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466A - A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moving robot - Google Patents

A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moving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466A
KR20210089466A KR1020200002655A KR20200002655A KR20210089466A KR 20210089466 A KR20210089466 A KR 20210089466A KR 1020200002655 A KR1020200002655 A KR 1020200002655A KR 20200002655 A KR20200002655 A KR 20200002655A KR 20210089466 A KR20210089466 A KR 20210089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mobile robot
unit
termin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6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0560B1 (en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2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560B1/en
Publication of KR20210089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4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5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25Means for supplying energy to the end eff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ipulator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rob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ving robot, which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wheel unit; a top cover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 first sensing unit mounted in the main body to perform sensing while driving to obtain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based on acquired state information; and a sensing device having a base detachably coupled to the top cover, wherein the base comprises a second terminal (221)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terminal (121) formed in the top cover, and the sensing device comprises a second sensing unit mounted in the sensing device to perform sensing during the driving to obtain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Description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A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MOVING ROBOT}A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MOVING ROBOT

본 발명은 이동 로봇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센싱 장치가 결합되는 이동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rob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robot to which an external sensing device is coupled.

일반적으로 로봇은 산업용으로 개발되어 공장 자동화의 일 부분을 담당하여 왔다. 최근에는 로봇을 응용한 분야가 더욱 확대되어, 의료용 로봇, 우주 항공 로봇 등이 개발되고,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로봇도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로봇 중에서 자력으로 주행이 가능한 것을 이동 로봇이라고 한다. 가정에서 사용되는 이동 로봇의 대표적인 예는 로봇 청소기이다.In general, robots have been developed for industrial use and have been responsible for a part of factory automation. Recently, the field of application of robots has been further expanded, and medical robots and aerospace robots have been developed, and household robots that can be used in general households are also being made. Among these robots, those capable of driving by their own force are called mobile robots. A typical example of a mobile robot used at home is a robot vacuum cleaner.

한편, 최근 이동 로봇은, 단순히 자율적으로 주행하여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서 벗어나,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이 적용되어 헬스 케어, 스마트홈, 원격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사물인터넷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사물 들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를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mobile robots have been actively researched for use in various fields such as health care, smart home, remote control, etc. by apply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away from simply autonomously driving and performing functions. is being done The Internet of Things refers to intelligent technologies and services that connect things based on the Internet and communicate information between people and things and between things and things.

이러한 이동 로봇은 일반적으로, 센서를 구비하여, 주행 중 현재 위치 및 주변의 장애물 등을 감지하고, 장애물을 피하여 경로를 설정해 스스로 주행할 수 있다.In general, such a mobile robot is equipped with a sensor, detects a current position and surrounding obstacles, etc. while driving, avoids obstacles, sets a path, and can drive by itself.

센서는 거리 감지 센서, 낭떠러지 감지 센서, 영상 감지 센서, 3D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이동 로봇의 일부분에 장착된다.The sensor may include various sensors such as a distance sensor, a cliff sensor, an image sensor, and a 3D sensor, which are mounted on a part of the mobile robot.

예를 들어, 종래 기술(한국등록특허공보 10-1878675)은 센서가 이동 로봇의 본체의 일측, 즉 본체의 앞쪽에 배치되어, 이동 로봇이 장애물과 부딪히지 않도록 전방의 장애물이나 지형지물 등을 감지하는 기술을 개시한다.For example, in the prior art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78675), the sensor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mobile robot, that is, in front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mobile robot does not collide with the obstacle. start the technique.

한국등록특허공보 10-1878675 (공고일 2018.07.1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78675 (published on July 18, 2018)

종래 기술과 같이 센서가 이동 로봇의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경우, 센서의 감지범위가 협소하고, 또한 사각이 존재할 수 있어, 전방의 장애물이나 지형지물 등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그에 따라 이동 로봇이 장애물과 쉽게 충돌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이동 로봇의 장애물 등에 대한 회피 가능성을 현저히 상승시키는 것이다.When the sensor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mobile robot as in the prior art, the detection range of the sensor is narrow and there may be a blind spot,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bstacle or the topographical object in front is not detected.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bile robot can easily collide with obstacles accordingly.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avoiding obstacles of the mobile robot by solving such a problem.

본 발명의 제 2 과제는 이동 로봇과 연동되는 외부 기기를 통해 명령을 수신하는 경로를 단축하여 명령 응답 속도를 상승시키는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a command response speed by shortening a path for receiving a command through an external device interlocked with a mobile robot.

로봇 청소기와 같은 이동 로봇은 기본적으로 평평한 형태를 가지며, 지면에 붙어 낮은 높이로 주행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를 어디에 배치해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정보를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3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 mobile robot such as a robot cleaner has a basically flat shape and travels at a low height attached to the ground, so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recognize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display no matter where the display is placed.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display.

본 발명의 제 4 과제는 사용자의 명령을 인식하는 범위를 확장하여 인식률을 높임으로써, 이동 로봇의 명령 수행 능력을 상승시키는 것이다.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by expanding the range for recognizing the user's command, thereby increasing the command execution ability of the mobile robot.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은, 휠 유닛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탑커버;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외부 환경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주행 중 감지를 수행하는 제1 센싱 유닛; 획득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탑커버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베이스가 형성되는 센싱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탑커버에 형성된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장치는, 상기 센싱 장치에 장착되어, 외부 환경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주행 중 감지를 수행하는 제2 센싱 유닛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including a wheel unit; a top cover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 first sensing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to perform sensing while driving to obtain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driving based on the acquired state information; and a sensing device having a base detachably coupled to the top cover, wherein the base includes a second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terminal formed on the top cover, and the sensing device includes the sensing device. and a second sensing unit mounted on the device to perform sensing while driving to obtain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상기 제2 센싱 유닛은, 상기 제1 센싱 유닛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sensing unit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sensing unit.

상기 이동 로봇은, 상기 탑커버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23)를 더 포함하고,The mobile robot further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123 protruding upward from the top cover,

상기 베이스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2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may include a coupling groove 223 that is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상기 이동 로봇은, 상기 탑커버의 하부에 부착되는 제1 마그넷(125)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마그넷과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제2 마그넷(225)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robo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magnet 125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top cover, and the base may include a second magnet 225 attach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 .

상기 제2 센싱 유닛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접촉된 경우, 상기 획득된 외부 환경 정보를 상기 접촉을 통해 상기 제어부에 송신할 수 있다.The second sensing unit may transmit the acquire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through the contact wh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ome into contact.

상기 센싱 장치는,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for outputting an image.

상기 디스플레이는, 전방 상향을 바라보며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while looking forward.

상기 센싱 장치는, 외부의 소리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microphone for detecting an external sound.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동 로봇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이동 로봇의 본체에 장착되는 제1 센싱 유닛과 별개로, 제2 센싱 유닛을 포함하는 센싱 장치가 상기 이동 로봇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바, 필요에 따라 외부 환경 정보에 대한 감지 범위를 넓힐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동 로봇의 장애물에 대한 회피 가능성이 현저히 상승하는 장점이 있다.First, apart from the first sensing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mobile robot, a sensing device including a second sensing un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bile robot, so that the sensing range for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can be expanded if necessary.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ossibility of avoiding the obstacle of the mobile robot is significantly increased.

둘째, 센싱 장치는 단자간 접촉을 통해 획득한 외부 환경 정보를 이동 로봇에 송신할 수 있는 바, 외부 기기가 결합되어도 신호를 빠르게 주고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since the sensing device can transmit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contact between terminals to the mobile robo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ignals can be exchanged quickly even when an external device is coupled.

셋째, 전방 상향을 바라보게 기울어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센싱 장치가 이동 로봇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Third, since the sensing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inclined to face forward upwar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bile robot,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display.

넷째,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감지하는 마이크가 센싱 장치의 상부에 장착되어 이동 로봇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바,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을 인식하는 인식률이 증가하는 장점도 있다.Fourth, since a microphone for detecting a user's voice command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nsing devic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mobile robot,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the recognition rate for recognizing a voice command from the user is increas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일 예인 로봇 청소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로봇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로봇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이동 로봇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이동 로봇 및 외부 기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이동 로봇에서 분리된 탑커버의 상면과 베이스의 하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7는 도 5에 도시된 이동 로봇에서 분리된 탑커버의 하면과 베이스의 상면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이동 로봇 및 외부 기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bot cleaner, which is an example of a mobil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mobile robot shown in FIG. 1 .
FIG. 3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robot shown in FIG. 1 .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the mobile robot shown in FIGS. 1 to 3 .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mobile robot and an external device shown in FIGS. 1 to 3 .
6 is a view show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cov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separated from the mobile robot shown i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cov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eparated from the mobile robot shown in FIG. 5 .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the mobile robot and an external device shown in FIG. 5 .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llustrates a predetermined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llustrates a predetermined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intended to limit the spiri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not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meaning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very comprehensive sense or in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In addition, whe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incorrect technical terms that do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they should be understood by being replaced with technical terms that can be correct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in the dictionary or according to the context before and after,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100)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100)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robot cleaner 100 shown in FIG. 1 , and FIG. 3 is a robot cleaner 100 shown in FIG. 1 . is a side view of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 로봇, 로봇 청소기 및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청소기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is specification, a mobile robot, a robot cleaner, and a cleaner performing autonomous driving may be used as the same meanin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100)는 일정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을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말하는 바닥의 청소에는, 바닥의 먼지(이물질을 포함한다)를 흡입하거나 바닥을 걸레질하는 것이 포함된다.1 to 3 , the robot cleaner 100 performs a function of cleaning the floor while traveling on its own in a predetermined area. The cleaning of the floor referred to herein includes sucking in dust (including foreign matter) on the floor or mopping the floor.

로봇 청소기(100)는 본체(110), 탑커버(120), 흡입 유닛(130), 제1 센싱 유닛(140) 및 먼지통(150)을 포함한다.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 a top cover 120 , a suction unit 130 , a first sensing unit 140 , and a dust container 150 .

본체(110)에는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미도시) 및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을 위한 휠 유닛(111)이 구비된다. 휠 유닛(111)에 의해 로봇 청소기(100)는 전후좌우로 이동되거나 회전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100 and a wheel unit 111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100 . By the wheel unit 111 , the robot cleaner 100 may be moved or rotated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휠 유닛(111)은 메인 휠(111a) 및 서브 휠(111b)을 포함한다.The wheel unit 111 includes a main wheel 111a and a sub wheel 111b.

메인 휠(111a)은 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각각의 메인 휠(111a)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메인 휠(111a)은 서로 다른 모터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The main wheel 111a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0,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Each of the main wheels 111a may be configured to be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For example, each of the main wheels 111a may be driven by different motors.

서브 휠(111b)은 메인 휠(111a)과 함께 본체(110)를 지지하며, 메인 휠(111a)에 의한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을 보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서브 휠(111b)은 후술하는 흡입 유닛(130)에도 구비될 수 있다.The sub wheel 111b supports the main body 110 together with the main wheel 111a, and is configured to assist the driving of the robot cleaner 100 by the main wheel 111a. Such a sub wheel 111b may also be provided in the suction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살펴본 바와 같이, 제어부가 휠 유닛(111)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로봇 청소기(100)는 바닥을 자율 주행하도록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as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riving of the wheel unit 111 , the robot cleaner 100 autonomously travels on the floor.

