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0716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0716A
KR20210090716A KR1020217020367A KR20217020367A KR20210090716A KR 20210090716 A KR20210090716 A KR 20210090716A KR 1020217020367 A KR1020217020367 A KR 1020217020367A KR 20217020367 A KR20217020367 A KR 20217020367A KR 20210090716 A KR20210090716 A KR 20210090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rear surface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0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1660B1 (ko
Inventor
권해옥
김준홍
안병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90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변에 결합되는 바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상변에 인접하여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에 탈부착시키는 커플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항공기, 차량 등 운송수단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다양한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안전성(safety)을 확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각도로 틸팅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충돌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에 대응하는 내구성을 지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변에 결합되는 바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상변에 인접하여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에 탈부착시키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플러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고정되는 제1 결합부;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고정되는 커플링 프레임; 그리고, 상기 커플링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걸림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커플링 프레임에 평행하게 고정되는 복수개의 샤프트들; 상기 복수개의 샤프트들 상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몸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제1 결합부에 걸림되는 걸쇠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샤프트들에 각각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들; 그리고, 상기 커플링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몸체와 연결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걸쇠를 상기 제1 결합부에서 멀어지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탄성부재들이 압축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프레임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프레임은: 상기 돌기가 삽입되도록 길게 연장되어 상기 커플링 프레임을 관통하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의 하변에서 상기 바텀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과 둔각을 형성하는 스토퍼; 그리고, 상기 바텀 프레임의 후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가 삽입가능한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과 상기 스토퍼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서 상기 스토퍼의 후면으로 길게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고, 탄성력을 지니며,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이 상기 프레임의 후면과 대향하면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과 접촉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텀 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일측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을 향하여 굽어지며 연장되고, 탄성력을 지니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피봇 운동을 하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수용홈과 접촉하는 것 보다 먼저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과 접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전면을 형성하는 바텀; 그리고, 상기 바텀으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1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제2 지지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부 상에 고정되는 제1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1 접착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고정되는 제2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제2 접착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지지부에서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사이드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월은 상기 터치패널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바텀의 후면과 상기 사이드월의 외면을 연결하는 곡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곡면부 및 사이드월의 외면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프레임의 바텀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터치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프런트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커버는 투광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월은 상기 프런트 커버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안전성(safety)을 확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설치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각도로 틸팅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설치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충돌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에 대응하는 내구성을 지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설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마운트 유닛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에),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인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도 2 참조)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기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항공기에 장착될 수 있다. 승객에게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항공기 좌석의 등받이(ST) 후면에 설치 또는 장착될 수 있다.
항공기의 운항 중 발생할 수 있는 위급상황에서, 승객은 항공기 좌석(ST)의 후면에 충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항공기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일정한 수준의 충돌에 대한 내구성을 지니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전면 기판 (front substrate) 및 후면 기판(rear substrate)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기판은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서브 픽셀로 이루어진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기판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후면 기판은 스위칭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기판은 화소전극을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전극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액정층의 분자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액정층은 복수의 액정 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분자들은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발생된 전압 차에 상응하여 배열을 변화할 수 있다. 