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512A - wire coupling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 - Google Patents

wire coupling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512A
KR20180063512A KR1020160163315A KR20160163315A KR20180063512A KR 20180063512 A KR20180063512 A KR 20180063512A KR 1020160163315 A KR1020160163315 A KR 1020160163315A KR 20160163315 A KR20160163315 A KR 20160163315A KR 20180063512 A KR20180063512 A KR 20180063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air
wire
bending
holder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3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94039B1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60163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039B1/en
Publication of KR20180063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5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0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A wire fastening device for an orthodontics bracket to insert and fix a wire, which provides tension so that the positions of teeth are corrected to a lower coupling groove opened corresponding to a dental root side of the bracket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eeth, so as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with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safety for orthodontics. The wire fastening device comprises: a grip part extended to a preset length so that an operator is able to hold the grip part; a connecting part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grip part and having the width greater in a bilateral direction than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pair of bent holder parts inclinedly bent and extended from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art in the bilateral direction at preset angles, respectively and having a mounting groove, in which the wire is received, on an end surface thereof corresponding to the lower coupling groove of the bracket.

Description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wire coupling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oupling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

본 발명은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내부와의 간섭이 최소화되어 치열교정을 위한 작업편의성 및 안전성이 개선된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lamping apparatus for an orthodontic b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 clamping apparatus for an orthodontic bracket with minimized interference with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thereby improving work convenience and safety for orthodontic correction.

일반적으로 교합이란 입을 다물었을 때 상악 및 하악의 치아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부정교합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 상기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상하악의 맞물림 상태가 정상의 위치를 벗어나서 기능적, 심미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정확한 교합관계를 의미한다.Generally, occlus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ir mouths are closed. Malocclusion refers to an inaccurate occlusal relationship in which the tooth arrangement is not aligned due to a certain cause, or the engagement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is out of the normal position, resulting in functional and aesthetic problems.

여기서, 상기 부정교합의 원인은 유전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아의 모양이나 크기의 문제, 환경적 영향, 좋지 않은 습관, 잘못된 자세 및 치아우식증과 같은 선천성 장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Here, the cause of the malocclusion is known to have a large genetic influence, but it can be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the shape and size of teeth, environmental effects, bad habits, wrong postures, and congenital disorders such as dental caries.

한편, 부정교합이 발생하면 치열이 가지런하지 않아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기 쉽다. 또한, 정확한 칫솔질로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구강 내 치태가 증가하여 치아우식증이나 잇몸 염증 등 잇몸 질환으로 진행되기 쉽다. 더욱이, 정상치열에서 많이 벗어난 치아가 있거나 턱의 위치가 비정상이라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치아 파절 등 치아에 손상이 가해질 가능성도 크다.On the other hand, when malocclusion occurs, the teeth are not aligned and food residue is likely to remain between the teeth. In addition, since it is not easy to cleanly maintain accurate toothbrushing, the plaque in the mouth increases, and it is likely to progress to gum disease such as dental caries or gingival inflammation. Furthermore, if there is a tooth that deviates much from the normal dentition or if the position of the jaw is abnormal,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tooth may be damaged, such as tooth fracture,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이에, 상기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해 치열 교정치료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치열 교정치료는 치아가 외력을 받으면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한다.Thus, an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to treat the malocclusion. Here, the orthodontic treatment utilizes a property that a tooth moves when receiving an external force.

상세히, 치열 교정치료는 원인이나 치료 시기에 따라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한다. 예컨대, 위아래 턱뼈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증진시키는 장치나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서서히 이동시키는 장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구강 내에 설치 및 분리 가능한 가철성 장치와 치아에 부착 후 치료가 끝날 때 떼어내는 고정식 장치로 나뉠 수도 있다.In detail, orthodontic treatment uses various devices and methods depending on cause and treatment timing. For example, it can be classified into a device for suppressing or enhancing the development of the jawbone of the upper and lower jaws, or a device for gradually moving the tooth to a desired position. It can also be divided into a removable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and removed in the oral cavity, and a fixed device that attaches to the tooth and removes it at the end of treatment.

한편,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브라켓이라는 장치를 치아에 부착하고 교정용 철사 내지 고무줄 등의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해 치아를 이동시키는 고정식 치료법으로, 다양한 종류의 치열 교정치료에 흔히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st widely used type is a fixed treatment method in which a device called a bracket is attached to a tooth and a tooth is moved by the tension of a wire such as an orthodontic wire or an elastic band, and can be used in various kinds of orthodontic treatment.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와이어 체결구를 이용하여 브라켓에 와이어를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A and 1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 is fastened to a bracket using a conventional wire fastener.

도 1a 내지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라켓(100)은 교정대상 치아(t)의 표면에 각각 부착되고, 와이어(w)는 상기 브라켓(100)을 상호 연결하도록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정하여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교정대상 치아(t)의 위치 및 자세(각도)를 서서히 교정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brackets 100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surfaces of the teeth t to be aligned, and the wires w are fastened to interconnect the brackets 100. As shown in Figs. The position and posture (angle) of the tooth to be aligned can be gradually corrected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wire by adjust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w.

여기서, 상기 브라켓(100)은 일면이 각 교정대상 치아(t)와 개별 되응되고 타면에는 상기 와이어(w)가 결합되는 결합홈부가 상하측으로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bracket 100 may be formed so that one surface of the bracket 100 is individually mapped to each tooth to be aligned,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bracket 100 is multi-tiered with coupling grooves to which the wires w are coupled.

한편, 최근 들어서 치열 교정치료시 피시술자의 심미적인 시술만족도가 향상되도록 상기 브라켓(100)은 상기 교정대상 치아(t)의 설측(lingual)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100)의 상측방향으로 개구된 결합홈부(이하 상측 결합홈부)는 시술자가 개구부를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므로 와이어의 체결과정이 비교적 용이하다.In recent years, the bracket 100 is attached to the lingual side of the orthodontic tooth t so that the aesthetist's aesthetic satisfaction is improved in the orthodontic treatment. At this time, since the operator can visually confirm the opening portion of the bracket 100, the fastening process of the wire is relatively easy.

그러나, 상기 브라켓(100)의 하측방향으로 개구된 결합홈부(111a, 이하 하측 결합홈부)는 실질적으로 치근과 인접한 잇몸측으로 개구됨에 따라 시술자가 하측 결합홈부(111a)의 개구부를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시술자가 상기 와이어(w)를 상기 브라켓(100)에 체결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engaging groove portion 111a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lower engaging groove portion) open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bracket 100 is substantially opened to the gum side adjacent to the root, it is difficult for a practitioner to visually confirm the opening of the lower engaging groove portion 111a .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actitioner is inconvenient to fasten the wire (w) to the bracket (100).

이에, 상기 브라켓(100)의 하측 결합홈부(111a)에 상기 와이어(w)를 삽입 및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체결구(1)가 일부 개시되었다.Part of the wire fastening tool 1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wire w into the lower fastening groove portion 111a of the bracket 100 has been partially disclosed.

상세히, 종래의 와이어 체결구(1)는 손잡이(4)의 단부에 와이어홀더부(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홀더부(2)는 절곡연결부(2b)를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4)와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홀더부의 단부(2a)에 상기 와이어(3)가 삽입되는 홈(3)이 형성된다.In detail, in the conventional wire fastening tool 1, the wire holder portion 2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handle 4. [ Here, the wire holder part 2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handle 4 about the bending connection part 2b. A groove 3 into which the wire 3 is inserted is formed at an end portion 2a of the wire holder portion.

그러나, 종래의 와이어 체결구(1)는 상기 와이어홀더부(2)의 연장방향과 대응된 말단부측으로 상기 홈(3)이 개구되되, 상기 홈(3)의 함몰방향이 상기 와이어홀더부(2)의 연장방향과 실질적으로 교차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ire fastening tool 1, the groove 3 is opened toward the distal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wire holder portion 2, and the recessed direction of the groove 3 is formed in the wire holder portion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로 인해, 도 1a에서와 같이, 상기 와이어 체결구(1)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w)를 상기 구강 내측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상기 손잡이(4)의 핸들링 반경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상기 홈(3)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1 (a), the wire (w) moves along the handling radius of the handle (4)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wire (w) to the inside of the mouth using the wire fastener (3).

