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6552A - Polyimide based film - Google Patents

Polyimide based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6552A
KR20210086552A KR1020200188056A KR20200188056A KR20210086552A KR 20210086552 A KR20210086552 A KR 20210086552A KR 1020200188056 A KR1020200188056 A KR 1020200188056A KR 20200188056 A KR20200188056 A KR 20200188056A KR 20210086552 A KR20210086552 A KR 20210086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imide
film
based film
compound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0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효라
정학기
박효준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86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552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42Copolyimides derived from at least two different tetracarboxylic compounds or two different diamino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08J23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J23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yimide-based film, which comprises a copolymer of diamine compound, first dicarbonyl compound and second dicarbonyl compound components, wherein 55 to 90 moles of the first dicarbonyl compound and 10 to 45 moles of the second dicarbonyl compound are contained based on 100 moles of the diamine compound, and which has improved surface touch feeling.

Description

폴리이미드계 필름 {POLYIMIDE BASED FILM}Polyimide-based film {POLYIMIDE BASED FILM}

본 발명은 폴리이미드계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imide-based film and a polyimide-based film body including the same.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고내열성, 내산화성, 내방사선성, 저온 특성, 내약품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전자제품, 반도체, 자동차, 항공기, 우주선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광섬유, 표시장치, 투명전극필름 뿐만 아니라 표시장치의 커버 윈도우로도 사용되고 있다. Polyimide-based resins have characteristics such as high heat resistance, oxidation resistance, radiation resistance, low temperature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resistance, and are widely used in electronic products, semiconductors, automobiles, aircraft, spacecraft, etc., optical fibers, display devices, and transparent electrode films. It is also used as a cover window of a display device.

최근 폴리이미드계 수지의 광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기계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갖는 폴리이미드계 수지들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studies to improve the optical properties of polyimide-based resins have been conducted, and polyimide-based resins having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without significantly lowering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have been developed.

우수한 기계적 특성, 열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을 갖는 폴리이미드계 수지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다양한 플렉서블 제품에 사용되고 있으며, 유리에 대한 대체제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의 커버 윈도우 또는 보호 소재로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사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A polyimide-based film made of a polyimide-based resin having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thermal properties and optical properties is used in various flexible products, and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use it as a substitute for glass. For example, studies for using a polyimide-based film as a cover window or a protective material of a display device are being conducted.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 특성이 우수하여 윈도우 부재를 비롯한 전자기기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층 또는 유무기 하이브리드층을 구현할 수 있고 표면터치감이 우수한 폴리이미드계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an organic layer or an organic-inorganic hybrid layer capable of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window members due to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and a polyimide-based film having excellent surface touch, and a polyimide-based film including the same It aims to provide a bod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복신율이 높아 플렉시블 장치에 사용가능한 유기층 또는 유무기 하이브리드층을 구현할 수 있는 폴리이미드계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imide-based film capable of implementing an organic layer or an organic-inorganic hybrid layer usable in a flexible device due to high yield elongation, and a polyimide-based film bod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디아민 화합물,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 성분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omprises a copolymer of a diamine compound, a first dicarbonyl compound, and a second dicarbonyl compound component,

상기 디아민 화합물 100 몰에 대하여, With respect to 100 moles of the diamine compound,

상기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 55 내지 90 몰, 및 상기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 10 내지 45 몰의 비율로 포함하며,55 to 90 moles of the first dicarbonyl compound, and 10 to 45 moles of the second dicarbonyl compound,

하기 식 1에 의한 표면터치감이 30.6 이상이다. The surface touch feeling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1 is 30.6 or more.

[식 1][Equation 1]

표면터치감 = T x (500-G)Surface touch feeling = T x (500-G)

(상기 식 1에서, T는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 표면의 열전도율을 ASTM E1461 측정법에 의해 LFA467(ZETZSCH社) 장비로 측정한 값(단위 W/mK), G는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 표면의 광택도를 ASTM D523 측정법에 의해 20도 각도에서 정한 값(단위 GU)) (In Equation 1, T is a value (unit W / mK)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polyimide-based film surface measured by ASTM E1461 with LFA467 (ZETZSCH) equipment, and G is the glossiness of the polyimide-based film surface value determined at an angle of 20 degrees (unit GU) by ASTM D523 measurement method)

참고로, 상기 식 1은 광택도가 낮을수록 유리와 같은 질감을 갖기 때문에 임의의 절대값 500에서 측정된 샘플의 G값을 뺀 값을 열전도율과 곱해서 표면터치감을 정량화한 것이다. For reference, in Equation 1, the lower the gloss, the glass-like texture, so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G value of the sample measured from an arbitrary absolute value of 500 is multiplied by the thermal conductivity to quantify the surface touch feeling.

이 때,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상기 식 1에 의한 표면터치감이 예를 들어 30.6 내지 41.8, 31 내지 41.8, 32 내지 41.8, 33 내지 41.8, 34 내지 41.8 또는 35 내지 41.8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olyimide-based film may have a surface touch feeling according to Formula 1, for example, 30.6 to 41.8, 31 to 41.8, 32 to 41.8, 33 to 41.8, 34 to 41.8, or 35 to 41.8.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은 상기 디아민 화합물 100 몰에 대하여, 20 몰 이하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The polyimide-based film may include an aromatic dianhydride compound, and the aromatic dianhydride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 ratio of 20 moles or less with respect to 100 moles of the diamine compound.

상기 디아민 화합물은 옥시디아닐린(ODA), p-페닐렌디아민(pPDA), m-페닐렌디아민(mPDA), p-메틸렌디아닐린(pMDA), m-메틸렌디아닐린(mMDA), 비스 아미노페녹시 벤젠(133APB), 비스 아미노페녹시 벤젠(134APB), 비스 아미노 페녹시 페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4BDAF), 비스 아미노페닐 헥사플루오로프로판(33-6F), 비스 아미노페닐 헥사플루오로 프로판(44-6F), 비스 아미노페닐술폰(4DDS), 비스 아미노페닐술폰(3DDS), 비스 트리플루오로메틸 벤지딘(TFDB), 사이클로헥산디아민(13CHD), 사이클로헥산 디아민(14CHD), 비스 아미노 페녹시 페닐프로판(6HMDA), 비스 아미노하이드록시 페닐 헥사플로오 로프로판(DBOH), 비스 아미노 페녹시 디페닐 술폰(DBSDA), 비스 (4-아미노페닐)플루오렌(FDA) 및 비스(4-아미노-3플루오르페닐)플루오렌 (F-FDA)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amine compound is oxydianiline (ODA), p-phenylenediamine (pPDA), m-phenylenediamine (mPDA), p-methylenedianiline (pMDA), m-methylenedianiline (mMDA), bisaminophenoxy Cy Benzene (133APB), Bis Aminophenoxy Benzene (134APB), Bis Amino Phenoxy Phenyl Hexafluoropropane (4BDAF), Bis Aminophenyl Hexafluoropropane (33-6F) -6F), bisaminophenylsulfone (4DDS), bisaminophenylsulfone (3DDS), bistrifluoromethyl benzidine (TFDB), cyclohexanediamine (13CHD), cyclohexanediamine (14CHD), bisaminophenoxyphenylpropane (6HMDA), bis aminohydroxy phenyl hexafluoropropane (DBOH), bis amino phenoxy diphenyl sulfone (DBSDA), bis (4-aminophenyl) fluorene (FDA) and bis (4-amino-3) Fluorophenyl)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fluorene (F-FDA).

상기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제1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제1 지방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dicarbonyl compou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aromatic dicarbonyl compound and a first aliphatic dicarbonyl compound.

상기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제2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제2 지방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icarbonyl compou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cond aromatic dicarbonyl compound and a second aliphatic dicarbonyl compound.

상기 제1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상기 제2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서로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The first aromatic dicarbonyl compound and the second aromatic dicarbonyl compound may be each independently selected from compounds represented by Formula 1 below.

[화학식 1][Formula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R1은 단일 결합, 아릴렌(*-Ar-*), 옥시아릴렌(*-O-Ar-*), 시클로알킬렌(*-CAL-*), 또는 옥시시클로알킬렌(*-O-CAL-*) 이고, X1과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기(OH) 또는 할로겐 원소를 나타내고, X3는 수소 또는 할로겐 원소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Ar"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렌기를 나타내고, 상기 CAL은 지환족기(cycloaliphatic group)를 나타낸다.Here, R 1 is a single bond, arylene (*-Ar-*), oxyarylene (*-O-Ar-*), cycloalkylene (*-CAL-*), or oxycycloalkylene (*- O-CAL-*), X 1 and X 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hydrogen, a hydroxyl group (OH) or a halogen element, and X 3 represents hydrogen or a halogen element. Here, "Ar" represent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ene group, and CAL represents a cycloaliphatic group.

상기 제1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상기 제2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서로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5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7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8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9로 표현되는 화합물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aromatic dicarbonyl compound and the second aromatic dicarbonyl compound are each independently represented by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3,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4,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5, a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6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7),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8), and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9).

[화학식 3][Formula 3]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화학식 4][Formula 4]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화학식 5][Formula 5]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화학식 6][Formula 6]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화학식 7][Formula 7]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화학식 8][Formula 8]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화학식 9][Formula 9]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상기 제1 지방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상기 제2 지방족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서로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11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12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aliphatic dicarbonyl compound and the second aliphatic dicarbonyl compound are each independently represented by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0,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1,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2, and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3 It may contain at least one of the compounds.

[화학식 10][Formula 10]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화학식 11][Formula 11]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화학식 12][Formula 12]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화학식 13][Formula 13]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상기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는 2,2-비스(3,4- 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디안하이드라이드(6FDA), 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 (BPDA), 4-(2,5-디옥소테트라 하이드로푸란-3-일)-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2-디카르복실릭안하이드라이드(TDA), 피로멜리틱산 디안하이드라이드(PMDA), 벤조페논 테트라카르 복실릭디안하이드라이드 (BTDA), 옥시디프탈릭 디안하이드라이드(ODPA), 비스카르복시페닐 디메틸 실란 디안하이드라이드(SiDA), 비스 디카르복시 페녹시 디페닐 설파이드 디안하이드라이드(BDSDA), 술포닐 디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SO2DPA), 이소프로필리덴이페녹시 비스 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6HBDA), 사이클로부탄디안하이드라이드 (CBDA), 사이클로 펜탄디안하이드라이드(CPDA), 사이클로헥산디안하이드라이드 (CHDA) 및 비사이클로헥산디안하이드라이드 (HBPDA)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romatic dianhydride is 2,2-bis (3,4-dicarboxyphenyl) hexafluoropropane dianhydride (6FDA), biphenyl tetracarboxylic dianhydride (BPDA), 4- (2,5) -dioxotetrahydrofuran-3-yl)-1,2,3,4-tetrahydronaphthalene-1,2-dicarboxylic anhydride (TDA), pyromellitic acid dianhydride (PMDA), benzophenone Tetracarboxylic dianhydride (BTDA), oxydiphthalic dianhydride (ODPA), biscarboxyphenyl dimethyl silane dianhydride (SiDA), bis dicarboxyphenoxy diphenyl sulfide dianhydride (BDSDA), sulfonyl Diphthalic anhydride (SO 2 DPA), Isopropylideneiphenoxy bis phthalic anhydride (6HBDA), Cyclobutanedianhydride (CBDA), Cyclopentanedianhydride (CPDA), Cyclohexanedianhydrid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CHDA) and bicyclohexanedianhydride (HBPDA).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두께 50±2㎛를 기준으로, 239~253GU의 광택도; 0.12~0.18 W/mK의 열 전도율; 1.8% 이상의 기계방향(MD)의 항복신율, 1.8% 이상의 폭방향(TD)의 항복신율, 380 내지 780nm의 파장에서 90% 이상의 평균 광학 투과도 및 0.3% 이하의 헤이즈를 가질 수 있다.The polyimide-based film, based on a thickness of 50 ± 2㎛, glossiness of 239 ~ 253GU; thermal conductivity of 0.12 to 0.18 W/mK; It may have an elongation at yield in the machine direction (MD) of 1.8% or more, an elongation at yield in the width direction (TD) of 1.8% or more, an average optical transmittance of 90% or more at a wavelength of 380 to 780 nm, and a haze of 0.3% or less.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전술한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체로서,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프라이머 필름, 경도보강 필름, 유연 필름, 되접힘 필름, 굴곡강도보강 필름, 시인성 개선 필름, 배리어 필름, 항균 필름, 발수 필름, 지문방지 필름, 반사방지 필름 및 매끄러운 터치감 제공필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코팅층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체를 제공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imide-based film body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polyimide-based film, on one or both sides of the polyimide-based film, a primer film, a hardness-reinforced film, a flexible film, and a fold It provides a polyimide-based film body comprising at least one coating layer selected from a film, a flexural strength reinforcing film, a visibility improving film, a barrier film, an antibacterial film, a water-repellent film, an anti-fingerprint film, an anti-reflection film, and a film providing a smooth touch. .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의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polyimide-based fil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 특성이 우수하여 윈도우 부재를 비롯한 전자기기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층 또는 유무기 하이브리드층을 구현할 수 있고 표면터치감이 우수한 폴리이미드계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체를 제공하였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ganic layer or an organic-inorganic hybrid layer capable of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window member due to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can be implemented, and a polyimide-based film having excellent surface touch feeling, and a polyimide-based film comprising the same A polyimide-based film body wa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항복신율이 높아 플렉시블 장치에 사용가능한 유기층 또는 유무기 하이브리드층을 구현할 수 있는 폴리이미드계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체를 제공하였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yimide-based film capable of implementing an organic layer or an organic-inorganic hybrid layer usable in a flexible device due to high yield elongation, and a polyimide-based film body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어, 표면터치감이 우수한 폴리이미드계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체는 유리의 대체제로 사용될 수 있다. A polyimide-based film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aving excellent surface touch feeling and a polyimide-based film body including the same may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glass.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nly,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또는 단계나,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또는 단계,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unless otherwise stated, the term comprise, comprises, comprising means including the referenced object or step or set of objects or groups of steps, and any It is not used in the sense of excluding other objects or steps, groups of objects or groups of steps.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with any other embodiments unless clearly indicated to the contrary. In particular, any feature indicated as preferred or advantageous may be combined with any other feature indicated as preferred or advantageous.

