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937B1 - 3 dimensions digital timeline output system of traditional culture - Google Patents

3 dimensions digital timeline output system of traditional cul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937B1
KR101984937B1 KR1020180149348A KR20180149348A KR101984937B1 KR 101984937 B1 KR101984937 B1 KR 101984937B1 KR 1020180149348 A KR1020180149348 A KR 1020180149348A KR 20180149348 A KR20180149348 A KR 20180149348A KR 101984937 B1 KR101984937 B1 KR 101984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imeline
digital
user
digital time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3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유탁
이선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씨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씨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씨엔
Priority to KR1020180149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9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9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receiving new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data and automatically learning and classifying the received data to automatically display a 3D digital chronology. The system performs: an operation of collecting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through each traditional culture site; an operation of loading the collected content to be mapped to a cultural content data warehouse (CCDW) of a data storage unit; an operation of extracting time data among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and generating a basic digital chronology based on the extracted time data; an operation of performing mapping between the digital chronology and the content based on the time data and content interconnection network analysis; and an operation of visualizing and outputting content mapped with the basic digital chronology. The digital chronology visualized in 3D is configured to dispose a timeline indicating era and time in a y-axis direction, dispose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ategories in a x-axis direction, and allow a plurality of sets of content each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ategories to be arranged in the y-axis direction to be mapped on the timeline such that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display the digital chronology display system to provide an information user with a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search function and a traditional cultural convergence service.

Description

전통문화 3D 디지털 연표 표출 시스템{3 DIMENSIONS DIGITAL TIMELINE OUTPUT SYSTEM OF TRADITIONAL CULTURE}Traditional culture 3D digital timeline expression system {3 DIMENSIONS DIGITAL TIMELINE OUTPUT SYSTEM OF TRADITIONAL CULTURE}

본 발명은 새로운 전통문화 콘텐츠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학습 및 분류하여 3D 디지털 연표를 자동으로 표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ceiving new traditional culture content data, automatically learning and classifying the input data, and automatically displaying a 3D digital timeline.

개인으로서의 인간은 가족, 학교, 지역사회, 직장, 국가, 세계의 일원으로서 생활해 나가면서 다른 사람과 교류하고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최근, 한 국가나 또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타인과 원활하게 교류하면서 종교, 인종, 지역, 민족성 같은 것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갈등이 발생되고 있는 바, 자신이나 또는 타인이 속한 민족이나 인종에 대한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As individuals, people interact and interact with others as they live as members of their families, schools, communities, workplaces, countries, and worlds. Recently, as a member of a country or society,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ings such as religion, race, region, and ethnicity while interacting smoothly with others. Culture education is urgently needed.

전통문화는 한 국가나, 인류, 또는 인종이 과거에 생활해온 전반적인 양식을 포괄하는 것으로, 사상, 의상, 언어, 종교, 의례, 법이나 도덕 등의 규범, 가치관과 같은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Traditional culture encompasses the general pattern of a country, humanity, or race that has lived in the past and may include such things as thoughts, costumes, languages, religions, rituals, norms of law or morality and values.

근래에 들어 유무선 인터넷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모든 지역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인터넷 환경이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이 와이파이나 기타 근거리 통신망과 유선 통신망을 통해 가정, 기업, 정부 기관 내의 모든 기기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s well as wired and wireless Internet, an internet environment in which all regions are connected to the Internet is being provided. The wired or wireless Internet is connected to all devices in homes, businesses, and government agencies through Wi-Fi or other local area networks and wired networks.

하지만,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됨에도 불구하고 전통문화에 대한 체계적인 분류 및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나 플랫폼은 아직까지 제공되지 않고 있다.However, despite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no system or platform that provides a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function for traditional culture has yet been provid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5850호(2011.06.27.자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045850 (registered as of June 27, 201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4401호(2018.05.29.자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64401 (registered as of May 29, 2018)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통문화콘텐츠 분류체계를 수립하여 디지털 연표 표출 시스템을 자동으로 표출함으로써, 정보 이용자에게 체계적인 분류 및 검색 기능을 제공함과 아울러 전통문화 융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3D 디지털 연표 표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establishing a traditional culture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to automatically display the digital timeline presentation system, providing a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function to information users, as well as traditional culture convergence service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3D digital timeline presentation system to provide a.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통문화 3D 디지털 연표 표출 시스템은, 전통문화 관련 영상 콘텐츠,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의 비정형 콘텐츠를 정형화하고, 정형화된 콘텐츠를 기존의 정형 콘텐츠와 통합하여 저장하는 전통문화 콘텐츠 데이터 웨어하우스(CCDW(Cultural Contents Data Warehouse))로 정의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고, 외부 장치에서 공개된 복수의 전통문화 콘텐츠를 수집하는 기능, 수집된 전통문화 콘텐츠를 분류 및 저장하는 기능, 저장된 전통문화 콘텐츠에 기반하여, 디지털 연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연표를 생성하는 기능은, 각 전통 문화 사이트를 통해 정형,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작,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상기 전통문화 콘텐츠 데이터 웨어하우스(CCDW(Cultural Contents Data Warehouse))에 매핑되도록 수집된 콘텐츠를 적재하는 동작, 전통문화 콘텐츠의 특성 중에서 시간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간 데이터에 기반하여 기초 디지털 연표를 생성하는 동작, 시간 데이터와 콘텐츠 연결망 분석에 따라 디지털연표와 콘텐츠 매핑을 수행하는 동작, 및 기초 디지털 연표와 매핑된 콘텐츠들을 3D로 시각화 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3D로 시각화된 디지털 연표는, Y축 방향으로 시대 및 시간을 나타내는 타임라인이 배치되고, X축 방향으로 복수의 분류 카테고리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분류 카테고리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콘텐츠들이 상기 타임라인에 매핑(mapping)되도록 상기 Y축 방향으로 배열된다.Traditional culture 3D digital timeline express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ditional culture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related image content, images, and text content atypical content, and stores the standardized content integrated with the existing standardized content It includes a data storage unit defined as a content data warehouse (CCDW), the ability to collect a plurality of traditional culture content published from an external device, the ability to classify and store the collected traditional culture content, stored Based on the traditional culture content, providing a function to automatically generate a digital timeline, the function of generating a digital timeline, collecting the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through each traditional culture site,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data storage unit To be mapped to the Content Content Warehouse (CCDW). Loading the collected content, extracting time data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ulture content, generating basic digital timeline based on the extracted time data, and performing digital timeline and content mapping according to time data and content network analysis And an operation of visualizing and outputting the contents mapped with the basic digital timeline in 3D, wherein the timeline representing the time and the time in the Y-axis direction is arranged and the X-axis direction is arranged in the Y-axis direction.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ategories are arranged and arranged in the Y-axis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ategories are mapped to the timelin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통문화 3D 디지털 연표 표출 시스템으로는, 전통문화콘텐츠 분류체계를 수립하여 3D 디지털 연표 표출 시스템을 자동으로 표출함으로써, 정보 이용자에게 체계적인 분류 및 검색 기능을 제공함과 아울러 전통문화 융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traditional culture 3D digital timeline present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stablishing a traditional culture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to automatically display the 3D digital timeline presentation system, providing a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search function to the information user, Cultural convergence services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통문화 3D 디지털 연표 표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콘텐츠 수집부의 전통문화 콘텐츠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콘텐츠 수집부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콘텐츠 분류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콘텐츠 분류부의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콘텐츠 분류부의 개체 인식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의 디지털 연표 생성 기능을 설명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기초 디지털 연표의 예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기초 디지털 연표의 다른 예시이다.
도 11은 기초 디지털 연표와 매핑되어 시각화되는 연관 콘텐츠 표시 화면의 예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검색 메인 화면의 예시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 맵의 제공 화면의 예시이다.
도 14는 디지털 연표의 조작 방법을 설명하는 안내 화면의 예시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연표 제공 화면의 예시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디지털 연표를 조작하여 콘텐츠를 열람하는 예시이다.
도 17은 콘텐츠 팝업 창에 포함된 특정 메타 정보 아이콘의 선택에 의해 표시되는 상세 페이지의 예시이다.
도 18은 콘텐츠 팝업 창에 포함된 특정 메타 정보 아이콘의 선택에 의해 표시되는 콘텐츠에 대한 지식 관계도의 예시이다.
도 19는 콘텐츠 팝업 창에 포함된 특정 메타 정보 아이콘의 선택에 의해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자료의 예시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raditional culture 3D digital timeline presen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llecting traditional culture content of the content collector.
4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collecting unit.
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content classification unit.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content classification unit.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bject recognition method of a content classification unit.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gital timeline generation function of th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illustration of a basic digital timeline generated by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other example of a basic digital timeline generated by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ample of a related content display screen mapped and visualized with a basic digital timeline.
12 is an illustration of a search main screen provided to a user in accordance with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providing a content map provided to a user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ample of a guide screen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igital timeline.
15 is an illustration of a digital timeline provid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A to 16C illustrate examples of viewing content by manipulating the digital time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ample of a detail page displayed by selection of a specific meta information icon included in a content popup window.
18 is an illustration of a knowledge relationship diagram for content displayed by selection of a specific meta information icon included in a content popup window.
19 is an example of multimedia material displayed by selection of a specific meta information icon included in a content pop-up window.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통문화 3D 디지털 연표 표출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2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aditional culture 3D digital timeline presentat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platform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전통문화 콘텐츠(10), 전통문화 3D 디지털 연표 표출 플랫폼(20)(이하, "플랫폼"), 및 사용자(30)를 포함한다.1 and 2,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ditional culture content 10, a traditional culture 3D digital timeline presentation platform 20 (hereinafter “platform”), and a user 30. do.

