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903A - 유리홈과 프레임의 폭 조절을 위한 문짝 결합구와 이를 사용한 문짝 및 문틀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유리홈과 프레임의 폭 조절을 위한 문짝 결합구와 이를 사용한 문짝 및 문틀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903A
KR20210091903A KR1020200005162A KR20200005162A KR20210091903A KR 20210091903 A KR20210091903 A KR 20210091903A KR 1020200005162 A KR1020200005162 A KR 1020200005162A KR 20200005162 A KR20200005162 A KR 20200005162A KR 20210091903 A KR20210091903 A KR 20210091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glass
coupler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철
Original Assignee
김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철 filed Critical 김민철
Priority to KR1020200005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1903A/ko
Publication of KR20210091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Abstract

본 발명은, 문짝에 유리를 끼우는 유리홈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 프레임에 문짝 결합구를 삽입하여 결합시켜, 동일한 문짝에 복층유리 또는 3중유리와 같이 두께가 다른 유리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문짝의 상부나 하부 또는 측면 프레임에 결합했을 때는 문짝의 높이와 프레임의 폭 조절도 가능하도록 한, 유리홈과 프레임의 폭 조절을 위한 문짝 결합구와 이를 사용한 문짝 및 문틀의 결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홈과 프레임의 폭 조절을 위한 문짝 결합구와 이를 사용한 문짝 및 문틀의 결합구조{Door joint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glass groove and the frame, and the joint structure of the doors using them}
본 발명은 폭 조절이 가능한 문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짝에 유리를 끼우는 유리홈 및 프레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문짝 결합구를 사용하여 동일한 문짝에 복층유리 및 3중유리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유리홈과 프레임의 폭 조절을 위한 문짝 결합구와 이를 사용한 문짝 및 문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실내에서 실외를 조망하기 위한 시야를 확보함과 아울러 채광과 환기 등을 위해 창문이 설치되는데, 일반적인 창호의 구조를 살펴보면 프레임을 이루는 창틀(또는 문틀)과 창틀의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는 문짝으로 구성된다. 한편 주거 및 업무용 건물이 고급화되는 추세에 따라 창호시스템도 기밀성과 단열성 및 방음성 향상 등 다양한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수많은 방식과 구조로 개선되고 있다.
창호는 작동시키는 방식에 따라 여닫이식, 미닫이식 또는 고정식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창틀에 설치되는 문짝의 숫자에 따라 단창, 이중창, 삼중창으로 구별되기도 하고, 또한 문짝에 끼워지는 유리의 개수에 따라 단판유리, 2개의 단판 유리를 이격시키고 그 사이 공간부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거나 공간층을 형성하여 단열 및 방음 성능을 높인 복층유리, 3개의 단판유리를 각각 이격시키고 그 사이 공간부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거나 공간층을 형성하여 단열 및 방음 성능을 높인 3중(또는 3복층)유리로 구분되기도 한다.
한편, 2012년 7월부터 창호에도 가전제품과 자동차 등에 시행해 오던 에너지효율 등급제도가 시행되고 있는데, 이는 건축물 에너지의 약 40%가 창호를 통해 새 나가고 있는 문제에 기인한 것으로, 창호에도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을 표시한 라벨을 붙이도록 하고 있다. 