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815A - User Customized Contents Surating System Based on Time-Series Timeline - Google Patents

User Customized Contents Surating System Based on Time-Series Time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815A
KR20210085815A KR1020190179289A KR20190179289A KR20210085815A KR 20210085815 A KR20210085815 A KR 20210085815A KR 1020190179289 A KR1020190179289 A KR 1020190179289A KR 20190179289 A KR20190179289 A KR 20190179289A KR 20210085815 A KR20210085815 A KR 20210085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eries
search
story
detaile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2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유탁
김도윤
유진
김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씨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씨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씨엔
Priority to KR1020190179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5815A/en
Publication of KR20210085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8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user-customized content curation system which collects only the information desired by a user among the people, events, and relics/relics listed in a time-series chronological table and provides it as a network graph and story chronology. The present invention searches for records such as people, events, and relics/relics, but collects only detailed records which are detailed content desired by a user and provides them as network graphs and story-type chronological tables based on this, so the accuracy of search results is high, and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a time required to search for it.

Description

시계열형 연표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큐레이션 시스템{User Customized Contents Surating System Based on Time-Series Timeline}User Customized Contents Surating System Based on Time-Series Timeline}

본 발명은 시계열형 연표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큐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시계열형 연표로 나열된 인물, 사건, 유적/유물 정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취합하여 네트워크 그래프 및 스토리 연표로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큐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customized content curation system based on a time-series chronology, which collects only the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from among the people, events, and relics/relics information listed in the time-series chronology, and provides it as a network graph and story chronology. It is about a content curation system.

일반적으로 인물, 사건, 문화재와 같이 특정 기록에 대한 검색을 하면, 해당 기록에 대한 검색 결과가 제공된다.In general, when you search for a specific record such as a person, event, or cultural property, a search result for that record is provided.

이러한 검색 결과는 특정 기록에 대한 상세 정보만을 제공할 뿐, 이와 관련된 연관 사건에 대한 검색은 사용자가 새로운 검색 또는 링크 연결을 통해 실시한다.Such a search result only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on a specific record, and the user performs a search for a related event related to this through a new search or link connecti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터넷에서 '세종대왕'을 검색하면, 세종대왕에 관련된 전체적 기록 또는 특정 사건별 기록을 열람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체적 기록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특정 사건에 대해 의문을 가지거나, 더욱 상세히 확인하고 싶을 때에는 특정 사건에 대한 재검색을 실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정 사건이 복수일 경우 이에 대한 개별적 검색을 실시해야하는 문제가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searches for 'Sejong the Great' on the Internet, he or she can view the entire record related to King Sejong or a record for each specific event. When a user has a question about a specific event or wants to check it in more detail in the process of looking at the entire record, there is a problem of re-searching for a specific event. In addition, if there are multiple specific cas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individually search for them.

또한, 사용자가 자신만의 스토리를 만들고자 할 경우, 사건마다 별도로 검색하여 직접 추가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when a user wants to create his or her own story, there is a hassle of searching for each event separately and adding it directly.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84937호 (2019. 05. 27.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984937 (Registered on May 27, 2019)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64401호 (2018. 05. 29.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864401 (Registered on May 29, 201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록물만을 취합하여 네트워크 그래프 및 스토리 연표인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큐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customized content curation system that is a network graph and a story chronology by collecting only the records desired by the user.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o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웹페이지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 웹페이지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검색에 의해,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기록물을 시계열로 나타낸 시계열형 연표 만들기 UI를 제공하고, 상기 시계열형 연표 제공 모듈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록물에서 선택된 세부 기록물만을 취득한 후 재가공하여 네트워크 그래프 및 스토리형 자료로 제공하는 시계열형 연표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web page through a network, a time series chronological table making UI that shows records meeting the search conditions in time series by searching the user terminal on the web page, and a server including a time series chronological table providing module for obtaining and reprocessing only detailed records selected from the records desired by the user in the time series chronological providing module, and providing them as network graphs and story type data.

시계열형 연표 제공 모듈에서 제공하는 시계열형 연표 만들기 UI는 역사적 중대사를 기반으로 구간이 분리된 시계열 탐색바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시계열형 탐색바에서 선택된 구간을 기반으로 인물, 사건, 유적/유물의 카테고리로 분리된 시계열 그래프를, 시계열 탐색바가 위치한 화면의 범위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위치 이동이 가능한 플로팅 팝업을 포함한다.The time series chronological table creation UI provided by the time series chronology module provides a time series search bar with sections separated based on historical significance, and categories of people, events, and relics/relics based on the section selected from the time series search bar by the user terminal. It includes a floating popup that allows the user to move the time series graph separated by the time series within the range of the screen where the time series search bar is located.

시계열 그래프는 상기 카테고리별로 각 기록물에 해당하는 검색 결과를 카테고리별로 색상이 상이한 노드로 표시하고, 노드를 클릭하면, 클릭한 노드가 포함하는 세부 기록물이 나열되며, 나열된 세부 기록물을 각각 클릭하여 플로팅 팝업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플로팅 팝업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켜서, 상기 플로팅 팝업에 사용자가 원하는 세부 기록물만을 재구성하고, 상기 재구성된 기록물을 취합하여 각 세부 기록물에 해당하는 스토리가 기준인 스토리 노드를 시계열적으로 연결 및 나열한 스토리형 네트워크 그래프, 시간이 기준인 시간 노드를 시계열적으로 연결 및 나열하고, 각 세부 기록물에 해당하는 스토리가 기준인 스토리 노드가 상기 시간 노드를 향해 수렴하도록 형성된 시간형 네트워크 그래프, 스토리형 네트워크 그래프 및 시간형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확장되거나, 세부 기록물에서 확장되어 각 세부 기록물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상세정보 레이어 팝업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한다.The time series graph displays the search results corresponding to each record for each category as nodes with different colors for each category, and when a node is clicked, the detailed records included in the clicked node are listed, and a floating popup by clicking each of the listed detailed records or by dragging to the floating pop-up to reconstruct only the detailed records desired by the user in the floating pop-up, and by collecting the reconstructed records, the story nod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detailed records are time-series A story-type network graph that is connected and listed, a time-type network graph formed so that time nodes based on time are connected and listed in time series, and story nodes based on a story corresponding to each detailed record converge toward the time node, a story Display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the detailed information layer pop-up that expands in the type network graph and the temporal network graph or expands in the detailed record to display detailed information of each detailed record.

