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294A -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294A
KR20210091294A KR1020217018753A KR20217018753A KR20210091294A KR 20210091294 A KR20210091294 A KR 20210091294A KR 1020217018753 A KR1020217018753 A KR 1020217018753A KR 20217018753 A KR20217018753 A KR 20217018753A KR 20210091294 A KR20210091294 A KR 20210091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aping
evps
processor
combustion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8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519B1 (ko
Inventor
오리올 스트로페어
데이비드 레들리
모리스 에제오크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91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4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extraction; Tobacco extracts
    • A24B15/241Extraction of specific substances
    • A24B15/243Nicot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은 사용자의 흡입에 대한 응답으로 페이로드로부터 증기를 발생시키고, 분량 프로세서에 흡입 데이터를 공급하도록 동작 가능한 EVPS(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를 포함하고, 분량 프로세서는, EVPS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 및 흡입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혈류로 전달되는 활성 성분의 양을 계산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분량 프로세서는 또한,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에 기반하여, 계산된 활성 성분의 양을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의 등가의 수로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그리고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의 등가의 수를 표시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Description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vaping monitor system)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e-시가레트(e-cigarette)들 및 다른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들과 같은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EVPS: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들은, 제어 회로부(control circuitry), 가열 요소 및 전형적으로 증기/에어로졸이 획득되는 액체, 겔 또는 고체 페이로드(solid payload)와 함께, 휘발성 재료를 증발시키기에 충분한 전원(power source)을 포함하는 복잡한 디바이스들이다. 일부 EVPS들은 또한, 통신 시스템들 및/또는 컴퓨팅 능력들을 포함한다.
사용 시,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 휘발성 재료를 증발시키기에 충분한 온도로 페이로드(payload)의 일부를 가열함으로써, 휘발성 재료를 포함하는 증기를 흡입을 위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의도된다.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 니코틴과 같은 활성 성분(active ingredient)을 사용자의 혈류에 전달하는 유사한 효과를 갖고서, 더 전통적인 연소 기반 흡연의 컴패니언(companion) 또는 대체품(substitute)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정상 사용 동안 얼마나 많은 활성 성분을 수용하는지를 분별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경감시키거나 완화시키고자 한다.
제1 양상에서, 청구항 1항에 따른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다른 양상에서, 청구항 11항에 따른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다른 양상에서, 청구항 15항에 따른 서버가 제공된다.
다른 양상에서, 청구항 16항에 따른 증기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된다.
다른 양상에서, 청구항 23항에 따른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베이핑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된다.
다른 양상에서, 청구항 24항에 따른 서버에 대한 베이핑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개의 양상들 및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e-시가레트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e-시가레트의 제어 유닛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e-시가레트의 프로세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e-시가레트의 개략도이다.
도 5는 e-시가레트의 카토마이저(cartomiser)의 개략도이다.
도 6은 e-시가레트의 증발기 또는 가열기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증기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에 대한 증기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이용될 필요가 없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반대로, 당업자에게 공지된 특정 세부사항들은 적절한 경우 명확성을 위해 생략된다.
배경 설명으로, e-시가레트들 및 다른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들과 같은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증발되는 액체, 전형적으로는 니코틴(이는 때때로 "e-액체(e-liquid)"로 지칭됨)의 저장소를 보유한다. 사용자가 디바이스에서 흡입할 때, 전기(예컨대, 저항성) 가열기가 활성화되어 소량의 액체를 증발시켜, 사실상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흡입하는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액체는, 에어로졸 형성을 보조하기 위해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함께, 에탄올 또는 물과 같은 용매에 니코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하나 이상의 추가 향미(flavour)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e-시가레트들 및 다른 이러한 디바이스들에 사용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액체 제제(liquid formulation)들을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증발되는 액체를 흡입하는 행위는 흔히 '베이핑(vaping)'으로 알려져 있다.
e-시가레트는 외부 데이터 통신들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이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제어 파라미터들 및/또는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를 외부 소스로부터 e-시가레트로 로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인터페이스는 e-시가레트로부터 외부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다운로드된 데이터는 e-시가레트의 사용 파라미터들, 결함 조건들 등을 표현할 수 있다. 당업자가 인식하는 바와 같이, 많은 다른 형태들의 데이터가 e-시가레트와 하나 이상의 외부 시스템들(다른 e-시가레트일 수 있음)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e-시가레트가 외부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e-시가레트로의 유선 연결(wired connection), 이를테면 마이크로, 미니 또는 일반 USB 연결을 사용하는 USB 링크에 기반한다. e-시가레트가 외부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또한, 무선 연결(wireless connection)에 기반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연결은 유선 연결에 비해 특정 이점들을 갖는다. 예컨대, 사용자는 이러한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임의의 추가 케이블링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 연결 셋업 및 페어링 디바이스들의 범위의 측면에서 더 많은 유연성을 갖는다.
본 설명 전반에 걸쳐, "e-시가레트"라는 용어가 사용되지만; 이 용어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 및 다른 유사한 용어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e-시가레트(10)의 개략도(분해도)(실척대로는 아님)이다. e-시가레트는 본체 또는 제어 유닛(20) 및 카토마이저(30)를 포함한다. 카토마이저(30)는, 액체(전형적으로, 니코틴을 포함함)의 저장소(38), 가열기(36) 및 마우스피스(35)를 포함한다. e-시가레트(10)는, e-시가레트의 중심선을 따라, 카토마이저(30)의 한쪽 단부에 있는 마우스피스(35)로부터 제어 유닛(20)의 대향 단부(통상, 팁 단부로 지칭됨)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longitudinal axis) 또는 원통형 축을 갖는다. 이 길이방향 축은 도 1에서 LA로 나타낸 점선으로 표시된다.
카토마이저에 있는 액체 저장소(38)는, 액체 형태로 (e-)액체를 직접 유지(hold)할 수 있거나, 또는 액체를 위한 리테이너(retainer)로서, 폼 매트릭스(foam matrix) 또는 코튼 재료 등과 같은 일부 흡수 구조를 활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액체가 저장소(38)로부터 공급되어 가열기(36)를 포함하는 증발기로 전달된다. 예컨대, 액체는 모세관 작용(capillary action)을 통해 저장소(38)로부터 심지(도 1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가열기(36)로 흐를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들에서, 액체는 식물 재료 또는 일부 다른(표면상으로는 고체) 식물 파생 재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액체는, 재료가 가열될 때 증발하는, 재료 내의 휘발성분들(volatiles)을 표현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재료를 보유하는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액체를 가열기로 전달하는 데 심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오히려 적합한 가열을 제공하기 위해 재료와 관련하여 가열기의 적합한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을 제공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가열기가 에어로졸/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의 일 예인 것이 인지될 것이다. 더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발생기는 에어로졸로 하여금 에어로졸-발생 재료로부터 발생되게 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발생기는,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해 에어로졸-발생 재료로부터 하나 이상의 휘발성분들(volatiles)을 방출하기 위해, 에어로졸-발생 재료가 열 에너지를 받도록 구성된 가열기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발생기는 에어로졸로 하여금 가열 없이 에어로졸-발생 재료로부터 발생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에어로졸 발생기는 에어로졸-발생 재료가 진동, 증가된 압력 또는 정전기 에너지 중 하나 이상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체 재료(이를테면, 가공된 담배 잎) 또는 겔(gel)을 가열하는 것과 같이, 액체 이외의 페이로드 전달 형태들도 동등하게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인식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증발되는 휘발성분들은 흡입될 증기/에어로졸의 활성 성분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액체', 'e-액체' 등에 대한 언급들은 다른 페이로드 전달 모드들을 동등하게 포괄하며, 유사하게 '저장소' 등의 언급들은 고체 재료들을 위한 용기와 같은 다른 저장 수단을 동등하게 포괄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에어로졸-발생 재료는, 예컨대, 가열, 조사 또는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에너지를 받을 때,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재료이다. 에어로졸-발생 재료는, 예컨대, 활성 물질 및/또는 향미제들을 보유할 수 있거나 보유할 수 없는 고체, 액체 또는 겔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발생 재료는, 대안적으로 "모놀리식 고체"(즉, 비-섬유질)로 지칭될 수 있는 "비정질 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정질 고체는 건조된 겔일 수 있다. 비정질 고체는 그 내부 내에 액체와 같은 일부 유체를 보유할 수 있는 고체 재료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발생 재료는, 예컨대, 약 50 wt%, 60 wt% 또는 70 wt%의 비정질 고체 내지 약 90 wt%, 95 wt% 또는 100 wt%의 비정질 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재료는 하나 이상의 활성 물질들 및/또는 향미들,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형성 재료들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형성 재료는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성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형성 재료는 글리세린,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에리스리톨, 메소-에리스리톨, 에틸 바닐레이트, 에틸 라우레이트, 디에틸 수베레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트리아세틴, 디아세틴 혼합물, 벤질 벤조에이트, 벤질 페닐 아세테이트, 트리부티린, 라우릴 아세테이트,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시에 증기의 액체, 겔, 식물생약 또는 다른 적절한 소스는 해당 증기 내에서 활성 성분 또는 활성 물질(용어들은 상호교환 가능한 것으로 간주됨)을 전달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활성 물질은, 생리학적 반응을 성취하거나 향상시키도록 의도된 재료인 생리학적 활성 재료일 수 있다. 활성 물질은, 예컨대, 기능성 식품들, 뉴트로픽스(nootropics) 및 향정신성 약물(psychoactive)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활성 물질은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합성하여 획득될 수 있다. 활성 물질은, 예컨대, 니코틴, 카페인, 타우린, 테인(theine), 비타민, 이를테면 B6 또는 B12 또는 C, 멜라토닌,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들, 또는 이들의 구성성분들, 유도체들, 또는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물질은 담배, 대마초 또는 다른 식물생약(botanical)의 하나 이상의 구성성분들, 유도체들 또는 추출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활성 물질은 니코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활성 물질은 카페인, 멜라토닌 또는 비타민 B12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활성 성분 또는 물질은 하나 이상의 식물생약들 또는 이들의 구성성분들, 유도체들 또는 추출물들을 포함하거나 이들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식물생약"이란 용어는, 추출물들, 잎들, 나무껍질(bark), 섬유들, 줄기들, 뿌리들, 종자들, 꽃들, 과일들, 꽃가루, 겉껍질(husk), 껍질(shell)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식물들로부터 도출된 임의의 재료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재료는 합성하여 획득된, 식물생약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재료는 액체, 가스, 고체, 분말, 가루, 으깨진 입자들, 알갱이들, 펠릿들, 파쇄물(shred)들, 스트립들, 시트들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식물생약들의 예는, 담배, 유칼립투스, 팔각(star anise), 대마(hemp), 코코아, 대마초, 회향(fennel), 레몬그라스(lemongrass), 페퍼민트, 스피어민트, 루이보스(rooibos), 카모마일, 아마(flax), 생강, 은행 나무(ginkgo biloba), 개암(hazel), 히비스커스, 월계수(laurel), 감초(licorice)(감초사탕(liquorice)), 말차(matcha), 마테(mate), 오렌지 껍질(orange skin), 파파야, 장미, 세이지(sage), 차(이를테면, 녹차 또는 홍차), 타임(thyme), 정향(clove), 계피, 커피, 아니스열매(aniseed)(아니스(anise)), 바질, 월계수 잎(bay leaves), 카다멈(cardamom), 고수(coriander), 커민(cumin), 육두구(nutmeg), 오레가노(oregano), 파프리카, 로즈마리, 사프란, 라벤더, 레몬 껍질, 민트, 향나무(juniper), 엘더플라워(elderflower), 바닐라, 노루발풀(wintergreen), 차조기(beefsteak plant), 강황(curcuma), 터메릭(turmeric), 백단향(sandalwood), 고수잎(cilantro), 베르가못(bergamot), 오렌지 블로섬(orange blossom), 머틀(myrtle), 카시스(cassis), 발레리안(valerian), 피멘토(pimento), 메이스(mace), 데미안(damien), 마조람(marjoram), 올리브(olive), 레몬 밤(lemon balm), 레몬 바질(lemon basil), 골파(chive), 카르비(carvi), 버베나(verbena), 타라곤(tarragon), 제라늄(geranium), 뽕(mulberry), 인삼, 테아닌(theanine), 테아크린(theacrine), 마카(maca), 아슈와간다(ashwagandha), 다미아나(damiana), 구아라나(guarana), 클로로필(chlorophyll), 바오밥(baobab)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다. 민트는 다음의 민트 품종들 중에서 선정될 수 있다: Mentha arvensis, Mentha c.v., Mentha niliaca, Mentha piperita, Mentha piperita citrata c.v., Mentha piperita c.v., Mentha spicata crispa, Mentha cordifolia, Mentha longifolia, Mentha suaveolens variegata, Mentha pulegium, Mentha spicata c.v. 및 Mentha suaveolens.
