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261A - IoT 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and the fire extinguisher assembly comprising holder thereof - Google Patents

IoT 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and the fire extinguisher assembly comprising holder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261A
KR20210095261A KR1020200008518A KR20200008518A KR20210095261A KR 20210095261 A KR20210095261 A KR 20210095261A KR 1020200008518 A KR1020200008518 A KR 1020200008518A KR 20200008518 A KR20200008518 A KR 20200008518A KR 20210095261 A KR20210095261 A KR 20210095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fire
head
io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5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재민
Original Assignee
하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재민 filed Critical 하재민
Priority to KR1020200008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5261A/en
Publication of KR20210095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2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62C13/6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62C13/78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A62C8/04Rakes or b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and a fire extinguisher assembly having a holder hol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which senses a fire situation in real-time and transmits a fire occurring signal by an IoT module, having a whistle, an emergency hammer, and a lamp to secure easiness of emergency evacuation and rescue, and a fire extinguisher assembly having a holder holding the same.

Description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및 이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소화기 어셈블리{IoT 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and the fire extinguisher assembly comprising holder thereof}IoT 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and fire extinguisher assembly comprising holder thereof

본 발명은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및 이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소화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IoT 모듈에 의해 실시간 화재 상황 감지 및 화재 발생 신호 전송을 수행하고, 호각, 비상망치 및 램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긴급 피난 및 구호의 용이성을 확보한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및 이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소화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and a fire extinguisher assembly including a cradle for moun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perform real-time fire situation detection and fire occurrence signal transmission by an IoT module, and to use a whistle, an emergency hammer and a lamp It relates to a fire extinguisher assembly including an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that secures the ease of emergency evacuation and relief, includ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a cradle for mounting the same.

소화기란 건물 내부나 차량 내의 적당한 곳에 미리 비치하여 놓고 화재가 발생한 즉시 그 불을 끄는데 사용되는 기구를 말한다. 통상 금속으로 만든 원통으로 압착공기를 이용하는 분수 소화기, 화학적으로 발생시킨 탄산가스를 분출시키는 탄산가스 소화기, 중탄산소다 가루를 분출시키는 분말 소화기, 탄산가스의 기포를 분출하는 포말 소화기 등이 있다. 이들 소화기는 통로의 적당 장소나 입구에 미리 설치하고, 많은 사람이 그 설치장소를 알 수 있도록 하여 화재발생이라고 하는 긴급 상황 하에서 신속하게 소화기를 이용하여 진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그 작동방식은 수동과 자동으로 나누어지고 있다.A fire extinguisher refers to a device that is placed in a suitable place inside a building or vehicle and used to extinguish a fire immediately after a fire occurs. There are usually a fountain fire extinguisher that uses compressed air as a cylinder made of metal, a carbon dioxide fire extinguisher that ejects chemically generated carbon dioxide, a powder fire extinguisher that ejects sodium bicarbonate powder, and a foam fire extinguisher that ejects bubbles of carbon dioxide gas. These fire extinguishers are installed in advance at an appropriate place or entrance in the passage, and many people can know the place of installation so that they can quickly extinguish the fire by using a fire extinguisher in an emergency situation called a fire, and the operation method is manual. and is automatically divided.

소화기는, 소화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소화기의 일 부품인 안전핀을 뽑고 레버를 잡아당김으로써 내부의 뇌관장치가 파열되어 충전된 소화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자동식 소화기의 경우에는 소화약제 탱크에 결합 구성되는 노즐 헤드에 분사 작동구를 결합시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분사 작동구의 열감지 유리관이 화재 열을 감지하여 파손되면서 로킹 되어있던 타격봉의 구속을 해제하면서 타격봉이 격발 전진되도록 하여 노즐 헤드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The fire extinguish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ternal detonator ruptures by pulling out the safety pin, which is a part of the fire extinguisher, and pulling the lever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to be used, thereby discharging the filled extinguishing liquid to the outside. In the case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when a fire occurs by coupling the injection actuator to the nozzle head, which is coupled to the extinguishing agent tank, the heat sensing glass tube of the injection actuator detects the heat of the fire and is damaged while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locked striking rod. Structures are known that allow the rod to be propelled forward to open the nozzle head.

일반적으로, 발전소나 변전소 및 공장이나 건물 등의 전기실에 설치된 배전반이나 각종 장비의 전기용 패널 등에는 소화장치가 직접 설치되지 못하며, 대신 하론 CO2 소화용기를 별도 구비하여 놓거나 건물 자체의 천장 부에 화재 발생 시 작동되는 하론 소화설비, CO2 소화설비 또는 청정 소화설비를 설치하여 진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such power plants and substations and plant or for an electric switchboard and various devices installed in the electric room, such as a building panel, place extinguishing device mothamyeo be installed directly, instead of having separate the Halon CO 2 digestion vessel to the ceiling portion of the building itself, In the event of a fire, Halon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CO 2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or clean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are installed so that the fire can be extinguished.

소화기와 관련된 선행기술의 일 예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서는 '조명기구를 갖춘 소화기'가 제안된 바 있고, 하기의 특허문헌 2에서는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related to a fire extinguisher, in Patent Document 1 below, a 'fire extinguisher equipped with a lighting fixture' has been proposed, and in Patent Document 2 below, a 'protective device for a fire extinguisher having a decorative function' has been proposed. .

특허문헌 1은 화재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도 주변 시야를 확보하여 화재를 적절하게 초기 진압할 수 있도록 된 조명기구를 갖춘 소화기를 제안하나, 소화제(消火劑)를 분사하기 위한 레버와 램프의 점등을 위한 스위치가 별개로 존재하는바 위급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레버와 스위치를 각각 동작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는 단점이 있었다.Patent Document 1 proposes a fire extinguisher equipped with a lighting device to properly extinguish a fire by securing peripheral visibility even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due to a fire. There is a separate switch for this,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operate the lever and the switch in an emergency situation, respectively.

특허문헌 2는 소화기의 레버와 안전핀이 외부로 돌출되게 하우징본체가 소화기를 감싸면서 체결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소화기를 보호함과 아울러 심미감을 갖게 되고, 라벨이 부착되어 미숙한 어린이나 당황한 사용자가 침착하게 라벨의 인쇄문구에 따라 소화기를 작동할 수 있게 되는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를 제안하나, 소화제(消火劑)의 분사와 램프의 점등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장치가 필요하여 제작단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In Patent Document 2, the housing body is fastened while wrapping the fire extinguisher so that the lever and the safety pin of the fire extinguisher protrude to the outside, and the fire extinguisher is protected by external impact and has an aesthetic feeling. proposes a protective device for a fire extinguisher with a decorative function that allows the fire extinguisher to be operated calmly according to the printed wording on the label, but a separate control device is required to simultaneously spray the extinguishing agent and turn on the lamp As a result,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oduction cost increased.

한편, 최근 IoT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사물 인터넷을 통한 화재 발생 여부 감지 및 긴급 구조기관으로의 화재 신호 전송 기능을 구비한 소화기에 대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지고 있다.Meanwhile,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IoT technology, technology development for a fire extinguisher having a function of detecting whether a fire has occurred through the Internet of Things and transmitting a fire signal to an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is being actively performed.

IoT 기반 소화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의 일 예로서, 특허문헌3에서는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화재감시 및 대피경로 제공 소화 시스템 및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As an example of a prior art document related to an IoT-based fire extinguisher, Patent Document 3 proposes a 'fir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ire and providing an evacuation rout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특허문헌 3은 화재 상황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대피 관련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IoT 소화 시스템을 제안하나, 별도의 관리실 센터 서버를 두어 화재 발생 및 그에 따른 대피 정보 제공 조치를 수행하여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대, 기존 긴급 구조 기관을 이용한 화재 진화 조치 등에 대한 설계가 미흡하다.Patent Document 3 proposes an IoT fire extinguishing system that detects the occurrence of a fire situation and provides evacuation-related route information. The design of firefighting measures using large and existing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s is insufficient.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6586호(공고일자 2005년 09월 26일)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96586 (published on September 26, 200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7914호(공고일자 2018년 08월 13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87914 (published on August 13, 201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904031(공고일자 2018년 10월 04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04031 (announcement date October 04, 2018)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IoT 모듈에 의해 소화기 주변의 실시간 화재 상황 감지 및 화재 발생 신호 전송을 수행하는 소화기 및 이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소화기 어셈블리로서, 특히 화재 발생 신호를 긴급 구조 기관 뿐만 아니라, 기 설정 거리 내 위치하는 소화기 어셈블리나 기 등록 외부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는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및 이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소화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s a fire extinguisher assembly including a fire extinguisher for real-time detection of a fire situation around the fire extinguisher and transmission of a fire occurrence signal by an IoT module, and a cradle for mounting the fire extinguish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extinguisher assembly including an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that can provide a signal not only to an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but also to a fire extinguisher assembly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or an external terminal registered in the preset distance, and a cradle for mounting the same.

그리고, 소화기 점검 정보나 소화기 사용정보 등 소화기 관련 정보를 외부 단말기를 통해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및 이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소화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extinguisher assembly including an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that can read fire extinguisher-related information such as fire extinguisher inspection information or fire extinguisher use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and a cradle for mounting the same.

그리고, 헤드부에 위치하는 호각 및 비상망치를 통해 연무 등의 다량 발생 상황에서 소화기 이용자의 위치를 다른 사람에게 적절히 알릴 수 있고, 또한 위급시 창문을 깰 수 있는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및 이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소화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that can properly inform others of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user in a situation where a large amount of smoke is generated through the whistle and emergency hammer located in the head, and can also break the window in case of emergency To provide a fire extinguisher assembly including a cradle.

그리고, 레버부의 회동에 의해 소화제(消火劑)의 분사 및 램프의 점등이 함께 이루어지는바 위급한 상황에서 간단히 작동시킬 수 있고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도 주변 시야를 확보하여 화재를 적절히 초기 진압할 수 있는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및 이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소화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by rotating the lever par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prayed and the lamp is turned on together, so it can be operated simply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even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due to a fire, it can secure the peripheral vision to properly extinguish the initial fire. It is to provide a fire extinguisher assembly including an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and a cradle for mounting the same.

그리고, 램프 커버를 눌러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는바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도 주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위급 상황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는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및 이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소화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 fire extinguisher including an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that can turn on the lamp by pressing the lamp cover, which can secure the surrounding view even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due to a fire and inform others of an emergency situation, and a cradle for mounting it to provide assembly.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소화제(消火劑) 용기가 수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 외면부에 결합되는 헤드부;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헤드부의 어느 일 영역에 위치하고 온도, 연무 및 화염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간 측정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의해 측정된 온도, 연무 및 화염 정보 중 어느 하나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화재 상황 발생 여부를 판명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화재 상황 발생으로 판단된 경우, 제 1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기 등록된 긴급 구조 기관에 전송하고,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소화기 어셈블리 및 기 등록된 외부 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 2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IoT 모듈; 및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헤드부의 어느 일 영역에 위치하고, 소화기 점검 정보, 소화기 사용정보 및 화재 발생 시 예상 피난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고, 외부 단말기에 의해 판독 가능한 코드부를 포함하는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portion in which the extinguishing agent (消火劑) container is accommodated; a head portion coupled to an outer surface portion of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 sensor that is located in any one area of the body or the head and measures any one or more of temperature, haze, and flame information in real time; a processor for determining whether a fire situation has occurred by determining whether any one of the temperature, haze, and flam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exceeds a preset value; and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processor that a fire situation has occurred, a first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is transmitted to a previously registered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and the first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is transmitted to any one or more of a fire extinguisher assembly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reviously registered external terminal. 2 IoT module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and a code part that is located in any one area of the body part or the head part, provides at least one of fire extinguisher inspection information, fire extinguisher use information, and an expected evacuation route in case of a fire, and includes a code part readable by an external terminal. It's about fire extinguishers.

여기서, 상기 IoT 모듈은 기 등록된 긴급 구조 기관 정보, 화재 신호 연계 소화기 설정 정보 및 기 설정 외부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oT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including pre-registered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information, fire signal-linked fire extinguisher setting information, and pre-set external terminal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IoT 모듈은 긴급 화재 발생 신고용 부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부저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눌리는 경우 상기 제 1 화재 상황 발생 신호 및 제 2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Here, the IoT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buzzer for reporting an emergency fire, and 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the first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and the second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when the buzzer is pressed for a preset time or longer.