서버는 웹페이지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검색에 의해,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기록물 검색하는 디지털 연표 검색 UI를 제공하는 디지털 연표 검색 모듈을 포함한다.The server includes a digital chronological search module that provides a digital chronological search UI for searching for records matching the search conditions by the user terminal's search on the web page.

디지털 연표 검색 UI는 역사적 중대사를 기반으로 구간이 분리된 시계열 탐색바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력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검색하는 키워드 검색바 중 어느 하나와, 시계열 탐색바 또는 키워드 검색바를 통해 도출된 기록물을 인물, 사건, 유적/유물의 카테고리로 분리된 시계열 그래프를 포함한다.The digital chronological search UI is a time series search bar with sections separated based on historical significance or a keyword search bar that searches based on keywords entered in the user terminal, and records derived through the time series search bar or keyword search bar. , include time series graphs separated into categories of events, relics/relics.

시계열 그래프는 카테고리별로 각 기록물에 해당하는 검색 결과를 카테고리별로 색상이 상이한 노드로 표시하고, 노드를 클릭하면, 클릭한 노드가 포함하는 세부 기록물이 나열되며, 나열된 세부 기록물를 각각 클릭하면, 세부 정보를 나타내는 팝업을 표시한다.The time series graph displays the search results for each record by category as a node with a different color for each category. When you click a node, the detailed records included in the clicked node are listed. If you click each of the listed detailed records, detailed information is displayed. Display a pop-up indicating

본 발명에 따르면, 인물, 사건, 유적/유물과 같은 기록물을 검색하되, 사용자가 원하는 세부적 내용인 세부 기록물만을 취합하여, 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그래프 및 스토리형 연표로 제공하는 점에서, 검색 결과물에 대한 정확도가 높고, 이를 검색하기 위한 시간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searching for records such as people, events, and relics/relics, only detailed records that are detailed content desired by the user are collected and provided as a network graph and a story-type chronological table based on the search results. The accuracy is high, and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time to search for it.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계열형 연표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큐레이션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연표 만들기의 화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계열 연표형 UI의 화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연표 만들기의 저장 레이어 팝업 화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문가용 연표 스토리 목록 화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my 연표별 연표 스토리 목록 화면.
도 7은 연표 스토리의 상세 화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표 스토리에서 스토리형 네트워크 레이어 팝업 화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표 스토리에서 시간형 네트워크 레이어 팝업 화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시간형 네트워크 레이어 팝업 화면에서 사건 정보를 나타내는 노드를 클릭한 화면.
도 11은 본 발명의 연표 스토리의 상세 정보 레이어 팝업 화면.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디지털 연표 검색 화면.
도 14는 본 발명의 디지털 연표 검색 화면에서 개별 데이터를 선택한 화면.
도 15는 디지털 연표 검색 화면에서 키워드 검색 화면으로, 도 12의 검색 버튼(2)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화면.
1 is a block diagram of a user-customized content curation system based on a time series chro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reen of making a digital chro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reen of a time series chronological table type U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orage layer pop-up screen of making a digital chro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ist of expert chronology story list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hronological list story list screen by my chro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etailed screen of the chronological story.
8 is a story-type network layer pop-up screen in a chronological 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time-type network layer pop-up screen in the chronology 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reen in which a node indicating event information is clicked on the temporal network layer pop-up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etailed information layer pop-up screen of the chronology story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digital chronological search screens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reen for selecting individual data on the digital chronological search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keyword search screen on the digital chronological search screen, a screen that appears when the search button (2) of Figure 12 is clicked.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디지털 연표는 상고사부터 근대사에 이르는 한국의 전통문화 지식을 전통문화 관련 인문학 전문가 및 정보기술 전문가와 협의 및 검증을 통하여 전문성이 확보된 시간 순서(Time Sequence) 데이터로 생성하고, 해당 데이터를 인물, 사건, 문화재 등으로 분류하여 연도별 표시, 연도별 확장 검색을 실시할 수 있는 지능형 검색 기술이다.The digital chronological table creates knowledge of traditional culture in Korea from ancient history to modern history as time sequence data with expertise secured through consultation and verification with experts in the humaniti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and the data is converted to people and events. It is an intelligent search technology that can be classified by year, cultural property, etc., and perform extended search by year.

이는 단순한 검색 기능을 넘어서 전문가 및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스토리 연표를 생성하고, 생성된 연표를 일반 사용자에게 공유하고, 평가가 가능한 기술이다.This is a technology that allows experts and users to directly reconstruct data beyond a simple search function to create a story chronology, share the created chronology with general users, and evaluate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계열형 연표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큐레이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user-customized content curation system based on a time series chro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웹페이지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100), 웹페이지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검색에 의해,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기록물을 시계열로 제공하는 시계열형 연표 만들기 UI를 포함하고, 시계열형 연표 만들기 UI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록물의 세부 기록물만을 취득한 후 재가공하여 네트워크 그래프 및 스토리형 자료로 제공하는 서버(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present invention is a time series chronological table that provides records meeting the search conditions in time series by a user terminal 100 connected to a web page through a network, and by searching the user terminal 100 in a web page It includes a creation UI, and includes a server 200 that acquires only detailed records of records desired by the user in the time series chronological table creation UI, reprocesses them, and provides them as network graphs and story-type data.

