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0874A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0874A
KR20210090874A KR1020200004152A KR20200004152A KR20210090874A KR 20210090874 A KR20210090874 A KR 20210090874A KR 1020200004152 A KR1020200004152 A KR 1020200004152A KR 20200004152 A KR20200004152 A KR 20200004152A KR 20210090874 A KR20210090874 A KR 20210090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aster
user terminal
locatio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1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명승일
정우석
오승희
이용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04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0874A/en
Publication of KR20210090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87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 G08B21/0283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via a telephone network, e.g. cellular GS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oviding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which includes: a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server which disseminates disaster occurrence and situation information through a text message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user terminal which automatically guides the emergency disaster text received from the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server and provides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emergency text message to the user.

Description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본 발명은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난 발생 시, 국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재난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isaster situation information to ensure public safety in the event of a disaster; it's about how

정부는 다양한 재난 발생에 대한 국민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재난 발생 및 상황 정보를 이동통신망, 방송망, SNS 등과 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관련 정보를 일방적으로 국민들에게 전달하는 재난정보전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The government provides a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service that unilaterally delivers disaster occurrence and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public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broadcasting networks, and SNS to ensure the safety of the people in the event of various disasters. .

종래의 재난 상황 전파 방법은 재난상황 정보 수집한 후 재난관리 기관의 긴급문자를 발송하고, 해당 통신사에서의 통신사의 기지국별 긴급문자를 브로드캐스트하며, 기지국에서 브로드캐스트한 긴급문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이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이 해당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방법이다.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disseminating disaster situation, after collecting disaster situation information, an emergency text message from a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is sent, an emergency text message is broadcast for each base station of the communication company in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company, and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emergency text information broadcast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user terminal. It is a method of receiving and notifying the user terminal to the corresponding user.

이러한, 종래 재난 상황 전파 방법은 재난 상황정보를 개인의 위치와는 상관없이 해당 지역에 사용자 단말을 소유한 모든 국민에게 상황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한다는 장점은 있다. Such a conventional disaster situation propagation method has the advantage of rapidly delivering the disaster situation information to all citizens who own a user terminal in a corresponding area regardless of an individual's location.

그러나 재난 상황정보만 전달될 뿐, 재난 상황에 따른 대처 요령, 대피 여부, 대피소 등의 대응에 필요한 정보들은 제공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However, only disaster situ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responding to disaster situations such as countermeasures, evacuation, and shelter is not provided.

재난 상황정보와 관련하여, 발생 상황 이후의 국민이 가장 요구하는 정보로는 재난 대처 행동 요령, 대피 장소, 대피 경로와 같은 발생 상황 이후의 추가적인 대처 정보 제공을 요구하고 있으나, 재난 종류 및 지역이 다르기 때문에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relation to disaster situation information, the most requested information by the public after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is the provision of additional response information after the occurrence, such as disaster response action tips, evacuation locations, and evacuation routes, but the types and regions of disasters are differen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provide effective information.

또한, 재난 상황 정보 수신 이후에 부가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는 국민들은 민간 제공 웹 또는 행안부에서 제공되는 국민재난안전포털과 같은 웹에 개별적으로 접근해서 정보를 얻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people who want to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after receiving the disaster situation information are getting information by individually accessing the private web or a web such as the National Disaster Safety Portal provid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이와 같이, 개인이 직접 해당 웹사이트에 접근해야 하는 정보들은 정보가 있는 위치를 알고 있는 국민이나 관련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국민들에게만 유익할 뿐 그 외의 대상자들 에게는 활용도가 현저히 낮은 문제점이 있다. As such, the information that an individual needs to directly access the website is beneficial only to the people who know the location of the information or the people who can use the related informatio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tilization is significantly low for other subjects.

또한 국민들의 나이, 장애 유무, 컴퓨터 숙련도, 웹주소 인지 등에 따라 접근성이 달라지므로 재난 상황 정보 및 대응 관련 정보 제공은 최대한 제한적 접근성을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s accessibility varies depending on the age, disability, computer proficiency, recognition of web addresses, etc.,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vision of disaster situation information and response-related information should solve the limited accessibility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재난발생 및 상황정보 수신 시, 개인의 정밀 위치를 기반으로 최적의 재난 대피 장소, 대피 경로, 대피 진행 여부 대응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 및 안내, 추적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when disaster occurs and situ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optimal disaster evacuation site, evacuation route, and evacuation progress response information are continuously provided, guided and tracked based on the precise location of the individual. It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function.

