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7119A - 삼중 압출금형 - Google Patents

삼중 압출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7119A
KR20210087119A KR1020190158670A KR20190158670A KR20210087119A KR 20210087119 A KR20210087119 A KR 20210087119A KR 1020190158670 A KR1020190158670 A KR 1020190158670A KR 20190158670 A KR20190158670 A KR 20190158670A KR 20210087119 A KR20210087119 A KR 20210087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w
mold
raw material
new material
mo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1678B1 (ko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김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영 filed Critical 김기영
Priority to KR1020190158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678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원료인 스크랩으로 이루어진 원재료로 기초로 프레임을 형성한후, 그 프레임의 표면상에 재생원료가 아닌 신재료 표면을 코팅하고 난 다음에 다시 원재료와 신재료의 외측면에 피복신재료를 더 코팅하여 원재료와, 신재료와, 피복신재료로 프레임을 구성하여 이 프레임은 친환경적이면서, 프레임을 원재료 및 신재료에 피복신재료를 더 형성하여 프레임의 강도성을 높이고 원재료 및 신재료로 형성된 프레임의 외부에 다수의 컬러의 색상으로 구현되는 피복신재료를 코팅하여 프레임의 디자인 미감을 높여서 프레임에 대해서 경제성 및 상품성을 높이고, 프레임의 생산성을 연속적으로 대량으로 할 수있어서, 프레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삼중 압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삼중 압출금형{Extrusion mold}
본 발명은 삼중 압출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원료인 스크랩으로 이루어진 원재료로 기초로 프레임을 형성한 후, 그 프레임의 표면상에 재생원료가 아닌 신재료 표면을 코팅하고 난 다음에 다시 원재료와 신재료의 외측면에 피복신재료를 더 코팅하여 원재료와, 신재료와, 피복신재료로 프레임을 구성하여 이 프레임은 친환경적이면서, 프레임을 원재료 및 신재료에 피복신재료를 더 형성하여 프레임의 강도성을 높이고 원재료 및 신재료로 형성된 프레임의 외부에 다수의 컬러의 색상으로 구현되는 피복신재료를 코팅하여 프레임의 디자인 미감을 높여서 프레임에 대해서 경제성 및 상품성을 높이고, 프레임의 생산성을 연속적으로 대량으로 할 수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삼중 압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출성형은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 금형으로부터 가열 연화된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압출시켜 파이프, 막대기, 시트, 필름, 섬유, 피복전선 등과 같은 제품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이다.
통상적인 압출성형장치는 호퍼(hopper)에 펠렛(pallet)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넣고 이것을 가열실린더 중의 스크류로 연화한 후 금형으로부터 압출하여 냉각단계를 통과시켜 제품을 감거나 절단하게 되는 구성을 갖는다.
스크류로 연화 수지를 연속적으로 압출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고, 압출기 출구에 있는 압출 금형의 구멍의 형상에 따라 여러 단면형상의 제품을 만들 수가 있다. 이러한 압출성형은 합성수지와 같은 고분자 화합물의 발전과 더불어 현재에 이르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제품의 성형 방법으로서, 대량 생산의 기초가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압출성형 금형은 문틀, 창호, 바닥재, 몰딩류 등과 같이 내부에 공간이 다수 형성된 제품을 압출성형하는 금형으로, 그 외관이 원형(circular) 또는 평면형(flat)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주압출기로부터 주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원료투입금형과, 주압출기로 공급되는 주원료를 통과시켜서 제품으로 압출하기 위한 압출성형 금형 및 상기 압출 제품에 보조압출기로부터 보조원료를 투입하여 통과하는 제품의 표면에 피복을 입혀서 피복성형제품의 형상대로 압출하기 위한 보조금형으로 구성된다
한편, 압출성형금형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제품 중에는 창틀, 문틀 등과 같은 일정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제품들이 있는데. 이러한 제품들은 제품이 고급화되면서 원목의 느낌을 살려주기 위한 고급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품을 제작하게 되면 단색을 가지는 제품만을 생산할 수 있을 뿐이기 때문에, 근래에 들어서는 원목의 느낌을 살릴 수 있도록 원목의 무늬를 갖는 쉬트지, 나무목, 종이목 등을 제작하여 이를 제품의 표면에 접착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압출성형금형은 주원료투입구로 투입되어 주압출기로부터 압출성형금형의 보조금형으로 압출되는 주원료의 주원료통로에서부터 피복제품통로까지의 압출 압력과 보조압출기로부터 다중 공압출 금형의 보조금형으로 압출되는 보조원료의 보조원료통로에서의 압출 압력이 최종 압출 단계인 보조금형에서서로 상호작용하게 되므로, 주원료가 이동되는 피복제품통로와 보조원료가 이동되는 보조원료통로에서의 압력분포에 따라 제품에서 나타나는 상기 주원료 및 보조원료의 색상 및 소재의 배합 비율이 균일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필름을 접착한 제품은 필름과 원제품이 서로 다른 소재와 특성이 다른 것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온도의 변화에 따라 수축률이 상이하여 소재가 제품으로부터 벗겨지게 되고,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접착력이 떨어져 소재인 시트지, 나무목, 종이목 등이 제품으로부터 벗겨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재생원료인 스크랩으로 이루어진 원재료로 기초로 프레임을 형성한후, 그 프레임의 표면상에 재생원료가 아닌 신재료 표면을 코팅하고 난 다음에 다시 원재료와 신재료의 외측면에 피복신재료를 더 코팅하여 원재료와, 신재료와, 피복신재료로 프레임을 구성하여 이 프레임은 친환경적이면서, 프레임을 원재료 및 신재료에 피복신재료를 더 형성하여 프레임의 강도성을 높이고 원재료 및 신재료로 형성된 프레임의 외부에 다수의 컬러의 색상으로 구현되는 피복신재료를 코팅하여 프레임의 디자인 미감을 높여서 프레임에 대해서 경제성 및 상품성을 높이고, 프레임의 생산성을 연속적으로 대량으로 할 수 있어서, 프레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새로운 삼중 압출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재생원료인 스크랩으로 이루어진 원재료를 이용해 프레임을 형성한 후 그 표면에 