as to match the direction of vibration caused by

도 13에는 일례로 x,y,z축 방향 중 x축 방향과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3축 중에서 어느 한 축과 진동의 진행방향 간의 얼라이먼트(alignment)를 맞춤으로써 노크에 의한 진동을 보다 선명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른 y,z축 방향으로 진행되는 진동과 구별될 수 있도록 한다.1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x-axis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vibration due to the knock coincide among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as an example. In this way, by aligning the alignment between any one of the three axes and the direction of vibration,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can be detected more clearly and accurately, and through this,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vibrations proceeding in the other y- and z-axis directions. make it possible

상기와 같이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축 방향과 진동의 방향 간의 얼라이먼트는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하다. 노크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방향은 캐비넷(10)의 어느 방향에서 노크를 하느냐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lignment between the axial direction for sensing vibration and the direction of vibration is very importa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knock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ich direction of the cabinet 10 is knocked.

예를 들어, 캐비넷(10)의 전면부(예:도어)에 노크를 하면, 그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은 한 축의 방향으로만 발생한다. 이는 다른 축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은 전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아닌 것이다. For example, if a knock is applied to the front part (eg, a door) of the cabinet 10 , the direction of vibration due to the knock occurs only in one axis direction. This means that the vibration transmitted in the other axial direction is not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front part.

전면부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을 x축 방향이라고 가정하면 전면부가 아니라 측면부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은 y축 방향이고 상면부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은 z축 방향이 된다.Assuming that the direction of vibration by the knock applied to the front part is the x-axis direction, the direction of vibration by the knock applied to the side part, not the front part, is the y-axis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vibration by the knock applied to the top part is the z-axis direction. .

y축 방향이나 z축 방향으로 감지되는 진동은 전면부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이 아니므로 x축 방향의 신호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한다. 따라서, 3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 중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는 어느 한 축 방향(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진동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노크에 대한 진동여부를 판단한다.Since the vibration sensed in the y-axis direction or the z-axis direction is not vibration due to a knock applied to the front part, the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is prioritized for judgment. Therefore, among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s in the three-axis direction,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one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that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vibration by knock is extracted, and whether or not there is vibration in response to knock is determined using the extracted vibration detection signal do.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3축센서모듈(111)은 종래의 음파를 감지하는 센서와는 전혀 다른 것이다. 종래의 음파감지센서는 음파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어느 부위에서 노크가 가해졌는지를 알 수 없다. 그리고 다른 부위에서 발생된 진동과 노크에 의한 진동을 구별할 수 없으므로 오동작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sensor for detecting sound waves. Since the conventional sound wave sensor does not consider the directionality of the sound wave, it is impossible to know where the knock is applied. In addition, since vibrations generated in other parts cannot be distinguished from vibrations caused by knocks, a malfunction may occur.

본 실시예에서 진동의 방향성에 대하여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 of vibra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입력한 노크에 의한 진동의 경우 노크를 한 부분의 위치에 따라 진동의 방향성이 결정될 수 있다. 즉, 노크에 의한 진동은 한 방향으로만 나타날 수 있다. 예컨대, 가전기기(1)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20)에 노크를 하는 경우 전후 방향으로만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이는 x,y,z축 중 한 축 방향으로만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In the case of vibration caused by a knock input by a user, the direction of vibra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knocked part. That is,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may appear in only one direction. For example, when knocking on the door 20 installed on the front part of the home appliance 1, vibration may be generated on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t is, vibration occurs in only one of the x, y, and z axes.

본 실시예에서는 가전기기(1)의 전면부에 노크가 되는 경우 제1축 방향(x축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3축센서모듈(111)를 어떻게 배치하느냐에 따라 진동의 방향은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vibration occurs in the first axis direction (x-axis direction) when a knock on the front part of the home appliance 1 is described. Of course, it is natural that the direction of vibration may vary depending on how 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is disposed.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투시창(21)를 통해 내부를 확인하려 하면서 도어(20) 또는 투시창(21)에 노크를 하는 경우, 그 노크에 의해 x축 방향으로만 진동이 발생하고 3축센서모듈(111)는 x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when the user knocks on the door 20 or the sight window 21 while trying to check the inside through the sight window 21, vibration is generated only in the x-axis direction by the knock and the 3-axis sensor module ( 111) may sense vibration in the x-axis direction.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어(20) 또는 투시창(21)에 노크를 한 경우 노크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겠지만, 다른 요인에 의한 진동도 함께 발생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a knock is applied to the door 20 or the sight window 21,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x-axis direction by the knock, but vibration due to other factors may also occur.

이때, 센서마이컴(114)는 노크에 의한 진동은 x축 방향임을 미리 알고 있으며, 3축센서모듈(111)에서 x축 방향의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가 수신되면 그 진동감지신호의 패턴을 확인하여 노크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knows in advance that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is in the x-axis direction, and when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in the x-axis direction is received from the 3-axis sensor module 111, the pattern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s Check it to determine if it is knocked or not.

만약, 센서마이컴(114)이 x축 방향이 아닌 y축 또는 z축 방향의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그 진동감지신호의 패턴이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의 패턴과 동일하더라도 노크에 의한 진동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그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마이컴(114)은 이미 노크에 의한 진동은 x축 방향임을 미리 알고 있기 때문이다.If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receives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vibration in the y-axis or z-axis direction instead of in the x-axis direction, even if the pattern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s the same as the pattern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due to the knock It is judged that the vibration is not caused by knock. The reason is that, 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already knows in advance that the vibration due to the knock is in the x-axis direction.

도 11에는 3축센서모듈에서 검출되는 3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의 예시도가 도시되고 도 12에는 상기 3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간략화하여 신호의 세기만 도시한 예시도가 도시된다.11 shows an exemplary diagram of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3-axis direction detected by the 3-axis sensor module, and FIG. 1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only the signal strength by simplifying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3-axis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의 가전기기(1)에서는 3축센서모듈(111)이 3축 중 제1축의 방향이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얼라이먼트(alignment)가 일치하도록 설치되었으나, 어떠한 원인에 의해 얼라이먼트가 틀어진 경우 이를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home applian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is install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first axis of the three axes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vibration by knocking, but the alignment is not performed due to some cause. If it is wrong, it can be corrected automatically.

즉, 3축센서모듈(111)은 축 중 어느 한 축은 중력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느 한 축이 중력방향으로 배치되므로 해당 축 방향으로 중력가속도를 측정하고, 센서마이컴(114)는 3축센서모듈(111)에서 측정되는 중력가속도에 변화가 발생할 경우, 상기 중력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된 축의 얼라이먼트가 어긋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may be arranged so that any one of the axes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gravity. Since one of the axes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t measures the acceleration of gravity in the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axis, and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is configured to match the direction of gravity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acceleration of gravity measured by 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alignment of the arranged axis is misaligned.

이에, 센서마이컴(114)은 3축센서모듈(111)에서 측정되는 3축 방향의 각 중력가속도를 산출하여 중력방향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된 어느 한 축에 대하여 얼라이먼트가 틀어진 정도를 계산한다. 그리고 계산된 값을 기초로 틀어진 정도에 대한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calculates each gravitational acceleration in the triaxial direction measured by the triaxial sensor module 111 and calculates the degree of misalignment with respect to any one axis arranged to coincide in the gravitational direc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degree of misalignment based on the calculated value.

또한, 본 발명의 가전기기(1)에서는 3축센서모듈(111)이 주변온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주변온도에 따라 진동감지신호의 크기를 보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변온도에 대응하여 진동감지신호의 크기 보정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설정값에 따라 주변온도에 따른 진동감지신호의 크기를 보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가전기기(1)는 센서어셈블리(110)의 주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home applian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may be affected by the ambient temperature,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may be corrected according to the ambient temperature. In this embodiment, a correction value for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s preset in response to the ambient temperature, and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ambient temperature can be corrected according to the set value. To this end, the home applian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sensor assembly 11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10)의 내부에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공간(23,32)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home applian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23 and 32 for accommodating objects may be formed inside the cabinet 10 forming the exterior.

각 수용공간(23,32)은 일면, 즉 바람직하게는 전면부가 개방된다. 이러한 전면부에는 각각 도어(20,30)가 설치되어 각 수용공간(23,32)의 개폐(열림/닫힘)할 수 있다.Each of th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is open on one side, that is, preferably the front side. Doors 20 and 30 are installed on the front portion, respectively, so that each of the receiving spaces 23 and 32 can be opened/closed (opened/closed).

도어(20,30)의 적어도 일부에는 투시창(21,31)가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투시창(21,31)를 통해 해당 도어(20,30)를 개방하지 않고도 해당 수용공간(23,32)의 내부를 외부에서 볼 수 있다.See-through windows 21 and 31 may be moun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doors 20 and 30 . The user can see the inside of the corresponding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from the outside without opening the corresponding doors 20 and 30 through the see-through windows 21 and 31 .

경우에 따라 도어(20,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수용공간(23,32)의 내부가 어두워 내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각 수용공간(23,32)의 내부에는 각각 램프(160,16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램프(160,161)는 수용공간(23,32)의 외부에 설치되어 내부로 광을 조명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In some cases,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s 20 and 30 are closed, since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is dark and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check the inside, the lamps 160 and 161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respectively. can In this case, the lamps 160 and 161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to illuminate the light inside.

수용공간(23,32)의 내부는 매우 고온이므로 램프(160,161)는 고온에 대한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램프(160,161)는 제어부(150)에 의해 온/오프 될 수 있다.Since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is very high, the lamps 160 and 161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durability against high temperature. The lamps 160 and 161 may be turned on/off by the controller 150 .

제어부(150)는 센서어셈블리(110a,110b)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노크가 입력된 것으로 통보받으면 램프(160,161)가 온/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50 may turn on/off the lamps 160 and 161 when it is notified that a knock has been input by the user from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가전기기(1)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고, 뿐만 아니라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가전기기(1)에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도 감지할 수 있다. The sensor assembly (110a, 110b) is that they can detect vibration caused by knocking is applied to the appliance (1), as well as the sensor assembly (110a, 110b) will detect vibrations generated by various causes in the appliance (1) can do.