또한, 도 1b에서와 같이, 상기 와이어(w)를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에 삽입시 상기 홈(3)의 개구방향과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개구방향이 대응되도록 핸들링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홀더부의 단부(2a), 절곡연결부(2b)의 외면측에 긁혀 상처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와이어 체결구(1)의 핸들링 반경(a)이 커짐으로 인해 피시술자의 개구 간격이 크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교정치료 과정에서 불편함 및 고통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1b, when the wire w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gagement groove 111a,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groove 3 an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lower engagement groove 111a correspond to each other, Scratches may be generat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end 2a of the wire holder portion and the bending connection portion 2b. In addition, since the handling radius (a) of the wire fastener 1 is increased, the opening interval of the trainee must be maintained to a great extent, which causes discomfort and pain in the orthodontic treatment process.

한국 등록특허 제10-0334361호Korean Patent No. 10-033436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 내부와의 간섭이 최소화되어 치열교정을 위한 작업편의성 및 안전성이 개선된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 clamping apparatus for an orthodontic bracket that minimizes interference with the interior of the oral cavity and improves work convenience and safety for orthodontic correction.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아의 외면에 부착되는 브라켓의 치근측에 대응하여 개구된 하측 결합홈부에 상기 치아의 위치가 교정되도록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를 삽입 및 고정하기 위한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에 있어서, 파지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전후방향보다 양측방향의 폭이 크게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측방향 양단부로부터 각각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되, 상기 브라켓의 하측 결합홈부와 대응되는 단부면측에 상기 와이어가 수용되는 취부홈이 형성된 한쌍의 절곡홀더부를 포함하는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oth alignment method for inserting and fixing a wire for providing a tension so that a position of the tooth is corrected in a lower engagement groove portion corresponding to a root side of a bracket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a tooth, A wire fastening apparatus for a bracket, comprising: a grip portion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gripped;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grip portion and having a larger width in both lateral directions tha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which are bent and extended from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at both sides in an inclined manner at predetermined angles and on which an attaching groove for receiving the wire is formed on a side of an end surface corresponding to a lower side engaging groove portion of the bracke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 fastening device for a wire.

여기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가 상기 브라켓의 타면 및 하면과 각각 대응하여 절곡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부와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 사이에는 기설정된 각도로 라운드진 절곡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는 상기 브라켓의 가로폭과 대응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며, 상기 취부홈은 상기 하측 결합홈부의 개구방향과 대응되는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 단부의 경사내면측에 각각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bending round portion rounded by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are bended corresponding to the oth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racket, The bending holder portion is disposed opposite to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orm a receiving space corresponding to the lateral width of the bracket, and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at an inclined inner surface side of the ends of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lower engagement groove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epression is formed.

이때, 상기 취부홈은 내측단이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의 경사외면측 단부를 향하여 구배지게 함몰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의 말단부 및 상기 절곡라운드부의 외면은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so that an inner end thereof is sloped toward an inclined outer surface side end portion of the pair of bent holder portions, and a distal end portion of the pair of bent holder portions and an outer surface of the bending round portion are rounded.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그립부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 사이를 지지하도록 보강날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gradually thicker toward the end portion of the grip portion, and the reinforcing wing portion is formed to support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한편, 상기 브라켓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획득된 오랄스캔 이미지를 로딩하고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에 따라 가상조절된 각 치아이미지와 대응되도록 디지털 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된 하나의 가상 교정 탬플릿의 디지털 외형정보로부터 설정된 디지털 브라켓으로 구비되되,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는 상기 디지털 브라켓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그립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그립부의 연장방향과 단차지게 지그재그로 절곡되되 단부에 푸시홈이 형성된 한쌍의 단차홀더부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bracket loads the virtual scan template image obtained from the digital library so as to correspond to each tooth image virtually adjus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secutive dental structure by loading the acquired oral sc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traoral profile of the subject, Wherein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are extended in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digital bracket and are bent at an opposite end of the grip portion in a zigzag manner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grip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stepped holder portions are formed.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mentioned solution, the wire clamping apparatus for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연결부 및 한쌍의 절곡홀더부는 상기 브라켓의 타면 및 하면에 각각 대응되도록 절곡 연결되되, 상기 취부홈은 상기 브라켓의 하측 결합홈부와 대응되는 상기 절곡홀더부의 경사내면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가 상기 취부홈의 내측단에 자중에 의해 수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탈이 방지되어 체결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First,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are bent and connec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oth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racket, respectively, and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in the inclined inner surface of the bending hold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connecting groove portion of the bracket, Since the inner end of the attachment groove is retained in its own state by its own weight, it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outh during movement of the wearer into the oral cavity, thereby improving the engagement stability.

둘째, 상기 취부홈의 함몰방향이 상기 그립부의 연장방향과 실질적으로 대응됨에 따라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가 상기 브라켓의 하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치관 단부측으로 당겨지는 간단한 핸들링만으로 상기 와이어가 상기 하측 결합홈부에 견고하게 삽입되므로 조작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Secondly, as the depression direction of the attaching groove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the wire is pulled to the crown end side in a state where the pair of bent holder portions ar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bracket, And the operation convenien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because it is firmly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셋째,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의 말단부 및 상기 절곡라운드부의 외면이 부드럽게 라운드 처리되어 구강 내부 연조직 및 주변에 도포된 레진의 긁힘이 방지되며, 상기 와이어 체결장치의 전체적인 핸들링 반경이 작아져 구강의 개구 간격이 최소한으로 유지되므로 피시술자의 불편감 및 고통이 감소될 수 있다.Third, the end portions of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ending round portion are gently rounded to prevent scratching of the soft tissue inside the oral cavity and the surrounding resin, and the overall handling radius of the wire fastening device is reduced, Can be maintained at a minimum, so that the discomfort and pain of the treating person can be reduced.

넷째, 상기 연결부 및 한쌍의 절곡홀더부 사이를 지지하도록 보강날개부가 형성됨에 따라 시술자의 핸들링시 가해지는 힘에 의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Fourth, since the reinforcing wing portion is formed to support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deformation and breakage of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due to the force appli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ractitioner are prevented, and dur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와이어 체결구를 이용하여 브라켓에 와이어를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교정대상 치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의 일측 단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의 일측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의 타측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의 일측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참고도.
1A and 1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 is fastened to a bracket using a conventional wire fastener.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tooth to be calibrated;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ire fastening apparatus for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one end of a wire clamping apparatus for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reference view showing one side of a wire fastening apparatus for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other side of a wire clamping apparatus for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one side of a wire clamping apparatus for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wire clamping apparatus for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교정대상 치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tooth to be calibrated.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라켓(100)은 일면이 치아(t)의 외면에 부착되는 패드부(110)의 타면측에 결합홈부(1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100)은 구강의 혀 및 입천장과 대응되는 각 치아(t)의 내면측, 즉 설측에 고정됨에 따라 치열 교정치료 기간 중 상기 브라켓(100) 및 와이어(w)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심미적 만족감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00) 및 상기 와이어(w)의 돌출된 외면에 순측 내지 협측의 연조직이 긁혀 상처가 발생하거나 이로 인한 통증 및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bracket 100 has a coupling groove 111 form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pad portion 110, one surface of which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ooth t. At this time, the bracket 100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each tooth t corresponding to the tongue and palate of the oral cavity, i.e., the lingual side, so that the bracket 100 and the wire w are exposed to the outside during the orthodontic treatment period The aesthetic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Further, the soft tissues of the bracket 100 and the wire w may be scratched on the protruded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100 and / or the buccal side, thereby minimizing the pain and discomfort.

