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498A - Orthodontic instrument and bite block - Google Patents

Orthodontic instrument and bite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498A
KR20210085498A KR1020190178578A KR20190178578A KR20210085498A KR 20210085498 A KR20210085498 A KR 20210085498A KR 1020190178578 A KR1020190178578 A KR 1020190178578A KR 20190178578 A KR20190178578 A KR 20190178578A KR 20210085498 A KR20210085498 A KR 20210085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eg
fixing
fixing part
orthodon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5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39768B1 (en
Inventor
이지영
장근식
정현석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8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768B1/en
Priority to PCT/KR2020/019403 priority patent/WO2021137621A2/en
Publication of KR20210085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4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7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61C7/026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for twisting orthodontic ligatur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An orthodontic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ylindrical handle extended in one direction, and a first fixing pa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andle and pressing or fixing a wire. The first fixing part comprises a first leg extended in one direction, and a first receiving groove and a second receiving groove which are formed by depressing an end of the first leg there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out gap can be accurately set when bracketless orthodontic procedure is performed.

Description

치아 교정용 기구 및 바이트 블록{ORTHODONTIC INSTRUMENT AND BITE BLOCK}Orthodontic instruments and bite blocks {ORTHODONTIC INSTRUMENT AND BITE BLOCK}

본 발명은 치아 교정용 기구 및 바이트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켓리스(Bracketless) 치료법으로 치아 교정 시술을 수행할 때 치아와 와이어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는 치아 교정용 기구, 및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는 바이트 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appliance and a bite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thodontic appliance capable of adjusting the gap between a tooth and a wire when performing an orthodontic treatment with a bracketless treatment, and a wire It is about a block of bytes that can be fixed.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치아 교정 시술에서는 대부분 브라켓 교정 치료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브라켓 교정 치료 방식은 브라켓(10, Bracket)이라는 장치를 치아(1)마다 부착하고, 브라켓(10)에 삽입한 와이어(20)를 이용한 교정력으로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In orthodontic treatment to treat malocclusion, most of the bracket orthodontic treatment methods are used. In the bracket orthodontic treatment method, a device called a bracket (10) is attached to each tooth (1), and the malocclusion is treated with orthodontic force using a wire (20) inserted into the bracket (10). This scheme is illustrated in FIG. 1 .

그런데, 브라켓(10)이 치아(1) 표면에 돌출되기 때문에 환자가 이물감을 느낄 수밖에 없고, 브라켓(10)으로 인해 구강 내에 상처가 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20)를 브라켓(10)에 고정할 때 결찰용 와이어나 고무링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때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와이어(20)의 교정력이 약화될 수 있다. 이 경우 교정 치료의 효과가 감소하고 교정 치료 기간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bracket 10 protrudes on the surface of the tooth 1, the patient has no choice but to feel a foreign bod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racket 10 may cause a wound in the oral cavity. In addition, when fixing the wire 20 to the bracket 10, a ligation wire or a rubber ring is used, and the corrective force of the wire 20 may be weakened by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at this time.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ectiveness of orthodontic treatment is reduced and the orthodontic treatment period is also increased.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는 브라켓리스(Bracketless) 교정 치료 방식이 도입되었다. 이것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리스 교정 치료는, 치아(1)의 표면에 레진(41)을 돔 형상으로 제작하고, 레진(41) 내부에 생체 분해성 물질이 도포된 와이어(20)를 삽입하는 방식이다. 시술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생체 분해성 물질(43)이 분해되고, 와이어(20)와 레진(41) 사이에는 간극(43)이 형성된다. 이 경우, 와이어(20)와 레진(41) 사이에 간극(43)이 존재하기 때문에, 와이어(20)의 교정력을 약화시키는 마찰을 최소화하여 교정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레진(41)은 유선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bracketless orthodontic treatment method that does not use a bracket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This is shown in FIG. 3 . The bracketless orthodontic treatment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ome-shaped resin 41 on the surface of the tooth 1 and inserting a wire 20 coated with a biodegradable material inside the resin 41 . When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the procedure, the biodegradable material 43 is decomposed, and a gap 43 is formed between the wire 20 and the resin 41 . In this case, since the gap 43 exists between the wire 20 and the resin 41 ,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orthodontic treatment effect by minimizing friction that weakens the orthodontic force of the wire 20 . In addition, since the resin 41 can be manufactured in a streamlined shap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eeling of foreign body felt by the patient.

