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246A - 전기수술 발생기와 전기수술 기구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인트 - Google Patents

전기수술 발생기와 전기수술 기구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246A
KR20210093246A KR1020217013944A KR20217013944A KR20210093246A KR 20210093246 A KR20210093246 A KR 20210093246A KR 1020217013944 A KR1020217013944 A KR 1020217013944A KR 20217013944 A KR20217013944 A KR 20217013944A KR 20210093246 A KR20210093246 A KR 20210093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interface joint
housing
inner tube
stopper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퍼 폴 핸콕
레이프 게이건
로한 모니코
스티브 모리스
크레이그 걸리포드
휴브 홉킨스
루이스 터너
로브 프루타
Original Assignee
크리오 메디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오 메디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크리오 메디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93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18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2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mounted on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72Connectors and adapt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72Connectors and adapters therefor
    • A61B2018/00178Electrical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84Moving parts
    • A61B2018/00196Moving parts reciprocating lengthw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7Coagulation and cutting with the same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18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microwaves
    • A61B2018/1823Genera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18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microwaves
    • A61B2018/186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microwaves with an instrument inserted into a body lumen or cavity, e.g.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61B2090/034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utting on parts of the device itse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 Fus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전기수술 발생기와 전기수술 기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인트로서, 인터페이스 조인트는: 하우징으로, 전기수술 발생기로부터 전자기 에너지를 수신하기 위한 입구, 및 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 상의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는 상기 출구를 통해 하우징 외부로 연장되는 푸시 로드에 부착 됨-; 및 상기 출구를 전기수술 기구에 연결하기 위한 단일 케이블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단일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입구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 및 푸시 로드를 전달하는 플랙서블 슬리브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조인트는 제1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푸시 로드의 제1 부분에 결합된 보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인터페이스 조인트는 푸시 로드에 결합되고 푸시 로드에 대한 내부 튜브의 최대 슬라이드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드 제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수술 발생기와 전기수술 기구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인트
본 발명은 전기수술 발생기와 전기수술 기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인트(interface joint)에 관한 것이다. 전기수술 기구는 조직 절단 및/또는 지혈(즉, 혈액 응고 촉진)을 위해 전자기 에너지(예를 들어, 무선주파수 및/또는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생물학적 조직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외과적 절제술은 인체나 동물의 신체에서 기간의 부분을 제거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기관은 혈관이 많을 수 있다(highly vascular). 조직이 절단(분할 또는 절개)되면, 세동맥(arteriole)이라고 하는 작은 혈관이 손상되거나 파열된다. 초기 출혈은 출혈 지점을 막기 위해 혈액이 응고로 바뀌는 응고 캐스케이드(coagulation cascade)로 이어진다. 수술 중, 환자는 가능한 한 적은 양의 혈액을 잃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무혈 절단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개발되었다. 내시경 시술의 경우, 출혈은 또한 바람직하지 않으며 혈류로 인해 시술자의 시야가 가려 질 수 있으므로, 이는 수술을 연장하고 수술을 중단해야 하고 대신 다른 방법, 예를 들어 개복 수술을 사용해야 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절한 방법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전기수술 발생기는 병원 수술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종종 개방 및 복강경 시술에 사용되며 점점 더 수술용 스코핑 디바이스(surgical scoping device), 예를 들어, 내시경 등과 함께 사용된다. 내시경 시술에서, 전기수술 액세서리는 일반적으로 내시경 내부의 루멘(lumen)을 통해 삽입된다. 복강경 수술을 위한 동등한 액세스 채널과 비교하여, 이러한 루멘은 보어(bore)가 비교적 좁고 길이가 더 길다.
날카로운 칼날 대신, 고주파(RF) 에너지를 사용하여 생물학적 조직을 절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F 에너지를 사용하여 절단하는 방법은 전류가 조직 매트릭스(tissue matrix)를 통과 할 때(세포의 이온 함량과 세포 간 전해질에 의해 지원) 조직을 가로 지르는 전자 흐름에 대한 임피던스가 열을 생성한다는 원리를 사용하여 작동한다. 실제로, 기구는 조직의 수분 함량을 증발시키기 위해 세포 내에서 열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RF 전압을 조직 매트릭스에 적용하도록 배열된다. 그러나, 특히 기구의 RF 방출 영역(조직을 통과하는 전류 경로의 가장 높은 전류 밀도를 가짐)에 인접한 이러한 건조(desiccation)의 증가의 결과로 조직과 기구 간의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이 손실될 수 있다. 인가된 전압은 이 작은 공극(void)을 가로지르는 전압 강하로 나타나며, 이는 공극에서 이온화를 일으켜 플라즈마로 이어진다. 플라즈마는 조직에 비해 체적 저항(volume resistivity)이 매우 높다. 기구에 공급되는 에너지는 플라즈마를 유지하며, 즉, 기구와 조직 사이의 전기 회로를 완성한다. 플라즈마에 들어가는 휘발성 물질은 기화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조직 해부 플라즈마가 인식된다.
GB 2 523 246은 생물학적 조직에 RF 전자기 에너지 및/또는 마이크로파 주파수 EM 에너지에 적용하기 위한 전기수술 기구를 기술한다. 기구는 수술용 스코핑 디바이스의 기구 채널을 통해 삽입 가능한 샤프트를 포함한다. 샤프트의 원위 단부에는 대향하는 표면들에 제1 및 제2 도전성 층들을 갖는 제1 유전체 재료의 시트로부터 형성된 평면 전송 라인을 포함하는 기구 팁이 있다. 평면 전송 라인은 샤프트에 의해 전달되는 동축 케이블에 연결된다. 동축 케이블은 평면 전송 라인에 마이크로파 또는 RF 에너지를 전달하도록 배열된다. 동축 케이블은 내부 도전체, 내부 도전체와 동축인 외부 도전체, 및 외부 및 내부 도전체들을 분리하는 제2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며, 내부 및 외부 도전체들은 연결 인터페이스에서 제2 유전체를 넘어서 연장되어 전송 라인의 대향 표면들과 중첩되고 각각 제1 도전 층 및 제2 도전 층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이 기구는 평면 전송 라인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드럽게 윤곽이 잡힌 볼록한 밑면을 가진 보호 선체(protective hull)를 더 포함한다. 밑면은 그 내부에 형성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리세스된 채널(recessed channel)을 포함한다. 후퇴 가능한 니들(retractable needle)은 기구 내에 장착되어, 기구의 원위 단부에서 돌출되도록 리세스된 채널을 통해 연장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니들은 RF 또는 마이크로파 에너지가 적용되기 전에 치료 영역에 유체를 주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GB 2 523 246은 또한 (i) 유체 공급, (ii) 니들 이동 메커니즘 및 (iii) 에너지 공급(예를 들어, RF 및/또는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공급하는 케이블)을 모두 단일 케이블 어셈블리에 통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인트를 설명합니다. 케이블 어셈블리는 기존 내시경의 기구 채널에 맞도록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 조인트는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하우징으로, 전기수술 발생기로부터 무선주파수(RF) 전자기(EM) 에너지 및/또는 마이크로파 주파수 EM 에너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입구,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입구 및 출구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 출구를 전기수술 기구에 연결하기 위한 단일 케이블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는 제2 입구와 유체 연통하고 제1 입구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을 전달하는 유체 유동 경로를 정의 하는 플랙서블 슬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조인트는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는 출구를 통해 하우징 밖으로 연장되는 푸시 로드(push rod)에 부착된다.
가장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GB 2 523 246에서 논의된 인터페이스 조인트 개념에 대한 개발을 제공한다. 개발에는 푸시 로드의 보강(reinforcing)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푸시 로드의 손상 가능성과 그로 인한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플랙서블 슬리브는 푸시 로드를 둘러싸고 푸시 로드에 대해 자유롭게 슬라이딩될 수 있는 내부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발에는 푸시 로드에 대한 내부 튜브의 최대 슬라이드 거리를 제한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부 튜브의 손상 가능성과 그로 인한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전기수술 발생기와 전기수술 기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인트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 조인트는: 하우징으로, 전기수술 발생기로부터 전자기 에너지를 수신하기 위한 입구, 및 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 상의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는 출구를 통해 하우징 외부로 연장되는 푸시 로드에 부착 됨-; 및 출구를 전기수술 기구에 연결하기 위한 단일 케이블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단일 케이블 어셈블리는 입구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 및 푸시 로드를 전달하는 플랙서블 슬리브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조인트는 또한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랙서블 슬리브는 제2 입구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흐름 경로를 정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기 에너지를 수용하기 위한 전술한 입구는 "제1" 입구로 지칭될 수 있다.
