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7888A -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 - Google Patents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7888A
KR20210087888A KR1020200188526A KR20200188526A KR20210087888A KR 20210087888 A KR20210087888 A KR 20210087888A KR 1020200188526 A KR1020200188526 A KR 1020200188526A KR 20200188526 A KR20200188526 A KR 20200188526A KR 20210087888 A KR20210087888 A KR 20210087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spraying
unit
us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1804B1 (ko
Inventor
한경은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87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2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약액을 저장하고 분무하며, 분무된 약액을 액적으로 배출하는 분무유닛 및 상기 분무유닛을 분무 방향의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OPHTHALMIC LIQUID NEBULIZER}
본 발명은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약액의 분무거리를 조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약액의 입자 크기 및 분무량이 안구에 분사되도록 하는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에 관한 것이다.
안과 분야에서 처방되는 안약은 안질 치료나 그 예방에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 안약은 액상이다. 따라서 안약을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점안법이 이용되고 있다. 점안법은 용기에 수용된 액상의 안약을 용기의 선단에 마련된 노즐에서 안구 표면을 향해서 적하하는 안약투여 방법이다.
상기 점안법은 액상의 안약을 액적화해 안구 표면에 적하 공급하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의 점안기에서는 실제로 필요한 안약의 양(일반적으로 1 μl ~ 수 μl 정도)보다 과도한 양 (대체로 30 μl ~ 50 μl 정도)의 안약이 안구 표면을 향해서 적하되게 된다. 따라서 과잉 공급된 안약이 안구 표면에 지지되지 않고 눈에서 흘러넘쳐 버리거나 누관을 거쳐 체내에 흡수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문제는 비교적 고가인 안약을 효율적으로 투여할 수 없는 경제적 손실을 일으킬 뿐 아니라, 어느 특정 종류의 안약에 있어서는 안약이 눈에서 흘러넘치고 피부 등에 접촉함으로써 피부에 염즘을 일으키거나 혹은 필요량 이상의 안약이 투여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점안법을 이용하였을 경우에는 상술한 것처럼 안약이 눈에서 흘러넘치거나 점안 시 환자가 안면을 연직 상방을 향하도록 할 필요가 있어, 투여의 불편함이 존재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약을 분무형 약액 입자로 하고, 이것을 안구 표면으로 분무 공급(네블라이저, nebulizer)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분무 공급 방식은 사용자 맞춤형으로 분무되는 입자의 크기 및 시간 당 안구에 도달하는 약액의 양을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약액의 분무거리를 조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약액의 입자 크기 및 시간 당 안구에 도달하는 약액의 양을 제어할 수 있는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를 제공한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약액을 저장하고 분무하며, 분무된 약액을 액적으로 배출하는 분무유닛, 상기 분무유닛을 분무 방향의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에 있어서, 상기 분무유닛은 상기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의 상기 약액을 분무하는 분무수단 및 분무된 약액을 액적으로 배출하는 메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용하고 상기 분무유닛의 설정상태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 및 상기 분무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분무유닛의 분무 거리 및 분무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에 있어서, 상기 분무유닛이 분무하는 약액의 분무 경로를 한정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분무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는 약액을 분무형으로 분사하고, 이것을 안구 표면으로 분무 공급하여 약액의 흡수율을 높이고 사용자가 안면을 연직 상방을 향하도록 하는 투여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는 분무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약액의 분무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약액의 액적의 크기 및 시간 당 안구에 도달하는 약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무유닛의 분무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는 제어유닛을 통해 분무유닛의 분무 위치 및 분무 시간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약액의 액적의 크기 및 시간 당 안구에 도달하는 약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안구에 도달하는 약액의 총 투여량은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는 분무커버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안구 이외의 영역에 약액이 분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무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무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유닛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1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안과 약액은 점성(viscosity)을 갖는 약물들이 많은데, 이 경우 메쉬의 직경 크기를 키워야만 입자들이 메쉬에 들러붙지 않고 분무될 수 있다. 