여기서, 상기 스마트 소화기는 내부의 밸브를 개폐시키는 누름부가 구비된 마개부와 상기 소화제(消火劑) 용기의 일측 단부가 상기 몸체부 일측 내면부에 형성된 돌출턱의 양측에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밸브의 개방시 상기 소화제(消火劑) 용기 내부와 연통되어 소화제(消火劑)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노즐부; 및 손잡이의 일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손잡이에 힘이 가해져서 회동될 경우 상기 밸브를 개방시켜 소화제(消火劑)를 상기 노즐부를 통해 외부로 분출시킬 수 있다.Here, in the smart fire extinguisher, a stopper provided with a press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an internal valve and one end of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may be coupled from both sides of a protruding jaw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head The nozzle unit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when the valve is opened to eject the extinguishing agent to the outside; and a lever part in which a part of the handl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ead part and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head part, and the lever part opens the valv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and rotates to open the extinguishing agent (消火劑) can be ej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zzle unit.

여기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밸브의 개방시 상기 소화제(消火劑) 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유도관; 상기 유도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누름부와 접촉되는 누름판; 상기 레버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누름판이 하강하도록 안내하는 누름판 하강 가이드; 및 상기 유도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면부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헤드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타단에 존재하는 원통형 회전 부재; 상기 원통형 회전 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 내측의 어느 일 영역에 고정 위치하는 회전축; 상기 원통형 회전 부재와 손잡이를 연결하고, 상기 노즐부의 상기 유도관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내부 중공 영역을 포함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하는 가이드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nozzle part is an induct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when the valve is opened; a pressing plate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tube, one surfac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art; a pressing plate lowering guide for guiding the pressing plate to descend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part; and a nozz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tube and having one end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or to the outside, wherein the lever portion includes: a handle protruding outside the head; a cylindrical rotating member present at the other end of the handle; a rotation shaft formed through the cylindrical rotation member and fixedly positioned in any one area inside the head part;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cylindrical rotating member and the handle, and including an inner hollow region formed so that the guide tube of the nozzle part can pass therethrough; And it may include a guide coupling member locat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member.

여기서, 상기 가이드 결합 부재는 상기 레버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노즐부에 포함되는 상기 누름판이 하강하도록 상기 누름판 하강 가이드와 맞물린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손잡이에 힘이 가해져서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가이드 결합 부재가 하향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 결합 부재와 맞물린 상태로 존재하는 누름판 하강 가이드가 상기 누름판을 하강시키고, 하강된 상기 누름판이 상기 누름부를 눌러 상기 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다.Here, the guide coupling member may exist in a state engaged with the pressing plate lowering guide so that the pressing plate included in the nozzle part is lowered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part. In this cas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and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guide coupling member move downward relative to the rotation axis, the pressure plate lowering guide existing in a state engaged with the guide coupling member lowers the pressure plate, The pressing plate may press the pressing part to open the valve.

여기서, 상기 헤드부는 어느 일단이 헤드부(20)의 호각 개방홀(22)을 매개로 외부 노출되고, 어느 타단이 상기 헤드부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존재하는 호각; 및 상기 호각을 상기 헤드부 내부에서 고정시키는 한 쌍의 호각 고정 가이드를 포함하는 호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one end of the head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histle opening hole 22 of the head part 20, and the other end of the head part is fixed inside the head part; and a whistle portion including a pair of whistle fixing guides for fixing the whistle within the head portion.

여기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밸브의 개방시 상기 소화제(消火劑) 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유도관; 상기 유도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누름부와 접촉되는 누름판; 및 상기 유도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면부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는 일면 중앙부에 제 1 회전축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회전판; 일면 중앙부에 제 2 회전축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회전판; 및 상기 헤드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반대편 단부가 상기 제 1 회전판 및 상기 제 2 회전판의 일측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는 상기 유도관이 상기 제 1 회전판과 상기 제 2 회전판 사이의 공간을 지나가도록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nozzle part is an induct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when the valve is opened; a pressing plate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tube, one surfac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art; and a nozz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tube and having one end exposed to the outsid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wherein the lever part includes: a first rotating plate in which a first rotating shaft protrudes outwardly from a central portion of one surface; a second rotating plate having a second rotating shaft protruding outwardly from a central portion of one surface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rotating plate; and the handle in which an opposite end of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ead part is integrally formed with one end of the first rotating plate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wherein the nozzle unit includes the guide tube and the first rotating plate and the first rotating plate It may be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rotating plates.

여기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누름판의 타면이 상기 제 1 회전판 및 상기 제 2 회전판의 테두리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1 회전판 및 상기 제 2 회전판의 테두리부 일측에는 상기 제 1 회전축 또는 상기 제 2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제 1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에 힘이 가해져서 상기 레버부가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상기 제 1 돌출부가 상기 누름판을 외측으로 밀고 상기 누름판이 상기 누름부를 눌러 상기 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다.Here, the nozzle unit is installed so that the other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is slidably in contact with the rim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and the first rotating shaft or A first protrusion formed to be farther away from the second rotational shaft is formed, and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to rotate the lever part about the first rotational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al shaft, the first projection is the pressing plate may be pushed outward and the pressing plate may open the valve by pressing the pressing part.

여기서, 상기 스마트 소화기는 일측면에 램프가 구비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램프 모듈; 상기 램프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 및 상기 램프를 커버하여 보호하며 내측 단부가 상기 램프 모듈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램프 커버;를 포함하는 램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mart fire extinguisher includes a lamp module including a support plate provided with a lamp on one side;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amp module; and a lamp cover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lamp, has an inner end install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lamp module, and has an outer e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ead unit.

여기서, 상기 램프 모듈은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램프 커버가 서로 인접해지도록 밀리면 작동되어 상기 램프를 점등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램프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면부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램프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손잡이에 힘이 가해져서 상기 레버부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램프 모듈 및 상기 전지를 상기 램프 커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헤드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amp modul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and is operated when the support plate and the lamp cover are push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to turn on the lamp. a receiv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lamp part to be movab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epth direction from the part; and an interlocking memb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head part to move the lamp module and the battery in the direction of the lamp cover as the lever part rotates as a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여기서, 상기 제 1 회전판 및 상기 제 2 회전판의 테두리부 타측에는 제 1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동 부재는 측면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톱니부; 및 측면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손잡이에 힘이 가해져서 상기 레버부가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상기 제 1 톱니부에 맞물리는 상기 제 2 톱니부에 의해 상기 연동부재가 회동되면서 상기 제 2 돌출부가 상기 램프 모듈 및 상기 전지를 상기 램프 커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Here, a first toothed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im of the first rotary plate and the second rotary plate, and the interlocking member includes a second tooth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portion;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ide part. In this cas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and the lever part is rotated about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the interlocking member is rotated by the second toothed portion engaged with the first toothed portion while the second rotational shaft is rotated. 2 The protrusion may move the lamp module and the battery toward the lamp cover.

여기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비상망치; 및 상기 비상망치를 커버하도록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상망치 커버;를 포함하는 망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head portion is an emergency hammer coupl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and an emergency hammer cover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ead part so as to cover the emergency hammer.

본 발명은 또한, 상기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및 상기 소화기를 거치하고 있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소화기 어셈블리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And it relates to a fire extinguisher assembly including a cradle on which the fire extinguisher is mounted.

여기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소화기가 이격 분리될 경우 음성 알람을 제공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radle may include a speaker that provides a voice alarm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separated.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에 의하면, 화재 상황에 대한 감지 및 그에 따른 화재 발생 신호의 전송에 긴급 구조 기관 뿐만 아니라, 기 설정 거리 내 존재하는 소화기 어셈블리나 외부 단말기에도 화재 발생 신호를 전송할 수 있어, 화재 발생에 따른 긴급 조치 수단 강구의 다각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e occurrence signal can be transmitted not only to an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but also to a fire extinguisher assembly or an external terminal existing within a preset distance for detecting a fire situation and transmitting a fire occurrence signal accordingly. , it is possible to diversify the provision of emergency measures in case of fire.

그리고, 소화기 점검 정보나 소화기 사용정보 등 소화기 관련 정보를 외부 단말기를 통해 판독할 수 있도록 하여 소화기 이용자의 소화기 관련 정보 접근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fire extinguisher users have easy access to fire extinguisher-related information by making it possible to read fire extinguisher-related information, such as fire extinguisher inspection information or fire extinguisher use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그리고, 연무 등이 다량 발생하는 화재 상황에서 소화기 이용자의 위치를 다른 사람에게 적절히 알릴 수 있고, 또한 위급시 창문을 깰 수 있어 긴급 피난 및 구호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perly inform others of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user in a fire situation in which a large amount of fumes or the like occur, and also to break the window in case of an emergency to ensure emergency evacuation and ease of relief.

그리고, 레버부의 회동에 의해 소화제(消火劑)의 분사 및 램프의 점등이 함께 이루어지는바 위급한 상황에서 간단히 작동시킬 수 있고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도 주변 시야를 확보하여 화재를 적절히 초기 진압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rotating the lever par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prayed and the lamp is turned on together, so it can be operated simply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even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due to a fire, it can secure the peripheral vision to properly extinguish the initial fire. there is.

그리고, 램프 커버를 눌러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는바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도 주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위급 상황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the lamp can be turned on by pressing the lamp cover, so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a peripheral view even during a power outage due to a fire, and to inform other people of an emergency situation is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에 포함되는 IoT 모듈의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의 일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4, 도 7 및 도 8은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의 헤드부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의 노즐부 구조의 일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9는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의 레버부 구조의 일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block diagram of an IoT module included in an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3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4, 7 and 8 are views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ead part of the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pecific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e nozzle unit of the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6 and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pecific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e lever part of the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is embodiment allows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ompletely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emplary”, etc. are to be construed as advantageous in which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is preferred or advantageous over other aspects or designs. it is not doing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Also, the term 'or' means 'inclusive or' rather than 'exclusive or'. That is, unless stated otherwise or clear from context, the expression 'x employs a or b' means any one of 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as used herein and in the claims, the singular expression "a" or "an" generally means "one or more" unless stated otherwise or clear from the context that it relates to the singular form. should be interpreted as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Meanwhi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properly expres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or operator, or customs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ccordingly,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에 포함되는 IoT 모듈의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의 일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n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block diagram of the IoT module included in the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diagram showin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1)는 내부에 소화제(消火劑)((消火劑) 용기(30)가 수용되는 몸체부(10); 몸체부(10)의 일측 외면부에 결합되는 헤드부(20); 몸체부(10) 또는 헤드부(20)의 어느 일 영역에 위치하는 IoT 모듈(40): 및 코드부(50)을 포함한다.The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0 in which an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is accommodated; a head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 The part 20; the body part 10 or the IoT module 40 located in any one area of the head part 20: and a code part 50.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1)는,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화재 상황을 실시간 감지하고, 화재 발생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 발생 신호를 119 등의 긴급 구조 기관과 인근 소화기 어셈블리나 기 등록된 사용자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IoT 모듈(40)을 통해 구현하고, 소화기 사용법이나 점검 상태 및 화재 시 피난 경로 등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태그 기반의 코드부(50)를 통해 습득할 수 있다.The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fire situation in real time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nd when it is determined as a fire situation, transmits a fire occurrence signal to an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such as 119 and a nearby fire extinguisher assembly or pre-registered fire extinguisher assembly. The function to transmit to the user's external terminal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IoT module 40, and information on how to use a fire extinguisher, inspection status, and an evacuation route in case of fire can be acquired through the smart tag-based code unit 50.

IoT 모듈(40)은, 소화기(1)의 몸체부(10)나 헤드부(20)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한다. 도 1에는 비록 몸체부(10)의 외부에 IoT 모듈(40)이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일례에 불과할 뿐, IoT 모듈(40)은 헤드부(20)의 어느 일 외부 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The IoT module 40 is located in any one of the body part 10 and the head part 20 of the fire extinguisher 1 . Although it is shown in FIG. 1 that the IoT module 40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0 , this is only an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oT module 40 is located outside any one of the head part 20 . It may be located in an area.

