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2381A -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2381A
KR20210092381A KR1020200005674A KR20200005674A KR20210092381A KR 20210092381 A KR20210092381 A KR 20210092381A KR 1020200005674 A KR1020200005674 A KR 1020200005674A KR 20200005674 A KR20200005674 A KR 20200005674A KR 20210092381 A KR20210092381 A KR 20210092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defecation
unit
companion anim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7639B1 (ko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김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현 filed Critical 김수현
Priority to KR1020200005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6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92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K9/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Zo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은, 배변 처리 장치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배변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배변 처리 장치에서 검출된 반려동물의 배설물의 수분량에 따른 신호 및 배변 처리 장치에서 촬영된 반려동물의 화상에 따른 신호를 전송받아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연결되고, 제어부에 전송된 신호를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저장부에 연결되고,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중에서 배변 처리 장치에서 촬영된 반려동물의 화상을 전송받아 반려동물의 행동패턴을 머신러닝방식으로 학습하는 머신러닝부를 포함하되, 머신러닝부는 반려동물의 행동패턴에 따른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Smart excrement disposal system for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은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통해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배변 패드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 가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에서 사는 5가구 중 1가구가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있다. 이처럼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 가구는 새로운 가구 형태의 하나로 자리하고 있고, 반려동물을 또 하나의 가족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사람들은 병원을 통해 반려동물의 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도록 하고, 미용실을 통해 반려동물의 털을 예쁘게 깎아 주기도 하며, 매일 반려동물의 산책을 실시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반려동물을 실내에서 기르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반려동물의 배설물 처리인데,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키우는 반려동물의 경우 일정한 장소에서 배설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배설물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의 신문지, 종이상자 등과 같은 것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신문지, 종이상자와 같은 곳에서 배설을 했을 때, 반려동물이 이를 발로 밟기 쉽고, 배설물을 밟은 상태에서 실내를 돌아다니게 되어 주위의 바닥이 매우 지저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들어 배설물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성 배변 패드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배변 패드는 반려동물의 배설을 유도 및 그 배설물의 처리는 가능하였으나, 그 기능에 있어 단순히 배설물의 처리에 제한적이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감지하여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반려동물의 배설물 및 사용된 배변 패드를 용이하게 수집하고, 새로운 배변 패드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은, 배변 처리 장치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배변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배변 처리 장치에서 검출된 반려동물의 배설물의 수분량에 따른 신호 및 배변 처리 장치에서 촬영된 반려동물의 화상에 따른 신호를 전송받아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연결되고, 제어부에 전송된 신호를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저장부에 연결되고,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중에서 배변 처리 장치에서 촬영된 반려동물의 화상을 전송받아 반려동물의 행동패턴을 머신러닝방식으로 학습하는 머신러닝부를 포함하되, 머신러닝부는 반려동물의 행동패턴에 따른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배변 처리 장치는, 내부에 상면의 일부가 개방된 삽입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삽입 공간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측면의 일부분이 베이스부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된 몸체부; 몸체부의 일종단면의 중앙에 연결되어 몸체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베이스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삽입 공간을 통해 몸체부의 측면을 감지하고 구동부를 제어하는 감지 제어부를 포함하되, 몸체부의 측면에는 흡수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배변 패드가 위치되고, 감지 제어부는 반려동물을 촬영하고, 배변 패드의 배설물을 감지할 때 구동부를 제어하여 몸체부를 회전시키고 감지된 배설물의 수분량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는 정육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6개의 측면들 중 하나는 베이스부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되고, 개방된 삽입 공간의 상면의 일부는 몸체부의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변 패드는 몸체부의 측면에 대응되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배변 패드의 일면에서 배변 패드의 모서리들의 각각에 인접하도록 위치된 자성체의 패드 고정부, 및 배변 패드의 모서리들의 각각에 연결되는 고리 형상의 패드 걸림부를 포함하고, 몸체부는, 몸체부의 측면들의 각각의 모서리들의 각각에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패드 고정부와 상이한 극성을 갖는 자성체의 몸체 고정부를 포함하며, 패드 고정부가 몸체 고정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패드 고정부는 몸체 고정부에 부착되어 배변 패드는 몸체부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배변 처리 장치는, 삽입 공간에 위치되어 몸체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몸체부에 설치된 배변 패드의 패드 걸림부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패드 분리부를 더 포함하되, 몸체부가 회전되어 하측으로 이동하여 기울어진 배변 패드를 패드 분리부를 향하도록 이동시키고, 패드 분리부는 패드 걸림부에 걸려 배변 패드를 몸체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변 처리 장치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기울어지는 몸체부의 측면들에 대응하도록 삽입 공간의 하면에 위치되는 수집부를 더 포함하되, 배변 패드가 배설물을 포함한 상태로 하측으로 이동되어 기울어질 때, 배설물은 수집부를 향하도록 낙하되고, 배변 패드는 패드 분리부에 의해 몸체부로부터 분리되어 수집부에 낙하될 수 있다.