전자기 에너지는 무선주파수(RF) 에너지 및/또는 마이크로파 주파수 에너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수술 발생기는 생물학적 조직 치료를 위해 RF EM 에너지 또는 마이크로파 주파수 EM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WO 2012/076844에 기술된 발생기가 사용될 수 있다.
전기수술 기구는 사용 중에 생체 조직의 치료를 위해 RF EM 에너지 또는 마이크로파 주파수 EM 에너지를 사용하도록 배열된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전기수술 기구는 절제, 응고 및 융삭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위해 RF EM 에너지 및/또는 마이크로파 주파수 EM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구는 본원에 개시된 절제 디바이스일 수 있고, 그러나 대안적으로 한 쌍의 마이크로파 겸자들,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방출하고 및/또는 RF 에너지를 결합하는 스네어 및 아르곤 빔 응고기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조인트는 제1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푸시 로드의 제1 부분에 결합된 보강 요소(또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하우징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은 부분적으로 (i) 출구, (ii) 단일 케이블 어셈블리 또는 (iii) 둘 모두의 내부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가능한 트리거가 작동되어 푸시 로드를 완전히 후퇴시키면, 보강 요소는 하우징 내부에만 위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출구 또는 단일 케이블 어셈블리(또는 플랙서블 슬리브) 내부에 위치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트리거가 작동되어 푸시 로드를 완전히 연장할 때, 보강 요소는 하우징 및 출구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가능하게는 단일 케이블 어셈블리(및 플랙서블 슬리브)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푸시 로드는 하우징의 자유 공간에 위치하는 동안 보강되고 지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푸시 로드가 구부러지거나 다른 손상에 덜 민감하기 때문에 푸시 로드를 연장 및 후퇴시킬 때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의 작동이 더 안정적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푸시 로드를 조작할 때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의 작동이 보다 일관되게 만들어져 사용자가 쉽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요소는 제1 부분을 둘러싸는 지지 튜브이다. 지지 튜브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또한, 지지 튜브는 지지 튜브와 제1 부분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튜브는 기계적 크림프 및/또는 접착제(예를 들어, 자외선 접착제)에 의해 제1 부분에 고정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지지 튜브는 제1 부분에 레이저 용접될 수 있다.
플랙서블 슬리브는 푸시 로드의 제2 부분을 둘러싸는 내부 튜브를 포함하고, 내부 튜브는 푸시 로드에 대해 자유롭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 부분은 보강 요소의 원위 측일 수 있다. 제2 부분은 단일 케이블 어셈블리 내부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추가로, 제2 부분은 부분적으로 (i) 하우징, (ii)배출구 또는 (iii) 둘 모두의 내부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시 로드를 완전히 연장하기 위해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가 작동될 때, 내부 튜브는 단일 케이블 어셈블리(및 플랙서블 슬리브)에만 위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출구 또는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트리거가 작동되어 푸시 로드를 완전히 후퇴시킬 때, 내부 튜브는 단일 케이블 어셈블리와 출구, 가능하게는, 하우징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내부 튜브는 여러 다른 용도를 위해 단일 채널을 정의 할 수 있는 단일 루멘 튜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루멘 튜브는 푸시 로드를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조인트가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입구를 포함하는 경우, 단일 루멘 튜브는 기구와 인터페이스 조인트 사이에 유체 흐름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유체 공급 도관을 운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단일 루멘 튜브는 기구와 인터페이스 조인트 사이에 유체 흐름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개방 부분을 가질 수 있고, 즉, 별도의 유체 도관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 흐름 경로는 내부 공동에 넘칠 수 있고 푸시 로드가 유체에 잠길 수 있다. 따라서, 단일 루멘 튜브의 기능은 푸시 로드에 윤활성(lubricity)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서, 내부 튜브는 다중 루멘 튜브 또는 복수의 채널들(예를 들어, 두 개, 세 개 이상)을 정의하는 압출 분리기 요소를 갖는 단일 루멘 튜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루멘/채널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운반할 수 있다: 유체 흐름 경로 및 푸시 로드.
인터페이스 조인트는 푸시 로드에 결합되고 푸시 로드에 대한 내부 튜브의 최대 슬라이드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드 제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부 튜브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튜브가 손상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슬라이드 제한 메커니즘은 내부 튜브의 일정량 이동을 허용하므로, 내부 튜브가 푸시 로드에 대해(제한된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튜브에 대한 손상(예를 들어, 마찰로 인한)이 감소한다. 슬라이드 제한 메커니즘은 내부 튜브의 원위 측에서 푸시 로드의 외부 표면에 고정된 제1 스토퍼 요소(또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스토퍼 요소는 내부 튜브가 제1 스토퍼 요소를 지나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예를 들어, 크기 결정 및/또는 형상화)된다. 추가로, 슬라이드 제한 메커니즘은 내부 튜브의 근위 측에서 푸시 로드의 외부 표면에 고정된 제2 스토퍼 요소(또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스토퍼 요소는 내부 튜브가 제2 스토퍼 요소를 지나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예를 들어, 크기결정 및/또는 형상화)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스토퍼 요소들은 내부 튜브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스토퍼 요소들은 푸시 로드에서 이격되어, 푸시 로드에 대한 내부 튜브의 최대 슬라이드 거리가 4 mm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5 mm로 제한된다. 제2 스토퍼 요소는 푸시 로드의 원위 단부로부터 예를 들어 3 mm 내지 7 mm, 바람직하게는 5 mm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요소는 블롭(blob), 드롭(drop), 비드(bead), 또는 접착제의 볼(예를 들어, UV 접착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토퍼 요소들은 푸시 로드의 원주의 전부 또는 일부만을 둘러쌀 수 있다. 제2 스토퍼 요소는 지지 튜브(예를 들어, 지지 튜브의 원위 단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은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다. 하우징은 작업자에게 이중 절연 장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즉, 하우징은 다양한 입력이 단일 케이블 어셈블리로 통합되는 분기된 통로(제2 절연 레벨)를 캡슐화하는 외부 케이싱(제1 절연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분기된 통로는 수밀 체적을 제공할 수 있고, 이는 제2 입구(존재하는 경우)와 출구 사이의 유체 흐름 경로를 정의하고, 동축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해 제1 입구에 인접한 제1 포트를 갖는다. 이 실시 예에서, 외부 케이싱은 UV 캡슐화를 안내할 수 있다.
사용 시, 인터페이스 조인트는 기구에서 치료를 위한 유체가 도입되는 위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조인트의 운영자는, 예를 들어 제2 입구(존재하는 경우)에 부착된 주사기 또는 기타 유체 도입 메커니즘을 통해, 유체의 유입을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조인트는 또한 전기수술 기구에서 유체 전달을 지시하거나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유체 전달 전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조인트는 하우징 상에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는 출구를 통해 하우징 외부로 연장되는 푸시 로드에 부착된다. 푸시 로드는 유체 전달 구조를 제어할 수 있는 전기수술 기구까지 플랙서블 샤프트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수술 기구는 푸시 로드를 앞뒤로 슬라이딩함으로써 플랙서블 샤프트의 유체 흐름 경로와 유체 연통으로 전환할 수 있는 후퇴 가능한 니들(retractable needl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분기된 통로는 푸시 로드의 입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에 인접한 제2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트 및 제2 포트 모두는 동축 케이블 및 푸시 로드를 위한 수밀 통로를 각각 형성하는 밀봉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밀봉 마개는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동축 케이블과 푸시 로드가 재료를 통과할 때 캡슐화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포트를 밀봉한다는 것은 인터페이스 조인트에서 나오는 유체의 유일한 경로가 플랙서블 슬리브의 유체 흐름 경로를 따라 배출되는 것임을 의미한다.
분기된 통로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그것은 출구와 일렬로 제1 길이, 제1 길이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제1 길이의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길이, 및 제2 길이의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길이를 정의하기 위해 각각 위에 연결된 한 쌍의 Y 형 도관들로부터 형성된다. Y 형 도관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제1 길이는 이를 통해 연장되는 푸시 로드를 가질 수 있고 밀봉 마개의 근위 단부에서 종단될 수 있다. 제2 길이는 동축 케이블이 통과 할 수 있으며 밀봉 마개의 그의 근위 단부에서 종단될 수 있다. 제3 길이는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제2 포트에서 종단될 수 있다. 이 배열에서, 하우징은 권총과 같은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서, 분기된 통로는 더 콤팩트 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통로의 상이한 길이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진다. 이러한 배열에서, 하우징은 작업자의 손에 맞도록 크기 정해진 긴 캡슐일 수 있다.