IoT 모듈(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연무 및 화염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간 측정하는 센서(41); 센서(41)의 의해 측정된 온도, 연무 및 화염 정보 중 어느 하나가 기 설정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화재 상황 발생 여부를 판명하는 프로세서(42); 및 프로세서(42)에 의해 화재 상황 발생으로 판단된 경우, 제 1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기 등록된 긴급 구조 기관에 전송하고,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소화기 어셈블리 및 기 등록된 외부 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 2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43)를 포함한다.IoT module 40, as shown in Figure 2, a sensor 41 for measuring any one or more of temperature, haze and flame information in real time; a processor 42 for determining whether a fire situation has occurred by determining whether any one of the temperature, haze, and flam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41 exceeds a preset value; and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processor 42 that a fire situation has occurred, a first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is transmitted to a registered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and any one or more of a fire extinguisher assembly and a previously registered external terminal existing within a preset distance and a communication unit 43 for transmitting a second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to the .

IoT 모듈(40)은 각 구성이 프로세서(42)에 의해 제어되며, 프로세서(42)의 동작에 의해 각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Each configuration of the IoT module 40 is controlled by the processor 42 , and each function may be implemented by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42 .

센서(41)는, 온도, 연무 및 화염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온도, 연무 및 화염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일 수 있다.The sensor 41 is to measure any one or more of temperature, haze, and flame information, and may be, for example, a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haze, and flame information.

센서(41)는, 단일 센서로서 온도, 연무 및 화염 정보를 모두 측정할 수도 있고, 또는 2종이나 3종의 개별 센서로서 온도, 연무 및 화염 정보를 각각 측정할 수도 있다.The sensor 41 may measure both temperature, haze and flame information as a single sensor, or may measure temperature, haze and flame information respectively as two or three separate sensors.

하나의 예시에서, 센서(41)는 온도 측정 제 1 센서, 연무 측정 제 2 센서 및 화염 측정 제 3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ensor 41 may include a temperature measurement first sensor, a haze measurement second sensor and a flame measurement third sensor.

프로세서(42)는, 센서(41)에 의해 측정된 온도, 연무 및 화염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온도, 연무 및 화염 정보에 대한 임계치와 비교 분석을 수행한 후, 화재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rocessor 42 analyzes the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haze and flame measured by the sensor 41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with a threshold value for preset temperature, haze and flame information, and then determines whether a fire situation occurs perform the function

화재 상황 발생 여부 판단에 이용되는 기 설정된 온도, 연무 및 화염 정보에 대한 임계치나 기 설정 값은, 예를 들면 IoT 모듈(40)의 메모리부(44)에 저장된 값 일 수 있다.Thresholds or preset values for preset temperature, haze, and flame information used to determine whether a fire situation occurs may be, for example, a value stored in the memory unit 44 of the IoT module 40 .

프로세서(42)는, 센서(41)에 의해 측정된 온도, 연무 및 화염 정보 중 어느 하나라도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화재 발생으로 판단하는데, 이 경우 통신부(43)는 해당 화재 상황 발생으로 판단함에 있어 기여된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The processor 42 determines that a fire occurs when any one of the temperature, haze, and flam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41 exceeds a preset value, and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43 determines that the fire situation has occurred Contributed data can be transmitted together.

통신부(43)는 프로세서(42)에 의해 화재 발생으로 판단된 경우, 제 1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기 등록된 긴급 구조 기관에 전송하고,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소화기 어셈블리 및 기 등록된 외부 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 2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한다.When it is determined by the processor 42 that a fire has occurred, the communication unit 43 transmits a first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to a pre-registered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and among the fire extinguisher assembly and pre-registered external terminals existing within a preset distance. Transmits a second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to one or more.

통신부(43)가 전송하는 제 1 화재 상황 발생 신호 및 제 2 화재 상황 발생 신호에는, 예를 들면 화재 발생 위치, IoT 모듈(40)이 포함되어 있는 소화기 정보, 소화기 관리자 정보 및 화재 상황 발생 판단 기여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화기 정보에는, 소화기 제조일자, 소화기 비치일자 또는 소화기 점검 일자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소화기 관리자 정보에는 소화기 관리자 이름 또는 연락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화재 상황 발생 판단 기여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42)가 화재 상황 발생으로 판단함에 있어 기여한 온도 데이터, 연무 데이터 및 화염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The first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and the second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43 include, for example, a fire location, fire extinguisher information including the IoT module 40, fire extinguisher manager information, and fire situation occurrence determination contribution data may be included. The fire extinguisher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fire extinguisher manufacturing date, a fire extinguisher installation date, or a fire extinguisher inspection date, and the fire extinguisher manager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fire extinguisher manager name or contact information, and the fire situation occurrence determination contribution data includes , for example, the processor 42 may include any one or more data of temperature data, haze data, and flame data contributed in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 fire situation.

상기 제 1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기 등록된 긴급 구조 기관은, 예를 들면 119, 112 또는 국가재난관리센터 등 일 수 있다.The pre-registered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that transmits the first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may be, for example, 119, 112 or a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center.

상기 제 2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소화기 어셈블리는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반경 수십 내지 수천미터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소화기 어셈블리 일 수 있다. 상기 제 2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소화기 어셈블리는,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와 동일한 통신부(43)를 구비한 것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소화기 어셈블리 내 소화기에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소화기를 거치하는 거치대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fire extinguisher assembly that transmits the second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is present within a preset distance, and may be, for example, a fire extinguisher assembly existing within a radius of several tens to several thousand meters. The fire extinguisher assembly for receiving the second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may have, for example, the same communication unit 43 as the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provided in the fire extinguisher in the fire extinguisher assembly, or may be provided in a cradle on which the fire extinguisher is mounted.

상기 제 2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기 등록된 외부 단말기는, 예를 들면 소화기 구매자가 등록된 단말기로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스마트 디바이스 일 수 있다.The pre-registered external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second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is, for example, a terminal to which a purchaser of a fire extinguisher is registered, and may be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통신부(43)는 제 1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기 등록된 긴급 구조 기관에 전송함으로써, 긴급 구조 기관이 화재 발생 장소로 빠른 시간 내에 출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동시에 제 2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근거리에 위치하는 소화기 어셈블리나 기 등록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긴급 구조 기관의 출동 이전이라도 인근에서의 즉각적이고 신속한 화재 진화 조치를 유도한다.The communication unit 43 transmits the first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to a previously registered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so that the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can quickly mobilize to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at the same time transmits the second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to a short distance. By transmitting to the located fire extinguisher assembly or registered user terminal, immediate and rapid fire extinguishing measures are induced in the vicinity even before the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is dispatched.

한편, 통신부(43)는 제 2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소화기 어셈블리 및 기 등록된 외부 단말기 모두에 동시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43 may simultaneously transmit the second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to both the fire extinguisher assembly existing within a preset distance and the pre-registered external terminal.

구체적인 예시에서, 통신부(43)는 프로세서(42)에 의해 화재 상황 발생으로 판단된 경우, 제 1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기 등록된 긴급 구조 기관에 전송하고,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소화기 어셈블리 및 기 등록된 외부 단말기에 제 2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a specific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processor 42 that a fire situation has occurred, the communication unit 43 transmits a first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to a pre-registered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and the fire extinguisher assembly and device existing within a preset distance. A second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registered external terminal.

통신부(43)는 또한, 다른 소화기나 소화기 어셈블리로부터 제공되는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수신된 화재 상황 발생 신호는 소화기 자체에 내장된 스피커 또는 상기 소화기의 거치대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주변에 음성 알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3 may also receive a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provided from another fire extinguisher or fire extinguisher assembly, and the received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speaker built into the fire extinguisher itself or a speaker provided on a cradle of the fire extinguisher.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voice notification in the vicinity.

통신부(43)가 제 1 화재 상황 발생 신호 및 제 2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은, 예를 들면 저전력 광대역 통신 네트워크 방식(LPWA Network), 또는 LTE, 4G 또는 5G 등의 셀룰러 통신 방식 또는,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이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3 transmits the first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and the second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for example, a low-power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LPWA Network), or a cellular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LTE, 4G or 5G, or,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Fi or Bluetooth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IoT 모듈(40)은 또한, 기 등록된 긴급 구조 기관 정보, 화재 신호 연계 소화기 설정 정보 및 기 설정 외부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oT module 4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44 including pre-registered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information, fire signal-linked fire extinguisher setting information, and pre-set external terminal information.

메모리부(44)는, 예를 들면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부(44)는 프로세서(42)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42)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The memory unit 44 may include, for example, a non-volatile memory, a volatile memory, a flash-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olid state drive (SSD). The memory unit 44 is accessed by the processor 42 , and reading/writing/modification/deletion/update of data by the processor 42 may be performed.

IoT 모듈(40)은, 또한 소화기 근처에 있던 제 3자의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화재 상황 발생 신호 전송을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oT module 40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for direct and immediate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transmission to a third party in the vicinity of the fire extinguisher.

하나의 예시에서, IoT 모듈(40)은 긴급 화재 발생 신고용 부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43)는 부저(45)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눌리는 경우 상기 제 1 화재 상황 발생 신호 및 제 2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IoT module 40 may further include a buzzer 45 for reporting an emergency fire. In this case, when the buzzer 45 is press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the communication unit 43 may transmit the first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and the second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구체적으로, IoT 모듈(40)은 외부의 어느 일면에 버튼 형태의 긴급 화재 발생 신고용 부저(4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42)는 부저(45)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눌리는지를 판단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눌리어 긴급 화재 발생으로 판명되는 경우, 상기 제 1 화재 발생 신호 및 제 2 화재 발생 신호를 각각 전송하도록 통신부(43)를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oT module 40 may further include a buzzer 45 for reporting an emergency fire in the form of a button on which side of the outside, and the processor 42 determines whether the buzzer 45 is pressed for a preset time or longer. After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fire has occurred by being pressed for a preset time or longer, the communication unit 43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first fire occurrence signal and the second fire occurrence signal, respectively.

IoT 모듈(40)은 또한, 외부 소화기나 소화기 어셈블리로부터 제공되어 통신부(43)에 수신되는 화재 상황 발생 신호와 상응하는 화재 상황 발생 알림을 음성 제공하는 스피커(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oT module 40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46 that provides a sound of a fire situation occurrence notification corresponding to a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fire extinguisher or fire extinguisher assembly and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43 .

코드부(50)는, 소화기(1)의 몸체부(10)나 헤드부(20)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한다. 도 1에는 비록 몸체부(10)의 외부에 코드부(50)가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일례에 불과할 뿐, 코드부(50)는 헤드부(20)의 어느 일 외부 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The code part 50 is located in any one of the body part 10 and the head part 20 of the fire extinguisher 1 . Although it is shown in FIG. 1 that the code part 50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0 , this is only an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de part 50 is any one outside of the head part 20 . It may be located in an area.

코드부(50)는 소화기 점검 정보, 소화기 사용정보 및 화재 발생 시 예상 피난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외부 단말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것이다.The code unit 50 serves to provide at least one of fire extinguisher inspection information, fire extinguisher use information, and an expected evacuation route in case of a fire, and is readable by an external terminal.

코드부(50)가 제공되는 소화기 점검 정보에는 소화기 최초와 최종 점검 일자를 포함하는 점검 이력, 소화기 점검 결과, 소화기 점검 예정 일자 및 소화기 점검 방법 등과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소화기 사용정보에는 소화기 사용방법, 사용 시 유의사항 및 소화기 고장 시 조치사항 등과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The fire extinguisher insp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de unit 50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n inspection history including the first and last inspection dates of the fire extinguisher, the fire extinguisher inspection result, the scheduled date of the fire extinguisher inspection, and the fire extinguisher inspection method, and the fire extinguisher use information includes the fire extinguisher use Information such as method, precautions for use, and actions to be taken in case of fire extinguisher failure may be included.

바람직하게, 코드부(50)는 상기 소화기 점검 정보, 소화기 사용정보 및 화재 발생 시 예상 피난 경로를 모두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de unit 50 may provide all of the fire extinguisher inspection information, fire extinguisher use information, and an expected evacuation route in case of a fire.

코드부(50)는 QR 코드나, 바코드 또는 IC칩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외부 단말기,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판독 및 열람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형태이든 좋다.The code unit 5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QR code, a barcode, or an IC chip, but the for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f it can be read and viewed by a camera provided in an external terminal, specifically, a smartphone or tablet, etc. Any shape is fine.

코드부(50)의 구비를 통해, 소화기 이용자는 소화기 점검 정보, 소화기 사용정보, 화재 발생 시 예상 피난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rough the provision of the code unit 5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re extinguisher user can be immediately provided with at least one information of fire extinguisher inspection information, fire extinguisher use information, and an expected evacuation route in case of a fire.