또한, 배변 처리 장치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기울어진 몸체부의 측면들에 대응하도록 삽입 공간의 하면에 위치되고, 복수 개의 배변 패드들이 적층된 패드 적층부를 더 포함하되, 배변 패드의 패드 고정부는 다른 배변 패드의 타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패드 적층부가 배변 패드가 위치되지 않는 몸체부의 측면에 대응될 때, 패드 고정부는 몸체 고정부에 대응하여 몸체 고정부에 부착되고, 배변 패드는 패드 적층부로부터 분리되어 몸체부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패드 적층부는, 패드 적층부의 측면에서 몸체부 근처에 위치되고, 패드 적층부에 적층된 배변 패드를 감지하는 패드 감지부; 및 패드 적층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적층된 배변 패드들을 지지하고 배변 패드를 몸체부를 향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는 패드 이동부를 포함하되, 적층 감지부가 배변 패드를 감지하지 않을 때, 패드 이동부는 적층 감지부가 배변 패드를 감지할 때까지 패드 적층부의 배변 패드를 몸체부를 향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의 상면은 분리되어 삽입 공간의 상면을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반려동물의 배설물이 감지되어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가 확인될 수 있다.
(2) 반려동물의 배설물 및 사용된 배변 패드가 용이하게 수집되고, 새로운 배변 패드가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의 실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의 배변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의 배변 처리 장치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의 하우징에 드라이어 및 흡입기가 장착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유도 몸체, 유도관 및 제어 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의 하우징에서 와인더를 이용하여 목줄을 제어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의 실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의 배변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의 배변 처리 장치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100)은 제어부(101), 저장부(102) 및 머신러닝부(103)를 포함하고, 배변 처리 장치(2000)에 위치된 반려동물을 감지하여 반려동물의 상태를 반려동물의 주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100)은 단말기(10) 및 배변 처리 장치(20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반려동물의 주인은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배변 처리 장치(20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특히, 단말기(10)에는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100)에 접속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기(1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탑(Desktop), 랩탑(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단말기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부(101)는 배변 처리 장치(200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전송받아 단말기(10)로 전송한다(S101). 여기서, 단말기(10)는 전송된 신호에 따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102).
예를 들어, 배변 처리 장치(2000)는 반려동물로부터 배변된 배설물을 감지하여 배설물의 수분량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배변 처리 장치(200)는 검출된 배설물의 수분량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101)에 전송한다. 제어부(101)는 검출된 배설물의 수분량에 따라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여,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기(1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에 따른 신호를 전송받고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에 따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배변 처리 장치(2000)는 반려동물을 촬영하여 반려동물에 따른 화상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01)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전송받은 화상 신호를 단말기(1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전송받은 화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반려동물의 주인은 자신의 단말기(10)를 통해 반려동물을 화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배변 처리 장치(2000)에 위치된 반려동물의 활동 및 행동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저장부(102)는 제어부(101)에 연결되고 제어부(101)에 전송된 신호를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한다(S103). 여기서, 정보는 화상, 음향, 텍스트 등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02)는 제어부(101)가 신호를 전송받은 시각을 함께 정보와 함께 저장하고 변환된 정보를 데이터화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02)는 배설물을 감지한 시각을 검출된 배설물의 수분량과 함께 저장하여 반려동물의 배변 활동을 데이터화할 수 있다.
또한, 주인이 단말기(10)를 통해 제어부(101)에 정보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를 보낼 때, 저장부(102)는 해당된 정보를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1)에 전송하여 제어부(101)로부터 단말기(1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머신러닝부(103)는 저장부(102)에 연결되고, 배변 처리 장치(2000)에서 촬영된 반려동물에 따른 화상을 전송받아 촬영된 반려동물의 걷는 자세, 꼬리 패턴 등을 추출하여 반려동물의 행동패턴을 머신러닝방식으로 학습한다(S104). 또한, 머신러닝부(103)는 학습된 반려동물의 행동패턴을 바탕으로 하여 반려동물의 기분, 건강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머신러닝부(103)는 감지된 반려동물의 기분, 건강 상태 등에 따른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101)를 통해 단말기(10)에 전송할 수 있다(S105). 또한, 단말기(10)는 알림 신호를 전송받아 알림 신호에 따른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는 "당신의 반려동물 은 정상입니다.", "당신의 반려동물은 건강상태가 좋지 않네요. 돌봄이 필요합니다"는 등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주인은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도록 반려동물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100)은 배변 처리 장치(2000)에 배설된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감지하고, 반려동물의 행동패턴을 머신러닝방식으로 학습하여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 기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반려동물은 건강 상태, 기분 등에 따라 적절한 돌봄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변 처리 장치(2000)는 베이스부(2100), 몸체부(2200), 구동부(2300) 및 감지 제어부(2400)를 포함하고, 반려동물에 의해 배설된 배설물을 처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배변 처리 장치(2000)에는 시트 형상의 배변 패드(2010)가 이용되는 데, 배변 패드(2010)는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면서, 패드 고정부(2011) 및 패드 걸림부(2012)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 고정부(2011)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되, 배변 패드(2010)의 일면에서 배변 패드(2010)의 모서리들의 각각에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고정되고, 패드 걸림부(2012)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배변 패드(2010)의 모서리들의 각각에 연결된다.