본 명세서에서 "필름"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얇은 판상 부재를 말하지만 액상 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막의 개념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film" generally refers to a thin plate-like member, but also includes the concept of a film formed by liquid coating.

본 명세서에서 "필름체"란 용어는 상술한 필름을 1층 이상 포함하거나 적층한 구조, 나아가 이러한 구조를 갖는 장치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film body" is intended to include a structure including or laminated with one or more layers of the above-described films, and furthermore, a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본 명세서에서 "폴리이미드계"란 용어는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계를 포함하여 통칭하는 것으로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polyimide-based" is intended to collectively include polyimide, polyamide, and polyimide-based.

또한 본 명세서상의 "상에" 위치한다는 개념은 그 위에 직접적으로 위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부재가 개입되더라도 그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In addition, the concept of “locating 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being positioned “on” not only directly on it, but also on other members intervening therebetween.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The term “at least on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tems" means 2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tems as well as each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It may mean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may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디아민 화합물,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 성분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디아민 화합물 100 몰에 대하여, 상기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 55 내지 90 몰의 비율로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 10 내지 45 몰의 비율로 포함하며, 후술하는 식 1에 의한 표면터치감이 30.6 이상인 것이다.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광학 특성이 우수하여 윈도우 부재를 비롯한 전자기기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층 또는 유무기 하이브리드층을 구현할 수 있고 표면터치감이 우수하여 유리 대체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항복신율도 높아서 플렉시블 장치에 사용가능한 유기층 또는 유무기 하이브리드층을 구현할 수 있다. The polyimide-base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polymer of a diamine compound, a first dicarbonyl compound, and a second dicarbonyl compound component, and based on 100 moles of the diamine compound, the first dicarbo The nyl compound is contained in a ratio of 55 to 90 moles, and the second dicarbonyl compound is contained in a ratio of 10 to 45 moles, and the surface touch feeling according to Formula 1 to be described below is 30.6 or more. The polyimide-based film can implement an organic layer or an organic-inorganic hybrid layer that can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window members due to its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and can be used as a glass substitute due to its excellent surface touch, and has a high yield elonga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organic layer or an organic-inorganic hybrid layer that can be used in a flexible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 성분들은 혼합된 상태일 수도 있고, 성분들에 포함된 각 화합물이 순차 혼합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in a mixed state, or each compound included in the components may be sequentially mix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아민 화합물은 예를 들어, 옥시디아닐린(ODA), p-페닐렌디아민(pPDA), m-페닐렌디아민(mPDA), p-메틸렌디아닐린(pMDA), m-메틸렌디아닐린(mMDA), 비스 아미노페녹시 벤젠(133APB), 비스 아미노페녹시 벤젠(134APB), 비스 아미노 페녹시 페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4BDAF), 비스 아미노페닐 헥사플루오로프로판(33-6F), 비스 아미노페닐 헥사플루오로 프로판(44-6F), 비스 아미노페닐술폰(4DDS), 비스 아미노페닐술폰(3DDS), 비스 트리플루오로메틸 벤지딘(TFDB), 사이클로헥산디아민(13CHD), 사이클로헥산 디아민(14CHD), 비스 아미노 페녹시 페닐프로판(6HMDA), 비스 아미노하이드록시 페닐 헥사플로오 로프로판(DBOH), 비스 아미노 페녹시 디페닐 술폰(DBSDA), 비스 (4-아미노페닐)플루오렌(FDA) 및 비스(4-아미노-3플루오르페닐)플루오렌 (F-FDA)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아민으로, 상기 설명된 화합물들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2가지 이상의 화합물들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ine compound is, for example, oxydianiline (ODA), p-phenylenediamine (pPDA), m-phenylenediamine (mPDA), p-methylenedianiline (pMDA), m-methylenedianiline (mMDA), bisaminophenoxybenzene (133APB), bisaminophenoxybenzene (134APB), bisaminophenoxyphenyl hexafluoropropane (4BDAF), bisaminophenyl hexafluoropropane (33- 6F), bisaminophenyl hexafluoropropane (44-6F), bisaminophenylsulfone (4DDS), bisaminophenylsulfone (3DDS), bistrifluoromethyl benzidine (TFDB), cyclohexanediamine (13CHD), cyclo Hexanediamine (14CHD), bisaminophenoxyphenylpropane (6HMDA), bisaminohydroxyphenyl hexafluoropropane (DBOH), bisaminophenoxydiphenyl sulfone (DBSDA), bis(4-aminophenyl)flu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orene (FDA) and bis (4-amino-3 fluorophenyl) fluorene (F-FDA). As the diamine, the compound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compounds may be mixed and used.

디아민 화합물 및 디카르보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성분들에 의하여 제조된폴리이미드계 필름은 아마이드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이 될 수 있다. The polyimide-based film prepared by using components including a diamine compound and a dicarbonyl compound may be a polyimide-based film having an amide repeat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제1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제1 지방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dicarbonyl comp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aromatic dicarbonyl compound and a first aliphatic dicarbonyl compou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제2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제2 지방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dicarbonyl comp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cond aromatic dicarbonyl compound and a second aliphatic dicarbonyl compound.

상기 제1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상기 제2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서로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The first aromatic dicarbonyl compound and the second aromatic dicarbonyl compound may be each independently selected from compounds represented by Formula 1 below.

[화학식 1][Formula 1]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3

화학식 1에서, R1은 단일 결합, 아릴렌(*-Ar-*), 옥시아릴렌(*-O-Ar-*), 시클로알킬렌(*-CAL-*), 또는 옥시시클로알킬렌(*-O-CAL-*) 이고, X1과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기(-OH) 또는 할로겐 원소를 나타내고, X3는 수소 또는 할로겐 원소를 나타낸다. 여기서, "Ar"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렌기를 나타내고, 상기 CAL은 지환족기(cycloaliphatic group)을 나타낼 수 있다. In Formula 1, R 1 is a single bond, arylene (*-Ar-*), oxyarylene (*-O-Ar-*), cycloalkylene (*-CAL-*), or oxycycloalkylene ( *-O-CAL-*), X 1 and X 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hydrogen, a hydroxyl group (-OH) or a halogen element, and X 3 represents hydrogen or a halogen element. Here, "Ar" may represent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ene group, and CAL may represent a cycloaliphatic group.

아릴렌기로,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페닐렌기가 있다.As the arylene group, for example, there is a phenylene group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화학식 2] [Formula 2]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치환되지 않은 알릴렌기로, 예를 들어,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페닐렌기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unsubstituted allylene group, for example, a phenylene group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또한, 치환된 아릴렌기로, 예를 들어, 벤젠 고리의 수소(H)가 할로겐 원소로 치환된 페닐렌기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환된 아릴렌기로, 벤젠 고리의 수소(H)가 염소(Cl)로 치환된 클로로 페닐렌기가 있다. Also, as the substituted arylene group, there is, for example, a phenylene group in which hydrogen (H) of the benzene ring is substituted with a halogen element. More specifically, as the substituted arylene group, there is a chlorophenylene group in which hydrogen (H) of the benzene ring is substituted with chlorine (Cl).

화학식 1에서, X1 및 X2 중 적어도 하나는 할로겐 원소일 수 있으며, 할로겐 원소는 염소(Cl) 원자일 수 있다. 또한, X3는 염소 원자(Cl)일 수 있다.In Formula 1, at least one of X 1 and X 2 may be a halogen element, and the halogen element may be a chlorine (Cl) atom. In addition, X 3 may be a chlorine atom (C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제2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서로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5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7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8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9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romatic dicarbonyl compound and the second aromatic dicarbonyl comp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ach independently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3,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4, and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5 ,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6,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7,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8, and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9.

[화학식 3][Formula 3]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5

[화학식 4][Formula 4]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6

[화학식 5][Formula 5]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7

[화학식 6][Formula 6]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8

[화학식 7][Formula 7]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19

[화학식 8][Formula 8]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0

[화학식 9][Formula 9]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제2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예를 들어,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TPC)(화학식 3),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화학식 4), 이소프탈로일 디클로라이드(IPC)(화학식 5), 1,1'-바이페닐-4,4'-디카르보닐 디클로라이드(1,1'-biphenyl-4,4'-dicarbonyl dichloride, BPDC)(화학식 6), 4,4'-옥시비스벤조일 클로라이드(4,4'-oxybisbenzoyl chloride, ODBC)(화학식 7) 및 2-클로로테레프탈로일디클로라이드(2-chloroterephthaloyl dichloride)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독립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romatic dicarbonyl compound and the second aromatic dicarbonyl compound are, for example, terephthaloyl chloride (TPC) (Formula 3), terephthalic acid (TPA) ( Formula 4), isophthaloyl dichloride (IPC) (Formula 5), 1,1'-biphenyl-4,4'-dicarbonyl dichloride (1,1'-biphenyl-4,4'-dicarbonyl dichloride) , BPDC) (Formula 6), 4,4'-oxybisbenzoyl chloride (4,4'-oxybisbenzoyl chloride, ODBC) (Formula 7) and 2-chloroterephthaloyl dichloride (2-chloroterephthaloyl dichloride) at least one may be includ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방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제2지방족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11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12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독립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하기 화학식 10 내지 1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들을 지환족 화합물이라고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liphatic dicarbonyl compound and the second aliphatic dicarbonyl comp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for example,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0,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1, and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2 At least one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compound and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3 may be includ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s 10 to 13 may be referred to as alicyclic compounds,

[화학식 10][Formula 10]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2

[화학식 11][Formula 11]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3

[화학식 12][Formula 12]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4

[화학식 13][Formula 13]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상기 디아민 화합물 100 몰에 대하여, 55 내지 90 몰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의 함량 범위에 따르면,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구성하는 아마이드 반복단위를 최대치로 제공하여 광학 특성과 광택도, 열 전도율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하한치 미만에서는 광택도, 열전도율 및 광 투과도 등 광학 특성이 전반적으로 불량할 뿐 아니라 황색도 특성도 구현되지 않고, 상한치 초과하면 광택도와 열전도율 및 황색도 특성이 구현되지 않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carbonyl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 ratio of 55 to 90 moles based on 100 moles of the diamine compound. According to the content range of the first dicarbonyl compound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mprove optical properties, gloss, and thermal conductivity by providing the maximum value of the amide repeating unit constituting the polyimide-based film, and below the lower limit, gloss, In addition to overall poor optical properties such as thermal conductivity and light transmittance, yellowness characteristics are not implemented, and when the upper limit is exceeded, glossiness, thermal conductivity, and yellowness characteristics are not implemented.

또한, 상기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상기 디아민 화합물 100 몰에 대하여 55~85 몰 또는 60~80 몰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icarbonyl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 ratio of 55 to 85 moles or 60 to 80 moles based on 100 moles of the diamine compou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상기 디아민 화합물 100 몰에 대하여, 10 내지 40 몰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의 함량 범위에 따르면, 상술한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에 의해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구성하는 아마이드 반복단위를 최대치로 제공하던 것을 보완하여 광학 특성과 광택도, 열 전도율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하한치 미만에서는 광택도가 불량하고 황색도 특성이 구현되지 않고, 상한치 초과하면 광택도와 열전도율, 항복신율 및 황색도 특성이 구현되지 않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icarbonyl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 ratio of 10 to 40 moles based on 100 moles of the diamine compound. According to the content range of the second dicarbonyl compound described above, the above-described first dicarbonyl compound compensates for the maximum amount of the amide repeating unit constituting the polyimide-based film, thereby providing optical properties, glossiness, and thermal conductivity. can be effectively improved, and if the lower limit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the glossiness is poor and the yellowness characteristic is not implemented, and when the upper limit is exceeded, the glossiness and thermal conductivity, the yield elongation and the yellowness characteristic are not implemented.

또한, 상기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상기 디아민 화합물 100 몰에 대하여 15~35몰, 15~30몰, 또는 20~30몰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icarbonyl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 ratio of 15 to 35 moles, 15 to 30 moles, or 20 to 30 moles based on 100 moles of the diamine compound.

특히, 상기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과 상기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상기 디아민 화합물 100 몰에 대하여 상기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과 상기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을 합한 함량을 80 내지 98 몰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이 물성 밸런스를 고려할 때 보다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the first dicarbonyl compound and the second dicarbonyl compound are the sum of the first dicarbonyl compound and the second dicarbonyl compound in a ratio of 80 to 98 moles based on 100 moles of the diamine compound. It is more preferable to include it in consideration of the balance of physical properties.

또한, 상기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과 상기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을 합한 함량은 상기 디아민 화합물 100 몰에 대하여 80 내지 90 몰, 85 내지 98 몰, 또는 85 내지 90 몰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bined content of the first dicarbonyl compound and the second dicarbonyl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 ratio of 80 to 90 moles, 85 to 98 moles, or 85 to 90 moles based on 100 moles of the diamine compound.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이미드계 필름을구성하는 성분들로서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성분들이 디아민 화합물 및 디카르보닐 화합물에 더하여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이미드 반복단위와 아마이드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아마이드-이미드 공중합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romatic dianhydride compound may be further included a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olyimide-based film. When the components further include an aromatic dianhydride compound in addition to the diamine compound and the dicarbonyl compound, the polyimide-based film may have a polyamide-imide copolymer structure having an imide repeating unit and an amide repeating unit.