이에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다양한 진동들 중에서 노크에 의한 진동을 특별히 구별하여 판단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어느 도어(20,30)에 노크가 가해졌는지를 구별하여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노크에 의한 진동으로 판단되면 자신의 식별정보를 노크온 신호에 포함시켜 제어부(150)로 통보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may specifically discriminate and determine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among various vibrations, and also distinguish and determine which door 20 and 30 the knock is applied to.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vibration is caused by knocking, each sensor assembly 110a, 110b includes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knock-on signal and notifies the control unit 150 to the knock-on signal.

이때,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를 기초로 어느 도어(20,30)에 노크가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즉, 제1 센서어셈블리(110a) 및 제2 센서어셈블리(110b)는 각각 진동감지신호의 크기와 설정된 기준치(Zth0)를 비교하여 노크가 가해진 도어(20,30)를 구분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determine to which door 20 and 30 the knock is applied based on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That is,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and the second sensor assembly 110b compare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with the set reference value Zth0 to distinguish the doors 20 and 30 to which the knock is applied.

그리고,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진동감지신호를 기초로 노크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되,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진동감지신호가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으로 감지되는 경우 노크에 의한 진동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노크가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determine whether or not a knock is input based on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but when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is continuously detec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t is determined as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can That i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knock has been applied.

이는 예컨대 노크가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똑똑"하고 가해지는 경우, 이러한 "똑똑"에 대응하는 진동은 그 크기가 임계치 이상이고 상기 일정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진동은 임계치보다 작다. This means that, for example, when a knock is applied with a "tick"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tick"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and the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이에 따라 센서어셈블리(110)는 상기와 같은 진동감지신호의 패턴을 확인하여 노크에 의한 진동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nsor assembly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vibration is caused by the knock by checking the pattern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as described above.

또한, 제어부(150)는 램프(160,161)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노크가 다시 입력되면 램프(160,161)가 오프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turn the lamps 160 and 161 off when the user's knock is input again while the lamps 160 and 161 are on.

뿐만 아니라, 제어부(150)는 램프(160,161)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정시간 동안 사용자의 노크가 입력되지 않으면 램프(160,161)가 오프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turn off the lamps 160 and 161 if a user's knock is not input for a set time while the lamps 160 and 161 are on.

본 발명의 가전기기(1)는 도어락스위치(120), 도어스위치(130), 타이머(140)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구성들(120~140)은 제어부(150)로 상태정보를 전송하고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oor lock switch 120 , a door switch 130 , and a timer 140 . These components 120 to 140 may transmit status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50 and operat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50 .

도어락스위치(120)는 가전기기(1)의 도어(20)의 잠금(locking) 또는 잠금해제(unlock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전기기(1)를 사용중일 경우에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도어(20,30)의 잠금/잠금해제가 요구될 수 있다.The door lock switch 120 may perform a function of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20 of the home appliance 1 . When the home appliance 1 is in use, locking/unlocking of the doors 20 and 30 may be required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예를 들어, 가전기기(1)가 오븐인 경우 오븐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는 도어(20,30)를 잠금하여 도어(20,30)가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어(20,30)를 잠금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조건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home appliance 1 is an oven, when cooking food in the oven, the doors 20 and 30 may be locked to prevent the doors 20 and 30 from being opened. Conditions for maintaining the doors 20 and 30 in a locked state may be set in various ways.

예컨대 조리실의 셀프클린(self clean) 기능이 진행되는 경우와 같이 고온, 고열이 발생하는 경우 등이 있다. 다른 예로서 세탁기에서 세탁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잠금이 필수적이다.For example, there is a case in which a high temperature or high heat is generated, such as when a self-clean function of the cooking room is in progress. As another example, locking is essential while washing is in progress in th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의 가전기기(10)에서는 이와 같이 도어(20,30)를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경우 중에 노크가 입력되더라도 램프(160,161)를 온시키지 않고 예외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램프(160,16)가 오프된 상태에서 노크가 감지되더라도 램프(160,161)를 온시키지 않는 상황을 '예외상황'이라 칭한다.In the home applian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knock is input during the case of keeping the doors 20 and 30 in the locked state, the lamps 160 and 161 are not turned on and the off state can be exceptionally maintained. Accordingly, a situation in which the lamps 160 and 161 are not turned on even when a knock is sensed in a state in which the lamps 160 and 16 are turned off is referred to as an 'exception situation'.

본 실시예에서 예외상황으로는 예컨대 가전기기(1)가 오븐인 경우 조리실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셀프클린(self clean) 상황을 들 수 있다. Exceptions in this embodiment include, for example, a self-clean situation for cleaning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when the home appliance 1 is an oven.

그 외에도 예를 들어 도어가 개방된 상태, 셀프클린 기능이 동작 중인 상태, 셀프클린이 완료된 후 일정시간 동안 도어락이 설정된 상태, 램프 버턴이 터치되어 램프가 이미 온되어 있는 상태, 노크온 기능 설정이 오프된 상태, 예열 후 램프가 점멸중인 상태 등이 있다. In addition, for example, if the door is opened, the self-clean function is in operation, the door lock is se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self-clean is completed, the lamp is already on by touching the lamp button, and the knock-on function setting is not available. There is an off state, a state in which the lamp is flickering after preheating, etc.

예외상황을 추가로 더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예외상황에서는 사용자의 노크에도 불구하고 램프가 온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안정상의 이유나 에너지 절감 차원 등 램프가 온되지 않아야 하는 일부 예외상황을 미리 설정하는 것이다. Additional exceptions can be set. In this exceptional situation, the lamp is not turned on despite the user's knock. This is to set in advance some exceptions in which the lamp should not be turned on, such as for safety reasons or to save energy.

제어부(150)는 도어락스위치(120)로부터 도어(20,30)가 잠금상태인지를 확인함과 동시에 예외상황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외상황에서는 램프(160,161)를 온시키지 않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50 may check whether the doors 20 and 30 are in a locked state from the door lock switch 120 and at the same time confirm whether an exception is made. In exceptional circumstances, the lamps 160 and 161 should not be turned on.

본 실시예에서 도어락스위치(120)는 도어(20,30)가 잠금상태인지 잠금해제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고, 반대로 제어부(15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20,30)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oor lock switch 12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whether the doors 20 and 30 are in a locked state or an unlocked state to the controller 150 , and on the contrary,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50 , the door lock switch 120 . Locking and unlocking of (20,30) can be performed.

도어스위치(130)는 도어(20,30)의 개폐를 진행할 수 있다. 도어스위치(130)가 온되면 도어(20,30)가 개방(열림)됨을 의미하고 오프되면 도어(20,30)가 폐쇄(닫힘)됨을 의미한다. The door switch 130 may open and close the doors 20 and 30 . When the door switch 130 is turned on, it means that the doors 20 and 30 are opened (opened), and when the door switch 130 is turned off, it means that the doors 20 and 30 are closed (closed).

본 실시예에서 도어스위치(130)는 도어(20,30)가 열린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oor switch 13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whether the doors 20 and 30 are open or closed to the controller 150 .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1)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An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4 .

사용자는 도어(20,30)에 장착된 투시창(21,31)를 통해 가전기기(1)의 수용공간(23,32)의 내부를 외부에서 보기 위하여 도어(20,30) 또는 투시창(21,31)를 노크할 수 있다.A user can view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on space 23 and 32 of the home appliance 1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ee-through windows 21 and 31 mounted on the doors 20 and 30. 31) can be knocked out.

노크의 형식은 특별히 설정된 바 없지만, 일반적으로 하는 "똑똑"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형식으로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The type of knock is not specifically set, but it can be set to "trick", which is usually done. Of course, in other embodiments, other formats may also be set.

또한,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똑똑"을 하나의 노크로 정의하고, 첫 번째 '똑'은 첫 번째 두드림에 의한 노크로서 '1st knock'라고 하고 두 번째 '똑"은 두 번째 두드림에 의한 노크로서 '2nd knock'라고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knock" is defined as a single knock, the first 'knock' is a knock caused by the first tap, '1st knock', and the second 'knock' is a knock caused by the second tap. It's called '2nd knock'.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20,30)에 장착된 투시창(21,31)에 노크를 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노크를 하는 위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S10 : 노크 입력 단계]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it is described as knocking on the sight windows 21 and 31 mounted on the doors 20 and 3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knocking position may be variously set. [S10: Knock input stage]

상기 실시예와 같이 투시창(21,31)에 노크가 되면 해당 노크의 위치에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투시창(21,31)의 일 지점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일정한 방향성을 갖는다. 즉, 해당 지점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한다. As in the above embodiment, when a knock is applied to the viewing windows 21 and 31, vibration may occur at the location of the knock. At this time, the vibration generated at one point of the viewing windows 21 and 31 has a certain directionality. That is, the vibration occur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corresponding point.

본 실시예에서는 전후 방향의 진동을 3축센서모듈(111)의 x축 방향이라 한다. 따라서, 투시창(21,31)에 노크가 되면 x축 방향의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vibr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x-axis direction of 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 Accordingly, when a knock is applied to the viewing windows 21 and 31 , vibration in the x-axis direction may occur.

여기서, 이러한 노크가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똑똑"의 형태로 노크가 이루어지면 1st knock와 2nd knock에 의해 2번의 큰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2번의 큰 진동 이후에는 이들 큰 진동의 여파로 각각 작은 잔여진동이 이어서 발생할 수도 있다. [S20 : 진동 발생 단계]Here, if these knocks are knocked in the form of "knock-tock" at regular intervals, two large vibrations can occur by the 1st knock and the 2nd knock. And after the two large vibrations, each small residual vibration may occur in the aftermath of these large vibrations. [S20: vibration generation stage]

이와 같이 발생된 진동은 가전기기(1)를 이루는 복수의 고체부품들을 통해 전달되어 가전기기(1)의 전체 영역으로 퍼져 나갈 수 있다.The vibration generated in this way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plurality of solid parts constituting the home appliance 1 and spread to the entire area of the home appliance 1 .

