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306A - 다중 경험 자동차 - Google Patents

다중 경험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306A
KR20210094306A KR1020200007904A KR20200007904A KR20210094306A KR 20210094306 A KR20210094306 A KR 20210094306A KR 1020200007904 A KR1020200007904 A KR 1020200007904A KR 20200007904 A KR20200007904 A KR 20200007904A KR 20210094306 A KR20210094306 A KR 20210094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vehicle body
assembled
switch
experi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6190B1 (ko
Inventor
이창환
서형준
신치웅
한대운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7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1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0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made of parts to be assembl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5Other wheeled vehicles with moving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32Acoustical or optical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험 자동차는, 유아나 아동이 탑승 가능한 운전석이 형성되는 차체; 상기 차체에 탈 부착되어 각각 특성을 나타내는 적어도 두 종류의 조립 파츠; 상기 차체에 조립되는 상기 조립 파츠에 의해서 작동되는 파츠 스위치; 및 상기 파츠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서 구동되어 상기 조립 파츠의 특성을 표현하는 특성 표현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파츠 스위치를 누르도록 상기 조립 파츠의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립 파츠의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차체의 일측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누름부는 상기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경험 자동차{MULTI-EXPERIENCE VEHICLE}
본 발명은 다중 경험 자동차에 대한 것으로, 운송수단의 특징을 딴 파츠를 통해 상상력과 인지발달에 도움이 되고, 기본 차체는 유아용 탑승 자동차 제품이며 운송수단의 특징을 딴 파츠에 따라서 비행기가 될 수도, 자동차가 될 수도, 탱크가 될 수도 있으며, 차체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각각의 파츠로 컨셉의 변화를 줄 수 있는 다중 경험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이러한 놀이의 도구인 장난감을 통하여 놀이 문화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었고 생활의 의욕을 높일 수 있었다. 아이들은 장난감 놀이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사회구성원으로 필요한 것들을 배워왔다.
아울러, 첨단 기술의 발달이 인류의 삶에 지대한 변화를 주고 있으며, 아직 더 많은 발전이 필요한 단계지만 하지만 사람의 음성만을 통해 가정 내의 모든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홀로그램(hologram)의 3차원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체적인 데이터를 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상공간 속에서 새로운 세계에 대한 경험을 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무인 운전이 가능해지고 힘들고 어려운 일은 로봇이 함께 다니면서 도와주고 필요한 정보를 분석하고 평가하기도 한다. 이제 주변의 모든 가전기기와 장치들이 일정한 수준의 지능을 갖고 사람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첨단의 제어, 컴퓨터, 인식, 감지 기술이 세계적으로 사람과 감정적인 교감이 가능한 장난감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들 장난감은 사람의 행동을 감지해 그에 대응하는 반응을 보여주고, 사람과의 계속되는 접을 통해 스스로를 변화시킬 수 있는데, 이들을 가리켜 지능화된 장난감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탑승 장난감 자동차는 일반적으로 하나만의 컨셉으로 아이들에게 사용되어왔는데, 이를테면 장난감자동차, 장난감비행기, 장난감탱크와 같은 장난감들은 이미 정해진 단 하나의 장난감의 컨셉 안에서 아이들에게 이용되어 왔다.
그로 인해 아이들은 장난감에 쉽게 지루함을 느껴 장난감을 구매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또 다른 새로운 장난감을 찾게 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소비자 물가지수 대비, 영 유아 상품 가격 상승률이 점점 커져가는 상황 속에서 장난감 가격이 부모님들에게 경제적 부담으로 다가오는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미세 먼지 문제 역시 심각한 상황 속에서 아이들의 놀이 공간이 실외중심에서 실내중심의 놀이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국내 키즈 카페를 비롯한 실내 놀이시설의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이며 이러한 실내 놀이시설은 정해진 공간 속에서 많은 탑승 장난감을 수요하기에는 공간상 한계점이 많은 것으로 보여진다.
