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307A - 현존식생을 고려한 참조생태계 선정과 이를 이용한 식생복원 방법 - Google Patents

현존식생을 고려한 참조생태계 선정과 이를 이용한 식생복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307A
KR20210085307A KR1020190178212A KR20190178212A KR20210085307A KR 20210085307 A KR20210085307 A KR 20210085307A KR 1020190178212 A KR1020190178212 A KR 1020190178212A KR 20190178212 A KR20190178212 A KR 20190178212A KR 20210085307 A KR20210085307 A KR 20210085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osystem
restoration
oak
species
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8442B9 (ko
KR102348442B1 (ko
Inventor
김남춘
김도희
박은희
송영근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8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44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442B1/ko
Publication of KR10234844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44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훼손지의 훼손 이전상태를 고려하여 복원되어야 할 생태계 유형 및 훼손지 현황과 유사한 지역을 선정하여, 다양한 지역적 생태구조와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참조생태계 모델 도출 방법으로 보다 지역 현장에 특화된 맞춤형 복원을 실현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존식생을 고려한 참조생태계 선정과 이를 이용한 식생복원 방법{Selection Method of Reference Ecosystems Considering Existing Vegetation}
본 발명은 훼손지의 훼손 이전상태를 고려하여 복원되어야 할 생태계 유형 및 훼손지 현황과 유사한 지역을 선정하여, 다양한 지역적 생태구조와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참조생태계 모델 도출 기술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에 대한 것이다.
택지개발이나 건설공사등 다양한 개발사업이 지속화 되는 최근의 추세에서 불가피하게 산림지역이 훼손이 점차 증가 하고 있다. 그리고 택지개발이 끝난 지역에서는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주거지역 또는 그 주변에 또 다시 공원을 조성하거나 훼손된 숲을 가꾸는 일이 다시 반복되고 있다.
통상 수목을 이식하는 과정은 뿌리돌림작업, 굴취작업, 수송작업, 식재작업, 식재 후 관리작업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식과정에서 교목 이식의 경우 뿌리돌림시 주근의 과도한 제거작업, 굴취시 분의 미형성, 수송시 건조현상, 식재작업시 식재깊이 및 관수 불량, 관리작업시 배수의 불량 등의 문제로 고사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있으며 활착 후 생장불량 등의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특히 대경목의 이식은 이식에 투입되는 비용이 높게 책정되어 있어 비용에 대한 조성효과의 면에서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공원이나 훼손된 숲을 복원하면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생장이 빠른 식물들만이 주를 이루게 되는 생태불균형이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생태복원지역의 조기녹화 및 식물의 다양화를 이루기 어려운 실정이다. 더욱이, 생태복원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의 종류가 다양하지 못하면 생태복원지역이 일정한 시간이 지나고 나면 서서히 황폐해져 가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국내의 복원 사업의 경우, 훼손지에 유사한 생태 환경을 갖는 참조할 만한 지역의 생태계를 고려하여, 산림 복원과 하천의 복원에서 참조생태계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생물과 천이단계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경우가 있으며 생태기반환경과 구조를 고려한 참조생태계의 적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계획 단계에서부터의 문제로 인해 사업 이후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추가적인 문제고 이어지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11887호 한국등록특허 제10-049456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원 대상지인 훼손지의 훼손 이전상태를 고려하여 복원되어야 할 생태계 유형 및 훼손지 현황과 유사한 지역을 선정하여, 다양한 지역적 생태구조와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참조생태계 모델 도출 방법으로 보다 지역 현장에 특화된 맞춤형 복원을 실현할 수 있는 현존식생을 고려한 참조생태계 선정과 이를 이용한 식생복원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원 대상지의 식생 생육 여부에 따른 참조생태계 조성여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원대상지에 참조생태계 조성이 필요한 경우, 참조생태계 모델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원 대상지에 대하여 훼손 이전의 상태와 비교하여, 복원되어야 할 생태계유형 선정하는 1단계;