그리고, 상기 결합홈부(111)는 상기 치아(t)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장력을 제공하는 상기 와이어(w)가 삽입 및 고정되도록 상기 브라켓(100)의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브라켓(100)의 상측 및 하측으로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결합홈부(111)의 내측단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상측 결합홈부(111b)는 상기 브라켓(100)의 상측방향(도 4의 h2)으로 개구되고 하측 결합홈부(111a)는 하측방향(도 4의 h1)으로 개구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 결합홈부(111b)는 상기 치아(t)의 치관 단부측에 대응되고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는 상기 치아(t)의 치근측에 대응된다.The coupling groove 111 is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racket 100 so as to insert and fix the wire w that provides a tension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teeth t, 100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At this time, the inner ends of the respective coupling grooves 1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upper coupling grooves 111b are opened upward in the bracket 100 (h2 in FIG. 4) 111a open in the downward direction (h1 in Fig. 4). Here, the upper engagement groove portion 111b corresponds to the tooth tip end side of the tooth t, and the lower engagement groove portion 111a corresponds to the tooth root side of the tooth t.

이때, 상기 상측 결합홈부(111b)와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는 각 내측단 및 개구부가 상기 브라켓(100)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coupling groove 111b and the lower coupling groove 111a may be formed such that their inner ends and openings are positioned on substantially the same vertical line in the bracket 100. [

그리고, 상기 와이어(w)는 각 결합홈부(111)의 개구부를 통하여 각 내측단 측으로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결합홈부(111)의 개구부측은 상기 와이어(w)의 직경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w)가 상기 각 결합홈부(111)의 내측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 개구부측으로 이탈 및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The wire (w) can be inserted and fixed to each inner end side through the opening of each of the engaging recesses (11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sides of the coupling grooves 111 are formed to have a width substantial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w.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e (w) from being separated and separated from each opening side in a state where the wire (w) is inserted into the inner end of each of the engagement recesses (111).

더욱이, 상기 각 결합홈부(111)는 상기 패드부(110)에 직접 관통될 수도 있으나, 상기 와이어(w)의 장력이 상기 치아(t)에 보다 집중적으로 가해지면서도 결찰철사(미도시)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패드부(110)의 타면부에 일체로 돌설된 돌출부(115)에 형성될 수도 있다.Each of the engaging recesses 111 may be directly penetrated to the pad portion 110. The tension of the wire w may be applied to the teeth t more intensively, And may be formed on the protrusion 115 integrally projecte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pad 110 to facilitate the fastening.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의 일측 단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의 일측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ire clamping apparatus for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one side end of a wire clamping apparatus for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 clamping apparatus for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는 그립부(210), 연결부(220) 및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도 5의 1점 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핸들링에 의해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견인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3 to 5, a wire clamping apparatus 200 for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ip portion 210, a connection portion 220, and a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tion indicated by the one-dot chain line in FIG. 5 is a path through which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are pulled by handlin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는 상기 브라켓(100)에 형성된 결합홈부, 특히 상기 치아(t)의 설측에 부착된 상기 브라켓(100)에서 치근측(tb)으로 개구됨으로 인해 시술자가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에 상기 와이어(w)를 삽입 및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된다.The wire clamping apparatus 200 for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groove portion formed in the bracket 100 and particularly the bracket 100 attached to the lingual side of the tooth t Is provided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wire (w) into the lower engaging groove portion (111a) which is difficult for a practitioner to visually confirm due to the opening.

여기서, 시술자라 함은 치열 교정치료를 위한 교정부품(브라켓, 와이어)을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부착 및 체결하는 의료행위자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시술자는 치열 교정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term "practitioner"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medical actor who attaches and fastens an orthodontic part (bracket, 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inside the mouth cavity of a patient.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ject is a patient who needs orthodontic treatment.

상세히, 상기 그립부(210)는 시술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스틱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그립부(210)는 단면형상이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외면에는 시술자의 파지시 손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요철형상의 논슬립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grip part 210 is provided in a stick shape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grasped by a practitioner. The grip portion 2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and a polygonal shape. On the outer surface, a non-slip portion 211 having a concavo-convex shape may be formed to prevent slippage of the hand when the operator grips the grip portion. have.

그리고, 상기 그립부(210)의 일단부(210a)로부터 상기 연결부(220)가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20)는 전후방향의 폭(L2)보다 양측방향의 폭(L1)이 크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단면형상을 갖는다. 더욱이, 상기 연결부(220)의 양측방향 폭(L1)은 상기 브라켓(100)의 가로폭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확장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220 may extend from one end portion 210a of the grip portion 210. Here, the width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 in the lateral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L2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220 has a generally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 addition, the lateral width L1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 may be enlarged to substantially correspond to the lateral width of the bracket 100.

이때,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그립부(2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시술자의 손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삽입 내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그립부(210)의 단부(210a)와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part 220 is formed so that the end part 210a of the grip part 210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arts (not shown) ar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while the grip part 210 is gripped, 230, respectively.

더불어, 상기 연결부(220)의 양측방향 양단부로부터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상기 연결부(220)의 연장방향(p1)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d1)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되, 상기 브라켓(100)의 하측 결합홈부(111a)와 대응되는 단부면측에 상기 와이어(w)가 수용되는 취부홈(233)이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may be extended from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 in both directions.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are bent and extended at an angle d1 at a predetermined angle d1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p1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 The lower binding groove portion 111a of the bracket 100 And mounting grooves 233 in which the wires w are received are formed on the corresponding end faces.

상세히, 상기 취부홈(233)은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말단부(230a)로부터 상기 연결부(220)의 단부측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함몰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취부홈(233)의 개구부는 상기 브라켓(100)의 타면 및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 사이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만큼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말단부(230a)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취부홈(233)에 상기 와이어(w)가 수용된 상태에서도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말단부(230a)가 상기 브라켓(100)이 부착된 치아(t)의 표면 및 이와 인접한 잇몸조직에 접촉됨을 방지할 수 있다.The mounting groove 233 is recessed from the distal end 230a of the pair of bending holder 230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part 220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opening of the attaching groove 233 is spaced apart from the distal end 230a of the pair of bent holder parts 230 by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bracket 100 and the lower engaging groove part 111a . The distal end portion 230a of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is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tooth t to which the bracket 100 is attached and the Contact with the adjacent gingival tissue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취부홈(233)은 상기 브라켓(100)의 외면 프로파일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절곡 연결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단부면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220)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상기 치아(t)에 부착된 상기 브라켓(100)의 외면을 감싸듯이 배치되면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100c)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에 형성된 상기 취부홈(233)은 상기 브라켓(100)의 하측 결합홈부(111a)의 개구부와 상호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mounting groove 233 may be formed on the end surface of the pair of bent holder parts 230 that are bent so as to substantially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profile of the bracket 100. When the connecting portion 220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are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100 attached to the teeth t, And the lower surface 100c of the display unit 100. FIG. The attachment grooves 233 formed in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openings of the lower engagement grooves 111a of the bracket 100. [

그리고, 시술자가 상기 그립부(210)를 쥐고 상기 브라켓(100)이 부착된 치아(t)의 치관 단부측으로 당기는 힘을 가하면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내측단과 상기 취부홈(233)의 내측단이 횡방향으로 연통되도록 견인된다. 이때, 상기 취부홈(233)에 수용된 상기 와이어(w)가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내측단에 걸림 구속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의 체결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개구부는 내측단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와이어(w)의 자중에 의해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할 수도 있다.When a practitioner grasps the grip portion 210 and applies a pulling force to the crown end side of the tooth t to which the bracket 100 is attached, the inner end of the lower engagement groove portion 111a and the inner end of the attachment groove 233 So as to be communic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wire w received in the attachment groove 233 is engaged with the inner end of the lower engagement groove 111a, so that 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wire w can be completed. Here, since the opening of the lower coupling groove 111a is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inner e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wer coupling groove 111a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coupling groove 111a by the weight of the wire w.