한편, 본체(110)에는 로봇 청소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가 장착된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본체(110)의 저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 battery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robot cleaner 10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10 . The battery is configured to be rechargeabl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10 .

본체(110)에는 탑커버(120)가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탑커버(120)는, 본체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본체(110)와 함께 로봇 청소기(100) 내부의 구성을 수용하면서 외부로부터 청소기를 보호할 수 있다. A top cover 120 is disposed on the body 110 . As illustrated, the top cover 120 is dispos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can protect the cleaner from the outside while accommodat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together with the main body 110 .

탑커버(120)는 외부 기기(예를 들어, 센싱 장치(200))와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탑커버(120)는 외부 기기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커버(120)는, 외부 기기의 하면에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면에 결합돌기(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123)는 외부 기기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의 하면에 부착되는 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탑커버(120)에 자석이 부착될 수 있다.The top cover 1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eg, the sensing device 200 ). The top cover 120 may be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top cover 120, the coupling protrusion 123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recess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rnal device. The coupling protrusion 123 may be inserted into a coupling groove of an external device and coupled thereto. For example, the magnet may be attached to the top cover 1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rnal device.

이동 로봇(100)은 탑커버(120)에 형성되는 단자를 통해 외부 기기(예를 들어, 센싱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탑커버(120)는 상기 외부 기기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121)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기가 탑커버(120)와 결합될 때, 외부 기기에 형성된 단자와 제1 단자(121)가 접촉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mobile robot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eg, the sensing device 200 ) through a terminal formed on the top cover 120 . For example, the top cover 120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12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upled to the top cover 120 , the terminal formed o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first terminal 121 ma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동 로봇(100)은 전기적 연결을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로봇(100)은 상기 전기적 연결을 통해 외부 기기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기기는, 예를 들어, 센싱 기능을 구비하는 커뮤니케이션 로봇(1)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The mobile robot 100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an electrical connection. Also, the mobile robot 100 may transmit power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electrical connection. Also, the external device may be, for example, a communication robot 1 having a sensing function. Details 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흡입 유닛(130)은 본체(1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어,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일측은 상기 본체(110)가 정방향(F)으로 주행하는 측, 즉 본체(110)의 앞쪽이 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30 is dispos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body 110, and is configured to suck air containing dust. The one side may be the side on which the main body 110 travels in the forward direction F, that is,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10 .

본 도면에서는, 흡입 유닛(130)이 본체(110)의 일측에서 전방 및 좌우 양측방으로 모두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 유닛(130)의 전단부는 본체(110)의 일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흡입 유닛(130)의 좌우 양단부는 본체(110)의 일측으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각각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In this figure, it is shown that the suction unit 130 has a shap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both the front and left and right sides. Specifically, the front end of the suction unit 130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forward from one side of the body 110 , and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suction unit 130 ar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body 110 to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is placed on

본체(110)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흡입 유닛(130)의 후단부 양측이 본체(110)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됨에 따라, 본체(110)와 흡입 유닛(130) 사이에는 빈 공간, 즉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빈 공간은 본체(110)의 좌우 양단부와 흡입 유닛(130)의 좌우 양단부 사이의 공간으로서, 로봇 청소기(100)의 내측으로 리세스된 형태를 가진다.As the body 11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suction unit 130 protrude from the body 110 to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there is an empty space between the body 110 and the suction unit 130 , that is, A gap may be formed. The empty space is a spa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suction unit 130 , and has a shape recessed inside the robot cleaner 100 .

상기 빈 공간에 장애물이 끼이는 경우, 로봇 청소기(100)가 장애물에 걸려 움직이지 못하는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부재(139)가 상기 빈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139)는 본체(110) 또는 흡입 유닛(13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 유닛(130)의 후단부 양측에 각각 커버부재(139)가 돌출 형성되어, 본체(110)의 외주면을 덮도록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When an obstacle is caught in the empty space, a problem in that the robot cleaner 100 is caught by the obstacle and cannot move may occur. To prevent this, the cover member 139 may be dispos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empty space. The cover member 139 may be provided in the body 110 or the suction unit 130 . In this embodiment, it is shown that the cover member 139 is formed to protrude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suction unit 130 , and is arranged to cov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110 .

커버부재(139)는 상기 빈 공간, 즉 본체(110)와 흡입 유닛(130) 간의 빈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메우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빈 공간에 장애물이 끼이는 것이 방지되거나, 상기 빈 공간에 장애물이 끼이더라도 장애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 가능한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The cover member 139 is disposed to fill at least a portion of the empty space, that is, the empty space between the body 110 and the suction unit 130 . Accordingly, a structure in which an obstacle is prevented from being caught in the empty space o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obstacle can be implemented even if the obstacle is caught in the empty space.

흡입 유닛(130)에서 돌출 형성된 커버부재(139)는 본체(110)의 외주면에 지지될 수 있다. 만일, 커버부재(139)가 본체(110)에서 돌출 형성되는 경우라면, 커버부재(139)는 흡입 유닛(130)의 후면부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흡입 유닛(130)이 장애물과 부딪혀 충격을 받았을 때, 그 충격의 일부가 본체(110)로 전달되어 충격이 분산될 수 있다.The cover member 139 protruding from the suction unit 130 may be suppor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110 . If the cover member 139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dy 110 , the cover member 139 may be suppor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ction unit 130 . According to the structure, when the suction unit 130 collides with an obstacle and receives an impact, a portion of the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body 110 so that the impact may be dispersed.

흡입 유닛(130)은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흡입 유닛(130)이 본체(110)로 분리되면, 분리된 흡입 유닛(130)을 대체하여 걸레 모듈(미도시)이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닥의 먼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체(110)에 흡입 유닛(130)을 장착하고, 바닥을 닦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체(110)에 걸레 모듈을 장착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110 . When the suction unit 130 is separated into the body 110 , a mop module (not shown)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110 to replace the separated suction unit 130 . Therefore, the user can mount the suction unit 130 on the main body 110 to remove the dust on the floor, and mount the mop module on the main body 110 to wipe the floor.

흡입 유닛(130)이 본체(110)에 장착시, 상술한 커버부재(139)에 의해 상기 장착이 가이드될 수 있다. 즉, 커버부재(139)가 본체(110)의 외주면을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본체(110)에 대한 흡입 유닛(130)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suction unit 130 is mounted to the main body 110 , the mounting may be guided by the above-described cover member 139 . That is, the cover member 139 is disposed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 so tha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uction unit 13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can be determined.

본체(110)에는 제1 센싱 유닛(140)이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싱 유닛(140)은 흡입 유닛(130)이 위치하는 본체(110)의 일측, 즉 본체(110)의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unit 140 is disposed on the body 110 . As shown, the first sensing unit 14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in which the suction unit 130 is located, that is, in front of the main body 110 .

제1 센싱 유닛(140)은 본체(110)의 상하 방향으로 흡입 유닛(130)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싱 유닛(140)은 흡입 유닛(130)의 상부에 배치되어, 로봇 청소기(100)의 가장 앞쪽에 위치하는 흡입 유닛(130)이 장애물과 부딪히지 않도록 전방의 장애물이나 지형지물 등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first sensing unit 140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suction unit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110 . The first sensing unit 140 is disposed on the suction unit 130 so that the suction unit 130 located at the front of the robot cleaner 100 does not collide with the obstacle to detect an obstacle or a feature in the front. is done

제1 센싱 유닛(140)은 전방 감지 센서, 낭떠러지 감지 센서,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ront detection sensor, a cliff detection sensor, and a camera.

예를들어, 카메라(145)는, 흡입 유닛(130)이 위치하는 본체(110)의 일측, 즉 본체(110)의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145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in which the suction unit 130 is located, that is, in front of the main body 110 .

카메라(145)는 본체(110)의 상하 방향으로 흡입 유닛(130)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45)는 흡입 유닛(130)의 상부에 배치되어, 로봇 청소기(100)의 가장 앞쪽에 위치하는 흡입 유닛(130)이 장애물과 부딪히지 않도록 전방의 장애물이나 지형지물 등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camera 145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suction unit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110 . The camera 145 is disposed on the suction unit 130 and is configured to detect an obstacle or a feature in front so that the suction unit 130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robot cleaner 100 does not collide with the obstacle.

제1 센싱 유닛(140)은 이러한 감지 기능 외의 다른 센싱 기능을 추가로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first sensing unit 140 is configured to additionally perform a sensing function other than the sensing func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본체(110)에는 먼지통 수용부(113)가 구비되며, 먼지통 수용부(113)에는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하여 집진하는 먼지통(15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통 수용부(113)는 본체(110)의 타측, 즉 본체(110)의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dust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113 , and a dust container 150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dust in the suctioned ai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113 . As illustrated, the dust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113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10 , that is,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10 .

먼지통 수용부(113)의 일부는 본체(110)에 수용되되, 먼지통 수용부(113)의 다른 일부는 본체(110)의 후방[즉, 정방향(F)에 반대되는 역방향(R)]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150)에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미도시)와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A part of the dust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113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10 , and the other part of the dust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113 is toward the rear of the main body 110 (that is, the reverse direction R as opposed to the forward direction F).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The dust container 150 has an inlet (not shown)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is introduced and an outlet (not shown) through which air from which dust is separated is discharged.

흡입 유닛(130)을 통하여 유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본체(110) 내부의 흡기유로를 거쳐, 먼지통(150)으로 유입되고, 먼지통(150)의 필터 내지는 사이클론을 거치면서 공기와 먼지가 상호 분리된다. 먼지는 먼지통(150)에 집진되며, 공기는 먼지통(150)에서 배출된 후 본체(110) 내부의 배기유로를 거쳐 최종적으로 배기구(1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Air containing dust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unit 130 passes through the intake passage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flows into the dust container 150 , and the air and dust interact with each other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or cyclone of the dust container 150 . are separated The dust is collected in the dustbin 150 , and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dustbin 150 , through the exhaust passage inside the main body 110 , and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112 .

이하의 도 4에서는 이동 로봇(100)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An embodiment related to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robot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로봇(100)은, 전원부(1100), 통신부(1200), 구동부(1300), 센싱부(1400), 입력부(1500), 출력부(1600), 메모리(1700) 및 제어부(180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rob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00 , a communication unit 1200 , a driving unit 1300 , a sensing unit 1400 , an input unit 1500 , an output unit 1600 , and a memory 1700 . ) and the control unit 180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thereof.

이때, 도 4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로봇(100)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In this case,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4 are not essential,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mobile robot 100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우선, 전원부(1100)는 외부 상용 전원에 의해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여 이동 로봇(100) 내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100)는 이동 로봇(1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여, 이동 로봇(100)이 주행하거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First, the power supply unit 1100 is provided with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by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upply to supply power into the mobile robot 100 . The power supply unit 1100 may supply driving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mobile robot 100 to supply operating power required for the mobile robot 100 to drive or perform a specific function.