이하,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몸체부(10)와 헤드부(20)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몸체부(10)는 내부에 소화제(消火劑) 용기(30)를 수용하여 동물의 몸통 형상을 이루고 헤드부(20)는 외형이 동물의 머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동물과 유사한 외형을 가지게 됨으로써, 소화제(消火劑) 용기(30)를 보호함과 아울러 심미감을 갖게 한다.The body part 10 and the head part 20 form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ody part 10 accommodates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therein. Thus, the body shape of the animal is formed, and the head portion 20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head of the animal to have an external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animal as a whole, thereby protecting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and having an aesthetic feeling.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0)는 외형이 코뿔소의 머리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코끼리의 머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head unit 20 may have an outer shape of a rhinoceros head or an elephant's head shape.

따라서, 일반적인 소화기가 외형이 미려하지 않고 빨간색으로 도색되어 있어 불안감을 조성하여 사용자가 소화기를 실내의 구석이나 가구 내부에 배치하게 됨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1)는 사용자가 집이나 차량 내의 잘 보이는 곳에 거부감 없이 배치 및 보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while a general fire extinguisher is not beautiful in appearance and is painted in red, which creates anxiety and causes the user to place the fire extinguisher in a corner of the room or inside the furniture, the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the user at home. Howev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placed and stored in a well visible place in the vehicle without objection.

소화제(消火劑) 용기(30)는 내부에 소화제(消火劑)가 충전되는 용기로서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제작되는 원통형의 용기이다. 소화제(消火劑)는 불을 끄기 위하여 사용되는 물질로서, 포말소화기에 사용되는 탄산수소나트륨, 카세인, 젤라틴, 사포닌, 소다회, 황산알루미늄 등과 분말소화기에 사용되는 특수가공한 탄산수소나트륨분말(소화용은 100메시 이상의 미세도가 필요함), 할론소화기에 사용되는 할론 1211, 이산화탄소소화기에 사용되는 이산화탄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질소, 이산화탄소, 할로겐 가스 등의 가스가 소화제(消火劑)와 함께 수용될 수도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is a container in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filled, and is generally a cylindrical container made of metal. Extinguishing agent is a substance used to put out fire. Specially processed sodium bicarbonate powder (for fire extinguishing) used in foam fire extinguishers such as sodium bicarbonate, casein, gelatin, saponin, soda ash, aluminum sulfate, etc. Silver 100 mesh or higher is required), Halon 1211 used for Halon fire extinguishers, carbon dioxide used for carbon dioxide fire extinguishers, etc. there is.

마개부(60)는 소화제(消火劑) 용기(3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소화제(消火劑) 용기(30)을 밀폐함으로써 소화제(消火劑) 용기(30) 내부 소화제(消火劑)의 누설을 방지하며, 내부에 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레버부의 회동에 의해 누름부(61)가 눌려질 경우 소화제(消火劑) 용기(30) 내부의 소화제(消火劑)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stopper 6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to seal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thereby leaking the extinguishing agent inside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A function of discharging the extinguishing agent inside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to the outside when the pressing part 61 is pressed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part because a valve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do

이를 위하여, 누름부(61) 내부에는 밸브가 개방될 경우 소화제(消火劑) 용기(30) 내부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마개부(60) 내부에는 누름부(61)를 외측 방향으로 미는 편향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 및 누름부(61)가 눌려짐에 따라 개방되는 밸브가 구비되게 된다.To this end, a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is formed inside the pressing part 61 when the valve is opened, and the pressing part 61 is moved outwardly inside the stopper 60 . A spring that generates a biasing force and a valve that opens as the pressing portion 61 is pressed is provided.

몸체부(10)는 일측은 헤드부(20)와 결합되고 타측은 내부에 소화제(消火劑) 용기(30)을 수용하는 부재이다.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 is coupled to the head portion 20 and the other side is a member for accommodating a fir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therein.

몸체부(10)의 타측은 전체적으로 타측 단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소화제(消火劑) 용기(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게 된다.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10 is general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other end open to accommodate a part or all of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therein.

몸체부(10)의 일측은 몸체부(10)의 타측보다 직경이 작은 고리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마개부(60)가 결합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몸체부(10) 일측의 내면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턱(11)이 구비된다.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 is formed in a ring-shaped shap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10, an opening to which the stopper portion 60 can be coupled is formed therein, and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 is formed.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jaw 11 protru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4 및 도 8에는 몸체부(10) 일측 내면부 전체에 돌출턱(11)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고리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돌출턱(11)은 반드시 몸체부(10) 일측 내면부 전체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몸체부(10) 일측 내면부의 일부에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4 and 8, the protrusion 11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entir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body 10 to form a ring shape, but the protrusion 11 is necessarily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body 10 It does not have to be formed in a ring shape on the entire part, and may be formed to partially protrude from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body part 10 .

그리고, 몸체부(10) 일측의 외측면에는 헤드부(20)와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for coupling with the head part 20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body part 10 .

다만, 몸체부(10)와 헤드부(20)는 리브가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구조 외에 나사결합, 접착 또는 융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However, the body portion 10 and the head portion 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various ways such as screw coupling, adhesion or fusion in addition to the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 rib is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이러한 몸체부(10) 일측은 강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소화기(1)의 전체적인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몸체부(10) 일측을 탄성이 있는 연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 is formed of a rigid synthetic resin material to increase the overall strength of the manual fire extinguish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 is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with elasticity. can also be formed with

다만, 몸체부(10) 일측을 탄성이 있는 연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마개부(60)를 사용하여 몸체부(10) 일측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몸체부(10)와 헤드부(20)가 결합되는 부분이 분리 또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 is formed of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lasticity, a stopper portion 60 having relatively high strength is used to prevent deformation of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 thereby preventing the body portion 10 from being deformed. It is preferable to prevent separation or destruction of the portion to which the head and the head 20 are coupled.

한편, 몸체부(10) 타측은 탄성이 있는 연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10 is preferably formed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lasticity.

이에 의하여, 소화제(消火劑) 용기(30)가 몸체부(10)에 수용되는 경우, 몸체부(10)의 타측이 소화제(消火劑) 용기(30)에 의해 인장되어 변형됨으로써 소화제(消火劑) 용기(30)의 외면부와 몸체부(10) 타측의 내면부가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is accommodated in the body portion 10,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10 is tensioned and deformed by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thereby ) The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container 30 and the inner surface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10 can be combined in close contact.

소화제(消火劑) 용기(30)와 마개부(60)는 몸체부(10) 일측 내면부에 형성된 돌출턱(11)의 양측에서 결합되는 방식으로 몸체부(10)와 결합된다.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and the stopper 60 are coupled to the body 10 in such a way that they are coupled from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1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body 10 .

이에 따라, 소화제(消火劑) 용기(30)와 마개부(60)는 서로 결합되어 소화제(消火劑) 용기(30) 내부 소화제(消火劑)의 누설을 방지함과 아울러, 소화제(消火劑) 용기(30)와 마개부(60) 사이에 위치되는 돌출턱(11)에 의해 몸체부(10)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게 된다.Accordingly,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and the stopper 6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prevent leakage of the extinguishing agent inside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and, as well as to prevent the extinguishing agent from leaking. The container 30 and the stopper 6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ody 10 by the protrusion 11 positioned between the container 30 and the stopper 60 .

헤드부(20)는, 노즐부(70), 레버부(80) 및 망치부(100)를 구비하고, 또한 구조에 따라 호각부(90) 및 램프부(100)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며, 손잡이(81)에 힘이 가해져서 레버부(80)가 회동될 경우 마개부(60)의 밸브를 개방시켜 소화제(消火劑) 용기(30) 내부의 소화제(消火劑)를 노즐부(70)을 통해 외부로 분출시키는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The head part 20 is provided with a nozzle part 70, a lever part 80 and a hammer part 100, and also has any one of a whistle part 90 and a lamp part 100 depending on the structure, When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81 and the lever part 80 is rotated, the valve of the stopper part 60 is opened to inject the extinguishing agent inside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into the nozzle part 70 It is a part that has a function of ejecting it to the outside through the

헤드부(20)에 구비되는 노즐부(70), 레버부(80) 및 망치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서 결합되는 한 쌍의 케이스에 의해 헤드부(20)의 구성요소로서 결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케이스는 체결볼트 및 너트가 사용되거나 접착 또는 융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nozzle part 70, the lever part 80, and the hammer part 100 provided in the head part 20 are, as shown in FIG. 3, the head part 20 by a pair of cases coupled from left to right. Can be coupled as a component of, a pair of cases can be coupled by using fastening bolts and nuts, or by bonding or fusion bonding.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케이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기둥 또는 보강바(21)가 구비되어 한 쌍의 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헤드부(20)의 전체적인 강도가 현저히 높아질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3 , at least one or more reinforcing pillars or reinforcing bars 21 ar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cases to be coupled to the pair of cases, whereby the overall strength of the head unit 20 . can be significantly higher.

다만, 이와 같이 헤드부(20) 외형의 대부분을 이루는 케이스가 반드시 좌우에서 결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케이스는 노즐부(70), 레버부(80) 및 망치부(100) 등의 구성요소와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However, the case constituting most of the outer shape of the head unit 20 as described abov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made of a pair coupled from the left and right, and the case includes the nozzle unit 70 , the lever unit 80 , and the hammer unit 100 . It can be designed in a variety of structures that can be easily combined with components while ensuring sufficient strength.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헤드부(20)의 제 1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rst structure of the head unit 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20)의 제 1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및 도 6은 헤드부(20)의 제 1 구조에 포함되는 노즐부(70) 및 레버부(80)의 상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4 shows a first structure of the head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nd 6 are a nozzle unit 70 and a lever unit 80 included in the first structure of the head unit 20 . The detailed structure of is show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0)는 노즐부(70) 및 레버부(80)를 포함할 수 있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70)는 상기 밸브의 개방시 소화제(消火劑) 용기(30) 내부와 연통되는 유도관(71); 유도관(7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일면이 누름부(61)와 접촉되는 누름판(72); 레버부(80)의 회동에 의해 누름판(72)이 하강하도록 안내하는 누름판 하강 가이드(73); 및 유도관(71)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고 일측 단부가 헤드부(20)의 외면부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노즐(7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80)는, 헤드부(20)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81); 손잡이(81)의 타단에 존재하는 원통형 회전 부재(82); 원통형 회전 부재(82)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헤드부(20) 내측의 어느 일 영역에 고정 위치하는 회전축(83); 원통형 회전 부재(82)와 손잡이(81)를 연결하고, 노즐부(70)의 유도관(71)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내부 중공 영역을 포함하는 연결 부재(84); 및 연결 부재(84)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하는 가이드 결합 부재(85)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head part 20 may include a nozzle part 70 and a lever part 80 , and 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nozzle part 70 is the valve. Inducing pipe 71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when the opening of the; a pressing plate 72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tube 71 and having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ortion 61; a pressure plate lowering guide 73 for guiding the pressure plate 72 to descend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part 80; and a nozzle 74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tube 71 and having one end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r the outside of the head portion 20; and the lever as shown in FIGS. 4 and 7 . The portion 80 includes a handle 81 protruding outside the head portion 20; a cylindrical rotating member 82 present at the other end of the handle 81; a rotation shaft 83 formed through the cylindrical rotation member 82 and fixedly positioned in any one area inside the head portion 20; a connecting member 84 connecting the cylindrical rotating member 82 and the handle 81 and including an inner hollow region formed so that the guide tube 71 of the nozzle unit 70 can pass therethrough; and a guide coupling member 85 position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member 84 .

헤드부(20)의 제 1 구조에 따른 노즐부(60)는, 마개부(60) 내부의 밸브 개방시에 소화제(消火劑) 용기(30) 내부와 연통되어 소화제(消火劑)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관(71), 누름판(72), 누름판 하강 가이드(73) 및 노즐(7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nozzle part 60 according to the first structure of the head part 20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when the valve inside the stopper part 60 is opened to release the extinguishing agent to the outside. As a component that functions to eject, as shown in FIGS. 5 and 6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tube 71 , a pressing plate 72 , a pressing plate lowering guide 73 , and a nozzle 74 .

