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347A -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vehicle capable of releasing heat generated b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vehicle capable of releasing heat generated b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347A
KR20210088347A KR1020200001653A KR20200001653A KR20210088347A KR 20210088347 A KR20210088347 A KR 20210088347A KR 1020200001653 A KR1020200001653 A KR 1020200001653A KR 20200001653 A KR20200001653 A KR 20200001653A KR 20210088347 A KR20210088347 A KR 20210088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charging module
module
shielded
heat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6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진호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1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8347A/en
Publication of KR20210088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34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8Shi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085Cooling by ambient 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22Cooling by heat conduction through solid or powdered fil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B60K2370/1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a vehicle capable of dissipating heat generated by perform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peration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provided in the vehicle through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the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ireless charging module installed on a dashboard of the vehicle, and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to a user terminal through electromagnetic induction; a heat dissipation module installed on the dashboard, shield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by slide-moving on an upper part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dissipates heat generated from the shielded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a processor that controls an output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shield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event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or the user terminal from overheating.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신 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WIRELESS CHARGING SYSTEM FOR VEHICLE CAPABLE OF RELEASING HEAT GENERATED BY WIRELESS POWER TRANSMISSION}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vehicles capable of dissipating heat generated dur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VEHICLE CAPABLE OF RELEASING HEAT GENERATED B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송신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차량에 구비된 열전 소자를 통해 방출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a vehicle capable of dissipating heat generated by perform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peration through a thermoelectric element provided in the vehicle.

무선 충전 방식은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두 장치 간의 전자기 유도 현상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이 이동하는 방식이다.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is performed by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power is transferr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through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between the two devices.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방식은, 무선 충전 장치 내부의 송신 코일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내부의 수신 코일 간의 자기 결합(magnetic coupling)에 의해 송신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수신 코일에 전류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전력이 이동하는 방식이다.More specifically,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transmitting coil by magnetic coupling between the transmitting coil insid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receiving coil insid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induces a current in the receiving coil. The way power moves.

이러한 무선 충전 방식에 의하면 무선 충전 장치 내부의 송신 코일에서는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발열은 전력 전송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wireless charging method, heat is generated in the transmission coil insid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such heat has a problem of lowering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5805호(이하, 선행기술)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a technique for removing heat generated inside a wireless charging device as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9580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has been proposed.

도 1은 종래 무선 충전 장치의 방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선행기술의 도 1을 발췌한 것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heat dissipa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is an extract of FIG. 1 of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선행기술은 송신 코일부(10)에서 생성된 열을 방열하기 위해 히트 싱크(20)와, 히트 싱크(20)로 공기를 송풍하는 방열팬(30)을 이용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prior art uses a heat sink 20 to dissipate heat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coil unit 10 and a heat dissipation fan 30 for blowing air to the heat sink 20 .

구체적으로, 선행기술은 송신 코일부(10)에서 생성된 열을 히트 싱크(20)로 전달시키고, 방열팬(30)을 이용하여 히트 싱크(20)에 구비된 방열리브(21)에 공기를 송풍한다. 이에 따라, 방열리브(21)에서는 열교환이 발생하고 열교환에 의해 송신 코일부(10)의 온도는 낮아진다.Specifically, in the prior art, the heat generated by the transmitting coil unit 10 is transferred to the heat sink 20 , and air is supplied to the heat dissipation rib 21 provided in the heat sink 20 by using the heat dissipation fan 30 . blow off Accordingly, heat exchange occurs in the heat dissipation rib 21 , and the temperature of the transmitting coil unit 10 is lowered by the heat exchange.

즉, 선행기술은 공랭(air cooling) 방식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의 온도를 낮추며, 이를 위해 공기를 토출하는 수단(방열팬(30))과,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필요로 한다.That is, the prior art lowers the temperatur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rough an air cooling method, and for this, a means for discharging air (the heat dissipation fan 30 ) and a space through which the air can flow are required.

이에 따라, 선행기술에 의하면 무선 충전 장치의 부피는 필연적으로 커지게 되는데, 이러한 부피 증가는 최근 무선 충전 장치가 다양한 공간 및 다양한 디바이스와 구조적으로 결합 설치됨에 따라 요구되는 소형화에 부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volum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inevitably increased. This increase in volume does not meet the miniaturization required as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structurally combined with various spaces and various devices in recent years. .

본 발명은 차량 내 좁은 공간에 설치된 무선 충전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량 내부의 넓은 공간으로 방출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a vehicle capable of discharging heat generated from a wireless charging modul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in a vehicle to a large space inside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충전 모듈의 선택적 차폐를 위한 커버를 방열 모듈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a vehicle in which a cover for selective shielding of a wireless charging module can be used as a heat dissipation module.