전통문화 콘텐츠(10)는 유/무형 문화재, 기록문화유산, 박물관 소장 유산, 역사/인물 이야기 등의 전통문화 원형(11)으로 분류되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통문화 콘텐츠(10)는 한민족정보마당(www.kculture.or.kr), 문화콘텐츠닷컴(www.culturecontent.com), e-뮤지엄(www.emuseum.go.kr), 또는 한국역사통합정보시스템(www.koreanhistory.or.kr) 등과 같이 웹 페이지를 통해 열람 가능한 지식 콘텐츠(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통문화 콘텐츠(10)는 방송, 영화, 음악, 게임, 만화, 캐릭터, 에듀테인먼트, 인터넷 등을 통해 공개된 문화융복합콘텐츠(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ditional culture content 10 may include content classified into the traditional culture prototype 11 such as tangible / intangible cultural assets, documentary cultural heritage, museum collection heritage, and history / personal stories. In addition, the traditional culture content (10) is the Korean National Information Center (www.kculture.or.kr), culture content.com (www.culturecontent.com), e-museum (www.emuseum.go.kr), or Korean history integration. The information system (www.koreanhistory.or.kr) may include a knowledge content 12 that can be viewed through a web page. In addition, the traditional culture content 10 may include a culture convergence content 13 published through broadcast, film, music, games, cartoons, characters, edutainment, the Internet, and the lik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통문화 콘텐츠(10)는 비정형 데이터와 정형 데이터로 구분된다. 비정형 데이터는 메타정보가 없는 형식이 정해지지 않은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비정형 데이터는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를 통해 배포 또는 공유되는 비디오, 이미지, 오디오와 같은 데이터일 수 있다. 정형 데이터는 메타정보가 있는 형식이 정해진 데이터를 통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전통문화에 관련한 제목, 문화설명, 및 콘텐츠 ID 등을 의미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raditional culture content 10 is divided into unstructured data and structured data. Unstructured data is unformatted data without meta information. For example, the unstructured data may be data such as video, images, audio that is distributed or shared through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such as Facebook, Twitter, and the like. The formal data refers to data having a predetermined format with meta information, and means, for example, titles, cultural descriptions, and content ID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플랫폼(20) 은 전통문화 콘텐츠(10)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통문화 표준화 기능, 지능형 검색 기능, 콘텐츠 연관성 및 시공간 정보를 통한 검색의 확장 기능, 및 디지털 연표 생성 기능 등을 제공한다.The platform 20 collects traditional culture content 10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the traditional culture standardization function, intelligent search function, extension of search through content association and spatiotemporal information, digital timeline generation function, etc. To provide.

사용자(30)는, 일반적인 사용자, 협업 사용자, 및 전통문화 전문가 등을 포함한다.The user 30 includes a general user, a collaborative user, a traditional culture expert, and the like.

도 2를 참조하면, 플랫폼(20)은 콘텐츠 수집 및 분류부(100), 데이터 저장부(200), 및 디지털 연표 생성부(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platform 20 includes a content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unit 100, a data storage unit 200, and a digital timeline generation unit 300.

콘텐츠 수집 및 분류부(100)는 콘텐츠 수집부(101)와 콘텐츠 분류부(102, 도 5 참조)로 구성된다. 콘텐츠 수집부(101)와 콘텐츠 분류부(102)는 외부 웹 사이트에서 공개된 복수의 콘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복수의 콘텐츠를 분류하는 구성이다. 콘텐츠 수집부(101)는 외부 웹 사이트에서 공개된 복수의 콘텐츠를 수집하기 위하여 웹크롤러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콘텐츠 분류부(102)는 텍스트 분류(Text Classification) 알고리즘, 이미지 분류(Image Classification) 알고리즘 등을 이용해 텍스트나 이미지를 지정된 카테고리들로 분류한다. 지정된 카테고리들은, 예를 들면, 정치, 종교, 예술, 풍습, 의복, 춤, 또는 장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분류부(102)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인 콘텐츠의 구조를 분석하고, 분석된 구조를 기 저장된 고유번호 체계와 비교함으로써 전통문화 콘텐츠를 분류한다.The content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unit 100 includes a content collection unit 101 and a content classification unit 102 (see FIG. 5). The content collecting unit 101 and the content classifying unit 102 are configured to collect a plurality of contents published on an external web site and classify the plurality of collected contents. The content collecting unit 101 may use a web crawler method to collect a plurality of contents published on an external web site. The content classification unit 102 classifies text or images into designated categories using a text classification algorithm, an image classification algorithm, or the like. Designated categories may include, for example, politics, religion, art, customs, clothing, dancing, or funerals. The content classification unit 102 analyzes the structure of the content in the form of text or image, and classifies the traditional culture content by comparing the analyzed structure with a previously stored unique number system.

데이터 저장부(200)는 콘텐츠 수집 및 분류부(100)에 의해 분류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데이터 저장부(200)는 전통문화 관련 영상 콘텐츠, 이미지, 텍스트 콘텐츠 등의 비정형 콘텐츠를 정형화하고, 이를 기존의 정형 콘텐츠와 통합하여 저장하는 전통문화 콘텐츠 데이터 웨어하우스(CCDW(Cultural Contents Data Warehouse))로 정의된다. 이러한 데이터 저장부(200)는 각각의 카테고리별로 제각기 나뉘어지는 데이터베이스(DB)가 아니고, 통합된 형식으로 전통문화 콘텐츠를 저장하는 구성이다.The data storage unit 200 is a component that stores the content classified by the content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unit 100. The data storage unit 200 formalizes unstructured content such as image content, images, and text content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and integrates and stores it with existing structured content (Cultural Contents Data Warehouse). Is defined as The data storage unit 200 is not a database (DB) divided for each category, but a configuration for storing traditional culture content in an integrated format.

디지털 연표 생성부(300)는 수집 및 분류된 콘텐츠 데이터에 기반하여 디지털 연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구성이다. 디지털 연표 생성부(300)는 더블린코어(Dublin core)에 기반한 데이터 mapping을 통해 디지털 연표를 생성하고, 생성된 디지털 연표를 CCDW에 저장한다.The digital timeline generation unit 300 is a component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a digital timeline based on the collected and classified content data. The digital timeline generator 300 generates a digital timeline through data mapping based on Dublin core, and stores the generated digital timeline in the CCDW.

한편, 플랫폼(20)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능형 검색 엔진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platform 20 may further include an intelligent search engine.

지능형 검색 엔진은 사회연결망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행위자(창작)들의 관계 구조를 통해 특징을 밝혀내고 데이터간 관계를 추출/매핑하고 관련 콘텐츠들을 장르/시대 등의 조건에 따라 연결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면, 지능형 검색 엔진은 사용자로부터 질의를 수신하고, 수신된 질의에 기반한 검색 및 검색의 확장, 검색 결과의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검색의 확장은, 예를 들면, 질의된 콘텐츠에 연관한 다른 콘텐츠나, 관계 분석 등을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지능형 검색 엔진은 온톨로지(Ontology) 검색부, 키워드 분석부, 연관어 검색부, 및 시멘틱(Semantic) 검색부를 포함할 수 있다.Intelligent search engines utilize social network analysis techniques to reveal features through the relationship structure of actors (creations), extract / map relationships between data, connect related contents according to genre / age, etc., and output the results. It is a constitution. For example, the intelligent search engine is configured to receive a query from a user, perform a search and expansion based on the received query, and output a search result. Expansion of the search means, for example, the function of providing other content related to the queried content, relationship analysis, or the like. To this end, the intelligent search engine may include an ontology search unit, a keyword analysis unit, a related word search unit, and a semantic search un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능형 검색 엔진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질의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 기능, 추출된 키워드와 연관된 연관어를 추출하는 연관어 추출 기능, 및 키워드와 연관어에 기반한 색인을 제공하는 키워드 및 연관어 색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telligent search engine provides a keyword extraction function for extracting a keyword from a query received from a user, an association word extraction function for extracting an associated word associated with the extracted keyword, and an index based on the keyword and the related word. It can provide keyword and association indexing.

도 3은 콘텐츠 수집부(101)의 전통문화 콘텐츠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llecting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of the content collecting unit 101.

도 3을 참조하면, 콘텐츠 수집부(100)는 외부 Web 사이트에 공개된 비정형 콘텐츠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콘텐츠 수집부(100)는 게시판 형태로 공개된 콘텐츠를 스케쥴링을 통해 자동 수집하고, HTML 파싱 및 정제 작업을 통해 메타 속성들을 추출하고, 비정형 텍스트를 저장하도록 설정된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ent collecting unit 100 collects atypical content published on an external web site. The content collecting unit 100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ollect content published in the form of a bulletin board through scheduling, extract meta attributes through HTML parsing and refining, and store unstructured text.