하우징이 권총 모양인 경우 이러한 형상은 상부 배럴 부분 및 상부 배럴 부분의 근위 단부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하부 인접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배럴 부분의 길이는 115 mm와 125 mm 사이이며 바람직하게는 120mm이다-하우징의 원위 단부(즉, 출구의 근위 단부)에서 상부 배럴 부분의 근위 단부까지 측정. 또한, 하부 인접 부분의 길이는 100 mm와 110 mm 사이이며, 바람직하게는 105 mm이다-하우징의 원위 단부(즉, 출구의 근위 단부)에서 하부 인접 부분의 근위 단부까지 측정.
또한, 하우징(예를 들어, 상부 배럴 부분)은 외부 표면에 슬롯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는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우징(예를 들어, 상부 배럴 부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고,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는 하우징 외부의 일체형 버튼 부분 및 하우징 내부의 일체형 긴 부분을 갖고, 버튼 부분은 긴 부분보다 길이가 더 작다(즉, 짧음). 일 실시 예에서, 슬롯은 상부 배럴 부분의 근위 단부를 향해 위치되고, 버튼 부분은 긴 부분의 근위 단부를 향해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버튼은 상부 배럴 부분의 근위 단부를 향해 위치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가 사용자에 대해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더 쉽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의 길이는 54 mm와 58 mm 사이, 바람직하게는 56. 2mm이고, 폭은 1.0 mm와 1.6 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3 mm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 슬롯의 길이는 25 mm와 31 mm 사이, 바람직하게는 28 mm이고, 폭은 1.1 mm와 1.8 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4 mm이다. 슬롯과 버튼 부분을 근위 단부를 향해 배치하면 버튼 부분에 사용자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제어가 더 쉬워지고, 즉, 사용자는 슬롯의 전체 길이를 따라 버튼 부분을 이동하기 위해 손을 많이 뻗을 필요가 없다. 또한, 이 구성에서, 버튼의 슬라이드 거리를 최대화하여 풀 로드(pull rod)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다. 차례로, 이 추가 슬라이드 거리를 통해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가 푸시 로드의 직선 위치와 곡선 위치 간의 차이를 보정할 수 있고, 니들 페룰(needle ferrule)이 타이트한 구성에 있을 때 마찰을 극복하기 위해 추가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조인트는 내시경의 기구 채널을 통해 삽입되기 전에 단일 케이블 어셈블리로 복수의 입력들을 수집하는 데 특히 적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블 어셈블리의 외부 직경이 9 mm 이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랙서블 비디오 대장 내시경의 경우 2.8 mm 이하일 수 있다.
내시경 기기 채널의 원위 단부에서 기구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랙서블 슬리브에는 토크 전달을 돕기 위해, 즉, 케이블 어셈블리의 근위 단부에서 꼬임 동작을 케이블 어셈블리의 원위 단부로 전달하기 위해, 내부에 길이 방향의 편조(braid)들이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기구가 케이블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기구의 양방향 회전이 발생할 수 있다. 플랙서블 슬리브는 내부 튜브 및 외부 튜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그 사이에 금속화된 편조의 튜브와 함께 결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부착된다. 내부 튜브 또는 외부 튜브는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또는 PEBA(예를 들어, PEBAXTM)와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같은 폴리머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또한, 편조 튜브는 랩 장착 편조 와이어의 방사상으로 이격된 층을 두 개 이상(예를 들어, 세 개) 포함할 수 있다. 각 층 또는 각 랩은 여러 개의 와이어들, 예를 들어, 6 개의 와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각의 와이어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편조 와이어의 인접한 층들은 반대의 래핑 방향을 가질 수 있다. 편조의 피치(pitch)는 케이블 어셈블리의 길이를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 예를 들어 유연성이 중요한 케이블의 원위 부분에서 더 넓은 피치를 갖는 것이 유용 할 수 있다. 금속 편조가 기구의 RF 필드 또는 마이크로파 필드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편조가 없는 플랙서블 슬리브의 원위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원위 부분은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편조 부분에 부착(예를 들어, 접합 또는 용접)될 수 있다. 원위 부분은 "소프트 팁"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사용 시 내시경과 함께 움직일 수 있는 더 플랙서블한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디바이스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원위 부분은 또한 기구 팁을 플랙서블 슬리브에 결합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하우징은 출구에 장착되고 플랙서블 슬리브를 둘러싸는 변형 완화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형 완화 요소의 기능은 이 위치에서 슬리브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내부 부품을 손상시킬 수 있는 과도하게 구부러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푸시 로드의 원위 단부는 그 원위 단부에 고정된 니들을 갖는 니들 페룰의 근위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페룰은 내부가 플랙서블 슬리브를 통해 유체 흐름 경로와 유체 연통되게 하는 외부 벽에 하나 이상의 개구들이 있는 중공형일 수 있다. 페룰의 원위 단부는 원위 단부에 장착된 니들이 유체 유동 경로와 유체 연통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페룰의 근위 단부는 푸시 로드로 밀봉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조인트는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해 제1 입구에 부착된 동축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연결은 동축 케이블에 대한 인터페이스 조인트의 상대적인 회전을 허용하도록 배열된다.
여기서, 무선주파수(RF)는 10 kHz 내지 300 MHz 범위의 안정적인 고정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파 주파수는 300 MHz 내지 100 GHz 범위의 안정적인 고정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RF 에너지는 에너지가 신경 자극을 일으키지 않도록 충분히 높고 에너지가 조직을 데치기(blanching)하거나 불필요한 열 마진을 일으키거나 조직 구조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충분히 낮은 주파수를 가져야 한다. RF 에너지에 대한 선호되는 스팟 주파수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00 kHz, 250 kHz, 400 kHz, 500 kHz, 1 MHz, 5 MHz. 마이크로파 에너지에 대해 선호되는 스팟 주파수는 915 MHz, 2.45 GHz, 5.8 GHz, 14.5 GHz, 24 GHz를 포함한다.
예시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현하며,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완전한 전기수술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인터페이스 조인트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조인트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조인트에 사용된 Y 형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Y 형 커넥터를 통한 단면도이고;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조인트에 사용되는 스토퍼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스토퍼를 통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전기수술 디바이스를 위한 원위 단부 어셈블리의 분해도이고;
도 7a는 어셈블링된 상태의 도 6의 원위 단부 어셈블리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7b는 어셈블링된 상태의 도 6의 원위 단부 어셈블리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2의 인터페이스 조인트의 특정 내부 부품들의 개략도이이며; 그리고
도 10a, 10b 및 10c는 각각 도 9의 윤곽선 영역들 A, B 및 C에서 라인 X-X를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은 마이크로파 및 RF 에너지 모두의 제어된 전달을 통해 폴립(polyp) 및 악성 성장을 제거하기 위한 내시경 절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기수술 침습 기구를 제공하는 전기수술 시스템의 콘텍스트에서 아래에 제시된다. 그러나, 본원에 제시된 본 발명의 양태들은 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제한될 필요가 없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들은 오직 RF 에너지만이 필요하거나 RF 에너지 및 유체 전달만이 필요한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침습성(invasive) 전기수술 기구의 원위 단부에 RF 에너지, 마이크로파 에너지 및 유체, 예를 들어 식염수(saline) 또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완전한 전기수술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시스템(100)은 전자기(EM) 에너지를 제어 가능하게 공급하기 위한 발생기(10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EM 에너지는 RF EM 에너지 및/또는 마이크로파 주파수 EM 에너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발성기는 WO 2012/076844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는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발생기(102)는 인터페이스 케이블(104)에 의해 인터페이스 조인트(106)에 연결된다. 인터페이스 조인트(106)는 또한 주사기와 같은 유체 전달 디바이스(108)로부터의 유체 공급(107)을 수용하도록 연결된다. 인터페이스 조인트(106)는 트리거(110)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작동 가능한 니들 이동 메커니즘을 수용한다. 인터페이스 조인트(106)의 기능은 발생기(102), 유체 전달 디바이스(108) 및 니들 이동 메커니즘으로부터의 입력을 단일 플랙서블 샤프트(112)로 결합하는 것이며, 이는 인터페이스 조인트(106)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샤프트(112)가 인터페이스 조인트(106)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인터페이스 조인트(106)의 내부 구성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논의된다.
