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6025A - 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멀티 스크린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멀티 스크린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6025A
KR20210086025A KR1020190179693A KR20190179693A KR20210086025A KR 20210086025 A KR20210086025 A KR 20210086025A KR 1020190179693 A KR1020190179693 A KR 1020190179693A KR 20190179693 A KR20190179693 A KR 20190179693A KR 20210086025 A KR20210086025 A KR 20210086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display device
buffer layer
layer
seal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9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6025A/ko
Publication of KR2021008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01L51/5237
    • H01L27/329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8Tiled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지층에서 발생하는 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스크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및 멀티 스크린 표시장치는 버퍼층, 버퍼층의 상면에 구비되며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기판, 제 1 기판 상의 표시 영역에 구비되는 발광소자, 제 1 기판의 상면의 비표시 영역에 구비되며 제 1 기판의 일 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1 패드부, 버퍼층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 2 기판, 제 2 기판의 하면에 구비되며 제 2 기판의 일 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2 패드부 및 제 1 패드부와 제 2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라우팅을 포함한다. 라우팅은 제 1 패드부와 제 2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 버퍼층과 복수의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며 버퍼층과 복수의 연결부의 접촉을 차단하는 제 1 실링부 및 복수의 연결부 상에 구비된 제 2 실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멀티 스크린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AND MULTI SCREEN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멀티 스크린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와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표시장치들 중에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자체발광형으로서, 액정표시장치(LCD)에 비해 시야각, 대조비 등이 우수하며, 별도의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이 가능하며, 소비전력이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직류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특히 제조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유기 발광 소자는 외부의 수분 및 산소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쉽게 열화가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기 발광 소자 상에는 외부의 수분 및 산소가 유기 발광 소자에 침투되지 않도록 봉지층을 형성한다.
하지만, 봉지층은 재료의 특성 상 수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봉지층에서 발생한 수소는 회로에 영향을 준다. 이에 따라, 패널 내에 휘점이 발생하여, 표시장치의 신뢰성을 약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봉지층에서 발생하는 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스크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버퍼층, 버퍼층의 상면에 구비되며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기판, 제 1 기판 상의 표시 영역에 구비되는 발광소자, 제 1 기판의 상면의 비표시 영역에 구비되며 제 1 기판의 일 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1 패드부, 버퍼층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 2 기판, 제 2 기판의 하면에 구비되며 제 2 기판의 일 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2 패드부 및 제 1 패드부와 제 2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라우팅을 포함한다. 라우팅은 제 1 패드부와 제 2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 버퍼층과 복수의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며 버퍼층과 복수의 연결부의 접촉을 차단하는 제 1 실링부 및 복수의 연결부 상에 구비된 제 2 실링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제 1 실링부는 버퍼층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또는, 제 1 실링부는 제 1 기판의 측면 또는 제 2 기판의 측면 상에 추가로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버퍼층은 수소를 흡수하는 기능을 가진 금속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기판은 폴리이미드(polyimide)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제 1 기판의 하면의 면적과 버퍼층의 상면의 면적은 동일하고, 제 1 기판의 측면과 버퍼층의 측면이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 2 기판의 상면의 면적과 버퍼층의 하면의 면적은 동일하고, 제 2 기판의 측면과 버퍼층의 측면이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제 1 기판의 상면과 제 1 기판의 측면 사이의 모서리 부분은 일정한 각도 또는 길이를 가지도록 모따기 된다. 그리고, 제 2 기판의 하면과 제 2 기판의 측면 사이의 모서리 부분은 일정한 각도 또는 길이를 가지도록 모따기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발광소자 상에 구비되며, 발광소자를 덮도록 형성된 봉지층 및 봉지층 상에 구비된 배리어 필름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 2 기판의 하면에 구비되며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 제 2 기판의 하면에 구비되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 필름 및 제 2 기판의 하면에 구비되며 제 2 패드부와 회로 필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제 1 실링부 및 상기 제 2 실링부는 절연 물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연결부는 도전성 페이스트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표시장치는 제 1 표시장치 및 제 2 표시장치를 포함하며, 라우팅이 형성된 제 1 표시장치의 측면과 라우팅이 형성된 제 2 표시장치의 측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퍼층을 수소를 흡수하는 기능을 가진 금속을 포함하도록 형성하여, 표시장치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수소가 회로에 침투하여 패널에 휘점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퍼층과 복수의 연결부 사이에 제 1 실링부를 구비하여, 버퍼층과 복수의 연결부 각각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후면 및 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후면 및 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제 2 실링부(630)를 형성하기 이전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버퍼층(110), 제 1 기판(120), 제 2 기판(130), 회로소자층(200), 발광소자(300), 봉지층(400), 배리어 필름(450), 제 1 패드부(510), 제 2 패드부(520), 링크(530), 회로 필름(540), 구동부(550) 및 라우팅(6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발광된 광이 상부쪽으로 방출되는 소위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이므로, 버퍼층(110)은 불투명한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버퍼층(110)은 수소를 흡수하는 기능을 가진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퍼층(100)에 의해 표시장치의 강성이 증가할 수 있고, 수소가 회로에 침투하여 패널에 휘점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기판(120)은 버퍼층(110)의 상면(110a)에 구비되며, 제 1 기판(120) 상에는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구성 요소들이 구비된다.