베이스부(2100)는 반려동물이 오르내릴 수 있고 구체적으로 후술될 몸체부(2200)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베이스부(2100)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평평한 상면을 갖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2100)의 내부에는 삽입 공간(2101)이 형성되고, 삽입 공간(2101)의 상면의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2100)는 지면 상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고, 베이스부(2100)의 상면은 분리되어 삽입 공간(2101)의 상면을 개방할 수 있다. 개방된 삽입 공간(2101)의 상면을 통해 삽입 공간(2101)이 확인될 수 있고, 삽입 공간(2101)에 대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2200)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삽입 공간(2101)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여기서, 몸체부(2200)의 측면의 일부분만이 삽입 공간(2101)의 상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몸체부(2200)의 측면은 삽입 공간(2101)의 상면을 통해 베이스부(210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몸체부(2200)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특히 정육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2200)의 6개의 측면들 중 하나는 베이스부(210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되고, 삽입 공간(2101)의 개방된 상면 가장자리는 몸체부(2200)의 측면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개방된 삽입 공간(2101)의 상면은 몸체부(2200)의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200)는 정육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대적으로 원기둥 형상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면서 안정적으로 회전가능하고, 반려동물 및 배변 패드(2010)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평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200)는 몸체 고정부(2210)를 포함한다. 몸체 고정부(2210)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되, 몸체부(2200)의 측면들 각각의 모서리들의 각각에 인접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몸체 고정부(2210)는 패드 고정부(2011)와는 상이한 극성을 갖는다. 즉, S극을 나타내는 몸체 고정부(2210)의 면과 N극을 나타내는 패드 고정부(2011)의 면은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몸체 고정부(2210)가 패드 고정부(2011)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몸체 고정부(2210)와 패드 고정부(2011)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여, 패드 고정부(2011)는 몸체 고정부(2210)에 부착되어, 배변 패드(2010)는 몸체부(2210)의 측면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동부(2300)는 몸체부(2200)의 일종단면의 중앙에 연결되어 몸체부(2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2200)의 측면들 중 하나는 삽입 공간(2101)의 상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2300)는 모터의 형태로 이루어져, 삽입 공간(2101)의 내부에 위치되어 몸체부(2200)에 연결될 수 있고, 삽입 공간(2101)의 외부에 위치되어 베이스부(2100)를 통해 몸체부(2200)에 연결될 수 있다.
감지 제어부(2400)는 베이스부(2100)의 상면에 위치되어 삽입 공간(2101)을 통해 몸체부(2200)의 측면을 감지할 수 있고 구동부(2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감지 제어부(2400)는 몸체부(2200)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어 삽입 공간(2101)의 상면을 통해 노출된 배변 패드(2010)를 감지할 때, 구동부(2300)를 제어하여 몸체부(220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반려동물이 배변 패드(2010)에 위치되어 배변한 이후에 배변 패드(2010)로부터 벗어나면, 감지 제어부(2400)는 배변 패드(2010)를 감지하면서 배설물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제어부(2400)는 구동부(2300)를 제어하여 몸체부(2200)를 회전시키고, 배설물이 위치된 배변 패드(2010)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삽입 공간(2101)에 위치된다. 배설물의 일부는 배변 패드(2010)로부터 분리되어 삽입 공간(2101)에서 낙하되기도 한다.
감지 제어부(2400)는 배변 패드(2010)를 감지하면서 배설물을 감지할 때 배설물의 수분량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제어부(2400)는 검출된 배설물의 수분량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01)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감지 제어부(2400)는 베이스부(2100)의 상면에 위치된 반려동물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제어부(2400)는 촬영된 반려동물에 따른 화상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01)에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감지 제어부(2400)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배변 처리 장치(2000)는 수집부(2500), 패드 분리부(2600) 및 패드 적층부(2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2500)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기울어진 몸체부(2200)의 측면들에 대응하도록 삽입 공간(2101)의 하면에 위치된다. 수집부(2500)의 상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배설물이 위치된 배변 패드(2010)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기울어지고 삽입 공간(2101)에 위치된다. 여기서, 배설물의 일부는 배변 패드(2010)로부터 분리되어 삽입 공간(2101)에서 낙하되기도 한다. 수집부(2500)는 배변 패드(2010)로부터 낙하되는 배설물의 일부를 수집하는 데에 이용된다. 이러한 배설물은 수집부(2500)에 수집되어 별도로 처리될 수 있다.
패드 분리부(2600)는 삽입 공간(2101)에 위치되어 몸체부(2200)의 하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패드 분리부(2600)는 삽입 공간(2101)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몸체부(22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에 대응하도록 구부러진다. 이러한 패드 분리부(2600)는 수집부(2500)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배설물이 위치된 배변 패드(2010)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기울어지고 삽입 공간(2101)에 위치되어, 몸체부(2200)의 회전에 의해 패드 분리부(2600)를 향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배변 패드(2010)가 배설물을 포함한 상태로 패드 분리부(2600) 근처에 위치될 때, 패드 분리부(2600)는 배변 패드(2010)의 패드 걸림부(2012)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 패드 분리부(2600)는 고정된 상태이고 배변 패드(2010)가 몸체부(2200)에 의해 이동하기에, 배변 패드(2010)는 몸체부(2200)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한다. 또한, 배변 패드(2010)는 몸체부(22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낙하되어 패드 분리부(2600)로부터 분리되고 수집부(2500)에 수집될 수 있다. 즉, 배변 패드(2010)는 배설물과 함께 수집부(2500)에 수집되어 별도로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배변 패드(2010)가 분리된 몸체부(2200)의 측면은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고, 그 이후에,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기울어질 수 있다.
패드 적층부(2700)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기울어진 몸체부(2200)의 측면에 대응하도록 삽입 공간(2101)의 하면에 위치된다. 패드 적층부(2700)는 복수 개의 배변 패드(2010)를 적층한 상태로 수용한다.