상기 복원 대상지의 훼손 현황과 유사한 지역 참조 지역을 선정하고, 상기 1단계에서 결정된 목표 생태계유형과 목표인자와 대비되는 상기 참조지역의 대비인자인 입지적 특성 및 목표 수림유형을 선정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의 상기 참조지역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지역적범위, 광역적범위, 시간적범위를 고려하여 참조생태계의 범위를 설정하는 3단계;
상기 참조생태계의 범위 중 최종의 참조생태계 모델을 선정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현존식생을 고려한 참조생태계 선정과 이를 이용한 식생복원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원 대상지인 훼손지의 훼손 이전상태를 고려하여 복원되어야 할 생태계 유형 및 훼손지 현황과 유사한 지역을 선정하여, 다양한 지역적 생태구조와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참조생태계 모델 도출 방법으로 보다 지역 현장에 특화된 맞춤형 복원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식생복원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생태복원의 성과에 대한 설득력 있는 실증자료 제시할 수 있으며, 이상적인 생태복원의 목표 대비 진단 및 현실적인 중간단계 점검이 가능한 참조생태계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생태복원의 전개양상에 대해서도 정량적 과학적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개선안을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복원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유형별 접근으로 지역형 맞춤형 생태복원 솔루션 제시할 수 있는바, 참조생태계 모델개발에 있어 훼손유형별, 서식처유형별, 목표종별로 접근함으로써 다양한 생태적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참조생태계 모델 활용방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유형별 생태복원 모델 및 참조생태계 모델들은 보다 지역 현장에 특화된 맞춤형 복원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지역의 현장에서 생태복원의 진행단계와 구체적인 사후관리의 필요성을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존식생을 고려한 참조생태계 선정과 이를 이용한 식생복원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참조생태개 선정 모델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존식생을 고려한 참조생태계 선정과 이를 이용한 식생복원 방법(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훼손지인 복원 대상지의 식생 생육 여부에 따른 참조생태계 조성여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원대상지에 참조생태계 조성이 필요한 경우, 참조생태계 모델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복원대상지에 참조생태계 조성이 필요한 경우, 참조생태계 모델을 선정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복원 대상지에 대하여 훼손 이전의 상태와 비교하여, 복원되어야 할 생태계유형 선정하는 1단계(S 1), 상기 복원 대상지의 훼손 현황과 유사한 지역 참조 지역을 선정하고, 상기 1단계에서 결정된 목표 생태계유형과 목표인자와 대비되는 상기 참조지역의 대비인자인 입지적 특성 및 목표 수림유형을 선정하는 2단계(S 2), 상기 2단계의 상기 참조지역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지역적범위, 광역적범위, 시간적범위를 고려하여 참조생태계의 범위를 설정하는 3단계(S 3), 상기 참조생태계의 범위 중 최종의 참조생태계 모델을 선정하는 4단계(S 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단계별로 구체적인 적용기술을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복원 대상지 선정과정에서는 의 식생 생육 여부에 따른 참조생태계 조성여부 판단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경우, 복원 대상지(훼손지)의 특성을 파악하되, 현존 식생을 고려하여 목표종 설정한 뒤 보조식생 도입하며, 훼손 전 원식생 확인이 가능한 경우는 목표종으로 설정하고,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는 인근의 온전한 자생생태계와 유사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1. 복원되어야할 생태계의 유형 판단단계(S 1단계)
우선, 복원 대상지에 대하여 훼손 이전 상태와 비교하여 복원되어야할 생태계의 유형을 결정한다. 이는 훼손된 현재의 복원대상지의 상황을 고려하되, 가역적, 비가역적 현황에 따라 유형을 결정하게 된다.
생태계의 유형은, 산림형, 습지형, 초지형, 복합형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 중, 산림형은 수림조성(목본류)에 의한 식생군락 복원이 필요(적용지 예 : 산복붕괴지, 자연공원, 성토 비탈면, 완경사지, 평탄지에 적용)하며, 초지형은 초본, 관목의 혼합조성이 필요한 생태계의 유형이며, 그리고, 혼합형은 산림 및 초지형의 혼합조성(적용지 예 : 주변이 농경지, 초지이거나 채석지, 잡목림지, 급경사지 등에 적용)이 필요한 생태계 유형에 해당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생태계의 유형을 판단하되, 좀더 세분화한 분류조건(이하, '목표인자'라고 한다.)으로 입지적특성과 수림유형의 분류를 통해 복원 대상지의 생태계 유형을 명확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입지적특성은 복원 대상지에 대한 지형적 특성, 방위적특성을 고려한 인자에 해당한다. 입지적 특성인자로, 평탄지, 산록부, 산복부, 산정부, 능선부, 계곡부로 구성되는 지형인자와, 방위인자인 동, 서, 남, 북의 구분을 포함한다.
