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107A - 임플란트용 스크류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스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107A
KR20210088107A KR1020200001217A KR20200001217A KR20210088107A KR 20210088107 A KR20210088107 A KR 20210088107A KR 1020200001217 A KR1020200001217 A KR 1020200001217A KR 20200001217 A KR20200001217 A KR 20200001217A KR 20210088107 A KR20210088107 A KR 20210088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surface
curvature
abutment
fixtur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2644B1 (ko
KR102342644B9 (ko
Inventor
오제훈
김동원
남주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1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64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8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644B1/ko
Publication of KR10234264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64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임플란트용 스크류가 제공된다. 임플란트용 스크류는, 픽스처와 어버트먼트를 일체로 체결하되, 설정 체적을 갖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픽스처에 나사 결합되는 바디부; 및 상기 헤드부와 바디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부와 바디부를 연결하고, 적어도 하나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좌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스크류{Screw for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스크류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픽스처와 어버트먼트를 일체로 체결할 때, 제한된 토크에서 보다 큰 축력을 얻을 수 있는 임플란트용 스크류에 관련된 것이다.
볼트는 구조물이나 부품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볼트는 다양한 체결법을 이용하여 목표로 하는 축력으로 체결된다. 일반적으로 권장하는 체결 축력은 체결법에 관계 없이 항복 축력의 60 ~ 70% 이다. 충분한 축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체결 부재로서의 기능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축력은 볼트 설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설계 요소이다.
하지만, 권장 체결 축력으로 체결해도 외부 환경에 따라 축력의 손실(Self-Loosening, 풀림 현상)이 발생한다. 풀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볼트가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조물이 파손되거나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임플란트 시술된 인공 치아의 수명은 평균적으로 10년이며, 이 기간 동안 어버트먼트와 픽스처를 체결하는 스크류는 풀리거나 피로 파손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여러 임플란트용 인공 치아를 제조하는 기업에서는 스크류에 가해지는 응력을 줄이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일례로, 종래에는 스크류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 스크류의 좌면을 사선 형상으로 만들어, 스크류의 목 부분에 가해지는 응력을 줄이고자 하였다. 하지만, 스크류의 좌면을 사선으로 만들게 되면, 동일한 토크를 가했을 때 초기 축력이 약 15% 감소하게 된다. 스크류의 좌면이 수평면인 경우에도 초기 축력이 항복 축력의 약 45% 수준으로, 충분한 초기 축력을 가지지 못하는데, 스크류의 좌면이 사선인 경우처럼, 이보다 더 낮은 초기 축력이 나오게 되면 풀림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 스크류의 좌면이 사선으로 구비되면, 스크류의 좌면이 수평면일 때 발생되는 편심 문제는 해소할 수 있으나, 초기 축력이 낮아 충분한 체결력을 확보할 수 없다. 그렇다고 초기 축력을 높이기 위해, 보다 높은 토크로 체결하게 되면, 픽스처로부터 설정 압력 이상의 압력이 잇몸에 가해져 잇몸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초기 축력이 크고 나사산과 좌면의 마찰계수가 클 경우, 풀림 현상이 억제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풀림 방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풀림 방지 와셔를 사용하거나, 80 ~ 90%로 보다 높은 토크로 체결하는 소성역 체결 또는 마찰 계수를 높이기 위한 표면 처리 방법이 사용된다.