플랙서블 샤프트(112)는 수술용 스코핑 디바이스(114)의 기구(작업) 채널의 전체 길이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토크 전달 유닛(116)은 인터페이스 조인트(106)와 수술용 스코핑 디바이스(114) 사이의 샤프트(112)의 근위 길이에 장착된다. 토크 전달 유닛(116)은 샤프트가 수술용 스코핑 디바이스(114)의 기구 채널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샤프트와 결합된다.
플랙서블 샤프트(112)는 수술용 스코핑 디바이스(114)의 기구 채널을 통과하고 내시경 튜브의 원위 단부에서 돌출하도록(예를 들어, 환자 내부) 형상화된 전기수술 기구 팁(tip)(118)을 갖는다. 기구 팁은 RF EM 에너지 및/또는 마이크로파 EM 에너지를 생물학적 조직으로 전달하기 위한 활성 팁과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접이식 피하주사기(hypodermic) 니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결합된 기술은 원하지 않는 조직을 절단 및 파괴하는 것에 대한 고유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표적 부위 주변의 혈관을 봉인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후퇴 가능한 피하주사기 니들을 사용하여 외과의는 치료할 병변(lesion)의 위치를 확장하고 표시하기 위해 조직 층들 사이에 마커 염료를 첨가한 식염수 및/또는 히알루론산을 주입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를 주입하면 조직 층들이 들어 올려지고 분리되어 병변 주변과 점막하 층을 통해 평면을 쉽게 절제할 수 있고, 따라서 장벽(bowel wall) 천공의 위험과 근육 층에 대한 불필요한 열 손상을 줄인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는 것처럼, 기구 팁(118)은 조직 플래닝(tissue planing) 유형 절제 동작을 지원하고, 다시 부주의한 천공으로부터 보호하고 나머지 조직의 생존능력(viability)을 보장하는 데 도움을 주고, 결과적으로 더 빠른 치유와 수술 후 회복을 촉진하기 위한 활성 팁 아래에 위치한 보호 선체(protective hull)를 더 포함하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기구 팁의 구조는 내부 직경이 적어도 3.3 mm이고 채널 길이가 60 cm와 170 cm 사이인 작업 채널(working channel)을 갖는 기존의 조종 가능한 플랙서블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도록 특별히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3 mm 미만)의 기구 대부분은 주로 폴리머 절연 디바이스, 즉, 일반적으로 외경이 11 mm 내지 13 mm인 플랙서블 내시경 채널 및 훨씬 더 큰 루멘 내에 수용된다. 실제로, 시야를 차단하거나 카메라 초점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윈위 어셈블리의 15 mm 내지 25 mm만이 내시경 채널의 원위 단부로부터 돌출된다. 원위 어셈블리의 돌출 부분은 기구에서 환자와 직접 접촉하는 유일한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로부터 50 cm 내지 80 cm 떨어진 곳에 있는 내시경 작업 채널의 근위 단부에서, 플랙서블 샤프트(112)는 작업 채널 포트로부터 나오고 인터페이스 조인트(106)로 30 cm 내지 100 cm 더 연장된다. 사용 시, 인터페이스 조인트(106)는 일반적으로 절차 내내 장갑을 낀 보조자에 의해 유지된다. 인터페이스 조인트(106)는 연장된 연면거리(creepage) 및 공간(clearance) 거리들로 1 차 및 2 차 전기 절연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폴리머 재료로 설계 및 제조된다. 인터페이스 케이블(104)은 연속적인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 회전을 허용하도록 설계된 QMA 형 동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발생기(102)에 연결된다. 이것은 인터페이스 조인트(106)가 사용자의 제어 하에 토크 전달 유닛(116)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보조자는 사용자에게 동조하는(sympathetic) 기구 회전, 니들 제어 및 유체 주입을 지원하기 위해 수술 동안에 걸쳐 인터페이스 조인트(106)를 지지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인터페이스 조인트(120)의 구조를 도시한다. 인터페이스 조인트는 여러 내부 부품들을 감싸는 하우징 또는 경질 플라스틱 쉘(hard plastic shell)(122)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서 쉘(122)의 절반은 조인트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 제거된다. 쉘(122)은 권총 모양이고, 즉, 쉘은 상부 배럴 부분(upper barrel portion)(121) 및 상부 배럴 부분의 근위 단부로부터 비스듬한 각도로 연장되는 하부 인접 부분(lower adjoining portion)(123)을 갖는다. 상부 배럴 부분(121)은 니들 이동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하부 인접 부분(123)은 유체 및 에너지 공급을 위한 연결부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배럴 부분은 약 120 mm의 길이를 갖고, 하부 인접 부분은 약 105 mm의 길이를 갖는다.
인터페이스 조인트(120)의 코어는 분기된 통로(branched passageway)를 정의하기 위해 함께 결합되는 한 쌍의 Y 형 도관들(124, 126)이다. Y 형 도관들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기타 적절한 경질 플라스틱(예를 들어, ABS)으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도 4a 및 4b에 더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4a 및 4b는 분기된 통로가 형성되는 Y 형 도관들(250)을 도시한다. 각각의 Y 형 도관은 제1 입구(252)와 출구(254) 사이에 주(main) 선형 채널과 주 선형 채널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의 제2 채널을 가지며, 제2 채널은 제2 입구(256)를 갖고 그 길이를 따라 약 절반 정도 주 선형 채널을 연결된다. 제1 입구(252) 및 제2 입구(256) 각각은 회전식 루어 잠금 피팅(rotary luer lock fitting)(258)을 갖는다.
도 2 및 3으로 돌아가면, 분기된 통로의 제1 길이(128)가 쉘(122)의 상부 배럴 부분(121)에 장착되고 이를 따라 놓여있다. 제1 길이(128)는 후퇴 가능한(retractable) 니들의 전개를 제어하기 위한 푸시 로드(push rod)(130)를 그의 근위 단부에서 수용한다. 푸시 로드(130)는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135)에 장착된, 예를 들어 열 스테이크된(heat staked), 구부러진(crooked) 근위 단부(132)를 갖는다.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135)는 쉘(122) 내부에 위치하는 일체형 긴 부분(integral elongate portion)(134)과 쉘(122) 외부에 위치하는 일체형 버튼 부분(136)을 포함한다. 푸시 로드(130)는 긴 부분(134)의 근위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버튼 부분은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135)의 구조의 대부분이 쉘(122) 내에 위치하도록 긴 부분(134)보다 길이가 더 작을 수 있다.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135)를 더 자세히 고려하면, 상부 배럴 부분(121)은 그 외부 표면에 슬롯(137)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135)는 슬롯(137)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부 배럴 부분(1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135)는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135)가 슬롯(137)의 측면들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슬롯(137)의 서로 다른 측면 에지를 각각 수용하는 측면 그루브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슬롯은 약 56.2 mm의 길이 및 약 1.3 mm의 폭을 갖는다. 버튼 부분(136)은 인터페이스 조인트(120)의 쉘(122)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으로 버튼 부분(136)을 앞뒤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푸시 로드(130) 및 니들 페룰(needle ferrule)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니들이 원위 어셈블리의 안팎으로 슬라이딩하게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슬롯(137)은 상부 배럴 부분(121)의 근위 단부를 향해 위치되고, 버튼 부분(136)은 긴 부분(134)의 근위 단부를 향해 위치된다. 슬롯(137) 및 버튼 부분(136)을 근위 단부를 향해 위치시키는 것은 버튼 부분(136)이 사용중인 사용자가 더 쉽게 접근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를 더 쉽게 만든다. 즉, 사용자는 이 구성이 예를 들어 쉘(122)의 원위 단부를 잡는 것보다 인간의 손에 더 편안하기 때문에 그 근위 단부를 향해 인터페이스 조인트를 잡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쉘(122)의 근위 단부를 잡음으로써, 버튼 부분(136)의 슬라이드 거리를 최대화하여 푸시 로드(130)가 안팎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즉, 그의 최대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최대화 할 수 있다. 추가 슬라이드 거리는 슬라이딩 가능 트리거(135)가 푸시 로드(130)의 직선 위치와 곡선 위치 사이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게 해주며, 니들 페룰이 단단한 구성에 있을 때 마찰을 극복하기 위해 추가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추가 슬라이드 거리는 유리하게는 일그러진(torturous) 내시경 위치에서 니들 확장을 허용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조인트를 일반적으로 더 크게 만들면 이러한 이점을 얻을 수 있지만, 이는 디바이스의 부피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취급 및 제어가 덜 쉬워진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슬롯 및 버튼 부분을 배치하면 인터페이스 조인트의 전체적인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동일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제1 길이(128)의 근위 단부는 실리콘 마개(bung)(138)에 의해 밀봉되며, 이는 도 5a 및 5b에 더 상세히 도시된다. 도 5a 및 5b는 각각 분기된 통로의 제1 길이의 근위 단부를 밀봉하는 마개(138)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마개는 회전식 루어 잠금 피팅(246)과 예를 들어,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한 고무로 제작된 일체형 밀봉 가로막(diaphragm)(248)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으로 돌아가면, 분기된 통로의 제2 길이(140)가 즉, 제1 길이(128)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하부 인접 부분(123)에 장착되고 이를 따라 놓인다. 제2 길이(140)는 근위 QMA 형 커넥터(144)로부터 제1 길이(128)의 근위 단부로 동축 케이블(142)을 전달하고, 이는 푸시 로드(130)를 만나고 원위 출구(146)를 통해 인터페이스 조인트(120)를 빠져 나간다. QMA 형 커넥터(144)는 발생기로부터의 인터페이스 케이블에 연결된다. 동축 케이블(142)은 30 ㎛ 층의 파릴렌(Parylene) C로 코팅된 수코폼(Sucoform) 047 동축 케이블일 수 있다. 동축 케이블(142)은 제2 길이(140)의 근위 단부에서 실리콘 밀봉 플러그(silicone sealing plug)(148)를 통과 할 수 있다.