폴리아마이드-이미드 공중합체 구조를 가지는 필름은 이미드 반복 단위를 가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폴리아마이드-이미드 공중합체 구조를 가지는 필름 역시 폴리이미드계 필름이라고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폴리이미드 필름일 수도 있고,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필름일 수도 있으며, 나아가 폴리아미드 필름일 수도 있다. Since a film having a polyamide-imide copolymer structure has an imide repeating uni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m having a polyamide-imide copolymer structure is also referred to as a polyimide-based film. Accordingly, the polyimide-base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olyimide film, a polyamide-imide film, or a polyamide film.

상기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은 예를 들어, 2,2-비스(3,4- 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디안하이드라이드(6FDA), 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 (BPDA), 4-(2,5-디옥소테트라 하이드로푸란-3-일)-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2-디카르복실릭안하이드라이드(TDA), 피로멜리틱산 디안하이드라이드(PMDA), 벤조페논 테트라카르 복실릭디안하이드라이드 (BTDA), 옥시디프탈릭 디안하이드라이드(ODPA), 비스카르복시페닐 디메틸 실란 디안하이드라이드(SiDA), 비스 디카르복시 페녹시 디페닐 설파이드 디안하이드라이드(BDSDA), 술포닐 디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SO2DPA), 이소프로필리덴이페녹시 비스 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6HBDA), 사이클로부탄디안하이드라이드 (CBDA), 사이클로 펜탄디안하이드라이드(CPDA), 사이클로헥산디안하이드라이드 (CHDA) 및 비사이클로헥산디안하이드라이드 (HBPDA)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romatic dianhydride compound is, for example, 2,2-bis (3,4-dicarboxyphenyl) hexafluoropropane dianhydride (6FDA), biphenyl tetracarboxylic dianhydride (BPDA), 4 -(2,5-dioxotetrahydrofuran-3-yl)-1,2,3,4-tetrahydronaphthalene-1,2-dicarboxylic anhydride (TDA), pyromellitic acid dianhydride ( PMDA), benzophenone tetracarboxylic dianhydride (BTDA), oxydiphthalic dianhydride (ODPA), biscarboxyphenyl dimethyl silane dianhydride (SiDA), bis dicarboxyphenoxy diphenyl sulfide dianhydride ( BDSDA), sulfonyl diphthalic anhydride (SO 2 DPA), isopropylideneiphenoxy bis phthalic anhydride (6HBDA), cyclobutanedianhydride (CBDA), cyclopentanedianhydride (CPDA),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cyclohexanedianhydride (CHDA) and bicyclohexanedianhydride (HBPD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아민 화합물 100 몰에 대하여 상기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을 20 몰 이하, 또는 1 내지 20몰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의 함량 범위에 따르면, 상술한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과 상술한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이 디아민 화합물과 결합하여 아마이드 구조를 구현하는 것과 별개로 디아민 화합물과 결합하여 이미드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광택 특성과 기계적 물성을 제공하면서 광택도, 열 전도율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상한치 초과하면 광택도 및 광 투과도 등 광학 특성이 전반적으로 불량할 뿐 아니라 황색도 특성도 구현되지 않고 항복신율도 불량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omatic dianhydride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 ratio of 20 moles or less, or 1 to 20 moles, based on 100 moles of the diamine compound. According to the content range of the above-described aromatic dianhydride compound, the above-described first dicarbonyl compound and the above-described second dicarbonyl compound are combined with a diamine compound to implement an amide structure, but are already combined with a diamine compound By implementing a de-structur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gloss and thermal conductivity more effectively while providing gloss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If the upper limit is exceeded, not only optical properties such as glossiness and light transmittance are generally poor, but also yellowness properties are not implemented. and the yield elongation is also poor.

또한, 상기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은, 상기 디아민 화합물 100 몰에 대하여 2~20몰 또는 3~20몰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romatic dianhydride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 ratio of 2 to 20 moles or 3 to 20 moles based on 100 moles of the diamine compou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성분들은 필러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필러는 일례로 상기 디아민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80중량부 범위 내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further include a filler, wherein the filler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5 to 8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diamine compound, for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필러는 유기 입자, 무기 입자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무기 입자가 바람직하다. 무기 입자로는 실리카,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티타니아, 산화아연, 산화게르마늄, 산화인듐, 산화주석, 인듐주석산화물(ITO), 산화안티몬, 산화세륨 등의 금속 산화물 입자, 불화마그네슘, 불화나트륨 등의 금속 불화물 입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물체의 반복 충돌에 의한 광학 특성의 저하를 억제하기 쉬운 관점에서 실리카 입자, 지르코니아 입자, 알루미나 입자가 바람직하고, 실리카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필러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filler include organic particles and inorganic particles, and inorganic particles are particularly preferable. Examples of inorganic particles include particles of metal oxides such as silica, zirconia, alumina, titania, zinc oxide, germanium oxide, indium oxide, tin oxide, indium tin oxide (ITO), antimony oxide, cerium oxide, and metals such as magnesium fluoride and sodium fluoride. and fluoride particles. Among them, silica particles, zirconia particles, and alumina particles are preferable, and silica particles are particularly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asily suppressing deterioration of optical properties due to repeated collisions of objects. These filler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상기 필러,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입자의 일차 입자경은 일례로 1nm 이상바람직하게는 3n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nm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7nm 이상이고, 일례로 25n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n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2nm 이하이며, 이들 상한과 하한의 조합이어도 된다. 필러의 일차 입자경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실리카 입자의 응집을 억제하여, 광학 필름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기 쉽고, 상기 상한 이하이면, 실리카 입자의 응집을 억제하여 광학 필름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기 쉽고, 상기의 상한 이하이면, 물체의 반복 충돌에 의한 광학 특성의 저하를 억제하기 쉽다. 필러의 일차 입자경은 BET 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투과형 전자현미경(TEM)이나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의 화상 해석에 의해 필러의 일차 입자경(평균 일차 입자경)을 측정해도 된다. The primary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preferably silica particles, is, for example, 1 nm or more, preferably 3 nm or more, more preferably 5 nm or more, and most preferably 7 nm or more, for example 25 nm or less, preferably 20 nm or less, more preferably Preferably it is 15 nm or less, Most preferably, it is 12 nm or less, A combination of these upper limit and a lower limit may be sufficient. If the primary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is more than the lower limit, it is easy to suppress aggregation of silica particles to improve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optical film, and if it is less than the upper limit, it is easy to suppress aggregation of silica particles to improve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optical film If it is below the said upper limit, it will be easy to suppress the fall of the optical characteristic by the repeated collision of an object. The primary particle diameter of a filler can be measured by BET method. Moreover, you may measure the primary particle diameter (average primary particle diameter) of a filler by image analysis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o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표면터치감을 나타내는 변수로서, 광택도와 열전도율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STM D523 측정법에 의해 20도 각도에서 측정된 광택도 값과 ASTM E1461 측정법에 의해 LFA467(ZETZSCH社) 장비로 측정된 열전도율 값을 측정하고, 이 때 광택도는 낮을수록 유리와 같은 질감을 갖기 때문에 임의의 절대값 500에서 측정된 샘플의 G값을 뺀 값을 열전도율과 곱해서 수치화함으로써 표면터치감을 정량화할 수 있으며, 수치화된 계산값과 관능 시험 결과 얻어진 값이 일치하는 결과를 보이는 것을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imide-based film may be calculated from glossiness and thermal conductivity as a variable indicating a surface touch feeling. For example, the gloss value measured at an angle of 20 degrees by the ASTM D523 measurement method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value measured with the LFA467 (ZETZSCH company) equipment by the ASTM E1461 measurement method are measured. Since it has an arbitrary absolute value of 500, it is possible to quantify the surface touch feeling by multiplying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G value of the measured sample with the thermal conductivity to quantify the surface touch feeling, and it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the numerically calculated value and the value obtained as a result of the sensory test match the result.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example.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표면터치감 계산값이 너무 낮으면 광택도가 불량하고, 너무 높으면 열전도율이 불량할 수 있다. If the calculated value of the surface touch feeling of the polyimide-based film is too low, the gloss may be poor, and if it is too high, the thermal conductivity may be po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시되는 식 1의 계산값은, 폴리이미드계 필름 표면의 터치감을 수치화한 값이라고도 할 수 있다. The calculated value of Equation 1 pres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ferred to as a value obtained by digitizing the touch feeling of the surface of the polyimide-based film.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식 1의 계산값이 작은 것은, 폴리이미드계 필름 표면의 각 지점에서 정반사의 변화가 작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정반사의 변화가 작다는 것은 난반사가 상대적으로 많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 내에서 특정된 범위보다 계산된 값이 작은 경우, 폴리이미드계 필름 표면의 터치감이 덜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A small calculated value of Equation 1 of the polyimide-based film can be interpreted as a small change in specular reflection at each point on the surface of the polyimide-based film. A small change in specular reflection can be interpreted a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diffuse reflection, and therefore, when the calculated value is smaller than the range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aid that the touch feeling of the polyimide-based film surface is less excellent. .

또한,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식 1의 계산값이 큰 것은, 폴리이미드계 필름 표면의 각 지점에서 열전도의 변화가 큰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열전도의 변화가 크다는 것은 열전도의 변화가 작은 유리와 같은 터치감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calculated value of Equation 1 of the polyimide-based film is large can be interpreted as a large change in heat conduction at each point on the surface of the polyimide-based film. A large change in heat conduction may mean that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touch feeling like glass with a small change in heat condu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하기 식 1에 의한 표면터치감이 30.6 이상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imide-based film may have a surface touch feeling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30.6 or more.

[식 1][Equation 1]

표면터치감 = T x (500-G)Surface touch = T x (500-G)

(상기 식에서 T는 ASTM E1461 측정법에 의해 LFA467(ZETZSCH社) 장비로 측정된 열전도율 값(단위 W/mK)이고, G는 ASTM D523 측정법에 의해 20도 각도에서 측정된 광택도 값(단위 GU)이다) (In the above formula, T is the thermal conductivity value (unit W / mK) measured with the LFA467 (ZETZSCH company) equipment by the ASTM E1461 measurement method, and G is the gloss value (unit GU) measured at an angle of 20 degrees by the ASTM D523 measurement metho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필름이 상기 식 1을 만족하는 경우, 난반사가 적고, 우수한 평탄성을 가지며, 폴리이미드계 필름 또는 이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체가 표시장치의 커버 윈도우로 사용되더라도 유리유사 터치감을 제공한다.When the polyimide-base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Equation 1, it has less diffuse reflection and excellent flatness, and the polyimide-based film or a polyimide-based film body including the same is used as a cover window of a display device It provides a glass-like touch feeling.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구체적인 예로, 상기 식 1의 표면터치감이 30.6 내지 41.8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polyimide-based film,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urface touch feeling of Equation 1 is within the range of 30.6 to 41.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두께는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예를 들어 10 내지 2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10 내지 1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polyimide-based film may have various thicknesses. The polyimide-based film may have a thickness of, for example, 10 to 250 μm, and more specifically, may have a thickness of 10 to 100 μm.

또한,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필름 두께 50±2㎛을 기준으로, 광택도가 230 내지 260GU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표면터치감이 우수한 유기층 또는 유무기 하이브리드층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lyimide-bas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For example, the polyimide-base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gloss of 230 to 260GU based on a film thickness of 50±2 μm. 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organic layer or an organic-inorganic hybrid layer having an excellent surface touch feel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필름 두께 50±2㎛을 기준으로, 열 전도율이 0.12 내지 0.18 W/mK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전도의 변화가 작은 유리와 같은 터치감을 가지는 유기층 또는 유무기 하이브리드층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yimide-base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thermal conductivity of 0.12 to 0.18 W/mK based on a film thickness of 50±2 μm. 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organic layer or an organic-inorganic hybrid layer having a touch feeling like glass having a small change in thermal conductivit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필름 두께 50±2㎛을 기준으로, 2.0% 이하의 헤이즈(Haze), 380 내지 780nm 파장에서 89% 이상의 광학 투과도, 및 4.0 이하의 황색도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께 50±2㎛을 기준으로,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0.2 내지 0.3%의 헤이즈(Haze)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갖는 유기층 또는 유무기 하이브리드층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lyimide-base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a film thickness of 50±2 μm, a haze of 2.0% or less, an optical transmittance of 89% or more at a wavelength of 380 to 780 nm, and 4.0 or less It may have a yellowness.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a thickness of 50±2 μm, the polyimide-based film may have a haze of 0.2 to 0.3%. Within the above range, an organic layer or an organic-inorganic hybrid layer having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may be implemen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필름 두께 50±2㎛을 기준으로, 1.8% 이상의 기계방향(MD)의 항복신율, 1.8% 이상의 폭방향(TD)의 항복신율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께 50±2㎛을 기준으로,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1.8% 내지 2.0%의 기계방향(MD) 및 폭방향(TD)의 항복신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플렉시블 장치에 사용가능한 유기층 또는 유무기 하이브리드층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lyimide-base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ased on a film thickness of 50±2㎛, an elongation at yield in the machine direction (MD) of 1.8% or more, and an elongation at yield in the width direction (TD) of 1.8% or more. can have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a thickness of 50±2 μm, the polyimide-based film may have a yield elongation in the machine direction (MD) and the width direction (TD) of 1.8% to 2.0%. have. 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organic layer or an organic-inorganic hybrid layer that can be used in a flexible devic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광택율과 열 전도율로부터 계산된 표면터치감 값이 특정 범위 내에 있어 우수한 표면 특성을 가질 뿐 아니라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표시장치의 커버윈도우, 투명 보호 필름, 광확산판, 액정 배향막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하드코팅 필름의 기재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기판(substrate)으로 사용될 수 있다. As such, the polyimide-base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surface properties as well as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because the surface touch value calculated from the gloss and thermal conductivity is within a specific range. Therefore, the polyimide-based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cover window of a display device,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 light diffusion plate, and a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can be used as a base film for a hard coating film, and can be used as a substrate for a flexible display.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예를 들어 유리의 대체제로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lyimide-base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example, as a substitute for glas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계 필름체의 기재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lyimide-base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example, as a base film of a polyimide-based film body.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체를 제공한다. That 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yimide-based film body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polyimide-based film is provided.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프라이머 필름, 경도보강 필름, 유연 필름, 되접힘 필름, 굴곡강도 보강 필름, 시인성 개선 필름, 배리어 필름, 항균필름, 발수필름, 지문방지 필름, 반사방지 필름 및 매끄러운 터치감 제공필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코팅층을 포함하여 광학 특성과 기계적 물성이 보강된 필름체를 제공할 수 있다.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yimide-based film, a primer film, a hardness-reinforced film, a flexible film, a fold-back film, a flexural strength reinforcement film, a visibility improvement film, a barrier film, an antibacterial film, a water-repellent film, an anti-fingerprint film, a refle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lm body in which optical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are reinforced by including one or more coating layers selected from an anti-aging film and a film providing a smooth touch feeling.

