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317A - 추적 영역 업데이트 방법,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추적 영역 업데이트 방법,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317A
KR20210091317A KR1020217019389A KR20217019389A KR20210091317A KR 20210091317 A KR20210091317 A KR 20210091317A KR 1020217019389 A KR1020217019389 A KR 1020217019389A KR 20217019389 A KR20217019389 A KR 20217019389A KR 20210091317 A KR20210091317 A KR 20210091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c
period
broadcast message
list
ind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9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1245B1 (ko
Inventor
티안항 유
롱 리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91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4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corresponding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원은 추적 영역 업데이트 방법,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방법은, 단말 장치에 의해, 위성 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적어도 2 개의 추적 영역(TA) 중 하나 이상의 TA에 대응하는 추적 영역 코드(TAC)를 교대로 전달하고, 위성 장치의 빔의 커버리지는 적어도 2 개의 TA에 속함 ―하는 단계; 현재의 주기에 수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처음으로 검출할 경우, 단말 장치에 의해, TA를 제2 TA 리스트에 기록하는 단계; 및 단말 장치에 의해,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계속해서 검출하고,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기초하여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시그널링 오버헤드 및 페이징 리소스가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추적 영역 업데이트 방법,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통신 장치
본 출원은 2018년 11월 28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TRACKING AREA UPDATE METHOD, BROADCAS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 출원 제201811436020.8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원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추적 영역 업데이트 방법,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성 통신은, 넓은 커버리지(coverage; 통달 범위), 긴 통신 거리, 높은 신뢰성, 높은 유연성 및 높은 처리량을 특징으로 하며, 지리적 환경, 기후 및 자연 재해에 영향을 받지 않아, 항공 통신, 해상 통신 및 군사 통신과 같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5 세대(5th-generation, 5G) 모바일 네트워크에 위성을 도입하면 지상파 네트워크로 커버하기 어려운 바다 및 산림과 같은 지역에 대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5G 통신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기차, 비행기 및 교통 수단 사용자에게 보다 안정적인 고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더 많은 데이터 전송 리소스를 제공하며, 더 많은 연결을 지원한다.
그러나, 기존의 위성 통신 시스템에서는 추적 영역(tracking area, TA)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비교적 높다. 따라서, TA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어떻게 감소시켜야 할지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가 되고 있다.
본원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추적 영역 업데이트 방법,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추적 영역(TA) 업데이트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말 장치는 위성 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한다.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적어도 2 개의 추적 영역(TA) 중 하나 이상의 TA에 대응하는 추적 영역 코드(TAC)를 교대로 전달한다. 위성 장치의 빔의 커버리지는 적어도 2 개의 TA에 속한다.
단말 장치는, 현재의 주기에 수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처음으로 검출할 경우, TA를 제2 TA 리스트에 기록한다. 제1 TA 리스트는 단말 장치를 페이징(page)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TA를 포함한다. 제2 TA 리스트는 제1 TA 리스트에서의 TA와는 다른 검출된 TA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단말 장치는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계속해서 검출하고,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기초하여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 단말 장치는, 현재의 주기에 수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처음으로 검출할 경우, TA 업데이트 절차를 즉시 개시하는 것이 아니라,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기초하여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는 TA가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이 검출될 때 TA 업데이트 절차가 바로 개시되는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의 불필요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회피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TA를 동시에 커버하는 위성 빔에 복수의 TAC가 할당된다. 복수의 TAC는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거나, 또는 한 번에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위성 빔에서 TAC 변화를 모니터링할 때 즉시 TA를 업데이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단말 장치는 "TAC 하드 핸드오버(TAC hard handover)"로 인해 일부 단말 장치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TA 업데이트에 의해 야기되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회피하기 위해 대체 브로드캐스트 주기에 단말 장치가 속한 TA의 TAC가 없다고 판정한 후에만 TA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단말 장치가 고정된 단말 장치이거나 또는 제한된 이동 영역을 갖는 경우,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더 큰 TA 리스트를 할당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페이징 리소스가 감소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TA 리스트가 네트워크 측(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측 또는 위성 장치 측)에 의해 유지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제1 TA 리스트를 취득하거나 또는 제1 TA 리스트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제1 TA 리스트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단말 장치에 의해 취득된다. 제2 TA 리스트는 단말 장치에 의해 유지 및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제1 TA 리스트는 위성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에 의해 취득된다. 구체적으로,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제1 TA 리스트를 결정하고, 위성 장치를 사용해서 제1 TA 리스트를 단말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제1 TA 리스트를 사용해서 단말 장치를 페이징할 수 있다. 단말 장치를 페이징할 경우,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제1 TA 리스트에서의 모든 TA에 대응하는 빔(즉, 제1 TA 리스트에서의 TA들을 커버하는 빔)에서 단말 장치를 페이징할 필요가 있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단말 장치가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계속해서 검출하고,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기초하여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말 장치는,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 또는 제2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TA를 제2 TA 리스트에 기록한다.
단말 장치는,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 중 적어도 하나의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제2 TA 리스트를 지운다.
대안으로서, 단말 장치가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제2 TA 리스트에 속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단말 장치는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하여 제1 TA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고, 제2 TA 리스트를 지운다.
다시 말해, 단말 장치는,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 또는 제2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하지 않는다. 단말 장치는,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 중 적어도 하나의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하지 않는다. 단말 장치는,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제2 TA 리스트에 속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에만,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하여 제1 TA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TA 업데이트 절차는 단말 장치가 위성 장치를 사용해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요청을 송신하여 업데이트된 TA 리스트를 취득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TA 업데이트 절차에 대해서는, 기존의 표준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설명하지 않는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주기 내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하나의 TAC를 전달하거나; 또는 주기 내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복수의 TAC를 전달한다.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하나의 TAC를 전달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할 필요가 있으며,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의 TAC에 기초하여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 경우,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가 복수의 주기에 있어서 결정을 수행한 후에만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대기 시간이 비교적 길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복수의 TAC를 전달하는 경우, 단말 장치의 결정 시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즉 단말 장치가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대기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위성 통신 브로드캐스트 신호에서 TAC 필드가 확장될 수 있다. 원래의 TAC 필드가 y 비트의 정보를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확장된 TAC 필드는 Ny 비트의 정보를 포함한다. 모든 y 비트의 정보는 하나의 동일한 TAC 또는 복수의 서로 다른 TAC에 대응할 수 있다. 위성 빔은 TAC들을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한 번에 복수의 TAC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위성 장치는 TAC들을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하고 또한 한 번에 복수의 TAC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방식으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의 대기 시간이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제1 지시 정보를 전달하고, 제1 지시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TAC들을 순서대로 교대로 전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재사용된 비트이거나, 또는 제1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새롭게 추가된 비트이다.
제1 지시 정보가 추가됨으로써, 단말 장치는 제1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빔이 TAC들을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지시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TAC들을 순서대로 교대로 전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말 장치는, TAC의 변화를 모니터링한 후, 다음 주기에 빔을 사용함으로써 TAC 브로드캐스팅을 대기하지 않고 즉시 TA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 시간이 감소되고 TA 리스트가 보다 적시에 업데이트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제2 지시 정보를 전달하고, 제2 지시 정보는 하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횟수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주기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시간,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되는 TAC의 수량.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제2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재사용된 비트이거나, 또는 제2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새롭게 추가된 비트이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는 더 이상 위성 빔을 사용해서 TAC 브로드캐스팅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지 않고, 특정 수량의 주기의 간격으로 또는 특정 기간에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계속 모니터링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말 장치의 리소스 및 계산 오버헤드가 감소될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위성 장치는 빔의 커버리지가 적어도 2 개의 추적 영역(TA)에 속한다고 결정한다.
위성 장치는 빔을 사용해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적어도 2 개의 TA 중 하나 이상의 TA에 대응하는 추적 영역 코드(TAC)를 교대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위성 장치는 궤도력(ephemeris) 정보에 기초하여, 빔의 커버리지가 적어도 2 개의 추적 영역(TA)에 속한다고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위성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지시에 기초하여, 빔의 커버리지가 적어도 2 개의 추적 영역(TA)에 속한다고 결정한다.
궤도력 정보는 위성 장치에 로컬로 저장되는 정보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궤도력 정보는 위성 장치의 빔 정보(예를 들어, 빔의 커버리지에 관한 정보) 및 이동 트랙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TA를 동시에 커버하는 위성 빔에 복수의 TAC가 할당된다. 복수의 TAC는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거나, 또는 한 번에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위성 빔에서 TAC 변화를 모니터링할 때 즉시 TA를 업데이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단말 장치는 "TAC 하드 핸드오버"로 인해 일부 단말 장치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TA 업데이트에 의해 야기되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회피하기 위해 대체 브로드캐스트 주기에 단말 장치가 속한 TA의 TAC가 없다고 판정한 후에만 TA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단말 장치가 고정된 단말 장치이거나 또는 제한된 이동 영역을 갖는 경우,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더 큰 TA 리스트를 할당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페이징 리소스가 감소된다.
제2 양태에서 위성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제1 양태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대응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제2 양태에서의 몇 가지 해법 및 달성된 효과에 대해서는 제1 양태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제2 양태을 참조하면, 제2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위성 장치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위성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의 주기 정보와 TAC 사이의 제1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제1 대응 관계는 위성 장치에 미리 저장되거나, 또는 제1 대응 관계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통지된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제2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주기 정보는 각 주기의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다.
제1 대응 관계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각 주기의 시퀀스 번호 및 각 주기의 시퀀스 번호에 일대일 대응하는 TAC를 포함한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제2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주기 정보는 각 주기의 시작 순간을 포함한다.