스크랩과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되 재생원료가 아닌 품질이 좋은 새로운 재질인 신재료의 표면층이 형성되고, 재생원료와 신재료의 외측면에 피복신재료를 코팅하여 합성수지 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삼중 압출금형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서로 연통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적층결합되어 설치되고, 원재료와 신재료가 서로 분리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투입되어 이동되도록 구성된 제1금형 내지 제5금형(10~50)과; 상기 제5금형(50)의 하부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5금형(500에서 공급된 원재료와 신재료를 공급받고, 피복신재료를 공급받는 제6금형(60)과; 상기 제6금형(60)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6금형(60)에 공급되는 원재료와, 신재료와, 피복신재료를 서로 공급받아서 원재료를 이용해 상기 프레임(100a)을 형성하고 그 표면에 신재료로 형성된 표면층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0a)으로 구성된, 상기 프레임(100a)인 원재료 및 신재료의 일면에 피복신재료를 코팅하여 합성수지 제품을 제작하도록 구성된 제7금형(70) 및 제8금형(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금형(10)은 재생원료인 스크랩으로 제작한 원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원재료 투입구(11)와 신재료 투입구(12)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금형(20)은 상기 제1금형(10)에 맞닿아 배치되어 상기 제1금형(10)의 상기 원재료 투입구(11)와 연결되되 제품 형상으로 형성되어 투입된 원재료가 이동하는 제2원재료 이동홈(21)과, 상기 제1금형(10)의 상기 신재료 투입구(12)와 연결되어 신재료가 이동하는 제2신재료 이동홈(22)으로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금형(30)은 상기 제2금형(20)과 맞닿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원재료 이동홈(21)과 연결되되 원재료를 분산시켜 제품 내측에 중공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금형(20)의 상기 제2원재료 이동홈(21) 및 상기 제1금형(10)의 상기 원재료 투입구(11) 일부까지 연장되되 단부가 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중공부형성수단(31)의 외측으로 상기 제2원재료 이동홈(21)과 연결되되 원재료를 이용해 제품의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비연속적으로 원재료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중공부형성수단(31)에 의해 일정 두께로 원재료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제3원재료 이동홈(32)과 상기 제2신재료 이동홈(22)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진 제3신재료 이동홈(3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금형(40)은 상기 제3금형(30)과 맞닿도록 배치되되 제품의 중공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3금형(30)과 맞닿지 않은 면으로 돌출되는 제2중공부 형성수단(4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중공부 형성수단(41)의 외측으로는 상기 제3원재료 이동홈(32)과 동일하게 비연속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4원재료 이동홈(42)과, 상기 제3신재료 이동홈(33)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진 제4신재료 이동홈(4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5금형(50)은 상기 제4금형(40)과 맞닿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4금형(40)의 상기 제4원재료 이동홈(42)과 맞닿는 면의 제5원재료 투입구(51a)는 연속적인 홈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4금형(40)의 상기 제4원재료 이동홈(42)에 연통되어 동일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제5원재료 배출구(51b)는 연속적인 홈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5원재료 투입구(51a)보다 두께가 작아지되 제품의 프레임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원재료를 이용해 제품의 외형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제5원재료 이동홈(51)이 복수개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제4금형(40)의 상기 제4신재료 이동홈(43)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 제5신재료 이동홈(52)과, 상기 제5신재료 이동홈(52)에서 좌측과 하부로 각각 연장형성된 제5신재료 이동유도홈(52a,52a-1)과 상기 제5신재료 이동유도홈(52a)과 연통된 제5신재료 투입구(52b)와, 상기 제5신재료 이동유도홈(52a-1)과 연통된 제5신재료 투입구(52b-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6금형(60)은 상기 제5금형(50)과 맞닿도록 배치되며, 양 상기 제5원재료 이동홈(51)의 제5원재료 배출구(51b)와 연통되어 이루어져 성형된 프레임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제6원재료 이동홈(61)을 형성하고, 상기 제5금형(50)의 제5신재료 투입구(52b-1)를 통해 이동한 신재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6신재료 투입구(62a)가 형성되며, 상기 제6신재료 투입구(62a)를 통해 유입된 신재료를 성형이 완료된 프레임 외측 전체에 코팅하기 위한 제6신재료 이동유도홈(62b)이 상기 제6신재료 투입구(62a)에 다수개로 연결되어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6신재료 이동유도홈(62b)을 통해 분산된 신재료를 프레임 외측에 분사하여 코팅층을 성형하기 위해 제6신재료 이동유도홈(62b)과 연결되되 상기 제6원재료 이동홈(61)의 외측둘레에 배치되는 비연속적인 홈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제6신재료 배출구(62c)로이루어진 제6신재료 이동홈(6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6원재료 이동홈(61)의 좌측에 피복신재료를 공급하는 제1피복신재료 투입구(6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7금형(70)은 상기 제6금형(60)과 맞닿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6금형(60)의 상기 제6원재료 이동홈(61)과 연계되어 이루어져 성형이 완료된 프레임(100a)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7원재료 이동홈(71)을 형성하고, 상기 제6금형(60)의 제6신재료 배출구(62c)를 통해 이동한 신재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7신재료 투입구(72a)가 