구체적으로, 가전기기(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크고 작은 복수의 고체부품들이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져 있으므로 어느 한 곳에 진동이 발생하면 이들 복수의 고체부품들을 통해 가전기기(1)의 전체로 전달될 수 있다. Specifically, since the home appliance 1 consists of a plurality of large and small solid parts physically coupled as described above, when vibration occurs in any one place, it is transmitted to the whole of the home appliance 1 through the plurality of solid parts. can

물론, 고체부품들의 연결상태와 전달되는 거리에 따라 진동의 세기가 어느 정도 감쇄될 수는 있으나, 각각의 고체부품들이 물리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미세한 진동이라도 전달될 수 있다. [S30 : 진동 전달 단계]Of course, the intensity of vibration may be attenuated to some extent depending o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olid parts and the transmitted distance, but since each solid part is phys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even minute vibrations can be transmitted. [S30: Vibration transmission stage]

고체부품들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은 가전기기(1)에서 도어(20,30)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센서어셈블리(110a,110b)에도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상기 전달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Vibr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solid parts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installed at a loca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oors 20 and 30 in the home appliance 1 . Accordingly,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may sense the transmitted vibr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투시창(21,31)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은 x축 방향으로 발생하므로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x축 방향으로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vibration due to the knock applied to the viewing windows 21 and 31 occurs in the x-axis direction,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can sense the vibration in the x-axis direction.

구체적으로,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3축센서모듈(111)을 포함할 수 있다. 3축센서모듈(111)은 3축 방향, 즉 x,y,z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may include a three-axis sensor module 111 . 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may sense vibration in the three-axis direction, that is,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따라서, 투시창(21,31)에 노크에 의해 발생된 x축 방향의 진동이 전달되면 3축센서모듈(111)이 x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3측센서모듈(111)은 x축 방향이 노크에 의한 진동 방향과 얼라이먼트(alignment)가 일치하도록 배치된다.Therefore, when the vibration in the x-axis direction generated by the knock is transmitted to the viewing windows 21 and 31, the 3-axis sensor module 111 detects the vibration in the x-axis direction. To this e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ee-side sensor module 111 is arranged so that the x-axis direction is aligned with the vibration direction due to the knock.

이때, 노크에 의한 진동뿐만 아니라 임의의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x,y,z축 방향의 진동이 발생될 수도 있으므로 3축센서모듈(111)은 이들 진동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vibration in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generated by any cause as well as vibration due to the knock may be generated, 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may detect all of these vibrations.

3축센서모듈(111)은 상기 감지된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생성된 진동감지신호는 필터부(112)와 증폭부(113)를 거쳐 센서마이컴(114)로 입력될 수 있다.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may generate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vibra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generated vibration sensing signal may be input to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through the filter unit 112 and the amplifier unit 113 .

센서마이컴(114)은 x,y,z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신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노크가 입력되었는지, 즉 사용자의 노크에 의한 진동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노크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로 사용자의 노크가 입력되었음을 통보할 수 있다. [S40 : 진동 감지 단계]The sensor microcomputer 114 may analyze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signal in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to determine whether a user's knock is input, that is, whether vibration has occurred due to the user's knock.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knock has been input, the controller 150 may notify that the user's knock has been input. [S40: vibration detection stage]

가전기기(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는 센서어셈블리(110a,110b)로부터 사용자의 노크 입력을 통보받으면 램프(160,161)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램프(160,161)가 오프된 상태에서 노크에 의한 진동이 감지되면 램프(160,161)는 온될 수 있다. 램프(160,161)가 온된 상태에서 노크에 의한 진동이 감지되면 램프(160,161)는 오프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1 may turn on/off the lamps 160 and 161 upon receiving a user's knock input from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When vibration due to knock is sensed while the lamps 160 and 161 are turned off, the lamps 160 and 161 may be turned on. When vibration due to knock is sensed while the lamps 160 and 161 are on, the lamps 160 and 161 may be turned off.

상세히는, 램프(160,161)가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투시창(21,31)에 노크하여 센서어셈블리(110a,110b)가 사용자의 노크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램프(160,161)가 온되도록 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user knocks on the see-through windows 21 and 31 in a state in which the lamps 160 and 161 are turned off, and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determine that the user's knock is input,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lamps 160 and 161 can be turned on.

또한, 램프(160,161)가 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투시창(21,31)에 노크하여 센서어셈블리(110a,110b)가 사용자의 노크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램프(160,161)가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S50 : 램프 동작 단계]In addition, when the user knocks on the see-through windows 21 and 31 while the lamps 160 and 161 are on and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determine that the user's knock is input,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lamps 160 and 161 to turn off. can do. [S50: Lamp operation stage]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램프(160,161)가 온된 상태에서 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시간의 경과여부는 타이머(140)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램프(160,161)를 오프시킬 수도 있다. 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50 may determine wheth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while the lamps 160 and 161 are turned on. Whether the time has elapsed can be checked using the timer 140 .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lamps 160 and 161 may be automatically turned off.

이로써 사용자가 투시창(21,31)를 통해 각 수용공간(23,32)의 내부를 확인하기 위해 투시창(21,31)에 노크하여 램프(160,161)를 온시킨 후, 램프(160,161)를 오프하는 것을 잊어버리더라도 일정시간 이후에 자동으로 램프(160,161)가 오프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knocks on the viewing windows 21 and 31 to check the inside of each accommodation space 23 and 32 through the viewing windows 21 and 31 to turn on the lamps 160 and 161, and then turn the lamps 160 and 161 off.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automatically turning off the lamps 160 and 161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if one forgets to do so.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전기기(1)에서 사용자는 간단한 노크 동작만으코 도어(20,30)에 장착된 투시창(21,31)를 통해 외부에서 사용자가 각 수용공간(23.32)의 내부를 볼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in the home appliance 1, the user can see the inside of each accommodation space 23.32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ee-through windows 21 and 31 mounted on the doors 20 and 30 only by a simple knock operation. .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노크가 가해진 도어(20,30)를 구별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A process of distinguishing the doors 20 and 30 to which the knock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5 and 16 .

도어(20,30)에 노크가 가해지면 노크에 의해 도어(20,30)에 진동이 발생하고 진동은 고체부품들을 통해 센서어셈블리(110a,110b)로 전달된다. 이에,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이와 같이 전달된 진동을 감지한다.When a knock is applied to the doors 20 and 30,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doors 20 and 30 by the knock, and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through solid parts. Accordingly,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sense the transmitted vibration as described above.

이때,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도어(20,3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센서어셈블리(110a)는 제1 도어(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지만, 제1 도어(2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뿐만 아니라 제2 도어(3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센서어셈블리(110b)는 제2 도어(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지만, 제2 도어(3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뿐만 아니라 제1 도어(2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도 감지할 수 있다. 물론, 노크에 의한 진동뿐만 아니라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된 진동도 감지할 수 있다. [S110 : 진동 감지 단계]In this case,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may sense both vibrations due to the knock applied to the doors 20 and 30 . For example, although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oor 20 ,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applied to the second door 30 as well as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applied to the first door 20 . can detect In addition, although the second sensor assembly 110b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oor 30 ,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applied to the first door 20 as well as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applied to the second door 30 . can also be detected. Of course, it is possible to sense not only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but also the vibration generated by other causes. [S110: vibration detection step]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이와 같이 진동을 감지하면, 그 감지된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S1,S2)를 생성한다. [S120 : 진동감지신호 생성 단계]When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sense the vibration in this way, they generate vibration detection signals S1 and S2 corresponding to the sensed vibration. [S120: Vibration detection signal generation step]

이후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진동감지신호(S1,S2) 중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치(Zth0)보다 큰 부분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예컨대, 진동감지신호의 최대값이 기준치(Zth0)보다 큰지를 판단한다.Thereafter, the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determine whether a portion having a size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Zth0 exists among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s S1 and S2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aximum valu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Zth0.

이러한 판단은 진동감지신호가 어느 도어(20,3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This determination is to confirm whether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s due to the knock applied to which door 20 or 30 .

도 16은 일례로 제1 센서어셈블리(110a)에서 진동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S1,S2)를 생성한 예시도이다. 물론, 제2 센서어셈블리(110b)도 역시 동일하게 적용된다.FIG. 16 is an exemplary view of generating vibration detection signals S1 and S2 corresponding thereto by detecting vibration in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as an example. Of course, the same applies to the second sensor assembly 110b as well.

(a)와 같이 예컨대 제1 센서어셈블리(110a)에서 생성한 진동감지신호 중 기준치(Zth0)보다 큰 신호(S1)가 존재하므로, 이 경우는 제1 도어(20)에 노크가 가해진 것으로 판단한다. As in (a), for example, among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s generated by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there is a signal S1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Zth0.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 knock is applied to the first door 20 .

(b)와 같이 예컨대 제1 센서어셈블리(110a)에서 생성한 진동감지신호 중 기준치(Zth0)보다 큰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 경우는 제2 도어(30)에 노크가 가해진 것으로 판단한다. 즉, (b)에서는 생성된 진동감지신호(S2)가 기준치보다 작으므로, 이는 제1 도어(20)가 아니라 제2 도어(20)에서 전달된 진동으로 판단하는 것이다.As shown in (b), for example, since there is no signal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Zth0 among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s generated by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 knock is applied to the second door 30 . That is, in (b), since the generated vibration detection signal S2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oor 20 rather than the first door 20 .

(c)와 같이 예컨대 제1 센서어셈블리(110a)에서 생성한 진동감지신호 중 기준치(Zth0)보다 큰 신호(S1)와 작은 신호(S2)가 동시에 존재하면, 큰 신호(S1)는 제1 도어(20)에 노크가 가해진 것으로 판단하고, 작은 신호(S2)는 제2 도어(30)에 노크가 가해진 것으로 판단한다.As in (c), for example, among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s generated by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when a signal S1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Zth0 and a signal S2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Zth0 exist at the same time, the large signal S1 is the first door It is determined that knock is applied to 20 , and the small signal S2 determines that knock is applied to the second door 30 .

