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626A - Portable carrier wheelchair ramp - Google Patents

Portable carrier wheelchair ra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626A
KR20210091626A KR1020200005037A KR20200005037A KR20210091626A KR 20210091626 A KR20210091626 A KR 20210091626A KR 1020200005037 A KR1020200005037 A KR 1020200005037A KR 20200005037 A KR20200005037 A KR 20200005037A KR 20210091626 A KR20210091626 A KR 20210091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housings
housing
develo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0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55007B1 (en
Inventor
오양순
Original Assignee
오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양순 filed Critical 오양순
Priority to KR1020200005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007B1/en
Publication of KR20210091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6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0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5Ramps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carrier type wheelchair ramp, comprising: a plurality of housings hinge-coupled to each other by a hinge unit on one side in a width direction, and having an unfolding unit insertion groove with a structure of being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unfolding unit inserted inside the housings and selectivel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s; and a plurality of moving unit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mov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rein the unfolding unit includes: a parallel unfolding unit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nfolding unit insertion groove, and disposed inside the unfolding unit insertion groove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s; and an inclined unfolding uni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allel unfolding unit and being in contact with a plurality of floor surfaces having different phases. An angle between the inclined unfolding unit and the parallel unfolding unit is varied.

Description

휴대가 용이한 캐리어형 휠체어 경사로{Portable carrier wheelchair ramp}Portable carrier wheelchair ramp

본 발명은 휠체어 경사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성이 극대화되어 층계에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캐리어형 휠체어 경사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r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rier-type wheelchair ramp that is easy to install and detach on stairs by maximizing portability.

일반적으로 장애우가 타고 다니는 휠체어나 유아들이 탑승하는 유모차는 하부에 바퀴가 배치되어, 보행이 어려운 장애우 또는 유아가 다른 공간으로 이동할 때 유용하다. 지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바퀴에 의해 탑승자가 직립하지 않고 앉은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한 휠체어는 현재 발전을 거듭하여 비포장도로용, 산악용 뿐만 아니라 로봇 휠체어도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In general, a wheelchair for the disabled or a stroller for infants to ride is useful when the wheel is arranged on the lower part, and the disabled or infant who has difficulty walking can move to another space. Wheelchairs that can be moved in a seated state without the occupant standing upright by the wheels that rotate in contact with the ground continue to develop, and robot wheelchairs are being developed as well as for off-road and mountain use.

그러나 이동 시에 다른 위상 값의 지면이 층계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하부에 배치되는 원형 형상의 바퀴로 인하여 휠체어 또는 유모차가 진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공간이 비교적 넓은 공간에서는 층계 측면에 별도의 경사로가 갖추어져 있는 건축, 건설물이 존재하지만, 경사로 설치가 어려운 협소한 공간에서는 휠체어 또는 유모차의 탑승자에 대한 이동이 제한된다.However, when the ground of different phase values is connected to the stairs during movement, a problem arises that a wheelchair or a stroller cannot enter due to the circular-shaped wheels disposed below. Therefore, in a space with a relatively large space, there are buildings and structures equipped with a separate ramp on the side of the stairs, but in a narrow space where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ramp, the movement of the occupants of a wheelchair or stroller is restricted.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1491070호는 층계에 설치하는 경사로 장치에 대하여 기재하였다. 상기 문헌에서 경사로는 지면 패널부와 계단 패널부로 이루어지되, 계단 패널부가 층계의 길이에 따라 연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경사로가 설치되지 않은 층계에서 사용자가 계단에 경사로를 직접 설치하여, 이동에 대한 제한을 극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491070 describes a ramp device to be installed on the stairs. In the above document, the ramp includes a ground panel part and a step panel part, and the stair panel part has a structure extending along the length of the stairway. That is, the user can directly install the ramp on the stair on the stair where the ramp is not installed, thereby overcoming the restriction on movement.

그러나 상기 문헌에 기재된 발명은 설치를 위하여 사용자가 평상시에 휴대하기에는 부피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발명의 부피가 큰 값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동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도 지적될 수 있다.However,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above documen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bulky for a user to carry on a daily basis for installation. In addition, as the volume of the invention is made with a large value, the problem of reduced mobility may also be pointed out.

