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210A - 측면까지 보호 가능한 액정보호필름 - Google Patents

측면까지 보호 가능한 액정보호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210A
KR20210088210A KR1020200001399A KR20200001399A KR20210088210A KR 20210088210 A KR20210088210 A KR 20210088210A KR 1020200001399 A KR1020200001399 A KR 1020200001399A KR 20200001399 A KR20200001399 A KR 20200001399A KR 20210088210 A KR20210088210 A KR 20210088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imide
liquid crystal
tempered glass
layer
prot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혁
Original Assignee
정인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혁 filed Critical 정인혁
Priority to KR1020200001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8210A/ko
Publication of KR20210088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의 전면부와 측면부를 보호할 수 있는 액정보호필름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각 층을 액정보호필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설정하고, 각 물질간의 유기적인 연결을 통하여 효과적인 기능을 수행하여 전면부와 측면부 둘 다 보호할 수 있는 액정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측면까지 보호 가능한 액정보호필름{LCD PROTECTIVE FILM THAT CAN PROTECT SIDES}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액정보호필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파손 및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먼지를 방지하며 기존의 보호필름과는 차별적으로 스마트폰의 측면까지 보호할 수 있는 보호필름에 대한 것이다.
현대인들에게 스마트폰은 필수적인 물품이 된지 오래이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을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액정보호필름이 존재한다. 하지만 근래의 액정보호필름들은 화면을 완전히 덮지 못해 액정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대로 보호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또한 요즘 출시되는 스마트폰은 가장자리를 곡면으로 처리한 '엣지'화면, 전면부 전체가 화면인 '풀스크린'형태의 스마트폰이 다수이다.
이에 따라 요즘 출시된 보호필름은 '풀커버 보호필름'이라는 명칭으로 불리며 기존 보호필름의 단점을 어느 정도 보완하지만 측면부 또는 전면부와 측면부가 이어지는 부분을 완전히 보호하기는 힘들어 여전히 액정이 파손될 위험이 크다.
또한 갤럭시 폴드, 메이트 X등 액정이 접히는 폴더블폰이 등장함에 따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액정보호필름에 대한 더 많은 수요와 기술이 요구될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 공보 제 10-2013-0046075호 ("강화유리를 이용한 액정보호필름", 이정몽) 한국 공개특허 공보 제 10-2014-0013155호 ("터치스크린이 곡면으로 제조된 휴대용단말기의 보호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주)엔이에스) 한국 등록특허 공보 제 10-2054545호("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 및 이를 이용한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방법", 주식회사 엘지화학)
본 발명은 기존 액정보호필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터치스크린이 곡면 또는 전면부 전체가 터치스크린으로 제조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 본체의 터치스크린에 측면부까지 보호가 가능한 보호필름을 부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부와 측면부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필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은 전면부에는 강화유리 소재, 측면부에는 폴리이미드 소재, 강화유리 소재와 폴리이미드 소재, 폴리이미드 소재와 합성주지재, 폴리이미드 소재와 접착필름의 접합부에는 연결재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먼지 등을 방지하는 액정보호필름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 전면부와 측면부의 송, 수화부 및 잠금 버튼, 볼륨 조절 버튼이 있는 부분에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통공을 형성하여 가공에 용이하게 하는 액정보호필름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은 외부와 접촉되는 모서리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마감하는 액정보호필름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의 보호필름은, 전면부만을 보호하는 기존의 보호필름과 달리 보호필름 각 측면에 폴리이미드 소재를 사용한 보호필름을 부착함으로서, 휴대용단말기의 측면부 또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보호필름의 외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보호필름의 통공이 형성 된 전면부 강화유리 층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보호필름의 통공이 형성 된 측면부 폴리이미드 층 중 오른쪽 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보호필름의 통공이 형성 된 측면부 폴리이미드 층 중 왼쪽 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보호필름의 통공이 형성 된 측면부 폴리이미드 층 중 윗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보호필름의 통공이 형성 된 측면부 폴리이미드 층 중 아래 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보호필름의 외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상기 액정보호필름은 강화유리 층(1)과 폴리이미드 층(2), 합성수지재(3)를 포함한다.
강화유리 층(1)은 휴대용단말기의 전면부를 보호한다.
폴리이미드 층(2)은 휴대용단말기의 측면부를 보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층(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강화유리 층(1)은 강화유리(4), 비산방지 필름(5), 접착필름(6), 합성수지재(3)로 이루어져 있다.