일부 실시예들에서, 활성 성분은 하나 이상의 식물생약들 또는 이들의 구성성분들, 유도체들 또는 추출물들을 포함하거나 이들로부터 도출되고, 식물생약은 담배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활성 성분은 하나 이상의 식물생약들 또는 이들의 구성성분들, 유도체들 또는 추출물들을 포함하거나 이들로부터 도출되고, 식물생약은 유칼립투스, 팔각, 코코아 및 대마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활성 성분은 하나 이상의 식물생약들 또는 이들의 구성성분들, 유도체들 또는 추출물들을 포함하거나 이들로부터 도출되고, 식물생약은 루이보스 및 회향으로부터 선택된다.
제어 유닛(20)은, e-시가레트(10)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재충전가능한 셀(cell) 또는 배터리(54)(이하 배터리로 지칭됨), 및 일반적으로 e-시가레트를 제어하기 위한 인쇄 회로 보드(PCB)(28) 및/또는 다른 전자장치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20) 및 카토마이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가능하지만, 디바이스(10)가 사용 중일 때, 예컨대 나사 또는 베요넷 피팅(bayonet fitting)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카토마이저(30) 및 제어 유닛(20) 상의 커넥터들은, 도 1에서 각각 31B 및 21A로 개략적으로 표시된다. 제어 유닛과 카토마이저 사이의 이런 연결은 이 둘 사이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성을 제공한다.
제어 유닛이 카토마이저로부터 분리될 때, 카토마이저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제어 유닛 상의 전기적 연결부(21A)는 또한 충전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를 연결하기 위한 소켓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충전 디바이스의 다른 단부는 USB 소켓에 플러깅되어 e-시가레트의 제어 유닛에 있는 배터리(54)를 재충전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e-시가레트에는, (예컨대) 전기적 연결부(21A)와 USB 소켓 사이의 직접 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제공될 수 있다.
제어 유닛에는 PCB(28)에 인접한 공기 유입구를 위한 하나 이상의 홀들이 제공된다. 이들 홀들은 제어 유닛을 통한 공기 통로를 커넥터(21A)를 통해 제공된 공기 통로에 연결한다. 그런 다음 이는, 카토마이저(30)를 통한 공기 경로를 마우스피스(35)에 링크한다(link). 가열기(36) 및 액체 저장소(38)는 커넥터(31B)와 마우스피스(35) 사이에 공기 채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 주목된다. 이 공기 채널은 카토마이저(30)의 중심을 통해 흐를 수 있으며, 액체 저장소(38)는 이 중심 경로 주위의 환형 영역에 국한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기류 채널은 카토마이저(30)의 외부 하우징과 액체 저장소(38) 사이에 놓일 수 있다.
사용자가 마우스피스(35)를 통해 흡입할 때,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 홀들을 통해 제어 유닛(20)으로 공기가 흡인된다. 이러한 기류(또는 연관된 압력 변화)는 센서, 예컨대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되며, 이는 결국 가열기(36)를 활성화시켜 저장소(38)로부터 공급되는 니코틴 액체를 증발시킨다. 기류는 제어 유닛으로부터 증발기로 전달되며, 여기서 기류는 니코틴 증기와 결합된다. 그런 다음, 기류와 니코틴 증기의 이러한 결합(사실상, 에어로졸)은 카토마이저(30)를 통과하고 마우스피스(35)를 빠져나가 사용자가 흡입하게 된다. 카토마이저(30)는, 니코틴 액체의 공급이 소진될 때, 제어 유닛으로부터 분리되어 폐기될(disposed) 수 있다(그런 다음, 다른 카토마이저로 교체됨). 본원에서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니코틴은 활성 성분의 비제한적인 예이다.
도 1에 도시된 e-시가레트(10)는 단지 예로서 제시된 것이며, 많은 다른 구현들이 채택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컨대, 일부 구현들에서, 카토마이저(30)는 액체 저장소(38)를 보유하는 카트리지, 및 가열기(36)를 보유하는 별도의 증발기 부분으로 분할된다. 이 구성에서, 카트리지는, 저장소(38) 내의 액체가 소진된 후에 폐기될 수 있지만, 가열기(36)를 보유하는 별도의 증발기 부분은 유지된다. 대안적으로, e-시가레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토마이저(30)가 제공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일체형(one-piece)(단일체)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지만, 액체 저장소(38)는 (사용자-)교체가능 카트리지 형태이다. 추가의 가능한 변형들은, 가열기(36)가 도 1에 도시된 것에서부터, 카토마이저(30)의 반대쪽 단부에, 즉 액체 저장소(38)와 마우스피스(35) 사이에 위치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가열기(36)가 카토마이저의 중심 축(LA)을 따라 위치되고 액체 저장소는 가열기(35)의 방사상 외측에 있는 환형 구조의 형태이라는 것이다.
당업자는 또한, 제어 유닛(20)에 대한 다수의 가능한 변형들을 인식할 것이다. 예컨대, 기류는, PCB(28)에 인접한 기류에 추가하여 또는 이 대신에, 팁 단부에서, 즉, 커넥터(21A)에 대해 반대쪽 단부에서 제어 유닛에 진입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류는 전형적으로 배터리(54)와 제어 유닛의 외부 벽 사이의 통로를 따라 카토마이저를 향해 흡인될 것이다. 유사하게, 제어 유닛은 팁 단부 상에 또는 그 근처에, 예컨대 배터리와 팁 단부 사이에 위치된 PC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PCB는 PCB(28)에 추가하여 또는 이 대신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e-시가레트는, 카토마이저와 제어 유닛 사이의 연결 지점에서 충전하는 것에 추가하여 또는 이 대신에, 팁 단부에서, 또는 디바이스 상의 다른 곳에서 소켓을 통해 충전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일부 e-시가레트들이 본질적으로 통합된 유닛들로서 제공되며, 이 경우 사용자는 제어 유닛으로부터 카토마이저를 연결해제할 수 없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다른 e-시가레트들도 또한, 유선 충전에 추가하여(또는 이 대신에) 무선 (유도) 충전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e-시가레트에 대한 잠재적인 변형들에 대한 위의 논의는 예이다. 당업자는 e-시가레트(10)에 대한 추가 잠재적인 변형들(및 변형들의 조합)을 인식할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e-시가레트(10)의 주요 기능 컴포넌트들의 개략도이다. 주의: 도 2는 주로 전기적 연결성 및 기능성과 관련되며, 이는 상이한 컴포넌트들의 물리적 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것도, 제어 유닛(20) 또는 카토마이저(30) 내에서의 이들의 물리적 배치에 대한 세부사항들을 나타내기 위한 것도 아니다. 또한, 제어 유닛(20) 내에 위치된, 도 2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중 적어도 일부는 회로 보드(28)에 장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그러한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이 회로 보드(28)와 함께 동작하도록 제어 유닛에 대신 수용될 수 있지만, 회로 보드 자체에 물리적으로 장착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이러한 컴포넌트들이 하나 이상의 추가 회로 보드들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컴포넌트들이 (배터리(54)와 같이) 별도로 위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토마이저는 커넥터(31B)를 통해 전력을 수신하는 가열기(310)를 보유한다. 제어 유닛(20)은 카토마이저(30)의 대응하는 커넥터(31B)(또는 잠재적으로 USB 충전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 소켓 또는 커넥터(21A)를 포함한다. 그런 다음, 이는 제어 유닛(20)과 카토마이저(30) 사이에 전기적 연결성을 제공한다.
제어 유닛(20)은 센서 유닛(61)을 더 포함하며, 센서 유닛(61)은 공기 유입구(들)로부터 공기 배출구까지(커넥터(21A)를 통해 카토마이저(30)까지) 제어 유닛(20)을 통하는 공기 경로 내에 또는 이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센서 유닛은 (또한 이 공기 경로 내에 또는 이와 인접한) 압력 센서(62) 및 온도 센서(63)를 보유한다. 제어 유닛은 커패시터(220), 프로세서(50),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스위치(210), 배터리(54) 및 입력 및 출력 디바이스들(59, 58)을 더 포함한다.