위에서 언급된 배경기술에 기재된 내용들은 단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이해시키기 위해서 작성된 것이므로, 이 기술의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공지기술 외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03-0020334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14-0157264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운송수단의 특징을 딴 파츠를 통해 상상력과 인지발달에 도움이 되는 다중 경험 자동차로서 기본 차체는 유아용 탑승 자동차 제품이며 운송수단의 특징을 딴 파츠에 따라서 비행기가 될 수도, 자동차가 될 수도, 탱크가 될 수도 있으며, 그 차체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각각의 파츠들로 컨셉의 변화를 주는 다중 경험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험 자동차는,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운전석이 형성되는 차체; 상기 차체의 내 외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어도 두 종류의 조립 파츠; 상기 차체에 조립되는 상기 조립 파츠에 의해서 작동되도록 상기 차체에 구비된 파츠 스위치; 및 상기 파츠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조립 파츠의 특성을 빛이나 소리로 표현하는 특성 표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험 자동차는, 상기 조립 파츠가 상기 차체에 조립될 때, 상기 파츠 스위치를 누르도록 상기 조립 파츠의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험 자동차에서, 상기 조립 파츠의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차체의 일측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립 파츠가 상기 차체에 조립되되, 상기 스위치 누름부는 상기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험 자동차에서,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는 자석과 상기 삽입홀에 구비되는 자석 사이의 자력에 의해서 상기 차체와 상기 조립 파츠가 서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험 자동차에서, 상기 특성 표현부는, 조립되는 상기 조립 파츠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색상을 갖는 빛을 조사하는 라이트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운송수단의 특징을 딴 파츠를 통해 상상력과 인지발달에 도움이 되고, 기본 차체는 유아용 탑승 자동차 제품이며 운송수단의 특징을 딴 파츠에 따라서 비행기가 될 수도, 자동차가 될 수도, 탱크가 될 수도 있으며, 차체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각각의 파츠들로 컨셉의 변화를 줄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미세먼지로 인해 아이들의 실외활동이 지양됨에 따라서 실내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제한된 공간 안에서 아이들의 경험과 창의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경험 자동차에 운송수단의 특징을 딴 파츠를 결합해 컨셉 변화를 시도하여 행동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아이들의 행동을 유발하여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 자체를 하나의 파츠로 설계하여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빛 투과성 소재로 만들고 파츠간 결합에 따라 차체의 색이 바뀌도록 하여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컨셉에 맞는 배경 효과음을 통해 몰입도를 높일 수 있고, 부모님의 핸드폰과 연동하여 위치추적을 통해 아이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부모님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본체는 유선형의 디자인을 사용하여 편안한 이미지를 도출하였고 운송수단의 특징을 딴 여러 파츠는 좀 더 과장하고 왜곡해서 디자인하고 가장 친근한 이미지를 사용하여 보다 아이들의 인지를 도울 수 있다.
또한, 본체와 파츠는 자석으로 연결되는 간편성을 지니고 있어 아이들에게 부담 없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고 끼임과 같은 위험도를 낮추었으며, 본체와 파츠가 부착될 시 파츠 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내부 공간을 설계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즉각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다.
또한, 2세부터 7세까지의 전 조작기 단계의 아이들은 조작, 가상놀이 현상이 발달하며 이는 곧 상상력을 기를 수 있는 최적의 단계임을 말하는데 제안하는 본 발명을 통해 아이들의 상상력을 기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소비자 물가지수 대비, 영유야 상품 가격 상승률이 큰 상황 속에서 장난감 가격이 부모님들에게 경제적 부담으로 다가오는 시대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 속에서 부모님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제안하는 발명은 경쟁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험 자동차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험 자동차의 종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험 자동차의 색상에 따른 특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험 자동차에서 차체와 조립 파츠의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험 자동차의 일부 색상에 따른 특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험 자동차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형,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구성이나 작용 등 외에도 다른 구성이나 작용 등을 더 포함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경험 자동차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험 자동차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중 경험 자동차는 차체(100)와 컨트롤 유닛(105)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유닛(105)은 보드(110), 메모리(115), 파츠 스위치(120), 특성 표현부(125), 및 감지 센서(130)를 포함하고, 상기 특성 표현부(125)는 스피커(127) 또는 라이트 소스(129)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차체(100)에 조립되어 차량의 특성을 나타내는 조립 파츠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 파츠는 경찰차 파츠(152), 비행기 파츠(154), 포크레인 파츠(156), 구급차 파츠(158), 대포 파츠(160), 소방차 파츠(162), 및 잠수함 파츠(16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립 파츠는 다른 종류의 운송수단을 나타내는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유닛(105)에서 상기 보드(110)는 아두이노의 한 종류일 수 있고, 상기 메모리(115)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파츠 스위치(120)는 조립되는 파츠에 의해서 작동되며, 상기 특성 표현부(125)는 상기 파츠 스위치(120)의 작동에 따라서 소리나 빛을 구현하도록 스피커(127) 또는 라이트 소스(129)를 포함한다.