창호는 창호 에너지 효율 등급제에 따라 에너지 소비효율을 1∼5등급까지 등급을 구분하고, 등급표시 라벨을 붙임으로써 소비자가 에너지 절약형 창호를 쉽게 구분하여 제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고, 등급을 표시하지 않거나 최저 효율 기준 미달 제품은 제조 및 판매를 금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창호의 에너지효율 등급제도 시행에 따라 복층유리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게 되었고 더 나아가 3중유리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또 문짝의 프레임을 슬림(slim)하게 하여 더 넓은 시야를 확보하고 싶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슬림한 문짝은 약해 보이므로 문짝의 프레임 두께가 두꺼운 문짝을 선호하는 사람도 있는 등 소비자의 요구사항이 다양해졌다. 이와 같은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문짝을 맞추려면, 예를 들어, 복층유리와 3중유리는 유리홈의 폭이 달라야 하므로 동일한 문짝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유리 두께에 맞는 문짝 제작을 위해서는 그에 맞는 복수개의 금형을 제작해야 하므로 창호의 단가가 현저하게 상승할 수밖에 없다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
창호의 성능 향상을 위해 특허등록 제1507989호 "복합 단열 및 기밀 구조를 가진 슬림형 창호", 특허등록 제1468678호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창호" 등 수많은 기술이 출현했고, 본 발명의 출원인도 창호 시공을 해오면서 창호에 관하여 다수의 특허를 출원하여 대부분 등록받았고 이를 직접 시공을 하고 있으며, 창호의 기밀성과 방음성 및 단열성 향상은 물론 원활한 배수를 위한 많은 기술을 개발했고 지금도 연구 개발을 계속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출현했던 창호에 관한 많은 기술 중에 동일한 문짝에 복층유리와 3중유리 또는 두께가 다른 유리를 모두 끼울 수 있는 구조의 문짝이 없었기 때문에 창호에 관한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저렴한 가격에 충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짝에 유리를 끼우는 유리홈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 프레임에 문짝 결합구를 결합시켜 동일한 문짝에 복층유리 또는 3중유리와 같이 두께가 다른 유리를 끼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짝 결합구를 문짝의 상부나 하부 또는 측면 프레임에 결합했을 때는 문짝의 높이와 프레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유리홈과 프레임의 폭 조절을 위한 문짝 결합구와 이를 사용한 문짝 및 문틀의 결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홈과 프레임의 폭 조절을 위한 문짝 결합구는, 단면(斷面)이 중공(中空)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가스켓체결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결합구 본체; 상기 가스켓체결홈이 형성된 면의 대향(對向)하는 면에 위치하며, 결합구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돌부가 문짝 프레임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 결합되어, 개구(開口)된 폭이나 프레임의 폭 또는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짝 결합구를 사용한 문짝의 결합구조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사각틀 형상으로 제작된 문짝에서, 사각틀에 의해 형성된 내측면을 따라 유리를 끼우도록 내측면 쪽으로 개구(開口)되어 형성된 유리홈 공간에 단판유리, 복층유리, 3중유리 중 어느 하나를 끼우도록 된 문짝에 적용되는데, 상기 문짝의 결합구조는, 유리홈 개구부(開口部)의 일측에 위치한 프레임에 문짝 결합구를 결합하여 개구(開口)된 부분의 개구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립되어, 동일한 문짝에 형성된 유리홈에 단판유리, 복층유리, 3중유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문짝 결합구는, 결합구 본체의 대향(對向)하는 면 사이에는 판상(板狀)의 보강대가 일체로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문짝 결합구는, 문짝을 이루는 사각 형상의 상부나 하부 또는 측면을 이루는 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결합되어, 문짝을 이루는 프레임의 폭 또는 높이를 조절해 주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짝의 결합구조는, 탈착이 가능한 문짝 결합구를 문짝에 유리를 끼우는 유리홈에 결합한 구조이기 때문에 문짝 결합구에 의해 유리홈의 폭을 조절할 수 있어서, 동일한 크기의 동일한 문짝에 복층유리, 3중유리는 물론 두께가 다른 유리를 끼우는 것이 가능하므로, 유리가 차지하는 두께가 달라짐에 따라 문짝 프레임 제작을 위한 별도의 금형을 제작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이나 요구에 맞춰 동일한 문짝에 복층유리 또는 3중유리 및 유리의 두께가 다르더라도 아무런 문제없이 끼울 수 있다.