한편, 치아 교정 시술을 할 때, 치아(1)와 와이어(20) 사이의 간격은 치아(1)마다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치아(1)와 와이어(20) 사이의 간격을 인-아웃(In-out)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인-아웃의 치수가 각 치아(1)마다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은, 치아들(1)의 배치가 일정하지 않고 교정 시술을 통해 각 치아(1)에 가해주려는 교정력의 크기가 상이하기 때문이다.Meanwhile, when performing orthodontic treatment, the interval between the tooth 1 and the wire 20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tooth 1 . At this time, the spacing between the teeth (1) and the wire (20) is called in-out (In-out). The reason that the in-out dimension is set differently for each tooth 1 is that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1 is not constant and the magnitude of the orthodontic force to be applied to each tooth 1 through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different. to b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브라켓 교정 치료에서는 브라켓(10)과 치아(1) 사이에 별도의 베이스(30)를 삽입함으로써, 인-아웃의 간격(H)을 적절히 조절하였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브라켓리스 교정 치료에서는 레진(41)을 치아(1) 표면에 도포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아웃의 간격(H)을 정확히 설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As shown in Figure 2, in the conventional bracket orthodontic treatment, by inserting a separate base 30 between the bracket 10 and the tooth 1, the in-out interval (H) was appropriately adjusted. However, since the bracketless orthodontic treatment shown in FIG. 3 uses a method of applying the resin 41 to the surface of the tooth 1,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set the interval H of the in-out.

또한, 레진(41)은 점성을 가지기 때문에 완전히 경화되기 전까지는 와이어(20)를 충분히 고정시키지 못한다. 이 때문에, 치아 교정 시술 동안 보조자가 와이어(20)를 계속 잡고 있어야 하고, 이는 치료비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In addition, since the resin 41 has viscosity, the wire 20 cannot be sufficiently fixed until it is completely cured. For this reason, the assistant must keep holding the wire 20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which causes an increase in treatment cost.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브라켓리스 교정 치료 시술을 수행할 때 인-아웃 간격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치아 교정용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thodontic appliance that allows an in-out interval to be accurately set when a bracketless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브라켓리스 교정 치료 시술 동안 별도의 보조자 없이도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바이트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te block capable of fixing a wire without a separate assistant during bracketless orthodontic treatment.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problems, and may be variously expand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치아 교정용 기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를 누르거나 고정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레그, 및 상기 제1 레그의 말단이 내부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handl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one side of the handle to press or fix the wire 1 Includes fixings. The first fixing part includes a first leg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first accommodating groove and a second accommodating groove formed by recessing an end of the first leg therei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홈과 상기 제2 수용홈은 깊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may have different depth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레그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제1 레그와 이격되는 제2 레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first fix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e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eg while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leg.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에서 제1 각도만큼 절곡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first fixing part may be bent by a first angle from the handl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치아 교정용 기구는 상기 손잡이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고정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레그, 상기 제3 레그의 말단이 내부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3 수용홈, 및 상기 제3 레그를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orthodontic applian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ix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In this case, the second fixing part may include a third leg extending in one direction, a third receiving groove formed by recessing an end of the third leg therein, and a first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third leg. ca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용홈은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들과 다른 깊이를 가질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third accommodating groove may have a dep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groove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에서 제1 각도만큼 절곡될 수 있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에서 제2 각도만큼 절곡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first fixing part may be bent by a first angle from the handle, and the second fixing part may be bent by a second angle from the handl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3 레그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제3 레그와 이격되는 제4 레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second fix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leg spaced apart from the third leg while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third leg.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치아 교정용 기구는 브라켓리스(bracketless) 교정 치료 시술에 사용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orthodontic appliance may be used in a bracketless orthodontic treatment procedur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치아 교정용 기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말단에 상기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제4수용홈이 구비된 제3 고정부, 및 상기 손잡이의 타측에서 연장되며 말단에 상기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제5 수용홈이 구비된 제4 고정부를 포함한다.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ylindrical handle extending in one direc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andle and having a fourth receiving groove that can accommodate the wire at the end of the third It includes a fixing part, and a fourth fixing part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and having a fifth accommodating groove at the distal end for receiving the wir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4 수용홈과 상기 제5 수용홈은 그 깊이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depth of the fourth accommodating groove and the fifth accommodating groov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4 고정부는, 상기 제4 고정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fourth fix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fourth fixing part and into which the wire can be inserted.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치아 교정용 기구는, 치아 교정 시술을 수행할 때 와이어를 지지하여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시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깊이가 다른 복수 개의 수용홈들이 구비됨으로써, 브라켓리스 교정 치료에서도 용이하게 인-아웃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치아에 적합한 최적의 인-아웃 간격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교정 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교정 치료에 기간도 줄일 수 있다.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upport a wire when performing an orthodontic treatment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treatment and shorten the treatment time. In particular, by being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having different depths,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in-out interval even in bracketless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cure an optimal in-out interval suitable for each tooth, to improve the effect of orthodontic treatment, and to reduce the period of orthodontic treatment.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바이트 블록은,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는 브라켓리스 치아 교정 시술에서 와이어 양단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치아 교정 시술을 진행할 수 있으며, 와이어 고정을 위한 별도의 보조자를 둘 필요가 없다.In addition, the bite block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irmly fix both ends of the wire in a bracketless orthodontic procedure that does not use a bracket. Therefore, the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stably, and there is no need to have a separate assistant for fixing the wire.