분기된 통로의 제3 길이(150)는 외부를 향하는 유체 수용 포트(152)를 제공하기 위해 제2 길이(140)로부터 이어져 있다. 유체 수용 포트(152)는 적절한 주사기 등과의 결합을 밀봉하기 위한 나사형 루어 잠금 피팅(threaded luer lock fitting)일 수 있다. 밀봉 플러그(148)와 마개(138)는 분기된 통로가 수밀 방식으로 밀봉되도록 하고, 이에 의해 유체 수용 포트(152)에 도입된 유체는 원위 출구(146)를 통해서만 인터페이스 조인트(120)를 빠져 나갈 수 있다.
인터페이스 조인트의 원위 출구(146)는 이를 통해 내시경의 기구 채널로 도입되는 플랙서블 샤프트(154)의 근위 부분을 수용한다. 플랙서블 샤프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체, 푸시 로드(130) 및 동축 케이블(142)을 전달한다. 플랙서블 샤프트(154)의 근위 단부는 상부 배럴 부분(121)를 따라 약간 중첩되도록 분기된 통로에 직접 결합된다. 이 결합된 접합부는 펴진 장갑처럼 맞고 제자리에 결합되는 덮개(covering)(156)(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에 의해 가려진다. 덮개(156)는 변형 완화 요소(strain relief element)로 작동하고 샤프트 플랙서블 벤드 제한기의 단부로도 역할을 한다(double).
인터페이스 조인트(120)의 주요 사용자는 내시경 의사(endoscopist)의 보조자일 수 있다. 사용 시, 작동자는 일반적으로 플랙서블 내시경의 작업 채널 아래로 삽입하기 위해 내시경 의사에게 기구의 원위 팁을 제공하여, 인터페이스 조인트(120)와 인터페이스 케이블(발생기에 연결됨)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만들고 그 후 시술 전반에 걸쳐 인터페이스 조인트(120) 자체를 지지한다. 시술 동안 작동자는 유체 수용 포트(152)에 부착된 5 내지 20 ml 주사기를 통해 필요에 따라 팽창/마커 유체를 주입하고 내시경 의사의 지시에 따라 니들 슬라이더(134)를 작동시킬 수 있다.
플랙서블 샤프트(154)는 동축 케이블(142), 푸시 로드(130) 및 유체를 포함하는 외부 캐뉼라 튜브(cannula tube)를 포함한다. 플렉시블 샤프트의 특정 내부 구조는 도 8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원위 어셈블리는 튜브에 적용된 임의의 회전이 원위 어셈블리로 전달됨을 의미하는 방식으로 외부 캐뉼라 튜브에 고정된다. 따라서, 원위 어셈블리의 회전 가능한 조작을 허용하기 위해, 토크 전달 유닛(예를 들어, 도 1의 116)이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랙서블 샤프트에 장착되다.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135)는 도 2 및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자유로운 왕복 운동(reciprocal movement)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완전히 후퇴된 니들 위치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135)를 잠그고 파킹하기 위해 래치 메커니즘(latch mechanism)(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135)는 메커니즘을 후퇴된 상태로 바이어싱하는 스프링-로딩 동작(spring-loaded action)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 로딩 옵션을 사용하면 사용자(보조자)가 유체를 주입하는 동안 슬라이더를 스프링쪽으로 앞으로 홀딩해야 한다.
도 6, 7a 및 7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조인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활성 팁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원위 어셈블리(214)의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도 6은 원위 어셈블리(214)를 형성하는 구성 요소들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원위 어셈블리(214)는 위에서 논의된 플랙서블 샤프트(154)의 외부 캐뉼라 튜브(216)의 원위 단부에 장착된다. 토크 전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대부분의 외부 캐뉼라 튜브(216)는 예를 들어, 방사상 내부 폴리머 층과 방사상 외부 폴리머 층 사이에 장착된 편조 와이어(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랩을 포함하는, 편조 튜브(braided tube)로 형성된다. 내부 폴리머 층 또는 외부 폴리머 층은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또는 PEBA(예를 들어, PEBAXTM)와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편조 튜브는 랩 장착 편조 와이어의 두 개 이상의(예를 들어, 3 개)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랩 또는 각 층은 여러 와이어들, 예를 들어 6 개의 와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들은 평평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편조 와이어의 인접한 층들은 반대의 래핑(wrapping) 방향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조 튜브는 5 개의 층들을 가질 수 있으며, 반경 방향으로 가장 안쪽 층은 반 시계 래핑 방향으로 감싸지고, 그런 다음 각 후속 층은 다음과 같은 래핑 방향으로 감싸질 수 있다: 시계 방향, 반 시계 방향,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그러나, 편조 재료가 RF 및/또는 마이크로파 주파수 EM 에너지를 원위 어셈블리로 전달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려면, 외부 캐뉼라 튜브(216)의 원위 부분(218)은 순수한 폴리머 층들로, 즉 내부 편조 없이 만들어진다.
외부 캐뉼라 층(216)의 원위 부분(218)은 보호 선체(protective hull)(222)의 대응하는 근위 부분(220)에 끼워진다. 보호 선체(222)는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상화되며, 즉
- 플랙서블 샤프트에 원위 어셈블리를 장착하고,
- 활성 팁을 위한 보호 밑면을 제공하고,
- 니들을 위한 보호 하우징을 제공하고,
- 동축 케이블에 대해 활성 팁을 위치시킨다.
원위 어셈블리(214)는 그 상부 및 하부 표면들에 도전성 층들(예를 들어, 금(gold)의)을 갖는 평면형 유전체 재료(예를 들어, 알루미나)인 활성 팁(224)을 포함한다. 활성 팁(224)의 원위 단부는 만곡된다. 도전성 층들은 플랙서블 샤프트(216)에 의해 전달되는 동축 케이블(142)의 내부 및 외부 도전체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동축 케이블(142)의 원위 단부에서, 외부 도전체(226)의 길이를 노출시키기 위해 그 외부 피복(sheath)이 제거된다.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전체(228)는 외부 도전체(226)의 원위 단부를 넘어 연장된다. 동축 케이블(142)과 활성 팁(224)은 서로에 대해 장착되므로, 내부 도전체(228)의 돌출 부분은 활성 팁의 제1 도전성 층 상에 놓이는 반면, 외부 도전체(226)는 도전성 어댑터 요소(conductive adaptor element)(230)에 의해 제2 도전성 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도전성 층은 외부 도전체(226)로부터 절연되고 제2 도전성 층은 내부 도전체(228)로부터 절연된다.