이는 제1 센서어셈블리(110a)는 제1 도어(20)에 대응되는 위치, 즉 예컨대 제2 도어(30)보다 제1 도어(20)에 더 가깝게 배치되므로, 제1 도어(2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S1)가 제2 도어(3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S2)보다 크다. 멀리 있는 도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은 전달되면서 진동의 크기가 감쇄되기 때문이다. 특히, 제1,2 도어(20,30) 사이에 흡진부재(70)가 배치된 경우 두 신호(S1,S2) 간의 크기 차이는 더 커진다.This is because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oor 20 , that is, closer to the first door 20 than the second door 30 , for example, the knock applied to the first door 20 .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S1 caused by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S1 is greater than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S2 caused by the knock applied to the second door 30 . This is because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is attenuated as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distant door is transmitted. In particular, when the dust absorbing member 7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oors 20 and 30 , the difference in magnitude between the two signals S1 and S2 becomes larger.

이때, 기준치(Zth0)는 제1 도어(2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S1)와 제2 도어(2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S2)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된 값이다.At this time, the reference value Zth0 is a value set to distinguish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S1 due to the knock applied to the first door 20 and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S2 due to the knock applied to the second door 20 .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2 도어(20,30) 중 어느 도어에서 노크가 가해졌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진동감지신호(S1,S2)와 기준치를 비교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n this embodiment,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s S1 and S2 are compared with reference values to determine which door of the first and second doors 20 and 30 has knocked.

이때, 다른 실시예에서 진동감지신호가 기준치(Zth0)보다 작으면, 자신에 대응되는 도어에 노크가 가해진 것이 아니므로 해당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another embodiment, i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Zth0, the corresponding signal may be ignored because the knock is not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door.

여기서, 제1 센서어셈블리(110a)는 제1 도어(20)에 노크가 가해진 것으로 판단하여 자신의 식별정보를 노크온 신호에 포함시켜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2 센서어셈블리(110b)는 제2 도어(30)에 노크가 가해진 것으로 판단하면 자신의 식별정보를 노크온 신호에 포함시켜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S130 : 신호 비교 단계]Here, the first sensor assembly 110a determines that a knock has been applied to the first door 20 and includes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knock-on signal to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50 .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knock is applied to the second door 30 , the second sensor assembly 110b includes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knock-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50 . [S130: signal comparison step]

이후에, 해당 진동감지신호가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인지를 판단한다.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는 노크에 의한 진동인지, 아니면 다른 원인에 의한 진동인지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S140 : 노크 진동 판단 단계]Thereaf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rresponding vibration detection signal is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due to knock.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s caused by the knoc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is to distinguish whether the vibration is caused by knocking or vibration caused by other causes. [S140: Knock vibration determination step]

이와 같이 노크에 의한 진동인지, 그리고 어느 도어에 가해진 노크인지가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해당 도어(20,30)에 대응하는 수용공간(23,32) 내부에 설치된 램프(160,161)를 온 또는 오프시킨다. 즉, 온된 상태에서는 오프시키고 오프된 상태에서는 온시킨다.[S150 : 램프 온/오프 단계]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knock is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and the knock applied to which door, the control unit 150 turns on or off the lamps 160 and 161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s 23 and 32 corresponding to the doors 20 and 30. turn it off That is, in an on state, it is turned off and in an off state, it is turned on. [S150: Lamp on/off step]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상기 노크 진동 판단 단계(S140)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단계는 각 도어(20,30)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하에서는 제1 도어(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물론 제2 도어(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The knock vibration determination step S1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19 . Since these steps are equally applied to each door 20 and 30 , the first door 20 will be described below. Of course, the same applies to the second door 30 as well.

센서마이컴(114)은 x,y,z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신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노크가 입력되었는지, 즉 사용자의 노크에 의한 진동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노크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로 노크온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노크가 입력되었음을 통보할 수 있다.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may analyze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signal in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to determine whether a user's knock is input, that is, whether vibration has occurred due to the user's knock.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knock has been input, a knock-on signal may be output to the control unit 150 to notify that the user's knock has been input.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이 x축 방향이라고 가정하면 센서마이컴(114)은 x,y,z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가 동시에 입력되더라도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추출하여 분석할 수 있다. 즉, 도어(20)에 입력된 노크에 의한 진동은 x축 방향이므로, x축 방향의 진동만을 고려하기 위한 것이다.Assuming that the direction of vibration due to the knock is in the x-axis direction,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can extract and analyze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even i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s in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are simultaneously input. That is, since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input to the door 20 is in the x-axis direction, only the vibration in the x-axis direction is taken into consideration.

센서마이컴(114)는 x축 방향의 진동만이 도오(20)에 입력된 노크의 진동임을 미리 알고 있으므로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분석하되, 어느 시점에서는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와 y축 및 z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비교한다. Since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knows in advance that only the vibration in the x-axis direction is the vibration of the knock input to the door 20, it analyzes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but at a certain point in time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and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z-axis direction.

그 이유는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는 노크에 의한 진동에 대응되는 신호이지만, 실제로 y축 및 z축 방향의 진동에 의해서도 x축 방향의 진동이 감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reason is that although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the vibration in the x-axis direction can be actually sensed even by the vibration in the y-axis and z-axis direction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에서 제1임계치(Zth1) 이상의 세기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x축 방향 진동감지신호의 세기는 노크의 세기에 대응하여 나타날 수 있다. 즉, 강하게 노크하면 진동감지신호의 세기가 증가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Zth1.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sensing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may appear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of the knock. That is, when a strong knock is performed,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may increase.

또한, 진동감지신호는 노크에 의해 진동에 대응하는 것이므로 노크에 의한 진동의 여파로 잔여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감지신호에는 잔여진동에 대응하는 신호도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s to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residual vibration may occur in the aftermath of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Accordingly,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may also includ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idual vibration.

여기서, 1st knock에 의한 진동(201)과 그에 따른 잔여진동(202)이 나타나는 시간을 1st knock 유지시간이라 하고 T1으로 표시한다. Here, the time for which the vibration 201 by 1st knock and the resulting residual vibration 202 appear is called the 1st knock holding time and is denoted by T1.

Zth1 이상의 크기를 갖는 진동감지신호가 있으면 설정시간 동안 대기한다. 즉, "똑똑"으로 노크한 경우 1st knock와 2nd knock 사이에는 시간 간격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시간간격을 상기 설정시간이라 하고 T2로 표시한다. T2는 1st knock가 입력된 후 2nd knock의 입력을 기다리는 시간이 될 수 있다.If there is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with a magnitude greater than Zth1, it waits for the set time. In other words, there is a time gap between the 1st knock and the 2nd knock in the case of a "tap" knock. This time interval is referred to as the set time and is denoted by T2. T2 can be the time to wait for the input of the 2nd knock after the input of the 1st knock.

T2에서는 상기 Zth1보다 작은 진동감지신호가 나타날 수 있다. 즉, T1에서 1st knock의 진동(201)이 발생한 후 2nd knock의 진동(204)이 발생할 때까지는 진동이 발생하지 않거나 발생하더라도 Zth1보다는 작은 미세한 진동(203)이 발생할 수 있다. At T2,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smaller than the Zth1 may appear. That is, after the 1st knock vibration (201) occurs in T1, the vibration does not occur until the 2nd knock vibration (204) occurs, or even if it occurs, a minute vibration (203) smaller than Zth1 may occur.

T2에서의 진동(203)은 T1의 1st knock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201)과 그 잔여진동(202)이 사라진 후 다른 요인에 의해 미세하게 발생하는 진동이 될 수 있다. The vibration 203 at T2 may be a vibration 201 generated by the 1st knock of T1 and a vibration that is minutely generated by other factors after the residual vibration 202 has disappeared.

T2가 경과한 후 기설정된 제2임계치(Zth2) 이상의 진동감지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T2 이후에 Zth2 이상의 진동감지신호는 2nd knock에 의한 것이다.After T2 has elapse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threshold value Zth2. After T2,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over Zth2 is due to the 2nd knock.

여기서, 2nd knock에 의한 진동(204)과 그에 따른 잔여진동(205)이 나타나는 시간을 2nd knock 유지시간이라 하고 T3으로 표시한다.Here, the time for the vibration (204) by the 2nd knock and the resulting residual vibration (205) to appear is called the 2nd knock holding time and is denoted by T3.

2nd knock에 의한 진동(204)과 그의 잔여진동(205)은 역시 1st knock에 의한 진동(201)과 그의 잔여진동(202)와 유사한 패턴을 갖는다. 물론, 1st knock과 2nd knock의 세기에 따라 신호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The vibration 204 by the 2nd knock and its residual vibration 205 also have a similar pattern to the vibration 201 by the 1st knock and its residual vibration 202. Of course,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the 1st knock and the 2nd knock, the magnitude of the signal may vary.

Zth2 이상의 크기를 갖는 2nd knock에 의한 진동감지신호가 있으면 일정시간을 대기한다. 이는 잔여진동(205)이 줄어드는 시간(T3)이 될 수 있다. If there is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by the 2nd knock having a size greater than Zth2, it wait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is may be a time T3 during which the residual vibration 205 is reduced.

다만, "똑똑"으로 노크한 경우 2nd knock 이후에 일정시간의 대기시간을 T4로 표시한다. T4의 대기시간은 2nd knock 이후에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와 다른 y,z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비교하는 시간이 될 수 있다. However, in case of knocking with "Knock Knock", the waiting time for a certain amount of time after the 2nd Knock is displayed as T4. The waiting time of T4 can be the time to compare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with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other y, z-axis directions after the 2nd knock.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x축 방향이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이므로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분석하면서 T4에서 y축 및 z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과 서로 비교하도록 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since the x-axis direction is the direction of vibration by knocking,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i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s in the y-axis and z-axis directions in T4.