또한, 수림유형 인자로, 자연식생, 인공식생, 우점봉,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의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2. 복원대상지의 현황과 유사한 지역의 선정_입지적특성파악, 목표수림유형파악(S 2단계)
본 단계에서는, 상기 복원 대상지의 훼손 현황과 유사한 지역 참조 지역을 선정하고, 상기 1단계(S 1)에서 결정된 생태계유형(이하, '목표 생태계유형')과 목표인자와 대비되는 유사한 생태현황으로 고려되는 지역(이하, '참조지역')의 대비인자인 입지적 특성 및 목표 수림유형을 선정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즉, 참조지역의 입지적특성과 목표수림의 유형을 결정하는 인자는 상술한 복원대상지에서 고려한 목표인자와 동일한 인자로 구성되어 상호 대비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목표 생태계유형과 목표인자와 대비되는 상기 참조지역의 대비인자는, 입지적 특성인자로, 평탄지, 산록부, 산복부, 산정부, 능선부, 계곡부로 구성되는 지형인자와, 방위인자인 동, 서, 남, 북의 구분을 포함하며, 수림유형 인자로, 자연식생, 인공식생, 우점봉,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의 인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연식생'이란 복원 대상지를 구성하는 원래 점유 생태 식생을 의미하며, 따라서, 자연식생 군락을 참조생태계로 선정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시 등 제약이 많거나 훼손이 심각하여 열악한 기반위에 조기복구가 요구되는 등의 특수한 상황이라면, 현실적인 목표수종을 참조생태계로 설정할 수 있다.
3. 참조생태계의 범위 선정 단계(S 3단계)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2단계의 상기 참조지역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지역적범위, 광역적범위, 시간적범위를 고려하여 참조생태계의 범위를 설정하게 된다.
참조생태계의 범위란, 2단계에서 확보된 참조생태계 중 가장 적합한 최종생태계를 고려하기 위한 정보와 기준에 대한 것으로, 1) 자연생태계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인접자연을 참조생태계로 선정하는 지역적 범위와, 2) 동일한 생태계의 권역내의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는 광역적 범위 3) 시간변화를 고려한 복원단계별 순차적목표를 선정하여 구성되는 시작적범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역적범위'의 경우, 인접자원을 참조생태계로 선정하는 방법과, 자생생태계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참조생태계로 선정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일예로, ① 인접자연 선정방법은, 수림유형과 입지적 특성이 유사한 반경 1㎞ 내 현지 생태계 선정 현장조사 참조생태계 DB구축하여 범위로 설정하고,
② 자생생태계 선정방법은, 국립공원, 백두대간보호구역, DMZ일원, 생태경관보전지역 등 특수한 식생구조가 요구되는 훼손지를 참조생태계의 범위로 고려할 수 있다.
'광역적범위'의 경우, ① 동일한 생태계 권역 내 선정, ② 선행연구의 공개자료를 활용한 참조생태계 선정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일예로, 동일 생태계 권역 내의 지역의 생태계를 참조생태계로 하는 경우, 국내 산림경관 및 생태계 관리권역 5대 권역 27개 지역을 포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공개자료 학술논문, 연구보고서 등 기존 자료를 인용하는 것 역시 고려될 수 있다.