제 1 기판(120)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로 구분된다. 표시 영역(DA)은 발광소자(300)에 의해 발광하는 영역이며,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 1 기판(120)의 하면(120c)의 면적은 버퍼층(110)의 상면(110a)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판(120)의 측면(120b)과 버퍼층(110)의 측면(110b)은 동일한 수직선(L)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기판(120)의 상면(120a)과 제 1 기판(120)의 측면(120b) 사이의 모서리 부분은 일정한 각도 또는 길이를 가지도록 모따기 되어, 경사면(120d)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기판(120)의 상면(120a)과 제 1 기판(120)의 측면(120b)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연결부(620)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발광된 광이 상부쪽으로 방출되는 소위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이므로, 제 1 기판(120)은 불투명한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제 1 기판(120)은 폴리이미드(polyimide)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로 소자층(200)은 제 1 기판(120) 상에 형성된다. 회로 소자층(200)에는 각종 신호 배선들,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 등을 포함하는 회로 소자가 구비되어 있다. 신호 배선들은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전원 배선, 및 기준 배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및 센싱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배선에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데이터 배선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라 스위칭되어 전원 배선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데이터 전류를 생성하고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센싱 박막 트랜지스터는 화질 저하의 원인이 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편차를 센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게이트 배선 또는 별도의 센싱 배선에서 공급되는 센싱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류를 기준 배선으로 공급한다.
커패시터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한 프레임 동안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 및 소스 단자에 각각 연결된다.
회로소자층(200)에는 콘택홀이 구비되어 있어, 콘택홀을 통해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 또는 드레인 단자가 노출된다.
발광소자(300)는 회로소자층(200) 상에 형성된다. 발광소자(300)는 제 1 전극(310), 뱅크(320), 발광층(330), 제 2 전극(340) 및 캡핑층(350)을 포함한다.
제 1 전극(310)은 회로소자층(200) 상에 형성된다. 제 1 전극(310)은 콘택홀을 통해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소스 단자 또는 드레인 단자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발광된 광이 상부쪽으로 방출되는 소위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이므로, 발광소자(300)의 제 1 전극(310)은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PC 합금, 및 APC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PC/ITO)과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APC 합금은 은(Ag), 팔라듐(Pd), 및 구리(Cu)의 합금이다.
뱅크(320)는 제 1 전극(310) 상에 형성되어 발광 영역을 정의한다. 뱅크(320)가 형성된 영역에서는 제 1 전극(310)과 제 2 전극(340)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발광이 일어나지 않는다.
뱅크(320)는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뱅크(320)는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 등의 무기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발광층(330)은 제 1 전극(310) 상에 형성된다. 발광층(330)은 뱅크(340)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330)은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 발광층(light emitting layer), 및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극(310)과 제 2 전극(340)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되며, 발광층에서 서로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
발광층(330)은 백색 광을 발광하는 백색 발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발광층(330)은 적색 광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층, 녹색 광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층, 및 청색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층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 2 전극(340)은 발광층(330) 상에 형성된다. 제 2 전극(340)은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불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발광된 광이 상부쪽으로 방출되는 소위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이므로, 발광소자(300)의 제 2 전극(340)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캡핑층(350)은 제 2 전극(340) 상에 형성되어 제 2 전극(340)을 보호할 수 있다. 캡핑층(350)은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SiON 중 하나 이상의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봉지층(400)은 발광소자(300) 상에 구비된다.
봉지층(400)은 발광소자(300)를 덮도록 형성되며, 제 1 기판(120)의 상면(120a)과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수분 및 산소가 발광소자(30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의 수분 및 산소에 의한 발광소자(3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봉지층(400)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 또는 유기막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무기막 또는 유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리어 필름(450)은 봉지층(400) 상에 구비된다.
배리어 필름(450)은 봉지층(400)의 상면 전체에 형성되어, 외부의 수분 및 산소가 발광소자(30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수분 및 산소에 의한 발광소자(3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패드부(510)는 제 1 기판(120)의 상면(120a)의 비표시 영역(NDA)에 구비되며, 제 1 기판(120)의 일 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패드부(510)에는 회로소자층(200)과 연결된 전극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패드부(510)는 라우팅(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기판(130)은 버퍼층(110)의 하면(110c)에 구비되며, 제 2 기판(130) 상에는 표시장치의 구동을 위한 구성 요소들이 구비된다.
