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683A -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game score in sports game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game score in sports g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683A
KR20210091683A KR1020210084043A KR20210084043A KR20210091683A KR 20210091683 A KR20210091683 A KR 20210091683A KR 1020210084043 A KR1020210084043 A KR 1020210084043A KR 20210084043 A KR20210084043 A KR 20210084043A KR 20210091683 A KR20210091683 A KR 20210091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m
score
display
wearable device
se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0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학
김창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76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76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76소프트
Priority to KR1020210084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1683A/en
Publication of KR20210091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6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6Means for conducting or scheduling competition, league, tournaments or rank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63B2071/0661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playing game information which can be executed in a mobile device equipped with a display. In one embodiment, provided is a method for displaying game information which comprises a step of receiving score data from one or more wearable devices; a step of calculating a server team and a receiver team based on the score data and deducing a next server and a serve court; and a step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scores of each team, the server, and the serve court through the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core calculation errors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경기정보 표시 방법 및 경기정보 표시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game score in sports game} Gam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game information display system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game score in sports game}

본 발명은 스포츠 경기에서 경기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수나 심판 등 사용자가 소지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득점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에 기초하여 경기 점수 등의 경기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경기 정보를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는 경기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displaying game information in a sports game, and more particularly, by inputting score data through a wearable device possessed by a user such as a player or a referee, and updating game information such as a game score based thereon And it relates to a gam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the updated game information on the display.

최근 우리 사회가 점차 고령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고 주5일제 근무에 따른 여가 생활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육체건강과 정신건강에 도움이 되는 생활체육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our society is gradually changing into an aging society, and as leisure life increases due to the 5-day work week, interest in health is increasing, and accordingly, the population enjoying physical and physical fitness that is helpful for physical and mental health is increasing. .

그런데 배드민턴이나 탁구 등 일반 생활체육 분야에서는 열악한 환경이나 비용 문제로 인해 전문 심판이나 진행요원을 두고 경기를 진행하기 쉽지 않으므로 경기자 간에 구두로 점수를 부르고 암기하면서 진행하는 상황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로 인해 게임 중에 당사자들 간에 점수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잘못된 점수 산정으로 다툼이 일어나거나 경기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However, in general sports fields such as badminton and table tennis, it is not easy to have a professional referee or facilitator to conduct the game due to the poor environment or cost problem, so it is common to call and memorize scores between players verbally. However, this often causes problems such as not being able to remember the score between the parties during the game, arguing due to incorrect scoring, or delaying the game.

특히 배드민턴 복식 경기 등 일부 종목에서는 서브권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도 있다. 배드민턴 복식 경기의 경우 득점을 한 팀의 점수가 짝수인지 홀수인지에 따라 우측 서비스(서브) 코트를 사용할지 좌측 서비스 코트를 사용할지가 결정되고 연속득점이 아닌 경우 이전의 앞선 득점 상황에서 서브한 선수가 아닌 선수가 이번의 서브권자가 되고 연속득점인 경우 앞서 서브한 사람이 계속 서브권을 갖게 되는데, 경기 도중 이러한 규칙을 재빨리 적용하여 서브권자 및 서브할 코트를 결정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경기자간 오해나 다툼이 발생할 여지가 많다. In particular, in some sports, such as badminton double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o has the right to serve. In the case of a badminton doubles match, it is decided whether to use the right serving (serve) court or the left service court depending on whether the score of the scoring team is even or odd. If the score is not consecutive, the player who served in the previous scoring situation A player who is not eligible to serve becomes the right player this time, and if the score is consecutive, the person who served before will continue to have the right to serve. Since it is not easy to quickly apply these rules during the game to determine the right person to serve and the court to serve, misunderstandings or disputes between players may occur. There is plenty of roo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생활체육 분야에서는 수동식 또는 자동식 스코어 보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스코어 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심판이나 경기 보조자가 일일이 보드를 손으로 넘기거나 일일이 점수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nventional manual or automatic scoreboard is used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but even when a scoreboard is used, it is inconvenient for a referee or a match assistant to manually turn over the board or input scores one by one.

특허문헌1: 한국 공개특허 제2011-0105603호 (2011년 9월 27일 공개)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105603 (published on September 27, 201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경기자나 심판 등 사용자가 소지한 웨어러블 장치로 득점을 입력하면 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나 모바일 장치에서 점수를 갱신하고 갱신된 점수를 포함한 경기 정보를 디스플레이로 표시할 수 있는 경기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when a score is input by a wearable device possessed by a user such as a player or a referee, the score is updated in the wearable device or mobile device based on this, and the updated score is includ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m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game information on a displa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바일 장치 또는 이와 통신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경기정보 표시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득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득점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브권자팀과 리시버팀의 점수를 계산하고 다음 서브권자 및 서브할 코트를 산출하는 단계; 및 각 팀의 점수 및 서브권자와 서브할 코트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isplaying game information executed in a mobile device having a display or a computing device communicating therewith,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score data from one or more wearable devices; calculating the scores of the serving team and the receiver team based on the scoring data, and calculating the next serving person and the court to serve; and displaying the score of each team and information on the serving right and the court to serve through the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provides a game information display method comprising: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버튼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제1 웨어러블 장치에서 실행가능한 경기정보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버튼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득점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득점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브권자팀과 리시버팀의 점수를 계산하고 다음 서브권자 및 서브할 코트를 산출하는 단계; 및 각 팀의 점수 및 서브권자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isplaying game information executable in a first wearable device having one or more buttons and a display,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score data by a user input through the one or more buttons; calculating the scores of the serving team and the receiver team based on the scoring data, and calculating the next serving person and the court to serve; and displaying each team's score and sub-rights through the display; provides a game information display method comprising: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재한 방법을 웨어러블 장치, 모바일 장치, 및 컴퓨팅 장치 중 하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in one of a wearable device, a mobile device, and a computing device is recor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기자나 심판 등 사용자가 소지한 웨어러블 장치로 득점을 입력하고 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나 모바일 장치에서 점수를 갱신하고 갱신된 점수를 포함한 경기 정보를 디스플레이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경기자 간 구두로 점수를 부름으로 인해 생기는 점수 산정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ore is inputted by a wearable device possessed by a user, such as a player or a referee, and the score is updated in the wearable device or mobile device based on this, and game information including the updated scor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core calculation error caused by verbally calling scores between players in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와 알람 등 여러 방식으로 경기 점수뿐만 아니라 서브권자나 서브권팀 및 리시버에 관한 정보까지도 경기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므로 서브권 혼동으로 인한 경기 지연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원활한 경기 진행을 촉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game score, but also information about the person who has the right to serve, the team for the serve, and the receiver can be informed to the player in various ways such as display and alarm, so that delay in the match due to confusion of the right to serve can be prevented. There are benefits to promoting.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정보 표시 시스템의 블록도,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로 경기점수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라 경기점수와 서브권을 결정하는 예시적 흐름도,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권을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7은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경기정보 표시 시스템의 블록도,
도8 및 도9는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경기정보 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gam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a match score on a display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n exemplary flowchart for determining a match score and a right to ser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a sub-volume on a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block diagram of a gam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8 and 9 are block diagrams of a gam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를 포함한다', '~로 이루어진다', 및 '~로 구성된다'는 표현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The expressions 'comprising', 'consisting of', and 'consisting of'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 '~부', '~모듈', '~유닛', '~블록', '~보드'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물리적, 기능적, 또는 논리적 단위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module', '~ unit', '~ block', and '~ board' used in this specification to refer to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re processed may mean a physical, functional, or logical unit, which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hardware, software, and/or firmware.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에게 임의의 신호나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전송한다는 것은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에게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구성요소 'A'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서 구성요소 'B'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at component 'A' transmits any signal, data or information to component 'B' means that component 'A' transmits directly to component 'B' or that component 'A' transmits at least one It is used in the meaning including transmission to component 'B' through the above other compon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contents have been prepared to more specifically describe the invention and help understanding. However, a reader having enough knowledge in this field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ognize that it may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and not largely related to the invent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또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스포츠 경기 중 배드민턴 경기를 가정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리고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임의의 다른 스포츠의 경기점수를 산출하고 서브권을 결정하여 표시하는 장치와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suming a badminton game during a sports game, but this is for the convenience of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readers understand,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ny other sports. Of course, it can be applied to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the game score and determining and displaying the right to serv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정보 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2와 도3은 각각 도1에 도시한 웨어러블 장치(100)와 모바일 장치(200)의 예시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gam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diagrams showing exemplary configurations of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mobile device 200 shown in FIG. 1, respectively. .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정보 표시 시스템은 웨어러블 장치(100), 모바일 장치(200), 서버(300), 및 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경기를 하는 선수, 심판 또는 경기 보조자가 소지할 수 있는 소형의 탈부착 가능 기기로서, 예를 들어 도3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gam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wearable device 100 , a mobile device 200 , a server 300 , and a database 400 . The wearable device 100 is a small and detachable device that can be carried by a player, a referee, or a match assistant who plays a game, and may have, for example, a shape as shown in FIG. 3 .