사용자 단말기(100)는 웹페이지에 접속 가능한 기기로, 대표적으로 휴대폰 또는 PC가 있다. The user terminal 100 is a device capable of accessing a web page, typically a mobile phone or a PC.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접속하는 웹페이지를 관리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검색되는 기록물을 시계열형 연표 만들기 UI에서 시계열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000에 의해 원하는 기록물의 세부 기록물만을 취득한 후 재가공하여, 네트워크 그래프 및 스토리형 자료로 제공하는 시계열형 연표 제공 모듈(210)과, 시계열로 분리된 구간 검색 또는 키워드 검색으로 각 기록물을 확인하는 디지털 연표 제공 모듈(220)을 포함한다.The server 200 manages a web page accessed by the user terminal 100 . In addition, the records searched by the user terminal 100 are provided in time series in the time series chronological table making UI, and only the detailed records of the desired records are acquired by the user terminal 1000 and then reprocessed to provide network graphs and story-type data. It includes a time-series chronological table providing module 210 and a digital chronological table providing module 220 for checking each record by a time series-separated section search or keyword search.

시계열형 연표 제공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원하는 기록물의 세부 기록물만을 취득한 후 재가공하여, 네트워크 그래프 및 스토리형 자료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시계열형 연표 만들기 UI를 포함한다. The time series chronological table providing module 210 acquires only the detailed records of the desired records by the user terminal 100 and reprocesses them, and provides them as network graphs and story-type data. For this, a time series chronological table creation UI is included.

시계열형 연표 만들기 UI는 역사적 중대사를 기반으로 구간이 분리된 시계열 탐색바와,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시계열형 탐색바에서 선택된 구간을 기반으로 인물, 사건, 유적/유물의 카테고리로 분리된 시계열 그래프를, 상기 시계열 탐색바가 위치한 화면의 범위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위치 이동이 가능한 플로팅 팝업을 포함한다.The time series chronological table creation UI is a time series graph divided into categories of people, events, and relics/relics based on a time series search bar in which sections are separated based on historical significance, and a section selected in the time series search bar by the user terminal 100 . , and a floating pop-up capable of being moved by the user within the range of the screen on which the time series search bar is located.

시계열 그래프는 상기 카테고리별로 각 기록물에 해당하는 검색 결과를 카테고리별로 색상이 상이한 노드로 표시하고, 노드를 클릭하면, 클릭한 노드가 포함하는 세부 기록물이 나열되며, 나열된 세부 기록물를 각각 클릭하거나, 상기 플로팅 팝업으로 드래그하여 이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세부 기록물만을 재구성한다.The time series graph displays the search results corresponding to each record for each category as nodes with different colors for each category, and when a node is clicked, the detailed records included in the clicked node are listed. By dragging and moving to the pop-up, only the detailed records desired by the user are reconstructed.

여기서, 재구성된 세부 기록물은 각 세부 기록물에 해당하는 스토리가 기준이 되는 노드인 스토리 노드를 시계열적으로 연결 및 나열된 스토리형 네트워크 그래프, 시간이 기준 노드인 시간 노드가 시계열적으로 연결 및 나열되고, 각 세부 기록물에 해당하는 스토리가 기준이 되는 노드인 스토리 노드가 시간 노드를 향해 수렴하도록 형성된 시간형 네트워크 그래프, 스토리형 네트워크 그래프 및 시간형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확장되거나, 세부 기록물에서 확장되어 각 세부 기록물의 상세 정보를 나타내는 상세정보 레이어 팝업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Here, the reconstructed detailed record is a story-type network graph that connects and lists story nodes, which are nodes for which the story corresponding to each detailed record is a reference, time-series, time nodes are connected and listed, and time is a reference node, A time-type network graph, a story-type network graph, and a time-type network graph formed so that the story node, which is a node based on the story corresponding to each detailed record, converges toward the time node, is expanded from the detailed record, and the It includes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detailed information layer pop-up indicating detailed information.

디지털 연표 검색 모듈은 웹페이지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검색에 의해,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기록물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디지털 연표 검색 UI를 포함한다.The digital chronological search module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on records that meet the search conditions by searching the user terminal on the web page, and includes a digital chronological search UI.

디지털 연표 검색 UI는 역사적 중대사를 기반으로 구간이 분리된 시계열 탐색바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력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검색하는 키워드 검색바 중 어느 하나와, 시계열 탐색바 또는 키워드 검색바를 통해 도출된 기록물을 인물, 사건, 유적/유물의 카테고리로 분리된 시계열 그래프를 포함한다.The digital chronological search UI is a time series search bar with sections separated based on historical significance or a keyword search bar that searches based on keywords entered in the user terminal, and records derived through the time series search bar or keyword search bar. , include time series graphs separated into categories of events, relics/relics.