또한 상기 문헌에 기재된 발명은 별도의 이동장치에 대한 구성이 부재함에 따라, 휴대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도출될 수 있다. 휴대용 경사로라는 제품의 특성상, 경사로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수시로 휴대하기 위하여 이동성을 부여하는 구성은 반드시 필요하다. 즉, 제품의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이 생략된다면, 휴대에 대한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완벽히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since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above document does not have a configuration for a separate mobile device,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easy to carry may be derived. Due to the nature of the product called a portable ramp, a configuration that provides mobility for users who need the ramp to carry it frequently is essential. That is, if the configuration for securing the mobility of the product is omit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invention for portability cannot be completely solved.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1491070 "간이 경사로 형성구"(2015.02.02.)Domestic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1491070 "Simple ramp formation area" (2015.02.0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궁극적으로 층계에 임시로 설치되는 휠체어용 경사로의 휴대성 및 이동성을 극대화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ultimate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that maximizes the portability and mobility of a wheelchair ramp temporarily installed on the stairs.

본 발명은 폭방향 일측의 힌지부에 의하여 상호 힌지 결합을 이루고, 길이방향 양측에 소정 깊이 함몰된 구조의 전개부 삽입 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연장되는 전개부 및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지면과 접하여 이동하는 복수의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개부는 길이방향 일측에 소정 깊이 함몰된 구조의 전개부 삽입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전개부 삽입 홈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평행 전개부 및 상기 평행 전개부의 길이 방향 타측에 배치되어, 위상이 다른 복수의 바닥면과 접하는 경사 전개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 전개부는 상기 평행 전개부와의 각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housings in which hinge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hinge part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in which a deployment part insertion groove of a structur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moving parts dispos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mov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rein the deployment part has a deployment part insertion groov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disposed inside the expansion part insertion groove, the parallel expansion part sli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dispos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allel expansion part, further comprising an inclined expansion part in contact with a plurality of floor surfaces having different phases, the inclined expansion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with the parallel development part is variable.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복수의 하우징의 수평 및 연직 이동을 제한하고 회전에 대한 자유도를 부여하는 경첩 및 상기 경첩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는 경첩 삽입 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하우징이 전개될 시, 외측면이 평행한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inge portion further comprises a hinge inserting groov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hinge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inge limit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housings and giving a degree of freedom for rotation, by the hinge portion When the plurality of housings are deployed, the outer surfaces thereof are deployed in a parallel direction.

또한 상기 이동부는 지면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바퀴 및 상기 바퀴의 회전축과 수직으로 결합하는 바퀴 축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길이방향 일측에 소정 깊이 함몰되는 형상의 복수의 이동부 삽입 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이동부가 상기 이동부 삽입 홈 내측에 배치되어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ving part further includes a wheel rotat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 wheel shaft vertical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wheel, and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moving part insertion grooves having a shap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part is disposed inside the moving part insertion groove and slides.

또한 상기 경사 전개부는 상기 평행 전개부의 길이방향 타측과 힌지 결합하는 제1 경사 전개부 및 상기 제1 경사 전개부의 길이방향 타측과 힌지 결합하는 제2 경사 전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경사 전개부는 상기 평행 전개부의 폭방향을 따라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 경사 전개부는 상기 제1 경사 전개부의 폭방향을 따라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clined development portion further comprises a first inclined development portion hingedly coupled to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parallel development portion and a second inclined development portion hingedly coupled to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first inclined development portion, wherein the first inclined development portion is the The parallel development part is hi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inclined development part is hi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inclined development part.

또한 상기 평행 전개부는 상기 제1 전개부 삽입 홈 내에 배치되어 슬라이딩하는 제1 평행 전개부 및 상기 제1 전개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경사 전개부가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제2 평행 전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rallel development part further includes a first parallel development part that is disposed in the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development part and slides, and a second parallel expansion par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irst expansion part, and the inclined development part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복수의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housings are dispos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t least one or more of the housings, and further include a handle sli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복수의 하우징은 상기 힌지부가 형성된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하우징의 평행 전개를 제한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housings further include a locking portion dispos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on which the hinge portion is formed to limit parallel deployment of the plurality of housings.