더욱이, 상기 취부홈(233)은 상기 브라켓(100)의 하측 결합홈부(111a)와 대응되는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경사내면(231)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상기 취부홈(233)의 내측단에 자중에 의해 수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취부홈(233)으로부터 상기 와이어(w)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체결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The attaching groove 233 is formed in the inclined inner surface 231 of the pair of bent holder parts 230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gaging groove part 111a of the bracket 100, The state in which it is accommodated by its own weight can be maintained at the inner end of the mounting groove 233.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moving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subject, the detachment of the wire w from the attachment groove 233 is prevented, so that the engagement st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한편, 상기 연결부(220)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상기 브라켓(100)의 타면(100b) 및 하면(100c)에 각각 대응되는 각도로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20)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를 상기 브라켓(100)의 타면(100b) 및 하면(100c)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각도(d1)로 절곡 연결하는 절곡라운드부(221)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portion 220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may be bent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other surface 100b and the bottom surface 100c of the bracket 100, respectively. The bending round portion 221 for bending and connecting the connecting portion 220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at an angle d1 corresponding to the profile of the other surface 100b and the bottom surface 100c of the bracket 100, Is formed to be rounded.

상세히, 상기 연결부(220)의 연장방향(p1)과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연장방향(p2)은 상기 절곡라운드부(221)를 중심으로 상술한 기설정된 각도(d1)에 대응하여 일체로 절곡 연장된다. 즉, 상기 연결부(220), 상기 절곡라운드부(221)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실제로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부분의 기능에 따라 구분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The extending direction p1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 and the extending direction p2 of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correspond to the predetermined angle d1 about the bending round portion 221 So as to be integrally bent and extended. That is, the connecting portion 220, the bending round portion 221,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may be formed as one body, and are divided according to functions of the respective portions.

그리고, 상기 연결부(220)와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기설정된 각도(d1)에 대응하여 절곡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220)가 상기 브라켓(100)의 타면(100b)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면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100c)과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취부홈(233)은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100c)과 대응되는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단부면측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220 is bent so as to correspond to the other surface 100b of the bracket 100 as the connecting portion 220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are bent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angle d1.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are dispos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bottom surface 100c of the bracket 100. The mounting groove 233 is formed on the end surface of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100c of the bracket 100 so as to be opposed to the lower connecting groove portion 111a .

이때, 상기 기설정된 각도(d1)는 상기 연결부(220)가 상기 브라켓(100)의 타면(100b)가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단부면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라운드부(221)를 중심으로 한 경사내면(231)측이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100c)과 대응될 수 있는 각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angle d1 may be set at the end surface side of the pair of bending holder parts 230, preferably, at a side of the end surface of the pair of bending holder parts 230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220 is dispos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other surface 100b of the bracket 100 The inclined inner surface 231 with the bent round portion 221 as the center may be an angle with the lower surface 100c of the bracket 100. [

또한, 상기 경사내면(231)이라 함은 상기 연결부(220)와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이루는 각이 작은 쪽에 대응되는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내면측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후술되는 경사외면(232)은 상기 연결부(220)와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이루는 각이 큰 쪽(도 3의 d4에 대응)에 대응되며 상기 경사내면(231)과 대향되는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외면측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The inclined inner surface 231 is preferably an inner surface side of the pair of bending holder parts 230 corresponding to a smaller angle between the connecting part 220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arts 230 . In addition, the inclined outer surface 2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orresponds to a larger angle (corresponding to d4 in FIG. 3)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220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and is opposite to the inclined inner surface 231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as described above.

즉, 상기 연결부(220)와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상기 브라켓(100)의 타면(100b) 및 하면(100c)과 각각 대응되는 각도로 절곡 연결되되 상기 취부홈(233)이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100c)과 대응되는 경사내면(231)에 함몰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에 삽입되도록 상기 취부홈(233)이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100c)측에 배치되더라도 상기 브라켓(100)의 타면(100b)과 상기 연결부(220)가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That is, the connecting portion 220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are bent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other surface 100b and the bottom surface 100c of the bracket 100, respectively, And is recessed in the inclined inner surface 231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100c of the bracket 100. [ Even though the mounting groove 233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100c side of the bracket 100 so that the wire w is inserted into the lower connection groove portion 111a, And the connection portion 220 are disposed substantially adjacent to each other.

이때, 상기 그립부(210)의 연장방향, 상기 취부홈(233)의 함몰방향 및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개구방향은 실질적으로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취부홈(233)이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개구부와 대응된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상기 치아(t)의 치관 단부측으로 견인되도록 당기는 간편한 조작만으로도 상기 와이어(w)가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에 삽입 및 고정된다. 이를 통해,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의 핸들링 반경이 작아져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조작과의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피시술자의 불편감 및 고통이 감소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210, the depressing direction of the attaching groove 233, an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lower engaging groove portion 111a are formed to substantially correspond to each other. Therefore, even if the wire 230 is pulled to the crown end side of the tooth t in a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groove 233 corresponds to the opening of the lower engagement groove portion 111a, (w)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lower engagement groove portion 111a. As a result, the handling radius of the orthodontic bracket wire clamping device 200 is reduced, and interfere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mouth of the subject is minimized, so that the discomfort and pain of the subject can be reduced.

더욱이,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는 상기 상측 결합홈부(111b)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직선상에 각 형성되므로 상기 상측 결합홈부(111b)의 개구 위치를 가시적으로 확인하면 상기 취부홈(233)과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개구부 위치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개구부측 테두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의 외면이 부드럽게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로의 삽입이 가이드되므로 체결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Since the lower engaging recessed portion 111a is formed on the substantially same vertical line as the upper engaging recessed portion 111b, when the opening position of the upper engaging recessed portion 111b is visually confirmed, The position of the opening of the lower engagement groove portion 111a can be easily recognized. In addition, since the opening edge of the lower engaging recess 111a is rounded,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w is smoothly slid and guided by the lower engaging recess 111a, so that the fastening convenience can be improved .

한편,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상기 브라켓(100)의 가로폭과 대응되는 수용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호 이격되어 대향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양측방향의 폭(L1)이 큰 장방형 프로파일로 형성되되, 상기 브라켓(100)의 가로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220)의 양측방향 양단부로부터 절곡 연장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상기 브라켓(100)의 가로폭과 대응되는 상기 수용공간(s)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The pair of bending holders 2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orm a receiving space 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bracket 100. Specifically, the connection part 2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rofile having a large width L1 in both the lateral directions, and extends to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lateral width of the bracket 100. [ Therefore, the accommodating space 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bracket 100 is naturally formed in the pair of bent holder portions 230, which are bent and extended from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 in both lateral directions.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s)에 상기 치아(t)에 부착된 브라켓(100)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상기 브라켓(100)의 가로방향 양측면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상기 브라켓(100)에 간섭되지 않고도 상기 와이어(w)를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내측단까지 견인하여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다.When the bracket 100 attached to the teeth t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s, the pair of bending holders 230 are disposed adjacent to both lateral sides of the bracket 100 do. Therefore, the wire (w) can be pulled to the inner end of the lower engaging groove portion 111a and inserted and fix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bracket 100 by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또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지지하는 간격이 실질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체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를 이용한 상기 와이어(w)의 이동 및 고정 작업이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Further, as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gap for supporting the wire 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wider. Accordingly, the movement and fixing operation of the wire (w) using the wire clamping apparatus 200 for the heat-calibrating bracket can be performed more stably.

더욱이,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 사이에 상기 브라켓(100)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를 당기는 조작만으로도 상기 취부홈(233)이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내측단에 대응되도록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w)가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에 신속하고 견고하게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The mounting groove 233 may be formed in the lower engaging groove portion 233 only by pulling the wire clamping device 200 for orthodontic bracket in a state where the bracket 100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 111a. Therefore, the wire w can be quickly and firmly inserted and fixed in the lower engagement groove 111a.