시계열 그래프는 카테고리별로 각 기록물에 해당하는 검색 결과를 카테고리별로 색상이 상이한 노드로 표시하고, 노드를 클릭하면, 클릭한 노드가 포함하는 세부 기록물이 나열된다. 또한, 나열된 세부 기록물를 각각 클릭하면, 세부 정보를 나타내는 팝업을 표시한다.In the time series graph, the search results corresponding to each record by category are displayed as nodes with different colors for each category, and when a node is clicked, detailed records included in the clicked node are listed. In addition, when each of the listed detailed records is clicked, a popup indicating detailed information is display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연표 만들기의 화면이다.Figure 2 is a screen of making a digital chro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연표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는 웹페이지에서 연표 스토리 만들기를 클릭한다. 클릭하면, 도 2와 같이 디지털 연표 만들기 페이지가 생성되고, 사용자는 연표명 입력창(1)에 생성하고자 하는 디지털 연표의 명칭을 작성한다. 이후, 취소 버튼(2)을 클릭하여 디지털 연표 만들기 유형 선택화면으로 이동하거나, 확인 버튼(3)을 클릭하여 선택한 유형에 따른 시계열 연표형 UI를 생성한다. Referring to FIG. 2 , in order to create a digital chronology table, the user clicks Create a chronology story on the web page. When clicked, a digital chronological table creation page is created as shown in FIG. 2 , and the user writes the name of the digital chronology table to be created in the chronological table name input window 1 . Then, click the cancel button (2) to move to the digital chronological table creation type selection screen, or click the OK button (3) to create a time series chronological table type UI according to the selected typ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계열 연표형 UI의 화면이다.3 is a screen of a time series chronological table type U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검색 결과물을 재구성하기 위한 플로팅 팝업(1)이 생성된다. 플로팅 팝업(1)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연표명(2)과, 사용자가 재구성하기 위해 드래그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버튼(3), 삭제하는 삭제 버튼(4)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가 플로팅 팝업(1)으로 드래그한 데이터(5)와, 클릭시 상세하게 볼 수 있는 팝업이 표시되는 상세보기 버튼(6), 드래그한 데이터(5)를 삭제하는 삭제 버튼(7)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a floating pop-up 1 for a user to reconstruct a search result is generated. The floating popup (1) includes a chronological table name (2) input by the user, a save button (3) for storing the data dragged by the user to reconstruct, and a delete button (4) for deleting. In addition, the data (5) dragged by the user to the floating pop-up (1), the detail view button (6) that displays a pop-up that can be viewed in detail when clicked, and the delete button (7) that deletes the dragged data (5) includes

여기서, 사용자가 플로팅 팝업(1)으로 드래그하여 재구성하고자 하는 데이터(8)는 화면의 하단에 표시된다. 또한, 재구성하고자 하는 데이터(8)는 상세보기 버튼(9)을 클릭하여 별도의 레이어 팝업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데이터 추가 버튼(10) 또는 드래그를 통해 플로팅 팝업(1)으로 이동시킨다.Here, the data 8 to be reconstructed by dragging the user onto the floating pop-up 1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In addition, the data 8 to be reconstructed can be displayed as a separate layer pop-up by clicking the detail view button 9, and is moved to the floating pop-up 1 through the data add button 10 or drag.

따라서, 사용자가 플로팅 팝업(1)으로 재구성하고자 하는 데이터(8)를 이동시킨 후, 플로팅 팝업(1)의 저장 버튼(3)을 클릭하면, 디지털 연표를 생성하기 위한 저장 레이어 팝업이 나타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moves the data 8 to be reconstructed to the floating pop-up 1 and clicks the save button 3 of the floating pop-up 1, a storage layer pop-up for creating a digital chronology appear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연표 만들기의 저장 레이어 팝업 화면이다.4 is a pop-up screen of the storage layer of digital chronology cre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저장 레이어 팝업 화면은 사용자가 저장하고자 하는 디지털 연표의 제목(1)을 입력하는 구역과, 시놉시스(2)를 입력하는 구역, 저장하고자 하는 디지털 연표를 공개할지 또는 비공개할지 여부를 선택(3)하는 구역을 포함한다. 또한, 제목(1), 시놉시스(2), 선택/비공개(3) 여부를 저장(4)하거나, 종료(5)할 수 있는 구역도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4) 버튼을 클릭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제목(1), 시놉시스(2), 선택/비공개(3) 여부가 저장됨과 동시에 디지털 연표가 생성되어 나타난다. 만약, 닫기(5) 버튼을 클릭하면, 레이어 팝업 화면이 사라진다.Referring to FIG. 4 , the storage layer pop-up screen includes a section for inputting the title (1) of the digital chronology that the user wants to save, a section for inputting a synopsis (2), and whether to disclose or not disclose the digital chronology to be saved. It includes a zone for selecting (3). It also includes a section where you can save (4) or end (5) whether the title (1), synopsis (2), and selection/private (3) are made. Here, when the Save (4) button is clicked, the title (1), synopsis (2), and selected/undisclosed (3) set by the user are saved and a digital chronology is created and displayed at the same time. If the close (5) button is clicked, the layer pop-up screen disappears.

이렇게 생성된 디지털 연표는 연표 스토리 목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The digital chronology created in this way can be checked through the chronological story lis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문가용 연표 스토리 목록 화면이다.Figure 5 is a list of expert chronology story list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생성된 연표를 연표 스토리 목록에서 보면,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전문가용(1), 사용자용(2), 개별 저장된 My 연표(3)를 통해 각각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전문가 또는 사용자가 저장 레이어 팝업에서 공개를 선택했을 경우, 전문가용(1) 또는 사용자용(2)에서 확인할 수 있으나, 비공개를 선택하면 My 연표(3)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5 , when the generated chronological table is viewed in the chronological story list,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expert (1), user (2), and individually stored My chronology (3) according to user information. This can be checked in Professional (1) or User (2) when an expert or user selects Open in the Save Layer pop-up, but can be confirmed in My Timeline (3) when Private is selected.