강화유리(4)는 휴대용단말기의 전면부를 외부로부터의 충격과 먼지 등의 유입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비산방지 필름(5)은 강화유리(4)가 파손될 시 유리 조각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접착필름(6)은 강화유리 층(1)이 휴대용단말기의 전면부에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합성수지재(3)는 통공(7)을 형성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송, 수화부 및 잠금 버튼과 볼륨 조절 버튼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 층(2)의 오른쪽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폴리이미드 층(2)은 폴리이미드(8), 접착필름(6), 합성수지재(3), 폴리이미드와 접착필름 연결재(9), 폴리이미드와 합성수지재 연결재(10), 강화유리 층과 폴리이미드 층 연결재(11)로 이루어져 있다.
폴리이미드(8)는 휴대용단말기의 측면부를 외부로부터의 충격과 먼지 등의 유입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접착필름(6)은 폴리이미드 층(2)이 휴대용단말기의 측면부에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합성수지재(3)는 통공(7)을 형성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송, 수화부 및 잠금 버튼과 볼륨 조절 버튼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며 폴리이미드 층(2)이 외부와 접촉하게 되는 가장자리 부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폴리이미드와 접착필름 연결재(9)는 폴리이미드(8)와 접착필름(6)을 연결하여 의도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폴리이미드와 합성수지재 연결재(10)는 폴리이미드(8)와 합성수지재(3)를 연결하여 의도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강화유리 층과 폴리이미드 층 연결재(11)는 폴리이미드(8), 폴리이미드와 접착필름 연걸재(9), 접착필름(6)이 강화유리 층(1)과 접촉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강화유리 층과 폴리이미드 층 사이를 연결하여 의도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 층(2)의 왼쪽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폴리이미드 층(2)은 폴리이미드(8), 접착필름(6), 합성수지재(3), 폴리이미드와 접착필름 연결재(9), 폴리이미드와 합성수지재 연결재(10), 강화유리 층과 폴리이미드 층 연결재(11)로 이루어져 있다.
폴리이미드(8)는 휴대용단말기의 측면부를 외부로부터의 충격과 먼지 등의 유입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접착필름(6)은 폴리이미드 층(2)이 휴대용단말기의 측면부에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합성수지재(3)는 통공(7)을 형성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송, 수화부 및 잠금 버튼과 볼륨 조절 버튼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며 폴리이미드 층(2)이 외부와 접촉하게 되는 가장자리 부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폴리이미드와 접착필름 연결재(9)는 폴리이미드(8)와 접착필름(6)을 연결하여 의도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폴리이미드와 합성수지재 연결재(10)는 폴리이미드(8)와 합성수지재(3)를 연결하여 의도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강화유리 층과 폴리이미드 층 연결재(11)는 폴리이미드(8), 폴리이미드와 접착필름 연걸재(9), 접착필름(6)이 강화유리 층(1)과 접촉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강화유리 층과 폴리이미드 층 사이를 연결하여 의도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 층(2)의 윗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폴리이미드 층(2)은 폴리이미드(8), 접착필름(6), 합성수지재(3), 폴리이미드와 접착필름 연결재(9), 폴리이미드와 합성수지재 연결재(10), 강화유리 층과 폴리이미드 층 연결재(11)로 이루어져 있다.
폴리이미드(8)는 휴대용단말기의 측면부를 외부로부터의 충격과 먼지 등의 유입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접착필름(6)은 폴리이미드 층(2)이 휴대용단말기의 측면부에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합성수지재(3)는 폴리이미드 층(2)이 외부와 접촉하게 되는 가장자리 부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폴리이미드와 접착필름 연결재(9)는 폴리이미드(8)와 접착필름(6)을 연결하여 의도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폴리이미드와 합성수지재 연결재(10)는 폴리이미드(8)와 합성수지재(3)를 연결하여 의도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강화유리 층과 폴리이미드 층 연결재(11)는 폴리이미드(8), 폴리이미드와 접착필름 연걸재(9), 접착필름(6)이 강화유리 층(1)과 접촉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강화유리 층과 폴리이미드 층 사이를 연결하여 의도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 층(2)의 아래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폴리이미드 층(2)은 폴리이미드(8), 접착필름(6), 합성수지재(3), 폴리이미드와 접착필름 연결재(9), 폴리이미드와 합성수지재 연결재(10), 강화유리 층과 폴리이미드 층 연결재(11)로 이루어져 있다.
폴리이미드(8)는 휴대용단말기의 측면부를 외부로부터의 충격과 먼지 등의 유입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접착필름(6)은 폴리이미드 층(2)이 휴대용단말기의 측면부에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합성수지재(3)는 통공(7)을 형성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송, 수화부 및 잠금 버튼과 볼륨 조절 버튼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며 폴리이미드 층(2)이 외부와 접촉하게 되는 가장자리 부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폴리이미드와 접착필름 연결재(9)는 폴리이미드(8)와 접착필름(6)을 연결하여 의도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폴리이미드와 합성수지재 연결재(10)는 폴리이미드(8)와 합성수지재(3)를 연결하여 의도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강화유리 층과 폴리이미드 층 연결재(11)는 폴리이미드(8), 폴리이미드와 접착필름 연걸재(9), 접착필름(6)이 강화유리 층(1)과 접촉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강화유리 층과 폴리이미드 층 사이를 연결하여 의도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1: 강화유리 층
2: 폴리이미드 층
3: 합성수지재
4: 강화유리
5: 비산방지필름
6: 접착필름
7: 통공
8: 폴리이미드
9: 폴리이미드와 접착필름 연결재
10: 폴리이미드와 합성수지재 연결재
11: 강화유리 층과 폴리이미드 층 연결재