또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100c)과 대응되도록 절곡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210)와 상기 취부홈(230)의 함몰방향이 실질적으로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210)를 쥔 상태에서 상기 치아(t)의 치관 단부측으로 당기는 힘의 방향과 상기 취부홈(230)의 함몰 형성된 방향이 대응된다.The depressions of the grip portion 210 and the attachment groove 230 substantially correspond to each other as the pair of the bending holder portions 230 are bent to correspond to the lower surface 100c of the bracket 100. [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e force of pulling the teeth t toward the crown end side in a state of gripping the grip part 210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ttaching grooves 230 are recessed and formed.

이에 따라, 상기 시술자가 최소한의 당기는 힘을 가하더라도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에 상기 와이어(w)가 손쉽게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w)를 체결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브라켓(100)이 상기 치아(t)로부터 분리되거나 주변 치아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re w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lower engaging recess 111a even if the practitioner applies a minimum pulling for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acket 100 from separating from the teeth t or applying unnecessary force to surrounding teeth due to the force applied when the wire w is fastened.

한편, 상기 취부홈(233)은 내측단이 치열교정 치료시 사용되는 와이어의 최대치 직경에 대응하되, 개구부 테두리에는 치열교정 치료시 사용되는 와이어의 최소치 직경에 대응하는 단턱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The mounting groove 233 may correspond to the maximum diameter of the wire used in the orthodontic treatment, and may have a step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diameter of the wire used in the orthodontic treatment.

상세히, 치열교정 치료시 사용되는 와이어는 단면형상이 원형, 타원형 및 사각형 등의 다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단면폭(직경)이 0.25mm, 0.3mm 및 0.35mm로 규격화되어 제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는 0.35mm의 단면폭(직경)을 갖는 와이어뿐만 아니라 0.25mm의 단면폭(직경)을 갖는 와이어가 걸림 수용된 상태에서도 상기 와이어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In detail, the wire used in the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provid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and a square shape, and its cross-sectional width (diameter) is standardized to 0.25 mm, 0.3 mm and 0.35 mm. Therefore, the wire clamping apparatus 200 for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bly fixes the wire even when a wire having a cross-sectional width (diameter) of 0.25 mm is accommodated not only in a wire having a cross-sectional width (diameter) of 0.35 mm, Should be maintained.

그러므로, 상기 취부홈(233)은 내측단이 0.35mm의 단면폭(직경)을 갖는 와이어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되, 개구부에 형성된 상기 단턱부 사이 간격이 0.25mm의 단면폭(직경)을 갖는 와이어보다 좁은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로 다양한 와이어 직경에 대응하여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활용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Therefore, the attaching groove 233 is formed to have a size such that a wire having a cross-sectional width (diameter) of 0.35 mm at its inner end is accommodat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tepped portions formed at the opening is 0.25 mm It can be formed at a narrower interval than the wire. Accordingly, since the wire clamping device 200 for one orthodontic bracke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corresponding to various wire diameters, the applic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욱이,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상기 브라켓(100)의 두께에 대응하여 연장되며,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각 말단부(230a) 및 상기 절곡라운드부(221)의 외면(221a)은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브라켓(100)의 두께라 함은 상기 브라켓(100)의 일면(100a) 및 타면(100b) 사이 간격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The pair of bent holder portions 230 exten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bracket 100 and are connected to the distal ends 230a of the pair of bent holder portions 230 and the outer surfaces of the bent round portions 221 (221a) are formed to be rounded. The thickness of the bracket 100 may be a distance between one side 100a of the bracket 100 and the other side 100b.

즉,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연장된 길이가 상기 브라켓(10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므로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의 일단부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측으로 돌출되는 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의 일측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구강 내부 조직과의 간섭이 최소화되며 피시술자가 최소한의 개구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말단부(230a) 및 상기 절곡라운드부(221)의 외면(221a)이 부드럽게 라운드 처리됨에 따라 주변치아의 잇몸 또는 유동되는 혀의 외면이 긁혀 상처가 발생됨이 방지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extended length of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bracket 100, the width of the one end of the wire clamping apparatus 200 for orthodontic bracket projecting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patient Can be minimized. Thus, the interference with the internal oral tissue is minimized in a state where one side of the orthodontic bracket wire clamping device 200 is disposed inside the mouth of the client, and the defector can maintain the minimum opening interval, so that the discomfort is minimized . As the distal end portion 230a of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and the outer surface 221a of the bending round portion 221 are smoothly rounded, the outer surface of the gingiva or the flowing tongue of the peripheral teeth is scratched and scratched Can be prevented.

한편,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그립부(210)의 단부측(210a)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껍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20)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 사이를 지지하도록 보강날개부(234, 도 4의 해칭부분)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portion 220 may be gradually thickened toward the end portion 210a of the grip portion 210. [ Preferably, a reinforcing wing 234 (hatched portion in FIG. 4) is formed to support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220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즉, 상기 연결부(220)의 일측 두께(t1)가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의 핸들링시 휘어짐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절곡라운드부(221)측으로 갈수록 타측 두께(t2)가 얇게 형성되어 구강 내부와의 간섭이 더욱 최소화될 수 있다.That is, the thickness t1 of on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 may be made thick to prevent the wire clamping apparatus 200 for bending or breaking during handling of the orthodontic bracket. In addition, the thickness t2 of the other side is made thinner toward the bending round portion 221, so that the interference with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can be further minimized.

또한, 상기 연결부(220)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 사이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상기 보강날개부(234)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절곡라운드부(221)측이 얇은 두께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한쌍의 절곡라운드부(230)의 지지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와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최소한의 폭으로 형성되더라도 핸들링시 가해지는 힘에 의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변형 및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Also, since the reinforcing wing 234 is formed to simultaneously support the connection portion 220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even if the bending round portion 221 is formed to have a small thickness, The support strength of the bending round portion 230 can be reinforced. Accordingly, even if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are formed to have a minimum width capable of minimizing interference with the interior of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deformation of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due to the force applied during handling, Breakage can be minimized.

더욱이,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경사외면측(232)에는 상기 절곡홀더부(230)의 두께보다 돌출된 돌출보강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돌출보강부는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됨에 따라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와의 간섭은 최소화되면서도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지지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ruding reinforcing portion that protrudes beyond the thickness of the bending holder 230 may be formed on the inclined outer surface side 232 of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At this time, since the protruding reinforcing portion is protruded outwardly in a rounded manner, interference with the interior of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can be minimized, and the supporting strength of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can be reinforced.

이때, 상기 연결부(220)와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실질적으로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티타늄과 같은 생체 친화적인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구강 내부에 상기 연결부(220)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표면이 접촉되더라도 감염 내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티타늄 재질은 상기 와이어(w)를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 및 고정하기 위한 소정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휘어짐 내지 변형이 방지되는 강도를 가지면서도 경량이므로 시술자의 핸들링시 피로도 내지 부담감이 최소화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220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may be substantially integrally formed, or may be formed of a biocompatible metal such as titanium. Therefore, even if the surfaces of the connection portion 220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infection or contamination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titanium material has a strength to prevent warping or deformation even when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to insert and fix the wire (w) into the coupling groove portion, the titanium material is light in weight so that fatigue or burden is minimized It is possible.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의 타측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Meanwhile, FIG. 6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other use state of a wire clamping apparatus 200 for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그립부(210)의 타단부(210b)에는 한쌍의 단차홀더부(2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단차홀더부(250)는 상기 그립부(210)의 연장방향과 단차지게 지그재그로 절곡되되 단부에 푸시홈(253)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to 6, a pair of stepped holder portions 25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ther end portion 210b of the grip portion 210. FIG. The pair of stepped holder parts 250 are folded in a zigzag manner so as to be stepped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rip part 210, and a push groove 253 may be formed at an end thereof.

