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067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067A
KR20210093067A KR1020200006788A KR20200006788A KR20210093067A KR 20210093067 A KR20210093067 A KR 20210093067A KR 1020200006788 A KR1020200006788 A KR 1020200006788A KR 20200006788 A KR20200006788 A KR 20200006788A KR 20210093067 A KR20210093067 A KR 20210093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torage tank
bulkhead
integrated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6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3067A/ko
Publication of KR20210093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06Rigid pipes specially profi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선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와, 선체 내부에 수용되며 격벽으로 구획된 제1 저장탱크와 제2 저장탱크와, 제1 저장탱크 내측에 배치되며 격벽에 밀착 형성된 제1 배관과, 제2 저장탱크 내측에 배치되며 제1 배관 밀착된 면과 반대면인 격벽에 밀착 형성된 제2 배관과, 제1 배관과 제2 배관이 각각 제1 저장탱크와 제2 저장탱크 밖으로 연장되며 하나의 관으로 통합된 통합배관, 및 통합배관에 연결되어 제1 배관과 제2 배관을 통하여 동시에 액상화물을 로딩하거나 언로딩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화물 로딩 및 언로딩 시스템을 줄일 수 있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화물은 액체상태로 적재되는 화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가 대표적인 액상화물의 일례이다. 이러한 액상화물은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육상용 저장시설물 등에 설치되는 액상화물 저장탱크 내에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선박에 설치된 액상화물 저장탱크는 선박에 설치되는 형태에 따라 독립탱크형(independent tank type)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독립탱크형은 선체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형성된 격벽에 의해 저장공간이 구획된다.
한편, 격벽으로 구획된 저장탱크에 액상화물 로딩 및 언로딩시스템을 설치하는 경우, 격벽으로 구획된 저장탱크 각각마다 파이프 형태의 배관 및 펌프가 필요하여 액상화물 로딩 및 언로딩시스템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격벽이 구비된 저장탱크에서 로딩 및 언로딩 시스템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6691호 (2019. 07. 2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액상화물 로딩 및 언로딩 시스템을 줄일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 상기 선체 내부에 수용되며 격벽으로 구획된 제1 저장탱크와 제2 저장탱크; 상기 제1 저장탱크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격벽에 밀착 형성된 제1 배관; 상기 제2 저장탱크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배관 밀착된 면과 반대면인 상기 격벽에 밀착 형성된 제2 배관;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이 각각 상기 제1 저장탱크와 상기 제2 저장탱크 밖으로 연장되며 하나의 관으로 통합된 통합배관; 및 상기 통합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을 통하여 동시에 액상화물을 로딩하거나 언로딩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액상화물이 이동하는 내부 유로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격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은 각각 벤딩된 판부재가 상기 격벽에 밀착하여 횡단면 형상이 각각 반원 형상을 이루고, 상기 통합배관은 횡단면 형상이 각각 반원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1 배관과상기 제2 배관이 서로 접합하여 원통형 관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은 원통형 배관이 종방향으로 절단되어 상기 격벽을 사이에 두고 각각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저장탱크 외부로 배관이 연장되어 통합된 통합배관에 하나의 펌프를 연결하여 액상화물 로딩 및 언로딩하는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격벽이 구비된 저장탱크에서 액상화물 로딩 및 언로딩하는 시스템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선박 건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를 구획하는 격벽에 배관을 용접 결합에 의해 밀착 형성하여 저장탱크의 액상화물의 저장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저장탱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격벽에 배관이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격벽에 배관을 밀착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선박의 제1 및 제2 배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100)은 선체 내부에 수용된 다수의 저장탱크(110,120,130,140)가 배치되어 있다. 다수의 저장탱크(110,120,130,140)는 액화천연가스와 같은 액상화물이 저장되는 탱크로서, 격벽(101)으로 구획되어 있는 형태의 저장탱크이다. 다수의 저장탱크(110,120,130,140) 각각에서 액상화물을 로딩하거나 다수의 저장탱크(110,120,130,140) 각각으로 액상화물을 언로딩하기 위한 배관(170)이 격벽(101)에 밀착 형성될 수 있다. 배관(170)은 저장탱크 밖으로 연장되며 하나의 관으로 통합된 통합배관으로 다수의 저장탱크(110,120,130,140) 외부에 배치된 펌프(150)와 연결되고 펌프(150)에 의해 액상화물은 다수의 저장탱크(110,120,130,140) 각각으로 로딩 또는 언로딩된다. 따라서, 하나의 펌프(150)로 2개의 저장탱크로 액상화물을 로딩 또는 언로딩하여 이에 따른 선박 건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선박(10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저장탱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격벽에 배관이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격벽에 배관을 밀착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선체, 제1 저장탱크(110)와 제2 저장탱크(120), 제1 배관(171)과 제2 배관(172), 통합배관(173) 및 펌프(150)를 포함한다.
선체는 LNG(liquefied natural gas), LPG(liquefied petroleum gas), 원유(crude oil) 등과 같은 액상화물을 운반하는 위한 선박의 본체로, 선체에는 액화화물이 저장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저장탱크가 설치된다.