본 발명으로 인하여, 지면과 밀착하는 바퀴에 의해 공간 이동이 이루어져, 경사로가 설치되는 층계까지 비교적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다.Due to the present invention, space movement is made by the wheel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nd it can be relatively easily transported to the stairs where the ramp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과 지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단턱을 미연에 방지하여, 휠체어의 경사로 진입 및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by preventing the step that may be formed betwee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round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easily enter and leave the ramp of the wheelchai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형 휠체어 경사로를 도시한 예시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경사로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하우징이 전개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부를 확대한 예시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을 도시한 예시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개부의 결합부를 도시한 예시도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경사로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를 도시한 예시도다.
도 9는 본 발명의 이동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arrier-type wheelchair r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chair r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ployed.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plurality of housings are deplo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exemplary view of a hin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rail and a secon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portion of a plurality of deployment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heelchair ramp is deploy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ov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s of the terms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and example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Hereinafter, prior to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not shown or specifically described for matters not necessary to reveal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known configurations that can be added obviously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ke it clear that you did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형 휠체어 경사로를 도시한 예시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을 때 캐리어 형상으로 이루어져,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휠체어 경사로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arrier-type wheelchair r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carrier shape when not in use, it is a wheelchair ramp that is easy to store and carry.

본 발명은 폭방향 일측면에 잠금부(150)가 배치되고, 길이방향 일측면에 손잡이(140)가 배치되는 복수의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100)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전개부(2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이동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usings 100 in which a locking part 150 is dispos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handle 140 is dispos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optionally the housing ( 100 ) may include a deployment part 20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moving part 300 dispos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

상기 손잡이(14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구조는 하기에 별도로 후술한다.The handle 14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may have a structure that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 A detailed structure related thereto will be separately described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경사로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다. 도 2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전개부(200)는 평행 전개부(210) 및 경사 전개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chair r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ployed. As shown in FIG. 2 , the deployment part 200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include a parallel deployment part 210 and an inclined deployment part 220 .

상기 평행 전개부(210)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실현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소정 깊이 함몰된 전개부 삽입 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평행 전개부(210)는 상기 전개부 삽입 홈(1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1 전개부 삽입 홈(120)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선택적으로 길이가 연장된다.In order to realize a structure in which the parallel deployment part 210 is inserted and slid into the housing 100, both sides of the housing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with a deployment part insertion groove 120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The parallel development part 210 is manufactur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pansion part insertion groove 120 , and is slid within the first expansion part insertion groove 120 to selectively extend the length.

상기 평행 전개부(210)의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경사 전개부(2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사 전개부(220)는 위상 값에 차이가 존재하는 복수의 지면과 접하는 구성으로, 상기 평행 전개부(210) 및 지면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경사 전개부(220)는 휠체어 바퀴가 단턱에 의해 상기 전개부(200)로의 진입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경사 전개부(220)의 각도는 가변될 수 있으며, 상세한 구조는 하기에 별도로 후술한다.The inclined development part 22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allel development part 210 . The inclined development unit 220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a plurality of ground surfaces having a difference in phase values, and is to prevent a step that may occur between the parallel development unit 210 and the ground. That is, the inclined development part 220 is a configuration for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wheelchair wheel is not easy to enter into the deployment part 200 due to the step. The angle of the inclined development part 220 may be varied, and the detailed structure will be separately described below.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는 상기 평행 전개부(210)가 복수로 구성됨에 따라, 경사 각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경사 각도가 큰 값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휠체어가 높은 위치로 도달하기 위하여 탑승자 또는 보호자가 휠체어 바퀴를 큰 값의 힘으로 밀어야 한다. 상기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평행 전개부(210)를 상기 하우징(100)에서 연장되는 제1 평행 전개부(211)와 상기 제1 평행 전개부(211)에서 연장되는 제2 평행 전개부(212)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전개부(200)의 길이를 증가시켜, 본 발명이 설치되는 경사 각도의 최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 , the inclination angle can be minimized as the parallel deployment parts 210 are configured in plurality. When the inclination angle is made to a large value, the occupant or guardian must push the wheel of the wheelchair with a large force in order to reach a high position of the wheelchair. In order to solve the above inconvenience, the parallel development part 210 is formed with a first parallel expansion part 211 extending from the housing 100 and a second parallel expansion part 212 extending from the first parallel expansion part 211 . It may be made of a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That is, by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deployment part 200,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minimiza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at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하우징이 전개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부를 확대한 예시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하우징(100)은 폭방향 일측면에 힌지부(110)가 배치되어 상호 힌지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plurality of housings are deplo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hin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 the plurality of housings 100 may have hinges 110 disposed on one side surface in the width direction to be mutually hinged.