상세히, 상기 그립부(210)의 타단부(210b)로부터 타측연결부(240)가 연장된다. 이때, 상기 타측연결부(240)도 상기 연결부(220)와 마찬가지로 양측방향 폭이 전후방향 폭보다 큰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측연결부(240)의 양측방향 양단부로부터 상기 한쌍의 단차홀더부(250)가 절곡 연장되되, 구배부(251) 및 단차연장부(25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other connecting portion 240 extends from the other end 210b of the grip portion 210. At this time, the other side connection part 24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ateral width larger than a front-rear direction width, like the connection part 220. The pair of stepped holder portions 250 may be bent and extended from both ends of the other side connecting portion 240 in the opposite directions and may include a bulge portion 251 and a stepped portion 252.

상세히, 상기 타측연결부(240)의 단부로부터 기설정된 제2각도(d2)에 대응하여 구배진 상기 구배부(251)가 일체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구배부(251)는 상기 한쌍의 단차홀더부(250)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가 대합치아 내지 입술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In detail, the bulb portion 251 is integrally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other connecting portion 240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econd angle d2. Here, the sphygmomanometer 251 may be extended to a length such that the grip portion is not in contact with the mating teeth or the lips in a state where the pair of the sphygmomanometer holders 250 are disposed inside the mouth of the subject.

또한, 상기 구배부(251)의 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구배부(251)의 구배방향과 대향측으로 기설정된 제3각도(d3)에 대응하여 구배진 상기 단차연장부(25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차연장부(252)는 상기 푸시홈(253)이 상기 상측 결합홈부(111b)의 내측단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배부(251)와의 절곡부가 상기 브라켓(100)이 부착된 치아(t)의 치관 단부측에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The step extension portion 252 is integrally formed from the end of the sphere portion 251 and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third angle d3 to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agging direction of the sphere portion 251 . The stepped extension 252 is bent so that the bent portion 251 and the bracket 10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push groove 253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end of the upper engagement groove 111b. Can be extended to such a length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ot end side of the tooth " t "

이때, 상기 제2각도(d2)와 상기 제3각도(d3)는 상기 타측연결부(240)와 상기 단차연장부(252)가 단차지되 각각의 연장방향(p3,p5)이 상호 대응될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angle d2 and the third angle d3 are set such that the other connecting portions 240 and the stepped extension portions 252 are partially charged, and the respective extending directions p3 and p5 correspond to each other Lt; / RTI >

즉, 상기 한쌍의 단차홀더부(250)는 상기 타측연결부(240) 및 상기 구배부(251)의 연장방향(p3,p4)은 상기 제2각도(d2)에 대응하여 구배진다. 동시에, 상기 구배부(251) 및 상기 단차연장부(252)의 연장방향(p4,p5)는 상기 제3각도(d3)에 대응하여 구배지되 상기 타측연결부(240)와 상기 단차연장부(252)의 연장방향(p3,p5)는 대응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비된다.That is, the extending direction p3 and p4 of the other side connecting portion 240 and the sphere portion 251 of the pair of stepped holder portions 250 are grad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ngle d2. At the same time, the extending directions (p4, p5) of the bulb portion 251 and the stepped extension portion 252 are spherically distributed corresponding to the third angle d3, and the other connecting portion 240 and the stepped extension portion 252 are provided in corresponding zigzag shapes.

따라서, 상기 브라켓(100)의 상측방향으로 개구된 상기 상측 결합홈부(111b)와 상기 푸시홈(253)이 대응되도록 배치되면 상기 구배부(251)가 상기 치아(t)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자연스럽게 절곡되면서 구강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상기 상측 결합홈부(111b)에 삽입되도록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를 핸들링시에도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와의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조작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pper engagement groove portion 111b opened upward in the bracket 100 and the push groove 253 are dispos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bulb portion 251 corresponds to the outer profile of the teeth t And can be extended outwardly of the mouth while bending naturally. Accordingly, even when the wire clamping apparatus 200 for orthodontic bracket is handled so that the wire w is inserted into the upper coupling groove 111b, interference with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recipient is minimized, .

또한, 상기 한쌍의 단차홀더부(250)가 지그재그로 다단 절곡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210)와 상기 단차연장부(252)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연장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푸시홈(253)이 상기 단차연장부(252)의 연장된 단부에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210)를 쥔 상태에서 상기 치아(t)의 치근측으로 미는 힘의 방향과 상기 푸시홈(253)의 함몰 형성된 방향이 대응된다.The grip portion 210 and the step extension portion 252 are provided in substantially the same extending direction as the pair of stepped holder portions 250 are folded in a zigzag fashion so that the push groove 253 is in contact with the step And is recessed at the extended end of the extension 252.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e pushing force toward the root side of the tooth (t) in the state of gripping the grip portion 210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sh groove 253 is recessed and formed.

이에 따라, 시술자가 최소한의 미는 힘을 가하더라도 상기 상측 결합홈부(111b)에 상기 와이어(w)가 손쉽게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w)를 체결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브라켓(100)이 상기 치아(t)로부터 분리되거나 주변 치아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re (w)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upper joining recess 111b even if the practitioner applies a minimum pushing for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acket 100 from separating from the teeth t or applying unnecessary force to surrounding teeth due to the force applied when the wire w is fastened.

더욱이, 상기 그립부(210)의 일단부에는 상기 브라켓(100)의 하측 결합홈부(111a)에 와이어(w)를 당겨서 삽입하기 용이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브라켓(100)의 상측 결합홈부(111b)에 와이어(w)를 밀어서 삽입하기 용이한 한쌍의 단차홀더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One end of the grip portion 210 is provided with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which are easily inserted into the lower engagement groove portion 111a of the bracket 100 by pulling the wire w, A pair of stepped holder parts 250 that can be easily inserted by pushing the wire w into the upper engagement groove part 111b of the bracket 100 can be provided.

이에 따라, 상기 치아(t)에 부착된 브라켓(100)에 와이어(w)를 삽입시 하나의 기구를 이용하여 상측 및 하측에 다단으로 형성된 결합홈부에 상기 와이어(w)를 손쉽게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치열 교정치료시 필요로 하는 교정기구가 최소화되어 경제적이며 시술자의 시술공수가 단순화되어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inserting the wire w into the bracket 100 attached to the tooth t, the wire w can be easily inserted and fixed into the engagement groove formed at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using one mechanism . As a result, the orthodontic appliance required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minimized, which is economical, and the procedure of the practitioner is simplifi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can be remarkably improved.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그립부(21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일단부측에 구비되는 절곡홀더부(230)의 취부홈(233)과 타단부측에 구비되는 절곡홀더부(230)의 취부홈(233)은 직경이 상호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로 상기 치열 교정치료에 사용되는 다양한 와이어 직경에 대응하여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경제성 및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pair of bending holder parts 230 may be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grip part 21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mounting grooves 233 of the bending holder 230 and the mounting grooves 233 of the bending holder 230 provided at the other end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diameters. Therefore, since the wire clamping device for one orthodontic bracket can be used for general purpose corresponding to various wire diameters used in the orthodontic treatment, economical efficiency and us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의 일측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취부홈(333)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FIG. 7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one side of a wire clamping apparatus for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modification,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mounting groove 333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will be omitted.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취부홈(333)은 내측단이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330)의 경사외면(332)측 말단부를 항햐여 구배지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mounting groove 333 may be formed such that an inner end of the mounting groove 333 is formed to be sloped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ed outer surface 332 of the pair of the bent holder 330.

상세히, 상기 취부홈(333)은 개구부가 상기 브라켓(100)의 타면 및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 사이 두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되 내측단이 상기 경사외면(332)측 말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구배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취부홈(333)의 일측내면에는 상기 취부홈 내측으로 돌설된 걸림단부(333a)가 형성되고 타측내면에는 상기 걸림단부(333a)와 대향되되 상기 걸림단부(333a)의 연장길이보다 긴 구속단면부(333b)가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groove 333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bracket 100 and the lower engaging groove 111a and the inner end is locat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nd portion on the side of the inclined outer surface 332 And is formed to be oblique. At this time, a locking end 333a protruding inward from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mounting groove 333, and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groove 333a is opposed to the locking end 333a and longer than the extending length of the locking end 333a A restricting section 333b may be formed.