특히, 패드 적층부(2700)의 배변 패드(2010)는 배변 패드(2010)가 위치되지 몸체부(2200)의 측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배변 패드(2010)의 패드 고정부(2011)는 몸체부(2200)의 몸체 고정부(2210)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몸체 고정부(2210)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변 패드(2010)는 패드 적층부(2700)로부터 분리되어 몸체부(2200)의 측면에 위치되고, 몸체부(2200)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고 삽입 공간(2101)의 상면을 향하도록 이동된다.
또한, 패드 적층부(2700)에 적층된 배변 패드(2010)들에서 하나의 배변 패드(2010)에 위치된 패드 고정부(2011)는 다른 배변 패드(2010)의 타면에 접촉되도록 위치된다. 즉, 패드 고정부(2011)는 다른 배변 패드(2010)의 자성에 작용하지 않는 부분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배변 패드(2010)들은 상호 간에 분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패드 적층부(2700)에는 적층 감지부(2710) 및 패드 이동부(2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층 감지부(2710)는 패드 적층부(2700)의 측면에서 몸체부(2200) 근처에 위치되고, 패드 적층부(2700)에 적층된 배변 패드(2010)를 감지한다. 여기서, 적층 감지부(2710)는 패드 적층부(2700)에서 몸체부(2200)의 몸체 고정부(2210)에 부착가능하도록 위치된 배변 패드(2010)를 감지한다.
패드 이동부(2720)는 패드 적층부(2700)의 내부에 위치되어 적층된 배변 패드(2010)들을 지지하고 배변 패드(2010)를 몸체부(2200)를 향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적층 감지부(2710)가 배변 패드(2010)를 감지하지 않을 때, 패드 이동부(2710)는 패드 적층부(2700)의 배변 패드(2010)를 몸체부(2200)를 향하도록 이동시킨다. 여기서, 적층 감지부(2710)가 다시 배변 패드(2010)를 감지할 때까지, 패드 이동부(2710)는 배변 패드(2010)를 몸체부(2200)를 향하도록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배변 패드(2010)는 회전하는 몸체부(2200)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패드 적층부(2700)에서 적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변 처리 장치(2000)에서 반려동물이 배변 패드(2010)에 배변한 상태에서, 감지 제어부(2400)는 배설물을 감지하여 구동부(2300)를 제어하여 몸체부(220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배변 패드(2010)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기울어지는 데, 배설물은 낙하하여 수집부(2500)에 수집되고, 배변 패드(2010)는 몸체부(2200)에 의해 이동하면서 패드 걸림부(2012)가 패드 분리부(2600)에 걸린 상태에서 몸체부(2200)로부터 분리되어 수집부(2500)에 수집될 수 있다. 또한, 배변 패드(2010)가 위치되지 않은 상태로 상측으로 이동하여 기울어진 몸체부(2200)의 측면은 패드 적층부(2700)에 적층된 배변 패드(2010)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배변 패드(2010)의 패드 고정부(2011)가 몸체부(2200)의 몸체 고정부(2210)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몸체 고정부(2210)와 패드 고정부(2011)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패드 고정부(2011)는 몸체 고정부(2210)에 부착되어, 배변 패드(2010)는 몸체부(2210)의 측면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측으로 이동하여 기울어지고 삽입 공간(2101)의 개방된 상면의 일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배변 처리 장치(2000)는 반려동물의 배설물 및 사용된 배변 패드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고, 새로운 배변 패드를 용이하면서도 자동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우스(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스(1000)는 하우징(1100), 섭취물 공급부(1200), 촬영부(1300), 출력부(1400), 하우스 제어부(1500)를 포함하고, 반려동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주인과의 교감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1100)은 반려동물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고, 반려동물은 하우징(11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100)은 편백나무로 제조되어 피톤치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하우징(1100)으로부터 발생된 피톤치드는 반려동물로부터 발생되는 냄새가 하우징(1100)에 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1100)은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0)에는 수용 공간(1101), 투입구(1102) 및 장착구(1103)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101)은 하우징(1100)의 내부에 형성된다. 반려동물은 수용 공간(1101)에 수용되어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반려동물은 수용 공간(1101)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투입구(1102)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투명하게 형성된 하우징(110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주인은 투입구(1102)를 통해 양 손을 수용 공간(1101)에 위치시켜, 수용 공간(1101)에 위치된 반려동물과 스킨십을 취할 수 있고 반려동물의 털에 대한 빗질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주인은 투명하게 형성된 하우징(1100)의 일측면을 통해 수용 공간(1101)을 확인할 수 있고, 수용 공간(1101)에 위치된 반려동물과 눈맞춤을 할 수 있다.
장착구(1103)는 하우징(1100)의 상면에 형성된다. 장착구(1103)에는 드라이어(dryer) 또는 흡입장치(예를 들어, 진공청소기 등)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드라이어(dryer) 또는 흡입장치는 장착구(110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어가 장착구(1103)에 삽입되어 장착된 경우, 드라이어는 열풍을 발생시켜 수용 공간(1101)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열풍은 반려동물의 털을 건조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흡입장치가 장착구(1103)에 삽입되어 장착된 경우, 흡입장치는 수용 공간(1101)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에 포함된 반려동물의 털 등과 같은 이물질도 흡입장치에 흡입될 수 있다. 즉, 흡입장치는 수용 공간(1101)을 청소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0)은 유도 몸체(1110), 유도관(1120), 유도 제어부(1130), 제어 몸체(1140), 와인더(1150) 및 목줄(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 몸체(1110)는 장착구(1103)에 대응하도록 수용 공간(1101)의 내부에 위치되고, 장착구(1103)에 연결되는 유도 공간(1111)을 갖는다. 또한, 유도 몸체(1110)에는 복수 개의 유도홀(1112)들이 형성되고, 유도홀(1112)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유도관(1120)은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장착구(1103)에 대응하도록 유도 몸체(1110)에 연결되어 유도 공간(111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도관(1120)은 용이하게 길이 변경될 수 있는 주름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도 제어부(1130)는 유도 공간(1111)에 위치되어, 열풍 또는 공기를 유도홀(1112)들 및 유도관(1120) 중 어느 하나만을 통해 유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유도 제어부(1130)는 제 1 밸브(1131), 제 2 밸브(1132) 및 스위치(1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밸브(1131)는 유도 공간(1111)에서 유도관(1120)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유도관(1120)을 개폐할 수 있다.