도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버튼(101,102)을 구비하며 사용자(선수, 심판, 또는 경기 보조자 등)의 손목 밴드(105)나 암밴드, 목밴드, 무릎밴드 또는 옷 등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부 및 배터리를 내부에 포함하며, 모바일 장치(200)와 무선 연결되어 서로간 통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 th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one or more buttons 101 and 102 , and includes a wristband 105 , an armband, and a neck of a user (such as a player, a referee, or a game assistant). It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a band, knee band, or clothes. The wearable device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such as Bluetooth and a battery therein, and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20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배드민턴 등의 스포츠에서 두 선수간(단식) 또는 두 팀간(복식) 경기를 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의 제1 버튼(101)은 한쪽 선수 또는 한쪽 팀의 점수를 입력하는데 사용되고 제2 버튼(102)은 상대편 선수 또는 팀의 점수를 입력하는데 사용되고, 입력된 점수는 무선통신을 통해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된다. When a game is played between two players (single) or between two teams (doubles) in sports such as badminton, the first button 101 of the wearable device 100 is used to input the score of one player or one team, and the second button ( 102) is used to input the score of the opposing player or team, and the input scor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2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일 실시예에서 버튼(101,102)을 누르는 길이나 횟수에 따라 다양한 명령신호를 모방리 장치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버튼(101,102)을 한번 짧게 누르면 해당 팀의 득점, 두번 짧게 누르면 해당 팀의 득점 취소, 그리고 길게(예컨대 2초 이상) 누르면 모바일 장치(2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점수 표시를 위치를 변경하는 명령신호를 각각 생성하여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various command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mimicry device according to the length or number of times the buttons 101 and 102 are pressed. For example, a short press of the buttons 101 and 102 once to score the team's score, a double press to cancel the team's score, and a long press (for example, 2 seconds or mor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core displa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200 A command signal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200 .

도2(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로서, 이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장치(110)는 하나의 버튼만 구비한다. 웨어러블 장치(110)에는 클립(115) 등의 탈부착 수단이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손목 밴드(130)나 옷 등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경기하는 두 팀의 선수가 각각 하나씩 웨어러블 장치(110)를 소지하여 각 선수가 자신의 웨어러블 장치(110)의 버튼을 이용하여 자신의 점수의 입력할 수 있다. Fig. 2(b) is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wearable device 110 includes only one button. Since the wearable device 110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means such as a clip 115, i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user's wristband 130 or clothes. In this case, the players of the two teams competing each possess one wearable device 110 , so that each player can input his or her score by using a button of his or her wearable device 110 .

모바일 장치(200)는 웨어러블 장치(100)와 무선 통신하며 경기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 웨어러블 장치(100)와 통신 가능하며 경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임의의 표시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The mobile device 200 is a devic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wearable device 100 and displaying game inform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a laptop computer, and the like, and alternatively, a wearable device ( 100) and can be implemented as an arbitrary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game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 속도, 자세 등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는 가속도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며 이러한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wearabl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for generating information such as a user's location, speed, and posture. For example, the wearable devic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and may transmit data measured by these sensors to the mobile device 200 .

도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장치(200)는 프로세서(201), 메모리(203), 저장장치(205), 디스플레이(207), 입출력 인터페이스(208),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9)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1)는 컴퓨터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범용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일 수 있고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경우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의미할 수 있으며 메모리(203)에 로딩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in one embodiment, the mobile device 200 includes a processor 201 , a memory 203 , a storage device 205 , a display 207 , an input/output interface 208 , and a network interface 209 . can do. The processor 201 is a device that interprets and executes computer instructions, and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a general general-purpose computer, and in the case of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may mean, for example, an application processor (AP), and a memory ( 203) can run the loaded application.

메모리(203)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와 같은 저장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모바일 장치(200)의 구동에 필요한 운영체제(OS),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메모리(203)에 로딩(loading)될 수 있다. 저장장치(205)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로서 예컨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플래시 메모리,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등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emory 203 may be implemented as a storage device such as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an operating system (OS), applications, data, etc. necessary for driving the mobile device 200 are loaded into the memory 203 . can The storage device 205 is a nonvolatile storage device that stores data,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uch as a hard disk drive (HDD), a flash memory, or a secure digital (SD) memory card.

디스플레이(207)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와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이며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로도 기능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경기 점수와 경기에 관한 각종 정보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207)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The display 207 is an output interface for outputting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to the user, and when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also functions as an input interface for receiving a user input.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related to the game score and the game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207 .

입출력 인터페이스(208)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정보나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입력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물리 키보드, 디스플레이(207)를 통한 가상 키보드, 마이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출력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207)나 스피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input/output interface 208 is a device that receives a user command and outputs information or data, and the input interface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physical keyboard, a virtual keyboard through the display 207, a microphone, and the like, and the output interface is the display 207 ) or a speaker.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9)는 웨어러블 장치(100) 및 서버(300)와 유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와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통신으로 연결하여 통신하며 서버(300)와는 무선통신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209 is a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server 300 by wire/wireless, for example, connecting to the wearable device 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Wi-Fi to communicate.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3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장치(200)는 게임관리 애플리케이션(202)을 포함한다. 게임관리 애플리케이션(202)은 저장장치(205)에 저장되어 있다가 프로세서(201)의 제어 하에 메모리(203)에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obile device 200 includes a game management application 202 . The game management application 202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205 and loaded into the memory 203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01 to be executed.