일반적으로, 정형화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Open API로 제공되는 경우는 정확하게 데이터 연동을 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웹사이트의 경우는 Open API가 제공되어 있지 않고 게시판 같은 형태로 동적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콘텐츠 수집부(100)는 웹크롤러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데이터를 수집한다. 외부 데이터를 가져와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WEB URL 호출을 통해 해당 게시물 콘텐츠를 가져와서 파싱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파싱된 데이터를 DB 혹은 File System과 같은 Repository에 적재해야 한다. 그리고 해당 콘텐츠들은 계속 증가하거나 수정 혹은 삭제 등의 과정을 거치므로 주기적으로 해당 콘텐츠를 모니터링해서 가져와야 한다. 본 발명의 콘텐츠 수집부(100)는 이러한 전반적인 과정을 자동화하는 솔루션으로서 웹크롤러를 이용하여 웹 기반 UI를 통해 손쉽게 콘텐츠 수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data can be interlocked correctly when it is provided as an Open API that can provide standardized data. However, in case of general websites, Open API is not provided and dynamic data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ulletin board. The content collecting unit 100 collects external data using a web crawler method. In order to import and use external data, it is necessary to get and parse the relevant post contents through WEB URL call and to load the parsed data in a repository such as DB or File System. And since the contents are continuously increased or modified or deleted, the contents should be monitored and imported periodically. Content collection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ution for automating the overall process is configured to easily collect content through a web-based UI using a web crawler.

도 4는 콘텐츠 수집부(101)의 구성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ent collecting unit 101.

도 4를 참조하면, 콘텐츠 수집부(101)는 스케쥴 관리자(110), 저장소 관리자(120), 인증 관리자(130), 작업 관리자(140), 수집 모니터링 관리자(150), 수집 콘텐츠 관리자(160), 및 수집 통계 관리자(1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content collection unit 101 may include a schedule manager 110, a storage manager 120, an authentication manager 130, a job manager 140, a collection monitoring manager 150, and a collection content manager 160. , And collection statistics manager 170.

스케쥴 관리자(110)는 전통문화 콘텐츠를 수집하는 시각을 지정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면, 스케쥴 관리자(110)는 전통문화 콘텐츠를 수집하는 시각으로서, 일,시,분,초, 요일 등을 지정하도록 구성된다.The schedule manager 110 is a configuration for designating a time for collecting traditional culture content. For example, the schedule manager 110 is configured to designate day, hour, minute, second, day of the week, and the like as a time for collect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저장소 관리자(120)는 수집된 전통문화 콘텐츠를 저장하는 대상을 관리하는 구성이다. 저장소 관리자(120)는 DBMS 및 파일 시스템으로 대상을 설정하고 관리한다.The storage manager 120 is a component for managing a target for storing the collected traditional culture content. The storage manager 120 sets and manages a target with a DBMS and a file system.

인증 관리자(130)는 사용자 관리 및 인증된 사용자를 확인하는 구성이다.The authentication manager 130 is a component for confirming user management and authenticated users.

작업 관리자(140)는 스케쥴을 작업 단위로 관리하는 구성이다. 작업 관리자(140)는 관리되는 작업들을 그룹 단위로 관리할 수 있다.The job manager 140 is a component that manages a schedule in units of work. The task manager 140 may manage the managed tasks in group units.

수집 모니터링 관리자(150)는 수집 대상으로의 연결 정보, 수집 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구성이다.Collection monitoring manager 150 is a configuration for monitoring in real time the connection information, collection status, etc. to the collection target.

수집 콘텐츠 관리자(160)는 수집된 콘텐츠를 조회하고 정제하는 구성이다.The collected content manager 160 is configured to inquire and purify the collected content.

수집 통계 관리자(170)는 수집 통계를 지정된 조건, 시간 별로 조회하는 구성이다.The collection statistics manager 170 is configured to query the collection statistics by a specified condition and time.

이러한 콘텐츠 수집부(1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웹크롤러 기반으로 구성된 모듈일 수 있다. 웹크롤러 기반으로 구성된 콘텐츠 수집부(101)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collection unit 101 may be a module configured based on a web crawler. The content collector 101 configured based on the web crawler may provide various functions as follows.

- 수집 대상 사이트별 멀티스레드 지원-Multi-threaded support by collection site

- 웹 상의 페이지 URL링크에 따라 기본적인 웹 문서 수집-Collect basic web documents according to page URL links on the web

- 웹 로봇 설정 시 최대 저장 문서 수를 지정하여 종료 가능-You can specify the maximum number of stored documents when setting up the web robot

- 동작 상태(현재 수집 사이트/수집 문서 수 등)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Provide a way to understand the operational status (current collection site / collection documents, etc.)

- 수집 및 추출 오류 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Log정보 제공-Provide log information to check the contents of collection and extraction errors

- 대상 게시판의 첨부 파일을 로컬에서 파일로 저장하거나 URL로 저장하도록 선택하는 기능-Ability to choose to save the attachment of the target board as a file locally or as a URL

- 자체 설정 파일(configuration file)에서 정의한 치환 형태의 자바 스크립트 처리Javascript processing in the form of substitutions defined in its own configuration file

- 사용자 인증 처리를 통한 사이트 접속 시 사용자 섹션 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쿠키 저장 및 전송 기능-Cookie storing and sending function to maintain user section information when accessing site through user authentication process

- 수집 문서를 지정된 디렉토리에 일괄 저장-Collect collected documents in a specified directory

- 수집설정에 의한 URL Link 자동 생성 기능-Automatic URL Link generation by collection setting

- 수집 대상 page 수를 설정하기 위해 seed URL로부터 링크 URL depth 수 만큼을 설정하는 기능-Ability to set the number of link URL depths from the seed URL to set the number of pages to be collected

- 웹 상의 URL Link Depth 별 웹 page의 속성을 정의하는 기능-Ability to define attributes of web pages for each URL Link Depth on the web

- www.domain.com == domain.com 등 동일한 패턴으로 URL을 처리하는 기능-Ability to process URLs in the same pattern as www.domain.com == domain.com

- 수집 대상 seed URL에 동일한 pattern을 가지는 URL만을 설정하는 기능-Ability to set only URLs with the same pattern in seed URLs to collect

- 수집하고자 하는 대상 정보를 수집설정파일(XML) 설정을 통해 DB 수집 처리-DB collection processing through collection configuration file (XML) setting of target information to collect

- 첨부 파일이 있는 웹 게시물의 경우, 첨부 파일의 내용을 수집해서 저장해 주는 기능-In the case of a web post with an attachment, the function of collecting and storing the contents of the attachment

- 웹 상의 게시판 게시물을 추출하기 위해 HTML Table 분석 및 파싱-HTML table analysis and parsing to extract bulletin board posts on the web

- 시스템 자원 활용을 위해 각 사이트 별로 수집된 대상정보를 thread pool에 저장하여 동작하는 기능-A function to save the target information collected for each site in the thread pool to utilize system resources

- 추출 대상 항목을 특정 포맷 형식으로 customizing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Function to support extraction by customizing the extraction target item into a specific format

- 문맥 설정을 통해 페이지의 일부분을 스크랩하여 추출하는 기능-Ability to scrap and extract part of the page through context setting

- 수집된 Context를 특정 대상 DBMS 스키마로 설정하여 저장하거나 연결하는 기능 (수집된 웹사이트, 카테고리 별로 서로 다른 DBMS 스키마로 저장할 수 있는 멀티 DBMS 기능 제공)-Ability to set or save the collected context as a specific target DBMS schema or to connect it (provides a multi-DBMS function that can be stored in different DBMS schemas for each website and category collected)

- 수집된 대상 정보를 가공할 수 잇는 extension 기능-Extension function to process collected target information

- 수집한 대상 정보를 다양한 형태의 DBMS형태로 저장 및 설정하는 기능-Ability to save and set collected target information in various forms of DBMS

- Connection pool을 통해 저장하는 기능-Function to save through connection pool

- 사용자가 지정하는 DB 테이블 스키마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는 기능-Ability to set and save with the DB table schema specified by the user

- 수집 대상 사이트를 Group 별로 관리하고, 수집 주기(전체 수집 주기, 추가 수집 주기, 주기 설정 안함 등)를 설정하는 기능-Ability to manage collection target sites by group and set collection cycle (full collection cycle, additional collection cycle, no cycle setting, etc.)