하지만, 임플란트용 스크류는, 크기가 굉장히 작고 좌면도 좁기 때문에 풀림 방지 와셔를 사용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또한, 보다 높은 토크로 체결하는 소성역 체결은 잇몸에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임플란트용 스크류의 체결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리고 표면 처리를 통해 마찰계수를 높이면, 체결하는데 있어 더 높은 토크가 필요하기 때문에 소성역 체결과 마찬가지로 잇몸에 무리를 줄 수 있고, 화학적 표면 처리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게 되므로, 임플란트용 스크류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픽스처와 어버트먼트를 일체로 체결할 때, 제한된 토크에서 보다 큰 축력을 얻을 수 있는 임플란트용 스크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잇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용 스크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스크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임플란트용 스크류는, 픽스처와 어버트먼트를 일체로 체결하되, 설정 체적을 갖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픽스처에 나사 결합되는 바디부; 및 상기 헤드부와 바디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부와 바디부를 연결하고, 적어도 하나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좌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좌면부는,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며, 높이 방향으로 제1 곡률을 갖는 제1 곡면; 및 상기 제1 곡면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며, 높이 방향으로 제2 곡률을 갖는 제2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좌면부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주면과 접촉하되,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주면 일측과 접촉하는 상기 제1 곡면은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주면 타측과 접촉하는 상기 제2 곡면보다 반경 방향으로 넓은 접촉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곡률은 상기 제2 곡률보다 작으며, 상기 제1 곡면을 이루는 원의 중심은 상기 제2 곡면을 이루는 원의 중심보다 반경 방향으로 외측 및 높이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좌면부는 상기 제1 곡면과 상기 제2 곡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며, 높이 방향으로 제3 곡률을 갖는 제3 곡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곡률은 상기 제1 곡률보다 크고 상기 제2 곡률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는, 상기 좌면부 측에 구비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주면과 접하게 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며, 상기 픽스처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길이 방향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픽스처와 어버트먼트를 일체로 체결하되, 설정 체적을 갖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픽스처에 나사 결합되는 바디부; 및 상기 헤드부와 바디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부와 바디부를 연결하고, 적어도 하나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좌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픽스처와 어버트먼트를 일체로 체결할 때, 제한된 토크에서 보다 큰 축력을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용 스크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잇몸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의 제한된 토크로 픽스처와 어버트먼트에 체결됨으로써, 픽스처나 어버트먼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플란트 치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임플란트용 스크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크류가 픽스처와 어버트먼트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크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크류의 좌면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좌면부의 형상에 따른 토크 대비 축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크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크류의 좌면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 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크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크류(100)는 픽스처(fixture)(10)와 어버트먼트(abutment)(20)를 일체로 체결하는 체결 부재이다.
여기서, 픽스처(10)는 치조골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픽스처(10)는 나사 방식으로 치조골에 삽입 및 고정된다. 이를 위해, 픽스처(10)의 길이 방향 외주면에는 나사부(12)가 형성된다. 또한, 픽스처(10)의 길이 방향 상단에는 어버트먼트(20)와의 체결을 위한 임플란트용 스크류(100)가 삽입되는 삽입홈(11)이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삽입홈(11)의 벽면에는 임플란트용 스크류(10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된다.
어버트먼트(20)는 치아 형상을 갖는 보철물(crown)(미도시)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보철물은 어버트먼트(20)의 길이 방향 상단측에 부착된다. 어버트먼트(20)의 길이 방향 하단은 픽스처(10)의 길이 방향 상단에 체결되는데, 픽스처(10)와 어버트먼트(20) 간의 체결은 임플란트용 스크류(100)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어버트먼트(20)의 내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중공(21)은, 상호 체결을 위해 픽스처(10) 상에 어버트먼트(20)가 정렬될 때, 픽스처(10)의 삽입홈(11)과 연통된다. 임플란트용 스크류(100)는 이러한 중공(21)에 삽입 및 관통되어 그 하측이 픽스처(10)의 삽입홈(11)에 도달하게 된다. 즉, 중공(21)은 픽스처(10)의 삽입홈(11)을 향해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스크류(10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픽스처(10)의 삽입홈(11)에 길이 방향 하단부가 삽입된 임플란트용 스크류(100)의 길이 방향 상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중공(21)의 하단측에는 단턱(22)이 구비된다. 단턱(22)은 중공(21)의 하단측 벽면의 원주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단턱(22)은 중공의 하단측 벽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돌출된다. 이와 같이,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단턱(22)에 의해, 단턱(22)의 중심부에는 임플란트용 스크류(100)의 길이 방향 하측을 관통시키는 관통홀(23)이 구비된다.