도 1 및 도 2는 브라켓을 사용하는 종래의 치아 교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레진을 사용하는 브라켓리스 교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치아 교정용 기구를 사용하여 와이어와 치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바이트 블록이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and 2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orthodontic appliance using a bracket.
3 is a view showing a bracketless orthodontic device using a resin.
4 is a view showing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wire and the tooth us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of FIG. 4 .
6 is a view showing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yt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to which the byte block of FIG. 7 is applied.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text,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치아 교정용 기구를 사용하여 와이어와 치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wire and the tooth us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of FIG. 4 .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기구(1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손잡이(110), 및 손잡이(110) 양 단에 구비되어 와이어(20)를 고정하는 제1 및 제2 고정부들(120, 130)을 포함한다.4 and 5, the orthodontic applian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110 of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the handle 110 to fix the wire 20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120 and 130 .

손잡이(1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치아 교정 시술을 수행하는 시술자(예를 들면, 의사)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 때, 미끄러짐 방지를 위하여 손잡이(110)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요철들이 형성될 수 있다.The handle 110 has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operator (eg, a doctor) performing orthodontic treatment may hold it by hand. At this time,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110 to prevent slipping.

손잡이(110)의 일단에는 제1 고정부(120)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제2 고정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고정부(120)는 손잡이(110)에서 제1 각도(θ1)만큼 절곡될 수 있고, 제2 고정부(130)는 손잡이(110)에서 제2 각도(θ2)만큼 절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고정부(120)와 제2 고정부(130)가 각각 일정한 각도만큼 절곡됨으로써, 치아 교정 시술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각도(θ1) 및 상기 제2 각도(θ2)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180도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각도(θ1) 및 상기 제2 각도(θ2)가 모두 180도인 예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A first fixing part 120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handle 110 , and a second fixing part 130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andle 110 . In this case, the first fixing part 120 may be bent by a first angle θ1 from the handle 110 , and the second fixing part 130 may be bent by a second angle θ2 from the handle 110 . ca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fixing part 120 and the second fixing part 130 are bent by a predetermined angle,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orthodontic treatment. In this case, the sizes of the first angle θ1 and the second angle θ2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needed, and may be 180 degrees in some cases. An example in which both the first angle θ1 and the second angle θ2 are 180 degrees is illustrated in FIG. 6 .

제1 고정부(120)와 제2 고정부(130)는 브라켓리스 교정 치료를 할 때, 와이어(20)를 지지하고 인-아웃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먼저 브라켓리스 교정 치료의 과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first fixing unit 120 and the second fixing unit 130 may support the wire 20 and adjust the in-out interval when bracketless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In order to explain this more easily, first, the process of bracketless orthodontic treat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치아(1) 표면에 일정량의 레진(41)을 도포한다(제1 단계). 도포된 레진(41) 위에 생체 분해성 물질이 코팅된 와이어(20)를 부착하고, 그 위에 다시 레진(41)을 도포한다(제2 단계). 이후 경화 과정을 거쳐 와이어(20)가 삽입된 돔 형상의 레진(41)을 형성(제3 단계)하게 되는 것이다.Referring back to FIG. 3 , a predetermined amount of resin 41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1 (first step). A wire 20 coated with a biodegradable material is attached on the applied resin 41, and the resin 41 is applied thereon again (second step). Thereafter, the dome-shaped resin 41 into which the wire 20 is inserted is formed (third step) through a curing process.

본 발명의 제1 고정부(120)와 제2 고정부(130)는 상기 제2 단계와 제3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계에서, 제1 고정부(120)와 제2 고정부(130)는 와이어(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와이어(20) 상부에 점성을 가진 레진(41)가 충분히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제1 고정부(120)는 단순히 와이어(20)를 고정시키는데 그치지 않고, 치아(1)와 와이어(20) 사이의 간격, 즉 인-아웃 간격을 선택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계에서, 제2 고정부(130)는 와이어(20)를 구부릴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기능들은 제1 고정부(120)와 제2 고정부(130)의 구조를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The first fixing part 120 and the second fixing par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the second step and the third step. More specifically, in the second step, the first fixing part 120 and the second fixing part 130 are fixed so that the wire 20 does not move, and the resin 41 having viscosity on the wire 20 to be sufficiently applied. In particular, the first fixing unit 120 is not simply fixed to the wire 20, the distance between the teeth (1) and the wire 20, that is, the in-out interval can be selectively given. Also, in the third step, the second fixing part 130 may bend the wire 20 .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gain in more detail while explaining the structures of the first fixing part 120 and the second fixing part 130 .