형성되며, 상기 제7신재료 투입구(72a)를 통해 유입된 신재료를 성형이 완료된 프레임 외측 전체 또는 부분에 코팅하고 난 다음에 신재료를 배출하는 제7신재료 배출구(72b)가 형성된 제7신재료 이동홈(72)과, 상기 제1피복신재료 투입구(63)와 연통되어 피복신재료를 공급받는 제2피복신재료투입구(73a)와, 상기 제2피복신재료투입구(73a)에서 다수개로 연장형성된 제2피복신재료 이동유도홈(73b)과, 상기 제2피복신재료 이동유도홈(73b)과 연통되어 형성된 제2피복신재료 유입구(73c)에 피복신재료가 통과하여 원재료의 외측에 피복신재료를 형성하고 난 다음에 잔여 피복신재료가 상기 제2피복신재료 유입구(73c)와 연통형성된 상기 제2피복신재료 배출구(73d)로 구성된 제2피복신재료 이동홈(7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8금형(80)은 상기 제7금형(70)에 맞닿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7금형(70)에서 스크랩으로 이루어진 원재료 표면에 신재료로 코팅한 신재료코팅층(100b)을 형성하고, 신재료가 코팅되지 않은 원재료의 일면에 피복신재료가 코팅된 피복신재료코팅층(100c)을 형성한 제품의 크기로 형성된 제품이동홈(81)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재생원료인 스크랩으로 이루어진 원재료로 기초로 프레임을 형성한후, 그 프레임의 표면상에 재생원료가 아닌 신재료 표면을 코팅하고 난 다음에 다시 원재료와 신재료의 외측면에 피복신재료를 더 코팅하여 원재료와, 신재료와, 피복신재료로 프레임을 구성하여 이 프레임은 친환경적이면서, 프레임을 원재료 및 신재료에 피복신재료를 더 형성하여 프레임의 강도성을 높이고 원재료 및 신재료로 형성된 프레임의 외부에 다수의 컬러의 색상으로 구현되는 피복신재료를 코팅하여 프레임의 디자인미감을 높여서 프레임에 대해서 경제성 및 상품성을 높이고, 프레임의 생산성을 연속적으로 대량으로 할 수 있어 프레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를 나타낸 측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금형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금형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금형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금형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3금형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3금형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제4금형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4금형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제5금형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5금형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제6금형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6금형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제7금형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제7금형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제8금형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제8금형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나타낸 개략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를 나타낸 측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금형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금형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금형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금형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3금형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3금형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제4금형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4금형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제5금형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5금형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제6금형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6금형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제7금형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제7금형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제8금형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제8금형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삼중 압출금형은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삼중 압출금형은 제1 내지 제8금형(10~80)으로 구성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삼중 압출금형으로 성형된 제품(100)은 재생원료인 스크랩으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100a)의 외측 일부분면에 신재료 코팅된 신재료코팅층(100b)와, 상기 프레임(100a)의 양측면중 한 일면에 다양한 컬러로 형성되는 피복신재료로 코팅된 피복신재료코팅층(100c)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삼중 압출금형은 재생원료인 스크랩으로 이루어진 원재료를 이용해 프레임을 형성한 후 그 표면에 스크랩과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되 재생원료가 아닌 품질이 좋은 새로운 재질인 신재료의 표면층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재생원료와 상기 신재료의 외측면에 피복신재료를 코팅하여 합성수지 제품을 제작하기 위해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삼중 압출금형은 순차적으로 서로 연통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적층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원재료와 상기 신재료가 서로 분리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투입되어 이동되도록 구성된 제1금형 내지 제5금형(10~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금형(10)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품(100)의 외형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도록 상기 제1금형(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재생원료인 스크랩으로 제작한 원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원재료 투입구(11)로 구성된다.