또한, 본 발명은 방열 동작의 수행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저속 또는 고속으로 충전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a vehicle capable of charging a user terminal at a low speed or a high speed depending on whether a heat dissipation operation is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선 충전 모듈에 거치된 사용자 단말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을 때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a vehicle that can output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an in-vehicle display device when the user cannot visually check the user terminal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o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은 차량의 대시보드에 고정 설치된 무선 충전 모듈을 방열 모듈을 통해 차량 내부 공간으로부터 차폐함으로써 차량 내 좁은 공간에 설치된 무선 충전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량 내부의 넓은 공간으로 방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generated by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in the vehicle can be radiated to a wide space inside the vehicle by shield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fixedly installed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from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module.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충전 모듈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열 모듈을 통해 무선 충전 모듈을 차폐함으로써, 무선 충전 모듈의 선택적 차폐를 위한 커버를 방열 모듈로서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shield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module that slides on the top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t is possible to use a cover for the selective shielding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s a heat dissipation module.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충전 모듈이 방열 모듈에 의해 차폐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방열 동작의 수행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저속 또는 고속으로 충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whether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shielded by the heat dissipation module, thereby charging the user terminal at a low speed or a high speed depending on whether a heat dissipation operation is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충전 모듈에 거치된 사용자 단말이 방열 모듈에 의해 차폐된 경우에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 단말을 무선 접속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무선 충전 모듈에 거치된 사용자 단말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을 때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ly connects the display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in the vehicle when the user terminal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shielded by the heat dissipation module, so that the user cannot visually check the user terminal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t this tim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may be output through an in-vehic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차량 내 좁은 공간에 설치된 무선 충전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량 내부의 넓은 공간으로 방출함으로써, 무선 충전 모듈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동작에 의해 무선 충전 모듈 또는 사용자 단말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generated by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in the vehicle is radiated to a large space inside the vehicle, so that the heat generat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can be quickly dispersed to the outside, and accordingly,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or the user terminal from overheating.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충전 모듈의 선택적 차폐를 위한 커버를 방열 모듈로 이용함으로써, 무선 충전 모듈의 방열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차량에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고도 종래 차량 내 설치되어왔던 대시보드의 구성요소(커버)를 통해 무선 충전 모듈을 방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cover for selective shielding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s a heat dissipation module, so that a component of the dashboard that has been installed in the vehicle in the prior art without additionally installing a separate device for dissipat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 the vehicle ( cover) has the effect of dissipat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s heat.

또한, 본 발명은 방열 동작의 수행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저속 또는 고속으로 충전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고속 충전으로 인한 무선 충전 모듈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rapid temperature rise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ue to the fast charging of the user terminal by charging the user terminal at a low speed or a high speed depending on whether a heat dissipation operation is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선 충전 모듈에 거치된 사용자 단말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을 때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 대한 연속적인 사용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suring continuous usability of the user terminal by outputting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in-vehicle display device when the user cannot visually check the user terminal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have.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종래 무선 충전 장치의 방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이 차량의 대시보드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무선 충전 모듈의 발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대시보드에 고정 설치된 무선 충전 모듈과 대시보드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방열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무선 충전 모듈에서 발생한 열이 방열 모듈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사용자 단말이 거치된 무선 충전 모듈이 방열 모듈에 의해 차폐되었을 때 사용자 단말의 정보가 차량 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heat dissipa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wireless charging device.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is a view for explaining heat gen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7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ireless charging module fixedly installed on the dashboard and a heat dissipation module installed to be able to slide on the dashboard.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t generat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modul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is displayed through an in-vehicle display unit when a wireless charging module on which the user terminal is mounted is shielded by a heat dissipation module;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at any component is disposed on the "upper (or lower)" or "top (or lower)" of the component means that any component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of the component. Furthermore,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ertain elem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here is another element between each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interposed,” or that each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rough another elem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ome of which components or some steps are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includ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and / or B" is said, it means A, B or A and B unless otherwise stated, and when said "C to D", it i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eans C or more and D or less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송신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차량에 구비된 열전 소자를 통해 방출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a vehicle capable of dissipating heat generated by perform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peration through a thermoelectric element provided in the vehicle.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이 차량의 대시보드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mponents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ashboard of a vehicle.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6은 무선 충전 모듈의 발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heat gen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도 7은 대시보드에 고정 설치된 무선 충전 모듈과 대시보드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방열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무선 충전 모듈에서 발생한 열이 방열 모듈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wireless charging module fixedly installed on the dashboard and a heat dissipation module installed to be slidably moved on the dashboard. In addi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heat generat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module.

도 9는 사용자 단말이 거치된 무선 충전 모듈이 방열 모듈에 의해 차폐되었을 때 사용자 단말의 정보가 차량 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is displayed through an in-vehicle display unit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on which the user terminal is mounted is shielded by the heat dissipation modul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1)은 무선 충전 모듈(100), 방열 모듈(200), 프로세서(300), 디스플레이부(400) 및 메모리(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00)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1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 a heat dissipation module 200 , a processor 300 , a display unit 400 and a memory 500 . may include. Meanwhile, the display unit 400 may include various display device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system 1 shown in FIG. 2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its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and some components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as necessary. can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1)은 차량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모듈(100), 방열 모듈(200) 및 디스플레이부(400)는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 10b)에 설치될 수 있고, 프로세서(300)는 차량 내 임의의 위치에 구비되어 무선 충전 모듈(100), 방열 모듈(200) 및 디스플레이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system 1 for a vehicle may be provided in a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 and the display unit 400 may be installed on the dashboard 10b of the vehicle, and the processor 300 is provided at any location within the vehicle. to control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 and the display unit 400 .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모듈(100)은 차량의 대시보드(10b) 하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무선 충전 동작을 위해 무선 충전 모듈(100)에는 사용자 단말(2)이 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may be fixedly installed under the dashboard 10b of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2 may be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for a wireless charging operation. .