제1 저장탱크(110)와 제2 저장탱크(120)는 선체 내부에 수용되어 액상화물이 저장되고, 격벽(101)으로 구획되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저장탱크이다. 제1 배관(171)은 제1 저장탱크(110) 내측에 배치되며 격벽(101)에 밀착 형성되고, 제2 배관(172)은 제2 저장탱크(120) 내측에 배치되며 제1 배관(110)에 밀착된 면과 반대면인 격벽(101)에 밀착되어 형성된다. 제1 배관(171)과 제2 배관(172)은 대향된 격벽(101) 영역에 형성된다.
제1 배관(171)과 제2 배관(172) 각각이 제1 저장탱크(110)와 제2 저장탱크(120) 밖으로 연장되어 하나의 관으로 통합되어 통합배관(173)의 형태가 된다. 여기서, 제1 저장탱크(110)와 제2 저장탱크(120) 외부로 연장된 제1 배관(171)과 제2 배관(172)을 접합하여 원통형 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배관(171)의 일부는 제1 저장탱크(110)에 향한 격벽(101)의 일측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배관(172)의 일부는 제2 저장탱크(120)에 향한 격벽(101)의 타측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배관(171)이 제1 저장탱크(110)에 향한 격벽(101)의 일측을 따라 배선되고, 제2 배관(172)이 제2 저장탱크(120)에 향한 격벽(101)의 타측을 따라 배선된다. 이때, 제1 배관(171) 및 제2 배관(172)이 제1 저장탱크(110)와 제2 저장탱크(120) 외부로 연장되고 격벽(101)은 제1 저장탱크(110)와 제2 저장탱크(120) 외부로 연장되지 않으므로 하나의 관으로 통합되어 통합배관(173)의 형태가 될 수 있다. 통합배관(173)은 제1 배관(171)의 내부유로(171a)와 제2 배관(172)의 내부유로(172a)와 연통되는 통합유로(173a)가 형성된다.
제1 배관(171)과 제2 배관(172) 각각은 도 3과 같이 벤딩된 판부재(171b,172b)가 격벽(101)에 밀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벤딩된 판부재(171b,172b)를 이용하면 제1 배관(171)과 제2 배관(172)의 횡단면 형상이 각각 반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액상화물이 이동하는 제1 배관(110)의 내부유로(171a) 및 제2 배관(120)의 내부유로(172a)는 적어도 일부가 격벽(101)으로 가이드되어 형성된다. 벤딩된 판부재(171b)가 격벽(101)의 일측에 밀착되어 제1 저장탱크(110)에 제1 배관(171)을 형성하고 벤딩된 다른 판부재(172b)가 격벽(101)의 타측에 밀착되어 제2 저장탱크(120)에 제2 배관(172)을 형성하여 제1 저장탱크(110)와 제2 저장탱크(120)의 저장공간에서 배관이 점유하는 공간을 줄여 액상화물의 저장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벤딩된 판부재(171b,172b)는 격벽(101)에 용접 결합하여 밀착된 제1 및 제2배관(171,17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이격되어 있는 제1종라인(L1)과 제2종라인(L2)에 벤딩된 판부재(171b)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밀착하고 용접하여 제1 배관(171)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배관(171,172)은 원통형 배관이 종방향으로 절단되어 격벽(101)을 사이에 두고 각각 용접 결합된 구조가 된다. 제2 배관(172)도 제1 배관(171)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5는 선박의 제1 및 제2 배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선체 내부에 수용된 제1 저장탱크(110)와 제2 저장탱크(120)로 액상화물을 로딩 또는 언로딩하기 위한 제1 및 제2 배관(171,172)이 이웃하여 배치된 제1 저장탱크(110)와 제2 저장탱크(120)을 구획하는 격벽(101)에 밀착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배관(171)은 격벽(101)의 일측에 벤딩된 판부재(171b)가 용접되어 형성되고 제2 배관(172)은 격벽(101)의 일측과 대향되는 격벽(101)의 타측에 벤딩된 다른 판부재(172b)가 용접되어 형성된다. 벤딩된 판부재(171b)의 오목한 영역과 격벽(101)의 일측 사이에 제1 배관(171)의 내부유로(171a)가 형성되고 벤딩된 다른 판부재(172b)의 오목한 영역과 격벽(101)의 타측 사이에 제2 배관(172)의 내부유로(172a)가 형성된다. 여기서, 벤딩된 판부재(171b,172b)는 종방향의 길이를 제1 저장탱크(110)와 제2 저장탱크(120)의 내부 공간의 종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벤딩된 판부재(171b,172b)의 말단과 제1 저장탱크(110)와 제2 저장탱크(120)의 바닥면(111,121) 사이에 액상화물이 유통할 수 있는 제1 및 제2 통로(171c,172c)를 형성한다. 그리고, 벤딩된 판부재(171b,172b)의 소재는 스틸(steel)일 수 있다.