상기 원재료 투입구(11)의 후방 좌측에는 신재료 투입구(1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원재료 투입구(11)는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올수록 상기 제품(100)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신재료 투입구(12)는 상기 원재료 투입구(11)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금형(10)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정면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원재료 투입구(11)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금형(2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금형(20)은 상기 제1금형(10)에 맞닿아 배치되어 상기 제1금형(10)의 상기 원재료 투입구(11)와 연결되되 제품 형상으로 형성되어 투입된 원재료가 이동하는 제2원재료 이동홈(21)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금형(10)의 상기 신재료 투입구(12)와 연결되어 신재료가 이동하는 제2신재료 이동홈(22)으로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금형(20)의 상기 제2원재료 이동홈(21)은 외형 형상이 상기 제품(1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금형(20)의 중앙에는 상기 제2원재료 이동홈(21)이 형성되고, 그 좌측에 상기 제2신재료 이동홈(2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3금형(30)은 도 4a 및 도 4bdp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3금형(30)은 상기 제2금형(20)과 맞닿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원재료 이동홈(21)과 연결되되 원재료를 분산시켜 제품 내측에 중공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제2금형(20)의 상기 제2 원재료 이동홈(21) 및 상기 제1금형(10)의 상기 원재료 투입구(11) 일부까지 연장되되 단부가 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중공부형성수단(31)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중공부형성수단(31)의 단부는 원재료 투입시 원재료를 좌,우로 분산 유도시키기 위해 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1중공부형성수단(31)의 외측으로 상기 제2원재료 이동홈(21)과 연결되되 원재료를 이용해 제품의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비연속적으로 원재료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중공부형성수단(31)에 의해 일정 두께로 원재료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제3원재료 이동홈(3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3원재료 이동홈(32)은 상기 제2금형(20)의 상기 제2원재료 이동홈(21)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품의 외형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원재료를 이동시킬 수 도록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3원재료 이동홈(31)은 주입된 원재료 통과시 압력을 높여주기 위해 상기 제품(100)의 형상이 비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중공부형성수단(31)에 의해 일정 두께로 원재료를 이동시킬 수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품(100)의 프레임(100a)을 재생원료인 스크랩으로 이루어진 원재료를 통해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신재료 이동홈(22)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진 제3신재료 이동홈(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4금형(4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4금형(40)은 상기 제3금형(30)과 맞닿도록 배치되되 제품의 중공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3금형(30)과 맞닿지 않은 면으로 돌출되는 제2중공부형성수단(4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중공부형성수단(41)은 제8금형(80)까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2중공부형성수단(41)의 외측으로는 상기 제3원재료 이동홈(32)과 동일하게 비연속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4원재료 이동홈(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3신재료 이동홈(33)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진 제4신재료 이동홈(43)으로 구성된다.
한편, 원재료를 이용해 상기 제품(100)의 상기 프레임(100a) 외형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술한 상기 제4금형(40)에서의 상기 제4원재료 이동홈(43)의 두께는 상기 제3금형(30)의 상기 제3원재료 이동홈(32)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2중공부형성수단(41)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5금형(5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5금형(50)은 상기 제4금형(40)과 맞닿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4금형(40)의 상기 제4원재료 이동홈(42)과 맞닿는 면의 제5원재료 투입구(51a)는 연속적인 홈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4금형(40)의 상기 제4원재료 이동홈(42)에 연통되어 동일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제5원재료 배출구(51b)는 연속적인 홈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5원재료 투입구(51a)보다 두께가 작아지되 제품의 프레임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원재료를 이용해 제품의 외형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제5원재료 이동홈(51)이 복수개로 분할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4금형(40)의 상기 제4신재료 이동홈(43)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 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5신재료 이동홈(52)에서 좌측과 하부로 각각 연장형성된 제5신재료 이동유도홈(52a,52a-1)으로 구성된다.
또한,상기 제5신재료 이동유도홈(52a)과 연통된 제5신재료 투입구(52b)로 구성된다.