상기 힌지부(110)는 도 4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될 때 회전축(111) 및 상기 회전축(111)의 곡면 형상으로 함몰되는 회전축 삽입부(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 삽입부(112)는 상기 복수의 하우징(100)이 도 3과 같이 전개될 시에 상기 복수의 하우징(100)이 상호 대향되는 복수의 면이 평행으로 전개되기 위한 구성이다. 다시 말하면, 전개 시에 상기 힌지부(110)가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하우징(100)의 폭방향 일측면의 전면이 상호 접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휠체어 바퀴와 접하는 복수의 면이 전개 시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hinge part 110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111 and a rotation shaft insertion part 112 that is recessed into a curved shape of the rotation shaft 111 whe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0 in the width direction. there is. The rotation shaft insertion part 112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plurality of housings 100 are deployed as shown in FIG. 3 , a plurality of surfaces on which the plurality of housings 100 are opposed to each other are deployed in parallel. In other words, as the front surfaces of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housings 100 in the width direction on which the hinge part 110 are disposed upon deployment are in a structu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lurality of surfaces in contact with the wheelchair wheel are aligned when deployed can be placed a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개부(200)가 고정부(213)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연장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다. 도 5와 같이, 상기 고정부(213)는 상기 평행 전개부(210)의 폭방향 양측면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의도치 않게 상기 평행 전개부(210)가 상기 전개부 삽입 홈(120) 내부로 삽입되는 현상을 방지한다.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eployment part 200 is extended from the housing 100 by a fixing part 213 and is fix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 the fixing part 213 has a shape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parallel development part 210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parallel development part 210 is unintentionally inserted into the expansion part insertion groove 120 . prevent the phenomenon.

상기 고정부(213)는 상기 평행 전개부(210)의 폭방향 양측면에 삽입되는 탄성체(214)를 매개체로 상기 평행 전개부(210)와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고정부(213)의 형상은 별도로 한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의도치 않게 상기 평행 전개부(210)가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개 시에 상기 하우징(100)과 상호 접하는 상기 고정부(213)의 밑면은 굴곡부가 형성되지 않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part 213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parallel expansion part 210 through an elastic body 214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parallel expansion part 210 in the width direction as a medium, and the shape of the fixing part 213 is separate. do not limit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parallel development part 210 from being unintentionally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213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housing 100 during deployment is not formed with a curved part. It is preferably made of a non-planar surface.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 후에 다시 상기 복수의 하우징(100)을 밀폐할 시, 상기 고정부(213)의 측면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탄성체(214)를 압축시킨 후에 상기 평행 전개부(210)를 상기 하우징(100) 측으로 밀어 넣는 구조가 실현될 수 있다.Therefore, when sealing the plurality of housings 100 again after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ompressing the elastic body 214 by applying pressure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part 213, the parallel deployment part 21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The (100) side push-in structure can be realize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개부의 결합부를 도시한 예시도다. 도 6과 같이, 상기 경사 전개부(220)는 상기 평행 전개부(210)의 길이 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지면과 상기 평행 전개부(210) 사이에 단턱을 방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portion of a plurality of deployment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 the inclined development part 220 is dispos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allel development part 210 to prevent a step between the ground and the parallel development part 210 .

상기 경사 전개부(220)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본 발명을 설치할 시에 상기 평행 전개부(210)의 길이방향 일측면의 모서리가 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휠체어 바퀴가 걸려 통행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경사 전개부(220)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과 지면 사이의 단턱이 형성되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상기 평행 전개부(210)와 상호 형성하는 각도가 가변될 수 있다.If the inclined deployment part 220 is not formed,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 edge of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parallel deployment part 210 protrudes from the ground, resulting in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ass because the wheelchair wheels are caught. . The inclined development part 220 is a configuration arrang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not only prevents the formation of a step betwee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round, but also forms mutually with the parallel development part 210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it is installed angle can be varied.