유도관(71)은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누름판(72)으로부터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노즐(74)을 연결하는 긴 관의 형상을 갖는 구성요소로서, 누름판(72)으로부터 노즐(74)까지 연통되는 내부의 유로를 구비하고 있다.The guide pipe 71 is a component having the shape of a long tube connecting the nozzle 74 formed at the other end from the pressure plate 72 formed at one end, and is communicated from the pressure plate 72 to the nozzle 74 It has an internal flow path.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마개부(60)의 누름부(61) 내부에도 밸브 개방시에 소화제(消火劑) 용기(30) 내부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바, 유도관(71)은 마개부(60) 내부의 밸브 개방시에 소화제(消火劑) 용기(30) 내부와 연통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is also formed inside the pressing part 61 of the stopper 60 when the valve is opened, and the guide pipe 71 is a stopper When the valve inside the part 60 is opened,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

도 5 및 도 6에는 유도관(71)이 전체적으로 직선형 관이 중앙부에서 꺾여진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유도관(71)은 반드시 직선형 관이 꺾여진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유선형 등의 곡선형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5 and 6, the guide tube 71 is shown in a shape in which a straight tube is bent at the central part as a whole, but the guide tube 71 is not necessarily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straight tube is bent, and a curved line such as a streamline It may be formed in a tubular shape.

누름판(72)은 유도관(7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부재로서 노즐부(70)가 헤드부(20) 내에 설치될 경우 일면이 마개부(60)의 누름부(61)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부분이다.The pressing plate 72 is a member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tube 71 , and when the nozzle part 70 is installed in the head part 20 , one surface is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art 61 of the stopper part 60 . part to be

누름판(72)의 일면과 누름부(61)가 접촉됨으로써 누름판(72) 내부의 유로와 누름부(61) 내부의 유로가 서로 연통되게 되는바, 누름부(61)가 눌려져서 마개부(60) 내부의 밸브가 개방되면 소화제(消火劑) 용기(30) 내부의 소화제(消火劑)가 노즐부(74)를 통해 외부로 분출될 수 있게 된다.When one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72 and the pressing part 61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low path inside the pressing plate 72 and the pressing part 6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pressing part 61 is pressed to the stopper 60 ) When the internal valve is opened, the extinguishing agent inside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can be ej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zzle part 74 .

다만, 누름판(72)은 반드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유도관(71)과의 연결 부위에 직경확대부가 구비되어 누름판(72) 내부로 누름부(61)의 외측 단부가 소정 깊이만큼 누름판(72)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도 있으며, 누름판(72) 내부에는 소화제(消火劑)의 누출 방지를 위한 패킹부재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sing plate 72 is not necessarily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an enlarged diameter portion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guide tube 71 so that the outer end of the pressing portion 61 is inserted into the pressing plate 72 by a predetermined depth. (72)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the pressure plate 72 may be provided with a packing member for preventing leakage of the extinguishing agent (消消消劑) inside.

누름판 하강 가이드(73)는 레버부(80)의 회동에 의해 유도되는 동력을 누름판(72)에 전달하여 누름판(72)이 하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ressure plate descending guide 73 transmits the power induced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part 80 to the pressure plate 72 to guide the pressure plate 72 to descend.

구체적으로 누름판 하강 가이드(7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72) 부근 양측에 한 쌍을 이루며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가이드 결합 부재(85)와 맞물린 상태로 헤드부(20) 내에 존재하여 레버부(80)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결합 부재(85)를 매개로 누름판(72)이 하강하도록 안내하는 것 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sure plate lowering guide 73, as shown in FIG. 6, is coupled as a pair on both sides near the pressure plate 72, and is engaged with the guide coupling member 85 in the head portion 20. It may be to guide the pressure plate 72 to descend through the guide coupling member 85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ever part 80 in existence.

노즐(74)은 유도관(71)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부재로서 노즐부(70)가 헤드부(20) 내에 설치될 경우 일측 단부가 헤드부(20)의 외면부 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부분이다.The nozzle 74 is a member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pipe 71 , and when the nozzle unit 70 is installed in the head unit 20 , one end of the nozzle 74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r the outside of the head unit 20 . part to be

이러한 노즐(74)은 흐르는 유체의 방향을 조절하고 그 속도를 증가시키는 일반적인 노즐과 같은 기능을 하는바, 마개부(60) 내부의 밸브가 개방되어 노즐부(70)가 소화제(消火劑) 용기(30) 내부와 연통되면 최종적으로 소화제(消火劑)가 노즐(74)을 지나가면서 속도가 증가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This nozzle 74 functions like a general nozzle that controls the direction of the flowing fluid and increases the speed thereof, and the valve inside the stopper 60 is opened and the nozzle part 70 is a fir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When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the final extinguishing agent (消火劑) passes through the nozzle 74, and the speed is increas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헤드부(20)의 제 1 구조에 따른 레버부(80)는, 손잡이(81)에 힘이 가해져서 회동될 경우 마개부(60) 내부의 밸브를 개방시켜 소화제(消火劑) 용기(30) 내부의 소화제(消火劑)를 노즐부(70)을 통해 분출시키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손잡이(81), 원통형 회전 부재(82), 회전축(83), 연결 부재(84) 및 가이드 결합 부재(85)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lever part 80 according to the first structure of the head part 20 is rotated by applying force to the handle 81, the valve inside the stopper part 60 is opened to open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30. As a component that functions to ejec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nside through the nozzle unit 70, the handle 81, the cylindrical rotating member 82, the rotating shaft 83, the connecting member 84, and the guide coupling member (85) may be included.

원통형 회전 부재(82)는 원통형 형상으로 회전축(83)이 내부를 관통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손잡이(81)의 하단에 위치하여 손잡이(81)에서 제공되는 하강 동력의 축 역할을 회전축(83)과 함께 수행할 수 있다.The cylindrical rotation member 82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on shaft 83 passes through the inside, and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handle 81 to serve as a shaft of the descending power provided from the handle 81 . ) can be done with

회전축(83)은 원통형 회전 부재(82)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헤드부(20) 내측의 어느 일 영역에 고정 위치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회전축(83)은 헤드부(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위치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83 is formed through the cylindrical rotating member 82 and may be fixedly positioned in any one area inside the head part 20 , and specifically, the rotating shaft 83 is provided as long as it constitutes the head part 20 . It may be fixedly positioned on any one of the pair of cases.

회전축(83)과 원통형 회전 부재(82)는, 예를 들면 축 고정 부재(86)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축 고정 부재(86)는, 예를 들면 원통형 회전 부재(82)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회전축(83)과 원통형 회전 부재(82)를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The rotation shaft 83 and the cylindrical rotation member 82 may be coupled and fixed by, for example, a shaft fixing member 86 . The shaft fixing member 86 may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cylindrical rotation member 82 to couple and fix the rotation shaft 83 and the cylindrical rotation member 82 .

연결 부재(84)는 헤드부(20)의 제 2 구조에 포함되는 제 1 회전판 및 제 2 회전판과 상응하는 구성으로서, 원통형 회전 부재(82)와 손잡이(81)를 연결하고, 노즐부(70)의 유도관(71)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내부 중공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1)에서는, 유도관(71)이 헤드부(2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80)에 포함되는 연결 부재(84)의 상기 중공 영역을 지나가도록 노즐부(70)를 설치함으로써, 컴팩트한 헤드부(20) 내부 공간에 노즐부(70)와 레버부(80) 등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 connecting member 84 i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included in the second structure of the head unit 20, and connects the cylindrical rotating member 82 and the handle 81, and the nozzle unit 70 ) may include an inner hollow region formed so that the guide tube 71 can pass therethrough. In the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ipe 71 passes the hollow region of the connection member 84 included in the lever part 80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head part 20 . By installing the nozzle part 70 in such a way tha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rrange the nozzle part 70 and the lever part 80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ompact head part 20 , there is an advantage.

가이드 결합 부재(85)는 연결 부재(84)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재(84)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The guide coupling member 85 may be locat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member 84 , and preferably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member 84 .

가이드 결합 부재(85)는, 레버부(80)의 회동에 의해 노즐부(70)에 포함되는 누름판(72)이 하강하도록 누름판 하강 가이드(73)와 맞물린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81)에 힘이 가해져서 회전축(83)을 기준으로 연결 부재(84) 및 가이드 결합 부재(85)가 하향 이동하면, 가이드 결합 부재(85)와 맞물린 상태로 존재하는 누름판 하강 가이드(730)가 누름판(72)을 하강시키고, 궁극적으로 하강된 누름판(72)이 누름부(61)를 눌러 상기 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다. The guide coupling member 85 may exist in a state engaged with the pressing plate lowering guide 73 so that the pressing plate 72 included in the nozzle part 70 descends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part 80 . Therefor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81 and the connecting member 84 and the guide coupling member 85 move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83 , the pressure plate lowering guide that exists in a state engaged with the guide coupling member 85 . 730 lowers the pressing plate 72 , and ultimately the lowered pressing plate 72 presses the pressing part 61 to open the valve.

헤드부(20)의 제 1 구조는 또한, 화재 상황 발생 시 긴급 구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호각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tructure of the head unit 20 may further include a whistle unit 90 capable of implementing an emergency relief function when a fire situation occurs.

구체적으로, 헤드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일단이 헤드부(20)의 호각 개방홀(22)을 매개로 외부 노출되고, 어느 타단이 헤드부(20)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존재하는 호각(91); 및 호각(91)을 헤드부(20) 내부에서 고정시키는 한 쌍의 호각 고정 가이드(92)를 포함하는 호각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부(20)는 소화기 사용자가 호각(91)을 사용하여 긴급 구호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호각(91)의 어느 일단을 외부로 개방시키는 호각 개방홀(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 the head unit 20 has one e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histle opening hole 22 of the head unit 20 , and the other end is inside the head unit 20 , as shown in FIG. Whistle 91 that exists in a fixed state;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whistle portion 90 including a pair of whistle fixing guides 92 for fixing the whistle 91 in the head portion 20 inside. In this case, the head unit 20 may further include a whistle opening hole 22 for opening any one end of the whistle 91 to the outside so that the fire extinguisher user can perform emergency relief activities using the whistle 91 . there is.

헤드부(20)의 제 1 구조는 또한, 헤드부(20)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비상망치(101); 및 비상망치(101)를 커버하도록 헤드부(20)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상망치 커버(102)를 포함하는 망치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tructure of the head portion 20 also includes an emergency hammer 101 coupl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20;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hammer part 100 including an emergency hammer cover 102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ead part 20 so as to cover the emergency hammer 101 .

비상망치(101)는 헤드부(20)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비상용 망치로서, 내측 단부는 도브테일 형상의 단면을 갖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헤드부(20)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며, 외측 단부는 전체적으로 끝이 뾰족한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충격부가 형성된다.The emergency hammer 101 is an emergency hammer coupl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head unit 20, and the inner end is formed with a fixing unit having a dovetail-shaped cross section a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head unit 20, and the outer end is generally An impact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pointed cone is formed.

이러한 비상망치(101)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로 제작되어 헤드부(20)의 일측에 고정되게 된다.The emergency hammer 101 is made of a metal or non-metal material having sufficient strength a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20 .

그리고, 비상망치 커버(102)는 헤드부(20)의 일측에 헤드부(20)의 케이스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이다.And, the emergency hammer cover 102 is a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of the head unit 20 on one side of the head unit 20 .

따라서, 평상시에는 헤드부(20)에 결합되어 비상망치(101)를 커버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비상망치(101)에 의해 다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위급시에는 사용자가 비상망치 커버(102)를 헤드부(20)로부터 분리시켜 비상망치(90)를 외부로 노출시킨 후 비상망치(101)로 창문을 깰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normal times, it is coupled to the head unit 20 to cover the emergency hammer 101, thereby preventing injury by the emergency hammer 101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etc., and in an emergency, the user can use the emergency hammer cover 102 After separating from the head part 20 to expose the emergency hammer 90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break the window with the emergency hammer 101 .

이하,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헤드부(20)의 제 2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econd structure of the head unit 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

헤드부(20)의 제 2 구조는,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70), 레버부(80) 및 램프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tructure of the head unit 20 may include a nozzle unit 70 , a lever unit 80 , and a lamp unit 110 as shown in FIGS. 7 and 8 .

헤드부(20)의 제 2 구조에 따른 노즐부(70)는 유도관(71), 유도관(7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일면이 누름부(61)와 접촉되는 누름판(72); 및 유도관(71)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고 일측 단부가 헤드부(20)의 외면부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노즐(7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nozzle unit 70 according to the second structure of the head unit 20 includes a guide tube 71, a pressure plate 72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tube 71 and one surfac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ortion 61; and a nozzle 74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tube 71 and having one end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r the outside of the head unit 20 .