4. 참조생태계 모델 도출
이상의 복원대상지에 대한 고려할 수 있는 참조생태계의 범위를 설정한 이후, 다음 단계로는 상기 참조생태계의 범위 중 최종의 참조생태계 모델을 선정하는 4단계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4단계는, 상기 3단계의 참조생태계의 범위를 고려하여 수행되며, 4-1) 상기 복원대상지 반경 1 Km 이내에서, 상기 복원대상지와 동일한 입지적 특성이 나타날 때와, 4-2) 훼손이 심각하여 참조 생태계 모델을 선정할 수 없는 경우의 결정방식을 구분하여 참조생태계의 모델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4-1). 복원대상지와 동일한 입지적 특성이 구비되는 경우
참조생태계의 범위에서 고려된 참조생태계와 복원대상지의 유사도를 산출하여 참조생태계 모델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산림 생태계의 식생구조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주는 정량적인 지표가 되므로, 복원 대상지 지역의 복원 정도를 파악하고, 층위별 유사도지수 분석을 실시 및 비교하여 참조생태계 선정할 수 있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우선, 복원대상지(제 1 조사구) 내 모든 수종의 피도의 합계(S1)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복원대상지의 반경 1 Km 이내를 방형구(15 m x 15 m)로 나눈 다음, 방형구(제 2 조사구) 마다 모든 수종의 피도의 합계(S2)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조사구 마다, 다음 수식에 따라 유사도 지수(S.I)를 구하는 단계와, (C = 제 1, 2 조사구의 공통 수종의 피도 중, 피도가 가장 적은 수종의 피도), 유사도 지수(S.I)가 60% 이상인 제 2 조사구를 참조 생태계 모델로 선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유사도 지수(S.I) 도출 수식}
Figure pat00001
(S1=제 1조사구 내 모든 수종의 피도의 합계, S2=제 2조사구 내 모든 수종의 피도의 합계, C=각 조사구 내 공통된 수종의 피도 중 적은 수종의 피도의 합계)
유사도 지수는 각 참조생태계 유형별 군락내 층위별로 구축한 피도를 활용하여 종 구성간의 유사한 정도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지수로서, '피도'는 참조생태계 간의 방형구(15*15m)를 설정하여 방형구 내의 식생 종으로 파악한다. 반경 1㎞ 이내는 방형구를 여러 개 조사할 수 있으며, 유사도 지수(S.I)가 60% 이상인 제 2 조사구들 중에, 유사도 지수가 가장 높은 곳의 방형구 식생을 최종 참조생태계로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
4-2). 훼손이 심각하여 참조 생태계 모델을 선정할 수 없는 경우
다음으로, 훼손이 심각하여 참조 생태계 모델을 선정할 수 없는 경우, 또는 반경 1Km 이내에 동일한 입지적특성이 보이는 것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참조 복원 모델을 적용하여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참조 복원모델에 적용할 전체 수목의 수종과 목표종의 조합은 다음의 표와 같다.
{참조생태계 복원모델의 유형과 종조성}
Figure pat00002
즉, 복원대상지의 훼손이 심각하여 참조 생태계 모델을 선정할 수 없는 경우에, 참조 생태계 복원모델군 중 하나를 선정하되, 침엽수림 1개, 활엽수림 3개, 침활혼효림 2개로 구분되는 성상분류와, 식재층위를 교목, 아교목, 관목으로 구분하고, 각 모델의 층위별로 목표종 및 동반종으로 구분하는 하기 복원모델들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복원모델 1) 침엽수림의 소나무 군락에서는 주요 목표종을 소나무로 설정하고, 동반종으로 왕벚나무,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생강나무, 개암나무 조합적용.
(복원모델 2) 활엽수림 상수리나무 군락에서는 주요 목표종을 상수리나무로 설정하고, 동반종으로 왕벚나무, 상수리나무, 목련, 생강나무, 신마무, 팥배나무, 개옻나무, 진달래, 철쭉 조합적용.
(복원모델 3) 활엽수림 왕벚나무-상수리나무 군락에서는 주요 목표종을 왕벚나무로 설정하고, 동반종으로 버드나무, 벽오동, 버즘나무, 상수리나무, 버드나무, 가중나무 조합적용.
(복원모델 4) 활엽수림 백합나무 군락에서는 주요 목표종을 백합나무로 설정하고, 동반종으로 왕벚나무, 백합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찔레 조합적용.
(복원모델 5) 침활혼효림 소나무-신갈나무 군락에서는 주요 목표종을 소나무와 신갈나무로 설정하고, 동반종으로 소나무, 왕벚나무, 신갈나무, 단풍나무, 국수나무, 진달래, 국수나무 조합적용.
(복원모델 6) 침활혼효림 소나무-상수리나무 군락에서는 주요 목표종을 소나무, 상수리나무로 설정하고, 동반종으로 소나무, 칠엽수, 굴참나무, 개암나무, 새강나무, 초피나무, 국수나무, 초피나무, 굴참나무 조합적용.