제 2 밸브(1131)는 유도 공간(1111)에서 유도관(1120)과 유도홀(1112)들 사이에 위치되어 유도관(1120)과 유도홀(1112)들 사이를 개폐할 수 있다.
스위치(1133)는 유도관(1120)의 외측면에 위치되어 제 1 밸브(1131)와 제 2 밸브(11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밸브(1131) 및 제 2 밸브(1132)는 스위치(1133)의 조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1133)가 조작될 때, 제 1 밸브(1131)는 유도관(1120)을 개방하도록 제어되고, 제 2 밸브(1132)는 유도관(1120)과 유도홀(1112)들 사이를 폐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드라이어가 장착구(1103)에 장착되어 작동될 때, 열풍은 드라이어로부터 발생되어 유도 공간(1111)에 유입되어 유도관(1120)을 통해 수용 공간(1101)로 유입될 수 있다(도 6(a)의 점선 화살표 참조). 열풍은 유도관(1120)을 통해 수용 공간(1101)에 수용된 반려동물의 특정 부위에 집중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 반려동물의 털을 건조시키는 데에 안정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흡입장치가 장착구(1103)에 장착되어 작동될 때, 공기는 수용 공간(1101)으로부터 흡입장치에 흡입되도록 유동하여 유도관(1120)을 통해 유도 공간(1111)에 유입되어 흡입장치에 유도될 수 있다(도 6(b)의 점선 화살표 참조). 수용 공간(1101)의 공기는 유도관(1120)을 통해 수용 공간(1101)의 특정 위치로부터 집중적으로 흡입될 수 잇다. 여기서, 수용 공간(1101)의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스위치(1133)가 조작될 때, 제 1 밸브(1131)는 유도관(1120)을 폐쇄하도록 제어되고, 제 2 밸브(1132)는 유도관(1120)과 유도홀(1112)들 사이를 개방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드라이어가 장착구(1103)에 장착되어 작동될 때, 열풍은 드라이어로부터 발생되어 유도 공간(1111)에 유입되어 유도홀(1112)들을 통해 수용 공간(1101)로 유입될 수 있다(도 6(a)의 실선 화살표 참조). 열풍은 유도홀(1112)들을 통해 수용 공간(1101)에 고르게 분산되어 공급될 수 있어, 수용 공간(1101)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흡입장치가 장착구(1103)에 장착되어 작동될 때, 공기는 수용 공간(1101)으로부터 흡입장치에 흡입되도록 유동하여 유도홀(1112)들을 통해 유도 공간(1111)에 유입되어 흡입장치에 유도될 수 있다(도 6(b)의 실선 화살표 참조). 수용 공간(1101)의 공기는 유도홀(1112)들을 통해 수용 공간(1101)에 걸쳐 고르게 흡입되어, 수용 공간(1101)에서 비산하는 부유물(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털 등)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 몸체(114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유도 몸체(1110)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제어 몸체(1140)에는 각각의 유도홀(1112)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연결홀(114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 몸체(1140)가 이동함에 따라, 각각의 유도홀(1112)에 대응되는 연결홀(1141)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도홀(1112)을 통해 유동하는 열풍의 양 또는 공기의 양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유도 몸체(1110)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유도 몸체(1110)의 하면에는 유도홀(1112)들이 형성되며, 제어 몸체(1140)는 유도관(1120)이 관통된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유도 몸체(1110)의 하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유도 몸체(1110)의 유도홀(1120)들은 제어 몸체(1140)의 회전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와인더(1150)는 수용 공간(1101)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우징(1100)의 내부에 위치된다.
목줄(1160)은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고, 반려동물의 목에 걸릴 수 있다. 이러한 목줄(1160)은 수용 공간(1101)의 하면을 통해 와인더(1150)에 연결될 수 있고, 와인더(1150)는 목줄(1160)을 감거나 풀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용 공간(1101)에 위치되는 목줄(1160)의 길이는 목줄(1160)의 풀린 정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반려동물은 목줄(1160)에 연결된 상태에서 수용 공간(1101)에서 와인더(1150)에 의해 제어된 이동 범위에서 이동가능하다.
섭취물 공급부(1200)는 하우징(110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110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섭취물 공급부(1200)는 섭취물을 저장한 상태로 유지하다가 필요에 따라 섭취물을 수용 공간(110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섭취물은 반려동물을 위한 사료, 식수, 간식, 약 등일 수 있고,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저장된다.
또한, 섭취물 공급부(1200)는 사료 공급부(1210), 식수 공급부(1220), 간식 공급부(1230) 및 약 공급부(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료 공급부(1210)는 사료를 저장하고 수용 공간(110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식수 공급부(1220)는 식수를 저장하고 반려동물과 접촉될 수 있다. 반려동물은 식수 공급부(1220)와 접촉하여 식수를 섭취할 수 있다.