제1 대응 관계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각 주기의 시작 순간 및 각 주기의 시작 순간에 일대일 대응하는 TAC를 포함한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제2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주기 정보는 주기의 시작 순간을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순간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위성 장치는 TAC를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순간과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순간(즉, 다음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순간) 사이의 하나 이상의 주기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다.
주기 정보는 주기의 시작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위성 장치는 TAC를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시퀀스 번호와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시퀀스 번호(즉, 다음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시퀀스 번호) 사이의 하나 이상의 주기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다.
주기 정보는 주기의 종료 순간을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순간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위성 장치는 TAC를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순간(즉, 해당 TAC 이전의 TAC에 대한 주기의 종료 순간)과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순간 사이의 하나 이상의 주기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다.
주기 정보는 주기의 종료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위성 장치는 TAC를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시퀀스 번호(즉, 해당 TAC 이전의 TAC에 대한 주기의 종료 시퀀스 번호)와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시퀀스 번호 사이의 하나 이상의 주기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다.
주기 정보는 주기 시간 간격을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 시간 간격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위성 장치는 TAC를 TAC에 대응하는 주기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주기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다.
주기 정보는 주기 시퀀스 번호 간격을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 시퀀스 번호 간격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위성 장치는 TAC를 TAC에 대응하는 주기 시퀀스 번호 간격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주기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주기 정보는 주기의 수량을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수량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위성 장치는 TAC를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수량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주기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위성 장치는 주기 정보와 TAC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TAC를 송신하는 구체적인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대응 관계는, TAC와 주기 또는 주기 시간의 시퀀스 번호 사이의 대응 관계와 비교하여, 각 TAC 및 해당 TAC에 대응하는 주기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데이터량이 비교적 적다. 대응 관계가 궤도력 정보에서의 대응 관계일 경우, 궤도력 정보의 데이터량이 감소될 수 있다. 대응 관계가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지시될 경우, 시그널링 오버헤드와 리소스가 감소될 수 있다.
동일한 TAC가 복수의 주기에 연속적으로 송신될 수 있으며, 단말 장치는 각 TAC를 한 번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계산 오버헤드가 감소될 수 있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제2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주기 내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하나의 TAC를 전달하거나; 또는 주기 내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복수의 TAC를 전달한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제2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제1 지시 정보를 전달하고, 제1 지시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TAC들을 순서대로 교대로 전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제2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재사용된 비트이거나, 또는 제1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새롭게 추가된 비트이다.
제1 지시 정보가 추가됨으로써, 단말 장치는 제1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빔이 TAC들을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지시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TAC들을 순서대로 교대로 전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말 장치는, TAC의 변화를 모니터링한 후, 다음 주기에 빔을 사용함으로써 TAC 브로드캐스팅을 대기하지 않고 즉시 TA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 시간이 감소되고 TA 리스트가 보다 적시에 업데이트된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제2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제2 지시 정보를 전달하고, 제2 지시 정보는 하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횟수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주기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시간,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되는 TAC의 수량.
제2 양태를 참조하면, 제2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제2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재사용된 비트이거나, 또는 제2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새롭게 추가된 비트이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는 더 이상 위성 빔을 사용해서 TAC 브로드캐스팅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지 않고, 특정 수량의 주기의 간격으로 또는 특정 기간에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계속 모니터링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말 장치의 리소스 및 계산 오버헤드가 감소될 수 있다.
제3 양태에 따르면,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각각의 모듈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통신 장치는 단말 장치이다.
제4 양태에 따르면,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각각의 모듈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통신 장치는 위성 장치이다.
제5 양태에 따르면,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프로세서는 트랜시버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통신 장치가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실행을 위해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도록 구성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통신 장치는 단말 장치이다.
제6 양태에 따르면,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프로세서는 트랜시버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통신 장치가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실행을 위해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도록 구성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통신 장치는 위성 장치이다.
제7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태 및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들에 따른 방법이 구현된다.
제8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제2 양태 및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들에 따른 방법이 구현된다.
제9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태 및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들에 따른 방법이 구현된다.
제10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제2 양태 및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들에 따른 방법이 구현된다.
제11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제12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제11 양태 또는 제12 양태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제1 양태 및 제2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제1 양태 및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들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관련 데이터 교환 프로세스(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의 송신 또는 수신)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완료된다.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는 트랜시버를 사용해서 데이터 교환 프로세스를 더 완료할 수 있다.
제11 양태 또는 제12 양태에서의 처리 장치가 칩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가 하드웨어를 사용해서 구현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논리 회로, 집적 회로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가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구현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코드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구현된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 위치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제13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위성 장치 및 전술한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원의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모바일 위성 통신 시스템 시나리오의 개략도이고;
도 2는 TA 업데이트 방법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빔 이동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TA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의 상호 작용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TA 업데이트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6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지시 정보의 개략도이고;
도 7은 본원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지시 정보의 개략도이고;
도 8은 본원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TA 업데이트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9는 본원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10은 본원에 따른 단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11은 본원에 따른 다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12는 본원에 따른 위성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기술적인 해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모바일 위성 통신 시스템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시나리오는 하나 이상의 위성 장치, 위성 장치의 빔 커버리지에 위치된 단말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시나리오에 있어서, 위성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위성 장치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위성 장치를 사용해서 단말 장치를 페이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위성 장치를 사용해서 위성 장치의 빔 커버리지에 위치된 단말 장치를 페이징할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장치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핸드헬드 장치, 차량 탑재형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무선 통신 기능이 있는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처리 장치일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는 대안적으로 가입자 유닛, 셀룰러 폰, 스마트폰, 무선 데이터 카드, 개인용 디지털 보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무선 모뎀, 핸드헬드 장치, 랩톱 컴퓨터, 기계식 통신 단말, 무선 통신 기능이 있는 컴퓨팅 장치,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처리 장치, 차량 탑재형 장치, 웨어러블 장치, 스마트 가정용 장치, 드론 장치,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장치, 미래의 진화된 공중 지상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이동성 관리 장치, 예를 들어,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네트워크 요소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 요소일 수 있으며, 제어 평면 이동성 및 액세스 관리를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사용자가 TA 리스트를 설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위성을 추정하는 기능 및 TA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기능과 같은 기능들을 갖는다.
위성 장치는 위성 장치의 주행 궤도의 높이에 따라 고궤도 위성 장치, 중궤도 위성 장치, 저궤도 위성 장치로 분류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고궤도 위성은 지상에 대하여 고정적이다. 하나 이상의 고궤도 위성은 고정된 영역에 대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비-고궤도 위성, 예를 들어, 지상에 대하여 고속으로 이동하며 각각의 이동 트랙을 갖는 중궤도 위성 및 저궤도 위성을 포함하는 비-정지 지구 궤도(non-geostationary earth orbit, NGEO) 위성 장치는 고정된 영역에 대하여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복수의 위성의 협력을 필요로 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의 위성 장치는 전술한 위성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의 위성 장치는 비-정지 지구 궤도(non-geostationary earth orbit, NGEO) 위성 장치일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의 위성 장치가 하나 이상의 빔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위성 장치가 12 개 또는 16 개의 빔을 가질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시나리오에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위성 장치를 사용해서, 단말 장치에 할당된 추적 영역(TA) 리스트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를 페이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는 TA 리스트를 로컬로 저장할 수 있으며,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TA를 포함한다. 제1 TA 리스트는 네트워크 측(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단말 장치에 할당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단말 장치가 페이징될 때,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위성 장치를 사용해서 TA 리스트에서의 모든 TA를 커버하는 모든 위성 빔에서 단말 장치를 페이징할 필요가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TA는 단말 장치의 위치 관리를 위한 개념 집합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각 TA는 추적 영역 아이덴티티(TAI)를 갖는다. TAI는 추적 영역 코드(TAC) 및 공중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식별자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기지국에 의해 TAC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할 경우, 단말 장치는 TAI를 계산하고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단말 장치에 할당되는 TA 리스트에서 매칭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의 이동으로 인해, 위성 장치에 의해 현재 브로드캐스팅되고 있는 TAC가 단말 장치에 할당된 TA 리스트에 없고, 또한 단말 장치가 위치된 TA 영역이 변화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단말 장치가 위치된 TA가 단말 장치에 의해 저장된 TA 리스트에 없다는 것을 단말 장치가 확인하면, 단말 장치는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 필요가 있다. 네트워크 측(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장치)은 단말 장치의 로컬 TA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TA 리스트를 단말 장치에 재할당한다.
도 2는 추적 영역 업데이트 방법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는 먼저 위성 빔을 사용해서 TAC 브로드캐스트를 모니터링한 후, 모니터링된 TAC를 사용해서 TAI를 계산하고 단말 장치의 TA 리스트에서 매칭을 수행한다. TAI가 단말 장치의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으면, 단말 장치는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단말 장치가 TAC를 계속 모니터링한다.