액정층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서 제공되는 빛을 전면 기판에 전달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복수의 광원(light source)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원은 직하형 또는 엣지형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120)인 경우에, 확산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프레임(130)의 전면과 측면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light source)이 프레임(130)의 일측 내부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경우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으로 통칭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전체 구동 방식 또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임펄시브(impulsive)등과 같은 부분 구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학 시트와 광학층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는 광원의 빛이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고르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광학 시트는,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 시트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은 광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3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구성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유닛(120) 등의 구성이 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패널(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패널(110)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ouch panel), 저항막 방식(resistive touch panel), 적외선 방식(infra-red touch panel), 음파 방식(acoustic touch panel), 압력방식 터치패널(pressure touch panel)일 수 있다. 터치패널(140)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통해 획득하는 입력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50)는 터치패널(14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50)는, 예를 들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터치패널(1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130)은 바텀(131), 제1 지지부(132), 제2 지지부(133), 그리고 사이드 월(135)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131)은 프레임(130)의 후면을 형성하는 평판일 수 있다. 제1 지지부(132)는 바텀(131)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방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33)는 제1 지지부(132)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방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월(135)은 제2 지지부(133)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1 지지부(132)에 놓여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1 접착부재(160)에 의해 제1 지지부(132)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접착부재(160)는 양면테이프일 수 있다. 터치패널(140)은 제2 지지부(133)에 놓일 수 있다. 터치패널(140)은 제2 접착부재(170)에 의해 제2 지지부(133)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접착부재(170)는 글루(glue)일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프레임(130)은 바텀(131), 곡면부(131R), 그리고 사이드 월(135)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131R)는 바텀(131)과 사이드월(13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월(135)은 프레임(130)의 제2 지지부(133)에서 프레임(13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월(135)은 터치 패널(140)의 측면 및/또는 프런트 커버(15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곡면부(131R)에 의해서 프레임(130)의 엣지가 라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틸팅하기 위해 항공기 좌석의 후면 등에 매립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사이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30)의 곡면부(131R) 및 사이드월(135)의 외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프레임(130)의 바텀(131)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프레임(130)의 바텀(131)의 후면에 메인보드, T-CON 보드 등이 실장될 수 있다. 백커버(1)는 메인보드 등을 커버할 수 있다.
도 2 및 4를 참조하면, 도킹 모듈(200)은 프레임(130)의 하변에 장착될 수 있다. 도킹 모듈(200)은 입력부(IN), 출력부(OUT) 및/또는 리모트 수신부(O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킹 모듈(200)은 바텀 프레임(200)라 칭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프레임(130)의 바텀(131)에 개구(137)가 형성될 수 있고, PCB(10) 또는 FPCB(10) 또는 케이블(10)이 프레임(130)의 개구(137)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PCB(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도 3 참조)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개구(137)를 통해 프레임(1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PCB(10)의 일단은 커넥터(138)에 삽입될 수 있다. 커넥터 수용부(136)는 프레임(130)의 후면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개구(137)는 커넥터 수용부(136)와 연통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킹 모듈(200)은 커넥터(13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프레임(130)은 홈(130H)을 구비할 수 있다. 홈(130H)은 프레임(130)의 후면에서 함몰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홈(130H)은 프레임(130)의 하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홈(130H)은 프레임(130)의 하변에 인접하여 좌측에 하나, 우측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도킹 모듈(200)은 홀더(210)를 구비할 수 있다. 홀더(210)는 도킹 모듈(200)에서 프레임(13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홀더(210)는 제1 핑거(212)와 제2 핑거(21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핑거(212)는 프레임(13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핑거(214)는 프레임(13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핑거(214)는 프레임(130)의 후면에 형성된 홈(130H)에 삽입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홀더(210)에 삽입되어 제1 핑거(212) 및 제2 핑거(21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커플러(300)는 제1 결합부(310)와 제2 결합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결합부(310)는 프레임(130)의 상변에 인접하여 프레임(130)의 후면에 결합부재(f)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10)는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걸림홈(314)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결합부(320)는 프레임(130)의 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걸림홈(314)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20)는 몸체(322)와 걸쇠(324)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322)는 프레임(130)의 후면에서 프레임(13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몸체(322)는 제1 결합부(3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걸쇠(324)는 몸체(322)의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고, 몸체(322)와 제1 결합부(3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샤프트(S1,S2)는 프레임(130)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복수개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샤프트(S1)는 몸체(322)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샤프트(S2)는 몸체(322)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몸체(322)는 샤프트(S1,S2)에서 프레임(13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탄성부재(SP1,SP2)가 샤프트(S1,S2)에 삽입되어 몸체(32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커플링 프레임(340)은 제1 결합부(310) 및 제2 결합부(320)를 덮으며 프레임(13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결합부(320)는 커플링 프레임(340)에 설치 또는 장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샤프트(S1,S2)는 커플링 프레임(340)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결합부(320)의 몸체(322)는 커플링 프레임(340)에 대하여 샤프트(S1,S2)를 따라 움직이며 상하운동을 할 수 있다.