또, 문짝 결합구를 문짝의 상부나 하부 또는 측면 프레임에 결합했을 때는 문짝의 높이와 프레임의 폭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문짝 프레임을 슬림(slim)하거나 두껍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문짝의 높이 조절도 가능하여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닥에 설치된 문짝을 끼우는 문틀 프레임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문틀 프레임의 개방된 상부를 가려주도록 설치된 커버의 폭도 조절할 수 있어서 문틀의 단열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슬라이딩 창과 여닫이 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3중유리를 끼운 문짝(⒜)과, 동일한 문짝에 본 발명의 문짝 결합구를 결합하여 복층유리를 끼운 상태의 문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짝 결합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문짝 결합구를 결합하지 않은 문짝(⒜)과, 동일한 문짝에 본 발명의 문짝 결합구를 결합하여 문짝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의 문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3중유리를 끼운 알루미늄 문짝(⒜)과, 동일한 문짝에 본 발명의 문짝 결합구를 결합하여 복층유리를 끼운 상태의 알루미늄 문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짝 결합구를 문틀에 형성된 커버의 폭을 조절하도록 체결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짝의 결합구조의 기술적 특징은, 문짝 프레임과 유리 사이에 문짝 결합구를 결합함으로써 유리를 끼우는 유리홈의 폭을 조절할 수 있어서, 동일한 문짝에 복층유리나 3중유리는 물론 유리의 두께가 다르더라도 아무런 문제없이 끼울 수 있고, 문짝 프레임의 폭도 슬림하게 하거나 두껍게 조절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짝의 결합구조에서 문짝은 슬라이딩 창은 물론 여닫이 창에도 모두 적용 가능하고, 문짝 결합구는 문짝의 유리홈의 폭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문짝의 높이 및 문짝 프레임의 폭을 조절하는 데도 적용할 수 있고, 문틀에 형성된 커버의 폭을 조절하는 데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도 1과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정 설치된 창틀(또는 문틀)에는 여닫는 창 또는 문을 설치하게 되는데, 창 또는 문은 프레임(11)을 사용하여 사각틀 형상으로 문짝 프레임(10)을 제작하고 문짝 프레임(10)에 유리가 끼워져서 구성된다. 문짝 프레임(10)에는 사각틀 형상의 내측면을 따라 유리를 끼우도록 프레임(11)의 내측면 쪽으로 개구(開口)되어 형성된 유리홈(문짝에 유리를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 홈을 말함) 공간에 단판유리, 복층유리, 3중유리 중 어느 하나를 끼우도록 되어 있다.
문짝 프레임(10)에 단판유리, 복층유리, 3중유리를 끼움에 따라 전체 유리가 차지하는 두께가 달라지기 때문에 문짝 프레임(10)에 형성된 유리홈의 폭이 달라져야 하므로 문짝을 이루는 프레임(11)의 두께도 당연히 달라져야 하므로,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도 다 달라져야 한다. 따라서 유리의 두께에 따라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비싼 금형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유리 낱장의 두께는 물론 단판유리, 복층유리, 3중유리를 사용함에 따라 전체 유리가 차지하는 두께가 달라지므로, 그때마다 다른 금형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금형 제작에 너무나 많은 비용이 소요되게 된다는 점이 현실적인 문제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유리의 두께가 달라져도 동일한 두께의 프레임을 그대로 사용하도록 했다는 점이 기술적으로 가장 큰 특징이다.
유리의 두께가 달라졌을 때 프레임에서 유리홈의 개구부(開口部) 폭이 달라져야 하는데, 동일한 프레임에 형성된 유리홈의 개구된 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문짝 결합구(13)를 프레임(11)에 결합시킨다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핵심이다. 도 2는 PVC 프레임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알루미늄 프레임을 도시한 것인데, 프레임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측 프레임과 실외측 프레임을 별도의 구성으로 제작한 다음 이들 사이에 단열재를 삽입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문짝 결합구(13)는 어느 재질의 프레임에나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프레임으로 설명한다.
유리홈은 문짝 프레임(10)에서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11)의 내측면(유리를 끼우는 부분을 말함)에서 유리가 삽입되는 부분이 개구(開口)되어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유리홈 개구부(開口部)의 일측(일반적으로 실내측임)에 위치한 프레임의 상단부분에 형성된 체결홈(111)에 가스켓을 체결하여 프레임과 유리 사이의 틈을 메꿔주면서 유리를 고정시키고, 반대측(일반적으로 실외측임)에서는 문짝 프레임(10)의 하부를 제외한 양 측면과 상부에는 가스켓을 끼우고 하부에는 가스켓과 오사이(12)를 결합시켜 최종적으로 유리를 고정시키게 된다(도 2의 ⒜ 참조).
도 2의 ⒜는 문짝 프레임(10)에 3중유리(20)를 끼운 예를 도시했다. 3중유리(20)를 끼울 때는 유리홈에 유리를 끼운 후에 유리홈 개구부(開口部)의 일측(일반적으로 실내측임)에 위치한 프레임의 상단부분에 형성된 체결홈(111)에 가스켓을 체결하여 유리와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틈을 메꾸고 유리를 고정시킨다.
그런데, 도 2의 ⒝와 같이, 동일한 문짝 프레임(10)에 복층유리(20')를 끼우려면 유리홈의 개구된 폭이 너무 크기 때문에 복층유리(20')를 끼우면 유리홈의 개구된 폭이 남게 되므로 유리홈의 개구된 폭을 줄여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문짝 결합구(13)를 결합하여 유리홈의 개구된 폭을 줄인 후에 복층유리(20')를 끼우며, 이때는 문짝 결합구(13)에 형성된 가스켓체결홈(133)에 가스켓을 체결하여 유리와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틈을 메꾸고 유리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문짝 결합구(13)를 결합시켜 유리홈의 개구된 폭을 조절해 줌으로써 동일한 문짝에 형성된 유리홈에 단판유리, 복층유리, 3중유리를 선택하여 끼울 수 있게 된다.