- Group 별 게시판 별로 수집 설정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수집할 수 있는 기능-User can collect directly through collection setting function by each board

- DB로 저장된 수집 데이터 확인 및 수정 기능-Check and modify collected data stored in DB

- 설정 정보 파일(XML)로 관리 함으로 설정 정보의 DB관리 기능-DB management function of setting information by managing with setting information file (XML)

- 최근 수집 사이트 및 저장 건수 열람 기능-View recently collected sites and storage

- 수집로그 및 히스토리를 조회하는 기능-Ability to query collected log and history

- 날짜 별 그룹 별 로그를 확인하는 기능-Ability to check logs by group by date

- 수집 상황 모니터링 기능, 수집/추출 오류 확인 기능-Collection status monitoring function, collection / extraction error check function

- 이전에 수집했던 게시물에 새로 추가된 게시물만을 수집하는 기능-Ability to collect only posts newly added to previously collected posts

- 일별 수집 통계 정보 제공-Provide daily collection statistics

- 로봇 타이머 기능(지정된 시간에 수집)-Robot timer function (collected at the designated time)

도 5는 콘텐츠 분류부(102)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콘텐츠 분류부(102)의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content classification unit 102.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content classification unit 10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콘텐츠 분류부(102)는 크게 콘텐츠 분류 체계(210), 개체 인식(220), 비정형 오토태깅(230), 및 자동 분류(240)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5 and 6, the content classification unit 102 is largely configured to perform the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210, the object recognition 220, the atypical auto tagging 230, and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240.

단계 S10에서, 콘텐츠 분류부(102)는 콘텐츠 분류 체계(120)로서, 콘텐츠를 제목, 문화설명, 및 콘텐츠 ID와 같은 정형 데이터와, 비디오, 이미지, 오디오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로 분류한다.In step S10, the content classification unit 102 is a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120, and classifies the content into structured data such as title, culture description, and content ID, and unstructured data such as video, image, and audio.

단계 S20에서, 콘텐츠 분류부(102)는 자동 분류(240)로서, 수집된 콘텐츠로부터 자질 추출(명사 추출)을 수행한다. 콘텐츠 분류부(102)는 수집된 콘텐츠의 텍스트를 가공하기 위해 문자 기호를 배제하며, 형태소 분석을 통해 명사를 추출한다.In step S20, the content classifying unit 102 is an automatic classification 240, and performs feature extraction (noun extraction) from the collected content. The content classifying unit 102 excludes character symbols to process the text of the collected content, and extracts nouns through morphological analysis.

명사를 추출하는 과정은 형태소 분석에 의해 각 문장이 가지고 있는 형태소를 분류하고 그 중 명사들을 추출하여 리스트를 작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자연 언어 처리에서 말하는 형태소 분석이란 어떤 대상 어절의 모든 가능한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형태소 분석 이란 형태소를 비롯하여, 어근, 접두사/접미사, 품사(POS, part-of-speech) 등 다양한 언어적 속성의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The process of extracting nouns means the process of classifying the morphemes of each sentence by morphological analysis and extracting nouns from them to create a list. Morphological analysi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ans outputting all possible analysis results for a given word. Morphological analysis is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various linguistic attributes, including morphemes, roots, prefix / suffixes, and part-of-speech (POS).

단계 S30에서, 콘텐츠 분류부(102)는 명사 추출을 이용하여 카테고리 후보군 리스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각 콘텐츠는 텍스트로 부가 설명이 되어 있으며, 콘텐츠 분류부(102)는 설명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추출하기 위해 명사 추출을 이용하여 카테고리 후보군 리스트를 생성하게 된다.In step S30, the content classification unit 102 generates a category candidate group list using noun extraction. Here, each content is additionally explained in text, and the content classifying unit 102 generates a category candidate group list using noun extraction to extract keywords included in the description.

콘텐츠 분류부(102)는 카테고리 후보군 리스트에서 특정한 단어가 자주 사용되는지 TF-IDF 가중치를 이용하여 빈도가 높은 핵심 카테고리 리스트를 선정한다.The content classification unit 102 selects a core category list with a high frequency by using the TF-IDF weight whether a specific word is frequently used in the category candidate group list.

TF-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가중치는 언어 자료 내의 특정 문서에서 어떤 단어의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계적인 수치이다.TF-IDF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weight is a statistical value used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a word in a particular document in a language document.

가중치 계산은 정보이론에 따라 정보량이 많은 단어에 중요도를 부여하고 계산TF(Term Frequency)-IDF(Inverse Document Frequency)를 사용한다.The weight calculation assigns importance to words with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according to information theory and uses calculation term frequency (TF) -inverse document frequency (IDF).

Figure 112018118769915-pat00001
Figure 112018118769915-pat00001

수학식 1은 TF-IDF 가중치 식을 설명하는 것으로,

Figure 112018118769915-pat00002
는 콘텐츠
Figure 112018118769915-pat00003
에서 출현한
Figure 112018118769915-pat00004
번째 단어의 가중치를 나타냄.
Figure 112018118769915-pat00005
는 콘텐츠
Figure 112018118769915-pat00006
에서
Figure 112018118769915-pat00007
번째 단어가 나타난 빈도를 콘텐츠
Figure 112018118769915-pat00008
에서 나타난 최대 빈도수로 정규화 한 값으로 0부터 1사이의 실수 값을 가지며,
Figure 112018118769915-pat00009
은 총 콘텐츠의 개수를 말하고,
Figure 112018118769915-pat00010
Figure 112018118769915-pat00011
번째 자질이 나타난 데이터의 수를 말한다.Equation 1 describes the TF-IDF weight expression.
Figure 112018118769915-pat00002
Content
Figure 112018118769915-pat00003
Emerged from
Figure 112018118769915-pat00004
Indicates the weight of the first word.
Figure 112018118769915-pat00005
Content
Figure 112018118769915-pat00006
in
Figure 112018118769915-pat00007
The frequency at which the first word appeared
Figure 112018118769915-pat00008
Normalized to the maximum frequency shown in, with a real value between 0 and 1.
Figure 112018118769915-pat00009
Is the total number of content,
Figure 112018118769915-pat00010
Is
Figure 112018118769915-pat00011
The number of data in which the first feature appears.

단계 S40에서, 콘텐츠 분류부(102)는 핵심 카테고리 리스트를 다양한 분류기법(Naive Bayesian, SVM, CNN)을 적용하여 학습을 시키며 전통문화 콘텐츠 자동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예를 들면, 콘텐츠 분류부(102)는 TF-IDF를 거친 어휘 벡터를 통해 카테고리 별 텍스트 벡터를 생성한다. 콘텐츠 분류부(102)는 생성된 카테고리 별 텍스트 벡터를 SVM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분류 및 학습을 한다. SVM(Support Vector Machine)은 기계 학습 분야 중 하나로서, 데이터가 어느 카테고리에 속할지 판단하는 이진 선형 분류 모델이다.In step S40, the content classification unit 102 learns the core category list by applying various classification techniques (Naive Bayesian, SVM, CNN) and applies the traditional culture content automatic classification algorithm. For example, the content classifier 102 generates a text vector for each category through a lexical vector that has passed through TF-IDF. The content classifying unit 102 classifies and learns the generated category-specific text vector using an SVM algorithm. Support Vector Machine (SVM) is one of the field of machine learning. It is a binary linear classification model that determines which category the data belongs to.

대안적으로, 콘텐츠 분류부(102)는 Deep Learning의 종류 중 하나인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자질을 선정할 수 있다. CNN은 최소한의 전처리(preprocess)를 사용하도록 설계된 다계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s)의 한 종류이다. CNN은 하나 또는 여러개의 합성곱 계층과 그 위에 올려진 일반적인 인공 신경망 계층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중치와 통합 계층(pooling layer)들을 추가로 활용하는 방식이다.Alternatively, the content classifier 102 may select a feature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which is one of types of deep learning. CNN is a type of multilayer perceptrons designed to use minimal preprocessing. CNN consists of one or several convolutional layers and a common artificial neural network layer on top of it, which utilizes additional weights and pooling layers.

단계 S50에서, 콘텐츠 분류부(102)는 새로운 전통문화 콘텐츠 데이터가 입력될 시 분류기법을 통해 학습된 전통문화 콘텐츠 자동분류 기술을 통해 통합된 데이터분류체계로 분류한다.In step S50, when the new traditional culture content data is input, the content classification unit 102 classifies the integrated data classification system through the automatic traditional culture content classification technology learn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technique.

도 7은 콘텐츠 분류부(102)의 개체 인식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bject recognition method of the content classification unit 102.

도 7을 참조하면, 콘텐츠 분류부(102)는 텍스트 데이터 개체를 인식함에 있어서, 문자열 검색에 빠르고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Boyer-Moore와 Knuth-Morris-Pratt 2가지 알고리즘을 이용한다.Referring to FIG. 7, the content classifying unit 102 uses two algorithms, Boyer-Moore and Knuth-Morris-Pratt, which are fast and excellent in string search in recognizing a text data entity.

구체적으로, 콘텐츠 분류부(102)가 전통문화의 고유명사개체 인식을 위한 인식 대상의 데이터 종류는 텍스트(71), 이미지(72), 비디오(73)로 총 3가지로 구분된다.Specifically, the content classification unit 102 is divided into three types of data to be recognized for recognizing the proper noun object of the traditional culture: text 71, image 72, and video 73.

콘텐츠 분류부(102)는 인식 대상인 텍스트(71)를 텍스트 검색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추출된 텍스트와 저장된 데이터(예: 고유 코드)를 교차 검증을 수행한다. 콘텐츠 분류부(102)는 텍스트의 교차 검증이 완료되면 고유명사개체로 분류한다.The content classifying unit 102 applies a text search algorithm to the text 71 to be recognized, and cross-verifies the extracted text and the stored data (eg, a unique code). The content classifying unit 102 classifies the proper noun object when the cross validation of the text is completed.