프로세서(50) 및 다른 전자 컴포넌트들, 이를테면 압력 센서(62)의 동작들은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또는 다른 컴포넌트들) 상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은, 프로세서(50) 자체에 통합될 수 있거나 별도의 컴포넌트로서 제공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이를테면 ROM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50)는 ROM에 액세스하여, 요구되는 대로, 개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로딩하고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0)는 또한, 제어 유닛(20) 내의 다른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압력 센서(62)와 적절하게 통신하기 위한 적절한 통신 설비들, 예컨대 핀들 또는 패드들(또한, 대응하는 제어 소프트웨어)을 보유한다.
출력 디바이스(들)(58)는 가시적, 오디오 및/또는 햅틱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출력 디바이스(들)는 스피커(58), 진동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라이트(light)들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트들은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ED)들의 형태로 제공되며, 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컬러들(또는 멀티-컬러링)일 수 있다. 멀티-컬러링 LED들의 경우, 예컨대, 적색, 녹색 또는 청색으로 상이하게 컬러링되는 LED들을 선택적으로 상이한 상대적 밝기들로 스위치 온(on)하여 대응하는 상대적 컬러 변동들을 제공함으로써, 상이한 컬러들이 획득된다. 적색, 녹색 및 청색 LED들이 함께 제공되는 경우, 전체 범위의 컬러들이 가능한 반면, 3개의 적색, 녹색 및 청색 LED들 중 2개만 제공되는 경우, 개개의 하위-범위의 컬러들만이 획득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출력은 e-시가레트 내의 다양한 조건들 또는 상태들, 이를테면 배터리 부족 경고를 사용자에게 시그널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상태들 또는 조건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상이한 출력 신호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출력 디바이스(58)가 오디오 스피커이면, 상이한 상태들 또는 조건들은 상이한 피치(pitch) 및/또는 지속기간의 톤들 또는 비프(beep)들에 의해 그리고/또는 다수의 그러한 비프들 또는 톤들을 제공함으로써 표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출력 디바이스(58)가 하나 이상의 라이트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이한 컬러들, 펄스들의 광 또는 연속 조명(illumination), 상이한 펄스 지속기간들 등을 사용하여 상이한 상태들 또는 조건들이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부족 경고를 나타내기 위해 하나의 표시등(indicator light)이 활용될 수 있는 반면, 액체 저장소(38)가 거의 고갈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다른 표시등이 사용될 수 있다. 주어진 e-시가레트가 다수의 상이한 출력 모드들(오디오, 시각적) 등을 지원하기 위한 출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입력 디바이스(들)(59)는 다양한 형태들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디바이스(또는 디바이스들)는, e-시가레트 외부에 있는 버튼들 ― 예컨대 기계적, 전기적 또는 용량성(capacitive) (터치)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디바이스들은, 입력 메커니즘으로서 e-시가레트내로의 블로잉(blowing)을 (이러한 블로잉은, 압력 센서(62)에 의해 검출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이는 또한 입력 디바이스(59)의 형태로 작용할 것임), 그리고/또는 다른 형태의 입력 메커니즘으로서 카토마이저(30) 및 제어 유닛(20)의 연결/연결해제를 지원할 수 있다. 다시, 주어진 e-시가레트가 다수의 상이한 입력 모드들을 지원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들(59)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앞서 주목된 바와 같이, e-시가레트(10)는, 공기 유입구로부터 e-시가레트를 통해, 압력 센서(62) 그리고 카토마이저(30)의 가열기(310)를 지나 마우스피스(35)로의 공기 경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e-시가레트의 마우스피스에서 흡입할 때, 프로세서(50)는 압력 센서(62)로부터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러한 흡입을 검출한다. 이러한 검출에 대한 응답으로, CPU는 배터리(54)로부터 가열기로 전력을 공급하고, 이로써 액체 저장소(38)로부터의 니코틴을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가열 및 증발시킨다.
도 2에 도시된 특정 구현에서, FET(210)는 배터리(54)와 커넥터(21A) 사이에 연결된다. 이 FET(210)는 스위치로서의 역할을 한다. 프로세서(50)는 FET의 게이트에 연결되어 스위치를 동작시키고, 이에 의해 프로세서가 검출된 기류의 상태에 따라 배터리(54)로부터 가열기(310)로의 전력 흐름을 스위치 온 및 오프하는 것을 허용한다. 가열기 전류가 예컨대 1-5 암페어 범위로 비교적 클 수 있으므로, FET(210)는 (마찬가지로, FET(210) 대신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스위치를 위해) 이러한 전류 제어를 지원하도록 구현되어야 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배터리(54)로부터 가열기(310)로 흐르는 전력량의 보다 세밀한(fine-grained)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펄스-폭 변조(PWM)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PWM 방식은 말하자면 1ms의 반복 기간에 기반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기간 내에서, 스위치(210)는 기간 중 일정 부분 동안 턴 온되고, 그 기간의 나머지 부분 동안 턴 오프된다. 이는 듀티 사이클에 의해 파라미터화되며, 이로써, 듀티 사이클 0은 스위치가 모든 각각의 기간 동안 오프(즉, 사실상, 영구적으로 오프)라는 것을 나타내며, 듀티 사이클 0.33은 스위치가 각각의 기간의 1/3 동안 온이라는 것을 나타내며, 듀티 사이클 0.66은 스위치가 각각의 기간의 2/3 동안 온이라는 것을 나타내며, 그리고 듀티 사이클 1은 FET가 모든 각각의 기간 동안 온(즉, 사실상, 영구적으로 온)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이 듀티 사이클에 대한 예시적인 설정들로서만 제공되며 중간 값들이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PWM의 사용은, 공칭 이용가능 전력(배터리 출력 전압 및 가열기 저항에 기반함)에 듀티 사이클을 곱함으로써 부여되는 유효 전력을 가열기에 제공한다. 예컨대, 프로세서(50)는, 가열기(310)를 가능한 한 빨리 그의 원하는 동작 온도로 초기에 상승시키기 위해 흡입 시작시 듀티 사이클 1(즉, 최대 전력)을 활용할 수 있다. 일단 이 원하는 동작 온도가 달성되었다면, 프로세서(50)는 가열기(310)에 원하는 동작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듀티 사이클을 어떠한 적합한 값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50)는 무선 통신들, 특히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들에 대한 지원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55)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가열기(310)는 무선 통신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55)에 의해 사용되는 안테나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한 가지 동기는, 제어 유닛(20)이 금속 하우징(202)을 가질 수 있는 반면, 카토마이저 부분(30)은 플라스틱 하우징(302)을 가질 수 있다(카토마이저(30)가 일회용인 반면, 제어 유닛(20)은 유지되므로 더 내구성이 있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반영함)는 것이다. 금속 하우징은, 제어 유닛(20) 자체 내에 위치된 안테나의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스크린 또는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무선 통신들을 위한 안테나로서 가열기(310)를 활용하는 것은, 카토마이저의 플라스틱 하우징으로 인해, 카토마이저에 추가의 컴포넌트 또는 복잡성(또는 비용)을 추가하지 않고도 이러한 금속 스크리닝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별도의 안테나가 제공되거나(도시되지 않음), 금속 하우징의 일부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기가 안테나로서 사용되는 경우, 프로세서(50),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55)는 커패시터(220)에 의해 배터리(54)로부터 가열기(310)로 (커넥터(31B)를 통해) 전력 라인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이 용량성 커플링은 스위치(210)의 다운스트림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가열을 위해, 가열기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때 무선 통신들이 동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됨). 커패시터(220)가 배터리(54)로부터 가열기(310)로의 전력 공급이 프로세서(50)로 다시 방향전환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용량성 커플링이 더 복잡한 LC(inductor-capacitor)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55)의 출력과의 임피던스 매칭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이러한 임피던스 매칭은, 연결을 따라 다시 반사되는 신호들을 갖기 보다는, 안테나로서의 역할을 하는 가열기(310)와 통신 인터페이스(55) 사이에서 그러한 신호들의 적절한 전송의 지원을 도울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프로세서(50) 및 통신 인터페이스는 영국 레딩(Reading)에 소재한 Dialog Semiconductor PLC로부터의 Dialog DA14580 칩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이 칩에 대한 추가 정보(및 데이터 시트)는 http://www.dialog-semiconductor.com/products/bluetooth-smart/smartbond-da14580에서 입수가능하다.
도 3은, Bluetooth® 저에너지를 지원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55)를 포함하여, 이 칩(50)에 대한 하이-레벨의 단순화된 개요를 제공한다. 이 인터페이스는 특히 신호 변조 및 복조 등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기(520), 링크 계층 하드웨어(512) 및 고급 암호화 설비(128 비트)(511)를 포함한다. 무선 송수신기(520)로부터의 출력은 안테나에(예컨대, 용량성 커플링(220) 및 커넥터들(21A 및 31B)을 통해 안테나로서의 역할을 하는 가열기(310)에) 연결된다.