먼저, 제1 고정부(120)는 서로 이격된 제1 레그(121)와 제2 레그(126)를 포함한다. 제1 레그(121)와 제2 레그(126) 사이에는 치아(1) 표면에 도포된 레진(41)이 수용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120)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레그들(121, 126)을 가짐으로써, 레진(41)에 접촉하지 않고도 와이어(20)만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First, the first fixing part 120 includes a first leg 121 and a second leg 126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resin 41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1 may be accommodated between the first leg 121 and the second leg 126 . That is, since the first fixing part 120 has a pair of legs 121 and 126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fix only the wire 20 without contacting the resin 41 .

제1 레그(121)는 깊이가 다른 복수 개의 수용홈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홈들은 제1 레그(121)의 일단이 내부로 함입되어 형성되며,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레그(121)는 포크(fork)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홈들(122, 123)은 치아 교정 시술 중에 와이어(20)를 눌러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 깊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The first leg 121 may have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having different depths. The accommodating grooves are formed by having one end of the first leg 121 recessed inside, and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grooves may be formed. Accordingly, the first leg 121 may have a shape like a fork. The receiving grooves 122 and 123 serve to press the wire 20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and may have different depths.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그(121)는 제1 깊이(H1)의 제1 수용홈(122)과 제2 깊이(H2)의 제2 수용홈(123)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깊이(H1)와 상기 제2 깊이(H2)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지며, 인-아웃 간격으로 자주 사용되는 값일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first leg 121 has a first receiving groove 122 having a first depth H1 and a second receiving groove 123 having a second depth H2. can In this case, the first depth H1 and the second depth H2 have different values, and may be a value frequently used for an in-out interval.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20)가 제1 수용홈(122)에 삽입되면, 인-아웃 간격은 제1 깊이(H1)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20)가 제2 수용홈(123)에 삽입되면, 인-아웃 간격은 제2 깊이(H2)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시술자는 제1 수용홈(122) 또는 제2 수용홈(123)을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인-아웃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 when the wire 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122 , the in-out interval may be set to a first depth H1 .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5B , when the wire 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23 , the in-out interval may be set to the second depth H2 . That is, the operator can adjust the in-out interval by selectively using the first receiving groove 122 or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23 .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제1 레그(121)에 2개의 수용홈들(122, 123)만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용홈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레그(121)에 3개 이상의 수용홈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it is shown that only the two receiving grooves 122 and 123 are formed in the first leg 121 in FIGS. 4 and 5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the receiving grooves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s needed can be changed. For example, three or more receiving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first leg 121 .

제2 레그(126)는 제1 레그(121)와 이격되며, 제1 레그(12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 레그(126)도 깊이가 서로 다른 제3 수용홈(127) 및 제4 수용홈(128)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수용홈(127)은 상기 제1 수용홈(122)과 동일한 깊이(H1)를 가지며, 상기 제4 수용홈(128)은 상기 제2 수용홈(123)과 동일한 깊이(H2)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leg 126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eg 121 and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leg 121 . That is, the second leg 126 may also have a third accommodating groove 127 and a fourth accommodating groove 128 having different depths. The third accommodating groove 127 has the same depth H1 as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122 , and the fourth accommodating groove 128 has the same depth H2 as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123 . can have

제1 레그(121)와 제2 레그(126)가 와이어(20)를 두 지점에서 고정함으로써, 레진(41) 도포 시 와이어(2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인-아웃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leg 121 and the second leg 126 fix the wire 20 at two points, the wire 20 can be more firmly fixed when the resin 41 is applied, and the in-out interval is constant. can be kept

제2 고정부(130)는 서로 이격된 제3 레그(131)와 제4 레그(136)를 포함한다. 이것은 제1 고정부(120)와 마찬가지로, 레진(41)에 접촉하지 않고도 와이어(20)만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함이다.The second fixing part 130 includes a third leg 131 and a fourth leg 136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is is to selectively fix only the wire 20 without contacting the resin 41 , like the first fixing part 120 .