이상의 총 6가지 복원모델의 타입은 참조생태계의 모델을 보완하기 위하여 경기도 내 훼손지 10개소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수행하고, 이에 표준화한 복원모델로 적용이 가능하며 대표 목표종을 선정하는 것을 기준으로, 이하의 주식재종과 보조식재종의 조합을 통해 최적의 생육복원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조합을 도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복원모델 1
복원모델 1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침엽수림의 소나무 군락에서는 주요 목표종을 소나무로 설정하고, 동반종으로 왕벚나무,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생강나무, 개암나무 조합적용하는 모델이다.
아울러, 동반종의 경우, 위 5종의 수목을 조합하여 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왕벚나무로 하고, 보조식재종을 상수리나무, 아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상수리나무, 신갈나무로 하며, 보조식재종으로는 왕벚나무, 생강나무, 관목층은 주 식재종은 생강나무, 보조식재종은 상수리나무, 개암나무로 구성할 수 있다.
{표 1: 복원모델 1, 침엽수림 소나무 군락 층위별 목표종 및 동반종}
Figure pat00003
(2) 복원모델 2
복원모델 2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활엽수림 상수리나무 군락으로 설정하는 경우이며, 이 경우 주요 목표종을 상수리나무로 설정하고, 동반종(주식재종 및 보조식재종)으로 총 8종의 수목을 선정할 수 있다. 동반종에 적용되는 수목은 왕벚나무, 상수리나무, 목련, 생강나무, 신마무, 팥배나무, 개옻나무, 진달래, 철쭉 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복원모델 2는, 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왕벚나무, 상수리나무로 하고, 보조식재종은 목련, 아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생강나무, 신나무로 하며, 보조식재종은 팥배나무, 개옻나무, 왕벚나무, 관목층은 주 식재종은 진달래, 철쭉, 보조식재종은 생강나무, 신나무, 팥배나무, 개옻나무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표 2: 활엽수림 상수리나무 군락 층위별 목표종 및 동반종}
Figure pat00004
(3) 복원모델 3
복원모델 3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활엽수림 왕벚나무-상수리나무 군락에서는 주요 목표종을 왕벚나무로 설정하고, 동반종(주식재종 및 보조식재종)으로 총 5종의 수목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동반종으로 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버드나무, 벽오동으로 하고, 보조식재종은 버즘나무, 아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상수리나무, 버즘나무로 하며, 보조식재종운 버드나무, 벽오동, 가중나무, 관목층은 주 식재종은 왕벚나무, 가중나무, 보조식재종은 버드나무, 상수리나무로 구성할 수 있다.
{표 3: 활엽수림 왕벚나무 군락 층위별 목표종 및 동반종}
Figure pat00005
(4) 복원모델 4
복원모델 4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활엽수림 백합나무 군락에서는 주요 목표종을 백합나무로 설정하고, 동반종으로 왕벚나무, 백합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찔레 조합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동반종으로, 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왕벚나무, 백합나무, 보조식재종은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아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상수리나무로 하며, 보조식재종은 신갈나무, 왕벚나무, 백합나무, 관목층은 주 식재종을 찔레로 구성할 수 있다.
{표 4: 활엽수림 백합나무 군락 층위별 목표종 및 동반종}
Figure pat00006
(5) 복원모델 5
복원모델 5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침활혼효림 소나무-신갈나무 군락에서는 주요 목표종을 소나무와 신갈나무로 설정하고, 동반종으로 소나무, 왕벚나무, 신갈나무, 단풍나무, 국수나무, 진달래, 국수나무 조합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동반종으로, 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소나무, 왕벚나무로 하고, 보조식재종은 신갈나무, 단풍나무, 아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국수나무, 단풍나무로 하며, 보조식재종은 신갈나무, 진달래, 왕벚나무, 관목층은 주 식재종은소나무, 보조식재종은 국수나무, 진달래로 설정할 수 있다.
{표 5: 침활혼효림 소나무-신갈나무 군락 층위별 목표종 및 동반종}
Figure pat00007
(6) 복원모델 6
복원모델 6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침활혼효림 소나무-상수리나무 군락에서는 주요 목표종을 소나무, 상수리나무로 설정하고, 동반종으로 소나무, 칠엽수, 굴참나무, 개암나무, 새강나무, 초피나무, 국수나무, 초피나무, 굴참나무 조합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반종의 구성은, 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소나무, 칠엽수로 하고, 보조식재종을 굴참나무, 개암나무, 아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생강나무, 개암나무로 하며, 보조식재종은 초피나무, 칠엽수, 국수나무, 관목층은 주 식재종은 국수나무, 초피나무, 소나무, 보조식재종은 생강나무, 굴참나무로 설정할 수 있다.