제 2 기판(130)은 접착층(135)에 의해 버퍼층(110)의 하면(110c)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제 2 기판(130)에 의해 표시장치의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접착층(135)은 버퍼층(110)의 하면(110c)과 제 2 기판(130)의 상면(130a) 사이에 개재된다. 접착층(135)은 버퍼층(110)의 하면(110c) 전체에 형성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접착층(135)은 제 2 기판(130)의 상면(130a) 전체에 형성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기판(130)의 상면(130a)의 면적은 버퍼층(110)의 하면(110c)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2 기판(130)의 측면(130b)과 버퍼층(110)의 측면(110b)은 동일한 수직선(L)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기판(130)의 하면(130c)과 측면(130b) 사이의 모서리 부분은 일정한 각도 또는 길이를 가지도록 모따기되어, 경사면(130d)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기판(130)의 하면(130c)과 측면(130b)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연결부(620)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발광된 광이 상부쪽으로 방출되는 소위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이므로, 제 2 기판(130)은 불투명한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제 2 기판(13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패드부(520)는 제 2 기판(130)의 하면(130c)에 구비되며, 제 2 기판(130)의 일 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패드부(520)는 제 1 패드부(510)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패드부(520)에는 제 1 패드부(510)의 전극들과 대응되는 전극들이 형성된다.
제 2 패드부(520)는 라우팅(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링크(530)는 제 2 기판(130)의 하면(130c)에 구비되며, 제 2 패드부(520)와 회로 필름(5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링크(530)는 제 2 패드부(520)와 회로 필름(5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링크(530)에 의해 제 2 패드부(520)와 회로 필름(54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필름(540)은 제 2 기판(130)의 하면(130c)에 구비되며, 복수의 링크(530)와 구동부(5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필름(540)은 복수의 링크(530)와 구동부(5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회로 필름(540)에 의해 복수의 링크(530)와 구동부(5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550)는 제 2 기판(130)의 하면(130c)에 구비된다.
구동부(550)는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공급하며, 회로 필름(5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550)에서 공급되는 신호가 회로 필름(540) 및 복수의 링크(530)를 통해 제 2 패드부(520)로 전달될 수 있다.
라우팅(600)은 제 1 실링부(610), 복수의 연결부(620) 및 제 2 실링부(630)로 구성된다.
제 1 실링부(610)는 절연 물질로 형성되며, 표시장치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링부(610)는 버퍼층(110)과 복수의 연결부(620) 사이에 구비된다. 즉, 제 1 실링부(610)에 의해 버퍼층(110)은 복수의 연결부(620)와 접하지 않으며, 버퍼층(110)과 복수의 연결부(620) 각각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이에 따라, 버퍼층(110)이 금속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더라도, 버퍼층(110)은 복수의 연결부(620)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링부(610)는 도 1에서 제 버퍼층(110)의 측면(110b)을 덮은 형태에서 더 확장되어, 제 1 실링부(610)은 제 1 기판(120)의 측면(120b) 또는 제 2 기판(130)의 측면(130b) 상에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1 실링부(610)는 표시장치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620)는 제 1 실링부(610) 상에 구비된다.
복수의 연결부(620)는 제 1 패드부(510)와 제 2 패드부(5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즉, 복수의 연결부(620) 각각의 일 측은 제 1 패드부(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연결부(620) 각각의 타 측은 제 2 패드부(5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 1 패드부(510)는 제 2 패드부(5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패드부(510)는 복수의 연결부(620), 제 2 패드부(520), 복수의 링크(530) 및 회로 필름(540)을 통해 구동부(55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620)는 도전성 페이스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결부(620)는 Ag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실링부(630)는 복수의 연결부(620) 상에 구비된다.