이때, 제어부(1800)는 배터리의 전원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0)는, 이동 로봇(100)의 전원 잔량이 부족하면 외부 상용 전원과 연결된 충전대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충전대로부터 충전 전류를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배터리는 배터리 감지부와 연결되어 배터리 잔량 및 충전 상태가 제어부(1800)에 전달될 수 있다. 출력부(1600)은 제어부(1800)에 의해 상기 배터리 잔량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0 may detect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For example, when the remaining power of the mobile robot 100 is insufficient, the controller 1800 may control the mobile robot 100 to move to a charging station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to receive charging current from the charging station to charge the battery. The battery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detection unit so that the remaining battery amount and charging state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800 . The output unit 1600 may display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n the screen by the control unit 1800 .

한편, 이동 로봇(100) 중 이동 로봇(100)은 구동부(1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300)는 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좌, 우측 주바퀴를 양 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를 회전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1300)는 이동 로봇(100)의 본체를 전후좌우로 진행시키거나, 곡선주행시키거나, 제자리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0)는 주행 경로를 설정하여 구동부(1300)에 명령을 인가할 수 있따.Meanwhile, among the mobile robots 100 , the mobile robot 10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1300 . The driving unit 1300 includes a motor, and by driving the motor, the left and right main wheels are rotated in both directions to rotate or move the main body. The driving unit 1300 may move the main body of the mobile robot 100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or curve it, or rotate it in place. The controller 1800 may apply a command to the driving unit 1300 by setting a driving route.

한편, 입력부(1500)는 사용자로부터 이동 로봇(100)에 대한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다. 입력부(1500)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입력부(1500)는 확인버튼, 설정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확인버튼은 이동 로봇(100)의 각종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버튼이다. 설정버튼은 상기 정보들을 설정하는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버튼이다. Meanwhile, the input unit 1500 receives various control commands for the mobile robot 100 from the user. The input unit 1500 may include one or more buttons, for example, the input unit 1500 may include a confirmation button, a setting button, and the like. The confirmation button is a button for receiving a command to check various information of the mobile robot 100 from the user. The setting button is a button for receiving a command for setting the information from the user.

또한, 입력부(1500)는 이전 사용자 입력을 취소하고 다시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재설정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00)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을 삭제하기 위한 삭제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00)는 작동 모드를 설정하거나 변경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로봇(100)의 입력부(1500)는 충전대로 복귀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input unit 1500 may include an input reset button for canceling the previous user input and receiving the user input again. The input unit 1500 may include a delete button for deleting a preset user input. The input unit 1500 may include a button for setting or changing an operation mode. For example, the input unit 1500 of the mobile robot 100 may further include a button for receiving a command to return to the charging station.

또한, 입력부(1500)는 하드 키나 소프트 키, 터치패드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 입력부(1500)는 출력부(1600)와 함께 터치 스크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입력부(1500)는 음성 명령을 입력받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1500 may be installed as a hard key, a soft key, a touch pad, or the like. Also, the input unit 1500 may have the form of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output unit 1600 . The input unit 1500 may include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command.

한편, 출력부(1600)는,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6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로봇(100)의 출력부(1600)는 배터리 상태 또는 주행 방식 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output unit 1600 may visually outpu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 output unit 1600 may include a display.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600 of the mobile robot 100 may display a battery state or a driving method on the screen.

또한, 출력부(1600)는, 센싱부(1400)가 검출한 이동 로봇(100) 내부의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600)는 이동 로봇(1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의 현재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또, 출력부(1600)는 센싱부(1400)가 검출한 외부의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로봇(100)의 출력부(1600)는 장애물 정보, 위치 정보, 지도 정보 등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160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중 어느 하나의 소자로 형성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output unit 1600 may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internal state of the mobile robot 100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400 . The output unit 1600 may output a current state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mobile robot 100 . Also, the output unit 1600 may output external stat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400 .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600 of the mobile robot 100 may display obstacl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map information, and the like on a screen. The output unit 1600 may be any one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t may include a display formed of a device of.

출력부(1600)는, 각종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600)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600)는 제어부(1800)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 로봇(100)의 동작 과정 또는 동작 결과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600)는 제어부(1800)에 의해 생성된 경고 신호에 따라 외부에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600 may audibly outpu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 output unit 1600 may include a speaker. The output unit 1600 may include a speaker that audibly outputs an operation process or operation result of the mobile robot 100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800 .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600 may output a warning soun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warning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800 .

이때, 스피커는 비퍼(beeper), 스피커 등의 음향을 출력하는 수단일 수 있고, 출력부(16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소정의 패턴을 가진 오디오 데이터 또는 메시지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peaker may be a means for outputting sound such as a beeper or a speaker, and the output unit 1600 uses audio data or message data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stored in the memory 1700 through the speaker. It can be output externally.

한편, 통신부(1200)는 단말 장치 및/또는 특정 영역 내 위치한 다른 기기(주변 기기)와 유선, 무선, 위성 통신 방식들 중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신호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설명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준이 되는 이동 로봇(100)의 주변 또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기기를 '주변 기기'로 지칭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unit 120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and/or other devices (peripheral devices) located in a specific area in one communication method among wired, wireless, and satellite communication methods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nd data. In the present description, other devices in the network or around the mobile robot 100, which are the criteria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referred to as 'peripheral devices'.

통신부(1200)는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한 주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주변 기기는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일 예로, 주변 기기는, 이동 로봇, 공기 조화 장치, 난방 장치, 공기 정화 장치, 전등, TV, 자동차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기기는, 문, 창문, 수도 밸브, 가스 밸브 등을 제어하는 장치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기기는, 온도, 습도, 기압, 가스 등을 감지하는 센서 등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0 may transmit/receive data to/from a peripheral device located within a specific area. In this case, the peripheral device may be any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connecting to the network. For example, the peripheral device may be a device such as a mobile robot, an air conditioner, a heating device, an air purification device, a light, a TV, or a car. In addition, the peripheral device may be a device for controlling a door, a window, a water valve, a gas valv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eripheral device may be a sensor that senses temperature, humidity, atmospheric pressure, gas, or the like.

한편, 메모리(1700)는 로봇 청소기를 제어 또는 구동하는 제어 프로그램 및 그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0)는 오디오 정보, 영상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로봇(100)의 메모리(1700)는 장애물 정보, 위치 정보, 지도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 이동 로봇(100)의 메모리(1700)는 주행 패턴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memory 1700 stores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or driving the robot cleaner and data corresponding thereto. The memory 1700 may store audio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memory 1700 of the mobile robot 100 may store obstacl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map information, and the like. Also, the memory 1700 of the mobile robot 100 may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a driving pattern.

상기 메모리(1700)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주로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 NVRAM)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저장 장치로서, 일 예로, 롬(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디스켓 드라이브, 마그네틱 테이프), 광디스크 드라이브, 마그네틱 RAM, PRAM 등일 수 있다.The memory 1700 mainly uses a non-volatile memory. Here, the non-volatile memory (NVM, NVRAM) is a storage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maintaining stored information even when power is not supplied, for example, a ROM, a flash memory, a magnetic computer. It may be a storage device (eg, hard disk, diskette drive, magnetic tape), an optical disk drive, magnetic RAM, PRAM, or the like.

한편, 센싱부(1400)는, 주행중 외부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외부 신호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로봇(100)의 센싱부(1400)는, 전방 감지 센서, 낭떠러지 감지 센서,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nsing unit 1400 may sens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while driving. The sensing unit 1400 may include an external signal detection sensor.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400 of the mobile robot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orward detection sensor, a cliff detection sensor, and a camera.

이때, 제어부(1800)는, 센싱부에서 감지한 외부 환경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주행 경로를 추출하고, 구동부에 전달하여 이동 로봇(100)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800 may receive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data sensed by the sensing unit, extract the traveling path, and transmit it to the driving unit to control the traveling of the mobile robot 100 .

외부 신호 감지 센서는 이동 로봇(100)의 외부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신호 감지 센서는, 일 예로, 적외선 센서(Infrared Ray Sensor), 초음파 센서(Ultra Sonic Sensor), RF 센서(Radio Frequency Sensor) 등일 수 있다.The external signal detection sensor may detect an external signal of the mobile robot 100 . The external signal detection sensor may be, for example,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radio frequency sensor, or the like.

한편, 이동 로봇(100)의 전방 감지 센서는, 이동 로봇(100)의 전방, 구체적으로 이동 로봇(100)의 측면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전방 감지 센서는 이동 로봇(100)의 적어도 일 측면에 위치하여,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방 감지 센서는 이동 로봇(100)의 이동 방향에 존재하는 물체, 특히 장애물을 감지하여 검출 정보를 제어부(18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전방 감지 센서는, 이동 로봇(100)의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돌출물, 집안의 집기, 가구, 벽면, 벽 모서리 등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제어부(1800)에 전달할 수 있다.Meanwhile, the front detection sensors of the mobile robot 100 may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front of the mobile robot 100 , specifically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of the mobile robot 100 . The forward detection sensor is loc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obile robot 100 to detect an obstacle in front, and the forward detection sensor detects an object, particularly an obstacle, existing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bile robot 100 and detects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800 . That is, the front detection sensor may detect protrusions, household appliances, furniture, walls, wall corners, etc. existing on the movement path of the mobile robot 100 ,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800 .

전방 감지 센서는, 일 예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RF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일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은 전방 감지 센서로 한 가지 종류의 센서를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두 가지 종류 이상의 센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The front detection sensor may be, for example,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RF sensor, a geomagnetic sensor, or the like. The mobile robot 100 may use one type of sensor as a front detection sensor, or may use two or more types of sensors together as needed.

일 예로, 초음파 센서는 일반적으로 원거리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데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발신부와 수신부를 구비하여, 제어부(1800)는 발신부를 통해 방사된 초음파가 장애물 등에 의해 반사되어 수신부에 수신되는 지의 여부로 장애물의 존부를 판단하고, 초음파 방사 시간과 초음파 수신 시간을 이용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ltrasonic sensor may be mainly used to generally detect a distant obstacle. The ultrasonic sensor includes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nd the controller 1800 determines the presence of an obstacle by whether the ultrasonic wave emitted through the transmitter is reflected by an obstacle and is received by the receiver, and determines the ultrasonic radiation time and ultrasonic reception time.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또한, 제어부(1800)는 발신부에서 방사된 초음파와, 수신부에 수신되는 초음파를 비교하여, 장애물의 크기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0)는 수신부에 더 많은 초음파가 수신될수록, 장애물의 크기가 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0 may det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ize of an obstacle by comparing the ultrasonic waves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and the ultrasonic waves received by the receiver.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0 may determine that the size of the obstacle increases as more ultrasound waves are received by the receiver.

일 실시예에서, 복수(일 예로, 5개)의 초음파 센서가 이동 로봇(100)의 전방 측면에 외주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초음파 센서는 발신부와 수신부가 교대로 이동 로봇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eg, five) ultrasonic sensors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bile robot 10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is case, preferably, the ultrasonic sensor may be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mobile robot by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lternately.