게임관리 애플리케이션(202)은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득점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에 따라 현재 점수를 갱신하고 디스플레이(207)를 통해 표시하며 그 외에 웨어러블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동선 분석, 스코어 분석 등의 분석작업을 수행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게임관리 애플리케이션(202)은 다음과 같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When the game management application 202 receives the scoring data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it updates the current score accordingly and displays it through the display 207, and in addition to the wearable device 100, the user's movement analysis, score analysis You can perform analysis tasks such as, and display them on a display.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the game management application 202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functions.

(1) 경기 점수 및 서브권 등의 경기정보 표시 기능(1) Game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such as match score and serve right

모바일 장치(200)가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득점 데이터를 수신하면 게임관리 애플리케이션(202)은 이에 따라 현재 경기 점수 및 여러 경기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디스플레이(207)로 표시한다. When the mobile device 200 receives the scoring data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 the game management application 202 updates the current game score and various game information accordingly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207 .

예를 들어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로 경기점수를 표시하는 예시적 화면 구성으로서 일 예로서 배드민턴 복식 경기에 대한 화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210)은 점수표시 영역(220), 메뉴표시 영역(230), 및 선수표시 영역(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FIG. 4 shows a screen configuration for a badminton doubles match as an exemplary screen configuration for displaying a match score on a display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4 , the display screen 210 may include a score display area 220 , a menu display area 230 , and a player display area 240 .

점수표시 영역(220)은 경기중의 선수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21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이며 경기중인 두 선수(또는 팀)의 점수를 표시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세트제 경기인 경우 세트 스코어도 점수표시 영역(220)에 표시할 수 있다. The score display area 220 occupies most of the display screen 210 so that the players in the game can easily identify them, and the scores of the two players (or teams) in the game are display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et game in one embodiment, the set score may also be displayed in the score display area 220 .

모바일 장치(200)가 웨어러블 장치(100)의 버튼을 누르는 횟수나 누르는 시간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면 게임관리 애플리케이션(202)은 버튼을 누른 횟수나 길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210)에 점수 변동을 표시한다. 이 때 화면(210)에서의 점수 변동과 함께 모바일 장치(200)의 스피커로 특정 음이나 소리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When the mobile device 200 receives a signal according to the number or duration of pressing the butt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the game management application 202 displays a score change on the display screen 210 according to the number or length of pressing the button do. In this case, a specific sound or sound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speaker of the mobile device 200 along with the score change on the screen 210 .

메뉴표시 영역(230)은 애플리케이션의 종료나 장치연결 등 각종 설정이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menu display area 230 may display various settings or menus, such as termination of an application or device connection.

선수표시 영역(240)은 경기중인 선수의 선수명, 서브권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선수표시 영역(240)은 선수명(241,242,243,244), 위치전환 버튼(245,246,247), 및 서브권 정보(248a,248b,249)를 포함한다. 복식 경기인 경우 선수표시 영역(240)은 선수의 실제 코트에서의 위치에 대응하여 선수들의 이름을 배치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왼쪽 팀의 두 선수(선수1과 선수2)는 각각 자신의 코트에서 좌측과 우측에 위치함을 나타낸다. The player display area 240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the player's name and the right to serv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layer display area 240 includes player names (241,242, 243,244), position change buttons (245,246,247), and serve right information (248a, 248b, 249). In the case of a doubles game, the player display area 240 arranges and displays the names of the players corresponding to the players' actual positions on the court. For example, in the drawing, the two players of the left team (player 1 and player 2) ar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ir court, respectively.

위치전환 버튼(245,246,247) 중 같은 팀 선수(241과 242 및 243과 244)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위치전환 버튼(245)과 제2 위치전환 버튼(246)은 각각 해당 팀 내에서 선수의 위치를 바꾸어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1 위치전환 버튼(245)을 누르면 선수1(241)과 선수2(242)의 위치가 바뀌어서 표시된다. 따라서 예컨대 서브권 유무에 따라 두 선수가 좌측 및 우측 코트간 위치를 변경한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210)에서 이 변경을 반영하여 표시하기 위해 제1 위치전환 버튼(245,246)을 이용하여 두 선수간 위치를 바꾸어 화면(210)에 표시할 수 있다. The first position change button 245 and the second position change button 246 located between the players 241 and 242 and 243 and 244 of the same team among the position change buttons 245, 246 and 247 change the position of the player in the corresponding team, respectively. change and display For example, when the first position change button 245 is pressed, the positions of the player 1 ( 241 ) and the player 2 ( 242 ) are changed and displayed. Therefore, for example, when two players change their positions between the left and right court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have the right to serve, the first position change buttons 245 and 246 are used to reflect and display this change on the display screen 210 to change the positions between the two players.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210 .

위치전환 버튼(245,246,247) 중 제3 위치전환 버튼(257)은 두 팀의 표시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두 팀간 선수 위치를 바꾸어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제3 위치전환 버튼(247)을 누르면 선수1(241)과 선수2(242)의 위치와 선수3(243)과 선수4(244)의 위치가 바뀌어서 표시되고 이에 따라 두 팀간 점수 위치도 “29:17”에서 “17””로 변경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예컨대 세트제 경기에서 세트가 바뀌어 두 팀간 코트를 변경하는 경우 제3 위치전환 버튼(247)을 이용하여 코트 변경을 디스플레이 화면(210)에 반영할 수 있다. The third position change button 257 among the position change buttons 245, 246 and 247 is located between the display areas of the two teams and displays the positions of players between the two teams by changing them. For example, when the third position change button 247 is pressed in the drawing, the positions of player 1 ( 241 ) and player 2 ( 242 ) and the positions of player 3 ( 243 ) and player 4 ( 244 ) are changed and displayed. The score position is also changed from “29:17” to “17” and displayed. Therefore, for example, when a set is changed in a set game and a court is changed between two teams, the change of court may be reflected on the display screen 210 by using the third position change button 247 .

서브권 정보(248,249a,249b)는 예컨대 배드민턴 복식 경기에서 어느 팀의 어느 선수가 서브권을 갖는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1 서브권 정보(248)는 두 팀 중 어느 팀이 서브권을 갖는 팀("서브권자팀")인지 표시하며 예컨대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특정한 컬러의 바 형상을 서브권자팀의 선수들 아래쪽에 표시할 수 있다. 제2 서브권 정보(249a,249b)는 서브권을 갖는 선수("서브권자")와 리시브를 하는 선수("리시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시한 실시예에서 선수1(241) 및 선수4(244)의 옆에 각각 서로 다른 소정 컬러의 아이콘이나 도형의 서브권 정보(249a,249b)를 각각 표시하였으며 이는 선수1(241)이 서브권자이고 선수4(244)가 리시버임을 나타낸다. The serving right information 248, 249a, and 249b has a function of indicating which player of which team has the right to serve in, for example, a badminton doubles match. The first serving right information 248 indicates which of the two teams has the right to serve (“sub-rights team”). For examp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bar shape of a specific color is displayed below the players of the sub-rights team. can The second right to serve information 249a and 249b indicates a player who has the right to serve ("subscriber") and a player who receives ("receiver"). For examp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next to Player 1 ( 241 ) and Player 4 ( 244 ), respectively, different colored icons or sub-rights information 249a and 249b of a figure are displayed, which means that Player 1 ( 241 ) It is the serve and indicates that player 4 (244) is the receiver.