콘텐츠 분류부(102)는 인식 대상인 이미지(72)를 포착 및 인식하고, 이미지 캡셔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이미지로부터 텍스트를 변환 및 추출한다. 콘텐츠 분류부(102)는 변환된 텍스트에 대하여 인식 대상인 텍스트(71)와 동일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고유명사개체로 분류한다.The content classifying unit 102 captures and recognizes the image 72 that is a recognition target, and converts and extracts text from the image by applying an image captioning algorithm. The content classifying unit 102 classifies the converted text into proper noun objects by applying the same algorithm as the text 71 to be recognized.

콘텐츠 분류부(102)는 인식 대상인 비디오(73)로부터 특정 키 프레임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키 프레임이 추출되면 해당 키 프레임에 대하여 이미지 캡셔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텍스트럴 변환 및 추출하거나, 비디오의 색 히스토그램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추출된 벡터 성분과 저장된 데이터를 교차검증을 수행하여 고유명사개체로 분류한다.The content classifying unit 102 performs an algorithm for extracting a specific key frame from the video 73, which is a recognition target, and when the key frame is extracted, applies a image captioning algorithm to the corresponding key frame, and converts and extracts the text or the video. The color histogram algorithm is applied to classify extracted vector components and stored data into proper nouns.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20)의 디지털 연표 생성 기능을 설명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기초 디지털 연표의 예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기초 디지털 연표의 다른 예시이다. 도 11은 기초 디지털 연표와 매핑되어 시각화되는 연관 콘텐츠 표시 화면의 예시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20)의 디지털 연표 생성 기능을 설명한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gital timeline generation function of the platform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illustration of a basic digital timeline generated by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other example of a basic digital timeline generated by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ample of a related content display screen mapped and visualized with a basic digital timeline. Hereinafter, the digital timeline generation function of the platform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단계 S401에서, 디지털 연표 생성부(300)는 콘텐츠 수집 및 분류부(100)를 통해 디지털 연표를 생성하기 위한 전통문화 콘텐츠를 수집한다.In step S401, the digital timeline generator 300 collects traditional culture content for generating a digital timeline through the content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unit 100.

단계 S402에서, 디지털 연표 생성부(300)는 데이터 저장부(200)의 CCDW에 매핑되도록 수집된 콘텐츠를 적재한다.In step S402, the digital timeline generation unit 300 loads the collected content to be mapped to the CCDW of the data storage unit 200.

단계 S403에서, 디지털 연표 생성부(300)는 전통문화 콘텐츠의 특성 중에서 시간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간 데이터에 기반하여 기초 디지털 연표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연표 생성부(300)는 일 또는 주간 배치를 통해 연표 데이터 추출하여 연표작성 프로세스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디지털 연표(601)는 연대, 시대, 국가, 및 사건 의 기준에 따라 시간순으로 세로 방향으로 정렬된 표로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디지털 연표(602)는 연대, 시대, 국가, 및 사건 의 기준에 따라 시간순으로 가로 방향으로 정렬된 표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기초 디지털 연표(602)는 고대, 삼국시대, 남북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와 같이 시대별로 선택하여 연표를 열람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In step S403, the digital timeline generation unit 300 extracts time data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culture content, and generates a basic digital timeline based on the extracted time data. For example, the digital timeline generator 300 extracts timeline data through a day or weekly arrangement to proceed with the timeline cre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the basic digital timeline 601 may be generated as a tabl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hronological order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age, era, country, and ev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the basic digital timeline 602 may be generated in a tabl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chronological order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age, era, country, and event. In addition, the basic digital timeline 602 may be provided so that the timeline may be selected by period, such as ancient times,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North and South Korea Periods, the Korea Period, the Joseon Period, and the Modern Age.

단계 S404에서, 디지털 연표 생성부(300)는 시간 데이터와 콘텐츠 연결망 분석에 따라 디지털연표와 콘텐츠 매핑을 수행한다. 콘텐츠 매핑은 자동 매핑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지털 연표 생성부(300)는 전문가 또는 사용자의 참여를 통한 콘텐츠 매핑의 수정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step S404, the digital timeline generation unit 300 performs digital timeline and content mapping according to time data and content network analysis. Content mapping may be performed in an automatic mapping manner. Alternatively, the digital timeline generation unit 300 may be set to enable modification of content mapping through participation of experts or users.

단계 S405에서, 디지털 연표 생성부(300)는 기초 디지털 연표와 매핑된 콘텐츠들을 시각화 하여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디지털연표는 타임라인에 콘텐츠를 mapping 하여 출력된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연표 생성부(300)는 콘텐츠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면 콘텐츠 관계 분석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맵(603)을 제공하도록 설정된다. 대안적으로, 디지털 연표 생성부(300)는 콘텐츠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면 해당 콘텐츠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In step S405, the digital timeline generator 300 visualizes and outputs contents mapped to the basic digital timeline. At this time, the digital timeline provided to the user is output by mapping the content on the timelin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the digital timeline generation unit 300 is set to provide a content map 603 provided through content relationship analysis when content is selected by a user. Alternatively, the digital timeline generator 300 may be set to move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page when the content is selected by the user.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연표 및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digital timeline and a user interface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2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검색 메인 화면의 예시이다.12 is an illustration of a search main screen provided to a user in accordance with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검색 메인 화면(1200)은 검색어를 입력하는 입력 창(1201)과, 상기 검색어를 기반으로 연표 검색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연표 검색 버튼(12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검색어로서 '이순신'을 입력 창(1201)에 입력한 다음 검색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이순신'과 관련한 콘텐츠 맵(603)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검색어로서 '이순신'을 입력 창(1201)에 입력한 다음 연표 검색 버튼(1202)을 누르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이순신'과 관련한 디지털 연표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search main screen 1200 may include an input window 1201 for inputting a search word and a time search button 1202 for executing a time search function based on the search word. For example, if a user enters 'Yi-Shin' as a search term in the input window 1201 and then searches,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content map 603 related to 'Yi-Shin'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 Alternatively, when the user inputs 'Yi-Shin' as a search term in the input window 1201 and then presses the time-line search button 1202,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digital time-sheet related to 'Yi'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have.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메인 화면(1200)에서 입력 창(1201)의 아래에는 추천 콘텐츠(1203)가 제공될 수 있다. 추천 콘텐츠는, 예를 들면, 검색 순위의 상위에 랭크된 검색어, 사용자가 이전에 입력한 검색어, 또는 사용자가 이전에 입력한 검색어와 유사한 분야의 검색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commended content 1203 may be provided below the input window 1201 in the search main screen 1200. The recommended content may be, for example, a search word ranked above the search ranking, a search word previously input by the user, or a search term in a field similar to the search word previously input by the user.

도 13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 맵의 제공 화면의 예시이다.13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providing a content map provided to a user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용자의 검색어 입력에 기반하여 콘텐츠 맵(1301)(예: 603)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검색어로서 '이순신'을 입력 창(1201)에 입력한 다음 검색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이순신'과 관련한 콘텐츠 맵(603)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시스템은 콘텐츠 맵(1301)을 표시하는 화면에서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디지털 연표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1302)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버튼(1302)은 콘텐츠 맵(1301)을 표시하는 화면에서 상측 메뉴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system may provide a content map 1301 (eg, 603) based on a user's search word input. For example, if a user enters 'Yi-Shin' as a search term in the input window 1201 and then searches,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content map 603 related to 'Yi-Shin'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 In this case,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button 1302 for displaying a digital timeline associated with the search word on a screen displaying the content map 1301. For example, the button 1302 may be located in an upper menu on a screen displaying the content map 1301.

도 14는 디지털 연표의 조작 방법을 설명하는 안내 화면의 예시이다.14 is an example of a guide screen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igital timeline.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연표 생성부(300) 사용자로부터 디지털 연표 표시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초기 화면으로서 디지털 연표의 조작 방법을 설명하는 안내 화면(140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안내 화면(1400)은 예를 들면, 터치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는 조작 방법의 제 1 안내 문구(1401), 스크롤을 이용하는 조작 방법의 제 2 안내 문구(1402), 및/또는 키보드의 방향키를 이용하는 조작 방법의 제 3 안내 문구(140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in response to receiving a digital timeline display request from a user of the digital timeline generation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screen 1400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digital timeline as an initial screen may be provided. . The guide screen 1400 may be, for example, a first guide phrase 1401 of a manipulation method using a touch or a mouse, a second guide phrase 1402 of a manipulation method using a scroll, and / or an operation using a direction key of a keyboard. The third guidance phrase 1403 of the method may include.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연표 제공 화면의 예시이다.15 is an illustration of a digital timeline provid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연표 생성부(300)는 디지털 연표를 2D 방식 또는 3D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직관적일 수 있는 3D 방식의 디지털 연표(1500)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digital timeline generation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provide a digital timeline in a 2D or 3D manner, and as shown in FIG. 15, a digital timeline in a 3D manner may be more intuitive as shown. 1500 may be provided.