본 발명에서 이러한 비교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가 노크에 의한 진동에 대응하는 신호이기는 하지만, y축 및/또는 z축 방향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여파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일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comparison process is very important. Specifically, although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it may be a signal generated by the aftermath of vibration occurring in the y-axis and/or z-axis directi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캐비넷의 측면부 또는 상면부에 충격을 가하거나 사용자가 발구름을 강하게 하는 경우, y축 또는 z축 방향으로 강한 진동이 발생하면서 x축 방향으로도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applies an impact to the side or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or when the user makes a strong step, strong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y-axis or z-axis direction, and vibration may also occur in the x-axis direction.

이 경우,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가 감지되더라도 실제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가 아니므로, 상기의 일례와 같은 경우는 노크온 신호에서 배제하여야 한다. In this case, even i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is sensed, it is not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due to an actual knock, so the case like the above example should be excluded from the knock-on signal.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x축 방향의 신호감지신호와 y축 및 z축 방향의 신호감지신호를 비교하여 y축 또는 z축 방향 중 어느 한 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의 최대값이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의 최대값보다 큰 경우에는 노크에 의한 진동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는 y,z축 방향으로 강한 노크가 입력되어 x축 방향으로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를 배제하기 위한 것이다. Accordingly, in this embodiment, the maximum valu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either the y-axis or the z-axis direction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signal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with the signal detection signal in the y-axis and z-axis directions in the x-axis direction. If it is larg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t is determined that the vibration is not caused by knock. This is to exclude a case in which a strong knock is input in the y- and z-axis directions and vibration is sensed in the x-axis direction.

다른 실시예에서 T4, 즉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와 y,z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비교하는 시간은 T2와 T3 사이가 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4, that is, the time for comparing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y and z-axis directions may be between T2 and T3.

T4 이후에는 2nd knock에 의한 진동이 사라지는 시간이 존재한다. 이러한 시간을 T5로 표시한다. 이는 x축 방향으로 진동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는 구간이다. 이로써 T5 시간이 경과하면 더 이상 진동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After T4, there is a time for vibration by 2nd knock to disappear. This time is denoted as T5. This section confirms that vibrations no longer occur in the x-axis direction. Thu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vibration no longer occurs when the T5 time has elapsed.

T5에서는 노크에 의한 진동은 사라지지만 다른 요인에 의한 진동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T5에서는 제3임계치(Zth3)와 진동감지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진동감지신호의 크기가 Zth2보다 작으면 2nd knock에 의한 진동이 사라지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2nd knock에 의한 진동이 사라지고 있지만 다른 요인에 의한 미세 진동(206)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이는 Zth3보다 작은 경우에는 노크 감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In T5, vibration due to knock disappears, but vibration caused by other factors may occur. Therefore, in T5, by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with the third threshold value Zth3, if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s smaller than Zth2,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vibration caused by the 2nd knock disappears. Although the vibration caused by the 2nd knock is disappearing, micro vibrations 206 caused by other factors may appear. This has no effect on knock detection if it is less than Zth3.

만약, 도면에 도시된 일례와 같이 T5에서 Zth3보다 큰 진동(207)이 감지되면 다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므로 Zth1과 Zth2보다 크지만 노크에 의한 진동으로 감지하지 않는다. Zth3은 Zth2의 40~70%로 설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로 설정한다.If, as in the example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vibration 207 greater than Zth3 is sensed in T5, it is vibration generated by other factors, so it is greater than Zth1 and Zth2, but it is not detected as vibration due to knock. Zth3 can be set to 40 to 70% of Zth2, and is preferably set to 60%.

이와 같이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에서 1st knock에 의한 Zth1 이상의 진동감지신호(201) 및 그의 잔여진동에 의한 진동감지신호(202)가 나타나는 T1과, 이후 2nd knock의 입력을 대기하는 동안 미세진동에 의한 진동감지신호(203)가 나타나는 T2가 존재하고, 다음으로 2nd knock에 의한 Zth2 이상의 진동감지신호(204) 및 그의 잔여진동에 의한 진동감지신호(205)가 나타나는 T3가 존재하고, 그 이후에 2nd knock에 의한 진동이 사라지는 동안 미세진동에 의한 진동감지신호(206)가 나타나는 T5가 존재하면, 센서마이컴(114)는 투시창(21)에 "똑똑"의 노크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150)로 노크 발생을 알리는 노크온 신호를 전달한다. As such, in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201 of Zth1 or higher by the 1st knock and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202 due to its residual vibration appear in T1, and thereafter, fine vibration while waiting for the input of the 2nd knock. There is T2 where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203 by If T5 is present while the vibration by the 2nd knock disappears,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206 due to micro vibration is present,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can determine that a knock of “trick” is input to the sight window 21, , in this case, a knock-on signal notifying the occurrence of knock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0 .

도 18에서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일반적인 노크의 경우 T1에서 1st knock에 의한 진동감지신호(301) 및 그의 잔여진동에 의한 진동감지신호(302)가 나타날 수 있다. T2은 1st knock 이후 2nd knock를 대기하는 시간으로서 미세진동이 감지될 수도 있고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18 , in the case of a general knock in an embodiment,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301 by the 1st knock and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302 by the residual vibration may appear in T1. T2 is the time to wait for the 2nd knock after the 1st knock, in which the micro-vibration may or may not be detected.

일정시간 T2가 경과한 이후에 2nd knock에 의한 진동감지신호(303) 및 그의 잔여진동에 의한 진동감지신호(304)가 나타날 수 있다. After a predetermined time T2 has elapsed,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303 by the 2nd knock and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304 by the residual vibration may appear.

이러한 일반적인 노크의 경우 T2 시간이 일정간격만큼 확보될 수 있다. 이러한 T2 시간의 간격은 1st knock의 세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In the case of such a general knock, the T2 time may be secur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is T2 time interval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1st knock.

1st knock에 의한 진동감지신호(301)가 크기 않는 경우, 즉 1st knock가 어느 정도 강하지 않게 입력되는 경우 Zth1과 Zth2는 동일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When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301 by the 1st knock is not large, that is, when the 1st knock is not strong enough, Zth1 and Zth2 may be set to have the same magnitude.

하지만, 도 19에서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1st knock가 어느 정도 이상 강하게 입력되는 경우에는 T1에서 1st knock에 의한 진동감지신호(305) 및 그의 잔여진동에 의한 진동감지신호(306)이 나타난 이후에 T2 구간에서 Zth2를 초과하는 진동감지신호(307)와 그의 잔여진동에 대한 진동감지신호(308)이 나타날 수 있다.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19, when the 1st knock is input strongly to a certain extent, after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305 by the 1st knock and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306 by the residual vibration appear in T1, In the T2 section,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307 exceeding Zth2 and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308 for the residual vibration thereof may appear.

이는 두 진동감지신호(306,307)이 중첩되는 신호의 중첩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즉, 후자의 진동감지신호(307,308)은 T2가 경과한 이후에 나타나는 신호가 아니므로 도 12와 같이 일반적인 노크 신호가 아니다. 이는 1st knock의 입력이 강해서 1st knock에 의한 진동의 감쇄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실제 1st knock임에도 불구하고 2개의 knock 신호인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This means that the two vibration sensing signals 306 and 307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at is, since the latter vibration sensing signals 307 and 308 are not signals that appear after T2 has elapsed, they are not typical knock signals as shown in FIG. 12 . This may appear to be two knock signals despite the actual 1st knock because the 1st knock input is strong and the damping time of the vibration caused by the 1st knock is long.

이 경우 센서마이컴(114)은 Zth1 이상의 진동감지신호(305)가 나타나고 이후에 Zth2 이상의 진동감지신호(307)이 나타난다고 하여 노크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Zth2를 Zth1보다 크게 설정한다. In this case,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can determine that it is a knock input because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305 of Zth1 or higher appears and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307 of Zth2 or higher appears afterwards. do.

본 실시예에서 Zth2는 Zth1보다 같거나 크게 설정할 수 있으며, 1st knock의 세기를 고려해야 하므로 1st knock에 의한 진동감지신호의 세기에 비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1st knock에 의한 진동감지신호의 세기에 비례하여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Zth2 can be set equal to or larger than Zth1, and since the strength of the 1st knock must be considered, it can be set to be proportional to the strength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by the 1st knock. That is, it can be set variably in proportion to the strength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by 1st knock.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1)의 동작에서는 사용자가 도어(20)에 장착된 투시창(21)를 통해 가전기기(1)의 수용공간(23)의 내부를 외부에서 보기 위하여 투시창(21)를 노크할 수 있다. [S210 : 노크 입력 단계]Referring to FIG. 20 , in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enters the receiving space 23 of the home appliance 1 through the see-through window 21 mounted on the door 20 . You can knock the see-through window 21 in order to see from the outside. [S210: knock input step]

투시창(21)에 노크가 되면 해당 노크의 위치가 진동원이 되어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투시창(21)의 일 지점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일정한 방향성을 갖는다. 즉, 해당 지점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한다. When a knock is applied to the sight window 21 , the location of the knock becomes a vibration source and vibration may occur. At this time, the vibration generated at one point of the viewing window 21 has a certain directionality. That is, the vibration occur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corresponding point.

본 실시예에서는 전후 방향의 진동을 3축센서모듈(111)의 x축 방향이라 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투시창(21)에 노크가 되면 x축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S220 : 진동 발생 단계]In this embodiment, the vibr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ll be described as the x-axis direction of 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 Accordingly, when a knock is applied to the viewing window 21 , vibration may occur in the x-axis direction. [S220: vibration generation stage]

이와 같이 발생된 진동은 가전기기(1)를 이루는 복수의 고체부품들을 통해 전달되어 가전기기(1)의 전체 영역으로 퍼져 나갈 수 있다.The vibration generated in this way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plurality of solid parts constituting the home appliance 1 and spread to the entire area of the home appliance 1 .