한편, 방열 모듈(200)은 대시보드(10b) 하부에서 무선 충전 모듈(100)을 차폐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열 모듈(200)은 대시보드(10b)에 삽입됨으로써 무선 충전 모듈(100)과 사용자 단말(2)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고, 대시보드(10b)로부터 토출됨으로써 무선 충전 모듈(100)과 사용자 단말(2)을 외부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Meanwhile,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may be installed to shiel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dashboard 10b. More specifically,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may expos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and the user terminal 2 to the outside by being inserted into the dashboard 10b, and by being discharged from the dashboard 10b,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 100) and the user terminal 2 may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전술한 무선 충전 모듈(100)과 방열 모듈(200)의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Specific structures and operations of the aforementioned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and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later.

다시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400)는 메인 디스플레이(410), 클러스터(cluster) 디스플레이(420), 조수석 디스플레이(430),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 440), HUD(Head Up Display, 450), RSE(Rear Seat Entertainment, 4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2 and 3 together, the display unit 400 includes a main display 410 , a cluster display 420 , a front passenger display 430 , a Center Information Display (CID) 440 , and a Head (HUD). Up Display, 450) and RSE (Rear Seat Entertainment, 460) may include at least one.

메인 디스플레이(410)는 대시보드(10b)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클러스터 디스플레이(420)는 운전석 측 대시보드(10b) 중 핸들 뒤편에 설치될 수 있고, 조수석 디스플레이(430)는 조수석 측 대시보드(10b)에 설치될 수 있으며, CID(440)는 대시보드(10b) 중앙에서 메인 디스플레이(410)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main display 410 may be installed on the dashboard 10b, the cluster display 420 may be installed behind the steering wheel among the dashboard 10b on the driver's seat side, and the passenger seat display 430 may be installed on the dashboard on the passenger's seat side. It may be installed in the 10b, and the CID 440 may be installed below the main display 410 in the center of the dashboard 10b.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HUD(450)는 차량의 전면 유리 내측에 화면을 투사할 수 있도록 대시보드(10b)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고, RSE(460)는 앞 좌석(운전석 및 조수석) 후면에 설치되어 뒷 좌석 탑승자를 향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HUD 450 may be provided on the dashboard 10b to project a screen inside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and the RSE 460 is a front seat (driver's seat and front passenger's seat) It is installed in the rear and can be installed toward the rear seat occupants.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들 외에도 디스플레이부(400)는 화면을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display device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unit 400 may include various devices capable of visually outputting a screen.

이하, 무선 충전 모듈(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무선 충전 모듈(100)은 전자기 유도를 통해 사용자 단말(2)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may wirelessly transmit power to the user terminal 2 through electromagnetic induction.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모듈(100)이 상부에 거치된 사용자 단말(2)과 정렬(aligned)된 경우, 무선 충전 모듈(100)은 사용자 단말(2)과 자기 결합(magnetic coupling)되어 사용자 단말(2)에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aligned with the user terminal 2 mounted thereo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user terminal 2 and the user terminal (2) can transmit power.

이를 위해, 무선 충전 모듈(100)은 그 내부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1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무선 충전 모듈(100)은 내부에 구비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140)을 통해 사용자 단말(2)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transmitting coil 140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therein. In other words,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may wirelessly transmit power to the user terminal 2 through at least one transmission coil 140 provided therein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무선 충전 모듈(100)의 전력 송신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A power transmission process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무선 충전 모듈(100)과 사용자 단말(2)은, 사용자 단말(2) 내 수신 코일이 무선 충전 모듈(100) 내 송신 코일(140) 상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송신 코일(140)과 수신 코일은 자기 결합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and the user terminal 2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receiving coil in the user terminal 2 is located on the transmitting coil 140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and thus the transmitting coil 140 ) and the receiving coil may be magnetically coupled.

이 때, 무선 충전 모듈(100)은 송신 코일(14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고, 송신 코일(140)에는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송신 코일(140)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수신 코일에 전류를 유도할 수 있고, 수신 코일에 유도된 전류는 사용자 단말(2) 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may apply a current to the transmitting coil 140 , and a magnetic field may be generated in the transmitting coil 140 .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transmitting coil 140 may induce a current in the receiving coil, and the current induced in the receiving coil may charge the battery in the user terminal 2 .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무선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충전 모듈(10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wireless charg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100)은 케이스(110)와, 그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120), 기판(120) 상에 배치되는 평판 코어(130), 평판 코어(130) 상에 배치되는 송신 코일(140)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탑 케이스(110t)와 바텀 케이스(110b)로 이루어질 수 있고, 탑 케이스(110t)와 바텀 케이스(110b)는 서로 결합됨으로써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을 기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se 110 , a substrate 120 disposed therein, a flat core 130 disposed on the board 120 , and a flat core core. It may be composed of a transmitting coil 140 disposed on the 130 . The case 110 may include a top case 110t and a bottom case 110b, and the top case 110t and the bottom case 110b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airtight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10 .