위성 통신과 5G 사이의 통합을 향상시키고, 추적 영역(tracking area, TA) 리스트를 빈번하게 업데이트하는 것에 의해 야기되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종래의 기술에서는, 위성 네트워크의 TA를 지상의 고정된 지리적 영역에 바인딩하고, TA가 위성 빔과 함께 움직이지 않을 것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위성 커버리지의 추적 영역 코드(tracking area code, TAC)는 특정 규칙에 따라 변화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는 TA 영역에 있다. 위성 빔의 커버리지가 완전히 하나의 TA(예를 들어, TA 1)에 있는 상태로부터 완전히 다른 TA(예를 들어, TA 2)에 있는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이는 천이 과정이 아니라, 점진적인 변화 과정이다. TA 핸드오버의 천이 단계에서는, 하나의 위성 빔이 동시에 2 개 이상의 TA를 커버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중간 도면에서 빔은 TA 1과 TA 2를 동시에 커버한다. 기존의 위성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하나의 TAC만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위성 통신에서는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TA 핸드오버의 천이 단계에서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TA 1에 대응하는 TAC가 TA 2에 대응하는 TAC로 대체된다. 단말 장치가 TA 1 영역에 위치된 경우, 단말 장치의 TA 리스트에는 TA 2가 없다. 결과적으로, 단말 장치는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단말 장치는 여전히 TA 1 영역에 있고, TA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다. 이 방식은 불필요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야기한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단말 장치에 할당될 수 있는 TA 리스트는 (TA 1, TA 2)이다. 그러나, 더 큰 TA 리스트가 단말 장치에 할당되고, 단말 장치가 페이징될 경우에는, TA 리스트에 있는 TA들의 TAC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모든 위성 빔에서 페이징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동 영역이 고정되어 있는 또는 비교적 작은 단말 장치의 경우, 이는 확실히 페이징 리소스의 낭비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원의 실시형태들은 TA 업데이트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는, 복수의 TA를 동시에 커버하는 위성 빔에 복수의 TAC를 할당할 수 있다. 복수의 TAC는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거나, 또는 한 번에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위성 빔에서 TAC 변화를 모니터링할 때 즉시 TA를 업데이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단말 장치는 "TAC 하드 핸드오버"로 인해 일부 단말 장치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TA 업데이트에 의해 야기되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회피하기 위해 대체 브로드캐스트 주기에 단말 장치가 속한 TA의 TAC가 없다고 판정한 후에만 TA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단말 장치가 고정된 단말 장치이거나 또는 제한된 이동 영역을 갖는 경우,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는 더 큰 TA 리스트를 할당할 필요가 없으므로 페이징 리소스가 감소된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하기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원의 실시형태에서의 TA 업데이트 방법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위성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410: 위성 장치는 빔의 커버리지가 적어도 2 개의 추적 영역(TA)에 속한다고 결정한다.
예를 들어, 위성 장치는 궤도력 정보에 기초하여, 빔의 커버리지가 적어도 2 개의 추적 영역(TA)에 속한다고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위성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지시에 기초하여, 빔의 커버리지가 적어도 2 개의 추적 영역(TA)에 속한다고 결정한다.
궤도력 정보는 위성 장치에 로컬로 저장되는 정보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궤도력 정보는 위성 장치의 빔 정보(예를 들어, 빔의 커버리지에 관한 정보) 및 이동 트랙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420: 위성 장치는 빔을 사용해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적어도 2 개의 TA 중 하나 이상의 TA에 대응하는 추적 영역 코드(TAC)를 교대로 전달한다.
이에 상응하여, 단말 장치는 위성 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한다.
다시 말해, 위성 장치가 빔의 커버리지가 적어도 2 개의 추적 영역(TA)에 속한다고 결정할 경우, 위성 장치는 적어도 2 개의 TA 중 하나 이상의 TA에 대응하는 추적 영역 코드(TAC)를 교대로 전달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순서대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성 장치가 빔의 커버리지가 TA 1과 TA 2에 속한다고 결정하면, 위성 장치는 TA 1에 대응하는 TAC 1과 TA 2에 대응하는 TAC 2를 교대로 전달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AC 1을 전달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제1 주기에 브로드캐스팅되며, TAC 2를 전달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제2 주기에 브로드캐스팅되고, TAC 1을 전달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제3 주기에 브로드캐스팅되고, ..., 이러한 방식으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송신된다.
다른 예로서, 위성 장치의 빔의 커버리지가 복수의 TA, 예를 들어 3 개의 TA에 속하는 경우, 위성 장치는 3 개의 TA에 대응하는 TAC, 즉, TA 1에 대응하는 TAC 1, TA 2에 대응하는 TAC 2, TA 3에 대응하는 TAC 3을 교대로 전달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전달된 TAC의 시퀀스는 TAC 1, TAC 2, TAC 3, TAC 1, TAC 2, TAC 3 등이다.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TAC를 전달하는 전술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일 뿐이고, 매번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교대로 전달되는 TAC들의 시퀀스들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시 말해, 각 TAC 대체 브로드캐스트 주기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전달되는 TAC들의 시퀀스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TAC 대체 브로드캐스트 주기(TAC alternate broadcast period)"는 위성 빔이 복수의 TA를 커버할 때 모든 브로드캐스트 대상 TAC가 한 번 교대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주기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TAC 1, TAC 2, TAC 3이 교대로 브로드캐스팅되는 경우, 즉 브로드캐스트 TAC가 {TAC 1, TAC 2, TAC 3, TAC 1, TAC 2, TAC 3, ...}인 경우, 대체 브로드캐스트 주기는 {TAC 1, TAC 2, TAC 3}을 한 번 브로드캐스팅하는 시간 또는 {TAC 2, TAC 3, TAC 1}을 한 번 브로드캐스팅하는 시간일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TAC 대체 브로드캐스트 주기의 지속 시간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3 개의 주기의 지속 시간과 동일하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TAC 대체 브로드캐스트 주기에 전달되는 TAC들의 시퀀스는 전술한 TAC 1, TAC 2 및 TAC 3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TAC 대체 브로드캐스트 주기에 전달되는 TAC들의 시퀀스는 무작위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AC 대체 브로드캐스트 주기에 전달되는 TAC들의 시퀀스는 TAC 3, TAC 1 및 TAC 2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연속적인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전달되는 TAC들의 시퀀스는 TAC 1, TAC 2, TAC 3, TAC 2, TAC 1, TAC 3, TAC 3, TAC 1, TAC 2 등이다.
430: 현재의 주기에 수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처음으로 검출할 경우, 단말 장치는 TA를 제2 TA 리스트에 기록하고, 여기서 제1 TA 리스트는 단말 장치를 페이징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TA를 포함하고, 제2 TA 리스트는 제1 TA 리스트와는 다른 검출된 TA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다시 말해, 현재의 주기에 수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처음으로 검출할 경우, 단말 장치는 TA 업데이트 절차를 즉시 개시하는 것이 아니라, TA를 제2 TA 리스트에 기록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TA 리스트가 네트워크 측(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측 또는 위성 장치 측)에 의해 유지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제1 TA 리스트를 취득하거나 또는 제1 TA 리스트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제1 TA 리스트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단말 장치에 의해 취득된다. 제2 TA 리스트는 단말 장치에 의해 유지 및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제1 TA 리스트는 위성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에 의해 취득된다. 구체적으로,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제1 TA 리스트를 결정하고, 위성 장치를 사용해서 제1 TA 리스트를 단말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제1 TA 리스트를 사용해서 단말 장치를 페이징할 수 있다. 단말 장치를 페이징할 경우,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제1 TA 리스트에서의 모든 TA에 대응하는 빔(즉, 제1 TA 리스트에서의 TA들을 커버하는 빔)에서 단말 장치를 페이징할 필요가 있다.
440: 단말 장치는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계속 검출하고,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기초하여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 단말 장치는, 현재의 주기에 수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처음으로 검출할 경우, TA 업데이트 절차를 즉시 개시하는 것이 아니라,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기초하여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는 TA가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이 검출될 때 TA 업데이트 절차가 바로 개시되는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의 페이징 리소스 낭비를 회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가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계속 검출하고,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기초하여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440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말 장치는,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 또는 제2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TA를 제2 TA 리스트에 기록한다.
단말 장치는,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 중 적어도 하나의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제2 TA 리스트를 지운다.
대안으로서, 단말 장치가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제2 TA 리스트에 속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단말 장치는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하여 제1 TA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고, 제2 TA 리스트를 지운다.
다시 말해, 단말 장치는,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 또는 제2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하지 않는다. 단말 장치는,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 중 적어도 하나의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하지 않는다. 단말 장치는,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제2 TA 리스트에 속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에만,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하여 제1 TA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TA 업데이트 절차는 단말 장치가 위성 장치를 사용해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요청을 송신하여 업데이트된 TA 리스트를 취득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TA 업데이트 절차에 대해서는, 기존의 표준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설명하지 않는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기 내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하나의 TAC를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주기 내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복수의 TAC를 전달할 수도 있다.
전술한 내용은 단계 420에서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하나의 TAC를 전달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복수의 TAC를 전달하는 사례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하나의 TAC를 전달하는 전술한 사례와 유사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2 개의 TAC를 전달하고 위성 장치의 빔의 커버리지가 복수의 TA, 예를 들어 4 개의 TA에 속하는 경우, 위성 장치는 4 개의 TA, 즉, TA 1에 대응하는 TAC 1, TA 2에 대응하는 TAC 2, TA 3에 대응하는 TAC 3, TA 4에 대응하는 TAC 4에 대응하는 TAC를 교대로 전달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기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전달되는 TAC는 TAC 1 및 TAC 2이다. 제2 주기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TAC 3 및 TAC 4를 전달한다. 이후, 제3 주기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TAC 1 및 TAC 2를 전달한다(하나의 TAC 대체 브로드캐스트 주기에 전달되는 TAC들의 시퀀스가 고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주기적인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전달되는 TAC 1 및 TAC 2는 TAC 1, TAC 3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하나의 TAC를 전달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할 필요가 있으며,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의 TAC에 기초하여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 경우,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가 복수의 주기에 있어서 결정을 수행한 후에만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대기 시간이 비교적 길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복수의 TAC를 전달하는 경우, 단말 장치의 결정 시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즉 단말 장치가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대기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위성 통신 브로드캐스트 신호에서 TAC 필드가 확장될 수 있다. 원래의 TAC 필드가 y 비트의 정보를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확장된 TAC 필드는 Ny 비트의 정보를 포함한다. 모든 y 비트의 정보는 하나의 동일한 TAC 또는 복수의 서로 다른 TAC에 대응할 수 있다. 위성 빔은 TAC들을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한 번에 복수의 TAC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위성 장치는 TAC들을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하고 또한 한 번에 복수의 TAC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방식으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의 대기 시간이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위성 장치는 복수의 방식으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성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의 주기 정보와 TAC 사이의 제1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제1 대응 관계는 위성 장치에 미리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제1 대응 관계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통지된다.