아울러, 감지 센서(130)는 후진 시 장애물을 감지하는 초음파센서 또는 위치를 감지하여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치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초음파센서로부터 전송된 센서신호에 의해서 소리 또는 색상을 구현하여 장애물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상기 위치감지 센서에서 전송된 위치신호에 의해서 사용자의 부모는 장난감자동차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파츠 간 결합뿐만 아니라 컨트롤 유닛(105)을 통해 아이들의 몰입감을 증가시키는데, 비행기 파츠(154)의 날개가 차체(100)에 결합되면 그에 맞는 하늘 효과음을 구현하고, 대포 파츠(160)가 차체(100)에 결합되면 전쟁 효과음을 구현하고, 경찰차 파츠(152)가 차체(100)에 결합되면 사이렌 효과음을 구현하여, 컨셉에 맞는 특징을 갖는 파츠가 차체(100)에 결합될 시 그 컨셉에 맞는 효과 음악(소리)이 나오면서 아이의 몰입도가 증가될 수 있다.
도 2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험 자동차의 종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경찰차는 운전석(220)에 시트가 구성되고 출입용 도어(200)가 설치되는 기본 차체(100), 운전석(220)의 앞쪽에 설치되는 자동차핸들(210), 차체(100)의 하부 앞쪽과 뒤쪽에 배치되는 휠, 및 경찰차 파츠(152)를 포함한다.
상기 경찰차 파츠(152)는 차체(100)의 앞쪽 상면에 조립되는 경찰 경광등(202), 및 차체(100)의 앞쪽 측면에 조립되는 경찰마크(204)를 포함한다.
상기 경찰 경광등(202) 또는 상기 경찰마크(204) 중 하나가 차체에 조립될 때, 컨트롤 유닛(105)의 상기 파츠 스위치(120)가 작동되고, 아두이노의 한 종류인 상기 보드(110)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특성 표현부(125)의 스피커(127)는 경찰 사이렌 소리 등을 구현할 수 있고, 상기 라이트 소스(129)는 경찰차와 대응하는 파란색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파츠가 조립될 때, 파츠 스위치(120) 및 특성 표현부(125)가 작동되어 소리와 색상을 구현하는 기구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운전석에 유아나 아동이 착석하고, 핸들을 작동시키면 앞 바퀴가 조향되고,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을 작동시키면 전 후진 및 정지가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공지된 자동차의 작동구조를 참고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비행기 자동차는 운전석(220)에 시트가 구성되고 출입용 도어(200)가 설치되는 기본 차체(100), 차체(100)의 하부 앞쪽과 뒤쪽에 배치되는 휠, 및 비행기 파츠(154)를 포함한다.
상기 비행기 파츠(154)는 차체(100)의 앞쪽 전면에 조립되는 프로펠러(300), 차체(100)의 앞쪽 양측면에 조립되는 비행기날개(302), 및 운전석(220)의 전면에 구성되는 비행기핸들(304)을 포함한다.
상기 비행기날개(302), 상기 프로펠러(300), 또는 상기 비행기핸들(304) 중 하나가 차체에 조립될 때, 컨트롤 유닛(105)의 상기 파츠 스위치(120)가 작동되고, 상기 보드(110)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특성 표현부(125)의 스피커(127)는 비행기 작동 소리를 구현할 수 있고, 상기 라이트 소스(129)는 비행기에 대응하는 하늘색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포크레인 자동차는 운전석(220)에 시트가 구성되고 출입용 도어(200)가 설치되는 기본 차체(100), 차체(100)의 하부 앞쪽과 뒤쪽에 배치되는 휠, 및 포크레인 파츠(156)를 포함한다.
상기 포크레인 파츠(156)는 차체(100)의 앞쪽 전면에 조립되는 블레이드(406), 차체(100)의 앞쪽 상면에 조립되는 붐(402), 상기 붐(402)에 연결되는 암(404), 및 상기 암(404)의 단부에 구비되는 버켓(4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운전석의 전면에 구성되는 핸들이 구성된다.
상기 블레이드(406) 또는 상기 붐(402) 중 하나가 차체에 조립될 때, 컨트롤 유닛(105)의 상기 파츠 스위치(120)가 작동되고, 상기 보드(110)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특성 표현부(125)의 스피커(127)는 포크레인 작동 소리를 구현할 수 있고, 상기 라이트 소스(129)는 포크레인과 대응하는 노란색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구급 자동차는 운전석(220)에 시트가 구성되고 출입용 도어(200)가 설치되는 기본 차체(100), 및 구급차 파츠(158)를 포함한다.