제3 레그(131)는 제3 깊이(H3)를 가지는 제5 수용홈(132) 및 제3 레그(131)를 관통하는 제1 관통공(13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 수용홈(132)은 제3 레그(131)의 일단이 내부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leg 131 may have a fifth receiving groove 132 having a third depth H3 and a first through hole 133 penetrating the third leg 131 . The fifth receiving groove 132 may be formed by recessing one end of the third leg 131 therei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5 수용홈(132)은 제3 깊이(H3)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3 깊이(H3)는 상기 제1 깊이(H1) 및 상기 제2 깊이(H2)와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시술자는 제1 고정부(120)와 제2 고정부(130)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깊이(H1, H2, H3) 중에서 한 가지 값을 가지는 인-아웃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fth receiving groove 132 may have a third depth H3, wherein the third depth H3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epth H1 and the second depth H2. can have a value. That is, the operator can form an in-out interval having one value among the first to third depths (H1, H2, H3) by selectively using the first fixing part 120 and the second fixing part 130 . can

이와 다르게, 인-아웃 간격 조절은 제1 고정부(120)만을 이용하고, 제2 고정부(130)는 단순히 와이어(20)를 고정하는 용도로만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Alternatively, the in-out interval adjustment uses only the first fixing part 120 , and the second fixing part 130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simply fixing the wire 20 .

제1 관통공(133)은 제3 레그(131)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와이어(20)를 굽히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술자는 와이어(20)의 말단을 제1 관통공(133)에 삽입하고, 손잡이(110)에 힘을 가하여 와이어(20)를 굽힐 수 있다. 즉, 제1 관통공(133)이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여, 와이어(20)를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first through hole 133 is formed through the third leg 131 and may be used to bend the wire 20 . Specifically, the operator may bend the wire 20 by inserting the distal end of the wire 20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33 and applying a force to the handle 110 . That is, the first through hole 133 serves as a support, so that the wire 20 can be easily bent.

제4 레그(136)는 제3 레그(131)와 이격되며, 제3 레그(13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4 레그(136)는 제3 깊이(H3)의 제6 수용홈(137) 및 제2 관통공(138)을 가질 수 있다.The fourth leg 136 is spaced apart from the third leg 131 and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third leg 131 . That is, the fourth leg 136 may have a sixth receiving groove 137 and a second through hole 138 having a third depth H3 .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치아 교정용 기구(101)는 손잡이(110), 제3 고정부(140), 및 제4 고정부(150)를 포함한다. 제3 고정부(140)는 제5 레그(141)와 제7 수용홈(142)을 가질 수 있고, 제4 고정부(150)는 제6 레그(151), 제8 수용홈(152) 및 제3 관통공(153)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orthodontic appliance 101 includes a handle 110 , a third fixing part 140 , and a fourth fixing part 150 . The third fixing part 140 may have a fifth leg 141 and a seventh accommodating groove 142 , and the fourth fixing part 150 includes a sixth leg 151 , an eighth accommodating groove 152 and It may have a third through hole 153 .

도 6에 도시된 치아 교정용 기구(101)는 기본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치아 교정용 기구(100)와 동일하며, 아래 사항에서만 차이가 있다.The orthodontic appliance 101 shown in FIG. 6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orthodontic appliance 100 shown in FIG. 4, with only the following differences.

첫째, 제3 및 제4 고정부들(140, 150)이 손잡이(110)와 이루는 각도가 180도이다. 즉, 제3 및 제4 고정부들(140, 150)이 절곡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부와 손잡이 사이의 각도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그 각도는 180도 일 수도 있는데, 이것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이다.First, the angle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fixing parts 140 and 150 and the handle 110 is 180 degrees. That is, the third and fourth fixing parts 140 and 150 are not bent. As described above, the angle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handl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needed, and the angle may be 180 degrees, which is illustrated in FIG. 6 .

둘째, 도 4의 치아 교정용 기구(100)에서는 하나의 고정부(120)에 깊이가 서로 다른 수용홈들(122, 123)이 함께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고정부(120)는 전체 너비가 좁기 때문에, 너무 많은 수용홈들을 한꺼번에 형성할 경우 남은 부분의 두께가 충분하지 못하여 와이어(20)를 고정하는 힘이 약해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6에서는 하나의 고정부에 하나의 수용홈 만을 형성한 것이다.Second, in the orthodontic appliance 100 of FIG. 4 , the receiving grooves 122 and 123 having different depths are provided together in one fixing part 120 . However, since the fixing part 120 has a narrow overall width, if too many receiving grooves are formed at once, the thickness of the remaining part is not sufficient, so the force for fixing the wire 20 may be weakened, and in some cases, it may be damaged. There are concerns. Accordingly, in FIG. 6, only on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one fixing part.

다만, 인-아웃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3 고정부(140)의 제7 수용홈(142)은 제4 깊이(H4)로 형성하고, 제4 고정부(150)의 제8 수용홈(152)은 상기 제4 깊이(H4)와 다른 제5 깊이(H5)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필요에 따라 인-아웃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adjust the in-out interval, the seventh receiving groove 142 of the third fixing part 140 is formed to a fourth depth H4, and the eighth receiving groove of the fourth fixing part 150 ( 152 is formed at a fifth depth H5 different from the fourth depth H4. Accordingly, the in-out interval may be adjusted as necessary.