기판(120)에는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송신 코일(140)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 공급 회로가 탑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원 공급 회로는 PCB(Printed Circuit Board), IC(Integrated Circui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A power supply circuit for applying a current to the transmission coil 140 by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may be mounted on the substrate 120, and this power supply circuit may be implemented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 integrated circuit (IC), etc. can

평판 코어(130)는 높은 투자율을 가지며 쉽게 깨지지 않는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판 코어(130)는 코발트(Co), 철(Fe), 니켈(Ni), 붕소(B), 규소(Si) 등의 비 정질 금속 재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시트 또는 박막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평판 코어(130)는 페라이트(ferrite) 코어일 수 있다.The flat core 130 may be made of a component that has high magnetic permeability and is not easily broken. More specifically, the flat core 130 may be made of an amorphous metal material such as cobalt (Co), iron (Fe), nickel (Ni), boron (B), silicon (Si),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a sheet Or it may have a thin film form.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t core 130 may be a ferrite core.

이에 따라, 평판 코어(130)는 송신 코일(140)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의 자속 밀도를 높이고 자기장의 자로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lat core 130 may increase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transmitting coil 140 and efficiently form a magnetic path of the magnetic field.

송신 코일(140)은 평판 코어(130)의 상부에 배치되는 평판형 코일로서,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송신 코일(140)의 양 단부에는 전술한 전원 공급 회로와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단자가 구비될 수 있고, 전원 공급 회로는 프로세서(300)의 제어에 따라, 송신 코일(140)에 구비된 단자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coil 140 is a flat coil disposed on the flat core 130 and may have a circular, oval, or rectangular shape. Terminals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above-described power supply circuit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ransmitting coil 140 , and the power supply circui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transmitting coil 14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300 . current can be applied.

일 사용예에서, 탑 케이스(110t) 상부에 사용자 단말(2)이 거치되었을 때, 전원 공급 회로는 송신 코일(14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 코일(140)에서는 자기장이 발생하고, 송신 코일(140)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사용자 단말(2) 내 수신 코일에 전류를 유도할 수 있다. 수신 코일에 유도된 전류는 사용자 단말(2)의 내부 배터리로 공급됨으로써, 사용자 단말(2)의 내부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In one use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2 is mounted on the top case 110t, the power supply circuit may apply a current to the transmission coil 140 . Accordingly,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transmitting coil 140 , and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transmitting coil 140 may induce a current in the receiving coil in the user terminal 2 . The current induced in the receiving coil is supplied to the internal battery of the user terminal 2 , so that the internal battery of the user terminal 2 may be charged.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무선 충전 모듈(100)은 도 4에 도시된 무선 충전 모듈(100)과 송신 코일(140)의 구조에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해당 차이점만을 중점으로 설명하도록 한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inc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shown in FIG. 5 differs only in the structure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and the transmitting coil 140 shown in FIG. 4 , only the difference will be mainly described below.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100)에 포함되는 송신 코일(140)은, 평판 코어(130) 상에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코일(140a)과, 복수의 제1 코일(140a)과 일부 중첩되도록 복수의 제1 코일(140a) 상에 배치되는 제2 코일(140b)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ansmitting coil 140 includ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ils 140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lat core 130 and a plurality of first coils 140a and The second coil 140b may be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first coils 140a to partially overlap.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1 코일(140a)은 평판 코어(130)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서 평판 코어(130) 상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단일의 제2 코일(140b)은 두 개의 제1 코일(140a)의 일부와 모두 중첩되도록 두 개의 제1 코일(140a) 상에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140a) 및 제2 코일(140b)의 각 단부에는 전술한 전원 공급 회로와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단자가 구비될 수 있고, 전원 공급 회로는 해당 단자들을 통해 각각의 제1 코일(140a) 및/또는 제2 코일(140b)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the two first coils 140a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rea formed by the flat core 130 . In this case, the single second coil 140b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two first coils 140a so as to overlap a portion of the two first coils 140a. A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above-described power supply circuit may be provided at each end of the first coil 140a and the second coil 140b, and the power supply circuit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coils 140a through the corresponding terminals. ) and/or a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coil 140b.

일 사용예에서, 탑 케이스(110t) 상부에 두 개의 사용자 단말(2)이 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두 사용자 단말(2)은 각각 두 개의 제1 코일(140a) 상에 거치될 수 있다. 이 때, 전원 공급 회로는 두 개의 제1 코일(140a)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제1 코일(140a)에서는 자기장이 발생하고, 각각의 제1 코일(140a)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두 사용자 단말(2) 내 수신 코일에 전류를 유도할 수 있다. 각 수신 코일에 유도된 전류가 각 사용자 단말(2) 내 배터리로 공급됨으로써, 두 사용자 단말(2)의 내부 배터리는 동시에 충전될 수 있다.In one use example, the two user terminals 2 may be mounted on the top case 110t. For example, the two user terminals 2 may b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two first coils 140a.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circuit may apply current to the two first coils 140a. Accordingly, magnetic fields are generated in the two first coils 140a, and the magnetic fields generated in each of the first coils 140a may induce currents in the receiving coils in the two user terminals 2 . As the current induced in each receiving coil is supplied to the batteries in each user terminal 2 , the internal batteries of the two user terminals 2 can be simultaneously charged.