구체적으로, 가전기기(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크고 작은 복수의 고체부품들이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져 있으므로 어느 한 곳에 진동이 발생하면 이들 복수의 고체부품들을 통해 가전기기(1)의 전체로 전달될 수 있다. Specifically, since the home appliance 1 consists of a plurality of large and small solid parts physically coupled as described above, when vibration occurs in any one place, it is transmitted to the whole of the home appliance 1 through the plurality of solid parts. can

물론, 고체부품들의 연결상태와 전달되는 거리에 따라 진동의 세기가 어느 정도 감쇄될 수는 있으나, 각각의 고체부품들이 물리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미세한 진동이라도 전달될 수 있다. [S230 : 진동 전달 단계]Of course, the intensity of vibration may be attenuated to some extent depending o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olid parts and the distance to which they are transmitted, but since each solid part is phys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even minute vibrations can be transmitted. [S230: Vibration transmission stage]

고체부품들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은 가전기기(1)에서 도어(20)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센서어셈블리(110)에도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센서어셈블리(110)는 상기 전달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Vibr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solid parts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sensor assembly 110 installed at a loca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oor 20 in the home appliance 1 . Accordingly, the sensor assembly 110 may detect the transmitted vibr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투시창(21)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은 x축 방향으로 발생하므로 센서어셈블리(110)는 x축 방향으로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vibration due to the knock applied to the viewing window 21 occurs in the x-axis direction, the sensor assembly 110 may detect the vibration in the x-axis direction.

구체적으로, 센서어셈블리(110)는 3축센서모듈(111)를 포함할 수 있다. 3축센서모듈(111)는 3축 방향, 즉 x,y,z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nsor assembly 110 may include a three-axis sensor module 111 . 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may sense vibration in the three-axis direction, that is,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따라서, 투시창(21)에 노크에 의해 발생된 x축 방향의 진동이 전달되면 3축센서모듈(111)가 x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vibration in the x-axis direction generated by the knock is transmitted to the sight window 21 , the 3-axis sensor module 111 detects the vibration in the x-axis direction.

물론, 노크에 의한 진동뿐만 아니라 임의의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x,y,z축 방향의 진동이 발생될 수도 있으므로 3축센서모듈(111)는 이들 진동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 Of course, since vibration in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generated by any cause as well as vibration due to knock may be generated, 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may detect all of these vibrations.

3축센서모듈(111)는 상기 감지된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진동감지신호는 필터부(112)와 증폭부(113)를 거쳐 센서마이컴(114)로 입력될 수 있다.The three-axis sensor module 111 may generate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vibration.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may be input to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through the filter unit 112 and the amplifier unit 113 .

센서마이컴(114)은 x,y,z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신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노크가 입력되었는지, 즉 사용자의 노크에 의한 진동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노크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로 사용자의 노크가 입력되었음을 통보할 수 있다. [S240 : 진동 감지 단계]The sensor microcomputer 114 may analyze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signal in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to determine whether a user's knock is input, that is, whether vibration has occurred due to the user's knock.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knock has been input, the controller 150 may notify that the user's knock has been input. [S240: vibration detection stage]

센서마이컴(114)은 x,y,z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가 입력되면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만을 추출할 수 있다. 이는 투시창(21)에 입력된 노크에 의한 진동은 x축 방향이므로, x축 방향의 진동만을 고려하기 위한 것이다.The sensor microcomputer 114 may extract only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when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is input. This is to consider only the vibration in the x-axis direction since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input to the viewing window 21 is in the x-axis direction.

센서마이컴(114)는 x축 방향의 진동만이 투시창(21)에 입력된 노크의 진동임을 미리 알고 있으므로 y축과 z축 방향의 진동에 대한 진동감지신호는 1차적으로는 고려하지 않는 것이다. 이후에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와 y축 및 z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비교할 수 있다.Since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knows in advance that only the vibration in the x-axis direction is the vibration of the knock input to the viewing window 21,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for the vibration in the y-axis and z-axis directions is not primarily considered. Thereafter,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may be compared with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y-axis and z-axis directions.

상기와 같이 감지된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에서 노크에 의한 진동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은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의 패턴을 이용할 수 있다. 즉, T1 내지 T5 구간에서 진동감지신호와 Zth1 내지 Zth3의 비교에 따라 노크에 의한 진동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S250 : 노크 진동 여부 판단 단계]It is determined as vibration due to knock in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sensed as described above. Such determination may use the pattern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as shown in FIGS. 11 to 13 . That is, in the section T1 to T5,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vibration is due to knock or no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and Zth1 to Zth3 [S250: Knock vibration determination step]

상기 판단결과에서 노크에 의한 진동인 것으로 판단되면 램프(16)를 온시키지 않을 예외상황인지를 판단한다. 사용자에 의해 노크가 입력되더라도 오븐에서 셀프클린이 실행되고 있는 것과 같이 특정한 상황에서는 램프(160)가 온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S260 : 예외상황 여부 판단 단계]If it is determined from the determination result that the vibration is caused by the knock,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amp 16 is in an exceptional situation not to be turned on. Even if a knock is input by the user,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lamp 160 from being turned on in a specific situation, such as when self-cleaning is being performed in the oven. [S260: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exception condition]

상기 판단결과에서 예외상황인 경우로 판단되면 도어(20)의 개폐여부를 판단한다. 도어(20)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램프(160)를 온시킬 필요없으며 도어(20)가 닫혀있는 경우에만 램프(160)를 온시킬 필요가 있다. 도어(20)의 개폐여부는 램프(160)의 온/오프에 영향을 주므로 도어(20)의 개방여부를 판단한다. [S270 : 도어개방여부 판단 단계]If it is determined as an exceptional case from the determination resul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oor 20 is opened or closed. When the door 20 is open, it is not necessary to turn on the lamp 160 , and it is necessary to turn on the lamp 160 only when the door 20 is closed. Whether the door 20 is opened or closed affects the on/off of the lamp 160 , so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oor 20 is opened. [S270: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is open]

상기와 같이 노크에 의한 진동으로 판단되고 예외상황이 아니면서 도어(20)가 닫힌 상태로 되어 있으면 램프(160)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한다. [S280 : 램프 상태 확인 단계]As described abov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ibration is caused by the knock and the door 20 is in the closed state without an exception, the on/off state of the lamp 160 is checked. [S280: Lamp status check step]

램프(160)가 오프된 상태이면 램프(160)를 온시킨다. 이는 램프(160)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수용공간(23)의 내부를 외부에서 볼 수 없으므로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램프(160)를 온시켜 수용공간(23)을 조명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S290 : 램프 온 단계]If the lamp 160 is in an off state, the lamp 160 is turned on. This is to illuminate the accommodation space 23 by turning on the lamp 160 so that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on space 23 cannot be seen from the outside when the lamp 160 is turned off. [S290: Ramp on stage]

반대로 램프(160)가 온 상태이면 램프(160)를 오프시킨다. 이는 사용자가 수용공간(23)의 내부를 다 확인한 후 노크를 통해 램프(160)를 오프하기 위한 것이다. [S300 : 램프 오프 단계]Conversely, if the lamp 160 is on, the lamp 160 is turned off. This is to turn off the lamp 160 by knocking after the user checks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23 . [S300: ramp off step]

한편, 노크에 의한 진동으로 판단되지 않거나, 예외상황이 아니거나 또는 도어(20)가 열린상태이면 진동감지신호를 무시하고 동작과정은 종료된다. [S301 : 진동신호 무시 단계]On the other hand, if it is not determined as vibration due to knock, it is not an exceptional situation, or the door 20 is in an open state,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s ignored and the operation process is terminated. [S301: Ignoring vibration signal step]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T1~T5 에서 사용자에 의한 노크에 대응하는 진동뿐만 아니라 다른 원인에 의한 진동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에 의한 진동감지신호도 역시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not only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knock by the user but also vibration caused by other causes may occur in T1 to T5.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due to such vibration may also be included in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이러한 경우라도 센서마이컴(114)은 T1~T5에서 진동감지신호가 일정한 패턴을 갖는 경우 "똑똑"의 노크에 의한 진동임을 구별할 수 있다.Even in this case,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can distinguish that the vibration is caused by a "trick" knock when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has a constant pattern in T1 to T5.

제1임계치(Zth1)는 고정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제2,3임계치(Zth2,Zth3)는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제2,3임계치(Zth2,Zth3)는 제1임계치(Zth1)의 크기에 따라 동적(dynamic)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st knock의 진동감지신호의 크기에 비례하여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first threshold value Zth1 may be set to a fixed value, and the second and third threshold values Zth2 and Zth3 may be changed. The second and third thresholds Zth2 and Zth3 may be dynamically se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threshold Zth1. More preferably, it can be set dynamically in proportion to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of 1st knock.

물론, Zth1은 고정값을 갖지만 상기 일례가 아니라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Zth1을 크게 설정하면 Zth2와 Zth3도 그에 비례하여 크게 설정할 수도 있다.Of course, Zth1 has a fixed value, but may be set to a value other than the above example. That is, if Zth1 is set to be large, Zth2 and Zth3 may also be set to be large in proportion thereto.

여기서, Zth2는 Zth1와 같거나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Zth1은 1st knock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치이고 Zth2는 2nd knock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치이므로, 1st knock가 강하게 입력되어 1st knock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2nd knock의 입력으로 오감지할 수 있는 경우를 배제하기 위해 Zth2를 더 크게 하여 2nd knock에 대한 판단기준을 더 높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2nd knock에 대한 판단을 더 정확하게 할 수 있다.Here, Zth2 is preferably set equal to or larger than Zth1. The reason is that Zth1 is the threshold for determining whether it is the 1st knock or not and Zth2 is the threshold for determining whether it is the 2nd knock, so that the 1st knock is strongly input, so that the vibration caused by the 1st knock is misdetected as the input of the 2nd knock. This is to make the Zth2 larger in order to exclude possible cases, so that the judgment standard for the 2nd knock is higher. This makes the judgment on the 2nd knock more accurat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진동감지신호의 패턴이 y축 또는 z축 방향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더라도 센서마이컴(114)는 노크에 의한 진동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투시창(21)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은 x축의 방향성만을 가지기 때문이다. 다만, y,z축 방향의 진동에 의해 x축 방향의 진동이 영향을 받을 수 있아 노크에 의한 진동으로 오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와 y,z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서로 비교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pattern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as described above appears equally in the y-axis or z-axis direction,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does not determine that the vibration is caused by the knock. This is because the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applied to the viewing window 21 has only the directionality of the x-axis. However, since vibrations in the x-axis direction may be affected by vibration in the y and z-axis directions, and may be misdetected as vibrations caused by knocks,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y-z-axis direction to compare with each other.