Claims (7)

  1. 핸드폰 전면부, 측면부에 부착되어 외부충격과 먼지 유입 등에 액정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는 액정보호필름에 있어서,
    전면부의 내부에는 핸드폰 액정에 맞는 형태로 강화유리부재가 마련되는 강화유리층;
    측면부의 내부에는 각 기종마다 맞는 형태로 폴리이미드 소재가 마련되는 폴리이미드층;
    강화유리층 하부면에 적충되는 비산방지 필름층;및
    비산방지 필름층 및 폴리이미드층 하부면에 적충되어 핸드폰에 부착되는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강화유리와 폴리이미드를 이용한 액정보호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액정보호필름의 외부와 접촉되는 모서리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강화유리와 폴리이미드를 이용한 액정보호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강화유리는 송, 수화부 및 홈버튼의 부분을 덮지 않으며 이를 위해 뚫린 부분에도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강화유리와 폴리이미드를 이용한 액정보호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이미드는 잠금버튼 및 음량조절 버튼 부분을 덮지 않으며 이를 위해 뚫린 부분에도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강화유리와 폴리이미드를 이용한 액정보호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이미드와 강화유리 간의 연결을 조정하여 기능에 무리가 없도록 하는 강화유리와 폴리이미드를 이용한 액정보호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이미드와 합성수지재 간의 연결을 조정하여 기능에 무리가 없도록 하는 강화유리와 폴리이미드를 이용한 액정보호필름.
  7.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이미드층과 접착층 간의 연결을 조정하여 기능에 무리가 없도록 하는 강화유리와 폴리이미드를 이용한 액정보호필름.
KR1020200001399A 2020-01-06 2020-01-06 측면까지 보호 가능한 액정보호필름 KR20210088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399A KR20210088210A (ko) 2020-01-06 2020-01-06 측면까지 보호 가능한 액정보호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399A KR20210088210A (ko) 2020-01-06 2020-01-06 측면까지 보호 가능한 액정보호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210A true KR20210088210A (ko) 2021-07-14

Family

ID=76862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399A KR20210088210A (ko) 2020-01-06 2020-01-06 측면까지 보호 가능한 액정보호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821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6075A (ko) 2011-10-27 2013-05-07 이정몽 강화유리를 이용한 액정보호필름
KR20140013155A (ko) 2012-07-19 2014-02-05 (주)발품 터치스크린이 곡면으로 제조된 휴대용단말기의 보호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4545B1 (ko) 2016-09-23 2019-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 및 이를 이용한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6075A (ko) 2011-10-27 2013-05-07 이정몽 강화유리를 이용한 액정보호필름
KR20140013155A (ko) 2012-07-19 2014-02-05 (주)발품 터치스크린이 곡면으로 제조된 휴대용단말기의 보호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4545B1 (ko) 2016-09-23 2019-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 및 이를 이용한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906449U (zh) 便携式电子设备用保护件
US8028794B1 (en)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60088067A (ko) 휴대전자기기용 프로텍터
KR20130046075A (ko) 강화유리를 이용한 액정보호필름
US20110192510A1 (en) Protective casing portable handheld electronic device
TWI577261B (zh) 可攜式電子裝置之機殼及保護外殼
US9866254B2 (en) Mobile device protection jacket
KR20230011224A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3279Y1 (ko) 보강구조를 가지는 휴대폰 보호용 커버
US20150281415A1 (en) Metal protector frame assembly for mobile phone
KR101585383B1 (ko) 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210088210A (ko) 측면까지 보호 가능한 액정보호필름
KR101229079B1 (ko) 휴대단말기용 범퍼케이스
CN206212097U (zh) 电子设备保护装置及手机
KR20130071929A (ko)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US20210041602A1 (en) Privacy Screen Protector
KR101364493B1 (ko) 액정 투시창이 형성된 덮개를 갖는 플립형 휴대폰 케이스
CN110278673B (zh) 电子设备
CN204836256U (zh) 一种手机保护套
CN209964113U (zh) 一种磁吸式手机壳
KR101186834B1 (ko)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KR101168008B1 (ko) 휴대단말기용 메탈범퍼케이스
CN215871476U (zh) 一种保护膜
CN217103677U (zh) 一种具有听筒防尘的手机钢化膜
KR101604070B1 (ko) 휴대 단말기의 다이어리형 보호케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