즉, 발신부는 본체의 전면 중앙으로부터 좌, 우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수신부의 사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발신부가 배치되어 장애물 등으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신호의 수신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로 센서의 수를 줄이면서 수신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초음파의 발신 각도는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을 방지하도록 서로 다른 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범위의 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들의 수신 감도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That is, the transmitter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on the left and right sides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one or more transmitter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eceiver to form a receiving area of the ultrasonic signal reflected from an obstacle or the like. With this arrangement, the reception area can be expanded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sensors. The transmission angle of the ultrasonic wave may maintain an angl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affect different signals to prevent a crosstalk phenomenon. Also, the reception sensitivities of the receivers may be set differently.

또한, 초음파 센서에서 발신되는 초음파가 상향으로 출력되도록 초음파 센서는 일정 각도만큼 상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이때, 초음파가 하향으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ltrasonic sensor may be installed upward by a certain angle so that the ultrasonic waves transmitted from the ultrasonic sensor are output upward, and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blocking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to prevent the ultrasonic waves from being radiated downward.

한편, 전방 감지 센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두 가지 종류 이상의 센서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방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RF 센서 등 중 어느 한 가지 종류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front detection sensor, as described above, two or more types of sensors may be used together, and accordingly, the front detection sensor may use any one type of sensor such as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or an RF sensor. .

일 예로, 전방 감지 센서는 초음파 센서 이외에 다른 종류의 센서로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ront detection sensor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as a sensor other than the ultrasonic sensor.

적외선 센서는 초음파 센서와 함께 이동 로봇(100)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 역시, 전방이나 측면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장애물 정보를 제어부(18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적외선 센서는, 이동 로봇(100)의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돌출물, 집안의 집기, 가구, 벽면, 벽 모서리 등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제어부(1800)에 전달한다. 따라서, 이동 로봇(100)은 본체가 장애물과의 충돌없이 특정 영역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The infrared sensor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bile robot 100 together with the ultrasonic sensor. The infrared sensor may also detect obstacles existing in front or on the side and transmit obstacl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800 . That is, the infrared sensor detects protrusions, household appliances, furniture, walls, wall corners, etc. existing on the movement path of the mobile robot 100 ,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800 . Accordingly, the mobile robot 100 can move its main body within a specific area without colliding with an obstacle.

한편, 낭떠러지 감지 센서(또는 클리프 센서(Cliff Sensor))는, 다양한 형태의 광 센서를 주로 이용하여, 이동 로봇(100)의 본체를 지지하는 바닥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liff detection sensor (or cliff sensor) may detect an obstacle on the floor supporting the main body of the mobile robot 100 mainly by using various types of optical sensors.

즉, 낭떠러지 감지 센서는, 바닥의 이동 로봇(100)의 배면에 설치되되, 이동 로봇(100)의 종류에 따라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낭떠러지 감지 센서는 이동 로봇(100)의 배면에 위치하여, 바닥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낭떠러지 감지 센서는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와 같이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RF 센서, PSD(Position Sensitive Detector) 센서 등일 수 있다.That is, the cliff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robot 100 on the floor, but may be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mobile robot 100 . The cliff detection sensor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robot 100 to detect obstacles on the floor, and the cliff detection sensor is an infrared sensor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like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RF sensor, It may be a Position Sensitive Detector (PSD) sensor or the like.

일 예로, 낭떠러지 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는 이동 로봇(100)의 전방에 설치되고, 다른 두 개의 낭떠러지 감지 센서는 상대적으로 뒤쪽에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ny one of the cliff detection sensors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mobile robot 100 , and the other two cliff detection sensors may be installed in the relatively rear side.

예를 들어, 낭떠러지 감지 센서는 PSD 센서일 수 있으나, 복수의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liff detection sensor may be a PSD sensor, but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sensors.

PSD 센서는 반도체 표면저항을 이용해서 1개의 p-n접합으로 입사광의 단장거리 위치를 검출한다. PSD 센서에는 일축 방향만의 광을 검출하는 1차원 PSD 센서와, 평면상의 광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2차원 PSD 센서가 있으며, 모두 pin 포토 다이오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PSD 센서는 적외선 센서의 일종으로서, 적외선을 이용하여, 적외선을 송신한 후 장애물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적외선의 각도를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한다. 즉, PSD 센서는 삼각측량방식을 이용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한다. The PSD sensor detects the short and long-distance position of the incident light with one p-n junction using the semiconductor surface resistance. The PSD sensor includes a one-dimensional PSD sensor that detects light in only one axial direction and a two-dimensional PSD sensor that detects a light position on a plane, both of which may have a pin photodiode structure. The PSD sensor is a kind of infrared sensor and measures the distance by using infrared rays to transmit infrared rays and then measure the angle of infrared rays reflected back from obstacles. That is, the PSD sensor calculates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using the triangulation method.

PSD 센서는 장애물에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장애물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구비하되, 일반적으로 모듈 형태로 구성된다. PSD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경우, 장애물의 반사율, 색의 차이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The PSD sensor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infrared rays to an obstacle and a ligh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infrared rays reflected back from the obstacle, but is generally configured in the form of a module.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using the PSD sensor, a stable measurement value can be obtained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in reflectance and color of the obstacle.

제어부(1800)는 낭떠러지 감지 센서가 지면을 향해 발광한 적외선의 발광신호와 장애물에 의해 반사되어 수신되는 반사신호 간의 적외선 각도를 측정하여, 낭떠러지를 감지하고 그 깊이를 분석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0 may measure an infrared angle between an infrared light emitting signal emitted by the cliff detection sensor toward the ground and a reflected signal received by being reflected by an obstacle to detect the cliff and analyze its depth.

한편, 제어부(1800)는 낭떠러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한 낭떠러지의 지면 상태에 따라 통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에 따라 낭떠러지의 통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0)은 낭떠러지 감지 센서를 통해 낭떠러지의 존재 여부 및 낭떠러지 깊이를 판단한 다음, 낭떠러지 감지 센서를 통해 반사 신호를 감지한 경우에만 낭떠러지를 통과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controller 1800 may determine whether to pass or not according to the ground state of the cliff sensed using the cliff sensor, and may determine whether to pass the cliff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0 determines the existence of a cliff and the depth of the cliff through the cliff sensor, and then passes the cliff only when a reflection signal is detected through the cliff sensor.

다른 예로, 제어부(1800)은 낭떠러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 로봇(100)의 들림 현상을 판단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800 may determine the lift-up phenomenon of the mobile robot 100 using the cliff detection sensor.

한편 카메라는,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렌즈와, 상기 광학렌즈를 통과한 광에 의해 상이 맺히는 다수개의 광다이오드(photodiode, 예를 들어, pixel)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미지센서(예를 들어, CMOS image sensor)와, 상기 광다이오드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영상을 구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정지영상은 물론이고, 정지영상으로 구성된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동영상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camera may include a digital camera. The digital camera includes at least one optical lens and an image sensor (eg, CMOS image sensor)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photodiodes (eg, pixels) on which an image is formed by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lens.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configured to construct an image based on the signals output from the photodiodes.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may generate a still image as well as a moving image composed of frames composed of still images.

한편 카메라는, 3차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3차원 비전 센서(예를 들어, TOF 카메라, 구조광 카메라)일 수 있다.Meanwhile, the camera may be a 3D vision sensor (eg, a TOF camera or a structured light camera) that acquires 3D information in real time.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3차원 비전 센서는 RGB-D 카메라이며, RGB-D 카메라는 컬러영상을 받기 위한 부분과 거리영상을 얻기 위한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컬러영상을 받기 위한 부분은 일반적인 컬러 CMOS 이미징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RGB-D 카메라는 거리정보를 얻기 위하여 적외선 구조광(structure light)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RGB-D 카메라는 적외선을 출력하는 적외선 프로젝터(infrared projector)와 적외선을 탐지하는 흑백 CMOS 이미징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preferred three-dimensional vision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RGB-D camera, and the RGB-D camera may be composed of a part for receiving a color image and a part for acquiring a distance image. A part for receiving a color image may be composed of a general color CMOS imaging sensor. The RGB-D camera can use infrared structured light to obtain distance information. To this end, the RGB-D camera can be composed of an infrared projector that outputs infrared and a monochrome CMOS imaging sensor that detects infrared.

한편 카메라는, 예를 들어, 이동 로봇(100)의 카메라는 로봇 청소기(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 카메라 (센서) 또는 하부 카메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mera, for example, the camera of the mobile robot 100 may include an upper camera (sensor) or a lower camera (sensor) disposed above or below the robot cleaner 100 .

하부 카메라 센서는, 이동 로봇(100)의 배면에 구비되어, 이동 중 하방, 즉, 바닥면(또는 피청소면)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한다. 하부 카메라 센서는, 다른 말로 옵티컬 플로우 센서(Optical Flow Sensor)라 칭하기도 한다. 하부 카메라 센서는, 센서 내에 구비된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하방 영상을 변환하여 소정 형식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영상 데이터는 메모리(1700)에 저장될 수 있다.The lower camera sensor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robot 100, and acquires image information on the lower side, that is, the floor surface (or the surface to be cleaned) during movement. The lower camera sensor is also referred to as an optical flow sensor in other words. The lower camera sensor converts a lower image input from an image sensor provided in the sensor to generate image data in a predetermined format. The generated image data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0 .

또한, 하나 이상의 광원이 이미지 센서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광원은,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되는 바닥면의 소정 영역에 빛을 조사한다. 즉, 이동 로봇이 바닥면을 따라 특정 영역을 이동하는 경우에, 바닥면이 평탄하면 이미지 센서와 바닥면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가 유지된다. 반면, 이동 로봇(100)이 불균일한 표면의 바닥면을 이동하는 경우에는 바닥면의 요철 및 장애물에 의해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게 된다. 이때 하나 이상의 광원은 조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도록 제어부(18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광량 조절이 가능한 발광 소자,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Also, one or more light sources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image sensor. One or more light sources irradiate light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floor surface photographed by the image sensor. That is, when the mobile robot moves in a specific area along the floor surface, a constant distance is maintained between the image sensor and the floor surface if the floor surface is flat.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bile robot 100 moves on the non-uniform surface of the floor, it moves away from it by a certain distance or more due to irregularities and obstacles on the floor. In this case, one or more light sources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800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The light source may be a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Diode (LED).

예를 들어, 이동 로봇(100)의 하부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부(1800)는 이동 로봇(100)의 미끄러짐과 무관하게 이동 로봇(10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의 제어부(1800)은 하부 카메라 센서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비교 분석하여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산출하고, 이를 근거로 이동 로봇(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하부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 로봇(100)의 하방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제어부(1800)는 다른 수단에 의해 산출한 이동 로봇(100)의 위치에 대하여 미끄러짐에 강인한 보정을 할 수 있다.For example, by using the lower camera sensor of the mobile robot 100 , the controller 1800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mobile robot 100 irrespective of the sliding of the mobile robot 100 . The control unit 1800 of the mobile robot 100 compares and analyzes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lower camera sensor over time to calculate the moving distance and the moving direction, and based on this, the position of the mobile robot 100 can be calculated. have. By using the image informa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mobile robot 100 using the lower camera sensor, the control unit 1800 can perform a robust correction against the sliding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robot 100 calculated by other means.