디지털 연표(1500)는 Y축 방향(예: 세로 방향)으로 시대 및 시간을 나타내는 타임라인(1503)이 배치되고, X축 방향(예: 가로 방향)으로 복수의 분류 카테고리(1502)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분류 카테고리(1502)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콘텐츠들(1602)이 상기 타임라인(1503)에 매핑(mapping)되도록 Y축 방향(예: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다.In the digital timeline 1500, a timeline 1503 indicating an age and time is disposed in the Y-axis direction (e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ategories 1502 are disposed in the X-axis direction (eg,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contents 1602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ategories 1502 are arranged in the Y-axis direction (eg,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mapped to the timeline 1503.

디지털 연표(1500)의 일부 영역에는 복수의 분류 카테고리(1502)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메뉴(1501)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선택 메뉴(1501)는 디지털 연표(1500)의 우측 상단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분류 카테고리(1502)를 추가 및 삭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선택 메뉴(1501)를 통해 분류 카테고리(1502)를 지정하면, 지정된 분류 카테고리(1502)는 디지털 연표(1500)의 하단에 X축 방향(예: 가로 방향)으로 배열 및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분류 카테고리(1502)는 인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물에 관련한 콘텐츠가 디지털 연표(1500)의 중심축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some regions of the digital timeline 1500, a selection menu 1501 may be arranged to allow a user to set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ategories 1502. For example, the selection menu 150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digital timeline 1500 and may include a function of adding and deleti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ategories 1502. When the user designates the classification category 1502 through the selection menu 1501, the designated classification category 1502 may be arranged and generated in the X axis direction (eg, horizont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digital timeline 1500. .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ategories 1502 may include a person, and the content related to the person may be arranged to be the central axis of the digital timeline 1500.

좀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선택 메뉴(1501)를 통해 '문헌'과 '인물'을 선택하게 되면, X축 방향(예: 가로 방향)으로 복수의 분류 카테고리(1502)에는 '문헌'과 '인물'만 표출이되고, '유산', '장소' 및 '사건'은 표출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가 선택 메뉴(1501)를 통해 선택된 분류 카테고리만 표출될 수 있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document' and 'person' through the selection menu 1501, the 'document' i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ategories 1502 in the X-axis direction (e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only 'personality' are expressed, and 'heritage', 'place' and 'event' are not expressed. That is, only the classification category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election menu 1501 may be displayed.

디지털 연표(1500)의 다른 일부 영역에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시대로 타임라인(1503)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시대 이동 메뉴(1505)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대 이동 메뉴(1505)는 선사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및 근현대사와 같은 지정된 시대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지정된 시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타임라인(1503)은 해당 시대로 이동하여 표시될 수 있다.In some other areas of the digital timeline 1500, an age shift menu 1505 may be disposed to allow the user to move the timeline 1503 to a predetermined age. For example, the period movement menu 1505 may include a designated era such as prehistoric times, three kingdoms, unified Silla, Goryeo, Chosun,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specified eras. When selected, the timeline 1503 may be moved to the corresponding era and displayed.

이러한 디지털 연표(1500)는 타임라인(1503)에 매핑된 콘텐츠들(1602)이 3D 로드뷰 형식으로 3차원의 타임 라인이 형성된 공간에 배열될 수 있고,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터치 입력을 통해 상하 스크롤(1506)을 할 경우, 시대가 이동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측 방향으로 스크롤을 할 경우 디지털 연표(1500)는 상기 공간에서 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타임 라인(1503)은 과거 시대로 변경되고, 사용자가 하측 방향으로 스크롤을 할 경우 디지털 연표(1500)는 상기 공간에서 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타임 라인(1503)은 미래 시대로 변경될 수 있다.The digital timeline 1500 may be arranged in a space in which the contents 1602 mapped to the timeline 1503 are formed in a 3D timeline in a 3D road view format, and the user scrolls up and down through a mouse or touch input. In the case of 1506, the times may move and be displayed. For example, when the user scrolls upward, the digital timeline 1500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in the space, while the timeline 1503 changes to the past, and the user scrolls downward. The timeline 1503 may change into a future era while the timeline 1500 moves in a backward direction in the space.

그리고, 디지털 연표(1500)의 영역에는 시대 이동 메뉴(1505)의 상단부에 검색창(1504)이 배치되는데, 이는 해당 키워드로 연표검색 이동시 활용하게 된다.In the area of the digital timeline 1500, a search window 1504 is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time movement menu 1505, which is used when moving the timeline search using the corresponding keyword.

예를 들면, 상기 검색창(1504)을 통해 이순신을 검색하면 타임라인(1503)에 매핑된 콘텐츠들(1602) 중에서 해당된 연표상의 이순신으로 이동하는 것이다.For example, searching for Yi Sun Shin through the search box 1504 moves to Yi Sun Shin on the corresponding timeline among the contents 1602 mapped to the timeline 1503.

이하,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도 15에 도시된 디지털 연표(1500)의 구체적인 조작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operation method of the digital timeline 1500 illustrated in FIG. 1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19.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디지털 연표를 조작하여 콘텐츠를 열람하는 예시이다.16A to 16C illustrate examples of viewing content by manipulating the digital time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복수의 콘텐츠들(1504)은 타임라인에 매핑되어 노드형식으로 배열되고, 사용자가 임의의 노드를 선택하면, 해당 노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설명하는 콘텐츠 팝업이 표시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tents 1504 are mapped to the timeline and arranged in the form of a node, and when a user selects an arbitrary node, a content pop-up describ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ode may be displayed.

예를 들면,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팝업은 인물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인물 콘텐츠 팝업(160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순신'을 사용자가 검색한 경우, '이순신'과 관련한 노드들이 디지털 연표 화면(1600)의 중앙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터치를 통해 이순신과 관련한 노드들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1504)를 선택하면, '이순신'과 관련한 메타 정보를 요약하여 표시하는 인물 콘텐츠 팝업(1601)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다른 콘테츠를 선택하거나 취소 입력을 하면, 인물 콘텐츠 팝업(1601)은 닫힐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6A, the content popup may include a person content popup 1601 for explaining the person content. For example, if the user searches for 'Yi-Shin', the nodes related to 'Yi-Shin-Shin'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digital timeline screen 1600, and the user selects the contents of any one of the nodes related to Yi-Shin through the mouse or touch. 1504, a person content popup 1601 may be generated that summarizes and displays meta information related to 'Yi Sun Shin'. 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or cancels another content, the person content popup 1601 may be closed.

다른 예로, 도 16b를 참조하면, X축 방향(예: 가로 방향)으로 복수의 분류 카테고리(1502)는 사건을 포함할 수 있고, 콘텐츠 팝업은 사건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사건 콘텐츠 팝업(160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순신'을 사용자가 검색한 경우, 이순신과 관련한 노드들이 디지털 연표 화면(1600)의 중앙에 위치하고, '이순신'과 관련한 사건들과 관련한 노드들이 디지털 연표 화면(160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이순신'과 관련한 사건으로서 한산대첩을 선택하면, '한산대첩'과 관련한 메타 정보를 요약하여 표시하는 사건 콘텐츠 팝업(1603)이 생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16B,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ategories 1502 may include an event in an X-axis direction (eg,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ontent popup may include an event content popup 1603 for describing the event content. It may include. For example, when a user searches for 'Yi Sun Shin', nodes related to Yi Sun Shin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digital timeline screen 1600, and nodes related to events related to 'Yi Sun Shin' are located on one side of the digital timeline screen 1600. Can be located. If the user selects Hansan Battalion as an event related to 'Yi Sun Shin', an event content popup 1603 may be generated that summarizes and displays meta information related to 'Hansan Battalion'.

또 다른 예로, 도 16c를 참조하면, X축 방향(예: 가로 방향)으로 복수의 분류 카테고리(1502)는 사건을 포함할 수 있고, 콘텐츠 팝업은 유물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유물 콘텐츠 팝업(160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순신'을 사용자가 검색한 경우, '이순신'과 관련한 노드들이 디지털 연표 화면(1600)의 중앙에 위치하고, '이순신'과 관련한 유물들과 관련한 노드들이 디지털 연표 화면(1600)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이순신'과 관련한 것으로서 '닌중일기'를 선택하면, '난중일기'와 관련한 메타 정보를 요약하여 표시하는 유물 콘텐츠 팝업(1604)이 생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16C,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ategories 1502 may include an event in an X-axis direction (eg,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ontent popup may include an artifact content popup 1604 for describing the artifact content. It may include. For example, when a user searches for 'Yi Sun Shin', nodes related to 'Yi Sun Shin'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digital timeline screen 1600, and nodes related to artifacts related to 'Yi Sun Shin' are displayed on the digital timeline screen 1600. It may be located on the other side. If the user selects 'Ninja Diary' as related to 'Yi Sun Shin', the artifact content popup 1604 may be generated that summarizes and displays meta information related to 'Difficult Diary'.

도 17은 콘텐츠 팝업 창에 포함된 특정 메타 정보 아이콘의 선택에 의해 표시되는 상세 페이지의 예시이다.17 is an example of a detail page displayed by selection of a specific meta information icon included in a content popup window.