한편, 도 4 및 도 6에서는 손잡이(110) 양측 모두에 고정부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다르게 손잡이(110) 일측에만 고정부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형태는 제1 내지 제4 고정부들(120, 130, 140, 15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손잡이(110) 양측에 각각 고정부가 형성되되, 상기 네 가지 고정부들(120, 130, 140, 150) 중 어느 두 가지가 조합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S. 4 and 6 , it is shown that the fixing par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110 , but the fixing parts may be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handle 110 differently from this, and the shape is the first to fourth fixing parts ( 120, 130, 140, 150). In addition, fixing par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110 , and any two of the four fixing parts 120 , 130 , 140 , 150 may be combin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기구(100, 101)는 치아 교정 시술을 수행할 때 와이어(20)를 지지하여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시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깊이가 다른 복수 개의 수용홈들이 구비됨으로써, 브라켓리스 교정 치료에서도 용이하게 인-아웃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치아에 적합한 최적의 인-아웃 간격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교정 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교정 치료에 기간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rthodontic instruments 100 and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 the wire 20 when performing an orthodontic treatment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treatment and shorten the treatment time. In particular, by being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having different depths,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in-out interval even in bracketless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cure an optimal in-out interval suitable for each tooth, to improve the effect of orthodontic treatment, and to reduce the period of orthodontic treatment.

한편, 상술한 치아 교정용 기구(100, 101)는 브라켓리스 교정 치료 시술에서 인-아웃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레진(41) 도포 시 와이어(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와이어(20) 고정 기능은 각 치아(1) 주변의 좁은 영역에 한정될 수밖에 없으며, 길게 연장된 와이어(20)를 전체적으로 고정시킬 수는 없다. 이하에서는, 브라켓리스 교정 치료 시술이 진행되는 동안 와이어(20)를 전체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바이트 블록(2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orthodontic appliances 100 and 101 can adjust the in-out interval in the bracketless orthodontic treatment procedure, and can fix the wire 20 when the resin 41 is applied. However, such a wire 20 fixing function is inevitably limited to a narrow area around each tooth 1, and it is impossible to fix the long wire 20 as a whole. Hereinafter, the bite block 200 capable of fixing the wire 20 as a whole while the bracketless orthodontic treatment is in progress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바이트 블록이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yt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to which the byte block of FIG. 7 is applied.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 블록(200)은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부(210), 지지부(210) 양 측에서 상하로 연장하는 내측 연장부(220)와 외측 연장부(230), 및 외측 연장부(230)에 돌출 형성되어 와이어(20)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240)를 포함한다.7 and 8, the bite block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210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the inner extension 220 extending up and down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210 and the outer It includes an extension part 230 , and a wire fixing part 240 protruding from the outer extension part 230 to fix the wire 20 .

지지부(210)는 판 형상을 가지며, 상면에는 윗니가 접촉하고 저면에는 아랫니가 접촉할 수 있다. 즉, 지지부(210)는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치아 교정 시술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210 has a plate shape, and the upper teeth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teeth may contact the lower surface. That is, the support 210 can secure a space required for orthodontic treatment by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내측 연장부(220)는 지지부(210)의 일측 말단에서 상하로 연장하며, 윗니와 아랫니의 내부면에 대향할 수 있다. 외측 연장부(230)는 지지부(210)의 타측 말단에서 상하로 연장하며, 윗니와 아랫니의 외부면에 대향할 수 있다. 즉, 내측 연장부(220)와 외측 연장부(230)는 상방으로는 지지부(210)의 상면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며, 하방으로는 지지부(210)의 저면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환자가 입을 벌려 지지부(210)를 깨물면, 내측 연장부(220)와 외측 연장부(230)는 각각 치아(1)의 내부면과 외부면에 대향함으로써, 지지부(210)가 구강 내부로 들어가거나 또는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ner extension 220 extends up and down from one end of the support 210 , and may face the inn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The outer extension part 230 extends up and down from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210 and may face the out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That is, the inner extension 220 and the outer extension 230 extend upwar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unit 210 , and extend downwardly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unit 210 . Accordingly, when the patient bites the support 210 with his mouth open, the inner extension 220 and the outer extension 230 face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tooth 1, respectively, so that the support 210 moves into the oral cavity. It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or falling out.

와이어 고정부(240)는 외측 연장부(230)의 표면에 형성되며, 외측 연장부(230)를 따라 상하로 연장되는 바디(241), 및 바디(241)를 관통하는 고정홀들(243, 244)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 fixing part 24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uter extension part 230, the body 241 extending up and down along the outer extension part 230, and fixing holes 243 penetrating the body 241, 244) may be included.