상기 제5신재료 이동유도홈(52a-1)과 연통된 제5신재료 투입구(52b-1)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5신재료 이동홈(52) 및 상기 제5신재료 이동유도홈(52a,52a-1)은 원재료를 통한 상기 제품(100)의 상기 프레임(100a) 형상이 성형 및 압출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신재료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5원재료 투입구(51a)에서 상기 제5원재료 배출구(51b)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구성된 상기 제5원재료 이동홈(51)을 통해 원재료를 압출시켜 상기 제품(100)의 상기 프레임(100a)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3, 4금형(30, 40)에 형성된 상기 제3,4원재료 이동홈(32, 42)의 경우 상기 제품(100)을 구성하는 상기 프레임(100a)의 외형크기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비연속적으로 상기 제3,4원재료 이동홈(32, 42)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이동한 원재료는 상기 프레임(100a)의 대략적인 형상의 성형만이 이루진 상태로 이동이 이루어지며, 이렇게 프레임(100a) 형상을 성형한 상태로 이동한 원재료는 상기 제5금형(50)에 형성된 상기 프레임(100a)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되 연속적인 홈으로 형성되는 제5원재료 이동홈(51)을 통과하면서 압출되어 상기 프레임(100a)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6금형(60)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6금형(60)은 상기 제5금형(50)의 하부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5금형(50)에서 공급된 상기 원재료와 상기 신재료를 공급받고, 피복신재료를 공급받는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6금형(60)은 상기 제5금형(50)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양 상기 제5원재료 이동홈(51)의 상기 제5원재료 배출구(51b)와 연통되어 이루어져 성형된 프레임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제6원재료 이동홈(61)을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5금형(50)의 제5신재료 투입구(52b-1)를 통해 이동한 신재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6신재료 투입구(62a)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6신재료 투입구(62a)를 통해 유입된 신재료를 성형이 완료된 프레임 외측 전체에 코팅하기 위한 제6신재료 이동유도홈(62b)이 상기 제6신재료 투입구(62a)에 다수개로 연결되어 연장형성되어 구성되다.
또한, 상기 제6신재료 이동유도홈(62b)을 통해 분산된 신재료를 프레임 외측에 분사하여 코팅층을 성형하기 위해 제6신재료 이동유도홈(62b)과 연결되되 상기 제6원재료 이동홈(61)의 외측둘레에 배치되는 비연속적인 홈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제6신재료 배출구(62c)로이루어진 제6신재료 이동홈(6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6원재료 이동홈(61)의 좌측에 피복신재료를 공급하는 제1피복신재료 투입구(63)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 5 금형(10 ∼ 50)을 통해 상기 제품(100)의 상기 프레임(100a)을 압출할 후 프레임(100a)의 상부와 하부와 좌측부 표면에 신재료를 코팅하기 위한 과정을 위한 구성인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7금형(70)을 통해 상,하부 및 좌측면에 신재료 코팅된 상기 프레임(100a)으로 구성된, 상기 프레임(100a)인 원재료 및 신재료의 일면에 피복신재료를 코팅하여 합성수지 제품을 제작하도록 구성된 제7금형(70) 및 제8금형(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7금형(70)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6금형(60)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6금형(60)에 공급되는 원재료와, 신재료와, 피복신재료를 서로 공급받아서 원재료를 이용해 프레임(100a)을 형성하고 그 표면에 신재료로 형성된 표면층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7금형(70)은 상기 제6금형(60)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6금형(60)의 상기 제6원재료 이동홈(61)과 연계되어 이루어져 성형이 완료된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7원재료 이동홈(71)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6금형(60)의 제6신재료 배출구(62c)를 통해 이동한 신재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7신재료 투입구(72a)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7신재료 투입구(72a)를 통해 유입된 신재료를 성형이 완료된 상기 프레임(100a) 외측 전체 또는 부분에 코팅하고 난 다음에 신재료를 배출하는 제7신재료 배출구(72b)가 형성된 제7신재료 이동홈(7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7금형(70)을 상기 제품(100)의 상기 프레임(100a)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7신재료 이동홈(72)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a) 전체 표면 또는 부분이 상,하부 및 좌측면에 고르게 신재료의 코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피복신재료 투입구(63)와 연통되어 피복신재료를 공급받는 제2피복신재료투입구(73a)로 구성된다.