즉, 제1 저장탱크(110)에선 벤딩된 판부재(171b)의 말단과 제1 저장탱크(110)의 바닥면(111) 사이에 제1 통로(171c)가 형성되고 제2 저장탱크(120)에선 벤딩된 판부재(172b)의 말단과 제2 저장탱크(120)의 바닥면(121) 사이에 제2 통로(172c)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저장탱크(110,120)의 바닥면(111,121)과 벤딩된 판부재(171b,172b)의 말단 사이에는 소정간격(d)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배관(171)의 내부유로(171a,172a)에서 공급되는 액상화물은 제1 및 제2 통로(171c,172c)를 통하여 제1 및 제2 저장탱크(110,120)로 저장되거나 제1 및 제2 저장탱크(110,120)에서 제1 및 제2 통로(171c,172c)를 통하여 제1 및 제2 배관(171)의 내부유로(171a,172a)로 배출된다.
제1 저장탱크(110)와 제2 저장탱크(120)을 구획하는 격벽(101)의 일측과타측에 벤딩된 판부재(171b,172b)를 용접하여 제1 및 제2 배관(171,172)을 형성함으로써, 제1 저장탱크(110)와 제2 저장탱크(120)의 액상화물의 저장공간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별도로 제작된 배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1 저장탱크(110)와 제2 저장탱크(120) 외부로 제1 배관(171)과 제2 배관(172) 각각이 연장되어 통합된 통합배관(173)을 형성하여 펌프에 연결되어 하나의 펌프로 제1 저장탱크(110)와 제2 저장탱크(120)로 액상화물을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격벽(101)이 구비된 저장탱크에서 배관, 로딩과 언로딩 시스템이 2배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저장탱크에서 액상화물 로딩 및 언로딩하는 시스템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선박 101: 격벽
110,120,130,140: 저장탱크 150: 펌프
170,171,172: 배관 171a,172a,173a: 유로
171b,171b: 판부재 173: 통합배관

Claims (4)

  1. 선체;
    상기 선체 내부에 수용되며 격벽으로 구획된 제1 저장탱크와 제2 저장탱크;
    상기 제1 저장탱크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격벽에 밀착 형성된 제1 배관;
    상기 제2 저장탱크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배관 밀착된 면과 반대면인 상기 격벽에 밀착 형성된 제2 배관;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이 각각 상기 제1 저장탱크와 상기 제2 저장탱크 밖으로 연장되며 하나의 관으로 통합된 통합배관; 및
    상기 통합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을 통하여 동시에 액상화물을 로딩하거나 언로딩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액상화물이 이동하는 내부 유로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격벽으로 이루어진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은 각각 벤딩된 판부재가 상기 격벽에 밀착하여 횡단면 형상이 각각 반원 형상을 이루고,
    상기 통합배관은 횡단면 형상이 각각 반원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1 배관과상기 제2 배관이 서로 접합하여 원통형 관을 이루는 선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은 원통형 배관이 종방향으로 절단되어 상기 격벽을 사이에 두고 각각 용접 결합된 선박.
KR1020200006788A 2020-01-17 2020-01-17 선박 KR20210093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788A KR20210093067A (ko) 2020-01-17 2020-01-17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788A KR20210093067A (ko) 2020-01-17 2020-01-17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067A true KR20210093067A (ko) 2021-07-27

Family

ID=7712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788A KR20210093067A (ko) 2020-01-17 2020-01-17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306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691B1 (ko) 2017-11-24 2019-08-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독립형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선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691B1 (ko) 2017-11-24 2019-08-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독립형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3765C1 (ru) Контейнер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тейнера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JP2011148358A (ja) 船舶
US10730591B2 (en) Multi-lobe cargo tank
KR102581424B1 (ko) 보강 구역을 포함하는 밀봉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유체 기밀식 용기 벽
CN105984563A (zh) 双体液货罐及液货船
US20190084652A1 (en) Vessel cargo hold having void space
KR20210093067A (ko) 선박
KR101747425B1 (ko) 선박 카고탱크 돔의 복층 실링부재
KR20200013222A (ko) 주름이 형성된 보강 멤브레인을 구비한 누설 방지 벽
US7278365B2 (en) Mechanically welded structure with stress-relieving slit and liquefied gas transport ship equipped with such a structure
US4573422A (en) Ship without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s between the inner and outer hull plating
KR102063710B1 (ko) 응력 분산용 보조 주름부를 갖춘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200110785A (ko)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
KR101884838B1 (ko) 펌프타워의 필터링 장치
KR101908562B1 (ko) 멤브레인형 연료탱크
WO2011078032A1 (ja) 船種変更が容易となる油槽船
KR20220028427A (ko) 선박
KR102291921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제조 작업용 개구 배치구조
KR101701727B1 (ko) 펌프타워
GB2143184A (en) Transless ship
KR20160039055A (ko) 액체화물 저장탱크
KR102490934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090104937A (ko) 혼합 화물창을 갖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US20200011481A1 (en) Apparatus for gas storage and transport
KR102057785B1 (ko) 액체화물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