한편, 제1 고정홀(243)은 바디(241)의 상부에 구비되는데, 이는 윗니를 교정할 때 사용되는 와이어(20)를 고정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 고정홀(243)은 지지부(210)의 상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fixing hole 243 i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241, which is for fixing the wire 20 used when correcting the upper teeth.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fixing hole 243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210 .

제2 고정홀(244)은 바디(241)의 하부에 구비되는데, 이는 아랫니를 교정할 때 사용되는 와이어(20)를 고정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2 고정홀(244)은 지지부(210)의 저면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fixing hole 244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241, which is for fixing the wire 20 used when correcting the lower teeth. Accordingly, the second fixing hole 244 is preferably form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10 .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와이어(20)를 제1 및 제2 고정홀들(243, 244)에 삽입하면, 별도의 보조자 없이도 치아 교정 시술을 진행하는 동안 와이어(20)를 고정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operator inserts the wire 20 in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les 243 and 244, the wire 20 is fixed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without a separate assistant. ca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측 연장부(230)에는 와이어 고정부(240)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 고정부(240)가 복수 개인 경우, 와이어(20)에 대한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와이어(2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wire fixing parts 24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extension part 230 .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wire fixing parts 240 , the fixing force for the wire 20 may be increased, and the wire 20 may be more firmly fix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와이어 고정부(240)의 전면(245)은 외측 연장부(230)의 전면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θ3)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와이어(20)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20)가 와이어 고정부(240)의 전면(245)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홀(243, 244)에 삽입되면, 와이어(20)에 대한 구속력이 없기 때문에 시술 도중 와이어(20)가 고정홀(243, 244)에서 빠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240) 전면(245)에 경사(θ3)를 형성하였다. 이 경우, 와이어(20)가 꺽이면서 고정홀(243, 244)에 삽입되므로 와이어(20)에 대한 구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시술 도중 와이어(2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ront surface 245 of the wire fixing part 240 may have a constant inclination θ3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extension part 230 . This is to improve the fixing force to the wire (20). Specifically, when the wire 2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s 243 and 244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surface 245 of the wire fixing unit 240 , there is no binding force on the wire 20 during the procedure. ) may be removed from the fixing holes 243 and 244 .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a slope θ3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245 of the fixing part 240 . In this case, since the wire 20 is bent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s 243 and 244 , the binding force on the wire 20 can be strengthened, and the wire 2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ut during the procedur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 블록(200)은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는 브라켓리스 치아 교정 시술에서 와이어(20) 양단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치아 교정 시술을 진행할 수 있으며, 와이어(20) 고정을 위한 별도의 보조자를 둘 필요가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bite block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irmly fix both ends of the wire 20 in a bracketless orthodontic procedure that does not use a bracket. Therefore,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stably, and there is no need to have a separate assistant for fixing the wire 20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 치아 10: 브라켓
20: 와이어 30: 베이스
40: 브라켓리스 교정 장치 41: 레진
100, 101: 치아 교정용 기구 110: 손잡이
120, 130, 140, 150: 제1 내지 제4 고정부
121, 126, 131, 136, 141, 151: 제1 내지 제6 레그
122, 123, 126, 127, 132, 137, 142, 152: 제1 내지 제8 수용홈
133, 138, 153: 제1 내지 제3 관통공
200: 바이트 블록 210: 지지부
220: 내측 연장부 230: 외측 연장부
240: 와이어 고정부 241: 바디
243, 244: 제1 및 제2 고정홀 245: 전면
1: tooth 10: bracket
20: wire 30: base
40: bracketless correction device 41: resin
100, 101: orthodontic appliance 110: handle
120, 130, 140, 150: first to fourth fixing parts
121, 126, 131, 136, 141, 151: first to sixth legs
122, 123, 126, 127, 132, 137, 142, 152: first to eighth receiving grooves
133, 138, 153: first to third through holes
200: bite block 210: support
220: inner extension 230: outer extension
240: wire fixing unit 241: body
243, 244: first and second fixing holes 245: front

Claims (12)