이와 같이 게임관리 애플리케이션(202)은 경기의 매 득점시마다 서브권자팀, 서브권자, 및 리시버가 누구인지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화면(210)에 표시할 수 있다. 매 득점시마다 서브권자팀, 서브권자, 및 리시버를 판단하는 예시적 방법은 도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As such, the game management application 202 may determine who the sub-rights team, the sub-rights, and the receiver are for every score of the game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screen 210 . An exemplary method for judging the sub right holder team, the sub right holder, and the receiver for every scor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

(2) 선수의 동선 추적(2) Tracking the movement of players

웨어러블 장치(100)가 예컨대 가속도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센서 등을 구비한 경우 게임관리 애플리케이션(202)은 이 센서들로부터 수신한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동선을 추적하고 분석할 수 있다. If the wearable device 100 includes, for example,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 geomagnetic sensor, etc., the game management application 202 determines the movement of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0 based on the measurement data received from these sensors. can be tracked and analyzed.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는 가속도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의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200)는 예컨대 블루투스의 저전력 근거리 통신기술(BLE: Bluetooth Low Energy)에 기반하여 웨어러블 장치(100)의 위치 결정을 위한 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earable device 100 may transmit measurement values of the acceleration sensor, the gyro sensor, and the geomagnetic sensor to the mobile device 200 in real time. Also, the mobile device 200 may receive data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in real time based on, for example, Bluetooth Low Energy (BLE) of Bluetooth.

게임관리 애플리케이션(202)은 이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방향, 위치, 이동거리 등을 산출하고 이에 따라 경기시간 동안의 동선을 분석하며, 예를 들어, (i) 동선에 따른 포지셔닝 분석 (선수가 적절한 위치에 있었는지를 분석), (ii) 선수와 그 파트너의 포지셔닝 분석 (한 팀의 두 선수 모두 웨어러블 장치(10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두 선수가 적절한 위치에 있었는지를 분석), (iii) 센서의 z축의 값을 이용하여 점프 높이, 수비 시의 높이 측정, 및 (iv) 총 이동거리 및 그에 따른 소모 칼로리 분석(기저장된 평균 데이터 또는 해당 선수의 과거 기록과 비교하여 움직임이 많은지 적은지 등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The game management application 202 calculates the user's direction, location, movement distance, etc. based on the data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in this way and analyzes the movement during the game time accordingly, for example, (i ) positioning analysis according to the movement (analyzes whether the athlete was in the proper position), (ii) the positioning analysis of the athlete and his/her partner (if both players of a team are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0, the two players position), (iii) measuring jump height and defensive height using the z-axis value of the sensor, and (iv) total moving distance and calorie consumption analysis (pre-stored average data or the athlete’s analysis such as whether there is more or less movement compared to the past record) can be performed.

한편 이러한 분석 동작은 모바일 장치(200)의 게임관리 애플리케이션(202)에서 실행할 수도 있지만 데이터의 양이나 처리속도에 따라 분석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서버(3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200)가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각종 실시간 데이터를 서버(300)로 전송하고, 서버(300)에서 상술한 동선 분석을 수행한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400)는 예컨대 각 선수별, 경기별, 팀별 경기기록(예컨대 각 선수별 경기기록, 득점기록, 승패기록, 매 경기시 이동거리와 소모 칼로리, 매 복식 경기시 파트너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서버(300)는 필요에 따라 기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수의 동선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is analysis operation may be executed in the game management application 202 of the mobile device 200 , but part or all of the analysis may be performed in the server 300 depending on the amount of data or processing speed. For example, the mobile device 200 transmits various kinds of real-time data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to the server 300 , and the server 300 performs the above-described movement line analysis. At this time, the database 400 stores, for example, game records for each player, each game, and each team (eg, each player's game record, scoring record, win/loss record, distance traveled and calories consumed in each game, partners in each doubles game, etc.) and the server 300 may perform an analysis of the player's movement using pre-stored data as needed.

(3) 스코어 분석(3) Score analysis

게임관리 애플리케이션(202)은 상술한 데이터베이스(400)의 기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수별 점수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특정 선수에 대해 (i) 누구와 파트너가 되면 승률이 높은가, (ii) 누구와 파트너가 되면 승률이 낮은가, (iii) 경기의 초반, 중반, 후반별 득점 분석 등의 스코어 스코어 분석을 수행한다. The game management application 202 may analyze the score for each player based on the previously stored data of the above-described database 400 . For example, for any given player, (i) who partnered with has a high win rate, (ii) who partnered with has a low win rate, and (iii) a score analysis for early, mid, and second half of a match, etc. Perform the analysis.

(4) 동선 분석과 스코어 분석을 이용한 경기력 분석(4) Performance analysis using movement analysis and score analysis

게임관리 애플리케이션(202)은 상술한 동선 분석과 스코어 분석에 따른 분석자료로부터 각 선수의 경기력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관리 애플리케이션(202)은 임의의 특정 선수에 대한 (i) 공격력 분석(예컨대 득점 시의 포지셔닝 분석), (ii) 수비력 분석(실점 시의 포지셔닝 분석), (iii) 득점/실점 기여도(득점 및/또는 실점 시의 포지셔닝에 따른 선수별 기여도 분석), (iv) 경기 시간 진행별 동선 분석에 따른 선수의 움직임 영역 분석 등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The game management application 202 may analyze the performance of each player from the analysis data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ovement analysis and score analysis. For example, the game management application 202 may provide (i) attack power analysis (eg, positioning analysis when scoring), (ii) defense analysis (positioning analysis when running), (iii) score/run contribution for a specific player. (Analysis of each player's contribution according to positioning at the time of scoring and/or conceding), (iv) Analysis of movement area of players according to movement analysis by game time progress, etc. can be performed.

이상 상술한 분석 동작은 모바일 장치(200)가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게임관리 애플리케이션(202)이 단독으로 실행할 수 있지만, 상기 분석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서버(300)에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서버(300)의 분석 결과를 모바일 장치(200)가 수신하여 게임관리 애플리케이션(202)의 동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화면(210)에 표시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analysis operation, the mobile device 200 receives data from the database 400 and the game management application 202 can execute it alone, but some or all of the analysis may be performed on the server 300 , In this case, the mobile device 200 may receive the analysis result of the server 300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screen 210 by the operation of the game management application 202 .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라 경기점수와 서브권을 결정하는 예시적 흐름도이며, 일 예로서 배드민턴 복식 경기를 전제로 한다. 이하의 서브권 결정 방법은 모바일 장치(200) 또는 서버(300)에서 실행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것을 가정하고 설명한다. 5 is an exemplary flowchart for determining a match score and a right to ser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ssumes a badminton doubles match as an example. The following sub-rights determination method may be executed in the mobile device 200 or the server 300 , or alternatively, may be executed in the wearable device 100 . However, in the embodiment to be described below, it is assumed that the mobile device 200 is executed.

우선 단계(S11)에서 웨어러블 장치(100)와 모바일 장치(200)를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으로 연결한다. 이 때 모바일 장치(200)가 서버(300)와도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First, in step S11 ,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mobile device 200 are connec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In this case, the mobile device 200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server 300 to communicate via wire or wirelessly.