아래에서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하나의 TAC를 전달하는 실시예를 사용해서, 서로 다른 사례들에서 위성 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구체적인 형태를 설명하고, 각각의 사례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TA를 업데이트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복수의 TAC를 전달하는 사례의 경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전달되는 하나의 TAC가 복수의 TAC로 대체되면,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하나의 TAC를 전달하는 실시예를 참조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복수의 TAC를 전달하는 사례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사례 1
주기 정보는 각 주기의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다.
제1 대응 관계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각 주기의 시퀀스 번호 및 각 주기의 시퀀스 번호에 일대일 대응하는 TAC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위성 장치는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각 주기의 시퀀스 번호 및 각 주기의 시퀀스 번호에 일대일 대응하는 TAC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TA 중 일부를 커버할 경우, 위성 빔은 이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TAC를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성 빔이 좌측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될 경우에는, TA 1의 TAC(TAC 1)가 지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된다. 위성 빔이 도 3의 중간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될 경우에는, 빔이 TA 1 및 TA 2를 모두 커버한다. 이 경우, 빔에는 복수의 TA(예를 들어, TA 1 및 TA 2)가 할당되고, TA 1 및 TA 2의 TAC(즉, TAC 1 및 TAC 2)는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된다. 도 3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이 완전히 TA 2로 이동할 경우에는, TA 2의 TAC(TAC 2)가 지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대응 관계는 표 1에 도시된다. 표 1은 궤도력 정보의 일부로서 위성에 의해 학습될 수 있거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위성 장치에 통지될 수 있다. 위성 장치는 표 1에 도시된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전달되는 TAC를 결정하고, 각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주기의 송신 시간은 궤도력 정보에서 지정될 수 있거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위성 장치에 지시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인접한 2 개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마다의 주기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위성 빔이 TA 1 및 TA 2의 TAC를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할 경우, TA 1에서의 단말 장치가 페이징되는지 또는 TA 2에서의 단말 장치가 페이징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단말 장치가 빔에서 페이징될 수 있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기 내지 제m 주기에서, 위성 빔의 커버리지는 TA 1에 속하며, 이들 주기에서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하나의 TAC, 즉 TAC 1을 전달한다. 제m 주기부터 제n 주기까지, 위성 빔의 커버리지가 TA 1 및 TA 2에 속할 경우, 이들 주기에서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TAC 1 및 TAC 2를 교대로 전달한다. 제n 주기부터, 위성 빔의 커버리지는 TA 2에 속하며, 이들 주기에서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하나의 TAC, 즉 TAC 2를 전달한다.
아래에서는, 사례 1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TA를 구체적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는,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 또는 제2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TA를 제2 TA 리스트에 기록한다. 단말 장치는,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 중 적어도 하나의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제2 TA 리스트를 지운다. 대안으로서, 단말 장치가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제2 TA 리스트에 속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단말 장치는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하여 제1 TA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의 "TAC 대기 및 모니터링 상태(TAC waiting and monitoring state)" 및 "TA 모니터링 리스트(TA monitoring list)"(즉, 제2 TA 리스트)가 설정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단말 장치는 TAC 대기 및 모니터링 상태로 진입하고, TA를 제2 TA 리스트에 기록한다. 단말 장치는 TA를 업데이트하지 않는다. 단말 장치는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대기 및 모니터링하고,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기초하여 TA 업데이트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TAC 대기 및 모니터링 상태에서, 단말 장치는 현재 모니터링되고 있는 TAC를 사용해서 TAI를 계산하고, TA 모니터링 리스트(즉, 제2 TA 리스트)에 TAC를 기록하고, 다음 주기에서 TAC를 대기한다. "TA 모니터링 리스트"는 단말 장치가 TAC 대기 및 모니터링 상태에 있을 경우 단말 장치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TA 정보를 기록하는 리스트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에 의해 TA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510: 단말 장치가 위성 빔을 사용해서 TAC 브로드캐스트를 모니터링하고, TAI를 계산하고, TAI가 단말 장치의 TA 리스트(즉, 제1 TA 리스트)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TAI가 단말 장치의 TA 리스트에 속하면, 단말 장치가 다음 주기에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검출하고, 단계 510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말 장치가 단계 520을 수행한다.
520: TAC 대기 및 모니터링 상태에 진입하면, 단말 장치가 현재 모니터링되고 있는 TAC를 사용해서 TAI를 계산하고, TA 모니터링 리스트(즉, 제2 TA 리스트)에 TAI를 기록하고, 다음 주기에서 위성에 의해 TAC 브로드캐스트를 대기한다.
530: TAI를 계산하고 TAI가 단말 장치의 TA 리스트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TAI가 단말 장치의 TA 리스트에 속하면, TAC 대기 및 모니터링 상태를 종료하고, TA 모니터링 리스트를 지우고, 단계 510으로 복귀하거나; 또는 TAI가 단말 장치의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으면, 단계 540을 수행한다.
540: 단말 장치가 TAI가 TA 모니터링 리스트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TAI가 TA 모니터링 리스트에 속하면, 하나의 TAC 대체 브로드캐스트 주기에 모니터링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고, 해당 주기 내에 단말 장치의 TA 리스트에서의 TA에 대응하는 TAC가 모니터링되지 않고, 이어서 단말 장치가 단계 550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말 장치가 단계 520을 수행하도록 복귀한다.
550: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하여 TA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즉, 제1 TA 리스트를 업데이트함).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TA를 동시에 커버하는 위성 빔의 커버리지에 있는 단말 장치의 경우, 더 큰 TA 리스트를 단말 장치에 할당할 필요가 없다. 이는 위성 빔의 "TAC 하드 핸드오버"에 의해 야기되는 불필요한 TA 업데이트를 회피한다. 따라서, 시그널링 오버헤드 및 페이징 리소스가 감소된다.
사례 2
주기 정보는 각 주기의 시작 순간을 포함한다.
제1 대응 관계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각 주기의 시작 순간 및 각 주기의 시작 순간에 일대일 대응하는 TAC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위성 장치는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각 주기의 시작 순간 및 각 주기의 시작 순간에 일대일 대응하는 TAC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대응 관계는 표 2에 도시된다. 표 2는 궤도력 정보의 일부로서 위성에 의해 학습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위성 장치에 통지될 수 있다. 위성 장치는 표 2에 도시된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전달되는 TAC를 결정하고, 각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주기의 송신 시간은 궤도력 정보에서 지정될 수 있거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위성 장치에 지시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인접한 2 개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마다의 주기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표 2와 표 1 사이의 차이점은, 표 1이 각 주기의 시퀀스 번호와 TAC 사이의 대응 관계를 도시하고, 표 2가 각 주기의 시작 순간과 TAC 사이의 대응 관계를 도시하는 것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표 1에서 상이한 주기들의 시퀀스 번호들을 해당 주기들의 시작 순간들로 대체한 것이 표 2이다. 표 2는 ti가 주기의 시작 순간인 실시예만을 도시하지만, 이는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표 2에서의 ti는 주기의 종료 순간, 주기의 지속 시간, 또는 주기의 중간 순간과 같은 시간 정보로 대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 2의 관련 설명에 대해서는 표 1에서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표 2
Figure pct00002
사례 2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TA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사례 1에서 도 5에 도시된 방법을 참조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위성 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사례 1 및 사례 2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위성 장치는 대안적으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다른 방식으로 송신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사례 3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사례 3
주기 정보는 주기의 시작 순간을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순간을 포함한다.
주기 정보는 주기의 시작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다.
주기 정보는 주기의 종료 순간을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순간을 포함한다.
주기 정보는 주기의 종료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다.
주기 정보는 주기 시간 간격을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 시간 간격을 포함한다.
주기 정보는 주기 시퀀스 번호 간격을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 시퀀스 번호 간격을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주기 정보는 주기의 수량을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수량을 포함한다.
사례 3에서 전술한 명사 "각 TAC"는 "각 TAC", "모든 TAC", 또는 "서로 다른 TAC들"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시 말해, 사례 3의 각 방식에서 하나의 TAC는 하나의 주기 정보 부분에만 대응하고, 서로 다른 TAC들은 서로 다른 주기 정보 값들에 대응한다.
다시 말해, 위성 장치는 제1 관계의 복수의 형태 중 하나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사례 3은 사례 1 또는 사례 2의 변형으로서 간주될 수 있으며, 위성 장치는 위성 빔을 사용해서 브로드캐스팅된 TA 정보를 서로 다른 형태의 표를 사용해서 기록할 수 있다.
사례 3의 복수의 형태에 대하여, 아래에서는 각 형태에서 위성 장치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구체적으로 송신하는 방법을 별도로 설명한다.
방식 1: 주기 정보는 주기의 시작 순간을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순간을 포함한다.
방식 1에서, 다음 TAC에 대한 주기의 시작 순간은 현재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순간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위성 장치는 TAC를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순간과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순간(즉, 다음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순간) 사이의 하나 이상의 주기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다.