상기 구급차 파츠(158)는 차체의 앞쪽 전면에 조립되는 119마크(502), 차체(100)의 앞쪽 상면에 조립되는 구급 경광등(500), 및 차체(100)의 앞쪽 측면에 조립되는 구급차마크(504)를 포함한다.
상기 119마크(502), 구급 경광등(500), 또는 구급차마크(504) 중 하나가 차체에 조립될 때, 컨트롤 유닛(105)의 상기 파츠 스위치(120)가 작동되고, 상기 보드(110)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특성 표현부(125)의 스피커(127)는 구급차 작동 소리를 구현할 수 있고, 상기 라이트 소스(129)는 구급차와 대응하는 분홍색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대포 자동차는 운전석(220)에 시트가 구성되고 출입용 도어(200)가 설치되는 기본 차체(100), 및 대포 파츠(160)를 포함한다.
상기 대포 파츠(160)는 차체의 앞쪽 전면에 조립되는 대포마크(602), 차체의 앞쪽 상면에 조립되는 포(600)를 포함한다.
상기 대포마크(602), 또는 포(600) 중 하나가 차체(100)에 조립될 때, 컨트롤 유닛(105)의 상기 파츠 스위치(120)가 작동되고, 상기 보드(110)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특성 표현부(125)의 스피커(127)는 대포차의 작동 소리를 구현할 수 있고, 상기 라이트 소스(129)는 대포차와 대응하는 녹색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소방차는 운전석(220)에 시트가 구성되고 출입용 도어(200)가 설치되는 기본 차체(100), 및 소방차 파츠(162)를 포함한다.
상기 소방차 파츠(162)는 차체의 앞쪽 상면에 조립되는 소방 경광등(702), 차체의 앞쪽 일측면에 조립되는 사다리(700), 및 차체의 앞쪽 타측면에 조립되는 물 호스(704)를 포함한다.
상기 소방 경광등(702), 사다리(700), 또는 호스(704) 중 하나가 차체(100)에 조립될 때, 컨트롤 유닛(105)의 상기 파츠 스위치(120)가 작동되고, 상기 보드(110)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특성 표현부(125)의 스피커(127)는 소방차의 작동 소리를 구현할 수 있고, 상기 라이트 소스(129)는 소방차와 대응하는 적색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잠수함차는 운전석(220)에 시트가 구성되고 출입용 도어(200)가 설치되는 기본 차체(100), 및 잠수함 파츠(164)를 포함한다.
상기 잠수함 파츠(164)는 차체(100)의 앞쪽 상면이나 측면에 조립되는 잠망경(800)를 포함하고, 상기 잠망경(800)이 차체에 조립될 때, 컨트롤 유닛(105)의 상기 파츠 스위치(120)가 작동되고, 상기 보드(110)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특성 표현부(125)의 스피커(127)는 잠수함차의 작동 소리를 구현할 수 있고, 상기 라이트 소스(129)는 잠수함차와 대응하는 회색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험 자동차의 색상에 따른 특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차체(100)의 소재를 빛 투과성 소재로 제작하여 변화하는 컨셉에 맞게 차체의 색도 변화하도록 구성된다.
한 실시예로써, 소방차 파츠(162)를 차체에 부착하면 차체의 색은 소방차가 연상되는 빨간색으로 변하고, 포크레인 파츠(156)를 차체에 부착하면 차체의 색은 포크레인이 연상되는 노란색으로 변함으로써 아이의 놀이에 대한 몰입도가 증가되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아이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이 향상된다.
즉, 도 9의 (a)에서, 차체(100) 내부에 배치되는 라이트 소스(129)가 파란색의 빛을 조사하여 전체적으로 파란색의 차체가 구현되어 경찰차라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9의 (b)에서, 차체(100) 내부에 배치되는 라이트 소스(129)가 적색 또는 갈색의 빛을 조사하여 전체적으로 적색 또는 갈색의 차체가 구현되어 소방차라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9의 (c)에서, 차체(100) 내부에 배치되는 라이트 소스(129)가 녹색의 빛을 조사하여 전체적으로 녹색의 차체가 구현되어 대포차라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험 자동차에서 차체와 조립 파츠의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10의 (a)을 참조하면, 조립 파츠의 일측에는 돌출부(90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900)와 일체로 누름부(905)가 더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900)의 선단에는 네오디윰 자석(910)이 고정된다.