헤드부(20)의 제 2 구조에 따른 노즐부(70)는, 헤드부(20)의 제 1 구조에 따른 노즐부(70)와는 달리 누름판 하강 가이드(73)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별도의 누름판 하강 가이드(73) 없이 레버부(80)의 구조에 의해 누름판(72)의 하강이 유도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nozzle unit 70 according to the second structure of the head unit 20 may not include the pressure plate lowering guide 73 unlike the nozzle unit 70 according to the first structure of the head unit 20 , which This is because the lowering of the pressing plate 72 can be induced by the structure of the lever part 80 without a separate pressing plate descending guide 73 .

헤드부(20)의 제 2 구조에 따른 노즐부(70)의 유도관(71), 누름판(72) 및 노즐(74)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 1 구조에 따른 노즐부(70)에서 언급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guide tube 71 , the pressure plate 72 , and the nozzle 74 of the nozzle unit 70 according to the second structure of the head unit 20 is described in the nozzle unit 70 according to the first structure. practically the same as

헤드부(20)의 제 2 구조에 따른 레버부(80)는 손잡이(81)의 일부가 헤드부(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헤드부(2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회전판(87), 제 2 회전판(88) 및 손잡이(8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ever part 80 according to the second structure of the head part 20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head part 20 so that a part of the handle 8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ead part 20, and the first rotating plate (87), the second rotary plate (88)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handle (81).

제 1 회전판(87)과 제 2 회전판(88)은 대략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부재로서, 제 1 회전판(87)의 일면 중앙부에는 제 1 회전축(871)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 2 회전판(88)의 일면 중앙부에는 제 2 회전축(881)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first rotating plate 87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88 are formed in an approximately disk shape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ranged in parallel, and at the center of one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plate 87 is a first rotating shaft 871 . It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and a second rotation shaft 881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in the central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second rotation plate 88 .

손잡이(81)는 사용자가 손으로 당겨 힘을 가함으로써 레버부(80)를 회동시킬 수 있는 부분으로서, 레버부(80)가 헤드부(2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경우 일부는 헤드부(20)의 외부로 노출되게 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반대편 단부는 제 1 회전판(87) 및 제 2 회전판(88)의 일측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The handle 81 is a part that can rotate the lever part 80 by the user pulling it by hand and applying a force. When the lever part 80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head part 20, some of the head part (2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s shown in FIG. 9, the opposite end of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ead part 20 is one end of the first rotating plate 87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88 and will be formed integrally.

이와 같이, 제 1 회전판(87) 및 제 2 회전판(88)의 일측 단부는 손잡이(81)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제 1 회전판(87)과 제 2 회전판(88)이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제 1 회전판(87) 및 제 2 회전판(88)의 타측 단부 사이에도 제 1 회전판(87) 및 제 2 회전판(88)의 테두리부 사이를 이어주면서 양자 사이의 거리가 유지되도록 지지해주는 연결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way, one end of the first rotating plate 87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88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andle 81, and the first rotating plate 87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88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maintained while connecting between the rims of the first rotating plate 87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88 also between the other ends of the first rotating plate 87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88 so that they can be arranged in parallel. It is preferable that a connecting rib for supporting it is formed as much as possible.

이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레버부(80)가 헤드부(20) 내부에 설치될 경우 제 1 회전축(871) 및 제 2 회전축(881)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게 되며, 제 1 회전판(87)과 제 2 회전판(88) 사이에는 레버부(80)가 일정 정도 회동되어도 노즐부(70)의 유도관(71)이 걸림 없이 지나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With this structure, when the lever part 80 is installed inside the head part 20, it is rotatably installed by the first rotation shaft 871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881, and the first rotation plate 87 )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88, even when the lever part 80 is rotated to a certain extent, a space is formed in which the guide pipe 71 of the nozzle part 70 can pass without being jamm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1)에서는, 유도관(71)이 헤드부(2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80)의 제 1 회전판(87)과 제 2 회전판(88) 사이의 공간을 지나가도록 노즐부(70)를 설치함으로써, 컴팩트한 헤드부(20) 내부 공간에 노즐부(70)와 레버부(80) 등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tating plate 87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 88), by installing the nozzle part 70 to pas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nozzle part 70 and the lever part 80 can be efficiently arrang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mpact head part 20. .

한편,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전판(87) 및 제 2 회전판(88)의 테두리부 일측에는 제 1 회전축(871) 또는 제 2 회전축(881)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제 1 돌출부(87a, 88a)가 형성되며, 레버부(80)가 헤드부(2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때, 노즐부(70)는 누름판(72)의 타면이 제 1 회전판(87) 및 제 2 회전판(88)의 테두리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7 to 9, the first rotational plate 87 and the second rotational plate 88 on one side of the edge portion of the first rotational shaft 871 or the second rotational shaft 881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farther away The formed first protrusions 87a and 88a are formed, and when the lever part 80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head part 20 , the nozzle part 70 has the other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72 on the first rotating plate. (87)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88 may be installed so as to slidably contact the edge portion.

이에 따라, 손잡이(81)에 힘이 가해져서 레버부(80)가 제 1 회전축(87) 및 제 2 회전축(88)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제 1 돌출부(87a, 88a)가 누름판(62)을 외측으로 밀고 누름판(62)이 누름부(41)를 눌러 마개부(60) 내부의 밸브를 개방시키게 된다.Accordingly,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81 and the lever part 80 is rotated about the first rotational shaft 87 and the second rotational shaft 88, the first protrusions 87a and 88a press the pressing plate 62. Pushing to the outside, the pressing plate 62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41 to open the valve inside the stopper 60 .

그리고,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전판(87) 및 제 2 회전판(88)의 테두리부 타측에는 제 1 톱니부(87b, 88b)가 형성된다.And, as shown in FIGS. 7 to 9 , the first toothed portions 87b and 88b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im of the first rotary plate 87 and the second rotary plate 88 .

헤드부(20)의 제 2 구조는 또한, 일측면에 램프(1112)가 구비되는 지지판(1111)을 포함하는 램프 모듈(111); 램프 모듈(11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112); 및 램프(1112)를 커버하여 보호하며 내측 단부가 램프 모듈(111)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가 헤드부(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램프 커버(113)를 포함하는 램프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tructure of the head unit 20 also includes a lamp module 111 including a support plate 1111 having a lamp 1112 on one side thereof; a battery 112 for supplying power to the lamp module 111; and a lamp cover 113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lamp 1112 and is installed so that the inner end is install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lamp module 111 and the out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ead unit 20 . It may further include a unit 110 .

램프 모듈(111)은 전지(11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램프(1112)를 구동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램프(1112)를 구동하는 지지판(1111)과, 지지판(1111)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램프(1112) 및 스위치(1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3 참조).The lamp module 111 is a component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112 and drives the lamp 1112 to generate light, and includes a support plate 1111 for driving the lamp 1112 and a support plate 1111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amp 1112 and a switch 111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e FIG. 3).

지지판(1111)은 일측면에 설치되는 램프(1112) 및 스위치(1113)를 지지하면서 지지판(1111)과 접촉되는 전지(11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스위치(1113)의 동작시 램프(1112)를 구동하는 기능을 하며, 전체적으로 얇은 판의 형상을 갖는다.The support plate 1111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112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1111 while supporting the lamp 1112 and the switch 1113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lamp 1112 when the switch 1113 is operated. It functions to drive and has the shape of a thin plate as a whole.

이러한 지지판(1111)은 일반적으로 원판 형상을 갖는 것이 보통이나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The support plate 1111 generally has a circular plate shape, but may be configured in a polygonal plate shape such as a quadrangle or a hexagon.

램프(1112)는 지지판(1111)에 의해 구동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지지판(1111)의 일측면 중앙부에 설치 고정되는 것이 보통이나 반드시 일측면의 중앙부에 설치 고정될 필요는 없다.The lamp 1112 is a component that is driven by the support plate 1111 and functions to generate light, and is usually installed and fixed in the central part of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1111, but it is not necessarily installed and fixed in the central part of one side. does not exist.

이러한 램프(1112)는 LED 램프, 형광램프, 할로겐램프, 방전램프 등의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발광효율 및 수명 등을 고려하여 LED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는 지지판(1111)도 LED 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PCB)인 것이 바람직하다.Various types of lamps such as LED lamps, fluorescent lamps, halogen lamps, and discharge lamps may be used as the lamp 1112,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n LED lamp in consideration of luminous efficiency and lifespan, and in this case, the support plate ( 1111) is also preferably a printed circuit board (PCB) having a circuit for driving the LED lamp.

스위치(1113)는 지지판(1111)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지지판(1111)과 램프 커버(113)가 서로 인접해지도록 밀리면 눌려져 작동되면서 램프(1112)를 점등시키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이다.The switch 1113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1111, and when the support plate 1111 and the lamp cover 113 are push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they are pressed and operated to light the lamp 1112.

이러한 스위치(1113)는, 지지판(1111)과 램프 커버(113)가 서로 인접해지도록 밀리는 경우 램프 커버(113)의 내측 단부에 의해 눌려질 수 있도록 지지판(1111) 일측면의 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도 3 참조), 일반적인 버튼 스위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switch 1113 is installed near the edge of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1111 so that it can be pressed by the inner end of the lamp cover 113 when the support plate 1111 and the lamp cover 113 are push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see FIG. 3), and it is preferable that a general button switch is used.

전지(112)는 램프 모듈(111)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헤드부(20)의 수용부(24) 내에 지지판(1111)의 타측면에 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건전지 또는 축전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외부 전원과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The battery 112 is a component serving to supply power to the lamp module 111, and is preferably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111 in the accommodating part 24 of the head part 20, and the battery Alternatively, a storage battery may be used, and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a cable to receive power.

다만, 전지(112)는 반드시 지지판(1111)의 타측면에 접하게 설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판(1111)과 전지(11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려서 지지판(1111)과 전지(112)가 접촉되는 경우에만 전지(112)로부터 램프 모듈(111)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However, the battery 112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111 , and the support plate 1111 and the battery 112 are pushed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so that the support plate 1111 and the battery 11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t may be installed so that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112 to the lamp module 111 only when it is.

램프 커버(113)는 램프(1112)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일측으로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며, 내측 단부가 램프 모듈(111)의 일측면에 인접하도록 헤드부(20)의 수용부(21) 내에 설치될 경우 램프 커버(113)의 공간부 내에 위치되는 램프(1112)를 커버하여 보호하게 된다.The lamp cover 113 is a component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lamp 1112 , and a space part open to one side is formed therein, and the head part ( When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1 of the 20), the lamp 1112 located in the space of the lamp cover 113 is covered and protected.

이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커버(113)는 일부가 수용부(24) 외측으로 돌출되어 헤드부(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lamp cover 113 is installed so that a part of the lamp cover 113 protrudes outside the receiving part 24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ead part 20 .

이러한 램프 커버(113)는 무색 또는 다양한 색상의 투광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경우에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amp cover 113 may be made of a colorless or light-transmitting material of various colors, and in general,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plastic or acrylic material having sufficient strength.

헤드부(20)에는 램프부(110)를 수용하는 수용부(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head unit 20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unit 24 for accommodating the lamp unit 110 .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4)는 램프부(110)가 헤드부(20)의 외면부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게 램프부(110)를 수용한다.7 and 8 , the accommodating part 24 accommodates the lamp part 110 so that the lamp part 110 is movab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epth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part 20 . .

상술하자면, 수용부(24)는 내부에 램프 모듈(111), 전지(112) 및 램프 커버(113)의 내측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의 내측 단부는 전지(112)의 일측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In detail, the accommodating part 24 is formed with an accommodating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inner ends of the lamp module 111 , the battery 112 and the lamp cover 113 therein, and the inner end of the accommodating space is the battery 112 . ), an opening is formed so that a part of one side is exposed.

그리고,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 1 저지턱과 수용부(24)의 중간 부위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 2 지지턱이 형성되고 제 1 지지턱과 제 2 지지턱 사이의 수용공간에 램프 모듈(111), 전지(112) 및 램프 커버(113)의 내측 단부가 수용되게 된다.Then, a second support jaw protruding inwardly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blocking jaw protruding inwardly at the edge of the opening and the receiving part 24, and in the receiving space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jaw and the second support jaw. The inner ends of the lamp module 111 , the battery 112 and the lamp cover 113 are accommodated.