레버(330)는 커플링 프레임(340)에 피봇 연결(330P)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버(330)는 ㄱ 형상일 수 있다. 레버(330)는 회전에 의해 몸체(322)를 움직일 수 있다.
커플링 프레임(340)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슬롯(342)을 구비할 수 있고, 제1 결합부(310)는 슬롯(342)에 삽입되는 돌기(312) 또는 장벽(31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결합부(310)와 제2 결합부(320)가 정렬될 수 있다.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면, 플레이트(500)는 프레임(13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0) 또는 도킹 모듈(200)에 피봇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모듈(200)은 힌지(410,420)를 구비할 수 있다. 힌지(410,420)는 복수개일 수 있는데, 복수개의 힌지들(410,420)은 도킹 모듈(200)의 양측에 각각이 위치할 수 있다. 플레이트(500)는 힌지들(410,420)에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500)는 복수개의 홀들(500h)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홀들(500h)은 플레이트(500)의 면적에 일정한 분포를 지니며 플레이트(5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500)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방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500)는 리브들(500L)을 구비할 수 있다. 리브들(500L)은 플레이트가 프레스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플링 프레임(340)은 플레이트(500)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플링 프레임(340)은 플레이트(500)의 상변에 인접하여 플레이트(500)의 전면에 스크류(S)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20)가 제1 결합부(310)에 구속된 상태에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130)과 플레이트(50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할 수 있다.
도 4 및 12를 참조하면, 프레임(130)은 서포터(136,137)를 구비할 수 있다. 서포터(136,137)는 프레임(13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136,137)는 탄성력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서포터(136,137)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500)가 프레임(130)의 후면과 대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포터(136,137)는 플레이트(500)의 전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서포터(136,137)는 플레이트(5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상태일 수 있다. 즉, 서포터(136,137)는 프레임(130)이 플레이트(500)에서 구속거나, 틸팅되는 과정에서 프레임(130)에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 및 13을 참조하면, 플레이트(500)는 스토퍼(520)를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520)는 플레이트(500)의 하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플레이트(500)로부터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스토퍼(520)는 플레이트(500)로부터 도킹 모듈(200)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될 수 있다. 스토퍼(520)는 평판(522)일 수 있고, 플레이트(500)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굽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500)의 후면과 스토퍼(520)의 후면(522)은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스토퍼(520)의 일변은 해머링(524)될 수 있다. 리브(526)가 플레이트(500)의 후면과 스토퍼(52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리브(526)는 플레이트(500)의 후면과 스토퍼(520)의 후면에서 돌출되고, 플레이트(500)에서 스토퍼(520)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도킹 모듈(200)은 후면에 스토퍼 수용부(200H)를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 수용부(200H)는 도킹 모듈(200)의 내측으로 함몰되고, 스토퍼(520)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스토퍼 수용부(200H)는 수용홈(200H)라 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500)가 프레임(130)에 대하여 틸팅운동을 할 때, 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고, 플레이트(500)와 스토퍼(520)에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탄성부재(540)는 도킹 모듈(200)에 고정되어 플레이트(500)의 후면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540)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540)는 원형의 단면을 구비하는 제1 파트(541), 그리고 평판형상의 제2 파트(54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파트(541)는 도킹 모듈(2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파트(542)는 제1 파트(541)에서 연장되어 플레이트(500)의 후면과 대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500)가 프레임(130)에 대하여 틸팅될 때, 탄성부재(540)는 플레이트(500)에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500)가 틸팅될 때, 탄성부재(540)는 스토퍼(520)가 스토퍼 수용부(200H)에 접촉하는 것 보다 먼저 플레이트(500)의 후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전술한 플레이트(500), 커플러(300) 및 이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은 마운트 유닛으로 칭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7)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전면을 형성하는 바텀; 그리고,
    상기 바텀으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1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제2 지지부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에 고정되는 제1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1 접착부재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고정되는 제2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제2 접착부재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에서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사이드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월은 상기 터치패널의 측면을 커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바텀의 후면과 상기 사이드월의 외면을 연결하는 곡면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곡면부 및 사이드월의 외면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프레임의 바텀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프런트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커버는 투광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월은 상기 프런트 커버의 측면을 덮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변에 결합되는 바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상변에 인접하여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에 탈부착시키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고정되는 제1 결합부;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고정되는 커플링 프레임; 그리고,