문짝 결합구(13)는 프레임(11)에 결합되는 단면(斷面)이 사각 형상인 막대 형상인데, 중공(中空) 사각 형상에서 조립시 유리와 접하게 되는 일측면에 가스켓체결홈(133)이 형성되어 구성된 결합구 본체(131)와, 가스켓체결홈(133)이 형성된 면의 대향(對向)하는 면에 위치한 결합구 본체(131)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11)에 체결되게 되는 체결돌부(13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도 3 참조). 이와 같이 체결돌부(132)가 유리홈의 일단(一端)을 이루는 문짝 프레임에 형성된 체결홈(111)에 체결되어, 문짝 결합구(13)가 유리홈의 개구된 폭을 조절해 주게 된다(도 2의 ⒝ 참조). 또, 문짝 결합구(13)를 금속재로 제작하여 PVC 문짝에 체결할 경우에는 외기온도에 따라 PVC 문짝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해 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문짝 결합구(13)의 폭(프레임의 측벽과 유리 사이의 유리홈 개구부를 막아주는 부분의 길이를 말함)이 커질 때는 문짝 결합구(13)의 강도 보강을 위해 결합구 본체(131)의 대향(對向)하는 면 사이에는 판상(板狀)의 보강대(134)를 일체로 형성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의 윗그림 참조).
도 4는 문짝 결합구를 문짝 프레임(10)에서 사각 형상의 하부나 상부 또는 측면을 이루는 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결합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데, 이와 같이 문짝 결합구(13')가 슬림한 문짝 프레임(11)의 두께를 더 두껍게 할 수 있어서, 문짝의 높이 및 프레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림한 프레임의 문짝을 제작했다가, 취향에 따른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슬림한 프레임을 두꺼운 프레임으로 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문짝 결합구를 문짝이 아니라 바닥에 고정 설치된 문틀(30)에 결합한 예를 도시한 것인데, 문틀 프레임(31)의 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프레임(31)의 상부면에 위치한 커버(32)를 압출 등의 방식으로 프레임(31)과 일체로 제작할 경우, 커버(32)의 측면과 실내 및 실외측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으면 프레임(31)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이 파손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프레임(31) 제작시에는 커버(32)의 측면과 실내 및 실외측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넓게 제작한 다음, 커버(32)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홈(도면부호미지정)에 문짝 결합구(13')를 결합시켜서 간격을 좁히면 된다. 이와 같이 문짝 결합구(13')를 문틀 프레임(31)에서 커버(32)의 측면과 실내 및 실외측 프레임 사이의 개구(開口)된 간격을 조절하는 데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밖에도 문짝 결합구는 두 부재 사이에 벌어진 간격을 좁히거나 판상(板狀)에서 면을 넓히는 데는 모두 사용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문짝 프레임 11 : 프레임
111 : 체결홈 12 : 오사이
13, 13' : 문짝 결합구 131 : 결합구 본체
132 : 체결돌부 133 : 가스켓체결홈
134 : 보강대
20, 20' : 유리
30 : 문틀 31 : 프레임
32 : 커버 33 : 개방부

Claims (7)

  1. 단면(斷面)이 중공(中空)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가스켓체결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결합구 본체;
    상기 가스켓체결홈이 형성된 면의 대향(對向)하는 면에 위치하며, 결합구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돌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돌부가 문짝 프레임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 결합되어, 개구(開口)된 폭이나 프레임의 폭 또는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유리홈과 프레임의 폭 조절을 위한 문짝 결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 본체의 대향(對向)하는 면 사이에는 판상(板狀)의 보강대가 일체로 더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홈과 프레임의 폭 조절을 위한 문짝 결합구.
  3. 프레임을 사용하여 사각틀 형상으로 제작된 문짝에서, 사각틀에 의해 형성된 내측면을 따라 유리를 끼우도록 내측면 쪽으로 개구(開口)되어 형성된 유리홈 공간에 단판유리, 복층유리, 3중유리 중 어느 하나를 끼우도록 된 문짝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문짝의 결합구조는, 유리홈 개구부(開口部)의 일측에 위치한 프레임에 문짝 결합구를 결합하여 개구(開口)된 부분의 개구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립되어, 동일한 문짝에 형성된 유리홈에 단판유리, 복층유리, 3중유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결합구를 사용한 문짝의 결합구조.