이때, 제 1 지지턱과 제 2 지지턱은, 제 1 지지턱과 제 2 지지턱 사이의 거리가 램프 모듈(111), 전지(112) 및 램프 커버(113)의 내측 단부의 두께를 더한 거리보다 소정 거리만큼 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램프 모듈(111), 전지(112) 및 램프 커버(113)의 내측 단부가 수용부(24) 내부에서 헤드부(20)의 외면부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jaw and the second support jaw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jaw and the second support jaw plus the thickness of the inner ends of the lamp module 111 , the battery 112 , and the lamp cover 113 . It is formed to be far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ccordingly, the inner ends of the lamp module 111 , the battery 112 , and the lamp cover 113 are movably recei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epth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20 in the receiving portion 24 . do.

이에 따라, 평소에는 지지판(1111)과 램프 커버(113)가 스위치(1113)가 눌려지지 않을 정도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어 램프(1112)가 점등되지 않게 되나, 사용자가 헤드부(20)의 외부로 노출된 램프 커버(113)의 외측 부분을 손으로 누르거나 손잡이(81)에 힘을 가하여 레버부(80)를 회동시키면 지지판(1111)과 램프 커버(113)가 서로 인접해지도록 밀려짐에 따라 스위치(1113)가 눌려져서 램프(1112)가 점등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usually, the support plate 1111 and the lamp cover 113 are separated by a distance that the switch 1113 is not pressed, so that the lamp 1112 is not turned on. When the lever part 80 is rotated by pressing the exposed outer part of the lamp cover 113 by hand or applying force to the handle 81, the support plate 1111 and the lamp cover 113 are push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The switch 1113 is pressed so that the lamp 1112 can be turned on.

따라서, 사용자가 램프 커버(113)를 눌러 램프(1112)를 점등시킬 수 있는바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도 주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위급 상황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turn on the lamp 1112 by pressing the lamp cover 113 to secure the peripheral view even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due to a fire and to inform other people of an emergency situation.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0)에는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부재(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 the head unit 20 may further include an interlocking member 23 rotatably installed therein.

연동부재(23)는 손잡이(81)에 힘이 가해져 레버부(80)가 회동됨에 따라 램프 모듈(111) 및 전지(112)를 램프 커버(113)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위치(1113)가 눌려지도록 함으로써 램프부(50)의 램프(1112)를 점등시키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대략적으로는 캠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톱니부(231) 및 측면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돌출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nterlocking member 23 moves the lamp module 111 and the battery 112 in the direction of the lamp cover 113 as the lever part 80 is rotated by applying force to the handle 81 so that the switch 1113 is pressed. As a component that functions to light the lamp 1112 of the lamp unit 50 by doing so, it is approximately formed in a cam shape, and as shown in FIG. and a second protrusion 23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ide part.

이러한 연동부재(23)는, 헤드부(20) 내부에 설치될 때, 레버부(80)의 제 1 회전판(87) 및 제 2 회전판(88)의 테두리부와 램프부(110)의 전지(112) 사이에 설치되면서 제 2 톱니부(231)가 레버부(80)의 제 1 톱니부(87b, 88b)와 맞물려서 제 1 회전판(87) 및 제 2 회전판(88)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되도록 설치되게 된다.When the interlocking member 23 is installed inside the head unit 20, the rim of the first rotating plate 87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88 of the lever unit 80 and the battery ( 112) while being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toothed portion 231 is engaged with the first toothed portion (87b, 88b) of the lever portion 80, and rotates toge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ry plate 87 and the second rotary plate 88 installed as much as possible.

그리고, 제 2 돌출부(232)는 캠과 같은 기능을 하는바, 손잡이(81)에 힘이 가해져서 레버부(80)가 제 1 회전축(87) 및 제 2 회전축(88)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제 1 톱니부(87b, 88b)에 맞물리는 제 2 톱니부(231)에 의해 연동부재(23)가 회동되면서 제 2 돌출부(232)가 램프 모듈(111) 및 전지(112)를 램프 커버(113)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And, the second protrusion 232 functions like a cam, and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81 and the lever part 80 is rotated about the first rotation shaft 87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88, As the interlocking member 23 is rotated by the second toothed portion 231 engaged with the first toothed portion 87b, 88b,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232 connects the lamp module 111 and the battery 112 to the lamp cover ( 113) will move in the direction.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81)에 힘을 가하여 레버부(80)를 회동시킴에 의해 소화제의 분사 및 램프(1112)의 점등이 함께 이루어지는바 위급한 상황에서 간단히 작동시킬 수 있고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도 주변 시야를 확보하여 화재를 적절히 초기 진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user applies force to the handle 81 and rotates the lever part 80,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prayed and the lamp 1112 is turned on together, so it can be operated simply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power failure due to fi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operly extinguish the fire in the early stage by securing the peripheral view even in the case of a fire.

다만, 레버부(80)의 회동에 의한 소화제의 분사 및 램프(1112)의 점등이 함께 이루어진다 하여도 반드시 소화제의 분사 및 램프(1112)의 점등이 동시에 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레버부(80)가 조금 회동되면 램프(1112)가 먼저 점등되고 레버부(80)를 조금 더 회동시키면 소화제가 분출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However, even i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prayed and the lamp 1112 is turned on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part 80,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njection and the lighting of the lamp 1112 are started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the lever When the part 80 is rotated a little, the lamp 1112 is turned on first, and when the lever part 80 is rotated a little more, it may be designed so that the extinguishing agent is ejected.

이 경우, 사용자는 먼저 레버부(80)를 조금만 회동시켜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 주변 시야를 확보한 후 화재 진압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적절한 위치로 이동한 후 레버부(80)를 더 회동시켜 소화제를 분출시킴으로써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user can first rotate the lever part 80 slightly to secure a peripheral view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due to fire, and then move to a position where fire suppression is easy, and after moving to an appropriate position, the lever part 80 It is possible to extinguish the fire at an early stage by further rotating the

헤드부(20)의 제 1 구조 및 제 2 구조는 안전핀(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of the head unit 20 may further include a safety pin 120 .

안전핀(120)은 평상시에 몸체부(10)와 손잡이(81) 사이에 배치되어 손잡이(81)가 몸체부(10) 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막음으로써 레버부(70)의 회동에 의한 소화제(消火劑)의 분사 및 램프(1112)의 점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중앙부 관통공에 손가락을 넣어 당길 수 있도록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당김 고리와 일측 단부가 당김 고리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연장되고 타측 단부가 헤드부(20)의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afety pin 120 is normally disposed between the body portion 10 and the handle 81 to prevent the handle 81 from being pulled in the body portion 10 direction.劑) is a component that functions to prevent the injection and lighting of the lamp 1112, and a pull ring formed in a ring shape and one end are integr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ull ring so that a finger can be pulled through the central through hole. It extends and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on b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of the head (20).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핀(120)의 당김 고리는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어 손잡이(81)가 몸체부(10) 방향으로 당겨질 경우 손잡이(81)와 몸체부(10) 사이에 끼여서 레버부(80)의 회동을 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4, 7 and 8, the pull ring of the safety pin 120 is formed in an appropriate size so that the handle 81 and the body portion 10 when the handle 81 is pulled in the body portion 10 direction. ) It is preferable to be designed so as to block the rotation of the lever part 80 by being sandwiched between them.

따라서, 사용자가 당김 고리에 손가락 등을 넣고 당겨서 안전핀(120)을 헤드부(20)로부터 분리시키기 전에는 손잡이(81)를 당겨도 소화제(消火劑)의 분사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user pulls the handle 81 before separating the safety pin 120 from the head 20 by putting a finger or the like in the pull ring, the injec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can be prevented.

다만,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헤드부(20)의 제 2 구조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잡이(81)를 당겨서 레버부(80)가 조금 회동되다가 안전핀(120)의 당김 고리가 손잡이(81)와 몸체부(10) 사이에 끼여서 레버부(80)의 회동이 저지되는 과정에서 램프(1112)가 점등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소화제(消火劑)가 분사될 것을 걱정할 필요 없이 손잡이(81)를 당겨 램프(1112)를 구동시킴으로써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 주변 시야를 확보한 후 화재 진압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여 안전핀(120)을 제거한 후 레버부(80)를 더 회동시켜 소화제(消火劑)를 분출시킴으로써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게 된다.Howe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the second structure of the head portion 20, the user pulls the handle 81 and the lever portion 80 is rotated a little, and then the pull ring of the safety pin 120 is separated from the handle 81. It may be designed so that the lamp 1112 is turned on while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body parts 10 and the rotation of the lever part 80 is blocked. In this case, the user does not need to worry abou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being sprayed, and by pulling the handle 81 to drive the lamp 1112, the user can secure the peripheral view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due to a fire, and then move to a position where fire suppression is easy. After removing the safety pin 120 by moving to an appropriate position, the lever 80 is further rotated to ejec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thereby suppressing the fire in the initial stag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를 포함하는 소화기 어셈블리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fire extinguisher assembly comprising the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상기 소화기 어셈블리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 및 상기 소화기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한다.The fire extinguisher assembly includes an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radle for mounting the fire extinguisher.

상기 거치대는, IoT 기반 스마트 소화기를 거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스마트 소화기의 하단 구조와 상응하는 구조를 가지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의 반대면으로서 소정의 벽면이나 구조물에 고정 위치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제 2 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cradle serves to mount the IoT-based smart fire extinguisher, and has a first surface having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smart fire extinguisher shown in FIG. 1 and a predetermined wall surface as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Or it may include a second surface designed to be fixed to the structure.

또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소화기가 이격 분리될 경우 음성 알람을 제공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피커를 거치대에 포함시킴으로써, 화재 상황 발생에 따라 소화기가 거치대에서 이격 분리 시 주변에 화재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보다 명확하게 알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cradle may include a speaker that provides a voice alarm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separated. By including the speaker in the cradl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ore clearly inform that a fire situation has occurred in the vicinity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separated from the cradl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fire situation.

또한, 상기 거치대는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소화기로부터 제공되는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신된 화재 상황 발생 신호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 신호로 주변부에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adle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provided from a fire extinguisher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is case, the received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peripheral part as an audio signal through the speaker.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such variations or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몸체부
11 : 돌출턱
20 : 헤드부
21 : 보강바
22 : 호각 개방홀
23 : 연동부재 기존
231 : 제 2 톱니부
232 : 제 2 돌출부
24 : 수용부 21
30 : 소화제 용기
40 : IoT 모듈
41 : 센서
42 : 프로세서
43 : 통신부
44 : 메모리부
45 : 화재 발생 신고용 부저
46 : 스피커
50 : 코드부
60 : 마개부 기존
61 : 누름부 기존
70 : 노즐부 기존
71 : 유도관
72 : 누름판
73 : 누름판 하강 가이드
74 : 노즐
80 : 레버부
81 : 손잡이
82 : 원통형 회전 부재
83 : 회전축
84 : 연결 부재
85 : 가이드 결합 부재
86 : 축 고정 부재
87 : 제 1 회전판
87a, 88a : 제 1 돌출부
87b, 88b : 제 1 톱니부
871 : 제 1 회전축
88 : 제 2 회전판
881 제 2 회전축
90 : 호각부
91 : 호각
92 : 호각 고정 가이드
100 : 망치부
101 : 비상망치
102 : 비상망치 커버
110 : 램프부
111 : 램프모듈
1111 : 지지판
1112 : 램프
1113 : 스위치
112 : 전지
113 : 램프 커버
120 : 안전핀
10: body part
11: protruding jaw
20: head
21: reinforcement bar
22: whistle open hole
23: Existing interlocking member
231: second toothed part
232: second protrusion
24: receiving part 21
30: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40: IoT module
41: sensor
42: processor
43: communication department
44: memory unit
45: buzzer for reporting fire
46: speaker
50: code part
60: existing stopper
61: Existing press
70: existing nozzle part
71: guide tube
72: press plate
73: push plate lowering guide
74: nozzle
80: lever part
81: handle
82: cylindrical rotating member
83: rotation shaft
84: connection member
85: guide coupling member
86: shaft fixing member
87: first rotating plate
87a, 88a: first protrusion
87b, 88b: first toothed part
871: first axis of rotation
88: second rotating plate
881 second axis of rotation
90: whistle
91: whistle
92: whistle fixing guide
100: hammer
101: emergency hammer
102: emergency hammer cover
110: lamp unit
111: lamp module
1111: support plate
1112 : lamp
1113 : switch
112: battery
113: lamp cover
120: safety pin

Claims (15)