전문가용(1)에 대해 설명하면, 검색 기능(4)을 통해 원하는 조건에 대한 검색을 실시할 수 있으며, 검색된 건수가 표시(5)되고, 연표의 제목(6), 시놉시스(7), 연표 데이터 건수 및 작성일자가 표시되는 콘텐츠 정보(8)가 표시된다. 또한, 연도 데이터의 시작-종료를 재구성하여 각 데이터 분포를 표현하는 도트형 그래프(9)가 표시된다. 여기서, 도트형 그래프(9)의 측면에는 클릭시 상세 페이지로 이동하는 상세보기 버튼(10)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My 연표(3)에 대해 설명을 실시한다.When explaining the professional use (1), a search for a desired condi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search function (4), the number of searched cases is displayed (5), the title of the chronology (6), the synopsis (7), the chronological table Content information 8 in which the number of data cases and creation date are displayed is displayed. Also, a dot-type graph 9 representing each data distribution by reconstructing the start-end of year data is displayed. Here, on the side of the dot-type graph 9, a detailed view button 10 that moves to a detailed page when clicked is provided. Next, My chronological table (3) will be explain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my 연표별 연표 스토리 목록 화면이다.Figure 6 is a chronology story list screen by my chro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My 연표 스토리 목록은 전문가용 연표 스토리 목록과 상이한 삭제 버튼(1)이 있다. 이는 클릭시 검색 결과를 삭제하는 기능이다. 또한, 공개/비공개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2)이 구비되어, 생성된 연표에 대한 공개 또는 비공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6, My chronology story list has a delete button (1) different from the expert chronology story list. This is a function that deletes search results when clicked. In addition, a button 2 for selecting public/private is provided, so that public or private settings for the generated chronology can be changed.

연표 스토리 목록에서 전문가, 사용자, My 연표에 해당하는 개별 결과를 조회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If you search individual results for experts, users, and My chronology in the chronological story list, it is displayed as follows.

도 7은 연표 스토리의 상세 화면이다.7 is a detailed screen of the chronology story.

도 7을 참조하면, 생성 또는 조회된 연표 스토리는 연표의 제목(1), 시놉시스92), 네트워크 그래프(3), 스토리형 네트워크 그래프 선택 버튼(4), 시간형 네트워크 그래프 선택 버튼(5), 네트워크 그래프 레이어 팝업 버튼(6), 상세 데이터 정보(7), 더보기 버튼(8), 시간 그래프(9), 연표 스토리 목록으로 되돌아가기 버튼(10)을 포함하는 화면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시놉시스(2)는 내용이 길어질 경우 스크롤 바가 추가적으로 생성되고, 더보기 버튼(8)은 사용자가 클릭할 경우 상세 레이어 팝업으로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7 , the created or searched chronological chronology story includes a chronological title (1), synopsis 92), network graph (3), story-type network graph selection button (4), time-type network graph selection button (5), It appears as a screen including a network graph layer pop-up button (6), detailed data information (7), a more button (8), a time graph (9), and a button to return to the chronological story list (10). Here, in the synopsis 2, a scroll bar is additionally created when the content is long, and the more button 8 is connected to a detailed layer pop-up when the user clicks it.

여기서, 스토리형 네트워크 그래프 선택 버튼(4)을 클릭한 후, 네트워크 그래프 레이어 팝업 버튼(6)을 클릭하면 도 8의 화면이 나타나고, 시간형 네트워크 그래프 선택 버튼(5)을 클릭한 후, 네트워크 레이어 팝업 버튼(7)을 클릭하면 도 9의 화면이 나타난다. 또한, 더보기 버튼(8)을 클릭하면 도 11의 화면이 나타난다.Here, after clicking the story-type network graph selection button (4) and then clicking the network graph layer pop-up button (6), the screen of FIG. 8 appears, and after clicking the temporal network graph selection button (5), the network layer When the pop-up button 7 is clicked, the screen of FIG. 9 appears. In addition, when the more button 8 is clicked, the screen of FIG. 11 appear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표 스토리에서 스토리형 네트워크 레이어 팝업 화면이다.8 is a story-type network layer pop-up screen in the chronology 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스토리형 네트워크 그래프로, 연표의 제목(1), 팝업의 닫기 버튼(2), 스토리형 네트워크 그래프(3) 또는 시간형 네트워크 그래프(4)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버튼이 나타난다. 또한 각 사건인 스토리가 중심이 된 노드가, 시간적 순서에 따라 연결된 네트워크 그래프(5)와, 이를 종료하기 위한 닫기 버튼(6)이 표시된다.Referring to Figure 8, as a story-type network graph, there is a button for selectively changing the title of the chronological table (1), the close button of the pop-up (2), the story-type network graph (3), or the time-type network graph (4) appear. In addition, a network graph (5) in which a node centered on a story, which is each event, is connected according to a chronological order, and a close button (6) for terminating it are display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표 스토리에서 시간형 네트워크 레이어 팝업 화면이다.9 is a temporal network layer pop-up screen in the chronological 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시간형 네트워크 그래프로, 전술한 스토리형 네트워크 그래프와는 상이하게,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노드가 중심이 되어, 시계열 적으로 연결되고,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각 노드를 사건 정보를 나타내는 노드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9 , as a time-type network graph, unlike the story-type network graph described above, a node representing time information is the center and is connected in time series, and each node representing time information represents event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odes are connected.