일례로, 코팅층은 공압출 또는 압출 라미네이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by co-extrusion or extrusion lamin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글래스 커버, 및 상기 글래스 커버의 적어도 한 면에 구비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전술한 폴리이미드계 필름체가 제공되어 윈도우 부재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윈도우 부재 이외 다양한 전자부품에도 적용 가능하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ndow member including a glass cover and a polyimide-based film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glass cover. In this case, the polyimide-based film may be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polyimide-based film body to provide a window member,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other than the window member.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yimide-base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제조방법은, 디아민 화합물,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 화합물 그리고 필요에 따라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과 필러 등을 포함하는 성분들을 이용하여 액상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 액상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겔 상태의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S2) 및 겔 상태의 필름을 건조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yimide-base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amine compound, a first dicarbonyl compound, a second dicarbonyl compound compound, and, if necessary, an aromatic dianhydride compound, a filler, and the like. It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 liquid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1), manufacturing a film in a gel state by molding the resin composition in a liquid state (S2), and drying the film in a gel state (S3)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디아민 화합물,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들에 의하여 액상의 수지 조성물이 제조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liquid resin composition is prepared by monomer components including a diamine compound, a first dicarbonyl compound, and a second dicarbonyl compound.

디아민 화합물,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는 이미 설명되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Since the diamine compound, the first dicarbonyl compound, and the second dicarbonyl compound have already been describe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성분들의 용액 중합을 위해 제1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성분들이 제1 용매의 존재 하에서 반응되어, 중합체 용액이 제조될 수 있다. 용액 중합을 위해 제1 용매로 유기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A first solvent may be used for solution polymerization of the components. Specifically, the components may be reacted in the presence of a first solvent to prepare a polymer solution. An organic solvent may be used as the first solvent for solution polymerization.

제1 용매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제1 용매로, 예를 들어, m-크레졸, N-메틸-2-피롤리돈(NMP), N-에틸-2-피롤리돈(NEP),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디에틸포름아미드(DE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에틸 아세트아미드(DEAc),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PGME)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PGMEA)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클로로포름과 같은 저비점 용매 또는 γ-부티로락톤과 같은 저흡수성 용매가 제1 용매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용매는 목적에 따라 단독 혹은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ype of the first solvent. As a first solvent, for example, m-cresol, N-methyl-2-pyrrolidone (NMP), N-ethyl-2-pyrrolidone (NEP), dimethylformamide (DMF), diethylformamide (DEF), dimethylacetamide (DMAc), diethyl acetamide (DEAc), acetone, ethyl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PGME) and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 PGMEA) at least one solvent selected from may be used. In addition, a low boiling point solvent such as tetrahydrofuran (THF), chloroform, or a low water absorption solvent such as γ-butyrolactone may be used as the first solvent. The first solvent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depending on the purpose.

제1 용매의 함량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제1 용매는 제1 중합체 용액 전체 중량 대비 50 내지 95 중량%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용매는 상기 중합체 용액 전체 중량 대비 70 내지 90 중량%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The content of the first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first solvent may have a content of 50 to 9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polymer solution. More specifically, the first solvent may have a content of 70 to 9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solution.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과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들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높은 열안정성 및 기계적 특성과 더불어 표면터치감을 가질 수 있다. The polyimide-based film prepared by using monomer components including the first dicarbonyl compound and the second dicarbonyl compound may have high thermal st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as well as a surface touch feel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분들은 방향족 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노머 성분들이 디아민 화합물 및 디카르보닐 화합물에 더하여 방향족 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폴리아마이드-이미드 공중합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폴리아마이드-이미드 공중합체 구조를 가지는 필름 역시 폴리이미드계 필름이라고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may further include an aromatic anhydride compound. When the monomer components further include an aromatic anhydride compound in addition to the diamine compound and the dicarbonyl compound, the polyimide-based film may have a polyamide-imide copolymer structu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m having a polyamide-imide copolymer structure is also referred to as a polyimide-based film.

방향족 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들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높은 열안정성 및 기계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A polyimide-based film prepared by using monomer components including an aromatic anhydride compound may have high thermal st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방향족 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은 이미 설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Since the aromatic anhydride compound has already been describe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성분들을 이용하여 액상의 수지 조성물 제조하는 단계(S1)에 적용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액상의 수지 조성물은 액상의 폴리이미드계 수지 조성물이라고 할 수 있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method applied to the step (S1) of preparing the liquid resin composition using the components. Here, the liquid resin composition can be said to be a liquid polyimide-based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상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는, 성분들을 제1 용매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제1 단계, 중합체 용액에 제2 용매를 투입하고, 여과 및 건조하여 중합체 고형분을 제조하는 제2 단계 및 중합체 고형분을 제3 용매에 용해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S1) of preparing a liquid resin composition, the first step of preparing a polymer solution by reacting the components in the presence of a first solvent, a second solvent is added to the polymer solution, , a second step of preparing a polymer solid by filtration and drying, and a third step of dissolving the polymer solid in a third solvent.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제1 단계 또는 제3 단계에서 용액을 안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중합체 용액을 실온 이하, 또는 5~15도의 온도 조건으로 한차례 이상 감온시켜 유지한 다음 후술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 용액 안정화 단계를 거친 경우, 고광택 및 저열전도율의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제조하기에 유리하며, 또한 앞서 특정한 표면터치감 범위를 만족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제조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 If necessar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tep of stabilizing the solution in the first or third step of preparing the polymer solution. Specifically, the polymer solution may be heated and maintained at least once at room temperature or below, or at a temperature of 5 to 15 degrees, and then the steps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erformed. When the polymer solution stabilization step is performed, it is advantageous to prepare a polyimide-based film having high gloss and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it may also be easy to prepare a polyimide-based film satisfying a specific surface touch feeling range.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아민 화합물,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 필요에 따라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성분들을 이용하여 폴리아믹산을 제조한 후 열경화를 진행하여 폴리이미드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폴리아믹산을 폴리이미드계 중합체 용액에 화학 경화제를 첨가한 후, 제2 용매를 사용하는 여과 공정을 진행하지 않고 바로 필름 형태의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형성(제막)하는 것도 가능하다. Howev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olyamic acid is prepared using components including a diamine compound, a first dicarbonyl compound, a second dicarbonyl compound, and, if necessary, an aromatic dianhydride compound. Then, thermosetting may be performed to prepare a polyimide-based resin composition. In addition, after adding a chemical curing agent to the polyimide-based polymer solution of polyamic acid,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form (film) a polyimide-based film in the form of a film without proceeding with a filtration process using a second solvent.

또한 디아민 화합물을 분할하여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과의 혼합 상태로 투입하고,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과의 혼합 상태로 투입하며, 필요에 따라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과의 혼합 상태로 투입할 수 있으며, 이 때 분할되는 디아민 화합물의 함량은 투입되는 디아민 화합물 총 100 몰 중, 5~35 몰, 15~40 몰, 및 50~80 몰의 비율 등으로 분할하여 투입할 수 있다. 분할투입하지 않고 전체 100 몰을 한꺼번에 투입할 수 있고, 이 경우 광학 및 광택도 등의 특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amine compound may be divided and put in a mixed state with the first dicarbonyl compound, added in a mixed state with the second dicarbonyl compound, and may be added in a mixed state with the aromatic dianhydride compound if necessary. In this case, the content of the diamine compound to be divided may be divided and added at a ratio of 5 to 35 moles, 15 to 40 moles, and 50 to 80 moles, among a total of 100 moles of the diamine compound to be added. A total of 100 moles can be added at once without being divided, and in this case, properties such as optical and glossiness may be better.

액상의 수지 조성물 제조를 위해, 먼저, 성분들이 중합되어 중합체 용액이 제조된다. 이 때 중합체 용액은 폴리아믹산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반응 조건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반응 온도는, 예를 들어, -10 내지 80℃의 범위로 조정되고, 반응시간은 2 내지 48시간으로 조정될 수 있다. 제1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아르곤 또는 질소 등과 같은 불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실시될 수 있다.To prepare a liquid resin composition, first, the components are polymerized to prepare a polymer solution. In this case, the polymer solution may include a polyamic acid solution. At this time,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reaction conditions. The reaction temperature may be adjusted,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0 to 80° C., and the reaction time may be adjusted to 2 to 48 hours. The step of preparing the first polymer solution may be performed in an inert gas atmosphere such as argon or nitrogen.

다음, 중합체 용액에 대한 이미드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중합체 용액에 포함된 폴리아믹산이 이미드화될 수 있다. Next, the imidization process for the polymer solution may proceed. At this time, the polyamic acid contained in the polymer solution may be imidized.

이미드화를 위해, 열 이미드화법, 화학 이미드화법, 또는 열 이미드화법과 화합 이미드화법을 병용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For imidization, a thermal imidization method, a chemical imidization method, or a method using a thermal imidization method and a chemical imidization method in combination can be appl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학 이미드화법이 적용될 수 있다. 화학 이미드화법은 중합체 용액에 아세트산무수물 등과 같은 탈수제와 이소퀴놀린, β-피콜린, 피리딘 또는 3급 아민과 같은 이미드화 촉매를 적용시키는 방법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emical imidization method may be applied. Chemical imidization is a method in which a dehydrating agent such as acetic anhydride and the like and an imidization catalyst such as isoquinoline, β-picoline, pyridine or tertiary amine are applied to a polymer solution.

화학 이미드화법에 열 이미드화법을 병용될 수도 있다.A thermal imidation method may be used together with a chemical imidation method.

열 이미드화법과 화학 이미드화법이 병용되는 경우, 중합체 용액에 탈수제 및 이미드화 촉매를 투입하고 20 내지 180℃에서 1 내지 12시간동안 가열하여 이미화가 진행될 수 있다.When the thermal imidization method and the chemical imidization method are used together, imidization may be performed by adding a dehydrating agent and an imidization catalyst to the polymer solution and heating at 20 to 180° C. for 1 to 12 hours.

다음, 중합체 용액에 제2 용매가 투입되고, 여과 및 건조되어 중합체 고형분이 제조된다.Next, a second solvent is added to the polymer solution, filtered and dried to prepare a polymer soli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용매는 폴리이미드 수지의 고형분 획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제2 용매로 중합체 용액에 포함된 폴리아믹산을 용해하지 못하는 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용해도 차에 의해 폴리이미드계 중합체 고형분이 석출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olvent is used to obtain the solid content of the polyimide resin. Therefore, as the second solvent, a solvent that does not dissolve the polyamic acid contained in the polymer solution may be used, and the polyimide-based polymer solid may be precipitated due to the difference in solubility.

제2 용매로 제1 용매보다 극성이 낮은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용매로, 예를 들어, 물, 알코올류, 에테르류 및 케톤류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A solvent having a lower polarity than the first solvent may be used as the second solvent. As the second solvent, for examp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water, alcohols, ethers and ketones may be used.

제2 용매의 함량에 대하여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중합체 용액에 포함된 폴리아믹산의 중량 대비 5 내지 20배 중량의 제2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content of the second solvent. 5 to 20 times the weight of the second solvent based on the weight of the polyamic acid contained in the polymer solution may be used.

수득된 중합체 고형분을 여과한 후 건조하는 조건은 제2 용매 및 중합체 고형분 내에 잔존하는 제1 용매의 비점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중합체 고형분은 50 내지 150℃의 온도에서 2 내지 24시간 건조될 수 있다.Conditions for drying after filtering the obtained polymer solid content a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boiling points of the second solvent and the first solvent remaining in the polymer solid content. For example, the polymer solids may be dried at a temperature of 50 to 150° C. for 2 to 24 hours.

다음, 중합체 고형분이 제3 용매에 용해되어 액상의 수지 조성물이 제조된다. 액상의 수지 조성물을 폴리이미드계 수지 조성물이라고 할 수도 있다.Next, the polymer solid is dissolved in the third solvent to prepare a liquid resin composition. The liquid resin composition may be referred to as a polyimide-based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용매는 제1 용매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용매로, 예를 들어, m-크레졸, N-메틸-2-피롤리돈(NMP), N-에틸-2-피롤리돈(NEP),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디에틸포름아미드(DE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에틸 아세트아미드(DEAc),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PGME)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PGMEA)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olvent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solvent. Thus, as a third solvent, for example, m-cresol, N-methyl-2-pyrrolidone (NMP), N-ethyl-2-pyrrolidone (NEP), dimethylformamide (DMF), diethyl Formamide (DEF), dimethylacetamide (DMAc), diethyl acetamide (DEAc), acetone, ethyl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PGME) and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methyl) At least one selected from ether acetate, PGMEA) may be used.