여기서, 개인 위치정보는 지역적으로는 재난지역, 재난 접경지역, 재난위험지역, 안전지역 등으로 구분하거나 재난 방향성으로는 재난진행방향, 재난진행 역방향 등, 개인 위치 공간적으로는 실내/실외, 지하/지상, 도심/농어촌, 산/강/계곡/바다/임야 등으로 위치 인프라 시설로는 학교, 관공서, 방공호, 지하철역 등으로 구분되어 개인 위치 정보를 구체화하거나 세분하여 위치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is divided into disaster areas, disaster border areas, disaster risk areas, safety areas, etc., or disaster progress direction, disaster progress reverse direction, etc., personal location spatially indoor/outdoor, underground/ Location infrastructure facilities such as land, city/rural villages, mountains/river/valley/sea/forest, etc. are divided into schools, government offices, air defense shelters, subway stations, etc., which means that individual location information can be specified or subdivided to distinguish locations.

본 발명에서는 개인의 위치를 기반을 중심으로 재난 상황 시, 필요한 행동 요령 및 대피에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viding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which provides information optimized for necessary action tips and evacuation in a disaster situation based on an individual's loc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장치는 재난 발생 및 상황 정보를 이동통신망의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관련 정보를 전파하는 재난정보전달 서버; 및 상기 재난정보전달 서버로부터 수신된 긴급재난문자를 자동으로 안내하고, 상기 수신된 긴급재난문자에 대응되는 재난대응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server that transmits disaster occurrence and situation information through a text message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user terminal that automatically guides the emergency disaster text received from the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server and provides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emergency text message to the user.

상기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긴급재난문자의 자동 안내 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부; 긴급재난 정보와 그 긴급재난 정보에 대응되는 재난 대응 정보가 매칭되어 사전에 저장된 대응정보 저장부; 수신된 긴급재난문자의 긴급재난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판단부; 및 상기 수신된 긴급재난 정보와 상기 대응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재난 대응 정보를 비교하여 재난 대응 정보를 제공하는 대응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location estimator for estim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hen automatically guiding the received emergency text message; a response information storage unit in which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an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are matched and stored in advance; a risk determination unit that compares the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of the received emergency text message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danger; and a response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oviding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receive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with the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stored in the response information storage unit.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수신된 긴급재난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안전지역으로의 이동정보를 제공하는 안전지역 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further includes a safety area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movement information to a safe area based on the receive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재난 대응 정보를 표시 후 개인 위치를 추정한 정보로부터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경로 표시부; 사용자 단말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여부 판단부; 및 사용자 단말이 안전지역으로 이동 했는지를 판단하는 안전확보 판단부를 더 포함한다. And the user terminal, after displaying the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a rout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ovement route from the information estimated personal location; a movemen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has moved; And it further includes a safet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has moved to the safe area.

또한 상기 위치 추정부는, 수신된 긴급재난문자의 자동 안내 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전에 수신한 사용자 단말의 이전위치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ocation estimator, when automatically guiding the received emergency text messag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displays the receiv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if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not received, the previously received user terminal transfer It is desirable to indicate the location.

본 발명은 기설정된 지인 단말 또는 해당 위치의 구조대 단말에 사용자 안전정보를 전송하는 안전정보 공유부를 더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afety information sharing unit for transmitting user safety information to a preset acquaintance terminal or a rescue team terminal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재난정보전달 서버로부터 이동통신망의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전파되는 긴급재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문자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긴급재난 정보를 자동으로 안내하는 단계; 긴급재난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에서 긴급재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긴급재난 정보를 기 저장된 재난 대응 정보와 비교하여 현 상황에 대한 재난 대응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한 재난 대응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nd in the method of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the disas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erver propagates through a text message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ceiving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automatically guiding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by a text application; estim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extracting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text message; detecting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current situation by comparing the extracte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with pre-stor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at risk by comparing the detect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guiding the user of the determined user risk.

상기 수신된 긴급재난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안전지역으로의 이동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더 포함한다. providing movement information to a safe area based on the receive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and a location of a user terminal; include more

또한 본 발명은 재난 대응 정보를 표시 후 개인 위치를 추정한 정보로부터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이 안전지역으로 이동 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splaying a movement route from information estimating a personal location after displaying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moves;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has moved to a safe area.