어셈블링되면,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 팁(224) 및 동축 케이블(142)은 외부 도전체로부터 돌출하는 내부 도전체(228)의 부분 위에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서로 및 선체(222)에 접합된다. 이 에폭시 접착제는 외부 캐뉼라 튜브의 단부 플러그, 즉, 인터페이스 조인트에 유입되는 유체의 유일한 출구가 니들을 통해서라는 것을 의미하는 유체 기밀 밀봉을 형성하는 역할도 한다.
선체(222)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로 제작된, 니들 가이드 튜브(232)를 유지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한다. 사용 시 원위 어셈블리(214)는 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한다. 니들(234)은 활성 팁(224)의 원위 단부를 넘어 연장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조인트 상의 슬라이더 메커니즘의 제어를 통해 가이드 튜브(232) 내부의 위치로 후퇴될 수 있다. 연장된 위치에서, 니들은 내시경 의사가 조직을 국소적으로 확장하고 마킹하기 위해 유체를 주입하는 데 사용된다. 활성 팁(224)상의 도전성 층들은 RF 및/또는 마이크로파 주파수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양극(bi-polar) 전극들을 형성한다.
니들 가이드(232)는 RF/마이크로파 활성화가 오직 활성 팁(224)의 원위 팁 영역을 가로 질러 발생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연장된 연면 공간(creepage clearance)을 제공하기 위해 원위 어셈블리에 대해 내부 뒤로 및 근위로 연장된다.
유사하게, 도전성 층(236)이 활성 팁(224)의 원위 팁 영역 뒤에서 다시 리세스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활성 팁의 근위 단부에서 추적/연면 거리를 늘리기 위해 위쪽과 아래쪽 면들 모두에서 수행되며, 또한 RF/마이크로파 에너지가 팁의 원위 단부 및 의도적인 활성 요소를 향해 집중되도록 한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조인트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플랙서블 샤프트(154)의 전형적인 단면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랙서블 샤프트는 원위 어셈블리(214)를 인터페이스 조인트의 다른 부분에 연결할 수 있다. 플랙서블 샤프트(154)는 2.3 m 또는 1.75 m,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조인트를 원위 어셈블리에 연결하는 기구의 전체 길이에 대해 이어질 수 있다. 사용하는 동안 이 샤프트 길이의 대부분은 플렉시블 내시경의 작업 채널 내에 있다. 플랙서블 샤프트(154)는 외부 캐뉼라 튜브(216)(즉, 위에서 논의된 편조 튜브)를 포함하고, 이는 유체 기밀 캐뉼라(237) 및 사용자/환자 사이의 전기적 장벽 및 그 자체가 추가로 절연되는 동축 스코폼(Sucoform) 케이블(142)을 형성한다. 외부 캐뉼라 튜브(216)는 또한 푸시 로드(130)를 위한 저 마찰 경로와 구조에 대한 안정성 /지지를 제공하는 내부 튜브(238)를 수용하여, 유체 경로가 항상 캐뉼라의 전체 길이를 따라 유지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내부 튜브(238)는 단일 루멘 PTFE 튜브이다. 도 8의 실시 예에서, 푸시 로드는 내부 튜브(238) 내에 포함된 유체에 침지된다.
플랙서블 샤프트(154)의 길이를 통해, 동축 케이블(142)(예를 들어, 스코폼(Sucoform) 047 케이블)은 플랙서블 보호 기구 샤프트를 형성하는 편조 및 이중 절연 외부 캐뉼라 튜브(216)와 함께 복합 구조의 하나의 루멘을 형성한다.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열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발생기에 의한 마이크로파 에너지 사용에 활성화 제어가 부과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 인스턴스에서 활성화는 20 s(연속 출력)로 제한될 수 있고, 그 후 원위 어셈블리의 근위 단부에 대한 평균 전력 입사도는 4 W로 제한될 수 있다. 이 제어는 예를 들어 발생기 소프트웨어를 통해 내시경 의사와 독립적으로 부과 될 수 있다. 이 제어를 사용하면 인터페이스 조인트의 바로 원위에 있는 기구 샤프트의 폴리머 표면에서 20 s 연속 활성화 후 40°C의 온도가 관찰되었다. 20 s 후 내시경 의사에 의한 추가 연속 마이크로파 활성화가 발생기 소프트웨어에 의해 자동으로 중단됨에 따라 온도가 떨어진다. 전체 20 s 활성화 용량은 240 s(12 Х 20 s)가 경과 할 때까지 방지될 수 있다.
실제로, 장 벽에 잠재적인 전체 벽 두께 손상을 초래하는 팁의 관류(perfusion)에 대한 우려로 인해 10 s 이상 응고 기능을 활성화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도 9, 10a, 10b 및 10c는 푸시 로드(130)로부터 니들(234) 로의 전이 경로를 도시한다. 명확성을 위해, 도 9, 10a, 10b 및 10c는 플랙서블 튜브(154), 동축 케이블(142), 쉘(122), 또는 출구(146)와 같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중 다수를 도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존재하며, 명확성을 위해 도 9, 10a, 10b 및 10c의 개략도에 표시되지 않았다. 또한, 푸시 로드(130)의 근위 단부는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135)에 고정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9, 10a, 10b 및 10c를 고려하면, 니들 페룰(240)은 그 근위 단부에서 푸시 로드(130)에 연결되고 그 원위 단부에서 니들(234)에 연결된다. 니들 페룰(240)의 외부 표면에 있는 한 세트의 홀들(242)은 니들(234) 밖으로 전달하기 위해 플랙서블 샤프트로부터 유체의 유입을 허용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로드(130)의 원위 단부는 페룰(240)의 근위 단부에 고정된다(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스토퍼 요소(stopper element)(244)는 푸시 로드의 원위 단부를 향해 푸시 로드(130)의 외부 표면에 고정된다. 일 실시 예에서, 스토퍼 요소(244)는 원위 단부(및 니들 페룰(240))로부터 약 2 mm 내지 6 mm만큼 이격된다. 전술한 내부 튜브(238)는 스토퍼 요소(244)의 근위 측인 푸시 로드(130)의 일부를 둘러싼다. 지지 튜브(248)는 내부 튜브(238)의 근위 측인 푸시 로드(130)의 다른 부분을 둘러싼다. 또한, 푸시 로드(130)의 일부는 지지 튜브(248)의 근위 단부를 넘어 돌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푸시 로드(130) 및 지지 튜브(248)의 근위 단부들은 동일한 지점에서 종료될 수 있으며, 즉 어느 하나도 다른 쪽을 넘어 돌출 될 수 없다.
지지 튜브(248)는 쉘(122) 내부에 위치하는 푸시 로드의 일부를 보강하기 위해 푸시 로드(130)에 결합되는 보강 요소(reinforcement element)를 제공한다. 지지 튜브(248)는 푸시 로드(130)가 완전히 후퇴될 때 인터페이스 조인트의 쉘(122) 내에 위치하며, 그러나 지지 튜브(248)의 원위 단부는 푸시 로드(130)가 완전히 연장됨에 따라 출구(146) 및 플랙서블 샤프트(154) 내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 튜브(248)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튜브(248)는 지지 튜브(248)와 지지 튜브(248)가 둘러싸는 푸시 로드(130) 부분 사이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푸시 로드(13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튜브(248)는 기계적 크림프(crimp) 또는 접착제(예를 들어, UV 접착제)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통해 푸시 로드(13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적 크림프를 먼저 적용한 다음 접착제로 밀봉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용접은 푸시 로드(130)와 지지 튜브(248)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보강 요소의 기능은 쉘(122)의 자유 공간 또는 공동 내에 위치하는 푸시 로드(130)의 일부를 보강하는 것이다. 이 부분은 자유 공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구부러지거나 굽히기 쉬우며, 이는 차례로 니들(234)의 후퇴 및 연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135)를 슬라이딩할 때, 슬라이딩 힘은 쉘(122) 내부의 푸시 로드(130)의 일부가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대신 또는 이에 추가하여 반경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할 수 있다. 이 굽힘의 결과는 트리거에 적용되는 슬라이딩 양을 고려할 때 단부에서 니들 움직임이 예상 또는 원하는 것보다 적을 수 있다. 니들 동작은 섬세한 수술 절차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굽힘의 효과는 장기간의 수술 절차일 수 있다. 따라서 보강 요소의 도입은 푸시 로드를 보강하여 그것이 구부러질 가능성을 줄인다. 차례로, 인터페이스 조인트와 더 넓은 전기수술 시스템의 작동이 개선된다.