한편, T1~T4에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Zth1과 Zth2 이상의 세기를 갖는 진동감지신호가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라도 상기와 같이 노크에 의한 진동의 패턴과 비교하여 노크 입력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even when vibration detection signals having an intensity greater than or equal to Zth1 and Zth2 continuously appear at regular intervals from T1 to T4, the knock input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pattern of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as described above.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에서 노크 입력 감지를 설명하기 위한 진동감지신호의 실험결과 그래프이고,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에서 노크 입력 미감지를 설명하기 위한 진동감지신호의 실험결과 그래프이다. 도 21 내지 도 23에는 x축과 y축에만 진동감지신호가 감지되는 실험결과가 도시된다.21 is an experimental result graph of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for explaining knock input detection in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2 and 23 are knock input sensations in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graph of the experimental result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to explain the 21 to 23 show experimental results in which the vibration sensing signal is detected only on the x-axis and the y-axis.

도 21을 참조하면,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에 대해 T1에서 제1임계치(Zth1) 이상인 진동감지신호가 나타나고, T2의 대기시간 이후 T3에서 제2임계치(Zth2) 이상이 진동감지시호가 나타나고, 그리고 T5에서 제3임계치(Zth3) 이하의 진동감지신호가 나타남으로써 센서마이컴(114)에서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의 패턴임을 판단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21 , with respect to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value (Zth1) is displayed in T1, and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hreshold value (Zth2) is displayed in T3 after the waiting time of T2. , and at T5,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below the third threshold value Zth3 appears, so that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determines that it is the pattern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due to the knock.

T1에서의 진동감지신호는 1st knock에 의한 것이고 T3에서의 진동감지신호는2nd knock에 의한 것이다. 도 18의 실험에서는 1st knock이 강하게 입력되지 않았으므로, Zth1과 Zth2는 같은 값으로 설정하였다.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1 is by the 1st knock and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3 is by the 2nd knock. In the experiment of FIG. 18 , since 1st knock was not strongly input, Zth1 and Zth2 were set to the same value.

이에 센서마이컴(114)은 투시창(21)에 노크가 입력되었음을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노크온 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150)는 램프(160)를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may detect that a knock is input to the see-through window 21 , and transmit a knock-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0 , and the control unit 150 may turn on or off the lamp 160 .

도 22를 참조하면,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에 대해 T1에서 Zth1 이상인 진동감지신호가 나타나고, 이후 T2 이후에 T3에서 Zth2 이상이 진동감지신호가 나타났지만, T1과 T3에서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의 최대값보다 y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의 최대값이 더 크므로,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가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의 패턴으로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도 19의 결과는 노크에 의한 진동이 아닌 것으로 감지한다. 그 이유는 y축 방향의 진동에 의해 x축 방향의 진동이 감지된 것이기 때문이다.Referring to FIG. 22 , with respect to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greater than or equal to Zth1 is displayed in T1, and then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greater than or equal to Zth2 is displayed in T3 after T2, but vibrations in the x-axis direction in T1 and T3 are displayed. Since the maximum valu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y-axis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detection signal, the result of FIG. Detects as non-vibration. The reason is that the vibration in the x-axis direction is sensed by the vibration in the y-axis direction.

이 경우에는 센서마이컴(114)은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가 아님을 인지하여 제어부(150)로 노크온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제어부(150)는 램프(16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does not output the knock-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0 by recognizing that it is not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due to the knock. The controller 150 does not output a control signal to the ramp 160 .

도 23을 참조하면,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에 대해 T1에서 Zth1 이상인 진동감지신호가 나타나고, 이후 T2 이후에 T3에서 Zth2 이상이 진동감지신호가 나타났지만, T5에서 Zth3보다 큰 진동감지신호가 나타나므로,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가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의 패턴으로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도 20의 결과는 노크에 의한 진동이 아닌 것으로 감지한다. 23, for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greater than or equal to Zth1 appears in T1, and after T2,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greater than or equal to Zth2 appears in T3, but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greater than Zth3 in T5 is Therefore, although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x-axis direction appears as a pattern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due to the knock, the result of FIG. 20 detects that the vibration is not caused by the knock.

즉, T5에서는 2nd knock에 의한 진동이 사라지는 구간인데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진동(동그라미로 표시됨)이 발생하고 있으므 노크에 의한 진동으로 판단하지 않는다.That is, in T5, even though the vibration caused by the 2nd knock disappears, the vibration (indicated by a circle) is continuously occurring, so it is not judged as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이 경우에는 센서마이컴(114)은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가 아님을 인지하여 제어부(150)로 노크온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제어부(150)는 램프(16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sensor microcomputer 114 does not output the knock-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0 by recognizing that it is not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due to the knock. The controller 150 does not output a control signal to the ramp 160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면의 도어에 투시창이 장착되고 투시창에 노크를 인가하면 노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여 내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된 조명을 온시켜 내부를 조명함으로써 외부에서 투시창을 통해 수용공간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ee-through window is mounted on the front door and a knock is applied to the see-through window,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is sensed, and the light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inside is turned on to illuminate the inside, thereby receiving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ee-through window. We provide home appliances that allow you to see the inside of a space.

이때, 투시창에 노크가 가해지면, 그 노크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특정 방향의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를 검출하고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의 패턴과 비교하여 노크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a knock is applied to the sight window, vibration is generated in a specific direction by the knock, and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in this specific direction is detected and compared with the pattern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due to the knock, whether or not a knock is input to judge

특히,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이 특정 방향이므로 다른 방향으로 발생한 진동은 고려대상이 아니다. 이에 따라 진동감지신호의 패턴이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와 동일하더라도 진동의 방향성이 다르면 무시하도록 한다.In particular, since the direction of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is a specific direction, vibrations generated in other directions are not considered. Accordingly, even if the pattern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s the same as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due to the knock, if the direction of the vibration is different, it is ignored.

본 발명에서는 진동의 방향성과 미세한 진동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 3축 가속도센서를 사용하도록 한다. 센서마이컴은 3축 가속도센서에서 검출된 진동감지신호에 대하여 T1~T5에서의 패턴을 적용하여 노크에 의한 진동인지를 판별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3-axis accelerometer is used to accurately detect the directionality of vibration and minute vibration. The sensor microcomputer applies the pattern from T1 to T5 to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3-axis acceleration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vibration is due to knock.

복수의 도어(20,30)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면, 복수의 센서어셈블리(110a,110b)는 어느 도어(20,30)에 노크가 가해진 것인지를 판단하고, 노크에 의한 진동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제어부(150)는 어느 램프(160,161)를 온/오프시킬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램프(160,161)가 오프된 상태에서 노크가 입력되면 램프(160,161)를 온시키고, 반대로 램프(160,161)가 온된 상태에서 노크가 입력되면 램프(160,161)를 오프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When vibration is sensed by the knock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oors 20 and 30, the plurality of sensor assemblies 110a and 110b determine which door 20 and 30 the knock is applied to, and determine whether the vibration is caused by the knock. By judging, the controller 150 may determine which lamps 160 and 161 to turn on/off. When a knock is input while the lamps 160 and 161 are off, the lamps 160 and 161 are turned on, and conversely, when a knock is input while the lamps 160 and 161 are on, the lamps 160 and 161 are turned off.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명세서 및 도면에는 일례로서 더블 도어(double door)에 대하여 각 도어에 가해진 노크를 감지하여 램프를 온/오프시키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도어를 구비한 가전기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with respect to a double door, it is disclosed that the lamp is turned on/off by sensing a knock applied to each doo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me appliance having two or more doors It can also be applied to devices.

이 경우 각 센서어셈블리는 각 도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술한 바와 같은 원리도 진동감지신호를 기초로 어느 도어에 노크가 가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each sensor assembly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door, and the same principle as described above allows it to be determined which door is knocked based on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 가전기기 10 : 캐비넷
11 : 상면부 20 : 제1 도어
21 : 제1 투시창 23 : 제1 수용공간
25 : 제1 핸들부 26 : 제2 핸들부
30 : 제2 도어 31 : 제2 투시창
32 : 제2 수용공간 40 : 도어
50 : 디스플레이부 51 : 노크온 버튼
52 : 램프 버튼 53 : 셀프클린 버튼
62 : 레버조작부 70 : 흡진부재
110a,110b : 센서어셈블리 111 : 3축센서모듈
112 : 필터부 113 : 증폭부
114 : 센서마이컴 115 : 저장부
120 : 도어락스위치 130 : 도어스위치
140 : 타이머 150 : 제어부
160 : 제1 램프 161 : 제2 램프
1: home appliance 10: cabinet
11: upper surface 20: first door
21: first viewing window 23: first receiving space
25: first handle portion 26: second handle portion
30: second door 31: second viewing window
32: second accommodation space 40: door
50: display unit 51: knock-on button
52: lamp button 53: self-clean button
62: lever operation part 70: absorption member
110a, 110b: sensor assembly 111: 3-axis sensor module
112: filter unit 113: amplification unit
114: sensor microcomputer 115: storage
120: door lock switch 130: door switch
140: timer 150: control unit
160: first lamp 161: second lamp