프로세서(50)의 나머지 부분은 일반 프로세싱 코어(530), RAM(531), ROM(532), 일회성 프로그래밍(OTP) 유닛(533), (PCB(28) 상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통신하기 위한) 범용성 I/O 시스템(560), 전력 관리 유닛(540) 및 2개의 버스들을 연결하기 위한 브리지(570)를 포함한다. ROM(532) 및/또는 OTP 유닛(533)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명령들은 코어(530)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에 의한 실행을 위해 RAM(531)에 (및/또는 코어(530)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메모리에)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명령들은, 프로세서(50)로 하여금, 본원 설명된 다양한 기능성, 이를테면 센서 유닛(61)과의 인터페이싱 및 그에 따른 가열기 제어를 구현하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디바이스가 통신 인터페이스(55)로서 그리고 또한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10)을 위한 일반 제어기로서 둘 모두의 역할을 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 2개의 기능들은 둘 이상의 상이한 디바이스들(칩들)(예컨대, 하나의 칩은 통신 인터페이스(55)로 기능할 수 있고, 다른 칩은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10)을 위한 일반 제어기로서 기능할 수 있음) 사이에서 나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프로세서(50)는, 가열기가 저장소(38)로부터 액체를 증발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을 때, 무선 통신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210)가 스위치 온될 때, 무선 통신들은 중단되거나, 종료되거나 또는 시작이 방지될 수 있다. 반대로, 무선 통신들이 계속 진행 중이면, 예컨대 센서 유닛(61)으로부터의 기류의 검출을 무시함으로써, 그리고/또는 무선 통신들이 진행되는 동안 가열기(310)에 대한 전력을 턴 온시키기 위해 스위치(210)를 동작시키지 않음으로써, 가열기의 활성화가 방지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가열 및 무선 통신들 둘 모두를 위한 가열기(310)의 동시적 동작을 방지하는 한 가지 이유는, 가열기의 PWM 제어로부터의 잠재적인 간섭 방지를 돕기 위한 것이다. 이 PWM 제어는, 비록 전형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사용되는 주파수보다 훨씬 더 낮기는 하지만 자체 주파수(펄스들의 반복 주파수에 기반함)를 가지고 있으며, 이 둘은 잠재적으로 서로 간섭할 수 있다. 일부 상황들에서, 그러한 간섭은, 실제로 어떠한 문제들도 야기하지 않을 수 있으며, 가열 및 무선 통신들 둘 모두를 위한 가열기(310)의 동시적 동작이 (그렇게 원할 경우) 허용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신호 강도들 및/또는 PWM 주파수의 적절한 선택, 적합한 필터링의 제공 등과 같은 기법들에 의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4는, 스마트폰(400) 또는 다른 적합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태블릿, 랩톱, 스마트워치 등) 상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앱)과 e-시가레트(10) 간의 Bluetooth® 저에너지 통신들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러한 통신들은, 예컨대, e-시가레트(10) 상의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고, e-시가레트(10)로부터의 사용 및/또는 진단 데이터를 검색하고, e-시가레트(10)를 재설정 또는 잠금해제하고, e-시가레트에 대한 설정들을 제어하는 등의 광범위한 목적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를테면 입력 디바이스(59)를 사용하거나 가능하게는 카토마이저(30)를 제어 유닛(20)에 결합함으로써 e-시가레트(10)가 스위치 온될 때, e-시가레트(10)는 Bluetooth® 저에너지 통신을 광고하기 시작한다. 스마트폰(400)이 이 발신 통신을 수신하면, 스마트폰(400)은 e-시가레트(10)에 대한 연결을 요청한다. e-시가레트는, 이 요청을 출력 디바이스(58)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그리고 입력 디바이스(59)를 통해 사용자가 이 요청을 수락하거나 거부하기를 기다릴 수 있다. 요청이 수락된다고 가정하면, e-시가레트(10)는 스마트폰(400)과 추가로 통신할 수 있다. e-시가레트가 스마트폰(400)의 신원을 기억할 수 있고 그 스마트폰으로부터 향후의 연결 요청들을 자동으로 수락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일단 연결이 설정되었다면, 스마트폰(400)과 e-시가레트(10)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드로 동작하며,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하는 스마트폰은, 요청들을 개시하여 e-시가레트에 전송하고, e-시가레트는 그에 따라 서버로서 동작한다(그리고 요청들에 적절하게 응답한다).
Bluetooth® 저에너지 링크(Bluetooth Smart®으로 또한 공지됨)는 IEEE 802.15.1 표준을 구현하고, 최대 1Mbit/s의 데이터 레이트들로, 약 12cm 파장에 해당하는 2.4-2.5 GHz의 주파수에서 동작한다. 연결에 대한 셋업 시간은 6ms 미만이며, 평균 전력 소비는 대략 1mW 이하로 매우 낮을 수 있다. Bluetooth 저에너지 링크는 50m 정도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상황의 경우, e-시가레트(10)와 스마트폰(400)은 전형적으로 동일한 사람의 것이므로 서로 훨씬 더 가깝게(예컨대, 1m) 있을 것이다. Bluetooth 저에너지에 대한 추가 정보는 http://www.bluetooth.com/Pages/Bluetooth-Smart.aspx에서 확인될 수 있다.
e-시가레트(10)가 스마트폰(400)(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과의 통신을 위한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이러한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이 Bluetooth 저에너지를 대신하거나 또는 이에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의 예들은, Bluetooth®(저에너지 변형이 아님)(예컨대, www.bluetooth.com 참조), ISO 13157에 따른 NFC(near field communications) 및 WiFi®를 포함한다. NFC 통신들은 Bluetooth(13.56MHz)보다 훨씬 낮은 파장들에서 동작하며, 일반적으로 훨씬 더 짧은 범위(말하자면, <0.2m)를 갖는다. 그러나, 이 짧은 범위는, 이를테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대부분의 사용 시나리오들과 여전히 호환가능하다. 한편, IEEE802.11ah, IEEE802.11v 등과 같은 저전력 WiFi® 통신들이 e-시가레트(10)와 원격 디바이스 사이에서 이용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적합한 통신 칩셋은 프로세서(5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의 컴포넌트로서 PCB(28)에 포함될 수 있다. 당업자는 e-시가레트(10)에 이용될 수 있는 다른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을 인식할 것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 카토마이저(30)의 개략적 분해도이다. 카토마이저는 외부 플라스틱 하우징(302), 마우스피스(35)(하우징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음), 증발기(620), 중공 내부 튜브(612) 및 제어 유닛에 부착하기 위한 커넥터(31B)를 갖는다. 카토마이저(30)를 통한 기류 경로는 커넥터(31B)를 통한 공기 유입구로 시작한 다음, 증발기(620) 내부 및 중공 튜브(612)를 통과하고, 마지막으로 마우스피스(35)를 빠져나간다. 카토마이저(30)는 (i) 플라스틱 하우징(302)과, (ii) 증발기(620) 및 내부 튜브(612) 사이의 환형 영역에 액체를 보유한다. 커넥터(31B)에는, 이 영역에서의 액체 유지를 돕고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부(635)가 제공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예시적 카토마이저(30)로부터 증발기(620)의 개략적 분해도이다. 증발기(620)는, 각각이 실질적으로 반원형 단면을 갖는 2개의 컴포넌트들(627A, 627B)로 형성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하우징(크래들)을 갖는다. 조립될 때, 컴포넌트들(627A, 627B)의 에지들이 서로 완전히 접하는(abut) 것이 아니라(적어도, 이들의 전체 길이를 따라 접하지 않음), 오히려 약간의 갭(625)이 유지된다(도 5에 표시됨). 이 갭은 증발기 및 튜브(612) 주위의 외부 저장소로부터의 액체가 증발기(62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한다.
증발기의 컴포넌트들 중 하나(627B)가 가열기(310)를 지지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다. 가열기(310)에 전력(및 무선 통신 신호)을 공급하도록 도시된 2개의 커넥터들(631A, 631B)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이들 커넥터들(631A, 631B)은 가열기를, 커넥터(31B)에 그리고 거기서부터 제어 유닛(20)에 링크시킨다. (커넥터(631A)는, 가열기(310) 아래를 통과하고 도 6에서는 비가시적인 전기적 연결에 의해 커넥터(31B)로부터 증발기(620)의 원단(far end)에서 패드(632A)에 결합된다는 것이 주목된다).
가열기(310)는, 소결된 금속 섬유 재료로 형성된 가열 요소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시트 또는 다공성의 전도성 재료(이를테면, 강철)의 형태이다. 그러나, 다른 다공성의 전도성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 6의 예에서 가열 요소의 전체 저항은 대략 1 ohm이다. 그러나, 예컨대, 이용가능한 배터리 전압 및 가열 요소의 원하는 온도/전력 소산 특징들과 관련하여, 다른 저항들이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해당 소스 액체에 따른 디바이스에 대한 원하는 에어로졸(증기) 생성 특성들에 따라 관련 특징들이 선택될 수 있다.
가열 요소의 주요 부분은 일반적으로 길이가 (즉, 커넥터(31B)와 콘택(632A) 사이에서 이어지는 방향으로) 대략 20mm이고 폭이 대략 8mm인 직사각형이다. 이 예에서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시트의 두께는 대략 0.15mm이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열 요소의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주요 부분은 각각의 더 긴 측들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슬롯들(311)을 갖는다. 이들 슬롯들(311)은 증발기 하우징 컴포넌트(627B)에 의해 제공되는 페그들(312)과 맞물려, 하우징 컴포넌트들(627A, 627B)과 관련하여 가열 요소의 포지션 유지를 돕는다.
슬롯들은 안쪽으로 대략 4.8mm만큼 연장되고 대략 0.6mm의 폭을 갖는다. 안쪽으로 연장되는 슬롯들(311)은 가열 요소의 각각의 측에서 대략 5.4 mm만큼 서로 분리되며, 반대 측들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슬롯들은 이 간격의 대략 절반만큼 서로 상쇄된다. 슬롯들의 이러한 어레인지먼트의 결과는, 가열 요소를 따른 전류 흐름이 사실상 구불구불한 경로(meandering path)를 따르도록 강제되어 슬롯들의 단부들 주위에 전류와 전력이 집중되는 결과를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가열 요소 상의 상이한 위치들에서의 상이한 전류/전력 밀도들은, 비교적 낮은 전류 밀도의 구역들보다 더 뜨거워지는 비교적 높은 전류 밀도의 구역들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사실상, 가열 요소에 다양한 여러 온도들 및 온도 구배들을 제공하며, 이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의 맥락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소스 액체의 상이한 성분(component)들이 상이한 온도들에서 에어로졸화/증발될 수 있으므로, 가열 요소에 다양한 온도들을 제공하는 것이 소스 액체의 다양한 여러 성분들을 동시적으로 에어로졸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에 도시된 가열기(310)는, 한 방향으로 세장형(elongated)인 실질적으로 평면 형상을 가지며, 안테나로서의 역할을 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제어 유닛의 금속 하우징(202)과 함께, 가열기(310)는 대략적인 쌍극자 구성을 형성하며, 이는 전형적으로, Bluetooth 저에너지 통신들의 파장과 크기 정도가 같은 물리적 사이즈, 즉 대략 12cm의 파장에 대해 (가열기(310) 및 금속 하우징(202) 둘 모두를 허용하는) 수 센티미터의 사이즈를 갖는다.