일부 다른 실시 예들에서, 보강 요소는 지지 튜브(248)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 보강 요소는 쉘(122) 내부에 위치하는 푸시 로드(130)의 일부와 평행하고 그에 고정된 긴 구조일 수 있다. 긴 구조는 속이 꽉 찬 형태이거나 부분적으로 중공형일 수 있다. 긴 구조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긴 구조는 푸시 로드(130)와 평행할 수 있지만 동축이 아닐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기계적 고정구들에 의해 푸시 로드(1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보강 요소는 긴 구조가 푸시 로드(130)에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하여 쉘(122) 내에서 푸시 로드(130)의 굽힘이 방지된다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지지 튜브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도 9, 10a, 10b 및 10c의 실시 예로 돌아가서, 내부 튜브(238)는 쉘(122) 및 출구(146) 외부에 있는 푸시 로드(130)의 일부를 둘러싼다. 또한, 내부 튜브(238)는 지지 튜브(248)의 원위 측인 푸시 로드(130)의 일부를 둘러싼다. 일 실시 예에서, 푸시 로드(130)가 완전히 연장될 때, 내부 튜브(238)는 플랙서블 슬리브(154) 내부 및 출구(146) 및 쉘(122) 외부에 위치될 수 있고; 그러나, 내부 튜브(238)의 근위 단부는 푸시 로드(130)가 완전히 후퇴됨에 따라 출구(146) 및 쉘(122) 내로 돌출될 수 있다. 내부 튜브(238)는 하나 이상의 루멘들 또는 채널들을 가질 수 있으며; 그러나,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부 튜브(238)는 단일 루멘 튜브이다. 내부 튜브(238)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제조될 수 있다. 내부 튜브(238)는 푸시 로드(130)를 전달하고 푸시 로드(130)에 대해 자유롭게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즉, 내부 튜브(238)의 내부 직경은 도 8 및 10b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듯이 푸시 로드(130)의 외부 직경보다 크다. 그러나, 인터페이스 조인트는 또한 내부 튜브(238)가 푸시 로드(130) 위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양을 제한하는 슬라이드 제한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 제한 메커니즘은 내부 튜브(238)의 원위 측에서 푸시 로드(130)의 외부 표면에 고정되는 스토퍼 요소(244)를 포함한다. 스토퍼 요소(244)는 내부 튜브가 제1 스토퍼 요소를 지나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스토퍼 요소(244)는 내부 튜브(238)가 그 위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토퍼 요소(244)는 블롭(blob), 드롭(drop), 비드(bead), 또는 접착제의 볼(예를 들어, UV 접착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 요소(244)는 푸시 로드(130)의 원주의 일부만을 둘러쌀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토퍼 요소(244)는 푸시 로드(130) 둘레를 둘러싸는 작은 관형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제한 메커니즘은 내부 튜브(238)의 근위 측에서 푸시 로드(130)의 외부 표면에 고정된 다른 스토퍼 요소를 포함한다. 이전과 같이, 이 다른 스토퍼 요소는 내부 튜브(238)가 그것을 지나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다른 스토퍼 요소는 지지 튜브(248)의 원위 단부에 의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 튜브(248)는 푸시 로드(130)에 고정되어 있어 내부 튜브의 근위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제한한다. 그러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내부 튜브(238)의 근위 단부와 지지 튜브(248)의 원위 단부 사이에 전용 제2 스토퍼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토퍼 요소는 스토퍼 요소(244)와 유사할 수 있다.
슬라이드 제한 메커니즘(예를 들어, 스토퍼 요소(244) 및 지지 튜브(248)의 원위 단부)의 기능은 푸시 로드(130) 위의 내부 튜브(238)의 최대 슬라이드 거리를 제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최대 슬라이드 거리는 4 mm에서 10 mm 사이로 제한될 수 있다. 즉, 내부 튜브(238)의 길이가 2000 mm 인 경우, 슬라이드 제한 메커니즘의 두 개의 스토퍼 요소들은 2004 mm 내지 2010 mm의 이격 거리로 푸시 로드(1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부 튜브(238)는 4 mm와 10 mm 사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튜브(238)는 구속된 방식으로 푸시 로드(130) 위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구속되지 않은 슬라이딩에 비해 구속된 슬라이딩의 장점은 내부 튜브(238)가 니들 페룰(240)에서 버클링, 잼 또는 찢어질 가능성이 적고 니들 성능에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적다는 것이다. 또한, 내부 튜브(238)는 푸시 로드(130)와 함께 움직일 수 있고, 따라서, 내부 튜브(238)는 푸시 로드(130)상에서 많이 부유하지 않아서 시 로드(130)를 따르는 마찰로 인한 마모를 감소시킨다(즉, 마찰 성능 향상). 또한, 내부 튜브(238)의 손상 가능성이 감소하기 때문에, 손상된 내부 튜브(238)의 결과인 시스템의 다른 부분에 대한 손상 가능성도 감소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즉, 내시경 점막 절제 또는 내시경 점막하 절제에 대해 예를 들어, 장의 폴립을 제거하기 위해 하부 및 상부 위장(GI) 관과 관련된 GI 절차에 특히 적합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일반 수술이나 복강경 수술에서, 다른 절차에 적합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귀, 코 및 인후 시술 및 간 절제술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문맥 또는 췌관에 근접한 종양 또는 이상을 절제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췌장과 관련된 절차를 다루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형태로 또는 공개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전술한 설명 또는 다음 청구 범위 또는 첨부 도면에 개시된 특징들 또는 공개된 결과를 얻기 위한 방법 또는 프로세스는, 적절하게, 개별적으로 또는 이러한 특징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본 발명을 다양한 형태들로 실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주어질 때 많은 동등한 수정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제한하지 않는다. 설명된 실시 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의심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본원에 제공된 이론적 설명은 독자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제공된다. 발명가는 이러한 이론적 설명에 구속되기를 원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모든 섹션 제목은 구성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설명된 주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문맥상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다음의 청구 범위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갖다(have)", "포함하다(comprise)", 및 "포함하다(include)"라는 단어와 "갖는(having)", "포함하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및 "포함하는(including)"과 같은 변형은 언급된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정수들 또는 단계들의 그룹의 포함을 의미하지만 다른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정수들 또는 단계들 그룹의 제외를 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a", "an" 및 "상기(the)")는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복수 지시 대상들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범위는 본원에서 "약" 하나의 특정 값 및/또는 "약" 다른 특정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가 표현될 때, 다른 실시 예는 하나의 특정 값으로부터 및/또는 다른 특정 값까지 포함한다. 유사하게, 값을 근사치로 표현할 때 선행 "약(about)"을 사용하여, 특정 값이 다른 실시 예를 형성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수치와 관련된 용어 "약"은 선택적이며 예를 들어 +/- 10 %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람직한" 및 "바람직하게"라는 단어는 일부 상황에서 특정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지칭한다. 그러나, 동일한 또는 상이한 상황 하에서 다른 실시 예가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언급은 다른 실시 예가 유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암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청구항의 범위로부터 다른 실시 예를 배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Claims (17)

  1. 전기수술 발생기(electrosurgical generator)와 전기수술 기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인트(interface joint)로서, 상기 인터페이스 조인트는:
    하우징(housing)으로,
    상기 전기수술 발생기로부터 전자기 에너지를 수신하기 위한 입구(inlet), 및
    출구(outlet)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의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slidable trigger)-상기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는 상기 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연장되는 푸시 로드(push rod)에 부착 됨-;
    상기 출구를 상기 전기수술 기구에 연결하기 위한 단일 케이블 어셈블리(single cable assembly)-상기 단일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입구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 및 상기 푸시 로드를 전달하는 플랙서블 슬리브(flexible sleeve)를 포함 함-; 및
    상기 푸시 로드의 제1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요소(reinforcement element)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위치하는, 인터페이스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요소는 상기 보강 요소와 상기 제1 부분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부분에 고정되는, 인터페이스 조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요소는 상기 제1 부분을 둘러싸는 지지 튜브(support tube)인, 인터페이스 조인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서블 슬리브는 상기 푸시 로드의 제2 부분을 둘러싸는 내부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튜브는 상기 푸시 로드에 대해 자유롭게 슬라이딩 되는, 인터페이스 조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브는 단일 루멘(lumen) 튜브인, 인터페이스 조인트.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푸시 로드에 대한 상기 내부 튜브의 최대 슬라이드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드 제한 메커니즘(slide limiting mechanism)을 더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조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제한 메커니즘은 상기 내부 튜브의 원위 측에서 상기 푸시 로드의 외부 표면에 고정된 제1 스토퍼 요소(stopper element)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토퍼 요소는 상기 내부 튜브가 상기 제1 스토퍼 요소를 지나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스 조인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제한 메커니즘은 상기 내부 튜브의 근위 측에서 상기 푸시 로드의 외부 표면에 고정된 제2 스토퍼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토퍼 요소는 상기 내부 튜브가 상기 제2 스토퍼 요소를 지나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스 조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 요소는 상기 푸시 로드의 원위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인터페이스 조인트.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 요소 및 상기 제2 스토퍼 요소는 상기 푸시 로드에 대한 상기 내부 튜브의 상기 최대 슬라이드 거리가 4 mm 내지 10 mm가되도록 서로에 대해 위치되는, 인터페이스 조인트.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항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종속할 때, 상기 보강 요소는 상기 제2 스토퍼 요소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조인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 배럴 부분(upper barrel portion) 및 상기 상부 배럴 부분의 근위 단부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하부 인접 부분(lower adjoining portion)을 갖는 권총 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 배럴 부분은 그 외부 표면에 슬롯(slot)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는 상기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배럴 부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는 상기 하우징 외부의 일체형 버튼 부분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체형 긴 부분을 가지며, 상기 버튼 부분은 상기 긴 부분보다 길이가 더 작고, 그리고
    상기 슬롯은 상기 상부 배럴 부분의 상기 근위 단부를 향해 위치되고, 상기 버튼 부분은 상기 긴 부분의 근위 단부를 향해 위치되는, 인터페이스 조인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배럴 부분은 115 mm와 125 mm 사이의 길이를 갖고, 상기 하부 인접 부분은 100 mm와 110 mm 사이의 길이를 갖는, 인터페이스 조인트.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54 mm와 58 mm 사이의 길이와 1.0 mm와 1.6 mm 사이의 폭을 갖는, 인터페이스 조인트.