도 10은 본 발명의 시간형 네트워크 레이어 팝업 화면에서 사건 정보를 나타내는 노드를 클릭한 화면이다.10 is a screen in which a node indicating event information is clicked on the temporal network layer pop-up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시간형 네트워크 그래프의 각 사건 정보를 나타내는 노드를 클릭(1)하면, 우측에 각 사건에 대한 상세 레이어 팝업이 생성된다. 상세 레이어 팝업은 데이터의 구분 및 연도가 표시(2)되고, 데이터 라벨(3)이 표시된다. 또한, 레이어 팝업의 하단에는 대표적 이미지(4)와, 명칭, 분야, 유형, 성격, 출생일과 같은 상세한 구분 정보(5)가 표시되고, 이를 종료하기 위한 닫기 버튼(6)이 나타난다.Referring to FIG. 10 , if a node representing information on each event of the temporal network graph is clicked (1), a pop-up of a detailed layer for each event is generated on the right side. In the detail layer pop-up, the data category and year are displayed (2), and the data label (3) is displayed. In addition, a representative image (4) and detailed classification information (5) such as name, field, type, personality, and date of birth are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layer pop-up, and a close button (6) for terminating it appears.

도 11은 본 발명의 연표 스토리의 상세 정보 레이어 팝업 화면이다.11 is a detailed information layer pop-up screen of the chronology stor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레이어 팝업은 도 10에서 전술한 상세 레이어 팝업과 마찬가지로, 데이터의 구분 및 연도가 표시되고, 데이터 라벨이 표시된다. 또한, 하단에는 대표적 이미지와, 명칭, 분야, 유형, 성격, 출생일과 같은 상세한 구분 정보가 나타난다. 이는 인물에 대한 정보가 아닐 경우 다른 구분 정보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유적/유물에 관련된 경우 출토지, 재질, 분류, 소장품 번호 등과 같은 정보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11 , in the network layer pop-up, like the detailed layer pop-up described above in FIG. 10 , data division and year are displayed, and a data label is displayed. In addition, detailed class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representative image, name, field, type, personality, and date of birth appears at the bottom. If this is not information about a person, it is provided as ot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relics/relics, information such as excavation site, material, classification, and collection number is indicated.

또한, 본 발명은 스토리가 생성된 연표 스토리가 아닌, 기록물 전반에 걸친 디지털 연표를 검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earch the digital chronological table throughout the records, not the chronological story in which the story was created.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디지털 연표 검색 화면이다.12 and 13 are digital chronological search scree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디지털 연표 검색 화면은 빠른 연대별 탐색을 위한 탐색바(1)와, 키워드를 통한 검색 버튼(2), 지식 관계망 데이터 중 시간적 데이터를 포함하는 자료를 인물, 사건, 유적/유물로 분류한 그래프(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 the digital chronological search screen includes a search bar (1) for quick chronological search, a search button (2) through keywords, and data including temporal data among knowledge network data for people, events, relics/relics It includes a graph (3) classified as .

빠른 연대별 탐색을 위한 탐색바(1)를 통해 원하는 연대에 대한 위치를 클릭하면, 그래프(3)가 원하는 연대에 맞는 그래프로 변경되며, 화면이 재구성된다. 또한, 검색 버튼(2)을 통해 키워드 검색을 실시하면, 키워드의 자동 완성 기능이 나타나서 완성 검색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한 그대로의 키워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그래프(3)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이용한 종-횡 탐색과 확대 및 축소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2의 검색 버튼(2)을 클릭하면, 후술될 도 15의 화면이 나타난다.When a location for a desired age is clicked through the search bar (1) for a quick search by age, the graph (3) is changed to a graph suitable for the desired age, and the screen is reconfigured. In addition, when a keyword search is performed through the search button 2, an auto-completion function of the keyword appears and the completed search word can be used, or the keyword as entered by the user can be used. Here, the graph 3 may include vertical-horizontal navigation and enlargement and reduction functions using a mouse or keyboard. Here, when the search button 2 of FIG. 12 is clicked, the screen of FIG. 1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ppears.

도 13을 참조하면, 디지털 연표 검색 화면은 지식관계망 데이터 중 시간적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인물, 사건, 유적/유물이라는 대그룹으로 분류하고, 이를 연도별로 그룹핑(Grouping)하여 그래프상에 각 분류별 시간적 데이터로 표현한다. 여기서, 그룹핑된 각 데이터(1)를 클릭하면, 하단에 데이터의 분류, 연대, 총 건수가 표시(2)되고, 더욱 하단에는 선택한 데이터의 상세 데이터 목록이 표시(3)된다.Referring to FIG. 13 , the digital chronological search screen classifies data having temporal information among knowledge network data into large groups such as people, events, and relics/relics, and groups them by year to provide temporal data for each classification on the graph. expressed as Here, if each grouped data (1) is clicked, the classification, age, and total number of data are displayed (2) at the bottom, and a detailed data list of the selected data is displayed (3) at the bottom.

여기서, 표시된 상세 데이터 목록(3)에서 개별 데이터를 클릭하면, 다음의 도 1와 같이 팝업이 나타난다.Here, if individual data is clicked on the displayed detailed data list 3, a pop-up appears as shown in FIG. 1 .

도 14는 본 발명의 디지털 연표 검색 화면에서 개별 데이터를 선택한 화면이다.14 is a screen for selecting individual data on the digital chronological search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개별 데이터에 해당하는 팝업으로 나타나며, 데이터의 구분 및 연도(1)가 표시되고, 대표적 이미지(2)와, 명칭, 분야 성격, 유형과 같은 구분정보(3), 자세한 내용이 서술된 상세 정보(4) 및 닫기 버튼(5)이 표시된다. 이 역시, 구분 정보(3)는 인물에 대한 정보가 아닐 경우 다른 구분 정보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유적/유물에 관련된 경우 출토지, 재질, 분류, 소장품 번호 등과 같은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14 , it appears as a pop-up corresponding to individual data, the classification and year of the data are displayed (1), a representative image (2), class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name, field character, type (3), detailed information This described detail information (4) and a close button (5) are displayed. Again, when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3 is not information about a person, it is provided as other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relics/relics, information such as excavation site, material, classification, and collection number is indicated.