이러한 관통홀(23)은 임플란트용 스크류(100)의 길이 방향 하측이 통과될 수 있도록, 이의 외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관통홀(23)은 임플란트용 스크류(100)의 길이 방향 상측의 통과가 저지되도록, 이의 외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픽스처(10)와 어버트먼트(20)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어, 단턱(22)의 하측면에 픽스처(10)의 상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20)의 중공(21)과 관통홀(23)을 통해 임플란트용 스크류(100)가 삽입되면, 임플란트용 스크류(100)의 길이 방향 하측이 픽스처(10)의 삽입홈(1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임플란트용 스크류(100)의 좌면은 임플란트용 스크류(100)의 길이 방향 하측이 픽스처(10)의 삽입홈(11)에 삽입되는 깊이만큼 단턱(22)의 상측면을 향해 하강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단턱(22)의 상측면에 임플란트용 스크류(100)의 좌면이 가압 밀착되면, 임플란트용 스크류(100)에 의한 픽스처(10)와 어버트먼트(20)의 체결이 완료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픽스처(10)와 어버트먼트(20)의 체결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크류(100)는 헤드부(110), 바디부(120) 및 좌면부(1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10)는 설정 체적을 갖는다. 헤드부(110)는 원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110)는 이의 하측에 구비되는 좌면부(130)를 매개로 바디부(120)와 연결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헤드부(110), 바디부(120) 및 좌면부(130)는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110)의 길이 방향 상측은 직경이 점차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110)의 상단에는 임플란트용 스크류(100)를 회전시키는 체결 수단 장착을 위한 장착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장착홈은 헤드부(110)의 상단에서 깊이 방향으로 내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홈은 체결 수단으로 구비되는 육각 렌치의 선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횡단면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진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헤드부(110)의 선단은 사용되는 체결 수단에 적합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부(110)는 바디부(12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다. 이에 따라, 픽스처(10)와 어버트먼트(20) 간의 체결이 완료되면, 헤드부(110)는 바디부(120)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관통홀(23)을 통과하지 못하고 단턱(22) 상에 위치하게 된다. 헤드부(110)는 단턱(22)을 가압하는 형태로 위치하고, 헤드부(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바디부(120)는 픽스처(10)의 삽입홀(11)에 삽입 및 고정됨에 따라, 픽스처(10)와 어버트먼트(20)는 공고한 체결력을 유지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바디부(120)는 헤드부(110)의 하측에 구비된다. 바디부(120)는 헤드부(12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바디부(120)는 길이 방향 선단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좌면부(130)를 매개로 헤드부(110)와 연결된다. 이러한 바디부(120)는 픽스처(10)의 삽입홈(11)에 나사 결합되어, 픽스처(10)에 고정되고, 이를 통해, 픽스처(10)의 길이 방향 상단에 연결되는 어버트먼트(20)가 픽스처(10)에 체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디부(120)는 제1 바디(121) 및 제2 바디(12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 바디(121)는 좌면부(130)와 접하는 바디부(120)의 길이 방향 상단 부분으로 설정된다. 제1 바디(121)는 원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바디(121)는 좌면부(130)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픽스처(10)와 어버트먼트(20) 체결 시, 제1 바디(121)는 어버트먼트(20)의 내주면과 접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픽스처(10)와 어버트먼트(20) 체결 시, 제1 바디(121)는 어버트먼트(2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23)의 벽면과 접하게 된다. 이때, 제1 바디(121)의 길이 방향 하단부는 픽스처(1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11)의 상단까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2 바디(122)는 제1 바디(121)로 설정된 바디부(120)의 길이 방향 상단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설정된다. 제2 바디(122)는 제1 바디(121)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바디(122)는 제1 바디(121)의 길이 방향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픽스처(10)와 어버트먼트(20) 체결 시, 제2 바디(122)는 픽스처(10)의 내주면, 보다 상세하게는 픽스처(10)의 길이 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11)에 삽입된다. 이때, 제2 바디(122)는 픽스처(10)와의 체결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픽스처(1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바디(122)의 길이 방향 외주면에는 픽스처(10)의 삽입홈(11) 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12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외주면에 나사산(122a)이 형성되어 있는지에 따라, 바디부(120)를 제1 바디(121)와 제2 바디(122)로 구분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좌면부(130)는 헤드부(110)와 바디부(120) 사이에 구비된다. 이를 통해, 좌면부(130)는 헤드부(110)와 바디부(120)를 연결한다. 이러한 좌면부(130)는 헤드부(110) 및 바디부(120)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픽스처(10)와 어버트먼트(20) 체결 시, 좌면부(130)는 어버트먼트(20)의 내주면과 접촉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좌면부(130)는 어버트먼트(20)의 중공(21) 하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22) 및 단턱(22)과 이어진 중공(21)의 하측 부분 벽면에 접촉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좌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면부(130)는 제1 곡면(131) 및 제2 곡면(13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곡면(131)은 바디부(120)의 길이 방향 상측 단부에 구비된다. 