그러나, 메쉬의 직경을 키우게 되면 약액의 입자 크기 또한 증가하여 안약 분무시 반사성 눈감음(reflex blinking, corneal reflex)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반사성 눈감음으로 인해 약물의 전달이 차단되어 치료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사람에 따라 약액의 입자 크기를 느끼는 감각이 다를 수 있어 어떠한 사용자는 메쉬의 직경을 키운 상태에서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고, 다른 사용자는 메쉬의 직경을 키운 상태에서는 불편함을 느껴 반사성 눈감음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무거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의 약액을 분무할 수 있는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10)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10)는 본체(100), 분무유닛(200), 구동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10)의 외관을 형성하며, 분무유닛(200), 구동유닛(3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0)의 형상은 원통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의 그립감을 고려하여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더 작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본체(100)의 일측에는 분무유닛(200)을 통해 분무된 약액이 배출되어 분사되는 분사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분사구(110)의 형상 및 크기는 후술할 분무유닛(200)의 메쉬수단(230)의 형상 및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수단(22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무수단(22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무수단(22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분무유닛(200)은 약액을 저장하고 분무하며, 분무된 약액을 액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분무유닛(200)은 저장조(210), 분무수단(220), 메쉬수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조(210)는 약액을 저장할 수 있는 용기로,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저장조(210)는 저장된 약액과 반응하여 성분을 변화시키거나 손상시키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조(210)는 도면에서는 하나의 저장조(210)만을 개략적으로 표시하였으나, 둘 이상의 저장조(210)를 구비하여 두 종류의 서로 다른 약액을 저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약액을 번갈아 또는 동시에 투여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저장조(210)는 교체식으로 제조되어 필요에 따라 약액을 변경하거나, 약액이 다 소모되면 새로운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조(210)로 교체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저장조(210)는 일회용으로 제작되거나, 재사용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분무수단(220)은 약액을 분무할 수 있는 수단으로, 약액으로부터 액적을 형성할 수 있다. 분무수단(220)은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저장조(210)에 저장된 약액과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분무수단(220)은 저장조(2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분무수단(220)은 진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분무수단(220)은 진동자(221)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자(221)는 후술할 메쉬수단(230)에 연결될 수 있다. 진동자(221)는 메쉬수단(230)에 하나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메쉬수단(230)과 일체로 형성된 진동메쉬 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컨대 진동자(221)는 메쉬수단(230)의 일측에 적어도 1개 이상 배치되어, 메쉬수단(230)에 진동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조(210)에 수용되어 있던 약액은 메쉬수단(230)(보다 구체적으로는 개구(231))를 통해 외부로 분무되고 사용자의 환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안구에 접촉하여 약리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분무수단(220)은 초음파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분무수단(220)은 압전변환기(222, piezoelectric transducer)를 포함할 수 있다. 압전변환기(222)는 저장조(210)에 수용되는 약액의 내부에서 약액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압전변환기(222)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약액의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부터 형성된 에어로졸은 후술할 메쉬수단(230)의 개구(231)를 통해 외부로 분무되고, 사용자의 환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안구에 접촉하여 약리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분무수단(220)은 가열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분무수단(220)은 가열소자(2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소자(223)는 후술할 메쉬수단(23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소자(223)는 메쉬수단(230)의 개구(231)에 인접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메쉬수단(230)은 약액을 수용하는 저장조(210)와 연결될 수 있고, 가열소자(223)가 가열됨에 따라 가열소자(223)와 접촉하는 약액을 증발시켜 액적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할 메쉬수단(230)은 가열소자(223)의 높은 온도를 견딜 수 있고, 열팽창 계수가 낮아 온도의 변화에도 그 크기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열전도도가 높아 가열소자(223)의 발생 열을 약액으로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재료로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메쉬수단(230)은 실리콘 기반의 마이크로일렉트로메커니컬 시스템(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열소자(223)의 가열로 형성된 액적은 후술할 메쉬수단(230)의 개구(231)를 통해 외부로 분무되고, 사용자의 환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안구에 접촉하여 약리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분무수단(220)은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컴프레서를 이용하여 공기를 유입하는 방식에 의해 액적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수단(23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메쉬수단(230)은 분무수단(220)과 결합되어 분사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 메쉬수단(230)은 저장조(210)와 연결되도록, 예컨대 저장조(21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조(210)는 일단이 분사구(110)를 향해 돌출되며, 메쉬수단(230)은 저장조(21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메쉬수단(230)은 저장조(210)의 일단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쉬수단(230)은 복수 개의 개구(231)들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무수단(220)에 의해 형성된 약액의 액적이 메쉬수단(230)의 복수 개의 개구(231)를 통해 분무될 수 있다. 