Claims (2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대상물을 각각 수용하도록 구비된 제1 및 제2 수용공간;
상기 제1 및 제2 수용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각각 개폐하며 투시창이 장착된 제1 및 제2 도어;
상기 제1 및 제2 도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직교하는 3축 방향으로 진동을 각각 감지하여 사용자의 노크에 의한 진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및 제2 센서어셈블리;
상기 제1 및 제2 수용공간의 내부를 각각 조명하는 제1 및 제2 램프;
상기 제1 및 제2 센서어셈블리에서 출력되는 진동감지에 따른 노크온(knock-on) 신호를 구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램프를 온/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cabinets forming a facad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spaces provided to accommodate objects in the cabinet,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doors resp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spaces and equipped with a see-through window;
first and second sensor assemblies install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doors, respectively, to detect vibration in three orthogonal directions to determine whether vibration is caused by a user's knock;
first and second lamps respectively illuminating the interior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spaces;
and a control unit for turning on/off the first and second lamps by distinguishing a knock-on signal according to vibration sensing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ensor assembl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제1 도어 및 제2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도어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ensor assemblies are each,
A home appliance installed on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and sensing vibration due to a knock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도어 외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도어에 가해진 노크에 의해 발생되어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ensor assemblies are each,
A home appliance installed at a location ot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doors and sensing vibrations generated and transmitted by knock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doo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도어의 전면부에 설치된 핸들부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는 가전기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and second sensor assemblies are each,
Home appliances installed inside one side of the handle part installed on the front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do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및 제2 도어 사이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감쇄시키는 흡진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흡진부재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
A dust absorbing member for absorbing and attenuating vibration transmitted between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is disposed, and the first and second sensor assemblies are respectively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dust absorb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어셈블리는 각각,
내부에 자신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노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면 상기 식별정보가 포함된 노크온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ensor assemblies are each,
A home appliance that stores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rein and transmits a knock-on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when vibration is sensed by the knock.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크온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노크온 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노크온 신호를 전달한 센서어셈블리를 구분하고, 상기 노크온 신호를 전달한 센서어셈블리에 대응하는 제1 또는 제2 램프를 온/오프시키는 가전기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knock-on signal is transmitted, the sensor assembly that has transmitted the knock-on signal is distinguished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knock-on signal, and the first or second lamp corresponding to the sensor assembly that has transmitted the knock-on signal is turned on. /off electrical applian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센서어셈블리에서 상기 노크에 의한 진동이 감지되면 상기 램프를 온시키고, 상기 램프가 온 상태에서 상기 센서어셈블리에서 상기 노크에 의한 진동이 감지되면 상기 램프를 오프시키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home appliance that turns on the lamp when vibration due to the knock is sensed in the sensor assembly when the lamp is off, and turns off the lamp when vibration is sensed by the knock in the sensor assembly when the lamp is 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3축 방향으로 전달된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3축 방향으로 전달된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를 각각 생성하는 3축센서모듈;
상기 3축센서모듈에서 생성된 진동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노크에 의한 진동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마이컴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ensor assemblies are each,
a three-axis sensor module that detects the vibration transmitted in the three-axis direction and generates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transmitted in the three-axis direction, respectively;
and a sensor microcomputer that determines whether vibration is caused by the knock on the basis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three-axis sensor modu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3축센서모듈은,
3개의 가속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3개의 가속도센서는,
상기 3축 방향 중 제1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제1가속도센서, 제2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제2가속도센서, 제3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제3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hree-axis sensor module,
Includes 3 accelerometers,
The three acceleration sensors are
Home appliances including a first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in a first axis direction among the three axis directions, a second acceleration sensor detecting vibration in a second axis direction, and a third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in a third axis direction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가속도센서 중 하나의 가속도센서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축 방향이 상기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는 가전기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One of the three acceleration sensors is installed so that an axial direction for detecting vibration coincides with a direction of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제9항에 있어서,
상기 3축센서모듈은,
상기 3축 방향의 진동을 동시에 감지하는 하나의 3축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hree-axis sensor module,
A home appliance including a single 3-axis acceleration sensor for simultaneously sensing the vibration in the 3-axis direc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3축 가속도센서는,
상기 3축 방향 중 어느 한 축의 방향이 상기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는 가전기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three-axis accelerometer is
A home appliance installed so that the direction of any one of the three axis directions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마이컴은,
상기 3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 중 상기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는 어느 한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진동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노크에 대한 진동여부를 판단하는 가전기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nsor microcomputer is
A home appliance for extracting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any one direction coincident with the direction of vibration by the knock among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s in the three-axis direc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o vibrate with respect to the knock by using the extracted vibration detection sign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마이컴은,
상기 추출된 진동감지신호에서 1st knock에 의한 진동감지신호의 크기가 설정된 제1임계치 이상이고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 2nd knock에 의한 진동감지신호의 크기가 설정된 제2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노크에 의한 진동임을 판단하는 가전기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nsor microcomputer is
In the extracted vibration detection signal, if the amplitud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by 1st knock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first threshold and after the set time has elapsed, if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by 2nd knock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second threshold, vibration caused by the knock home appliances that are judged to b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임계치는 상기 제1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1st knock에 의한 진동감지신호의 크기에 비례하는 가전기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econd threshold is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and is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by the 1st knock.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마이컴은,
상기 3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 중 상기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는 어느 한 축 방향(제1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진동감지신호와 다른 두 축 방향(제2,3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노크에 대한 진동여부를 판단하는 가전기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nsor microcomputer is
Among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s in the three-axis direction,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one axial direction (first axial direction) that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vibration by the knock is extracted, and two axial directions (second axial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extracted vibration detection signal , 3-axis direction) by comparing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knock vibra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마이컴은,
상기 제2축 방향 또는 제3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의 최대값이 상기 제1 축방향의 진동감지신호의 최대값보다 큰 경우는 상기 노크에 의한 진동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가전기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ensor microcomputer is
When the maximum valu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at least one of the second axis direction or the third axis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in the first axis direc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bration is not caused by the knock home applian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상면 또는 전면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노크온 기능을 온/오프로 설정하는 노크온 버튼 또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램프를 온/오프시키는 램프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
A display unit in which at least one button of a knock-on button for setting a knock-on function to on/off by a user's touch or a lamp button for turning a lamp on/off by a user's touch is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r front of the cabinet further including household appliances.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크온 기능이 오프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노크가 입력되어도 상기 램프를 온/오프시키지 않는 가전기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control unit is
A home appliance that does not turn on/off the lamp even when a knock is input by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knock-on function is set to off.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 버튼의 터치에 의해 온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노크가 입력되어도 상기 램프를 온/오프시키지 않는 가전기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control unit does not turn on/off the lamp even when a knock is input by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lamp is turned on by a touch of the lamp button.
KR1020200009513A 2020-01-23 2020-01-23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see-through window KR1026092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513A KR102609278B1 (en) 2020-01-23 2020-01-23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see-through window
KR1020230168600A KR20230167750A (en) 2020-01-23 2023-11-28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see-through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513A KR102609278B1 (en) 2020-01-23 2020-01-23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see-through window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8600A Division KR20230167750A (en) 2020-01-23 2023-11-28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see-through wind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506A true KR20210095506A (en) 2021-08-02
KR102609278B1 KR102609278B1 (en) 2023-12-01

Family

ID=773156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513A KR102609278B1 (en) 2020-01-23 2020-01-23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see-through window
KR1020230168600A KR20230167750A (en) 2020-01-23 2023-11-28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see-through window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8600A KR20230167750A (en) 2020-01-23 2023-11-28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see-through wind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0927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34590A1 (en) 2021-08-11 2023-02-15 LG Electronics Inc. Appliance
EP4134591A1 (en) 2021-08-11 2023-02-15 LG Electronics, Inc. Appliance comprising a door and a sensing module to sense knocking on the door
EP4134608A1 (en) 2021-08-11 2023-02-15 LG Electronics Inc. Appliance
EP4134592A1 (en) * 2021-08-11 2023-02-15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ppliance and an applian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7003A (en) * 2008-03-19 2009-10-08 Aisin Seiki Co Ltd Door sensor unit
KR20160045545A (en) *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70082092A (en)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irgerator and control merthod thereof
KR20190001876A (en) 2017-06-28 2019-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Knock on door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KR20190001797U (en) * 2018-01-05 2019-07-15 신용규 Stacking kit for home appliances
KR20190137518A (en) * 2018-06-01 2019-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200007590A (en) * 2018-07-13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7003A (en) * 2008-03-19 2009-10-08 Aisin Seiki Co Ltd Door sensor unit
KR20160045545A (en) *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60150575A (en) 2014-10-17 2016-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door and a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KR20170082092A (en)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irgerator and control merthod thereof
KR20190001876A (en) 2017-06-28 2019-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Knock on door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KR20190001797U (en) * 2018-01-05 2019-07-15 신용규 Stacking kit for home appliances
KR20190137518A (en) * 2018-06-01 2019-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200007590A (en) * 2018-07-13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34590A1 (en) 2021-08-11 2023-02-15 LG Electronics Inc. Appliance
EP4134591A1 (en) 2021-08-11 2023-02-15 LG Electronics, Inc. Appliance comprising a door and a sensing module to sense knocking on the door
EP4134608A1 (en) 2021-08-11 2023-02-15 LG Electronics Inc. Appliance
EP4134592A1 (en) * 2021-08-11 2023-02-15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ppliance and an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750A (en) 2023-12-11
KR102609278B1 (en)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9278B1 (en)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see-through window
AU2020409316B2 (en) Home appliance provided with viewing window
US20230111114A1 (en)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30167336A (en)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95452B1 (en)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656247B1 (en)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see-through window
KR102601398B1 (en)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see-through window
KR102593785B1 (en)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see-through window
KR20230024153A (en) Appliance
KR20230024151A (en) Control method of appliance
KR20230024152A (en) Appliance
EP4317790A1 (en) Home appliance
KR20230174402A (en) Appliance
KR102150075B1 (en)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240018117A (en) Appliance
US20230047660A1 (en) Appliance
KR20190137476A (en)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