상기 차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돌출부(900)가 삽입되는 삽입홀(915)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915)의 안쪽에는 네오디윰 자석(910)이 고정되며, 상기 삽입홀(915)의 일측에 파츠 스위치(120)가 더 구성된다.
도 10의 (b)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조립 파츠가 상기 차체(100)에 조립될 때, 상기 누름부(905)가 상기 파츠 스위치(120)를 눌러서 작동시킨다. 동시에, 상기 조립 파츠의 상기 돌출부(900)가 상기 삽입홀(915)에 삽입되고, 조립 파츠와 차체는 자석(910)의 자력에 의해서 조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파츠 스위치(120)가 작동되면 현실감을 높이기 위해서 미리 설정된 소리가 생성되거나, 라이트 소스(129)가 빛을 생성하고 현실감을 높이기 위해서 설정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험 자동차의 일부 색상에 따른 특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의 (a), (b), 및 (c)를 참조하면, 차체(100)의 운전석(220)의 전면에는 칼라부재(920a, 920b, 920c)가 각각 배치되며, 제1칼라부재(920a)는 파란색, 제2칼라부재(920b)는 주황색, 제3칼라부재(920c)는 녹색을 가지며, 각 칼라부재의 내측에는 라이트 소스(129)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파츠가 차체에 조립되고, 파츠 스위치(120)가 작동되면 소리와 함께 라이트 소스(129)가 빛을 구현하여 차량 특성에 맞게 파란색, 주황색, 또는 녹색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라이트 소스(129)가 자체적으로 파란색, 주황색, 또는 녹색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험 자동차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소방차는 차체(100) 및 소방차 파츠(162)를 포함하고, 상기 소방차 파츠(162)는 소방 경광등(702), 사다리(700), 및 물 호스(704)를 포함하고, 이들 부품들에는 각각 돌출부(900)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900)들이 차체에 형성된 삽입홀(915)에 각각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돌출부(900)와 삽입홀(915)에는 각각 자석(910)이 고정되고, 이들 사이의 자력에 의해서 조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0과 같이 돌출부(900)와 일체로 누름부(905)가 더 형성되고, 파츠가 조립될 때, 이 누름부(905)가 파츠 스위치(120)를 눌러서 소리나 색상을 구현하여 차량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0에서는 소방차 파츠(162)가 차체(100)에 결합되면서, 경찰차에 대응하는 소리와 색상이 구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비행기 파츠(154)가 차체에 결합되면, 비행기에 대응하는 소리와 색상이 구현된다.
아울러, 파츠의 특성들은 조립 파츠가 차체에 결합되는 조립위치, 조립 파츠에 형성된 돌출부(900) 및 누름부(905)의 형태, 삽입길이, 삽입홀(915)의 깊이, 파츠 스위치(120)의 위치 등에 의해서 구별되고, 구별된 파츠의 특성에 따라서 소리와 색상이 구현될 수 있다.
즉, 경찰차 파츠(152)는 경찰 경광등(202)의 차체(100)의 상부에 조립될 때 대응하는 파츠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고, 비행기 파츠(154)는 비행기핸들(304)이 차체(100)의 운전석 전면에 조립될 때 대응하는 파츠 스위치(120)가 작동될 수 있고, 포크레인 파츠(156)는 블레이드(406)가 차체(100)의 전면 하면에 조립될 때 대응하는 파츠 스위치(120)가 작동될 수 있고, 구급차 파츠(158)는 구급차마크(504)가 차체(100)의 일측면에 조립될 때 대응하는 파츠 스위치(120)가 작동될 수 있으며, 소방차 파츠(162)는 사다리(700)가 차체(100)의 타측면에 조립될 때 대응하는 파츠 스위치(120)가 작동되어 각각의 파츠의 특성에 관련된 소리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차량의 특성정보를 입력하고, 이 입력된 정보와 조립 파츠의 조립유무에 따라서 소리와 색상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차체 105: 컨트롤 유닛
110: 보드 115: 메모리
120: 파츠 스위치 125: 특성 표현부
127: 스피커 129: 라이트 소스
130: 감지 센서 152: 경찰차 파츠
154: 비행기 파츠 156: 포크레인 파츠
158: 구급차 파츠 160: 대포 파츠
162: 소방차 파츠 164: 잠수함 파츠
900: 돌출부 905: 누름부
910: 자석 915: 삽입홀

Claims (5)

  1.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운전석이 형성되는 차체;
    상기 차체의 내 외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어도 두 종류의 조립 파츠;
    상기 차체에 조립되는 상기 조립 파츠에 의해서 작동되도록 상기 차체에 구비된 파츠 스위치; 및
    상기 파츠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조립 파츠의 특성을 빛이나 소리로 표현하는 특성 표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험 자동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파츠가 상기 차체에 부착될 때, 상기 파츠 스위치를 누르도록 상기 조립 파츠의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 누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험 자동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파츠의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차체의 일측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립 파츠가 상기 차체에 조립되되, 상기 스위치 누름부는 상기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험 자동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는 자석과 상기 삽입홀에 구비되는 자석 사이의 자력에 의해서 상기 차체와 상기 조립 파츠가 서로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험 자동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표현부는,
    조립되는 상기 조립 파츠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색상을 갖는 빛을 조사하는 라이트 소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험 자동차.