즉, 상기 와이어(w)가 상기 걸림단부(333a)에 구속됨에 따라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300)가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외측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더라도 상기 취부홈(333)에 안정적으로 걸림 수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That is, even if the wire fastening device 300 for the orthodontic bracket is rotat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mouth of the patient, as the wire w is restrained to the fastening end 333a, The accommodated state can be maintained.

또한, 상기 구속단면부(333b)가 넓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상기 취부홈(333)에 수용된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구속하여 상기 와이어(w)의 취부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stricting end face 333b is formed to be wider, the state in which the wire w is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recess 333 can be more stably restrained, and the mounting stability of the wire w can be further improved.

더욱이, 상기 취부홈(333)의 내측단 및 개구부가 실질적으로 어긋나게 배치됨에 따라 내측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더라도 상기 걸림단부(333a)의 돌설폭만큼 개구폭이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w)가 상기 취부홈(333)에 수용된 상태에서 별도의 단턱부가 없이도 안정적으로 걸림 수용될 수도 있다.Further, since the inner end of the attaching groove 333 and the opening portion are arranged to be substantially shifted, the opening width can be closed by the stagger width of the engaging end portion 333a even if the inner width is substantially the same. Accordingly, the wire (w) can be stably received in the mounting groove (333) while being stably received without a separate step.

또한, 상기 취부홈(333)의 함몰방향과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개구방향이 대응되도록 핸들링되면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그립부가 대합치아 및 입술로부터 더욱 이격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w)의 체결과정에서 피시술자의 고통 및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도 있다.When the depression of the attaching groove 333 an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lower engaging groove 111a are matched with each other,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grip portion may be pivoted away from the opposing teeth and lips. This may minimize the pain and discomfort of the subject during the fastening of the wire w.

한편,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100)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따라 개별 설정되는 디지털 브라켓(10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전술된 상기 브라켓은 실질적으로 상기 디지털 브라켓과 대응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2 to 7, the bracket 100 may be provided as a digital bracket 100 that is individually set according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subject.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brackets described herein are substantially associated with the digital brackets.

상세히,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은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에 따라 가상조절된 각 치아이미지와 대응되도록 디지털 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된 하나의 가상 교정 탬플릿의 디지털 외형정보로부터 설정될 수 있다. In detail, the digital bracket 100 may be set from the digital contour information of one virtual calibration template extracted from the digital library so as to correspond to each tooth image virtually adjus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secutive dental structure.

여기서, 상기 각 치아이미지는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획득 및 로딩되는 오랄스캔 이미지상에서 잇몸이미지와 분리된 후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에 따라 가상정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라 함은 피시술자의 치열이 바람직한 기능적, 심미적 교합상태로 교정되도록 수립된 치열 교정치료 계획에 따른 가상 치열궁 프로파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tooth images may be separated from the gum images on the oral scan image acquired and loaded corresponding to the oral cavity profile of the subject, and then may be virtually aligne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consecutive dental structure. Here, the predetermined continuous dentition structure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virtual dental arch profile according to the orthodontic treatment plan established so that the dentist's dentition is corrected to a desirable functional and aesthetic occlusal state.

그리고,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은 상기 가상 교정 탬플릿의 디지털 외형정보를 기반으로 제조되되,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에 따라 가상정렬된 각 치아이미지에 대응하여 동시에 배치된 후 각각의 치아(t) 외면에 형합되도록 개별적으로 설계된다.The digital bracket 100 is manufactured based on the digital contour information of the virtual calibration template and is simultaneously disposed corresponding to each tooth image virtually aligne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consecutive dental structure, And are individually designed to fit on the outer surface.

이를 통해,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의 설계 및 제조는 신속하고 용이하면서도 교정대상 치아 외면의 정확한 위치에 형합 부착이 가능하므로 치열 교정치료의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us,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the digital bracket 100 can be quickly and easily performed, and the fitting of the digital bracket 100 can be performed at an accurate posi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ooth to be calibrated,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욱이,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의 상측에는 각 치아(t)의 특징적인 저작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지그부(12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 치아(t)의 상단부에 상기 지그부(120)의 내면이 상호 형합됨으로써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이 정확한 부착위치로 가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의 정확한 부착위치라 함은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이 부착되어 치열 교정치료를 위한 와이어(w)의 장력이 가해질 수 있는 각 치아(t)의 기설정된 위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a jig 12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gital bracket 1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characteristic shape of the tooth surface of each tooth t. Accordingly, the digital bracket 100 can be guided to the correct attaching position by interlocking the inner surface of the jig 120 with the upper end of each tooth t. Herein, the precise attachment position of the digital bracket 100 is understood as a predetermined position of each tooth t to which the digital bracket 100 is attached so that the tension of the wire w for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applied .

또한, 상기 지그부(120)와의 경계부에 분절엣지(122)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이 상기 각 치아(t)에 부착된 후 소정의 힘을 가하기만 하면 상기 치아에 부착된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으로부터 상기 지그부(1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그부(120)의 상측에는 기설정된 취부면적으로 돌설된 그립돌출부(130)가 형성되되, 상기 그립돌출부(130)에는 각 디지털 브라켓(100)이 부착되는 치아(t)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표식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의 취부 및 위치 인지가 용이하다.As the segmented edge 122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digital bracket 100 and the jig 120, the digital bracket 100 is attached to each tooth t, The jig 12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digital bracket 100. At this time, a grip projection 130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mounting area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jig 120, and the position of the tooth t to which each digital bracket 100 is attached May be further provided. Therefore, it is easy to determine whether the digital bracket 100 is mounted or positioned.

물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디지털 브라켓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치열 교정치료를 위해 치아의 외면에 부착되는 패드부와 와이어의 체결을 위해 관통 형성되는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형태라면 공지된 다양한 형상의 브라켓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300)는 상기와 같이 결합홈부가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브라켓에 상기 와이어를 체결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Of course, the bracket is not limited to the digital bracket but may include a pad portion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ooth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a coupling groove portion formed to penetrate the wire for fastening the wire. . The orthodontic bracket wire clamping apparatuses 200 and 300 may be utilized for fastening the wires to various types of brackets having the coupling recesses as described abov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300)는 상기 연결부(220) 및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상기 브라켓(100)의 타면(100b) 및 하면(100c)에 각각 대응되도록 절곡 연결되되, 상기 취부홈(233)은 상기 브라켓(100)의 하측 결합홈부(111a)와 대응되는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경사내면(231)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w)가 상기 취부홈(233)의 내측단에 자중에 의해 수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탈이 방지되어 체결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The connecting unit 220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units 230 are mounted on the other surface 100b and the bottom surface 100c of the bracket 100, respectively, in the wire fastening apparatuses 200 and 300 for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groove 233 is formed on the inclined inner surface 231 of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corresponding to the lower connecting groove portion 111a of the bracket 100. [ Therefore, the wire w is retained in its inner end by the weight of the attachment groove 233,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lodged in the process of being moved into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thereby improving the engagement stability.

이때,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100c)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취부홈(233)의 함몰방향이 상기 그립부(210)의 연장방향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그립부(210)를 쥐고 최소한의 힘으로 치관 단부측으로 당기는 간단한 핸들링만으로도 상기 와이어(w)가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내측단까지 견고하게 삽입 및 고정된다. 이를 통해, 시술자가 상기 와이어(w)를 상기 브라켓(100)에 체결시 조작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a state where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surface 100c of the bracket 100, the depression direction of the attachment groove 233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21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wire w is firmly inserted and fixed to the inner end of the lower engaging recess 111a by only a simple handling by holding the grip portion 210 and pulling it to the crown end side with minimal force. Accordingly, when the operator fastens the wire (w) to the bracket (100), the operation convenien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욱이,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상기 브라켓(100)의 외면형상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절곡되어 핸들링 반경이 작아지므로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조직과의 간섭이 최소화된다. 또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말단부(230a) 및 상기 절곡라운드부(221)의 외면(221a)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구강 내부 연조직 및 주변에 도포된 레진의 긁힘을 방지하여 피시술자의 불편감 및 고통이 감소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are bent so as to substantially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bracket 100, the handling radius is reduced, so that the interference with the internal tissue of the subject is minimized. The end portions 230a of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and the outer surface 221a of the bending round portion 221 are rounded to prevent scratching of the soft tissues of the mouth and surrounding resin, The discomfort and pain of the user can be reduced.