간식 공급부(1230)는 간식을 저장하고 수용 공간(110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간식 공급부(1230)는 다양한 종류의 간식을 분리된 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
약 공급부(1240)는 약을 저장하고 수용 공간(110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약 공급부(1240)는 다양한 종류의 약을 분리된 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
촬영부(1300)는 하우징(1100)에 설치되어, 반려동물을 촬영한다. 여기서, 촬영부(1300)는 수용 공간(110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수용 공간(1101)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촬영부(1300)는 반려동물을 촬영함으로써 촬영된 반려동물에 따른 화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1300)는 카메라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출력부(1400)는 하우징(1100)에 설치되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1400)는 수용 공간(110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수용 공간(1101)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출력부(14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은 반려동물의 주인의 음성일 수도 있고, 클래식 음악 등과 같은 반려동물에게 유익한 음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출력부(1400)는 음향 컨텐츠를 저장하고 음향 컨텐츠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신호를 전송받아 음향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400)는 스피커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스 제어부(1500)는 섭취물 공급부(1200), 촬영부(1300) 및 출력부(1400)에 연결되고, 섭취물 공급부(1200), 촬영부(1300) 및 출력부(1400)를 제어한다. 특히, 하우스 제어부(1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1000), 특히, 제어부(101)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스 제어부(1500)는 제어부(101)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단말기(10)의 조작을 통해 생성된 신호를 제어부(101)를 통해 전송받아 섭취물 공급부(1200), 촬영부(1300) 및 출력부(14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1300)는 반려동물을 촬영하여 반려동물에 따른 화상 신호를 생성하여 하우스 제어부(1500)에 전송할 수 있다. 하우스 제어부(1500)는 전송받은 화상 신호를 제어부(101)에 전송하여 단말기(1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전송받은 화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반려동물의 주인은 자신의 단말기(10)를 통해 반려동물을 화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수용 공간(1101)에 위치된 반려동물의 활동 및 행동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주인은 확인된 반려동물의 활동 및 행동을 바탕으로 하여 단말기(10)를 조작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는 단말기(10)로부터 제어부(101)로 전송되고, 하우스 제어부(1500)는 제어부(101)로부터 전송받은 제어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섭취물 공급부(12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섭취물 공급부(1200) 중 사료 공급부(1210), 간식 공급부(1230) 및 약 공급부(1240)는 주인에 의한 단말기(10)의 조작에 대응하도록 제어되어 수용 공간(1101)에 사료, 간식 및 약을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반려동물은 수용 공간(1101)에서 사료, 간식 및 약을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섭취물 공급부(1200) 중 사료 공급부(1210), 간식 공급부(1230) 및 약 공급부(1240)는 설정된 시각에 사료, 간식 및 약을 수용 공간(1101)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주인은 단말기(10)를 조작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신호는 단말기(10)로부터 제어부(101)에 전송되고, 하우스 제어부(1500)는 제어부(101)로부터 전송받은 출력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출력부(14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1400)는 클래식 등과 같은 음악을 출력하여, 반려동물에게 음악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주인은 단말기(10)에 음향으로써 자신의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입력된 음성에 따른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101)에 전송할 수 있다. 하우스 제어부(1500)는 제어부(101)로부터 전송받은 음향 신호를 출력부(1400)에 전송할 수 있고, 출력부(1400)는 음향 신호에 따른 주인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반려동물은 출력부(1400)를 통해 주인의 음성을 들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주인은 원격지에 위치되더라도 반려동물에 자신의 음성을 통해 명령할 수 있어, 반려동물을 어느 정도 통제하거나 명령하여 훈련시킬 수도 있고, 반려동물과 교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0)에서는 주인의 채취가 방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반려동물은 주인의 음성을 안정적으로 들으면서 주인의 음성에 대하여 반응할 수 있다.