이때 메쉬수단(230)을 통과하는 약액의 액적 크기는 복수 개의 개구(231)의 직경 이하의 크기로 제한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개구(231)의 형상은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복수 개의 개구(231)의 형상은 단면이 다각형인 다각기둥 형상일 수도 있으며, 또는 단면이 깊이 방향으로 점차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약액의 액적의 직경은 메쉬수단(230)의 복수 개의 개구(231)의 직경에 의존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개구(231)의 직경이 크면 액적의 직경이 커지고, 복수 개의 개구(231)의 직경이 작으면 액적의 직경이 작아진다. 이때, 분무수단(220)과 메쉬수단(230)으로 이루어지는 분무 메커니즘은 평균 직경을 갖는 액적을 형성하여 분무하게 되는데 사람에 따라 입자의 크기를 느끼는 감각이 다를 수 있어, 메쉬수단(230)의 개구(231)의 직경을 변경하지 않고도 안구에 도달하는 액적의 크기 및 안구에 도달하는 약액의 양을 제어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10)는 구동유닛(300)을 이용해 분무유닛(200)과 안구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3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동유닛(300)은 분무유닛(200)을 일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구동유닛(300)은 분무유닛(200)을 분무 방향의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구동유닛(300)은 분무유닛(200)을 본체(100)의 분사구(110) 방향으로 가깝게 이동시키거나, 그 반대인 본체(100)의 분사구(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유닛(300)은 모터, 액츄에이터 등 분무유닛(20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이든 적용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구동유닛(300)은 모터(310) 및 레일(32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320)은 분무유닛(200)의 왕복이동 방향을 따라 본체(10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분무유닛(200)의 왕복이동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약액의 분무방향일 수 있다. 레일(320)의 상부에는 저장조(210), 분무수단(220) 및 메쉬수단(230)을 포함하는 분무유닛(2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분무유닛(200)은 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저장조(210), 분무수단(220) 및 메쉬수단(230)을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을 통해 레일(320)과 접촉할 수 있다. 또는 저장조(210)에 분무수단(220) 및 메쉬수단(230)이 연결되고, 분무유닛(200)은 저장조(210)를 통해 레일(320)과 접촉할 수 있다.
모터(310)는 회전하여 분무유닛(200)을 일 방향, 바람직하게는 분무 방향의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모터(310)는 레일(320)과 기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모터(310)의 회전축의 일단에는 기어가 형성되고, 레일(320)이 모터(310)와 연결되는 부분에도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모터(310)와 레일(320)은 연결부가 랙-피니언 기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310)가 회전하면 레일(320)이 그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일(320)과 연결된 분무유닛(200)이 레일(320)의 이동에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레일(320)은 모터(310)의 기어와 접촉하는 상부면이 편평한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310)가 회전하면 레일(320)이 회전하여 레일(320)과 연결된 분무유닛(200)이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구동유닛(300)은 분무유닛(200)의 일측으로부터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으로 돌출되는 핸들 및 레일(3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320)은 분무유닛(200)의 왕복이동 방향을 따라 본체(10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며, 레일(320)의 상부에는 분무유닛(200)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0)의 일면에는 레일(320)과 평행한 슬라이딩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핸들은 분무유닛(20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본체(100)의 슬라이딩홈을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로 돌출된 핸들을 본체(100)의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시켜 분무유닛(200)이 레일(32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유닛(300)은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분무유닛(200)을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채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동유닛(300)이 모터(310)와 레일(320)로 구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유닛(200)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10)는 구동유닛(300)을 구비하여 분무유닛(200)의 분사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약액의 크기 및 약액량이 안구에 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무유닛(200)의 분사위치를 조정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약액의 액적 크기가 안구에 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약액의 액적은 그 입자가 작을수록 정지 거리가 길게 형성되어 더 멀리까지 분사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무유닛(200)을 분사구(110)에 근접하여 위치시킬 경우, 보다 큰 입자의 액적이 안구에 더 많이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구에 약액이 분무되는 느낌을 선호하는, 즉 약액의 큰 입자의 액적이 안구에 분무되기를 원하는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무유닛(200)을 분사구(110)에서 이격하여 위치시킬 경우, 보다 작은 입자의 액적이 안구에 더 많이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구에 약액이 분무되는 느낌을 선호하지 않는, 즉 약액의 작은 입자의 액적이 안구에 분무되기를 원하는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분무유닛(200)의 분사위치가 분사구(110)로부터 멀어질수록 도 7b에서와 같이 유효 분무량이 작아질 수 있다. 