KR1020200007904A 2020-01-21 2020-01-21 다중 경험 자동차 KR102366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904A KR102366190B1 (ko) 2020-01-21 2020-01-21 다중 경험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904A KR102366190B1 (ko) 2020-01-21 2020-01-21 다중 경험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306A true KR20210094306A (ko) 2021-07-29
KR102366190B1 KR102366190B1 (ko) 2022-02-23

Family

ID=7712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904A KR102366190B1 (ko) 2020-01-21 2020-01-21 다중 경험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1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8460U (ja) * 1996-02-27 1996-09-03 株式会社エースブレイン 自動車玩具
KR20030020334A (ko) 2003-01-30 2003-03-08 배태진 미역의 후코이단을 이용한 기능성 건강음료의 제법
CN204655993U (zh) * 2014-12-22 2015-09-23 上海隆旗玩具有限公司 一种儿童玩具电动车
US20160107093A1 (en) * 2014-10-20 2016-04-21 Huntar Company Mix and match toy ki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8460B2 (ja) * 1994-12-28 2000-04-04 株式会社創建 柱等のコーナー保護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8460U (ja) * 1996-02-27 1996-09-03 株式会社エースブレイン 自動車玩具
KR20030020334A (ko) 2003-01-30 2003-03-08 배태진 미역의 후코이단을 이용한 기능성 건강음료의 제법
US20160107093A1 (en) * 2014-10-20 2016-04-21 Huntar Company Mix and match toy kit
CN204655993U (zh) * 2014-12-22 2015-09-23 上海隆旗玩具有限公司 一种儿童玩具电动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6190B1 (ko)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2607B2 (ja) 乗物の表現動作制御システム及び乗物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表現動作を行う乗物
EP0712650B1 (en) Interactive play with a computer
US9013314B2 (en) System for indicating instructions including monitoring of signal strength or distance
US20150360139A1 (en) Interactive cloud-based toy
US9672714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structions remotely
KR200467213Y1 (ko) 로봇모델키트가 구비되는 교육용 로봇
US20140170932A1 (en) Vehicle with Moving Eyes
CN203727557U (zh) 一种儿童电动玩具车
KR102366190B1 (ko) 다중 경험 자동차
US6171172B1 (en) Toy that senses obstacles to activate sound and turning
CN106310672A (zh) 一种多功能语音玩具车
US7905759B1 (en) Interactive play set
CN205022398U (zh) 一种具有声光娱乐系统的汽车儿童座椅
CN205971650U (zh) 可实现与网络移动终端连接的电动童车
CN213789969U (zh) 一种儿童模拟驾驶舱
KR101915939B1 (ko) 유아용 스마트 블록
CN208389393U (zh) 森林感官积木
US20030162597A1 (en) Interactive playset
KR102106905B1 (ko) 스마트 컨텐츠를 제어하는 IoT 완구 시스템
KR102207860B1 (ko) 셀프 카트 모델링을 이용한 체험형 카트 운행 시스템
KR20020004046A (ko) 음성인식 기반 작동완구 세트 및 그 제어방법
Root et al. Grasping algorithms: exploring toys that teach computational thinking
Liu et al. Is Silent eHMI Enough? A Passenger-Centric Study on Effective eHMI for Autonomous Personal Mobility Vehicles in the Field
CN109036072A (zh) 一种幼儿教育用地震逃生模拟系统
KR101890394B1 (ko) 스마트 종이접기 교구 키트, 이를 위한 전자 모듈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제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