이와 같이 제조된 제조된 액상의 수지 조성물은 100 내지 300,000 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액상의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100 cPs 미만인 경우, 액상의 수지 조성물을 캐스팅하여 필름 형태로 성형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낮은 분자량으로 인해, 캐스팅에 의해 형성된 필름을 캐스팅 기재로부터 박리하는 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반면, 액상의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300,000 cPs를 초과하는 경우, 높은 점도로 인하여 캐스팅 과정에 인가되는 압력이 증가하여 공정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The prepared liquid resin compositio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may have a viscosity of 100 to 300,000 cPs. When the viscosity of the liquid resin composition is less than 100 cPs, it may be difficult to cast the liquid resin composition to form a film, and due to the low molecular weight, it may be difficult to peel the film formed by casting from the casting substrate. can On the other hand, when the viscosity of the liquid resin composition exceeds 300,000 cPs, the pressure applied during the casting process increases due to the high viscosity, which may be disadvantageous in terms of the process.

보다 구체적으로, 액상의 수지 조성물은 1,000 내지 250,000 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액상의 수지 조성물이 1,000 내지 250,0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경우, 액상의 수지 조성물을 캐스팅하여 필름 형태로 성형하기 용이하며, 건조 또한 용이하다. 예를 들어, 액상의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1000 cPs 이상인 경우, 액상의 수지 조성물을 캐스팅하여 필름 형태로 성형하는데 어려움이 없으며, 캐스팅에 의해 형성된 필름을 어려움 없이 캐스팅 기재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또한, 액상의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250,000 cPs 이하인 경우, 액상의 수지 조성물을 캐스팅하기 위한 압력이 필요이상으로 증가되는 일 없이 캐스팅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iquid resin composition may have a viscosity of 1,000 to 250,000 cPs. When the liquid resin composition has a viscosity of 1,000 to 250,000 cPs, it is easy to cast the liquid resin composition to form a film, and it is also easy to dry. For example, when the viscosity of the liquid resin composition is 1000 cPs or more, there is no difficulty in casting the liquid resin composition to form a film, and the film formed by casting can be peeled from the casting substrate without difficulty. In addition, when the viscosity of the liquid resin composition is 250,000 cPs or less, the casting process may proceed without increasing the pressure for casting the liquid resin composition more than necessa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상의 수지 조성물은 1000 내지 30,000 cPs의 점도를 가질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resin composition may have a viscosity of 1000 to 30,000 cP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상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고형분의 함량은 액상의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의 범위로 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solids contained in the liquid resin composition may be adjusted in the range of 5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liquid resin composition.

다음, 액상의 수지 조성물에 의해 겔 상태의 필름이 제조된다. 겔 상태의 필름은 겔 상태의 미경화 폴리이미드계 필름이라고 할 수 있다.Next, a film in a gel state is prepared by the liquid resin composition. The film in a gel state can be said to be an uncured polyimide-based film in a gel state.

겔 상태의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캐스팅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A casting method may be applied to prepare a film in a gel stat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겔 상태의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는, 액상의 수지 조성물을 지지체 상에 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eparing the film in a gel state includes casting a liquid resin composition on a support.

캐스팅 방법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알려진 캐스팅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캐스팅에 의해 겔 상태의 필름이 제조된다.The cast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casting method known in the art may be applied. A film in a gel state is produced by casting.

지지체로 유리판, 알루미늄 기판, 순환 스테인레스 벨트, 스테인레스 드럼, 또는 내열성 고분자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A glass plate, an aluminum substrate, a circular stainless belt, a stainless drum, or a heat-resistant polymer film may be used as the suppo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겔 상태의 필름은 경화가 완료되지 않은 미경화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경화가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경화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라면 겔 상태의 필름 또는 미경화 폴리이미드계 필름이라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in a gel state means an uncured polyimide-based film in which curing is not comple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uring is partially made, if the curing is not completed, the film is referred to as a gel film or an uncured polyimide-based fil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겔 상태의 필름에 포함된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건조가 실시되며, 일례로 50 내지 150℃에서 1.0 m/s 이하의 풍속으로 2 내지 20분 동안 1차 건조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ying is carried out to remove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film in a gel state, for example, primary drying for 2 to 20 minutes at a wind speed of 1.0 m / s or less at 50 to 150 ° C. .

일반적으로 액상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 과정에서 높은 비점의 용매가 사용되므로, 용매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강한 풍속의 바람이 캐스팅된 겔 상태의 필름에 인가되어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In general, since a solvent having a high boiling point is us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iquid resin composition, it can be considered that a strong wind speed must be applied to the cast gel film in order to efficiently remove the solvent.

일반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건조 효율이 증가한다. 반면, 1차 건조시의 온도가 증가하여 건조 온도가 용매의 비점에 가까워지는 경우, 용매의 갑작스런 휘발에 의해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표면에 기포가 발생될 수 있고 굴곡이 발생될 수도 있어,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표면 균일성이 저하된다.In general, the drying efficiency increases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during primary drying increases and the drying temperature approaches the boiling point of the solvent, bubbles may b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polyimide-based film due to sudden volatilization of the solvent, and bending may occur, so that polyimide The surface uniformity of the system film is reduced.

따라서, 1차 건조 단계에서 건조 효율 확보를 위해 온도가 50℃ 이상의 온도에서 건조가 진행되며, 용매의 갑작스런 휘발을 방지하기 위해 150℃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가 진행된다. 건조 효율 향상을 위해, 70 내지 150℃의 온도 범위에서 1차 건조가 진행될 수도 있다.Accordingly, in the primary drying step, drying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50° C. or higher to secure drying efficiency, and drying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50° C. or lower to prevent sudden volatilization of the solvent. In order to improve drying efficiency, primary drying may be performed in a temperature range of 70 to 150°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1차 건조 후, 미경화 폴리이미이드 필름의 잔존 용매 함량비는 50 중량% 이하로 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차 건조 후, 미경화 폴리이미이드 필름의 잔존 용매 함량비는 40 중량% 이하로 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primary drying, the residual solvent content ratio of the uncured polyimide film may be adjusted to 50% by weight or less. More specifically, after the primary drying, the residual solvent content ratio of the uncured polyimide film may be adjusted to 40 wt% or l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1차 건조하는 단계 후, 겔 상태의 필름을 70 내지 140℃에서 1.0 내지 5.0 m/s의 풍속으로 2차 건조하는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2차 건조의 풍속이 1.0 m/s 미만이거나, 온도가 70℃ 미만인 경우, 2차 건조의 속도가 지나치게 저하될 수 있다. 2차 건조의 속도가 지나치게 저하되는 경우, 공정의 효율이 저하되며, 건조 시간의 증가로 인해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물성이 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primary drying step, the secondary drying step of the film in a gel state at 70 to 140 ℃ at a wind speed of 1.0 to 5.0 m / s may be carried out. If the wind speed of the secondary drying is less than 1.0 m/s or the temperature is less than 70°C, the speed of the secondary drying may be excessively reduced. When the rate of secondary drying is excessively reduced,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is reduced,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imide-based film may be changed due to an increase in drying time.

1차 건조에 의하여, 겔 상태의 필름이 어느 정도 건조되고 굳어지기 때문에, 2차 건조 단계에서 인가되는 바람에 의하여 겔 타입의 필름의 표면 특성이 변화될 가능성이 적다. 2차 건조 단계에서 풍속은, 예를 들어, 1.5 내지 5.0 m/s의 범위로 조정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2차 건조 단계에서 풍속이 1.6 내지 3.0 m/s의 범위로 조정될 수도 있다. 또한, 2차 건조 단계에서 온도는 100 내지 140℃의 범위로 조정될 수도 있다.Due to the primary drying, since the gel film is dried and hardened to some extent, there is little possibility that the surface properties of the gel film will be changed by the wind applied in the secondary drying step. The wind speed in the secondary drying step may be adjusted,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5 to 5.0 m/s, and more specifically, the wind speed in the secondary drying step may be adjusted in the range of 1.6 to 3.0 m/s. In addition, the temperature in the secondary drying step may be adjusted in the range of 100 to 14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차 건조하는 단계 후 겔 상태의 필름을 1차 열처리하는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econdary drying step, the first heat treatment of the film in the gel state may be performed.

1차 열처리하는 단계에서, 공지의 열경화 공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겔 상태의 필름이 100 내지 500℃의 온도에서 1분 내지 1시간 동안 열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에 의하여 겔 상태의 필름이 열경화되어 폴리이미드계 필름이 완성될 수 있다. 1차 열처리 단계를 열경화 단계라고도 한다.In the first heat treatment step, a known thermosetting process may be applied. For example, the film in a gel state may be heat-treated at a temperature of 100 to 500° C. for 1 minute to 1 hour. By this heat treatment, the film in the gel state may be thermosetted to complete the polyimide-based film. The first heat treatment step is also called a thermosetting step.

1차 열처리 단계는 지지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열처리 지지대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차 건조 후, 겔 상태의 필름이 지지체로부터 분리된 후, 1차 열처리를 위한 지지대에 고정된 후 1차 열처리가 진행될 수 있다. 겔 상태의 필름의 지지를 위하여 핀타입의 프레임 또는 클립형의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heat treatment step may be made in a support, or may be made in a separate heat treatment support. For example, after secondary drying, after the film in a gel state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the primary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after being fixed to the support for the primary heat treatment. A pin-type frame or a clip-type frame may be used to support the film in a gel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1차 열처리 후 폴리이미드계 필름에 잔존하는 휘발 성분의 함량은 5 중량% 이하가 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volatile component remaining in the polyimide-based film after the first heat treatment may be adjusted to be 5 wt% or l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1차 열처리된 폴리이미드계 필름에 일정한 장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2차 열처리가 진행될 수 있다. 2차 열처리에 의하여 폴리이미드계 필름 내부의 잔류응력이 제거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ary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tension is applied to the polyimide-based film that has been subjected to the primary heat treatment. The residual stress inside the polyimide-based film may be removed by the secondary heat treatment.

2차 열처리가 실시되는 경우,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열팽창계수가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열처리에 의해 폴리이미드계 필름 내에 수축하려는 잔류응력이 생겨 열팽창이 감소될 수 있고, 폴리이미드계 필름에서 열팽창계수의 이력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When the secondary heat treatment is performed,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the polyimide-based film may be reduced. For example, residual stress to shrink in the polyimide-based film may be generated by the secondary heat treatment, and thermal expansion may be reduced, and a hysteresis of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may be reduced in the polyimide-based film.

2차 열처리에 인가되는 장력과 온도는 서로 상관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2차 열처리에 인가되는 온도에 따라 장력 조건이 달라질 수 있다. The tension and temperature applied to the secondary heat treatment have a correlation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tension condi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pplied to the secondary heat treatment.

2차 열처리는 100 내지 500℃의 온도에서 1분 내지 1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으며, 250 내지 350℃의 온도에서 2 내지 15분간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secondary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00 to 500° C. for 1 minute to 1 hour, and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250 to 350° C. for 2 to 15 minutes.

이하, 본 명세서의 화학식에서 사용되는 치환기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definitions of substituents used in the chemical formula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화학식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킬"은 완전 포화된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또는 직쇄 또는 선형) 지방족 탄화수소를 의미한다.The term “alkyl,” as used in the formula, refers to a fully saturated branched or unbranched (or straight-chain or linear) aliphatic hydrocarbon.

상기 "알킬"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메틸, 에틸, i-프로필, 이소프로필, i-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i-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i-헥실, 3-메틸헥실, 2,2-디메틸펜틸, 2,3-디메틸펜틸, i-헵틸 등이다.Non-limiting examples of "alkyl" include methyl, ethyl, i-propyl, isopropyl, i-butyl, isobutyl, sec-butyl, i-pentyl, isopentyl, neopentyl, i-hexyl, 3-methylhexyl , 2,2-dimethylpentyl, 2,3-dimethylpentyl, i-heptyl, and the like.

화학식에서 사용되는 용어 "시클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고리를 포함하는 알킬을 의미한다.The term "cycloalkyl," as used in the formula, refers to an alkyl comprising one or more rings.

화학식에서 사용되는 용어 "옥시시클로알킬"은 -O-시클로알킬을 나타내며, "시클로알킬"기는 상술한 바와 같다.The term "oxycycloalkyl" used in the formula refers to -O-cycloalkyl, and the "cycloalkyl" group is as described above.

용어 "할로겐 원자"는 불소, 브롬, 염소, 요오드 등이다.The term "halogen atom" is fluorine, bromine, chlorine, iodine, and the like.

화학식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릴"은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어, 하나 이상의 고리를 포함하는 방향족 탄화수소를 의미한다.The term "aryl" as used in the formula,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refers to an aromatic hydrocarbon containing one or more rings.

상기 용어 "아릴"은 방향족 고리가 하나 이상의 시클로알킬고리에 융합된 그룹도 포함한다. 상기 "아릴"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페닐, 나프틸, 테트라히드로나프틸 등이 있다.The term "aryl" also includes groups in which an aromatic ring is fused to one or more cycloalkyl rings. Non-limiting examples of "aryl" include phenyl, naphthyl, tetrahydronaphthyl, and the like.

화학식에서 사용되는 용어 "옥시아릴"은 -O-아릴을 나타내며, "아릴"기는 상술한 바와 같다.The term "oxyaryl" used in the formula refers to -O-aryl, and the "aryl" group is as described above.

화학식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릴렌"은 "아릴"에 대응하는 2가(bivalent) 방향족 탄화수소를 의미한다. 상기 "알릴렌'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페닐렌, 나프틸렌 등이 있다.The term "arylene" as used in the formula means a bivalent aromatic hydrocarbon corresponding to "aryl". Non-limiting examples of "allylene" include phenylene, naphthylene, and the like.