더불어,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그립부(210)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20)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 사이를 지지하도록 상기 보강날개부(240)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w)를 상기 브라켓(100)에 체결하기 위한 핸들링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변형 및 파손됨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220 is formed gradually thicker toward the end portion of the grip portion 210 and the reinforcing wing portion 240 is formed so as to support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220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 . Accordingly,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230 ar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and damaged by a force applied during handling for fastening the wire w to the bracket 100, so that the dur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 와이어 체결장치 210 : 그립부
220 : 연결부 230 : 절곡홀더부
233 : 취부홈 234 : 보강날개부
250 : 단차홀더부 251 : 구배연장부
252 : 단차연장부 253 : 푸시홈
100 : 브라켓 t : 치아
200: wire fastening device 210: grip part
220: connection part 230: bending holder part
233: mounting groove 234: reinforcing wing portion
250: step difference holder part 251: gradient extension part
252: step extension part 253: push groove
100: Bracket t: Tooth

Claims (5)

치아의 외면에 부착되는 브라켓의 치근측에 대응하여 개구된 하측 결합홈부에 상기 치아의 위치가 교정되도록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를 삽입 및 고정하기 위한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에 있어서,
파지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전후방향보다 양측방향의 폭이 크게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측방향 양단부로부터 각각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되, 상기 브라켓의 하측 결합홈부와 대응되는 단부면측에 상기 와이어가 수용되는 취부홈이 형성된 한쌍의 절곡홀더부를 포함하는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A wire clamping apparatus for an orthodontic bracket for inserting and fixing a wire for providing a tension so that a position of the tooth is corrected in a lower engaging groove portion corresponding to a root side of a bracket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a tooth,
A grip portion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grasped;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grip portion and having a larger width in both lateral directions tha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d a pair of bending holders extending from the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at both sides in an inclined manner at predetermined angles and having attachment grooves for receiving the wires at the end surfaces of the brackets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gagement grooves, Wire fasten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가 상기 브라켓의 타면 및 하면과 각각 대응하여 절곡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부와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 사이에는 기설정된 각도로 라운드진 절곡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는 상기 브라켓의 가로폭과 대응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며,
상기 취부홈은 상기 하측 결합홈부의 개구방향과 대응되는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 단부의 경사내면측에 각각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ending round portion rounded at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are bended corresponding to the other surfaces and bottom surfaces of the bracket,
Wherein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orm a receiving space corresponding to a width of the bracket,
Wherein the attach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inclined inner surface side of the ends of the pair of bent holder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lower engaging groov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홈은 내측단이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의 경사외면측 단부를 향하여 구배지게 함몰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의 말단부 및 상기 절곡라운드부의 외면은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such that an inner end of the mounting groove is inclined toward an end portion of the pair of bent holder portions,
Wherein a distal end portion of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and an outer surface of the bending round portion are formed to be rounded,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그립부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 사이를 지지하도록 보강날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gradually thicker toward the end portion of the grip portion and the reinforcing wing portion is formed to support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획득된 오랄스캔 이미지를 로딩하고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에 따라 가상조절된 각 치아이미지와 대응되도록 디지털 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된 하나의 가상 교정 탬플릿의 디지털 외형정보로부터 설정된 디지털 브라켓으로 구비되되,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는 상기 디지털 브라켓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그립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그립부의 연장방향과 단차지게 지그재그로 절곡되되 단부에 푸시홈이 형성된 한쌍의 단차홀더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acket loads the orthal scan image obtai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traoral profile of the subject and the digital contour information of one virtual calibration template extracted from the digital library so as to correspond to each tooth image virtually adjus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secutive dental structure The digital bracket is provided,
Wherein the pair of bending holder portions exten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digital bracket,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grip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pair of stepped holder portions bent in a zigzag manner so as to be stepped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and having a push groove formed at an end thereof.
KR1020160163315A 2016-12-02 2016-12-02 wire coupling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 KR1018940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315A KR101894039B1 (en) 2016-12-02 2016-12-02 wire coupling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315A KR101894039B1 (en) 2016-12-02 2016-12-02 wire coupling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512A true KR20180063512A (en) 2018-06-12
KR101894039B1 KR101894039B1 (en) 2018-09-03

Family

ID=6262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315A KR101894039B1 (en) 2016-12-02 2016-12-02 wire coupling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03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498A (en) 2019-12-30 2021-07-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Orthodontic instrument and bite block
WO2021137621A3 (en) * 2019-12-30 2021-08-2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Orthodontic apparatus and bite bloc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0368A (en) * 1995-10-23 1998-10-13 Wolk; Roger S. Disposable applicator for forming and retaining an orthodontic attachment
KR100334361B1 (en) 1997-10-03 2002-07-18 까쇼 모리스 Retention Kit for Orthodontic Appliances
KR20040102008A (en) * 2002-02-13 2004-12-03 티.오.피. 서비스 퓌르 린구알테크니크 게엠베하 Modular system for customized orthodontic appliances
US20090004617A1 (en) * 2007-06-28 2009-01-01 Ormco Corporatio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and orthodontic bracket systems
US20130230817A1 (en) * 2011-02-08 2013-09-05 World Class Technology Corporation Manipulator tool for low-profile bracke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0368A (en) * 1995-10-23 1998-10-13 Wolk; Roger S. Disposable applicator for forming and retaining an orthodontic attachment
KR100334361B1 (en) 1997-10-03 2002-07-18 까쇼 모리스 Retention Kit for Orthodontic Appliances
KR20040102008A (en) * 2002-02-13 2004-12-03 티.오.피. 서비스 퓌르 린구알테크니크 게엠베하 Modular system for customized orthodontic appliances
US20090004617A1 (en) * 2007-06-28 2009-01-01 Ormco Corporatio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and orthodontic bracket systems
US20130230817A1 (en) * 2011-02-08 2013-09-05 World Class Technology Corporation Manipulator tool for low-profile brack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498A (en) 2019-12-30 2021-07-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Orthodontic instrument and bite block
WO2021137621A3 (en) * 2019-12-30 2021-08-2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Orthodontic apparatus and bite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039B1 (en) 201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7020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JP4903502B2 (en) Improved orthodontic bracket
JP6539294B2 (en)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US8257080B2 (en) Low profile orthodontic bite corrector
US4412819A (en) Orthodontic arch wire
US9498304B2 (en) Orthodontic attachment module for intra-oral bite correctors
US20050244781A1 (en) Orthodontic treatment method for concurrent correction of multiple conditions
KR101565802B1 (en) Tooth correction device and tooth correction method using tooth correction device
US4618324A (en) Centri-lever orthodontic appliance
JPH0371896B2 (en)
JP6878469B2 (en) Orthopedics-Orthodontic Molar Disturbizer
KR20180103761A (en) Jig integrated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09805B1 (en) orthodontic digital turbo bracket
US7396230B2 (en) Molar orthodontic brackets having a hinged bracket cover
US6364659B1 (en) Orthodontic bite opener
KR101894039B1 (en) wire coupling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
JP7326300B2 (en) Ceramic self-ligating bracket with high labial tensile strength
US20220110720A1 (en) Orthodontic device and tool for handling the device
KR20190024097A (en) wire fixing bracket for orthodontics
US20120237887A1 (en) Orthodontic bracket for use on deciduous teeth
KR101249175B1 (en) Orthodontic apparatus
KR101158726B1 (en) Instrumen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Treat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2181712B1 (en) wire fixing bracket for orthodontics
KR102080210B1 (e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KR20230019116A (en) Mouthpiece-type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