제1 곡면(131)은 바디부(120)의 길이 방향 상측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이때, 제1 곡면(131)은 바디부(120)의 길이 방향을 축 방향으로 볼 때,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곡면(131)은 바디부(120)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곡면(131)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곡면(131)은 축 방향, 즉, 높이 방향으로 제1 곡률(R1)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픽스처(10)와 어버트먼트(20) 체결 시, 어버트먼트(20)의 내주면 일측, 보다 상세하게, 어버트먼트(20)의 중공(21) 내에 구비되는 단턱(22) 일측에 접촉하는 제1 곡면(131)은 어버트먼트(20)의 중공(21) 내에 구비되는 단턱(22) 타측에 접촉하는 제2 곡면(132)보다 반경 방향으로 넓은 접촉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면을 이루는 단턱(22)에 접촉되는 제1 곡면(131)의 접촉 면적이 넓으면, 보다 큰 초기 축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제2 곡면(132)은 제1 곡면(131)의 상측 단부에 구비된다. 제2 곡면(132)은 제1 곡면(131)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이때, 제2 곡면(132)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곡면(132)의 상단은 헤드부(110)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형태로 헤드부(110)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곡면(132)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곡면(132)은 제1 곡면(131)과 다른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곡면(132)은 높이 방향으로 제2 곡률(R2)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 곡면(131)을 이루는 제1 곡률(R1)은 제2 곡면(132)을 이루는 제2 곡률(R2)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 부분이 제1 곡면(131)을 이루는 원의 중심(A)은 일 부분이 제2 곡면(132)을 이루는 원의 중심(B)보다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고, 동시에 높이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도 4는 좌면부의 형상에 따른 토크 대비 축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체결 토크가 300Nmm일 때를 기준으로 보면, 좌면부의 단면 외주면이 사선(conical)(녹색선)인 경우, 축력이 가장 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좌면부의 형상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경우, 곡률이 작을수록 큰 혹은 강한 축력을 얻게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좌면부의 곡률이 0.2(Round 0.2)(연두색선)일 때, 가장 큰 축력을 얻게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좌면부가 2개의 곡률(Two Round)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좌면부가 1개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경우보다 동일 체결 토크에서 상대적으로 큰 축력을 얻게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면부(130)는 2개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면부(130)는 제1 곡률(R1)을 갖는 제1 곡면(131)과 제2 곡률(R2)을 갖는 제2 곡면(13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픽스처(10)와 어버트먼트(20)를 일체로 체결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크류(100)는 이러한 좌면부(130)를 통해, 제한된 토크에서 보다 큰 축력을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크류(100)가 이러한 좌면부(130)를 구비하여 제한된 토크에서 보다 큰 축력을 얻을 수 있게 됨에 따라, 잇몸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의 제한된 체결 토크로 픽스처(10)와 어버트먼트(20)를 체결시킬 수 있어, 픽스처(10)나 어버트먼트(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플란트 시술된 인공 치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크류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크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크류의 좌면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크류(100)는 헤드부(110), 바디부(120) 및 좌면부(1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비교하여, 좌면부가 제3 곡면을 더 포함하는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들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면부(130)는 제3 곡면(133)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3 곡면(133)은 제1 곡면(131)과 제2 곡면(132) 사이에 구비된다. 제3 곡면(133)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3 곡면(133)은 제1 곡면(131) 및 제2 곡면(132)과 다른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제3 곡면(133)은 높이 방향으로 제3 곡률(R3)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제3 곡면(133)을 이루는 제3 곡률(R3)은 제1 곡면(131)을 이루는 제1 곡률(R1)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3 곡면(133)을 이루는 제3 곡률(R3)은 제2 곡면(132)을 이루는 제2 곡률(R2)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크류(100)는 복수 개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픽스처(10)와 어버트먼트(20)를 일체로 체결할 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크류(100)는 이러한 좌면부(130)를 통해, 제한된 토크에서 보다 큰 축력을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3개의 곡률을 갖는 곡면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일례일 뿐, 임플란트용 스크류(100)는 제한된 토크에서 보다 큰 축력을 얻을 수 있다면, 그 이상의 곡률을 갖는 곡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임플란트용 스크류 110; 헤드부
120; 바디부 121; 제1 바디
122; 제2 바디 122a; 나사산
130; 좌면부 131; 제1 곡면
132; 제2 곡면 133; 제3 곡면

Claims (6)

  1. 픽스처와 어버트먼트를 일체로 체결하되,