도 17을 참조하면, 콘텐츠 팝업(1702)은 해당 노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설명하는 설명 외에도 상세 메타 정보들을 열람하기 위한 상세 정보 아이콘(170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팝업(1702)에서 상세 정보 아이콘(1703)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디지털 연표(1700)는 상세 페이지(1701)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세 페이지(1701)는 디지털 연표(1700) 상에 오버랩하여 생성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세 페이지(1701)의 크기 및 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content popup 1702 may include a detailed information icon 1703 for reading detailed meta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description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node.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detail information icon 1703 in the content popup 1702, the digital timeline 1700 may output the detail page 1701. For example, the detail page 1701 may be generated by overlapping on the digital timeline 1700, and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detail page 1701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user input.

도 18은 콘텐츠 팝업 창에 포함된 특정 메타 정보 아이콘의 선택에 의해 표시되는 콘텐츠에 대한 지식 관계도의 예시이다.18 is an illustration of a knowledge relationship diagram for content displayed by selection of a specific meta information icon included in a content popup window.

도 18을 참조하면, 콘텐츠 팝업(1802)은 해당 노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설명하는 설명 외에도 지식 관계 메타 정보들을 열람하기 위한 지식 관계 아이콘(180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팝업(1802)에서 지식 관계 아이콘(1803)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디지털 연표(1800)는 지식 관계도 페이지(1801)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식 관계도 페이지(1801)는 디지털 연표(1800) 상에 오버랩하여 생성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식 관계도 페이지(1801)의 크기 및 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content popup 1802 may include a knowledge relationship icon 1803 for reading knowledge relationship meta information in addition to a description of content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node.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knowledge relation icon 1803 in the content popup 1802, the digital timeline 1800 may output the knowledge relation diagram page 1801. For example, the knowledge relationship page 1801 may be generated by overlapping on the digital timeline 1800, and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knowledge relationship page 1801 may be adjusted based on a user input.

도 19는 콘텐츠 팝업 창에 포함된 특정 메타 정보 아이콘의 선택에 의해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자료의 예시이다.19 is an example of multimedia material displayed by selection of a specific meta information icon included in a content pop-up window.

도 19를 참조하면, 콘텐츠 팝업(1902)은 해당 노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설명하는 설명 외에도 멀티미디어 자료들을 열람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아이콘(190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팝업(1902)에서 멀티미디어 아이콘(1903)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디지털 연표(1900)는 멀티미디어 재생 페이지(1901)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페이지(1901)는 디지털 연표(1900) 상에 오버랩하여 생성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멀티미디어 재생 페이지(1901)의 크기 및 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the content popup 1902 may include multimedia icons 1903 for reading multimedia materials in addition to the description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ode.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multimedia icon 1903 in the content popup 1902, the digital timeline 1900 may output the multimedia playback page 1901. For example, the multimedia playback page 1901 may be generated by overlapping on the digital timeline 1900, and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multimedia playback page 1901 may be adjusted based on user input.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통문화 3D 디지털 연표 표출 시스템으로는, 전통문화콘텐츠 분류체계를 수립하여 디지털 연표 표출 시스템을 자동으로 표출함으로써, 정보 이용자에게 체계적인 분류 및 검색 기능을 제공함과 아울러 전통문화 융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traditional culture 3D digital timeline express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stablishing a traditional culture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and automatically expressing the digital timeline expression system,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search to information users In addition to providing functions,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services for convergence of traditional cultur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features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전통문화 콘텐츠
20: 전통문화 융복합 지원을 위한 지능형 검색 플랫폼
30: 디지털 연표 생성부
10: Traditional Culture Content
20: Intelligent Search Platform for Convergence of Traditional Culture
30: digital timeline generator

Claims (4)

전통문화 관련 영상 콘텐츠,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의 비정형 콘텐츠를 정형화하고, 정형화된 콘텐츠를 기존의 정형 콘텐츠와 통합하여 저장하는 전통문화 콘텐츠 데이터 웨어하우스(CCDW(Cultural Contents Data Warehouse))로 정의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여, 외부 장치에서 공개된 복수의 전통문화 콘텐츠를 수집하는 기능, 수집된 전통문화 콘텐츠를 분류 및 저장하는 기능, 저장된 전통문화 콘텐츠에 기반하여, 디지털 연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연표를 생성하는 기능은 각 전통 문화 사이트를 통해 정형,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작,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상기 전통문화 콘텐츠 데이터 웨어하우스(CCDW(Cultural Contents Data Warehouse))에 매핑되도록 수집된 콘텐츠를 적재하는 동작, 전통문화 콘텐츠의 특성 중에서 시간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간 데이터에 기반하여 기초 디지털 연표를 생성하는 동작, 시간 데이터와 콘텐츠 연결망 분석에 따라 디지털연표와 콘텐츠 매핑을 수행하는 동작, 및 기초 디지털 연표와 매핑된 콘텐츠들을 3D로 시각화 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3D로 시각화된 디지털 연표는, Y축 방향으로 시대 및 시간을 나타내는 타임라인이 배치되고, X축 방향으로 복수의 분류 카테고리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분류 카테고리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콘텐츠들이 상기 타임라인에 매핑(mapping)되도록 상기 Y축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3D로 시각화된 디지털 연표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복수의 분류 카테고리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메뉴가 배치되고, 상기 디지털 연표의 다른 일부 영역에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시대로 상기 타임라인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시대 이동 메뉴가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분류 카테고리는 인물, 사건, 및 유물을 포함하고, 상기 인물이 상기 디지털 연표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타임라인에 매핑된 콘텐츠들은 3D 로드뷰 형식으로 3차원의 타임 라인이 형성된 공간에 배열되고,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터치 입력을 통해 상하 스크롤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연표의 시대가 이동하여 표시되며,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은 타임라인에 매핑되어 노드형식으로 배열되고, 사용자가 임의의 노드를 선택하면, 해당 노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설명하는 콘텐츠 팝업이 표시되며, 상기 콘텐츠 팝업은 인물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인물 콘텐츠 팝업, 사건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사건 콘텐츠 팝업, 및 유물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유물 콘텐츠 팝업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팝업 각각은 해당 노드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대한 설명, 상기 노드의 상세 메타 정보들을 열람하기 위한 상세 정보 아이콘, 상기 노드의 지식 관계도를 열람하기 위한 지식 관계 아이콘 및 상기 노드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열람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아이콘을 포함하되,
상기 인물, 사건, 및 유물에 대한 검색어를 입력하는 입력 창과, 상기 검색어를 기반으로 연표 검색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연표 검색 버튼이 포함된 검색 메인 화면이 구성되고, 상기 입력 창에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인 인물을 입력하여 검색하면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인물과 관련한 콘텐츠 맵을 제공하고, 상기 입력 창에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인 인물을 입력한 다음 연표 검색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인물과 관련한 디지털 연표를 제공하며, 상기 검색 메인 화면에 구성된 입력 창의 아래에는 추천 콘텐츠가 제공되고, 상기 추천 콘텐츠는 검색 순위의 상위에 랭크된 검색어, 사용자가 이전에 입력한 검색어, 또는 사용자가 이전에 입력한 검색어와 유사한 분야의 검색어이며, 상기 콘텐츠 맵은 화면에서 검색어와 연관된 디지털 연표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이 제공되고, 상기 버튼은 콘텐츠 맵을 표시하는 화면에서 상측 메뉴에 위치되며,
상기 디지털 연표를 생성하는 기능에는 디지털 연표 생성부가 구성되고, 상기 디지털 연표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디지털 연표 표시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초기 화면으로서 디지털 연표의 조작 방법을 설명하는 안내 화면이 제공되며, 상기 안내 화면은 터치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는 조작 방법의 제 1 안내 문구와, 스크롤을 이용하는 조작 방법의 제 2 안내 문구와, 키보드의 방향키를 이용하는 조작 방법의 제 3 안내 문구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연표 생성부는 디지털 연표를 3D 방식으로 제공하며, 상기 3D 방식의 디지털 연표의 일부 영역에는 복수의 분류 카테고리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메뉴가 배치되고, 상기 선택 메뉴는 디지털 연표의 우측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분류 카테고리를 추가 및 삭제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선택 메뉴를 통해 분류 카테고리를 지정하면 지정된 분류 카테고리는 디지털 연표의 하단에 X축 방향으로 배열 및 생성되고, 상기 복수의 분류 카테고리는 인물을 포함하고, 상기 인물에 관련한 콘텐츠가 디지털 연표의 중심축이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디지털 연표의 영역에는 시대 이동 메뉴의 상단부에 해당 키워드로 연표검색 이동시 활용하는 검색창이 배치되고, 상기 검색창을 통해 인물을 검색하면 타임라인에 매핑된 콘텐츠들 중에서 해당된 연표상의 인물로 이동하며,
상기 콘텐츠 팝업은 해당 노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설명하는 설명 외에도 상세 메타 정보들을 열람하기 위한 상세 정보 아이콘이 포함되고, 상기 콘텐츠 팝업에서 상세 정보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디지털 연표는 상세 페이지을 출력하며, 상기 상세 페이지는 디지털 연표 상에 오버랩하여 생성되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세 페이지의 크기 및 위치가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콘텐츠 팝업은 해당 노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설명하는 설명 외에도 지식 관계 메타 정보들을 열람하기 위한 지식 관계 아이콘이 포함되고, 상기 콘텐츠 팝업에서 지식 관계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디지털 연표는 지식 관계도 페이지을 출력하며, 상기 지식 관계도 페이지는 디지털 연표 상에 오버랩하여 생성되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식 관계도 페이지의 크기 및 위치가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콘텐츠 팝업은 해당 노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설명하는 설명 외에도 멀티미디어 자료들을 열람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아이콘이 포함되고, 상기 콘텐츠 팝업에서 멀티미디어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디지털 연표는 멀티미디어 재생 페이지을 출력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페이지는 디지털 연표 상에 오버랩하여 생성되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멀티미디어 재생 페이지의 크기 및 위치가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문화 융복합 지원을 위한 3D 디지털 연표 표출 시스템.
Data defined by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data warehouse (CCDW) that formalizes the unstructured content of traditional culture-related image content, images, and text contents and integrates and stores the structured content with existing structured content. Including a storage unit, a function of collecting a plurality of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disclosed from an external device, a function of classifying and storing the collected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and a function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 digital timeline based on the stored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and,
The function of generating the digital timeline is to collect the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through each traditional culture site, and to collect the content collected to be mapped to the traditional contents content warehouse (CCDW) of the data storage unit. Loading time, extracting time data from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ulture content, generating a basic digital timeline based on the extracted time data, performing digital timeline and content mapping according to time data and content network analysis, and 3D visualization and output of the basic digital timeline and the mapped content,
In the digital timeline visualized in 3D, a timeline indicating an age and a time is arranged in the Y-axis direction,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ategories are arrang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ategories are displayed. Arranged in the Y-axis direction to map to a timeline.
In some areas of the digital timeline visualized in the 3D, a selection menu is arranged to allow the user to set the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ategories, and in another part of the digital timeline, the user can move the timeline to a predetermined time. To move the age menu,
The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ategories include a person, an event, and an artifact, wherein the person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digital timeline,
The contents mapped to the timeline are arranged in a space where a three-dimensional timeline is formed in a 3D road view format, and the times of the digital timeline are displayed by moving in response to the user scrolling up and down through a mouse or a touch input.
The plurality of contents are mapped to a timeline and arranged in a node form, and when a user selects an arbitrary node, a content pop-up describ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ode is displayed, and the content pop-up is used to describe person content. A person content popup, an event content popup for describing the event content, and an artifact content popup for describing the artifact content,
Each of the content pop-ups includes a description of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ode, a detailed information icon for viewing detailed meta information of the node, a knowledge relation icon for reading a knowledge relationship diagram of the node, and a multimedia material of the node. Include a multimedia icon for
A search main screen including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search word for the person, an event, and an artifact, and a time search button for executing a time search function based on the search word, is included in the input window. Searching by inputting a person provides a content map related to the person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If the user inputs a person's desired search term in the input window, and then presses a timeline search button, the user searches for a digital timeline related to the person in response to the user's input. And recommended content is provided below an input window configured in the search main screen, and the recommended content is similar to a search word ranked above a search rank, a search word previously entered by a user, or a search word previously entered by a user. Is a search term in the field, and the content map is a digital association associated with the A button for displaying a table is provided, and the button is located in an upper menu on a screen displaying a content map.
The digital timeline generation function includes a digital timeline generation unit, and the digital timeline gener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guide screen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digital timeline as an initial screen in response to receiving a request for displaying a digital timeline from a user. The guide screen includes a first guide phrase of a manipulation method using a touch or a mouse, a second guide phrase of a manipulation method using a scroll, a third guide phrase of a manipulation method using a direction key of a keyboard,
The digital timeline generator provides a digital timeline in a 3D manner, and a selection menu for allowing a user to set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ategories is disposed in a portion of the digital timeline of the 3D method, and the selection menu is located at the upper right of the digital timeline. And a function of adding and deleting the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ategories, and when a user designates a classification category through the selection menu, the designated classification category is arranged and generated in the X-axis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digital timeline. The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ategories include a person, and the content related to the person is arranged to be the central axis of the digital timeline, and a search box for moving the timeline search using the corresponding keyword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time shift menu in the area of the digital timeline. , If you search for a person through the search box, Go to the person in the timeline of the content,
The content popup includes a detailed information icon for reading detailed meta information in addition to a description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ode,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detailed information icon in the content popup, the digital timeline outputs a detail page. The detail page is generated by overlapping on the digital timeline, and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detail page can be adjusted based on user input, and the content popup is used to view knowledge relationship meta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description describ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node. A knowledge relationship icon is included,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knowledge relationship icon from the content popup, the digital timeline outputs a knowledge relationship page, and the knowledge relationship page is generated by overlapping on the digital timeline, based on a user input. On the Knowledge Relationships page The size and position may be adjusted, and the content popup includes a multimedia icon for viewing multimedia materials in addition to a description of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ode. Outputs a playback page, wherein the multimedia playback page is generated by overlapping on a digital timeline, and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multimedia playback page can be adjusted based on user input.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49348A 2018-11-28 2018-11-28 3 dimensions digital timeline output system of traditional culture KR1019849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348A KR101984937B1 (en) 2018-11-28 2018-11-28 3 dimensions digital timeline output system of traditional cul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348A KR101984937B1 (en) 2018-11-28 2018-11-28 3 dimensions digital timeline output system of traditional cul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937B1 true KR101984937B1 (en) 2019-09-03