한편, 이동 로봇(100)의 상부 카메라 센서는 이동 로봇(100)의 상방이나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이동 로봇 주변을 촬영할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이 복수의 상부 카메라 센서들을 구비하는 경우, 카메라 센서들은 일정 거리 또는 일정 각도로 이동 로봇(100)의 상부나 옆면에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camera sensor of the mobile robot 100 may be installed to face upward or forward of the mobile robot 100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s of the mobile robot. When the mobile robo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camera sensors, the camera sensors may be formed on the top or side of the mobile robot 100 at a certain distance or at a certain angle.

이하의 도 5 내지 7에서는, 도 1 내지 도 4의 이동 로봇(100) 및 상기 이동 로봇에 적용되는 센싱 장치(200)와 관련된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5 to 7 below,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mobile robot 100 of FIGS. 1 to 4 and the sensing device 200 applied to the mobile robot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100)은 본체(110), 탑커버(120), 흡입 유닛(130), 제1 센싱 유닛(140) 및 먼지통(15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 로봇(100)에 센싱 장치(200)가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mobile rob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 a top cover 120 , a suction unit 130 , a first sensing unit 140 , and a dust container 150 . Also,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obile robot 100 .

상기 본체(110), 흡입 유닛(130), 제1 센싱 유닛(140) 및 먼지통(150)의 경우 도 1 내지 도 3의 예와 동일한 기능과 하위 구성을 가지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탑커버(120) 및 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센싱 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main body 110 , the suction unit 130 , the first sensing unit 140 , and the dust container 150 have the same functions and sub-configurations as in the examples of FIGS. 1 to 3 ,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Hereinafter, the top cover 120 and the sensing device 200 detachably coupled thereto will be described.

탑커버(120)는 이동 로봇(100)의 본체(100)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센싱 장치(200)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탑커버(120)와 센싱 장치(200)는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센싱 장치(200)를 이동 로봇(100)으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탑커버(120)는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커버(120)는 제1 마그넷(1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후술한다.The top cover 120 may be dispos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of the mobile robot 100 , and may be formed to be coupled to the sensing device 200 . The top cover 120 and the sensing device 200 are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so that the sensing device 200 can be separated from or combined with the mobile robot 100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 top cover 120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123 protruding upward. Also, the top cover 120 may include a first magnet 125 . Details 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탑커버(120)는 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센싱 장치(200)의 단자와 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탑커버(120)는 제1 단자(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The top cover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through a contact with the terminal of the sensing device 200 is formed. The top cover 120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121 . Details 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센싱 장치(200)는 센싱 장치 케이스(210), 베이스(220), 제2 센싱 유닛(240)을 포함한다. The sensing device 200 includes a sensing device case 210 , a base 220 , and a second sensing unit 240 .

센싱 장치 케이스(210)는 센싱 장치(200)의 둘레를 따라 외관을 형성한다. 센싱 장치 케이스(210)는 센싱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한다.The sensing device case 210 forms an exterio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nsing device 200 . The sensing device case 210 accommodate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device 200 and protects it from the outside.

센싱 장치 케이스(210)는 센싱 장치 케이스(200)의 하단에서 둘레를 따라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220)를 포함한다. 베이스(220)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면부를 포함한다. 베이스(220)는 센싱 장치 케이스(210)의 하단과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220)는 센싱 장치 케이스(210)와 결합되는 형식으로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nsing device case 210 includes a base 220 that forms an exterior along the circumfere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sensing device case 200 . The base 220 includes a bottom portion forming a bottom surface. The base 220 may be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lower end of the sensing device case 210 . The base 220 may be formed in a form coupled to the sensing device case 210 or may be formed integrally.

베이스(220)는, 탑커버(12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2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로봇(100)은, 탑커버(120)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123)가 베이스(220)에 형성된 결합홈(223)에 삽입되어 센싱 장치(2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탑커버(120)와 베이스(220)는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센싱 장치(200)를 이동 로봇(100)으로부터 결합·분리할 수 있다.The base 220 may include a coupling groove 223 that is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121 protruding upward from the top cover 120 . The mobile robot 100 may be coupled to the sensing device 200 by inserting the coupling protrusion 123 protruding from the top cover 120 into the coupling groove 223 formed in the base 220 . In this case, the top cover 120 and the base 220 are detachably coupled, so that the sensing device 200 can be coupled and separated from the mobile robot 100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이동 로봇(100)과 센싱 장치(200)는, 상기 센싱 장치(200)에 구비된 제2 센싱 유닛(240)이, 흡입 유닛(130)이 위치하는 본체(110)의 앞쪽에 배치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과 동시에 제2 센싱 유닛(240)의 배치방향을 결정하면서, 제2 센싱 유닛(240)이 예기치 않게 틀어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돌기(123) 및 결합홈(22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번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obile robot 100 and the sensing device 200 are coupled so that the second sensing unit 240 provided in the sensing device 2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10 in which the suction unit 130 is located. can As described above, while determin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240 at the same time as the coupling,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second sensing unit 240 is unexpectedly twisted, the coupling protrusion 123 and the coupling groove 223 are It may be formed by bending at least once as shown.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한편, 베이스(220)는 탑커버(120)의 하면에 부착된 제1 마그넷(125)과 대응되는 제2 마그넷(2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그넷(225)은 베이스(22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그넷(125)과 제2 마그넷(225)간의 인력을 통해 상기 탑커버(120)와 베이스(220)는 서로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위와 마찬가지로 결합과 동시에 제2 센싱 유닛(240)의 배치방향을 결정하면서, 제2 센싱 유닛(240)이 예기치 않게 틀어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마그넷(125)과 제2 마그넷(225)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탑커버(120)와 베이스(220)의 일측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도시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base 220 may include a second magnet 225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 125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cover 120 . The second magnet 225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20 . The top cover 120 and the base 2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first magnet 125 and the second magnet 225 . As above, while determin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240 at the same time as the coupling,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second sensing unit 240 is unexpectedly twisted, the first magnet 125 and the second magnet 225 are At least two or more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op cover 120 and the base 220 as shown.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arrangement.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123)가 결합홈(223)에 삽입되는 방식과 자석간 인력에 의한 결합방식이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결합구조는 이와 같이 삽입방식이나 자석 결합에 한정되지 않고, 볼트나 후크를 통한 체결구조 등의 공지의 탈착식 결합방법에 의하여 두 구조가 결합될 수 있으면 된다.As shown, a method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123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23 and a coupling method by an attractive force between magnets may be appli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coupling structure is not limited to the insertion method or the magnetic coupling as described above, and the two structures may be coupled by a known detachable coupling method such as a coupling structure through a bolt or a hook.

탑커버(120)에 형성된 제1 단자(121)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베이스(220)의 하면에 제2 단자(2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로봇(100)과 센싱 장치(200)가 결합되는 경우, 제1 단자(121)와 제2 단자(221)는 접촉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 second terminal 22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2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rminal 121 formed on the top cover 120 . When the mobile robot 100 and the sensing device 200 are coupled, the first terminal 121 and the second terminal 22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contact.

이동 로봇(100)은 단자간 접촉을 통해 상기 센싱 장치(200)가 획득한 외부 환경 정보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mobile robot 100 may transmit/receive data such as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nsing device 200 through terminal-to-terminal contact.

이동 로봇(100)은, 센싱 장치(200)로부터 무선 통신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으나, 통신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에는 송수신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단자간 접촉, 즉 유선 통신연결을 통해 정보를 전달받는 것에 비해 처리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급작스레 등장한 장애물에 반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예시와 같이 단자간 접촉을 통해 센싱 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bile robot 100 may transmit/receive data from the sensing device 2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However, i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cut off, a problem may occur that cannot transmit/receive data. In addition, since the processing speed is slow compared to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contact between terminals, that is,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connec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respond to an obstacle that appears suddenl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receive data from the sensing device 200 through the terminal-to-terminal contact as in the above example.

상기 이동 로봇(100)은 전력 송신 장치(1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송신 장치(1101)는 센싱 장치(200) 내에 구비된 충전 가능한 배터리(미도시)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싱 장치(200)는 전력 수신 장치(2101)를 포함한다. 전력 수신 장치는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The mobile robot 10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1 . The power transmitter 1101 may transmit power to a rechargeable battery (not shown) provided in the sensing device 200 . In this case, the sensing device 200 includes a power receiving device 2101 . The power receiving device may receive power to charge the battery.

예를 들어, 전력 송신 장치는, 이동 로봇(100) 내에 구비된 배터리(미도시)의 전력을, 제1 단자(121)와 제2 단자(221)간의 접촉을 통해, 전력 수신 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은 무선 전력 송신일 수 있으나, 무선 전력 송신의 경우, 유선 전력 송신의 경우보다 충전 속도가 느리고, 전력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예시와 같이 전기적 접촉을 통해 유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싱 장치(200)는 배터리가 구비되지 않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 받은 전력을 곧바로 센싱 장치(200) 내의 각 구성에 공급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power transmitter may supply power from a battery (not shown)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100 to the power receiver through contact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1 and the second terminal 221 . have. The power transmission may b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but in the case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 charging speed is slower than in the case of wired power transmission, and power loss may occu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power through a wire through electrical contact as in the above example. The sensing device 200 may not include a battery, and may directly supply power receiv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to each component in the sensing device 200 .

센싱 장치(200)에는 제2 센싱 유닛(240)이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센싱 유닛(240)은 흡입 유닛(130)이 위치하는 본체(110)의 앞쪽을 바라보도록 센싱 장치(200)의 일측, 즉 센싱 장치(200)의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A second sensing unit 240 is disposed in the sensing device 200 . As shown, the second sensing unit 24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nsing device 200 , that is, in front of the sensing device 200 so as to face the front of the main body 110 where the suction unit 130 is located. have.

제2 센싱 유닛(240)은 제1 센싱 유닛(140)과 마찬가지로 흡입유닛(130)이 장애물 등과 부딪히지 않도록 전방의 장애물이나 지형지물 등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 센싱 유닛(240)은, 제1 센싱 유닛(140)이 감지하지 못하는 범위를 커버하도록, 즉 더 넓은 범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1 센싱 유닛(140)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센싱 유닛(240)은 센싱 장치(2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Like the first sensing unit 140 , the second sensing unit 240 detects an obstacle or a feature in front so that the suction unit 130 does not collide with the obstacle. The second sensing unit 24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sensing unit 140 to cover a range that the first sensing unit 140 cannot detect, that is, to sense a wider range. Preferably, as shown, the second sensing unit 240 may be disposed on the sensing device 200 .

제1 센싱 유닛(140)은 제1 센싱 유닛(140)과 마찬가지로, 전방 감지 센서, 낭떠러지 감지 센서,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Like the first sensing unit 140 , the first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ront detection sensor, a cliff detection sensor, and a camera. A description of this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a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센싱 장치(200)는 마이크(250), 디스플레이(260),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device 200 may include a microphone 250 , a display 260 , and a speaker (not shown).