여기서, 주인은 확인된 반려동물의 활동 및 행동을 바탕으로 하여 단말기(10)를 조작하여 조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신호는 단말기(10)로부터 제어부(101)에 전송되고, 하우스 제어부(1500)는 제어부(101)로부터 전송된 조작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하우징(1100)의 와인더(11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와인더(1150)는 조작 신호에 따라 목줄(1160)을 감기도 하고, 풀리도록 할 수 있다. 반려동물이 목줄(1160)에 연결된 상태에서, 주인은 단말기(10)에 음성을 입력하여 출력부(140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와인더(1150)를 이용하여 목줄(1160)을 감거나 풀어 반려동물의 이동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주인은 명령을 따르는 반려동물에게 이동 범위를 점점 증가시키고, 섭취물 공급부(1200)를 제어하여 섭취물 중 사료 및 간식을 수용 공간(1101)에 공급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인은 원격지에서도 반려동물의 모습을 확인하면서 반려동물에 대한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섭취물 공급부(1200)의 각각에는 레벨 센서(미도시됨)가 설치될 수 있다. 레벨 센서는 섭취물 공급부(1200)에서 섭취물의 저장량을 감지한다. 여기서, 레벨 센서는 설정치 이하의 섭취물의 저장량을 감지할 때, 부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부족 신호는 하우스 제어부(1500)에 전송되고, 하우스 제어부(1500)는 제어부(101)를 통해 부족 신호를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부족 신호를 전송받아 부족 신호에 따른 부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인은 단말기(10)를 통해 부족 메시지를 확인하고 부족 메시지에 대응되는 섭취물을 섭취물 공급부(1200)에 추가적으로 채우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1000)는 원적외선 방사부(1600), 입력부(1700) 및 장난감 공급부(1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적외선 방사부(1600)는 수용 공간(1101)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한다. 즉, 원적외선 방사부(1600)는 수용 공간(1101)의 내부에 위치된 반려동물에게 원적외선을 제공한다. 여기서, 반려동물은 방사된 원적외선으로 인한 다양한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입력부(1700)는 수용 공간(1101)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110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음향을 입력받는다. 특히, 입력부(1700)는 반려동물에 의해 발생된 입력된 음향에 따른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하우스 제어부(15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음력부(1700)는 마이크로폰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하우스 제어부(1500)는 음향 신호에 따른 음향이 소정 크기 이상이거나, 소정 횟수 이상으로 반복적으로 입력될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01)에 전송하고, 단말기(10)는 제어부(101)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단말기(10)는 알림 신호를 전송받아 알림 신호에 따른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메시지는 반려동물의 상태에 대한 메시지를 의미하고, 주인은 알림 메시지를 통해 반려동물의 상태를 인지하고 화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확인하여 반려동물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장난감 공급부(1800) 장남감을 저장하고 수용 공간(110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주인이 단말기(10)를 조작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때, 제어 신호는 단말기(10)로부터 제어부(101)에 전송되고, 하우스 제어부(1500)는 제어부(101)로부터 전송받은 제어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장난감 공급부(18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장난감 공급부(1800)는 필요에 따라 제어되어 수용 공간(1101)에 장난감을 공급하여, 반려동물은 장난감을 이용하여 놀이를 할 수 있다. 여기서, 반려동물이 강아지인 경우, 장난감은 노즈워크(nose work) 장난감일 수 있다. 강아지는 노즈워크 장난감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 특히, 노즈워크 장난감을 통해 강아지의 뇌가 자극되어, 강아지의 치매가 예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하우스(1000)에서 주인은 수용 공간(1101)에 위치된 반려동물과 하우징(1100)의 투명한 부분을 통해 눈을 맞출 수 있고, 투입구(1102)를 통해 손을 수용 공간(1101)에 위치시켜 반려동물의 털을 빗질하고 반려동물과 스킨십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주인은 단말기(10)를 통해 수용 공간(1101)에 위치된 반려동물을 관찰할 수 있고 하우스 제어부(1500)를 이용하여 섭취물 공급부(1200), 촬영부(1300), 출력부(1400) 및 장난감 공급부(1800)를 제어하여 반려동물에 대하여 적절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하우스(1000)는 주인이 다양한 위치에서 반려동물과 교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주인은 단말기(10)를 조작함으로써 하우스 제어부(1500)를 이용한 섭취물 공급부(1200) 및 장난감 공급부(1800)의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주인은 단말기(10)를 통해 반려동물을 관찰할 수 있기에, 섭취물 공급부(1200) 및 장난감 공급부(1800)를 제어함으로써 예를 들어, 사료, 식수, 간식, 약 등과 같은 섭취물 및 장난감을 적절하게 반려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하우스(1000)는 반려동물에게 반려동물의 필요를 용이하게 충족시켜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하우스(1000)에서 하우징(1100)은 피톤치드를 발생시키는 편백나무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100)의 수용 공간(1101)에서는 원적외선 방사부(1600)에 의해 원적외선 방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하우스(1000)는 수용 공간(1101)에 위치된 반려동물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
101: 제어부
102: 저장부
103: 머신러닝부
2000: 배변 처리 장치
2100: 베이스부
2200: 몸체부
2300: 구동부
2400: 감지 제어부
2500: 수집부
2600: 패드 분리부
2700: 패드 적층부
2010: 배변 패드

Claims (10)

  1. 배변 처리 장치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배변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배변 처리 장치에서 검출된 반려동물의 배설물의 수분량에 따른 신호 및 배변 처리 장치에서 촬영된 반려동물의 화상에 따른 신호를 전송받아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연결되고, 제어부에 전송된 신호를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저장부에 연결되고,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중에서 배변 처리 장치에서 촬영된 반려동물의 화상을 전송받아 반려동물의 행동패턴을 머신러닝방식으로 학습하는 머신러닝부를 포함하되,
    머신러닝부는 반려동물의 행동패턴에 따른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배변 처리 장치는,
    내부에 상면의 일부가 개방된 삽입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삽입 공간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측면의 일부분이 베이스부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된 몸체부;
    몸체부의 일종단면의 중앙에 연결되어 몸체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베이스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삽입 공간을 통해 몸체부의 측면을 감지하고 구동부를 제어하는 감지 제어부를 포함하되,
    몸체부의 측면에는 흡수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배변 패드가 위치되고,
    감지 제어부는 반려동물을 촬영하고, 배변 패드의 배설물을 감지할 때 구동부를 제어하여 몸체부를 회전시키고 감지된 배설물의 수분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처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몸체부는 정육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6개의 측면들 중 하나는 베이스부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되고, 개방된 삽입 공간의 상면의 일부는 몸체부의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배변 패드는 몸체부의 측면에 대응되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배변 패드의 일면에서 배변 패드의 모서리들의 각각에 인접하도록 위치된 자성체의 패드 고정부, 및 배변 패드의 모서리들의 각각에 연결되는 고리 형상의 패드 걸림부를 포함하고,