그 후 모바일 장치(200)의 게임관리 애플리케이션(202)을 실행하여 경기를 위한 초기 데이터를 입력한다(S12). 여기서 '초기 데이터'는 경기 기록을 위해 입력하는 데이터로서 선수 관련 데이터 및 점수 관련 데이터를 포함한다. 선수 관련 데이터는 경기를 진행할 4명의 선수 이름 및 팀 조합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 때 각 선수명은 모바일 장치(200)에서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모바일 장치(200) 또는 데이터베이스(400)에 선수 리스트가 미리 저장된 경우 리스트에서 선택할 수도 있다. 점수 관련 데이터는 서브권과 점수의 초기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i) 선수 위치와 서브권자, (ii) 선수 위치와 서브권자팀, 및 (iii) 서브권자와 리시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 및 현재 점수(예컨대 경기를 처음 시작할 때는 0:0으로 입력)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2)에서 모바일 장치(200)에 초기 데이터를 입력하면 예컨대 도5와 같이 디스플레이 면(210)에 현재 점수, 선수, 서브권 등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Thereafter, the game management application 202 of the mobile device 200 is executed to input initial data for the game (S12). Here, 'initial data' is data input for game record, and includes player-related data and score-related data. The player-related data includes data on the names of four players and team combinations to be played. In this case, each player's name may be directly input in the mobile device 200 or the player list in the mobile device 200 or the database 400 . You can also select from a list if is saved in advance. The score-related data is for establishing the initial status of the right to serve and the scor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i) the player's position and the serve, (ii) the player's position and the serving team, and (iii) the serve and the receiver. information about the game and the current score (eg 0:0 when the match is first started). When initial data is input into the mobile device 200 in step S12 ,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core, players, serving rights, etc.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urface 210 as shown in FIG. 5 .

그 후 경기가 시작되고 각 팀에서 득점을 할 때마다 선수나 심판 등 웨어러블 장치(100) 사용자가 버튼을 눌러 득점 데이터를 모바일 장치(200)로 전달하고, 모바일 장치(200)는 득점 데이터를 수신하고(S20) 이에 기초하여 단계(S21 내지 S26)에 의해 서브권자, 서브권자팀, 및 리시버를 결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점수와 함께 디스플레이 화면(210)에 표시한다(S30). After that, the game starts and whenever each team scores a goal, a user of the wearable device 100, such as a player or a referee, presses a button to transmit the score data to the mobile device 200, and the mobile device 200 receives the score data and (S20) based on this, the sub-rights, the sub-rights team, and the receiver are determined by the steps (S21 to S26), and information about thi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210 together with the score (S30).

구체적으로, 단계(S20)에서 득점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 데이터에 따른 득점이 현재 서브권자팀의 득점인지를 판단한다(S21). 현재 서브권자팀의 득점인 경우(S21_Yes) 서브권자팀 점수에 1점을 추가하고 서브권자팀의 선수 위치를 변경한다(S22). 즉 서브권자팀의 좌측 코트 선수의 위치를 우측 코트로 우측 코트의 선수의 위치를 좌측 코트로 각각 변경하며 서브권자는 기존 서브권자가 그대로 유지된다. Specifically, when the score data is received in step S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core according to the data is the current score of the sub-rights team (S21). If it is the current score of the sub-right team (S21_Yes), one point is added to the score of the sub-right team and the position of the player of the sub-right team is changed (S22). That is, the position of the player on the left court of the team with the right to serve is changed to the right court and the position of the player from the right court is changed to the left court, respectively, and the existing owner of the right to serve is maintained.

이와 같이 득점 데이터에 기초하여 점수, 선수 위치, 및 서브권팀, 및 서브권자를 업데이트하면 단계(S30)에서 점수, 서브권자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210)에 표시한다. 이 때 선수들에게 서브권자 정보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전달하기 위해 예컨대 도6에 도시한 것처럼 디스플레이 화면(210) 상에 팝업창(250)을 소정 시간(예컨대 수 초간) 표시할 수 있다. 팝업창(250)은 경기중인 선수들이 서브권을 쉽고 빨리 인식할 수 있도록 화면(210) 위에 오버랩되어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팝업창(250)은 서브권자(251), 리시버(252), 서브 방향 화살표(253), 서브권 아이콘(254), 및 리시브 아이콘(255)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간단하고 단순화된 방식으로 서브권 정보를 보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way, when the score, the player's position, the sub-right team, and the sub-right are updated based on the score data, information such as the score and the sub-righ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210 in step S30. At this time, the pop-up window 250 may be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eg, several seconds) on the display screen 210 as shown in FIG. The pop-up window 250 is overlapp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210 so that players in the game can easily and quickly recognize the right to serve, a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op-up window 250 is a sub right holder 251, a receiver 252, It may include a sub-direction arrow 253 , a sub-volume icon 254 , and a receive icon 255 , and it is desirable to show sub-volume information in a simple and simplified manner.

또한 이와 같이 팝업창(250)을 디스플레이 화면(210)에 표시할 때 모바일 장치(200)의 스피커를 통해 특정 음이나 소리를 발생시켜 주의를 환기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장치(100)에 스피커가 구비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득점을 알리는 특정 음이나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예컨대 선수 4명 모두 각자 웨어러블 장치(100)를 소지하고 있을 경우, 모든 웨어러블 장치(100) 또는 득점한 팀의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득점에 대한 소리나 알람을 발신하되 서브권자의 웨어러블 장치(100)에서는 서브권자임을 알리는 음이나 소리를 추가로 발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 누가 서브권자인지를 더욱 명확하고 확실하게 알려줄 수 있다. Also, when the pop-up window 25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210 as described above, a specific sound or sound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speaker of the mobile device 200 to draw attention.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wearable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speaker, the wearable device 100 may generate a specific sound or sound informing of a score. Or, in a preferred embodiment, for example, when all four players each possess the wearable device 100, all the wearable devices 100 or the wearable device 100 of the scoring team transmit a sound or alarm about the score. The wearable device 100 of the sub-right holder may be configured to additionally transmit a sound or sound indicating that the sub-right holder is the sub-right holder, an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ore clearly and reliably inform who the sub-right holder is.

한편 단계(S21)에서 현재 득점이 서브권자팀이 아닌 상대방 팀(즉 리시버팀)의 득점인 경우(S21_No), 리시버팀의 점수에 1점을 추가하고(S23) 리시버팀의 점수가 짝수인지를 판단한다(S24). 리시버팀 점수가 짝수이면 우측 코트에 위치한 선수가 서브권을 갖는다고 판단하고(S25) 점수가 홀수이면 좌측 코트의 선수가 서브권을 갖는다고 판단하며(S26) 이렇게 결정된 점수, 선수 위치, 및 서브권자를 디스플레이 화면(210)에 표시할 수 있다(S30). Meanwhile, in step S21, if the current score is a score of the other team (ie, the receiver team) other than the serving team (S21_No), one point is added to the score of the receiver team (S23) and it is checked whether the score of the receiver team is even. It is determined (S24). If the score of the receiver team is even, it is judged that the player on the right court has the right to serve (S25), and if the score is odd, it is judged that the player on the left court has the right to serve (S26). I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210 (S30).