마이크(250)는 외부의 소리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추출할 수 있다. 마이크(250)는 센싱 장치(200) 상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리가 발생하는 음원으로부터 가까울수록 음성 인식률이 높아지는 바, 마이크(250)는 센싱 장치(200)의 상측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250)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센싱 장치(200)의 사방에 장착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250 may detect an external sound and extract a user's command. The microphone 250 may be mounted on the sensing device 200 at a position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voice. In general, the closer to the sound source, the higher the voice recognition rate, the microphone 250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nsing device (200). A plurality of microphones 250 may be provided and mounted on all sides of the sensing device 200 .

디스플레이(260)는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는, 사용자의 명령이나 설정 또는 감지한 외부 환경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감성 이모티콘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260 may output an image. The display 260 may display predetermined information or an emotional emoticon based on a user's command, setting, or detecte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data.

디스플레이(260)는 센싱 장치(20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는 센싱 장치(200)의 전방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디스플레이(260) 화면이 전방 상향을 바라볼 수 있다. 이동 로봇(200),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의 경우, 기본적으로 평평한 형태를 가지며, 지면에 붙어 낮은 높이로 주행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를 어디에 배치해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정보를 인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상기 센싱 장치(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60)가 상향을 바라보며 기울어지게 배치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60)가 표시하는 정보를 인지하기 용이할 수 있다.The display 260 may be disposed on the sensing device 200 . The display 26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sensing device 200 so that the screen of the display 260 may look upward. In the case of the mobile robot 200 , for example, a robot cleaner, it has a basically flat shape, and it is attached to the ground and travels at a low height, so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recognize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display no matter where the display is placed. Therefore, when the display 260 provided in the sensing device 200, which can be detachably coupl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is inclined to face upward, the user may easily recognize the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display 260 .

스피커(미도시)는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센싱 장치 케이스(210)에는 스피커(미도시)의 소리를 통과시키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A speaker (not shown) may audibly output information. A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a sound of a speaker (not shown) passes may be formed in the sensing device case 210 .

센싱 장치(200)는 예를 들어,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커뮤니케이션 로봇(1)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for example, a communication robot 1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 Details 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의 도 8에서는, 이동 로봇(100) 및 상기 이동 로봇에 적용되는 센싱 장치(200)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In FIG. 8 below,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robot 100 and the sensing device 200 applied to the mobile robot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로봇(100)은, 전원부(1100), 통신부(1200), 구동부(1300), 센싱부(1400), 입력부(1500), 출력부(1600), 메모리(1700) 및 제어부(180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rob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00 , a communication unit 1200 , a driving unit 1300 , a sensing unit 1400 , an input unit 1500 , an output unit 1600 , and a memory 1700 . ) and the control unit 180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thereof.

이동 로봇(100)이 포함할 수 있는 위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4에서 전술한 내용과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scriptions of the above components that the mobile robot 100 may include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in FIG. 4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센싱 장치(200)는, 전원부(2100), 통신부(2200), 구동부(2300), 센싱부(2400), 입력부(2500), 출력부(2600), 메모리(2700) 및 제어부(280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2100, a communication unit 2200, a driving unit 2300, a sensing unit 2400, an input unit 2500, an output unit 2600, a memory 2700. and at least one of the control unit 2800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8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로봇(100) 및 센싱 장치(200)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components shown in FIG. 8 are not essential, so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mobile robot 100 and the sensing device 200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한편, 센싱 장치(200)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이동 로봇(100)의 전원부(1100), 통신부(1200), 구동부(1300), 센싱부(1400), 입력부(1500), 출력부(1600), 메모리(1700) 및 제어부(18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을 위주로 기술한다.On the other hand, each component of the sensing device 200, the power supply unit 1100, the communication unit 1200, the driving unit 1300, the sensing unit 1400, the input unit 1500, the output unit 1600 of the mobile robot 100, ), the memory 1700 and the control unit 180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nd below, the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우선, 전원부(2100)는 전원부(2100)는 센싱 장치(2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여, 센싱 장치(200)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First, the power supply unit 2100 may supply driving power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included in the sensing device 200 , thereby supplying operating power required for the sensing device 200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전원부(2100)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력 수신 장치(2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 수신 장치(2101)는, 이동 로봇(100)의 전력 송신 장치(110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로봇(100)의 전력 송신 장치(1101)는, 제1 단자(121)와 제2 단자(221)간의 접촉을 통해 센싱 장치(200)의 전력 수신 장치(2101)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100 may include a power receiving device 2101 for receiving power. In this case, the power receiving device 2101 may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transmitting device 1101 of the mobile robot 100 . For example, the power transmitter 1101 of the mobile robot 100 transmits power to the power receiver 2101 of the sensing device 200 through contact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1 and the second terminal 221 . can supply

이 때, 전원부(2100)는, 외부 상용 전원에 의해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여 센싱 장치(200) 내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배터리가 구비되지 않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 받은 전력을 곧바로 센싱 장치(200) 내의 각 구성들에 공급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unit 2100 is provided with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by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upply to supply power into the sensing device 200, the battery is not provided, and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directly to the sensing device ( 200) may be supplied to each of the components within.

센싱 장치(200)에 배터리가 구비되는 경우, 제어부(1800, 2800)는 배터리의 전원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0, 2800)는 센싱 장치(200)의 배터리 전원이 설정된 잔량 이하인 경우, 전력 수신 장치(2101)가 전력 송신 장치(110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sensing device 200 includes a battery, the controllers 1800 and 2800 may detect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The controllers 1800 and 2800 may control the power receiving device 2101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transmitting device 1101 when the battery power of the sensing device 200 is equal to or less than a set remaining amount.

이 때, 제어부(1800, 2800)는 이동 로봇(100)의 전원 잔량을 감지하여 이동 로봇(100)의 주행 기능에 지장이 되지 않도록, 이동 로봇(100)의 전원 잔량이 부족한 경우, 상기 전력 송신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800, 2800 detects the remaining power of the mobile robot 10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driving function of the mobile robot 100, when the remaining power of the mobile robot 100 is insufficient, the power is transmitted You can control not to do it.

한편, 센싱 장치(200)는 구동부(2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예를 들어, 센싱 장치(200)가 틸팅 샤프트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센싱 장치는, 구동부(2300)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틸팅 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장치(200) 하부에 회전 모터가 구비되는 경우, 구동부(2300)는 센싱 장치(200)의 감지 범위를 넓히기 위해 제어부(1800, 2800)로부터 명령을 인가받아 감지가 요구되는 방향으로 상기 센싱 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sensing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2300 . The driving unit may, for example, when the sensing device 200 is provided with a tilting shaft, the sensing device may perform a tilting motion inclined to one side by the driving unit 2300 . For example, when a rotary motor is provided under the sensing device 200 , the driving unit 2300 receives a command from the control units 1800 and 2800 in order to widen the sensing range of the sensing device 200 in a direction in which sensing is required. to rotate the sensing device.

한편, 입력부(2500)는 사용자로부터 이동 로봇(100) 및 센싱 장치(200)에 대한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다. 입력부(2500)는 외부의 소리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인식할 수 있는 마이크(25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nput unit 2500 receives various control commands for the mobile robot 100 and the sensing device 200 from the user. The input unit 2500 may include a microphone 250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s command by sensing an external sound.

이때, 마이크(250)는, 감지한 소리를 센싱 장치(200)에 구비된 제어부(28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0)는 마이크(25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명령을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2200)는, 센싱 장치(200) 내에서 처리된 명령 데이터를 단자를 통해 이동 로봇(100)의 제어부(18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통신부(2200)는, 마이크(250)에서 감지한 소리를 이동 로봇(100)의 제어부(18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0)는 마이크(25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명령을 추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icrophone 250 may transmit the sensed sound to the controller 2800 provided in the sensing device 200 . The control unit 2800 may extract a command by recognizing the user's voice detected through the microphone 250 .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2200 may transmit the command data processed in the sensing device 200 to the control unit 1800 of the mobile robot 100 through the terminal. 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unit 2200 may transmit the sound sensed by the microphone 250 to the control unit 1800 of the mobile robot 100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0 may extract a command by recognizing the user's voice sensed through the microphone 250 .

한편, 센싱 장치(200)가 구비하는 통신부(2200)는, 이동 로봇(100)과 유선, 무선, 위성 통신 방식들 중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신호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센싱 장치(200)가 이동 로봇(1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유선상의 전기적 접촉을 통해 통신 연결되어 신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센싱 장치(200)는, 제1 단자(121)와 제2 단자(221)간의 접촉을 통해 이동 로봇(100)과 신호와 데이터를 교류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200)는 센싱 장치(200)에 입력된 명령이나, 감지한 외부 환경 정보 등에 관한 데이터를 이동 로봇(200)의 통신부(1200)로 송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2200 included in the sensing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robot 100 by one of wired, wireless, and satellite communication methods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nd data. 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sensing device 200 is coupled to the mobile robot 100 ,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ing device 200 is connected through a wired electrical contact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nd data. For example, the sensing device 200 may exchange signals and data with the mobile robot 100 through contact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1 and the second terminal 221 . The communication unit 2200 may transmit a command input to the sensing device 200 or data related to sense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1200 of the mobile robot 200 .

출력부(2600)는, 센싱부(1400, 2400)가 검출한 이동 로봇(100) 및 센싱 장치(200) 내부의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600)는 이동 로봇(100) 및 센싱 장치(2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의 현재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또, 출력부(2600)는 센싱부(2400)가 검출한 외부의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장치(200)의 출력부(2600)는 장애물 정보, 위치 정보, 지도 정보 등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에 관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The output unit 2600 may output internal state information of the mobile robot 100 and the sensing device 200 detected by the sensing units 1400 and 2400 . The output unit 2600 may output current states of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robot 100 and the sensing device 200 . Also, the output unit 2600 may output external stat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2400 . For example, the output unit 2600 of the sensing device 200 may display obstacl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map information, and the like on the screen. Hereinafter, the contents of the display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출력부(2600)는, 각종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600)는 제어부(1800, 2800)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 로봇(100)의 동작 과정 또는 동작 결과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스피커에 관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The output unit 2600 may audibly outpu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 output unit 2600 may include a speaker for aurally outputting the operation process or operation result of the mobile robot 100 performed by the controllers 1800 and 2800 . Hereinafter, the contents of the speaker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한편, 센싱부(2400)는, 이동 로봇(100)의 센싱부(1400)와 마찬가지로, 전방 감지 센서, 낭떠러지 감지 센서,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Meanwhile, the sensing unit 2400, like the sensing unit 1400 of the mobile robot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orward sensing sensor, a cliff sensing sensor, and a camera. The content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이동 로봇(100)에 센싱 장치(200)가 결합되는 경우, 두 센싱부(1400, 2400)에서 외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바, 제어부(1800, 2800)는, 필요에 따라 센싱 장치(200)에 구비된 센싱부(2400) 에서만 감지를 수행하도록 제어하여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When the sensing device 200 is coupled to the mobile robot 100, the two sensing units 1400 and 2400 sense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control units 1800 and 2800, if necessary, Power can be saved by controlling the sensing unit 2400 to perform sensing only.

이하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100)의 제어 방법이 설명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rob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우선, 이동 로봇(100)은 탑커버(120)상에 센싱 장치(200)가 결합되었는지 인식한다(S1). 상기 구조간 결합 제1 단자(121)와 제2 단자(221)의 접촉 및 통전 여부를 통해 식별될 수 있다.First, the mobile robot 100 recognizes whether the sensing device 200 is coupled to the top cover 120 (S1). The coupling between the structures may be identified through contact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1 and the second terminal 221 and whether electricity is energized.