내부에 소화제(消火劑) 용기가 수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 외면부에 결합되는 헤드부;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헤드부의 어느 일 영역에 위치하고 온도, 연무 및 화염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간 측정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의해 측정된 온도, 연무 및 화염 정보 중 어느 하나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화재 상황 발생 여부를 판명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화재 상황 발생으로 판단된 경우, 제 1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기 등록된 긴급 구조 기관에 전송하고,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소화기 어셈블리 및 기 등록된 외부 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 2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IoT 모듈; 및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헤드부의 어느 일 영역에 위치하고, 소화기 점검 정보, 소화기 사용정보 및 화재 발생 시 예상 피난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고, 외부 단말기에 의해 판독 가능한 코드부를 포함하는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The body portion in which the extinguishing agent (消火劑) container is accommodated therein;
a head portion coupled to an outer surface portion of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 sensor that is located in any one area of the body or the head and measures any one or more of temperature, haze, and flame information in real time; a processor for determining whether a fire situation has occurred by determining whether any one of the temperature, haze, and flam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exceeds a preset value; and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processor that a fire situation has occurred, a first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is transmitted to a previously registered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 and the first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is transmitted to any one or more of a fire extinguisher assembly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reviously registered external terminal. 2 IoT module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and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that is located in any one area of the body or the head, provides at least one of fire extinguisher inspection information, fire extinguisher use information, and an expected evacuation route in case of a fire, and includes a code unit readable by an external terminal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모듈은,
기 등록된 긴급 구조 기관 정보, 화재 신호 연계 소화기 설정 정보 및 기 설정 외부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oT module is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further comprising a memory unit including pre-registered emergency rescue agency information, fire signal-linked fire extinguisher setting information, and pre-set external terminal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모듈은,
긴급 화재 발생 신고용 부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부저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눌리는 경우 상기 제 1 화재 상황 발생 신호 및 제 2 화재 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oT module is
Further comprising a buzzer for reporting an emergency fire,
The communication unit,
An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that transmits the first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and the second fire situation occurrence signal when the buzzer is press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제 1항에 있어서,
내부의 밸브를 개폐시키는 누름부가 구비된 마개부와 상기 소화제(消火劑) 용기의 일측 단부가 상기 몸체부 일측 내면부에 형성된 돌출턱의 양측에서 결합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밸브의 개방시 상기 소화제(消火劑) 용기 내부와 연통되어 소화제(消火劑)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노즐부; 및
손잡이의 일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손잡이에 힘이 가해져서 회동될 경우 상기 밸브를 개방시켜 소화제(消火劑)를 상기 노즐부를 통해 외부로 분출시키는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The method of claim 1,
A stopper provided with a press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ernal valve and one end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are coupled from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body,
The head part,
a nozzle unit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when the valve is opened to eject the extinguishing agent to the outside; and
A part of the handl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ead part, and a lever part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head part; and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that opens the valve when the lever part rotates by applying force to the handle to eject the extinguishing agent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zzle par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밸브의 개방시 상기 소화제(消火劑) 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유도관;
상기 유도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누름부와 접촉되는 누름판;
상기 레버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누름판이 하강하도록 안내하는 누름판 하강 가이드; 및
상기 유도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면부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헤드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타단에 존재하는 원통형 회전 부재;
상기 원통형 회전 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 내측의 어느 일 영역에 고정 위치하는 회전축;
상기 원통형 회전 부재와 손잡이를 연결하고, 상기 노즐부의 상기 유도관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내부 중공 영역을 포함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하는 가이드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nozzle unit,
an induct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when the valve is opened;
a pressing plate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tube, one surfac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art;
a pressing plate lowering guide for guiding the pressing plate to descend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part; and
a nozz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tube and having one end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or to the outside; and
The lever part,
a handle protruding outside the head;
a cylindrical rotating member present at the other end of the handle;
a rotation shaft formed through the cylindrical rotation member and fixedly positioned in any one area inside the head part;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cylindrical rotating member and the handle, and including an inner hollow region formed so that the guide tube of the nozzle part can pass therethrough; and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comprising a guide coupling member locat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memb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결합 부재는,
상기 레버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노즐부에 포함되는 상기 누름판이 하강하도록 상기 누름판 하강 가이드와 맞물린 상태로 존재하고,
상기 손잡이에 힘이 가해져서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가이드 결합 부재가 하향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 결합 부재와 맞물린 상태로 존재하는 누름판 하강 가이드가 상기 누름판을 하강시키고, 하강된 상기 누름판이 상기 누름부를 눌러 상기 밸브를 개방시키는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guide coupling member,
Exists in a state engaged with the pressing plate descending guide so that the pressing plate included in the nozzle part is lowered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part,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and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guide coupling member move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the pressure plate lowering guide existing in a state engaged with the guide coupling member lowers the pressure plate, and the lowered pressure plate An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that opens the valve by pressing the push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어느 일단이 헤드부의 호각 개방홀을 매개로 외부 노출되고, 어느 타단이 상기 헤드부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존재하는 호각; 및
상기 호각을 상기 헤드부 내부에서 고정시키는 한 쌍의 호각 고정 가이드를 포함하는 호각부를 더 포함하는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ead part,
a whistle having one e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histle opening hole of the head part, and the other end being fixed inside the head part; and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further comprising a whistle comprising a pair of whistle fixing guides for fixing the whistle inside the hea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밸브의 개방시 상기 소화제(消火劑) 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유도관;
상기 유도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누름부와 접촉되는 누름판; 및
상기 유도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면부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는,
일면 중앙부에 제 1 회전축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회전판;
일면 중앙부에 제 2 회전축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회전판; 및
상기 헤드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반대편 단부가 상기 제 1 회전판 및 상기 제 2 회전판의 일측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는 상기 유도관이 상기 제 1 회전판과 상기 제 2 회전판 사이의 공간을 지나가도록 설치되는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nozzle unit,
an induct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when the valve is opened;
a pressing plate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tube, one surfac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art; and
a nozz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tube and having one end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or to the outside; and
The lever part,
a first rotating plate having a first rotating shaft protruding outwardly from a central portion of one surface;
a second rotating plate having a second rotating shaft protruding outwardly from a central portion of one surface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rotating plate; and
and the handle having an opposite end of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ead part formed integrally with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that is installed such that the nozzle unit passes the space between the first rotating plate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so that the guide pipe passe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누름판의 타면이 상기 제 1 회전판 및 상기 제 2 회전판의 테두리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1 회전판 및 상기 제 2 회전판의 테두리부 일측에는 상기 제 1 회전축 또는 상기 제 2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제 1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에 힘이 가해져서 상기 레버부가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상기 제 1 돌출부가 상기 누름판을 외측으로 밀고 상기 누름판이 상기 누름부를 눌러 상기 밸브를 개방시키는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nozzle unit is installed so that the other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is slidably in contact with the edg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plates,
A first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dge of the first rotating plate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so that a distance from the first rotating shaft or the second rotating shaft is increased,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and the lever part is rotated about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the first protrusion pushes the pressing plate outward and the pressing plate presses the pressing part to open the valve. smart fire extinguisher.
제 8항에 있어서,
일측면에 램프가 구비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램프 모듈;
상기 램프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 및
상기 램프를 커버하여 보호하며 내측 단부가 상기 램프 모듈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램프 커버;를 포함하는 램프부를 더 포함하는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9. The method of claim 8,
a lamp module including a support plate provided with a lamp on one side thereof;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amp module; and
IoT-based multi-function smart fire extinguisher comprising a lamp unit comprising a; a lamp cover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lamp and has an inner end install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lamp module and an outer e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ead unit.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모듈은,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램프 커버가 서로 인접해지도록 밀리면 작동되어 상기 램프를 점등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램프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면부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램프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손잡이에 힘이 가해져서 상기 레버부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램프 모듈 및 상기 전지를 상기 램프 커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헤드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 부재;를 더 포함하는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lamp module is
a switch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and operated when the support plate and the lamp cover are push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to turn on the lamp;
The head part,
a receiv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lamp part so that the lamp part is movab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epth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part of the head part; and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further comprising a; interlocking memb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head unit to move the lamp module and the battery in the direction of the lamp cover as the lever is rotated by applying a force to the handl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판 및 상기 제 2 회전판의 테두리부 타측에는 제 1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동 부재는,
측면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톱니부; 및
측면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에 힘이 가해져서 상기 레버부가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상기 제 1 톱니부에 맞물리는 상기 제 2 톱니부에 의해 상기 연동부재가 회동되면서 상기 제 2 돌출부가 상기 램프 모듈 및 상기 전지를 상기 램프 커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A first toothed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edge portion of the first rotary plate and the second rotary plate,
The interlocking member is
a second toothed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part;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ide part; and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and the lever part is rotated about the first rotational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al shaft, as the interlocking member is rotated by the second toothed portion engaged with the first toothed portion, the second protrusion is An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that moves the lamp module and the battery in the direction of the lamp cover.
제 7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비상망치; 및 상기 비상망치를 커버하도록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상망치 커버;를 포함하는 망치부를 더 포함하는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11. The method of claim 7 or 10,
The head part,
an emergency hammer coupl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head; and an emergency hammer cover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ead so as to cover the emergency hammer.
제 1항에 따른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및
상기 소화기를 거치하고 있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소화기 어셈블리.
The IoT-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re extinguisher assembly comprising a cradle on which the fire extinguisher is mounted.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소화기가 이격 분리될 경우 음성 알람을 제공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소화기 어셈블리.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radle,
A fire extinguisher assembly including a speaker for providing a voice alarm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separated.
KR1020200008518A 2020-01-22 2020-01-22 IoT 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and the fire extinguisher assembly comprising holder thereof KR202100952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518A KR20210095261A (en) 2020-01-22 2020-01-22 IoT 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and the fire extinguisher assembly comprising holder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518A KR20210095261A (en) 2020-01-22 2020-01-22 IoT 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and the fire extinguisher assembly comprising holder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261A true KR20210095261A (en) 2021-08-02

Family

ID=7731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518A KR20210095261A (en) 2020-01-22 2020-01-22 IoT 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and the fire extinguisher assembly comprising holder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5261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586Y1 (en) 2005-06-23 2005-09-26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re extinguisher equipped with an illuminator
KR101887914B1 (en) 2016-12-14 2018-08-13 (주)두레샘 Protective device for fire extinguishers with decoration
KR101904031B1 (en) 2017-10-14 2018-10-04 주식회사 우리정보기술단 Fire detection and providing evacuation information for extinguish fire System based Io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586Y1 (en) 2005-06-23 2005-09-26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re extinguisher equipped with an illuminator
KR101887914B1 (en) 2016-12-14 2018-08-13 (주)두레샘 Protective device for fire extinguishers with decoration
KR101904031B1 (en) 2017-10-14 2018-10-04 주식회사 우리정보기술단 Fire detection and providing evacuation information for extinguish fire System based I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9300B2 (en) Fire extinguisher gas injector
JP5230476B2 (en) Fire extinguishing gas injector and disaster warning system
CN103909893B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lifesaving instrument
US8651195B2 (en) Jetting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ing gas and disaster warning system
JP5073296B2 (en) Fire extinguisher gas injector
KR20160005641A (en) Wanted for multi-purpose safety evacuation
US10987529B2 (en) Fire extinguisher
KR100951394B1 (en) Safety alerting system for air tank
JP3905414B2 (en) Fire hydrant operation method guidance system
KR20210095261A (en) IoT based multi-functional smart fire extinguisher and the fire extinguisher assembly comprising holder thereof
CN203832420U (en) Multifunctional lifesaving tool
CN102078666A (en) Storage box for emergency lighting, instruction and alarm integrated escape equipment
JP4643339B2 (en)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KR20110008408A (en) Oxygen breathing apparatus with emergency lighting device
KR102082342B1 (en) Hand-Operated Type Fire Extinguisher
KR102278554B1 (en) Extinguisher with Light-emitting Type Guiding Device
JP5020166B2 (en) Fire extinguisher gas injector
JP2012020698A (en) Expansion device
KR200358354Y1 (en) Sounds announce apparatus of a fire extinguisher maintenance holder
CN217391450U (en)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with lamplight prompt function
CN204745450U (en) Novel safe fire hydrant
CN211675990U (en) Portable cart type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positioning in case of fire
CN109198816B (en) Emergency bracelet with temporary lighting function
KR100801995B1 (en) An emergency apparatus of one-touch type getting the light and oxygen-respiration and siren
KR102135029B1 (en) Fire extinguisher for a blind pers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