화학식에서 사용되는 용어 "옥시아릴렌"은 "옥시아릴"에 대응하는 2가(bivalent) 방향족 탄화수소를 의미한다.The term "oxyarylene" as used in the formula means a bivalent aromatic hydrocarbon corresponding to "oxyaryl".

화학식에서 사용되는 용어 "시클로알킬렌"은 "시클로알킬"에 대응하는 2가(bivalent) 지방족 탄화수소를 의미한다.The term "cycloalkylene" as used in the formula means a bivalent aliphatic hydrocarbon corresponding to "cycloalkyl".

화학식에서 사용되는 용어 "옥시시클로알킬렌"은 "옥시시클로알킬"에 대응하는 2가(bivalent) 지방족 탄화수소를 의미한다.The term "oxycycloalkylene" as used in the formula means a bivalent aliphatic hydrocarbon corresponding to "oxycycloalky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환된 아릴렌기"의 치환기는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C1 내지 C5 알킬기, C1 내지 C5 알콕시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The substituent of the term "substituted arylene group" as used herein is a halogen, a hydroxy group, a C1 to C5 alkyl group, a C1 to C5 alkoxy group,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구체적인 제조예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제조예 또는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제시된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과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의 사용량은 점도 값에 따라 오차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preparation examples and example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Preparation Examples or Examples. The amount of the first dicarbonyl compound and the second dicarbonyl compound presented as an example may be changed within an error range depending on the viscosity value.

제조예에서 사용한 성분의 구체적인 사양은 다음과 같다. Specific specifications of the components used in Preparation Examples are as follows.

(A)디아민 화합물: 비스 트리플루오로메틸 벤지딘 (A) Diamine compound: bistrifluoromethyl benzidine

(B)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 하기 화학식 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B) first dicarbonyl compound: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식 3][Equation 3]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6

(C)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 하기 화학식 5로 나타내는 화합물 (C) second dicarbonyl compound: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5)

[식 5][Equation 5]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7

(D)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 2,2-비스(3,4- 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디안하이드라이드 (D) Aromatic dianhydride compound: 2,2-bis (3,4-dicarboxyphenyl) hexafluoropropane dianhydride

(E)제1 용매: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Ac)(E) first solvent: N,N-dimethylacetamide (DMAc)

(F)제2 용매: 메탄올(F) Second solvent: methanol

(G)제3 용매: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Ac)(G) Third solvent: N,N-dimethylacetamide (DMAc)

(H)필러: 표면에 OH기가 결합된 비결정질 실리카 입자(H) Filler: amorphous silica particles with OH groups bonded to the surface

<제조예 1><Production Example 1>

교반기, 질소주입장치, 적하깔때기, 온도조절기 및 냉각기를 부착한 1L 반응기에 질소를 통과시키면서, (E) 성분 767.433g을 채운 후, 반응기의 온도를 25℃로 맞춘 후, (A) 성분 64.046g (0.2mol)을 용해하고 반응기 온도를 10℃로 내리고, 다시 용액의 온도를 8℃로 유지하였다. While passing nitrogen through a 1L reactor equipped with a stirrer, nitrogen injection device, dropping funnel, temperature controller and cooler, 767.433 g of (E) component was filled, and then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adjusted to 25 ° C., (A) component 64.046 g (0.2 mol) was dissolved and the reactor temperature was lowered to 10 °C, and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was maintained at 8 °C again.

여기에, (B) 성분 24.362g (0.12mol) 을 용액온도 8℃를 유지한 상태에서 첨가한 후 반응시켰다. 반응열에 의해 용액의 온도가 승온되었다가 다시 용액온도가 8℃로 감소하였다. 용액 온도가 8℃로 감소하면, (C) 성분 16.242g (0.08mol)을 첨가한 후 반응시켰다. 이어서, 반응기 온도를 25℃로 올리고 12시간 반응하여 고형분의 농도가 12중량%인 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상기 중합체 용액은 폴리아믹산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합체 용액을 폴리아믹산 용액이라고도 한다.Here, 24.362 g (0.12 mol) of component (B) was added while maintaining the solution temperature of 8° C., followed by reaction.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was increased by the heat of reaction, and then the solution temperature was decreased to 8°C again. When the solution temperature decreased to 8°C, 16.242 g (0.08 mol) of component (C) was added and reacted. Then, the reactor temperature was raised to 25° C. and reacted for 12 hours to obtain a polymer solution having a solid content of 12 wt%. The polymer solution may include polyamic acid. Accordingly, the polymer solution is also referred to as a polyamic acid solution.

얻어진 제1 중합체 용액에 (F) 성분 20L를 첨가하여 고형분을 침전시키고, 침전된 고형분을 여과하고 분쇄한 후, 다시 (F) 성분 2L로 세정한 후 100℃에서 진공으로 6시간 건조하여 분말 상태의 폴리이미드계 중합체 고형분을 얻었다. 20L of component (F) was added to the obtained first polymer solution to precipitate solids, and the precipitated solids were filtered and pulverized, washed again with 2L of component (F), and dried at 100° C. in a vacuum for 6 hours to form a powder of polyimide-based polymer solid content was obtained.

얻어진 폴리이미드계 중합체 고형분을 다시 (G) 성분 제3 용매로 재용해하여 고형분 함량이 12 중량%인 액상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액상의 수지 조성물을 폴리이미드계 수지 조성물이라고도 한다. 여기서, 폴리이미드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이다.The obtained polyimide-based polymer solid content was re-dissolved in the third solvent of component (G) to prepare a liquid resin composition having a solid content of 12 wt%. The liquid resin composition is also called a polyimide-based resin composition. Here, the polyimide-based resin composition is a polyamide resin composition.

<제조예 2> <Production Example 2>

교반기, 질소주입장치, 적하깔때기, 온도조절기 및 냉각기를 부착한 1L 반응기에 질소를 통과시키면서, (E) 성분 781.585g을 채운 후, 반응기의 온도를 25℃로 맞춘 후, (A) 성분 64.046g (0.2mol)을 용해하여 이 용액을 25℃로 유지하였다. 여기에, (D) 성분 3.554g (0.008mol)을 투입하고 일정 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 및 반응시켰다. 이 때 반응기 온도를 10℃로 내리고, 다시 용액의 온도를 8℃로 유지하였다. 그리고 (B) 성분 31.265g (0.154mol)과 (C) 성분 7.715g (0.038mol)을 첨가하여 25℃에서 12시간 반응하여 고형분의 농도가 12중량%인 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While passing nitrogen through a 1L reactor equipped with a stirrer, nitrogen injection device, dropping funnel, temperature controller and cooler, 781.585 g of (E) component was filled, and then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adjusted to 25 ° C., (A) component 64.046 g (0.2 mol) was dissolved and the solution was maintained at 25°C. Here, (D) component 3.554g (0.008mol) was added and stirred for a certain time to dissolve and react. At this time, the reactor temperature was lowered to 10 °C, and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was maintained at 8 °C again. And (B) component 31.265g (0.154mol) and (C) component 7.715g (0.038mol) were added and reacted at 25°C for 12 hours to obtain a polymer solution having a solid content of 12% by weight.

얻어진 중합체 용액에 피리딘 1.39g, 아세틱 안하이드라이드 1.80g을 투입하여 30분 교반 후, 다시 70℃에서 1시간 교반하여 상온으로 식히고, (F) 성분20L를 첨가하여 고형분을 침전시키고, 침전된 고형분을 여과하여 분쇄한 후, 다시 (F) 성분 2L로 세정한 후 100℃에서 진공으로 6시간 건조하여 분말 상태의 폴리이미드계 중합체 고형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계 중합체 고형분을 다시 (G) 성분으로 재용해하여 고형분 함량이 12 중량%인 액상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액상의 수지 조성물을 폴리이미드계 수지 조성물이라고도 한다. 여기서, 폴리이미드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마이드-이미드 수지 조성물이다.1.39 g of pyridine and 1.80 g of acetic anhydride were added to the obtained polymer solution, stirred for 30 minutes, stirred at 70° C. for 1 hour, cooled to room temperature, (F) component 20L was added to precipitate the solid, and the precipitated After the solid content was filtered and pulverized, it was washed again with 2L of component (F), and then dried at 100° C. in a vacuum for 6 hours to obtain a powdery polyimide-based polymer solid. The obtained polyimide-based polymer solid content was re-dissolved as component (G) to prepare a liquid resin composition having a solid content of 12 wt%. The liquid resin composition is also called a polyimide-based resin composition. Here, the polyimide-based resin composition is a polyamide-imide resin composition.

<제조예 3><Production Example 3>

(H)성분 10g를 (E)성분에 분산농도 2.54wt%로 투입하고 용매가 투명해 질 때까지 초음파 처리를 한 후,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수득된 고형분 분말의 폴리아마이드를 49.94g 취하여 366.06g의 상기 실리카 입자가 분산된 N,N-디메틸아세타아미드(DMAc)에 녹여서 고형분 함량이 12 중량%인 용액을 얻었다. (H) 10 g of component (E) was added to component (E) at a dispersion concentration of 2.54 wt% and ultrasonication was performed until the solvent became transparent, and then 49.94 g of the polyamide of the solid powder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was taken and 366.06 g of the silica particles were dissolved in dispersed N,N-dimethylacetamide (DMAc) to obtain a solution having a solid content of 12% by weight.

<제조예 4><Production Example 4>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되, (E)성분의 사용량 781.585g을 838.194g으로 대체하고, (B) 성분의 사용량 31.265g을 14.211g (0.07mol)으로 대체하고 (C) 성분의 사용량 7.715g을 18.272g (0.09mol)으로 대체하고 (D) 성분의 사용량 3.554g을 17.770g (0.04mol)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The same process as in Preparation Example 2 is repeated, but (E) replaces 781.585 g of component usage with 838.194 g, (B) replaces 31.265 g of component usage with 14.211 g (0.07 mol) and (C) usage of component The same process as in Preparation Example 2 was repeated except that 7.715 g was replaced with 18.272 g (0.09 mol) and 3.554 g of component (D) was replaced with 17.770 g (0.04 mol).

<제조예 5><Preparation Example 5>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되, (E)성분의 사용량 781.585g을 795.738g으로 대체하고, (B) 성분의 사용량 31.265 g을 37.356g (0.184mol)으로 대체하고 (C) 성분을 미사용하고, (D) 성분의 사용량 3.554g을 7.108g (0.016mol)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The same process as in Preparation Example 2 is repeated, but (E) replaces 781.585 g of component used with 795.738 g, (B) replaces 31.265 g of component with 37.356 g (0.184 mol) and (C) does not use component and (D) the same process as in Preparation Example 2 was repeated except that 3.554 g of the component used was replaced with 7.108 g (0.016 mol).

<제조예 6><Preparation Example 6>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되, (E)성분의 사용량 781.585g을 838.194g으로 대체하고, (B) 성분의 사용량 31.265 g을 32.483g (0.16mol)으로 대체하고 (C) 성분을 미사용하고, (D) 성분의 사용량 3.554g을 17.770g (0.04mol)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The same process as in Preparation Example 2 is repeated, but (E) replaces 781.585 g of component used with 838.194 g, (B) replaces 31.265 g of component with 32.483 g (0.16 mol) and (C) does not use component and (D) the same process as in Preparation Example 2 was repeated except that 3.554 g of the component used was replaced with 17.770 g (0.04 mol).

<제조예 7><Production Example 7>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되, (E)성분의 사용량 781.585g을 802.814g으로 대체하고, (B) 성분의 사용량 31.265 g을 12.181g (0.06mol)으로 대체하고 (C) 성분의 사용량 7.715g을 24.362g (0.12mol)으로 대체하고 (D) 성분의 사용량 3.554g을 8.885g (0.02mol)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Repeat the same process as in Preparation Example 2, but replace 781.585 g of component (E) with 802.814 g of usage, (B) replace 31.265 g of component with 12.181 g (0.06 mol) and (C) usage of component The same process as in Preparation Example 2 was repeated except that 7.715 g was replaced with 24.362 g (0.12 mol) and 3.554 g of component (D) was replaced with 8.885 g (0.02 mol).

<제조예 8><Preparation Example 8>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되, (E)성분의 사용량 781.585g을 908.955g으로 대체하고, (B) 성분의 사용량 31.265g을 22.332g (0.11mol)으로 대체하고 (C) 성분의 사용량 7.715g을 2.030g (0.01mol)으로 대체하고 (D) 성분의 사용량 3.554g을 35.540g (0.08mol)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The same process as in Preparation Example 2 is repeated, but (E) replaces 781.585 g of component usage with 908.955 g, (B) replaces 31.265 g of component with 22.332 g (0.11 mol) and (C) usage of component The same process as in Preparation Example 2 was repeated except that 7.715 g was replaced with 2.030 g (0.01 mol) and 3.554 g of component (D) was replaced with 35.540 g (0.08 mol).

<실시예 1 내지 2> <Examples 1 to 2>

제조예 1, 제조예 2에서 각각 수득된 용액을 기재 상에 캐스팅(casting)하여 겔 상태의 필름(겔 상태의 미경화 폴리이미드계 필름)를 제조한 후, 80℃, 0.2m/s 풍속에서 20분간 1차 건조하고, 다시 풍속을 1.6m/s로 올려 140℃에서 10분간 겔 상태의 필름을 2차 건조하였다. After casting the solutio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Preparation Example 2 on a substrate to prepare a film in a gel state (uncured polyimide film in a gel state), at 80° C., at a wind speed of 0.2 m/s After primary drying for 20 minutes, the wind speed was increased to 1.6 m/s, and the gel film was dried for 10 minutes at 140°C.