이동 로봇(100)과 센싱 장치(200)의 결합이 인식된 경우, 제어부(1800, 2800)는 제1 센싱 유닛(140) 및 제2 센싱 유닛(240)중 감지를 수행할 센싱 유닛을 결정하여 명령을 인가할 수 있다(S2).When the combination of the mobile robot 100 and the sensing device 200 is recognized, the control unit 1800, 2800 determines a sensing unit to perform sensing among the first sensing unit 140 and the second sensing unit 240, The command may be applied (S2).

이동 로봇(100)과 센싱 장치(200)의 결합이 인식된 경우, 일반적으로 제어부(1800, 2800)는, 감지 범위가 더 넓은 제2 센싱 유닛(240)이 외부 환경 정보에 대한 감지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1800, 2800)는 감지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제1 센싱 유닛(140)도 제2 센싱 유닛(240)과 함께 감지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800, 2800)는 필요에 따라 센싱 장치(200)에 구비된 제2 센싱 유닛(240)에서만 감지를 수행하도록 제어하여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로봇(100)의 배터리 전원이 설정된 잔량 이하인 경우, 제어부(1800, 2800)는 제1 센싱 유닛(140)에서만 감지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combination of the mobile robot 100 and the sensing device 200 is recognized, the controllers 1800 and 2800 generally control the second sensing unit 240 with a wider sensing range to detect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Control. In this case, the controllers 1800 and 2800 may control the first sensing unit 140 to also perform sensing together with the second sensing unit 240 in order to increase detection accuracy. In this case, the controllers 1800 and 2800 may control the sensing to be performed only by the second sensing unit 240 provided in the sensing device 200 as necessary to save power. In addition, when the battery power of the mobile robot 100 is equal to or less than a set remaining amount, the controllers 1800 and 2800 may control the sensing to be performed only by the first sensing unit 140 .

감지를 수행할 센싱 유닛이 결정된 경우, 결정된 센싱 유닛은 장애물, 지형지물 등 주변의 외부 환경 정보에 대한 감지를 수행한다(S3).When a sensing unit to perform sensing is determined, the determined sensing unit performs sensing of surrounding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such as an obstacle or a feature (S3).

감지 후 센싱 유닛은 감지한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1800, 2800)로 송신한다(S4).After detection, the sensing unit transmits data on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s 1800 and 2800 (S4).

상기 제어부(1800, 2800)는 전송받은 정보를 처리한 후 주행 경로를 설정하여 구동부(1300)에 명령을 인가하는 것을 통해 주행을 제어한다(S5).After process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controllers 1800 and 2800 control driving by setting a driving route and applying a command to the driving unit 1300 ( S5 ).

이하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설명된다.Hereinafter,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

센싱 장치(200)는 사람 및 주변 기기와 상호 소통하는 커뮤니케이션 로봇(1)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센싱 장치(200)가 커뮤니케이션 로봇(1)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센싱 장치(2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a communication robot 1 that communicates with people and peripheral devices. Hereinafter, the sensing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taking the case where the sensing device 200 is the communication robot 1 as an example.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액세서리(accessary, 2, 3a, 3b), 게이트웨이(gateway, 4), 공유기(Access Point, 7) 및 커뮤니케이션 로봇(hub robot, 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추가로 서버(8) 및 단말기(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cessory (accessary, 2, 3a, 3b), a gateway (4) that transmit information to each oth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It may include a router (Access Point, 7) and a communication robot (hub robot, 1). In addition, the home network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erver 8 and a terminal 6 .

상기 네트워크는 와이파이(wi-fi), 이더넷(ethernet), 직비(zigbee), 지-웨이브(z-wave),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구축될 수 있다. 액세서리(2, 3a, 3b), 게이트웨이(4), 공유기(7) 및 커뮤니케이션 로봇(1)는 정해진 통신규약(protocol)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와 접속 가능한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The network may be constructed based on technologies such as Wi-Fi, Ethernet, zigbee, z-wave, and Bluetooth. The accessories 2 , 3a , 3b , the gateway 4 , the router 7 , and the communication robot 1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connectable to the network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네트워크의 구성에 따라,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들(2, 3a, 3b, 4, 7, 1)에 구비된 통신 모듈이 정해진다. 장치와 네트워크, 또는 장치 상호간의 통신 방식에 따라 장치에 다수개의 통신 모듈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network, the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each of the devices 2 , 3a , 3b , 4 , 7 and 1 constituting the network system is determined.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provided in the devic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device and the network or between the devices.

액세서리(2, 3a, 3b)는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은 소정의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The accessories 2 , 3a , 3b include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for connection with a network. The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es with a predetermined network.

액세서리(2,3a,3b)는 소정의 주변 상황을 감지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2,3a,3b)는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기능을 발휘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2,3a,3b)는 소정의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광 신호(예를 들어,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accessories 2, 3a, and 3b may include a sensor module that detects a predetermined surrounding situation. The accessories 2 , 3a , 3b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that exerts a specific function affec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accessories 2, 3a, and 3b may include a remote control module that transmits an optical signal (eg, an infrared signal) for controlling a predetermined peripheral device.

센서 모듈을 구비한 액세서리(2,3a,3b)는, 기압 센서, 습도 센서, 온도 센서,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공기질 센서, 전자 코 센서,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수면 센서(예를 들어 사용자의 잠옷이나 속옷에 부착하고 사용자가 잠을 자는 동안 코콜이, 무호흡, 뒤척임 등을 감지), 근접센서, 조도센서, 가속도센서, 자기센서, 중력센서, 자이로스코프센서, 모션센서, RGB센서, 적외선센서(IR 센서 : infrared sensor), 초음파센서, 원격감지센서, SAR, 레이더, 광센서(예를 들어, 영상센서, 이미지센서) 등을 구비한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Accessories (2, 3a, 3b) equipped with a sensor module include a barometric press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radiation sensor, a heat sensor, a gas sensor, an air quality sensor, an electronic nose sensor, a healthcare sensor, and a biometric sensor. , sleep sensor (e.g., attached to the user's pajamas or underwear to detect snoring, apnea, toss and turn while the user is sleeping), proximity sensor, light sensor, accelerometer, magnetic sensor, gravity sensor, gyroscope sensor, For example, a device equipped with a motion sensor, RGB sensor, infrared sensor (IR sensor), ultrasonic sensor, remote sensing sensor, SAR, radar, optical sensor (eg, image sensor, image sensor), etc. may be exemplified. .

제어모듈을 구비한 액세서리(2,3a,3b)는, 조명을 제어하는 스마트 라이팅, 전원의 인가 및 정도를 조절하는 스마트 플러그, 보일러 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 여부 및 강도 등을 조절하는 스마트 온도 조절기, 가스의 차단 여부를 제어하는 스마트 가스락 등을 예로 들 수 있다.Accessories (2, 3a, 3b) with control modules are smart lighting to control lighting, smart plugs to control the application and degree of power, and smart thermostats to control whether or not the boiler or air conditioner operates and its strength, etc. , a smart gas lock that controls whether to shut off gas, etc. are examples.

리모트 컨트롤 모듈을 구비한 액세서리(2,3a,3b)는, 원격 제어 가능한 가전기기 등에 적외선(IR) 신호를 발신하는 적외선 LED 등을 구비한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The accessories 2, 3a, and 3b provided with the remote control module may include, for example, a device equipped with an infrared LED that transmits an infrared (IR) signal to a remote-controllable home appliance or the like.

액세서리(예를 들어, 3a,3b)는 소정의 성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정하여진 용도만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3a)는 영상 카메라이고, 액세서리(3b)는 스마트 플러그이다.Accessories (eg, 3a, 3b) may be installed only for a predetermined purpose in order to exhibit a predetermined performance. For example, the accessory 3a is a video camera, and the accessory 3b is a smart plu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2)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2)는 가전기기, 도어, 창문 또는 벽체 등 외부의 물체에 부착될 수 있다.The accessory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so that it can be installed at any location desired by the user. In addition, it may be provided so that it can be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the accessory 2 may be attached to an external object such as a home appliance, a door, a window, or a wall.

게이트웨이(4)는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2, 3b)와 공유기(7) 간의 통신을 매개한다. 게이트웨이(4)는 무선으로 액세서리(2)와 통신한다. 게이트웨이(4)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공유기(7)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4)와 공유기(7) 간의 통신은 이더넷(Ethernet) 또는 와이파이(wi-fi)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The gateway 4 mediates communication between one or more accessories 2 , 3b and the router 7 . The gateway 4 communicates with the accessory 2 wirelessly. The gateway 4 communicates with the router 7 by wire or wirelessly. For example, communication between the gateway 4 and the router 7 may be based on Ethernet or Wi-Fi.

공유기(7)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서버(8)와 연결될 수 있다. 서버(8)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다. 인터넷에 접속된 각종 단말기(6)로 서버(8)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기(6)는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를 예로 들 수 있다.The router 7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8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server 8 is accessible via the Internet. Various terminals 6 connected to the Internet can communicate with the server 8 . The terminal 6 may be, for exampl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or a smart phone.

액세서리(2, 3b)는 게이트웨이(4)와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액세서리(3a)는 게이트웨이(4)를 거치지 않고 공유기(7)와 직접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ccessories 2 , 3b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gateway 4 . As another example, the accessory 3a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router 7 without going through the gateway 4 .

공유기(7)는 게이트웨이(4)를 거치지 않고 상기 액세서리(3a) 또는 통신 모듈을 탑재한 기타 기기(5)와 직접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기들(5, 3a)은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어, 게이트웨이(4)를 경유하지 않고도 공유기(7)와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The router 7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accessory 3a or other device 5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without going through the gateway 4 . These devices (5, 3a)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Wi-Fi communication module,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router (7) without going through the gateway (4).

커뮤니케이션 로봇(1)은 공유기(7)와 유선(예를 들어, 이더넷) 또는 무선(예를 들어, wi-fi)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4) 및 공유기(7)를 매개로 커뮤니케이션 로봇(1)과 액세서리(2, 3b) 상호 간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예로 공유기(7)를 매개로 커뮤니케이션 로봇(1)와 액세서리(3a) 또는 기타 기기(5) 상호 간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mmunication robot 1 may be connected to the router 7 through wired (eg, Ethernet) or wireless (eg, wi-fi) communica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robot 1 and the accessories 2 and 3b can be made through the gateway 4 and the router 7 as a medium, and as another example, the communication robot 1 and the accessory 3a through the router 7 as a medium ) or other devices 5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구체적으로, 액세서리(2, 3b)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게이트웨이(4)와 공유기(7)를 차례로 경유하여 커뮤니케이션 로봇(1)으로 전송될 수 있고, 커뮤니케이션 로봇(1)으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공유기(7)와 게이트웨이(4)를 차례로 경유하여 액세서리(2, 3b)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액세서리(3a) 또는 기타 기기(5)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공유기(7)를 경유하여 커뮤니케이션 로봇(1)로 전송될 수 있고, 커뮤니케이션 로봇(1)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공유기(7)를 경유하여 액세서리(3a) 또는 기타 기기(5)로 전송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ccessories 2 and 3b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robot 1 via the gateway 4 and the router 7 in turn, and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robot 1 is transmitted to the router ( 7) and the gateway 4 may be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accessories 2 and 3b. As another exampl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ccessory 3a or other device 5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robot 1 via the router 7, and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robot 1 may be transmitted to the router 7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accessory (3a) or other device (5) via.