도 6은 가열기(310)(가열 요소)의 하나의 형상 및 구성을 예시하지만, 당업자는 다양한 다른 가능성들을 인식할 것이다. 예컨대, 가열기는 코일로서 또는 저항성 와이어의 일부 다른 구성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가능성은, 가열기가 증발될 액체를 보유하는 파이프(이를테면, 일부 형태의 담배 제품)로서 구성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 파이프는 주로 생성 장소로부터 (예컨대, 코일 또는 다른 가열 요소에 의해) 증발될 액체로 열을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파이프는 가열되는 액체에 대해 여전히 가열기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들은 다시 선택적으로 무선 구성들을 지원하는 안테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이전에 주목된 바와 같이, 적합한 e-시가레트(10)는, 예컨대, Bluetooth® 저에너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디바이스들을 페어링함으로써,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400)와 통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마트폰 상에서 구동하는 적합한 소프트웨어 명령들(예컨대, 앱의 형태)을 제공함으로써, e-시가레트에 그리고/또는 e-시가레트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추가 기능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제 도 7을 참조하여, 전형적인 스마트폰(400)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410)를 포함한다. CPU는, 적용가능한 경우 I/O 브리지(414) 및/또는 버스(430)를 통해 또는 직접 연결들을 통해서 스마트폰의 컴포넌트들과 통신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CPU는, 예컨대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들(앱들)을 저장하기 위한 Flash® 메모리와 같은 영구 메모리, 및 현재 CPU가 사용 중인 데이터를 유지(hold)하기 위한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412)와 직접 통신한다. 전형적으로 영구 및 휘발성 메모리들은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유닛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메모리는, microSD 카드와 같은 플러그-인 메모리, 및 또한 SIM(subscriber information module)(도시되지 않음) 상의 가입자 정보 데이터를 별도로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또한 GPU(graphics processing unit)(416)를 포함할 수 있다. GPU는 CPU와 직접 또는 I/O 브리지를 통해 통신할 수 있거나, 또는 CPU의 일부일 수 있다. GPU는 CPU와 RAM을 공유할 수 있거나 그 자신의 전용 RAM(도시되지 않음)을 가질 수 있으며, 모바일 폰의 디스플레이(418)에 연결된다. 디스플레이는 전형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이지만, e-잉크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디스플레이 기술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GPU는 또한 스마트폰의 하나 이상의 확성기들(420)을 구동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I/O 브리지와 버스를 통해 스피커가 CPU에 연결될 수 있다. 디바이스에 터치 입력을 제공할 목적으로 스크린 상에 오버레이된 용량성 터치 표면과 같은 터치 표면(432), 사용자로부터 스피치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434), 이미지들을 캡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카메라들(436), 스마트 폰들의 지리적 포지션들의 추정치를 획득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유닛(438), 및 무선 통신 수단(440)을 포함하는, 스마트 폰의 다른 컴포넌트들이 버스를 통해 유사하게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수단(440)은 차례로, 상이한 표준들 및/또는 프로토콜들, 이를테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Bluetooth®(표준 또는 저에너지 변형들),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및 Wi-Fi®, 및 또한 폰 기반 통신, 이를테면, 2G, 3G 및/또는 4G를 준수하는 몇몇 별도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들은 전형적으로, 결국 USB(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데이터 링크의 일부일 수 있는 전력 입력(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충전될 수 있는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력공급된다.
상이한 스마트폰들은 상이한 피처들(예컨대, 컴퍼스 또는 버저)을 포함할 수 있고 위에 나열된 것들 중 일부(예컨대, 터치 표면)를 생략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보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스마트폰(400)과 같은 적합한 원격 디바이스는 앱을 저장하고 구동시키기 위한 메모리 및 CPU, 그리고 e-시가레트(10)와의 무선 통신을 착수하고 유지하도록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 수단을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원격 디바이스는 태블릿, 랩톱, 스마트 TV 등과 같은, 이러한 능력들을 갖춘 디바이스일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다시 도 1 및 4를 참조하면, 이제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은, 본원에서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들의 이전 흡연 레벨들과 의미있게 관련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그들의 베이핑 레벨들을 모니터링하고 측정(gauge)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더 상세히,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은 자체적으로 또는 스마트 폰(400)과 같은 원격 디바이스와 함께 동작하는 EVPS(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1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EVPS는 페이로드로부터 증기/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동작 가능하다.
또한, EVPS는 흡입 데이터를 분량 프로세서(dosage processor)에 공급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분량 프로세서는 EVPS의 프로세서(50) 또는 원격 디바이스의 프로세서(410)일 수 있거나, 또는 분량 프로세서의 역할은, 예컨대, 이들 2개의 물리적 프로세서들 간에 공유될 수 있다.
흡입 데이터는, 전형적으로 흡입(퍼프(puff))마다 기반하지만 선택적으로 분당, 시간당, 일당 또는 주당과 같은 미리 결정된 시간에 걸쳐 누적 기반으로, 또는 매 5 회, 10 회, 또는 5 또는 10의 임의의 적절한 배수, 예컨대, 최대 100 회와 같은 미리 정해진 수의 퍼프들마다, 사용자에 의해 실질적으로 흡입된 페이로드의 양을 나타낸다.
분량 프로세서에 공급된 흡입 데이터는 간단한 센서 측정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 증발되어 사용자에 의해 흡입되는 페이로드의 양의 최종 표시가 분량 프로세서에 의해 후속적으로 계산됨 ― , 또는 흡입 데이터는 미리 계산된 형태로 분량 프로세서에 제공될 수 있고, 그 계산은, 예컨대, EVPS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센서 측정들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의해 실질적으로 흡입된 페이로드의 양을 나타내는 흡입 데이터는 다음 4개의 기법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멍청한 기법들을 사용하여 추정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실질적으로 흡입되는 페이로드의 양은 가열기/카토마이저를 통과하는 기류로부터 제1 근사치(approximation)로 추정될 수 있다. 발생되는 증기의 양은 퍼프 동안 EVPS를 통과하는 공기의 볼륨에 비례한다고 가정될 수 있다. 비례는 선형 또는 비선형일 수 있으며,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발생된 모든 증기 또는 미리 결정된 비율을 흡입한다고 가정될 수 있다. 다시, 미리 결정된 비율이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은 기류 센서 데이터를 분량 프로세서에 공급하도록 동작 가능한 기류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분량 프로세서는 기류 센서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흡입량을 계산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사용자에 의해 실질적으로 흡입되는 페이로드의 양은, 퍼프 동안 EPVS를 통과하는 공기의 볼륨 및 또한 가열기의 온도 프로파일 또는 동등하게 비-가열 기반 아토마이저(사용되는 경우)의 활성화 속도에 기반하여, 제2 근사치로 추정될 수 있다. 발생된 증기의 양은 페이로드에 대한 증발 온도 이상에서 가열기의 온도에 비례한다고 가정될 수 있고 따라서 제1 근사치의 추정치를 수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비례는 선형 또는 비선형일 수 있으며,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분량 프로세서는 온도 센서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흡입 프로파일을 계산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증발되어 사용자에 의해 흡입되는 페이로드의 양은, 퍼프 동안 EVPS를 통과하는 공기의 볼륨, 가열기의 온도 프로파일 및 공기의 볼륨에 대한 기류 속도 프로파일(airflow rate profile)에 기반하여, 제3 근사치로 추정될 수 있다. 기류 속도는 흡입 깊이 및 따라서 폐들(lungs) ― 여기서 페이로드가 혈류에 흡수될 수 있음 ― 깊숙이 도달하는 페이로드의 양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positive correlation)를 갖는다. 따라서 빠른 기류는 폐들에 도달하는 페이로드의 더 큰 비율을 나타내는 반면에, 더 느린 기류는 폐들에 도달하는 페이로드의 더 작은 비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흡입되는 증기의 양은 기류 속도에 비례하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으며, 제1 또는 제2 근사치들의 추정치를 수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비례는 선형 또는 비선형일 수 있으며,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분량 프로세서는 기류 센서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흡입 프로파일을 계산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 프로파일의 적분(integral)은 제1 근사치에서 언급된 전체 양과 동일할 것이다.
증발되어 사용자에 의해 흡입되는 페이로드의 양은, 가열기 온도와 기류 속도 사이의 상호작용(interplay)에 기반하여, 제3 근사치의 개선으로서, 제4 근사치로 추정될 수 있다. 가열기 온도가 페이로드의 증발 온도를 초과하지만 이에 가까울 때, 이는 폐들로 더 쉽게 운반되는 매우 미세한 증기/에어로졸 입자들을 감소시키지만,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발 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이는 또한 폐들로 덜 쉽게 운반되는 더 큰 증기/에어로졸 입자들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온도 프로파일 및 기류 속도 프로파일은, 예컨대, 높은 기류가 미세 입자 생성 ― 깊은 폐들에서 많은 증기 흡수를 나타냄 ― 과 일치하는지 여부, 또는, 예컨대, 더 낮은 기류가 큰 입자 감소 ― 깊은 폐들에서 적은 증기 흡수를 나타냄 ― 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함께 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프로파일 및 기류 속도 프로파일은 생성된 증기 ― 그 자체로 생성된 증기의 양은 퍼프 동안 EVPS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체 볼륨으로부터 추정됨 ― 의 흡입의 추정된 효과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제2 또는 제3 근사치들의 추정치를 수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가중치는 선형 또는 비선형일 수 있으며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분량 프로세서는 온도 센서 데이터 및 기류 센서 데이터 둘 모두에 대한 응답으로 흡입 프로파일을 계산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분량 프로세서는, 추정치 자체를 계산하기 위해, 센서 데이터를 (예컨대, 압력 센서(62), 온도 센서(63) 및 선택적으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센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예컨대, 분량 프로세서가 EVPS와 페어링된 스마트 폰에 있는 경우, 분량 프로세서/스마트 폰은, EVPS의 프로세서에 의해 계산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실질적으로 흡입된 페이로드 양의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계산된 추정치를 흡입 데이터로서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EVPS에 의한 압력 데이터 측정치들은, 스마트 폰으로 송신되기 전에, EVPS의 프로세서에 의해 기류 속도 데이터 또는 유동 볼륨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분량 프로세서는, EVPS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pharmacokinetic data) 및 흡입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혈류로 전달되는 니코틴과 같은 활성 성분의 양을 계산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약동학 데이터는,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흡입한 증기의 양과 사용자의 혈액에 전달된 활성 성분의 양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제1 예시에서, 이 데이터는, 위에서 설명된 흡입 데이터가 획득된 정해진 퍼프 동안 흡수되는 증기에서 활성 성분의 비율의 추정치로 제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추가로, 약동학 데이터는 체내에서 비활성 상태로의 활성 성분의 신진대사(metabolism) 속도 또는 동등하게 활성 성분의 배출 속도에 대한 추정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그런 다음, 선택적으로 흡입들이 발생하는 시간의 기록과 관련하여, 체내에서 여전히 대사되는 기존의 활성 성분, 및 현재 퍼프에서 흡수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부가적인 활성 성분으로 인해 사용자의 총 활성 성분에 대한 추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약동학 데이터는, 알려진 양의 증기를 적어도 하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통계적으로 상당한 샘플의 테스트 사용자들에 전달하고, 후속적으로 그들의 혈액 내 활성 성분의 레벨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경험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분량 프로세서는, 경험적 테스팅 동안에 사용된 전달된 알려진 양의 증기 양과 비교하여, 흡입 데이터에 따라 현재 퍼프에서 사용자에 의해 흡입된 증기의 유효량의 비율을 곱한, 약동학 데이터에 의해 표시된 양과 동일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혈류에 추가된 활성 성분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된 증기의 유효량이 테스트 경우와 동일하였다면, 분량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혈액 공급에 추가된 활성 성분의 양이 약동학 데이터에 표시된 양과 동일하다고 계산할 것이다. 한편, 흡입된 증기의 계산된 유효량(effective amount)이 테스트 경우에서의 양의 절반인 경우, 분량 프로세서는, 공급으로서 이들에 추가된 활성 성분의 양이 약동학 데이터에 표시된 양의 절반과 동일하다고 계산할 수 있다.