전술한 바와 달리, 어느 한 사용자 단말(2)은 두 개의 제1 코일(140a) 중 어느 한 제1 코일(140a) 상에 거치될 수 있고, 다른 한 사용자 단말(2)은 제2 코일(140b) 상에 거치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전원 공급 회로가 어느 한 사용자 단말(2) 하부에 배치된 제1 코일(140a)과, 다른 한 사용자 단말(2) 하부에 배치된 제2 코일(140b)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두 사용자 단말(2)의 내부 배터리는 동시에 충전될 수 있다.Unlike the above, any one user terminal 2 may be mounted on any one of the two first coils 140a, and the other user terminal 2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coil 140b. ) can be mounted on the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circuit may apply a current to the first coil 140a disposed under one of the user terminals 2 and the second coil 140b disposed under the other user terminal 2, Accordingly, the internal batteries of the two user terminals 2 can be simultaneously charged.

이하, 방열 모듈(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방열 모듈(200)은 무선 충전 모듈(100)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무선 충전 모듈(100)을 외부로부터 차폐하고, 차폐된 무선 충전 모듈(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may slide on the top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to shiel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from the outside, and radiate heat generated from the shielded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방열 모듈(200)은 무선 충전 모듈(100) 보다 높은 위치에서 대시보드(10b)에 설치될 수 있고, 무선 충전 모듈(100)에 대해 수평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무선 충전 모듈(100)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외부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3 ,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may be installed on the dashboard 10b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 and by sliding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r shielded from the outside.

무선 충전 모듈(100)이 차폐되었을 때 방열 모듈(200)은 무선 충전 모듈(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다.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shielded,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may radiate heat generat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

도 6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무선 충전 모듈(100)이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송신 코일(140)에서는 열이 발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신 코일(140)은 전선이 감긴 형태로서, 전선이 감긴 횟수에 비례하는 임피던스(impedance)를 가질 수 있고, 송신 코일(140)에 전류가 지속적으로 흐르게 되면 전술한 임피던스에 의해 송신 코일(140)에서는 열이 발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wirelessly transmits power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heat may be generated in the transmission coil 140 . More specifically, the transmitting coil 140 is a wire wound shape, and may have an impedance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imes the wire is wound, and when a current continuously flows in the transmitting coil 140, transmission is performed by the aforementioned impedance. Heat may be generated in the coil 140 .

송신 코일(140)에서 발생한 열은 전력 전송 효율을 낮추게 되는데, 이러한 전력 전송 효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방열 모듈(200)은 송신 코일(140)에서 발생한 열을 차량 내부 공간으로 방출할 수 있다.The heat generated in the transmitting coil 140 lowers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In order to prevent such a decrease in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may radiate the heat generated in the transmitting coil 140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방열 모듈(2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도 7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대시보드(10b)의 하부에는 하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함몰부(10a)가 형성될 수 있고, 함몰부(10a)에 무선 충전 모듈(100)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은 함몰부(10a) 내부에서 무선 충전 모듈(100) 상에 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for example, a depression 10a that is depressed in a downward direction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ashboard 10b, an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may be fixedly installed in the depression 10a. have.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 may be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nside the depression 10a.

한편, 방열 모듈(200)은 대시보드(10b)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고, 슬라이드 이동하여 대시보드(10b)에 삽입되거나 대시보드(10b)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Meanwhile,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ashboard 10b , and may be inserted into or discharged from the dashboard 10b by sliding.

이러한 방열 모듈(200)의 슬라이드 이동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방열 모듈(200)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조작의 편의성을 위해 방열 모듈(200)의 일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기(21)가 형성될 수 있다.The slide movement of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may be performed by a user or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When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is moved by the user, a protrusion 21 protruding upward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for convenience of operation.

방열 모듈(200)이 대시보드(10b)로부터 완전히 토출되는 경우 무선 충전 모듈(100)과 사용자 단말(2)은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반면에, 방열 모듈(200)이 대시보드(10b)에 삽입되는 경우 무선 충전 모듈(100)과 사용자 단말(2)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When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is completely discharged from the dashboard 10b,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and the user terminal 2 may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On the other hand, when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is inserted into the dashboard 10b,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and the user terminal 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무선 충전 모듈(100)과 사용자 단말(2)이 외부로부터 차폐된 상태에서, 방열 모듈(200)은 무선 충전 모듈(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and the user terminal 2 are shielded from the outside,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may radiate heat genera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

보다 구체적으로, 방열 모듈(200)은 펠티에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 모듈(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방열 모듈(200)은 기전력을 이용함으로써, 무선 충전 모듈(100)로부터 제공되는 열을 일면을 통해 흡수하고, 흡수된 열을 타면을 통해 방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may use the Peltier effect to emit heat generat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 In other words,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may absorb heat provid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through one surface and radiate the absorbed heat through the other surface by using electromotive force.