상기 제2피복신재료투입구(73a)에서 다수개로 연장형성된 제2피복신재료 이동유도홈(73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피복신재료 이동유도홈(73b)과 연통되어 형성된 제2피복신재료 유입구(73c)에 피복신재료가 통과하여 원재료의 외측에 피복신재료를 형성하고 난 다음에 잔여 피복신재료가 상기 제2피복신재료 유입구(73c)와 연통형성된 상기 제2피복신재료 배출구(73d)로 구성된 제2피복신재료 이동홈(7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8금형(80)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제8금형(80)은 상기 제7금형(70)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7금형(70)에서 스크랩으로 이루어진 원재료 표면에 신재료로 코팅한 신재료코팅층(100b)을 형성하고, 신재료가 코팅되지 않은 원재료의 일면에 피복신재료가 코팅된 피복신재료코팅층(100b)을 형성한 제품의 크기로 형성된 제품이동홈(81)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구성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제1금형(200) 내지 제
9금형(280)으로 이루어진 삼중금형(300)에 순차적으로 재생원료와, 신재료와, 피복신재료를 투입하여 도 13과 같은 제품(100)의 프레임(100a)을 이루는 재생원료의 상부면에 신재료코팅층(100b)과, 재생원료의 상부면에 형성된 신재료코팅층(100b)의 상부면에 피복신재료코팅층(100c)을 형성한 제품을 제조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재생원료인 스크랩으로 이루어진 원재료로 기초로 상기 프레임(100a)을 형성한후, 그 상기 프레임(100a)의 표면상에 재생원료가 아닌 신재료 표면을 코팅하고 난 다음에 다시 원재료와 신재료의 외측면에 피복신재료를 더 코팅하여 원재료와, 신재료와, 피복신재료로 상기 프레임(100a)을 구성하여 이 상기 프레임(100a)은 친환경적이면서, 프레임을 원재료 및 신재료에 피복신재료를 더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100a)의 강도성을 높이고 원재료 및 신재료로 형성된 상기 프레임(100a)의 외부에 다수의 컬러의 색상으로 구현되는 피복신재료를 코팅하여 상기 프레임(100a)의 디자인 미감을 높여서 프레임에 대해서 경제성 및 상품성을 높이고, 프레임의 생산성을 연속적으로 대량으로 할 수있어서, 상기 프레임(100a)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제1금형 11 : 원재료 투입구
12 : 신재료 투입구 20 : 제2금형
21 : 제2원재료 이동홈 22 : 제2신재료 이동홈
30 : 제3금형 31 : 제1 중공부형성수단
32 : 제3원재료 이동홈 33 : 제3신재료 이동홈
40 : 제4금형 41 : 제2중공부 형성수단
42 : 제4원재료 이동홈 43 : 제4신재료 이동홈
50 : 제5금형 51 : 제5원재료 이동홈
51a : 제5원재료 투입구 51b : 제5원재료 배출구
52 : 제5신재료 이동홈 52a, 52a-1 : 제5신재료 이동유도홈
52b, 52b-1 : 제5신재료 투입구 60 : 제6금형
61 : 제6원재료 이동홈 62 : 제6신재료 이동홈
62a : 제6신재료 투입구 62b : 제6신재료 이동유도홈
62c : 제6신재료 배출구 63 : 제1피복신재료 투입구
70 : 제7금형 71 : 제7원재료 이동홈
72 : 제7신재료 이동홈 72a : 제7신재료 투입구
72b : 제7신재료 배출구 73 : 제2피복신재료 이동홈
73a : 제2피복신재료투입구 73b : 제2피복신재료 이동유도홈
73c : 제2피복신재료 유입구 73d : 제2피복신재료 배출구
80 : 제8금형 81 : 제품이동홈
100 : 제품 100a ; 프레임
100b : 신재료 코팅층 100c: 피복신재료코팅층

Claims (9)

  1. 재생원료인 스크랩으로 이루어진 원재료를 이용해 프레임을 형성한 후 그 표면에 스크랩과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되 재생원료가 아닌 품질이 좋은 새로운 재질인 신재료의 표면층이 형성되고, 재생원료와 신재료의 외측면에 피복신재료를 코팅하여 합성수지 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삼중 압출금형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서로 연통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적층결합되어 설치되고, 원재료와 신재료가 서로 분리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투입되어 이동되도록 구성된 제1금형 내지 제5금형(10~50)과; 상기 제5금형(50)의 하부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5금형(50)에서 공급된 원재료와 신재료를 공급받고, 피복신재료를 공급받는 제6금형(60)과; 상기 제6금형(60)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6금형(60)에 공급되는 원재료와, 신재료와, 피복신재료를 서로 공급받아서 원재료를 이용해 상기 프레임(100a)을 형성하고 그 표면에 신재료로 형성된 표면층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0a)으로 구성된, 상기 프레임(100a)인 원재료 및 신재료의 일면에 피복신재료를 코팅하여 합성수지 제품을 제작하도록 구성된 제7금형(70) 및 제8금형(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압출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제1금형(10)은 재생원료인 스크랩으로 제작한 원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원재료 투입구(11)와 신재료 투입구(12)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압출금형.
  3. 제 1항에 있어서,
    제2금형(20)은 상기 제1금형(10)에 맞닿아 배치되어 상기 제1금형(10)의 상기 원재료 투입구(11)와 연결되되 제품 형상으로 형성되어 투입된 원재료가 이동하는 제2원재료 이동홈(21)과, 상기 제1금형(10)의 상기 신재료 투입구(12)와 연결되어 신재료가 이동하는 제2신재료 이동홈(22)으로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압출금형.