위의 계산은, 예컨대, 일회용 e-시가레트들 또는 교체 페이로드가 고정된 유형이고 결과적으로 어떠한 다른 변수들도 고려될 필요가 없는 다른 전자 시가레트들에 적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추정치는, 추가 데이터를 이용가능한 경우 선택적으로 개선(refine)될 수 있고, 예컨대, 이러한 변수들이 혈류로 흡수되는 활성 성분의 양에서 관련있는 차이를 생성하는 경우, 상이한 증기 입자 크기들 및/또는 상이한 흡입 프로파일들(예컨대, 짧고 빠른 심호흡, 짧고 느린 얕은 호흡 및/또는 길고 느린 심호흡)에 대해 별개의 약동학 데이터가 도출될 수 있다. 상이한 약동학 데이터의 세트들을 획득하기 위해, 활성 성분의 흡수에 관련된 이들 또는 다른 변수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이 테스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증기 입자 크기들 및/또는 흡입 프로파일이 현재 퍼프에 대해 추정된 경우, 선택적으로 현재 흡입되는 증기의 유효량의 추정치를 개선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경우, 대응하는 약동학 데이터의 세트가 선택될 수 있거나, 예컨대, 추정된 증기 입자 크기와 흡입 프로파일 사이의 상대적 차이와 약동학 데이터의 가장 가까운 2개의 세트들의 값들의 함수로서, 약동학 데이터의 2개의 세트들이 보간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EVPS 시스템들에 대해, 사용자가 이전 페이로드 또는 EVPS와 함께 제조업체에 의해 공급되는 페이로드와 같은 디폴트 페이로드와 상이한 농도의 활성 성분을 가질 수 있는 교체 페이로드를 구매할 수 있음이 인지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분량 프로세서는, 테스팅 동안 사용된 페이로드의 활성 성분의 농도에 관련하여 현재 페이로드의 활성 성분의 상대적 농도에 따라 사용자의 혈액 공급에 추가될 것으로 추정되는 활성 성분의 양을 스케일링할 수 있다.
페이로드에서 활성 성분의 상대적 농도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에 입력될 수 있고, 예컨대, EVPS 상의 다이얼 또는 슬라이더는 공통 농도로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예컨대, 다이얼 또는 슬라이더는 가변 저항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가변 저항기의 값이 측정되고 의도된 농도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농도는 원격 디바이스(400)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또는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농도는 교체 페이로드의 패키징 상의 QR 코드 또는 다른 기계 판독 가능 마커로부터 판독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농도는 미리 결정된 데이터 규칙에 따라 마커의 데이터 내에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마커는 페이로드를 식별할 수 있으며, 대응하는 농도는 스마트 폰 또는 다른 연결된 디바이스의 로컬에 의해 보유되거나, 또는 따라서 새로운 제품들로 쉽게 업데이트될 수 있는 중앙 서버에 보유된 룩업 테이블로부터 리트리브(retrieve)될 수 있다. 그러한 서버는 본원에서 나중에 설명된다.
아무튼, 따라서 증발을 위한 페이로드는 EVPS 내의 페이로드의 설치/사용 전에 분량 프로세서에 등록되며, 분량 프로세서는 등록된 페이로드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응답으로 EVPS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를 사용한다. 이 약동학 데이터가 동일한 약동학 데이터일 수 있지만, 본원에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경험적 테스팅 동안 사용된 농도와 비교하여 상대적인 농도에 따라 스케일링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선택적으로, 별개의 지역 전력 설정들(district power settings)(예컨대, 10W, 15W 또는 20W)에서 동작할 수 있는 EVPS 시스템에 대해, 각각의 설정에 대해 별개의 약동학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완전한 데이터는, 해당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다른 설정들로 변환하기 위한 스케일링 팩터를 결정하기 위한 충분한 테스팅과 관련하여 하나의 설정에 대해 획득될 수 있다.
아무튼, 따라서 분량 프로세서는, EVPS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 및 흡입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혈류로 전달되는 활성 성분의 양을 계산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별개로, 약동학 데이터는 하나의 기준 시가레트로부터 혈액으로 전달되는 활성 성분의 양일 수 있거나 이를 보여주기 위해 획득될 수 있다. 니코틴에 대해, 이러한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는 산업 표준 기준 시가레트가 존재한다. 다른 활성 성분들에 대해, 상이한 기준 시가레트들이 테스팅될 수 있음이 인지될 것이다. 따라서, 더 일반적으로, 약동학 데이터는 관념적인 표준 시가레트, 시가, 파이프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 또는 담배 흡연 또는 대마초와 같은 대체 식물을 위한 다른 흡연 장치에 대해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후자 경우에서, (혈중 알코올 농도들에서와 같이), 소비 제한들이 법적으로 시행될 수 있으며, 혈액 농도 제한 및/또는 미리 결정된 수의 면허(및 표준) 제품의 소비를 참조하여 소비를 제한할 수 있는 경우에, 약동학적 등가성(pharmacokinetic equivalence)에 기반하여 등가의 베이핑 양을 결정하는 것이 특히 유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의 혈류에 추가된 활성 성분의 추정된 양, 및 선택적으로 누적된 양이 또한 사용자에게 유용하게 제공될 수 있음이 또한 인지될 것이다. 유사하게, 예컨대, 인간의 신체 모델에 기반하여 가능한 혈액량을 결정하기 위해 체중 및 선택적으로 신장(height)과 같은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 설명자들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혈액 내 농도의 추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무튼, 그런 다음, 분량 프로세서는,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에 기반하여, 계산된 활성 성분의 양을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예컨대, 시가레트들)의 등가의 수로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따라서 분량 프로세서는 혈류에 의해 흡수된 활성 성분의 양과 관련하여 현재 퍼프에 대해 종래의 연소 제품들의 비율이 어떤 비율을 나타내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이것이 EVPS 및 시가레트와 같은 표준 연소 제품의 사용자의 생리학에 대한 비교 효과들에 관련되기 때문에, 이는 사용자에게 의미있는 비교를 제공한다. 이로써, 이는, 예컨대, 퍼프들의 수, 배터리 소모 또는 사용된 페이로드 추정치(예컨대, 페이로드 교체들 사이의 퍼프들의 수의 기록에 기반함)와 같은 소비의 대리 측정(proxy measure)보다 더 정확하고 사용자의 주관적인 경험과 관련성이 더 높다.
그런 다음,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예컨대, 시가레트들)의 등가의 수를 표시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전형적으로, 이것은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의 일부로서 EVPS와 페어링된 스마트 폰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 상의 그래픽 또는 텍스트 디스플레이의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예컨대, 개별 퍼프는 종래의 시가레트의 5 %에 대응하는 것으로 보고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시가레트의 그래픽 표현은 대응하는 양만큼 소비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유사한 효과를 위해 그래픽 또는 텍스트 디스플레이가 EVPS 자체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러한 디스플레이가 EVPS 상에서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선택적으로 종래의 시가레트의 임계 비율과 등가의 비율이 소비되는 때를 나타내기 위해 조명, 또는 버저(buzzer)와 같은 다른 상태 표시자(status signifier)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퍼프 당 소비되는 시가레트의 등가량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그래픽 보고를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사용자들이 더 긴 시간스케일에 걸쳐 이 등가량을 추정하기를 원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분량 프로세서는 다음의 기간들: 오늘, 이번 주, 이번 달, 이번 연도 및 현재 설치된 페이로드의 지속기간 동안 중 하나 이상 동안 등가의 연소 제품들의 누적 카운트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예컨대, 그들이 하루에 N개의 표준 시가레트들을 흡연하는 것과 등가의 양을 흡연하는지를 알 수 있고, 여기서 N은 개인 목표 또는 그들이 단순히 흡연에 사용한 양이다.
선택적으로, 표준 시가레트와 같은 표준 연소 제품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는 또한 혈류로의 다른 성분들의 흡수를 나타낼 수 있고, 이 경우에, 선택적으로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혈류에 흡수되지 않은 설계 활성 성분과 다른 성분들의 등가의 양을 나타낼 수 있다.
유사하게 선택적으로, 페이로드 비용이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에 입력되거나 대안적으로 페이로드가 미리 패키징된 EVPS의 일부인 경우, 또는 계산 목적상 비용이 사실상 무시할 수 있는 경우, 현재 권장된 소매점 가격, 표준 시가레트들의 등가의 수의 비용 및 EVPS를 사용하여 획득된 사용자의 유효 절약금액이 또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표준 연소 제품 외에도, 하나 이상의 브랜드 연소 제품들(예컨대, 특정 브랜드들의 시가레트와 같은 브랜드 담배 제품들 또는 다른 흡연 제품들)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가 유사하게 획득될 수 있다. 그 또는 각각의 브랜드 연소 제품을 소비함으로써 흡수된 활성 성분의 양은 표준 연소 제품을 소비함으로써 흡수된 양의 배수로 식별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비교 목적들로 브랜드 연소 제품(예컨대, EVPS를 사용하기 전에 그들이 사용한 특정 브랜드)을 선택할 수 있으며, 표준 연소 제품들의 등가의 수는 브랜드 연소 제품의 등가의 수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 배수로 스케일링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더 직관적이며, 그들이 소비 레벨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대안적으로, 예컨대, 시스템의 초기 사용시, 이들은 표준 시가레트로 사용할 브랜드 연소 제품을 선택하도록 촉구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해당 브랜드 연소 제품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가 표준 담배 대신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에 변환은 1의 배수가 될 것이거나, 완전히 스킵될 수 있다.