즉, 분사위치가 분사구(11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약액의 분무량 중 일부는 분사구(110)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분무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구에 약액이 분무되는 느낌을 선호하지 않는 사용자는 분무위치를 분사구(110)로부터 멀리 위치하도록 설정함에 따라 약액이 안구에 유효하게 분무되는 유효 분무량이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10)는 제어유닛(40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신호를 생성하고 이 신호를 제어유닛(40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본체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 또는 이외의 다양한 입출력 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제어유닛(400)과 사용자 사이에서 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본인에게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분무유닛(200)의 분무위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분무유닛(200)의 위치를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는 분무유닛(200)이 분사구(110)와 가장 가깝게 위치한 상태(도 7a 참조)이며, 제2 위치는 분무유닛(200)이 분사구(110)와 가장 멀리 위치한 상태(도 7b 참조)일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를 입력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제어유닛(400)으로 입력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유닛(400)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에 대응되도록 분무유닛(20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분무유닛(200)의 위치로서 제3 위치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위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중간 지점 또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의 어느 한 지점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사용자가 분무유닛(200)의 분무위치를 구체적으로 조절하도록 이동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분무유닛(200)의 분무위치를 분사구(110)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 메뉴와 분무유닛(200)의 분무위치를 분사구(110)의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이동 메뉴 또는 제2 이동 메뉴를 선택하여 분무유닛(200)의 분무위치를 구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또한 분무유닛(200)의 현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레일(320) 상에서의 분무유닛(200)의 위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약액이 사용자의 안구에 도달하는 총 분무량이 동일하도록, 즉 분사구(110)에 가깝게 위치할수록 더 짧은 분무시간을 갖고 분사구(110)에 멀리 위치할수록 더 긴 분무시간을 갖도록, 분무유닛(200)의 위치에 대응하는 분무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분무유닛(200)의 현재 위치 및 예상되는 분무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유닛(4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신호는 전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0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분무유닛(200)의 분무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는 약액이 사용자의 안구에 도달하는 총 분무량이 동일하도록, 사용자가 선택한 분무유닛(200)의 분무위치에 대응하는 계산된 분무시간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안구에 약액이 분무되는 느낌을 선호하는 사용자는 전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00) 상에서 제1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유닛(400)은 제1 위치에 대한 입력 신호가 제공되면 제1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어유닛(400)은 구동유닛(300)을 제어하여 분무유닛(200)을 제1 위치로 이동시키며, 약액이 사용자의 안구에 도달하는 총 분무량이 동일하도록 이에 대응하는 제1 분무시간 동안 약액이 분무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안구에 약액이 분무되는 느낌을 선호하지 않는 사용자는 전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00) 상에서 제2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유닛(400)은 제2 위치에 대한 입력 신호가 제공되면 제2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제어유닛(400)은 구동유닛(300)을 제어하여 분무유닛(200)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키며, 약액이 사용자의 안구에 도달하는 총 분무량이 동일하도록 이에 대응하는 제2 분무시간 동안 약액이 분무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유닛(4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유닛(300) 및 분무유닛(200)을 제어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약액의 분무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약액의 분무시간을 제어하여 분무유닛(200)의 분무위치가 상이함에도 안구에 도달하는 약액의 총 투여량은 동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분무유닛(200)의 분무위치를 분사구 측으로 또는 분사구의 반대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 메뉴 또는 제2 이동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유닛(400)은 제1 이동 또는 제2 이동 신호에 따라 분무유닛(200)이 분사구 측 방향 또는 반대 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이동하도록 구동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거리는 예컨대, 분무유닛(200)이 이동할 수 있는 총 거리의 1/10에 해당하는 거리일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400)은 분무유닛(200)의 최종 위치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분무시간을 결정하고 분무유닛(200)이 결정된 분무시간 동안 약액을 분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유닛(4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유닛(300) 및 분무유닛(200)을 제어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약액의 