치아 교정 치료 시 와이어를 누르거나 고정하는 치아 교정용 기구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를 누르거나 고정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레그; 및
상기 제1 레그의 말단이 내부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을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기구.
In the orthodontic appliance for pressing or fixing the wire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a handle having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andle and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for pressing or fixing the wire,
The first fixing part,
a first leg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n orthodontic appliance comprising a first receiving groove and a second receiving groove formed by being recessed in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le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홈과 상기 제2 수용홈은 깊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기구.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have different depth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레그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제1 레그와 이격되는 제2 레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기구.The orthodontic appliance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fix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le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eg while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le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에서 제1 각도만큼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기구.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ixing part is bent by a first angle from the ha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레그;
상기 제3 레그의 말단이 내부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3 수용홈; 및
상기 제3 레그를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기구.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fix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the second fixing portion,
a third leg extending in one direction;
a third receiving groove formed by recessing the end of the third leg; and
Orthodontic appliance comprising a first through-hole penetrating the third le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용홈은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들과 다른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기구.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third accommodating groove has a dep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groov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에서 제1 각도만큼 절곡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에서 제2 각도만큼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기구.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rst fixing part is bent by a first angle in the handle, and the second fixing part is bent by a second angle in the hand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3 레그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제3 레그와 이격되는 제4 레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기구.The orthodontic appliance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fixing unit further comprises a fourth leg spaced apart from the third leg while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third le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교정 치료는 브라켓리스(bracketless) 교정 치료 시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기구.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a bracketless orthodontic treatment. 치아 교정 치료 시 와이어를 누르거나 고정하는 치아 교정용 기구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말단에 상기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제4수용홈이 구비된 제3 고정부; 및
상기 손잡이의 타측에서 연장되며, 말단에 상기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제5 수용홈이 구비된 제4 고정부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기구.
In the orthodontic appliance for pressing or fixing the wire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a handle having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 third fixing part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andle and having a fourth accommodating groove at the distal end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wire; and
An orthodontic appliance including a fourth fixing part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and having a fifth accommodating groove at the distal end for accommodating the wir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수용홈과 상기 제5 수용홈은 그 깊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기구.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fourth receiving groove and the fifth receiving groove have different depth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고정부는, 상기 제4 고정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기구.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fourth fixing part further comprises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fourth fixing part and into which the wire can be inserted.
KR1020190178578A 2019-12-30 2019-12-30 Orthodontic instrument and bite block KR1023397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578A KR102339768B1 (en) 2019-12-30 2019-12-30 Orthodontic instrument and bite block
PCT/KR2020/019403 WO2021137621A2 (en) 2019-12-30 2020-12-30 Orthodontic apparatus and bite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578A KR102339768B1 (en) 2019-12-30 2019-12-30 Orthodontic instrument and bite b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498A true KR20210085498A (en) 2021-07-08
KR102339768B1 KR102339768B1 (en) 2021-12-14

Family

ID=76894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578A KR102339768B1 (en) 2019-12-30 2019-12-30 Orthodontic instrument and bite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76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0368A (en) * 1995-10-23 1998-10-13 Wolk; Roger S. Disposable applicator for forming and retaining an orthodontic attachment
KR101547795B1 (en) * 2015-03-16 2015-08-2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
KR101551604B1 (en) * 2015-04-02 2015-09-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Wire positioning unit and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
KR20180063512A (en)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디오 wire coupling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
KR101854534B1 (en) * 2016-11-07 2018-06-14 조병주 Orthodontic apparatus
KR20180119316A (en) * 2017-04-25 2018-11-02 정중희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0368A (en) * 1995-10-23 1998-10-13 Wolk; Roger S. Disposable applicator for forming and retaining an orthodontic attachment
KR101547795B1 (en) * 2015-03-16 2015-08-2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
KR101551604B1 (en) * 2015-04-02 2015-09-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Wire positioning unit and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
KR101854534B1 (en) * 2016-11-07 2018-06-14 조병주 Orthodontic apparatus
KR20180063512A (en)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디오 wire coupling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
KR20180119316A (en) * 2017-04-25 2018-11-02 정중희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768B1 (en) 202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7000B2 (en) Impression cap
JP5857041B2 (en) Personalized jig for orthodontic appliance and assembly formed by the jig, base and bracket
KR200207524Y1 (en) Orthodontic implant
JP4333730B2 (en) Orthodontic appliance
KR101703708B1 (en) Orthodontic device and method using orthodontic
KR20090085619A (en) Orthodontic implant cap and orthodontic treatment assembly including same
JP2017012758A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with an external rotatable closure member
JP2004255190A (en) Bracket
US8313327B1 (en) Orthodontic devices
KR100744838B1 (en) Microimplant fix guide
KR20190070298A (en)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KR102339768B1 (en) Orthodontic instrument and bite block
KR20210085501A (en) Orthodontic instrument and bite block
JPWO2018097209A1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attaching orthodontic appliance
JP3112424U (en) Training equipment
JP2007097987A (en) Orthodontic appliance
US20150017605A1 (en) Dental implant with high combining stability
KR101801324B1 (en) Palatal Corrector
WO2017030143A1 (en) Orthodontic implant structure and orthodontic implant jig
KR102302985B1 (en) Forceps for internal fixation of bone
KR20140142972A (en) Orthodontic appliance
KR101525397B1 (en) Tool for adjusting an angle of a dental implant
KR101506786B1 (en) Orthodontic appliance
WO2021137621A2 (en) Orthodontic apparatus and bite block
KR100392217B1 (en) Dentition orthodont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