방식 1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TA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사례 1에서 도 5에 도시된 방법을 참조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방식 2: 주기 정보는 주기의 시작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다.
방식 2에서, 다음 TAC에 대한 주기의 시작 시퀀스 번호는 현재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시퀀스 번호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위성 장치는 TAC를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시퀀스 번호와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시퀀스 번호(즉, 다음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시퀀스 번호) 사이의 하나 이상의 주기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다.
방식 2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TA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사례 1에서 도 5에 도시된 방법을 참조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방식 3: 주기 정보는 주기의 종료 순간을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순간을 포함한다.
방식 3에서, 이전 TAC에 대한 주기의 종료 순간은 다음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순간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위성 장치는 TAC를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순간(즉, 해당 TAC 이전의 TAC에 대한 주기의 종료 순간)과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순간 사이의 하나 이상의 주기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다.
방식 3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TA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사례 1에서 도 5에 도시된 방법을 참조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방식 4: 주기 정보는 주기의 종료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다.
방식 4에서, 이전 TAC에 대한 주기의 종료 시퀀스 번호는 다음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시퀀스 번호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위성 장치는 TAC를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시퀀스 번호(즉, 해당 TAC 이전의 TAC에 대한 주기의 종료 시퀀스 번호)와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시퀀스 번호 사이의 하나 이상의 주기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다.
방식 4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TA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사례 1에서 도 5에 도시된 방법을 참조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방식 5: 주기 정보는 주기 시간 간격을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 시간 간격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위성 장치는 TAC를 TAC에 대응하는 주기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주기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다.
방식 5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TA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사례 1에서 도 5에 도시된 방법을 참조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방식 6: 주기 정보는 주기 시퀀스 번호 간격을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 시퀀스 번호 간격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위성 장치는 TAC를 TAC에 대응하는 주기 시퀀스 번호 간격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주기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다.
방식 6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TA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사례 1에서 도 5에 도시된 방법을 참조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방식 7: 주기 정보는 주기의 수량을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수량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위성 장치는 TAC를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수량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주기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다.
방식 7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TA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사례 1에서 도 5에 도시된 방법을 참조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위성 장치는 주기 정보와 TAC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TAC를 송신하는 구체적인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대응 관계는, TAC와 주기 또는 주기 시간의 시퀀스 번호 사이의 대응 관계와 비교하여, 각 TAC 및 해당 TAC에 대응하는 주기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데이터량이 비교적 작다. 대응 관계가 궤도력 정보에서의 대응 관계일 경우, 궤도력 정보의 데이터량이 감소될 수 있다. 대응 관계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지시될 경우, 시그널링 오버헤드와 리소스가 감소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단말 장치가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단말 장치가 TAC 대기 및 모니터링 상태로 진입하는 사례를 설명한다. 이 경우, 단말이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단말은 다음 주기까지 대기할 필요가 있으며, 다음 주기에서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기초하여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제1 지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제1 지시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TAC들을 순서대로 교대로 전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제1 지시 정보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TAC들을 순서대로 교대로 전달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도 5의 방식을 이용하여 TA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1 지시 정보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TAC들을 순서대로 교대로 전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단말 장치가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단말 장치는 다음 주기를 대기하지 않고 즉시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제1 지시 정보가 추가됨으로써, 단말 장치는 제1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빔이 TAC들을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즉, 도 3의 중간 도면에 도시된 단계)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지시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TAC들을 순서대로 교대로 전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말 장치는, TAC의 변화를 모니터링한 후, 다음 주기에 빔을 사용함으로써 TAC 브로드캐스팅을 대기하지 않고 즉시 TA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 시간이 감소되고 TA 리스트가 보다 적시에 업데이트된다.
선택적으로,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재사용된 비트이다.
예를 들어, 1 비트가 예로서 사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TAC 필드가 0 및 1을 포함하는 16 비트 시퀀스라고 가정하고, 임의의 비트, 예를 들어 제1 비트가 제1 지시 정보로서 사용된다. 비트가 1(또는 0)일 경우, 빔이 TAC들을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에 있음을 나타낸다. 비트가 0(또는 1)일 경우, 빔이 하나의 TAC만을 브로드캐스팅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 새롭게 추가된 하나 이상의 비트이다.
예를 들어, 1 비트가 예로서 사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비트가 지시 정보로서 원래의 TAC 필드에 추가된다. 하나의 비트 지시 정보가 추가된다고 가정한다. 비트가 1(또는 0)일 경우, 빔이 TAC들을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에 있음을 나타낸다. 비트가 0(또는 1)일 경우, 빔이 하나의 TAC만을 브로드캐스팅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1 지시 정보는 하나의 비트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지시 정보는 복수의 비트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지시 정보는 주기 지속 시간 또는 동일한 TAC를 전달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지속되는 주기의 수량을 나타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아래에서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지시 정보가 있을 경우 사용자에 의해 TAC를 모니터링하고 TA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810: 단말 장치가 위성 빔을 사용해서 TAC 브로드캐스트를 모니터링하고, TAI를 계산하고, TAI가 단말 장치의 TA 리스트(즉, 제1 TA 리스트)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TAI가 단말 장치의 TA 리스트에 속하면, 단말 장치가 다음 주기에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검출하고, 단계 810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말 장치가 단계 820을 수행한다.
820: 단말 장치는 제1 지시 정보가 위성 빔이 TAC들을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에 있음을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제1 지시 정보가 위성 빔이 TAC들을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에 있음을 나타내면, 단말 장치가 단계 830으로 진입하거나; 또는 제1 지시 정보가 위성 빔이 TAC들을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에 있음을 나타내지 않으면, 단말 장치가 단계 860으로 진입한다.
830: TAC 대기 및 모니터링 상태에 진입하면, 단말 장치가 현재 모니터링되고 있는 TAC를 사용해서 TAI를 계산하고, TA 모니터링 리스트(즉, 제2 TA 리스트)에 TAI를 기록하고, 다음 주기에서 위성에 의해 TAC 브로드캐스트를 대기한다.
840: TAI를 계산하고 TAI가 단말 장치의 TA 리스트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TAI가 단말 장치의 TA 리스트에 속하면, TAC 대기 및 모니터링 상태를 종료하고, TA 모니터링 리스트를 지우고, 단계 810으로 복귀하거나; 또는 TAI가 단말 장치의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으면, 단계 850을 수행한다.
850: 단말 장치가 TAI가 TA 모니터링 리스트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TAI가 TA 모니터링 리스트에 속하면, 하나의 TAC 대체 브로드캐스트 주기에 모니터링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고, 해당 주기 내에 단말 장치의 TA 리스트에서의 TA에 대응하는 TAC가 모니터링되지 않고, 이어서 단말 장치가 단계 860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말 장치가 단계 830을 수행하도록 복귀한다.
860: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하여 TA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즉, 제1 TA 리스트를 업데이트함).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는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빔이 TAC들을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지시 정보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TAC들을 순서대로 교대로 전달하지 않음을 나타낼 경우, 예를 들어, 제1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단말 장치는 TAC의 변화를 모니터링한 후 즉시 다음 주기에서 빔을 사용해서 TAC 브로드캐스트를 대기하지 않고 TA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 시간이 감소되고 TA 리스트가 보다 적시에 업데이트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형태로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제2 지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제2 지시 정보는 하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횟수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주기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시간,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되는 TAC의 수량.
선택적으로, 제2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재사용된 비트이거나, 또는 제2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새롭게 추가된 비트이다.
선택적으로, 도 6 또는 도 7을 참조하면, 도 6 또는 도 7의 제1 지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로 대체될 수 있다.
위성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새롭게 추가되는 또는 원래의 TAC 필드에서 재사용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비트가 제1 지시 정보로서 사용되는 도면과 비교하면,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지시 정보는 위성이 TAC들을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에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횟수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주기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시간,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되는 TAC의 수량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는 더 이상 위성 빔을 사용해서 TAC 브로드캐스팅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지 않을 수 있으며, 특정 수량의 주기의 간격으로 또는 특정 기간에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계속 모니터링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단말 장치의 리소스 및 계산 오버헤드가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시 정보가 4 개의 주기에 TAC 1을, 1 개의 주기에 TAC 2를, 1 개의 주기에 TAC 1을, 이어서, 4 개의 주기에 TAC 2를 송신하도록 지시한다고 가정하면(예를 들어,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횟수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주기의 수량, 및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시간을 사용해서 지시함), 단말 장치는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TAC 2가 4 개의 주기에 대응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 장치는 4 개의 주기에 TAC 1을, 1 개의 주기에 TAC 2를, 그리고 1 개의 주기에 TAC 1을 송신한 후에 위성 빔이 TAC 2를 지속적으로 송신한다는 것을 학습할 수 있으며, 즉, 단말 장치는, 마지막 주기에 TAC 1을 검출한 후, 단말 장치가 4 개의 주기에 TAC 2를 지속적으로 송신한다는 것을 학습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는, 마지막 주기에 TAC 1을 검출한 후, TAC 1이 다음 주기에 송신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한 주기를 대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대기 시간이 감소된다.
다른 예로서, 제2 지시 정보는 교대로 브로드캐스팅된 2 개의 TAC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가정한다. 위성 장치는, 복수의 연속적인 주기에 TAC 1을 송신한 후, 1 개의 주기에 TAC 2를 송신하고 나서, 1 개의 주기에 TAC 3을 송신한다. 단말 장치가 TAC 3을 검출한 후, 제2 지시 정보는 교대로 브로드캐스팅된 2 개의 TAC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단말 장치는 다음 주기에서의 TAC 브로드캐스트가 TAC 1이 아닌 TAC 2 또는 TAC 3이라는 것을 학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리스트가 TAC 1만을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단말 장치는 다음 주기에서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다음 주기에서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전달되는 TAC가 TAC 1과는 다른 것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지시 정보는 동일한 TAC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주기의 수량을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데 사용되므로, 단말 장치는 제2 지시 정보의 지시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 단말 장치의 리소스 및 계산 오버헤드가 감소될 수 있다.