  15. 전기수술 발생기와 전기수술 기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인트로서, 상기 인터페이스 조인트는:
    하우징으로,
    상기 전기수술 발생기로부터 전자기 에너지를 수신하기 위한 입구, 및
    출구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의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상기 슬라이딩 가능한 트리거는 상기 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연장되는 푸시 로드에 부착 됨-;
    상기 출구를 상기 전기수술 기구에 연결하기 위한 단일 케이블 어셈블리-상기 단일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입구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 및 상기 푸시 로드를 전달하는 플랙서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플랙서블 슬리브는 상기 푸시 로드의 일부를 둘러싸는 내부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튜브는 상기 푸시 로드에 대해 자유롭게 슬라이딩 됨-; 및
    상기 푸시 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푸시 로드에 대한 상기 내부 튜브의 최대 슬라이드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드 제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조인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서블 슬리브는 반경 방향 내부 폴리머 층과 반경 방향 외부 폴리머 층 사이에 장착된 편조 튜브 랩(braided tube wrap)을 포함하고, 상기 편조 튜브는 랩 장착 편조 와이어의 두 개 이상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층들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조인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랩 장착 편조 와이어의 인접한 층들은 반대의 래핑(wrapping) 방향을 갖는, 인터페이스 조인트.
KR1020217013944A 2018-11-20 2019-11-19 전기수술 발생기와 전기수술 기구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인트 KR202100932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818869.8A GB2579084A (en) 2018-11-20 2018-11-20 An interface joint for interconnecting an electrosurgical generator and an electrosurgical instrument
GB1818869.8 2018-11-20
PCT/EP2019/081735 WO2020104419A1 (en) 2018-11-20 2019-11-19 An interface joint for interconnecting an electrosurgical generator and an electrosurgical instru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246A true KR20210093246A (ko) 2021-07-27

Family

ID=6474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944A KR20210093246A (ko) 2018-11-20 2019-11-19 전기수술 발생기와 전기수술 기구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인트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20000554A1 (ko)
EP (2) EP3998034A1 (ko)
JP (2) JP7438561B2 (ko)
KR (1) KR20210093246A (ko)
CN (1) CN113038897B (ko)
AU (1) AU2019385633A1 (ko)
BR (1) BR112021009158A2 (ko)
CA (1) CA3119511A1 (ko)
GB (1) GB2579084A (ko)
IL (1) IL283044A (ko)
SG (1) SG11202104842SA (ko)
WO (1) WO20201044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5573A (en) 2017-08-17 2019-02-20 Creo Medical Ltd Interface joint for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US20220257304A1 (en) * 2021-02-12 2022-08-18 Covidien Lp Continuous rotation cable for surgical instrument
GB202119001D0 (en) * 2021-12-24 2022-02-09 Creo Medical Ltd Surgical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1673A (en) * 1989-02-17 1995-07-11 American Biomed, Inc. Distal atherectomy catheter
US7156846B2 (en) * 2003-06-13 2007-01-02 Sherwood Services Ag Vessel sealer and divider for use with small trocars and cannulas
ES2752055T3 (es) * 2009-05-22 2020-04-02 Charles R Slater Instrumento endoscópico
GB201021032D0 (en) 2010-12-10 2011-01-26 Creo Medical Ltd Electrosurgical apparatus
US9017319B2 (en) * 2011-01-05 2015-04-28 Covidien Lp Energy-delivery devices with flexible fluid-cooled shaft, inflow/outflow junctions suitable for use with same, and systems including same
US9011421B2 (en) * 2011-01-05 2015-04-21 Covidien Lp Energy-delivery devices with flexible fluid-cooled shaft, inflow/outflow junctions suitable for use with same, and systems including same
GB2487199A (en) * 2011-01-11 2012-07-18 Creo Medical Ltd Electrosurgical device with fluid conduit
GB2500882B (en) * 2012-04-02 2017-10-04 Gyrus Medical Ltd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8906008B2 (en) * 2012-05-22 2014-12-09 Covidien Lp Electrosurgical instrument
GB2503673A (en) * 2012-07-03 2014-01-08 Creo Medical Ltd Electrosurgical device with convex under surface
GB201323171D0 (en) * 2013-12-31 2014-02-12 Creo Medical Ltd Electrosurgical apparatus and device
GB201412910D0 (en) * 2014-07-21 2014-09-03 Creo Medical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US9956029B2 (en) * 2014-10-31 2018-05-01 Medtronic Advanced Energy Llc Telescoping device with saline irrigation line
US20160302818A1 (en) * 2015-04-16 2016-10-20 Ethicon Endo-Surgery, Llc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 with movable rigidizing member
GB2543509B (en) * 2015-10-19 2020-10-14 Creo Medical Ltd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20180368905A1 (en) * 2015-11-30 2018-12-27 Scott T. Latterell Saline field electrosurgical system
CN108392294B (zh) * 2017-02-07 2020-05-19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穿刺装置及锚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1009158A2 (pt) 2021-08-17
EP3883488C0 (en) 2024-04-10
JP2022507304A (ja) 2022-01-18
EP3883488A1 (en) 2021-09-29
GB2579084A (en) 2020-06-10
GB201818869D0 (en) 2019-01-02
JP2024029024A (ja) 2024-03-05
CN113038897A (zh) 2021-06-25
US20220000554A1 (en) 2022-01-06
CA3119511A1 (en) 2020-05-28
EP3998034A1 (en) 2022-05-18
JP7438561B2 (ja) 2024-02-27
SG11202104842SA (en) 2021-06-29
CN113038897B (zh) 2024-05-28
AU2019385633A1 (en) 2021-06-03
WO2020104419A1 (en) 2020-05-28
EP3883488B1 (en) 2024-04-10
IL283044A (en)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82275B2 (en) Electrosurgical apparatus for delivering rf and/or microwave energy into biological tissue
JP2024029024A (ja) 電気外科用発電機と電気外科用器具を相互接続するためのインタフェースジョイント
JP7195623B2 (ja) Rf及び/またはマイクロ波エネルギーを生体組織内に送達するための電気外科装置
US11980413B2 (en) Interface joint for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RU2779494C1 (ru) Интерфейсный узел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электро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генератора и электро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