{표 6: 침활혼효림 소나무-상수리나무 군락 층위별 목표종 및 동반종}
Figure pat00008
상술한 본 발명에서의 유형별 접근으로 지역형 맞춤형 생태복원 솔루션의 경우, 참조생태계 모델개발에 있어 훼손유형별, 서식처유형별, 목표종별로 접근함으로써 다양한 생태적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참조생태계 모델 활용방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유형별 생태복원 모델 및 참조생태계 모델들은 보다 지역 현장에 특화된 맞춤형 복원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지역의 현장에서 생태복원의 진행단계와 구체적인 사후관리의 필요성을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S 1: 복원되어야 할 생태계유형 선정 단계
S 2: 참조지역의 대비인자인 입지적 특성 및 목표 수림유형을 선정하는 단계
S 3: 참조생태계의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S 4: 최종의 참조생태계 모델을 선정 단계

Claims (5)

  1. 복원 대상지의 식생 생육 여부에 따른 참조생태계 조성여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원대상지에 참조생태계 조성이 필요한 경우, 참조생태계 모델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원 대상지에 대하여 훼손 이전의 상태와 비교하여, 복원되어야 할 생태계유형 선정하는 1단계;
    상기 복원 대상지의 훼손 현황과 유사한 지역 참조 지역을 선정하고, 상기 1단계에서 결정된 목표 생태계유형과 목표인자와 대비되는 상기 참조지역의 대비인자인 입지적 특성 및 목표 수림유형을 선정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의 상기 참조지역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지역적범위, 광역적범위, 시간적범위를 고려하여 참조생태계의 범위를 설정하는 3단계;
    상기 참조생태계의 범위 중 최종의 참조생태계 모델을 선정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현존식생을 고려한 참조생태계 선정과 이를 이용한 식생복원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단계 및 상기 2단계에서,
    상기 목표 생태계유형과 목표인자와 대비되는 상기 참조지역의 대비인자는,
    입지적 특성인자로, 평탄지, 산록부, 산복부, 산정부, 능선부, 계곡부로 구성되는 지형인자와, 방위인자인 동, 서, 남, 북의 구분을 포함하며,
    수림유형 인자로, 자연식생, 인공식생, 우점봉,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의 인자를 포함하는,
    현존식생을 고려한 참조생태계 선정과 이를 이용한 식생복원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참조생태계의 범위를,
    1) 자연생태계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인접자연을 참조생태계로 선정하는 지역적 범위;
    2) 동일한 생태계의 권역내의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는 광역적 범위;
    3) 시간변화를 고려한 복원단계별 순차적목표를 선정하여 구성되는 시작적범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현존식생을 고려한 참조생태계 선정과 이를 이용한 식생복원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4단계는, 상기 3단계의 참조생태계의 범위를 고려하여 수행되며,
    4-1) 상기 복원대상지 반경 1 Km 이내에서, 상기 복원대상지와 동일한 입지적 특성이 나타날 때와,
    4-2) 상기 복원대상지 반경 1 Km 이내에서, 상기 복원대상지와 동일한 입지적 특성을 가진 곳이 없거나, 훼손이 심각하여 참조 생태계 모델을 선정할 수 없는 경우의 결정방식을 구분하되,
    상기 4-1)의 경우,
    상기 복원대상지(제 1 조사구) 내 모든 수종의 피도의 합계(S1)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복원대상지의 반경 1 Km 이내를 방형구(15 m x 15 m)로 나눈 다음, 방형구(제 2 조사구) 마다 모든 수종의 피도의 합계(S2)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조사구 마다, 다음 수식에 따라 유사도 지수(S.I)를 구하는 단계와,
    유사도 지수(S.I)가 60% 이상인 제 2 조사구를 참조 생태계 모델로 선정하며, 가장 높은 유사도 지수를 가진 참조 생태계 모델을 최종 참조 생태계 모델로 결정하는,
    현존식생을 고려한 참조생태계 선정과 이를 이용한 식생복원 방법.