이를 위해, 방열 모듈(200)은 열전 소자와 열전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 소자는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을 접합한 것으로, 접합된 금속에 전류가 인가될 때 어느 한 접점은 발열하고 다른 한 접점은 흡열하는 소자일 수 있다. 여기서 발열하는 접점을 발열 접점(220)으로, 흡열하는 접점을 흡열 접점(210)으로 정의하도록 한다.To this end,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may include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control circuit (not shown)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 thermoelectric element is a combination of different types of metals, and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joined metal, one contact point may generate heat and the other contact point may absorb heat. Here, a contact that generates heat is defined as a heating contact 220 , and a contact that absorbs heat is defined as a heat absorbing contact 210 .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열 모듈(200)은 발열 접점(220)과 흡열 접점(210)이 대향 배치되는 열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충전 모듈(10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기 위해, 흡열 접점(210)은 무선 충전 모듈(100)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may include a thermoelectric element in which the heating contact 220 and the heat absorbing contact 21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this time, in order to absorb heat genera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 the heat absorbing contact 210 may be disposed towar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

무선 충전 모듈(100)이 차폐되면, 제어 회로는 후술하는 프로세서(300)의 제어에 따라 열전 소자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 때, 흡열 접점(210)이 무선 충전 모듈(100)을 향해 배치되어 있으므로 흡열 접점(210)은 무선 충전 모듈(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발열 접점(220)은 흡열 접점(210)을 통해 흡수된 열을 차폐된 공간(함몰부(10a))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shielded, the control circuit may apply a voltage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300 to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since the heat absorbing contact 210 is disposed towar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 the heat absorbing contact 210 may absorb heat generated by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 Meanwhile, the heating contact 220 may radiate heat absorbed through the heat absorbing contact 210 to the outside of the shielded space (the depression 10a).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은 차량 내 좁은 공간에 설치된 무선 충전 모듈(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량 내부의 넓은 공간으로 방출함으로써, 무선 충전 모듈(100)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동작에 의해 무선 충전 모듈(100) 또는 사용자 단말(2)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such a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dissipates heat generated by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nstalled in a narrow space in the vehicle to a wide space inside the vehicle, thereby quickly dispersing the heat generat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to the outside.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or the user terminal 2 from being overheat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충전 모듈(100)의 선택적 차폐를 위한 커버를 방열 모듈(200)로 이용함으로써, 무선 충전 모듈(100)의 방열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차량에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고도 종래 차량 내 설치되어왔던 대시보드(10b)의 구성요소(커버)를 통해 무선 충전 모듈(100)을 방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over for selective shielding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as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so that a separate device for dissipat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vehicle in a conventional vehic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can be dissipated through the components (cover) of the dashboard 10b that have been installed.

이하, 프로세서(300)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300)는 메모리(500)를 참조하여 무선 충전 모듈(100), 방열 모듈(200) 및 디스플레이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300)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물리적인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or 300 may control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 and the display unit 400 with reference to the memory 500 . To this end, the processor 300 is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controllers (controllers) , may be implemented as a physical elem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micro-controllers or a combination thereof.

프로세서(300)는 무선 충전 모듈(100)의 차폐 여부에 따라 무선 충전 모듈(10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30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according to whether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shielded.

이를 위해, 프로세서(300)는 무선 충전 모듈(100)의 차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열 모듈(200)은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무선 충전 모듈(100)을 차폐하므로, 프로세서(300)는 방열 모듈(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 모듈(100)의 차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rocessor 300 may determine whether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shield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shields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by sliding, the processor 300 determines whether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shield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 can do.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1)은 무선 충전 모듈(100)이 설치된 함몰부(10a)의 일 측면에 구비된 센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a vehicle 1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60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epression 10a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installed.

일 예에서, 센서부(600)는 위치 감지 센서일 수 있다. 이 때, 센서부(600)는 방열 모듈(200)과의 거리를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방열 모듈(20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부(600)는 검출된 위치를 프로세서(300)에 제공할 수 있고, 프로세서(300)는 방열 모듈(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 모듈(100)이 방열 모듈(200)에 의해 완전히 차폐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ensor unit 600 may be a position detection sensor. At this time, the sensor unit 600 may measure the distance to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in various ways, and detect the position of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The sensor unit 600 may provide the detected position to the processor 300 , and the processor 300 determines that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completely installed by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shielded.

다른 예에서, 센서부(600)는 광 검출 센서일 수 있다. 방열 모듈(200)에 의해 무선 충전 모듈(100)이 차폐되지 않으면, 함몰부(10a) 내부로 외부 광이 제공될 수 있다, 반면에, 방열 모듈(200)에 의해 무선 충전 모듈(100)이 차폐되면, 함몰부(10a) 내부로 외부 광이 제공되지 못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센서부(600)에 의해 검출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 모듈(100)이 방열 모듈(200)에 의해 완전히 차폐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sensor unit 600 may be a light detection sensor. I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not shielded by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external light may be provided into the recessed portion 10a, 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by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When shielded, external light may not be provided to the inside of the depression 10a. The processor 300 may determine whether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completely shielded by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ligh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600 .