그리고 상기 긴급재난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전에 수신한 사용자 단말의 이전위치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in the step of estim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the receiv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displayed, and if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not received, the previously received user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previous location of the terminal.

기설정된 지인 단말 또는 해당 위치의 구조대 단말에 사용자 안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ransmitting user safety information to a preset acquaintance terminal or a rescue team terminal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신된 긴급재난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안전지역으로의 이동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steps of providing movement information to a safe area based on the receive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nclude mor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재난정보전달 서버로부터 긴급재난 정보를 수신한 후 자동으로 출력하는 단계; 자동으로 긴급재난 정보 출력 시, 제2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긴급재난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신된 긴급재난 정보를 기 저장된 재난 대응 정보와 비교하여 현 상황에 대한 재난 대응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검출한 재난 대응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판단된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the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a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server by a first application. automatically outputting after receiving; When the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output, the second application is driven; estimating, by the second applic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detecting, by the second application, emergency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current situation by comparing the receive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with pre-stor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at risk by comparing the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cond application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by the second application, whether the user is at risk.

여기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긴급재난 정보 출력 시,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Here, the first application provide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linked application when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is outp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관리기관으로부터 재난발생에 관련된 초기 정보를 수신하면 재난 상황과 종류, 개인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재난 대응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단편적이고 일방적인 재난정보 전달이 아니라 개인 위치정보 기반으로 재난 대응 정보를 제공하여 실시간으로 대응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iti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is received from a disaster management institution, customiz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is provided based on the disaster situation, type, and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thereby delivering conventional fragmentary and unilateral disaster information. Rather, it has the effect of inducing a response in real time by providing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들의 현재 위치정보를 고려하고 재난관리기관에 발령한 재난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연계 및 비교 분석을 통한 최적의 대피 및 대응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deliver optimal evacu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through linkage and comparative analysis by consider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individuals and collecting disaster location information issued to a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럭도.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장치의 재난 상황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도 5의 현 상황에 대한 재난 대응 정보를 검출(S150)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of FIG. 1;
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disaster situ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of FIG. 1 ;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step of detecting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FIG. 5 ( S150 ).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On the other hand, the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럭도이다.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장치는 재난정보전달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 an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server 100 and a user terminal 200 .

재난정보전달 서버(100)는 재난 발생 및 상황 정보를 이동통신망, 방송망, SNS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파한다. The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server 100 transmits disaster occurrence and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various route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broadcasting network, and an SNS.

사용자 단말(200)은 재난정보전달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긴급재난문자를 자동으로 안내하고, 상기 수신된 긴급재난문자에 대응되는 재난대응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AI 스피커 등과 같이 문자메시지의 수신이 가능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단말이다. The user terminal 200 automatically guides the emergency disaster text received from the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server 100 and provides the user with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emergency text message. The user terminal 200 in this embodiment is a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a text message, such as a smart phone, AI speaker, and the like, in which applications can be installed.

사용자 단말(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추정부(210), 대응정보 저장부(220), 위험 판단부(230) 및 대응정보 제공부(24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location estimation unit 210 , a respons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 a risk determination unit 230 , and a respons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40 .

위치 추정부(210)는 수신된 긴급재난문자의 자동 안내 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추정한다. 위치 추정부(210)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거나 또는 추가 장착되어 구비되어,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청한다. 이러한 위치 추정부(210)는 사용자 단말의 GPS 수신기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추정부(210)는 재난긴급문자 수신 시, 긴급재난문자 수신 시 위치 추정부(210)가 실행될 수 있다.The location estimator 210 estimat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when automatically guiding the received emergency text message. The location estimator 210 is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or is additionally provided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The location estimator 210 may use a GPS receiver of the user terminal. The location estimating unit 210 may be executed by the location estimating unit 210 when receiving an emergency text message or when receiving an emergency text message.

대응정보 저장부(220)는 긴급재난 정보와 그 긴급재난 정보에 대응되는 재난 대응 정보가 매칭되어 사전에 저장된다. 긴급재난 정보에는 재난 종류에 따른 대응 정보를 개인이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에 자체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spons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matches and stores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an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in advance. In the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self-store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in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n individual.