겔 상태의 필름을 핀 형태(Pin type)의 텐터(Tenter)에 거치 한 후, 온도를 140℃에서 300℃까지 승온하면서 1시간 동안 1차 열처리 하였다. 1차 열처리에 의해 겔 상태의 필름이 경화되어 폴리이미드계 필름이 제조되었다. After the gel film was mounted on a pin type tenter,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from 140° C. to 300° C. and the first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for 1 hour. The film in the gel state was cured by the primary heat treatment to prepare a polyimide-based film.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폴리아미드 필름이다.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이다.The polyimide-based film prepared in Example 1 was a polyamide film. The polyimide-based film prepared in Example 2 was a polyamide-imide film.

1차 열처리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텐터 프레임(Tenter frame)에서 제거하고 다시 260℃에서 5분간 2차 열처리하여 필름 내 잔류 응력을 제거하였고, 얻어진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두께가 50㎛이었고, 각각 실시예 1 내지 2라 하였다. The polyimide-based film prepared by the primary heat treatment was removed from the tenter frame, and the residual stress in the film was removed by secondary heat treatment at 260° C. for 5 minutes again. The obtained polyimide-based film had a thickness of 50 μm. , were referred to as Examples 1 and 2, respectively.

<실시예 3> <Example 3>

제조예 3에서 수득된 용액을 스테인레스판에 도포한 후 130℃의 열풍으로 30분 건조한 후 필름을 스테인레스판에서 박리하여 프레임에 핀으로 고정하였다. 이때 고정된 프레임을 기계방향으로는 115%로 연신시키고, 폭방향으로는 85%로 수축시켰다. After the solutio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3 was applied to a stainless plate and dried with hot air at 130° C. for 30 minutes, the film was peeled off the stainless plate and fixed to the frame with pins. At this time, the fixed frame was stretched by 115% in the machine direction and shrunk by 85% in the width direction.

이 후, 필름이 고정된 프레임을 140℃부터 300℃까지 1시간 동안 천천히 가열한 후(1차 열처리) 서서히 냉각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최종 열처리(=2차 열처리) 공정으로서 다시 260℃에서 5분간 2차 열처리하였다. 이때, 최종 열처리 공정에서의 기계 방향 응력은 80 N/mm2으로 하여 기계 방향의 추가 연신 및 열 고정을 꾀했다.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폴리아미드 필름이다.Thereafter, the frame to which the film is fixed was heated slowly from 140° C. to 300° C. for 1 hour (primary heat treatment), and then slowly cooled and separated from the frame to obtain a polyimide-based film. Then, as a final heat treatment (=second heat treatment) process, a second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260° C. for 5 minutes. At this time, the machine direction stress in the final heat treatment process was set to 80 N/mm 2 to achieve additional stretching and heat setting in the machine direction. The polyimide-based film prepared in Example 3 was a polyamide film.

이때 제조된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두께가 50㎛이었다.The polyimide-based film prepared at this time had a thickness of 50 μm.

<실시예 4> <Example 4>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폴리이미드계 필름 상에 다음과 같이 프라이머 필름을 적층하였다. A primer film was laminated on the polyimide-based film obtained in Example 1 as follows.

우선, 투명 소재층으로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노닐 아크릴레이트 25 중량부, 2-히드록실에틸 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15 중량부,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5 중량부 및 포스핀계 광개시제 3중량부를 투입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First, as a transparent material layer, 25 parts by weight of nonyl acrylate, 10 parts by weight of 2-hydroxylethyl acrylate, 15 parts by weight of isobornyl acrylate, 15 parts by weight of hexanediol diacrylate, and phosphorus in 100 parts by weight of urethane acrylate. 3 parts by weight of a pin-based photoinitiator was added and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그런 다음 필터링 여과하여 투명 소재층 용액을 준비하였다. Then, filtered and filtered to prepare a transparent material layer solution.

또한, 투명 접착층으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100 주량부에 노닐 아크릴레이트 5중량부, 2-히드록실에틸 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3 중량부, 및 포스핀계 광개시제 1 중량부를 투입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In addition, as a transparent adhesive layer, 5 parts by weight of nonyl acrylate, 5 parts by weight of 2-hydroxylethyl acrylate, 5 parts by weight of isobornyl acrylate, 3 parts by weight of hexanediol diacrylate for 100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 and 1 part by weight of a phosphine-based photoinitiator and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그런 다음 필터링 여과하여 투명 접착층 용액을 준비하였다. Then, it was filtered to prepare a transparent adhesive layer solution.

상기 투명 소재층 용액과 상기 투명 접착층 용액을 공압출 T 다이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폴리이미드계 필름 상에 각각 10 um와 20 um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solution and the transparent adhesive layer solution were applied to a thickness of 10 μm and 20 μm, respectively, on the polyimide-based film obtained in Example 1 using a co-extrusion T die.

상기 도포된 다층 액체막을 자외선 경화하여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The applied multilayer liquid film was UV-cured to form a coating layer.

<비교예 1 내지 5><Comparative Examples 1 to 5>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제조하되, 제조예 1의 용액을 각각 제조예 4 내지 8에서 수득된 용액으로 각각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였다. A polyimide-based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but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that the solution of Preparation Example 1 was replaced with the solution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s 4 to 8, respectively. .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폴리이미드계 필름에 대해 하기 표 1의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imide-based film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in Table 1 below,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1) 필름의 두께 측정(1)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film

Anritsu Electronic Micrometer를 이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장치에 기인하는 두께 편차는 ±0.5% 이하이다.Using an Anritsu Electronic Micrometer, the thickness of the polyimide-based film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The thickness variation due to the device is ±0.5% or less.

(2) 광학 투과도(2) optical transmittance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이미드계 필름에 대하여, UV분광계(코티카 미놀타 CM-3700d)를 이용하여 380 내지 780nm 파장의 범위 에서 평균 광학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For the polyimide-based film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verage optical transmittance was measured in a wavelength range of 380 to 780 nm using a UV spectrometer (Cotica Minolta CM-3700d).

(3) 황색도 (Yellow Index, Y.I.)(3) Yellowness (Yellow Index, Y.I.)

UV분광계(코티카 미놀타 CM-3700d)를 이용하여 ASTM E313규격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황색도를 측정하였다.Yellowness of the polyimide-based film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E313 standard using a UV spectrometer (Cotica Minolta CM-3700d).

(4) 헤이즈(4) Haze

Haze Meter HM-150을 이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Haze를 측정하였다.Haze of the polyimide-based film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using Haze Meter HM-150.

(5) 열 전도율 측정: (5)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NETZSCH LFA 447을 이용하여 ASTM E1461규격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열전도율을 측정하였다.According to ASTM E1461 standard using NETZSCH LFA 447,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polyimide-based film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6) 광택도 : 폴리이미드 필름 또는 프라이머 필름의 표면에서 표준규격(ASTM D523)에 따라 RHOPOINT IQ thopointinstruments사 측정장비를 사용하여 20도 각도로 측정하였다. (6) Glossiness: The surface of the polyimide film or primer film was measured at an angle of 20 degrees according to the standard (ASTM D523) using RHOPOINT IQ thopointinstruments' measuring equipment.

(7) 항복 신율(Yield Strain, %): 표준규격(ASTM D882)으로 만능시험기(UTM, Instron)를 이용하여 Cross Head Speed 5mm/min., Grip 간격 100mm로 측정하였다. (7) Elongation at yield (Yield Strain, %): It was measured with a cross head speed of 5mm/min. and a grip interval of 100mm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Instron) as a standard (ASTM D882).

(8) 표면 터치감(유리질감 유사성) 관능시험:(8) Surface touch sensation (glass texture similarity) sensory test:

30세에서 50세 사이 남녀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필름 표면의 터치감을 관능 검사하였으며, 유리와 가장 유사한 질감에 10점, 그리고 가장 저조한 질감에 0점을 부여한 100인의 관능 검사 결과값을 평균하였다. 참고로, 8.0 이상인 경우 우수로 그리고 8.0 미만이거나 8.0 이상이나 Y.I.가 5.0 이상인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Sensory test of the film surface was conducted for 100 men and women between the ages of 30 and 50, and the sensory test results of 100 people who gave 10 points to the texture most similar to glass and 0 points to the poorest texture were averaged. For reference, if it was 8.0 or more, it was evaluated as good, and if it was less than 8.0, or if it was 8.0 or more, but Y.I. was 5.0 or more, it was evaluated as bad.

두께 (㎛)Thickness (μm) 광택도(GU)Glossiness (GU) 헤이즈haze 열전도율
(W/mK)
thermal conductivity
(W/mK)
황색도yellowness 광투과도(%)Light transmittance (%) 표면 터치감 관능평가Sensory evaluation of surface touch 항복신율Elongation at yield
MD(%)MD (%) TD(%)TD(%) 실시예 1Example 1 50±1.650±1.6 252252 0.20.2 0.140.14 3.03.0 89.0889.08 8.8 8.8 1.911.91 1.911.91 실시예 2Example 2 50±1.650±1.6 239239 0.20.2 0.160.16 2.02.0 89.6589.65 8.9 8.9 1.961.96 1.941.94 실시예 3Example 3 50±1.650±1.6 245245 0.20.2 0.120.12 2.72.7 89.3989.39 8.9 8.9 1.931.93 1.921.92 실시예 4Example 4 50±1.650±1.6 240240 0.20.2 0.130.13 2.52.5 89.5089.50 8.9 8.9 1.941.94 1.931.93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50±1.650±1.6 280280 0.30.3 0.110.11 5.75.7 87.6587.65 9.0 9.0 1.751.75 1.731.73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50±1.650±1.6 305305 0.40.4 0.080.08 8.68.6 85.5785.57 7.8 7.8 1.901.90 1.911.91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50±1.650±1.6 283283 0.20.2 0.120.12 4.54.5 88.0088.00 7.8 7.8 1.891.89 1.891.89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50±1.650±1.6 288288 0.20.2 0.100.10 5.95.9 87.4087.40 7.0 7.0 1.701.70 1.701.70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50±1.650±1.6 295295 0.30.3 0.130.13 6.86.8 86.9886.98 8.0 8.0 1.791.79 1.771.77

[식 1][Equation 1]

표면터치감 = T x (500-G) Surface touch = T x (500-G)

(상기 식 1에서, T는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 표면의 열전도율을 ASTM E1461 측정법에 의해 LFA467(ZETZSCH社) 장비로 측정한 값(단위 W/mK), G는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 표면의 광택도를 ASTM D523 측정법에 의해 20도 각도에서 정한 값(단위 GU)) (In Equation 1, T is a value (unit W / mK)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polyimide-based film surface measured by ASTM E1461 with LFA467 (ZETZSCH) equipment, and G is the glossiness of the polyimide-based film surface value determined at an angle of 20 degrees (unit GU) by ASTM D523 measurement method)

광택도(GU)Glossiness (GU) 열전도율
(W/mK)
thermal conductivity
(W/mK)
식 1의 계산값Calculated value of Equation 1 표면 터치감 관능검사Surface touch sensory test 표면 터치감 관능검사 평가Surface touch sensory test evaluation
실시예 1Example 1 252252 0.140.14 34.734.7 8.8 8.8 우수Great 실시예 2Example 2 239239 0.160.16 41.841.8 8.9 8.9 우수Great 실시예 3Example 3 245245 0.120.12 30.630.6 8.9 8.9 우수Great 실시예 4Example 4 240240 0.130.13 33.833.8 8.9 8.9 우수Great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280280 0.110.11 24.224.2 9.0 9.0 불량bad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305305 0.080.08 15.615.6 7.8 7.8 불량bad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283283 0.120.12 26.026.0 7.8 7.8 불량bad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288288 0.100.10 21.221.2 7.0 7.0 불량bad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295295 0.130.13 26.726.7 8.0 8.0 불량bad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4의 폴리이미드계 필름 또는 필름체 는, 해당 필름을 제조하는데 포함되는 성분과 사용량에 따라 필름 표면에서 측정된 광택도와 열전도율이 비록 특정한 범위 내이더라도, 광택도와 열전도율로부터 식 1에 의해 계산된 표면터치감이 30.6 이상, 또는 30.6 내지 41.8인 경우 표면터치감 관능검사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은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2, the polyimide-based film or film body of Examples 1 to 4, although the gloss and thermal conductivity measured on the film surface according to the components and usage amount included in manufacturing the film, are within a specific range, the gloss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surface touch feeling calculated by Equation 1 is 30.6 or more, or 30.6 to 41.8 from the degree and thermal conductivity, it was evaluated as excellent in the surface touch sensation sensory test.

따라서,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표면터치감은 폴리이미드계 필름 또는 필름체의 광택도와 열 전도율의 미세한 차이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surface touch feeling of the polyimide-based film is affected by a slight difference in gloss and thermal conductivity of the polyimide-based film or film body.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4의 폴리이미드계 필름 또는 필름체는 황색도, 헤이즈, 광투과도 등의 물성 항목 측정 결과 모두 개선된 수준의 광학 특성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polyimide-based films or film bodies of Examples 1 to 4 provide improved optical properties as a result of measuring physical properties such as yellowness, haze, and light transmittance.

반면에, 비교예 1 내지 5는 표면터치감 관능평가가 동등하더라도 Haze등이 좋지 않거나 높은 값의 광택도 특성을 보였다. On the other h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showed poor or high glossiness characteristics such as haze even when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surface touch sensation was equal.

또한,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4의 폴리이미드계 필름 또는 필름체는 플렉시블 전자기기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수준의 항복신율의 기계방향 및 폭방향 물성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polyimide-based films or film bodies of Examples 1 to 4 provide machine-direction and width-direction properties of an appropriate level of elongation at yield for use in flexible electronic devices.