한편, 프로세서(300)는 기본적으로 무선 충전 모듈(100) 내 송신 코일(140)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함으로써 무선 충전 모듈(10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송신 코일(140)에 흐르는 전류량이 커질수록 송신 코일(140)에서는 더 많은 열이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30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by basically adjusting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 140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 At this time, as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ransmitting coil 140 increases, more heat may be generated in the transmitting coil 140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과도한 열 발생은 전력 전송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다만, 무선 충전 모듈(100)이 차폐된 경우 무선 충전 모듈(100)에서 발생하는 열은 방열 모듈(200)에 의해 방출되므로, 프로세서(300)는 무선 충전 모듈(100)이 방열 모듈(200)에 의해 차폐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무선 충전 모듈(100)의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xcessive heat generation may degrad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However,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shielded, since the heat generat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emitted by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 the processor 300 determines that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 If shielded b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output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than otherwise.

예컨대, 프로세서(300)는 무선 충전 모듈(100)의 차폐 여부에 따라 무선 충전 모듈(100)의 출력을 제1 기준출력 또는 제2 기준출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출력은 제1 기준출력보다 클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30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as a first reference output or a second reference output according to whether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shielded. Here, the second reference output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output.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00)는 무선 충전 모듈(100)이 차폐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 충전 모듈(100) 내 송신 코일(140)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조절함으로써 무선 충전 모듈(100)의 출력을 제1 기준출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프로세서(300)는 무선 충전 모듈(100)이 차폐된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 충전 모듈(100) 내 송신 코일(140)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조절함으로써 무선 충전 모듈(100)의 출력을 제2 기준출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not shielded, the processor 300 controls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transmission coil 140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 It can be controlled by 1 reference output.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shielded, the processor 300 adjusts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transmission coil 140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to output the second output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 It can be controlled by reference output.

이에 따라, 무선 충전 모듈(100)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열 모듈(200)에 의해 방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무선 충전 모듈(100)은 사용자 단말(2)에 제1 기준출력을 제공할 수 있고, 무선 충전 모듈(100)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열 모듈(200)에 의해 방출되는 경우에는, 무선 충전 모듈(100)은 사용자 단말(2)에 제1 기준출력보다 큰 제2 기준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heat generated by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not emitted by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may provide a first reference output to the user terminal 2, When the heat generated by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emitted by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may provide a second reference output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output to the user terminal 2 . hav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열 동작의 수행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2)을 저속 또는 고속으로 충전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의 고속 충전으로 인한 무선 충전 모듈(100)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rapid temperature rise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due to fast charging of the user terminal 2 by charging the user terminal 2 at a low speed or a high speed depending on whether a heat dissipation operation is performed. can do.

한편, 프로세서(300)는 무선 충전 모듈(100)의 차폐 여부에 따라 차량 내 디스플레이부(400)가 사용자 단말(2)과 무선 접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300 may control the in-vehicle display unit 400 to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 according to whether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shielded.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선 충전 모듈(100)이 방열 모듈(200)에 의해 차폐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다. 이 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사용자 단말(2)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프로세서(300)는 무선 충전 모듈(100)이 차폐된 경우 사용자의 별도 명령 없이도 차량 내 디스플레이부(400)의 무선 접속 기능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부(400)가 사용자 단말(2)과 무선 접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shielded by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as shown in FIG. 8 , the user cannot visually check the user terminal 2 . 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user to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 through the display unit 400 , the processor 300 performs the in-vehicle display unit without a separate command from the user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shielded. By executing the wireless access function of 400 , the display unit 400 may be controlled to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 .

반대로, 무선 충전 모듈(100)이 차폐되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세서(3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00)가 사용자 단말(2)과 무선 접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not shielded, the processor 30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400 to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 according to a user command.

추가적으로, 프로세서(300)는 무선 충전 모듈(100)의 차폐 여부에 따라 차량 내 디스플레이부(400)가 사용자 단말(2)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cessor 300 may control the in-vehicle display unit 400 to display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 according to whether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shielded.

도 9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차량을 운전 중인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해 네비게이션을 실행한 후, 사용자 단말(2)을 무선 충전 모듈(100) 상에 거치하고 방열 모듈(200)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무선 충전 모듈(100)과 사용자 단말(2)을 차폐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에서 표시되는 지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다.Referring to FIG. 9 as an example, a user driving a vehicle performs navig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2 , then mounts the user terminal 2 o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and slides the heat dissipation module 200 . By mov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and the user terminal 2 can be shielded. In this case, the user cannot visually check the map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 .

이 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지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프로세서(300)는 무선 충전 모듈(100)이 차폐된 경우 사용자의 별도 명령 없이도 차량 내 디스플레이부(400)의 무선 접속 기능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부(400)가 사용자 단말(2)로부터 지도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400)의 화면 표시 기능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부(400)가 사용자 단말(2)로부터 수신된 지도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user to check the map through the display unit 400, the processor 300 wirelessly connects the display unit 400 in the vehicle without a separate command from the user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is shielded. By executing the function, the display unit 400 can be controlled to receive map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 , and by executing the screen display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400 , the display unit 400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 .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output the received map information.