Family

ID=6795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348A KR101984937B1 (en) 2018-11-28 2018-11-28 3 dimensions digital timeline output system of traditional cul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937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2661A (en) * 2020-07-28 2020-10-27 平安国际融资租赁有限公司 Classification model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1859157A (en) * 2020-08-05 2020-10-30 王孝良 Recommendation method for expressing relation between information
KR20210085815A (en)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피씨엔 User Customized Contents Surating System Based on Time-Series Timeline
KR20210085746A (en)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피씨엔 User Customized Contents Surating System Based on List-type Timeline
KR20210108323A (en) 2020-02-25 2021-09-02 (주)띵스워크샵 Computing device providing data analysis platform and data analysis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based on open big-data warehouse and visual programming langu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5048A (en) * 2008-11-17 2010-05-26 길태숙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history using network
KR101045850B1 (en) 2008-12-12 2011-07-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Device for providing digital timeline through the website
KR101864401B1 (en) 2017-11-29 2018-06-04 주식회사 피씨엔 Digital timeline output system for support of fusion of traditional cul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5048A (en) * 2008-11-17 2010-05-26 길태숙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history using network
KR101045850B1 (en) 2008-12-12 2011-07-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Device for providing digital timeline through the website
KR101864401B1 (en) 2017-11-29 2018-06-04 주식회사 피씨엔 Digital timeline output system for support of fusion of traditional cultur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815A (en)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피씨엔 User Customized Contents Surating System Based on Time-Series Timeline
KR20210085746A (en)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피씨엔 User Customized Contents Surating System Based on List-type Timeline
KR20210108323A (en) 2020-02-25 2021-09-02 (주)띵스워크샵 Computing device providing data analysis platform and data analysis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based on open big-data warehouse and visual programming language
CN111832661A (en) * 2020-07-28 2020-10-27 平安国际融资租赁有限公司 Classification model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1832661B (en) * 2020-07-28 2024-04-02 平安国际融资租赁有限公司 Classification model construction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1859157A (en) * 2020-08-05 2020-10-30 王孝良 Recommendation method for expressing relation between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937B1 (en) 3 dimensions digital timeline output system of traditional culture
Imran et al. Processing social media messages in mass emergency: A survey
US201803592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lassifying a question
US20170344631A1 (en) Task completion using world knowledge
Afyouni et al. Multi-feature, multi-modal, and multi-source social event detection: A comprehensive survey
US200901195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nding information resources
US20150095303A1 (en) Knowledge Graph Generator Enabled by Diagonal Search
US11080287B2 (en) Methods, systems and techniques for ranking blended content retrieved from multiple disparate content sources
CN102713965A (en) Scalable topical aggregation of data feeds
JP2009048441A (e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and information retrieval service provision method
Strobbe et al. Interest based selection of user generated content for rich communication services
Shao et al. Personalized travel recommendation based on sentiment-aware multimodal topic model
Geiß et al. Neckar: A named entity classifier for wikidata
Nguyen et al. Interpreting the knowledge map of digital library research (1990–2010)
Crestani et al. Mobile information retrieval
KR101864401B1 (en) Digital timeline output system for support of fusion of traditional culture
US20170098283A1 (en) Methods, systems and techniques for blending online content from multiple disparate content sources including a personal content source or a semi-personal content source
Scharl et al. From web intelligence to knowledge co-creation: A platform for analyzing and supporting stakeholder communication
US112167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ynthetic answers to a personal question
Marchenkov et al. Smart museum of everyday life history in Petrozavodsk State University: Softwar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semantic layer
KR102195686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commending items based on areas
GB2592884A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search platform to users
Lazarinis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searching tools on Greek museum websites
Musabeyezu Comparative study of annotation tools and techniques
Wick et al. Enhancing RSS feeds with extracted geospatial information for further processing and visu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