분무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약액의 분무시간을 제어하여 분무유닛(200)의 분무위치가 상이함에도 안구에 도달하는 약액의 총 투여량은 동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커버(6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10)는 분무커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무커버(600)는 본체(100)의 일측에, 바람직하게는 본체(100)의 분사구(1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무커버(600)는 본체(100)로부터 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무커버(600)는 약액의 분무경로를 한정하여 사용자의 안구 이외의 영역에 약액이 분무되어 사용자의 다른 신체 영역에 약액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무된 약액이 사용자의 안구 영역으로만 진행하도록 하여 약액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10)는 약액을 분무형으로 분사하고, 이것을 안구 표면으로 분무 공급하여 약액의 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분무유닛(200)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유닛(300)을 포함하여 약액의 분무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약액의 액적의 크기 및 시간 당 안구에 도달하는 약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 100: 본체
200: 분무유닛 210: 저장조
220: 분무수단 230: 메쉬수단
300: 구동유닛 310: 모터
320: 레일 400: 제어유닛
500: 사용자 인터페이스 600: 분무커버

Claims (5)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약액을 저장하고 분무하며, 분무된 약액을 액적으로 배출하는 분무유닛; 및
    상기 분무유닛을 분무 방향의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유닛은
    상기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의 상기 약액을 분무하는 분무수단; 및
    분무된 약액을 액적으로 배출하는 메쉬수단;을 포함하는,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용하고, 상기 분무유닛의 설정상태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 및 상기 분무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분무유닛의 분무 거리 및 분무 시간을 제어하는,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유닛이 분무하는 약액의 분무 경로를 한정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분무커버;를 더 포함하는,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
KR1020200188526A 2020-01-03 2020-12-30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 KR102541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1020 2020-01-03
KR1020200001020 2020-0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888A true KR20210087888A (ko) 2021-07-13
KR102541804B1 KR102541804B1 (ko) 2023-06-12

Family

ID=76858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526A KR102541804B1 (ko) 2020-01-03 2020-12-30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8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1260A (ja) * 2008-12-05 2010-06-1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頭皮ケア装置
KR101307606B1 (ko) * 2005-11-01 2013-09-12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안과 장치
KR101545413B1 (ko) * 2010-07-15 2015-08-18 아이노비아 인코포레이티드 점적 발생 디바이스
KR20190128426A (ko)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리센스메디컬 분사거리가 가변되는 의료용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606B1 (ko) * 2005-11-01 2013-09-12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안과 장치
JP2010131260A (ja) * 2008-12-05 2010-06-1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頭皮ケア装置
KR101545413B1 (ko) * 2010-07-15 2015-08-18 아이노비아 인코포레이티드 점적 발생 디바이스
KR20190128426A (ko)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리센스메디컬 분사거리가 가변되는 의료용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804B1 (ko)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1878B2 (ja) 液体を眼の環境に分配するための装置
US6758837B2 (en) Liquid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EP1624938B1 (en) Ophthalmic drug delivery system
US53685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fluid material into an eye
US20100222752A1 (en) Ophthalmic fluid delivery system
CN104487028A (zh) 高模量聚合物喷射器机构、喷射器装置及其使用方法
US7740619B2 (en) Spring driven ophthalmic injection device with safety actuator lockout feature
US20220370244A1 (en) Method for delivering the fluid formulation as a spray or a jet of droplets to a target area on an eye
CA2434201C (en) Liquid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jecting device
WO2002072169A2 (en) Ocular drug delivery nebulizer
AU2002230329A1 (en) Liquid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jecting device
KR102541804B1 (ko) 안과용 약액 네블라이저
JP2023506781A (ja) 眼に流体を送達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装置並びに使用方法
JP2023176024A (ja) 液滴のマイクロドーズストリームとして眼にアトロピンを送達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6281966B1 (ja) 点眼装置
NZ534584A (en) Liquid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jecting device
CA2553153A1 (en) Liquid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jecting device
AU2005242146A1 (en) Liquid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jec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