도 9에서는 디스플레이부(400)가 지도를 표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400)는 프로세서(3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2)의 정보, 예컨대 사용자 단말(2)에서 발생하는 임의의 이벤트(전화 및/또는 메시지 송신 및/또는 수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FIG. 9 , the display unit 400 displays a map as an example, but the display unit 400 displays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2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300 , for exampl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2 .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is possible to display information about any event (sending and/or receiving calls and/or messag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선 충전 모듈(100)에 거치된 사용자 단말(2)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을 때 사용자 단말(2)의 정보를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에 대한 연속적인 사용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 through an in-vehicle display device when the user cannot visually check the user terminal 2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0, so that the user terminal (2) has the effect of ensuring continuous usabilit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various methods can be obta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Claims (13)

차량의 대시보드에 설치되고, 전자기 유도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충전 모듈;
상기 대시보드에 설치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차폐하고, 상기 차폐된 무선 충전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 모듈; 및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차폐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a wireless charging module installed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and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electromagnetic induction;
a heat dissipation module installed on the dashboard, sliding on the top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to shiel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emitting heat generated from the shielded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whether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shielded
Car wireless charg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transmission coil therein, and wirelessly transmits power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transmission coil.
Car wireless charg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는 평판 코어; 및
상기 평판 코어 상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case;
a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case;
a flat core provided on the substrate; and
at least one transmitting coil provided on the flat core
Car wireless charging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은
상기 평판 코어 상에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코일; 및
상기 복수의 제1 코일과 일부 중첩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코일 상에 배치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t least one transmitting coil
a plurality of first coi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lat core; and
and a second coil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first coils to partially overlap the plurality of first coils.
Car wireless charg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모듈은 펠티에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dissipation module emits heat genera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using the Peltier effect.
Car wireless charg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모듈은
발열 접점과 흡열 접점이 대향 배치되는 열전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흡열 접점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향해 배치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dissipation module is
A thermoelectric element in which a heating contact and a heat absorbing contact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heat absorbing contact is disposed towar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Car wireless charging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차폐되면 상기 열전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heat dissipation module is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shielded comprising a control circuit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Car wireless charg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모듈은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대시보드에 삽입되거나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대시보드로부터 토출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dissipation module is inserted into the dashboard by sliding, or discharged from the dashboard by sliding.
Car wireless charg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차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차폐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을 제1 기준출력으로 제어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차폐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출력을 상기 제1 기준출력보다 큰 제2 기준출력으로 제어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shield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not shielded, the output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controlled as a first reference outpu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shielded, the wireless charging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module to a second reference output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output
Car wireless charg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열 모듈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차폐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Determining whether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shield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heat dissipation module
Car wireless charg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차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차폐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 내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무선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shield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shielde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in the vehicle to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Car wireless charg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차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차폐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 내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shield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shielded, the in-vehicle display unit controls to display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ar wireless charging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 디스플레이부는
클러스터(cluster) 디스플레이,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 RSE(Rear Seat Entertainment), HUD(Head Up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isplay unit in the vehicle
At least one of a cluster display, a Center Information Display (CID), a Rear Seat Entertainment (RSE), and a Head Up Display (HUD).
Car wireless charging system.
KR1020200001653A 2020-01-06 2020-01-06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vehicle capable of releasing heat generated b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2021008834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653A KR20210088347A (en) 2020-01-06 2020-01-06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vehicle capable of releasing heat generated b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653A KR20210088347A (en) 2020-01-06 2020-01-06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vehicle capable of releasing heat generated b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347A true KR20210088347A (en) 2021-07-14

Family

ID=76863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653A KR20210088347A (en) 2020-01-06 2020-01-06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vehicle capable of releasing heat generated b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834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025B1 (en) Coil unit and electronic instrument
JP5398821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CN105150901B (en) Cool and heat cup holder
JP6123604B2 (en) Vehicle terminal installation structure
US20180212453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JP2016103926A (en) Power receiver
JP2019201130A (en) Coil device
CN106061213B (en) Automobile inside human-computer interaction display screen integrated heat spreading system and heat dissipating method
JP2020043170A (en) Electronic apparatus
KR20210088347A (en)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vehicle capable of releasing heat generated b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JP2004171926A (en) Induction heating device
US7911786B2 (en) Electronic apparatus
JP2020065232A (en) Electronic apparatus
US9748773B2 (en) Contactless power supply device
CN206024371U (en) Vehicle-carrying display screen control chip integrated system
KR20210101887A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capable of releasing heat generated b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20210066425A (en)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electric vehicle comprising same
CN206021802U (en) Motor vehicles human-computer interaction display screen circuit integrated module system
KR20150142496A (en) Electronic pra apparatus and cooling method thereof
JP2007335735A (en) Semiconductor device
EP1137317A1 (en) Speaker unit
JP2006324207A (en) Cable with connector
JP6988577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US20020190667A1 (en) Discharge lamp apparatus and projector using the same
KR20210080751A (en) Wireless charging system capable of releasing heat generated by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