본원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EVPS는 분량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분량 프로세서의 일부 단계들을 구현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본원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EVPS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잠재적으로 더 풍부하고 더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EVPS는, 본원에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와 페어링되어, 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그리고 또한 폰의 자체 프로세서를 통해 분량 프로세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는 앱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400)는 사용자에 의한 흡입에 대한 응답으로 페이로드로부터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EVPS(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10)로부터 흡입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수신기(440)(예컨대, 본원에서 앞서 설명된 Bluetooth® 수신기); EVPS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 및 흡입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혈류로 전달되는 활성 성분의 양을 계산하도록 동작 가능한, 스마트 폰 CPU와 같은 분량 프로세서(410) ― 분량 프로세서는, 기준 종래의 연소 시가레트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에 기반하여, 계산된 활성 성분의 양을 기준 종래의 시가레트들의 등가의 수로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함 ― ;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준 종래의 시가레트들의 등가의 수를 표시하도록 동작 가능한 디스플레이(418)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그들 자신의 페이로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에,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EVPS에서 사용되는 페이로드의 유형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한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량 프로세서는 식별된 페이로드의 유형과 연관된 활성 성분의 농도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의 혈류로 전달되는 활성 성분의 양을 계산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이 경우에, 입력부는 농도 레벨을 입력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가상 키보드 또는 드롭 다운 메뉴일 수 있거나, 또는 페이로드 컨테이너 또는 그의 패키징 상의 QR 코드 또는 유사한 기계 판독 가능 마커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스마트 폰의 카메라일 수 있다. 유사하게, 활성 성분의 농도는 식별된 페이로드와 연관된 룩업 테이블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여기서 룩업 테이블은 스마트 폰 또는 원격 서버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된다.
특히,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와 연관된 앱은 원칙적으로 다수의 유형들의 EVPS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사용되는 EVPS의 유형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한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량 프로세서는, 예컨대, 다른 룩업 테이블에서 식별된 EVPS의 유형과 연관된 수정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의 혈류로 전달되는 활성 성분의 양을 계산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고, 여기서 룩업 테이블은 스마트 폰 또는 원격 서버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된다.
다시, 입력부는 EVPS의 유형을 입력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가상 키보드 또는 드롭 다운 메뉴일 수 있거나, 또는 EVPS 또는 그의 패키징 상의 QR 코드 또는 유사한 기계 판독 가능 마커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스마트 폰의 카메라일 수 있다.
예시적인 수정 데이터는, 예컨대, 특정 EVPS 내의 중앙 기류의 개개의 단면적에 관련될 수 있고, 동적 압력의 등가의 변화에 대해, 유량 및 총 유동이 EVPS의 단면적에 따라 변할 것이라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유사하게, 수정 데이터는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의 특정 응답 프로파일에 관련될 수 있어서, 이 전구체 단계가 EVPS 자체에 의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이러한 센서의 센서 데이터가 정확하게 해석될 수 있다. 유사하게, 수정 데이터는 가열기의 출력을 특성화하는 파라미터에 관련될 수 있고, 예컨대, 상이한 가열기들은 그들의 크기 및/또는 페이로드와의 그들의 상호작용의 성질에 의존하여, 동일한 온도에 대해 상이한 양들의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수정 데이터의 임의의 적절한 수용(accommodation)이 EVPS와 연관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후속적으로, 본원에서 앞서 설명된 계산들은 그에 따라, 예컨대, 공기 흐름 보정 파라미터에 따라 흡입량 또는 흡입 프로파일을 스케일링하고, 가열기 보정 파라미터에 대한 응답으로 온도 프로파일, 증기 밀도 및/또는 입자 크기 예측을 수정하고, 그리고/또는 대응하는 센서 보정 파라미터에 따라 임의의 센서 데이터를 수정하여, 수정될 수 있다.
본원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따라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및 EVPS는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으로서 함께 동작할 수 있다.
본원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브랜드 담배 제품 특정 수정 데이터, 페이로드 특정 수정 데이터 및/또는 EVPS 특정 수정 데이터에 관련된 일부 또는 모든 데이터는 서버에 보관되고,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또는 잠재적으로 EVPS로부터의 질의(enquiry)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될 수 있다(예컨대, 독립적으로 Wi-Fi가 가능하거나, 또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를 데이터 액세스 포인트로서 사용하는 경우).
따라서,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서버는 수정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 요청은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의 EVPS(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내에 설치될 페이로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종래의 시가레트들의 등가의 수를 표시할 때 사용되는 브랜드 담배 제품; 및 EVPS로 구성된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에 대한 식별 데이터를 포함함 ― ; 식별 데이터와 대응하는 수정 데이터를 연관시키는 개개의 룩업 테이블을 포함하는 메모리; 룩업 테이블로부터 수신된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정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한 프로세서; 및 획득된 수정 데이터를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페이로드에 대한 수정 데이터는 절대 값으로서 또는 경험적 테스트들에 비해 페이로드 내의 활성 성분의 농도 레벨,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브랜드 담배 제품에 대한 수정 데이터는 표준 시가레트와 비교하여 가상 사용자에게 흡수되는 활성 성분의 총량에 대한 배수,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EVPS에 대한 수정 데이터는 절대 단면적 또는 디폴트 면적에 비해 EVPS의 단면적에 대한 스케일링 값을 나타낼 수 있고, 그리고/또는 보정 파라미터는 EVPS의 가열기 및/또는 센서들의 특성들에 관련된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대응하는 증기 모니터링 방법은:
- 제1 단계(s810)에서, 흡입 데이터를 분량 프로세서에 공급하는 단계;
- 제2 단계(S820)에서, 분량 프로세서에 의해, EVPS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 및 흡입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혈류로 전달되는 활성 성분의 양을 계산하는 단계;
- 제3 단계(s830)에서, 분량 프로세서에 의해,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에 기반하여, 계산된 활성 성분의 양을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의 등가의 수로 변환하는 단계; 및
- 제4 단계(s840)에서, 디스플레이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의 등가의 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설명되고 청구된 바와 같은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동작에 대응하는 위에서의 방법의 변형들이, 다음의 것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고려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 기류 센서 데이터를 분량 프로세서에 공급하는 단계, 및 분량 프로세서에서, 기류 센서 데이터로부터 흡입 프로파일을 계산하고, 흡입 프로파일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의 혈류로 전달되는 활성 성분의 양을 계산하는 단계;
- 분량 프로세서는 EVPS에 있음;
- 분량 프로세서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와 같은 원격 디바이스에 있고,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원격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
- 룩업 테이블에서, 하나 이상의 브랜드 연소 제품들에 대해,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에 비해, 사용자에게 전달된 활성 성분의 양을 룩업하는 단계, 및 룩업 테이블의 표시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의 등가의 수를 브랜드 연소 제품들 중 하나 이상의 등가의 수로 변환하는 단계;
- 오늘, 이번 주, 이번 달, 이번 연도, 및 현재 설치된 페이로드로 구성된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에 대한 등가의 연소 제품들의 누적 카운트를 유지하는 단계; 및
- EVPS 내의 페이로드의 설치 전에 페이로드 증발을 분량 프로세서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계산하는 단계는 등록된 페이로드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응답으로 EVPS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베이핑 모니터링 방법은:
- 제1 단계(s910)에서, 수신기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흡입에 대한 응답으로 페이로드로부터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EVPS(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로부터 흡입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제2 단계(s920)에서, 분량 프로세서에 의해, EVPS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 및 흡입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혈류로 전달되는 활성 성분의 양을 계산하는 단계;
- 제3 단계(s930)에서, 분량 프로세서에 의해,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에 기반하여, 계산된 활성 성분의 양을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의 등가의 수로 변환하는 단계; 및
- 제4 단계(s940)에서, 디스플레이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의 등가의 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시, 본원에서 설명되고 청구된 바와 같은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동작에 대응하는 위에서의 방법의 변형들이, 다음의 것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고려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 EVPS에서 사용되는 페이로드의 유형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 및 식별된 페이로드의 유형과 연관된 활성 성분의 농도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의 혈류로 전달되는 활성 성분의 양을 분량 프로세서에서 계산하는 단계;
- 사용되는 EVPS의 유형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입력부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 및 식별된 EVPS의 유형과 연관된 수정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의 혈류로 전달되는 활성 성분의 양을 분량 프로세서에서 계산하는 단계; 및
- 원격 서버로부터 식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함.