    몸체부는,
    몸체부의 측면들의 각각의 모서리들의 각각에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패드 고정부와 상이한 극성을 갖는 자성체의 몸체 고정부를 포함하며,
    패드 고정부가 몸체 고정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패드 고정부는 몸체 고정부에 부착되어 배변 패드는 몸체부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처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배변 처리 장치는,
    삽입 공간에 위치되어 몸체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몸체부에 설치된 배변 패드의 패드 걸림부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패드 분리부를 더 포함하되,
    몸체부가 회전되어 하측으로 이동하여 기울어진 배변 패드를 패드 분리부를 향하도록 이동시키고, 패드 분리부는 패드 걸림부에 걸려 배변 패드를 몸체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처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배변 처리 장치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기울어지는 몸체부의 측면들에 대응하도록 삽입 공간의 하면에 위치되는 수집부를 더 포함하되,
    배변 패드가 배설물을 포함한 상태로 하측으로 이동되어 기울어질 때, 배설물은 수집부를 향하도록 낙하되고, 배변 패드는 패드 분리부에 의해 몸체부로부터 분리되어 수집부에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처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배변 처리 장치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기울어진 몸체부의 측면들에 대응하도록 삽입 공간의 하면에 위치되고, 복수 개의 배변 패드들이 적층된 패드 적층부를 더 포함하되,
    배변 패드의 패드 고정부는 다른 배변 패드의 타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처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패드 적층부가 배변 패드가 위치되지 않는 몸체부의 측면에 대응될 때, 패드 고정부는 몸체 고정부에 대응하여 몸체 고정부에 부착되고, 배변 패드는 패드 적층부로부터 분리되어 몸체부의 측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처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패드 적층부는,
    패드 적층부의 측면에서 몸체부 근처에 위치되고, 패드 적층부에 적층된 배변 패드를 감지하는 패드 감지부; 및
    패드 적층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적층된 배변 패드들을 지지하고 배변 패드를 몸체부를 향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는 패드 이동부를 포함하되,
    적층 감지부가 배변 패드를 감지하지 않을 때, 패드 이동부는 적층 감지부가 배변 패드를 감지할 때까지 패드 적층부의 배변 패드를 몸체부를 향하도록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처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부의 상면은 분리되어 삽입 공간의 상면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처리 시스템.
KR1020200005674A 2020-01-16 2020-01-16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 KR102357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674A KR102357639B1 (ko) 2020-01-16 2020-01-16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674A KR102357639B1 (ko) 2020-01-16 2020-01-16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381A true KR20210092381A (ko) 2021-07-26
KR102357639B1 KR102357639B1 (ko) 2022-01-28

Family

ID=7712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674A KR102357639B1 (ko) 2020-01-16 2020-01-16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6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557B1 (ko) 2022-01-12 2022-11-18 박용국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102468558B1 (ko) 2022-04-11 2022-11-18 박범석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JP2023108979A (ja) * 2022-01-26 2023-08-07 株式会社トレッタキャッツ 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方法
JP2023108980A (ja) * 2022-01-26 2023-08-07 株式会社トレッタキャッツ 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5626A1 (en) 2009-01-09 2010-07-15 Four Paws Products, Ltd. Animal waste pad dispenser and holder
US20160012748A1 (en) 2014-07-08 2016-01-14 Nestec Sa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imal health, nutrition, and/or wellness recommend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5626A1 (en) 2009-01-09 2010-07-15 Four Paws Products, Ltd. Animal waste pad dispenser and holder
US20160012748A1 (en) 2014-07-08 2016-01-14 Nestec Sa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imal health, nutrition, and/or wellness recommendatio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557B1 (ko) 2022-01-12 2022-11-18 박용국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JP2023108979A (ja) * 2022-01-26 2023-08-07 株式会社トレッタキャッツ 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方法
JP2023108980A (ja) * 2022-01-26 2023-08-07 株式会社トレッタキャッツ 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68558B1 (ko) 2022-04-11 2022-11-18 박범석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639B1 (ko)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7639B1 (ko)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
US10506794B2 (en) Animal intera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230210086A1 (en) Animal intera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CN106577345B (zh) 一种智能宠物互动系统
US20210337767A1 (en) Use of semantic boards and semantic buttons for training and assisting the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of language
KR101815496B1 (ko) 동물 배변 훈련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배변 훈련 시스템
JP2017117353A (ja) 移動体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
KR20210014376A (ko) 스마트 펫 하우스
WO2014162154A2 (en) A pet interaction device
US10215443B2 (en) Air concentrator/diffuser pet accessory
JP6958825B2 (ja) 移動体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
KR102395840B1 (ko)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
KR20170045517A (ko)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
KR102438379B1 (ko) 인공지능 기반 반려동물 양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TWI634526B (zh) Pet dog home care system
GB2530332A (en) A Calming System For An Animal
Suksaengjun et al. The design of smart dog cage system
Bembde et al. Robotic Day-Care for Pets using Sensors and Raspberry Pi
KR20010077368A (ko) 인터넷을 통한 애완동물 사육법
US20110041775A1 (en) Rolling device for pet exercising and floor cleaning
Al Sowaimel et al. Cat nanny: affordable cat caring system
TWI844426B (zh) 寵物餵食系統
KR20240083514A (ko) 반려견 토탈케어시스템
KR20210085577A (ko) 원격제어를 이용한 반려동물 사료 공급 장치
KR20230073524A (ko) 스마트 케이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