    상기 커플링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걸림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커플링 프레임에 평행하게 고정되는 복수개의 샤프트들;
    상기 복수개의 샤프트들 상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몸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제1 결합부에 걸림되는 걸쇠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샤프트들에 각각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들; 그리고,
    상기 커플링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몸체와 연결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걸쇠를 상기 제1 결합부에서 멀어지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탄성부재들이 압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프레임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프레임은:
    상기 돌기가 삽입되도록 길게 연장되어 상기 커플링 프레임을 관통하는 슬롯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하변에서 상기 바텀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과 둔각을 형성하는 스토퍼; 그리고,
    상기 바텀 프레임의 후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가 삽입가능한 수용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과 상기 스토퍼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서 상기 스토퍼의 후면으로 길게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고, 탄성력을 지니며,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이 상기 프레임의 후면과 대향하면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과 접촉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일측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을 향하여 굽어지며 연장되고, 탄성력을 지니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피봇 운동을 하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수용홈과 접촉하는 것 보다 먼저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과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7020367A 2019-01-24 2019-01-2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61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1022 WO2020153516A1 (ko) 2019-01-24 2019-01-2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716A true KR20210090716A (ko) 2021-07-20
KR102461660B1 KR102461660B1 (ko) 2022-11-01

Family

ID=7173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367A KR102461660B1 (ko) 2019-01-24 2019-01-2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1660B1 (ko)
WO (1) WO2020153516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054A (ko) * 2003-08-26 2005-03-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탈부착이 가능한 lcd모듈 보호장치
KR20050028263A (ko) * 2003-09-18 2005-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의 틸팅스탠드 조립체
JP2013121830A (ja) * 2012-10-10 2013-06-20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プレイ装着装置
KR20150011937A (ko) * 2013-07-24 2015-02-03 김충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JP2015040921A (ja) * 2013-08-20 2015-03-02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支持部材
KR20160059585A (ko) * 2014-11-18 2016-05-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바텀 커버와 이를 갖는 액정 표시 모듈 및 평판 표시 장치
KR20170080253A (ko) * 2015-12-31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능성 패널을 구비한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047B1 (ko) * 2012-07-25 2018-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케이스 및 표시 장치
KR102478678B1 (ko) * 2015-12-14 2022-1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861602B1 (ko) * 2016-07-20 2018-05-29 (주) 프렉코 절첩식 디스플레이 장치
JP2018120060A (ja) * 2017-01-24 2018-08-02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054A (ko) * 2003-08-26 2005-03-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탈부착이 가능한 lcd모듈 보호장치
KR20050028263A (ko) * 2003-09-18 2005-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의 틸팅스탠드 조립체
JP2013121830A (ja) * 2012-10-10 2013-06-20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プレイ装着装置
KR20150011937A (ko) * 2013-07-24 2015-02-03 김충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JP2015040921A (ja) * 2013-08-20 2015-03-02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支持部材
KR20160059585A (ko) * 2014-11-18 2016-05-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바텀 커버와 이를 갖는 액정 표시 모듈 및 평판 표시 장치
KR20170080253A (ko) * 2015-12-31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능성 패널을 구비한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660B1 (ko) 2022-11-01
WO2020153516A1 (ko)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480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191315B2 (en) Display apparatus
US20150168767A1 (en) Display device
KR2023000222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6061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400481B1 (en) Display device
KR10255765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05346061A (ja) 液晶表示装置のモジュール
KR10263271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794856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504945B2 (ja) 携帯用表示装置
CN112771416A (zh) 电子设备
KR102028984B1 (ko) 벤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EP2607946A1 (en) Display apparatus
US868128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46166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042060B2 (en) Display device
EP3447571B1 (en) Display device
KR2021004255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090034291A1 (en) Backligh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4698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10916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6507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4363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00495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