    {수식}
    Figure pat00009

    (S1=제 1조사구 내 모든 수종의 피도의 합계, S2=제 2조사구 내 모든 수종의 피도의 합계, C=각 조사구 내 공통된 수종의 피도 중 적은 수종의 피도의 합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4단계는,
    훼손이 심각하여 참조 생태계 모델을 선정할 수 없는 경우에,
    참조 생태계 복원모델군 중 하나를 선정하되,
    침엽수림 1개, 활엽수림 3개, 침활혼효림 2개로 구분되는 성상분류와,
    식재층위를 교목, 아교목, 관목으로 구분하고, 각 모델의 층위별로 목표종 및 동반종으로 구분하는 하기 복원모델들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하는,
    현존식생을 고려한 참조생태계 선정과 이를 이용한 식생복원 방법.

    (복원모델 1) 침엽수림의 소나무 군락에서는 주요 목표종을 소나무로 설정하고, 동반종으로 왕벚나무,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생강나무, 개암나무 조합적용.
    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왕벚나무로 하고, 보조식재종을 상수리나무, 아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상수리나무, 신갈나무로 하며, 보조식재종으로는 왕벚나무, 생강나무, 관목층은 주 식재종은 생강나무, 보조식재종은 상수리나무, 개암나무
    (복원모델 2) 활엽수림 상수리나무 군락에서는 주요 목표종을 상수리나무로 설정하고, 동반종으로 왕벚나무, 상수리나무, 목련, 생강나무, 신마무, 팥배나무, 개옻나무, 진달래, 철쭉 조합적용.
    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왕벚나무, 상수리나무로 하고, 보조식재종은 목련, 아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생강나무, 신나무로 하며, 보조식재종은 팥배나무, 개옻나무, 왕벚나무, 관목층은 주 식재종은 진달래, 철쭉, 보조식재종은 생강나무, 신나무, 팥배나무, 개옻나무
    (복원모델 3) 활엽수림 왕벚나무-상수리나무 군락에서는 주요 목표종을 왕벚나무로 설정하고, 동반종으로 버드나무, 벽오동, 버즘나무, 상수리나무, 버드나무, 가중나무 조합적용.
    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버드나무, 벽오동으로 하고, 보조식재종은 버즘나무, 아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상수리나무, 버즘나무로 하며, 보조식재종운 버드나무, 벽오동, 가중나무, 관목층은 주 식재종은 왕벚나무, 가중나무, 보조식재종은 버드나무, 상수리나무
    (복원모델 4) 활엽수림 백합나무 군락에서는 주요 목표종을 백합나무로 설정하고, 동반종으로 왕벚나무, 백합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찔레 조합적용.
    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왕벚나무, 백합나무, 보조식재종은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아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상수리나무로 하며, 보조식재종은 신갈나무, 왕벚나무, 백합나무, 관목층은 주 식재종을 찔레
    (복원모델 5) 침활혼효림 소나무-신갈나무 군락에서는 주요 목표종을 소나무와 신갈나무로 설정하고, 동반종으로 소나무, 왕벚나무, 신갈나무, 단풍나무, 국수나무, 진달래, 국수나무 조합적용.
    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소나무, 왕벚나무로 하고, 보조식재종은 신갈나무, 단풍나무, 아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국수나무, 단풍나무로 하며, 보조식재종은 신갈나무, 진달래, 왕벚나무, 관목층은 주 식재종은소나무, 보조식재종은 국수나무, 진달래
    (복원모델 6) 침활혼효림 소나무-상수리나무 군락에서는 주요 목표종을 소나무, 상수리나무로 설정하고, 동반종으로 소나무, 칠엽수, 굴참나무, 개암나무, 새강나무, 초피나무, 국수나무, 초피나무, 굴참나무 조합적용.