예를 들어, 액세서리(2, 3a, 3b)의 센서 모듈에 의해 획득된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8), 단말기(6) 또는 커뮤니케이션 로봇(1)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서버(8), 커뮤니케이션 로봇(1) 또는 단말기(6)로부터 상기 센서 모듈, 제어모듈, 또는 리모트 컨트롤 모듈의 제어를 위한 신호가 액세서리(2)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신호의 전송은 게이트웨이(4) 및/또는 공유기(7)를 거쳐서 이루어진다. For exampl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nsor module of the accessories 2 , 3a , 3b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8 , the terminal 6 or the communication robot 1 via a network.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sensor module, the control module, or the remote control module is transmitted to the accessory 2 from the server 8 , the communication robot 1 or the terminal 6 . Transmission of these signals is made via the gateway (4) and/or the router (7).

액세서리(2, 3a, 3b)와 커뮤니케이션 로봇(1) 간의 통신은, 게이트웨이(4)와 공유기(7)만으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가 인터넷 등의 외부 통신망과 단절된 경우에도 액세서리(2, 3a, 3b)와 커뮤니케이션 로봇(1)간의 통신이 가능하다.Communication between the accessories 2 , 3a , 3b and the communication robot 1 is possible only with the gateway 4 and the router 7 . For example, even when the home network is disconnected from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the accessories 2 , 3a , 3b and the communication robot 1 is possible.

커뮤니케이션 로봇(1)이 공유기(7)를 통해 서버(8)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커뮤니케이션 로봇(1)이나 액세서리(2)로부터 송신된 정보가 서버(8)에 저장될 수 있다. 서버(8)에 저장된 정보들은 서버(8)와 접속된 단말기(6)가 수신할 수 있다. When the communication robot 1 is connected to the server 8 through the router 7 ,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robot 1 or the accessory 2 may be stored in the server 8 .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8 may be received by the terminal 6 connected to the server 8 .

또한, 단말기(6)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서버(8)를 경유하여 커뮤니케이션 로봇(1)이나 액세서리(2)로 전송될 수 있다. 최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단말기인 스마트폰(smart phone)은 그래픽 기반의 편리한 UI를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UI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로봇(1) 및/또는 액세서리(2)를 제어하거나, 커뮤니케이션 로봇(1) 및/또는 액세서리(2)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가공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 로봇(1) 및/또는 액세서리(2)를 통해 구현 가능한 기능을 확장할 수도 있다.Also,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6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robot 1 or the accessory 2 via the server 8 . Since a smartphone (smart phone), which is a terminal widely used recently, provides a graphic-based convenient UI, the communication robot 1 and/or accessory 2 is controlled through the UI, or the communication robot 1 And/or it is possible to process and display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ccessory (2). In addition, by updating the application mounted on the smartphone, it is also possible to expand the functions that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robot 1 and/or the accessory 2 .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서버(8)와 무관하게 단말기(6)와 커뮤니케이션 로봇(1)이 직접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Blue-Tooth 방식을 이용하여 커뮤니케이션 로봇(1)와 단말기(6)가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terminal 6 and the communication robot 1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regardless of the server 8 .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robot 1 and the terminal 6 may direct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the Blue-Tooth method.

한편, 단말기(6)를 활용하지 않고도, 커뮤니케이션 로봇(1) 만으로도 액세서리(2)를 제어하거나 액세서리(2)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가공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without using the terminal 6,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accessory 2 only with the communication robot 1 or to process and displa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ccessory 2 .

커뮤니케이션 로봇(1)은 커뮤니케이션 로봇(1)의 제어를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1500)를 포함한다. 입력부(1500)는, 액세서리(2)의 제어를 위한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입력부(1500)는, 스위치(미도시) 또는 터치형 디스플레이(2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00)는 마이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로봇(1)에 마이크(250)가 구비된 경우, 커뮤니케이션 로봇(1)의 제어부(2800)는 마이크(25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명령을 추출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robot 1 includes an input unit 1500 for receiv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robot 1 . The input unit 1500 may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accessory 2 . The input unit 1500 may include a switch (not shown) or a touch-type display 260 . The input unit 1500 may include a microphone 250 . When the communication robot 1 is provided with a microphone 250 , the controller 2800 of the communication robot 1 may recognize the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50 and extract a command.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11 illustrates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할 시, 게이트웨이(4)가 구비되지 않으며, 게이트웨이(4)가 수행하던 기능을 커뮤니케이션 로봇(1)이 겸한다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고, 그 이외의 특징들은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The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the gateway 4 is not provided, and the communication robot 1 also serves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gateway 4 . , and other feature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동 로봇 110: 본체
111: 휠 유닛 120: 탑커버
121: 제1 단자 123: 결합돌기
125: 제1 마그넷 130: 흡입 유닛
140: 제1 센싱 유닛 150: 먼지통
200: 센싱 장치 210: 센싱 장치 케이스
220: 베이스 221: 제2 단자
223: 결합홈 225: 제2 마그넷
240: 제2 센싱 유닛 250: 마이크
260: 디스플레이 1100: 전원부
1101: 전력 송신 장치 1200: 통신부
1300: 구동부 1400: 센싱부
1500: 입력부 1600: 출력부
1700: 메모리 1800: 제어부
2100: 전원부 2101: 전력 수신 장치
2200: 통신부 2300: 구동부
2400: 센싱부 2500: 입력부
2600: 출력부 2700: 메모리
2800: 제어부
100: mobile robot 110: body
111: wheel unit 120: top cover
121: first terminal 123: coupling projection
125: first magnet 130: suction unit
140: first sensing unit 150: dust bin
200: sensing device 210: sensing device case
220: base 221: second terminal
223: coupling groove 225: second magnet
240: second sensing unit 250: microphone
260: display 1100: power unit
1101: power transmitter 1200: communication unit
1300: driving unit 1400: sensing unit
1500: input unit 1600: output unit
1700: memory 1800: control unit
2100: power unit 2101: power receiving device
2200: communication unit 2300: driving unit
2400: sensing unit 2500: input unit
2600: output unit 2700: memory
2800: control

Claims (13)

휠 유닛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탑커버;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외부 환경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주행 중 감지를 수행하는 제1 센싱 유닛;
획득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탑커버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베이스가 형성되는 센싱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탑커버에 형성된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장치는, 상기 센싱 장치에 장착되어, 외부 환경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주행 중 감지를 수행하는 제2 센싱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로봇.
a body having a wheel unit;
a top cover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 first sensing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to perform sensing while driving to obtain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driving based on the acquired state information; and
and a sensing device in which a base detachably coupled to the top cover is formed,
The base includes a second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formed on the top cover,
and the sensing device includes a second sensing unit mounted on the sensing device to perform sensing while driving to obtain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싱 유닛은, 상기 제1 센싱 유닛보다 높게 위치하는 이동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ensing unit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sens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이동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top cover,
The base is a mobile robot including a coupling groove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적어도 한번 벤딩되어 형성되는 이동 로봇.
4. The method of claim 3,
The mobile robot is formed by bending the coupling protrusion at least o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의 하부에 부착되는 제1 마그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마그넷과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제2 마그넷을 포함하는 이동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magnet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op cover,
The base is a mobile robot including a second magnet attach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싱 유닛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접촉된 경우, 상기 획득된 외부 환경 정보를 상기 접촉을 통해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이동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ensing unit,
Wh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ome into contact, the mobile robot transmits the acquire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contac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접촉된 경우, 상기 제1 센싱 유닛 및 상기 제2 센싱 유닛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감지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1 센싱 유닛 및 상기 제2 센싱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이동 로봇.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 contact,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are operated so that any one of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selectively performs the sensing. Controlled mobile robot.
제 1 항에 있어서,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 송신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 장치는, 상기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송신 장치는,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접촉된 경우, 상기 접촉을 통해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이동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power,
The sensing device includes a power receiving device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transmitting device,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Wh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ome into contact, the mobile robot transmits power to the power receiving device through the conta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는,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이동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ing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for outputting an imag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전방 상향을 바라보며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이동 로봇.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isplay is a mobile robot that is disposed to be inclined while looking for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는, 외부의 소리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이동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ing device, the mobile robot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microphone for sensing an external soun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센싱 장치의 상부에 장착되는 이동 로봇.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microphone is a mobile robot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nsing device.
휠 유닛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탑커버;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외부 환경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주행 중 감지를 수행하는 제1 센싱 유닛; 및
획득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커버는,
상기 탑커버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적어도 한번 벤딩되어 형성되고, 외부 기기와 결합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외부 기기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를 포함하는 이동 로봇.
a body having a wheel unit;
a top cover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 first sensing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to perform sensing while driving to obtain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obtained state information,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The top cover is
a coupl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top cover, is bent at least once, and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and a firs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rminal of the external device.
KR1020200002655A 2020-01-08 2020-01-08 A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moving robot KR1023205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655A KR102320560B1 (en) 2020-01-08 2020-01-08 A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moving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655A KR102320560B1 (en) 2020-01-08 2020-01-08 A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moving rob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466A true KR20210089466A (en) 2021-07-16
KR102320560B1 KR102320560B1 (en) 2021-11-02

Family

ID=77150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655A KR102320560B1 (en) 2020-01-08 2020-01-08 A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moving ro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56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07140A (en) * 2021-08-05 2021-11-26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993B1 (en) * 2006-12-19 2008-01-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unctionally modularized robot
KR101281806B1 (en) * 2012-12-28 2013-07-04 (주) 퓨처로봇 Personal service robot
KR20160035943A (en) * 2014-09-24 2016-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robot cleaner system having the same
KR101878675B1 (en) 2016-05-20 2018-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993B1 (en) * 2006-12-19 2008-01-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unctionally modularized robot
KR101281806B1 (en) * 2012-12-28 2013-07-04 (주) 퓨처로봇 Personal service robot
KR20160035943A (en) * 2014-09-24 2016-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robot cleaner system having the same
KR101878675B1 (en) 2016-05-20 2018-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07140A (en) * 2021-08-05 2021-11-26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560B1 (en)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6585B2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29614B1 (en)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6891289B2 (en) Vacuum cleaner and its control method
US10591925B2 (en)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TWI603699B (en) Mobil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98330B1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832782B2 (en) Vacuum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1412907B2 (en)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97775B1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432198B1 (en) Ultrasonic sensor and robot cleaner comprising the same
KR20230014790A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EP3795051B1 (en)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320560B1 (en) A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moving robot
US11969136B2 (en)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070283B1 (en)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94815B1 (en)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37393B1 (en) Moving robot
KR102388583B1 (en)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20518062A (en) Mobil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98159B2 (en)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48482A (en) Clean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