위험 판단부(230)는 수신된 긴급재난문자의 긴급재난 정보와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판단한다. 위험 판단부(230)는 수신되는 긴급재난문자에 포함된 긴급재난 정보에 포함된 재난 해당 지역 정보를 추출하고 개인위치 추정부(210)에서 개인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개인의 단말기 위치가 재난 위험 지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30 compares the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of the received emergency text message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danger.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30 extracts disaster-related area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emergency text message, and receives the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personal location estimation unit 210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personal terminal in the disaster risk area to determine whether it is in

대응정보 제공부(240)는 수신된 긴급재난 정보와 대응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재난 대응 정보를 비교하여 재난 대응 정보를 제공한다. The respons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40 compares the receive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with the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stored in the respons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to provide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대응정보 제공부(240)는 위험 판별부(230)에서 판별된 결과가 위험지역에 포함되어 위험성을 인지하게 되면, 각각 재난 종류에 대한 대응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재난 대응정보 저장부(220)로부터 해당 재난 종류에 속하는 대응 매뉴얼 및 해당 위험 지역과 관련된 부가 정보(대피소, 대피경로 등)를 개인에게 표시한다. When the result determined by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30 is included in the risk area and the risk is recognized, the respons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40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the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that stores response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disaster. The response manual belonging to the type of disaster and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hazardous area (evacuation shelter, evacuation route, etc.) are displayed to the individual.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관리기관으로부터 재난발생에 관련된 초기 정보를 수신하면 재난 상황과 종류, 개인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재난 대응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단편적이고 일방적인 재난정보 전달이 아니라 개인 위치정보 기반으로 재난 대응 정보를 제공하여 실시간으로 대응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itial information related to a disaster is received from a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customiz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is provided based on the disaster situation, type, and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thereby providing a conventional fragmentary and unilateral disaster. It has the effect of inducing a response in real time by providing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rather than information deliver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사용자 단말(200)은 안전지역 정보제공부(250)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afe area information providing unit (250).

안전지역 정보제공부(250)는 수신된 긴급재난 정보와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기반으로 안전지역으로의 이동정보를 제공한다. The safe area information providing unit 250 provides movement information to the safe area based on the receive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들의 현재 위치정보를 고려하고 재난관리기관에 발령한 재난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연계 및 비교 분석을 통한 최적의 대피 및 대응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deliver optimal evacu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through linkage and comparative analysis by consider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individuals and collecting disaster location information issued to a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재난 발생 위치와의 거리 비교를 하고, 위치적으로 안전 여부에 따라 긴급 대피가 필요한 대응이면 가까운 대피소의 위치를 알려주고 대피소까지 이동 여부를 감시 모니터링해서 안전한 곳까지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distance with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individual, and if an emergency evacuation is required according to location safety, the location of a nearby shelter It can inform you and guide you to a safe place by monitoring and monitoring whether you are moving to the shelter.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표시부(260), 이동 여부 판단부(270) 및 안전확보 판단부(280)를 포함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path display unit 260 , a movement status determination unit 270 , and a safety assurance determination unit 280 .

경로 표시부(260)는 재난 대응 정보를 표시 후 개인 위치를 추정한 정보로부터 이동 경로를 표시한다. 이러한 경로 표시부(260)는 최초 위험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개인에게 안전 지역으로의 이동 경로를 표시한다. After displaying the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the route display unit 260 displays the movement route from the information estimating the personal location. The path display unit 260 displays a movement path to the safe area for individuals included in the first danger area.

또한, 이동 여부 판단부(270)는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여부를 판단한다. 이동 여부 판단부(270)는 안전한 지역으로 이동 위치를 추적 모니터링한다. 또한 이동 여부 판단부(270)는 개인에게 권고한 지역으로 이동여부를 판단하고 이동하고 있지 않다면 재차 이동할 것을 권유하는 감시 모니터링 역할 및 이동 위치와 안전한 지역정보를 비교하여 이동 경로를 재차 판단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ovement determination unit 27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200 is moved. The movement determination unit 270 tracks and monitors the movement location to a safe area. In addition, the movement determination unit 270 determines whether to move to the area recommended by the individual and, if not moving, plays a monitoring and monitoring role of recommending moving again, and compares the movement location with safe area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movement path again.