    설정 체적을 갖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픽스처에 나사 결합되는 바디부; 및
    상기 헤드부와 바디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부와 바디부를 연결하고, 적어도 하나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좌면부;
    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스크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좌면부는,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며, 높이 방향으로 제1 곡률을 갖는 제1 곡면; 및
    상기 제1 곡면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며, 높이 방향으로 제2 곡률을 갖는 제2 곡면을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스크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좌면부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주면과 접촉하되,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주면 일측과 접촉하는 상기 제1 곡면은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주면 타측과 접촉하는 상기 제2 곡면보다 반경 방향으로 넓은 접촉 면적을 갖는 임플란트용 스크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률은 상기 제2 곡률보다 작으며,
    상기 제1 곡면을 이루는 원의 중심은 상기 제2 곡면을 이루는 원의 중심보다 반경 방향으로 외측 및 높이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임플란트용 스크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좌면부는 상기 제1 곡면과 상기 제2 곡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며, 높이 방향으로 제3 곡률을 갖는 제3 곡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곡률은 상기 제1 곡률보다 크고 상기 제2 곡률보다 작은 임플란트용 스크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좌면부 측에 구비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주면과 접하게 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며, 상기 픽스처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길이 방향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스크류.
KR1020200001217A 2020-01-06 2020-01-06 임플란트용 스크류 KR102342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217A KR102342644B1 (ko) 2020-01-06 2020-01-06 임플란트용 스크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217A KR102342644B1 (ko) 2020-01-06 2020-01-06 임플란트용 스크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107A true KR20210088107A (ko) 2021-07-14
KR102342644B1 KR102342644B1 (ko) 2021-12-22
KR102342644B9 KR102342644B9 (ko) 2024-01-16

Family

ID=7686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217A KR102342644B1 (ko) 2020-01-06 2020-01-06 임플란트용 스크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6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544B1 (ko) * 1999-12-02 2007-04-24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버킷투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35017A (ko) * 2014-05-23 2015-12-02 임석주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체결스크류
JP5995437B2 (ja) * 2010-12-23 2016-09-21 ストラウマン ホールディング アーゲー 改良されたネジヘッド
JP2017096486A (ja) 2015-11-24 2017-06-01 株式会社メイドー 球面座ボル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544B1 (ko) * 1999-12-02 2007-04-24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버킷투스 및 그 제조방법
JP5995437B2 (ja) * 2010-12-23 2016-09-21 ストラウマン ホールディング アーゲー 改良されたネジヘッド
KR20150135017A (ko) * 2014-05-23 2015-12-02 임석주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체결스크류
JP2017096486A (ja) 2015-11-24 2017-06-01 株式会社メイドー 球面座ボル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644B1 (ko) 2021-12-22
KR102342644B9 (ko)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7304A (en) Implant connector
US6227860B1 (en) Dental implant
KR101714974B1 (ko) 나사풀림방지 구조를 갖춘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55572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와 지대치 사이의 연결 장치
US6394808B2 (en) Prosthetic device for intraosseous dental implants
KR20080049378A (ko) 충격흡수 임플란트 유닛
US5785524A (en) Securing device for tooth implants
JP6896067B2 (ja) 歯科補綴システム
KR102214900B1 (ko) 내부면의 하중 흡수성이 좋은 크라운을 갖춘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US9532856B2 (en) Screw head
US20090155743A1 (en) Improved Dental Implant
KR101028617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953301B1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KR102427069B1 (ko) 임플란트 크라운 체결 구조 및 체결 방법
KR102342644B1 (ko) 임플란트용 스크류
KR102048180B1 (ko) 개선된 고정 구조 및 완충 구조를 갖는 인공치아용 임플란트
KR101662279B1 (ko) 임플란트의 풀림방지구조
JP2010136943A (ja) インプラント
JP2024505648A (ja) 歯科用ソリッドアバットメント
KR102208556B1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CN219021633U (zh) 一种义齿结构
KR200350606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록킹 어버트먼트
KR200365136Y1 (ko) 풀림방지 임플란트 시스템, 이에 사용되는 스크류,어답터 및 실린더
KR102638571B1 (ko)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2409904B1 (ko) 마찰결합식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