도 15는 디지털 연표 검색 화면에서 키워드 검색 화면으로, 도 12의 검색 버튼(2)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화면이다.15 is a keyword search screen on the digital chronological search screen, and is a screen that appears when the search button (2) of FIG. 12 is clicked.

도 15를 참조하면, 디지털 연표 검색을 누른 초기 화면에서 탐색바가 사라지고, 키워드 검색 창이 나타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검색 키워드 입력창(1)에 키워드를 입력하면, 키워드를 입력하는 형태소 분석을 통해 자동완성된 키워드 데이터(2)가 표시되고, 엔터키를 입력하여 키워드를 검색 실행 및 검색 데이터를 이용한 그래프를 재구성할 수 있다. 즉, 연표를 선택하여 보는 것이 아닌, 각 사건, 인물, 유적과 관련된 검색식을 작성하고, 각 검색식에 맞는 연도별 사건을 확인한다. 예를들어, '백자'를 검색(1)하면, '백자'에 대한 키워드만 입력하더라도 키워드에 대한 연관 검색식인 자동 완성 데이터(2)가 나열된다. 사용자는 나열된 자동 완성 데이터(2)를 기반으로, 검색식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고, 다른 검색이 필요할 경우 키워드 삭제(3)를 할 수 있다. 또한, 검색바를 숨기고 싶다면, 검색바 닫기 버튼(4)를 클릭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바를 숨김할 경우 초기 그래프로 재설정된다. 자동 완성 데이터(2)를 선택하거나, 별도의 검색식을 검색하면 선택한 데이터로 그래프가 표시되고, 하단에는 검색 결과에 대한 상세 정보(5)가 노출된다. 또한, 검색한 키워드 및 검색 결과가 노출(6)되며, 각 검색 결과에 대한 이미지와 명칭 또는 요약 정보가 목록화(7)된다. Referring to FIG. 15 , the search bar disappears from the initial screen when the digital chronological search is pressed, and a keyword search window appears. Here, when a keyword is entered into the search keyword input window 1, keyword data 2 automatically completed through morpheme analysis for entering the keyword is displayed, and the keyword is searched by entering the enter key, and a graph using the search data can be reconstructed. That is, instead of selecting and viewing a chronological table, a search expression related to each event, person, and relic is created, and events by year that fit each search expression are checked. For example, when 'white porcelain' is searched (1), even if only a keyword for 'white porcelain' is input, autocomplete data (2), which is a related search expression for the keyword, is listed. The user can check the validity of the search expression based on the listed autocomplete data (2), and delete keywords (3) when another search is required. Also, if you want to hide the search bar, you can click the close search bar button (4). Here, when the search bar is hidden, it is reset to the initial graph. When the autocomplete data (2) is selected or a separate search expression is searched, a graph is displayed with the selected data, and detailed information (5) about the search result is exposed at the bottom. In addition, the searched keywords and search results are exposed (6), and images and names or summary information for each search result are listed (7).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various methods can be obta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서버
210 : 시게열형 연표 제공 모듈 220 : 디지털 연표 제공 모듈
100: user terminal 200: server
210: Shigeyeol type chronological table providing module 220: digital chronological table providing module

Claims (3)