도7은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경기정보 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gam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정보 표시 시스템은 웨어러블 장치(500), 모바일 장치(200), 서버(300), 및 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1과 비교할 때 도7의 시스템은 웨어러블 장치(500)가 도1의 웨어러블 장치(100)와 상이하며 모바일 장치(200), 서버(300), 및 데이터베이스(400)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gam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wearable device 500 , a mobile device 200 , a server 300 , and a database 400 . Compared with FIG. 1, in the system of FIG. 7, the wearable device 500 is different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of FIG. 1, and the mobile device 200, the server 300, and the database 400 have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nd function. have

도7에서 웨어러블 장치(500)는 입력버튼(501a,501b) 및 디스플레이(503)를 구비하며 도2의 손목밴드(105,130)나 암밴드, 무릎밴드 또는 사용자의 옷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In FIG. 7 , the wearable device 500 includes input buttons 501a and 501b and a display 503 , and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wristbands 105 and 130 of FIG. 2 , an armband, a kneeband, or a user's clothes.

2개의 입력버튼(501a,501b) 중 제1 버튼(501a)은 두 팀 중 한 팀의 득점시 사용하고 제2 버튼(501b)은 다른 한 팀의 득점시 사용한다. 버튼(501a,501b)을 누르는 시간이나 횟수에 따라 득점, 득점취소, 코트 변경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Of the two input buttons 501a and 501b, the first button 501a is used when one of the two teams scores a goal, and the second button 501b is used when the other team scores a goal. Various functions such as scoring, canceling the score, changing the court, etc. can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time or number of times the buttons 501a and 501b are pressed.

디스플레이(503)는 예컨대 액정이나 터치스크린 등 임의의 화면 표시 장치이며 경기중 각 팀의 점수 등 경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503 is, for example, an arbitrary screen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or a touch screen, and can display game information such as scores of each team during a game.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웨어러블 장치(500)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와 배터리를 내부에 구비하며 또한 입력버튼(501a,501b)의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고 디스플레이(503)로 디스플레이 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팅 모듈(예컨대 마이크로컨트롤러 등)도 포함하고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장치(500)는 사용자의 위치, 속도, 자세 등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가속도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wearable device 5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battery f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therein, and processes user input of the input buttons 501a and 501b and displays data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503.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also includes a computing module (eg, microcontroller, etc.) for processing.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earable device 5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for generating information such as a user's location, speed, and posture.

이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500)에 디스플레이(503)을 더 구비함으로써 도7의 웨어러블 장치(500)는 다음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더 실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further including the display 503 in the wearable device 500 , the wearable device 500 of FIG. 7 may further selectively perform the following functions.

첫째, 웨어러블 장치(500)는 디스플레이(503)를 통해 경기 점수 등 경기 정보의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500)는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화면(도4의 210)으로 표시하는 경기점수, 선수 정보, 서브권 정보 등의 경기정보 중 적어도 경기점수를 포함한 일부 정보를 디스플레이(50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장치(200)의 게임관리 애플리케이션(202)은 경기중 매 득점마다 경기 점수 및 서브권 정보를 업데이트할 때마다 경기정보를 웨어러블 장치(5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First, the wearable device 500 may display a part of game information, such as a match score, through the display 503 . The wearable device 500 displays, for example, som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game score among game information such as game score, player information, and serve right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mobile device 200 on the display screen (210 in FIG. 4) (503). ) can be indicated by To this end, the game management application 202 of the mobile device 200 is configured to transmit game information to the wearable device 500 whenever the game score and serve right information are updated for every score during the game.

둘째, 경기점수를 계산하고 서브권을 판단하는 도5의 동작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를 웨어러블 장치(500)에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기중 득점시마다 사용자가 입력버튼(501a,501b)을 누르면 웨어러블 장치(500)에서 도5의 단계(S13 내지 S30)를 실행할 수 있다. 즉 매 득점시마다 점수를 산출하고 서브권자 및 서브권팀을 결정할 수 있고 이렇게 업데이트된 경기 정보 중 일부를 디스플레이(503)를 통해 표시한다. 또한 이 경우 매 득점에 의해 경기정보를 업데이트할 때마다 웨어러블 장치(500)는 업데이트된 경기 정보를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고, 이 경기 정보는 모바일 장치(200)에 저장되거나 또는 서버(300)측으로 전송되고 데이터베이스(400)에 기록되어 경기 분석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대안적 실시예에서 예컨대 디스플레이9503)를 통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경우 웨어러블 장치(500)를 통해 초기 데이터 입력 단계(도5의 S12)도 실행할 수 있다. Second, all or at least a part of the operation of FIG. 5 for calculating the game score and determining the right to serve may be executed in the wearable device 500 . For example, if the user presses the input buttons 501a and 501b every time a score is scored during a match, the wearable device 500 may execute steps S13 to S30 of FIG. 5 . That i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score for every score, determine the person with the right to serve and the team for the right to serve, and display some of the updated game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503 . In addition, in this case, whenever the game information is updated by every score, the wearable device 500 may transmit the updated game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200, and the gam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obile device 200 or the server ( 300), it is recorded in the database 400, and can be used for game analysis.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for example, if data input is possible through the display 9503, the initial data input step (S12 in FIG. 5) may also be execut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500.

도8은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경기정보 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Fig. 8 is a block diagram of a gam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도8에 따른 경기정보 표시 시스템은 메인 웨어러블 장치(500), 모바일 장치(200), 서버(300), 및 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1개 내지 3개의 웨어러블 장치(510,520,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웨어러블 장치(500), 모바일 장치(200), 서버(300), 및 데이터베이스(400)는 도1과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The gam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ccording to FIG. 8 includes a main wearable device 500, a mobile device 200, a server 300, and a database 400, and additionally one to three wearable devices 510, 520, 530. can Since the main wearable device 500 , the mobile device 200 , the server 300 , and the database 400 have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nd function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7 ,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8에서 추가의 웨어러블 장치(510,520,530)는 복식 경기인 경우 나머지 3명의 선수가 각각 하나씩 소지할 수 있다. 즉 도8은 복식 경기에서 4명의 선수가 모두 웨어러블 장치(500,510,520,530)를 하나씩 구비하는 시스템이다. 대안적으로 복식 경기에서 한 팀당 하나의 웨어러블 장치만 소지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메인 웨어러블 장치(500)를 한 팀의 선수가 소지하고 하나의 추가 웨어러블 장치(510)를 다른 팀의 선수가 소지한다. In FIG. 8 , additional wearable devices 510 , 520 , and 530 may be carried by each of the remaining three players in the case of a doubles match. That is, FIG. 8 is a system in which all four players have wearable devices 500 , 510 , 520 , and 530 in a doubles match. Alternatively, in a doubles match, only one wearable device per team may be possessed. In this case, the main wearable device 500 is possessed by a player of one team and one additional wearable device 510 is possessed by a player of the other team. .

이 시스템에서 나머지 3개의 웨어러블 장치(510,520,530)의 각각은 도면에 "연결1"로 표시한 것처럼 메인 웨어러블 장치(500)와 블루투스 등의 통신방식에 의해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2"로 표시한 것처럼 각각 모바일 장치(2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동시에 "연결1"과 "연결2"를 하여 메인 웨어러블 장치(500) 및 모바일 장치(200)와 동시에 통신할 수도 있다. In this system, each of the remaining three wearable devices 510, 520, and 530 is connected to the main wearable device 500 by wireless communication by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as indicated by “connection 1” in the drawing, or is indicated as “connection 2”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wearable device 500 and the mobile device 200 at the same time, either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200 , or by “connection 1” and “connection 2” at the same time.