그리고 안전확보 판단부(280)는 사용자 단말(200)이 안전지역으로 이동 했는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안전확보 판단부(280)는 안내한 지역으로 개인의 이동을 완료 했는지를 판단하여 위치적으로 안전이 확보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들은 개인들이 처한 위험 상황에 대한 안전 확보를 신속하게 유도하며, 해당 재난이 화재와 같이 긴급한 대피를 필요한 경우라면 거리가 먼 대피소를 안내하는 것이 아니라 긴급하게 인근 화재 발생 반경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재난별 상황특성에 맞도록 재난 대응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And the safety determination unit 28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200 has moved to the safe area. This, the safety determination unit 280 serve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movement of the individual to the guided area is completed to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al safety is secured. If the disaster requires an urgent evacuation, such as a fire, it can deliver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disaster so that you can quickly get out of the nearby fire radius instead of guiding a distant evacuation center.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현재 위치를 산정하는 방법에 대한 내부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다.It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method for calculating an individual's current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위치 추정부(210)는 수신된 긴급재난문자의 자동 안내 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전에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의 이전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 추정부(210)는 재난 긴급문자 수신 시 현재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산정함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일 예이다. On the other hand, the location estimator 210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received user terminal 200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s received during automatic guidance of the received emergency text message,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 If is not received, the previous location of the previously received user terminal 200 may be displayed. In this way, the location estimator 210 is an example of obtain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when estim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when receiving the emergency text message.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GPS 신호 수신기를 이용하는 경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산정하여 현재의 위치를 판정한다. In general, when a GPS signal receiver is used to determine a location of a user terminal, a current location is determined by receiving a GPS signal and calculating a location.

만약, 수신되지 않는 경우는 GPS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실내 등으로 간주하여 이전에 마지막으로 수신했던 위치 정보를 현재 위치로 산정하게 된다. If it is not received, it is considered that the GPS signal does not reach indoors, etc., and the last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s calculated as the current location.

즉, 위치 추정부(210)는 GPS와 같은 위치 신호를 산정할 수 있는 장치들을 활용하여 위치를 산정하되, GPS 만을 국한하는 것은 아니며, 현재 위치를 계산하거나 파악할 수 있는 다른 장치를 활용도 가능하다. That is, the location estimator 210 calculates a location by using devices capable of calculating a location signal, such as GPS, but is not limited to GPS, and other devices that can calculate or grasp the current location may be used.

이러한 현재 위치의 산정 기능은 최종 안전 확보 판단 시까지 계속해서 수행되며, 최종 안전 확보가 완료될 때에 위치 산정 기능을 완료한다.This function of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is continuously performed until the final safety assurance decision, and the position calculation function is completed when the final safety assurance is completed.

본 발명의 각 구성은 상호간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It is understood that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combined with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안전정보 공유부(29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afety information sharing unit 290 may be further included.

안전정보 공유부(290)는 기설정된 지인 단말 또는 해당 구조 단말에 사용자 안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정보 공유부(290)는 긴급한 대피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는 구조 요원이나 구조대가 도착하기 이전에는 현 위치를 유지하라고 재난 대응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The safety information sharing unit 290 may transmit user safety information to a preset acquaintance terminal or a corresponding rescue terminal. The safety information sharing unit 290 may deliver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to maintain the current location before the arrival of rescue personnel or rescue teams when an urgent evacuation is not requested.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먼저, 재난정보전달 서버로부터 이동통신망의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전파되는 긴급재난 정보를 수신한다(S110).First,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propagated through a text message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received from the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server (S110).

이후, 문자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긴급재난 정보를 자동으로 안내한다(S120). Then, by the text application, the emergency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guided (S120).

이후, 긴급재난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한다(S130).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전에 수신한 사용자 단말의 이전위치를 표시한다. Thereaft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is estimated ( S130 ).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the receiv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displayed, and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not received, the previous location of the previously received user terminal is displayed.

이어서,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에서 긴급재난 정보를 추출한다(S140). Next,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text message (S140).

이후, 상기 추출된 긴급재난 정보를 기 저장된 재난 대응 정보와 비교하여 현 상황에 대한 재난 대응 정보를 검출한다(S150). Thereafter, the extracte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pre-stor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to detect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current situation (S150).

이하, 하기에서는 상기 현 상황에 대한 재난 대응 정보를 검출(S150)하는 단계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tep of detecting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current situation ( S150 )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먼저, 재난 대응 정보를 표시 후 개인 위치를 추정한 정보로부터 이동 경로를 표시한다(S151). First, after displaying the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the movement route is displayed from the information estimating the personal location (S151).