물론,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TAC가 안정적일 경우, 예를 들어, 제2 지시 정보가 동일한 TAC가 복수의 연속적인 주기에 브로드캐스팅된다는 것을 나타낼 경우, 단말 장치는 복수의 주기 이후에 TAC를 다시 모니터링 또는 계산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컴퓨팅 리소스가 감소된다.
사례 2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TA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사례 1에서 도 5에 도시된 방법을 참조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2 지시 정보가 있을 경우, 단말 장치에 의해 TA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5의 업데이트 방법을 참조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차이점으로서는, 도 5의 방법에 있어서는, 단말 장치가 각 주기마다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지만; 제2 지시 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단말 장치가 전술한 설명에 따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되는 일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스킵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8에서의 전술한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본원의 실시형태들을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한 것일뿐, 본원의 실시형태들을 해당 실시예들에서의 특정 값 또는 특정 시나리오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한다. 당업자라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하게 등가의 수정 또는 변경을 할 수 있을 것임이 분명하고, 이러한 수정 또는 변경도 본원의 실시형태들의 범위에 속한다.
전술한 프로세스들의 시퀀스 번호들은 본원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실행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프로세스들의 실행 순서는 프로세스들의 기능 및 내부 로직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고,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의 구현 프로세스들에 대한 어떠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에서는,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의 방법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하기에서는,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의 장치를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장치(900)를 도시한다. 통신 장치(900)는 처리 유닛(910) 및 트랜시버 유닛(9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에 있어서, 통신 장치(900)는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에서 단말 장치에 대응하는 절차 및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랜시버 유닛은 위성 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적어도 2 개의 추적 영역(TA) 중 하나 이상의 TA에 대응하는 추적 영역 코드(TAC)를 교대로 전달한다. 위성 장치의 빔의 커버리지는 적어도 2 개의 TA에 속한다.
처리 유닛은 현재의 주기에 수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이 처음으로 검출될 경우, TA를 제2 TA 리스트에 기록― 제1 TA 리스트는 통신 장치를 페이징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TA를 포함하고, 제2 TA 리스트는 제1 TA 리스트와는 다른 검출된 TA를 저장하는 데 사용됨 ―하고;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계속해서 검출하고,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기초하여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TA를 동시에 커버하는 위성 빔에 복수의 TAC가 할당된다. 복수의 TAC는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거나, 또는 한 번에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위성 빔에서 TAC 변화를 모니터링할 때 즉시 TA를 업데이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단말 장치는 "TAC 하드 핸드오버"로 인해 일부 단말 장치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TA 업데이트에 의해 야기되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회피하기 위해 대체 브로드캐스트 주기에 단말 장치가 속한 TA의 TAC가 없다고 판정한 후에만 TA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단말 장치가 고정된 단말 장치이거나 또는 제한된 이동 영역을 갖는 경우,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더 큰 TA 리스트를 할당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페이징 리소스가 감소된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 또는 제2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이 검출될 경우, TA를 제2 TA 리스트에 기록하거나;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 중 적어도 하나의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한다는 것이 검출될 경우, 제2 TA 리스트를 지우거나; 또는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제2 TA 리스트에 속한다는 것이 검출될 경우,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하여 제1 TA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고, 제2 TA 리스트를 지우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TA 리스트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통신 장치에 의해 취득된다.
선택적으로, 주기 내에 송신되는 브로드 캐스트 메시지는 하나의 TAC를 전달하거나; 또는 주기 내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복수의 TAC를 전달한다.
선택적으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제1 지시 정보를 전달하고, 제1 지시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TAC들을 순서대로 교대로 전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제1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재사용된 비트이거나, 또는 제1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새롭게 추가된 비트이다.
선택적으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제2 지시 정보를 전달하고, 제2 지시 정보는 하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횟수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주기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시간,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되는 TAC의 수량.
선택적으로, 제2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재사용된 비트이거나, 또는 제2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새롭게 추가된 비트이다.
장치(900)는 전술한 도면들의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단말 장치의 임의의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의 용어 "유닛(unit)"은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전자 회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예를 들어, 공유 프로세서, 전용 프로세서, 또는 그룹 프로세서), 메모리, 병합 논리 회로, 및/또는 전술한 기능을 지원하는 다른 적절한 컴포넌트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본원에서 제공되는 장치(900)는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에 대응한다. 장치 내의 유닛/모듈의 기능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9에서의 장치는 단말 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단말 장치에 설치되는 칩 또는 집적 회로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0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단말 장치(1000)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0)는 프로세서(1010) 및 트랜시버(10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트랜시버(1020)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단말 장치(1000)는 메모리(1030)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1030)는 프로세서(1010)에 연결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단말 장치(1000)는 버스 시스템(10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0), 메모리(1030) 및 트랜시버(1020)는 버스 시스템(104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030)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처리 유닛(910)에 대응할 수 있고, 트랜시버(1020)는 트랜시버 유닛(920)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10)는 트랜시버(1020)를 제어하여 정보 또는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메모리(1030)는 명령어를 저장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간략히 "CPU")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장치,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메모리는 리드-온리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장치 유형의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버스 시스템은 데이터 버스 외에 전력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면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버스가 버스 시스템으로서 표시된다.
구현 프로세스에 있어서, 전술한 방법들에서의 단계들은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를 사용해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개시되는 방법들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사용해서 직접 실행 및 성취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에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조합을 사용해서 실행 및 성취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리드-온리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리드-온리 메모리,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와 같이, 본 기술분야에서의 성숙한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와 함께 전술한 방법들에서의 단계들을 완료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구현예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단말 장치(1000)는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단말 장치의 각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000)에서의 모듈들의 동작들 및/또는 기능들은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상응하는 절차들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도 11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통신 장치(1100)는:
처리 유닛(1110) 및 트랜시버 유닛(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유닛은 빔의 커버리지가 적어도 2 개의 추적 영역(TA)에 속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트랜시버 유닛은 빔을 사용해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적어도 2 개의 TA 중 하나 이상의 TA에 대응하는 추적 영역 코드(TAC)를 교대로 전달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TA를 동시에 커버하는 위성 빔에 복수의 TAC가 할당된다. 복수의 TAC는 주기적으로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거나, 또는 한 번에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위성 빔에서 TAC 변화를 모니터링할 때 즉시 TA를 업데이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단말 장치는 "TAC 하드 핸드오버"로 인해 일부 단말 장치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TA 업데이트에 의해 야기되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회피하기 위해 대체 브로드캐스트 주기에 단말 장치가 속한 TA의 TAC가 없다고 판정한 후에만 TA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단말 장치가 고정된 단말 장치이거나 또는 제한된 이동 영역을 갖는 경우,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더 큰 TA 리스트를 할당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페이징 리소스가 감소된다.
선택적으로, 트랜시버 유닛은 구체적으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의 주기 정보와 TAC 사이의 제1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제1 대응 관계는 통신 장치에 미리 저장되거나, 또는 제1 대응 관계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통지된다.
선택적으로, 주기 정보는 각 주기의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다.
제1 대응 관계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각 주기의 시퀀스 번호 및 각 주기의 시퀀스 번호에 일대일 대응하는 TAC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주기 정보는 각 주기의 시작 순간을 포함한다.
제1 대응 관계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각 주기의 시작 순간 및 각 주기의 시작 순간에 일대일 대응하는 TAC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주기 정보는 주기의 시작 순간을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순간을 포함한다.
주기 정보는 주기의 시작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다.
주기 정보는 주기의 종료 순간을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순간을 포함한다.
주기 정보는 주기의 종료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다.
주기 정보는 주기 시간 간격을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 시간 간격을 포함한다.
주기 정보는 주기 시퀀스 번호 간격을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 시퀀스 번호 간격을 포함한다.
주기 정보는 주기의 수량을 포함하고,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수량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주기 내에 송신되는 브로드 캐스트 메시지는 하나의 TAC를 전달하거나; 또는 주기 내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복수의 TAC를 전달한다.
선택적으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제1 지시 정보를 전달하고, 제1 지시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TAC들을 순서대로 교대로 전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제1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재사용된 비트이거나, 또는 제1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새롭게 추가된 비트이다.
선택적으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제2 지시 정보를 전달하고, 제2 지시 정보는 하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횟수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주기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시간,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되는 TAC의 수량.
선택적으로, 제2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재사용된 비트이거나, 또는 제2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새롭게 추가된 비트이다.
장치(1100)는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위성 장치의 임의의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1의 장치는 위성 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위성 장치에 설치되는 칩 또는 집적 회로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2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위성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위성 장치(1200)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성 장치(1200)는 프로세서(1210) 및 트랜시버(1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트랜시버(1220)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위성 장치(1200)는 메모리(1230)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1230)는 프로세서(1210)에 연결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위성 장치(1200)는 버스 시스템(1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 메모리(1230) 및 트랜시버(1220)는 버스 시스템(124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230)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처리 유닛(1110)에 대응할 수 있고, 트랜시버(1220)는 트랜시버 유닛(1120)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10)는 트랜시버(1220)를 제어하여 정보 또는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메모리(1230)는 명령어를 저장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된 위성 장치(1200)는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위성 장치와 관련된 프로세스들을 구현할 수 있다. 위성 장치(1200)에서의 모듈들의 동작들 및/또는 기능들은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의 상응하는 절차들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본원의 실시형태는 프로세서 및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처리 장치를 더 제공한다. 프로세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통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장치는 칩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시스템 온 칩(system-on-a-chip, SoC),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네트워크 프로세서(network processor, NP),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MCU), 프로그램 가능 컨트롤러(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또는 다른 집적 칩일 수 있다.