이 때 경기중 매 득점시마다 점수를 갱신하고 서브권을 판단하는 도5의 동작은 모바일 장치(200)에서 실행되거나 메인 웨어러블 장치(500)에서 실행될 수 있고, 나머지 3개의 웨어러블 장치(510,520,530)는 두 장치(200,500) 중 도5의 동작을 실행하는 장치에만 연결(즉 "연결1" 또는 "연결2")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FIG. 5 of updating the score and determining the right to serve during the game may be executed in the mobile device 200 or the main wearable device 500, and the remaining three wearable devices 510, 520, and 530 are the two devices. Among 200,500, only a device executing the operation of FIG. 5 may be connected (ie, “connected 1” or “connected 2”).

이와 같이 복수개의 웨어러블 장치(5005,510,520,530)를 네트워크로 연결한 경우 예컨대 매 득점시마다 메인 웨어러블 장치(500)의 입력버튼으로 득점 데이터를 입력하면 웨어러블 장치(500) 또는 모바일 장치(200)에서 도5의 점수 및 서브권 갱신 동작을 실행하고, 갱신된 경기 정보를 메인 웨어러블 장치(500) 및 나머지 웨어러블 장치(510,520,530)에 전송하여 각 웨어러블 장치의 디스플레이로 경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wearable devices 5005, 510, 520, and 530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scoring data is input with the input button of the main wearable device 500 for every score, the wearable device 500 or the mobile device 200 in FIG. 5 , and the updated gam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in wearable device 500 and the remaining wearable devices 510 , 520 , and 530 to display the game information on the display of each wearable device.

한편 이 때 각 웨어러블 장치의 입력버튼으로 득점 입력이 가능할 경우 오히려 점수 산출에 혼동이 발생하므로, 예컨대 도5의 기기 연결 단계(S11)에서, 2개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가 서로 네트워킹되거나 모바일 장치(200)와 연결되는 경우 하나의 웨어러블 장치를 메인 웨어러블 장치로 선정하여 메인 웨어러블 장치의 입력버튼만 활성화시키고 나머지 웨어러블 장치의 입력버튼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at this time, if a score input is possible with the input button of each wearable device, rather confusion occurs in calculating the score. For example, in the device connection step ( S11 ) of FIG. 5 , two or more wearable devices are networked with each other or the mobile device 200 .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ontrolling to select one wearable device as the main wearable device, activate only the input button of the main wearable device, and deactivate the input button of the other wearable device when connected to.

도9는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경기정보 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Fig. 9 is a block diagram of a gam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ccording to still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도9에 따른 경기정보 표시 시스템은 메인 웨어러블 장치(500)와 하나 이상의 추가 웨어러블 장치(510,520,530), 서버(300), 및 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장치,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의 각 구성요소는 도1, 도7, 및 도8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gam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ccording to FIG. 9 includes a main wearable device 500 , one or more additional wearable devices 510 , 520 , 530 , a server 300 , and a database 400 . Since each component of the wearable device, the server, and the database has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nd function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7, and 8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도9에서 모바일 장치(200)가 생략되었다. 즉 도9의 시스템은 모든 선수가 각각 웨어러블 장치(500,510,520,530)를 하나씩 소지하되 각 웨어러블 장치(500,510,520,530)는 블루투스 등의 방식으로 서로 네트워킹 하거나("연결1") 또는 서버(300)와 무선 통신하도록("연결2")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한 팀당 하나의 웨어러블 장치만 소지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메인 웨어러블 장치(500)를 한 팀의 선수가 소지하고 하나의 추가 웨어러블 장치(510)를 다른 팀의 선수가 소지한다. However, the mobile device 200 is omitted in FIG. 9 . That is, in the system of FIG. 9, all players each have one wearable device 500, 510, 520, 530, but each wearable device 500, 510, 520, 530 network with each other in a way such as Bluetooth (“connection 1”) or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300 ( "Connection2") is configured. Alternatively, only one wearable device per team may be possessed. In this case, the main wearable device 500 is carried by a player of one team and one additional wearable device 510 is carried by a player of the other team.

도9의 실시예에서 경기중 매 득점시마다 점수를 갱신하고 서브권을 판단하는 도5의 동작은 메인 웨어러블 장치(500)나 서버(300)에서 실행될 수 있고, 나머지 3개의 웨어러블 장치(510,520,530)는 두 장치(200,500) 중 도5의 동작을 실행하는 장치에만 연결(즉 "연결1" 또는 "연결2")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9 , the operation of FIG. 5 of updating the score and determining the right to serve may be executed in the main wearable device 500 or the server 300 for every score during the game, and the remaining three wearable devices 510 , 520 , and 530 are two Among the devices 200 and 500, only a device executing the operation of FIG. 5 may be connected (ie, “connected 1” or “connected 2”).

또한 복수개의 웨어러블 장치에서 점수를 입력할 때 혼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컨대 도5의 기기 연결 단계(S11)에서, 2개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가 서로 네트워킹되거나 모바일 장치(200)와 연결되는 경우 하나의 웨어러블 장치를 메인 웨어러블 장치로 선정하여 메인 웨어러블 장치의 입력버튼만 활성화시키고 나머지 웨어러블 장치의 입력버튼을 비활성화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so, since confusion may occur when entering scores in a plurality of wearable devices, for example, in the device connection step S11 of FIG. 5 , when two or more wearable devices are networked with each other or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200, one wearable device By selecting the device as the main wearable devi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activate only the input button of the main wearable device and deactivate the input button of the other wearable device.

이와 같이 복수개의 웨어러블 장치(5005,510,520,530)를 네트워크로 연결한 경우 매 득점시마다 메인 웨어러블 장치(500)의 입력버튼으로 득점 데이터를 입력하면 웨어러블 장치(500) 또는 서버(300)에서 도5의 점수 및 서브권 갱신 동작을 실행하고, 갱신된 경기 정보를 메인 웨어러블 장치(500) 및 나머지 웨어러블 장치(510,520,530)에 전송하여 각 웨어러블 장치의 디스플레이로 경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a plurality of wearable devices 5005, 510, 520, and 530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when scoring data is input with the input button of the main wearable device 500 for every score, the score shown in FIG. 5 in the wearable device 500 or the server 300 and a sub right update operation, and transmits the updated game information to the main wearable device 500 and the remaining wearable devices 510 , 520 , and 530 to display the game information on the display of each wearable device.

한편 도8 및 도9와 같이 모든 선수마다 또는 각 팀마다 각각 웨어러블 장치를 소지할 경우 도5의 방법은 웨어러블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서브권 알람을 하는 동작(S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8 and 9 , when each player or each team owns a wearable device, the method of FIG. 5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 S30 ) of notifying the right to serve through a speaker of the 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각 팀당 하나씩 웨어러블 장치를 소지한 경우 서브권이 있는 팀의 웨어러블 장치에서만 특정 음이나 소리의 서브권 알람을 발신하고, 4명 선수 모두 하나씩 웨어러블 장치를 소지한 경우 서브권자의 웨어러블 장치에서만 서브권 알람을 발신하여 서브권자를 알려줄 수 있으며 따라서 경기중인 선수들에게 서브권자가 누구인지 더욱 신속하고 명확하게 서브권자를 알려주어 원활한 경기진행을 도울 수 있다. For example, if each team owns one wearable device, only the wearable device of the team that has the right to serve sends a sub right alarm of a specific sound or sound, and if all four players possess one wearable device, only the wearable device of the sub right holder sends a sub right alarm can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right to serve, so it can help the smooth progress of the game by notifying the players who have the right to serve more quickly and clearly who has the right to serve.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specifica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0: 500, 510, 520, 530: 웨어러블 장치
101, 102, 501a, 501b: 입력버튼
200: 모바일 장치
300: 서버
400: 데이터베이스
100: 500, 510, 520, 530: wearable device
101, 102, 501a, 501b: Input button
200: mobile device
300: server
400: database