상기한 구조를 실현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 전개부(220)는 상기 평행 전개부(210)와 결합 핀(230)을 중심으로 힌지 결합된다. 상기 결합 핀(230)은 상기 경사 전개부(220) 회전의 중심축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평행 전개부(210) 및 경사 전개부(220)를 상호 결합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평행 전개부(210) 및 경사 전개부(220)가 상호 접하는 면에는 상기 결합 핀(230)이 관통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structure, the inclined development part 220 is hinged around the parallel development part 210 and the coupling pin 230 . The coupling pin 230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inclined development unit 220 and simultaneously couple the parallel development unit 210 and the inclined development unit 220 to each other. Accordingly,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coupling pin 230 passes is formed in the surface where the parallel development part 210 and the inclined development part 2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도 6에 도시된 일실시예는 상기 경사 전개부(220)가 제1 경사 전개부(221) 및 제2 경사 전개부(222)로 구획되었다. 상기 복수의 경사 전개부(221, 222) 역시 상기 결합 핀(230)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어, 상기 평행 전개부(210) 및 지면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를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 the inclined development part 220 is divided into a first inclined development part 221 and a second inclined development part 222 . The plurality of inclined development portions 221 and 222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hinged by the coupling pins 230 , so that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parallel development portions 210 and the ground can be relatively freely adjust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경사로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손잡이(140)를 도시한 예시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로의 길이가 연장되는 상기 하우징(100) 및 평행 전개부(210)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부가 모따기(Rounding) 처리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휠체어 바퀴가 본 발명에 진입할 때 이동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경사 전개부(220)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원리와 같이, 본 발명 내에서 휠체어가 이동할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방해 요소를 개선시켜, 탑승자 또는 보호자가 휠체어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chair ramp is deploy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handle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 the corner formed between the housing 100 and the parallel deployment part 210 in which the length of the ramp is extended has a chamfered shape, so that when the wheelchair wheel enters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easy to move. That is, like the principl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development unit 220 improves the obstacles that may occur when the wheelchair moves within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occupant or guardian can easily move the wheelchair.

상기 손잡이(140)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복수의 하우징(100) 중 임의의 한 하우징의 길이 방향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40)는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이 수행된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을 휴대하여 이동할 시에 본 발명이 진행하는 경로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The handle 14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usings 100 as shown in FIG. 8 . The handle 140 has a structure that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 and is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at is, when the user carries the present invention and moves, the pat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hanged.

도 9는 본 발명의 상기 이동부(3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동부(300)는 바퀴 축(310), 상기 바퀴 축(310)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고정 핀(3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폭방향 양측면에서 내부로 연통하는 통공이 형성된다. 즉, 상기 통공의 내부는 상기 고정 핀(320)이 삽입되어, 상기 바퀴 축(310)의 슬라이딩이 제한된다.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oving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 the moving part 30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and may have a structure to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 In this case, the moving unit 300 further includes a wheel shaft 310 and a fixing pin 320 including an elastic body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heel shaft 310 . The housing 10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at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the fixing pin 3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the sliding of the wheel shaft 310 is limited.

상기 통공의 외부에서는 상기 고정 핀(320)에 압력을 가하는 버튼(330)이 배치된다. 사용자가 상기 버튼(330)에 힘을 가하면, 종속적으로 상기 버튼(330)은 상기 고정 핀(320)으로 압력을 가한다. 이 때, 상기 고정 핀(320)에는 탄성체가 포함되어, 상기 통공으로부터 상기 고정 핀(320)이 이탈된다. 즉, 본 발명의 사용자가 상기 바퀴 축(310)의 위치를 고정시켜, 필요에 따라 휴대성을 극대화하거나 휠체어가 진입 시에 방해되는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A button 330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fixing pin 320 is disposed outside the through hole. When the user applies a force to the button 330 , the button 330 subordinately applies pressure to the fixing pin 320 . At this time, the fixing pin 320 includes an elastic body, and the fixing pin 320 is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That is, 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wheel shaft 310 by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portability or remove elements that interfere with the entry of the wheelchair as necessary.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So far,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erred embodiment has been looked at.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relate to on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xamples.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 may be embodiments in which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100 : 하우징
101 : 제1 하우징 102 : 제2 하우징
110 : 힌지부
111 : 회전축 112 : 회전축 삽입부
120 : 전개부 삽입 홈
130 : 이동부 삽입 홈
140 : 손잡이
141 : 손잡이 파지부 142 : 손잡이 슬라이딩 축
150 : 잠금부
200 : 전개부
210 : 평행 전개부
211 : 제1 평행 전개부 212 : 제2 평행 전개부
220 : 경사 전개부
221 : 제1 경사 전개부 222 : 제2 경사 전개부
223 : 결합 핀
300 : 이동부
310 : 바퀴 축 320 : 고정 핀
330 : 버튼
100: housing
101: first housing 102: second housing
110: hinge
111: rotation shaft 112: rotation shaft insertion part
120: expansion part insertion groove
130: moving part insertion groove
140: handle
141: handle grip portion 142: handle sliding shaft
150: lock
200: development part
210: parallel development
211: first parallel development part 212: second parallel expansion part
220: inclined development part
221: first inclined development part 222: second inclined development part
223: coupling pin
300: moving part
310: wheel axle 320: fixing pin
330: button