마지막으로, 이제 도 10을 참조하면, 서버에 대한 베이핑 모니터링 방법은:
- 제1 단계(s1010)에서, 수정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요청은 다음으로 구성된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에 대한 식별 데이터를 포함함 ―
i.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의 EVPS(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내에 설치될 페이로드;
ii.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종래의 연소 제품들의 등가의 수를 표시할 때 사용되는 브랜드 연소 제품; 및
iii. EVPS,
- 제2 단계(s1020)에서, 식별 데이터와 대응하는 수정 데이터를 연관시키는 룩업 테이블로부터 수신된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 제3 단계(s1030)에서, 획득된 수정 데이터를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의 방법들은 소프트웨어 명령에 의해 또는 전용 하드웨어의 포함 또는 대체에 의해 적용가능할 때 적합하게 적응되는 종래의 하드웨어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등가 디바이스의 기존 부품들에 필요한 적응(adaptation)은, 플로피 디스크, 광학 디스크, 하드 디스크, PROM, RAM, 플래시 메모리 또는 이들 또는 다른 저장 매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비-일시적 기계-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프로세서 구현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종래의 등가 디바이스를 적응시키는 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구성가능 회로(configurable circuit)로서 하드웨어에서 실현될 수 있다. 별도로,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이더넷, 무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이들 또는 다른 네트워크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신호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Claims (25)

  1.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vaping monitor system)으로서,
    사용자의 흡입에 대한 응답으로 페이로드(payload)로부터 증기를 발생시키고, 분량 프로세서(dosage processor)에 흡입 데이터를 공급하도록 동작 가능한 EVPS(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상기 EVPS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 및 상기 흡입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혈류로 전달되는 활성 성분(active ingredient)의 양을 계산하도록 동작 가능한 분량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분량 프로세서는,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reference conventional combustion products)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pharmacokinetic data)에 기반하여, 상기 계산된 활성 성분의 양을 상기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의 등가의 수로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의 등가의 수를 표시하도록 동작 가능한,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기류 센서 데이터(airflow sensor data)를 상기 분량 프로세서에 공급하도록 동작 가능한 기류 센서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분량 프로세서는 상기 기류 센서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흡입 프로파일을 계산하고, 상기 흡입 프로파일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의 혈류에 전달되는 상기 활성 성분의 양을 계산하도록 동작 가능한,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온도 센서 데이터를 상기 분량 프로세서에 공급하도록 동작 가능한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분량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 센서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흡입 프로파일을 계산하고, 상기 흡입 프로파일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의 혈류로 전달되는 상기 활성 성분의 양을 계산하도록 동작 가능한,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VPS는 상기 분량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EVPS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
  6.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격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원격 디바이스는 상기 분량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브랜드 연소 제품들(branded combustion products)에 대해, 상기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에 비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된 상기 활성 성분의 양을 나타내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분량 프로세서는, 상기 룩업 테이블의 표시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의 등가의 수를 상기 브랜드 연소 제품들 중 하나 이상의 등가의 수로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한,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량 프로세서는 i. 오늘; ii. 이번 주; iii. 이번 달; iv. 이번 연도; 및 v. 현재 설치된 페이로드로 구성된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에 대해 등가의 연소 제품들의 누적 카운트(cumulative count)를 유지하는,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발을 위한 페이로드는 상기 EVPS 내의 상기 페이로드의 설치 전에 상기 분량 프로세서에 등록되고, 그리고
    상기 분량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된 페이로드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EVPS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를 사용하는,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
  11. 사용자에 의한 흡입에 대한 응답으로 페이로드로부터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EVPS(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로부터 흡입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수신기;
    상기 EVPS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 및 상기 흡입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혈류로 전달되는 활성 성분의 양을 계산하도록 동작 가능한 분량 프로세서 ― 상기 분량 프로세서는,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계산된 활성 성분의 양을 상기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의 등가의 수로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함 ― ;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의 등가의 수를 표시하도록 동작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EVPS에서 사용되는 페이로드의 유형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한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분량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페이로드의 유형과 연관된 활성 성분의 농도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의 혈류로 전달되는 상기 활성 성분의 양을 계산하도록 동작 가능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13. 제11 항 또는 제12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EVPS의 유형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한 입력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분량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EVPS의 유형과 연관된 수정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의 혈류로 전달되는 상기 활성 성분의 양을 계산하도록 동작 가능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14.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데이터는 원격 서버로부터 획득되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15.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서버로서,
    수정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상기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 상기 요청은: i. 상기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의 EVPS(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내에 설치될 페이로드; ii.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종래의 연소 제품들의 등가의 수를 표시할 때 사용되는 브랜드 연소 제품; 및 iii. EVPS로 구성된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에 대한 식별 데이터를 포함함 ― ;
    상기 식별 데이터와 대응하는 수정 데이터를 연관시키는 개개의 룩업 테이블을 포함하는 메모리;
    상기 룩업 테이블로부터 수신된 상기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수정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한 프로세서; 및
    상기 획득된 수정 데이터를 상기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는,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서버.
  16. 흡입 데이터를 분량 프로세서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분량 프로세서에 의해, EVPS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 및 상기 흡입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혈류로 전달되는 활성 성분의 양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분량 프로세서에 의해,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계산된 활성 성분의 양을 상기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의 등가의 수로 변환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의 등가의 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기 모니터링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기류 센서 데이터를 상기 분량 프로세서에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분량 프로세서에서, 상기 기류 센서 데이터로부터 흡입 프로파일을 계산하고, 상기 흡입 프로파일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의 혈류로 전달되는 활성 성분의 양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기 모니터링 방법.
  18. 제16 항 또는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량 프로세서는 EVPS에 있는,
    증기 모니터링 방법.
  19. 제16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량 프로세서는 원격 디바이스에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기 모니터링 방법.
  20. 제16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룩업 테이블에서, 하나 이상의 브랜드 연소 제품들에 대해, 상기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에 비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된 활성 성분의 양을 룩업하는 단계; 및
    상기 룩업 테이블의 표시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의 등가의 수를 상기 브랜드 연소 제품들 중 하나 이상의 등가의 수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기 모니터링 방법.
  21. 제16 항 내지 제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 오늘; ii. 이번 주; iii. 이번 달; iv. 이번 연도; 및 v. 현재 설치된 페이로드로 구성된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에 대한 등가의 연소 제품들의 누적 카운트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기 모니터링 방법.
  22. 제16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VPS 내의 상기 페이로드의 설치 전에 페이로드 증발을 분량 프로세서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등록된 페이로드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EVPS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기 모니터링 방법.
  23. 수신기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흡입에 대한 응답으로 페이로드로부터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EVPS(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로부터 흡입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분량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EVPS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 및 흡입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혈류로 전달되는 활성 성분의 양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분량 프로세서에 의해,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에 대한 약동학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계산된 활성 성분의 양을 상기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의 등가의 수로 변환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기준 종래의 연소 제품들의 등가의 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베이핑 모니터링 방법.
  24. 서버에 대한 베이핑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수정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요청은: i. 상기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의 EVPS(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내에 설치될 페이로드; ii.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종래의 연소 제품들의 등가의 수를 표시할 때 사용되는 브랜드 연소 제품; 및 iii. EVPS로 구성된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별 데이터를 포함함 ― ;
    상기 식별 데이터와 대응하는 수정 데이터를 연관시키는 룩업 테이블로부터 수신된 상기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수정 데이터를 상기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에 대한 베이핑 모니터링 방법.
  25.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컴퓨터 시스템으로 하여금 제16 항 내지 제2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217018753A 2018-12-21 2019-12-10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 및 방법 KR102614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821088.0 2018-12-21
GBGB1821088.0A GB201821088D0 (en) 2018-12-21 2018-12-21 Vaping monitor system and method
PCT/GB2019/053484 WO2020128431A1 (en) 2018-12-21 2019-12-10 Vaping monitor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294A true KR20210091294A (ko) 2021-07-21
KR102614519B1 KR102614519B1 (ko) 2023-12-14

Family

ID=6536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8753A KR102614519B1 (ko) 2018-12-21 2019-12-10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071295A1 (ko)
EP (1) EP3897251A1 (ko)
JP (1) JP7201160B2 (ko)
KR (1) KR102614519B1 (ko)
CA (1) CA3123775A1 (ko)
GB (1) GB201821088D0 (ko)
RU (1) RU2769183C1 (ko)
WO (1) WO20201284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010609D0 (en) * 2020-07-10 2020-08-26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system
WO2022249445A1 (ja) * 2021-05-28 2022-12-0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端末、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WO2024064885A2 (en) * 2022-09-23 2024-03-28 Scientific Horizons Consult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erosolization emiss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0477A (ko) * 2011-01-07 2012-07-17 한상천 전자 담배
KR20150046318A (ko) * 2012-08-28 2015-04-29 카인드 컨슈머 리미티드 니코틴 조성물
KR20160130143A (ko) * 2015-04-30 2016-11-10 (주)차남들 전자 담배 흡연량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7538410A (ja) * 2014-12-05 2017-12-28 ジュール・ラブ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Juul Labs, Inc. 調整された投与量の制御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2797447T (pt) * 2011-12-30 2017-10-26 Philip Morris Products Sa Sistema gerador de aerossol com consumo monitorizado e feedback
EP3402225A1 (en) * 2013-05-20 2018-11-14 Nu Mark Innovations Ltd Application development for a network with an electronic cigarette
CN103653261B (zh) * 2013-12-13 2016-03-23 上海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电子烟
CN106455705A (zh) * 2014-01-22 2017-02-22 方特慕控股第私人有限公司 用于吸烟欲望救济的方法和装置
CN106793827B (zh) * 2014-04-21 2019-10-22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通信方法以及数据通信系统
ES2898173T3 (es) * 2014-06-30 2022-03-04 Syqe Medical Ltd Dispositivos y sistemas para la administración pulmonar de principios activos
IL273507B2 (en) * 2014-06-30 2024-06-01 Syqe Medical Ltd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administering active substances through the lungs
EP3403207A4 (en) * 2016-01-11 2019-08-28 Syqe Medical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DMINISTRATION OF ACTIVE PRINCIPLES
RU2748728C2 (ru) * 2016-09-28 2021-05-31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Системы,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для перехода на потребление генерир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изделия другого тип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0477A (ko) * 2011-01-07 2012-07-17 한상천 전자 담배
KR20150046318A (ko) * 2012-08-28 2015-04-29 카인드 컨슈머 리미티드 니코틴 조성물
JP2017538410A (ja) * 2014-12-05 2017-12-28 ジュール・ラブ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Juul Labs, Inc. 調整された投与量の制御
KR20160130143A (ko) * 2015-04-30 2016-11-10 (주)차남들 전자 담배 흡연량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01160B2 (ja) 2023-01-10
RU2769183C1 (ru) 2022-03-29
WO2020128431A1 (en) 2020-06-25
EP3897251A1 (en) 2021-10-27
JP2022511434A (ja) 2022-01-31
GB201821088D0 (en) 2019-02-06
CA3123775A1 (en) 2020-06-25
US20220071295A1 (en) 2022-03-10
KR102614519B1 (ko)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545B1 (ko)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들에 대한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RU2680444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синхронизации признака для электронных систем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пара
US2019005354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ubstance reduction via electronic vapor device delivery
JP2023130465A (ja) 電子エアロゾル供給システムおよび方法
RU2680224C2 (ru) Разработка приложений для сети с электронной сигаретой
CN113163877B (zh) 用于电子蒸汽供应系统的温度调节系统及方法和可读介质
KR102614519B1 (ko) 베이핑 모니터 시스템 및 방법
US11889870B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flooding detecting function and method therefor
JP7268810B2 (ja) 消費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30240373A1 (en) Electronic vapor provision system and method
US20250000163A1 (en)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monitoring of usage data
RU2800498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потреб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