  4. 제 1항에 있어서,
    제3금형(30)은 상기 제2금형(20)과 맞닿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원재료 이동홈(21)과 연결되되 원재료를 분산시켜 제품 내측에 중공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금형(20)의 상기 제2원재료 이동홈(21) 및 상기 제1금형(10)의 상기 원재료 투입구(11) 일부까지 연장되되 단부가 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중공부형성수단(31)의 외측으로 상기 제2원재료 이동홈(21)과 연결되되 원재료를 이용해 제품의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비연속적으로 원재료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중공부형성수단(31)에 의해 일정 두께로 원재료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제3원재료 이동홈(32)과 상기 제2신재료 이동홈(22)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진 제3신재료 이동홈(3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압출금형.
  5. 제 1항에 있어서,
    제4금형(40)은 상기 제3금형(30)과 맞닿도록 배치되되 제품의 중공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3금형(30)과 맞닿지 않은 면으로 돌출되는 제2중공부 형성수단(4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중공부 형성수단(41)의 외측으로는 상기 제3원재료 이동홈(32)과 동일하게 비연속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4원재료 이동홈(42)과, 상기 제3신재료 이동홈(33)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진 제4신재료 이동홈(4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압출금형.
  6. 제 1항에 있어서,
    제5금형(50)은 상기 제4금형(40)과 맞닿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4금형(40)의 상기 제4원재료 이동홈(42)과 맞닿는 면의 제5원재료 투입구(51a)는 연속적인 홈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4금형(40)의 상기 제4원재료 이동홈(42)에 연통되어 동일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제5원재료 배출구(51b)는 연속적인 홈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5원재료 투입구(51a)보다 두께가 작아지되 제품의 프레임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원재료를 이용해 제품의 외형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제5원재료 이동홈(51)이 복수개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제4금형(40)의 상기 제4신재료 이동홈(43)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 제5신재료 이동홈(52)과, 상기 제5신재료 이동홈(52)에서 좌측과 하부로 각각 연장형성된 제5신재료 이동유도홈(52a,52a-1)과 상기 제5신재료 이동유도홈(52a)과 연통된 제5신재료 투입구(52b)와, 상기 제5신재료 이동유도홈(52a-1)과 연통된 제5신재료 투입구(52b-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압출금형.
  7. 제 1항에 있어서,
    제6금형(60)은 상기 제5금형(50)과 맞닿도록 배치되며, 양 상기 제5원재료 이동홈(51)의 제5원재료 배출구(51b)와 연통되어 이루어져 성형된 프레임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제6원재료 이동홈(61)을 형성하고, 상기 제5금형(50)의 제50.신재료 투입구(52b-1)를 통해 이동한 신재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6신재료 투입구(62a)가 형성되며, 상기 제6신재료 투입구(62a)를 통해 유입된 신재료를 성형이 완료된 프레임 외측 전체에 코팅하기 위한 제6신재료 이동유도홈(62b)이 상기 제6신재료 투입구(62a)에 다수개로 연결되어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6신재료 이동유도홈(62b)을 통해 분산된 신재료를 프레임 외측에 분사하여 코팅층을 성형하기 위해 제6신재료 이동유도홈(62b)과 연결되되 상기 제6원재료 이동홈(61)의 외측둘레에 배치되는 비연속적인 홈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제6신재료 배출구(62c)로이루어진 제6신재료 이동홈(6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6원재료 이동홈(61)의 좌측에 피복신재료를 공급하는 제1피복신재료 투입구(6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압출금형.
  8. 제 1항에 있어서,
    제7금형(70)은 상기 제6금형(60)과 맞닿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6금형(60)의 상기 제6원재료 이동홈(61)과 연계되어 이루어져 성형이 완료된 상기 프레임(100a)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7원재료 이동홈(71)을 형성하고, 상기 제6금형(60)의 제6신재료 배출구(62c)를 통해 이동한 신재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7신재료 투입구(72a)가 형성되며, 상기 제7신재료 투입구(72a)를 통해 유입된 신재료를 성형이 완료된 프레임 외측 전체 또는 부분에 코팅하고 난 다음에 신재료를 배출하는 제7신재료 배출구(72b)가 형성된 제7신재료 이동홈(72)과, 상기 제1피복신재료 투입구(63)와 연통되어 피복신재료를 공급받는 제2피복신재료투입구(73a)와, 상기 제2피복신재료투입구(73a)에서 다수개로 연장형성된 제2피복신재료 이동유도홈(73b)과, 상기 제2피복신재료 이동유도홈(73b)과 연통되어 형성된 제2피복신재료 유입구(73c)에 피복신재료가 통과하여 원재료의 외측에 피복신재료를 형성하고 난 다음에 잔여 피복신재료가 상기 제2피복신재료 유입구(73c)와 연통형성된 상기 제2피복신재료 배출구(73d)로 구성된 제2피복신재료 이동홈(7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압출금형.