Claims (7)

폭방향 일측의 힌지부(110)에 의하여 상호 힌지 결합을 이루고, 길이방향 양측에 소정 깊이 함몰된 구조의 전개부 삽입 홈(120)이 형성되는 복수의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연장되는 전개부(2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지면과 접하여 이동하는 복수의 이동부(300);
를 포함하되,
상기 전개부(200)는
상기 전개부 삽입 홈(1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개부 삽입 홈(120)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평행 전개부(210) 및
상기 평행 전개부(210)의 길이 방향 타측에 배치되어, 위상이 다른 복수의 바닥면과 접하는 경사 전개부(2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 전개부(220)는
상기 평행 전개부(210)와의 각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캐리어형 휠체어 경사로.
A plurality of housings 100 that are hinged to each other by a hinge part 110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in which the expansion part insertion groove 120 of a structur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deployment part 200 which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and selectively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and
a plurality of moving parts 300 dispos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and mov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cluding,
The deployment unit 200 is
A parallel development part 210 mad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pansion part insertion groove 120 , disposed inside the expansion part insertion groove 120 , and sli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 and
I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allel development portion 210, further comprising an inclined development portion 220 in contact with a plurality of floor surfaces having different phases,
The inclined development part 220 is
Carrier-type wheelchair ramp for easy port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with the parallel deployment part 210 is vari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110)는
상기 복수의 하우징(100)의 수평 및 연직 이동을 제한하고 회전에 대한 자유도를 부여하는 경첩(111) 및 상기 경첩(1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는 경첩 삽입 홈(112)을 더 포함하여,
상기 힌지부(110)에 의해 상기 복수의 하우징(100)이 전개될 시, 외측면이 평행한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캐리어형 휠체어 경사로.
According to claim 1,
The hinge part 110 is
It further includes a hinge 111 that limits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housings 100 and provides a degree of freedom for rotation, and a hinge insertion groove 112 that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inge 111. So,
When the plurality of housings 100 are deployed by the hinge unit 110 , an easy-to-carry carrier-type wheelchair r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s are deployed in a paralle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300)는
지면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바퀴 및 상기 바퀴의 회전축과 수직으로 결합하는 바퀴 축(3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0)은
길이방향 일측에 소정 깊이 함몰되는 형상의 복수의 이동부 삽입 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이동부(300)가 상기 이동부 삽입 홈 내측에 배치되어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캐리어형 휠체어 경사로.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unit 300 is
Further comprising a wheel rotat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 wheel shaft 310 vertical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wheel,
The housing 100 is
Carrier-type wheelchair that is easy to carr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moving part insertion grooves in a shape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moving part 300 is disposed inside the moving part insertion groove and slid run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전개부(220)는
상기 평행 전개부(210)의 길이방향 타측과 힌지 결합하는 제1 경사 전개부(221) 및 상기 제1 경사 전개부(221)의 길이방향 타측과 힌지 결합하는 제2 경사 전개부(22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경사 전개부(221)는 상기 평행 전개부(210)의 폭방향을 따라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 경사 전개부(222)는 상기 제1 경사 전개부(221)의 폭방향을 따라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캐리어형 휠체어 경사로.
According to claim 1,
The inclined development part 220 is
A first inclined development portion 221 hingedly coupled to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parallel development portion 210 and a second inclined development portion 222 hingedly coupled to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first inclined development portion 221, further comprising,
The first inclined development part 221 is hi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rallel development part 210, and the second inclined development part 222 is hi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inclined development part 221. Carrier-type wheelchair ramp for easy portabi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 전개부(210)는
상기 전개부 삽입 홈(120) 내에 배치되어 슬라이딩하는 제1 평행 전개부(211) 및
상기 제1 전개부(211)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경사 전개부(220)가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제2 평행 전개부(2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캐리어형 휠체어 경사로.
According to claim 1,
The parallel development part 210 is
A first parallel development part 211 which is disposed in the expansion part insertion groove 120 and slides, and
Carrier-type wheelchai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irst deployment part 211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arallel deployment part 212 to which the inclined deployment part 22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un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우징(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손잡이(140)를 더 포함하는 휴대가 용이한 캐리어형 휠체어 경사로.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housings 100 are
Carrier-type wheelchair ramp tha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t least one or more of the housing 100, and further comprises a handle 140 sli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우징(100)은
상기 힌지부(110)가 형성된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하우징(100)의 평행 전개를 제한하는 잠금부(150)를 더 포함하는 휴대가 용이한 캐리어형 휠체어 경사로.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housings 100 are
The hinge portion 11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formed, the carrier-type wheelchair ramp for easy portability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unit 150 for limiting parallel deployment of the plurality of housings (100).
KR1020200005037A 2020-01-14 2020-01-14 Portable carrier wheelchair ramp KR1023550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037A KR102355007B1 (en) 2020-01-14 2020-01-14 Portable carrier wheelchair ra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037A KR102355007B1 (en) 2020-01-14 2020-01-14 Portable carrier wheelchair ra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626A true KR20210091626A (en) 2021-07-22
KR102355007B1 KR102355007B1 (en) 2022-01-24