또한, 사용자 단말의 이동 여부를 판단한다(S152).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terminal moves (S152).

그리고 사용자 단말이 안전지역으로 이동 했는지를 판단한다(S153).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terminal has moved to a safe area (S153).

이어서, 검출한 재난 대응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판단한다(S160). 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s at risk by comparing the detect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160).

이후, 판단된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사용자에게 안내한다(S170). Thereafter, the user is informed of whether the user is at risk (S170).

또한 상기 수신된 긴급재난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안전지역으로의 이동정보를 제공한다(S180). Also, based on the receive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movement information to a safe area is provided (S18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설정된 지인 단말 또는 해당 위치의 구조대 단말에 사용자 안전정보를 전송한다(S190). 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r safet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preset acquaintance terminal or a rescue team terminal at a corresponding location (S190).

상기 수신된 긴급재난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안전지역으로의 이동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provide movement information to a safe area based on the receive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사용자 단말의 제1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재난정보전달 서버로부터 긴급재난 정보를 수신한 후 자동으로 출력한다(S210). 제1 어플리케이션은 긴급재난 정보 출력 시,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After receiving the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from the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server by the first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it is automatically output (S210). The first application provide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linked application when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is output.

자동으로 긴급재난 정보 출력 시, 제2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다(S220). 이와 같이,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output, the second application is driven (S220). As such,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application is driven by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application.

이어서,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긴급재난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추정한다(S230). Next, the second application estim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hat has received the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S230).

이후,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신된 긴급재난 정보를 기 저장된 재난 대응 정보와 비교하여 현 상황에 대한 재난 대응 정보를 검출한다(S240). Thereafter, by comparing the receive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with the pre-stor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the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current situation is detected by the second application (S240).

이어서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검출한 재난 대응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판단한다(S250). Next, the second application compares the detect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t risk (S250).

만약,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판단된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표시한다(S260). 즉, 사용자가 위험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면, 사용자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고, 안전 지역을 목적지로 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by the second application, whether the user is at risk or not is displayed (S260). That is, if the user is located in the dangerous area, the user may be warned through the output means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navigation function may be provided with the safe area as the destination.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4)

재난 발생 및 상황 정보를 이동통신망의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관련 정보를 전파하는 재난정보전달 서버; 및
상기 재난정보전달 서버로부터 수신된 긴급재난문자를 자동으로 안내하고, 상기 수신된 긴급재난문자에 대응되는 재난대응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장치.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server that disseminates disaster occurrence and situation information through a text message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nd a user terminal for automatically guiding the emergency disaster text received from the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server and providing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emergency text message to the us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긴급재난문자의 자동 안내 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부;
긴급재난 정보와 그 긴급재난 정보에 대응되는 재난 대응 정보가 매칭되어 사전에 저장된 대응정보 저장부;
수신된 긴급재난문자의 긴급재난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판단부; 및
상기 수신된 긴급재난 정보와 상기 대응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재난 대응 정보를 비교하여 재난 대응 정보를 제공하는 대응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is
a location estimator for estim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when automatically guiding the received emergency text message;
a response information storage unit in which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an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are matched and stored in advance;
a risk determination unit that compares the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of the received emergency text message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danger; and
and a response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oviding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receive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with the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stored in the response information storage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수신된 긴급재난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안전지역으로의 이동정보를 제공하는 안전지역 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ser terminal is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afety area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movement information to a safe area based on the receive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재난 대응 정보를 표시 후 개인 위치를 추정한 정보로부터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경로 표시부;
사용자 단말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여부 판단부; 및
사용자 단말이 안전지역으로 이동 했는지를 판단하는 안전확보 판단부를 포함하는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user terminal is
a rout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ovement route from information estimating a personal location after displaying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a movemen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has moved; and
A device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including a safet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has moved to a safe area.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부는,
수신된 긴급재난문자의 자동 안내 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전에 수신한 사용자 단말의 이전위치를 표시하는 것인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ocation estimation unit,
When automatically guiding the received emergency text messag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the location of the received user terminal is displayed, and if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not received, the previous location of the previously received user terminal is display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based on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지인 단말 또는 해당 위치의 구조대 단말에 사용자 안전정보를 전송하는 안전정보 공유부를 더 포함하는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afety information sharing unit for transmitting user safety information to a preset acquaintance terminal or a rescue team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location.
사용자 단말의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재난정보전달 서버로부터 이동통신망의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전파되는 긴급재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문자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긴급재난 정보를 자동으로 안내하는 단계;
긴급재난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에서 긴급재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긴급재난 정보를 기 저장된 재난 대응 정보와 비교하여 현 상황에 대한 재난 대응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한 재난 대응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방법.
In a method for providing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Receiving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propagated through a text message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rom a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server;
automatically guiding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by a text application;
estim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extracting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text message;
detecting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current situation by comparing the extracte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with pre-stor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at risk by comparing the detect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 method of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comprising the step of guiding the user of the determined risk of the us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긴급재난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안전지역으로의 이동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providing movement information to a safe area based on the receive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and a location of a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제 8항에 있어서,
재난 대응 정보를 표시 후 개인 위치를 추정한 정보로부터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이 안전지역으로 이동 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After displaying the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displaying a movement route from the information estimated personal loc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moves; and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has moved to a safe area.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재난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전에 수신한 사용자 단말의 이전위치를 표시하는 것인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estim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the receiv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displayed, and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not received, the previous location of the previously received user terminal is displayed. A method for providing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