  4. 프레임을 사용하여 사각틀 형상으로 제작된 문짝에서, 사각틀에 의해 형성된 내측면을 따라 개구(開口)되어 형성된 유리홈 공간에 단판유리, 복층유리, 3중유리 중 어느 하나를 끼우도록 된 문짝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문짝의 결합구조는, 문짝을 이루는 사각틀 형상의 상부나 하부 또는 측면을 이루는 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문짝 결합구가 결합되어, 문짝을 이루는 프레임의 폭 또는 높이를 조절해 주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결합구를 사용한 문짝의 결합구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짝 결합구는,
    단면(斷面)이 중공(中空)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가스켓체결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결합구 본체;
    상기 가스켓체결홈이 형성된 면의 대향(對向)하는 면에 위치하며, 결합구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돌부:
    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결합구를 사용한 문짝의 결합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 본체의 대향(對向)하는 면 사이에는 판상(板狀)의 보강대가 일체로 더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결합구를 사용한 문짝의 결합구조.
  7. 문틀 프레임의 내부를 은폐시켜 주는 커버가 구비되고, 커버의 측면과 실내 및 실외측 프레임 사이에 일정 간격이 형성된 문틀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결합구조는, 커버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홈에 문짝 결합구를 결합시켜서 커버의 측면과 실내 또는 실외측 프레임 사이의 이격된 간격을 좁혀 주도록 구성되며, 상기 문짝 결합구는,
    단면(斷面)이 중공(中空)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가스켓체결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결합구 본체;
    상기 가스켓체결홈이 형성된 면의 대향(對向)하는 면에 위치하며, 결합구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돌부:
    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결합구를 사용한 문틀의 결합구조.
KR1020200005162A 2020-01-15 2020-01-15 유리홈과 프레임의 폭 조절을 위한 문짝 결합구와 이를 사용한 문짝 및 문틀의 결합구조 KR20210091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162A KR20210091903A (ko) 2020-01-15 2020-01-15 유리홈과 프레임의 폭 조절을 위한 문짝 결합구와 이를 사용한 문짝 및 문틀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162A KR20210091903A (ko) 2020-01-15 2020-01-15 유리홈과 프레임의 폭 조절을 위한 문짝 결합구와 이를 사용한 문짝 및 문틀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903A true KR20210091903A (ko) 2021-07-23

Family

ID=77155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162A KR20210091903A (ko) 2020-01-15 2020-01-15 유리홈과 프레임의 폭 조절을 위한 문짝 결합구와 이를 사용한 문짝 및 문틀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19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649B1 (ko) 창호용 단열프레임
AU2017258995B2 (en) Sash for a sliding window or a sliding door and method for providing an untreated metal surface in such a sash
CA2384213C (en) Sliding door assembly
EP2278108B1 (en) Insulated frame member
US4977722A (en) Frame system
US11739586B2 (en) Door assemblies with insulated glazing unit venting
US20210164287A1 (en) Methods of assembling thermally enhanced multi-component glass doors and windows
EP3002402A1 (en) Openable frameless door or window casement arrangement with insulated glazing
KR101669409B1 (ko)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KR102322944B1 (ko) 복합재질을 사용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킨 단열 창문프레임
KR100309793B1 (ko) 폐 스틸렌폼을 이용한 복합 창호
KR102126906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창호구조
KR20210091903A (ko) 유리홈과 프레임의 폭 조절을 위한 문짝 결합구와 이를 사용한 문짝 및 문틀의 결합구조
KR20120005380U (ko) 복층유리 조립체
CN203742378U (zh) 断热幕墙内开扇
JP2002242542A (ja) サッシ窓の製造方法
JP3393126B2 (ja) サッシ窓の施工方法
CN110374459B (zh) 立柱、窗框结构及窗户
JPH108843A (ja) サッシ窓
CA2361786A1 (en) Modular window and door assembly
CN102979417B (zh) 铝-木-聚氨酯-木复合的内开保温窗
JP2001055873A (ja) サッシ窓
AU4240199A (en) Joinery construction
JP2000320249A (ja) サッシ窓
JP2000096929A (ja) サッシ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