구현 프로세스에 있어서, 전술한 방법들에서의 단계들은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를 사용해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개시되는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해서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리드-온리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리드-온리 메모리,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와 같이, 본 기술분야에서의 성숙한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와 함께 전술한 방법들에서의 단계들을 완료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원의 실시형태에서의 프로세서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으며,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현 프로세스에 있어서,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단계들은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를 사용해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장치, 또는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개시된 방법들, 단계들, 및 논리적 블록도들을 구현 또는 수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개시되는 방법들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를 사용해서 직접 실행 및 성취될 수 있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에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조합을 사용해서 실행 및 성취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리드-온리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리드-온리 메모리,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와 같이, 본 기술분야에서의 성숙한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와 함께 전술한 방법들에서의 단계들을 완료한다.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하드웨어를 사용해서 구현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논리 회로, 집적 회로 등일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구현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판독해서 구현되는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 위치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리드-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 리드-온리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리드-온리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리드-온리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로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을 통해, 많은 형태의 RAM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2배속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메모리는 이들 메모리 및 다른 적절한 유형의 임의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원의 실시형태는 통신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통신 시스템은 전술한 위성 장치 및 전술한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코어 네트워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실시형태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이 구현된다.
본원의 실시형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이 구현된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형태들을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가 사용될 경우, 실시형태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한다. 컴퓨터 명령어가 컴퓨터에 로딩되어 실행되는 경우,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절차 또는 기능들이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어는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또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라디오, 또는 마이크로파)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매체를 통합하는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고밀도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isk, SSD)) 등일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을 설명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본원에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전술한 해법과 유사한 해법이 업링크 전송에 사용될 수도 있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장치 실시형태들에서의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 장치는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 장치에 완전히 대응한다. 상응하는 모듈 또는 유닛이 상응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 모듈(송신기)은 방법 실시형태들에서 송신 단계를 수행하고, 수신 모듈(수신기)은 방법 실시형태들에서 수신 단계를 수행하며, 송신 단계 및 수신 단계 이외의 다른 단계는 처리 모듈(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특정 모듈의 기능에 대해서는, 상응하는 방법 실시형태들을 참조한다.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은 트랜시버 모듈을 형성할 수 있고, 송신기 및 수신기는 수신 및 송신 기능을 함께 구현하도록 트랜시버를 형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고, "복수(a plurality of)"는 2 개 이상을 의미한다. "및/또는(and/or)"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대상들을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를 설명하고, 3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과 같은 경우들, 즉 A만 존재, A와 B 모두 존재, 및 B만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A 및 B는 단수형 또는 복수형일 수 있다. 부호 "/"는 일반적으로 연관된 대상들 사이의 "또는(or)"의 관계를 나타낸다. "다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또는 이와 유사한 표현은 다음에 해당하는 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내며, 다음에 해당하는 것들 중 하나 이상의 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부분)은, a, b, c, a와 b, a와 c, b와 c, 또는 a, b 및 c를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a, b 및 c는 단수형 또는 복수형일 수 있다.
명세서 전반에서 언급되는 "일 실시형태(one embodiment)" 또는 "실시형태(embodiment)"는 해당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나오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in one embodiment)" 또는 "실시형태에 있어서(in an embodiment)"는 동일한 실시형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들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을 사용해서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스들의 시퀀스 번호들은 본원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실행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프로세스들의 실행 순서는 프로세스들의 기능 및 내부 로직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고,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의 구현 프로세스들에 대한 어떠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컴포넌트(component)", "모듈(module)" 및 "시스템(system)"과 같은 용어들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 파일,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 및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에 위치될 수 있거나 및/또는 2 대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컴포넌트는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들은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를 사용해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예를 들어, 로컬 시스템에서, 분산형 시스템에서, 및/또는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시스템들과 상호작용하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2 개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을 갖는 신호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제1, 제2, 제3, 제4, 및 다양한 번호들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별되는 것이지, 본원의 실시형태들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and/or)"이라는 용어는 단지 연관된 대상들을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를 설명하고, 3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과 같은 3 가지 경우, 즉 A만 존재함, A와 B 모두 존재함, 및 B만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illustrative logical block)과 조합하여, 단계들(step)이 전자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있을 것이다. 기능들이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의 여부는 기술적인 해법의 특정 용례 및 설계 제약 조건에 의존한다. 당업자라면, 각각의 특정 용례에 대하여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해당 구현은 본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당업라자면, 편리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업 프로세스에 대하여,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것임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몇몇 실시형태들에 있어서는,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이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일 뿐이다. 예를 들어, 유닛들로의 분할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 분할일 뿐이며, 실제 구현예에서는 다른 분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가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된 또는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다. 장치들 또는 유닛들 사이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 기계, 또는 그 밖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개별 부품들로서 설명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서 표시된 부품들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고, 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도 있다. 유닛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형태들의 해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건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의 기능 유닛들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해당 유닛들 각각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2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된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형태들을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가 사용될 경우, 실시형태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프로그램)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프로그램)가 컴퓨터에 로딩되어 실행되는 경우,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절차 또는 기능들이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어는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또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라디오, 또는 마이크로파)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매체를 통합하는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DVD),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isk)(SSD)) 등일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원의 구체적인 구현예들이지, 본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개시되는 기술적인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원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본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들의 보호 범위를 따르는 것으로 한다.

Claims (40)

  1. 추적 영역(TA) 업데이트 방법으로서,
    단말 장치에 의해, 위성 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적어도 2 개의 추적 영역(TA) 중 하나 이상의 TA에 대응하는 추적 영역 코드(TAC)를 교대로 전달하고, 상기 위성 장치의 빔의 커버리지(coverage)는 상기 적어도 2 개의 TA에 속함 ―하는 단계;
    현재의 주기에 수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처음으로 검출할 경우,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TA를 제2 TA 리스트에 기록― 상기 제1 TA 리스트는 상기 단말 장치를 페이징(page)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T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TA 리스트는 상기 제1 TA 리스트와는 다른 검출된 TA를 저장하는 데 사용됨 ―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계속해서 검출하고, 상기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기초하여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계속해서 검출하고, 상기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기초하여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가 상기 제1 TA 리스트 또는 상기 제2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TA를 상기 제2 TA 리스트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 중 적어도 하나의 TA가 상기 제1 TA 리스트에 속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TA 리스트를 지우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가 상기 제1 TA 리스트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제2 TA 리스트에 속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하여 상기 제1 TA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제2 TA 리스트를 지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TA 리스트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취득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기 내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하나의 TAC를 전달하거나; 또는
    주기 내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복수의 TAC를 전달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제1 지시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TAC들을 순서대로 교대로 전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재사용된 비트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새롭게 추가된 비트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지시는 제2 지시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횟수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주기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시간,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되는 TAC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재사용된 비트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새롭게 추가된 비트인
    방법.
  9.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전송 방법으로서,
    위성 장치에 의해, 빔의 커버리지가 적어도 2 개의 추적 영역(TA)에 속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위성 장치에 의해, 상기 빔을 사용해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2 개의 TA 중 하나 이상의 TA에 대응하는 추적 영역 코드(TAC)를 교대로 전달함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위성 장치에 의해,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의 주기 정보와 TAC 사이의 제1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상기 위성 장치에 미리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통지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정보는 각 주기의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상기 각 주기의 시퀀스 번호 및 상기 각 주기의 시퀀스 번호에 일대일 대응하는 TAC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정보는 각 주기의 시작 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상기 각 주기의 시작 순간 및 상기 각 주기의 시작 순간에 일대일 대응하는 TAC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정보는 주기의 시작 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순간을 포함하거나;
    상기 주기 정보는 주기의 시작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주기 정보는 주기의 종료 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순간을 포함하거나;
    상기 주기 정보는 주기의 종료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주기 정보는 주기 시간 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 시간 간격을 포함하거나;
    상기 주기 정보는 주기 시퀀스 번호 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 시퀀스 번호 간격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기 정보는 주기의 수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수량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기 내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하나의 TAC를 전달하거나; 또는
    주기 내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복수의 TAC를 전달하는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제1 지시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TAC들을 순서대로 교대로 전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재사용된 비트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새롭게 추가된 비트인
    방법.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지시는 제2 지시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횟수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주기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시간,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되는 TAC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재사용된 비트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새롭게 추가된 비트인
    방법.
  19. 처리 유닛 및 트랜시버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위성 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적어도 2 개의 추적 영역(TA) 중 하나 이상의 TA에 대응하는 추적 영역 코드(TAC)를 교대로 전달하고, 상기 위성 장치의 빔의 커버리지는 상기 적어도 2 개의 TA에 속함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처리 유닛은,
    현재의 주기에 수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TAC에 대응하는 TA가 제1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이 처음으로 검출될 경우, 상기 TA를 제2 TA 리스트에 기록― 상기 제1 TA 리스트는 상기 통신 장치를 페이징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T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TA 리스트는 상기 제1 TA 리스트와는 다른 검출된 TA를 저장하는 데 사용됨 ―하고;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계속해서 검출하고, 상기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기초하여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가 상기 제1 TA 리스트 또는 상기 제2 TA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이 검출될 경우, 상기 TA를 상기 제2 TA 리스트에 기록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 중 적어도 하나의 TA가 상기 제1 TA 리스트에 속한다는 것이 검출될 경우, 상기 제2 TA 리스트를 지우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후속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의 TAC에 대응하는 TA가 상기 제1 TA 리스트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2 TA 리스트에 속한다는 것이 검출될 경우, 상기 TA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하여 상기 제1 TA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제2 TA 리스트를 지우도록 더 구성되는
    통신 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TA 리스트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취득되는
    통신 장치.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기 내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하나의 TAC를 전달하거나; 또는
    주기 내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복수의 TAC를 전달하는
    통신 장치.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제1 지시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TAC들을 순서대로 교대로 전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통신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재사용된 비트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새롭게 추가된 비트인
    통신 장치.