제 2 실링부(630)는 절연 물질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실링부(630)는 제 1 실링부(610)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실링부(630)는 복수의 연결부(620)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실링부(610) 상에 구비되거나 표시장치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실링부(630)는 복수의 연결부(620) 각각을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복수의 연결부(620) 각각은 서로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2 실링부(630)을 통해 복수의 연결부(62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표시장치는 제 1 표시장치(710) 및 제 2 표시장치(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표시장치(710) 및 제 2 표시장치(720)는 개별 영상을 표시하거나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표시장치(710) 및 제 2 표시장치(72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표시장치(710)와 제 2 표시장치(720)는 라우팅(600)이 형성된 각각의 측면이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 때, 제 1 표시장치(710) 및 제 2 표시장치(720) 각각에서 제 2 실링부(630)가 복수의 연결부(620)을 덮도록 형성되므로, 제 1 표시장치(710)의 복수의 연결부(620)와 제 2 표시장치(720)의 복수의 연결부(620)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표시장치(710) 및 제 2 표시장치(720) 각각은 서로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버퍼층 110a: 버퍼층의 상면
110b: 버퍼층의 측면 110c: 버퍼층의 하면
120: 제 1 기판 120a: 제 1 기판의 상면
120b: 제 1 기판의 측면 120c: 제 1 기판의 하면
120d: 제 1 기판의 경사면 130: 제 2 기판
130a: 제 2 기판의 상면 130b: 제 2 기판의 측면
130c: 제 2 기판의 하면 130d: 제 2 기판의 경사면
135: 접착층 200: 회로소자층
300: 발광소자 310: 제 1 전극
320: 뱅크 330: 발광층
340: 제 2 전극 350: 캡핑층
400: 봉지층 450: 배리어 필름
510: 제 1 패드부 520: 제 2 패드부
530: 링크 540: 회로필름
550: 구동부 600: 라우팅
610: 제 1 실링부 620: 연결부
630: 제 2 실링부 710: 제 1 표시장치
720: 제 2 표시장치 DA: 표시영역
NDA: 비표시 영역

Claims (14)

  1. 버퍼층;
    상기 버퍼층의 상면에 구비되며,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의 표시 영역에 구비되는 발광소자;
    상기 제 1 기판의 상면의 비표시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기판의 일 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1 패드부;
    상기 버퍼층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 2 기판;
    상기 제 2 기판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기판의 일 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2 패드부 및
    상기 제 1 패드부와 상기 제 2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라우팅을 포함하며,
    상기 라우팅은
    상기 제 1 패드부와 상기 제 2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
    상기 버퍼층과 상기 복수의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버퍼층과 상기 복수의 연결부의 접촉을 차단하는 제 1 실링부 및
    상기 복수의 연결부 상에 구비된 제 2 실링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링부는 상기 버퍼층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된,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링부는 상기 제 1 기판의 측면 또는 상기 제 2 기판의 측면 상에 추가로 구비된,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수소를 흡수하는 기능을 가진 금속으로 형성되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은 폴리이미드(polyimide)로 형성되는,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의 하면의 면적과 상기 버퍼층의 상면의 면적은 동일하고,
    상기 제 1 기판의 측면과 상기 버퍼층의 측면이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의 상면과 상기 제 1 기판의 측면 사이의 모서리 부분은 일정한 각도 또는 길이를 가지도록 모따기 된,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의 상면의 면적과 상기 버퍼층의 하면의 면적은 동일하고,
    상기 제 2 기판의 측면과 상기 버퍼층의 측면이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의 하면과 상기 제 2 기판의 측면 사이의 모서리 부분은 일정한 각도 또는 길이를 가지도록 모따기 된, 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상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소자를 덮도록 형성된 봉지층 및
    상기 봉지층 상에 구비된 배리어 필름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의 하면에 구비되며,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제 2 기판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 필름 및
    상기 제 2 기판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패드부와 상기 회로 필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링부 및 상기 제 2 실링부는 절연 물질로 형성되는, 표시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부는 도전성 페이스트로 형성되는, 표시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장치인 제 1 표시장치 및 제 2 표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표시장치 및 상기 제 2 표시장치는,
    상기 라우팅이 형성된 상기 제 1 표시장치의 측면과 상기 라우팅이 형성된 상기 제 2 표시장치의 측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멀티 스크린 표시 장치.
KR1020190179693A 2019-12-31 2019-12-31 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멀티 스크린 표시장치 KR20210086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693A KR20210086025A (ko) 2019-12-31 2019-12-31 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멀티 스크린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693A KR20210086025A (ko) 2019-12-31 2019-12-31 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멀티 스크린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025A true KR20210086025A (ko) 2021-07-08

Family

ID=7689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693A KR20210086025A (ko) 2019-12-31 2019-12-31 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멀티 스크린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60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8302A (zh) * 2020-12-24 2021-04-30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电子设备、显示屏及其制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8302A (zh) * 2020-12-24 2021-04-30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电子设备、显示屏及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5295B1 (ko) 표시장치
US1029069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490776B2 (en) Electro-optical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KR102489225B1 (ko)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20180073194A (ko) 표시장치
KR102555648B1 (ko) 표시장치
KR102572763B1 (ko) 투명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WO2019187137A1 (ja) 表示装置
KR20190070503A (ko) 표시장치
KR20180078672A (ko)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US10756279B2 (en) Display module
KR102612737B1 (ko) 표시장치
KR20230035269A (ko)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JP2018098188A (ja) 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42873B1 (ko) 표시장치
WO2018220683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210086025A (ko) 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멀티 스크린 표시장치
KR2018006362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74139A (ko)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20210086287A (ko) 표시장치
JP2017142999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59873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19291B1 (ko) 표시장치
US11211444B2 (en) Display apparatus
KR20190004008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