Claims (8)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바일 장치 또는 이와 통신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경기정보 표시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득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득점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브권자팀과 리시버팀의 점수를 계산하고 다음 서브권자 및 서브할 코트를 산출하는 단계; 및
각 팀의 점수 및 서브권자와 서브할 코트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정보 표시 방법.
A method of displaying game information executed on a mobile device having a display or a computing device communicating therewith,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scoring data from one or more wearable devices;
calculating the scores of the serving team and the receiver team based on the scoring data, and calculating the next serving person and the court to serve; and
Displaying the score of each team and information about the serving right and the court to serve through the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득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초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기 데이터는,
경기할 선수들의 이름과 팀 조합;
현재 점수; 및
(i) 선수 위치와 서브권자, (ii) 선수 위치와 서브권자팀, 및 (iii) 서브권자와 리시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정보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rior to receiving the scoring data,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initial data,
The initial data is
names and team combinations of the players to be played;
current score; and
A method for displaying game information, comprising: (i)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a player's position and a person authorized to serve, (ii) a player's position and a team with a right to serve, and (iii) a server and a recei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각 팀의 점수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각 팀의 점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정보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wearable device includes a display,
transmitting the scores of each team to the wearable device; and
Displaying the score of each team through the display of the wearable device; Game information display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각 팀마다 또는 각 선수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하나씩 구비하되 각각의 웨어러블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장치에 각각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득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복수개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 중 하나의 장치를 통해 득점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경기정보 표시 방법이,
상기 각 팀의 점수를 상기 모든 웨어러블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든 웨어러블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각 팀의 점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정보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One wearable device is provided for each team or each player, but each wearable device includes a display and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receiving of the scoring data from the one or more wearable devices, receiving the scoring data through one of the plurality of wearable devices,
The game information display method,
transmitting the scores of each team to all the wearable devices; and
Displaying the score of each team through the display of all the wearable devices; Game information display method further comprising a.
하나 이상의 버튼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제1 웨어러블 장치에서 실행가능한 경기정보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버튼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득점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득점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브권자팀과 리시버팀의 점수를 계산하고 다음 서브권자 및 서브할 코트를 산출하는 단계; 및
각 팀의 점수 및 서브권자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정보 표시 방법.
A method of displaying game information executable in a first wearable device having one or more buttons and a display,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score data by a user input through the one or more buttons;
calculating the scores of the serving team and the receiver team based on the scoring data, and calculating the next serving person and the court to serve; and
Displaying each team's score and sub-rights through the display; game information display method comprising th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득점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전에, 사용자로부터 직접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통신하는 모바일 장치나 컴퓨팅 장치로부터 초기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기 데이터는,
경기할 선수들의 이름과 팀 조합;
현재 점수; 및
(i) 선수 위치와 서브권자, (ii) 선수 위치와 서브권자팀, 및 (iii) 서브권자와 리시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정보 표시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Prior to receiving the scoring data, the method further includes receiving initial data directly from a user or from a mobile device or computing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wearable device,
The initial data is
names and team combinations of the players to be played;
current score; and
A method for displaying game information, comprising: (i)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a player's position and a person authorized to serve, (ii) a player's position and a team with a right to serve, and (iii) a server and a receiv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어러블 장치를 하나 이상의 제2 웨어러블 장치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웨어러블 장치에서 점수를 계산하고 다음 서브권자와 서브할 코트를 산출하는 상기 단계를 수행할 때마다, 상기 제1 웨어러블 장치가 각 팀의 점수 및 서브권자와 서브할 코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웨어러블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수신한 각 팀의 점수 및 서브권자와 서브할 코트에 관한 정보를 제2 웨어러블의 각각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정보 표시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connecting the first wearable device to one or more second wearable device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Whenever the first wearable device calculates the score and calculates the next sub-right and the court to serve, the first wearable device sends the score of each team and information about the sub-right and the court to serve.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to a second wearable device;
The second wearable device is a game information displa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display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score of each team, the right to serve, and the court to serve through each display of the second wearabl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is recorded.
KR1020210084043A 2019-12-19 2021-06-28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game score in sports game KR202100916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043A KR20210091683A (en) 2019-12-19 2021-06-28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game score in sports g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997A KR102279626B1 (en) 2019-12-19 2019-12-19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game score in sports game
KR1020210084043A KR20210091683A (en) 2019-12-19 2021-06-28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game score in sports g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997A Division KR102279626B1 (en) 2019-12-19 2019-12-19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game score in sports g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683A true KR20210091683A (en) 2021-07-22

Family

ID=766019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997A KR102279626B1 (en) 2019-12-19 2019-12-19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game score in sports game
KR1020210084043A KR20210091683A (en) 2019-12-19 2021-06-28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game score in sports g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997A KR102279626B1 (en) 2019-12-19 2019-12-19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game score in sports g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796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28550A1 (en) * 2021-11-10 2023-05-10 Fabrizio Ferrari SPORTS ACTIVITIES MANAGEMENT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5603A (en) 2010-03-19 2011-09-27 홍성열 An electronic scoreboar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096B1 (en) * 2013-08-08 2015-11-02 주식회사 아이엘티 Game score board system
KR101723939B1 (en) * 2015-08-17 2017-04-06 주식회사 프롬널소프트 Badminton management system, badminton controller, and method of managing badminton data using the badminton controller
KR20170050156A (en) * 2015-10-29 2017-05-11 진덕식 LED Scoreboar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5603A (en) 2010-03-19 2011-09-27 홍성열 An electronic score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626B1 (en) 2021-07-21
KR20210079469A (en)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0916B2 (en) Game system and game program
US10413824B2 (en) Multi-device cooperative scorekeeping
US8323107B2 (en) Method and device for scorekeeping watch
WO20151412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15027194A1 (en) Sessions and groups
JP2016535611A (en) Fitness device configured to provide target motivation
JP6458739B2 (en) Analysis device, recording medium, and analysis method
US11173374B2 (en) Flag football marker
EP3167348A1 (en) Athletic team integrated communication, notification, and scheduling system
EP3036670A1 (en) Athletic activity sessions and groups
EP3304953A1 (en) Transmitting athletic data using non-connected state of discovery signal
KR102279626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game score in sports game
US11935423B2 (en) Athletic trainer system
WO2016196340A1 (en) Athletic data aggregation and display system
US201802643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bowling shot performance
CN110716773A (en) Motio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WO2015098303A1 (en) Analysis device, recording medium, and analysis method
JP2019136440A (en) Wearable game machine and game system
JP2003010539A (en) Mahjong game program and mahjong game device
JP5869176B1 (en) GAME PROGRAM AND GAME DEVICE
CN110665204A (en) Wearable device with movement indication function, system and movement indication method
JP2013012032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7440313B2 (en) Programs, terminals, game systems and game management devices
JP2023025490A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AU2014385793A1 (en) Method of synchronising human activity that includes use of a portable computer device with audio output from a prima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