  9. 제 1항에 있어서,
    제8금형(80)은 상기 제7금형(70)에 맞닿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7금형(70)에서 스크랩으로 이루어진 원재료 표면에 신재료로 코팅한 신재료코팅층(100b)을 형성하고, 신재료가 코팅되지 않은 원재료의 일면에 피복신재료가 코팅된 피복신재료코팅층(100c)을 형성한 제품의 크기로 형성된 제품이동홈(81)을 포함하여 이루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압출금형.
KR1020190158670A 2019-12-03 2019-12-03 삼중 압출금형 KR102281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670A KR102281678B1 (ko) 2019-12-03 2019-12-03 삼중 압출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670A KR102281678B1 (ko) 2019-12-03 2019-12-03 삼중 압출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119A true KR20210087119A (ko) 2021-07-12
KR102281678B1 KR102281678B1 (ko) 2021-07-23

Family

ID=7685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670A KR102281678B1 (ko) 2019-12-03 2019-12-03 삼중 압출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6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003B1 (ko) * 2023-09-06 2024-01-19 김기영 선틀 제작용 이중 압출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선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711A (ja) * 1997-02-27 1998-09-08 Kyoraku Co Ltd 多層樹脂押出し装置
KR100584211B1 (ko) * 2004-06-04 2006-05-26 주식회사 삼정파인스 기능성 내압 삼층 수도관 및 그 제조장치
KR20070098873A (ko) * 2004-12-23 2007-10-05 토프 쿤스트슈토프테크닉 게젤샤프트 엠베하 중공 프로파일 엘리멘트들을 압출하기 위한 압출 노즐
KR100926946B1 (ko) * 2009-07-02 2009-11-17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각층의 두께 조절 유로제어 시스템이 구비된 다층관 압출 장치 및 다층관
KR101090781B1 (ko) * 2010-07-08 2011-12-08 주식회사 평화 3중 합성수지파이프 제조용 압출장치
KR101767526B1 (ko) * 2017-06-05 2017-08-11 김기영 이중 압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제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711A (ja) * 1997-02-27 1998-09-08 Kyoraku Co Ltd 多層樹脂押出し装置
KR100584211B1 (ko) * 2004-06-04 2006-05-26 주식회사 삼정파인스 기능성 내압 삼층 수도관 및 그 제조장치
KR20070098873A (ko) * 2004-12-23 2007-10-05 토프 쿤스트슈토프테크닉 게젤샤프트 엠베하 중공 프로파일 엘리멘트들을 압출하기 위한 압출 노즐
KR100926946B1 (ko) * 2009-07-02 2009-11-17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각층의 두께 조절 유로제어 시스템이 구비된 다층관 압출 장치 및 다층관
KR101090781B1 (ko) * 2010-07-08 2011-12-08 주식회사 평화 3중 합성수지파이프 제조용 압출장치
KR101767526B1 (ko) * 2017-06-05 2017-08-11 김기영 이중 압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제품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003B1 (ko) * 2023-09-06 2024-01-19 김기영 선틀 제작용 이중 압출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선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678B1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526B1 (ko) 이중 압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제품 제조방법
US20210363762A1 (en) Foamed floor with wood texture
JP5917721B2 (ja) 合成木材製造用押出ダイ、これを備える製造装置及び合成木材の製造方法
KR100979913B1 (ko) 다중 공압출 금형
WO2021077680A1 (zh) 一种用于制造具有木材纹理的发泡地板的模具
CN103619561A (zh) 设有含木材纤维的表皮层的窗框型材
KR102281678B1 (ko) 삼중 압출금형
CN208827066U (zh) 一种pe木塑双色共挤流纹模具
JP6561191B1 (ja) 模型部品、及び、模型部品の製造方法
KR100523128B1 (ko) 표면에 나무질감의 무늬가 형성되는 프로파일을 제조하기위한 장치
CN102259415A (zh) 一种仿木纹板材的挤出方法
KR100188870B1 (ko) 내.외부에 장식무늬를 갖는 압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294812A (zh) 一种聚苯乙烯仿木型材及其制备方法
CN104325616A (zh) 三色共挤塑料型材的生产方法
KR200258362Y1 (ko) 나무질감의 무늬를 갖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압출성형장치 및 그 제품
CN210415601U (zh) 一种asa/pvc多层瓦共挤生产线
KR200258361Y1 (ko) 나무질감의 무늬가 있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압출성형용 다이
CN201538031U (zh) 一种围条挤出设备
CN110667071A (zh) 一种用于生产彩条型产品的挤出平模头
KR100538773B1 (ko) 평판재 발포성형품의 성형장치
CN203854191U (zh) 一种热塑性聚氨酯成型复合薄膜用模具
KR20050048583A (ko) 표면에 나무질감의 무늬가 형성되는 프로파일을 제조하기위한 방법
CN216380399U (zh) 一种夜光地板及制造模具
CN210705947U (zh) 一种挤出机单模芯
CN211138039U (zh) 一种用于生产彩条型产品的挤出平模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