즉,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계 필름 또는 필름체는 광학 특성이 우수하여 윈도우 부재를 비롯한 전자기기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층 또는 유무기 하이브리드층을 구현할 수 있고 표면터치감이 우수하였다. 또한 항복신율이 높아 플렉시블 장치에 사용가능한 유기층 또는 유무기 하이브리드층을 구현할 수 있다. That is, the polyimide-based film or film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organic layer or an organic-inorganic hybrid layer capable of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window member, and the surface touch feeling is excell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organic layer or an organic-inorganic hybrid layer that can be used in a flexible device due to high yield elonga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필름(또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체)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필름(또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필름(또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체)은, 예를 들어, 전자기기의 커버 윈도우로 적용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polyimide-based film (or polyimide-based film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Accordingly,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polyimide-based film (or polyimide-based film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imide-based film (or polyimide-based film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for example, as a cover window of an electronic device.

Claims (14)

디아민 화합물,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 성분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디아민 화합물 100 몰에 대하여,
상기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 55 내지 90 몰의 비율로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 10 내지 45 몰의 비율로 포함하며,
하기 식 1에 의한 표면터치감이 30.6 이상인 폴리이미드계 필름:
[식 1]
표면터치감 = T x (500-G)
(상기 식 1에서, T는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 표면의 열전도율을 ASTM E1461 측정법에 의해 LFA467(ZETZSCH社) 장비로 측정한 값(단위 W/mK), G는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 표면의 광택도를 ASTM D523 측정법에 의해 20도 각도에서 정한 값(단위 GU))
a copolymer of a diamine compound, a first dicarbonyl compound and a second dicarbonyl compound component;
With respect to 100 moles of the diamine compound,
Contained in a ratio of 55 to 90 moles of the first dicarbonyl compound,
It contains the second dicarbonyl compound in a ratio of 10 to 45 moles,
A polyimide-based film having a surface touch feeling of 30.6 or more according to Formula 1 below:
[Equation 1]
Surface touch feeling = T x (500-G)
(In Equation 1, T is a value (unit W / mK)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polyimide-based film surface measured by ASTM E1461 with LFA467 (ZETZSCH) equipment, and G is the glossiness of the polyimide-based film surface value determined at an angle of 20 degrees (unit GU) by ASTM D523 measurement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 1에 의한 표면터치감이 30.6 이상 41.8 이하인 폴리이미드계 필름.
According to claim 1,
A polyimide-based film having a surface touch feeling of 30.6 or more and 41.8 or less according to Formula 1 ab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민 화합물 100 몰에 대하여, 상기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과 상기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을 합한 함량을 80 내지 98 몰의 비율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
According to claim 1,
A polyimide-based film comprising a sum of the first dicarbonyl compound and the second dicarbonyl compound in a ratio of 80 to 98 moles based on 100 moles of the diamine comp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은 상기 디아민 화합물 100 몰에 대하여, 20 몰의 비율 이하로 포함되는 것인, 폴리이미드계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polyimide-based film includes an aromatic dianhydride compound, and the aromatic dianhydride compound is included in an amount of 20 moles or less with respect to 100 moles of the diamine comp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민 화합물은 옥시디아닐린(ODA), p-페닐렌디아민(pPDA), m-페닐렌디아민(mPDA), p-메틸렌디아닐린(pMDA), m-메틸렌디아닐린(mMDA), 비스 아미노페녹시 벤젠(133APB), 비스 아미노페녹시 벤젠(134APB), 비스 아미노 페녹시 페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4BDAF), 비스 아미노페닐 헥사플루오로프로판(33-6F), 비스 아미노페닐 헥사플루오로 프로판(44-6F), 비스 아미노페닐술폰(4DDS), 비스 아미노페닐술폰(3DDS), 비스 트리플루오로메틸 벤지딘(TFDB), 사이클로헥산디아민(13CHD), 사이클로헥산 디아민(14CHD), 비스 아미노 페녹시 페닐프로판(6HMDA), 비스 아미노하이드록시 페닐 헥사플로오 로프로판(DBOH), 비스 아미노 페녹시 디페닐 술폰(DBSDA), 비스 (4-아미노페닐)플루오렌(FDA) 및 비스(4-아미노-3플루오르페닐)플루오렌 (F-FDA)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diamine compound is oxydianiline (ODA), p-phenylenediamine (pPDA), m-phenylenediamine (mPDA), p-methylenedianiline (pMDA), m-methylenedianiline (mMDA), bisaminophenoxy Cy Benzene (133APB), Bis Aminophenoxy Benzene (134APB), Bis Amino Phenoxy Phenyl Hexafluoropropane (4BDAF), Bis Aminophenyl Hexafluoropropane (33-6F), Bis Amino Phenyl Hexafluoropropane (44) -6F), bisaminophenylsulfone (4DDS), bisaminophenylsulfone (3DDS), bistrifluoromethyl benzidine (TFDB), cyclohexanediamine (13CHD), cyclohexanediamine (14CHD), bisaminophenoxyphenylpropane (6HMDA), bis aminohydroxy phenyl hexafluoropropane (DBOH), bis amino phenoxy diphenyl sulfone (DBSDA), bis (4-aminophenyl) fluorene (FDA) and bis (4-amino-3) A polyimide-based film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fluorophenyl)fluorene (F-FD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제1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제1 지방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제2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제2 지방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icarbonyl compound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first aromatic dicarbonyl compound and a first aliphatic dicarbonyl compound,
The second dicarbonyl compound is a polyimide-based film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second aromatic dicarbonyl compound and a second aliphatic dicarbonyl compoun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상기 제2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서로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
[화학식 1]
Figure pat00028

상기 식에서, R1은 단일 결합, 아릴렌(*-Ar-*), 옥시아릴렌(*-O-Ar-*), 시클로알킬렌(*-CAL-*), 또는 옥시시클로알킬렌(*-O-CAL-*) 이고,
X1과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기(OH) 또는 할로겐 원소이고, X3는 수소 또는 할로겐 원소이다.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aromatic dicarbonyl compound and the second aromatic dicarbonyl compound are each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polyimide-based film.
[Formula 1]
Figure pat00028

wherein R 1 is a single bond, arylene (*-Ar-*), oxyarylene (*-O-Ar-*), cycloalkylene (*-CAL-*), or oxycycloalkylene (*) -O-CAL-*) and
X 1 and X 2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 hydroxyl group (OH) or a halogen element, and X 3 is hydrogen or a halogen elem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상기 제2 방항족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서로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5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7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8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9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
[화학식 3]
Figure pat00029

[화학식 4]
Figure pat00030

[화학식 5]
Figure pat00031

[화학식 6]
Figure pat00032

[화학식 7]
Figure pat00033

[화학식 8]
Figure pat00034

[화학식 9]
Figure pat00035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aromatic dicarbonyl compound and the second aromatic dicarbonyl compound are each independently represented by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3,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4,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5, and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6 A polyimide-based film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compound represented by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7,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8, and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9.
[Formula 3]
Figure pat00029

[Formula 4]
Figure pat00030

[Formula 5]
Figure pat00031

[Formula 6]
Figure pat00032

[Formula 7]
Figure pat00033

[Formula 8]
Figure pat00034

[Formula 9]
Figure pat0003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방족 디카르보닐 화합물 및 제2 지방족 디카르보닐 화합물은 서로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11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12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
[화학식 10]
Figure pat00036

[화학식 11]
Figure pat00037

[화학식 12]
Figure pat00038

[화학식 13]
Figure pat00039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aliphatic dicarbonyl compound and the second aliphatic dicarbonyl compound are each independently represented by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0,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1,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2, and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3 A polyimide-based film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compounds.
[Formula 10]
Figure pat00036

[Formula 11]
Figure pat00037

[Formula 12]
Figure pat00038

[Formula 13]
Figure pat0003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은 2,2-비스(3,4- 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디안하이드라이드(6FDA), 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 (BPDA), 4-(2,5-디옥소테트라 하이드로푸란-3-일)-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2-디카르복실릭안하이드라이드(TDA), 피로멜리틱산 디안하이드라이드(PMDA), 벤조페논 테트라카르 복실릭디안하이드라이드 (BTDA), 옥시디프탈릭 디안하이드라이드(ODPA), 비스카르복시페닐 디메틸 실란 디안하이드라이드(SiDA), 비스 디카르복시 페녹시 디페닐 설파이드 디안하이드라이드(BDSDA), 술포닐 디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SO2DPA), 이소프로필리덴이페녹시 비스 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6HBDA), 사이클로부탄디안하이드라이드 (CBDA), 사이클로 펜탄디안하이드라이드(CPDA), 사이클로헥산디안하이드라이드 (CHDA) 및 비사이클로헥산디안하이드라이드 (HBPDA)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romatic dianhydride compound is 2,2-bis (3,4-dicarboxyphenyl) hexafluoropropane dianhydride (6FDA), biphenyl tetracarboxylic dianhydride (BPDA), 4- (2, 5-dioxotetrahydrofuran-3-yl)-1,2,3,4-tetrahydronaphthalene-1,2-dicarboxylic anhydride (TDA), pyromellitic acid dianhydride (PMDA), benzo Phenone tetracarboxylic dianhydride (BTDA), oxydiphthalic dianhydride (ODPA), biscarboxyphenyl dimethyl silane dianhydride (SiDA), bis dicarboxyphenoxy diphenyl sulfide dianhydride (BDSDA), alcohol Ponyl diphthalic anhydride (SO 2 DPA), isopropylideneiphenoxy bis phthalic anhydride (6HBDA), cyclobutanedianhydride (CBDA), cyclopentanedianhydride (CPDA), cyclohexanedianhydride A polyimide-based film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lide (CHDA) and bicyclohexanedianhydride (HBPDA).
제1항에 있어서, 두께 50±2㎛를 기준으로,
230~260GU의 광택도;
0.12~0.18 W/mK의 열 전도율;
1.8% 이상의 기계방향(MD)의 항복신율;
1.8% 이상의 폭방향(TD)의 항복신율;
380 내지 780nm의 파장에서 89% 이상의 광학 투과도;
0.3% 이하의 헤이즈; 및
4.0 이하의 황색도;를 갖는 폴리이미드계 필름.
According to claim 1, based on the thickness of 50 ± 2㎛,
Glossiness of 230~260GU;
thermal conductivity of 0.12 to 0.18 W/mK;
Elongation at yield in the machine direction (MD) of 1.8% or more;
Elongation at yiel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of 1.8% or more;
an optical transmittance of at least 89% at a wavelength of 380 to 780 nm;
haze of 0.3% or less; and
A polyimide-based film having a yellowness of 4.0 or less.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체로서,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프라이머 필름, 경도보강 필름, 유연 필름, 되접힘 필름, 굴곡강도보강 필름, 시인성 개선 필름, 배리어 필름, 항균 필름, 발수 필름, 지문방지 필름, 반사방지 필름 및 매끄러운 터치감 제공필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코팅층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체.
12. A polyimide-based film body comprising the polyimide-based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yimide-based film, a primer film, a hardness-reinforced film, a flexible film, a fold-back film, a flexural strength reinforcement film, a visibility improvement film, a barrier film, an antibacterial film, a water repellent film, an anti-fingerprint film, a reflection A polyimide-based film body comprising at least one coating layer selected from an anti-aging film and a film providing a smooth touch.
글래스 커버; 및
상기 글래스 커버의 적어도 한 면에 구비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로서,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은 청구항 제1항에 의한 폴리이미드계 필름인 윈도우 부재.
glass cover; and
A window member comprising a polyimide-based film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glass cover,
The polyimide-based film is a window member that is the polyimide-based film according to claim 1 .
글래스 커버; 및
상기 글래스 커버의 적어도 한 면에 구비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체;를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로서,
상기 폴리이미드계 필름체는 청구항 제12항에 의한 폴리이미드계 필름체인 윈도우 부재.
glass cover; and
A window member comprising a polyimide-based film body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glass cover,
The polyimide-based film body is a window member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polyimide-based film body is a window member.
KR1020200188056A 2019-12-31 2020-12-30 Polyimide based film KR2021008655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9592 2019-12-31
KR1020190179592 2019-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552A true KR20210086552A (en) 2021-07-08

Family

ID=76894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056A KR20210086552A (en) 2019-12-31 2020-12-30 Polyimide based fil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655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3224B2 (en) Colorless and transparent polyamide-imide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839293B1 (en) Colorless and transparent polyamide-imide flim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KR101535343B1 (en) Polyimide and Polyimide Film Comprising the Same
KR20210086553A (en) Polyimide based film
EP3241859A1 (en) Polyamide-imide precursor, polyamide-imide film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2116512B1 (en) Colorless and transparent polyamide-imide flim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KR101811253B1 (en) Colorless and transparent polyamide-imide flim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KR101729731B1 (en) Colorless and transparent polyamide-imide flim having improved tensile elongation
EP3318592A1 (en) Polyimide-polybenzoxazole precursor solution, polyimide-polybenzoxazole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2093696B1 (en) Polyimide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frictional property and Film thereof
KR101831598B1 (en) Polyimide resin composition and Film thereof
KR20100035596A (en) Polyimide film
WO2014189154A1 (en) Polyimide resin and polyimide film produced therefrom
KR20180009651A (en) Polyamic acid, Polyimide Resin, Polyimide Film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KR20160098832A (en) Polyamic acid, And Polyimide Resin And Polyimide Film
KR20230002203A (en) Polyimide based film having improved surface even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86710B1 (en) Polyimide resin comprising a pigment and Polyimide film thereof
KR102251515B1 (en) Transparent Polyamide-imide film with improved Solvent Resistance
KR20210086552A (en) Polyimide based film
KR102471725B1 (en) Polyimide based film
TWI750801B (en) Polyimide based film having improved surface evennes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JP2519228B2 (en) Colorless and transparent polyimide mold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980919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amic acid, polyamic acid, polyimide resin, and polyimide film produced from this.
KR20210086571A (en) Method for preparing multilayer film, multilayer film and optical memeber
KR102265625B1 (en) Polyimide resin composition, Polyimide Film Produced The Sam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