  25.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지시는 제2 지시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횟수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주기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시간,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되는 TAC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통신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재사용된 비트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새롭게 추가된 비트인
    통신 장치.
  27. 처리 유닛 및 트랜시버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처리 유닛은 빔의 커버리지가 적어도 2 개의 추적 영역(TA)에 속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상기 빔을 사용해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적어도 2 개의 TA 중 하나 이상의 TA에 대응하는 추적 영역 코드(TAC)를 교대로 전달함 ―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의 주기 정보와 TAC 사이의 제1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상기 통신 장치에 미리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통지되는
    통신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정보는 각 주기의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상기 각 주기의 시퀀스 번호 및 상기 각 주기의 시퀀스 번호에 일대일 대응하는 TAC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정보는 각 주기의 시작 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상기 각 주기의 시작 순간 및 상기 각 주기의 시작 순간에 일대일 대응하는 TAC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정보는 주기의 시작 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순간을 포함하거나;
    상기 주기 정보는 주기의 시작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시작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주기 정보는 주기의 종료 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순간을 포함하거나;
    상기 주기 정보는 주기의 종료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종료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주기 정보는 주기 시간 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 시간 간격을 포함하거나;
    상기 주기 정보는 주기 시퀀스 번호 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 시퀀스 번호 간격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주기 정보는 주기의 수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계는 각 TAC 및 각 TAC에 대응하는 주기의 수량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32. 제27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기 내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하나의 TAC를 전달하거나; 또는
    주기 내에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복수의 TAC를 전달하는
    통신 장치.
  33. 제27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제1 지시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TAC들을 순서대로 교대로 전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통신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재사용된 비트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새롭게 추가된 비트인
    통신 장치.
  35. 제27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지시는 제2 지시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횟수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주기의 수량, 동일한 TAC를 연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시간, 및 교대로 브로드캐스팅되는 TAC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통신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재사용된 비트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TAC 필드에서 하나 이상의 새롭게 추가된 비트인
    통신 장치.
  37.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는 함께 통합되는
    통신 장치.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칩 또는 집적 회로인
    통신 장치.
  40.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19389A 2018-11-28 2019-09-30 추적 영역 업데이트 방법,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통신 장치 KR102491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436020.8A CN111246393B (zh) 2018-11-28 2018-11-28 跟踪区更新的方法、传输广播消息的方法和通信装置
CN201811436020.8 2018-11-28
PCT/CN2019/109432 WO2020108089A1 (zh) 2018-11-28 2019-09-30 跟踪区更新的方法、传输广播消息的方法和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317A true KR20210091317A (ko) 2021-07-21
KR102491245B1 KR102491245B1 (ko) 2023-01-20

Family

ID=70853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9389A KR102491245B1 (ko) 2018-11-28 2019-09-30 추적 영역 업데이트 방법,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89583B2 (ko)
EP (1) EP3879858B1 (ko)
JP (1) JP7209088B2 (ko)
KR (1) KR102491245B1 (ko)
CN (2) CN111246393B (ko)
CA (1) CA3121287A1 (ko)
WO (1) WO20201080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43364A (zh) * 2022-07-20 2022-10-25 山东闻远通信技术有限公司 5g终端信号探测方法、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1488B2 (en) 2019-11-07 2023-11-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 of a 5G satellite radio access technology
US11696106B2 (en) * 2019-11-07 2023-07-04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ion of fixed tracking areas and fixed cells for a 5G satellite rat
US11296782B2 (en) * 2019-11-07 2022-04-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ing radio cell acquisition by a mobile device for mobile satellite wireless access
CN111314993A (zh) * 2020-02-25 2020-06-19 深圳市迈特锐科技有限公司 一种共享基站提升寻呼成功率的方法及装置
US20210227490A1 (en) * 2020-03-30 2021-07-22 Intel Corporation Tracking area update for moving cell and timing advance broadcast for non-terrestrial networks
WO2022082433A1 (zh) * 2020-10-20 2022-04-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位置注册的方法和终端设备
CN112671449A (zh) * 2020-12-09 2021-04-16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基于地面规划路由区的低轨卫星通信寻呼方法
CN113114342B (zh) * 2021-04-09 2021-09-21 军事科学院系统工程研究院网络信息研究所 面向典型移动特性的卫星通信自适应位置管理方法
CN113381798A (zh) * 2021-06-02 2021-09-10 南京熊猫汉达科技有限公司 一种低轨星座卫星通信系统跟踪区划分和广播方法
CN117377128A (zh) * 2021-06-05 2024-01-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指示终端设备所在跟踪区的方法和网络设备
CN114095068B (zh) * 2021-08-30 2024-02-09 西安空间无线电技术研究所 一种低轨卫星通信系统基于分布式的位置管理方法
CN115967911A (zh) * 2021-10-08 2023-04-14 华为技术有限公司 定位方法、装置及系统
CN116349305A (zh) * 2021-10-26 2023-06-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Ta信息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6155343A (zh) * 2021-11-19 2023-05-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方法、系统及相关装置
CN116456318A (zh) * 2022-01-07 2023-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及系统
CN117835348A (zh) * 2024-03-05 2024-04-05 广东世炬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跟踪区域码的同步对象确定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0957A (ko) * 2016-01-29 201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위치 판단 방법 및 장치
KR20170125817A (ko) * 2015-03-06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이징 시그널링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046812A (ko) * 2016-10-28 2018-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관심 영역 진입 판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7662B1 (en) * 2000-06-02 2003-05-20 Ericsson, Inc. Method of storing and interpreting LOCI data in dual mode satellite/terrestrial mobile terminals
CN102804883B (zh) * 2009-05-11 2016-11-02 司亚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位置更新的方法和系统
KR101090602B1 (ko) * 2010-01-29 2011-12-08 주식회사 팬택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12100946A2 (en) 2011-01-27 2012-08-02 Deutsche Telekom Ag Method for the use of a gsm/umt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y a user equipment attached to a core network of an evolved packet system (ep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2843711A (zh) * 2012-08-20 2012-12-2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Lte系统中用户设备的跟踪区列表维护方法及装置
CN103491521B (zh) * 2013-08-26 2016-08-17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追踪区列表ta list生成的方法及装置
US9137768B1 (en) * 2013-09-30 2015-09-15 Sprint Spectrum L.P. Dynamically controlling overlay of tracking areas upon small cell initiation
US20180132096A1 (en) * 2016-11-08 2018-05-10 Zte Corporation Differential tracking and mobility management in communication networks
US20200077358A1 (en) * 2018-08-31 2020-03-05 Nokia Technologies Oy Idle mode mobility in new radio based non-terrestrial networ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5817A (ko) * 2015-03-06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이징 시그널링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090957A (ko) * 2016-01-29 201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위치 판단 방법 및 장치
KR20180046812A (ko) * 2016-10-28 2018-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관심 영역 진입 판단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81859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43364A (zh) * 2022-07-20 2022-10-25 山东闻远通信技术有限公司 5g终端信号探测方法、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79858B1 (en) 2023-11-08
CN111246393A (zh) 2020-06-05
EP3879858A1 (en) 2021-09-15
KR102491245B1 (ko) 2023-01-20
JP2022510642A (ja) 2022-01-27
EP3879858C0 (en) 2023-11-08
CN111246393B (zh) 2021-08-31
CA3121287A1 (en) 2020-06-04
US20210289339A1 (en) 2021-09-16
EP3879858A4 (en) 2022-04-06
CN113794993A (zh) 2021-12-14
WO2020108089A1 (zh) 2020-06-04
US11889583B2 (en) 2024-01-30
JP7209088B2 (ja)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1245B1 (ko) 추적 영역 업데이트 방법,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통신 장치
KR102064309B1 (ko) 시스템 정보를 온 디맨드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CN111586582B (zh) 确定跟踪区域的方法、终端设备和核心网设备
CN110958671B (zh) 通信方法及装置
JP7171752B2 (ja) 測位システム情報の送信及び受信のための無線ネットワークノード、無線デバイス及び方法
US11490244B2 (en) Mobility information reporting and exchange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40098679A1 (en) User device positioning using assistance data
CN112586024A (zh) 数据传输方法和装置
US9467924B2 (en) Method for performing seamless group handover for supporting portable TV band device based on TV white space
EP40809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area topology
EP4324287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oving from one to another geographical area in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non-terrestrial network portion
GB2605830A (en) Communication system
CN109565775B (zh) 用于发送跟踪区域信息的方法和设备
WO2024037371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24051448A1 (zh) 一种切换方法及通信装置
WO2023126008A2 (zh) 卫星通信方法和通信装置
WO2023120122A1 (en) Ue, access network node, network node, and method
WO2024026640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23002832A1 (en) Method, base station, core network node, user equipment, neighbour cell relation table
CN117676727A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EP4349089A1 (e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KR20140072665A (ko) 동적 페이징 리스트를 이용한 페이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17896789A (zh) 信息传输方法和通信装置
CN117501727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星地融合网络中的移动性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