제 7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지인 단말 또는 해당 위치의 구조대 단말에 사용자 안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user safety information to a preset acquaintance terminal or a rescue team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loca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긴급재난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안전지역으로의 이동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providing movement information to a safe area based on the receive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and a location of a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사용자 단말의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재난정보전달 서버로부터 긴급재난 정보를 수신한 후 자동으로 출력하는 단계;
자동으로 긴급재난 정보 출력 시, 제2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긴급재난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신된 긴급재난 정보를 기 저장된 재난 대응 정보와 비교하여 현 상황에 대한 재난 대응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검출한 재난 대응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판단된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방법.
In a method for providing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automatically outputting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after receiving the emergency information from the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server by the first application;
When the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output, the second application is driven;
estimating, by the second applic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detecting, by the second application, emergency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current situation by comparing the receive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with pre-stor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at risk by comparing the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cond application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by the second application, whether the user is at risk.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긴급재난 정보 출력 시,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것인 개인 위치정보기반 재난 상황 대응정보 제공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st application is
When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is output, a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at provide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a linked application.
KR1020200004152A 2020-01-13 2020-01-1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KR202100908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152A KR20210090874A (en) 2020-01-13 2020-01-1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152A KR20210090874A (en) 2020-01-13 2020-01-1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874A true KR20210090874A (en) 2021-07-21

Family

ID=77143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152A KR20210090874A (en) 2020-01-13 2020-01-1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087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060B1 (en) * 2023-06-09 2024-02-07 주식회사 차후 System for informing risk information in disaster areas using augmented real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060B1 (en) * 2023-06-09 2024-02-07 주식회사 차후 System for informing risk information in disaster areas using augmented rea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89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evacuations using positioning systems
US11127282B2 (en) Contextualized augmented reality display system
US9860723B2 (en) Method of notification of fire evacuation plan in floating crowd premises
KR102108963B1 (en) Method for actively guiding emergency evacuation route
US100281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ed emergency exit
US20150084788A1 (en) Earthquake Warning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 Report-Back System
US201101956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of emergency response instructions
KR101638972B1 (en) Built-in structures smart for safe emergency evacuation and provide information
US109520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emergency response solutions
US115571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emergency response solutions
US11557014B2 (en) Real-time managing evacuation of a building
CN106257534A (en) For the personalized the most outdoor guidance application withdrawn on a large scale
KR101339017B1 (en) Emergency path navig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245769B1 (e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fire exit using augmented reality
KR20150045204A (en) guiding and displaying method of smart device based location for traffic facilities and safety equipment
KR20090027391A (en) A system for managing remote disaster prevention
KR202100908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JP2015094956A (en) Tsunami evacuation guidance support system and program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Gunawan et al. TravelThrough: a participatory-based guidance system for traveling through disaster areas
KR101629549B1 (en)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escaping direction, and user device
KR101950684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 decision making for damage caused by water disaster
KR20160029055A (en)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escaping direction, and user device
JP6523056B2 (en) Support system
KR102327004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guiding indoor evacuation route for blind people
KR2020005590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vacuation path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of people being in dis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