Family

ID=77158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037A KR102355007B1 (en) 2020-01-14 2020-01-14 Portable carrier wheelchair ram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00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958U (en) * 1997-12-23 1999-07-15 현성일 Foldable container lamp
JP2005342016A (en) * 2004-05-31 2005-12-15 Mitsubishi Alum Co Ltd Portable slope
KR200472114Y1 (en) * 2013-03-14 2014-04-07 윤광주 Ramp for stairs
KR101491070B1 (en) 2013-08-22 2015-02-12 김용훈 Device for making simple slope way
KR20190030823A (en) * 2017-09-15 2019-03-25 윤정원 Carrier having folding chair hand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958U (en) * 1997-12-23 1999-07-15 현성일 Foldable container lamp
JP2005342016A (en) * 2004-05-31 2005-12-15 Mitsubishi Alum Co Ltd Portable slope
KR200472114Y1 (en) * 2013-03-14 2014-04-07 윤광주 Ramp for stairs
KR101491070B1 (en) 2013-08-22 2015-02-12 김용훈 Device for making simple slope way
KR20190030823A (en) * 2017-09-15 2019-03-25 윤정원 Carrier having folding chair han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007B1 (en)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65529A1 (en) Foldable spider wheel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stairs
CN101558930B (en) Fully recessed translation biased cantilever leg luggage device
NL2018573B1 (en) Infant stroller apparatus
JP2931842B2 (en) Improved movable ramp assembly
EP2517945A2 (en) Baby safety car seat convertible into a rollable baby seat
CA2836378C (en) Folding vehicle staircase
US6079527A (en) Retractable handle for wheeled luggage
US11267388B2 (en) Mobile object
WO2006045107A2 (en) Foldable spider wheel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stairs
KR102355007B1 (en) Portable carrier wheelchair ramp
KR20160006822A (en) Foldable vehicle
US7798499B2 (en) Wheeled luggage usable as a seat
CN110525293A (en) Support base for child safety seat
EP3039995B1 (en) Child motion apparatus
US20030034215A1 (en) Extension structure of swivel wheel
US20220212774A1 (en) Lavatory with expandable door
KR101891791B1 (en) Handrail for stairs
KR20200145070A (en) Protective Cover For Wheelchair
CN102211603A (en) Baby carrying device
KR200373393Y1 (en) The constructing inclined way device for stairs of the subway
CN109808759A (en) Perambulator and its fold hook device
TWM613646U (en) Rotating armrest
KR102176728B1 (en) Fold type stroller
CN211510780U (en) Draw-bar box
KR200276415Y1 (en) Chair construction for coffin conveyance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