    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소나무, 칠엽수로 하고, 보조식재종을 굴참나무, 개암나무, 아교목층은 주 식재종을 생강나무, 개암나무로 하며, 보조식재종은 초피나무, 칠엽수, 국수나무, 관목층은 주 식재종은 국수나무, 초피나무, 소나무, 보조식재종은 생강나무, 굴참나무
KR1020190178212A 2019-12-30 2019-12-30 현존식생을 고려한 참조생태계 선정과 이를 이용한 식생복원 방법 KR102348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212A KR102348442B1 (ko) 2019-12-30 2019-12-30 현존식생을 고려한 참조생태계 선정과 이를 이용한 식생복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212A KR102348442B1 (ko) 2019-12-30 2019-12-30 현존식생을 고려한 참조생태계 선정과 이를 이용한 식생복원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307A true KR20210085307A (ko) 2021-07-08
KR102348442B1 KR102348442B1 (ko) 2022-01-10
KR102348442B9 KR102348442B9 (ko) 2022-04-15

Family

ID=7689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212A KR102348442B1 (ko) 2019-12-30 2019-12-30 현존식생을 고려한 참조생태계 선정과 이를 이용한 식생복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606A (ko) * 2021-10-20 2023-04-27 차이나 인스티튜트 오브 워터 리소시즈 앤드 하이드로파워 리서치 머신 러닝 기반의 시뮬레이션된 자연 생태 식생 구축 방법, 시스템 및 장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567B1 (ko) 2004-10-28 2005-06-10 대한민국 활엽수칩을 이용한 폐광지 식생복원방법
KR101411887B1 (ko) 2011-08-17 2014-07-03 대한민국 폐광지의 식생복원을 위한 녹화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567B1 (ko) 2004-10-28 2005-06-10 대한민국 활엽수칩을 이용한 폐광지 식생복원방법
KR101411887B1 (ko) 2011-08-17 2014-07-03 대한민국 폐광지의 식생복원을 위한 녹화공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수생태계 참조하천 적합성 검증 및 활용방안 연구(I)’, PRISM(온-나라 정책연구)의 인터넷 게시물 (2016. 게재) 1부.* *
훼손 유형별 진단평가 체계 및 생태복원 모델 개발’, NDSL(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의 인터넷 게시물 (2018. 게재)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606A (ko) * 2021-10-20 2023-04-27 차이나 인스티튜트 오브 워터 리소시즈 앤드 하이드로파워 리서치 머신 러닝 기반의 시뮬레이션된 자연 생태 식생 구축 방법, 시스템 및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442B9 (ko) 2022-04-15
KR102348442B1 (ko)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ytrý et al. EUNIS Habitat Classification: Expert system, characteristic species combinations and distribution maps of European habitats
Marquis Prescribing silvicultural treatments in hardwood stands of the Alleghenies (revised)
KR102348442B1 (ko) 현존식생을 고려한 참조생태계 선정과 이를 이용한 식생복원 방법
Norris et al. Vegetation changes in the Pilliga forests: a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evidence
Guth et al. Natura 2000 habitat mapping in the Czech Republic: methods and general results
Pinard Carbon retention by reduced-impact logging
Johnson et al. Boulevard tree failures during wind loading events
Pinho Forest planning in Portugal
De Montigny Silviculture treatments for ecosystem management in the Sayward (STEMS): Establishment report for STEMS 1, Snowden Demonstration Forest
Lawson Options for agroforestry in the CAP 2014-2020
Appel et al. Assessment of oak wilt threat to habitat of the golden-cheeked warbler, an endangered species, in central Texas
Cooray Stand structure of a montane rain forest on Mauna Loa, Hawaii
Ezeigw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uses of gully erosion in Nkpor and Obosi in Anambra State of Nigeria
Hamilton The place and the problem
Skaloš Czech and Swedish intensively utilised agricultural landscapes—parallels and divergences during the last 300 years
Rainey Digital Technology Enhances Tree Marking Effectiveness in Meeting Restoration Objectives in Southwestern Ponderosa Pine
Jongman et al. Farmland features in the European Union: a description and pilot inventory of their distribution
Rosendahl An analysis of land management stakeholders in Lushoto (Tanzania) and Ntcheu (Malawi).
Dargavel The coming of age to Australian forests
Roberts et al. Forest site classification for the boreal forest of central Newfoundland, Canada (B. 28a) using a bio-physical soils approach
Gaffney Climate and Conservation: Site Prioritization in the North Carolina Coastal Plains
Norbu et al. Reforestation in Bhutan—Accomplishments and prospects
Iváncsics et al. Possible Assessment Method of Green Infrastructure in the Case of Small Town Keszthely, Hungary
Wiik et al. Analysis of the viability of “land sparing” and “land sharing” strategies for commercial woodland expansion within Wales
Chalayonnavin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and GIS for Planning and Management of Mea Chaem Watershed, Changwat Chiang Ma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