네트워크를 통해 웹페이지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
웹페이지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검색에 의해,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기록물을 시계열로 나타낸 시계열형 연표 만들기 UI를 제공하고, 상기 시계열형 연표 UI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록물에서 선택된 세부 기록물만을 취득한 후 재가공하여 네트워크 그래프 및 스토리형 자료로 제공하는 시계열형 연표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시계열형 연표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큐레이션 시스템.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web page through a network;
It provides a time series chronological table creation UI that shows records that meet the search conditions in time series by searching the user terminal on the web page, and acquires only detailed records selected from the records desired by the user in the time series chronological table UI and reprocesses the network graph And a server including a time-series chronological table providing module provided as a story-type material;
A user-customized content curation system based on a time series chronology that includ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열형 연표 제공 모듈에서 제공하는 상기 시계열형 연표 만들기 UI는
역사적 중대사를 기반으로 구간이 분리된 시계열 탐색바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시계열형 탐색바에서 선택된 구간을 기반으로 인물, 사건, 유적/유물의 카테고리로 분리된 시계열 그래프를, 상기 시계열 탐색바가 위치한 화면의 범위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위치 이동이 가능한 플로팅 팝업을 포함하며,
상기 시계열 그래프는 상기 카테고리별로 각 기록물에 해당하는 검색 결과를 카테고리별로 색상이 상이한 노드로 표시하고,
상기 노드를 클릭하면, 클릭한 노드가 포함하는 세부 기록물이 나열되며, 나열된 세부 기록물을 각각 클릭하여 플로팅 팝업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플로팅 팝업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켜서, 상기 플로팅 팝업에 사용자가 원하는 세부 기록물만을 재구성하고,
상기 재구성된 기록물을 취합하여 각 세부 기록물에 해당하는 스토리가 기준인 스토리 노드를 시계열적으로 연결 및 나열한 스토리형 네트워크 그래프, 시간이 기준인 시간 노드를 시계열적으로 연결 및 나열하고, 각 세부 기록물에 해당하는 스토리가 기준인 스토리 노드가 상기 시간 노드를 향해 수렴하도록 형성된 시간형 네트워크 그래프, 상기 스토리형 네트워크 그래프 및 시간형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확장되거나, 상기 세부 기록물에서 확장되어 각 세부 기록물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상세정보 레이어 팝업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시계열형 연표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큐레이션 시스템.
2. The method of claim 1
The time series chronological table creation UI provided by the time series chronological table providing module is
A time series search bar in which sections are separated based on historical significance, and a time series graph divided into categories of persons, events, and relics/relics based on the section selected in the time series search bar by the user terminal, are displayed on the screen where the time series search bar is located. Includes a floating pop-up that can be moved by the user within the range,
The time series graph displays the search results corresponding to each record for each category as nodes with different colors for each category,
When the node is clicked, the detailed records included in the clicked node are listed. Click each of the listed detailed records to move them to the floating pop-up, or drag and move them to the floating pop-up, and the detailed records desired by the user in the floating pop-up only reconstructed,
A story-type network graph in which the story nodes based on the story corresponding to each detailed record are connected and listed in time series by collecting the reconstructed records, time nodes based on time are connected and listed in time series, and in each detailed record A time-type network graph formed so that a story node whose reference is a corresponding story converges toward the time node is expanded from the story-type network graph and the time-type network graph, or expanded from the detailed record to display detailed information of each detailed record A user-customized content curation system based on a time-series chronology that display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the detailed information layer pop-up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웹페이지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검색에 의해,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기록물 검색하는 디지털 연표 검색 UI를 제공하는 디지털 연표 검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연표 검색 UI는 역사적 중대사를 기반으로 구간이 분리된 시계열 탐색바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력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검색하는 키워드 검색바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시계열 탐색바 또는 키워드 검색바를 통해 도출된 기록물을 인물, 사건, 유적/유물의 카테고리로 분리된 시계열 그래프를 포함하고,
상기 시계열 그래프는 상기 카테고리별로 각 기록물에 해당하는 검색 결과를 카테고리별로 색상이 상이한 노드로 표시하고,
상기 노드를 클릭하면, 클릭한 노드가 포함하는 세부 기록물이 나열되며, 나열된 세부 기록물를 각각 클릭하면, 세부 정보를 나타내는 팝업을 표시하는 시계열형 연표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큐레이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and a digital chronological search module that provides a digital chronological search UI for searching records that meet the search conditions by searching the user terminal on the web page,
The digital chronological search UI includes any one of a time series search bar in which sections are separated based on historical important events or a keyword search bar for searching based on a keyword inputted from a user terminal,
Includes a time series graph in which the records derived through the time series search bar or keyword search bar are divided into categories of persons, events, and relics/relics,
The time series graph displays the search results corresponding to each record for each category as nodes with different colors for each category,
When the node is clicked, detailed records included in the clicked node are listed, and when each of the listed detailed records is clicked, a pop-up indicating detailed information is displayed. A user-customized content curation system based on a time series chronology.
KR1020190179289A 2019-12-31 2019-12-31 User Customized Contents Surating System Based on Time-Series Timeline KR202100858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289A KR20210085815A (en) 2019-12-31 2019-12-31 User Customized Contents Surating System Based on Time-Series Time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289A KR20210085815A (en) 2019-12-31 2019-12-31 User Customized Contents Surating System Based on Time-Series Timel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815A true KR20210085815A (en) 2021-07-08

Family

ID=76894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289A KR20210085815A (en) 2019-12-31 2019-12-31 User Customized Contents Surating System Based on Time-Series Time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5815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401B1 (en) 2017-11-29 2018-06-04 주식회사 피씨엔 Digital timeline output system for support of fusion of traditional culture
KR101984937B1 (en) 2018-11-28 2019-09-03 주식회사 피씨엔 3 dimensions digital timeline output system of traditional cul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401B1 (en) 2017-11-29 2018-06-04 주식회사 피씨엔 Digital timeline output system for support of fusion of traditional culture
KR101984937B1 (en) 2018-11-28 2019-09-03 주식회사 피씨엔 3 dimensions digital timeline output system of traditional cul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o et al. Vairoma: A visual analytics system for making sense of places, times, and events in roman history
US9690831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visual search construction, document triage, and coverage tracking
US200700055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izing arguments
EP0897158B1 (en) Method for automatic processing of information materials for personified use
KR20130029045A (en) Online analysis and display of correlated information
Shah Supporting research data collection from YouTube with TubeKit
KR101441219B1 (en) Automatic association of informational entities
JP2020135665A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Yimam et al. new/s/leak–information extraction and visualization for investigative data journalists
US20180300039A1 (en) Tree Frog Computer Navigation System for the Hierarchical Visualization of Data
Villaespesa et al. A critical comparison analysis between human and machine-generated tags for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s collection
Lazarinis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searching tools on Greek museum websites
JP2004192355A (en) Informational searching method, its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information search
Crampes et al. Visualizing social photos on a hasse diagram for eliciting relations and indexing new photos
JP2014102625A (e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program, and method
Elias Enhancing User Interaction with Business Intelligence Dashboards
KR20210085815A (en) User Customized Contents Surating System Based on Time-Series Timeline
KR101045850B1 (en) Device for providing digital timeline through the website
Late et al. In a perfect world: exploring the desires and realities for digitized historical image archives
KR20210085746A (en) User Customized Contents Surating System Based on List-type Timeline
Kleeb et al. Wikimaps: dynamic maps of knowledge
US20190310999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ataloguing an electronic document
Scharl et al. Extraction and interactive exploration of knowledge from aggregated news and social media content
Hu et al. VisArchive: a time and relevance based visual interface for searching, browsing, and exploring project archives
Lee “Knowledge Was Their Treasure”—Applying KO Approaches to Archaeological Re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